KR20100086632A - Method and apparatus for setupingpeer to peer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setupingpeer to peer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632A
KR20100086632A KR1020090005954A KR20090005954A KR20100086632A KR 20100086632 A KR20100086632 A KR 20100086632A KR 1020090005954 A KR1020090005954 A KR 1020090005954A KR 20090005954 A KR20090005954 A KR 20090005954A KR 20100086632 A KR20100086632 A KR 20100086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ource node
base station
node
destination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9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피수트
김봉찬
윤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5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6632A/en
Publication of KR20100086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6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6Connectivity information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a device for setting and synchronizing P2P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 provided to maintain synchronization between two terminals which are equal during P2P communication and sets connection for effective P2P communication. CONSTITUTION: A controller(830) compares cell including a source node and a destination node. If the source and a destination node is in a same cell, P2P resource allocator(833) assigns P2P request resource to the sources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 mode selector(831) measures measured reception power level of the source node and considers the measured reception power level to determine capacity of P2P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TUPINGPEER TO PEER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METHOD AND APPARATUS FOR SETUPING PEER TO PEER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 중앙집중제어 프레임구조(centralized control framework)에 기반한 P2P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2P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2P communication establishment and synchronization based on a base station centralized control framework.

차세대 네트워크들은, 사용자들이 서로 직접 트래픽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P2P(Peer-to-Peer) 통신의 지원을 요구한다. 상기 P2P 통신의 특성으로, 높은 유연성, 높은 신뢰성, 고속데이터의 전송률, 자원의 공간 재사용, 기지국에서 트래픽 병목 회피(avoidance of traffic bottleneck)와 같은 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Next-generation networks require support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in which users generate and transmit traffic directly to each oth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2P communication, there are many advantages such as high flexibility, high reliability, high data rate, space reuse of resources, and avoidance of traffic bottleneck at the base station.

단말은 일반적인 P2P 통신을 하기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에 할당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이 아닌 별도의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다른 주파수 대역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 별도의 RF 송수신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 무선통신(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등이 P2P 통신에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P2P 통신과 이동통신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효율적인 자원 운용 방안을 사용하여 간섭문제를 해결한다면 각 전송 대역을 유연하게 조정하여 더 향상된 대역폭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The terminal uses a separate frequency band other than the frequency band alloca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general P2P communication. In addition, a separate RF transceiver is used to process other frequency band signals. For example,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IrDA) or Bluetooth (Bluetooth) communication is used for P2P communication. However, when the P2P communic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use the same frequency band, if the interference problem is solved using an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scheme, it is possible to flexibly adjust each transmission band to expect improved bandwidth efficiency.

한편, P2P 통신을 위한 별도의 RF 송수신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P2P 통신이 연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P2P communication using the frequency band alloca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out using a separate RF transceiver for P2P communication has been studied.

이동통신 시스템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P2P 통신을 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 통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P2P 통신을할지 아니면 PMP(Point-to-Multi-Point) 통신을 할지를 결정하는 기준이 필요하다. 또한, P2P 통신을 수행하는 두 단말간 동기화가 필요하다.In order to perform P2P communication using the frequency band alloca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P2P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P2P communication or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is provided. ne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synchronization between two terminals performing P2P communic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P2P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2P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과 소스 노드 사이 제 1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기지국과 목적지 노드 사이 제 2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을 시,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간 P2P(Peer-to_Peer) 통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P2P 통신이 가능할 시, 상기 소스 노드와 제 1 P2P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목적지 노드와 제 2 P2P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n a method for establishing and synchronizing peer-to-peer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fter establishing a first connect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source node, the base station and the destination Establishing a second connection between the nodes, checking whether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cell by using the IP addresses of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nd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Determining whether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when in the same cell, and when the P2P communication is possible, after establishing a first P2P connection with the source node, And establishing a second P2P connection with the destination nod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기지국 동작 방법에 있어서, 소스 노드와 제 1 연결을 설정한 후, 목적지 노드와 제 2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을 시, P2P(Peer-to_Peer) 요청 자원을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에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목적지 노드로부터 상기 소스 노드의 측정된 수신전력 레벨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소스 노드의 측정된 수신전력 레벨을 고려하여,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간 P2P 통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n a method for operating a base station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configuration and synchron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fter establishing a first connection with a source node, a destination node and a first node may be used. Establishing a second connection, checking whether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cell, and wh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cell, the peer-to-peer request resource; Allocating to a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receiving a measured received power level of the source node from the destination node, and considering the measured received power level of the source node,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P2P communication between nodes is possibl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소스 노드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과 제 1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2P(Peer-to_Peer) 요청 자원을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P2P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기정의된 전력으로 프리앰블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n a method for operating a source node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establishment and synchron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process of establishing a first connection with a base station, and from the base station And a process of receiving a peer-to_peer (P2P) request resource, and transmitting a preamble at a predetermined power by using the P2P request resourc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소스 노드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과 제 1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2P(Peer-to_Peer) 요청 자원을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P2P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기정의된 전력으로 프리앰블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 method for operating a source node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configuration and synchron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establishing a first connection with a base station; And a process of receiving a peer-to_peer (P2P) request resource, and transmitting a preamble at a predetermined power by using the P2P request resourc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과 제 1 연결을 설정하는 소스 노드와, 상기 지국과 제 2 연결을 설정하는 목적지 단말과,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을 시,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간 P2P(Peer-to_Peer) 통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상기 P2P 통신이 가능할 시, 상기 소스 노드와 제 1 P2P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목적지 노드와 제 2 P2P 연결을 설정하는 기지국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 system for establishing and synchronizing peer-to-peer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source node for establishing a first connection with a base station; A destination terminal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a gateway for confirming whether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cell by using IP addresses of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nd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in the same cell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whether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nd when the P2P communication is possible, after establishing a first P2P connection with the source node, the destination node and the second node are establish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se station for establishing a P2P connection.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기지국에 있어서, 소스 노드와 제 1 연결을 설정한 후, 목적지 노드와 제 2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을 시, P2P(Peer-to_Peer) 요청 자원을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에 할당하는 P2P 자원할당부와, 상기 목적지 노드로부터 상기 소스 노드의 측정된 수신전력 레벨을 수신하고, 상기 소스 노드의 측정된 수신전력 레벨을 고려하여,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간 P2P 통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모드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n a base station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establishment and synchron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fter establishing a first connection with a source node, a second connection with a destination node A control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cell, and a peer-to-peer (P2P) request resource wh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cell. A P2P resource allocation unit for allocating a destination node, a measured reception power level of the source node from the destination node, and considering the measured reception power level of the source node, a P2P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nd a mode selec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communication is possibl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소스 단말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과 제 1 연결을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2P(Peer-to_Peer) 요청 자원을 할당받고, 상기 P2P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기정의된 전력으로 프리앰블 을 송신하는 P2P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 source terminal device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setting and synchron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establishing a first connection with a base station, and a P2P from the base station; (Peer-to_Peer) includes a P2P control unit that is allocated a request resource and transmits a preamble at a predetermined power by using the P2P request resourc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8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목적지 단말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과 제 2 연결을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2P(Peer-to_Peer) 요청 자원을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P2P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소스 노드가 송신하는 프리앰블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수신전력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프리앰블 신호 세기를 상기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P2P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 destination terminal device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setting and synchron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control unit for establishing a second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the P2P from the base station (Peer-to_Peer) receiving a request resource, receiving power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preamble signal strength transmitted by the source node using the P2P request resource, and reporting the measured preamble signal strength to the base st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2P control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중앙집중제어에 기반한 P2P 통신을 제안함으로써, P2P 통신 동안에, 대등한 두 단말 사이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P2P 통신을 위한 연결설정(connection setup)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P2P 링크 측정, 그리고 P2P 적응적 변조를 위한 메커니즘을 허용한다. 더욱이, 네트워크 구성요소(기지국 그리고 ASN_GW)가 자동으로 P2P 통신 가능성을 인지한 후, 채널상태, 오버헤드 등을 기반하여 P2P 통신 모드 또는 PMP 통신 모드를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proposing P2P communication based on the centralized control of the base st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 is possible to maintain synchronization between two comparable terminals during P2P communication and to perform connection setup for efficient P2P communication. Can b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a P2P link measurement, and a mechanism for P2P adaptive modulation. Furthermore, after the network components (base station and ASN_GW) automatically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P2P communication, the P2P communication mode or PMP communication mode can be efficiently selected based on the channel state, overhead,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 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r customs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Peer-to-Peer)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d synchronizing peer-to-peer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이하 설명에서,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예: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에 기반하는 기지국 중앙집중제어(centralized control)의 P2P 직접 통신(Peer-to-Peer Direct Communication: 이하 "P2P DC"라 칭함)을 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특히, 주로 소스(source)와 목적지(destination) 노드들이 동일한 셀 내에 존재하는 시나리오를 다룬다. 예를 들면, 캠퍼스 네트워크(campus network), 법인 네트워트(corporate network), 또는 군대 혹은 공안(public safety) 네트워크 같은 특별한 임무(task)를 수행하는 네트워크에서, 직원들이 그룹으로 무리지어져, 상기 그룹 내에서 통신을 수행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eer-to-peer direct communication of a base station centralized control based o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g.,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6) is referred to as "P2P DC"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In particular, it mainly deals with scenarios in which source and destination nodes exist in the same cell. For example, in a network that performs a particular task, such as a campus network, a corporate network, or a military or public safety network, employees are grouped in groups and within the group. Perform communication.

기지국 중앙집중제어 구조에 기반하는 효율적인 P2P DC 를 다루기 위해서, 본 발명은 2가지 중요한 이슈를 다룬다. 첫째는 P2P 통신의 가능 여부를 인지할 수 있는 시스템의 능력이다. 만약 P2P 통신이 가능하면, 시스템은 또한 P2P 또는 PMP(Point-to-Multi-Point) 통신모드(기지국을 통한 전통적인 데이터 전송방식)에 서 효율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드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또 다른 이슈는 P2P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간 동기화(peer synchronization)이다. 다시 말해, 대등한 두 단말 사이 시간동기화를 수행하고 유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다룰 것이다.In order to deal with efficient P2P DC based on the base station centralized control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addresses two important issues. The first is the system's ability to recognize the availability of P2P communication. If P2P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 system must also be able to determine the communication mode that can efficiently communicate in either P2P or Point-to-Multi-Point (PMP) communication mode (traditional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base station). . Another issue is peer synchronization that performs P2P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we will cover the mechanism for performing and maintaining time synchronization between two comparable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이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은 ASN_GW(Access Service Network GateWay)(100), 기지국(Base Station: BS)(110), 단말(Mobile Station: MS)(112, 114)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n access service network gate (ASN_GW) 100, a base station (BS) 110, and a mobile station (MS) 112 and 114.

상기 ASN_GW(100)는 기지국 제어국 또는 ACR(Access Control Router)로도 불리며, 상기 단말(112, 114)과 상기 기지국(110)을 제어하고 IP 패킷을 라우팅한다. 그리고 상기 ASN_GW(100)는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 전달된 패킷의 소스 노드(패킷을 전송하려는 단말을 칭함)와 목적지 노드(패킷을 수신하려는 단말을 칭함)의 IP 주소를 확인하여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는지 아니면 각각 서로 다른 셀 내에 있는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알려준다.The ASN_GW 100 is also called a base station control station or an access control router (ACR), and controls the terminals 112 and 114 and the base station 110 and routes IP packets. The ASN_GW 100 checks an IP address of a source node (called a terminal to transmit a packet) and a destination node (called a terminal to receive a packet) of 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110 and the source node. It informs the base station whether the destination node is in the same cell or in a different cell.

상기 기지국(110)은 RAS(Radio Access Station)로도 불리며 유선 네트워크 종단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단말(112, 114)과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110)은 또한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P2P 통신을 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P2P 자원을 할당한다.The base station 110 is also called a RAS (Radio Access Station) and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terminals 112 and 114 through a wireless interface at a wired network end. The base station 110 also determines whether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can perform P2P communication in the same cell and allocates the corresponding P2P resource.

상기 단말(112, 114)은 가입자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 및 음성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이다. 상기 단말(112, 114)은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The terminals 112 and 114 are devices used by subscribers to receive portable Internet service and voice service. The terminals 112 and 114 may be laptops, desktop comput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r the like.

한편, 기지국 중앙집중제어 P2P DC 환경에서는 데이터와 제어 트래픽을 위한 경로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다시 말해, 트래픽 경로는 서로 통신을 하는 두 단말 사이이고, 한편으로 제어 신호를 위한 경로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이다.Meanwhile, in the base station centralized control P2P DC environment, paths for data and control traffic are physically separated. In other words, the traffic path is between two terminal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while the path for the control signal is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 중앙집중제어 방식의 P2P DC을 사용하여, 분산제어(distributed control) 운용(예: 경쟁기반 P2P 운용)에 적합한 P2P 트래픽 스케줄링과 관리 같은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더욱이, 기지국 중앙집중제어 방식의 P2P 통신을 통해, QoS 보증, 효율적인 자원할당, 그리고 효율적인 병렬 P2P 통신(자원의 공간 재사용)을 수행할 수 있다.By using the P2P DC of the base station centralized control method, problems such as P2P traffic scheduling and management suitable for distributed control operation (eg, contention-based P2P operation) can be easily solved. In addition, through P2P communication of the base station centralized control method, QoS guarantee,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and efficient parallel P2P communication (spatial reuse of resources) can be performed.

일반 PMP 동작에서, 소스 노드(112)는 보내고자하는 서빙 기지국(110)으로 패킷을 전송하고, 목적지 노드(114)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기지국(110)은 해당 ASN_GW(100)로 패킷들을 전송한다.In a normal PMP operation, the source node 112 transmits a packet to the serving base station 110 to send, an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node 114, the base station 110 sends the packet to the corresponding ASN_GW 100. Send them.

상기 목적지 노드(114)와 상기 소스 노드(112)는 동일한 셀 안에 있기 때문에, 상기 ASN_GW(100)는 상기 목적지 노드(114)로 패킷을 전달할 상기 기지국(110)으로 패킷들을 되돌려 전송한다. 이 절차는, 특히 두 노드들이 서로 가깝게 있고 동일한 무선자원이 재사용가능할 때 소스 노드가 목적지 노드로 직접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P2P 통신보다, 더 많은 지연을 초래하고, 네트워크 자원을 더 많이 소 비한다.Since the destination node 114 and the source node 112 are in the same cell, the ASN_GW 100 sends the packets back to the base station 110 to forward the packet to the destination node 114. This procedure causes more delay and consumes more network resources than P2P communication, in which the source node can send packets directly to the destination node, especially when the two nodes are close to each other and the same radio resource is reusable.

본 발명에서 이 절차는 ASN_GW(100) 그리고 기지국(110)에서 자동으로 P2P 통신모드에서 패킷들을 전송할 기회를 확인하는 것을 허용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기지국(110)은 두 통신모드(P2P/PMP)의 동작으로부터 예상되는 성능에 따라 P2P 모드 혹은 PMP 모드를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P2P 통신을 더욱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P2P 통신에서 하나의 노드가 두 노드 사이에 동기화를 위해 그리고 P2P 채널 측정을 위해 롱 프리앰블(long preamble)을 전송한다. 그리고 기지국(110)은 P2P 채널 상태에 따라 P2P 통신을 위한 최적의 변조 코드를 선택할 수 있고 P2P 채널상태가 나쁘면 P2P 모드에서 PMP 모드로 동작하도록 스위칭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procedure allows the ASN_GW 100 and the base station 110 to automatically identify the opportunity to send packets in the P2P communication mode.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110 provides a mechanism for efficiently determining the P2P mode or the PMP mod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expected from the operation of the two communication modes (P2P / PMP).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further improving performance of P2P communication. In particular, in a P2P communication, one node transmits a long preamble for synchronization between two nodes and for P2P channel measurement. The base station 110 may select an optimal modulation code for P2P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2P channel state, and switch to operate from the P2P mode to the PMP mode if the P2P channel state is bad.

본 발명에서, 기지국 중앙집중제어(centralized control) 관점에서 기반한 프레임구조를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structure based on the viewpoint of the base station centralized control is propos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중앙집중제어 방식에 따른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2 illustrates a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 base station centralize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은 하향링크 부프레임(subframe)과 상향링크 부프레임으로 구분되며, 하향링크 부프레임에는 프리앰블, 하향링크의 버스트 위치를 지시하는 DL_MAP, 상향링크의 버스트 위치를 지시하는 UL_MAP, 하향링크 버스트 #1 내지 #n가 있고,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에는 상향링크 버스트 #1 내지 #m, 롱 프리앰블(long preamble), 적어도 하나 이상의 P2P 통신을 위한 영역으로 구성된 다.Referring to FIG. 2, a frame is divided into a downlink subframe and an uplink subframe, and a downlink subframe indicates a preamble, a DL_MAP indicating a downlink burst position, and an uplink burst position. UL_MAP, downlink bursts # 1 to #n, and the uplink subframe includes uplink bursts # 1 to #m, a long preamble, and an area for at least one P2P communication.

본 발명에서, P2P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의 종단에 전용 P2P 영역을 정의한 프레임 구조를 제안한다. 상기 P2P 영역에 할당된 자원의 양은 기지국 스케줄러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UL_MAP 메시지를 통해 알려진다. 각 P2P 영역은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가 하나의 쌍으로 P2P 통신을 위해 사용되고, 롱 프리앰블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된다. 상기 롱 프리앰블은 대등한 단말들간 동기화를 위해 사용된다. 기지국은 롱 프리앰블 전송 동안에 소스 노드에 자원을 할당해야 한다. 목적지 노드는 상기 소스 노드가 전송하는 롱 프리앰블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소스 노드와의 동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롱 프리앰블 구간 및 변조는 고정되거나 모든 단말들에게 알려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upport P2P communication, a frame structure in which a dedicated P2P region is defined at the end of the uplink subframe is proposed. The amount of resources allocated to the P2P region is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scheduler and known through the UL_MAP message. In each P2P area, a source node and a destination node are used for P2P communication as a pair, and are composed of a long preamble and a data area. The long preamble is used for synchronization between comparable terminals. The base station must allocate resources to the source node during the long preamble transmission. The destination node may adjust synchronization with the source node by detecting the long preamble transmitted by the source node. In addition, the long preamble interval and modulation is fixed or known to all terminals.

상기 도 2에서는 하나의 P2P 통신 쌍에게 모든 부채널이 할당되지만, 구현에 따라서,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P2P 통신 쌍들에게 부채널을 나누어서 할당할 수도 있다.In FIG. 2, all subchannels are allocated to one P2P communication pair. However,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the base station may divide the subchannels into at least one P2P communication pair.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위한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3 is a flowchart for setting and synchronizing for P2P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상기 소스 노드는 네트워크진입 과정에서 기지국으로부터 Basic CID1(BCID1)을 할당받았고, 상기 목적지 노드는 네트워크 엔트리 과정에서 기지국으로부터 BCID2를 할당받았다고 가정한다. BCID는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과정에서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식별자로서 셀 내에서 단말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In FIG. 3, it is assumed that the source node has been allocated Basic CID1 (BCID1)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network entry process, and the destination node has been allocated BCID2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network entry process. The BCID is an identifier assigned by the base station during the network entry process of the terminal and used to distinguish the terminal in the cell.

상기 도 3를 참조하면, 기지국과 소스 노드는 300 단계에서 기정의 절차에 따라 연결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을 수행하고 302 단계에서 상기 소스 노드는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다시 말해, 상기 소스 노드는 상기 기지국과 DSA(Dynamic Service Add) 요청/응답 메시지 교환을 통해, 서비스 흐름(service flow)을 설정하고 TCID(Transport Connection ID)1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는다. 서비스 흐름은 패킷의 소스 IP 주소, 목적지 IP 주소, 소스 포트 번호, 목적지 포트 번호로 표현되고, TCID는 서비스 흐름 별로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다. 도 3에서 상기 소스 노드는 상기 서비스 흐름에 대한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할 때, TCID1을 사용한다.Referring to FIG. 3, the base station and the source node perform connection establishm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in step 300, and in step 302, the source node transmits a data packet to the base station. In other words, the source node establishes a service flow and receives a Transport Connection ID (TCID) 1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a DSA (Dynamic Service Add) request / response message exchange with the base station. The service flow is represented by the source IP address, the destination IP address, the source port number, and the destination port number of the packet, and the TCID is assigned by the base station for each service flow. In FIG. 3, the source node uses TCID1 when transmitting a data packet for the service flow to the base station.

이후, 상기 소스 노드가 상기 기지국을 통해 목적지 노드로 패킷을 전송할 때, 상기 기지국은 304 단계에서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한 TCID1을 갖는 패킷을 ASN_GW로 포워딩한다.Thereafter, when the source node transmits the packet to the destination node through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forwards the packet having the TCID1 received from the source node to ASN_GW in step 304.

한편,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할 때, 상기 ASN_GW는 패킷의 IP 데이터그램 부분에 있는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의 IP 주소를 확인하여,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기지국 내에 존재하는지 아니면 서로 다른 기지국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receiving a packet from the base station, the ASN_GW checks the IP address of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in the IP datagram portion of the packet, so that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exist in the same base station or not.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y exist in different base stations.

만일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기지국 내에 없다면, 상기 ASN_GW는 P2P indication flag 값을 0으로 설정하여 패킷을 목적지 ASN_GW 또는 목적지 기지국으로 패킷을 포워딩한다(도 3에 도시하지 않음). 이후 목적지 기지국이 DSA-REQ/RSP 메시지 교환을 통해 상기 목적지 노드와 연결설정을 수행하고, 상 기 목적지 노드로 패킷을 포워딩한다(도 3에 도시하지 않음).If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not in the same base station, the ASN_GW sets the P2P indication flag value to 0 to forward the packet to the destination ASN_GW or the destination base station (not shown in FIG. 3). Thereafter, the destination base station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destination node through a DSA-REQ / RSP message exchange, and forwards the packet to the destination node (not shown in FIG. 3).

반면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기지국 내에 있고 상기 기지국과 상기 목적지 노드 사이에 상기 서비스 흐름에 대한 연결설정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ASN_GW는 306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흐름에 대한 연결설정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보낸다. 이때 상기 기지국과 상기 목적지 노드는 308 단계에서 DSA-REQ/RSP 메시지 교환을 통해 상기 서비스 흐름에 대한 연결설정을 수행한다. 상기 서비스 흐름에 대한 상기 기지국과 상기 목적지 노드 사이의 연결과 TCID2가 할당된 후에, 상기 ASN_GW는 P2P 통신 설정에 필요한 추가정보와 함께 TCID2를 사용하여 상기 서비스 흐름의 패킷을 상기 기지국으로 포워딩한다. 상기 P2P 통신 설정에 필요한 추가 정보는 P2P indication flag=1로 설정된 값과,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기지국 노드 사이에 상기 서비스 흐름에 대해 할당된 TCID1 정보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base station and there is no connection establishment for the service flow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destination node, the ASN_GW sends a connection establishment request for the service flow in step 306 to the base station. Send to.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and the destination node establish a connection to the service flow through the DSA-REQ / RSP message exchange in step 308. Af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destination node for the service flow and TCID2 have been allocated, the ASN_GW forwards the packet of the service flow to the base station using TCID2 with additional information necessary for establishing P2P communication.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P2P communication setting includes a value set to P2P indication flag = 1 and TCID1 information allocated for the service flow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base station node.

즉,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기지국에 있다면, 상기 ASN_GW는 310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다시 상기 기지국으로 포워딩한다. 이때, 상기 ASN_GW는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기지국에 있음을 P2P indication flag을 1로 설정하여 표시한다(indicate).That is, if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base station, the ASN_GW forwards the packet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base station in step 310. In this case, the ASN_GW indicates by setting the P2P indication flag to 1 that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base station.

이후, 상기 기지국은 312 단계에서 전통적인 PMP 통신 모드로 상기 패킷을 상기 TCID2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로 전송한다.Thereafter,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packet to the destination node using the TCID2 in a traditional PMP communication mode in step 312.

이후, 상기 기지국은 320 단계에서 자신이 서비스하는 셀 영역에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있음을 확인하고(P2P indication flag= 1),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서로 인접하여 P2P 통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In step 320,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at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present in the cell area of the mobile station (P2P indication flag = 1), and whether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adjacent to each other to enable P2P communication. Judge.

이를 위해, 상기 기지국은 먼저 322 단계에서 P2P_REQ_Zone IE(하기 <표 1>)를 통해 P2P 요청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한다.To this end, the base station first allocates resources for P2P request message transmission through the P2P_REQ_Zone IE (Table 1) in step 322.

SyntaxSyntax Size (bit)Size (bit) NoteNote P2P_REQ_Zone IE() {P2P_REQ_Zone IE () { Extended-2 UIUC Extended-2 UIUC 44 TBA; Shall be set to one of the available (reserved) Extended-2 UIUCTBA; Shall be set to one of the available (reserved) Extended-2 UIUC Length Length 88 Length in bytes of the below data fieldsLength in bytes of the below data fields Source BCID Source BCID 1616 BCID of the P2P_REQ senderBCID of the P2P_REQ sender Destination BCID Destination BCID 1616 BCID of the P2P_REQ receiverBCID of the P2P_REQ receiver OFDMA symbol offset OFDMA symbol offset 88 Indicate starting point of P2P_REQ based on timeIndicate starting point of P2P_REQ based on time Duration Duration 66 Indicate Duration of P2P_REQ based on timeIndicate Duration of P2P_REQ based on time Padding Padding 66 Padding to byte; Shall be set to 0Padding to byte; Shall be set to 0 }}

상기 P2P_REQ_Zone IE에는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의 BCID, 시간축으로 P2P 요청 자원의 시작점을 알려주는 OFDMA symbol offset, 시간축으로 P2P 요청 자원의 구간을 알려주는 duration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UL_MAP 메시지에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소스 노드의 BCID1과와 상기 목적지 노드의 BCID2는 상기 ASN_GW에 의해 제공되는 TCID1, TCID2로부터 파생된다. 상기 서비스 흐름에 대해, P2P 통신이 가능한 상기 소스 노드의 BCID1은 TCID1 정보를 이용하여 찾아내고, 상기 목적지 노드의 BCID2는 TCID2 정보를 이용하여 찾아낸다.The P2P_REQ_Zone IE includes BCIDs of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n OFDMA symbol offset indicating a start point of a P2P request resource on a time axis, a du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section of a P2P request resource on a time axis, and included in a UL_MAP message. do. Here, BCID1 of the source node and BCID2 of the destination node are derived from TCID1 and TCID2 provided by the ASN_GW. For the service flow, BCID1 of the source node capable of P2P communication is found using TCID1 information, and BCID2 of the destination node is found using TCID2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서비스 흐름에 대한 소스 노드의 BCID1을 찾기 위해 사용되는 TCID1은 MAC 헤더에 새롭게 정의된 필드에 의해 표시되고, 상기 서비스 흐름에 대한 목적지 노드의 BCID2를 찾기 위해 사용되는 TCID2는 데이터 패킷 MAC 헤더의 CID 필드에 의해 표시된다.Here, TCID1 used to find BCID1 of the source node for the service flow is indicated by a field newly defined in a MAC header, and TCID2 used to find BCID2 of the destination node for the service flow is a data packet MAC header. It is indicated by the CID field of.

이후, 상기 소스 노드는 324 단계에서, 기정의 전송전력으로 P2P_REQ_Zone IE에서 지정한 OFDMA symbol offset, Duration 정보가 나타내는 자원을 통해 롱 프리앰블 같은 P2P_REQ 메시지를 상기 목적지 노드로 전송한다.Thereafter, in step 324, the source node transmits a P2P_REQ message such as a long preamble to the destination node through a resource indicated by the OFDMA symbol offset and duration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P2P_REQ_Zone IE at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power.

이후, 상기 목적지 노드는 326 단계에서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롱 프리앰블의 측정된 수신전력, 상기 소스 노드의 BCID1(P2P_REQ_Zone IE에 의해 알려지는), 상기 목적지 노드의 BCID2 정보를 포함하는 새롭게 정의한 P2P_REQ_indicator 메시지(하기 <표 2>)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상기 보고 메시지는 전통적인 PMP UL 전송 스킴에 의해 전송된다.In step 326, the destination node newly defined P2P_REQ_indicator message including measured received power of the long preamble received from the source node, BCID1 of the source node (known by P2P_REQ_Zone IE), and BCID2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node. Report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able 2). The report message is transmitted by a traditional PMP UL transmission scheme.

SyntaxSyntax Size (bit)Size (bit) NoteNote P2P_REQ_Indicator message format()P2P_REQ_Indicator message format () Management message type Management message type 88 TBA; Shall be set to one of the available (reserved) MAC management message typeTBA; Shall be set to one of the available (reserved) MAC management message type Source BCID Source BCID 1616 BCID of the source node who transmits preambleBCID of the source node who transmits preamble Destination BCID Destination BCID 1616 BCID of the reporter(destination node)BCID of the reporter (destination node) RSSI RSSI 88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preamble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preamble }}

상기 P2P_REQ_indicator 메시지에는 소스 노드의 BCID, 목적지 노드의 BCID, 프리앰블의 신호세기(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P2P_REQ_indicator message includes BCID of the source node, BCID of the destination nod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information of the preamble, and the like.

이후, 상기 기지국은 330 단계에서 상기 목적지 노드로부터 수신 전력 측정 보고를 수신한 후에, 이를 이용하여 P2P 통신모드로 스위칭할지 아니면 기존 PMP 통신모드를 유지할지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이 PMP/P2P 통신모드 선택하기 위해서, P2P 통신과 PMP 통신과 관련된 채널상태와 오버헤드를 비교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 마킹 알고리즘(Marking Algorithm)에 사용되는 상기 파라미터는 보고된 롱 프리앰블의 수신전력(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사이의 채널상태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됨), 프리앰블 크기(P2P 통신에서의 오버헤드), PMP 채널상태(기지국과 소스 노드 사이의 채널상태, 기지국과 목적지 노드 사이 채널상태) 등을 포함한다. 상기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은 더 좋은 예상 성능을 제공하는 동작 모드(PMP 혹은 P2P 통신모드)를 선택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결정 마킹 알고리즘은 구현이슈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히 다루지 않는다.Thereafter, after receiving the reception power measurement report from the destination node in step 330, the base station determines whether to switch to the P2P communication mode or maintain the existing PMP communication mode using the received power measurement report. Here, in order to select the PMP / P2P communication mode, the base station may compare the channel state and overhead associated with the P2P communication and the PMP communication and determine the overhead. The parameter used in the Marking Algorithm is the received power of the reported long preamble (used to calculate the channel state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the preamble size (overhead in P2P communication). , PMP channel state (channel state between base station and source node, channel state between base station and destination node) and the like. Based on the parameter, the base station should select an operation mode (PMP or P2P communication mode) that provides better expected performance. Here, the decision marking algorithm is an implementation issue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만일 PMP 통신모드 동작이 선택되면(대등한 단말들이 서로 일정한 범위에 있지 않거나 P2P 통신모드가 PMP 통신모드 보다 예상 성능이 좋지 않은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서비스 흐름에 대하여 이미 설정된 상기 소스 노드 및 상기 목적지 노드와의 PMP 연결을 사용하여 통신을 계속한다(도 3에 도시하지 않음).If the PMP communication mode operation is selected (when the comparable terminals are not within a certain range of each other or the P2P communication mode does not have the expected performance better than the PMP communication mode), the base station is configured with the source node and the already established for the service flow. Communication continues using the PMP connection with the destination node (not shown in FIG. 3).

반면, P2P 통신모드 동작이 선택되면(대등한 단말들이 서로 일정한 범위에 있고 P2P 통신모드의 성능이 PMP 통신모드의 성능보다 좋을 시), 상기 기지국은 두 대등한 단말(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사이에 상기 서비스 흐름에 대한 P2P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330), 332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소스 노드 사이에 P2P_DSA-REQ/RSP 메시지를 교환하고 334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목적지 노드 사이에 P2P_DSA-REQ/RSP 메시지를 교환한다. 상기 기지국이 상기 소스 노드에게 전송하는 P2P_DSA-REQ 메시지에는 상기 서비스 흐름에 대한 TCID1과 상기 서비스 흐름에 대한 P2P_TCID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상기 소스 노드는 기지국으로부터 TCID1 혹은 P2P_TCID로 할당된 자원을 통해 상기 기지국 혹은 상기 목적지 노드로 상기 서비스 흐름의 트래픽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목적지 노드에게 전송하는 P2P_DSA_REQ 메시지에는 상기 서비스 흐름에 대한 TCID2와 상기 서비스 흐름에 대한 P2P_TCID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상기 목적지 노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TCID2 혹은 P2P_TCID로 할당된 자원을 통해, 상기 기지국 혹은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상기 서비스 흐름의 트래픽 수신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2P communication mode operation is selected (when the comparable terminals are in a certain range with each other and the performance of the P2P communication mode is better than that of the PMP communication mode), the base station is divided into two equal terminals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In order to establish a P2P connection for the service flow (step 330), a P2P_DSA-REQ / RSP message is exchang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source node in step 332, and the P2P_DSA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destination node in step 334. -Exchange REQ / RSP messages. The P2P_DSA-REQ message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to the source node includes TCID1 for the service flow and P2P_TCID for the service flow. Through this, the source node can transmit traffic of the service flow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base station or the destination node through a resource allocated as TCID1 or P2P_TCID. In addition, the P2P_DSA_REQ message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to the destination node includes a TCID2 for the service flow and a P2P_TCID for the service flow. In this way, the destination node can receive the traffic of the service flow from the base station or the source node through the resources allocated to the TCID2 or P2P_TCID from the base station.

여기서, 기지국 중앙집중제어 프레임구조로 인해 P2P_DSA-REQ/RSP 메시지와 또한 다른 제어 메시지는 대등한 단말 사이 직접 전송될 수 없다.Here, due to the base station centralized control frame structure, the P2P_DSA-REQ / RSP message and also other control messages cannot be transmitted directly between comparable terminals.

즉, 대역폭 요청 혹은 채널 측정 같은 모든 제어 메시지들은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고, 데이터 패킷들만 P2P 통신모드에서 상기 소스 노드에서 상기 목적지 노드로(상기 목적지 노드에서 상기 소스 노드로) 직접 전송된다.That is, all control messages such as bandwidth requests or channel measurements are sent to the base station, and only data packets are sent directly from the source node to the destination node (from the destination node to the source node) in a P2P communication mode.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사이 P2P 연결설정 후에(330), 상기 기지국은 340 단계에서 P2P_zone IE(하기 <표 3> 참조)를 통해 P2P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한다.After establishing a P2P connection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330), the base station allocates resources for P2P communication through the P2P_zone IE (see Table 3 below) in step 340.

SyntaxSyntax Size (bit)Size (bit) NoteNote P2P_Zone IE() {P2P_Zone IE () { Extended-2 UIUC Extended-2 UIUC 44 TBA; Shall be set to one of the available (reserved) Extended-2 UIUCTBA; Shall be set to one of the available (reserved) Extended-2 UIUC Length Length 88 Length in bytes of the below data fieldsLength in bytes of the below data fields P2P_TCIDP2P_TCID 1616 Transport CID of P2P connection Transport CID of P2P connection OFDMA symbol offsetOFDMA symbol offset 88 Indicate starting point of P2P Zone based on timeIndicate starting point of P2P Zone based on time DurationDuration 66 Indicate duration of P2P Zone based on timeIndicate duration of P2P Zone based on time Long preamble flag Long preamble flag 1One Set to 1 if preamble is included at the beginning of P2P Zone (transmitted by source)
Set to 0 to omit preamble in P2P Zone
Set to 1 if preamble is included at the beginning of P2P Zone (transmitted by source)
Set to 0 to omit preamble in P2P Zone
UIUCUIUC 44 Repetition Coding IndicationRepetition Coding Indication 22 PaddingPadding VarVar Padding to byte; Shall be set to 0Padding to byte; Shall be set to 0 }}

상기 P2P_zone IE는 P2P_TCID 값과 시간 축을 기준으로 P2P 통신을 위한 자원의 시작점 (OFDMA symbol offset)과 시간 축을 기준으로 P2P 통신을 위한 자원의 구간(Duration), 롱 프리앰블의 사용 여부를 지시하는 long preamble flag 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P2P_zone IE is a long preamble flag indicating whether a resource start point (OFDMA symbol offset) of a resource for P2P communication based on a P2P_TCID value and a time axis, a resource duration for a P2P communication based on a time axis, and whether to use a long preamble are used. Information and the like.

상기 <표 1>, <표 2>, <표 3>의 메시지 포맷은 하나의 일 예로, 구현에 따라 메시지 포맷은 변경될 수 있다. The message formats of Tables 1, 2, and 3 may be one example. The message forma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implementation.

이후, 상기 소스 노드는 P2P_TCID에 해당하는 상기 서비스 흐름의 트래픽을 할당된 P2P 자원을 통해,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직접 상기 목적지 노드에게 전송한다. 또한, 상기 목적지 노드는 P2P_TCID에 해당하는 상기 서비스 흐름의 트래픽을 할당된 P2P 자원을 통해,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직접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받기 위해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Thereafter, the source node directly transmits traffic of the service flow corresponding to P2P_TCID to the destination node through the allocated P2P resourc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the destination node operates in a reception mode to receive traffic of the service flow corresponding to P2P_TCID directly from the source node without passing through a base station through an allocated P2P resourc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위한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기지국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base station for setting and synchronizing for P2P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400 단계에서 제 1 PMP 연결설정 및 패킷 전송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PMP 연결설정은 소스 노드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PMP 연결설정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4, the base station performs a first PMP connection setup and packet transmission in step 400. The first PMP connection establishment means a PMP connection establishment between a source node and the base station.

이후, 상기 기지국은 402 단계에서 ASN_GW이 보낸 "P2P indication flag" 설정값을 통해 소스 노드 및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기지국 내에 있는지 확인한다.In step 402, the base station determines whether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base station through the "P2P indication flag" setting value sent by the ASN_GW.

만일 상기 소스 노드 및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기지국에 없을 시, 상기 기지국은 418 단계로 진행하여, 제 2 PMP 연결설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PMP 연결설정은 상기 목적지 노드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PMP 연결설정을 의미한다.If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not in the sam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418 to perform a second PMP connection setup. The second PMP connection establishment means a PMP connection establishment between the destination node and the base station.

이후, 상기 기지국은 420 단계로 진행하여 PMP 통신모드를 통해 패킷을 전송한다. 즉, 종래의 기정의된 절차에 따라 패킷은 목적지 기지국을 통해 상기 목적지 노드로 전송된다.In step 420,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packet through the PMP communication mode. That i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redefined procedure, the packet is transmitted to the destination node through the destination base station.

반면, 상기 소스 노드 및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기지국에 있을 시, 상기 기지국은 404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와 제 2 PMP 연결설정을 수행하여 패킷을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is in the sam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404 to establish a second PMP connection with the destination node and transmits the packet.

이후, 상기 기지국은 406 단계로 진행하여 P2P_REQ_Zone IE(상기 <표 1> 참조)를 통해 P2P 요청 자원을 할당한다.In step 406, the base station allocates a P2P request resource through a P2P_REQ_Zone IE (see Table 1).

이후, 상기 기지국은 408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로부터 P2P_REQ_Indicator 메시지를 통해 상기 소스 노드의 수신전력을 보고받고, 410 단계에서 보고를 기반으로 P2P 통신모드로 스위칭할지 아니면 PMP 통신모드를 유지할지를 결정한다.In step 408, the base station reports the received power of the source node through the P2P_REQ_Indicator message from the destination node, and determines whether to switch to the P2P communication mode or maintain the PMP communication mode based on the report in step 410. .

이후, 상기 기지국은 412 단계에서 P2P 통신모드를 선택할 시, 상기 기지국은 414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사이의 P2P 연결설정을 수행한다.Thereafter, when the base station selects the P2P communication mode in step 412,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414 to establish a P2P connection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이후, 상기 기지국은 416 단계에서 P2P_Zone_IE를 통해 P2P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한다.In step 416, the base station allocates resources for P2P communication through P2P_Zone_IE.

이후, 기지국은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Thereafter, the base station terminates the proced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위한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소스 노드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ource node for setting and synchronizing for P2P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소스 노드는 500 단계에서 기지국과 제 1 PMP 연결설정을 수행하고 패킷을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5, in step 500, the source node performs a first PMP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a base station and transmits a packet.

이후, 상기 소스 노드는 502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2P_REQ_Zone IE를 통해 P2P 요청 자원이 할당될 시, 504 단계로 진행하여 기정의된 전력으로 할당된 자원영역을 통해 롱 프리앰블을 전송한다.Thereafter, when the P2P request resource is allocat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P2P_REQ_Zone IE in step 502, the source node proceeds to step 504 and transmits a long preamble through a resource region allocated with a predetermined power.

이후, 상기 소스 노드는 506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P2P 통신모드로 선택될 시, 508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과 P2P 연결설정을 수행하고 P2P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받아 상기 목적지 노드와 P2P 통신을 수행한다.After that, when the source node is selected as the P2P communication mode by the base station in step 506, the source node proceeds to step 508 to perform P2P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the base station and to allocate resources for P2P communication to perform P2P communication with the destination node. To perform.

반면 506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P2P 통신모드로 선택되지 않을 시(즉, PMP 통신모드로 선택될 시), 이전에 설정된 PMP 통신모드를 유지하며 502 단계에서 P2P 요청 자원이 할당되는지를 확인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2P communication mode is not selected by the base station in step 506 (that is, when the PMP communication mode is selected), the previously set PMP communication mode is maintained and the P2P request resource is checked in step 502.

이후, 상기 소스 노드는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The source node then terminates the proced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위한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목적지 노드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estination node for setting and synchronizing for P2P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목적지 노드는 600 단계에서 기지국과 제 2 PMP 연결설정을 수행하고 패킷을 수신한다.Referring to FIG. 6, the destination node performs a second PMP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the base station in step 600 and receives a packet.

이후, 상기 목적지 노드는 602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2P_REQ_Zone IE를 통해 P2P 요청 자원이 할당될 시, 604 단계로 진행하여 소스 노드가 전송하는 롱 프리앰블의 수신전력을 측정한다.Thereafter, when the P2P request resource is allocat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P2P_REQ_Zone IE in step 602, the destination node proceeds to step 604 to measure the reception power of the long preamble transmitted by the source node.

이후, 상기 목적지 노드는 606 단계에서 측정한 수신전력을 P2P_REQ_Indicator 메시지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보고한다.Thereafter, the destination node reports the received power measured in step 606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 P2P_REQ_Indicator message.

이후, 상기 목적지 노드는 608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P2P 통신모드로 선택될 시, 61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과 P2P 연결설정을 수행하고 P2P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받아 상기 소스 노드와 P2P 통신을 수행한다.Then, when the destination node is selected as the P2P communication mode by the base station in step 608,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610 to establish a P2P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receives a resource for P2P communication to perform P2P communication with the source node. To perform.

반면 608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P2P 통신모드로 선택되지 않을 시(즉, PMP 통신모드로 선택될 시), 이전에 설정된 PMP 통신모드를 유지하며 602 단계에서 P2P 요청 자원이 할당되는지를 확인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2P communication mode is not selected by the base station in step 608 (that is, when the PMP communication mode is selected), the previously set PMP communication mode is maintained and the P2P request resource is checked in step 602.

이후, 상기 목적지 노드는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The destination node then terminates the proced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P2P 요청 전송 및 검출 스킴을 위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7 shows an example for a P2P request transmission and detection sche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소스 노드는 UL_MAP 정보를 통해 롱 프리앰블 전송을 위한 위치를 확인하여 전송하고, 목적지 노드는 UL_MAP 정보를 통해 소스 노드가 전송하는 롱 프리앰블을 검출한다.Referring to FIG. 7, the source node identifies and transmits a location for long preamble transmission through UL_MAP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node detects a long preamble transmitted by the source node through UL_MAP informa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위한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기지국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8 illustrates a base station apparatus for setting and synchronizing for P2P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RF처리기(800), OFDM 복조기(810), 메시지 처리부(820), 제어부(830), 메시지 생성부(840), OFDM 변조기(850), RF 처리기(8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8, the base station includes an RF processor 800, an OFDM demodulator 810, a message processor 820, a controller 830, a message generator 840, an OFDM modulator 850, and an RF processor 86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RF처리기(80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OFDM 복조기(810)는 상기 RF처리기(800)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샘플데이터를 FFT(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서 실제 수신하고자 하는 부반송파들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OFDM 복조기(810)는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복조(demodulation) 및 복호(decoding)하여 상기 메시지 처리부(820)로 출력한다.The RF processor 800 converts a radio frequency (RF) signal received through an antenna into a baseband analog signal. The OFDM demodulator 810 converts an analog signal from the RF processor 800 into sample data and outputs the sample data. The sample data is converted into data of a frequency domain by fast Fourier transform (FFT), and data of subcarriers to be actually received are selected and output from the data of the frequency domain. The OFDM demodulator 810 demodulates and decodes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odulation level (MCS level) and outputs the data to the message processor 820.

상기 메시지 처리부(820)는 상기 OFDM 복조기(83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메시지를 분해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830)로 제공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820)는 목적지 노드로부터의 소스 노드의 수신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P2P_REQ_indicator 메시지를 분해한다.The message processor 820 decomposes the control message input from the OFDM demodulator 830 and provides the result to the controller 830. The message processor 820 decomposes the P2P_REQ_indicator message including the received power information of the source node from the destination node.

상기 제어부(830)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82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들에 대한 해당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메시지 생성부(840)로 제공한다. 즉, 상기 제어부(830)는 기지국을 통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프로토콜 처리 수행중 필요한 정보를 물리계층의 해당 구성부로부터 제공받거나, 물리계층의 해당 구성부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The controller 830 performs corresponding processing on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essage processor 820, and provides the result to the message generator 840. That is, the controller 830 receives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forming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protocol processing through the base station from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f the physical layer, or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f the physical layer.

또한, 상기 제어부(830)는 소스 노드 및 목적지 노드와의 PMP 연결설정을 제어하고, P2P 통신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830)는 모드 선택부(831), P2P 자원할당부(833), P2P 연결설정부(835)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830 controls PMP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a source node and a destination node, and controls P2P communication. To this end, the controller 830 includes a mode selection unit 831, a P2P resource allocating unit 833, and a P2P connection setting unit 835.

상기 모드 선택부(831)는 상기 P2P_REQ_indicator 메시지 정보를 기초로 P2P 통신모드로 스위칭할지 아니면 기존 PMP 통신모드를 유지할지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모드 선택부(831)는 PMP/P2P 통신모드 선택할 시, P2P 통신과 PMP 통신과 관련된 채널상태와 오버헤드를 비교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모드 결정 마킹 알고리즘(Marking Algorithm)에 사용되는 상기 파라미터는 보고된 롱 프리앰블의 수신전력(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사이의 채널상태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됨), 프리앰블 크기(P2P 통신에서의 오버헤드), PMP 채널상태(기지국과 소스 노드 사이의 채널상태, 기지국과 목적지 노드 사이 채널상태) 등을 포함해야 한다. 상기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은 더 좋은 예상 성능을 제공하는 동작 모드(PMP 혹은 P2P 통신모드)를 선택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모드 결정 마킹 알고리즘은 구현이슈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히 다루지 않는다.The mode selector 831 determines whether to switch to a P2P communication mode or maintain an existing PMP communication mode based on the P2P_REQ_indicator message information. Here, when selecting the PMP / P2P communication mode, the mode selector 831 may compare the channel state and overhead associated with the P2P communication and the PMP communication and determine the overhead. The parameter used in the mode decision marking algorithm is used to calculate the received power of the reported long preamble (used to calculate the channel state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the preamble size (overhead in P2P communication). ), PMP channel state (channel state between base station and source node, channel state between base station and destination node). Based on the parameter, the base station should select an operation mode (PMP or P2P communication mode) that provides better expected performance. Here, the mode decision marking algorithm is an implementation issue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부(830)는 상기 모드 선택부(831)에 의해 PMP 통신모드 동작이 선택되면, 상기 소스 노드 및 상기 목적지 노드 사이와 이미 설정되어 있는 PMP 연결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PMP 통신모드로 동작을 계속한다.When the PMP communication mode operation is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831, the control unit 830 continues the operation in the traditional PMP communication mode using a PMP connection established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

상기 P2P 연결설정부(835)는 상기 모드 선택부(831)에 의해 P2P 통신모드 동작이 선택되면, 상기 기지국은 두 대등한 단말(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사이 P2P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과 상기 소스 노드 사이 P2P_DSA-REQ/RSP 메시지를 교환하고 상기 기지국과 상기 목적지 노드 사이 P2P_DSA-REQ/RSP 메시지를 교환한다.When the P2P connection setting unit 835 selects the P2P communication mode operation by the mode selection unit 831, the base station establishes a P2P connection between two equal terminals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The P2P_DSA-REQ / RSP message is exchang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source node and the P2P_DSA-REQ / RSP message is exchang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destination node.

상기 P2P 자원할당부(833)는 소스 노드 및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기지국내에 있을 시, P2P 요청 자원 및 P2P 통신 자원을 할당한다. 이를 위해, P2P_REQ_Zone IE 및 P2P_Zone IE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메시지 생성부(840)로 제공한다.The P2P resource allocation unit 833 allocates a P2P request resource and a P2P communication resource wh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base station. To this end, information for configuring P2P_REQ_Zone IE and P2P_Zone IE is provided to the message generator 840.

상기 P2P 연결설정부(835)는 소스 노드 및 목적지 노드와 각각 기정의 절차에 따라 P2P 연결설정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소스 노드 및 목적지 노드와 P2P_DSA_REQ/RSP 메시지 교환을 통해, 상기 서비스 흐름을 설정하고 P2P_TCID을 할당한다.The P2P connection establishment unit 835 performs P2P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respective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In other words, through the P2P_DSA_REQ / RSP message exchange with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the service flow is set and P2P_TCID is allocated.

상기 메시지 생성부(840)는 상기 제어부(830)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정보들을 가지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물리계층의 상기 OFMD 변조기(85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시지 생성부(840)는 P2P 요청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P2P_REQ_Zone IE 및 P2P 영역을 할당하기 위한 P2P_Zone IE를 생성한다.The message generator 840 generates a message with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830 and outputs the message to the OFMD modulator 850 of the physical layer. For example, the message generator 840 generates a P2P_REQ_Zone IE for allocating a P2P request resource and a P2P_Zone IE for allocating a P2P region.

상기 OFMD 변조기(850)는 상기 메시지 생성부(840)로부터의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부호 및 변조한다. 그리고,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샘플데이터(OFDM 심볼)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RF 처리부(860)로 출력한다. 상기 RF처리기(860)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The OFMD modulator 850 codes and modulates data from the message generator 84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odulation level (MCS level). The modulated data is subjected to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to output sample data (OFDM symbols). The sample data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 to the RF processor 860. The RF processor 860 converts the analog signal into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nd transmits the same through an antenna.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P2P 통신접속을 위한 단말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9 illustrates a terminal device for P2P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ermi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RF처리기(900), OFDM 복조기(902), 메시지 처리부(904), 제어부(906), 메시지 생성부(908), OFDM 변조기(910), RF 처리기(912), P2P 제어부(916), 수신전력 측정부(9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9, the terminal includes an RF processor 900, an OFDM demodulator 902, a message processor 904, a controller 906, a message generator 908, an OFDM modulator 910, and an RF processor 912. The P2P controller 916 and the reception power measurement unit 914 are configured.

상기 RF처리기(900), 상기 OFDM 복조기(902), 상기 메시지 처리부(904), 상기 메시지 생성부(908), 상기 OFDM 변조기(910), 그리고 상기 RF 처리기(912)는 상기 도 8의 기능 븍록도와 동일함으로 상기 도 8을 참조하기로 한다.The RF processor 900, the OFDM demodulator 902, the message processor 904, the message generator 908, the OFDM modulator 910, and the RF processor 912 are registered in FIG. 8.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to refer to FIG. 8.

상기 제어부(906)는 단말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과의 PMP 연결설정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더하여, 소스 노드로써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2P 요청자원(P2P_REQ_Zone IE)을 수신할 시, 기정의된 전력으로 롱 프리앰블을 생성하여 송신단(상기 메시지 생성부(908), 상기 OFDM 변조기(910), 그리고 상기 RF 처리기(912))를 통해 전송한다. 그리고, 소스 노드의 측정된 프리앰블 신호 세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The controller 906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terminal. For example, it controls the PMP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eiving a P2P request resource (P2P_REQ_Zone IE) from the base station as a source node, by generating a long preamble at a predetermined power to the transmitting end (the message generator 908, OFDM modulator 910, And transmits the data through the RF processor 912. The measured preamble signal strength of the source node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상기 P2P 제어부(916)는 기지국과의 P2P 연결설정을 제어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2P 통신을 위한 자원(P2P_Zone_IE)을 할당받아, P2P 통신을 제어한다. The P2P control unit 916 controls P2P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a base station, receives a resource (P2P_Zone_IE) for P2P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and controls P2P communication.

상기 수신전력 측정부(914)는 목적지 노드로써 동작할 시 소스 노드의 프리앰블 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906)로 제공한다.The reception power measuring unit 914 measures the preamble signal of the source node and provides the control unit 906 when operating as a destination nod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이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중앙집중제어 방식에 따른 프레임 구조,2 is a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 base station centralize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위한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for setting and synchronizing for P2P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위한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기지국 동작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ase station for setting and synchronizing for P2P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위한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소스 노드의 동작 흐름도,5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source node for configuration and synchronization for P2P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위한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목적지 노드의 동작 흐름도,6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destination node for setting and synchronization for P2P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P2P 요청 전송 및 검출 스킴을 위한 도면,7 is a diagram for a P2P request transmission and detection sche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위한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기지국 장치 및8 is a base station apparatus for setting and synchronization for P2P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위한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단말 장치.9 is a terminal device for setting and synchronization for P2P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setting and synchron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기지국과 소스 노드 사이 제 1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기지국과 목적지 노드 사이 제 2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After establishing a first conne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source node, establishing a second conne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destination node;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cell by using the IP addresses of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을 시,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간 P2P(Peer-to_Peer) 통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wh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cell; 상기 P2P 통신이 가능할 시, 상기 소스 노드와 제 1 P2P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목적지 노드와 제 2 P2P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n the P2P communication is possible, after establishing a first P2P connection with the source node, establishing a second P2P connection with the destination no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P2P 연결설정 후, P2P 통신을 위한 자원을 이용하여 P2P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after the P2P connection is established, performing P2P communication by using a resource for P2P communica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간 P2P(Peer-to_Peer) 통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peer-to-peer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is possible, 상기 기지국이 상기 P2P 요청 자원을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에 할당하는 과정과,Allocating the P2P request resource to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by the base station; 상기 목적지 노드가 상기 소스 노드가 상기 P2P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프리앰블을 상기 목적지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과,Transmitting, by the destination node, the source node to the destination node by using the P2P request resource; 상기 소스 노드의 프리앰블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preamble of the source node and reporting the signal strength to the base sta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기지국 동작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configuration and synchron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소스 노드와 제 1 연결을 설정한 후, 목적지 노드와 제 2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After establishing a first connection with the source node, establishing a second connection with the destination node,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cell;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을 시, P2P(Peer-to_Peer) 요청 자원을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에 할당하는 과정과,Allocating a peer-to-peer request resource to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wh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cell; 상기 목적지 노드로부터 상기 소스 노드의 측정된 수신전력 레벨을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the measured received power level of the source node from the destination node; 상기 소스 노드의 측정된 수신전력 레벨을 고려하여,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간 P2P 통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Determining whether P2P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in consideration of the measured reception power level of the source nod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간 P2P 통신이 가능할 시, 상기 소스 노드 및 상기 목적지 노드와 각각 P2P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When P2P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establishing a P2P connection with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respectively; 상기 소스 노드 및 상기 목적지 노드간 P2P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allocating resources for P2P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간 P2P 통신이 가능하지 않을 시, PMP(Point-to-Multi-Point) 통신모드를 유지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maintaining a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mode when the P2P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is not possibl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소스 노드와 제 1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목적지 노드와 제 2 연결을 설정할 시, 상기 제 1 연결에 대한 제 1 TCID(Transport Connection ID)와 상기 제 2 연결에 대한 제 2 TCID로 각각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n establishing a first connection with the source node and establishing a second connection with the destination node, the first node may be distinguished by a first TCID (Transport Connection ID) for the first connection and a second TCID for the second connection. How to featur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은,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P2P Indication flag" 값을 통해 확인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cell is confirmed through a "P2P Indication flag" value received from the gateway.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P2P 통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프리앰블의 크기, 기지국과 상기 소스 노드간 채널상태와 기지국과 상기 목적지 노드간 채널상태를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P2P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 size of the preamble, the channel stat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source node and the channel stat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destination node is considered.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소스 노드 동작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operating a source node for peer to peer communication setup and synchron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기지국과 제 1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Establishing a first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2P(Peer-to_Peer) 요청 자원을 할당받는 과정과,Receiving a peer-to-peer request resource from the base station; 상기 P2P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기정의된 전력으로 프리앰블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Using the P2P request resource, transmitting a preamble at a predetermined power.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기지국과 P2P 연결설정을 수행하는 과정과,Performing P2P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the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2P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받는 과정과,Receiving a resource for P2P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상기 할당받은 P2P 통신 자원을 이용하여 목적지 노드와 P2P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performing P2P communication with a destination node by using the allocated P2P communication resourc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목적지 노드 동작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operating a destination node for peer to peer communication setup and synchron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기지국과 제 2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Establishing a second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2P(Peer-to_Peer) 요청 자원을 할당받는 과정과,Receiving a peer-to-peer request resource from the base station; 상기 P2P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소스 노드가 송신하는 프리앰블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Measuring a preamble signal strength transmitted by a source node using the P2P request resource; 상기 측정된 프리앰블 신호 세기를 상기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Reporting the measured preamble signal strength to the base station.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기지국과 P2P 연결설정을 수행하는 과정과,Performing P2P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the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2P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받는 과정과,Receiving a resource for P2P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상기 할당받은 P2P 통신 자원을 이용하여 소스 노드와 P2P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performing P2P communication with a source node by using the allocated P2P communication resourc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system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setting and synchron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기지국과 제 1 연결을 설정하는 소스 노드와, 상기 지국과 제 2 연결을 설정하는 목적지 단말과,A source node establishing a first connection with a base station, a destination terminal establishing a second connection with the station,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게이트웨이와,A gateway for checking whether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cell by using the IP addresses of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을 시,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간 P2P(Peer-to_Peer) 통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Wh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is in the same cell, it is determined whether peer-to-peer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상기 P2P 통신이 가능할 시, 상기 소스 노드와 제 1 P2P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목적지 노드와 제 2 P2P 연결을 설정하는 기지국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a base station configured to establish a second P2P connection with the destination node after establishing a first P2P connection with the source node when the P2P communication is possible. 제 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는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상기 기지국과 P2P 연결설정 후, P2P 통신을 위한 자원을 이용하여 P2P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fter establishing a P2P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a system for performing P2P communication using resources for P2P communication. 제 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기지국은,The base station comprises: 상기 P2P 요청 자원을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에 할당하고,Allocate the P2P request resource to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상기 소스 노드가 상기 P2P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프리앰블을 상기 목적지 노드로 전송하고,The source node transmits a preamble to the destination node using the P2P request resource, 상기 소스 노드의 프리앰블의 신호세기를 보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report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preamble of the source nod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기지국에 있어서,A base station for peer to peer communication setup and synchron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소스 노드와 제 1 연결을 설정한 후, 목적지 노드와 제 2 연결을 설정하고,After establishing a first connection with the source node, establish a second connection with the destination node,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어부와,A controller for confirming whether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cell;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을 시, P2P(Peer-to_Peer) 요청 자원을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에 할당하는 P2P 자원할당부와,A P2P resource allocation unit for allocating a peer-to-peer request resource to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wh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in the same cell; 상기 목적지 노드로부터 상기 소스 노드의 측정된 수신전력 레벨을 수신하고, 상기 소스 노드의 측정된 수신전력 레벨을 고려하여,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간 P2P 통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모드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mode selec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measured reception power level of the source node from the destination node, and determine whether P2P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i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measured reception power level of the source no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간 P2P 통신이 가능할 시, 상기 소스 노드 및 상기 목적지 노드와 각각 P2P 연결을 설정하는 P2P 연결설정부를 더 포함하여,When the P2P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is possible, further comprising a P2P connection setting unit for establishing a P2P connection with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respectively, 상기 P2P 자원할당부는 상기 소스 노드 및 상기 목적지 노드간 P2P 통신을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P2P resource allocation unit allocates resources for P2P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제 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간 P2P 통신이 가능하지 않을 시, PMP(Point-to-Multi-Point) 통신모드를 유지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maintain a point-to-multi-point (PMP) communication mode when P2P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is not possible. 제 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소스 노드와 제 1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목적지 노드와 제 2 연결을 설정할 시, 상기 제 1 연결에 대한 제 1 TCID(Transport Connection ID)와 상기 제 2 연결에 대한 제 2 TCID로 각각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n establishing a first connection with the source node and establishing a second connection with the destination node, the first node may be distinguished by a first TCID (Transport Connection ID) for the first connection and a second TCID for the second conn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제 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가 동일한 셀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은,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P2P Indication flag" 값을 통해 확인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is in the same cell is confirmed by the "P2P Indication flag" value received from the gateway. 제 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P2P 통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프리앰블의 크기, 기지국과 상 기 소스 노드간 채널상태와 기지국과 상기 목적지 노드간 채널상태를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P2P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 size of the preamble, the channel stat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source node and the channel stat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destination node is considered.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소스 단말 장치에 있어서,A source terminal device for peer to peer communication setting and synchron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기지국과 제 1 연결을 설정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establishing a first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2P(Peer-to_Peer) 요청 자원을 할당받고, 상기 P2P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기정의된 전력으로 프리앰블을 송신하는 P2P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P2P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a peer-to-peer request resource from the base station and to transmit a preamble at a predetermined power using the P2P request resource. 제 23항에 있어서,24. The method of claim 23, 상기 기지국과 P2P 연결설정을 수행하는 과정과,Performing P2P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the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2P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받는 과정과,Receiving a resource for P2P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상기 할당받은 P2P 통신 자원을 이용하여 목적지 노드와 P2P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performing P2P communication with a destination node by using the allocated P2P communication resourc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 설정 및 동기화를 위한 목적지 단말 장치에 있어서,A destination terminal device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configuration and synchron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기지국과 제 2 연결을 설정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establishing a second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2P(Peer-to_Peer) 요청 자원을 할당받는 과정과,Receiving a peer-to-peer request resource from the base station; 상기 P2P 요청 자원을 이용하여, 소스 노드가 송신하는 프리앰블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수신전력 측정부와,A reception power measurement unit measuring a preamble signal strength transmitted by a source node using the P2P request resource; 상기 측정된 프리앰블 신호 세기를 상기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P2P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P2P controller for reporting the measured preamble signal strength to the base station.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P2P 제어부는P2P controller 상기 기지국과 P2P 연결설정을 수행하고,Perform a P2P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2P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받고,Receiving resources for P2P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상기 할당받은 P2P 통신 자원을 이용하여 소스 노드와 P2P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perform P2P communication with a source node by using the allocated P2P communication resource.
KR1020090005954A 2009-01-23 2009-01-23 Method and apparatus for setupingpeer to peer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8663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954A KR20100086632A (en) 2009-01-23 2009-01-23 Method and apparatus for setupingpeer to peer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954A KR20100086632A (en) 2009-01-23 2009-01-23 Method and apparatus for setupingpeer to peer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632A true KR20100086632A (en) 2010-08-02

Family

ID=4275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954A KR20100086632A (en) 2009-01-23 2009-01-23 Method and apparatus for setupingpeer to peer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6632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433A1 (en) * 2011-12-02 2013-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Definition of new identifier in wireless access system that supports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ing same
KR20130082062A (en) * 2012-01-10 2013-07-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channe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ynchronization channel
WO2013137580A1 (en) * 2012-03-12 201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433A1 (en) * 2011-12-02 2013-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Definition of new identifier in wireless access system that supports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ing same
US9930706B2 (en) 2011-12-02 2018-03-27 Lg Electronics Inc. Definition of new identifier in wireless access system that supports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ing same
KR20130082062A (en) * 2012-01-10 2013-07-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channe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ynchronization channel
WO2013137580A1 (en) * 2012-03-12 201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same
US10075927B2 (en) 2012-03-12 2018-09-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49690B (en) V2X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V2X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the same
US9319931B2 (en) Method of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method of supporting same, and apparatus for same
US9325485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enable device-to-device (D2D) discovery in cellular networks
CN110621083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connections using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US10038993B2 (en) Method for suppor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a cellular network, and apparatus for same
US8462706B2 (en) Method for requesting and report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in wireless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8942717B2 (en) Load balancing techniques in wireless networks
US20190075546A1 (en) User apparatus, base statio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resource allocation method
US8837390B2 (en) Network entry 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 station using full duplex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7534572B (en) Communication network aggregation test payload
US11082965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relevant device
WO2018228292A1 (en) Repor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190349936A1 (en) Service Data Transmission Method, First Communications Node, and Base Station
US201101581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quality of service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hop relay communication
EP3277013A1 (en) Sub-frequency band sharing method and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KR201000866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upingpeer to peer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4036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communication
CN117917130A (en) Mesh connection i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etworks
JP2015089045A (en) User terminal and terminal-to-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JPWO201512935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O2023048091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958820B1 (en) Terminal device emulator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a base station using the emulator
US20230412340A1 (en) Termina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40056961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EP4102910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