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212A -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212A
KR20100085212A KR1020090004385A KR20090004385A KR20100085212A KR 20100085212 A KR20100085212 A KR 20100085212A KR 1020090004385 A KR1020090004385 A KR 1020090004385A KR 20090004385 A KR20090004385 A KR 20090004385A KR 20100085212 A KR20100085212 A KR 20100085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information
smart pallet
smar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용식
김상락
공형윤
구인수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이티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이티스타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4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5212A/ko
Publication of KR2010008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interrogation of grouped or bundled articles tagged with wireless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완성업체의 제품관리서버로부터 부품서열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부품서열정보를 스마트 파렛트로 할당하며, 상기 부품서열정보에 따라 스마트 파렛트별 적재와 재고 및 출고 관리를 제어하고, 상기 적재/재고/출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적재/재고/출고 작업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부품관리서버와; 상기 부품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부품서열정보를 할당받고, 상기 부품관리서버로 스마트 파렛트 정보를 전송하며, 부품 적재 시 부품서열이종을 체크하고, 부품의 적재 정보를 실시간 상기 부품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파렛트를 포함하는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직서열 부품 공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90004385
부품, 파렛트, 네트워크, 서버

Description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및 방법{PARTS SUPPLY SYSTEM BASED ON SMART PALLE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품완성업체로부터 부품서열정보를 수신받아 요구되어지는 시간 내에 필요한 부품을 부품서열정보에 따라 조달하는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과 같은 글로벌한 시장 조건과 환경에서 부품공급업체가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상위 조립 업체와 연계하여 적시생산방식(Just-In-Time: JIT), 유연생산시스템(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FMS) 및 컴퓨터통합생산(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등을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부품공급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부품 서열화 개념이 도입된 생산 환경에서 불량 부품 공급과 요구된 부품과 다른 부품 공급은 자동차와 조선과 같은 완성 제품의 불량발생으로 연결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제품완성업체와 연계한 효율적인 부품공급 시스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까지 개발된 부품 공급 시스템은 대부분 바코드 기반 부품 공급 시스템으로, 생산 부품에 바코드 라벨을 발행/부착하여 품질불량 및 부품서열이종을 체크한 후, 부품서열에 따라 부품을 파렛트에 적재하여 제품완성업체의 적정한 조립라인으로 공급한다.
그러나, 이러한 바코드 기반 부품 공급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바코드가 부착된 부품에 대해 수작업을 통해 이종부품확인 작업을 수행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공장작업환경으로 인하여 이종부품확인 작업이 제한된 공간 내에서만 이루어져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품의 서로 다른 적재방법으로 인해 표준화되고 일관성 있는 이종부품확인 작업이 불가능하다.
또한, 부품의 개별 입출고 작업으로 인한 작업시간이 과다 소요되고, 서열 부품이 실린 파렛트의 위치 및 개수 파악을 수작업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부품 관리의 비효율성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기술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RFID인식기능, 무선통신기능, 데이터처리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스마트 파렛트를 기반으로 부품서열정보를 할당받아 이종부품확인과 부품서열관리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조립완성업체로의 직서열 부품 공급 과정을 단축할 수 있는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은 제품완성업체의 제품관리서버로부터 부품서열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부품서열정보를 스마트 파렛트로 할당하며, 상기 부품서열정보에 따라 스마트 파렛트별 적재와 재고 및 출고 관리를 제어하고, 상기 적재/재고/출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적재/재고/출고 작업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부품관리서버와; 상기 부품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부품서열정보를 할당받고, 상기 부품관리서버로 스마트 파렛트 정보를 전송하며, 부품 적재 시 부품서열이종을 체크하고, 부품의 적재 정보를 실시간 상기 부품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파렛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품관리서버는 상기 부품서열정보를 상기 스마트 파렛트에 할당하고, 상기 스마트 파렛트의 위치 정보와 상기 스마트 파렛트에 할당된 부품서열정보를 관리하는 스마트 파렛트관리모듈과; 상기 부품서열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 파렛트 별 부품 적재 관리를 제어하고, 부품의 적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적재 작업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부품적재관리모듈; 및 부품의 품질 판정 결과별 재고 정보와, 부품 생산 일자별 출고 정보를 입력받아 부품의 재고/출고 관리를 제어하고, 상기 부품의 재고/출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재고/출고 작업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부품재고/출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파렛트는 RFID 태그가 부착된 부품의 RFID 태그 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RFID 리더기와; 상기 부품관리서버로부터 부품서열정보를 할당받고, 상기 부품서열정보와 RFID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적재된 부품의 서열이종을 체크하며, 상기 부품서열정보에 따른 부품 적재 시 부품적재정보를 실시간 상기 부품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모트와; 상기 RFID 태그 정보와 상기 부품서열정보 및 상기 부품적재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부품서열정보와 상기 스마트 파렛트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적재된 부품의 서열이종 발생 시 경고음을 송출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방법은 부품관리서버가 제품관리서버로부터 부품서열정보를 수신하는 제1단계와, 스마트 파렛트가 상기 부품관리서버로부터 부품서열정보를 할당받는 제2단계와, 상기 스마트 파렛트가 상기 부품서열정보와 부품의 RFID 태그 정보를 입력받아 부품서열이종 여부를 체크하는 제3단계와, 상기 스마트 파렛트가 상기 부품서열정보에 따른 부품적재정보를 실시간 상기 부품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부품서열이종 체크는 상기 부품서열정보와 부품의 RFID 태그 정보를 입력받아 다른 부품이 적재된 경우 경고부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마트 파렛트를 통해 적재된 부품의 서열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부품서열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제품완성업체의 해당 조립라인으로의 직서열 부품 공급 과정을 단축할 수 있고, 이종 및 서열 관리가 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결품이 방지되어 부품공급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파렛트기반 직서열 부품 공급 시스템 개발은 제조기업과 IT 기술의 융합으로 현재의 노동집약적 현장을 RFID/USN기반의 지식 집약적인 현장으로 바꾸어 생산성 향상과 시장에의 대응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제품완성업체(1)는 다수의 조립라인(11), 제품관리서 버(12) 및 데이터베이스(13)를 포함하고, 다수의 부품공급업체(3)(4)(5)는 각각 부품관리서버(31), 데이터베이스(32), 관리자 단말기(34) 및 다수의 스마트 파렛트(35)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품완성업체(1)와 다수의 부품공급업체(3)(4)(5)는 유/무선 통신망(2)을 통해 연계시켜 구성한다. 그리고, 부품관리서버(31)와 관리자 단말기(34) 및 다수의 스마트 파렛트(35)는 무선센서네트워크망(33)을 통해 연계시켜 구성하고, 부품관리서버(31)와 데이터베이스(32)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계시켜 구성한다.
부품관리서버(31)는 제품완성업체(1)의 제품관리서버(12)로부터 부품서열정보를 수신받고, 부품서열정보를 스마트 파렛트(35)로 할당하며, 부품서열정보에 따라 스마트 파렛트별 적재와 재고 및 출고 관리를 제어하고, 적재/재고/출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하여 적재/재고/출고 작업을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스마트 파렛트(35)는 부품관리서버(31)로부터 부품서열정보를 할당받고, 부품관리서버(31)로 스마트 파렛트 정보를 전송하며, 부품 적재 시 부품서열이종을 체크하고, 부품의 적재 정보를 실시간 부품관리서버(31)로 전송한다.
관리자 단말기(34)는 스마트 파렛트(35)에 할당된 부품서열정보와, 스마트 파렛트(35)의 위치 정보와, 전원상태 및 사양 정보를 조회하고, 부품서열정보에 따른 부품적재정보와, 부품의 품질 판정 결과별 부품재고정보와, 부품 생산 일자별 부품출고정보를 조회하고 관리한다.
도 2는 도 1의 부품관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부품관리서버(31)는 스마트 파렛트관리모듈(311), 부품적재관리모듈(312) 및 부품재고/출고모듈(313)을 포함한다.
스마트 파렛트관리모듈(311)는 부품서열정보를 다수의 스마트 파렛트(35)에 할당하고, 스마트 파렛트의 위치 정보와 스마트 파렛트에 할당된 부품서열정보를 관리한다. 스마트 파렛트 관리모듈(311)은 무선센서네트워크망(33)을 이용한 위치검출알고리즘을 통해 스마트 파렛트(35)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스마트 파렛트 분실 및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부품적재관리모듈(312)은 부품서열정보에 따라 스마트 파렛트별 부품 적재 관리를 제어하고, 부품의 적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하여 적재 작업을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부품재고/출고모듈(313)은 부품의 품질 판정 결과별 재고 정보와, 부품 생산 일자별 출고 정보를 입력받아 부품의 재고/출고 관리를 제어하고, 상기 부품의 재고/출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하여 재고/출고 작업을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파렛트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파렛트의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스마트 파렛트(35)는 RFID 리더기(351), 스마트 모트(352), 메모리부(356), 표시부(354), 경고부(353) 및 전원부(355)를 포함한다.
RFID 리더기(351)는 RFID 태그가 부착된 부품(미도시)의 RFID 태그 정보를 리딩하여 RFID 태그 정보를 스마트 모트(352)로 전송한다.
스마트 모트(352)는 부품관리서버(31)로부터 부품서열정보를 할당받고, 부품서열정보와 RFID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적재된 부품의 서열이종을 체크하며, 부품서열정보에 따른 부품 적재 시 부품적재정보를 실시간 부품관리서버(31)로 전송한다. 이러한 스마트 모트(352)는 RFID인식기능, 무선통신기능, 데이터처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초소형 마이크로 칩으로 구성하여 무선센서네트워크망(33)을 통해 스마트 파렛트 정보와 부품적재정보를 부품관리서버(31)로 제공한다. 스마트 파렛트 정보는 스마트 파렛트의 위치 정보와, 전원상태 및 사양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마트 모트(352)는 효율적 공파렛트 회수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메모리부(356)는 스마트 모트(352)에 의해 제어되어 RFID 태그 정보와 부품서열정보 및 부품적재정보를 저장한다.
표시부(354)는 LCD 표시장치로 이루어져 스마트 모트(352)에 의해 제어되어 부품서열정보와 스마트 파렛트 정보를 표시한다.
경고부(353)는 스마트 모트(352)에 의해 제어되어 적재된 부품의 서열이종 발생 시 경고음을 송출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부품관리서버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부품관리서버(31)의 스마트 파렛트관리모듈(311)는 제품관리서버(12)로부터 부품서열정보를 수신하면(S1), 부품서열정보를 다수의 스마트 파렛트(35)에 할당하고 스마트 파렛트의 위치 정보와 스마트 파렛트에 할당된 부품서열정보를 관리한다(S2).
이어서, 부품서열정보에 따라 부품이 스마트 파렛트에 적재되면 부품적재관 리모듈(312)은 다수의 스마트 파렛트(35)로부터 실시간 부품적재정보를 수신하여 부품서열정보에 따라 스마트 파렛트별 부품 적재 관리를 제어하고, 부품의 적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하여 적재 작업을 실시간으로 관리한다(S3).
이어서, 부품재고/출고모듈(313)은 관리자 단말기(34)로부터 부품의 품질 판정 결과별 재고 정보와, 부품 생산 일자별 출고 정보를 입력받아 부품의 재고/출고 관리를 제어하고, 상기 부품의 재고/출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하여 재고/출고 작업을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특히 제품완성업체(1)로 부품 출고 시 제품관리서버(12)로 부품출고정보를 송신한다(S4).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파렛트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스마트 파렛트(35)의 스마트 모트(352)는 부품관리서버(31)로부터 부품서열정보를 할당받으면(S5) 표시부(354)를 통해 부품서열정보를 표시한다(S6).
이어서, RFID 리더기(351)는 RFID 태그가 부착된 부품(미도시)의 RFID 태그 정보를 리딩하여 RFID 태그 정보를 스마트 모트(352)로 전송한다(S7).
이어서, 스마트 모트(352)는 부품서열정보와 RFID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적재된 부품의 서열이종을 체크한다(S8). 이때 다른 부품이 적재된 경우 스마트 모트(352)는 경고부(353)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한다(S9).
이어서, 스마트 모트(352)는 부품서열정보에 따른 부품 적재 시 부품적재정보를 메모리부(356)에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부품적재정보를 부품관리서버(31)로 전송한다(S10).
도 7 은 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부품관리서버(31)는 제품관리서버(12)로부터 부품서열정보를 수신하면(S11), 부품서열정보를 다수의 스마트 파렛트(35)에 할당한다(S12).
이어서, 스마트 파렛트(35)는 부품관리서버(31)로부터 부품서열정보를 할당받으면 스마트 파렛트의 위치 정보와 전원상태 및 사양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파렛트 정보를 부품관리서버(31)로 전송하고(S13), 부품서열정보를 표시한다(S14).
이때, 관리자 단말기(34)는 부품관리서버(31)로부터 스마트 파렛트 정보와 부품서열정보를 전송받거나 조회하여 부품서열정보에 따라 부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S14).
이어서, 스마트 파렛트(35)는 부품 적재 시 부품서열정보와 부품에 부착된 RFID 태그 정보를 입력받아 부품서열이종 여부를 체크한다(S15).
이때, 스마트 파렛트(35)는 부품서열정보와 부품의 RFID 태그 정보를 비교하여 다른 부품이 적재된 경우로 판단되면 경고음을 발생한다(S16).
이어서, 스마트 파렛트(35)는 부품서열정보에 맞게 부품 적재 시 부품적재정보를 실시간 부품관리서버(31)로 전송한다(S17).
그리고, 부품관리서버(31)는 관리자 단말기(34)로부터 부품의 품질 판정 결과별 부품재고정보와 부품 생산 일자별 부품출고정보를 수신한다(S18).
이어서, 부품관리서버(31)는 부품 적재/재고/출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하고 적재/재고/출고 작업을 실시간으로 관리한다(S19).
이후, 부품관리서버(31)는 상차 전 최종적으로 부품서열이종 체크를 스마트 파렛트(35)로 지시하여 체크하고(S20), 제품완성업체(1)의 해당 조립라인(11)으로 부품 출하 시 부품출하정보를 제품관리서버(12)로 전송한다(S21).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파렛트를 통해 적재된 부품의 서열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부품서열관리가 가능하고, 제품완성업체의 해당 조립라인으로의 직서열 부품 공급을 과정을 단축하며, 이종 및 서열 관리가 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결품이 방지되어 부품공급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파렛트 기반 부품 공급 시스템은 제조기업과 IT 기술의 융합으로 현재의 노동집약적 현장을 RFID/USN기반의 지식 집약적인 현장으로 바꾸어 생산성 향상과 시장에의 대응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품관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파렛트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파렛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부품관리서버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파렛트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7 은 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Claims (13)

  1. 제품완성업체의 제품관리서버로부터 부품서열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부품서열정보를 스마트 파렛트로 할당하며, 상기 부품서열정보에 따라 스마트 파렛트별 적재와 재고 및 출고 관리를 제어하고, 상기 적재/재고/출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적재/재고/출고 작업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부품관리서버; 및
    상기 부품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부품서열정보를 할당받고, 상기 부품관리서버로 스마트 파렛트 정보를 전송하며, 부품 적재 시 부품서열이종을 체크하고, 부품의 적재 정보를 실시간 상기 부품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파렛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관리서버는
    상기 부품서열정보를 상기 스마트 파렛트에 할당하고, 상기 스마트 파렛트의 위치 정보와 상기 스마트 파렛트에 할당된 부품서열정보를 관리하는 스마트 파렛트관리모듈과;
    상기 부품서열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 파렛트별 부품 적재 관리를 제어하고, 부품의 적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적재 작업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부품적재관리모듈; 및
    부품의 품질 판정 결과별 재고 정보와, 부품 생산 일자별 출고 정보를 입력 받아 부품의 재고/출고 관리를 제어하고, 상기 부품의 재고/출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재고/출고 작업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부품재고/출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파렛트 관리모듈은 무선센서네트워크망을 이용한 위치검출알고리즘을 통해 스마트 파렛트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파렛트는
    RFID 태그가 부착된 부품의 RFID 태그 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RFID 리더기와;
    상기 부품관리서버로부터 부품서열정보를 할당받고, 상기 부품서열정보와 RFID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적재된 부품의 서열이종을 체크하며, 상기 부품서열정보에 따른 부품 적재 시 부품적재정보를 실시간 상기 부품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모트와;
    상기 RFID 태그 정보와 상기 부품서열정보 및 상기 부품적재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LCD 표시장치로 이루어져, 상기 부품서열정보와 상기 스마트 파렛트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적재된 부품의 서열이종 발생 시 경고음을 송출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파렛트에 할당된 부품서열정보와, 상기 스마트 파렛트의 위치 정보와, 전원상태 및 사양 정보를 조회하고, 부품서열정보에 따른 부품적재정보와, 부품의 품질 판정 결과별 부품재고정보와, 부품 생산 일자별 부품출고정보를 조회하고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파렛트 정보는 상기 스마트 파렛트의 위치 정보와, 전원상태 및 사양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파렛트와 상기 부품관리서버 및 관리자 단말기는 무선센서네트 워크망을 통해 연계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8. 부품관리서버가 제품관리서버로부터 부품서열정보를 수신하는 제1단계와;
    스마트 파렛트가 상기 부품관리서버로부터 부품서열정보를 할당받는 제2단계와;
    상기 스마트 파렛트가 상기 부품서열정보와 부품의 RFID 태그 정보를 입력받아 부품서열이종 여부를 체크하는 제3단계와;
    상기 스마트 파렛트가 상기 부품서열정보에 따른 부품적재정보를 실시간 상기 부품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파렛트가 상기 부품서열정보를 할당받으면 표시부에 상기 부품서열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파렛트가 상기 부품서열정보를 할당받으면 상기 스마트 파렛트의 위치 정보와, 전원상태 및 사양 정보를 상기 부품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부품서열이종 체크는 상기 부품서열정보와 부품의 RFID 태그 정보를 입력받아 다른 부품이 적재된 경우 경고부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관리서버가 부품의 품질 판정 결과별 부품재고정보와, 부품 생산 일자별 부품출고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관리서버가 상기 부품서열정보에 따른 부품출고정보를 상기 제품관리서버로 송신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파렛트 기반 의 부품 공급 방법.
KR1020090004385A 2009-01-20 2009-01-20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85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385A KR20100085212A (ko) 2009-01-20 2009-01-20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385A KR20100085212A (ko) 2009-01-20 2009-01-20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212A true KR20100085212A (ko) 2010-07-29

Family

ID=4264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385A KR20100085212A (ko) 2009-01-20 2009-01-20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521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612B1 (ko) * 2014-04-17 2015-02-26 (주)우신시스템 Agv를 이용한 자동 서열 장치
KR20190006825A (ko) * 2017-07-11 2019-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재고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25137A (ja) * 2009-09-04 2020-02-1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素子及び発光装置
JP2020520052A (ja) * 2017-05-08 2020-07-02 武漢華星光電技術有限公司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Ltd 曲面表示パネル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25137A (ja) * 2009-09-04 2020-02-1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素子及び発光装置
KR101495612B1 (ko) * 2014-04-17 2015-02-26 (주)우신시스템 Agv를 이용한 자동 서열 장치
JP2020520052A (ja) * 2017-05-08 2020-07-02 武漢華星光電技術有限公司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Ltd 曲面表示パネル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190006825A (ko) * 2017-07-11 2019-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재고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3149B2 (en) Transmission of data into and out of automation components
US20060224459A1 (en) Incoming/outgoing goods management system and incoming/outgoing goods management method
KR102275004B1 (ko) 물류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2150081B (zh) 一种仓储方法及仓储系统
KR20090001710A (ko)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
JP5034585B2 (ja) 出庫管理プログラム、出庫管理装置および出庫管理方法
KR20100085212A (ko)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및 방법
US10395046B2 (en) Work process management system, individual controller used therein, and access restriction method
KR20190107787A (ko) 제조사와 협력사의 통합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실시간 재고 관리 시스템
JP2019112231A (ja) 物品管理システム及び物品管理モジュール
KR20050000489A (ko) 포장 출하 관리 시스템 및 포장 출하 관리 방법
JP4358120B2 (ja) 入荷検品支援システム
KR20210073158A (ko) IoT를 이용한 스마트 재고 관리 시스템
KR20140014524A (ko) Rfid 기반의 창고 관리 시스템
KR20220024247A (ko)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US10700917B2 (en) Life cycle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performing life cycle and maintenance management of distributed network devices
Oh et al. A development of active monitoring system for intelligent RFID logistics processing environment
KR20210045385A (ko) 자동 적재창고 연동 생산관리 시스템
US10192080B2 (en) Method for configuring a communication module of at least one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reader and communication module
JP2002092434A (ja) 後補充部材納入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記録媒体
KR20220074313A (ko) Ai 기반 지능형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
TWI792088B (zh) 自動化整合標籤資訊的辨識系統及其整合方法
KR101083924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물류 정보 교환 방법
JP2009294908A (ja) 部品icタグとボックスicタグを用いた機器の保守・管理サービスの部品管理システム
JP2007055783A (ja) 製品物流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