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818A - 버스트 모드 활동을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버스트 모드 활동을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818A
KR20100083818A KR1020107010367A KR20107010367A KR20100083818A KR 20100083818 A KR20100083818 A KR 20100083818A KR 1020107010367 A KR1020107010367 A KR 1020107010367A KR 20107010367 A KR20107010367 A KR 20107010367A KR 20100083818 A KR20100083818 A KR 20100083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cket
burst mode
by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3283B1 (ko
Inventor
리차드 떠블류. 치타
스콧 매튜 로프레스토
데이비드 에머리 비락
바쓰 알란 캔필드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00083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04L1/005Iterative decoding, including iteration between signal detection and decod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9Convolutional codes
    • H04L1/006Trellis-coded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4Concatenated codes
    • H04L1/0065Serial concatenated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7Rate matching
    • H04L1/0068Rate matching by pun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specifically adapted to content descriptors, e.g. coding, compressing or processing of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15DVB-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55MAP-de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정규 전송 모드 동안 개재하는 버스트 모드가 언제 발생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전송된다. 이 전송된 정보는 버스트 모드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이런 컨텐트가 비디오, 오디오, 시스템 정보, 광고 또는 인터랙티브 컨텐트로서 식별될 수 있는 버스트 모드의 컨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스트 모드 활동을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URST MODE ACTIVITY}
본 출원은 35 U.S.C. § 119조 하에서 미국 특허 및 상표청에 출원된 다음의 예비 출원의 우선권을 청구한다: (1) 2007년 10월 15일자 출원된 출원 번호 60/998978; (2) 2007년 10월 15일자 출원된 출원 번호 60/998961; (3) 2007년 10월 15일자 출원된 출원 번호 60/999040; (4) 2008년 8월 29일자 출원된 출원 번호 61/190499; (5) 2008년 8월 29일자 출원된 출원 번호 61/190516; 및 (6) 2008년 8월 29일자 출원된 출원 번호 61/190517.
본 발명은 다음 동시 계류중이며 공동 소유된 미국 특허 출원에 관련된다: (1) 국제 특허 출원으로 2008년 5월 16일자 출원된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으로 표제된 번호 XXX (출원 번호 PCT/US08/006334, 톰슨 문서 번호 MICR07001); (2) 국제 특허 출원으로 2008년 5월 16일자 출원된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으로 표제된 번호 XXX (출원 번호 PCT/US08/006335, 톰슨 문서 번호 MICR07002); (3) 국제 특허 출원으로 2008년 5월 16일자 출원된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으로 표제된 번호 XXX (출원 번호 PCT/US08/006333, 톰슨 문서 번호 MICR07003); (4) 국제 특허 출원으로 2008년 5월 16일자 출원된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으로 표제된 번호 XXX (출원 번호 PCT/US08/006332, 톰슨 문서 번호 MICR07004); (5) 국제 특허 출원으로 2008년 5월 16일자 출원된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으로 표제된 번호 XXX (출원 번호 PCT/US08/006331, 톰슨 문서 번호 MICR08001); (6) 국제 특허 출원으로 2008년 10월 14일자 출원된 "디지털 텔레비젼 시스템을 위한 프리엠블"로 표제된 번호 XXX (출원 번호 XXX, 톰슨 문서 번호 PU080145); (7) 국제 특허 출원으로 2008년 10월 14일자 출원된 "ATSC 신호의 의사랜덤 시퀀스의 부호율 식별자"로 표제된 번호 XXX (출원 번호 XXX, 톰슨 문서 번호 PU080162); (8) 국제 특허 출원으로 2008년 10월 14일자 출원된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으로 표제된 번호 XXX (출원 번호 XXX, 톰슨 문서 번호 PU070255).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전파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것으로, 더욱 특히 휴대 이동형 단말기에 이용되는 방송 텔레비젼용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복호화에 관한 것이다.
이 단락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여러 형태에 관련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술형태를 독자에게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이 논의가 본 발명의 여러 형태를 더욱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 독자에게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믿겨진다. 따라서, 이들 언급은 이 관점에서 판독되어야 하는 것이지, 종래 기술을 인정하는 것은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전 세계적으로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은 아날로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의 전송에서 현재의 디지털 통신 시스템으로 바뀌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차세대 텔레비젼 표준 위원회 (ATSC)는 "ATSC 표준: 디지털 텔레비젼 표준 A/53" (A53 표준)으로 불리는 표준을 개발했다. A53 표준은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용 데이터가 부호화 및 복호화되는 방법을 정의한다. 부가하여, U.S. 연합 통신 위원회 (FCC)는 텔레비젼 방송을 위해 전자기 스펙트럼의 일부를 할당했다. FCC는 할당된 부분 내의 연속하는 6MHz 채널을 지상파 (즉, 케이블이나 위성이 아닌)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의 전송을 위해 전파자에게 할당한다. 각 6MHz 채널은 A53 표준에서 부호화 및 변조 포맷에 기초하여 약 19Mb/초의 채널 용량을 갖는다. 더욱, FCC는 6MHz 채널을 통한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젼 데이터의 전송이 A53 표준과 일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A53 표준은 소스 데이터 (예를 들어,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가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로 처리 및 변조되는 방법을 정의한다. 이 처리는 소스 데이터에 리던던트 정보를 부가하여 채널이 잡음과 다중 경로 간섭을 전송된 신호에 부가하는 경우에도 채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소스 데이터를 회복할 수가 있다. 소스 데이터에 부가된 리던던트 정보는 소스 데이터가 전송되는 유효 데이터율을 감소시키지만 전송된 신호로부터 소스 데이터의 성공적인 회복의 가능성은 증가시킨다.
도 1은 A53 표준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는 통상적인 전송 시스템(100)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데이터는 전송원(102)에 의해 형성되어 패킷으로 구성된다. 패킷은 크기가 187 바이트이고 하나 이상의 코드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패킷은 3 바이트 헤더를 포함하고 이중 13비트는 패킷으로 보내진 데이터의 유형을 식별하는 패킷 ID (PID)이다. 예를 들어, 0x11 (hex 11)의 값을 갖는 PID를 가진 패킷은 컨텐트를 제1 비디오 스트림을 갖는 것으로 식별하고 0x14의 값을 갖는 PID를 가진 패킷은 이런 패킷의 컨텐트를 제1 오디오 스트림으로 식별할 수 있다. 데이터 랜덤화기(104)는 패킷을 랜덤화하여 이 패킷을 리드-솔로몬 부호화기(106)에 제공한다. 리드-솔로몬 부호화기(106)는 20 패리티 바이트를 랜덤화된 데이터로 연산 및 연결하여 207 바이트를 갖는 R-S 패킷을 형성하게 된다.
콘볼루셔널 인터리버(108)는 R-S 패킷을 인터리브하여 데이터를 때에 맞춰 더욱 랜덤화한다. 격자 부호화기(110)는 이 인터리브된 패킷을 부호화하여 828개의 3비트 기호의 블럭을 형성한다. A53 표준은 12 격자 부호화기의 이용을 특정하며, 이 때 각 격자 부호화기는 인터리브된 패킷에 존재하는 매 2 비트마다 3-비트 기호를 형성하는 2/3 부호율의 격자 부호화기이다. 결과적으로, 격자 부호화기(110)는 디멀티플렉서, 12개의 병렬 2/3 부호율의 격자 부호화기 및 멀티플렉서를 포함한다. 콘볼루셔널 인터리버(108)로부터의 데이터는 디멀리플렉스되어 12개의 격자 부호화기로 분산되고 12개의 격자 부호화기에 의해 형성된 기호는 기호의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스된다.
동기 멀티플렉서(112)는 각 828-기호 블럭의 시작시 4개의 미리 정해진 세그먼트 동기 기호를 삽입하여 832-기호 세그먼트를 형성한다. 부가하여, 동기 멀티플렉서(112)는 형성된 매 312 세그먼트마다 832개의 기호를 포함하는 제1 동기를 삽입한다. 특히, 필드 동기 기호는 312개의 세그먼트 보다 앞에 있다.
8 VSB 변조기(114)는 격자 부호화기(110)에 의해 부호화된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 기호 및 필드 동기를 포함하는 멀티플렉스된 기호를 이용하여 8-VSB (잔류 측파대)를 이용하는 반송파 신호를 변조하게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8-VSB 변조기(114)는 신호를 형성하는데, 이 신호의 진폭은 8개의 개별 레벨 중 하나이고, 각 개별 레벨은 특정 3-비트 기호에 대응한다. 그후 신호는 디지털에서 아날로그 신호 포맷으로 전환되어 무선 주파수로 업컨버트된다.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안테나(116)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통상, 데이터 랜덤화기(104), 리드-솔로몬 부호화기(106), 콘볼루셔널 인터리버(108) 및 격자 부호화기(110)의 조합을 8-VSB 부호화기(120)으로 언급한다. 8-VSB 부호화기(120)은 A53 부호화기 또는 ATSC 부호화기로 언급할 수 있다.
전송원(102)에 의해 형성된 데이터는 국제 표준 기구/국제 전자기계 위원회 (ISO/IEC) 13818-2 포맷과 또한 동일한 동영상 엔터테인먼트 그룹 (MPEG) 2 포맷을 이용하여 소스 부호화된 비디오를 포함한다. 전송원(102)는 또한 돌비 아크 일치성 알고리즘 #3 (AC-3)을 이용하여 소스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A53 표준은 또한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와 같은 다른 프로그램 요소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이런 프로그램 요소는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소스 부호화될 수 있다. 부가하여, A53 표준은 표준 정의 인터레이스된 텔레비젼 품질로부터 진보적인 주사 와이드스크린 고선명 품질에 걸쳐서 다양한 비디오 품질의 수준과 디플레이 포맷으로의 비디오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FCC는 전파자가 전송원(102)에 의해 형성된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해서 A53 표준을 이용할 것을 요구한다. 디지털 텔레비젼 프로그램 전파의 전송이 전체 19Mb/초 용량의 할당 채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전파자는 과잉 용량을 이용하여 다른 서비스를 휴대용 수신기와 이동 전화기 같은 단말기에도 가능하게 전파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FCC는 이 과잉 용량을 이용하여 이런 다른 단말기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A53 표준에 따라 전송될 것을 요구한다. A53 표준의 개정이 가능하여 ATSC에 의해 계획되고 있지만, 이 개정은 기존의 또는 소위 레거시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가 계속하여 이용될 수 있도록 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유사하게, 기존의 A53 표준에 따른 신호의 부호화 및 전송은 레거시 부호화 및 전송으로 언급될 수 있다.
도 2는 기존의 또는 레거시 A53 표준에 따른 수신 신호로부터 소스 정보를 추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수신기(2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안테나(202)는 수신된 전기 신호를 방송 전파로 전송되는 전자기 신호로 만든다.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204)는 수신된 신호의 디지털 샘플을 형성하고 격자 복호화기(206)는 디지털 샘플을 복호하여 데이터 스트림에서 격자 복호화된 비트 추정치 스트림을 형성한다. A/D 변환기(204)는 또한 수신된 신호 내에서 원하는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 튜너와 같은 부가의 전단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또는 레거시 A53 표준에 따르면, 격자 복호화기(206)는 신호 디멀티플렉서, 12개의 2/3 부호율의 격자 복호화기 및 신호 멀티플렉서를 포함한다. 디멀티플렉서는 12개의 2/3 부호율의 격자 복호화기들 사이에서 디지털 샘플을 분산하고 멀티플렉서는 12개의 2/3 부호율의 격자 복호화기 각각에 형성된 추정치를 멀티플렉스한다.
콘볼루셔널 디인터리버(208)는 격자 복호화 비트 추정치의 스트림을 디인터리브하여, 207 바이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시퀀스나 패킷을 형성한다. 패킷 구성은 나타내지 않은, 동기화 신호의 위치의 결정 및 식별과 관련하여 실행된다. 리드-솔로몬 오차 정정 회로(210)는 디인터리버(208)에 의해 형성된 207 바이트의 각 시퀀스를 하나 이상의 코드워드로 간주하고 코드워드나 패킷의 어느 바이트라도 전송 중 오차로 인해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종종 코드워드에 대한 신드롬이나 에러 패턴의 세트를 연산 및 평가하여 실행된다. 오류가 검출되면, 리드-솔로몬 에러 정정 회로(210)는 패리티 바이트에서 부호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오류가 있는 바이트를 회복할려고 한다. 최종 에러 정정 데이터 스트림은 디랜덤화기(212)에 의해 디랜덤화되고 그 후에 전송되고 있는 컨텐트의 유형에 따라서 데이터 스트림을 복호하는 데이터 복호화기(214)에 제공된다. 통상, 격자 복호화기(206), 디인터리버(208), 리드-솔로몬 복호화기(210) 및 디랜덤화기(212)의 조합은 수신기(200) 내의 8-VSB 복호화기(220)으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레거시 A53 표준에 따라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상의 수신기가 전송 프로세스의 역순서로 수신 프로세스를 실행한다는 것에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리드-솔로몬 부호화 및 복호화에서 이용되는 알고리즘은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져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 1의 리드-솔로몬 부호화기(106)는 187 바이트를 갖는 데이터 패킷에 20 패리티 바이트를 부가하여 207 바이트를 갖는 코드워드를 형성한다. 도 2의 리드-솔로몬 복호화기(210)는 부호화기에 의해 부가된 20 바이트를 이용하여 10 바이트 까지의 코드워드 내의 에러를 정정하게 된다.
리드-솔로몬 에러 정정 알고리즘은 갈로아 필드 (Galois Field)의 특성을 이용한다. 상세하게, 갈로아 필드 GF(pn)는 유한 개수의 요소 pn를 포함하는 수학적 세트로서, 이 때 p와 n의 값은 정수이다. 특정 갈로아 필드는 생성 다항식 g(x)를 이용하여 정의된다. 갈로아 필드의 각 요소는 n 비트를 갖는 고유의 비트 패턴으로 나타낼 수 있다. 더욱, 고유의 다항식의 차수 pn은 각 요소와 연관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다항식의 각 계수는 0과 p-1 사이이다. 더욱, 갈로아 필드의 수학적 연산은 중요한 속성을 갖는다. 갈로아 필드 GF(pn)의 두 요소의 합은 부가되는 두 요소와 연관되는 다항식의 계수의 모듈로-p 합인 계수를 갖는 다항식과 연관된 요소로 정의된다. 유사하게, 두 요소의 곱은 갈로아 필드와 연관된 두 요소 모듈로 생성 다항식 g(x)와 관련되는 다항식의 곱으로 정의된다. 합 및 곱 연산자는 갈로아 필드의 두 요소의 합과 곱이 갈로아 필드의 요소가 되도록 갈로아 필드에 대해 정의된다. 리드-솔로몬 코드워드의 속성은 갈로아 필드의 요소에 의해 코드워드의 각 바이트를 승산하는 것이 다른 유효한 리드-솔로몬 코드워드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더욱, 두 개의 리드-솔로몬 코드워드의 바이트 단위의 부가는 다른 리드-솔로몬 코드워드를 형성한다. 레거시 A53 표준은 리드-솔로몬 알고리즘에 이용할 256 요소 갈로아 필드 GF(28) 및 관련 생성 다항식 g(x)를 정의한다. 갈로아 필드의 속성은 또한 오차를 판정하기 위해서 코드워드에 대한 신드롬을 생성할 능력을 형성한다.
디랜덤화기로부터의 출력 패킷이 데이터 복호화기(214)에 제공된다. 데이터 복호화기(214)는 패킷으로 전달되는 정보의 유형과 이런 정보를 복호하는 방법을 결정하도록 복호화된 패킷의 헤더의 PID를 이용한다. 헤더의 PID는 주기적으로 데이터 스트림의 일부로 전송되어 수신기에서 갱신될 수 있는 프로그램 맵 테이블 (PMT)의 정보와 비교된다. 데이터 복호화기(214)는 인식된 유형이 아닌 데이터 패킷에 대한 PID를 갖는 패킷은 무시한다. 이런 식으로, 레거시 A53 표준은 전송원이 새로운 패킷 유형에 대한 고유의 PID 값을 할당할 수 있게 하여 원래의 표준에서 생각해내지 목한 새로운 패킷 유형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새로운 패킷 유형을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복호화기는 이런 패킷을 무시할 수 있는 반면 새로운 패킷 유형을 인식하는 새로운 복호화기는 이런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명백한 바와 같이, 수신기(200)에서 2/3 부호율의 격자 복호화기(206)과 리드-솔로몬 복호화기(210)에 의해 적절히 복호된 패킷들만 데이터 복호화기(214)에 제공되게 된다. 격자 복호화기(206) 또는 리드-솔로몬 복호화기(210)가 패킷을 복호할 수 없다면, 수신기는 일반적으로 이런 패킷을 에러 패킷으로 처분하게 된다. 너무 많은 오차 패킷이 수신되면, A53 표준에 따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몇 수신기들은 전송기의 재동기화를 시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A53 표준에 따른 신호는 동축 케이블이나 전화선을 통한 전송을 포함하여, 방송 이외의 방법으로 전송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 또는 레거시 A53 표준은 현재 보통 고정 설치 (예를 들어 가정내)되어 전송된 신호를 포착하도록 대형 안테나에 결합되어 있는 수신기에 의해 이용하려고 하는 신호를 형성 및 전송하는 것을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전송된 신호는 휴대용 텔레비젼, 차량용 텔레비전, 무선 전화, 개인 데이터 보조단말 등에서 이용되는 소형 안테나를 갖는 이동 수신기나 수신기가 이런 신호에서 부호화된 소스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할 만큼 충분하지가 않다. 특히, 2/3 부호율의 격자 부호화기에 의해 제공된 리던던시는 충분하지 않고 저부호율의 부호화기 (즉, 더 큰 리던던시를 갖는 것)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하다. 따라서, 휴대 이동형 단말기의 수신기의 개선으로 실행이 잘 이루어질 더욱 철저한 부호화 프로세스를 도입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동 전송 시스템에 대해 버스트 모드의 발생과 이 모드의 데이터 컨텐츠를 통신하기 위한 발명이 개시된다.
도 1은 A53 표준에 따르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상의 전송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A53 표준에 따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상의 수신기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송 장치에 이용되는 부호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열 배향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행 배향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부호화 프로세스의 실시예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부호화 프로세스의 다른 실시예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인터리버에서 바이트의 매핑을 설명하는 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복호화기의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10은 VSB-8 프레임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특성 및 장점들은 예시로 주어진 다음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를 이하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의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하려고, 이 상세 설명에서 실제 구현의 모든 특성들을 기재하지는 않았다. 어느 엔지니어링 또는 디자인 프로젝트에서나, 이러한 실재 구현의 개발시, 시스템 관련 및 비지니스 관련 제약에 따른 개발자의 특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여러가지 구현 특수 판정이 행해져야 하고, 이는 구현 마다 달라질 수 있다. 더욱, 그럼에도 이러한 개발 노력은 이런 개시의 장점을 갖는 당업자에게는 디자인, 제작 및 제조의 관례적인 업무가 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텔레비젼 전파 신호 및 특히 미국에서 이용되어지는 전파 신호에 관한 시스템을 설명한다. 기재된 실시예는 휴대 이동형 단말기에 이용될 수 있다. 이용되는 단말기의 예는 무선 전화, 지능 전화, 개인 디지털 보조 단말기, 랩톱 컴퓨터 및 휴대용 텔레비젼을 포함하지만, 이들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유형의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데에 이용되는 다른 시스템은 유사한 구조와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여기에 기재된 회로 및 프로세스의 실시예는 단지 한 세트의 가능 실시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의 구성 부품이 재구성 또는 생략될 수 있거나 부가의 구성 부품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시스템은 약간을 수정하여 세계 어디서나 이용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위성 비디오 오디오 서비스 또는 전화 데이터 서비스에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면, 부호화기(300)의 실시예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부호화기는 MPEG 전송 스트림을 변형하여 이동 전송 시스템 (ATSC M/H 등)에 이용하도록 전송하고 다음에 ATSC A/53 레거시 시스템의 일부로 전송되는 스트림을 처리하게 되는 시스템으로 동작한다. 부호화기(300)는 MPEG 전송 스트림원(302)을 포함한다. MPEG 전송 스트림원(302)은 몇개의 추가 블럭을 포함하는 ATSC M/H 블럭(310)에 연결되어 있다. ATSC M/H 블럭(310) 내에 포함된 블럭은 인입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여 휴대 이동형 단말기에 의해 수신 및 이용하기 적합한 비가공 데이터 스트림을 형성한다. 이들 블럭에 대해 이하 더욱 설명한다. ATSC M/H 블럭(310)은 내부에 몇개의 추가 블럭을 포함하는 ATSC A53 레거시 블럭(350)에 연결된다. ATSC A53 레거시 블럭(1350) 내에 포함되는 데이터 랜덤화기(352), 리드-솔로몬 암호화기(354), 콘볼루셔널 바이트 인터리버(356), 격자 부호화기(1358), 동기 삽입 블럭(360) 및 변조 블럭(362)은 도 1을 참조한 블럭들과 유사하다. 그 결과, 이들 블럭을 이하에서 더 설명하지는 않는다.
ATSC M/H 블럭(310) 내에, 패킷 인터리버(312)는 패킷으로 배열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다. 각 패킷은 187 바이트를 포함하고 패킷 식별에 이용되는 3 바이트 헤더를 포함한다. 패킷 인터리버(312)의 출력은 GF(256) 직렬 연결 블럭 부호화기 (SCBC; 314)에 제공된다. GF(256) SCBC(314)의 출력은 패킷 디인터리버(316)에 연결된다. 패킷 디인터리버(316)의 출력은 전송 스트림 헤더 변형기(318)에 연결된다. 전송 스트림 헤더 변형기(318)의 출력은 선험 트래킹 패킷 삽입기(320)에 연결된다. 선험 트래킹 패킷 삽입기(320)의 출력은 ATSC A53 레거시 부호화기(350)에 연결된다.
패킷 인터리버(312)는 열 배열된 패킷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패킷의 열로부터 바이트의 행에 기초한 코드워드로 재배열한다. 패킷 인터리버(312)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열 마다 고정된 개수의 연속되는 패킷으로부터 바이트를 취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 마다 바이트를 출력한다. 특히, 도 4 및 도 5는 12열의 187-바이트 패킷으로 판독하고 187 행의 12-바이트 코드워드를 출력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패킷 인터리빙 (interleaving)의 결과, 바이트 0으로 표시된 제1 바이트 모두를 함께 그룹화하고, 바이트 1로 라벨된 제2 바이트 모두를 함께 그룹화하는 등이다. 인터리버로 판독된 패킷의 개수는 소스 프레임을 구성하며 GF(256) SCBC(314)에서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소스 코드워드나 기호의 수와 동일하다. 패킷 인터리버(312)의 치수는 포함되는 메모리의 유형과 크기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제1 치수는 행으로 변경되고 제2 크기는 열로 변경될 수 있다. 부가하여, 다른 크기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GF(256) SCBC(314)는 이전에 설명한 바이트 코드 부호화기와 유사한 블럭 코드 부호화기이다. 특히, GF(256) SCBC(314)는 갈로아 필드(256) 공간 상에서 짧은 선형 블럭 코드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두 구성 블럭 코드가 이용될 수 있다. 부호율 1/2의 블럭 코드 부호화기는 다음의 생성 행렬을 이용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수학식 4에서의 행렬은 제2 행에 존재하는 수학식 1로부터의 값을 갖는 b 요소를 포함한다. 부호율 2/3의 블럭 코드 부호화기는 다음의 생성 매트릭스를 이용한다:
Figure pct00005
생성 행렬은 단위 행렬과 b 요소의 행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수학식 5에서의 세번째 행은 B1 및 B2가 2와 동일하도록 2 값을 갖는 수학식 2 및 3으로부터의 b 요소를 포함한다. 각 구성 코드에 대한 생성 행렬에서의 계수는 블럭 코드 부호화와 전체 오차 정정 시스템 및 변조 프로세스와의 관계에 기초하여 최적화된다. 이 최적화는 8VSB 변조에서 격자 부호화 및 비트-기호 매핑을 특별히 고려하는데 이들 형태가 수신 및 복조 프로세스에서의 제1 형태이기 때문이다.
GF(256) SCBC(314)는 단순 또는 연결형 블럭 코드 부호화기일 수 있다. 연결형 블럭 코드 부호화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리빙 및 펑처링 (puncturing) 같은 다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GF(256) SCBC(314)는 또한 다수의 부호화율을 부호화할 수 있으며 또한 도시하지 않은 부호율 모드 제어기를 통해 부호율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GF(256) SCBC(314)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부호율 1/2의 구성 코드, 부호율 12/26의 코드, 부호율 12/52의 코드, 또는 부호율 17/26의 코드 중 하나를 이용하여 인입하는 데이터의 스트림을 부호화할 수 있다.
GF(256) SCBC(314)는 인터리버(312)로부터 출력된 행을 따라 바이트를 부호화한다. 다시 말해, GF(256) SCBC(314)는 패킷 인터리버(312)에서의 처리를 통해 형성된 인터리버 행렬의 제2 치수를 따라 부호화된다.
패킷 디인터리버(316)는 GF(256) SCBC(314)에 의해 형성된 코드워드의 부호화 스트림을 수신하여 재구성된 열의 187-바이트 패킷을 출력한다. 패킷 디인터리버(316)는 행 순서대로 부호화된 코드워드를 입력하고, 각 행은 GF(256) SCBC(314)에서의 처리에 의해 부가된 리던던트 또는 비체계적 바이트를 포함한다. 이 프로세스는 본래 도 4 및 도 5의 순서를 바꾸어 패킷 인터리버(312)에 대해 설명되는 프로세스의 반대가 된다. 패킷 디인터리버(316)는 동일한 수의 행의 코드워드를 입력하고, 각 코드워드는 부호화된 세트의 비체계적 바이트를 포함한다. 출력에서의 열의 수는 부호화된 코드워드 길이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12/26의 부호율에서, 26 열의 패킷이 출력되게 된다. 패킷 디인터리버(316)의 치수는 포함되는 메모리의 유형과 크기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 제1 치수는 열로 변경되고 제2 치수는 행으로 변경된다. 부가하여 다른 치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패킷은 두 개의 개별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그룹의 패킷은 체계적 패킷으로 언급되며 전송 스트림원(302)에 의해 제공되는 원본 데이터 패킷과 동일하다. 제2 그룹의 패킷은 비체계적 패킷으로 언급되며 GF(256) SCBC(314)에서의 블럭 부호화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된 패리티 패킷이다. 블럭 부호화 처리의 결과로, 행의 수 (즉, 제2 치수의 크기)는 증가된다는 것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MPEG 전송 스트림 헤더 변형기(318)는 체계적 및 비체계적 패킷의 그룹을 포함하는 디인터리브된 187-바이트 패킷을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패킷은 3 바이트 헤더를 포함한다. 3 바이트는 패킷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에 이용되는 몇개의 다른 비트나 비트 그룹과 함께, PID를 포함한다. 레거시 또는 A53 전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지만 ATSC M/H 부호화 패킷을 정확히 복호화할 수 없는 수신기 (예를 들어, 레거시 수신기)의 가장 효율적인 동작을 유지하기 위해서, ATSC M/H 패킷의 일부의 헤더에서의 특정 비트는 변형될 수 있다. 비체계적 패킷 헤더에서의 이들 비트를 변형하는 것으로, 레거시 수신기는 패킷을 오류로 생각하지 않으면서 패킷을 무시해야 한다. 예를 들어, MPEG 전송 스트림 헤더 변형기(318)는 TEI 비트, 페이로드 유닛 시작 표시자 비트, 전송 우선 비트를 비트 값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부가하여, 스크램블링 제어 및 적응 필드 비트 (각각 2 비트)는 '00'으로 설정될 수 있다. 3비트 길이의 연속성 카운터는 또한 '00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PID는 모든 레거시 수신기에 의해 무시되게 되는 공지의 값과 같은 고유의 비사용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MPEG 전송 스트림 헤더 변형기(318)가 비체계적 패킷의 그룹에 대한 각 헤더를 변형하게 되기 때문에, GF(256) SCBC(1314)가 비체계적 패킷의 그룹에 대한 헤더를 처리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가하여, MPEG 전송 스트림 헤더 변형기(318)는 또한 이들 패킷이 레거시 수신기에 의해 처리되어 정확하게 복호화되지 않은 경우 체계적 패킷의 헤더를 변형할 수 있다. 체계적 패킷이 GF(256) SCBC 부호화기(314)에 의해 부호화되지 않거나 MPEG 전송 스트림 헤더 변형기(318)에 의해 처리되는 경우, 최종 데이터 스트림은 이동 단말과 레거시 수신기 둘 다에 동시 방송되어 여기에 수신된다.
선험 트래킹 패킷 삽입기(320)는 미리 정해진 트래킹 패킷을 비가공 데이터 스트림 내에 위치시킨다. 미리 정해진 패킷은 이동 휴대용 단말기에 이용되는 수신기와 같은 비가공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에 완전하게 또는 주로 알려진 정보의 패킷을 나타낸다. 미리 정해진 패킷은 수신기에 이용되어 신호 부호화 및 전송의 레거시 또는 기존의 A53 부호화 부분 동안 형성된 격자 상태를 복호화하는 것을 도와준다. 미리 정해진 패킷은 또한 수신기의 이퀄라이저 부분에서의 컨버전스를 도와줄 수 있다. 미리 정해진 패킷은 레거시 수신기에서의 수신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여전히 잠재적으로 개선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종래의 훈련 정보와 달리, 미리 정해진 패킷은 전송기 출력에서 바로 식별 가능하지 않는데 이는 미리 정해진 패킷이 부가의 레거시 부호화가 실행되기 전에 부가되기 때문이다. 특히, 미리 정해진 패킷은 격자 부호화의 처리로 변경된다. 그 결과, 미리 정해진 패킷은 격자 복호화 동안 직접적인 훈련을 제공하지 않고, 그보다는 격자 복호화 맵이나 분기를 결정하는 데에 이용되는 선험 분기 정보를 제공한다.
미리 정해진 트래킹 패킷은 공지의 훈련 시퀀스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다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트래킹 패킷은 유효 헤더를 포함하고 나머지 바이트는 또한 수신기에 알려진 의사 랜덤 수 (PN) 형성기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선험 훈련 데이터, 격자 불분명 훈련 데이터, 또는 의사 훈련 패킷으로 또한 언급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트래킹 패킷은 ATSC M/H 전송을 통해 분산될 수 있거나 ATSC M/H 신호 전송에 대한 프리앰블로 작용하는 식으로 패킷이나 패킷의 그룹을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클러스터될 수 있다.
레거시 ATSC 부호화기(3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레거시 A53 표준에 따른 체계적 패킷 및 비체계적 패킷을 동일하게 부호화한다. 비가공 데이터 스트림을 형성하는 ATSC M/H 블럭(310)의 추가 기능은 최소한의 변경으로 기존의 전송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에 부가될 수 있다. 부가하여, MPEG 전송원(302)으로부터 인입하는 패킷의 일부는 ATSC M/H 블럭(310)에서의 부호율 중 하나 이상에서 부호화하기 위해 추출될 수 있다. 부호화된 패킷은 입력 패킷의 나머지 비처리된 부분 및 ATSC 레거시 부호화기(350)에서 부호화된 부호화 및 비처리된 부분 둘 다에 재삽입되거나 첨부될 수 있다. 다르게, 개별 스트림의 패킷은 ATSC M/H 블럭(310)에 제공되고 부호화된 출력은 제2 스트림의 패킷에 삽입되거나 첨부되어 ATSC 레거시 부호화기(350)에 제공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면, 부호화 처리(60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프로세스(600)는 입력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비가공 데이터 스트림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연결형 바이트 코드 부호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프로세스(600)는 연결형 바이트 코드 부호화기와 관련하여 주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 프로세스는 어느 바이트 코드 부호화기에나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개별의 처리 블럭 또는 필요한 블럭 중 약간이나 모두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둘다의 조합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부가하여, 프로세스(600)는 바이트, 코드워드 및 데이터 패킷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당업자에게는 다른 데이터 구성이나 배열이 가능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먼저, 단계 610에서, 데이터 스트림이 수신된다. 데이터 스트림은 코드워드로 그룹화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코드워드의 모두나 일부를 포함하는 패킷으로 더욱 배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187 바이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각 패킷은 식별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패킷 헤더를 포함한다. 다음에, 단계 620에서, 데이터의 패킷은 바이트 코드 부호화된다. 단계 620에서의 부호화는 상술된 구성 부호화기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 단계(620)는 부호율 2/3의 바이트 코드 부호화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매 12 입력 바이트의 데이터에 대해 18 바이트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르게, 부호화 단계는 부호율 1/2와 같이 다른 바이트 코드 부호율을 이용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를 보충하는 것은 바이트 코드나 블럭 코드 부호화 프로세스와 같은 부호화 프로세스를 통해 에러 정정이나 리던던트 데이터 바이트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출력 바이트는 6바이트의 리던던트나 비체계적 데이터와 함께, 체계적 바이트로 알려진 12 입력 바이트의 데이터의 중복을 포함한다.
다음에, 단계 630에서, 단계 1620에서 부호화된 데이터 바이트는 인터리브된다. 인터리버 크기는 백색 잡음의 존재시 바이트 에러율을 감소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640에서, 단계 630으로부터 인터리브된 바이트는 두번째로 바이트 코드 부호화된다. 제2 바이트 코드 부호화 단계(640)는 상술된 구성 부호화기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620에서의 부호화는 부호율 2/3의 바이트 코드 부호화를 이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매 18 입력 바이트의 데이터 마다 27 바이트의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다르게, 부호화 단계는 부호율 1/2과 같은, 다른 바이트 코드 부호율을 이용할 수 있다. 출력 바이트는 9 바이트의 리던던트나 비체계적 데이터와 함께, 체계적 바이트로 알려진 18 입력 바이트의 데이터의 중복을 포함한다. 또한 몇 체계적 바이트는 원본 입력 데이터의 바이트 중 하나의 중복이거나 제1 바이트 코드 부호화 단계(620)에 의해 리던던트나 비체계적 바이트로 발전된 바이트일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다음에, 단계 650에서, 제2 부호화된 데이터의 바이트 스트림이 펑처링된다. 이 펑처링 단계(650)는 제2 부호화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바이트 중 하나를 제거한다. 제거된 바이트는 제2 부호화 단계(640)의 비체계적 바이트일 수 있고, 또한 제1 부호화 단계(620)로부터의 비체계적 바이트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660에서, 데이터 스트림은 레거시 또는 기존의 A53 부호화와 같은 부가의 처리에 제공된다. 단계 660은 부호화 바이트를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하기 전에 원래 수신된 구성과 유사한 패킷으로 재패킷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된 프로세스(600)는 결과적으로 12/26 바이트-코드 부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형성하게 된다.
단계(650)에서의 펑처링은 프로세스(600)에서는 선택적이다. 제거할 바이트의 선택은 단계(630)에서의 인터리빙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예를 들어, 제2 부호화 단계(640)는 그 부호화의 일부로 비체계적 바이트 중 하나를 형성할 수 없어, 그 결과 바로 펑처링된 스트림이 생긴다. 부가하여, 펑처링 단계(650)를 통과시켜펑처링되지 않은 부호율 12/27 바이트-코드 부호화 데이터 스트림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단계(650)에서의 펑처링은 또한 제2 부호화 스트림으로부터 1바이트 이상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율 12/24 바이트-코드 부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형성하도록 제거될 수 있는 3 바이트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이상의 바이트를 펑처링하는 것은 부호율의 개선을 얻으면서 부호화의 유효도를 더욱 저하시키게 된다. 펑처링 단계(650)에서의 부가의 바이트의 제거는 단계 630에서의 최적의 인터리빙에 기초하여 성취된다. 이런 식으로, 펑처링 및 인터리빙이 상호작용하여 출력 패킷의 임의의 출력 블럭 크기의 형성에 기초하여 최적의 부호율을 가능하게 한다.
단계(630 및 640)은 두개의 인터리빙 단계 및 세개의 바이트-코드 부호화 단계를 포함하여 여러 연결형 바이트 코드 부호화 프로세스를 형성하기 위해서 반복될 수 있다. 반복되는 단계(630 및 640)를 이용한 프로세스는 부호율 12/52의 비가공 데이터 스트림을 형성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스(600)는 상술된 것과 같은 다른 부호율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면, 부호화 프로세스(7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가 도시된다. 프로세스(700)는 기존의 또는 레거시 A53 신호 포맷에 또한 따르는 체계적 및 비체계적 또는 리던던트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ATSC M/H 데이터 스트림을 부호화 및 전송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프로세스(700)는 도 3의 부호화기(300)에 관련하여 주로 설명된다. 상기와 같이, 프로세스(700)는 개별의 처리 블럭 또는 필요한 블럭중 약간이나 모두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둘다의 조합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700)가 정확히 필요한 구현에 기초한 특정 단계를 제거하거나 재구성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중요하다.
먼저, 단계 710에서, 패킷의 전송 스트림이 수신된다. 각 패킷은 187 바이트를 포함하고 헤더를 포함한다. 헤더는 PID 뿐만 아니라 그 외 패킷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에, 단계 720에서 ATSC M/H 패킷에 이용되는 것으로 식별되는 패킷이 분리되거나 추출된다. 나머지 패킷은 처리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된다. ATSC M/H 패킷은 조합된 단일의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되는 대신에 패킷의 개별 입력 전송 스트림으로 제공될 수 있다. 부가하여, 전송 스트림의 모든 패킷은 ATSC M/H 패킷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이들 조건들 모두 추출 단계(720)의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ATSC M/H로 식별되거나 비처리된 패킷이 그룹화되고 ATSC M/H 식별된 패킷은 개별의 부호화 부호율로 식별되어 그룹화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730에서, ATSC M/H 식별 패킷의 세트나 그룹은 열에서 판독되거나 열로서 입력되고 인터리브된 행이나 패킷으로 출력된다. 출력 데이터의 행은 코드워드와 동일하고 각 코드워드의 크기는 패킷의 그룹의 크기와 동일하다. 도 14 및 도 15는 단계 730에서 열에서 판독하고 행으로 출력하는 패킷 인터리빙을 나타내는 행렬을 도시한다. 단계 730에서 이용되는 인터리버의 치수는 예를 들어, 행을 입력하고 열을 출력하거나 인터리버 구현에 기초하여 다른 치수 형태를 이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740에서, 단계 730으로부터의 각 코드워드는 블럭 코드 부호화된다. 단계 730에서의 블럭 코드 부호화는 프로세스(600)에서의 바이트-코드 부호화와 유사하고 간단한 부호화 프로세스나 연결형 부호화 프로세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럭 코드 부호화 단계 730는 부호율 1/2의 구성 코드, 부호율 12/26 코드, 부호율 12/52 코드, 또는 부호율 17/26 코드를 이용하여 코드워드를 부호화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750에서, 부호화된 코드워드의 세트는 코드워드를 행으로 입력하고 데이터 패킷을 열로 출력하여 패킷-디인터리브된다. 입력 코드워드는 이하 단계 730에서 블럭 코드 부호화로 형성된 바이트의 수를 포함한다. 출력 패킷은 187 바이트를 포함하는 패킷으로 재구성된다. 블럭 코드 부호화 단계 730에서 형성된 비체계적 바이트는 부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에서 부가 열의 패킷을 구성한다. 단계 760에서 이용되는 디인터리버의 치수는 예를 들어, 행을 입력하고 열을 출력하도록 또는 인터리버 구현에 기초한 다른 치수 형태를 이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760에서, 부호화된 디인터리브된 패킷의 헤더 바이트가 변경된다. 760에서의 변경 단계는 헤더 정보가 레거시 수신기에 의해 인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ATSC M/H 데이터 패킷을 복호화할 수 없는 수신기에서의 성능 문제를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760에서의 변경은 TEI 비트, 페이로드 유닛 시작 표시자 비트 및 전송 우선 비트를 '0'의 비트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760에서의 변경은 스크램블링 제어 및 적응성 필드 비트 (각 2비트)를 '00'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변경 단계(760)는 또한 3비트 길이인 연속성 카운터를 '000'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760에서의 변경은 PID를 모든 레거시 수신기에 의해 무시되게 되는 공지의 값과 같은 고유의 비사용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헤더 바이트는 부호화 단계(640)에서 무시되어 처리될 수 없다는 것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계 770에서, 미리 정해진 패킷이나 선험 트래킹 패킷은 변경된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부호화 패킷의 스트림에 삽입된다. 선험 트래킹 패킷의 삽입은 ATSC M/H 또는 동화상 부호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의 성능을 개선시킨다. 삽입 단계(770)는 기존의 리던던트 또는 비체계적 패킷을 교체하거나, 단계 710에서 데이터 패킷의 스트림에서 널(null) 패킷으로 원래 제공된 패킷을 교체할 수 있다.
단계 780에서, 단계 770으로부터의 ATSC M/H 부호화 패킷은 전송 데이터 스트림의 비처리 부분과 조합된다. ATSC M/H 부호화 패킷은 데이터 패킷의 전송 스트림의 이미 식별된 비처리 부분에 삽입되거나 이에 첨부된다. 다르게, 단계 770으로부터의 ATSC M/H 부호화 패킷은 레거시 전파 수신시에 대해서만 식별되는 제2 전송 스트림과 조합되거나, 이에 삽입되거나 첨부될 수 있다. 단계 780은 단계 710에서의 모든 패킷이 ATSC M/H 데이터 패킷으로 식별되어 처리되는 경우 제거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790에서, 모든 패킷, 부호화되거나 되지 않은 ATSC M/H을 포함하는 완성 데이터 스트림이 A53 표준에 따른 레거시 또는 기존의 부호화를 이용하여 처리된다. 단계 790에서의 레거시 부호화는 리드-솔로몬 부호화, 랜덤화, 인터리빙, 격자 부호화 및 동기 삽입을 포함한다. 레거시 부호화 단계 790는 레거시 부호화기(35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블럭으로 실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795에서, ATSC M/H 데이터로 부호화된 스트림의 모두 또는 일부를 포함하여, 완전 부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이 전송되게 된다. 전송 단계 795는 상세하게 식별되는 주파수 범위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동축 케이블과 같은 유선 기술을 이용한 전송이나 방송 전파로 전자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TSC M/H 데이터는 연속하여 전송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모드에서, ATSC M/H 체계적 패킷은 또한 레거시 수신기에서 데이터 패킷으로 작용한다. 비체계적 패킷은 무시된다. 그러나, 개별의 ATSC M/H 및 레거시 데이터는 ATSC M/H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짧은 비연속성 시주기 동안에 연속하여 전송되는 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콘볼루셔널 바이트 인터리버(356) 이후 전송 프레임에서의 데이터 블럭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인터리버 맵(800)은 도 3에서 콘볼루셔널 바이트 인터리버(356)의 처리 동안 인입하는 데이터 바이트의 체계를 나타낸다. 콘볼루셔널 바이트 인터리버(356)가 일련의 지연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지만, 인터리버 맵(800)은 인터리버용 메모리 맵으로 생각될 수 있다.
인터리버 맵(800)은 위치되거나 기록되는 입력 바이트의 위치 및 출력 바이트가 판독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인터리버 맵(800)의 치수는 상단에 걸쳐 0에서 208로 번호 붙혀진 바이트로 나타내고, 측면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세그먼트의 열은 1에서 103으로 번호 붙혀져 있다. 점선(805)은 바이트가 판독되는 순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선(805)이 열(20)을 나타내기 때문에, 열(20)에서의 모든 바이트는 바이트 0에서 시작하여 바이트 208로 끝나 판독된다. 마지막 바이트, 바이트 208이 열 20으로부터 판독되면, 이 판독은 열 21로 하나의 열 전진하게 되는데, 이는 인터리버의 마지막 열이 판독될 때 까지 행해진다. 마지막 열이 판독되면, 판독은 제1 열을 판독하는 것으로 다시 시작한다 (새로운 패킷 데이터).
선(813)은 이들 바이트-투-바이트 콘볼루셔널 인터리버(356)에서의 판독에 기초하여, 207 바이트 리드-솔로몬 코드워드의 제1 52 바이트의 위치를 나타낸다. 선(813)은 패킷에서 바이트 0의 위치에서 시작하여 바이트(51)의 위치인 중심선(840)에서 끝난다. 선(815, 817, 819a, 및 819b)은 제1 패킷에서의 나머지 바이트의 위치를 나타낸다. 선(815)은 선의 상단에서 바이트(52)의 위치로 시작하는 등, 선(815, 817, 및 819a) 각각에 대한 바이트 위치로 처리된다. 나머지 바이트 부분은 선(819b)을 따라 위치되며 선(840)의 한 열 아래의 열의 위치에서 바이트 208로 끝난다. 연속하는 패킷의 바이트의 위치는 제1 패킷에 대한 위치의 좌측으로 계속된 다음에 선(840) 위의 처리 및 위치와 미러링한 선(840) 아래의 맵 부분으로 처리된다. 예를 들어, 선(850)은 콘볼루셔널 바이트 인터리버(356)에서 52번째 패킷 (제1 패킷 이후 52개의 패킷을 입력)에 대한 바이트의 일부의 위치를 나타낸다. 라인(853)은 패킷의 그룹화의 전송을 위한 경계선을 나타낸다. 각 연속되는 패킷으로, 그 패킷 부터의 다음 연속되는 바이트는 경계선 상에 들어간다. 그 결과, 선(853)은 패킷 0 바이트 0의 위치, 이어서 패킷 1 바이트 1의 위치 등으로, 패킷 52 바이트 52의 위치까지 나타낸다.
콘볼루셔널 바이트 인터리버(356) 및 동기 삽입 블럭(360) 이후 M/H 데이터 블럭에 대한 데이터 위치를 이하 설명한다. 동기 데이터가 콘볼루셔널 바이트 인터리버(356) 이후 동기 삽입 블럭(360)에 삽입되기 때문에, 동기 데이터는 인터리브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도 8은 각각 한 열로 나타낸 104개의 데이터 세그먼트의 순서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상부 웨지 형상부(820)는 데이터 블럭 8 및 9를 나타낸다. 하부 웨지 형상부(830)은 데이터 블럭 0 및 1을 나타낸다. 중심 다이아몬드 형상부(810)는 데이터 블럭(210 및 215)을 나타낸다. 라인(840)은 동기 삽입 블럭(360)에 의해 삽입되는 동기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앰블 데이터의 최종 바이트는 바이트 인터리버(356)로 인해 약 52 데이터 세그먼트 지연되게 된다. 따라서, 2-블럭 길이의 프리앰블의 데이터 (즉, 52 패킷) - 52 인터리브된 데이터 세그먼트와 동일한 데이터 양 - 는 인터리브된 ATSC A/53 전송 스트림의 비교적 짧은 범위의 104 데이터 세그먼트 내에서만 확산된다. 이는 M/H 수신기가 원하는 짧은 시주기 내에서 인터리브된 프리앰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것을 도와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속하게 복호화된 프리앰블 데이터는 M/H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 수신의 개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합산을 위해서는 적합한 길이의 프리앰블이 프리앰블 정보의 복호화를 포함하여 신호 처리를 가속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정 구성의 패킷 세트는 비가공 데이터 스트림의 더욱 최적인 전송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가공 데이터 스트림의 구성은 비가공 데이터 스트림이 연속적으로 전송되지 않은 경우 (즉, 데이터 스트림의 일부가 레거시 데이터임)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52 패킷의 세트는 수신 시스템에서 디인터리빙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쉽게 예측 및 식별될 수 있는 방식으로 비가공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송 특성의 결과를 가져온다.
이하 도 9를 참조하면, 수신기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복호화기(900)의 실시예의 블럭도를 나타내었다. 복호화기(900)는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상술된 바와 같이 데이터 스트림의 비체계적 패킷과 같은 리던던트 패킷을 이용하는 데에 적합한 회로를 포함한다. 복호화기(900)는 또한 일반적으로 레거시 또는 기존의 A53 표준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복호화기(900)에서, 다른 회로 (도시 생략)에 의한 초기 조정, 복조 및 처리에 이어, 격자 복호화기(902)는 인입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격자 복호화기(902)는 콘볼루셔널 디인터리버(904)에 연결된다. 콘볼루셔널 디인터리버(904)의 출력은 바이트 코드 복호화기(906)에 연결된다. 바이트 코드 복호화기(906)는 리드-솔로몬 복호화기(908)에 연결된 출력을 갖는다. 리드-솔로몬 복호화기(908)의 출력은 디랜덤화기(910)에 연결된다. 디랜덤화기(910)의 출력은 데이터 복호화기(912)에 연결된다. 데이터 복호화기(912)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또는 오디오 재생과 같은 수신기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에 이용할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격자 복호화기(902), 디인터리버(904), 리드-솔로몬 복호화기(908), 디랜덤화기(910) 및 데이터 복호화기(912)는 도 2에서 나타낸 블럭과 기능이 유사하므로 여기에서 상세히 기술하지 않았다.
데이터 패킷에서의 데이터 바이트의 형태인 수신된 데이터는 격자 복호화기(902)에 의해 복호화되어 디인터리버(904)에 의해 디인터리브된다. 데이터 패킷은 207 바이트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더욱 그룹이나 24, 26 또는 52 패킷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격자 복호화기(902) 및 디인터리버(904)는 인입하는 레거시 포맷 데이터 뿐만 아니라 바이트-코드 부호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수신기에 의해 또한 공지된 미리 정해진 패킷 전송 시퀀스에 기초하여, 바이트 코드 복호화기(906)는 패킷이 바이트-코드 부호화 또는 비가공 데이터 스트림에 포함되는 패킷인지를 판단한다. 수신된 패킷이 바이트-코드 부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나오지 않으면 수신된 패킷은 바이트 코드 복호화기(906)에서의 또 다른 처리 없이 리드-솔로몬 복호화기(908)에 제공된다. 바이트 코드 복호화기(906)는 또한 부호화 동안 데이터 스트림으로 곱해지거나 이에 합해지는 공지된 상수의 시퀀스를 제거하는 디랜덤화기를 포함한다. 비가공 데이터 스트림이 원본 데이터와 동일한 체계적 패킷과 바이트 및 리던던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체계적 패킷과 바이트를 둘 다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이트 코드 부호화기(906)가 수신된 것이 비가공 데이터 스트림에 속하는 바이트 코드 부호화 패킷이라고 판정하면, 패킷은 동일한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하는 다른 패킷과 함께 복호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데이터 스트림의 바이트 코드 부호화 패킷은 상기 수학식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트 부호화 패킷을 개발하는 데에 이용되는 b 요소의 값의 역으로 패킷 내의 각 바이트를 곱하여 복호화된다. 비체계적 패킷의 바이트의 복호화 값은 체계적 패킷의 바이트의 값과 비교되고 동일하지 않은 두 패킷의 바이트의 값은 체계적 패킷에서 소거 (제로로 설정)될 수 있거나 비체계적 패킷의 정보로 교체될 수 있다. 그 후 소거된 에러 바이트를 갖는 체계적 패킷은 리드-솔로몬 복호화기(908)에서 실행되는 리드-솔로몬 복호화를 이용하여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바이트 코드 복호화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바이트 코드 복호화기(906)는 또한 신호를 복호화하기 위해 블럭 부호화기로 동작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트 코드 복호화기(906)는 패킷 인터리버(312)와 유사한 패킷 인터리버 및 패킷 디인터리버(316)와 유사한 패킷 디인터리버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하여, 바이트 코드 부호화기 기능은 GF(256) 직렬 연결형 블럭 부호화 (SCBC) 신호를 복호화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다. 바이트 코드 복호화기(906)는 모바일 또는 ATSC M/H 수신을 위해 부호화된 데이터를 식별하고 선험 훈련 패킷의 식별을 위해 이용되는 식별자 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하여, 식별자 블럭은 예를 들어, 인입하는 패킷의 헤더가 모바일 수신을 위해 이용되는 PID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패킷 식별자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트 코드 부호화는 데이터 패킷의 리드-솔로몬 부호화에 앞서 일어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여기 나타낸 복호화기(900)에서, 인입 데이터는 리드-솔로몬이 복호화되기 전에 바이트 코드 복호화된다. 이런 순서 바꿈은 바이트 코드 연산과 리드-솔로몬 코드 연산 둘 다가 A53 표준에서 이용되는 갈로아 필드(256)에 대해 선형이기 때문에 가능하고, 선형 연산자들은 갈로아 필드에서 가환된다. 순서 바꾸기의 중요성은 바이트 코드 복호화가 수신된 신호의 에러를 회수하는 데에 더 큰 신뢰성을 제공하므로 중요한데 이는 바이트 코드가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부호화 알고리즘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리드-솔로몬 복호화 이전에 바이트 코드 부호화를 실행하는 것은 비트 에러율 및 신호 대 잡음율 면에서 측정되어지는 수신기 성능의 개선을 가져온다.
부가하여, 도 3의 부호화기(300)의 실시예의 설명에서와 같이, 바이트 코드 복호화 요소 및 프로세스는 레거시 수신기를 최소한만 변경하여 레거시 수신기에서 필요로 하며 이용되는 요소, 구성 부품 및 회로에 부가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복호화 프로세스는 바이트 코드 복호화 프로세스의 특성을 레거시 수신기에서의 다른 블럭에 결합하는 것으로 개선될 수 있다.
상술된 바이트-코드 부호화 및 복호화의 구성을 이용한 여러 시스템은 기존의 또는 레거시 전파 시스템의 적용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먼저, 기존의 레거시 수신기는 ATSC M/H를 이용하여 부호화된 부가의 패킷 존재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더욱 비가공 SCBC 부호화 패킷 및 선험 트래킹 패킷은 격자 복호화기 및 이퀄라이저에 의해 처리되어 동적 신호 환경 조건에서의 트래킹을 개선한다. 둘째, 비가공 데이터를 형성하는 ATSC M/H 부호화 데이터는 레거시 A53 전송이 수신될 수 없는 신호 환경에서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수신 시스템이 비가공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부호율 12/52에서의 ATSC M/H 부호화는 레거시 A53 수신에 대해 약 15dB의 백색 잡음 임계와 비교하여 3.5 데시벨 (dB)과 동일한 백색 잡음 임계치에서의 신호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연산은 ATSC M/H 패킷을 형성하고 레거시 A53 데이터와 함께 주기적으로 패킷을 전송하여 더욱 증진된다. 주기적 전송은 전파 재료의 비디오 및 오디오 전달을 허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ATSC M/H 패킷은 하나 이상의 전송 버스트로 그룹화 및 전송될 수 있다. 버스트 전송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나중에 이용하도록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 컨텐트의 전달에 중요하다.
"버스트 모드"로 알려진 이런 주기 전송은 레거시 A53 전송 내 (예를 들어 도 8에서 나타낸 영역 내) 주기적 간격으로 도 3의 전송 시스템이 ATSC M/H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즉, ATSC M/H 시스템이 이용되는 수신기는 수신된 ATSC M/H 전송을 항상 트래킹하지는 않으므로, 수신기는 짧은 시간격에 부호화된 데이터 페이로드를 획득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 이들 "버스트 모드"는 데이터 페이로드의 연속적인 전송이 된다. 다른 경우에는, "버스트 모드"가 간헐적으로 데이터 페이로드를 전송하게 된다.
부가하여, 전송되고 있는 데이터 페이로드의 유형은 수신기가 어느 버스트 모드에 관심있는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버스트 모드는 신호 동기화 및 채널 획득의 기능시 수신기를 원조하도록 프리앰블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버스트 모드는 비디오/오디오 프로그래밍의 특정 유형이 수신기에 전송되는 경우 동작하게 되고, 이런 프로그래밍은 나중에 관찰하기 위해 캐시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버스트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준 MPEG 데이터 패킷 (187 바이트에 20 리드 솔로몬 바이트를 더함)의 동작에 기초하여 26 패킷과 동일한 표준 시간 블럭 슬라이스를 이용하게 된다. 26 패킷으로 구성된 블럭을 이용하는 크기는 2 밀리초의 이동 데이터를 나타내며, 인터리빙 후에 4밀리초의 전송 과정 동안 확산된다. 버스트 모드 동작과 관련된 정보의 전송은 26 패킷의 배수를 나타낸다. 도 3의 전송 시스템은 이러한 26 패킷의 배수를 무기한으로 또는 유한 기간 동안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전송 시스템은 버스트 모드의 타이밍, 버스트 모드의 컨텐츠 및 이런 버스트 모드의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기에 전달하도록 더욱 구성될 수 있다. 이 정보를 통신하는 한 방법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VSB-8 프레임에 이용되는 필드 동기에 존재하는 104개의 잔류 기호들에 이 정보를 삽입하는 것이고, 104개의 잔류 기호들은 13 바이트를 나타낸다 (각 기호는 일 비트를 나타냄). 여러 실시예에서, 이용되고 있는 기호는 일 비트 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그 결과 나타낸 것 보다 더 큰 어레이의 값을 가져온다.
바이트 기능
1 버스트/정상 전송
2-3 버스트 모드에 대한 연속 패킷의 개수
4 데이터가 비디오, 오디오, 인터랙티브 정보 또는 시스템 정보임을 나타냄
5 데이터가 이동 단말기에 캐시되어야 함
6 프로그램이나 광고를 나타내는 데이터
7 수신된 정보의 부호화
8-9 정보의 전파 채널과의 결합
10 정보의 전파 부채널과의 결합
11 보류
표 1은 104개의 보류 기호들이 할당되어 있는 샘플이다. 제1 바이트는 수신되고 있는 데이터가 예를 들어, 버스트 모드 "00000001" 또는 "00000000"에 대한 것인지를 나타낸다. 제2 내지 제3 바이트는 얼마나 많은 연속 패킷이 버스트 패킷인지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제2 및 제3 바이트는 모두 "1"로 설정되어 값이 "0"으로 설정될 때 까지 버스트 패킷이 무기한 계속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샘플 네번째 바이트의 값을 표 2에서 나타내었으며, 여기에 다른 샘플 값을 나타낸다.
이진값 데이터 유형
00000000 오디오
00000010 비디오
00000100 오디오 및 비디오
00001000 시스템 정보
00100000 인터랙티브 적용을 위한 정보
01000000 기타 정보
표 3은 6번째 바이트에 대해 버스트 모드 내에서의 프로그래밍 컨텐트를 나타내는 샘플값을 개시한다.
이진값 프로그램 유형
00000000 무선
00000010 텔레비젼 프로그램
00000100 음악 비디오
00001000 광고
00100000 인터랙티브 정보
01000000 JAVA 코드
7번째 바이트는 수신되고 있는 정보에 대해 이용하는 부호화의 유형을 나타낸다. 여러 예시의 이들 값 (십진 형태로 나타냄)을 표 4에서 나타낸다.
이진값 부호화 유형
00000000 MPEG-2 비디오
00000001 MP3 부호화 오디오
00000010 MP3 프로 부호화 오디오
00000100 AC-3 부호화 오디오
00001000 H.264 비디오-베이스라인 프로파일
00100000 H.264 비디오-메인 프로파일
01000000 H.264 비디오-확장 프로파일
10000000 H.264 비디오-하이 10 프로파일
10000001 H.264 비디오-하이 4:2:2 프로파일
10000011 H.264 비디오-하이 4:4:4 프로파일
8번째 및 9번째 바이트는 버스트 모드에서의 정보가 연관되게 되는 특정 전파 채널 (0-2^16)을 나타내도록 보류되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채널은 ATSC A/53를 이용하여 전파 채널에 이용되는 채널 넘버링에 대응한다. 유사하게, 10번째 바이트는 특정 부채널을 나타낼 수 있고, 이 때 넘버링은 바람직하게 ATSC A/53에 이용되는 부채널 넘버링에 대응한다. 11번째 바이트는 버스트 모드의 부호율 (1/2, 3/4 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과 같은 장차의 동작을 위해 보류된다.
선택적으로, 11번째는 시간값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는 버스트 모드가 구현되게 되는 다음 번을 나타낸다. 이것은 버스트 모드가 연속 블럭을 포함하지 않는 시나리오를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예는 이 선택적 실시예를 고찰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때 여러 값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버스트 모드에 대한 여러가지 것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서, 104개의 보류 기호들이 세그먼트 동기에서 분열되고 이 때 92개의 기호만이 유용하게 되며, 보류 기호들 중 12개는 종래의 데이터 세그먼트 중에서 마지막 12개의 기호에 대응하게 된다. 이 경우, 보류 기호에 부호율 정보 및 버스트 모드 출현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서 제어 패키지의 유형으로 세그먼트 동기를 이용할 수 있고, 다음에 버스트 모드의 컨텐트 및/또는 버스트 모드에 대한 부가의 정보와 같은 정보를 나타내도록 데이터 세그먼트의 페이로드를 이용할 수 있다 (표 1-4에서 나타냄).
필드 동기에서의 보류 기호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구성은 상기한 예에 비추어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르게, MPEG-2 전송 스트림의 일부로 복호화된 PID값을 이용하여 버스트 모드 정보를 통신할 수 있으며, 이 때 이 PID 값은 동기 블럭에 대해 나타낸 바와 같이 위에서 주어진 여러 값을 나타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선택적인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원리가 이런 무선 전화, 랩톱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게 되기 때문에, 버스트 모드 정보의 이용은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을 수신하도록 파워 업 또는 다운되어야 할 때를 나타낸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즉, 컨텐트가 사용자에게 관심이 없는 경우 (유저 프로파일 측면에서), 장치는 어느 버스트 모드 전송의 컨텐트가 예정보다 빠른지를 알기 때문에 버스트 모드의 컨텐트를 무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표 3의 정보를 참조하여 텔레비젼 쇼에 관심이 없고 오직 오디오 전송만을 선호하는 경우, 장치가 버스트 모드의 컨텐트와 이것이 얼마나 지속하는지를 알아야 하므로 (제1 내지 제3 바이트의 정보를 참조), 장치는 특정 버스트 모드에 대해 파워업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알게 된다. 본 실시예의 원리의 다른 구성은 본 발명에서 개시된 원리에 비추어,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여러 변형 및 대체 형태가 가능하지만,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서 예시적으로 나타내었으며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형태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그보다, 본 발명은 다음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지는 본 발명의 영역 내에 들어가는 모든 변형, 등가물 및 대체물을 포괄하는 것이다.
302: MPEG 전송 스트림원
312: 패킷 인터리버
314: DG(256) SCBC
316: 패킷 디인터리버
318: MPEG 전송 스트림 헤더 변형기
320: 선험 트래킹 패킷 삽입기
352: 데이터 랜덤화기
354: 리드-솔로몬 부호화기
356: 콘볼루셔널 바이트 인터리버
358: 12-1 격자 부호화기
360: 동기 삽입
362: 변조

Claims (9)

  1. 버스트 모드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버스트 모드가 제1 전송 모드 동안 발생하게 될 때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버스트 모드의 길이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모드 정보의 컨텐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버스트 모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비디오 프로그램, 오디오 프로그램, 시스템 유지 보수 정보, 광고, 및 인터랙티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버스트 모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모드 동안 전송되는 컨텐트의 부호화 포맷을 나타내는 버스트 모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모드 정보가 광고이고 상기 광고가 유저 프로파일에 따라 재생되는 것을 나타내는 버스트 모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버스트 모드 컨텐트를 포착하도록 파워업될 때와 이 버스트 모드 컨텐트를 무시하도록 파워다운될 때를 수신기에 나타내는 버스트 모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잔류 측파대 전송에 대해 이용되는 필드 동기 패킷에 삽입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패킷 식별자에 삽입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버스트 모드가 발생하게 될 때에 대한 정보가 패킷의 헤더에 삽입되고, 버스트 모드의 컨텐트에 대한 정보가 패킷 페이로드에 삽입되는 방법.

KR1020107010367A 2007-10-15 2008-10-14 버스트 모드 활동을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13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9904007P 2007-10-15 2007-10-15
US99897807P 2007-10-15 2007-10-15
US99896107P 2007-10-15 2007-10-15
US60/999,040 2007-10-15
US60/998,961 2007-10-15
US60/998,978 2007-10-15
US19049908P 2008-08-29 2008-08-29
US19051708P 2008-08-29 2008-08-29
US19051608P 2008-08-29 2008-08-29
US61/190,499 2008-08-29
US61/190,517 2008-08-29
US61/190,516 2008-08-29
PCT/US2008/011709 WO2009051691A2 (en) 2007-10-15 2008-10-14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urst mode activ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818A true KR20100083818A (ko) 2010-07-22
KR101513283B1 KR101513283B1 (ko) 2015-04-17

Family

ID=405680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367A KR101513283B1 (ko) 2007-10-15 2008-10-14 버스트 모드 활동을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107007898A KR101490877B1 (ko) 2007-10-15 2008-10-14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을 위한 프리앰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898A KR101490877B1 (ko) 2007-10-15 2008-10-14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을 위한 프리앰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078034B2 (ko)
EP (2) EP2201772A2 (ko)
JP (2) JP5331814B2 (ko)
KR (2) KR101513283B1 (ko)
CN (3) CN101828334B (ko)
CA (2) CA2701642C (ko)
MX (2) MX2010004149A (ko)
WO (2) WO20090516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8012B1 (en) * 2000-10-02 2005-11-22 Firepad, Inc. Methods for encoding digital video for decoding on low performance devices
KR101513283B1 (ko) * 2007-10-15 2015-04-17 톰슨 라이센싱 버스트 모드 활동을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258111A4 (en) * 2008-03-28 2014-01-22 Thomson Lic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SIGNALS
EP2265077B1 (en) * 2009-06-18 2012-03-21 Panasonic Corporation Enhanced random access procedure for mobile communications
DE102009057365B4 (de) 2009-10-16 2018-10-18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reorganisierten Transportdatenstroms
US8559372B2 (en) * 2009-12-28 2013-10-1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broadcast signal
US8699641B2 (en) * 2010-06-10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TSC signal processing
US8995582B2 (en) * 2010-06-25 2015-03-31 Thomson Licensing Priori training in a mobile DTV system
US9313531B2 (en) 2010-10-06 2016-04-12 Thomson Licen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ent delivery adapted for synchronous playbacks
CN102064916B (zh) * 2010-12-21 2013-09-18 成都德芯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cmmb标准的字节交织方法
US8656242B2 (en) * 2011-04-06 2014-02-18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Data receiving devices and methods for receiving data
US9287897B2 (en) * 2012-01-30 2016-03-15 Broadcom Corporation Systematic rate-independent Reed-Solomon erasure codes
US8953612B2 (en) * 2012-03-07 2015-02-10 Cmmb Vision Usa Inc Efficient broadcasting via random linear packet combining
EP2733903B1 (en) * 2012-11-20 2017-02-15 Alcatel Lucent Method for transmitting a video stream
US9547609B2 (en) * 2013-10-25 2017-01-17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Data interface for point-to-point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CA2929052A1 (en) * 2014-09-12 2016-03-17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a recep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8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685A (en) * 1902-11-03 1903-02-03 Joseph H Morin Shuttle.
US3652998A (en) * 1970-03-01 1972-03-28 Codex Corp Interleavers
US3873920A (en) * 1973-12-12 1975-03-25 Bell Telephone Labor Inc Variable block length synchronization system
US4677625A (en) 1985-03-01 1987-06-30 Paradyne Corporation Distributed trellis encoder
BE1000414A7 (nl) 1987-03-18 1988-11-22 Bell Telephone Mfg Asynchroon op basis van tijdsverdeling werkend communicatiesysteem.
JPH0716206B2 (ja) * 1988-08-05 1995-02-22 日本電気株式会社 信号検出器
JP3137119B2 (ja) 1989-06-07 2001-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誤り訂正装置
US5050164A (en) * 1989-10-31 1991-09-17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Optical customer premises network
US5087975A (en) * 1990-11-09 1992-02-11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VSB HDTV transmission system with reduced NTSC co-channel interference
NL9100218A (nl) 1991-02-07 1992-09-01 Philips Nv Encodeer/decodeer-schakeling, alsmede digitaal video-systeem voorzien van de schakeling.
US5534938A (en) * 1991-07-18 1996-07-09 Citta; Richard W. Digital TV system using segment and field sync signals
US5369641A (en) 1991-11-12 1994-11-29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errors in data on magnetic tape media
US5353313A (en) * 1992-04-10 1994-10-04 At&T Bell Laboratories Transmission of a clock signal over an asynchronous data channel
US5438369A (en) * 1992-08-17 1995-08-01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Digital data interleaving system with improved error correctability for vertically correlated interference
US5572532A (en) 1993-12-29 1996-11-05 Zenith Electronics Corp. Convolutional interleaver and deinterleaver
US5452009A (en) * 1993-12-29 1995-09-19 Zenith Electronics Corp. Digital transmission system with data rate optimized for noise in transmission medium
US5398073A (en) 1994-04-12 1995-03-14 At&T Corp. Concatenated coded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for high definition television
US5768539A (en) 1994-05-27 1998-06-16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Downloading applications software through a broadcast channel
US5583889A (en) * 1994-07-08 1996-12-10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Trellis coded modulation system for HDTV
US5629958A (en) * 1994-07-08 1997-05-13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Data frame structure and synchronization system for digital television signal
JP2674549B2 (ja) 1995-02-28 1997-1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副搬送波再生回路およびワイド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US6079041A (en) 1995-08-04 2000-06-20 Sanyo Electric Co., Ltd. Digital modulation circuit and digital demodulation circuit
US5761303A (en) 1995-12-28 1998-06-02 At&T Corp Inclusion of audio signal within video signal, at band edges
US5809242A (en) 1996-04-19 1998-09-15 Juno Online Services, L.P. Electronic mail system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at local computer received from remote system while the local computer is off-line the remote system
US7046694B2 (en) 1996-06-19 2006-05-16 Digital Radio Express, Inc. In-band on-channel digital broadcasting method and system
US5835730A (en) 1996-07-31 1998-11-1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Of Delaware MPEG packet header compression for television modems
US6614847B1 (en) 1996-10-25 2003-09-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ntent-based video compression
US6072810A (en) * 1996-11-08 2000-06-06 Alcatel Method to transparently transport an incoming clock signal over a network segment, and related transmitter and receiver unit
JP3193947B2 (ja) 1997-01-08 2001-07-30 株式会社ディジタル・ビジョン・ラボラトリーズ データ送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送信方法
GB9709285D0 (en) 1997-05-08 1997-06-25 Philips Electronics Nv Flexible two-way telecommunications system
JPH11196072A (ja) * 1997-12-30 1999-07-21 Sony Corp 誤り訂正符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データ伝送方法
US6798736B1 (en) 1998-09-22 2004-09-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able rate data
FI107108B (fi) 1998-11-05 2001-05-31 Nokia Mobile Phones Ltd Virheen ilmaiseminen alhaisen bittinopeuden videolähetyksessä
US6553540B1 (en) 1998-12-07 2003-04-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Efficient system and method for forward error correction
KR100277764B1 (ko) * 1998-12-10 2001-01-15 윤종용 통신시스템에서직렬쇄상구조를가지는부호화및복호화장치
FI106493B (fi) 1999-02-09 2001-02-15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ja järjestelmä pakettimuotoisen datan luotettavaksi siirtämiseksi
US6499128B1 (en) 1999-02-18 2002-12-24 Cisco Technology, Inc. Iterated soft-decision decoding of block codes
DE19909921A1 (de) 1999-03-06 2000-09-14 Bosch Gmbh Robert Datenübertra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US6169759B1 (en) * 1999-03-22 2001-01-02 Golden Bridge Technology Common packet channel
US6714563B1 (en) * 1999-04-26 2004-03-30 Cisco Technology, Inc. Network clock synchronization scheme
US6493402B1 (en) 1999-05-27 2002-12-10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Mode control for trellis decoder
US6687310B1 (en) * 1999-05-27 2004-02-03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Trellis coded modulation system for digital television signal with trellis coded data and synchronization symbols
US6529558B1 (en) * 1999-05-27 2003-03-04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Coding and decoding a signal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feedback states of an encoder
CN1199440C (zh) 1999-05-27 2005-04-27 真尼诗电子有限公司 8MHz频道数字电视系统的接收器
EP1056236B1 (en) 1999-05-28 2011-07-20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data errors
US6487251B1 (en) * 1999-08-30 2002-11-26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bined multi-rate convolutional coding
US6559894B2 (en) * 1999-10-21 2003-05-06 Digeo, Inc. Block-adaptive equalization using partial decision feedback in digital broadcast communications
EP1254544B1 (en) * 1999-12-03 2015-04-29 Broadcom Corporation Embedded training sequences for carrier acquisition and tracking
US20010024457A1 (en) * 2000-01-18 2001-09-27 Barry Richard A. Encoding signaling information at a physical layer of a network protocol
DE10012873A1 (de) * 2000-03-16 2001-09-27 Infineon Technologies Ag Optimierter Turbo-Decodierer
JP4153646B2 (ja) * 2000-03-24 2008-09-24 株式会社東芝 情報データ伝送システムとその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6996133B2 (en) * 2000-04-18 2006-02-07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obustly encoded data
US6958781B2 (en) 2000-04-18 2005-10-25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Mapping arrangement for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US20030021341A1 (en) * 2000-04-24 2003-01-30 Vigil Armando J. Method of effective backwards compatible ATSC-DTV multipath equalization through training symbol induction
US7116710B1 (en) 2000-05-18 2006-10-03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erial concatenation of interleaved convolutional codes forming turbo-like codes
AU2001259993B2 (en) 2000-05-25 2006-12-07 Soma Networks, Inc. Quality dependent data communication channel
US7042908B1 (en) * 2000-07-10 2006-05-09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rbitrary electrical signals over a data network
US20050193408A1 (en) * 2000-07-24 2005-09-01 Vivcom, Inc. Generating, transporting, processing, storing and presenting segmentation information for audio-visual programs
US20060064716A1 (en) * 2000-07-24 2006-03-23 Vivcom, Inc. Techniques for navigating multiple video streams
US20050203927A1 (en) * 2000-07-24 2005-09-15 Vivcom, Inc. Fast metadata generation and delivery
US20050204385A1 (en) * 2000-07-24 2005-09-15 Vivcom, Inc. Processing and presentation of infomercials for audio-visual programs
US20050193425A1 (en) * 2000-07-24 2005-09-01 Sanghoon Sull Delivery and presentation of content-relevan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frames of audio-visual programs
US20050210145A1 (en) * 2000-07-24 2005-09-22 Vivcom, Inc. Delivering and processing multimedia bookmark
US6757860B2 (en) * 2000-08-25 2004-06-29 Agere Systems Inc. Channel error protection implementable across network layer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772184B2 (en) * 2000-08-28 2004-08-03 Sun Microsystems, Inc. Method for efficient modular division over prime integer fields
US6721771B1 (en) * 2000-08-28 2004-04-13 Sun Microsystems, Inc. Method for efficient modular polynomial division in finite fields f(2{circumflex over ( )}m)
AU2001286842A1 (en) 2000-09-06 2002-03-22 Motorola, Inc. Soft-output error-trellis decoder for convolutional codes
WO2002023842A1 (en) * 2000-09-11 2002-03-21 Fox Digital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daptive algorithms to exploit sparsity in target weight vectors in an adaptive channel equalizer
US6754170B1 (en) * 2000-09-29 2004-06-22 Symbol Technologies, Inc. Timing synchronization in OFDM communications receivers
CN1179489C (zh) 2000-10-06 2004-12-08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利用单工码产生(n,3)码和(n,4)码的装置和方法
US6987543B1 (en) 2000-11-30 2006-01-17 Lsi Logic Corporation System to efficiently transmit two HDTV channels over satellite using turbo coded 8PSK modulation for DSS compliant receivers
KR100673419B1 (ko) * 2000-12-28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WO2002065771A1 (en) * 2001-02-09 2002-08-22 Quadriga Technology Limited System for and method of distributing television, video and other signals
DE60128784T2 (de) 2001-02-26 2008-02-07 Juniper Networks, Inc., Sunnyval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ffizienten und genauen Grobzeitsynchronisierung in Pulsdemodulatoren
US7187698B2 (en) * 2001-03-13 2007-03-06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Robust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US7110048B2 (en) * 2001-03-30 2006-09-19 Weiss S Merrill Digital signal transmitter synchronization system
US7206352B2 (en) 2001-04-02 2007-04-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TSC digital television system
US7111221B2 (en) 2001-04-02 2006-09-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gital transmission system for an enhanced ATSC 8-VSB system
US7675994B2 (en) 2001-04-02 2010-03-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acket identification mechanism at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an enhanced ATSC 8-VSB system
US7042949B1 (en) * 2001-04-03 2006-05-09 Rosum Corporation Robust data transmission using broadcast digital television signals
US7006566B2 (en) * 2001-04-10 2006-02-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wo stage equalizer for trellis coded systems
US6734920B2 (en) * 2001-04-23 2004-05-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error propagation in a decision feedback equalizer of ATSC VSB receiver
US6823489B2 (en) 2001-04-23 2004-11-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Generation of decision feedback equalizer data using trellis decoder traceback output in an ATSC HDTV receiver
KR100736500B1 (ko) 2001-04-25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티브이의 브이에스비 통신시스템
US8391482B2 (en) * 2001-05-04 2013-03-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ignal format that facilitates easy scalability of data streams
KR100913965B1 (ko) 2001-05-16 2009-08-2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일부가 사전에 알려진 정보의 코딩 및 디코딩
US20030099303A1 (en) * 2001-06-04 2003-05-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gital television (DTV) transmission system using enhanced coding schemes
JP4188818B2 (ja) * 2001-06-25 2008-12-03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Tfci信号システムによるmcs及びマルチコードの最適化
EP1276288B1 (en) 2001-07-10 2007-01-10 Sony Deutschland GmbH Reference symbols for channel estimation with multicarrier transmission
KR100510679B1 (ko) * 2003-03-21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vsb 전송 시스템 및 부가 데이터 다중화 방법
KR101389593B1 (ko) 2001-08-23 2014-04-29 애플 인크. Co-set와 강하게 코딩된 co-set 식별자를조합하여 직교 진폭 변조를 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6563436B2 (en) * 2001-09-24 2003-05-13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Kerdock coding and decoding system for map data
US6765508B2 (en) * 2001-09-24 2004-07-20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Robust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ap data
US6762698B2 (en) * 2001-09-24 2004-07-13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Robust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ap data
US6924753B2 (en) * 2001-09-24 2005-08-02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Robust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ap data
US6806816B2 (en) 2001-09-24 2004-10-19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Robust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ap data
US6973137B2 (en) * 2001-12-03 2005-12-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robust ATSC 8-VSB bit streams
US7227914B2 (en) * 2001-12-12 2007-06-05 Harris Corporation Automatic gain control for digital signals
US6826235B2 (en) * 2002-01-04 2004-11-30 Itran Communications Ltd. Robust communications system utilizing repetition code and cumulative decoder associated therewith
FI20020108A0 (fi) * 2002-01-21 2002-01-21 Nokia Corp Menetelmõ ja laite polkumetriikoiden muodostamiseksi trelliksessõ
US20030227913A1 (en) 2002-06-05 2003-12-11 Litchfield Communications, Inc. Adaptive timing recovery of synchronous transport signals
JP2004032467A (ja) 2002-06-27 2004-01-29 Sharp Corp パケット通信装置
US7010037B2 (en) 2002-08-06 2006-03-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rate-distortion optimized data partitioning for video coding using backward adaptation
US20040047367A1 (en) * 2002-09-05 2004-03-11 Litchfield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the size of a variable buffer
EP1537745A1 (en) 2002-09-06 2005-06-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acket insertion mechanism for an improved atsc dtv system
JP4361870B2 (ja) 2002-09-06 2009-11-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改善したatscdtvシステムのパラメータ符号化
US7194047B2 (en) * 2002-09-20 2007-03-20 Ati Technologies Inc. Receiver for robust data extension for 8VSB signaling
US7564905B2 (en) 2002-12-20 2009-07-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using single frequency network
GB2396995B (en) 2002-12-30 2005-03-16 Motorola Inc A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ll restoration or handover
US7197685B2 (en) 2003-01-02 2007-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ust signal transmission in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EP3160123B1 (en) 2003-01-21 2020-07-08 Nokia Technologies Oy Digital broadband transmission
US7260109B1 (en) 2003-02-19 2007-08-21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High bandwidth legacy compatible multiplexer framing formats
JP4015054B2 (ja) 2003-04-24 2007-11-28 京セラ株式会社 アダプティブアレーアンテナシステム、無線装置およびアレー出力信号生成方法
KR100698620B1 (ko) * 2003-06-16 2007-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강건한 에러 정정 부호화 장치를 가지는 디지털 송/수신시스템 및 그의 에러정정부호화/정정방법
US7085282B2 (en) 2003-07-01 2006-08-01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rward error correction
US8149939B2 (en) * 2003-07-07 2012-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of robust DTV signal transmissions that legacy DTV receivers will disregard
US7676826B2 (en) * 2003-07-24 2010-03-09 Time Warner Interactive Video Group, Inc. Technique for communicating relatively high and low priority data between a terminal and a remote location
KR100585933B1 (ko) 2003-08-20 2006-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7321788B2 (en) * 2003-09-11 2008-01-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nchronizing RF system
US6771197B1 (en) 2003-09-26 2004-08-03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Quantizing signals using sparse generator factor graph codes
WO2005043783A1 (ja) 2003-10-30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携帯端末向け伝送方法及び装置
EP1528702B1 (en) 2003-11-03 2008-01-23 Broadcom Corporation FEC (forward error correction) decoding with dynamic parameters
US7016409B2 (en) 2003-11-12 2006-03-21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providing dynamic bit rate encoding
EP1533727A1 (fr) * 2003-11-19 2005-05-25 France Telecom Système et procédé de taxation basé sur les services dans un réseau de données en mode paquets utilisant des identifiants dans les en-têtes des paquets
KR100770902B1 (ko) * 2004-01-20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무선 데이터 시스템을 위한 가변 부호율의 오류 정정부호 생성 및 복호 장치 및 방법
US7843959B2 (en) 2004-01-30 2010-11-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rioritising data elements of a data stream
US7995667B2 (en) * 2004-02-13 2011-08-09 Broadcom Corporation Reduced latency concatenated reed solomon-convolutional coding for MIMO wireless LAN
CA2561182A1 (en) * 2004-04-01 2006-01-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television signal with backward compatibility byte
JP2005328334A (ja) 2004-05-14 2005-11-24 Sony Corp 伝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送信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受信装置および方法
JP4594645B2 (ja) 2004-05-14 2010-12-08 日本放送協会 インターリーブ伝送における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KR100667329B1 (ko) 2004-05-20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방송 송수신기 및 그의신호처리방법
MXPA06013327A (es) 2004-05-20 2007-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s de transmision/recepcion de difusion digital aptos de mejorar el desempeno de recepcion y metodo de procesamiento de senales de los mismos.
US8634477B2 (en) 2004-06-05 2014-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tilizing SRS and TRS code to improve receiving performan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0757469B1 (ko) 2004-06-07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성능 향상을 위해 널 패킷 및 trs 코드를 이용한지상파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의 신호처리방법
JP3967338B2 (ja) 2004-06-09 2007-08-29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パケット転送装置
KR100744055B1 (ko) * 2004-06-23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성능 및 등화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의 신호처리방법
KR100929103B1 (ko) * 2004-08-17 2009-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다중분할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고속 순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주파수 할당 장치 및 방법
US7809064B2 (en) * 2004-11-15 2010-10-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ystems and methods of flexible power management applicable to digital broadcasting
MXPA05012227A (es) 2004-11-16 2006-05-31 Lg Electronics Inc Decodificador viterbi de vsb mejorado.
KR101080966B1 (ko) 2004-11-23 2011-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735218B1 (ko) * 2004-12-14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방송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US7822139B2 (en) * 2005-03-02 2010-10-26 Rohde & Schwarz Gmbh & Co. Kg Apparatus,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ducts for providing a virtual enhanced training sequence
US7532857B2 (en) * 2005-03-02 2009-05-12 Rohde & Schwarz Gmbh & Co. K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ime diversity for mobile broadcast services
US7418649B2 (en) * 2005-03-15 2008-08-26 Microsoft Corporation Efficient implementation of reed-solomon erasure resilient codes in high-rate applications
WO2006104519A1 (en) 2005-03-29 2006-10-05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bust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2006126841A1 (en) 2005-05-26 2006-1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viding and using information about inter-layer prediction for video signal
US20070002871A1 (en) 2005-06-30 2007-01-04 Nokia Corporation Padding time-slice frames with useful data
US7894535B2 (en) 2005-08-23 2011-02-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and/or playing multicasted video signals in multiple display formats
EP1768285A1 (en) 2005-09-23 2007-03-28 Udcast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DVB-H (Digital Video Broadcasting - Handheld) compliant transport stream
JP4058067B2 (ja) 2005-09-28 2008-03-05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通信システム
US7804860B2 (en) 2005-10-05 2010-09-2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US7840868B2 (en) 2005-10-05 2010-11-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US8711947B2 (en) * 2005-10-11 2014-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nd a signal processing method using turbo processing and turbo decoding
KR100759002B1 (ko) 2005-10-21 2007-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송신하는 디지털 방송 송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0210B1 (ko) 2005-10-21 200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US7675842B2 (en) 2005-10-28 2010-03-09 Viasat, Inc. Adaptive coding and modulation using linked list data structures
US8054842B2 (en) 2005-10-31 2011-11-08 Alcatel Lucent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and internet service
US7983354B2 (en) * 2005-11-25 2011-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receiver having an improved receiving performan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070140271A1 (en) * 2005-12-21 2007-06-21 Amante Shane M Method and system for terminating SONET/SDH circuits in an IP network
US7826536B2 (en) * 2005-12-29 2010-11-02 Nokia Corporation Tune in time reduction
US7823051B2 (en) 2006-01-03 2010-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07081108A1 (en) 2006-01-13 2007-07-19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7620102B2 (en) 2006-02-06 2009-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JP4571079B2 (ja) * 2006-02-09 2010-10-2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7100185A1 (en) * 2006-02-28 2007-09-0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EP1827009A1 (en) 2006-02-28 2007-08-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encoder and decoder for an improved zapping service for mobile video reception
US8605570B2 (en) * 2006-03-07 2013-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superframe preamble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network
US20070211671A1 (en) * 2006-03-09 2007-09-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flexible preamble and efficient transmission thereof
JP4545109B2 (ja) * 2006-03-28 2010-09-15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経路制御装置
US20070230564A1 (en) 2006-03-29 2007-10-04 Qualcomm Incorporated Video processing with scalability
US7639751B2 (en) * 2006-04-04 2009-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vanced-VSB system (A-VSB)
US8000395B2 (en) 2006-05-24 2011-08-16 Newport Media, Inc. System and method for statistical multiplexing of video channels for DVB-H mobile TV applications
WO2007148863A1 (en) 2006-06-20 2007-12-2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7860128B2 (en) * 2006-06-28 2010-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uncompressed video having a preamble design
BRPI0714678A2 (pt) 2006-07-28 2013-05-07 Qualcomm Inc mÉtodo e equipamento de codificaÇço de dados para sinalizaÇço tipo flash
US7852826B2 (en) * 2006-09-29 2010-12-14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communication MAP information elements in a wireless network
US20080101493A1 (en) * 2006-10-27 2008-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mputing a spatial spreading matrix for space-time cod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005166B2 (en) * 2006-11-14 2011-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using modified 2/3 trellis coding
KR101276863B1 (ko) 2007-04-11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351019B1 (ko) * 2007-04-13 201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BRPI0811587A2 (pt) * 2007-05-16 2015-07-14 Thomson Licensing Aparelho e método para codificar e decodificar sinais
WO2009002303A1 (en) 2007-06-26 2008-12-31 Nokia Corporation Using scalable codecs for providing channel zapping information to broadcast receivers
KR101405971B1 (ko) 2007-07-02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방송신호 처리방법
KR101513283B1 (ko) * 2007-10-15 2015-04-17 톰슨 라이센싱 버스트 모드 활동을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828397A (zh) * 2007-10-15 2010-09-08 汤姆森特许公司 编码和解码信号的装置和方法
FR2924878A1 (fr) * 2007-12-05 2009-06-12 Alcatel Lucent Sas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depuis une infrastructure d'un reseau de radiocommunication vers des equipements utilisateur, et equipements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US8151174B2 (en) 2008-02-13 2012-04-03 Sunrise IP, LLC Block modulus coding (BMC)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 coding with non-binary modul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31814B2 (ja) 2013-10-30
MX2010004148A (es) 2010-05-17
US20100299699A1 (en) 2010-11-25
WO2009051691A2 (en) 2009-04-23
CN101828334A (zh) 2010-09-08
WO2009051693A2 (en) 2009-04-23
JP2011504309A (ja) 2011-02-03
KR101490877B1 (ko) 2015-02-06
EP2201692A2 (en) 2010-06-30
CN107070585A (zh) 2017-08-18
CN107070585B (zh) 2021-05-04
CA2701642C (en) 2016-12-20
US20100296576A1 (en) 2010-11-25
EP2201772A2 (en) 2010-06-30
US9078034B2 (en) 2015-07-07
MX2010004149A (es) 2010-05-17
CA2701642A1 (en) 2009-04-23
CN101828334B (zh) 2016-09-14
KR101513283B1 (ko) 2015-04-17
WO2009051691A3 (en) 2009-10-29
JP2011501562A (ja) 2011-01-06
US9414110B2 (en) 2016-08-09
WO2009051693A3 (en) 2010-04-08
CN101828396A (zh) 2010-09-08
JP5232865B2 (ja) 2013-07-10
KR20100080596A (ko) 2010-07-09
CA2701640C (en) 2016-09-27
CA2701640A1 (en)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283B1 (ko) 버스트 모드 활동을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9087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signals
KR101495934B1 (ko) 신호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00254489A1 (en) Code enhanced staggercasting
JP4668913B2 (ja) 誤り訂正による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の伝送
WO2009064468A1 (en) Code enhanched staggerca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