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064A -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064A
KR20100083064A KR1020090002428A KR20090002428A KR20100083064A KR 20100083064 A KR20100083064 A KR 20100083064A KR 1020090002428 A KR1020090002428 A KR 1020090002428A KR 20090002428 A KR20090002428 A KR 20090002428A KR 20100083064 A KR20100083064 A KR 20100083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ubiquitous
serve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호
Original Assignee
(주) 아이티비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티비엠지 filed Critical (주) 아이티비엠지
Priority to KR1020090002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3064A/ko
Priority to US13/144,071 priority patent/US20110271315A1/en
Priority to EP09837668A priority patent/EP2378771A4/en
Priority to PCT/KR2009/007650 priority patent/WO2010079907A2/ko
Publication of KR2010008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8Remultiplexing multiplex streams, e.g. involving modifying time stamps or remapping the packet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2Monitoring of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bandwidth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16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the channel capacity, e.g. network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8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cable transmission, e.g. using a cable mod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케이블 방송시스템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컨텐츠를 생성하는 유비쿼터스서버와; 케이블네트워크의 사용량 및 컨텐츠 전송 관리를 위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와; 상기 유비쿼터스서버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디지털 케이블 방송신호로 송출하여 상기 컨텐츠를 플렉서블 브라우져가 구동되는 수신단말에서 수신 가능하도록 하는 QAM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비쿼터스, 방송, 컨텐츠, 수신단말, 네트워크.

Description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service in cable broadcasting environment}
본 발명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블 방송 환경에서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를 구현하여 서비스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송통신 융합시대에 있어, 기술의 발전과 시청자의 수요변화에 컨텐츠 공급의 다변화등에 따라 멀티미디어 이용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이를테면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고, 공중파 위주에서 케이블 방송과 위성 방송, 그리고 초고속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공 방식인 소위 IP-TV 서비스, DMB 서비스 등으로 방송 매체가 다양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통신 환경 하에서는 기존의 A/V 방송신호의 전송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디지털 방송 애플리케이션 및 부가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며 또한 네트워크의 연동으로 양방향서비스의 구현과 제공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양방향 서비스들은 TV와 셋톱박스(Set-top box; STB)와 같은 익숙한 수신단말을 통해 시청자가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디지털 방송의 정착 및 서비스 확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방송은 헤드엔드(H/E) 시스템에서 복호화된 A/V와 방송서비스 신호를 지정된 대역폭 내에서 고정 패킷 크기로 분할하여 전송하고 수신기 측에서 다시 결합하여 디지털 방송 서비스로서 처리하게 된다. 이때 다채널 및 많은 프로그램에 대한 처리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을 동시에 처리하게 된다.
특히 수신단말에 저장되지 않는 서비스와 같은 경우 네트워크로 새로이 전체적으로 다운로드를 받고 이를 실행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전송과 그 실행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중간에 패킷이 손실되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단말의 저사양으로 인한 고해상도 및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 또한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현재 디지털방송통신 서비스에 있어, 컨텐츠의 개발과 서비스 이용에 해결하기 어려운 많은 문제가 있다.
서비스 이용을 위한 컨텐츠의 개발에 있어서, 컨텐츠를 수신단말에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가공하여 전달함으로써, 현재 컨텐츠 서비스에 당면한 문제점들, 예를 들어, 오랜 컨텐츠 개발 기간, 매체 간의 기술표준의 다른 이유로 인한 컨텐츠 호환의 어려움, 수신단말의 저사양으로 인한 컨텐츠 용량의 제한, 컨텐츠 실행속도의 저하, 수신단말에서 서비스 컨텐츠 정합의 어려움, 서비스 컨텐츠 변경시 수신단말 내의 사이드 이펙트 발생 및 재정합의 이슈 발생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하고자 한다.
특히, 케이블 방송의 인밴드(Inband) 송출을 통한 1:다(多) 전송 등의 네트워크 대역폭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양방향 방송 시스템을 근간으로 케이블 방송 환경의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1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케이블 방송시스템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컨텐츠를 생성하는 유비쿼터스서버 와; 케이블네트워크의 사용량 및 컨텐츠 전송 관리를 위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와; 상기 유비쿼터스서버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디지털 케이블 방송신호로 송출하여 상기 컨텐츠를 플렉서블 브라우져가 구동되는 수신단말에서 수신 가능하도록 하는 QAM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플랫폼사업자에게는 타방송사의 플랫폼간의 기술표준에 관계없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컨텐츠의 용이한 호환, 이 기술의 적용으로 무한정에 가까운 웹컨텐츠의 용이한 호환(웹사이트 주소만으로 컨텐츠를 찾아 서버에서의 컨버팅이 가능함.), 및 이에 따른 컨텐츠 정보의 통일적인 관리 및 서비스의 제공이 용이하다 (다중 DP 서비스를 제공할 때 서비스별, 시스템별 관리가 필요한데 통일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어, 관리 및 유지비용의 획기적인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방송통신 사업자에게는 컨텐츠를 플랫폼이나 수신단말의 특성에 상관없이 즉시에 적용이 가능하며, CP 및 DP에게 컨텐츠를 수급받는 방법이 간편해지기 때문에 서비스에 대한 정책 및 기획을 쉽게 구성하고 그 용이한 변경이 가능하다.
역으로 CP 및 DP와 같이 컨텐츠를 제공하는 입장에서는 그 동안 일반적인 서비스하나에 수개월의 개발과 사이트정합등 필요이상의 많은 리소스를 투입하였다. 하지만 개발과 정합의 획기적인 단축으로 그간 이중삼중으로 들던 개발비용을 줄여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수신단말에 유비쿼터스서비스를 실행하는 플랙서블브라우져 및 그에 상응하는 모듈하나만으로 유비쿼터스에서 송출하는 컨텐츠의 사용이 가능하다. 수신단말에 서비스를 저장하고 실행해야하는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므로 저사양의 수신단말에 관계없이 컨텐츠의 확장이 가능하다(수신단말의 저장소-메모리, RAM등 하드웨어-의 제약으로 인한 수신단말에 저장되어 서비스 되는 컨텐츠의 제약이 있었으나 이에 대한 제약이 해결된다). 또한 이에 따른 수신단말로 인한 저비용의 예산 확보가 가능하여 플랫폼 사업자는 타매체 대비 서비스비용절감차원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다양한 수신단말 제조사에 따른 정합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종래에는 컨텐츠별 수신단말별 정합이 N*N에 해당하는 수만큼 필요했다. 하지만 플랙서블브라우져의 정합만으로 서비스컨텐츠의 정합이 불필요해지므로 정합기간의 단축과 서비스컨텐츠변경시 여러가지 발생되던 사이드이펙트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용서비스중 서비스변경을 위해 시스템적으로 서비스일시중단과 같은 상황이 발생되었으나 마찬가지로 컨텐츠변경전송만으로 서비스변경이 가능하여 언제나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케이블 네트워크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해져, 네트워크상의 유휴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재분배가 가능해진다. 디지털케이블환경상 물리적인 지역별, 논리적인 서비스그룹별 네트워크장비의 할당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특성상 Triple Play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확대와 이용증진에 따라 네트워크장비와 방송시스템의 증설이 필요하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을 이용하면 실시간적인 네트워크자원의 재분배와 방송시스템의 관리가 가능해져, 계획적인 시스템 및 장비의 증설 및 유지보수가 가능해진다. 또한 케이블방송망의 특성인 HFC망의 특성을 이용해 유휴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동일한 주파수대역으로의 컨텐츠재전송이 가능하게 해 수신단말입장에서의 연속적인 서비스시청이 가능케 한다.
수신단말의 플랙서블브라우져에 플러그인과 같은 다중멀티미디어모듈을 포함시켜 PC기반상의 다양한 멀티미디어자료 및 Application의 서비스제공이 가능하다. Email, Flash, PC상의 각종 OA Application, 게임 Application 등의 처리가 가능하다. 통신분야에서 방송서비스를 침범하는 방통융합시대에 거꾸로 방송분야에서 통신분야의 기능을 제공하는 역전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간소한 유비쿼터스서버모듈의 발급으로 디지털케이블방송에서 개인방송이 가능하다. 방송컨텐츠의 단순한 소비자가 아닌, 정보생산과 제공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프로슈머로서의 능동적인 입장을 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 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의 용어가 여러 가지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설명하는 방송통신 시스템 및 수신 단말장치는 TV를 비롯하여 개인용 컴퓨터, PCTV, 셋탑 박스(Set-Top Box), PVR 또는 DVR 등 방송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모든 장치에 적용되므로, 임의의 특정 시스템 및 하드웨어 구성장치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TV, VOD, AOD, 인터넷 서비스, 디지털 홈서비스 또는 PVR, DVR의 디지털 저장매체를 이용한 단말기로 서비스되는 모든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에 적용되므로 임의의 특정 매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방송통신 융합시대에 있어, 기술의 발전과 시청자의 수요변화에 컨텐츠 공급의 다변화 등에 따라 멀티미디어 이용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이 되고, 공중파 위주에서 케이블 방송과 위성 방송, 그리고 초고속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공 방식인 소위 IP-TV 서비스, DMB 서비스 등으로 방송통신서비스 매체가 다양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중 케이블방송은 네트워크 기술의 한계와 매체의 한계에 의해 영향력이 떨어지는 위성, DMB 등에 비해 케이블 네트워크 인프라와 방송기술의 발달을 바탕으로 아날로그 방송의 디지털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루었다.
케이블방송은 VOD와 같은 on demand 서비스로 새로운 유료서비스모델을 찾고, 지역밀착형 서비스와 Triple Play Service 등의 도입으로 방송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늘일 수 있었다. 하지만. 방송융합시대에 이르러 종합 미디어 플랫폼 사업자를 표방하는 IPTV 통신사업자나 웹컨텐츠 플랫폼사업자의 경쟁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대형 통신사업자와 웹컨텐츠 플랫폼사업자는 지상파 컨텐츠는 물론, 인터넷기반의 컨텐츠 제공과 타매체 간의 다양한 결합상품을 제공하며 방송통신 서비스의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방송과 통신의 경계가 사라지는 방송통신융합시대에 디지털 케이블방송은 새로운 수익모델의 발굴과 열악한 컨텐츠 수급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초기 케이블방송으로 HFC망을 통한 디지털 케이블 TV 방송은 아날로그 TV에 비해 화질과 음질면에서 방송서비스 고품질화를 가능하게 하여 다른 매체보다 뛰어난 품질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 전폭적인 설비투자와 빠른 서비스 정착으로 현재 케이블 HFC망은 방송통신 매체 중 가장 폭넓게 설비되어 상용화되어 있는 매체이다. HFC망의 광대역성과 경제성 바탕으로 국내는 물론 미국 및 중국 등지에서도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고려되어 널리 설비되어 있는 현황이다.
케이블 HFC망은 네트워크 특성상 다른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므로 많은 사람이 동시에사용할 경우 무리한 네트워크 자원 경쟁과 노이즈가 발생되어 전송속도 가 많이 떨어질 수 있다. 종래의 출원한 특허는 양방향컨텐츠의 제공을 위한 방법과 디지털케이블 환경 Inband 송출을 통한 일대다(1:다(多))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웹컨텐츠의 활용과 같은 진정한 일대일(1:1) 매칭 서비스를 위해서는 네트워크 자원경쟁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과 그 방법의 고안이 필요하다.
종래의 네트워크자원경쟁을 해소하기 위한 디지털 케이블 네트워크의 기술로는 셀분할과 대역폭의 확장을 통해 어느 정도 네트워크의 분할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새로운 비즈니스 로직과 응용 소프트웨어의 도입시 네트워크 활용에 대한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HFC망은 광케이블(Optical Fiber)과 동축케이블(Coaxial cable)로 구성된 망으로서 방송국과 광단국(ONU)까지는 광케이블을 이용하고 광단국에서 가입자까지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인터넷, 케이블TV, 방범, 방재, 원격검침, 자동제어)를 전송할 수 있는 광대역 전송망으로서 이론상으로는 6MHZ 대역폭의 1개 채널당 9600bps ~ 30Mbps의 전송속도로 연결할 수 있는 넓은 전송대역을 지원한다.
또한, HFC망은 방송국에서 가입자 중심에 위치한 ONU까지의 광케이블 구간은 Star형으로 구성되고 ONU에서 가입자 댁내까지의 동축케이블 구간은 Tree & Branch형으로 구성된다.광케이블 구간은 광송ㆍ수신장치,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상ㆍ하향 광전송선로를 별도로 구성하고 동축케이블 구간은 동축증폭기(TBA), 수동소자(Splitter, Tap-off 등),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동일 동축케이블에 주파수대를 분리하여 상ㆍ하향 전송로를 구성한다.
HFC시스템에서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분배 센터(Distribution Center)로 부터 옥외형 광 송수신기(이하 ONU)까지는 광케이블을 이용해 전송한다. ONU는 전송된 광신호를 다시 전기신호로 바꾸어 동축케이블을 이용해 각각의 가입자까지 전송하는 장비이다. 기존의 동축전용망과 비교해 보면 방송국과 인접한 셀과 원거리 셀의 품질차가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최근 동축전용망을 급속히 대체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광으로 전송된 방송신호와 데이터신호는 어느 셀에서나 같은 품질을 가지므로 방송국에 수용되는 사입자의 수신품질은 거의 일정하게 된다.
HFC망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은 종전에는 450MHz였다. 그러나 최근 약 80% 정도가 750~870MHz로 업그레이드 됐고 70% 정도가 750MHz 대역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돼 있다. 주파수 대역을 보면 주로 5~42MHz 대역은 상향 신호전송을 위해 할당됐으며 42~54MHz는 보호대역으로 설정돼 있다. 상향에 비해 대역폭이 큰 하향대역은 아날로그 방송을 위해 54~500MHz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서는 500~552MHz를, 디지털방송과 부가서비스를 위해 552~750MHz가 할당됐다. 양방향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864MHz~2GHz는 확장가능 대역으로 개발중이다.
디지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케이블 방송시스템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컨텐츠를 생성하는 유비쿼터스서버(100)와 케이블 네트워크의 사용량 관리 및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 수신단말(300) 내에 위치하며 양방향 서비스를 수신하고 구동하는 플랙서블브라우져(310)를 포함한다.
또한, A/V 및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Head/End(H/E) 시스템(400), 편성정보 및 방송 System Information(SI)정보를 생성하고 전달하는 PSIP/SI 시스템(500), 그리고 디지털 케이블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QAM 시스템(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Head/End 시스템(400)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시스템에서 A/V 및 각종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고 압축다중화하여 디지털 케이블방송 대역폭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PSIP/SI 시스템(500)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시스템의 System Information을 뜻하며, 채널라인업 및 프로그램 편성정보등을 생성하고 이를 전송하여 수신단말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유비쿼터스서버(Ubiquitous Server; UBS SVR; 100)는 양방향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를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 맞게 인코딩하여 케이블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수신단말(300)의 플랙서블 브라우져(310)에서 구동할 수 있게 전달한다. 또한 SMS 및 케이블 방송시스템의 다른 시스템들과 연동하여 수신단말별 개인화정보와 같은 추가적인 데이터의 전달또한 가능하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져(Ubiquitous Network Manager; UBS Manager; 200)는 디지털 케이블방송의 네트워크의 사용에 따른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QAM 시스템(600)의 상태를 모니터링을 하며, 유비쿼터스서버(100)에서 유휴 QAM 장비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을 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유비쿼터스서버(100)의 효율적인 응답을 위해 수신단말(300)의 세션관리를 수행한다.
플랙서블브라우져(Flexible Browser; 310)는 수신단말(300) 내에서 항상 실행되는 형태의 Life Cycle을 갖는 Application으로 유비쿼터스서버(100)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와 통신하여 양방향 서비스를 요청하고 QAM 시스템(600)을 통해 양방향 서비스를 수신받아 이를 실행한다.
도 2는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양방향 컨텐츠를 제공하는 CP 및 PP(710)나 인터넷 컨텐츠 시스템(720)과 같은 외부시스템(700)과 다른 디지털 케이블시스템의 SMS(730) 또는 타 시스템의 연동이 가능하다. 더불어 유비쿼터스 시스템 자체의 확장으로는 Walled Garden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는 Contents Manage System(740)을 언급할 수 있다.
이때, CP 및 PP(710)와 PSIP/SI 시스템(500) 사이에는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공하는 EPG 제공부(EPG Provider; 75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유비쿼터스서버(100)의 상세구성을 설명한다.
유비쿼터스서버(100)의 브라우져 모듈(Browser; 110)은 수신단말(300)의 플랙서블 브라우져(310)의 요청이나, 특정 스케줄에 의해 자동으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가 생성되어야 할 때, 서버(100) 내에서 양방향 서비스에 대한 브라우징을 수행하고 해당 컨텐츠를 수신단말(300)로 송출하기 위한 로우데이터를 생성한다.
월드가든형 컨텐츠인 경우 Cache Manager(120)와 연계하여 로우데이터를 선처리할 수 있다. 인터넷 컨텐츠와 같은 오픈컨텐츠 유형의 서비스는 대부분 실시간 으로 외부 인터넷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브라우징하여 로우데이터를 생성하게된다.
또한 브라우져 모듈(110)에서는 수신단말(300)로 전달한 이전에 생성된 로우데이터와 수신단말(300)의 재요청에 의해 생성될 로우데이터와 비교하여 변경된 영역만 전송하여 서버(100)와 수신단말(300)에서 주고받는 데이터양을 줄임으로써, 네트워크사용량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브라우져 모듈(110)은 동영상, Flash, 각종 Application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와 컨텐츠에 속한 Active X와 같은 다양한 컴포넌트를 구동하기 위한 플러그인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단말(300)의 플랙서블 브라우져(310)의 요청이나, 특정 스케줄에 의해 자동으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등의 서버(100)와 수신단말(300) 내의 컨텐츠전송이 일어날때, 세션메니저(Session Manager; 130)는 서버(100)의 자원관리를 위해 세션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외에 수신단말(300)이나 네트워크의 장애등 예상하지 못한 오류가 발생했을때를 대비하여 서버의 리소스 반환을 위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유비쿼터스서버(100)는 병렬적으로 구성되어 수많은 방송처리를 수행하게 되는데, 다른 서버와 통신하여 다른 서버의 장애발생시 복구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캐쉬 메니저(Cache Manager; 140)는 양방향 서비스의 응답성능 및 서버의 수행작업의 개선을 위해 캐쉬기능을 수행한다. 사용량이 많은 서비스는 캐쉬 메니저(140)에 등록하여 정적인 자료는 인코딩하지 않는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오픈컨텐츠와 같은 경우 인터넷 Proxy기능을 캐쉬메니져에서 수행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서버(100)의 이미지인코더(Image Encoder; 이미지생성부; 150)는 브라우져 모듈(110)에 의해 컨텐츠가 실행이 되면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전송부분(컨텐츠화면, 컴포넌트, binary, text, image 등)을 유비쿼터스시스템의 규약에 맞게 이미지화한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의 규약에는 수신단말(100)의 플랙서블 브라우져(310)의 포커스처리, ticker와 같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text정보, 월드가든 서비스와 같이 서비스의 통일성을 위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용컴포넌트 및 라이브러리와 같은 다양한 규약에 맞게 이미지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이미지인코더(150)는 다양한 컨텐츠종류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데, 브라우져에서 동영상, Flash, 각종 Application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와 컨텐츠에 속한 Active X와 같은 다양한 컴포넌트를 구동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부는 이러한 다양한 컨텐츠를 함께 이미지화하여 수신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압축부(Compressioner; 160)는 네트워크 사용량과 전송시간의 단축을 위해 이미지화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압축화한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양방향 서비스중 유료컨텐츠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내에서 처리되는 데이터가 개인정보, 결제정보등 보안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은 이러한 보안이 필요한 정보를 암호화시켜 해당 수신단말(300)의 플랙서블 브라우져(310)에서만 처리할 수 있도록 암호화부(Scrambler; 170)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암호화하는 데이터는 전체 컨텐츠 일 수 있고, text 데이터등 컨텐츠의 일부 일 수 있다.
권한처리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유비쿼터스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양방향 서비스중 유료컨텐츠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이라는 양방향컨텐츠 묶음에 바둑, 테트리스, 맞고와 같은 개별의 양방향 컨텐츠를 묶어서 유료서비스로 구성하거나, 각 개별서비스를 유료서비스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오픈컨텐츠를 이용하는 권한을 할당하여 유료화 시킬 수 있다. 해당 서비스에 대한 권한은 통상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시스템의 가입자관리시스템의 정보, CAS(Conditional Access System)와 연동하여 처리할 수 있다.
PID 생성기(PSI Generator; 180)에 대하여 설명하면, 유비쿼터스서버(100)에서 생성되어 수신단말(300)로 전달되는 양방향 컨텐츠의 정보는 일반 A/V 와 마찬가지로 MPEG2-TS로 생성되어 전달된다. 양방향 컨텐츠의 데이터는 네트워크메니져(200)에서 할당되는 PID를 기준으로 전송되고, 수신단말(300)은 해당 PID로 필터링하여 양방향 컨텐츠를 실행한다. 통상의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의 System Information Generator(PSIP/SI와 같이 각종 방송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와 연동하여 해당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TS 변환부(TS Packetizer; 190)는 브라우져 모듈(110), 이미지 인코더(150), 압축부(160), 스크램블러(170)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디지털방송으로 송출하기 위해 TS Packet화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전송부(UDP Transmitter; 191)는 TS 변환부(190)에서 생성된 TS Packet Stream을 QAM 시스템(600)의 UDP Port에 전송하여 Broadcasting 될 수 있도록한다. 유비쿼터스서버(100)에서 QAM 시스템(600)로 접속하는 포트는, 유비쿼터스네트워크 메니저(200)에서 디지털 케이블 네트워크상황 (QAM 시스템 장비들의 사용량)을 모니터링하여 전송이 가능한 QAM 시스템(600)의 UDP Port를 유비쿼터스서버(100)로 알려주는 정보이다. 수신단말(300)의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도 해당 QAM 시스템(600)의 대역폭으로 튜닝하여 양방향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다.
이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의 상세구성을 설명한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는 보통 이중화되어 유사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서버세션모니터(SVR Session Monitor; 210) 부분은 플랙서블 브라우져(310)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어 특정 수신단말(300)과 유비쿼터스서버(100)와 양방향 통신을 하게 되면 해당 서버에 Session이 발생했다는 것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처리한다. 유비쿼터스서버(100)는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할 수 있는데, 서버별 자원배분을 수행하며 서버의 장애시 플랙서블 브라우져(310)의 세션을 다른 서버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정보를 갱신해준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을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및 단방향 서비스 제공시 디지털 케이블 네트워크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QAM Port Monitor(220)는 정보송출시 사용되는 QAM 시스템(600) 장비의 포트와 대역폭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플랙서블 브라우져(310)의 요청이나 네트워크 장애 및 대기시간의 초과등 네트워크의 자원을 반납해야할 때 QAM Port Monitor는 관리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갱신하여 새로운 컨텐츠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의 관리데이터베이스(DATABASE; 230)는 서버 별 세션에 대한 정보, QAM 시스템(600) 장비별 네트워크 사용량, 이용가능한 컨텐츠(월드가든서비스와 지정된 오픈컨텐츠에 대해서)의 서비스 ID와 같은 관리정보, PID 정보, QAM Port 및 상태정보 등을 관리한다.
이와 같은 유비쿼터스시스템을 통해 제공가능한 컨텐츠 종류로 양방향 서비스와 단방향 서비스가 있는데, 양방향 서비스의 종류로는 컨텐츠제공자 관점으로 Walled Garden 서비스와 Open Contents(Internet) 서비스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고, 서비스 구동방법의 관점에 따라 독립형서비스, 연동형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
연동형 서비스는 디지털케이블 네트워크 특성상 전송대역폭의 자원의 분배차원에서 다중사용자의 서비스이용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단방향 서비스는 플랫폼 사업자의 임의로 일방적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Ticket 및 공지사항과 같은 정보가 될 수 있다. 서비스 모델상 단방향 서비스에서 양방향 서비스로 연계할 수 있는 기능 또한 제공가능하다.
이하, 수신단말(300) 내에 위치하는 플랙서블 브라우져(310)의 상세구성을 설명한다.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는 수신단말(300) 내에 저장되는 Unbound Application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는, 수신단말(300) 구동시 항상 실행되는 Application으로 유비쿼터스시스템을 이용한 양방향, 단방향 서비스를 실행 및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Filter(311)는 수신단말(300)의 플랙서블 브라우져(310)가 유비쿼터스서버(100)로부터 전달되는 서비스 컨텐츠가 전송되는 대역폭에 있을 경우, 해당 대역 폭으로 수신되는 MPEG2-TS의 PID를 필터링한다. 이때, PID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로부터 전달받은 PID일 수 있다.
Parser(312)는 필터링된 PID의 서비스 컨텐츠를 파싱하여 자료별로 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비쿼터스서버(100)의 이미지인코더(150)에서 생성되는 각 정보까지 조합할 수 있다.
프로토콜관리부(Protocol Manager; 313))는 유비쿼터스서버(100)에서 생성된 이미지 및 데이터를 프로토콜에 맞게 처리한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의 규약에는 수신단말(300)의 플랙서블 브라우져(310)의 포커스처리, ticker와 같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text 정보, 월드가든 서비스와 같이 서비스의 통일성을 위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용컴포넌트 및 라이브러리와 같은 다양한 규약이 있을 수 있는데 유비쿼터스서버(100)의 이미지인코더(150)와 반대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플랙서블 브라우져(310)의 컨텐츠관리부(Contents Manage Module; 314)는 수신받은 서비스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한다. 수신받은 서비스의 컨텐츠의 Life Cycle 정보가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이면 자동으로 화면상에 출력하고 대기상태로 있는 것이면 시청자의 외부입력이 있기전까지 대기상태로 있는 등의 처리를 한다. 또한 서비스시작시, 종료시에 대한 요청을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로 전달한다. 동시에 수신단말(300)의 리소스에 대한 처리도 함께 수행한다.
TV 화면상에 서비스가 표시되고 시청자가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방송 특성상 서비스 화면에서 포커스 처리가 유용해야한다. 포커스 이동에 대한 입력처리가 즉각적으로 일어나야 서비스 이용에 불편이 없으므로 포커스 처리에 대한 모듈인 포 커스처리부(Focus Handler; 315)를 따로 두어 이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마우스와 리모콘으로 제어하는 PC 기반의 서비스와 다르게 통상 방송서비스는 리모콘의 방향키와 숫자버튼및 특정기능키 만으로 제어가 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이 상/하/좌/우 방향키로 되기 때문에 오픈컨텐츠와 같은 네비게이션이 자유로운 컨텐츠는 입력포커스가 가능한 부분만 포커싱이 가능하게 포커스 ID와 포커스 입력순위와 좌표위치를 할당하여 상/하/좌/우를 선택함에 따라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포커스가 이동하게 처리한다. 포커싱정보는 유비쿼터스서버(100)의 인코딩시점에 프로토콜에 맞게 인코딩된다.
또한 입력시마다 포커스가 반응하고 화면에 안보이는 정보가 실시간으로 갱신되어야 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때 포커스처리부(315)는 이미지메니지모듈(316)과 연계하여 저장가능한 다량의 정보를 저장하여 안정적인 네비게이션을 수행한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중 특히 양방향 서비스는 요청과 응답을 반복하며 자료를 서버에서 생성하여 수신단말(100)로 전달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빈번한 요청과 응답은 시청자로 하여금 응답속도 저하의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는데, 플랙서블 브라우져(310)의 이미지메니지모듈(Image Manage Module; 316)은 이러한 성능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이 빈번한 공통모듈(이미지, 라이브러리 등)은 이미지메니지모듈(316)에서 관리하며 새로 다운로드 하지 않고 바로 수신단말(300)의 메모리에서 읽어서 처리할 수 있다.
오픈컨텐츠와 같은 서비스와 같은 경우 히스토리저장 기능을 두어 이전에 시청했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시청자가 이전화면을 호출하면 서버에서 재수신 받지 않고 바로 메모리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넷과 같은 오픈컨텐츠 서비스의 특성상 다양항 멀티미디어 정보가 서비스될 수 있다. 각종 이미지, text, 인터넷동영상, Flash, ActiveX 및 Pay Gate와 같은 결재모듈 등을 플러그인(Plug-in; 317) 형태로 플랙서블 브라우져(310)에 내장하여 서비스 할 수 있다.
인터넷 컨텐츠 이외에 PC상에서 실행가능한 모든 서비스 및 Application이 적용이 가능하다. 플랙서블 브라우져(310)에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를 실행모듈이 존재하고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는 유비쿼터스서버(100)에서 Encapsulation하여 MPEG2-TS로 변환되어 수신단말(300)로 전송된다. 플랙서블 브라우져(310)의 기능을 통해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해당 실행모듈은 저장한 멀티미디어정보를 실행한다.
수신단말(300)의 특정 메모리 영역을 플랙서블 브라우져(310)의 가용한 영역으로 사용한다. 해당 메모리(Memory; 318)에 이미지및 각종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필요시마다 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리소스반납을 적절한 시기에 수행한다.
한편, 이와 같은 시스템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략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유비쿼터스서버(100)는 브라우저 모듈(101), 이미지인코더(102), 세션 메니져(103), 압축기(104), 및 전송부(10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신단말(300)에 포함되는 플렉서블 브라우져(320)는 필터부(321), 프로토콜관리부(322), 컨텐츠관리부(323), 및 포커스핸들러(3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일예로 Walled Garden형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는 Contents Manage System(CMS; 701) 및 인터넷(701)과 같은 외부 시스템(700)을 추가할 수 있다. CMS(701)은 CP, PP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를 관리하며, 유료 및 결제정보 등도 관리할 수 있다. 이외 인터넷(702)과 같은 오픈컨텐츠의 구성 또한 가능하며 각 컨텐츠는 유비쿼터스서버(100)의 브라우져 모듈(101)에 의해 요청되며 실행된다. 이외에 가입자관리시스템(Subscript Management System; SMS)이나 다른 기간계 시스템과의 연동도 가능하다.
유비쿼터스서버(100)의 브라우져 모듈(101)은 수신단말(300)의 플랙서블 브라우져(320)의 요청이나, 특정 스케줄에 의해 자동으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가 생성되어야 할 때, 서버(100) 내에서 양방향 서비스에 대한 브라우징을 수행하고 해당 컨텐츠를 수신단말(300)로 송출하기 위한 로우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브라우저 모듈(101)은 도 2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수신단말(300)의 플랙서블 브라우져(320)의 요청이나, 특정 스케줄에 의해 자동으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등의 서버(100)와 수신단말(300) 내의 컨텐츠 전송이 일어날때, 세션메니저(103)는 서버의 자원관리를 위해 세션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외에 수신단말(300)이나 네트워크의 장애 등 예상하지 못한 오류가 발생했을 때를 대비하여 서버의 리소스반환을 위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유비쿼터스서버(100)는 병렬적으로 구성되어 수많은 방송처리를 수행하게 되는데, 다른 서버와 통신하여 다른 서버의 장애발생시 복구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세션메니저(103)는 양방향 서비스의 응답성능 및 서버의 수행작업의 개선을 위해 캐쉬기능을 수행한다. 사용량이 많은 서비스는 세션메니저(103)에 등록하여 정적인 자료는 인코딩하지 않는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오픈컨텐츠와 같은 경우 인터넷 Proxy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서버(100)의 이미지인코더(102)는 브라우져 모듈(101)에 의해 컨텐츠가 실행이 되면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전송부분(컨텐츠화면, 컴포넌트, binary, text, image 등)을 유비쿼터스시스템의 규약에 맞게 이미지화한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의 규약에는 수신단말(300)의 플랙서블 브라우져(320)의 포커스처리, ticker와 같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text정보, 월드가든 서비스와 같이 서비스의 통일성을 위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용 컴포넌트 및 라이브러리와 같은 다양한 규약에 맞게 이미지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이미지인코더(102)는 다양한 컨텐츠 종류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데, 브라우져 모듈(101)에서 동영상, Flash, 각종 Application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와 컨텐츠에 속한 Active X와 같은 다양한 컴포넌트를 구동할 수 있다. 이미지인코더(102)는 이러한 다양한 컨텐츠를 함께 이미지화하여 수신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유비쿼터스서버(100)에서 생성되어 수신단말(300)로 전달되는 양방향 컨텐츠의 정보는 일반 A/V 와 마찬가지로 MPEG2-TS로 생성되어 전달된다. 양방향컨텐츠의 데이터는 네트워크메니져(200)에서 할당되는 PID를 기준으로 전송되고, 수신단말(300)은 해당PID로 필터링하여 양방향컨텐츠를 실행한다. 이때 PID처리를 함께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의 System Information Generator(PSIP/SI와 같이 각종 방송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와 연동하여 해당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압축부(104)는 네트워크 사용량과 전송시간의 단축을 위해 이미지화한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압축화한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양방향서비스중 유료컨텐츠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내에서 처리되는 데이터가 개인정보, 결제정보등 보안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은 이러한 보안이 필요한 정보를 암호화시켜 해당 수신단말의 플랙서블 브라우져(320)에서만 처리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한다. 압축부는 이러한 암호화처리를 함께 수행할 수 도 있다. 암호화하는 데이터는 전체 컨텐츠 일 수 있고, text 데이터 등 컨텐츠의 일부 일 수 있다.
권한처리에 대한 부연 설명은 다음과 같다. 즉, 유비쿼터스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양방향 서비스 중 유료컨텐츠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이라는 양방향 컨텐츠 묶음에 바둑, 테트리스, 맞고와 같은 개별의 양방향 컨텐츠를 묶어서 유료서비스로 구성하거나, 각 개별서비스를 유료서비스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오픈컨텐츠를 이용하는 권한을 할당하여 유료화시킬 수 있다. 해당 서비스에 대한 권 한은 통상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시스템의 가입자관리시스템의 정보, CAS(Conditional Access System)와 연동하여 처리할 수 있다.
전송부(105)는 이미지 및 프로토콜화되어 전달된 로우데이터를 압축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디지털방송으로 송출하기 위해 TS Packet화하여 수신단말(300)로 송출할 수 있도록한다.
이러한 전송부(105)는 이미지인코더(102)에서 생성된 TS Packet Stream을 QAM 시스템(600) 장비의 UDP Port에 전송하여 Broadcasting 될 수 있도록 한다. 유비쿼터스서버(100)에서 QAM 시스템(600) 장비로 접속하는 포트는, 유비쿼터스네트워크메니저(200)에서 디지털 케이블 네트워크상황(QAM 시스템(600) 장비들의 사용량)을 모니터링하여 전송이 가능한 QAM 시스템(600) 장비의 UDP Port를 유비쿼터스서버(100)로 알려주는 정보이다. 수신단말(300)의 플랙서블 브라우져(320)도 해당 QAM 시스템(600) 장비의 대역폭으로 튜닝하여 양방향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다.
이하, 플렉서블 브라우져(32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수신단말(300)의 플랙서블 브라우져(320)는 유비쿼터스서버(100)로부터 전달되는 서비스 컨텐츠가 전송되는 대역폭에 있을 경우. 해당 대역폭으로 수신되는 MPEG2-TS의 PID를 필터링한다. PID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로부터 전달받은 PID이다.
필터부(321)는 PID를 기준으로 스트림을 필터하고 유비쿼터스서버(100)로부터 수신받는 서비스 정보를 파싱하여 자료별로 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비쿼터스서버(100)의 이미지인코더(102)에서 생성되는 각 정보까지 조합한다.
프로토콜관리부(322)는 유비쿼터스서버(100)에서 생성된 이미지 및 데이터를 프로토콜에 맞게 처리한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의 규약에는 수신단말(300)의 플랙서블 브라우져(320)의 포커스처리, ticker와 같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text정보, 월드가든 서비스와 같이 서비스의 통일성을 위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용 컴포넌트 및 라이브러리와 같은 다양한 규약이 있을 수 있는데 유비쿼터스서버(100)의 이미지인코더(102)와 반대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넷과 같은 오픈컨텐츠 서비스의 특성상 다양항 멀티미디어 정보가 서비스될 수 있다. 각종 이미지, text, 인터넷동영상, Flash, ActiveX 및 Pay Gate와 같은 결재모듈 등을 해당 프로토콜을 확장하는 형태로 플랙서블 브라우져(320)에 내장하여 서비스 할 수 있다. 인터넷 컨텐츠 이외에 PC 상에서 실행가능한 모든 서비스 및 Application이 적용이 가능하다.
플랙서블 브라우져(320)에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를 실행하는 프로토콜과 모듈이 존재하고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는 유비쿼터스서버(100)에서 Encapsulation하여 MPEG2-TS로 변환되어 수신단말(300)로 전송된다. 플랙서블 브라우져(320)의 기능을 통해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해당 실행모듈은 저장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실행한다.
플랙서블 브라우져(320)의 컨텐츠관리부(323)는 수신받은 서비스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한다. 수신받은 서비스의 컨텐츠의 Life Cycle 정보가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이면 자동으로 화면상에 출력하고 대기상태로 있는 것이면 시청자의 외부입력이 있기전까지 대기상태로 있는 등의 처리를 한다. 또한 서비스 시작시, 종료시에 대한 요청을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로 전달한다. 동시에 수신단말(300)의 리소스에 대한 처리도 함께 수행한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중 특히나 양방향 서비스는 요청과 응답을 반복하며 자료를 서버에서 생성하여 수신단말로 전달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빈번한 요청과 응답은 시청자로 하여금 응답속도 저하의 불편함을 야기한다. 플랙서블 브라우져(320)의 컨텐츠관리부(323)는 이러한 성능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선택적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이 빈번한 공통모듈(이미지,라이브러리 등)은 수신단말(300)의 메모리에 관리하며 새로 다운로드 하지 않고 바로 읽어서 처리한다.
TV 화면 상에 서비스가 표시되고 시청자가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방송 특성상 서비스화면에서 포커스 처리가 유용해야한다. 포커스 이동에 대한 입력처리가 즉각적으로 일어나야 서비스 이용에 불편이 없으므로 포커스처리에 대한 모듈인 포커스핸들러(324)를 두어 이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마우스와 리모콘으로 제어하는 PC 기반의 서비스와 다르게 통상 방송서비스는 리모콘의 방향키와 숫자버튼및 특정기능키만으로 제어가 된다. 네비게이션이 상/하/좌/우 방향키로 되기 때문에 오픈컨텐츠와 같은 네비게이션이 자유로운 컨텐츠는 입력포커스가 가능한 부분만 포커싱이 가능하게 포커스 ID와 포커스입력순위와 좌표위치를 할당하여 상/하/좌/우를 선택함에 따라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포커스가 이동하게 처리한다.
포커싱정보는 유비쿼터스서버(100)의 인코딩시점에 프로토콜에 맞게 인코딩 된다. 또한 입력시마다 포커스가 반응하고 화면에 안보이는 정보가 실시간으로 갱신되어야 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때 포커스핸들러(324)는 이미지메니지모듈과 연계하여 저장가능한 다량의 정보를 저장하여 안정적인 네비게이션을 수행한다.
이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서버세션모니터(SVR Session Monitor; 210) 부분과 QAM Port Monitor(220) 부분이 하나의 상태모니터(201)로 통합된 것이 다르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의 관리데이터베이스(DATABASE; 202)는 서버별 세션에 대한 정보, QAM 시스템(600) 장비별 네트워크 사용량, 이용가능한 컨텐츠(월드가든서비스와 지정된 오픈컨텐츠에 대해서)의 서비스 ID와 같은 관리정보, PID 정보, QAM Port 및 상태정보 등을 관리하며, 도 2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4에서 도시하는 프로세스 및 처리도는 상술한 유비쿼터스시스템을 이용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서비스 응답속도와 시스템의 보다 나은 성능을 위해 동기적, 비동기적으로 처리 될 수 있다
1. 채널튜닝
시청자는 외부입력장치를 통해 서비스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단말로 전달하며, 수신단말은 플랙서블 브라우저(310)에 해당 신호를 전달한다.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양방향 서비스가 전달되는 채널로 튜닝한다
튜닝되는 채널에는 양방향 서비스에 대한 실행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이 정보를 플랙서블 브라우져가 필터링 한다.
2. Filter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수신하고 있는 채널의 TS를 필터링한다. 시청하고 있는 채널의 PID와 프로그램의 Program Number를 기준으로 양방향 서비스 실행정보가 있는지 필터링(Filtering)한다.
이와 같이 Filtering하여 양방향 서비스 실행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다음 프로세스로 넘어간다. 양방향 서비스 실행정보가 없다면, 일반적인 TV 시청절차를 수행한다.
양방향 서비스 실행정보는 유비쿼터스서버(100)에서 생성되어(MPEG2-TS) QAM 시스템(600)으로 전달된다. 다른 디지털 케이블 System Information과 Mux되어 전달될 수 있다.
양방향 서비스 실행정보는 서비스의 타입(양방향, 단방향) 서비스 종류, 서비스 ID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추후 양방향 서비스 실행정보는 컨텐츠를 편성하는 시스템에서 제공될 수 있다.
3. 서비스확인요청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로 서비스 확인 요청을 수행한다.
서비스 확인 요청을 수행할 때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현재 시청하는 채널의 TSID, Frequency, Program Number, ServiecID, URL, 수신단말의 MacAddress 정보 등을 전송한다.
URL 정보는 오픈컨텐츠의 경우 Service ID가 없는 인터넷 컨텐츠의 URL을 바로 요청할 때 필요하다.
서비스확인 요청을 수행함으로써, 수신단말에서는 양방향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안전한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으며, 유비쿼터스서버(100) 단에서는 네트워크 리소스에 대한 재분배가 가능해진다. 더불어, 서비스(컨텐츠)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져(200)의 관리 DB에는 QAM 시스템(600) 장비별 포트 및 네트워크 사용량의 정보와 유비쿼터스서버(100)의 세션정보 그리고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 관리정보가 존재한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져(200)의 관리 DB의 내용과 유비쿼터스서버(100)의 관리DB의 내용은 동기화되어 있다.
4. 네트워크 정보 전달 및 무결성 확인요청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는 유비쿼터스서버(100)로 네트워크 전송 가능한 QAM 시스템(600) 정보를 전달한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져(200)는 유비쿼터스서버(100)로 해당 양방향 컨텐츠의 무결성을 확인 요청한다. 전달하는 정보는 QAM Port, ServiceID, PID, Mac Address, URL 정보 등이 있다.
플랙서블 브라우져(310) 입장(시청자 입장)에서 응답대기상 해당 흐름은 비동기적으로 수행된다.
4.1 컨텐츠확인
시청권한에 대한 확인을 수행한다.
유비쿼터스서버(100)는 무결성 확인요청이 들어온 컨텐츠에 대해 서비스가 가능한지 확인한다. 해당 컨텐츠가 서비스가능하다면, 유비쿼터스서버(100)에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한다.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가 없다면 유비쿼터스서버(100)는 빠른 응답을 위해 인코딩작업을 수행한다.
항상 서비스가 가능한 월드가든형태의 컨텐츠는 서비스 구성요소별로 인코딩된 이미지데이터를 관리하고 있다.
인터넷 컨텐츠와 같은 오픈컨텐츠 형태의 컨텐츠는 요청이 들어왔을 때 인코딩작업을 수행하므로 인코딩시점을 3.2 컨텐츠확인시 이후로 설정한다.
사용량이 빈번한 오픈컨텐츠는 Cache 정책을 사용하여 미리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서비스를 요청한 수신단말(시청자)의 시청권한과 해당 컨텐츠의 권한을 비교하여 시청권한에 대한 응답결과를 전달한다.
4.2 무결성응답
유비쿼터스서버(100)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로 무결성 확인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달한다. 응답결과로 서비스가능 정보가 전달되면, 정상적으로 다음 절차를 수행한다. 응답결과가 서비스 가능하지 않은 오류코드가 전달되면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오류코드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성공적인 응답결과는 컨텐츠에 대한 정상확인과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는 권한확인 결과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오류코드의 구분의 예는 다음과 같다. 즉, 200: 시청권한 없음으로 서비스 이용불가, 300: 서비스 이용기간 만료, 500: Internal Server Error, 404: Not Found 알수없는 오류 등이다.
4.3 인코딩
유비쿼터스서버(100)는 Cache하고 있지 않은 컨텐츠에 대해서 인코딩작업을 수행한다.
유비쿼터스서버(100)에서 컨텐츠를 인코딩하는 세부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유비쿼터스서버(100)의 브라우져 모듈에서 컨텐츠 실행한다. 이때, 다음과 같은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 실행된 화면을 이미지로 인코딩
- 포커스 이동가능한 영역, 단순 이미지영역 구분하여 인코딩
- 이미지를 압축 & 필요하다면 암호화
- MPEG2-TS로 변환
이때, 암호화하는 부분은 외부 송출시스템에서 직접 수행할 수 있다.
5. 서비스 확인응답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는 서비스 확인요청에 대한 결과를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로 전달한다. 전달되는 정보로는 서비스컨텐츠가 전송될 대역폭의 정보와 서비스 생성을 하는 유비쿼터스서버(100)의 정보를 가 포함된다.
전달하는 정보로 유비쿼터스서버(100) IP, QAM(600) Port, PID, URL 등을 포함한다.
6. 서비스요청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서비스요청을 수행한다.
7. 접속
유비쿼터스서버(100)는 QAM 시스템(600)에 접속한다. 위의 4.네트워크정보전달 절차에서 전달받은 QAM Port에 접속한다.
8. 서비스전달
유비쿼터스서버(100)는 QAM 시스템(600) 장비에 접속한 Port로 인코딩된 컨텐츠 정보를 MPEG-2 TS로 전달한다.
9. 서비스전달
QAM 시스템(600) 장비는 해당 대역폭으로 MPEG2-TS를 송출한다.
10. 채널튜닝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양방향 서비스가 송출되는 주파수의 채널로 튜닝한다.
11. Filter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양방향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는 채널의 PID를 Filtering하여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한다.
해당 PID는 유비쿼터스서버(100)의 Packetize시 임의의 PID로 생성한다. 이 생성된 PID로 Filtering한다. 양방향 컨텐츠별 PID를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져(200)와 유비쿼터스서버(100)가 서로 공유한다.
12. Display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수신한 양방향 컨텐츠를 수신단말에서 구동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도 5 및 도 6과 같은 화면도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채널튜닝
수신단말이 양방향 서비스가 전달되는 100번 채널로 이동한다.
Filter
플랙서블 브라우져는 현재 수신중인 채널의 스트림중 양방향서비스 실행정보가 존재하는지 필터링한다. 필터링결과 양방향 서비스 실행정보가 있다면, 양방향 서비스타입에 맞게 서비스실행을 위한 Trigger(330) 처리를 수행한다. 도 4의 예에서는 Trigger(330)가 화면 좌측상단에 빨간키를 표시하여 시청자로 하여금 빨간키를 눌러 현재보고 있는 프로그램의 연동형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하는 시나리오이다.
서비스확인요청
시청자가 Trigger(330)를 인지하고 양방향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외부입력을 선택하면, 플랙서블 브라우져는 리턴패스를 통해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로 서비스 확인요청 정보를 전달한다. 수신단말이 위치한 네트워크 정보와 수신단말의 고유정보, 시청하고 있는 채널정보 그리고 실행하고자하는 서비스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네트워크정보전달 및 무결성 확인요청
서비스 확인요청을 전달받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는 유비쿼터스서버로 네트워크정보와 실행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무결성확인을 요청한다. 유비쿼터스서버 로 전달하는 네트워크의 정보는 현재 가용한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하고 실행정보가 인코딩되어 MPEG2-TS로 전달될때 수신단말에서 처리할 PID 값과 실행하고자하는 서비스정보를 전달한다.
컨텐츠확인
유비쿼터스서버는 요청받은 서비스에 대해 캐쉬존재확인, 무결성확인, 권한확인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수신단말로 정상적으로 서비스정보를 송출할 수 있으면 수신단말로 정상적인 확인응답코드를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서비스확인 응답
유비쿼터스네트워크메니저는 수신단말의 플랙서블브라우져에 가용한 네트워크정보와 유비쿼터스서버의 정보와 송출되어 전달되는 서비스의 PID 값을 전달한다. 서비스컨텐츠의 무결성확인 응답도 처리한다.
이때, 연동형 서비스 특성상 예에서 표시된 화면좌측의 Trigger(330) 표시는 해당 프로그램의 스케줄에 따라 처리된다. 해당 프로그램의 이벤트정보가 끝나는 시간에 Trigger(330)도 같이 종료된다
물론 연동형 서비스의 실행정보가 전달되는 100번 채널을 이동하여 다른 채널로 가게되면 Trigger(330) 표시는 플랙서블 브라우져에 의해 제거처리가 된다.
플랙서블 브라우져 서비스 다운로드 예시를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1. 채널튜닝
수신단말이 양방향서비스가 전달되는 100번 채널로 이동한다.
2. 인코딩
유비쿼터스서버는 송출하기 위한 컨텐츠를 인코딩한다. 컨텐츠하기 위한 여러 종류 데이터의 인코딩, 서비스실행과 다른 서비스로 연결을 하기 위한 링크정보, 포커스처리에 대한 정보등 각종 정보를 프로토콜화하여 인코딩한다.
사용이 빈번한 컨텐츠인 경우 인코딩절차를 간소화하고 응답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서비스별, 데이터타입별로 캐쉬기능을 사용한다. 유비쿼터스서버 내에서는 인코딩한 정보를 압축화하고 암호화하고 MPEG2-TS 패킷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거친다.
3. 서비스요청
수신단말의 플랙서블 브라우져는 유비쿼터스서버로 해당서비스의 송출요청을 전달한다.
4. 접속 및 전달
유비쿼터스서버는 QAM 시스템 장비의 정의된 포트로 생성한 서비스 스트림을 전달한다.
5. 서비스송출
QAM 시스템 장비는 지정된 대역폭으로 서비스 스트림을 송출한다.
6. Filter
플랙서블 브라우져는 정의된 PID를 필터링하여 유비쿼터스서버에서 생성되어 QAM 시스템 장비를 통해 송출되는 컨텐츠 스트림을 필터링한다.
7. Display
플랙서블 브라우져는 필터링 및 파싱처리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실행시킨다.
Trigger를 통해 연동형 서비스를 실행요청하여 유비쿼터스서버로부터 생성된 연동형 서비스를 수신받아 플랙서블 브라우져는 화면상에 출력한다.
도 6의 예시화면은 연동형 서비스로 기존에 시청하고 있는 A/V를 서비스화면 특정영역으로 PIP(Picture In Picture)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해당 연동형 컨텐츠 서비스는 URL이나 CDS 채널주소를 할당받을 수 있다. 화면우측의 D1115로 표시된 부분은 CDS채널주소(340)로서, 해당주소를 직접 입력하게 되면 해당 연동형 컨텐츠 서비스가 송출되는 채널로 직접 이동하여 A/V와 연동형 서비스를 바로 이용할 수 있다(CDS(채널 도메인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과 방법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특허출원에 자세히 나타나있으며 10-2003-0078155, 10-2004-0064160, 10-2004-0072420, 10-2005-0004949가 그것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경되는 정보(Trigger나 공지사항 등과 같은 variable한 text)는 유비쿼터스서버에서 독립적인 데이터모듈로 프로토콜화되어 전달되어 해당 영역만 변경되어 표시되는 처리가 가능하다.
한편, 양방향 서비스 사용중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처리방법으로서 플랙서블 브라우져 서비스 튜닝 및 종료가 가능하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을 통해 양방향 서비스 이용 중 다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수신단말의 응답속도와 유비쿼터스서버 및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수행한다.
도 7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각 프로세스 및 처리는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서비스 응답속도와 시스템의 보다 나은 성능을 위해 동기적, 비동기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1. 서비스전달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유비쿼터스서버(100)를 통해 양방향 서비스 및 단방향 서비스를 수신받고 있는 상태이다.
2. 서비스 이용 및 선택
시청자는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한다.
컨텐츠의 시나리오와 네트워크의 활용가능한 자원이 있다면, 채널튜닝이나 필터링변경 처리를 하지 않고 수신하고 있는 대역폭의 PID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
컨텐츠 시나리오와 네트워크의 활용가능한 자원이 부족한 경우 전달되는 서비스의 컨텐츠가 다른 대역폭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3번 절차의 서비스변경요청을수행한다.
(예로서, 양방향 서비스 사용중 화면에 다른 서비스로 이동하는 링크가 표시되어 있을 때, 시청자가 해당 링크를 선택하여 다른 서비스의 컨텐츠를 다른 대역폭으로 수신받는 경우가 있다.)
서비스 이용시 수신단의 플랙서블 브라우져(310)와 유비쿼터스서버(100)의 접속은 접속상태 정보로 관리가 되며, 채널튜닝 및 주파수변경이 필요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계속해서 동일한 주파수 및 PID로 전송이 된다. 이 방법은 수신단말에서의 채널튜닝이나 필터링 작업을 하지 않음으로써, 컨텐츠 사용시 발생되는 연속적인 요청에 효율적인 응답이 가능케한다.
3. 서비스변경요청
서비스 변경 요청시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시청하고 있던 채널의 TSID, Frequency, Program Number와 이용 요청을 하는 컨텐츠의 서비스 ID, (서비스 ID가 없는 오픈컨틴츠인 경우 URL), Service Tag 등을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로 전달한다.
서비스 다운로드 절차(1.1 플랙서블 브라우져 서비스 다운로드)의 서비스확인요청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값을 전달한다. Service Tag값은 요청하는 서비스의 네트워크 변경요청을 수행해야 하는지 아니면 네트워크 변경요청 없이 수신받는 네트워크와 동일한 네트워크로 전송가능한지 구분하는 정보이다.
4. 접속변경 및 무결성확인요청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는 서비스 변경요청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여 QAM Port와 PID 정보를 유비쿼터스서버(100)로 전달한다.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로부터 받은 Service Tag정보에 대역폭 변경이 필요없음이 표시되어 있고 QAM 시스템(600) 장비의 해당 대역폭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상태면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는 유비쿼터스서버(100)로 QAM 포트정보를 동일하게 전달하며 PID도 동일하게 전달한다.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로부터 받은 Service Tag정보가 대역폭 변경이 필요하거나, QAM 시스템(600) 장비의 해당 대역폭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의 값이면,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는 이전에 사용하던 QAM 시스템(600)의 정보, PID와 앞으로 사용할 QAM 시스템(600) 장비의 정보, PID 정보를 전달한다.
4.1 컨텐츠확인
4.2 무결성응답
4.3 인코딩
5. 서비스 확인응답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는 서비스 확인요청에 대한 결과를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로 전달한다. 전달되는 정보로는 서비스 컨텐츠가 전송될 대역폭의 정보와 서비스 생성을 하는 유비쿼터스서버(100)의 정보가 포함된다.
전달하는 정보로 유비쿼터스서버(100) IP, QAM Port, PID, URL 등을 전달한다. 정보변경으로 인해 전송 네트워크의 정보가 변경되면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6. 접속해제
접속변경요청으로 인해 기존에 전송하던 네트워크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하게 되면, 기존에 전송하던 네트워크의 자원을 반환처리 할 수 있도록 유비쿼터스서버(100)는 QAM 시스템(600) 장비에 해당 포트로의 연결을 해제한다..
접속변경요청에 기존 네트워크 정보를 동일하게 사용하게 되면 동일한 네트워크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이므로, 6번, 7번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전송변경에 따른 인코딩된 정보등의 필요없는 자원의 반환처리를 수행한다.
7. 접속
유비쿼터스서버(100)는 새로 할당된 QAM 시스템(600)에 접속한다. 즉, 4.접속변경요청 및 무결성확인요청 절차에서 전달받은 QAM Port에 접속한다.
8. 서비스요청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유비쿼터스서버(100)로 변경요청한 서비스의 컨텐츠 전송을 요청한다.
9. 서비스전달
유비쿼터스서버(100)에서 인코딩된 스트림은 지정된 QAM 시스템(600)으로 전달된다.
10. 서비스전달
QAM 시스템(600)은 지정된 대역폭으로 서비스 컨텐츠를 송출한다.
11. 채널튜닝
전송되는 정보가 새로운 대역폭으로 전송되는 것이면,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로부터 전달받은 새로운 대역폭으로 채널튜닝을 수행한다.
12. 필터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양방향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는 채널의 PID를 Filtering하여 양방향 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한다.
해당 PID는 유비쿼터스서버(100)의 Packetize시 임의의 PID로 생성한다. 이 생성된 PID로 Filtering한다. 양방향 컨텐츠별 PID를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져(200)와 유비쿼터스서버(100)가 서로 공유한다.
13. Display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수신한 컨텐츠를 수신단말에서 구동한다.
14. 종료
시청자의 의도나 컨텐츠의 스케줄에 의해 컨텐츠가 종료되는 시점에 서비스 종료 이벤트가 발생한다.
시청자의 외부입력장치를 통해 나가기 버튼이나 다른 서비스의 핫키 등을 선택해 수신단말에서 해당 컨텐츠를 종료할 수 있다. 또는 연동형 서비스와 같이 스케줄에 연동된 서비스인 경우 실행스케줄이 종료되는 시점에 유비쿼터스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가 종료된다.
플랙서블 브라우저(310)는 서비스 종료시 수신하여 실행하고 있는 컨텐츠를 종료하고 수신단말의 자원에 대해 반환처리를 수행한다.
15. 서비스종료요청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플랙서블 브라우져(310)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로 서비스 종료 요청을 전달한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로 전달되는 데이터에 의해 유빈쿼터스서버(100)와 QAM 시스템(600)은 컨텐츠 송출을 위한 자원을 반납처리할 수 있다.
종료요청으로 전달하는 데이터는 TSID, Frequency, Program number, Service ID, URL, Mac Address 등이 된다.
16. 접속종료요청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는 관리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는 네트워크자원과 유비쿼터스서버(100)의 정보를 갱신하여 새로운 컨텐츠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200)는 유비쿼터스서버(100)로 해당 서비스의 생 성과 송출이 중지되도록 접속종료 요청을 전달한다.
17. 접속해제
유비쿼터스서버(100)는 QAM 시스템(600)으로 전달되던 QAM 시스템(600) 장비로의 접속을 해제한다.
접속이 해제된 QAM 시스템(600) 장비는 해당 포트에 다른 서비스가 전송될 수 있도록 자원반환처리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고하여, 상술한 과정 중에서 4.1 컨텐츠확인, 4.2 무결성응답, 및 4.3 인코딩 플로우로 유비쿼터스서버가 컨텐츠를 검증하고 생성하는 과정을 유비쿼터스서버 세부모듈의 동작을 통해 설명한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생성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수신단말의 플랙서블 브라우져에서 컨텐츠에 대한 생성요청이 들어오거나 특정시점의 컨텐츠자동 생성 등의 이벤트(운영 시나리오 상의 공지사항과 같은 단방향 정보전달과 같은 시나리오)가 발생되었을 때, 유비쿼터스서버는 서비스 컨텐츠를 송출 할 수 있도록 인코딩하여 QAM 시스템을 통해 전송한다.
유비쿼터스서버의 컨텐츠 실행 및 인코딩 순서는 대체로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다만, 성능개선이나 부분적인 기능(권한 확인 및 컨텐츠무결성검사 등)확인과 같은 몇 가지 조건으로인해 절차가 분기되는 과정이있다
1. 서비스전달요청
외부 시스템(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로부터의 네트워크정보전달 및 무결성확인요청 절차)으로부터 서비스 전달요청을 받거나, 운영 룰에 의해 서비스를 송 출해야하는 시점에 유비쿼터스서버는 컨텐츠실행 및 인코딩 처리를 시작한다.
유비쿼터스서버의 세션메니저(130)는 컨텐츠실행 및 생성을 위해 해당 세션에 자원을 할당하고 관리하기 시작한다
시청자 요청에 의해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로부터 요청이 들어오는 경우 네트워크 정보와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들어온다. 하지만, 운영룰에 의해 서비스를 생성해야 하는 시점에는 유비쿼터스서버에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로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하여 유효 네트워크 자원에 대해 할당받아 서비스를 송출하게 된다.
2. 컨텐츠확인요청
캐쉬메니저(140)에 이전에 송출한 로우데이터가 있다면, 브라우져 모듈(110)에서 새로운 컨텐츠 실행과 인코딩을 수행하지 않는다. 할당된 네트워크정보를 이용하여 바로 송출작업을 수행한다.
캐쉬메니저(140)에 이전에 송출한 로우데이터의 유효기간 및 권한에 대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3. 무결성 및 권한확인 요청
케쉬메니저(140)에 재사용할 수 있는 로우데이터가 없다면, 브라우저 모듈(110)로 무결성 및 권한 확인요청을 전달한다.
3.1 무결성 및 권한확인
브라우져 모듈(110)는 실행할 데이터의 실행권한을 확인하여 수신단말의 그것과 비교하여 실행권한이 없으면, 수신단말로 권한없음 코드를 전달하여 수행절차를 종료한다.
브라우져 모듈(110)는 실행할 데이터의 유효기간 및 정상동작처리 등을 확인하고 서비스할 수 없는 상태이면 상태에 따른 에러코드를 수신단말로 전달하고 수행절차를 종료한다.
시청권한에 대한 확인을 서버단에서 하는 방법과 수신단말의 CAS 모듈과 연동하여 하는 방법의 두 가지가 있다.
서버단에서 시청권한을 확인하는 방법은 무결성에 대한 확인을 하기 위해 유비쿼터스서버는 가입자관리시스템(SMS)과 연동하여 실행을 요청한 수신단말의 권한과 전달할 서비스의 권한을 비교한다.
수신단말의 CAS 모듈과 연동하여 처리하는 방법은 해당 컨텐츠를 서버단에서 스크램블하여 전송하고 이를 수신단말에서 수신한뒤 CAS 모듈과 연동하여 권한이 있으면 디스크램블하여 시청하고 권한이 없다면 표시하지 않는 처리를 수행한다.
시스템 연동은 어느 것이나 가능하지만 두 가지 방법 중 첫 번째 방법의 처리가 서버자원의 사용,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 등의 이유로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3.2 무결성응답
브라우져 모듈(110)에서 검사한 무결성, 권한 등의 결과를 수신단말의 플랙서블 브라우져로 전달한다.
에러코드가 전달되어 서비스 송출을 할 필요가 없으면, 세션메니저(130)는 세션에 대한 해제작업을 수행한다. 수신단말의 플랙서블 브라우져는 전달받은 결과값에 의해 다음 처리를 수행한다.
3.3 PSI생성요청
브라우져 모듈(110)는 PSI Generator(180)에 무결성, 권한확인 등의 결과에 따라 서비스 정보를 송출해야 하는 경우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로부터 할당받은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해 PSI 정보를 생성요청한다.
PSI Generator(180)는 유비쿼터스 내부 시스템일 수 있거나, 외부의 시스템일 수 있다. 외부 시스템일 경우 송출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해 PSI 정보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
4. PSI생성
PSI 정보를 생성한다.
수신단말의 플랙서블 브라우져는 해당 PSI 정보를 통해 송출되는 채널로 튜닝하여 서비스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4.1 전달요청
UDP Transmitter(191)를 통해 생성된 PSI 정보를 전달한다.
시퀀스 다이어그램 상 무결성 확인뒤 바로 PSI를 생성하여 PSI 정보를 송출하는 것으로 정의되었다. 이 시점의 정의는 크게 중요하지는 않다
(네트워크 상황과 다른 시스템 환경 상 PSI 정보를 수신단말에서 수신하였지만, 튜닝한 채널에서 실제 서비스 정보가 전달되지 않는 상황은 플랙서블 브라우져에서 처리할 수 있다.)
5. 실행
서비스 ID나 URL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실행한다.
실행하는 부분이 동적으로 변경되는 Text 및 모듈일 수 있고, 이전에 송출한 정보에서 부분적으로 변경되는 정보만 송출할 수 있다.
5.1 이미지생성요청
서비스를 실행한 결과를 이미지인코더(150)에서 프로토콜화하고 인코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6. 프로토콜 및 이미지인코딩
이미지인코더(150)는 실행한 결과를 프로토콜화하고 인코딩한다.
인코딩하는 프로토콜은 전송하는 서비스의 라이프사이클 정보, 서비스별 고유 정보, 포커스처리 정보, 각종 데이터 타입에 따른 개별 프로토콜 정보, 수신단말의 플랙서블 브라우져에서 캐쉬처리를 하기 위한 정보 등 매우 다양한 정보를 프로토콜화하여 보낼 수 있다.
이미지인코더에서 생성되는 프로토콜은 수신단말에서 표시되고 사용되는 데이터 이외에 서비스를 실행하고 연결하는 링크정보 등도 포함될 수 있다.
6.1 압축요청
인코딩된 송출정보를 압축할 수 있도록 압축부에 압축요청을 전달한다.
7. 압축
압축부는 이미지인코더(150)에서 생성된 정보를 압축한다.
7.1 암호화요청
암호화를 할 수 있도록 암호화부에 암호화를 요청한다.
8. 암호화
암호화를 수행한다.
개인정보 및 결제 및 과금정보와 같이 반드시 암호화가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단위 별로 구분하여 암호화한다.
시스템구성에 따라 방송하는 서비스 화면 및 컨텐츠 정보를 암호화하는 프로세스는 외부 암호화 시스템(송출시스템)에서 수행할 수 있거나 유비쿼터스서버 내부의 암호화 모듈에서 수행할 수 있다.
암호화가 꼭 필요한 데이터 단위는 이미지인코더(150)에서 인코딩하는 시점에 데이터 단위로 나누어 해당 정보만 암호화할 수 있도록 한다.
8.1 Packetize요청
암호화된 송출정보를 Packet화하기 위한 요청을 전달한다.
9. Packetize
수신단말에서 해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정의된 PID를 기준으로 Packet화 작업을 수행한다.
9.1 전달요청
생성된 TS가 QAM 시스템 장비에서 송출될 수 있도록 TS를 전달요청한다.
10. 전달
UDP Transmitter(191)는 QAM 시스템 장비의 할당된 포트를 통해 TS를 송출한다.
이하에서는 유비쿼터스시스템을 이용한 연동형 T-Commerce 서비스의 예시를 설명한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을 이용한 연동형 서비스의 예로는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뮤직비디오 및 공연실황프로그램에 있어 T-Commerce및 부가적인 서비스로 연동하는 양방향 서비스의 예이다.
A/V 프로그램의 스케줄정보 PSIP/SI 정보에 양방향 서비스의 이벤트정보를 연동하여 수신단말의 플랙서블 브라우져에서 양방향 서비스의 연동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A/V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채널의 시청 시간동안만 양방향 서비스가 활성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플랙서블 브라우져는 프로그램과 연동되는 T-Commerce 양방향 서비스 정보를 유비쿼터스서버와 통신한다. 유비쿼터스서버는 결제정보 및 유료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프로토콜로 encapsulation하고 Contents Management System (CMS)과 통신하여 처리한다. CMS는 결제나 유료서비스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기간계시스템(CP, PP시스템일 수 있다.)과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수신단말의 T-Commerce 요청을 처리한다.
Trigger(350)를 수행하여 양방향 T-Commerce 서비스를 수행한다. 좌/우 메인기능과 칼라키에 할당된 부가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각 기능은 오픈컨텐츠나 월드가든 서비스와 같은 미리 최적화된 Application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공연예매나 앨범구매, MP3구매와 같은 실제구매와 같은 기능의 처리는 암호화모듈을 통해 서버단과 수신단말 사이에서 주고받게 된다. 또한 수신단말의 플랙서블브라우져는 PG(Pay Gate)모듈을 플러그인형식 혹은 수신단말내의 연동을 통해 결제부분만 연동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고하여 유비쿼터스시스템을 오픈컨텐츠 브라우징 방법 및 서비스실행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이는 인터넷 사이트와 같은 오픈컨텐츠의 네비게이션 처리를 위한 방법과 오픈컨텐츠내에서 다른서비스로 이동하기 위한 링크정보 및 실행정보의 활용예이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은 무한에 가까운 인터넷 컨텐츠와 다른 매체(지상파, IPTV, 와이브로, DMB 등)의 컨텐츠의 정보를 이미지화, 인코딩하여 서비스할 수 있다. 여러 매체의 서비스를 데이터방송 환경에 맞게 표현하고 수신단말의 외부입력장치를 통해 네비게이션해야 하므로 포커스처리 및 기능키에 대한 입력부분을 공통적으로 처리해야한다.
플랙서블 브라우져는 공용포커스 표시부(351)를 서비스타입별로 처리한다. 오픈컨텐츠와 같이 데이터방송서비스UI 및 입력에 맞지않는 서비스는 공용포커스표시부(351)를 활성화 시켜 수신단말의 외부입력장치에 최적화시키는 포커스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월드가든서비스와 같이 디지털케이블방송에 맞게 제작된 컨텐츠는 공용포커스표시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서비스타입에 대한 것은 서비스등록시점에 구분되어 양방향 서비스 실행정보에 구분되어 수신단말의 플랙서블 브라우져가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공용포커스표시부(351)는 주로 칼라키와 대표적인 기능키의 기능이 표시된다. 그 일례로서, 적색(이전; 이전 히스토리 페이지로 이동하는 기능), 녹색(새로고침; 해당 오픈컨텐츠 표시화면을 재호출하여 다시 표시하는 기능), 황색(주소입 력; 직접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도록 URL, CDS주소 입력팝업을 표시하는 기능), 청색(다음; 지정된 하위 상세화면으로 바로 이동하는 상세화면단축이동키), 확인(메뉴토글; 화면의 일정부분을 가리는 공용포커스표시부, 일명 메뉴를 선택적으로 표시, 제거하는 기능), 상세(뷰링크 토글; 상/하/좌/우 네비게이션 버튼에 뷰이동 기능과 링크이동 기능을 토글시켜 적용시키는 기능)과 같은 키가 각 기능별로 할당되어 표시될 수 있다.
공용포커스표시부(351)의 특정영역에 서비스상태바(352)를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상태바(352)는 플랙서블 브라우져와 유비쿼터스서버및 네트워크메니저의 통신상태 및 다운로드 현황을 확인하여 % 및 수치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의 데이터 방송서비스의 다운로드 표시방법은 경험적인 서비스다운로드 시간을 계산하여 진행시간을 GUI상으로 표현하는데 그 불확실성과 GUI가 계속 반복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서비스상태바(352)에 연동형서비스의 연동된 해당 A/V 프로그램의 남은 잔여 시간을 표시하여 시청자에게 연동형서비스의 잔여실행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방법은 A/V광고처럼 스케줄정보가 짧을때 연동형서비스의 활용가능 시간을 효과적으로 시청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오픈컨텐츠는 서비스화면의 길이나 표시되는 컨텐츠양의 제약이 사실상 없다. 특히 상/하 좌우로 많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고 좌/우로 해상도차이로 인한 컨텐츠표시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하/좌/우 네비게이션 방향키를 컨텐츠를 View할 수 있는 기능키로서 View 이동 표시부(353)를 할당한다. 이때 시청자에게 가시적으로 View 이동 표시부(353)를 사 용할 수 있는 것을 표시한다. 컨텐츠의 시청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표시되는 방향 GUI에 알파값을 적용하여 방향 GUI 뒤면에 표시되는 텍스트및 컨텐츠 정보가 정상적으로 표시되게 한다. 또한 토글되는 상태로 다른 서비스로 이동하기 위한 링크포커스(354)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1은 실제 인터넷 컨텐츠의 마우스 포커스를 그대로 활용한 예시화면이다. 유비쿼터스서버는 플랙서블 브라우져와 X, Y 좌표값을 기준으로 포커스 정보에 대한 위치정보, 위치변경속도 등을 기준으로 포커스(마우스)의 처리를 수행할수도 있다.
공용포커스표시부의 상세버튼은 뷰링크를 토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뷰링크 토글기능이라 함은 컨텐츠를 방향키로 View 영역을 이동하는 기능과 지정된 View 영역 안에서 링크영역을 방향키로 이동하는 기능을 토글시키는 기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방향 GUI가 표시된 상태 즉 뷰처리시는 상/하/좌/우 방향키를 누름으로써 컨텐츠화면 자체의 이동을 수행처리하고 방향 GUI가 없는 상태는 링크포커스(355)가 GUI화되어 표시가 되어 있고, 뷰링크토글기능의 GUI 표시가 링크포커스로 활성화 되어있는다. 해당 GUI는 배타적으로 표시되어 시청자가 현재 어떤상태의 포커스처리가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링크포커스(355) 처리시 상/하/좌/우 버튼을 누름으로써 링크포커스(355)가 할당된 링크를 네비게이션 할 수 있다. 링크포커스(355)라 함은 컨텐츠 인코딩시 유비쿼터스서버에서 해당 컨텐츠에 할당된 이후 진행할 화면의 링크정보나 다른 서비스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정보를 프로토콜화하여 인코딩하여 수신단말의 플랙서 블 브라우져로 전달하는 정보이다.
해당 링크포커스(355)는 컨텐츠 화면의 배치상 우선순위및 시청자의 네비게이션키입력시 직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입력순위가 배치된다. 또한 링크포커스(355)표시시 특정시간이 지나면 현재 위치한 포커스의 링크정보에 대한 요약설명을 화면상에 나타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다음에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 및 다중매체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한 유비쿼터스시스템 활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터넷과 같은 오픈컨텐츠와 다른 매체의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식의 응용서비스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서비스 할 수 있어야 한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은 이러한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플러그인 형태의 복합모듈을 지원한다.
유비쿼터스서버는 CMS를 통해 전달되는 CP, PP의 정보를 이미지화 및 인코딩하여 수신단말의 플랙서블 브라우져로 데이터를 송출하는데. 해당 멀티미디어정보는 그 정보 그대로 Encapsulation하여 프로토콜화하여 전송한다. 수신단말의 플랙서블브라우져는 해당 멀티미디어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해 멀티미디어별플러그인모듈을 두어 수신한 정보를 처리한다.
멀티미디어 정보는 프로토콜화될 때 멀티미디어 정보의 타입과 구분정보로 Encapsulation된다. 플랙서블 브라우져에서의 멀티미디어정보 처리는 서비스자체의 처리와 비동기적으로 처리된다. 예로 표시된 인터넷컨텐츠정보 중 Flash정보는 다운로드 되어 플러그인에서 처리되지 않은 상태이면 다운로드 및 처리중 이라는 정 보가 표시된다.
플러그인 형태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는 PC 상에서 구동되는 각종 OA와 게임 등 응용 Application이 가능하며, 수신단말에서의 기존 종래 데이터방송 서비스에 이용되오던 Pay Gateway 등과 같은 Unbound Application 등도 가능하다.
도 12는 송출되는 컨텐츠 중의 Flash 광고 데이터를 아직 플러그인 모듈에서 수신받아 처리하지 못했을 때, 해당 부분의 처리를 나타낸 것이다. 서비스응답성을 높이기 위해 플랙서블 브라우져는 플러그인부의 처리와 비동기적으로 서비스자체의 처리를 수행한다. 플랙서블 브라우져가 종료되거나 서비스의 라이프사이클이 변경될 때는 플러그인부의 자원등의 처리도 플랙서블 브라우져의 Contents Manage Module에서 수행한다. 플러그인의 처리가 끝나지 않는 상태에도 해당 포커스의 처리는 플랙서블브라우져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도 13의 예시는 플러그인 모듈을 통해 Flash 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된 것을 표시한다.
이하, 도 14를 참고하여 원활한 오픈컨텐츠 사용을 하기 위한 수신단말의 처리를 위한 시스템과 그 활용방법을 설명한다. 이는 GUI 위주의 처리가 될 것이다.
다양한 매체의 컨텐츠와 인터넷과 같은 오픈컨텐츠의 이용을 위해서는 문자 입력방법이 필요하다. 기존 종래 문자입력(Automata 시스템)과 연계하여 플랙서블 브라우져에서는 주소 및 활용정보를 입력하여 처리할 수 있다. 추후 데이터 방송환경에서 리모콘 이외에 키보드와 같은 입력이 원활한 외부 입력장치가 있다면 문자 입력시스템을 따로 연동할 필요 없이 바로 활용이 가능하다.
플랙서블 브라우져의 공용포커스표시부의 황색버튼을 눌러 문자입력기능이 포함된 주소입력팝업을 활성화시킨다. 해당 팝업을 통해 기존에 알고 있는 인터넷 컨텐츠의 URL을 직접입력하거나 CDS의 주소를 직접입력하여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다. 용이한 입력을 통해 www, . (dot), .co.kr , .com 과 같은 종래에 알려진 주소입력체계의 약속된 값을 칼라키에 할당시켜 입력받을 수 있다.
플랙서블 브라우져의 프로토콜메니저부는 해당 입력받은 URL및 CDS와 같은 주소값을 프로토콜화하여 유비쿼터스서버로 전송하여 새로운 서비스변경을 요청한다.
다음에는 도 15를 참고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 및 다중매체 컨텐츠를 이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활용방안(북마크 및 히스토리 관리)을 설명한다.
무한정에 가까운 오픈컨텐츠를 원할히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컨텐츠의 빠른 접근이 필수적이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은 PC와 마찬가지로 북마크와 같이 즐겨찾기 기능과 히스토리 기능을 제공한다. 공용포커스표시부의 특정버튼을 눌러 즐겨찾기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즐겨찾기 정보가 저장이 되는 시스템은 유비쿼터스서버일 수 있고 플랙서블 브라우져가 될 수 있다.
즐겨찾기는 특정컨텐츠의 URL 및 CDS와 같은 서비스 주소를 지칭하며, 히스토리정보는 이전에 접근한 컨텐츠의 주소를 지칭한다 즐겨찾기 정보는 유비쿼터스서버나 수신단말의 플랙서블 브라우져모듈에 저장될 수 있지만, 히스토리정보는 유 비쿼터스서버의 세션메니져와 캐쉬메니저의 처리를 통해 저장된다. 히스토리정보는 무한정으로 관리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컨텐츠 이동과 이동시간을 계산하여 처리된다.
즐겨찾기 정보는 플랙서블 브라우져에 의해 관리 될 수 있고 유비쿼터스서버에 수신단말별, 접속자별(접속사용자 관리정보 및 ID와 같은 정보를 할당하여)로 관리할 수 있다.
플랙서블 브라우져에서 북마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으로는 수신단말의 특정 메모리영역에 특정 개수만큼 해당 즐겨찾기 정보, 서비스이름, 서비스 ID, URL 및 CDS 정보 정보, 서비스타입과 같은 정보를 저장한다. 플랙서블 브라우져에서 즐겨찾기를 정보 이용시 플랙서블 브라우져는 수신단말의 메모리 영역을 읽어 저장된 즐겨찾기 값을 화면상에 출력하고 시청자의 선택을 받아 이동할 수 있게 처리한다.
유비쿼터스서버에서 즐겨찾기 값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법으로는 수신단말 및 접속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즐겨찾기정보를 서비스이름, 서비스ID, URL및 CDS정보, 서비스타입과 같은 정보로서 저장하며 즐겨찾기 이용시 정의된 프로토콜을 통해 즐겨찾기 정보를 수신단말의 플랙서블브라우져를 통해 전달하며 이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히스토리 기능은 플랙서블 브라우져의 공용포커스표시부의 이전버튼을 누름으로써 실행될 수 있는데, 수신단말과 유비쿼터스서버간의 세션정보를 기준으로 유비쿼터서서버의 세션메니저의 임시주소 저장기능과 유비쿼터스서버의 캐쉬메니져에서 관리되는 최근 이용한 서비스의 이미지 로우데이터를 읽어들임으로서 실시간으 로 (인코딩시간없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여 유비쿼터스시스템을 이용한 타 매체의 정보 활용방법을 설명한다.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제공되는 Triple Play Service 중 ISP 서비스와 연동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받는 PC를 수신단말의 플랙서블 브라우져와 연계하여 해당 PC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서버 모듈 (개 인PC용으로 맞게 자원공유기능 만으로 최소화된 배포모듈)이 설치된 PC와 수신단말의 플랙서블 브라우져의 통신으로 본 시스템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Triple Play Service는 케이블 방송사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각 디지털방송을 위한 수신단말(STB)과 ISP서비스를 위한 단말기(Access Point와 같은 네트워크 수신기)에 사설IP를 할당한다.
수신단말(STB)과 ISP서비스단말기를 같은 네트워크로 묶어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가능해진다. 같은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수신단말의 플랙서블 브라우져와 ISP 단말기를 이용하는 PC의 유비쿼터스서버모듈을 통해 PC와 수신단말은 인증을 거쳐 각 시스템이 안전한 네트워크를 통해 자원을 공유, 사용할 수 있음을 판단한다.
인증을 거친 수신단말의 플랙서블 브라우져는 PC의 공유자원에 접근하여 각종 멀티미디어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C의 특정자원을 디지털TV SNS(Social Network Service) 영역으로 할당하여 PC의 유비쿼터스서버모듈을 통해 개인방송서 비스가 가능하게 한다.
도 16은 수신단말을 통해 개인 미니홈피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화면의 예시이며, 도 17은 PC의 사진 이미지를 PC 상의 유비쿼터스서버모듈을 통해 이미지 개인방송 서비스를 하는 예시화면이다.
다음에는 유비쿼터스시스템을 이용한 연동형 서비스에서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보하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동형 서비스라 함은 일반적으로 A/V 가 송출되는 대역폭에 데이터 서비스를 포함시켜 송출하여 A/V 시청과 동시에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서비스 형태를 칭한다. 유비쿼터스 방식의 양방향 서비스를 연동형으로 제공할 때, A/V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데이터 방송이 가능해야 하므로 시청자별 네트워크 대역폭을 할당해야 하는 특성상 시청자의 접속이 제한적으로 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일반적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물리적인 채널은 지정된 전송방식에 따라 특정 대역폭 크기를 갖는다. 통상 대역폭을 나누어 가상채널로 다채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도 18과 같이, 유비쿼터스시스템을 이용한 연동형 서비스를 위해 A/V 채널 이외에 두 개의 가상채널 대역폭을 할당한다. 한 개는 공용모듈을 전송하는 대역폭, 나머지 한 개는 독립 데이터 모듈을 전송하는 대역폭으로 할당한다.
공용모듈을 전송하는 대역폭에 해당 연동형 서비스의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 는 공통모듈(배경이미지, 공통아이콘, 공통템플릿, 공용데이터 등)을 전송하여 원활한 서비스 실행 및 진입을 수행할 수 있다.
독립데이터 모듈을 전송하는 대역폭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개인별생성 데이터를 전송한다.
공용모듈과 개인별로 생성되는 독립사용 모듈을 분리함으로써, 서비스실행 응답속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독립사용 모듈채널을 암호화 전용채널로 설정해 원천적으로 개인정보 누출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할당된 대역폭으로 디지털방송을 전송할 때 전체대역폭을 사용하는 일은 드물다. A/V 압축률에 따라 미사용되는 대역폭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데이터 전송가능 영역에 도 19에서와 같이, 데이터 방송을 위한 System Information 정보나 부가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시스템을 이용한 연동형 서비스에서 네트워크 대역폭 확보방안의 다른 예로서, 유비쿼터스시스템을 이용한 연동형 서비스를 제공할 때, 각 수신단말별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보해주기 위한 두 번째 방안을 설명한다. 본 방안은 Mosaic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으로 다채널의 A/V를 압축하여 재전송하는 Mosaic 시스템이 구성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물리적인 1채널의 대역폭에 6개의 A/V 가상채널이 전송되고 있다. 이때 A채널 프로그램에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때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한다.
도 20의 A 채널의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을 때 양방향 서비스를 실행가능을 알리는 Trigger가 표시된다. 시청자가 Trigger를 선택하면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물리적인 채널로 튜닝한다. 해당 채널은 A, B, C, D, E, F 채널의 A/V를 Mosaic화면(도 21)으로 재 인코딩한 A/V가 전달되는 채널과 양방향 서비스 채널로 구성된 대역폭이다. Mosaic 636 Mhz 대역폭으로 전달되는 A/V는 한 개의 비디오(A, B, C, D, E, F 6개의 비디오와 하나의 비디오로 인코딩된 비디오)와 여섯개의 오디오가 인코딩되어 전달된다. 7개의 스트림은 각각 PID가 할당되어 수신단말에서 선택되어 A/V가 선별되어 출력될 수 있게 한다.
양방향 서비스 채널 637 내지 641 Mhz 대역폭을 좀더 확장시킬 수 있어 해당 대역폭으로 더 많은 수신단말로 연동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Mosaic 시스템은 다채널의 A/V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PID의 비디오스트림과 여러 개의 PID의 오디오스트림으로 재전송한다. 재전송하는 스트림은 하나의 가상채널의 대역폭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연동형 서비스에 대한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기술적 사상의 여러 실시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의 세부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의 세부 블럭도이다.
도 4는 양방향 서비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서비스 흐름을 구체화한 예시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6은 도 4의 서비스 흐름을 구체화한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7은 양방향 서비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양방향 서비스의 컨텐츠 생성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한 T-Commerce 서비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10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을 이용한 오픈컨텐츠 브라우징의 예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을 이용한 연동형 서비스에서 네트워크 대역폭의 확보방안을 나타내는 도이다.

Claims (8)

  1.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케이블 방송시스템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컨텐츠를 생성하는 유비쿼터스서버와;
    케이블네트워크의 사용량 및 컨텐츠 전송 관리를 위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와;
    상기 유비쿼터스서버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디지털 케이블 방송신호로 송출하여 상기 컨텐츠를 플렉서블 브라우져가 구동되는 수신단말에서 수신 가능하도록 하는 QAM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QAM 시스템과 연결되는 것으로, A/V 및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Head/End(H/E) 시스템 및 방송 편성정보 및 방송 System Information(SI)정보를 생성하고 전달하는 PSIP/SI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져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네트워크의 사용에 따른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위한 상기 QAM 시스템의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상기 유비쿼터스서버에서 유휴 QAM 장비의 리소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비쿼터스서버는,
    상기 수신단말의 플랙서블 브라우져의 요청이나, 특정 스케줄에 의해 자동으로 양방향 및 단방향 서비스 컨텐츠가 생성되어야 할 때, 서비스에 대한 브라우징을 수행하고 해당 컨텐츠를 상기 수신단말로 송출하기 위한 로우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브라우져 모듈과;
    상기 수신단말의 플랙서블 브라우져의 요청이나, 상기 유비쿼터스서버와 상기 수신단말 내의 컨텐츠 전송이 일어날 때, 상기 유비쿼터스서버의 자원관리를 위해 세션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세션메니저와;
    상기 브라우져 모듈에 의해 컨텐츠가 실행이 되면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전송부분을 규약에 맞게 이미지화하는 이미지인코더와;
    네트워크 사용량과 전송시간의 단축을 위해 상기 이미지인코더에서 이미지화한 서비스 컨텐츠를 압축화하는 압축부와;
    상기 이미지 및 프로토콜화되어 전달된 로우데이터를 압축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디지털방송으로 송출하기 위한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인코더는 상기 브라우져 모듈에서 구동되는 동영상, Flash, Application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속한 Active X를 포함하는 컴포넌트를 이미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인코더에서 생성되는 프로토콜은 수신단말에서 표시되고 사용되는 데이터 이외에 서비스를 실행하고 연결하는 링크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메니저는,
    상기 플랙서블 브라우져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어 특정 수신단말과 유비쿼터스서버와 양방향 통신을 하게 되면 해당 서버에 Session이 발생했다는 것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세션모니터와;
    상기 QAM 시스템의 포트와 대역폭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QAM Port Monitor와;
    상기 유비쿼터스서버 및 QAM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세션모니터는 병렬로 연결된 유비쿼터스서버의 서버별 자원배분을 수행하며 상기 서버의 장애시 플랙서블 브라우져의 세션을 다른 서버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090002428A 2009-01-12 2009-01-12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20100083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428A KR20100083064A (ko) 2009-01-12 2009-01-12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US13/144,071 US20110271315A1 (en) 2009-01-12 2009-12-21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Two-Way Service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Environment
EP09837668A EP2378771A4 (en) 2009-01-12 2009-12-21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BI-DIRECTIONAL SERVICE IN A DIGITAL CABLE BLOCKING ENVIRONMENT
PCT/KR2009/007650 WO2010079907A2 (ko) 2009-01-12 2009-12-21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428A KR20100083064A (ko) 2009-01-12 2009-01-12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064A true KR20100083064A (ko) 2010-07-21

Family

ID=4231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428A KR20100083064A (ko) 2009-01-12 2009-01-12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71315A1 (ko)
EP (1) EP2378771A4 (ko)
KR (1) KR20100083064A (ko)
WO (1) WO2010079907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24172A1 (en) 2010-08-26 2012-0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KR101511195B1 (ko) * 2014-11-17 2015-04-10 송완근 방범방재 및 방송 융복합 시스템
WO2016080739A1 (ko) * 2014-11-17 2016-05-26 송완근 방범방재 및 방송 통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4412B2 (ja) * 2011-11-04 2016-03-15 富士通株式会社 変換プログラム、変換装置、変換方法、および変換システム
CN102413069B (zh) 2011-11-23 2014-07-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泛在网中通过组播方式进行下载的方法和系统
KR20140052243A (ko) * 2012-10-23 2014-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데이터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CN104703029B (zh) * 2015-02-06 2017-11-24 深圳市三峰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电视节目流分享方法、装置、终端及系统
CN107211181B (zh) * 2015-02-06 2020-08-11 Lg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3375B1 (en) * 1997-01-13 2001-06-26 Diva Systems Corporation System for interactively distributing information services
KR100548233B1 (ko) * 1998-12-15 2006-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양방향 방송 시스템
US20010030785A1 (en) * 2000-02-23 2001-10-18 Pangrac David M.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information via a communication network
US7496945B2 (en) * 2001-06-29 2009-02-24 Cisco Technology, Inc. Interactive program guide for bidirectional services
KR100450329B1 (ko) * 2002-02-04 2004-09-30 (주)브로드밴드솔루션즈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78155A (ko) 2002-03-28 2003-10-08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에이티엠에서 에프엘에이지를 이용한 에프아이에프오 장치
WO2004047443A1 (en) * 2002-11-21 2004-06-03 Xtend Networks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a dymatic bandwidth signal across a catv network
KR100971137B1 (ko) 2003-01-09 2010-07-2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스마트 카드 연계 처리형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기반 네트워크 카드 운영 시스템
KR20040072420A (ko) 2003-02-12 200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도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12366B1 (ko) 2003-06-27 2005-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티렌-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제조방법
KR100679020B1 (ko) * 2004-10-21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의 서비스 정보 선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434082Y1 (ko) * 2006-09-15 2006-12-15 주식회사 베스트투데이 유.무선디지털 방송 단말기를 위한 양방향 디지털 방송데이터 자동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24172A1 (en) 2010-08-26 2012-0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KR101511195B1 (ko) * 2014-11-17 2015-04-10 송완근 방범방재 및 방송 융복합 시스템
WO2016080739A1 (ko) * 2014-11-17 2016-05-26 송완근 방범방재 및 방송 통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71315A1 (en) 2011-11-03
WO2010079907A2 (ko) 2010-07-15
WO2010079907A3 (ko) 2010-10-07
EP2378771A4 (en) 2013-04-03
EP2378771A2 (en)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0355B2 (en) Providing remote access to multimedia content
US9838648B2 (en) Systems and methods to order a content item deliverable via a media service
EP1909459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daptive broadcast signal and method thereof
KR20100083064A (ko) 디지털 케이블 방송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US8683538B2 (en) Multi-access content server with security management for IPTV
US20100192183A1 (en) Mobile Device Access to Multimedia Content Recorded at Customer Premises
US20090132383A1 (en) Purchasing a gift using a service provider network
CN1964268A (zh) 网络电视系统中增值业务的提供方法及相关系统和设备
US10764627B2 (en) System for deployment of value-added services over digital broadcast cable
CN104935957A (zh) 用于播放4k视频的终端系统、4k云平台及播放系统
CN102271286A (zh) 提供多屏控制的条件接收系统及实现方法
KR101419021B1 (ko) 방송 프로그램 전송 요청 방법 및 이에 대한 방송 프로그램 전송 방법
KR101439318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iptv 원격시청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US87327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stricting access to a set-top box
CN101505406A (zh) 用于有线电视网络的视频点播方法
KR100686689B1 (ko) 주문형 프로그램 제공 서비스의 스케줄 관리시스템 및 그방법
US201302689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alocating popular content
KR101029651B1 (ko) 케이블 방송 환경의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33083A (ko) 이기종 아이피티브이 서비스 플랫폼 간의 가입자 쿠폰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29700A (ko)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1580114U (zh) 基于单向数字电视机顶盒的视频点播系统
CN101715105B (zh) 基于rtsp协议的嵌入式VOD机顶盒的终端控制方法
CN202043254U (zh) 基于条件接收装置的视频点播系统
KR20100001045A (ko) 아이피 티브이 방송서비스에서 방송 컨텐츠의 불법 이용을방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97602B1 (ko)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유비쿼터스 서버를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