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292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및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및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292A
KR20100082292A KR1020090049809A KR20090049809A KR20100082292A KR 20100082292 A KR20100082292 A KR 20100082292A KR 1020090049809 A KR1020090049809 A KR 1020090049809A KR 20090049809 A KR20090049809 A KR 20090049809A KR 20100082292 A KR20100082292 A KR 20100082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ield
flows
data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정
성두현
김용호
류기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141,321 priority Critical patent/US8908578B2/en
Priority to PCT/KR2009/007502 priority patent/WO2010074448A2/ko
Publication of KR2010008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based on requested quality, e.g.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샹향링크 자원 요청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은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제1 필드 및 상기 제1 필드에 의해 결정되는 필드를 포함하는 빠른 접속 메시지(quick access message)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자원을 할당받는다.
Figure P1020090049809
quick access message, 대역폭 요청 메시지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및 할당 방법{METHOD OF UPLINK RESOURCE REQUEST AND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샹향링크 자원 요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자원 요청 방법은 5 단계(step) 방식과 빠른 접근방식인 3 단계 방식이 있다.
먼저, 3 단계 방식을 살펴보면 단말은 기지국으로 대역폭 요청지시자(bandwidth request indicator) 및 빠른 접속 메시지(quick access message)를 전송한다. 빠른 접속 메시지는 단말 아이디, 요청하는 자원 크기, QoS 아이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 대역폭 요청 지시자 및 빠른 접속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향링크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하고(S140), 단말은 할당된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S150). 이때, 단말은 추가적인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5 단계 방식은 3 단계 방식과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3 단계 방식의 대체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5 단계 방식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대역폭 요청 지시자를 전송하면, 기지국은 대역폭 요청 메시지(bandwidth request message, BW-REQ message)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한다. 단말이 할당받은 자원을 통해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 기지국은 상향링크 자원을 단말에 할당하고, 단말은 할당받은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은 추가적인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빠른 접속 메시지 또는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빠른 접속 메시지 또는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한정적이다. 그런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단말이 전송해야 하는 정보도 다른데, 모든 특성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빠른 접속 메시지 또는 대역폭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는 없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빠른 접속 메시지 또는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어서 모든 특성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빠른 접속 메시지 또는 대역폭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 및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은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제1 필드 및 상기 제1 필드에 의해 결정되는 필드를 포함하는 빠른 접속 메시지(quick access message)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자원을 할당받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제1 필드 및 상기 제1 필드에 의해 결정되는 필드를 포함하는 빠른 접속 메시지(quick access message)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한다.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 및 우선순위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한 서비스임을 나타내면 상기 빠른 접속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단말 아이디를 나타내는 제2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하지 않은 서비스임을 나타내면 상기 빠른 접속 메시지는 상기 단말 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를 나타내는 제3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필드는 상기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가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에 미리 결정되어 있는 디폴트 값보다 큰 값인지 작은 값인지를 나타내는 제4 필드와 상기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와 상기 디폴트 값의 차를 나타내는 제5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플로우 개수 및 상기 단말이 복수의 플로우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플로우의 데이터 특성이 유사한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플로우 개수가 1개이거나 상기 단말이 복수의 플로우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플로우의 데이터 특성이 유사함을 나타내면 상기 빠른 접속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QoS ID를 나타내는 제2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단말이 복수의 플로우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플로우의 데이터 특성이 유사하지 않음을 나타내면 상기 빠른 접속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단말 아이디를 나타내는 제3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빠른 접속 메시지의 포맷을 달리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 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자원 요청 방법은 기지국은 5 단계(step) 방식과 빠른 접근방식인 3 단계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3 단계 방식은 도 1에서 S110, S140 및 S150을 수행하는 방식이고, 5 단계 방식은 S110 내지 S150 을 모두 수행하는 방식이다. 5 단계 방식은 3 단계 방식과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3 단계 방식의 대체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단계 방식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 대역폭 요청지시자(bandwidth request indicator) 및 빠른 접속 메시지(quick access message)를 전송한다(S110).
이때, 빠른 접속 메시지의 포맷은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는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고, 나머지 필드는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필드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포맷에 대해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1 포맷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한 서비스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1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하지 않은 서비스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1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빠른 접속 메시지의 포맷은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과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이 딜레이에 민감한 서비스인 경우에는 빠른 접속 메시지가 단말 아이디(Station ID)를 포함하고,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이 딜레이에 민감하지 않은 서비스인 경우에는 빠른 접속 메시지가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request size)를 포함하도록 빠른 접속 메시지의 포맷을 설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딜레이에 민감한 서비스인 경우에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이미 할당할 자원의 크기 및 할당 주기에 대한 협상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단말이 기지국에게 단말 아이디를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고, 딜레이에 민감하지 않은 서비스인 경우에는 단말이 기지국에게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를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표 1은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과 우선 순위를 나타낸 것이다.
Value Service type Priority
00 Delay sensitive service High
01 Delay sensitive service Low
10 Delay tolerant service High
11 Delay tolerant service Low
표 1과 같이,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과 우선 순위는 2 비트로 나타낼 수 있다. 도 2(a) 및 (b)에서 'service type/priority' 필드에는 표 1에 나타난 값(value)이 들어가고, 'service type/priority'가 00 또는 01인 경우에는 도 2(a)와 같이 빠른 접속 메시지는 단말 아이디(Station ID) 및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이하 "CRC"라 함)를 포함하고, 'service type/priority'가 10 또는 11인 경우에는 도 2(b)와 같이 빠른 접속 메시지는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request size) 및 CRC를 포함한다.
단말은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음성 관련 서비스인 경우에만 'service type/priority' 필드를 '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음성 긴급 서비스(voice emergency service)의 경우 'service type/priority' 필드를 '00'으로 설정할 수 있고, SMS 긴급 서비스(SMS emergency service)의 경우 'service type/priority' 필드를 '01' 또는 '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포맷의 빠른 접속 메시지를 사용하기로 약속되어 있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빠른 접속 메시지의 'service type/priority' 필드가 00 또는 01인 경우에는 빠른 접속 메시지가 'service type/priority' 필드, 'Station ID' 필드 및 'CRC' 필드를 포함한다고 판단하고,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빠른 접속 메시지의 'service type/priority' 필드가 10 또는 11인 경우에는 빠른 접속 메시지가 'service type/priority' 필드, 'Request size' 필드 및 'CRC' 필드를 포함한다고 판단한다. 기지국은 수신된 빠른 접속 메시지의 'service type/priority' 필드가 '00'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빠른 접속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플로우들 중에서 해당 서비스의 플로우 QoS 변수(flow QoS parameter)에 따른 주기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2 포맷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대역폭 요청 타입(bandwidth request type, 이하 "BR type"이라 함)이 0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2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BR type이 1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2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BR type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플로우 개수 및 복수의 플로우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 복수의 플로우의 데이터 특성이 유사한지 여부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즉,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플로우 개수가 1 개이거나 플로우 개수가 복수이고 복수 개의 플로우의 데이터 특성이 유사한 경우에는 BR type을 0으로 설정하고,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플로우 개수가 복수이고 복수 개의 플로우의 데이터 특성이 유사하지 않은 경우에는 BR type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R Type에 따라 빠른 접속 메시지가 포함하는 필드를 나타낸 것이다.
BR Type 빠른 접속 메시지가 포함하는 필드
0 QoS ID
1 Station ID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R type이 0인 경우에는 빠른 접속 메시지가 QoS ID를 포함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BR type이 1인 경우에는 빠른 접속 메시지가 단말 아이디를 포함한다.
표 3은 QoS ID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QoS ID Service Type Scheduling Type Priority
0 Delay sensitive service Emergency High
1 Delay sensitive service Control signaling High
2 Delay sensitive service UGS / ertPS High
3 Delay sensitive service rtPS High
4 Delay sensitive service rtPS Low
5 Delay tolerant service nrtPS High
6 Delay tolerant service nrtPS / BE Low
7 - reserved -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포맷의 빠른 접속 메시지를 사용하기로 약속되어 있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빠른 접속 메시지의 'BR type' 필드가 0인 경우에는 빠른 접속 메시지가 'BR type' 필드, 'QoS ID' 필드, 'Request size' 필드 및 'CRC' 필드를 포함한다고 판단하고,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빠른 접속 메시지의 'BR type' 필드가 1인 경우에는 빠른 접속 메시지가 'BR type' 필드, 'Station ID' 필드 및 'CRC' 필드를 포함한다고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2 포맷에서 'BR type' 필드를 추가하지 않고, 총 BR 코드(BR code)를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플로우 개수가 1 개이거나 플로우 개수가 복수이고 복수 개의 플로우의 데이터 특성이 유사한 경우에 사용할 BR 코드와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플로우 개수가 복수이고 복수 개의 플로우의 데이터 특성이 유사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할 BR 코드로 나누어, 기지국이 BR 코드를 보고 빠른 접속 메시지의 포맷을 유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3 포맷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3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3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와 같이,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한 경우에는 빠른 접속 메시지는 'BR Type' 필드, 'Station ID' 필드 및 'CRC' 필드를 포함하고, 도 4(b)와 같이,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하지 않은 경우에는 빠른 접속 메시지는 'BR Type' 필드, 'QoS ID'필드, 'Request size' 필드 및 'CRC'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한 경우에는 BR type을 1로 설정하고,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하지 않은 경우에는 BR type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은 BR type이 1이면 빠른 접속 메시지가 'BR Type' 필드, 'Station ID' 필드 및 'CRC' 필드를 포함한다고 판단하고, BR type이 0이면 빠른 접속 메시지가 'BR Type' 필드, 'QoS ID'필드, 'Request size' 필드 및 'CRC' 필드를 포함한다고 판단한다.
도 4(b)의 포맷은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하지 않은 경우에만 사용되므로 'QoS ID' 필드의 비트 수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QoS ID' 필드의 비트 수를 1 비트로 하여 'QoS ID' 필드의 값이 0이면 QoS ID 5를 나타내고 'QoS ID' 필드의 값이 1이면 QoS ID 6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도 2 내지 4의 'request size'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비트 수를 줄이기 위해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디폴트 값을 정해 두고 디폴트 값과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의 차를 단말이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디폴트 값은 모든 단말에 대해 같은 값으로 미리 정해진 값일 수도 있고, 단말과 기지국이 서비스 플로우를 생성 또는 수정할 때 협상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2 내지 4의 'request size'를 디폴트 값과의 차이 값 형태로 전송하는 경우, 차이 값의 데이터 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type' 필드는 해당 'request size' 필드가 어떤 타입인지를 나타낸다. 타입은 증가(increment)/감소(decrement) 또는 총계(aggregate)가 될 수 있다. 하나의 타입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type' 필드는 필요하지 않다.
도 5에서 'sign' 필드는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가 디폴트 값보다 큰(increment) 값인지 작은(decrement) 값인지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sign' 필드가 있는 경우에는 'request size' 필드는 디폴트 값과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의 차를 나타내고, 'sign' 필드가 없는 경우에는 'request size' 필드는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가 디폴트 값보다 큰 값이면 sign 필드가 '1'이고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가 디폴트 값보다 작은 값이면 sign 필드가 '0'이라고 가정하면, 디폴트 값이 100 bytes 일 때 단말이 기지국에게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가 106 bytes이면 sign 필드는 '1'이고, 'request size' 필드는 6 bytes이다.
이때, 'request size' 필드를 나타내는 방법은 일반적 표현(General expression), 파워 표현(Power expression) 및 스텝 표현(Step expression)이 있다.
일반적 표현은 전송하려는 값을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request size' 필드를 통해 전송하려는 값이 6 bytes이면 'request size' 필드는 110으로 표현된다.
파워 표현은 전송하려는 값을 미리 정해 둔 값의 지수 형태로 전환하여 지수를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 둔 값이 2이고 전송하려는 값이 64 bytes이면, 64=26이므로 'request size' 필드는 6의 이진수인 110으로 표현된다.
스텝 표현은 전송하려는 값을 미리 정해 둔 값의 배수 형태로 전환하여 배수를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 둔 값이 5이고 전송하려는 값이 30 bytes이면, 30=5*6이므로 'request size' 필드는 6의 이진수인 110으로 표현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4 포맷에 대해 설명한다. 표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4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고, 표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4 포맷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field Length(bit) Description
Station ID 10 ~ 12 Full station identifier, Partial station identifier or new ID for BW-REQ
Service type/Priority 2 0b00 : delay sensitive service & High
0b01 : delay sensitive service & Low
0b10 : delay tolerant service & High
0b11 : delay tolerant service & Low
Bandwidth request size 2 0b00 ~ 0b10 : indicates the number of LRUs
0b11 : toggle SF QoS parameter set for aGPS
field Length(bit) Description
Station ID 10 ~ 12 Full station identifier, Partial station identifier or new ID for BW-REQ
Flow ID 4
Bandwidth request size 2 0b00 ~ 0b10 : indicates the number of LRUs
0b11 : toggle SF QoS parameter set for aGPS
표 4에서 빠른 접속 메시지는 'Station ID' 필드, 'Service type/Priority' 필드 및 'Bandwidth request size' 필드를 포함하고, 표 5에서 빠른 접속 메시지는 'Station ID' 필드, 'Flow ID' 필드 및 'Bandwidth request size' 필드를 포함한다.
이때, 'Bandwidth request size' 필드에서 0b00, 0b01 및 0b10은 요청 크기를 나타낸다. 요청 크기는 LRU(logical resource unit)의 개수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0b00은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이 LRU 2개인 것을 나타내고, 0b01은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이 LRU 3개인 것을 나타내고, 0b10은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이 LRU 4개인 것을 나타낼 수 있다. 0b00, 0b01 및 0b10가 나타내는 LRU 개수는 모든 단말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단말 별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고, 단말뿐만 아니라 service type/priority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정의는 DSx transaction 과정에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Bandwidth request size' 필드에서 0b11은 aGPS(adaptive grant polling service)의 서비스 파라메터 세트 (SF QoS parameter set)를 변경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aGPS는 두 개의 서비스 파라메터 세트를 갖는다.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이 aGPS이고 단말이 서비스 파라메터 세트를 변경하려는 경우, 단말은 'Bandwidth request size' 필드의 값을 0b11로 설정하여 빠른 접속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Bandwidth request size' 필드가 0b11로 설정된 빠른 접속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파라메터 세트를 변경한다. 즉, 현재 파라메터 세트가 주 세트(primary set)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 세트를 부 세트(secondary set)로 변경하고, 현재 파라메터 세트가 부 세트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부 세트를 주 세트로 변경한다.
다시 도 1을 보면, 3 단계 방식에서 단말로부터 대역폭 요청 지시자 및 빠른접속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단말에게 대역폭을 할당한다(S140).
이때,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를 빠른 접속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 경우에는 기지국이 단말이 요청한 크기의 자원을 할당할 수 있을 때는 단말이 요청한 크기의 자원을 할당한다.
단말이 기지국에게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를 명시적으로 알려주지 않은 경우에는 기지국은 Station ID 또는 QoS 레벨 등을 이용하여 추정된 크기의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과 미리 약속된 고정된 크기를 기반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도 있다. 기지국이 고정된 크기를 기반으로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에 대해 도 6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를 알지 못하므로 고정된 크기의 자원을 할당한다.
도 6은 단말이 필요로 하는 자원이 고정된 크기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단말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자원의 크기는 50 bytes라고 가정하면, 기지국은 단말이 필요로 하는 자원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고정된 크기인 100 bytes를 할당한다. 그러면 단말은 50 bytes는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고 50 bytes의 자원은 낭비된다.
도 7은 단말이 필요로 하는 자원이 고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이 필요로 하는 자원이 고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단말은 전송하지 못한 데이터의 크기만큼 추가적인 자원을 요청한다.
도 7에서, 단말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자원의 크기는 150 bytes라고 가정하면, 기지국은 단말이 필요로 하는 자원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고정된 크기인 100 bytes를 할당한다. 그러면, 단말은 기지국으로 추가적인 대역폭 요청 정보(additional BR information)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은 '50 + 추가적인 대역폭 요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 자원의 크기(β)' bytes 의 자원을 기지국에게 요청한다.
기지국이 고정된 크기의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 없는 경우, 기지국은 할당할 수 있는 크기의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도 있고, 5 단계 방식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도 8은 기지국이 고정된 크기의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 없는 경우 기지국이 할당할 수 있는 크기의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 고정된 크기는 100 bytes이고 단말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자원의 크기는 50 bytes라고 가정하면, 기지국은 단말이 필요로 하는 자원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고정된 크기인 100 bytes를 할당해야 하나 100 bytes를 할당할 수 없어서 기지국이 할당할 수 있는 자원의 크기인 30 bytes를 할당한다. 그러면, 단말은 기지국으로 추가적인 대역폭 요청 정보(additional BR information)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은 '20 + 추가적인 대역폭 요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 자원의 크기(β)' bytes 의 자원을 기지국에게 요청한다.
도 9는 기지국이 고정된 크기의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 없는 경우 5 단계 방식으로 전환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 고정된 크기는 100 bytes이고 단말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자원의 크기는 50 bytes라고 가정하면, 기지국은 단말이 필요로 하는 자원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고정된 크기인 100 bytes를 할당해야 하나 100 bytes를 할당할 수 없어서 대역폭 요청 메시지(bandwidth request message, BW-REQ message)를 전송할 수 있는 크기의 자원을 할당한다. 그러면, 단말은 할당받은 자원을 통해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면 기지국은 단말이 요청한 크기의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한다.
다음으로,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은 고정된 크기를 기반으로 기지국에게 단말이 필요로 하는 크기의 자원을 요청한다. 즉, 단말은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미리 정해져 있는 디폴트 값과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의 차를 가지국에게 알린다. 그러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요청받은 크기의 자원을 할당한다.
도 10은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가 고정된 크기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가 고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서, 고정된 크기는 100 bytes이고 단말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자원의 크기는 60 bytes라고 가정하면 단말은 고정된 크기보다 40 bytes 작은 크기의 자원을 요청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60 bytes 의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한다.
도 11에서, 고정된 크기는 100 bytes이고 단말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자원의 크기는 150 bytes라고 가정하면 단말은 고정된 크기보다 50 bytes 큰 크기의 자원을 요청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150 bytes 의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한다.
도 12는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를 기지국에게 알려주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서,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는 300 bytes 라고 가정하면 단말은 기지국에게 300 bytes를 요청하고 기지국은 단말에게 300 bytes를 할당한다.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 경우, 기지국이 단말이 요청한 크기의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 없으면 기지국은 할당할 수 있는 크기의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도 있고, 5 단계 방식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보면, 3 단계 방식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대역폭을 할당받은 단말은 할당받은 대역폭을 이용해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50).
5 단계 방식에 따르면, 단말이 기지국으로 대역폭 요청 지시자를 전송하면(S110), 기지국은 단말에게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위한 자원을 할당하고(S120), 단말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해 기지국에게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30). 그러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데이터를 위한 자원을 할당하고(S140), 단말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해 기지국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S150).
이하에서는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에 대해 살펴본다.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은 요청하는 플로우(flow)의 개수와 요청하는 플로우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플로우의 QoS ID, QoS 레벨 또는 scheduling type/priority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표 6은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표 6을 보면, 'flow unit' 타입은 단말이 요청하는 플로우의 개수가 1 개 일때 사용되는 BR type이고, 'QoS unit' 타입은 단말이 QoS ID, QoS 레벨 또는 scheduling type/priority이 동일한 복수의 플로우를 요청할 때 사용되는 BR type이고, 'Station unit' 타입은 QoS ID, QoS 레벨 또는 scheduling type/priority이 다른 복수의 플로우를 요청할 때 사용되는 BR type이다.
Bandwidth request type (2 bits) Description Notes
00 Flow unit Flow unit type is used when requesting bandwidth for one flow.
01 QoS unit QoS unit type is used when requesting bandwidth for one or multiple flows whose scheduling type and priority are the same
10 Station unit Station unit type is used when requesting bandwidth for multiple flows whose scheduling type and priority are different
11 Reserved
표 7은 BR type이 flow unit인 경우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다.
Field Length (bit) Description
Bandwidth request type = 0b00 2 00: flow unit type
Flow ID 4
Sign 2 00 : aggregate BR
01 : incremental BR
10 : decremental BR
11 : reserved
Bandwidth request size 11
Reserved 1
STID 12 Station identifier
표 7에서, 'sign' 필드는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가 직전에 요청한 자원의 크기보다 큰 값인지 작은 값인지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즉,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가 직전에 요청한 자원의 크기보다 큰 값이면 'sign' 필드는 '01'이 되고,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가 직전에 요청한 자원의 크기보다 작은 값이면 'sign' 필드는 '10'이 된다.
이때, 직전에 요청한 자원의 크기는 단말이 가장 최근에 전송한 대역폭 요청 메시지에서 요청한 자원의 크기일 수도 있고, 단말이 전송한 대역폭 요청 메시지 및 빠른 접속 메시지를 중 가장 최근에 전송한 메시지에서 요청한 자원의 크기일 수도 있다.
표 8 및 9는 BR type이 QoS unit인 경우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다.
Field Length (bit) Description
Bandwidth request type = 0b01 2 01: QoS unit type
QoS ID
Sign 2 00 : aggregate BR
01 : incremental BR
10 : decremental BR
11 : reserved
Bandwidth request size 11
Reserved 1
STID 12 Station identifier
Field Length (bit) Description
Bandwidth request type = 0b01 2 01: QoS unit type
Scheduling type 3 000 : UGS
001 : rtPS
010 : ertPS
011 : nrtPS
100 : BE
101 ~ 111 : reserved
Priority 1 0 : High
1 : Low
Sign 2 00 : aggregate BR
01 : incremental BR
10 : decremental BR
11 : reserved
Bandwidth request size 11
Reserved 1
STID 12 Station identifier
BR type이 QoS unit인 경우에는 대역폭 요청 메시지가 표 8과 같이 QoS ID를 포함할 수도 있고, 표 9와 같이 scheduling type 및 priority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표 9에서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scheduling type 대신 service type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 10은 BR type이 Station unit인 경우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Field Length (bit) Description
Bandwidth request type = 0b10 2 10: Station unit type
Mixed type 2 00 : real time services (UGS, rtPS, ertPS)
01 : non-real time services (nrtPS, BE)
10 : real time and non-real time service (UGS, rtPS, ertPS, nrtPS, BE)
11 : reserved
Bandwidth request size Ⅰ 8 For the flow of the highest priority
Bandwidth request size Ⅱ 8 For the rest of the flows
STID 12 Station identifier
표 10에서, 'Mixed type' 필드는 단말이 요청하는 복수의 플로우들의 특성을 나타낸다. 즉, 단말이 요청하는 복수의 플로우들 모두가 실시간(real time) 서비스이면 'Mixed type' 필드는 '0b00'으로 설정되고, 단말이 요청하는 복수의 플로우들 모두가 비실시간(non-real time) 서비스이면 'Mixed type' 필드는 '0b01'으로 설정되고, 단말이 요청하는 복수의 플로우들 중 일부 플로우는 실시간 서비스이고 나머지 플로우는 비실시간 서비스이면 'Mixed type' 필드는 '0b10'으로 설정된다.
'Bandwidth request size Ⅰ' 필드는 단말이 요청하는 복수의 플로우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플로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자원의 크기를 나타내고, 'Bandwidth request size Ⅱ' 필드는 나머지 플로우들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자원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13은 BR type이 Station unit인 경우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의 다른예를 나타낸다.
도 13에서, 'Number of QoS ID' 필드는 대역폭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QoS ID의 개수를 나타낸다. BR type이 Station unit인 경우 대역폭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QoS ID의 개수가 고정되어 있으면 대역폭 요청 메시지가 'Number of QoS ID' 필드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QoS ID' 필드는 scheduling type, priority 등 QoS를 결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필드로 대체될 수 있다.
'bandwidth request size' 필드는 해당 QoS ID를 갖는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자원의 크기를 나타내며,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Number of QoS ID' 필드의 값 + 1 개의 'bandwidth request size' 필드를 포함한다.
마지막 번째 'bandwidth request size' 필드는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 QoS ID를 갖는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자원의 크기를 나타낸다.
표 11은 도 13에 도시된 BR type이 Station unit인 경우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에서 'Number of QoS ID' 필드의 값이 1 일때의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나타낸다.
Field Length (bit) Description
Bandwidth request type = 0b10 2 Station unit type
Number of QoS ID 1
QoS ID
Bandwidth request size Ⅰ 11
Bandwidth request size Ⅱ 1
STID 12 Station identifier
표 11에서, 'QoS ID' 필드는 단말이 전송하려는 플로우들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플로우의 QoS ID를 나타낸다. 'Bandwidth request size I' 필드는 우선순위 높은 QoS ID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플로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자원의 크기를 나타내고, 'Bandwidth request size II' 필드는 우선순위 낮은 QoS ID들의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을 위해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14는 BR type이 Station unit인 경우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4에 도시된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도 13에 도시된 대역폭 요청 메시지에 마지막번째 'bandwidth request size' 필드에 대한 추가 정보(delay sensitive 여부)를 추가한 것이다. 'delay sensitive indicator' 필드는 마지막번째 'bandwidth request size' 필드를 통해 요청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플로우의 특성을 나타낸다. 'delay sensitive indicator' 필드의 값은 'delay sensitive flow set with different priorities', 'delay sensitive flow set & delay tolerant flow set' 또는 'delay tolerant flow set with different priorities'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및 할당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및 할당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자원 요청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한 서비스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1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하지 않은 서비스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1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대역폭 요청 타입(bandwidth request type, 이하 "BR type"이라 함)이 0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2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BR type이 1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2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3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접속 메시지의 제3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 내지 4의 'request size'를 디폴트 값과의 차이 값 형태로 전송하는 경우, 차이 값의 데이터 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단말이 필요로 하는 자원이 고정된 크기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단말이 필요로 하는 자원이 고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기지국이 고정된 크기의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 없는 경우 기지국이 할당할 수 있는 크기의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기지국이 고정된 크기의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 없는 경우 5 단계 방식으로 전환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가 고정된 크기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가 고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를 기지국에게 알려주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BR type이 Station unit인 경우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의 다른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BR type이 Station unit인 경우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Claims (19)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제1 필드 및 상기 제1 필드에 의해 결정되는 필드를 포함하는 빠른 접속 메시지(quick access message)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자원을 할당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 및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한 서비스임을 나타내면 상기 빠른 접속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단말 아이디를 나타내는 제2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하지 않은 서비스임을 나타내면 상기 빠른 접속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를 나타내는 제3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필드는 상기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가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에 미리 결정되어 있는 디폴트 값보다 큰 값인지 작은 값인지를 나타내는 제4 필드와 상기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와 상기 디폴트 값의 차를 나타내는 제5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필드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이 aGPS(adaptive grant polling service)인 경우 서비스 파라메터 세트를 변경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플로우 개수 및 상기 단말이 복수의 플로우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플로우의 데이터 특성이 유사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플로우 개수가 1개이거나 상기 단말이 복수의 플로우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플로우의 데이터 특성이 유사함을 나타내면 상기 빠른 접속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QoS ID를 나타내는 제2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단말이 복수의 플로우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플로우의 데이터 특성이 유사하지 않음을 나타내면 상기 빠른 접속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단말 아이디를 나타내는 제2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을 할당받는 단계는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에 미리 정해져 있는 고정된 크기의 자원을 할당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제1 필드 및 상기 제1 필드에 의해 결정되는 필드를 포함하는 빠른 접속 메시지(quick access message)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 및 우선순위 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한 서비스임을 나타내면 상기 빠른 접속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단말 아이디를 나타내는 제2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딜레이에 민감하지 않은 서비스임을 나타내면 상기 빠른 접속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를 나타내는 제3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필드는 상기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가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에 미리 결정되어 있는 디폴트 값보다 큰 값인지 작은 값인지를 나타내는 제4 필드와 상기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의 크기와 상기 디폴트 값의 차를 나타내는 제5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플로우 개수 및 상기 단말이 복수의 플로우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플로우의 데이터 특성이 유사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플로우 개수가 1개이거나 상기 단말이 복수의 플로우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플로우의 데이터 특성이 유사함을 나타내면 상기 빠른 접속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QoS ID를 나타내는 제2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단말이 복수의 플로우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플로우의 데이터 특성이 유사하지 않음을 나타내면 상기 빠른 접속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단말 아이디를 나타내는 제3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에 미리 정해져 있는 고정된 크기의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된 크기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할 수 없는 경우에는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크기의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플로우 개수 및 상기 단말이 복수의 플로우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플로우의 데이터 특성이 유사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단말이 복수의 플로우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플로우의 데이터 특성이 유사하지 않음을 나타내면, 상기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플로우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플로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자원의 크기를 나타내는 제2 필드 및 상기 복수의 플로중 중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플로우를 제외한 나머지 플로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자원의 크기를 나타내는 제3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단말이 복수의 플로우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플로우의 데이터 특성이 유사하지 않음을 나타내면, 상기 대역폭 요청 메시 지는 상기 복수의 플로우의 QoS ID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필드 및 상기 제2 필드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3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KR1020090049809A 2008-12-22 2009-06-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및 할당 방법 KR20100082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41,321 US8908578B2 (en) 2008-12-22 2009-12-15 Method for requesting and allocating uplink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9/007502 WO2010074448A2 (ko) 2008-12-22 2009-12-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및 할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38109P 2009-01-08 2009-01-08
US61/143,381 2009-01-08
US15000909P 2009-02-05 2009-02-05
US61/150,009 2009-02-05
US15591009P 2009-02-26 2009-02-26
US61/155,910 2009-02-26
US15756109P 2009-03-05 2009-03-05
US61/157,561 2009-03-05
US16306009P 2009-03-25 2009-03-25
US61/163,060 2009-03-25
US16346309P 2009-03-26 2009-03-26
US61/163,463 2009-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292A true KR20100082292A (ko) 2010-07-16

Family

ID=42642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809A KR20100082292A (ko) 2008-12-22 2009-06-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및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22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0227A1 (en) * 2014-07-17 2016-01-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0227A1 (en) * 2014-07-17 2016-01-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78691B2 (en) 2014-07-17 2019-0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87349B2 (en) 2014-07-17 2020-06-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96207B2 (en) 2014-07-17 2021-08-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3135A1 (en) Method for random access in idle state and device
US10492235B2 (en) Transmission resource reques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036479B1 (ko) 가변 포맷의 메시지를 이용한 대역 요청 방법
EP3235320B1 (en) Uplink resource scheduling in multiple time instances
KR20200011968A (ko) 송신 블록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8130057A1 (zh) 调度方法及相关设备
EP3886488A1 (en) Bsr reporting method and device
US9155078B2 (en) Multireceiver timing advance provisioning
US11234250B2 (en)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atency reduction and communications system
JP5410645B2 (ja) 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パケットリソースをワイヤレス端末に割り振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908578B2 (en) Method for requesting and allocating uplink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05947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자원영역 할당방법
WO2020143773A1 (zh) 传输资源选择方法及装置
KR101600484B1 (ko) QoS 파라미터를 이용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KR20100127189A (ko) 대역폭 요청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KR20200064140A (ko) 상향링크 데이터 패킷 자원 할당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CN107147475B (zh) 一种调制编码方式的调整方法及基站
KR101405946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자원영역 할당방법
EP3099091A1 (en) Uplink resource allocation method, access terminal, and access point
KR2010008229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및 할당 방법
WO2021036763A1 (zh) 监测周期的调整方法及装置
US20230239846A1 (en) Downlink (dl) and uplink (ul) scheduling for transmission above 52.6 ghz
JP2013223181A (ja) 無線通信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基地局の制御方法
CN107005974B (zh) 物理无线资源块调度的方法、设备和系统
KR20070107449A (ko) 이동 단말기 및 휴대인터넷망의 cqi채널을 이용한상향링크 무선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