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160A -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160A
KR20100080160A KR1020080138803A KR20080138803A KR20100080160A KR 20100080160 A KR20100080160 A KR 20100080160A KR 1020080138803 A KR1020080138803 A KR 1020080138803A KR 20080138803 A KR20080138803 A KR 20080138803A KR 20100080160 A KR20100080160 A KR 20100080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ation
providing
based service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8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종언
도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080138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0160A/en
Priority to PCT/KR2009/008006 priority patent/WO2010077109A2/en
Publication of KR20100080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1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and a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are provided to supply a location based service without respect to a state of a terminal. CONSTITUTION: An idle mode entry proced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idle mode entry request is performed from the terminal. A location information message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transmitted after completing the idle mode entry procedu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provided to a service provider who provides a location based servi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provided from a CSN is updated.

Description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interne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존의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상기 음성 서비스와 차별화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해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음성 서비스와 차별화된 다양한 부가 서비스, 일 예로 단말(MS: Mobile Station)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 서비스, 친구 찾기 서비스, 특정 지역 내에서의 통신요금 할인 서비스 등의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s)와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기술이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는 이동 중인 단말의 위치정보를 여러 부가 서비스와 결합시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 위치 측정 기술 및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결합되어 제공되는 서비스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eveloping in the form of providing various additional services differentiated from the voice service as well as the existing voice service. Accordingly, various additional services differentiated from voice services, for example, location-based services such as a navigation service, a friend search service, and a communication rate discount service in a specific reg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station (MS)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such as location based services. Location-based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provides a variety of services by comb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ith a number of additional services, the service is provided by combining the terminal, wireless network, location measurement technology and application applications.

한편, 이동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이 다양해지고, 따라서 데이터를 대용량, 고속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기술이 통신 시스템 성능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On the other hand, as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velops,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 diversified, and therefore, a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t a large capacity and at high speed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of communication system performance.

현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표준 규격들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표준 규격, NWG(Network Working Group),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표준 규격이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in the system and the various standar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rge amounts of data at high speed have been actively researched, typically a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standard, NWG (Network Working Group), 3GPP LTE (3 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standard specification.

상기 WiMAX, NWG, 3GPP LTE 표준 규격은 현재 표준화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상술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의 위치정보의 제공방법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의 제공방법에 대해서는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WiMAX, NWG, 3GPP LTE 표준 규격을 기반으로 한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이 요구되고 있다.The WiMAX, NWG, and 3GPP LTE standard is currently being actively standardized, but the method of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method of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or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described above. It does not suggest about.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and a location-based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in a portable Internet system based on WiMAX, NWG, and 3GPP LTE standard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poses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in a portable Internet system.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t is a technical problem to propose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in a portable internet system.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 단말을 위한 위치기반 서비스의 플로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t is a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 flow of a location-based service for an active mode terminal in a portable internet system.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Idle Mode) 단말을 위한 위치기반 서비스의 플로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t is a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 flow of a location-based service for an idle mode terminal in a portable Internet system.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엔트리(Network Entry) 상태의 단말의 위한 위치기반 서비스의 플로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t is a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 flow of a location-based service for a terminal in a network entry state in a portable Internet system.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은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는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의 아이들 모드 진입 요청에 따른 상기 단말의 아이들 모드 진입 절차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들 모드 절차 완료 후,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메시지를 상기 CSN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entering the idle mode, the idle mode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idle mode entry request from the terminal Performing a procedure; And after the idle mode procedure is completed, transmitting a location information message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CS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은 아이들 모드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의 요청 또 는 서빙 기지국(Serving BS)의 아이들 모드 변경 요청에 따른 아이들 모드 변경을 위한 레인징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국에서 아이들 모드에서 변경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메시지를 상기 CSN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CSN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공급자(Application Service Provider)에게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idle mode terminal, the request from the terminal or the request for changing the idle mode of a serving BS (Serving BS) Performing a ranging and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changing an idle mode; Transmitting, by the control station, a location information messag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hanged in the idle mode to the CSN; And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a service provider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in the CS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은 액티브 모드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이동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단말을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시키는 단계;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의 ASN(Access Service Network)에서 CSN(Core Service Network)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CSN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공급자(Application Service Provider)에게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active mode terminal. Handing over to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a;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a core service network (CSN) in an access service network (ASN) of a base station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And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a service provider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in the CS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액티브 모드 단말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이동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단말을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시키는 단계; CSN(Core Service Network)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CSN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공급자(Application Service Provider)에게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 기 단말과 상기 서비스 공급자 간에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게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에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active mode terminal, when the terminal moves to enter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the terminal location-based service Handing over to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a;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 the CSN whe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provided to a core service network (CSN); Generating a session for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rvice provider;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to the terminal using the sess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sion targe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에 위치하는 아이들 모드의 단말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의 서비스 공급자(Application Service Provider)자로부터 상기 단말로 데이터 전송 요청이 이루어지면, 상기 단말로 전송될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서빙 기지국(Serving BS), 제어국(ACR), ASN(Access Service Network) 및 CSN(Core Service Network) 상호 간에 페이징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단말의 상태를 액티브 모드로 변경시키는 단계; 상기 단말과 상기 서비스 공급자의 AF(Application Function) 간에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을 이용하여 액티브 모드로 변경된 단말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로 전송될 데이터의 저장은 상기 ASN의 ASN-GW(Access Service Network Gateway)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terminal of the idle mode located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the service provider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Application Storing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when a data transmission request is made from a service provider to the terminal; Changing a state of the terminal to an active mode by performing a paging procedure between a serving BS, a control station (ACR), an access service network (ASN), and a core service network (CSN); Creating a session between the terminal and an application function (AF) of the service provider; And transmitting the stored data to the terminal changed into the active mode by using the session, wherein the storing of th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s performed in an ASN-GW (Access Service Network Gateway) of the ASN. .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에게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to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er in a portable Internet system.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 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llows to provide a location-based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 a portable Internet system.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단말의 액티브 모드(Active Mode), 아이들 모드(Idle Mode) 또는 네트워크 엔트리(Network Entry) 상태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단말의 상태와 상관없이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active mode, an idle mode, or a network entry state of a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Thus, location-based services can be provided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terminal.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 단말을 위한 위치기반 서비스의 플로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w of a location-based service for an active mode terminal in a portable internet system may be provided.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Idle Mode) 단말을 위한 위치기반 서비스의 플로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provide a flow of location-based services for the idle mode (idle mode) terminal in the portable Internet system.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엔트리(Network Entry) 상태의 단말의 위한 위치기반 서비스의 플로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provide a flow of location-based services for the terminal of the network entry (Network Entry) state in the portable Internet system.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의 액티브 모드(Active Mode), 아이들 모드(Idle Mode) 또는 네트워크 엔트리(Network Entry) 상태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단말의 상태와 상관없이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in a portable internet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mode, an idle mode, or a network entry of a terminal. By providing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ate and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cation-based service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terminal.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휴대 인터넷 시스템과 본 발명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erms used in the portable Internet system and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ISF: Initial Service FlowISF: Initial Service Flow

PCC: Policy and Charging ControlPCC: Policy and Charging Control

IMS: IP Multimedia SubsystemIMS: IP Multimedia Subsystem

PPSF: Pre-Provisioned Service FlowPPSF: Pre-Provisioned Service Flow

AF: Application FunctionAF: Application Function

PDF: Policy Distribution Function PDF: Policy Distribution Function

ASN: Access Service NetworkASN: Access Service Network

SPR: Subscription Profile RepositorySPR: Subscription Profile Repository

BE: Best EffortBE: Best Effort

UGS: Unsolicited Grant ServiceUGS: Unsolicited Grant Service

NAI: Network Access IdentifierNAI: Network Access Identifier

QoS: Quality of ServiceQoS: Quality of Service

SFA: Service Flow AuthorizationSFA: Service Flow Authorization

SFID: Service Flow IDSFID: Service Flow ID

SFM: Service Flow ManagementSFM: Service Flow Management

LS: Location ServerLS: Location Server

LC: Location ClientLC: Location Client

LA: Location AgentLA: Location Agent

LR: Location RequesterLR: Location Requester

VLS: Visiting Location ServerVLS: Visiting Location Server

HLS: Home Location ServerHLS: Home Location Server

H-CSN: Home Core Service NetworkH-CSN: Home Core Service Network

DPF: Data Path FunctionDPF: Data Path Function

PC: Paging ControllerPC: Paging Controller

V-CSN: Visiting Core Service NetworkV-CSN: Visiting Core Service Network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ASN-GW: Access Service Network GatewayASN-GW: Access Service Network Gateway

PCRF: Policy Control and Charging Rules FunctionPCRF: Policy Control and Charging Rules Function

PCEF: 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PCEF: 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

AAA: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AAA: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Forum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Forum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3GPP LTE: 3 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NWG: Network Working GroupNWG: Network Working Group

이하에서는 일 예로서, NWG 표준 규격을 기반으로 한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s an example,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and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in a portable internet system based on the NWG standard standard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단말의 위치정보는 ASN(Access Service Network) 또는 CSN(Connectivity Services Network )에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 서, 단말의 위치정보 획득 방법은 단말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위치추적이 가능한 장치를 추가하는 방식, 단말에서 특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 단말과 기지국 간에 별도로 마련된 채널을 이용하는 방식, 기지국의 3각 측정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위치정보 획득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하지 않는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method of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t is assumed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recognized by an access service network (ASN) or a connectivity services network (CSN). Here, the method of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may include adding a device capable of tracking a location such a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generating a specific signal in a terminal, using a channel provided separately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The triangular measurement method of the base station may be applied, and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escribe the method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ASN(Access Service Network)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R3, R4는 각 네트워크 구성원 간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internet system,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ccess service network (ASN) of the portable internet system. In FIG. 1, R3 and R4 represent interfaces between respective network member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액세스 서비스 네트워크(Access Services Network, 이하 'ASN'이라 함)와, 방문 연결 서비스 네트워크(Visiting Connectivity Services Network, 이하 'V-CSN'라 함)와, 홈 연결 서비스 네트워크(Home Connectivity Services Network, 이하 'H-CSN'라 함)와, 서비스 공급자(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이하 'ASP'라 함)와, 홈 IP 네트워크(Home IP Network) 및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단말(Mobile Station)을 포함한다.1 and 2, a portable Internet system may include an access services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SN'), a visiting connectivity services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CSN'), and a portable Internet system. , Home Connectivity Services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H-CSN"), Service Provider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referred to as "ASP"), Home IP Network (not shown) It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Mobile Station).

ASN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무선 접속(radio access) 기반(infrastructure)을 제공하며, 기지국(BS: Base Station)과 ACR(Access Control Router), ASN 게이트웨이(ASN Gateway, 이하 'ASN-GW'라 함)를 포함한다.ASN provides radio service infrastructure to network service providers, and is called base station (BS), access control router (ACR), and ASN gateway (ASN-GW). ).

단말(MS)이 최초 네트워크에 진입(network entry)하여 서비스를 시작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uthenticator ACR과, Anchor ACR과, Serving ACR이 동일 ASN에 존재하게 된다.When the MS starts a service by first entering the network (network entry), as shown in FIG. 2, the Authenticator ACR, the Anchor ACR, and the Serving ACR are present in the same ASN.

단말은 항상 IP를 가지고(always IP) 언제든지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상태여야 한다. 따라서, 네트워크에 한번 접속하면 특별한 경우 이외에는 계속해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는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므로, 단말이 최초 접속한 곳의 ACR이 달라질 수가 있다.The terminal should always be able to receive service at all times with IP. Therefore, once connected to the network, it must remain connected to the network except in special cases. Since the portable Internet system supports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the ACR where the terminal is initially connected may be different.

Anchor ACR은 홈 IP 네트워크(Home IP Network)에 연결되어 트래픽(traffic) 데이터가 전송되어 오는 부분이며, 또한 단말의 데이터가 거쳐가는 곳이다. 이를 위해, Anchor ACR은 Anchor DPF를 포함하며, IP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경로(Data Path)를 지정한다. 이러한, Anchor ACR은 IP 네트워크와 직접 연결되며, Anchor ACR을 경유하여 실제 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Serving ACR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Anchor ACR is a part where traffic data is transmitted by being connected to a home IP network, and also where data of a terminal passes. To this end, the Anchor ACR includes an Anchor DPF and designates a data path of data transmitted in the IP network. The Anchor AC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P network, and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Serving ACR in which the actual terminal is located via the Anchor ACR.

Serving ACR은 실제 단말이 접속되어 위치하고 있는 곳으로, Serving DPF를 포함한다. Anchor ACR로 전송된 데이터가 Serving ACR을 거쳐서 단말로 전송된다. 또한, Serving ACR은 Serving DPF가 기지국(BS)으로 이동하는 경로(Path)를 지정한다. 지정된 경로를 통해서 데이터 트래픽(Data Traffic)이 이루어진다.Serving ACR is a place where an actual terminal is connected and includes a Serving DPF. Data transmitted to the Anchor ACR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via the Serving ACR. In addition, the Serving ACR designates a path in which the Serving DPF moves to the base station BS. Data traffic occurs through the designated path.

Authenticator ACR은 단말이 최초 접속되는 곳으로 과금(accounting)과 인증을 담당하고 추가 서비스 플로우(Service flow)를 생성한다. 또한, Authenticator ACR은 새로 추가되는 서비스 플로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anchor SFA를 포함한다.The Authenticator ACR is responsible for accounting and authentication where the terminal is initially connected, and generates additional service flows. In addition, the Authenticator ACR includes an anchor SFA that performs authentication for a newly added service flow.

Anchor PC(Paging Controller, LR: Location Register)의 Authenticator ACR, Anchor ACR 또는 Serving ACR에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in an Authenticator ACR, Anchor ACR, or Serving ACR of an Anchor PC (Paging Controller, LR: Location Register).

V-CSN 및 H-CSN은 IP 연결(IP connectivity)과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가입자들에게 제공하며, 위치 정보 서버(LS: Location Server) 및 권한, 인증, 과금(Authorization, Authentication and Accounting, 이하 'AAA'라 함) 서버, PDF(Policy Distribution Function) 및 PCRF(Policy Control and Charging Rules Function)를 포함한다.V-CSN and H-CSN provide subscribers with IP connectivity and network services. Location Server (LS) and Authorization, Authentication and Accounting (AAA) Server), PDF (Policy Distribution Function) and PCRF (Policy Control and Charging Rules Function).

PCEF는 홈 IP 네트워크와 PDF/PCRF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며, Anchor SFA에 무선 품질 인증(Radio QoS Policy)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PCEF acts as an interface between the home IP network and PDF / PCRF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Radio QoS Policy to Anchor SFA.

H-CSN에 구성된 AAA 서버는 단말이 위치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을 진입할 때, 최초 접속되는 ASN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이 최초로 네트워크에 진입 시, 접속한 ASN의 ASN-GW로부터 단말의 Anchor Authenticator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The AAA server configured in the H-CSN uses the information on the ASN to be initially connected when the terminal enters an area where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provided. Receive information about Anchor Authenticator.

단말이 네트워크에 진입 시, 접속한 ASN을 통해 단말의 위치정보가 생성되고, 생성된 단말의 위치정보는 AAA 서버에 저장됨과 아울러, 서비스 공급자(ASP)에게 제공된다.When the terminal enters the network,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generated through the connected AS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stored in the AAA server and provided to the service provider (ASP).

ASP는 수신된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검출하고, 단말이 특정 지역에 위치하면 상기 특정 지역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즉, 위치기반 서비스를 해당 단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ASP는 위치기반 서비스의 컨텐트(content)가 저장된 컨텐트 서버와,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 가입된 모든 단말의 위치기반 서비스 가입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가입 정보 서버를 포함한다.The ASP detect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if the terminal is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the ASP provides a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in the specific region, that is, a location-based service. To this end, the ASP includes a content server storing content of a location-based service, and a service subscription information server storing location-based service subscription information of all terminals subscribed to the portable Internet system.

ASP는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위치기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지역에 위치한 것을 인지하면, 서비스 가입 정보 서버에 보관된 서비스 가입 정보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기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다. 이후, 위치기반 서비스 가입 여부의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서비스의 컨텐트를 제공하게 된다.When the ASP recognizes that the terminal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location-based service can be provid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ASP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subscribes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using the service subscrip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ice subscription information server. . Thereaft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firming whether to subscribe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the terminal provides content of the service to the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이, ASP가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단말에게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야 한다. 또한, 제공받은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기반 서비스가 상기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휴대 인터넷 시스템 구성들 간에 서비스 플로우 및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경로를 설정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ASP to provide a location-based service to a terminal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the ASP must be provided with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service flow and the data path according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should be set between components of the portable Internet system so that location-based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by us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단말의 위치정보는 ASN의 Anchor SFA/PCEF에서 V-PCRF를 경유하여 H-PCRF로 전송된다. 이때, V-PCRF 및 H-PCRF는 단말에게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플로우를 생성을 위해, ASN의 Anchor SFA/PCEF로부터 전송된 단말의 위치정보를 ASP로 전송한다. 여기서, ASP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 내에 가입된 모든 단말의 위치기반 서비스 가입 정보를 가지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H-PCRF via the V-PCRF in the Anchor SFA / PCEF of the ASN. In this case, the V-PCRF and the H-PCRF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ransmitted from the Anchor SFA / PCEF of the ASN to the ASP to generate a service flow for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terminal. Here, the ASP has location-based service subscription information of all terminals subscribed in the portable Internet system.

이때, 서비스 플로우의 생성은 ASP의 AF에서 결정되며, 단말의 위치정보와 함께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위치기반 서비스 가입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플로우 생성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ASP의 AF에서 서비스 플로우 생성 결정이 이루어지면, ASP의 AF는 서비스 플로우 생성 명령을 H-CSN으로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플로우 생성 명령을 통해, ASN, V-CSN, H-CSN 및 ASP 사이에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단 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의 서비스 플로우 생성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case, the generation of the service flow is determined by the AF of the ASP, and the service flow is determined based on the location-based service subscrip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located in the specific region together with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If a service flow creation decision is made in the AF of the ASP, the AF of the ASP sends a service flow creation command to the H-CSN. Through the service flow generation command, service flow generation of a location-based service to be provided to a terminal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between ASN, V-CSN, H-CSN and ASP is made.

여기서, 단말은 액티브 모드(Active Mode), 아이들 모드(Idle Mode) 또는 네트워크 엔트리(Network Entry)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의 상태에 따른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되어야만 단말의 상태에 상관없이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terminal may be in an active mode, an idle mode, or a network entry state. Therefore, the method of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method of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can be provided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terminal.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단말이 액티브 모드(Active Mode), 아이들 모드(Idle Mode) 또는 네트워크 엔트리(Network Entry) 상태에 따른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단말의 상태와 상관없이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active mode, an idle mode, or a network entry state, and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By providing a,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cation-based service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terminal.

이하,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and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1.

도 3은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는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entering an idle mode.

도 3을 참조하면, 단말로부터의 요청 또는 서빙 기지국에서의 결정에 의하여 액티브 모드 단말에 대하여 아이들 모드로의 진입이 결정되면, 서빙 기지국(Serving BS)은 상기 단말의 아이들 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IM_Entry_State_Chang_Req 메시지를 ACR로 전송한다(S110).Referring to FIG. 3, when an entry into an idle mode is determined for an active mode terminal by a request from a terminal or a determination of a serving base station, a serving BS sends an IM_Entry_State_Chang_Req message requesting entry of an idle mode by the terminal. To transmit to the ACR (S110).

이후, ACR은 서빙 기지국(Serving BS)으로부터의 IM_Entry_State_Chang_Req 메시지를 Anchor PC로 전송한다(S112). 이후, Anchor PC는 제어국(ACR)으로부터의 IM_Entry_State_Chang_Req 메시지를 Authenticator ACR로 전송한다(S114).Thereafter, the ACR transmits an IM_Entry_State_Chang_Req message from the serving BS to the Anchor PC (S112). Thereafter, the Anchor PC sends an IM_Entry_State_Chang_Req message from the control station ACR to the Authenticator ACR (S114).

이후, IM_Entry_State_Chang_Req 메시지를 수신한 Authenticator ACR은 상기 단말의 아이들 모드 진입을 승인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IM_Entry_State_Chang_Rsp 메시지를 Anchor PC로 전송한다(S116). 이후, Anchor PC는 Authenticator ACR로부터의 IM_Entry_State_Chang_Rsp 메시지를 ACR으로 전송한다(S118).After receiving the IM_Entry_State_Chang_Req message, the Authenticator ACR approves entering the idle mode of the terminal and transmits an IM_Entry_State_Chang_Rsp message to the Anchor PC in response (S116). Thereafter, the Anchor PC transmits an IM_Entry_State_Chang_Rsp message from the Authenticator ACR to the ACR (S118).

이후, ACR은 S110에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말의 아이들 모드 진입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IM_Entry_State_Chang_Rsp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20).Thereafter, the ACR transmits an IM_Entry_State_Chang_Rsp message to the serving base station in response to the idle mode entry request of the termi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in S110 (S120).

ACR로부터 IM_Entry_State_Chang_Rsp 메시지를 수신한 서빙 기지국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IM_Entry_State_Chang_Ack 메시지를 ACR으로 전송한다(S122).The serving base station receiving the IM_Entry_State_Chang_Rsp message from the ACR sends a IM_Entry_State_Chang_Ack message to the ACR in response (S122).

이후, ACR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IM_Entry_State_Chang_Ack 메시지를 Anchor PC로 전송한다(S124). 이후, Anchor PC는 ACR로부터의 IM_Entry_State_Chang_Ack 메시지를 Authenticator ACR로 전송한다(S126).Thereafter, the ACR transmits an IM_Entry_State_Chang_Ack message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to the Anchor PC (S124). Thereafter, the Anchor PC sends an IM_Entry_State_Chang_Ack message from the ACR to the Authenticator ACR (S126).

이와 함께, Anchor PC는 Anchor_PC_Ind 메시지를 Anchor DPF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였음을 알려준다(S128). 이후, Anchor DPF는 수신된 Anchor_PC_Ind 메시지의 응답으로, Anchor_PC_Ack 메시지를 Anchor PC로 전송한다(S130).In addition, the Anchor PC sends an Anchor_PC_Ind message to the Anchor DPF to inform that the terminal has entered the idle mode (S128). Thereafter, the Anchor DPF transmits the Anchor_PC_Ack message to the Anchor PC in response to the received Anchor_PC_Ind message (S130).

이후, Anchor DPF가 상기 단말의 아이들 모드 진입을 인지하면, Anchor DPF와 서빙 기지국(Serving BS) 간에 설정되어 있던 데이터 패스를 해제하는 절 차(Path dereg procedure)를 수행한다(S132). 이후, Anchor DPF는 Authenticator ACR로 Context_Rpt 메시지를 전송하여 인증키를 부여한다(S134).Thereafter, when the Anchor DPF recognizes the terminal entering the idle mode, a procedure of releasing the data path established between the Anchor DPF and the serving BS is performed (S132). Thereafter, the Anchor DPF transmits a Context_Rpt message to the Authenticator ACR and grants an authentication key (S134).

이후, Authenticator ACR은 CSN의 PDF 및 PCRF로 Location_Rpt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알려주고, Authenticator ACR로부터 Location_Rpt 메시지를 수신한 CSN의 PDF 및 PCRF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Location_Ack 메시지를 전송한다(S136). 이후, Location_Rpt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단말의 위치정보를 인지한 CSN의 PCRF는 인지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ASP의 AF로 전송한다. 상술한, 절차들을 통해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는 단말의 위치정보를 CSN 및 ASP로 전송할 수 있다.Thereafter, the Authenticator ACR sends the Location_Rpt message to the PDF and PCRF of the CSN to inform the termina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PDF and PCRF of the CSN receiving the Location_Rpt message from the Authenticator ACR transmits the Location_Ack message in response thereto (S136). ). Thereafter, by receiving the Location_Rpt message, the PCRF of the CSN recogni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ransmits the recogniz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AF of the ASP.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du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entering the idle m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CSN and the ASP.

도 4는 아이들 모드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idle mode terminal.

도 4를 참조하면, 아이들 모드의 단말(MS)이 이동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에 진입하게 되면 레인징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은 서빙 기지국으로 RNG-REQ 메시지를 전송하여 레인징을 요청한다(S210).Referring to FIG. 4, when the MS in the idle mode moves and enters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ranging should be performed. Accordingly, the terminal requests ranging by transmitting an RNG-REQ message to the serving base station (S210).

이후, 서빙 기지국은 ASN-GW로 UL-Req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의 레인징 요청을 알려준다(S212). 이후, ASN-GW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UL-Req 메시지를 Anchor PC 전송하여 상기 단말의 레인징 요청을 알려준다(S214).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notifies the ranging request of the terminal by transmitting a UL-Req message to the ASN-GW (S212). Thereafter, the ASN-GW notifies the ranging request of the terminal by transmitting the UL-Req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to the Anchor PC (S214).

이후, Anchor PC는 UL-Req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의 레인징 요청을 인지한 후, Authenticator ACR로 Context_Req 메시지를 전송하여 인증키를 요청한다(S216).Thereafter, the Anchor PC recognizes the ranging request of the terminal through a UL-Req message, and then sends an Context_Req message to the Authenticator ACR to request an authentication key (S216).

이후, Authenticator ACR은 Anchor PC로부터 수신된 Authenticator ACR로 Context_Req 메시지에 응답으로 Context_Rpt 메시지를 Anchor PC로 전송하여 인증키를 부여한다(S218).Thereafter, the Authenticator ACR transmits the Context_Rpt message to the Anchor PC in response to the Context_Req message to the Authenticator ACR received from the Anchor PC and grants an authentication key (S218).

이후, Anchor PC는 ASN-GW로부터 수신된 UL-Req 메시지에 응답으로 UL-Rsp 메시지를 전송한다(S220). 이후, ASN-GW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UL-Req 메시지에 응답으로 UL-Rsp 메시지를 전송한다(S222).Thereafter, the Anchor PC transmits a UL-Rsp message in response to the UL-Req message received from the ASN-GW (S220). Thereafter, the ASN-GW transmits a UL-Rsp message in response to the UL-Req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S222).

서빙 기지국은 ASN-GW로부터 UL-Rsp 메시지 수신되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RNG-REQ 메시지에 응답으로 RNG-RSP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의 레인징 요청을 승인한다(S224).When the serving base station receives the UL-Rsp message from the ASN-GW, the serving base station transmits an RNG-RSP message in response to the RNG-REQ mess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to approve the ranging request of the terminal (S224).

이후, 서빙 기지국은 CMAC(Cipher-base Message Authentication Code) 키(Key) 카운트 값의 업데이트를 수행을 위해, CMAC_Key_Count_Update 메시지를 ASN-GW로 전송한다(S226). 이후, ASN-GW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CMAC_Key_Count_Update 메시지를 Authenticator ACR로 전송한다(S228).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transmits a CMAC_Key_Count_Update message to the ASN-GW in order to update the Cipher-base Message Authentication Code (CMAC) key count value (S226). Thereafter, the ASN-GW transmits the CMAC_Key_Count_Update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to the Authenticator ACR (S228).

이후, Authenticator ACR은 수신된 CMAC_Key_Count_Update 메시지에 응답으로 CMAC_Key_Count_Update_Ack 메시지를 ASN-GW로 전송한다(S330). 이후, Authenticator ACR로부터 CMAC_Key_Count_Update_Ack 메시지를 수신한 ASN-GW는 서빙 기지국으로 CMAC_Key_Count_Update_Ack 메시지를 전송한다(S332).Thereafter, the Authenticator ACR transmits a CMAC_Key_Count_Update_Ack message to the ASN-GW in response to the received CMAC_Key_Count_Update message (S330). Thereafter, the ASN-GW receiving the CMAC_Key_Count_Update_Ack message from the Authenticator ACR transmits a CMAC_Key_Count_Update_Ack message to the serving base station (S332).

이후, 서빙 기지국은 UL_Cnf 메시지를 ASN-GW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의 레인징 및 CMAC 키 카운트 값의 업데이트를 알려준다(S234). 이후, ASN-GW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UL_Cnf 메시지를 Anchor PC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의 레인징 및 CMAC 키 카운트 값의 업데이트를 알려준다(S236).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transmits a UL_Cnf message to the ASN-GW to inform the user of the ranging and update of the CMAC key count value (S234). Thereafter, the ASN-GW transmits a UL_Cnf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to the Anchor PC to inform the ranging and update of the CMAC key count value of the terminal (S236).

이후, Anchor PC는 Location Update 메시지 또는 Context_Rpt 메시지를 Authenticator ASN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알려준다(S338).Thereafter, the Anchor PC transmits a Location Update message or a Context_Rpt message to the Authenticator ASN to inform the termina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S338).

이후, Authenticator ASN은 CSN의 PDF 및 PCRF로 Location_Rpt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알려주고, Authenticator ASN으로부터 Location_Rpt 메시지를 수신한 CSN의 PDF 및 PCRF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Location_Ack 메시지를 전송한다(S340).Thereafter, the Authenticator ASN sends the Location_Rpt message to the PDF and PCRF of the CSN to infor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PDF and PCRF of the CSN receiving the Location_Rpt message from the Authenticator ASN transmits the Location_Ack message in response (S340). ).

이후, Location_Rpt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단말의 위치정보를 인지한 CSN의 PCRF는 인지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ASP의 AF로 전송한다. 상술한, 절차들을 통해 아이들 모드 단말의 위치정보를 CSN 및 ASP로 전송할 수 있다.Thereafter, by receiving the Location_Rpt message, the PCRF of the CSN recogni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ransmits the recogniz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AF of the ASP.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du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le mode termi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CSN and the ASP.

도 5는 아이들 모드로의 진입 및 아이들 모드의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entry into an idle mode and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in an idle mode.

도 5를 참조하면, 단말(MS)로부터의 요청 또는 서빙 기지국에서의 결정에 의하여 액티브 모드 단말에 대하여 아이들 모드로의 진입이 결정되면, 서빙 기지국(Serving BS)과 상기 단말 및 서빙 기지국과 ASN 간에 아이들 모드 진입 절차를 수행한다(S310).Referring to FIG. 5, when the entry into the idle mode is determined for the active mode terminal by the request from the terminal MS or the determination of the serving base station, between the serving BS and the terminal,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ASN. An idle mode entry procedure is performed (S310).

상기 단말의 아이들 모드 절차가 진행되면, Authenticator ASN은 Location Report 메시지를 CSN의 PDF/PCRF로 전송하여,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CSN에게 알려준다(S312).When the idle mode procedure of the terminal is performed, the Authenticator ASN transmits a Location Report message to the PDF / PCRF of the CSN, and informs the CS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entering the idle mode (S312).

이후, CSN은 Authenticator ASN으로부터 수신된 Location Report 메시지에 응답하여, Location Ack 메시지를 Authenticator ASN으로 전송한다(S314). 이후, CSN의 PCRF는 ASP의 AF로 Notify_location_report 메시지를 전송하여, ASP에게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알려준다(S316). 상술한, S310 내지 S316 절차를 통해,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는 단말의 위치정보를 CSN 및 ASP에게 알려줄 수 있다.Thereafter, the CSN transmits a Location Ack message to the Authenticator ASN in response to the Location Report message received from the Authenticator ASN (S314). Thereafter, the PCRF of the CSN transmits a Notify_location_report message to the AF of the ASP to inform the ASP of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S316). Through the above-described S310 to S316 procedu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entering the idle mode may be informed to the CSN and the ASP.

이후, Authenticator ASN으로부터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ASP는 수신된 단말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 한다(S318). 이후, 단말의 상태가 아이들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변화되면, ASP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게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the ASP tha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Authenticator ASN upd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terminal (S318). Then, when the state of the terminal is changed from the idle mode to the active mode, the ASP may provide a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한편, 아이들 모드의 단말(MS)이 이동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에 진입하게 되면 서빙 기지국(Serving BS)과 상기 단말 및 서빙 기지국과 ASN 간에 레인징을 수행한 후,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의 업데이트 절차(Location Update Procedure)를 수행한다(S320).On the other hand, when the MS in the idle mode moves to enter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a ranging procedure is performed between the serving BS, the terminal,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ASN, and then the update procedur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performed. (Location Update Procedure) is performed (S320).

이후, Authenticator ASN은 Location Report 메시지를 CSN의 PDF/PCRF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CSN에게 알려준다(S322).Thereafter, the Authenticator ASN transmits a Location Report message to the PDF / PCRF of the CSN, and informs the CS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S322).

이후, CSN은 Authenticator ASN으로부터 수신된 Location Report 메시지에 응답하여, Location Ack 메시지를 Authenticator ASN으로 전송한다(S324). 이후, CSN의 PCRF는 ASP의 AF로 Notify_location_report 메시지를 전송하여, ASP에게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알려준다(S326). 상술한, S320 내지 S326 절차를 통해, 아이들 모드 단말의 위치정보를 CSN 및 ASP에게 알려줄 수 있다.Thereafter, in response to the Location Report message received from the Authenticator ASN, the CSN transmits a Location Ack message to the Authenticator ASN (S324). Thereafter, the PCRF of the CSN transmits a Notify_location_report message to the AF of the ASP, and informs the ASP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S326). Through the above-described S320 to S326 procedu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le mode terminal may be informed to the CSN and the ASP.

이후, Authenticator ASN으로부터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ASP는 수신된 단말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의 위치기반 서비스 가입 여 부를 확인한 후, 위치기반 서비스 가입 여부의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게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the ASP tha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Authenticator ASN upd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terminal. After checking whether the terminal subscribes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the terminal may provide the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subscription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도 6은 액티브 모드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of an active mode terminal.

도 6을 참조하면, 액티브 상태의 단말이 이동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에 진입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빙 기지국이 변경되는 것과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6, an active terminal may move and enter a location based service area, which is the same as that of a serving base station providing a service to the terminal.

따라서, 단말은 인접한 기지국들 중에서 타겟 기지국(Target BS)을 정하여 핸드오버 해야 함으로, 인접 기지국들의 정보(NBR RAS List)가 포함된 MOB_MSHO-REQ 메시지를 서빙(Serving) Anchor ASN으로 전송한다(S410). 이후, 서빙 Anchor ASN과 Authenticator ASN 간에 Context Retrieval 절차(procedure)를 수행하여, Context_Req 메시지 및 Context_Rsp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인증 키를 획득한다(S412)Therefore, since the terminal should handover by selecting a target base station (Target BS) from the adjacent base stations, and transmits the MOB_MSHO-REQ message including the information (NBR RAS List) of the neighbor base stations to the serving Anchor ASN (S410) . Subsequently, a Context Retrieval procedure is performed between the serving Anchor ASN and the Authenticator ASN to transmit and receive a Context_Req message and a Context_Rsp message, thereby obtaining an authentication key (S412).

이와 함께, 단말로부터 MOB_MSHO-REQ 메시지를 수신한 서빙 Anchor는 주변 기지국들 중에서 타겟 기지국을 정하고, 백본 네트워크(backbone network)를 통해 타겟(Target) ASN으로 HO_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414).In addition, the serving anchor receiving the MOB_MSHO-REQ message from the terminal determines a target base station among neighbor base stations and transmits a HO_Req message to a target ASN through a backbone network (S414).

또한, 서빙 Anchor는 타겟 ASN으로 Path_Prereg_Req 메시지를 전송하여 데이터 패스 예약을 요청한다(S416).In addition, the serving anchor sends a Path_Prereg_Req message to the target ASN to request data path reservation (S416).

이후, 타겟 ASN은 서빙 Anchor로부터 수신된 HO_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HO_Rsp 메시지를 서빙 Anchor로 전송한다(S418). Thereafter, the target ASN transmits a HO_Rsp message to the serving anchor in response to the HO_Req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ing anchor (S418).

서빙 Anchor로부터 Path_Prereg_Req 메시지를 수신한 타겟 ASN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Path_Prereg_Rsp 메시지를 전송하여, 데이터 패스 예약 요청에 응답한다(S420). 이후, 타겟 ASN으로부터의 Path_Prereg_Rsp 메시지를 수신한 서빙 Anchor는 Path_Prereg_Ack 메시지를 타겟 ASN으로 전송하여 상기 Path_Prereg_Rsp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준다(S422).The target ASN, which has received the Path_Prereg_Req message from the serving anchor, transmits a Path_Prereg_Rsp message in response to this, and responds to the data path reservation request (S420). Thereafter, the serving Anchor receiving the Path_Prereg_Rsp message from the target ASN transmits a Path_Prereg_Ack message to the target ASN and informs that the Path_Prereg_Rsp message has been received (S422).

이후, 서빙 Anchor는 S410에서 수신된 MOB_MSHO-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MOB_MSHO-RSP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424). 여기서, 단말로 전송되는 MOB_MSHO-RSP 메시지에는 액션 타임, 인접한 기지국들 중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적합한 후보 기지국들의 정보(Recommended RAS List) 및 핸드오버 아이디(HO ID)가 포함된다.Thereafter, the serving anchor transmits the MOB_MSHO-RSP message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MOB_MSHO-REQ message received in S410 (S424). Here, the MOB_MSHO-RSP messag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cludes an action time, information on a candidate base station suitable as a target base station among adjacent base stations, and a handover ID (HO ID).

이후, 서빙 Anchor는 HO_Ack 메시지를 ASN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했음을 알려준다(S426).Thereafter, the serving anchor transmits a HO_Ack message to the ASN to inform that the terminal has handed over to the target base station (S426).

이후, 단말은 타겟 기지국의 정보(Target BS ID), 핸드오버 모드(Mode) 및 핸드오버 타입(Type)을 포함하는 MOB_HO-IND 메시지를 서빙 Anchor로 전송한다(S428).Thereafter, the terminal transmits a MOB_HO-IND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BS, a handover mode, and a handover type to the serving anchor (S428).

이후, 서빙 ASN은 단말의 기지국 변경에 필요한 시간(BS Switching Timer) 정보가 포함된 HO_Cnf 메시지를 타겟 ASN으로 전송한다(S430). 여기서, HO_Cnf 메시지에는 서빙 기지국에서 HO_Cnf 메시지를 전송한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Subsequently, the serving ASN transmits a HO_Cnf message including BS Switching Timer information required for changing the base station of the UE to the target ASN (S430). Here, the HO_Cnf message includes time information when the serving base station transmits the HO_Cnf message.

이후, 타겟 ASN은 서빙 ASN으로부터 수신된 HO_Cnf 메시지의 응답으로 HO_Ack 메시지를 전송한다(S432). 이후, 서빙 ASN과 타겟 ASN 간에 데이터 경로 예 약 절차를 수행한다(S434).Thereafter, the target ASN transmits a HO_Ack message in response to the HO_Cnf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ing ASN (S432). Thereafter, a data path reservation procedure is performed between the serving ASN and the target ASN (S434).

이후, 단말과 Authenticator ASN 간에 네트워크 재 진입 절차를 수행한다(S436). 이후, 서빙 ASN과 타겟 ASN 간에 Path_Reg_Req 메시지 및 Path_Reg_Rsp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데이터 패스를 형성한다(S438).Thereafter, a network reentry procedure is performed between the UE and the Authenticator ASN (S436). Thereafter, a Path_Reg_Req message and a Path_Reg_Rsp message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serving ASN and the target ASN to form a data path (S438).

그리고, 타겟 ASN과 Authenticator ASN 간에 CMAC_Key_Count_Update 메시지 및 CMAC_Key_Count_Update_Ack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CMAC 키 카운트 값의 업데이트를 수행한다(S440). In addition, the CMAC_Key_Count_Update message and the CMAC_Key_Count_Update_Ack message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target ASN and the Authenticator ASN to update the CMAC key count value (S440).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상기 단말이 타겟 ASN으로 핸드오버가 완료되고, 이에 따라, Authenticator ASN은 HO_Complete 메시지를 서빙 ASN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완료를 알려준다(S442). 이후, 서빙 ASN은 수신된 HO_Complete 메시지를 타겟 ASN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완료를 알려준다(S444).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terminal completes the handover to the target ASN, and accordingly, the Authenticator ASN transmits a HO_Complete message to the serving ASN to inform the terminal of the handover completion (S442). Thereafter, the serving ASN transmits the received HO_Complete message to the target ASN to notify the handover completion of the terminal (S444).

이후, 서빙 ASN은 상기 단말을 위해 설정되어 있던 데이터 패스의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S446), 타겟 ASN은 Context_Rpt 메시지를 Authenticator ASN로 전송하여 단말의 핸드오버 완료 및 핸드오버 한 단말의 위치정보를 알려준다(S448).Subsequently, the serving ASN performs a data path release procedure configured for the terminal (S446), and the target ASN transmits a Context_Rpt message to the Authenticator ASN to inform the terminal of handover completion and handover location information. (S448).

상술한, S410 내지 S448 절차를 통해, 액티브 모드 단말의 위치정보를 CSN 및 ASP에게 알려줄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S410 to S448 procedu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tive mode terminal may be informed to the CSN and the ASP.

이후, Authenticator ASN은 CSN의 PDF/PCRF로 Service Location_Req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하고, Service Location_Req 메시지를 수신한 ASN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Service Location_Ack 메시지를 Authenticator ASN으로 전송한다(S450).Thereafter, the Authenticator ASN requests a location-based service by transmitting a Service Location_Req message to the PDF / PCRF of the CSN, and the ASN receiving the Service Location_Req message transmits a Service Location_Ack message to the Authenticator ASN in response (S450).

이후, CSN은 ASP의 AF로 핸드오버 한 단말에 대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하고,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 따라 ASP의 AF와 단말 간에 위치기반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세션을 생성(Session creation)한다(S452). 상술한 절차들을 통해, 단말과 ASP의 AF 간에 생성된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게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SN requests a location-based service for the terminal handed over to the AF of the ASP, and creates a session for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between the AF and the terminal of the ASP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he location-based service (S452). ).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dures, the location-based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using a session cre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F of the ASP.

도 7은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플로우 생성방법 및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서비스 플로우 생성방법 및 서비스 제공방법 단말이 액티브 모드인 경우에 적용된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flow generation method and a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The service flow generating method and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illustrated in FIG. 7 are applied when the terminal is in an active mode.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이 S510과 같이, 서빙 ASN을 통해 IP Network에 접속하여 IP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multimedia service)를 제공받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으로 진입하면, 단말과 Authenticator ASN 간에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한다(S512).Referring to FIG. 7, when the terminal accesses an IP network through a serving ASN and moves to a location-based service area while receiving an IP and multimedia service, as shown in S510,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uthenticator ASN. A handover procedure is performed to hand over to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location-based services (S512).

이후, Authenticator ASN Service_location_Req 메시지를 CSN로 전송하여 핸드오버 한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단말이 제공받을 수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한다(S514).Thereafter, an Authenticator ASN Service_location_Req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SN to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andovered terminal and a location-based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by the terminal (S514).

이후, CSN은 Notify_location_report 메시지를 ASP의 AF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알려준다(S516). 이후, CSN은 S514에서 Authenticator ASN로부터 수신된 Service_location_Req 메시지의 응답으로 Service_location_Rsp 메시지를 Authenticator ASN로 전송한다(S518).Thereafter, the CSN notifi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by transmitting a Notify_location_report message to the AF of the ASP (S516). Thereafter, the CSN transmits a Service_location_Rsp message to the Authenticator ASN in response to the Service_location_Req message received from the Authenticator ASN in S514 (S518).

이후, ASP는 수신된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위치기반 서비스의 제공 지역에 위치하는지 확인하고(S520), 상기 단말이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에 위치하면 ASP와 단말 간에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세션을 생성한다(S522). 상술한 절차들을 통해, 단말과 ASP의 AF 간에 생성된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게 위치기반 서비스(multimedia service)를 제공한다(S524).Thereafter, the ASP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is located in a location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S520), and if the terminal is located in a location-based service area, the ASP for location-based servi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is located. Create a session (S522).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dures, a multimedia service is provided to the terminal using a session cre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F of the ASP (S524).

한편, 단말이 액티브 모드가 아닌 경우 즉, 단말이 아이들 모드인 경우에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 또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도 8에 도시된 절차를 통해 아이들 모드 단말을 페이징 시킨 후,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is not in the active mode, that is, when the data or servic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s provided when the terminal is in the idle mode, the terminal after paging the idle mode terminal through the procedure shown in FIG. To provide services.

도 8을 참조하면, 아이들 모드 단말이 이동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으로 진입하거나, HA로부터 아이들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발생된 경우(S610), 서빙 ASN-GW는 단말이 아이들 모드이므로, 단말이 아이들 모드에서 페이징 될 때가지 단말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 한다(S612).Referring to FIG. 8, when the idle mode terminal moves to enter a location-based service area, or when data transmitted from the HA to the idle terminal is generated (S610), the serving ASN-GW is the idle mode, so that the terminal is idle. The data packet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s buffered until it is paged in the mode (S612).

이후, 서빙 ASN-GW는 아이들 모드 단말을 페이징 시키기 위해 초기 페이징 요청(Initiate_Paging_Req) 메시지를 ASN의 Anchor PC/LR로 전송한다(S614).Thereafter, the serving ASN-GW transmits an initial paging request (Initiate_Paging_Req) message to the Anchor PC / LR of the ASN in order to page the idle mode terminal (S614).

ASN의 Anchor PC/LR는 수신된 초기 페이징 요청(Initiate_Paging_Req) 메시지에 응답하여, 초기 페이징 응답(Initiate_Paging_Rsp) 메시지를 서빙 ASN-GW로 전송한다(S616).The Anchor PC / LR of the ASN transmits an initial paging response (Initiate_Paging_Rsp) message to the serving ASN-GW in response to the received initial paging request (Initiate_Paging_Req) message (S616).

이후, ASN의 Anchor PC/LR는 Initiate Announce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BS)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의 페이징을 지시한다(S618). 이후, 서빙 기지국(BS)는 아이 들 모드의 단말을 페이징 시키기 위해 MOB_PAG-ADV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620).Thereafter, the Anchor PC / LR of the ASN transmits an Initiate Announce message to the serving base station (BS) to indicate paging of the terminal (S618). 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BS) transmits a MOB_PAG-ADV message to the terminal to page the terminal in the idle mode (S620).

이후,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MOB_PAG-ADV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아이들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페이징 되고, 액티브 모드로 페이징 된 단말의 위치정보가 업데이트 한다(S622). 이후, S612에서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여 단말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S624).Thereafter, the terminal receiving the MOB_PAG-ADV message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is paged from the idle mode to the active mod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paged to the active mode is updated (S622). Thereafter, the buffered data packet is transmitted in S612 to provide a data service to the UE (S624).

상술한 S610 내지 S624의 절차는 단말이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에 진입하여, ASP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발생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procedures of S610 to S624 described above may be equally applied to a case where a terminal enters a location based service area and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s generated from an ASP.

도 9는 서비스 플로우 생성을 통한 서비스 컨텐트(content)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service content through service flow generation.

도 9를 참조하면, ASP로부터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에 위치한 단말에 대하여 서비스 제공이 발생되면, ASP의 AF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발생되었음을 CSN의 PDF/PCRF로 알려준다(S710).Referring to FIG. 9, when service provision is generated for a terminal located in a location-based service area from an ASP, the ASP / AF informs the PDF / PCRF of the CSN that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has been generated (S710).

이후, CSN의 PDF/PCRF는 Service flow create request 메시지를 ACR로 전송하여 단말(MS)에게 위치기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서비스 플로우 생성을 요청한다(S712).Thereafter, the PDF / PCRF of the CSN transmits a service flow create request message to the ACR and requests creation of a service flow so that a location-based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MS (S712).

이후, ACR은 기지국의 서비스 플로우 관리자(Service Flow Management, 이하 "SFM"라 함)에게 Path_Reg_Req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패스 생성을 요청한다(S714).Thereafter, the ACR transmits a Path_Reg_Req message to a service flow manag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FM") of the base station and requests a data path generation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S714).

이후, SFM은 단말로 DSA-REQ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동적 서비스 추가를 요청한다(S716). 이후, 단말은 수신된 DSA-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DSA-RSP 메시지를 SFM으로 전송하여 동적 서비스가 추가 되었음을 알려준다(S718).Thereafter, the SFM transmits a DSA-REQ message to the terminal and requests a dynamic service addition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S716). Thereafter, the UE transmits the DSA-RSP message to the SFM in response to the received DSA-REQ message to inform that the dynamic service has been added (S718).

이후, SFM은 S714에서 ACR로부터 수신된 Path_Reg_Req 메시지의 응답으로, Path_Reg_Rsp 메시지를 ACR로 전송한다(S720). 이후, ACR은 Path_Reg Ack 메시지를 SFM으로 전송하여 Path_Reg_Rsp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알려준다(S722).Thereafter, the SFM transmits a Path_Reg_Rsp message to the ACR in response to the Path_Reg_Req message received from the ACR in S714 (S720). Thereafter, the ACR transmits a Path_Reg Ack message to the SFM to inform that the Path_Reg_Rsp message has been successfully received (S722).

이후, SFM은 S718에서 단말로부터 수신된 DSA-RSP 메시지의 응답으로 DSA-ACK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여, DSA-RSP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려준다(S724).Thereafter, the SFM transmits a DSA-ACK message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DSA-RSP mess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in S718, indicating that the DSA-RSP message was successfully received (S724).

이와 함께, ACR은 S712에서 CSN의 PDF/PCRF로부터 수신된 Service flow create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Service flow create response 메시지를 CSN의 PDF/PCRF로 전송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플로우 즉, 데이터 패스가 형성되었음을 알려준다(S726).In addition, the ACR transmits a service flow create response message to the PDF / PCRF of the CSN in response to the service flow create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PDF / PCRF of the CSN at S712, thereby providing a service flow for the location-based service, that is, a data path. Informs that it is formed (S726).

상술한 과정을 통해, 단말과 ASP의 AF 간에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플로우가 형성되어 상기 단말에게 위치기반 서비스가 제공된다(S728).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a service flow for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form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F of the ASP to provide a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terminal (S728).

도 10은 단말이 위치기반 서비스의 세션 종료한 후, 단말이 아이들 모드로 재 진입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서, 단말이 액티브 모드에서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여 위치기반 서비스가 종료되는 경우 에, 서비스의 세션 종료한 후, 단말이 아이들 모드로 재 진입하는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the terminal reenters the idle mode after the terminal terminates the session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0, as an example, when the terminal enters the idle mode in the active mode and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terminated, a procedure for re-entering the terminal into the idle mode after the session of the service is terminated will be described. do.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이 이동하여 위치기반 지역을 벗어나거나, 위치기반 서비스 컨텐트의 전송이 완료되면 위치기반 서비스가 종료된다(S810). 위치기반 서비스가 종료되면, 단말에게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생성되었던 세션이 해제하여야 한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 terminal moves out of the location-based area, or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content is completed, the location-based service ends (S810). When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terminated, the session that was created to provide the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terminal should be released.

단말은 액티브 모드에서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으로 DREG-REQ 메시지를 전송하여 기지국 등록 해제 및 아이들 모드 진입을 요청한다(S812).In order to enter the idle mode from the active mode, the terminal transmits a DREG-REQ message to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requests deregistration of the base station and entering the idle mode (S812).

이후, 서빙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아이들 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IM_Entry_State_Chang_Req 메시지를 서빙 ACR로 전송한다(S814). 이후, 서빙 ACR은 수신된 IM_Entry_State_Chang_Req 메시지를 Authenticator ASN으로 전송한다(S816).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transmits an IM_Entry_State_Chang_Req message requesting the idle mode of the terminal to the serving ACR (S814). Thereafter, the serving ACR transmits the received IM_Entry_State_Chang_Req message to the Authenticator ASN (S816).

이후, IM_Entry_State_Chang_Req 메시지를 수신한 Authenticator ACR은 상기 단말의 아이들 모드 진입을 승인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IM_Entry_State_Chang_Rsp 메시지를 서빙 ACR로 전송한다(S818).After receiving the IM_Entry_State_Chang_Req message, the Authenticator ACR approves entering the idle mode of the UE, and sends an IM_Entry_State_Chang_Rsp message to the serving ACR in response thereto (S818).

이후, 서빙 ACR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단말의 아이들 모드 진입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IM_Entry_State_Chang_Rsp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820).Thereafter, the serving ACR transmits an IM_Entry_State_Chang_Rsp message to the serving base station in response to the idle mode entry request of the terminal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S820).

이후, 서빙 기지국은 S812에서 단말로부터 수신된 DREQ-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DREG-CMD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822).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transmits the DREG-CMD message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DREQ-REQ mess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in S812 (S822).

이와 함께, 서빙 기지국은 IM_Entry_State_Chang_Rsp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IM_Entry_State_Chang_Ack 메시지를 서빙 ACR로 전송한다(S824).In addition, the serving base station transmits the IM_Entry_State_Chang_Ack message to the serving ACR in response to the IM_Entry_State_Chang_Rsp message (S824).

이후, 서빙 ACR은 서빙 기지국(Serving BS)으로부터 수신된 IM_Entry_State_Chang_Ack 메시지를 Authenticator ACR로 전송한다(S826).Thereafter, the serving ACR transmits the IM_Entry_State_Chang_Ack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ing BS to the Authenticator ACR (S826).

이와 함께, 서빙 ACR은 Anchor_PC_Ind 메시지를 Anchor PC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였음을 알려준다(S828). 이후, Anchor PC는 Anchor_PC_Ind 메시지의 응답으로, Anchor_PC_Ack 메시지를 서빙 ACR로 전송한다(S830).In addition, the serving ACR transmits an Anchor_PC_Ind message to the Anchor PC to inform that the terminal has entered the idle mode (S828). Thereafter, the Anchor PC transmits the Anchor_PC_Ack message to the serving ACR in response to the Anchor_PC_Ind message (S830).

이후, 서빙 기지국은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해 서빙 ACR과 설정되어 있던 데이터 경로를 해제시키기 위해, Path_Dereg_Req 메시지를 서빙 ACR로 전송한다(S832). 이후, 서빙 ACR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Path_Dereg_Req 메시지를 Anchor PC로 전송한다(S834).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transmits a Path_Dereg_Req message to the serving ACR in order to release the data path established with the serving ACR for the location-based service (S832). Thereafter, the serving ACR transmits a Path_Dereg_Req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to the anchor PC (S834).

이후, Anchor PC는 수신된 Path_Dereg_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Path_Dereg_Rsp 메시지를 서빙 ACR로 전송한다(S836). 이후, 서빙 ACR은 Anchor PC로부터 수신된 Path_Dereg_Rsp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838).Thereafter, the Anchor PC transmits a Path_Dereg_Rsp message to the serving ACR in response to the received Path_Dereg_Req message (S836). Thereafter, the serving ACR transmits a Path_Dereg_Rsp message received from the Anchor PC to the serving base station (S838).

이후, 서빙 기지국은 서빙 ACR로부터의 Path_Dereg_Rsp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Path_Dereg_Ack 메시지를 서빙 ACR로 전송하여 Path_Dereg_Rsp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려준다(S840). 이후, 서빙 ACR은 서빙 ACR로부터의 Path_Dereg_Ack 메시지를 Anchor PC로 전송한다(S842).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transmits a Path_Dereg_Ack message to the serving ACR in response to the Path_Dereg_Rsp message from the serving ACR, indicating that the Path_Dereg_Rsp message has been successfully received (S840). Thereafter, the serving ACR transmits a Path_Dereg_Ack message from the serving ACR to the Anchor PC (S842).

상술한 절차를 통해 위치기반 서비스 종료에 따라,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정되었던 데이터 패스의 해제절차가 완료된다. 이에 따라, Anchor PC는 IM_Entry_Complete 메시지를 Authenticator ASN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였음을 알려준다(S844).Upon termination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the procedure of releasing the data path that was set up to provide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completed. Accordingly, the Anchor PC sends an IM_Entry_Complete message to the Authenticator ASN to inform that the terminal has entered the idle mode (S844).

이후, Authenticator ASN과 CSN의 PDF/PCRF 간에 Service_termination_Req 메시지 및 Service_termination_Ack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위치기반 서비스의 종료를 완료한다(S846).Thereafter, the Service_termination_Req message and the Service_termination_Ack message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Authenticator ASN and the PDF / PCRF of the CSN to complete the termination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S846).

도 11은 네트워크가 위치기반 서비스의 세션 종료한 후, 단말이 아이들 모드로 재 진입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a terminal reenters an idle mode after a network ends a session of a location-based service.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서, 단말이 액티브 모드에서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여 위치기반 서비스가 종료되는 경우에,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모드를 트리거(trigger)시켜, 상기 단말이 아이들 모드로 재 진입하는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1,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1, as an example, when the terminal enters the idle mode in the active mode and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terminated, the terminal triggers the mode of the terminal in the network. The procedure for reentering the idle mode will be described.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이 이동하여 위치기반 지역을 벗어나거나, 위치기반 서비스 컨텐트의 전송이 완료되면 위치기반 서비스가 종료된다(S850). 위치기반 서비스가 종료되면, 단말에게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생성되었던 세션이 해제하여야 한다. 위치기반 서비스가 종료되면, CSN의 PDF/PCRF는 Service_complete_Req 메시지를 Authenticator ASN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에게 제공되던 위치기반 서비스가 종료되었음을 알려준다(S852).Referring to FIG. 11, when the terminal moves out of the location-based area, or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content is completed, the location-based service ends (S850). When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terminated, the session that was created to provide the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terminal should be released. When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terminated, the PDF / PCRF of the CSN transmits a Service_complete_Req message to the Authenticator ASN to inform that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ed to the terminal has ended (S852).

이후, Authenticator ASN은 상기 단말에게 제공할 서비스가 없으므로, 단말 의 전력 소모 및 무선자원 소모를 줄이기 위해, 상기 단말의 상태를 액티브 모드에서 아이들 모드로 변경시킨다. 이를 위해, Authenticator ASN은 IM_Entry_State_Chang_Trigger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에 대하여 아이들 모드 변경을 요청한다(S854).Thereafter, since the Authenticator ASN has no service to provide to the terminal,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radio resource consumption of the terminal, the state of the terminal is changed from the active mode to the idle mode. To this end, the Authenticator ASN sends an IM_Entry_State_Chang_Trigger message to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requests the terminal to change the idle mode (S854).

이후, 서빙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아이들 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IM_Entry_State_Chang_Req 메시지를 서빙 ACR로 전송한다(S856). 이후, 서빙 ACR은 수신된 IM_Entry_State_Chang_Req 메시지를 Authenticator ASN으로 전송한다(S858).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transmits an IM_Entry_State_Chang_Req message requesting the idle mode of the terminal to the serving ACR (S856). Thereafter, the serving ACR transmits the received IM_Entry_State_Chang_Req message to the Authenticator ASN (S858).

이후, IM_Entry_State_Chang_Req 메시지를 수신한 Authenticator ACR은 상기 단말의 아이들 모드 진입을 승인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IM_Entry_State_Chang_Rsp 메시지를 서빙 ACR로 전송한다(S860).After receiving the IM_Entry_State_Chang_Req message, the Authenticator ACR approves entering the idle mode of the UE and transmits an IM_Entry_State_Chang_Rsp message to the serving ACR in response thereto (S860).

이후, 서빙 ACR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단말의 아이들 모드 진입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IM_Entry_State_Chang_Rsp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862).Thereafter, the serving ACR transmits an IM_Entry_State_Chang_Rsp message to the serving base station in response to the idle mode entry request of the termi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S862).

이후, 서빙 기지국은 DREG-CMD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여 단말이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도록 한다(S864). 이후, 단말은 DREG-CMD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DREG-REQ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866).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transmits a DREG-CMD message to the terminal to allow the terminal to enter the idle mode (S864). Thereafter, the terminal transmits the DREG-REQ message to the serving base station in response to the DREG-CMD message (S866).

서빙 기지국은 S862에서 수신된 IM_Entry_State_Chang_Rsp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IM_Entry_State_Chang_Ack 메시지를 서빙 ACR로 전송한다(S868).The serving base station transmits the IM_Entry_State_Chang_Ack message to the serving ACR in response to the IM_Entry_State_Chang_Rsp message received in S862 (S868).

이후, 서빙 ACR은 수신된 IM_Entry_State_Chang_Ack 메시지를 Authenticator ACR로 전송한다(S870).Thereafter, the serving ACR transmits the received IM_Entry_State_Chang_Ack message to the Authenticator ACR (S870).

이와 함께, 서빙 ACR은 Anchor_PC_Ind 메시지를 Anchor PC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였음을 알려준다(S872). 이후, Anchor PC는 Anchor_PC_Ind 메시지의 응답으로, Anchor_PC_Ack 메시지를 서빙 ACR로 전송한다(S874).In addition, the serving ACR sends an Anchor_PC_Ind message to the Anchor PC to inform that the terminal has entered the idle mode (S872). Thereafter, the Anchor PC transmits the Anchor_PC_Ack message to the serving ACR in response to the Anchor_PC_Ind message (S874).

이후, 서빙 기지국은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해 서빙 ACR과 설정되어 있던 데이터 경로를 해제시키기 위해, Path_Dereg_Req 메시지를 서빙 ACR로 전송한다(S876). 이후, 서빙 ACR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Path_Dereg_Req 메시지를 Anchor PC로 전송한다(S878).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transmits a Path_Dereg_Req message to the serving ACR in order to release the data path established with the serving ACR for the location-based service (S876). Thereafter, the serving ACR transmits a Path_Dereg_Req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to the anchor PC (S878).

이후, Anchor PC는 수신된 Path_Dereg_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Path_Dereg_Rsp 메시지를 서빙 ACR로 전송한다(S880). 이후, 서빙 ACR은 Anchor PC로부터 수신된 Path_Dereg_Rsp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882).Thereafter, the Anchor PC transmits a Path_Dereg_Rsp message to the serving ACR in response to the received Path_Dereg_Req message (S880). Thereafter, the serving ACR transmits a Path_Dereg_Rsp message received from the Anchor PC to the serving base station (S882).

이후, 서빙 기지국은 서빙 ACR로부터의 Path_Dereg_Rsp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Path_Dereg_Ack 메시지를 서빙 ACR로 전송하여 Path_Dereg_Rsp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려준다(S884). 이후, 서빙 ACR은 서빙 ACR로부터의 Path_Dereg_Ack 메시지를 Anchor PC로 전송한다(S886).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transmits a Path_Dereg_Ack message to the serving ACR in response to the Path_Dereg_Rsp message from the serving ACR, indicating that the Path_Dereg_Rsp message has been successfully received (S884). Thereafter, the serving ACR transmits a Path_Dereg_Ack message from the serving ACR to the Anchor PC (S886).

상술한 절차를 통해 위치기반 서비스 종료에 따라,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정되었던 데이터 패스의 해제절차가 완료된다. 이에 따라, Anchor PC는 IM_Entry_Complete 메시지를 Authenticator ASN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였음을 알려준다(S888).Upon termination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the procedure of releasing the data path that was set up to provide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completed. Accordingly, the Anchor PC sends an IM_Entry_Complete message to the Authenticator ASN to inform that the terminal has entered the idle mode (S888).

이후, Authenticator ASN은 Service_complete_Ack 메시지를 CSN의 PDF/PCRF로 전송하여 위치기반 서비스의 종료를 완료한다(S890).Thereafter, the Authenticator ASN transmits the Service_complete_Ack message to the PDF / PCRF of the CSN to complete the termination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S890).

상기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단말이 액티브 모드(Active Mode), 아이들 모드(Idle Mode) 또는 네트워크 엔트리(Network Entry) 상태에 따른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단말의 상태와 상관없이 단말에게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말이 이동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거나, 위치기반 서비스의 종료되는 경우에, 위치기반 서비스의 종료 방법 및 단말의 아이들 모드 재 진입 절차를 제공한다.3 to 11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active mode (idle mode), idle mode (Idle Mode) or network entry (Network Entry) st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terminal of the terminal By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terminal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moves out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or terminates the location-based service, the terminal provides a termination method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and the idle mode reentry procedure of the terminal.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thus are provi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recorded. In this cas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 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한편, 이러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are included.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wire, a wave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specify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음은 당 업자에게 자명하다.On the other h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1은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Internet system

도 2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ASN(Access Service Network)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SN (Access Service Network) configuration of a portable Internet system.

도 3은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는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entering an idle mode.

도 4는 아이들 모드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idle mode terminal.

도 5는 아이들 모드로의 진입 및 아이들 모드의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entry into an idle mode and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in an idle mode.

도 6은 액티브 모드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of an active mode terminal;

도 7은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플로우 생성방법 및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flow generation method and a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도 8은 페이징 절차를 통한 네트워크 재 진입(Network Reentry)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reentry procedure through a paging procedure.

도 9는 서비스 플로우 생성을 통한 서비스 컨텐트(content)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9 illustrates a method of providing service content through service flow generation.

도 10은 단말이 위치기반 서비스의 세션 종료한 후, 단말이 아이들 모드로 재 진입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a terminal reenters an idle mode after the terminal terminates a session of a location-based service.

도 11은 네트워크가 위치기반 서비스의 세션 종료한 후, 단말이 아이들 모드로 재 진입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a terminal reenters an idle mode after a network ends a session of a location-based servi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ASN: Access Service Network PCC: Policy and Charging ControlASN: Access Service Network PCC: Policy and Charging Control

AF: Application Function PDF: Policy Distribution Function AF: Application Function PDF: Policy Distribution Function

SFM: Service Flow Management PC: Paging ControllerSFM: Service Flow Management PC: Paging Controller

HLS: Home Location Server H-CSN: Home Core Service NetworkHLS: Home Location Server H-CSN: Home Core Service Network

DPF: Data Path Function PDF: Policy Distribution FunctionDPF: Data Path Function PDF: Policy Distribution Function

PPSF: Pre-Provisioned Service FlowPPSF: Pre-Provisioned Service Flow

V-CSN: Visiting Core Service NetworkV-CSN: Visiting Core Service Network

SFA: Service Flow AuthorizationSFA: Service Flow Authorization

PCRF: Policy Control and Charging Rules FunctionPCRF: Policy Control and Charging Rules Function

PCEF: 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PCEF: 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

AAA: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AAA: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Claims (13)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는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에 있어서,I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the terminal entering the idle mode, 단말로부터의 아이들 모드 진입 요청에 따른 상기 단말의 아이들 모드 진입 절차 수행하는 단계; 및Performing an idle mode entry procedure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idle mode entry request from the terminal; And 상기 아이들 모드 절차 완료 후,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메시지를 상기 CSN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And transmitting a location information message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CSN after completing the idle mode procedu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CSN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공급자(Application Service Provider)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And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 the CS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CSN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And upd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provided from the CSN. 아이들 모드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idle mode terminal, 단말로부터의 요청 또는 서빙 기지국(Serving BS)의 아이들 모드 변경 요청 에 따른 아이들 모드 변경을 위한 레인징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a ranging and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changing an idle mode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 terminal or an idle mode change request of a serving BS; 상기 제어국에서 아이들 모드에서 변경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메시지를 상기 CSN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by the control station, a location information messag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hanged in the idle mode to the CSN; And 상기 CSN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공급자(Application Service Provider)에게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And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providing an location-based service in the CS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CSN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And upd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provided from the CS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And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target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액티브 모드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active mode terminal, 단말이 이동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단말을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시키는 단계; When the terminal moves to enter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handing over the terminal to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the location-based service;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의 ASN(Access Service Network)에서 CSN(Core Service Network)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a core service network (CSN) in an access service network (ASN) of a base station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And 상기 CSN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공급자(Application Service Provider)에게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And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providing an location-based service in the CSN.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후,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위치정보 제공방법.And after the handover of the terminal, upd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액티브 모드 단말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In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active mode terminal, 단말이 이동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단말을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시키는 단계;When the terminal moves to enter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handing over the terminal to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the location-based service; CSN(Core Service Network)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CSN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공급자(Application Service Provider)에게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 the CSN whe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provided to a core service network (CSN); 상기 단말과 상기 서비스 공급자 간에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Creating a session for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rvice provider; 상기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게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에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to the terminal using the session; And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And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sion targe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에 위치하는 아이들 모드의 단말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In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idle mode terminal located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의 서비스 공급자(Application Service Provider)자로부터 상기 단말로 데이터 전송 요청이 이루어지면, 상기 단말로 전송될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toring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when a data transmission request is made from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to the terminal; 서빙 기지국(Serving BS), 제어국(ACR), ASN(Access Service Network) 및 CSN(Core Service Network) 상호 간에 페이징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단말의 상태를 액티브 모드로 변경시키는 단계;Changing a state of the terminal to an active mode by performing a paging procedure between a serving BS, a control station (ACR), an access service network (ASN), and a core service network (CSN); 상기 단말과 상기 서비스 공급자의 AF(Application Function) 간에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Creating a session between the terminal and an application function (AF) of the service provider; And 상기 세션을 이용하여 액티브 모드로 변경된 단말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Transmitting the stored data to the terminal changed into the active mode using the session; 상기 단말로 전송될 데이터의 저장은 상기 ASN의 ASN-GW(Access Service Network Gateway)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The storage of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SN-GW (Access Service Network Gateway) of the ASN.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단말이 이동하여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거나, 상기 서비스 공급자로부터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과 AF 간에 생성되었던 세션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When the terminal is moved out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or when the location-based service from the service provider is complete, the step of releasing the sess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F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Way.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세션을 해제 시키는 단계 이후에, 서빙 기지국(Serving BS), 제어국(ACR), ASN(Access Service Network) 및 CSN(Core Service Network) 상호 간에 아이들 모드 진입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단말의 상태를 아이들 모드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After releasing the session, an idle mode entry procedure is performed between a serving base station (Serving BS), a control station (ACR), an access service network (ASN), and a core service network (CSN) to idle the state of the terminal.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hanging to the mode. 제 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단말의 상태를 아이들 모드로 변경시키는 단계는 단말로부터의 요청 또는 상기 서비스 공급자로부터의 요청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And changing the state of the terminal to an idle mode is performed by a request from the terminal or a request from the service provider.
KR1020080138803A 2008-12-31 2008-12-31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KR20100080160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803A KR20100080160A (en) 2008-12-31 2008-12-31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PCT/KR2009/008006 WO2010077109A2 (en) 2008-12-31 2009-12-30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803A KR20100080160A (en) 2008-12-31 2008-12-31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160A true KR20100080160A (en) 2010-07-08

Family

ID=4231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803A KR20100080160A (en) 2008-12-31 2008-12-31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80160A (en)
WO (1) WO2010077109A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3973A (en) * 2012-05-04 2013-11-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wireless network are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341B1 (en) * 2002-09-11 2006-01-10 주식회사 엠에스피테크놀로지 Method of getting position tracking informations of mobile data terminals
KR100557080B1 (en) * 2003-09-29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ng mobile terminals
KR100723705B1 (en) * 2005-07-11 2007-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of Personal Subscriber Station for Use in Portable Internet Network
US20080268871A1 (en) * 2007-04-26 2008-10-30 Samsung Electronics Co.,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3973A (en) * 2012-05-04 2013-11-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wireless network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7109A2 (en) 2010-07-08
WO2010077109A9 (en) 2010-12-09
WO2010077109A3 (en)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35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slice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KR101282285B1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location based ser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2307381B (en) Method and device of dormant handoff in a packet data network
WO2020192274A1 (en) Method for selecting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and device
EP1971168A1 (en) A paging group network and method for terminal location update
JP2004080746A (en) Mobile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1329144B1 (en) Channel search method and system for vertical handoff in wireless network
US8903395B2 (en) Mobile station reattaching method, system, gateway and base station
WO2010078785A1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configuring paging group and neighbor cell list of femto access point
JP2021509785A (en) RRC inactive state optimization
KR102003234B1 (en) App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short message service efficientl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ao et al. SmartHO: mobility pattern recognition assisted intelligent handoff in wireless overlay networks
US11006289B2 (en) Communication system, service common apparatus, mobile network node apparatus,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KR20100080160A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JP2009049967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5122603A1 (en) A routing area update method of serving gprs support node
JP5007745B2 (en)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location search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KR20120040156A (en) Increasing time interval between successive searches for signaling of neighboring cells of a different wireless technology
CN101047946B (en) Network reaccess procedure leaded by network
US8428603B2 (en) Paging method in area where macro ASN and femto ASN are linked in mobile network, and system therefor
WO2009135416A1 (en) An accounting method of location service, service node, mobile location center and accounting gateway
WO2010015164A1 (en) Handover processing method, network-side device and network system
WO2011000317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user terminal for offline accounting in wimax
WO2024017143A1 (en) Offloading method and apparatus in roaming scenario, and storage medium
Maheswari et al. Markov based VHO to improve the Handover performance amo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in PMIPv6 dom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