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731A -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731A
KR20100077731A KR1020080135757A KR20080135757A KR20100077731A KR 20100077731 A KR20100077731 A KR 20100077731A KR 1020080135757 A KR1020080135757 A KR 1020080135757A KR 20080135757 A KR20080135757 A KR 20080135757A KR 20100077731 A KR20100077731 A KR 20100077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ultimedia integrated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1532B1 (ko
Inventor
오동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532B1/ko
Publication of KR2010007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2Multiprotocol ro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것으로, 특히 디바이스내(in device) 또는 디바이스간(inter device) 협업 메시지(collaboration message)의 전송을 위해 다양한 환경에서 상호 융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입력 및 전송하는데 적합한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기존 햅틱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노트 애플리케이션은, 텍스트 노트, 음성 노트, 그림 노트 등이 각각 개별적으로 작성되며, 서로가 병합될 수 없기 때문에, 이미지, 동영상, 맵 정보, URL 링크, 웹 페이지, 갈무리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거나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디바이스내(in device)/디바이스간(inter device) 협업 메시지(collaboration message)의 전송을 위해 상호 융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입력 및 전송하여 표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디바이스내/디바이스간 협업 메시지로 통합하여 개인 근거리 네트워크(PAN; Personal Area Network),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전송 및 활용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햅틱 디바이스, DNS, 타겟 노드

Description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COMBINATION, DEVICE FOR MULTIMEDEA COMBINATION INTERFAC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것으로, 특히 디바이스내(in device) 또는 디바이스간(inter device) 협업 메시지(collaboration message)의 전송을 위해 다양한 환경에서 상호 융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입력 및 전송하는데 적합한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햅틱 디바이스(haptic device), 예컨대 햅틱 폰, 햅틱 PDA 등과 같은 터치 기반(touch base)의 노트 애플리케이션(note application)은, 터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텍스트(text) 필기입력, 텍스트 키보드 입력, 사진첨부 등의 기능을 활용하여 텍스트 노트, 그림 노트, 음성 노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터치 기반의 일반적인 노트 애플리케이션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입력이 자유롭지 않을뿐더러, 그 관리 방법이 매우 복잡하여 단순히 텍스트 필기입력, 키보드 입력, 사진첨부 정도의 기능에 국한되고 있다.
즉, 기존 햅틱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노트 애플리케이션은, 텍스트 노트, 음성 노트, 그림 노트 등이 각각 개별적으로 작성되며, 서로가 병합될 수 없기 때문에, 이미지, 동영상, 맵 정보, URL 링크, 웹 페이지, 갈무리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거나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디바이스내(in device)/디바이스간(inter device) 협업 메시지(collaboration message)의 전송을 위해 상호 융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입력 및 전송하여 표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디바이스내/디바이스간 협업 메시지로 통합하여 개인 근거리 네트워크(PAN; Personal Area Network),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전송 및 활용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관점에 따르면, 소스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의 전송이 요청되면 타겟 디바이스의 전송 요청 목적지를 검출하 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전송 요청 목적지로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전송 경로에 따라 전송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를 상기 전송 요청 목적지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의 수신을 위한 제 2 디바이스와, 상기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를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바인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의 전송 및/또는 수신 경로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정보가 통합된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를 전송하는 응용 프로그램인 메시지 전송 의뢰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를 수신하는 응용 프로그램인 메시지 수신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에서 전송 타겟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송 타겟 정보의 타겟 디바이스로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송 경로에 따라 전송 프로토콜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전송 프로토콜로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노트 애플리케이션과 대비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들, 예컨대, 이미지, 동영상, 맵 정보, URL 링크, 웹 페이지, 갈무리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텍스트 기반의 노트 애플리케이션에 통합하여 디바이스내/디바이스간 공유함으로써,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종류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는 바, 햅팁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고 서비스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100), 타겟 디바이스(target device)(102), 제 1 네트워크(200), 제 2 네트워크(300), 제 3 네트워크(400), DNS(Domain Name Server)(500), 디바이스내/디바이스간 협업 메시지(in/inter device collaboration message; 이하 IDCM이라 함) 타겟 노드(target node)(5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100)는 본 실시예에 따라 IDCM 서비스 및 IDCM 전송(발신)을 위한 발신측 디바이스로서, 본 실시예에 따라 IDCM을 전송하기 위해 다수의 네트워크, 예컨대 제 1 네트워크(200), 제 2 네트워크(300), 제 3 네트워크(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소스 디바이스(100)는 유선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등의(또는 소지하는) 클라이언트들을 지칭하거나, 무선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셀룰러폰, DMB폰, 화상전화폰 등의(또는 소지하는) 이동 클라이언트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유무선망과 유선접속 또는 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하여 가입자에게 유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이동 클라이언트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지원하는 2세대뿐만 아니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3세대, 또는 그 이상의 이동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환경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소스 디바이스(100)는, 이러한 유무선망을 통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외에, 본 실시예에 따라 IDCM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소스 디바이스(100)는, 말단의 특정 디바이스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IDCM 서비스를 위한 기능 디바이스, 예컨대 호스트 서버(host server), 중계기, 송수신기 등의 기능 디바이스로서 역할을 한다.
타겟 디바이스(102)는 본 실시예에 따라 IDCM 서비스 및 IDCM 수신을 위한 수신측 디바이스로서, 본 실시예에 따라 IDCM을 수신하기 위해 다수의 네트워크, 예컨대 제 1 네트워크(200), 제 2 네트워크(300), 제 3 네트워크(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타겟 디바이스(102)는 유선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등의(또는 소지하는) 클라이언트들을 지칭하거나, 무선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셀 룰러폰, DMB폰, 화상전화폰 등의(또는 소지하는) 이동 클라이언트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유무선망과 유선접속 또는 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하여 가입자에게 유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이동 클라이언트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지원하는 2세대뿐만 아니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3세대, 또는 그 이상의 이동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환경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타겟 디바이스(102)는, 이러한 유무선망을 통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외에, 본 실시예에 따라 IDCM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타겟 디바이스(102)는, 말단의 특정 디바이스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IDCM 서비스를 위한 기능 디바이스, 예컨대 호스트 서버, 중계기, 송수신기 등의 기능 디바이스로서 역할을 한다.
이때, 도 1에 예시한 소스 디바이스(100) 및 타켓 디바이스(102)는, 단일의 디바이스로 각각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설명을 간결하게 하고 그 요지를 명확히 하고자 한 것으로, 제 1 네트워크(200), 제 2 네트워크(300) 및 제 3 네트워크(400)에 연결되는 소스 디바이스 및 타켓 디바이스는 다수 개 구현되거나 몇 개의 디바이스 그룹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도 1의 본 실시예에서는 소스 디바이스(100)와 타겟 디바이스(102)로 각각의 디바이스를 기능적으로 구분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각각의 디바이스(100)는 공통으로 IDCM 전송 및 수신이 가능한 IDCM 디바이스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네트워크(200)는, 예를 들면 개인 근거리 네트워크(PAN; Personal Area Network)로서, 소스 디바이스(100)와 타겟 디바이스(102)가 제 1 네트워크(200)를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때, 개인 근거리 네트워크로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적외선(IrDA)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등의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 2 네트워크(300)는, 예를 들면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로서, 소스 디바이스(100)와 타겟 디바이스(102)간의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 환경, 즉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내부 프로세스간 통신 환경을 제공한다.
제 3 네트워크(400)는, 예를 들면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로서, 소스 디바이스(100)와 타겟 디바이스(102)의 광역 유무선 통신 환경,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의 전송 프로토콜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광역 네트워크에서 무선망은, 이동 클라이언트 그룹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핸드 오버 및 무선 자원 관리 기능 등을 한다. 무선망은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노드 B(Node B),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무선 통신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이 아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망 및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광역 네트워크에서 유선망은, 예컨대 인터넷(internet)을 들 수 있다.
한편, 도 1의 DNS(Domain Name Server)(500)는, 제 2 네트워크(300)와 제 3 네트워크(400) 사이에서 TCP/IP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네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넷 상의 타겟 노드를 찾아 타겟 디바이스간 경로를 설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수신 가능한 네트워크 기능을 가지는 공중망 상의 어떠한 네트워크 노드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IDCM을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IDCM 타겟 노드(502)는, 예를 들면 인터넷 상에 위치한 IDCM의 수신측이 되는 노드로서, 인터넷 상에서 IDCM의 타겟이 되는 노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IDCM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예컨대 도 1의 소스 디바이스(100)(또는 타겟 디바이스(102))를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는, 메시지 전송의뢰 애플리케이션(10), 메시지 수신 애플리케이션(12), IDCM 에이전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의뢰 애플리케이션(10)은, 본 실시예에 따라 IDCM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송신자는 후술하는 IDCM 에이전트(20)가 구 비되는 어떠한 디바이스 또는 노드 상의 애플리케이션도 해당될 수 있다.
메시지 수신 애플리케이션(12)은, 본 실시예에 따라 IDCM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수신자는 후술하는 IDCM 에이전트(20)가 구비되는 어떠한 디바이스 또는 노드 상의 애플리케이션도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IDCM 에이전트(20)는, 디바이스내/디바이스간 협업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상호 융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입력 및 전송하도록 하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디바이스내/디바이스간 협업 메시지로 통합하여 개인 근거리 네트워크, 로컬 영역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전송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핵심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IDCM 에이전트(20)의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IDCM 에이전트(20)는 IDCM 및 목적지가 파악되면 해당 목적지를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이용하여 자동 검출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IDCM 에이전트(20)는 검출된 목적지에 메시지가 도달할 수 있는 전송 경로에 따라 개인 근거리 네트워크, 로컬 영역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 등의 전송 프로토콜을 자동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또한, IDCM 에이전트(20)는 해당 네트워크 상의 노드가 있는 경우 호스트 서버로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디바이스간 중계 기능 및 메시지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IDCM 에이전트(20)는 디바이스간의 통신을 위해 표준화된 메시지 포맷 의 바이너리 포맷(binary format)을 사용하여 디바이스간의 낮은 성능 제약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IDCM 에이전트(20)는 목적지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타겟 디바이스(102)가 IDCM을 가지고 있지 않을 때, 표준화된 메시지 포맷을 사용한 서비스, 예컨대 전자메일 서비스, 블로그(blog) 서비스, 인스턴스 메시지(instance message) 서비스 등을 제약 없이 응용할 수 있도록 해당 메시지를 자동 변환할 수 있다.
도 3은 이와 같은 IDCM 에이전트(20)의 상세 구성도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IDCM 에이전트(20)는, IDCM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22), IDCM 전송 제어기(24), IDCM 목적경로 검출기(26), IDCM 송수신기(28)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IDCM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22)는, IDCM의 생성/소멸 및 송수신 제어가 가능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을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IDCM의 이용이 용이하도록 인터페이스한다.
IDCM 전송 제어기(24)는 IDCM의 전송을 위해 접속/전송/흐름 제어를 수행하며, IDCM 목적경로 검출기(26)는 IDCM 수신 목적지의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 위치 및 통신 방식을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IDCM 목적경로 검출기(26)가 메시지 전송의뢰 애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전달된 목적지의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 수신 애플리케이션(12)의 위치 및 통신 방식을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 및 통신 방식 정보를 IDCM 전송 제어기(24) 로 전달하며, IDCM 전송 제어기(24)는 IDCM 목적경로 검출기로부터 전달된 위치 및 통신 방식 정보에 따라 IDCM 전송을 위한 접속/전송/흐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IDCM 송수신기(28)는 IDCM 전송 제어기(24)의 제어에 따라 IDCM을 임의의 네트워크, 예컨대 제 1 네트워크(200)(개인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300)(로컬 영역 네트워크), 또는 제 3 네트워크(400)(광역 네트워크)를 선택적으로 바인딩(binding)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방법을 첨부한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IDCM 전송 제어기(24)는 메시지 전송의뢰 애플리케이션(10)을 통해 IDCM 전송 의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S400), IDCM 전송 의뢰가 있으면 IDCM 전송 제어기(24)는 메시지 전송의뢰 애플리케이션(10)을 통해 전송 의뢰된 IDCM에서 전송 태그의 입력 URI를 IDCM 목적경로 검출기(26)로 전달한다.
IDCM 목적경로 검출기(26)는 IDCM 전송 제어기(24)로부터 전달된 입력 URI에 대해 패턴 검사를 수행하여 프로토콜 및 URL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분할한다(S402).
단계(S404)에서는 제 2 네트워크(300), 즉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 등록된 디바이스 ID에 대한 URI인지를 패턴 검사한다. 로컬 URI에 대한 패턴은 다음 [표 1]에 예시한 바와 같다.
패턴 개요
Application ID 단독으로 해당 장치 내에서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의 식별자.
Ex) Unix등의 process id, WIPI등의 10자리 애플리케이션 ID 등.
Local URL 인터넷의 파일 지정자. 이 프로토콜에서 인터넷 URL이 로컬호스트(localhost)이면 이는 자신의 장비 내에 특정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나타낸다. 이 경우 IDCM은 파일로 쓰여지게 된다.
Ex) file://~, C://~,
MIME-Type 타겟이 MIME-Type일 때에는 해당 mime을 처리할 수 있는 기본 응용 프로그램을 연동한다.
Ex) text/html -> Browser, image/jpg -> photo viewer etc.
로컬 URI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파일 I/O, 공유 메모리(shared memory), 파이프(pipe), 메시지 큐(message queue) 등 URI에 명시된 대상 객체에 따라 프로토콜을 바인딩(binding)한다(S406).
단계(S408)에서는 제 1 네트워크(300), 즉 개인 근거리 네트워크에 등록된 디바이스 ID에 대한 URI인지를 패턴 검사한다. 개인 근거리 네트워크 URI에 대한 패턴은 다음 [표 2]에 예시한 바와 같다.
패턴 개요
Device ID 주변에 PAN에 페어링(pairing)되어있는 디바이스의 목록이다. 페어링된 디바이스 중에 해당 ID가 없다면 주변 디바이스를 서치하여 페어링가능한 기기들 중에 해당 디바이스 id를 찾는다.
개인 근거리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에 IDCM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지그비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장치 중에 현재 페어링된 수신 가능한 디바이스의 목록 중 타겟 디바이스를 찾고 해당 디바이스가 등록된 프로토콜을 바인딩한다(S410).
단계(S412)에서는 제 3 네트워크(400), 즉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에 등록된 디바이스 ID에 대한 URI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DNS를 패턴 검사한다. 광역 네트워크 URI에 대한 패턴은 다음 [표 3]에 예시한 바와 같다.
패턴 개요
INTERNET URL www.domain.com과 같은 Web URL 또는 IP일 경우 인터넷 상의 타겟으로 전송하기 위한 지정이 이루어진다.
전송에 대한 지정 프로토콜이 없을 경우 파일을 기본으로 한다.
Ex) http://www.naver.com/~, file://www.skt.com/directory/
만일, 목적지 URI가 인터넷 URL 형식인 경우에는 해당 URI가 전자메일, 웹 등인지를 파악하여 해당 네트워크에 맞는 프로토콜을 바인딩한다(S416).
이러한 URI 검사 결과, 오류로 판명하는 경우에는 오류 URI로 처리, 즉 오류를 의미하는 널(null) 송수신기를 반환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IDCM 에이전트의 메시지 모듈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IDCM은 표준 멀티 파트(multi part) MIME을 이용한다. 다만, 성능을 위해 바이너리로 처리되며, IDCM을 해석할 수 없는 경우, 문자열(7비트 엔코딩) 기반의 표준 멀티 파트 MIME 전송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IDCM의 헤더(1002)는 전송에 기본이 되는 헤더 태크 필드(header tag field)를 가진다. 이것은 IDCM을 이해하지 못하는 원격지로 전송될 경우, 요구 프로토콜에 따라 SMTP나 HTTP 헤더로 바로 매핑이 되어 전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IDCM 헤더(1002)는 다음 [표 4]와 같이 예시될 수 있을 것이다.
IDCM Header Tags 개요
IDCM_HEADER_FROM 발신지 URI가 표시된다. 수신자를 이 URI를 이용하여 응답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IDCM_HEADER_TO 수신지 URI가 표시된다. 이 수신자 URI를 이용하여 IDCM은 메시지 경로 및 전송 프로토콜을 선별한다.
IDCM_DATE 발신자가 메시지를 전송 의뢰한 시간이다. 이 시간은 절대 표준시로 기입된다.
IDCM_MESSAGE_ID 글로벌 메시지 ID로 언제나 메시지의 유일성을 보장하여 식별 가능하도록 한다.
IDCM_MESSAGE_LENGTH 전송자가 의뢰한 메시지의 전체 크기이다. 이 크기는 항상 0 이상의 크기를 가진다.
IDCM은 하나의 메시지에 여러 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 오브젝트(data object)를 담을 수 있다. 이 멀티 파트(104)는 N개로 이론상 무한대이다. 다만, 이것은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해진 크기에 따라 제약될 수 있다.
하나의 IDCM 콘텐츠 바디(contents body)(1004)의 파트는 각각의 헤더와 바디로 구성된다.
IDCM의 MIME 헤더(104a)는 바이너리 구조를 가지며, 각 헤더 필드는 IDCM을 이해하지 못하는 원격지로 전송될 경우, 요구 프로토콜에 따라 SMTP나 HTTP 헤더로 바로 매핑되어 전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각 헤더 태그의 의미, 즉 바이너리 MIME 헤더(104)는 다음 [표 5]와 같이 예시될 수 있을 것이다.
IDCM MIME-header Tags 개요
BM_CONTENT-TYPE 콘텐츠 바디(content body)에 담고있는 미디어의 MIME을 표시한다.
이것은 표준 MIME-type 표기를 준수한다.
BM_CONTENT-TRANSFER-ENCODING 콘텐츠 바디에 담고있는 자료의 해석방법을 표시한다.
IDCM은 전송의 효율성과 모바일(Mobile)에서의 처리과정 최소화를 위해 바이너리를 사용하지만 전송응용의 요구에 따라 변환될 수 있으며 전송측이 IDCM을 수용하지 못할 경우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 다른 엔코딩(encoding) 방법을 사용한다. 엔코딩은 표준을 따른다.
BM_CONTENT-ID 각 MIME-part의 콘텐츠의 식별자이다.
BM_CONTENT-LOCATION 원본 데이터가 있는 URL이다. MIME-part는 바디(body)가 없을 수 있다. 이 때 바디의 데이터는 LOCATION이 지정하는 URL의 데이터가 된다.
BM_CONTENT-LENGTH 바디 데이터가 있을 때 해당 바디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낸다. 이 길이는 0일 수 있다. 이는 바디 데이터가 메시지에 내포되지 않고 BM_CONTENT-LOCATION이 지정하는 URL상에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디바이스내/디바이스간 협업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상호 융합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입력 및 전송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으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디바이스내/디바이스간 협업 메시지로 통합하여 개인 근거리 네트워크(PAN; Personal Area Network),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전송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증하는 것이며,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많은 다른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청구항에서는, 괄호 안에 있는 어떤 참조 기호도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포함하는", "포함한다" 등의 표현은, 전체적으로 모든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열거된 것을 제외한 구성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구성 요소의 단수의 참조부는 그러한 구성 요소의 복수의 참조부를 배제하지 않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몇몇 별개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수단 및 적절히 프로그램된 컴퓨터 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몇몇 수단을 열거하는 청구항에서, 이들 수단의 몇몇은 하드웨어의 같은 항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종속항에 확실한 수단이 기술되었다고 하는 단순한 사실은, 이러한 수단의 조합이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으로 인해, 기존 노트 애플리케이션과 대비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들, 예컨대, 이미지, 동영상, 맵 정보, URL 링크, 웹 페이지, 갈무리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텍스트 기반의 노트 애플리케이션에 통합하여 디바이스내/디바이스간 공유함으로써,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종류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는 바, 햅팁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고 서비스가 크게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에 대한 서비스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디바이스, 예컨대 멀티미디어 통합 입력을 위한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IDCM(In/Inter Device Collaboration Message) 에이전트에 대한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IDCM 에이전트의 모듈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소스 디바이스
102 : 타겟 디바이스
200, 300, 400 : 네트워크
500 : DNS(Domain Name Server)
502 : IDCM(In/Inter Device Collaboration Message) 타겟 노드(target node)

Claims (16)

  1. 소스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의 전송이 요청되면 타겟 디바이스의 전송 요청 목적지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전송 요청 목적지로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전송 경로에 따라 전송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를 상기 전송 요청 목적지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프로토콜 선택 과정은,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에서 목적지 태그의 URI의 패턴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URI의 패턴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바인딩(binding)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개인 근거리 네트워크 프로토콜,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 광역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인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는, 바이너리 포맷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 요청 목적지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는, 디바이스내/디바이스간 협업 메시지인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방법.
  6.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의 수신을 위한 제 2 디바이스와,
    상기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를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바인딩하여 상기 멀티 미디어 통합 메시지의 전송 및/또는 수신 경로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는, 호스트 서버, 중계기, 송수신기 중 어느 하나의 기능 디바이스인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상에 위치한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를 수신하는 타겟 노드와,
    상기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타겟 노드를 찾아 타겟 디바이스간 경로를 설정하는 도메인 네임 서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개인 근거리 네트워크, 로컬 영역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 크 중 어느 하나인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
  10.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는, 디바이스내/디바이스간 협업 메시지인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
  11.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정보가 통합된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를 전송하는 응용 프로그램인 메시지 전송 의뢰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를 수신하는 응용 프로그램인 메시지 수신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에서 전송 타겟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송 타겟 정보의 타겟 디바이스로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송 경로에 따라 전송 프로토콜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전송 프로토콜로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 에이전트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경로는, 개인 근거리 네트워크 전송 경로, 로컬 영역 네트워크 전송 경로, 광역 네트워크 전송 경로 중 어느 하나인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 에이전트는, 바이너리 포맷을 사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 에이전트는,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의 생성/소멸 및 송수신 제어가 가능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을 인터페이스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접속/전송/흐름 제어를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 전송 제어기와,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의 수신 목적지의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 위치 및 통신 방식을 검출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 목적경로 검출기와,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 전송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를 상기 전송 경로 중 임의의 전송 경로를 선택적으로 바인딩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 송수신기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15. 제 11 항 또는 제 13 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메시지는, 디바이스내/디바이스간 협업 메시지인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16.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호스트 서버, 중계기, 송수신기 중 어느 하나의 기능 디바이스인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KR1020080135757A 2008-12-29 2008-12-29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KR101121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757A KR101121532B1 (ko) 2008-12-29 2008-12-29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757A KR101121532B1 (ko) 2008-12-29 2008-12-29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731A true KR20100077731A (ko) 2010-07-08
KR101121532B1 KR101121532B1 (ko) 2012-03-06

Family

ID=4263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757A KR101121532B1 (ko) 2008-12-29 2008-12-29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5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0326A (zh) * 2014-04-03 2015-10-14 联想移动通信软件(武汉)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之间分享应用内容的方法及装置
KR20160048703A (ko) * 2014-09-30 2016-05-04 시아오미 아이엔씨. 메시지 전송방법, 메시지 전송장치, 전자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9871884B2 (en) 2014-09-30 2018-01-16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messag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862B1 (ko) 2012-07-23 2014-07-07 한국과학기술원 웹 객체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웹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90065542A (ko) 2017-12-03 2019-06-12 권형석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7973A (ko) 2017-12-08 2019-06-18 권형석 공개키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0148B1 (en) * 2002-02-12 2006-10-10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urce awareness in a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network environ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0326A (zh) * 2014-04-03 2015-10-14 联想移动通信软件(武汉)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之间分享应用内容的方法及装置
KR20160048703A (ko) * 2014-09-30 2016-05-04 시아오미 아이엔씨. 메시지 전송방법, 메시지 전송장치, 전자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9871884B2 (en) 2014-09-30 2018-01-16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mess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1532B1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2985B1 (en) Device independent message distribution platform
JP3597448B2 (ja) 情報アクセス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9491275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ggregating contact information
JP3943467B2 (ja) 中継装置、情報送信装置、および情報送信方法
KR101121532B1 (ko)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CN1832591B (zh) 用于在移动通信系统和移动通信终端中发送消息的方法
CN101731000A (zh) 使服务供应商能够获得并使用用户信息的系统和方法
WO2007026810A1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US200601878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media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4301344A (zh) 文件传输方法、终端及系统
CN102546850A (zh) 支持IPv6的IPv4内容提供方法、装置及服务器
CN100377522C (zh) 一种内容分发网络中oma下载的实现方法
KR101973531B1 (ko) 복수의 클라이언트 간의 어플리케이션 자동 공유 방법 및 장치
US20120124025A1 (en) Method for Querying a Search Word Via SMS and Sending a Search Engine Results to Mobile Devices
KR20060129136A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및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장치
WO2013187595A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관련정보 제공장치 및 관련정보 공유 시스템
KR20060103054A (ko)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 정보 전송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2238492A (zh) 移动终端发送和接收具有签名档的短信的方法及装置
KR20120071162A (ko) 타인의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1291467B (zh) 一种多媒体消息中心设备、多媒体消息的转发方法及装置
KR100817479B1 (ko) Poi의 유선전화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웹페이지 연결방법 및 시스템, 그를 위한 모바일 웹페이지 서버와 그동작 방법
FI115596B (fi) Menetelmä ja järjestelmä tiedon välittämiseksi, sekä laite
KR20130016542A (ko)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JP5137688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並びに情報提供装置
KR20030040252A (ko)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