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154A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rterming image blurring, medium of recording the method,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apply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rterming image blurring, medium of recording the method,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apply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154A
KR20100075154A KR1020080133779A KR20080133779A KR20100075154A KR 20100075154 A KR20100075154 A KR 20100075154A KR 1020080133779 A KR1020080133779 A KR 1020080133779A KR 20080133779 A KR20080133779 A KR 20080133779A KR 20100075154 A KR20100075154 A KR 20100075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edge information
captured image
featur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7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33279B1 (en
Inventor
한규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3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279B1/en
Publication of KR20100075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1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2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image blurring, a medium of recording the method, a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applying the method are provided to confirm the shaking of a photographed image by comparing a reference image to which a focus is adjusted with a feature point and edge information. CONSTITUTION: A reference image to which focus is adjusted is generated(S13), and a photographing image is generated(S17). Image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each photographed image is deduced(S18).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corresponding to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are compared to each other(S19). If the first and second image inform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hotographing image is determined as a blurred image(S20).

Description

영상의 흔들림을 판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및 상기 제어 방법에 의해 실행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rterming image blurring, medium of recording the method,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applying the method}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image shake,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and a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executed by the control method. the method,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applying the method}

본 발명은 흔들린 영상을 판별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상기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a shaken image,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and a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employing the above method.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할 때, 사용자의 촬영 미숙이나 기타 외부 영향으로 흔들린 촬영 영상을 얻는 경우가 있다. 사용자는 촬영 후, 곧 바로 확인하여 흔들린 영상인 경우 삭제하거나 다시 찍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카메라의 소형화를 위해 이에 채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작은 해상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촬영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촬영 영상 확인 시에 전체를 디스플레이해서는 흔들림 정도를 육안으로 구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상기 촬영 영상을 확대해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확대하여 확인하는 경우도 있지만 확대하더라도 디지털 카메라에 채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육안으로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When shooting with a digital camera, there may be a case where a captured image shaken by a user's immaturity or other external influence is obtained. The user may immediately check and immediately take a picture to delete or retake a shaken image. However, the display device employed for the miniaturization of the digital camera also has a small resolution. Therefore, when the photographed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when the photographed image is checked, the entirety of the shake may not be distinguished by the naked eye, and it is inconvenient to enlarge and confirm the photographed image. In some cases, the enlargement may be confirmed, but even when enlarged, the display device employed in the digital camera may not be visually identified.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서 촬영 영상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상기 제어 방법에 따라 동작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determining a shake of a captured image in a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and a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perating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포커스(focus)가 맞은 기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촬영 영상 각각의 영상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영상의 제1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상의 제2 영상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상 정보와 상기 제2 영상 정보가 상이하다면, 상기 촬영 영상은 흔들린 영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generating a reference image in focus, generating a captured image, deriving image information of each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and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Comparing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and if the first ima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etermining the captured image as a shaken image. To provide a control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피사체를 구별하는 특징점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 방법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촬영 영상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기준 영상의 제1 특징점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상의 제2 특징점을 비교하여, 상기 제1 특징점과 상기 제2 특징점이 상이하다면 상기 촬영 영상을 흔들린 영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제1 특징점과 상기 제2 특징점의 개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특징점에 대응하는 제2 특징점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촬영 영상을 흔들린 영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mage information may be a feature point for distinguishing a subject. Therefore, the control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feature point of each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is extracted, and the second feature point of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ature point of the reference image is compared with each other. If the first feature point and the second feature poin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aptured image may be determined as a shake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number of the first feature points and the second feature points is compared, 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cond feature poin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ature points, the captured image may be determined as a shaken imag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에지(edge) 정보일 수 있다. 에지 정보인 경우,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촬영 영상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영상의 제1 에지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상의 제2 에지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에지 정보와 상기 제2 에지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촬영 영상을 흔들린 영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에지 정보의 비교는 상기 제1 에지 정보와 상기 제2 에지 정보의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일 수 있다. In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information may be edge information. In the case of edge information, extracting at least one edge information of each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comparing the second edge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dg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If the first ed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edge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may include determining the captured image as a shaken image. The comparison of the edge information may be comparing data of the first ed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edg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above-described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s recorded.

아울러, 본 발명은 포커스(focus)가 맞은 기준 영상 및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제1 영상 신호 처리부와, 상기 기준 영상 및 촬영 영상 각각으로부터 영상 정보를 도출하는 제2 영상 신호 처리부와, 상기 기준 영상의 제1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상의 제2 영상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판단부와, 상기 제1 영상 정보와 상기 제2 영상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촬영 영상은 흔들린 영상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image signal processor for generating a reference image and a captured image in focus, a second image signal processor for deriving image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And a comparison determiner for comparing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first image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captured image as a shaken image when the first ima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are different. Provided is a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신호 처리부는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피사체를 구별하는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비교 판단부에서 상기 기준 영상의 제1 특징점과 상기 제1 특징점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상의 제2 특징점을 비교판단하 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제1 특징점과 상기 제2 특징점의 개수를 비교할 수 있다. In the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includes a feature point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feature point for distinguishing a subject from the reference image and the photographed image, and wherein the comparison determining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reference image. The first feature point and the second feature point of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ature point may be compared. As an example, the comparison determiner may compare the number of the first feature points and the second feature points.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신호 처리부는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에지 정보를 추출하는 에지 정보 추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기준 영상의 제1 에지 정보와 상기 제1 에지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상의 제2 에지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제1 에지 정보와 상기 제2 에지 정보의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In the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mage signal processor may include an edge information extractor configured to extract edge information from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In this case, the comparison determiner may compare first edg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and second edge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dge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comparison determiner may compare data of the first ed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edg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포커스가 맞은 기준 영상과 특징점 또는 에지 정보를 비교하여 촬영 영상의 흔들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상기 방법에 따라 실행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confirming a shake of a captured image by comparing a focused reference image with a feature point or edge informatio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and digitally executed according to the method A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일 실시 예로서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가 디지털 카메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디지털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A digital camera is described as an embodiment of the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s not limited to a digital camera, but may be applied to digital devices such as a camera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the like with a camera function.

도 1a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 라의 배면도이다.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gital camera, and FIG. 1B is a rear view of the digital camera shown in FIG. 1A.

도 1a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면에 렌즈, 렌즈 덮개 등으로 이루어진 광학부(11)가 배치되며, 광학부(11)를 기준으로 윗 쪽에 플래쉬(F)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의 상면에는 전원 버튼(21), 촬영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 버튼(22)이 배치되어 있다. 도 1b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100)의 배면에는 AMOLED(60)의 디스플레이 창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창 주변에 복수의 기능 버튼(26)들이 배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A, an optical part 11 including a lens, a lens cover, and the like is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igital camera 100, and a flash F is disposed above the optical part 11. In addition, a power button 21 and a shutter button 22 for inputting a shutter-release signal for controlling photographing ar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igital camera 100. According to FIG. 1B, a display window of the AMOLED 60 is disposed on the back of the digital camera 100, and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26 are disposed around the display window.

이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100)의 내부 구성을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such a digital camera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입력하는 광학부(10), 상기 광학부(10)를 통해 입력된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11), 촬상 소자(11)로부터 제공된 전기 신호에 대해 노이즈 저감 처리,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입력 신호 처리부(12)를 구비한다. 상기 광학부(10)를 구동하는 모터(13) 및 모터(13)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1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UI, 20), 입력 영상의 데이터, 연산 처리를 위한 데이터, 처리 결과 등을 임시 저장하는 SDRAM(30),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 설정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40),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기록 장치로서 SD/CF/SM 카드(5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유기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6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소리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음원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롤 변화하는 처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처리 등을 수행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71),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72), 소리를 입력하는 마이크(73)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80)를 구비한다. The digital camera 100 includes an optical unit 10 for inputting light from a subject, an imaging element 11 and an imaging element 11 for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input through the optical unit 10 into an electrical signal. An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12 that performs signal processing such as noise reduction processing and digital signal conversion processing on the provided electrical signal is provided. A motor 13 for driving the optical unit 10 and a driver 14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13 are provided. In addition, the digital camera 100 may include a user input unit (UI) 20 for inputting a user's operation signal, an SDRAM 30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of an input image, data for arithmetic processing, processing results, and the like. A flash memory 40 for storing algorithms, setting data,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100 may be provided, and an SD / CF / SM card 50 may be provided as a recording device for storing an image file. The digital camera 100 is equipped wit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60 as a display device. In addition, an audio signal processor 71 for converting a sound into a digital signal or converting a digital signal of a sound source into an analog signal, generating an audio file, a speaker 72 for outputting sound, and a sound It may be provided with a microphone 73 for input. The digital camera 100 includes a processor 8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camera 100.

각 구성부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Look at each component in more detail.

상기 광학부(10)는 광학 신호를 집광하는 렌즈, 상기 광학 신호의 양(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광학 신호의 입력을 제어하는 셔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이들 렌즈들은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셔터로 가리개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기계식 셔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셔터 장치 대신 촬상 소자(11)에 전기 신호의 공급을 제어하여 셔터 역할을 행할 수도 있다.The optical unit 10 may include a lens for condensing an optical signal, an aperture for adjusting the amount (light quantity) of the optical signal, a shutter for controlling the input of the optical signal, and the like. The lens includes a zoom lens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view to be narrowed or widened according to a focal length, a focus lens for focusing an object, and the like, although each of these lenses may be composed of one lens, but a plurality of lenses. It may be made up of a group of people. A shutter may be provided with a mechanical shutter that moves the shade up and down. Alternatively, instead of a separate shutter device, the supply of an electrical signal to the imaging device 11 may be controlled to serve as a shutter.

상기 광학부(10)를 구동하는 모터(13)는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조정, 조리개 조정, 줌, 초점 변경 등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셔터의 동작 등을 구동할 수 있다.The motor 13 driving the optical unit 10 may drive the position of the lens, opening and closing of the aperture, shutter operation, etc.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auto focus, automatic exposure adjustment, aperture adjustment, zoom, and focus change. Can be.

상기 모터(13)는 구동부(14)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구동부(14)는 프로세서(80)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13)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motor 13 is controlled by the drive 14. The driver 14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13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processor 80.

촬상 소자(11)는 광학부(10)로부터 입력된 광학 신호를 수광하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촬상 소자(11)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어레이,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어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imaging element 11 receives an optical signal input from the optical unit 10 and forms an image of a subject. As the imaging device 11,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sensor array, a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array, or the like may be used.

입력 신호 처리부(12)는 CCD로부터 공급된 전기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이를 디지털화하는 A/D 컨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소자(11)로부터 제공된 전기 신호에 대해 게인(gain) 조정이나 파형을 정형화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The input signal processor 12 may further include an A / D converter for digitizing the electrical signal supplied from the CCD as an analog signal. In addition, a circuit for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for shaping a gain or shaping a waveform with respect to the electrical signal provided from the imaging element 11 may be provided.

UI(20)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카메라(10)를 조작하거나 촬영시 각종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키,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다이얼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원 온/오프, 촬상 개시/정지, 재생 개시/정지/서치, 광학계의 구동, 모드 변환, 메뉴 조작, 선택 조작 등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The UI 20 may include a member for performing various settings when the user manipulates or photographs the digital camera 10.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utton, a key, a touch panel, a touch screen, a dial,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power on / off, imaging start / stop, playback start / stop / search, driving the optical system, mode switching, and menu operation. And user control signals such as a selection operation can be input.

SDRAM(30)은 입력 신호 처리부(12)로부터 제공된 영상의 RAW 데이터(RGB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으며, 임시 저장된 RAW 데이터는 프로세서(80)의 연산에 따라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가 행해지기도 하고, 다른 필요한 구성부로 전달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SDRAM(30)에는 플래시 메모리(40)에 저장된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실행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SDRAM(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세서(80)에서 연산 처리하여 상기 알고리즘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플래시 메모리(40)에 저장한 영상 파일을 압축 해제하여 변환한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렇게 임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OLED(60)로 전송되어 소정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SDRAM(30) 는 일 예로서, 전원 공급 동안 데이터를 임시 기억하는 다양한 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The SDRAM 30 may temporarily store RAW data (RGB data) of an image provided from the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12, and the temporarily stored RAW data may be subjected to predetermined image signal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80. It may also be passed on to other necessary components. In addition, the SDRAM 30 may temporarily convert data constituting an algorithm stored in the flash memory 40 into executable data.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algorithm may be performed by arithmetic processing by the processor 80 using data stored in the SDRAM 30. In addition, image data obtained by decompressing and converting the image file stored in the flash memory 40 may be temporarily stored. The temporarily stored imag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OLED 60 to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The SDRAM 30 may use, for example, various volatile memories that temporarily store data during power supply.

플래시 메모리(40)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를 작동하는 필요한 OS, 응용 프로그램, 본 발명에 관한 제어 방법의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40)는 일 실시 예로서, 다양한 비휘발성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다. The flash memory 40 may store necessary OS for operating the digital camera 100, an application program, data for executing an algorithm of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ke. As an example, the flash memory 40 may be used as various nonvolatile memories.

SD/CF/SM 카드(50)에는 입력 신호 처리부(12)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생성한 영상 파일을 기록할 수 있다. SD/CF/SM 카드(50)는 일 실시 예로서, HDD(Hard Disk Driver),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홀로그램 메모리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SD / CF / SM card 50 may record an image file generated by compressing the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input signal processor 12. The SD / CF / SM card 50 may use, for example, a hard disk driver (HDD), an optical disk, a magneto-optical disk, a hologram memory, or the like.

상기 유기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LED, 60)는 입력 신호 처리부(12)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는 플래시 메모리(40)에 저장된 영상 파일을 복원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유기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60)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채용할 수 있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60 may implemen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input signal processor 12 in real time, or may restore the image file stored in the flash memory 40 to the image data. The corresponding image may be displayed. Alth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60 is illustra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or the like may be employed.

또한, 프로세서(80)에 외부 모니터(200)를 연결하여, 상기 외부 모니터(200)에서 상기 영상들을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ernal monitor 200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80 to display the images on the external monitor 200.

오디오 신호 처리부(71)는 프로세서(80)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의 디지털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고, 상기 소리를 증폭하여 스피커(72)로 전달하여 출력한다. 또는 마이크(73)를 통해 소리를 입력하고, 상기 소리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압축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80)로 전달하여 연산 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audio signal processor 71 converts the digital signal of the sound source provided from the processor 80 into sound, amplifies the sound, and transmits the sound to the speaker 72. Alternatively, the sound may b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73, and the sound may be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compressed to generate an audio file. The processor 80 may transfer the processor 80 to perform arithmetic processing.

프로세서(8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 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또한, 프로세서(80)에서는 기능적으로 불선명 처리, 색체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이펙트 처리로서 촬상 신호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 영상의 생성, 혹은 축소 영상의 생성, 모자이크 영상/휘도 반전 영상/소프트 포커스/영상 내의 일부의 강조 표시/영상 전체의 색 분위기 변환 등의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0)에서는 OLED(6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0)는 외부 모니터(200)와 연결되어, 외부 모니터(2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모니터(200)에서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80 reduces noise with respect to the input image data, gamma correction, 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color matrix, color correction, and color enhancement. image signal processing such as (color enhancement). The image data may be generated by compressing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signal processing, or the image data may be restored from the image file. The compressed format of the video may be a reversible format or a non-reversible format. As an example of a suitable format, it is also possible to convert to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format, JPEG 2000 format, or the like. The processor 80 can also perform functionally unsharpening, color processing, blur processing, edge emphasis processing, image analysis processing,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image effect processing, and the like. As the image effect processing, a process of generating an enlarged image in which a part of the captured image signal is enlarged or generating a reduced image, a mosaic image / luminosity reversal image / soft focus / partial highlighting / color color conversion of the entire image, etc. Can be done. In addition, the processor 80 may perform display image processing for display on the OLED 60. For example, luminance level adjustment, color correction, contrast adjustment, outline enhancement adjustment, screen division processing, character image generation and the like, and image synthesis processing can be performed. The processor 8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monitor 200 to perform a predetermined image signal processing to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monitor 200. The processor 80 may transmit the processed image data to transmit the image data.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프로세서(8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처리 결과에 따라 각 구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UI(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플래시 메모리(40)에 저장되어 있으며, 연산 처리를 위해 실행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SDRAM(30)에 저장하여 이에 따라 프로세서(80)에서 해당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rocessor 80 performs the image signal 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and can control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In addition, each component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user input through the UI 20. The algorithm for performing the image signal processing is stored in the flash memory 40, and converted into executable data for operation processing and stored in the SDRAM 30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n the processor 80 accordingly. have.

또한, 상기 프로세서(80)는 촬영 영상의 흔들림 판단을 위한 제어를 행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80 may perform a control for determining the shaking of the captured imag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80)는 입력 신호 처리부(12)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한 영상 처리를 행하여 기록 및/또는 저장용 영상을 생성하는 제1 영상 신호 처리부(81), 제1 영상 신호 처리부(81)에서 생성한 영상에 대해 영상 정보를 도출하는 제2 영상 신호 처리부(82), 도출한 영상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판단부(83), 상기 비교 결과 영상의 흔들림을 판단하는 제어부(84)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3, the processor 80 performs first image processing for recording and / or reproduction on the image data input from the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12 to generate a recording and / or storing image. (81), the second image signal processor 82 for deriving the imag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image generated by the first image signal processor 81,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83 for comparing the derived image information, the comparison result image The controller 84 may determine the shaking of the device.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영상 정보로서 피사체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촬영 영상의 흔들림을 판단하는 프로세서(80)에 대해 설명한다. As an embodiment, the processor 80 for determining the shaking of the captured image by using the feature point of the subject as the image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라이브-뷰(Live-view) 기간 동안 실시간으로 프리뷰 영상들이 입력되며, 사용자는 상기 프리뷰 영상을 확인하여 피사체를 확인한다. 사용자는 뷰-파인더를 통 해 피사체를 직접 확인할 수도 있다. 제1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면 이때 입력된 영상에 대해 오토포커싱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영상 신호 처리부(81)에서 오토포커싱 동작을 수행하여 초점이 맞은 영상을 기준 영상으로 생성한다. 상기 기준 영상을 포함하여 프리뷰 영상들은 OLED(6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영상은 SDRAM(30)의 특정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어 촬영 동작이 실행된다. 이때 입력된 영상을 상기 제1 영상 신호 처리부(81)에서 촬영 영상으로 생성한다. 상기 제1 영상 신호 처리부(81)에서는 입력된 영상에 대해 노이즈 저감 처리, 감마 보정, 색필터 배열보간, 색 매트릭스, 색보정, 색 향상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하여 기준 영상, 촬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Preview images are input in real time during a live-view period, and the user confirms the subject by checking the preview image. You can also check the subject directly through the viewfinder. When the first shutter release signal is input, an autofocus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input image. The first image signal processor 81 performs an autofocusing operation to generate a focused image as a reference image. Preview images including the reference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OLED 60. The reference image may be stored in a specific area of the SDRAM 30. Then, a second shutter release signal is input to perform a photographing operation. At this time, the input image is generated by the first image signal processor 81 as a captured image. The first image signal processor 81 may generate a reference image and a captured image by performing image signal processing such as noise reduction processing, gamma correction, 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color matrix, color correction, and color enhancement on the input image. Can be.

상기 제1 셔터-릴리즈 신호는 셔터 버튼(22)을 반누름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제2 셔터-릴리즈 신호는 상기 셔터 버튼(22)을 완전 누름하여 생성할 수 있다. 초점을 맞춘 후, 초점이 맞은 상태에서 촬영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초점을 맞추는 동작과 촬영 동작 사이 디지털 카메라(10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일한 셔터 버튼(22)을 사용할 수 있다. The first shutter release signal may be generated by pressing the shutter button 22 halfway, and the second shutter release signal may be generated by pressing the shutter button 22 completely. Since the focus is preferably taken in a focused state, the same shutter button 22 can be used to minimize the shaking of the digital camera 100 between the focusing operation and the photographing operation.

그리고 제2 영상 신호 처리부(82)에서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촬영 영상 각각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상기 특징점은 피사체를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shift 알고리즘을 통해 영상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The second image signal processor 82 extracts feature points of each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The feature point is for distinguishing a subject and can be extracted from an image through a shift algorithm.

비교 판단부(83)에서는 상기 기준 영상의 특징점과 상기 촬영 영상의 특징점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영상의 제1 특징점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상의 특 징점을 비교할 수 있다. 피사체에 초점이 맞은 기준 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의 특징적 포인트인 제1 특징점과 촬영 영상에서 동일한 피사체의 특징적 포인트인 제2 특징점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영상에서의 제1 특징점과 상기 제1 특징점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에서의 제2 특징점의 개수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점이 맞은 기준 영상에서의 제1 특징점에 대응하는 제2 특징점이 복수 개인지 판단할 수 있다.The comparison determiner 83 may compare the feature point of the reference image with the feature point of the captured image. The feature points of the photograph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ature points of the reference image may be compared. The first feature point, which is a characteristic point of the subject, in the reference image focused on the subject, and the second feature point, which is the characteristic point of the same subject in the captured image, may be compared. The number of first feature points i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econd feature points in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ature points may be compared. For exampl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re are a plurality of second feature poin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ature points in the focused reference image.

상기 비교 판단부(84)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특징점과 상기 제2 특징점이 상이한 경우, 제어부(84)에서는 촬영 영상을 흔들린 영상으로 결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OLED(60)에 흔들린 영상이라는 표시를 더 디스플레이하거나, 스피커(72)를 통해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특징점과 상기 제2 특징점이 동등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84)에서는 촬영 영상이 흔들린 영상이 아닌 것으로 결정하고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feature point and the second feature poin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comparison determiner 84, the controller 84 may determine the captured image as a shaken image and notify the user of the image. The OLED 60 may further display an indication of a shaken image or control to output an alarm through the speaker 7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feature point and the second feature point fall within an equivalent range, the controller 84 may determine to determine that the captured image is not a shaken image and store the image.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영상 정보로 에지(edge)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 영상의 흔들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영상 신호 처리부(8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면 초점이 맞은 기준 영상을 생성하고, 제2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면 촬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ther the captured image is shaken may be determined using edge information as the image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image signal processor 81 may generate a focused reference image when the first shutter release signal is input, and generate a captured image when the second shutter release signal is input.

그리고 제2 영상 신호 처리부(82)에서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촬영 영상에 대하여 에지 정보를 추출한다. 에지 정보는 영상의 경계선에 관한 데이터로서, 에지 정보로서 경계선으로 판단되는 픽셀들의 개수, 경계선으로 판단되는 데이터 값을 이용할 수 있다. The second image signal processor 82 extracts edg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The edge information is data about a boundary line of an image, and as edge information, the number of pixels determined as the boundary line and a data value determined as the boundary line may be used.

상기 비교 판단부(83)에서는 기준 영상의 제1 에지 정보와 상기 제1 에지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의 제2 에지 정보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영상의 제1 경계선으로 판단되는 픽셀들의 개수, 또는 상기 제1 경계선으로 판단되는 픽셀들의 데이터 값과, 촬영 영상에서 상기 제1 경계선에 대응하는 제2 경계선의 픽셀 개수 또는 데이터 값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The comparison determining unit 83 may compare first edg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and second edge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dg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number of pixels determined as the first boundary line of the reference image, or the data value of the pixels determined as the first boundary line, and the pixel number or data value of the second boundary li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undary line in the captured image.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상기 비교 판단부(83)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에지 정보와 상기 제2 에지 정보가 상이한 경우, 제어부(84)에서는 상기 촬영 영상을 흔들린 영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을 나타내는 표시를 OLED(6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스피커(72)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에지 정보와 상기 제2 에지 정보가 동등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촬영 영상을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ed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edge inform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83, the controller 84 determines the captured image as a shaken image and displays a display indicating the determination to the OLED 60. The alarm can be displayed or output to the speaker 72. Alternatively, when the first ed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edge information belong to an equivalent rang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store the captured imag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일 실시 예를 도 4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4.

우선, 촬영 대기 상태(S11)에서 시작하여, 제1 셔터-릴리즈 신호(S1)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12). 제1 셔터-릴리즈 신호(S1)가 입력되면 오토포커싱 동작을 수행하여 포커스가 맞는 기준 영상을 생성한다(S13). 상기 기준 영상으로부터 제1 영상 정보를 도출한다(S14). 상기 제1 셔터-릴리즈 신호(S1)가 입력되지 않으면, 계속 촬영 대기 상태(S11)를 유지한다. First, starting from the shooting standby state S1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shutter release signal S1 is input (S12). When the first shutter release signal S1 is input, an autofocus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generate a reference image in focus (S13). First image information is derived from the reference image (S14). If the first shutter release signal S1 is not input, the photographing standby state S11 is maintained.

그리고 제2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15). 제2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다시 제1 셔터 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고(S16), 상기 제1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촬영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1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면 제2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는지 계속 판단한다(S15). 상기 제2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면, 촬영 영상을 생성한다(S17).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제2 영상 정보를 도출한다(S18). In operation S15, it is determined whether a second shutter-release signal is input. If the second shutter release signal is not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shutter release signal is input again (S16), and if the first shutter release signal is not input, the photographing standby state is maintained and the first shutter release signal is released. If is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shutter release signal is input (S15). When the second shutter-release signal is input, a photographed image is generated (S17). In operation S18, second image information is derived from the captured image.

그리고 상기 제1 영상 정보와 상기 제2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지 판단한다(S19). 상기 영상 정보들이 서로 상이하면, 촬영 영상이 흔들린 영상임을 알리고(S20), 그러하지 않으면 촬영 영상을 저장한다(S21). In operation S19,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When the image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notified that the captured image is a shaken image (S20), otherwise, the captured image is stored (S21).

상기 영상 정보가 피사체를 구별하는 특징점인 경우 도 5a와 도 5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오토포커싱 동작을 수행하여 초점이 맞은 기준 영상을 나타낸 사진으로, 피사체는 컴퓨터 본체와 아답타를 촬영한 사진이다. 상기 기준 영상에서 피사체를 특정하는 포인트로 상기 아답타의 좌측 상부 모서리점(X1)을 일 특징점으로, 상기 아답타의 우측 상부 모서리점(Y1)을 다른 특징점으로 추출한다. When the image information is a feature point for distinguishing a subjec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5A is a photograph showing a focused reference image by performing an autofocusing operation. The subject is a photograph of a computer body and an adapter. The upper left corner point X1 of the adapter is one feature point, and the upper right corner point Y1 of the adapter is extracted as another feature point as a point for specifying a subject in the reference image.

도 5b는 촬영 영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촬영 영상에서 기준 영상의 모서리점들(X1, Y1)에 대응하는 특징점들을 도출한다. 기준 영상에서 상기 아답타의 좌측 상부 모서리점(X1)은 촬영 영상에서 2개의 특징점들(x1, x2)로 나타나며, 기준 영상에서 상기 아답타의 좌측 상부 모서리점(Y1)도 촬영 영상에서 2개의 특징점들(y1, y2)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5B is a photograph showing a captured image. The feature points corresponding to the corner points X1 and Y1 of the reference image are derived from the captured image. The upper left corner point X1 of the adapter in the reference image is represented by two feature points x1 and x2 in the captured image, and the upper left corner point Y1 of the adapter in the reference image also includes two feature points in the captured image. It can be seen that (y1, y2).

따라서, 상기 기준 영상에서의 제1 특징점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의 특징점이 복수개로 도출되는 것은, 촬영 영상이 흔들린 영상인 것으로,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직접 촬영 영상의 흔들림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a plurality of feature points of the photograph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ature point in the reference image are derived from the shaken image, and may be notified to the user.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captured image shakes directly from the digital camera.

다른 실시 예로서, 영상 정보가 에지 정보인 경우에 도 5a의 기준 영상에서 컴퓨터 본체의 일 모서리를 나타내는 픽셀 데이터와 도 5b의 촬영 영상에서의 픽셀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인 경우 1로 아닌 경우 0으로 판단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라면, 상기 기준 영상에서 상기 컴퓨터 본체의 일 모서리를 나타내는 영역(L)에 대해 하기 표 1과 같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촬영 영상에 대해서는 통일한 컴퓨터 본체의 일 모서리를 나타내는 영역(l)에 대해 에지 판단 기준과 비교하여 에지인 경우 1로 그러하지 않은 경우 0으로 나타내면 하기 표 2와 같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에지로 판단된 기준 영상의 픽셀 영역들과 촬영 영상의 그것들을 서로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촬영 영상을 흔들린 영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르더라도 디지털 카메라에서 직접 촬영한 영상에 대해 용이하게 흔들림 정보를 얻을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image information is edge information, pixel data representing one edge of the computer main body may be compared with the pixel data in the captured image of FIG. 5B in the reference image of FIG. 5A.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edge, if it is not 1, it is determined as 0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and the data shown in Table 1 below can be obtained for the region L representing one corner of the computer main body from the reference image. have. For the photographed image, data shown in Table 2 below may be obtained when the area 1 representing one corner of the unitary computer body is represented as 1 in the case of an edge and 0 in the case of an edge, compared to an edge determination criterion. Therefore, by comparing the pixel areas of the reference image determined as the edge and those of the captured image, the captured image may be determined to be a shaken image. Even with this method, shake information can be easily obtained for an image photographed directly by a digital camera.

00 00 1One 1One 00 00 00 1One 1One 00 00 1One 1One 1One 00 00 00 1One 1One 00 00 00 1One 1One 00 00 1One 1One 1One 00 00 1One 1One 1One 00 00 00 1One 1One 00 00 00 1One 1One 00 00 00 1One 1One 00

00 00 1One 00 00 00 00 1One 00 00 00 1One 1One 1One 00 00 00 00 00 00 00 00 1One 00 00 00 1One 00 1One 00 00 1One 00 00 00 00 00 1One 1One 00 00 00 1One 00 00 00 00 1One 00 00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which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clud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not in the above description but in the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사시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gital camera as an example of a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도이다.FIG. 1B is a rear view of the digital camera shown in FIG. 1A.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digital camera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카메라의 프로세서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or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돠 도 5b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기준 영상과 촬영 영상의 사진들이다.5A and 5B are photographs of a reference image and a captured image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포커스(focus)가 맞은 기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reference image having a focus;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photographed image;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촬영 영상 각각의 영상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Deriving image information of each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상기 기준 영상의 제1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상의 제2 영상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Comparing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상기 제1 영상 정보와 상기 제2 영상 정보가 상이하다면, 상기 촬영 영상은 흔들린 영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And determining the photographed image as a shaken image if the first ima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피사체를 구별하는 특징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information is a feature point for distinguishing a subje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촬영 영상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extracting at least one feature point of each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상기 기준 영상의 제1 특징점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상의 제2 특징점을 비교하는 단계;Comparing second feature points of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first feature points of the reference image; 상기 제1 특징점과 상기 제2 특징점이 상이하다면, 상기 촬영 영상을 흔들린 영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And determining the captured image as a shaken image if the first feature point and the second feature poin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징점과 상기 제2 특징점의 개수를 비교하는 단계;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comparing a number of the first feature points and the second feature points; 상기 제1 특징점에 대응하는 제2 특징점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촬영 영상을 흔들린 영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And determining the captured image as a shaken imag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cond feature poin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ature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에지(edge)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information is edge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촬영 영상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extracting at least one edge information of each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상기 기준 영상의 제1 에지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상의 제2 에지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Comparing second edge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first edg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상기 제1 에지 정보와 상기 제2 에지 정보가 상이하다면, 상기 촬영 영상을 흔들린 영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And determining the captured image as a shaken image if the first ed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edge inform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지 정보와 상기 제2 에지 정보의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ata of the first ed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edge information are compared.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The recording medium which recorded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 any one of Claims 1-7. 포커스(focus)가 맞은 기준 영상 및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제1 영상 신호 처리부;A first image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generate a reference image and a captured image in focus; 상기 기준 영상 및 촬영 영상 각각으로부터 영상 정보를 도출하는 제2 영상 신호 처리부;A second image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derive image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상기 기준 영상의 제1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상의 제2 영상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판단부; 및A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comparing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And 상기 상기 제1 영상 정보와 상기 제2 영상 정보가 상이하다면, 상기 촬영 영상은 흔들린 영상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captured image as a shaken image if the first ima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신호 처리부는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피사체를 구별하는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부를 구비하고,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image signal processor comprises a feature point extractor configured to extract a feature point for distinguishing a subject from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기준 영상의 제1 특징점과 상기 제1 특징점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상의 제2 특징점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And the comparison determining unit compares a first feature point of the reference image with a second feature point of the photograph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ature poin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제1 특징점과 상기 제2 특징점의 개수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comparison determiner compares the number of the first feature points and the second feature point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신호 처리부는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에지 정보를 추출하는 에지 정보 추출부를 구비하고,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image signal processor comprises an edge information extractor configured to extract edge information from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기준 영상의 제1 에지 정보와 상기 제1 에지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 영상의 제2 에지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And the comparison determiner compares first edg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and second edge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dge inform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제1 에지 정보와 상기 제2 에지 정보의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The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the comparison determiner compares data of the first ed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edge information.
KR1020080133779A 2008-12-24 2008-12-24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rterming image blurring, medium of recording the method,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applying the method KR101533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779A KR101533279B1 (en) 2008-12-24 2008-12-24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rterming image blurring, medium of recording the method,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apply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779A KR101533279B1 (en) 2008-12-24 2008-12-24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rterming image blurring, medium of recording the method,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applying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154A true KR20100075154A (en) 2010-07-02
KR101533279B1 KR101533279B1 (en) 2015-07-02

Family

ID=42637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779A KR101533279B1 (en) 2008-12-24 2008-12-24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rterming image blurring, medium of recording the method,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apply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2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7506B2 (en) 2011-11-29 2015-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terface (UI) provid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485B2 (en) * 1998-01-22 2000-05-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Electronic still camera
JP2000171892A (en) * 1998-12-02 2000-06-23 Asahi Optical Co Ltd Image blur check adapter and image blur check method
JP2004054042A (en) * 2002-07-22 2004-02-19 Olympus Corp Camera
JP2005341229A (en) * 2004-05-27 2005-12-08 Sony Corp Imag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7506B2 (en) 2011-11-29 2015-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terface (UI) provid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279B1 (en)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048B1 (en) Controlling method of digital camera
KR101634247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d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00366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200808044A (en) Imag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6260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support of the RAW format in digital imaging processor
US20110134260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execute the method
JP2007215091A (en)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for
US10334336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00070043A (en) Method for displaying scene recognition of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and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pplying the method
US8654204B2 (en) Dig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31176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20090063611A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8109305A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image processing device
JP2007228453A (en) Imaging apparatus, reproduction device,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6706167B2 (en) Imaging device, image synthesizing method, and program
JP2010021710A (en) Imaging device, image processor, and program
JP531686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96050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101533279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rterming image blurring, medium of recording the method,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applying the method
JP5625325B2 (en) Image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data recording program
KR20110024525A (en) Method for displaying scene recogni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thereof
JP2006094200A (en) Imaging apparatus, focusing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101923185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28962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image wobbling
KR20100018330A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edium of recording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