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776A -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recurrent pregnancy loss - Google Patents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recurrent pregnancy lo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776A
KR20100070776A KR1020080129472A KR20080129472A KR20100070776A KR 20100070776 A KR20100070776 A KR 20100070776A KR 1020080129472 A KR1020080129472 A KR 1020080129472A KR 20080129472 A KR20080129472 A KR 20080129472A KR 20100070776 A KR20100070776 A KR 20100070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da
habitual
iti
protein
bio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광현
김명선
구본희
Original Assignee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29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0776A/en
Publication of KR20100070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7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6Gynecology or obstetrics
    • G01N2800/368Pregnancy complicated by disease or abnormalities of pregnancy, e.g. preeclampsia, preterm lab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PURPOSE: A biomarker for diagnosing habitual abortion by combining a group of biomarkers is provided. CONSTITUTION: A biomarker for diagnosing habitual abortion is alpha-2 macroglobulin, alpha-1 antichymotrypsin(AACT),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IGFBP1), or inter-alpha trypsin inhibitor-heavy chain 4(ITI-H4). The ITI-H4 is uncut type 120 kDa, cut 85 kDa or cut 36 kDa. A habitual abortion composition for diagnosis comprises an agent measuring mRNA or protein level of biomarker for diagnosing habitual abortion. The agent measuring is primer pair or specific probe which is specific to mRNA. The agent measuring is an antibody which is specific to protein of the gene.

Description

습관성 유산 진단용 바이오마커{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recurrent pregnancy loss}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habitual miscarriage

본 발명은 습관성 유산 진단용 바이오마커, 상기 바이오마커의 발현을 mRNA 또는 단백질 수준에서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습관성 유산 진단용 조성물 및 상기 바이오마커를 이용하여 습관성 유산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bitual miscarriage diagnostic biomarker, a habitual miscarriage diagnos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gent for measuring the expression of the biomarker at the mRNA or protein level and a method for diagnosing the habitual miscarriage using the biomarker.

습관성 유산은 생식질병으로 임신한 여성의 2~5%에 걸쳐 일어난다 [Coulam, C. B. et al., Am. J. Reprod. Immunol. 1997, 38, 57-74]. 임신 20~28주 이내에 연달아 최소 세번의 유산시 습관성 유산으로 정의한다 [Crosignani, P. G. et al., Hum. Reprod. 1991, 6, 609-610; Harlap, S. et al., Lancet 1980, 2, 173-176; Pandey, M. K. et al.. Arch. Gynecol. Obstet. 2005, 272, 95-108].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임신의 다양한 환경에 의해 습관성 유산에 대한 정확한 기작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유산이 면역, 해부, 내분비, 유전, 감염, 염색체 이상, 술과 담배 등의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andey, M. K. et al., Arch. Gynecol. Obstet. 2005, 272, 95-108; Baek, K. H. et al., Mol. Hum. Reprod. 2004, 10, 291-297; Caetano, M. R. et al., Sao Paulo Med. J. 2006, 124, 181-185]. 게다가, 다양한 원인들이 습관성 유산환자의 복잡한 신호전달에 의해 착상과 태반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Habitual miscarriage occurs in 2-5% of women who are pregnant with reproductive diseases [Coulam, CB et al., Am. J. Reprod. Immunol . 1997, 38 , 57-74. It is defined as habitual miscarriage at least three consecutive abortions within 20 to 28 weeks of gestation [Crosignani, PG et al., Hum. Reprod. 1991, 6 , 609-610; Harlap, S. et al., Lancet 1980, 2 , 173-176; Pandey, MK et al. Arch. Gynecol. Obstet . 2005, 272 , 95-108. Despite many studies, the exact mechanism of habitual miscarriages by the various circumstances of pregnancy is not yet known. To date, studies have shown that abortion is caused b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immunity, anatomy, endocrine, genetics, infections, chromosomal aberrations, alcohol and tobacco [Pandey, MK et al., Arch. Gynecol. Obstet . 2005, 272 , 95-108; Baek, KH et al., Mol. Hum. Reprod. 2004, 10 , 291-297; Caetano, MR et al., Sao Paulo Med. J. 2006, 124 , 181-185. In addition, various causes influence implantation and placental formation by the complex signaling of habitual abortions.

많은 연구자들이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 다르게 발현되는 많은 유전자들을 보고하였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유전자들을 모체의 면역반응, 혈관형성과정, 세포사멸, 혈전형성과 연관되어 있다 [Choi, H. K. et al., Mol. Reprod. Dev. 2003, 66, 24-31; Jasper, M. J. etal.,. J. Reprod. Immunol. 2007, 73, 74-84]. 모체의 자연 살세포가 배아에 인접, 많은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Quenby, S. et al., Reprod. Biomed. Online 2006, 13, 24-28]. 특히, IL-1β, IL-6, IL-11, TGF-β superfamily와 같은 사이토카인 들이 면역반응동안 착상을 촉진시킨다 [Dimitriadis, E. et al., Hum. Reprod. Update 2005, 11, 613-630; Girardi, G. et al., J. Exp. Med. 2006, 203, 2165-2175]. 이와 달리, p53같은 세포사멸과 연관된 유전자들은 착상 실패에 영향을 미친다 [Kay, C. et al., Reprod. Biomed. Online 2006, 13, 492-496]. 해독 후, 대부분의 단백질들은 해독 후 변형을 거친다.Many researchers have reported many genes that are expressed differently in patients with habitual miscarriage. Previous studies have linked these genes to maternal immune responses, angiogenesis, apoptosis, and thrombus formation [Choi, HK et al., Mol. Reprod. Dev. 2003, 66 , 24-31; Jasper, MJ et al.,. J. Reprod. Immunol . 2007, 73 , 74-84. Maternal natural killer cells secrete many cytokines adjacent to embryos [Quenby, S. et al., Reprod. Biomed. Online 2006, 13 , 24-28. In particular, cytokines such as the IL-1β, IL-6, IL-11, and TGF-β superfamily promote implantation during the immune response [Dimitriadis, E. et al., Hum. Reprod. Update 2005, 11 , 613-630; Girardi, G. et al., J. Exp. Med. 2006, 203 , 2165-2175. In contrast, genes associated with apoptosis, such as p53, affect implantation failure [Kay, C. et al., Reprod. Biomed. Online 2006, 13 , 492-496. After translation, most proteins undergo modification after translation.

단백질체학 연구는 특히 질병에서 해독 후 변형을 확인하게 해준다. 그러므로, 최근 단백질체학 연구는 어떻게 질병이 변형된 단백질 발현을 일으키는지를 이해하고 병인에 포함된 단백질들을 확인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습관성 유산 또한 이 연구방법에 적용되어 왔고 최근 연구에서 습관성 유산과 연관하여 면역, 혈전형성과 연관된 단백질들이 확인되었다 [Kim, Y. S. et al., Proteomics 2006, 6, 3445-3454; Baek, K. H. et al., Trends Mol. Med. 2007, 13, 310-317]. 또한, 이전 연구에서 습관성 유산환자의 여포액을 사용한 단백질체학 분석에서 보체성분 C3c 체인 E (complement component C3c chain E), 피브리노겐 γ(fibrinogen γ), 안티트롬빈(antithrombin), 앤지오텐시노겐 (angiotensinogen), 그리고 헤모펙신프리커서(hemopexinprecursor)의 5개의 단백질 발현이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Kim, Y. S. et al., Proteomics 2006, 6, 3445-3454]. 이전 연구에서는 여포형성과정을 조절하는 중요한 출처이기 때문에 여포액을 사용하였다 [Angelucci, S. et al., Biochim. Biophys. Acta 2006, 1764, 1775-1785]. 최근 연구에 따르면, 양수는 여포액과 같은 인간 생식 체액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Queloz, P.A. et al., J. Chromatogr. B Analyt. Technol. Biomed. Life Sci. 2007, 850, 336-342]. 하지만, 이런 체액은 환자로부터 채취, 치료용으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한 이유로, IVF를 경험하고 있는 습관성 유산 환자의 혈액 샘플에서 다르게 발현되는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혈액은 체액의 하나로, 산소, 호르몬 그리고 면역관련물질 등을 모체로 수송하는 체내 수송 시스템 역할을 한다. 혈장은 체내의 1012 배에 달하는 다양한 세포 단백질을 포함하는 가장 복잡한 조직 중 하나이다 [Lee, H. J. et al., Curr. Opin. Chem. Biol. 2006, 10, 42-49]. 최근, 사바티니(Sabatini) 등은 혈장에서 aPT(antiprothrombin) 항체의 높은 농도가 습관성 유산과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 [Sabatini, L. et al., Clin. Chem. 2007, 53, 228-232]. Proteomics studies allow for the identification of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particularly in diseases. Therefore, recent proteomics studies have been recognized as a useful way to understand how diseases cause modified protein expression and to identify proteins involved in the etiology. Customary abortion has also been applied to this method and recent studies have identified proteins associated with immunity and thrombus 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customary abortion [Kim, YS et al., Proteomics 2006, 6 , 3445-3454; Baek, KH et al., Trends Mol. Med. 2007, 13 , 310-317. In addition, in the previous study, proteomic analysis using follicular fluid of habitual abortion patients, complement component C3c chain E, fibrinogen γ, antithrombin, angiotensinogen , And five protein expressions of hemopexinprecursor were confirmed differently (Kim, YS et al., Proteomics 2006, 6 , 3445-3454). Previous studies have used follicle fluids because they are an important source of control of the follicle formation process [Angelucci, S. et al., Biochim. Biophys. Acta 2006, 1764 , 1775-1785.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amniotic fluid is involved in human reproductive fluids such as follicle fluids [Queloz, PA et al., J. Chromatogr. B Analyt. Technol. Biomed. Life Sci. 2007, 850 , 336-342. However, these body fluids are difficult to collect and use from patients. For that reason, proteins that are differentially expressed in blood samples of habitual miscarriage patients experiencing IVF have been identified. Blood is a body fluid that acts as a transport system for the body to transport oxygen, hormones, and immune-related substances to the mother. Plasma is one of the most complex tissues that contains a variety of cellular proteins 10 to 12 times in the body [Lee, HJ et al., Curr. Opin. Chem. Biol. 2006, 10 , 42-49. Recently, Sabatini et al. Reported that high concentrations of antiprothrombin (aPT) antibodies in plasma are associated with habitual miscarriage [Sabatini, L. et al., Clin. Chem. 2007, 53 , 228-232.

습관성 유산의 예후를 관찰하거나 진단할 목적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이 오마커의 발굴이 요구된다.The discovery of biomarkers that can be used to observe or diagnose the prognosis of habitual miscarriage is required.

단백질체학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인간의 혈액 시료로부터 습관성 유산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유의성 있는 바이오마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정상인과 습관성 유산환자의 혈액 샘플을 이용하여 2-DE를 실시, 이미지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 후 선택된 점들을 MALDI-TOF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발현이 증가 또는 감소하거나 변형된 형태가 발현되는 단백질을 스크리닝하고 이들에 대한 마커로서의 유효성을 검정하였다.It is to provide a meaningful biomarker that can easily and effectively diagnose habitual miscarriage from human blood samples using proteomic analysis. Specifically, 2-DE is performed using a blood sample of a normal person and a habitual abortion patient, and the selected point is analyzed by MALDI-TOF after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image analysis. Proteins were screened and assayed for effectiveness as markers for them.

본 발명은 습관성 유산 진단용 바이오마커로, α-2 매크로글로불린 (α-2 macroglobulin), α-1 안티키모트립신 (α-1-antichymotrypsin: AACT), 인슐린유사성장인자-결합단백질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IGFBP1) 및 인터-α 트립신 억제자-헤비 체인 4(inter-α trypsin inhibitor-heavy chain 4: ITI-H4)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gnostic biomarker for habitual miscarriage, α-2 macroglobulin (α-2 macroglobulin), α-1 antichymotrypsin (α-1-antichymotrypsin: AACT),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IGFBP1) and inter-α trypsin inhibitor-heavy chain 4: ITI-H4.

본 발명에서 “마커” 또는 “바이오마커”란 습관성 유산 질환의 스크리닝, 진단 및 예후에 이용될 수 있는 습관성 유산의 가지는 환자에서 증가, 감소 또는 변형된 형태의 발현을 보이는 물질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습관성 유산 진단용 마커는 α-2 매크로글로불린, α-1 안티키모트립신, IGFBP1, ITI-H4 및 이들의 단편이다. 상기 마커들은 습관성 유산 위험 표시자 또는 예후 표시자로서 사용되 어, 초진뿐만 아니라 치료 및 질병 진행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진단에 사용될 수 있다. 피검체 시료내의 마커의 수, 유형, 및 조합이 피검체가 습관성 유산 위험 또는 예후를 가지는지 에 대한 유력한 표식이 된다. 이러한 정보는 의학적 치료에 대한 유용한 지침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arker" or "biomarker" is a substance that shows an increased, decreased or modified form of expression in a patient whose habitual abortion can be used for screening, diagnosis, and prognosis of a habitual abortion disease. The habitual abortion diagnostic mark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α-2 macroglobulin, α-1 antichymotrypsin, IGFBP1, ITI-H4 and fragments thereof. These markers can be used as habitual miscarriage risk indicators or prognostic indicators, and can be used for general diagnosis, including treatment as well as monitoring of disease progression. The number, type, and combination of markers in a subject sample is a potent indication of whether the subject has a habitual miscarriage risk or prognosis.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as a useful guide to medical treatment.

구체적으로, α-2 매크로글로불린, α-1 안티키모트립신 및 IGFBP1은 정상인과 비교하여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 증가된 발현을 보인다. ITI-H4의 경우, 정상인에서는 120 kDa의 정상 단백질이 발현되나,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는 120 kDa 단백질 발현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정상인에게 나타나지 않는 36 kDa 및 85 kDa 크기의 절단된 단백질이 검출된다.Specifically, α-2 macroglobulin, α-1 antichymotrypsin and IGFBP1 show increased expression in patients with habitual miscarriage compared to normal. In the case of ITI-H4, 120 kDa normal protein is expressed in normal subjects, but 120 kDa protein expression is relatively reduced in habitual abortion patients, and 36 kDa and 85 kDa truncated proteins are detected that are not seen in normal subjects.

즉, 본 발명은 ITI-H4는 120 kDa의 전체 단백질 뿐만 아니라, 36 kDa 절단형 및 85 kDa 절단형의 습관성 유산 마커를 제공한다. 120 kDa 단백질의 감소, 85 kDa 단백질의 증가 및/또는 36 kDa 단백질의 증가 여부를 확인하여 습관성 유산 진단에 사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TI-H4 provides habitual miscarriage markers of 36 kDa cleavage and 85 kDa cleavage, as well as 120 kDa total protein. Decreased 120 kDa protein, increased 85 kDa protein and / or increased 36 kDa protein can be used to diagnose habitual miscarriage.

ITI-H4는 상기와 같이 정상인과 상이한 단백질 발현 패턴을 보인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마커이다. 정상인에는 발현되는 않는 절단형 단백질들이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는 발현되므로 상기 절단형 단백질들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정상 대조군과의 정량적인 비교 분석 없이 습관성 유산을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스턴 블롯 분석시, 젤 상에서 절단형 단백질들의 발현 유무와 패턴을 확인하는 방법만으로도 정상 대조군과의 비교 공정 없이도 습관성 유산을 높은 신뢰성과 유의성으로 진단할 수 있다.ITI-H4 is a very useful marker in that it shows a different protein expression pattern from that of normal people. Since cleaved proteins that are not expressed in normal people are expressed in patients with habitual miscarriage, habitual miscarriage can be diagnosed without quantitative comparison with normal controls by detecting the cleaved proteins. For example, in Western blot analysis, habitual miscarriage can be diagnosed with high reliability and significance without a process compared with a normal control group only by confirming the presence and pattern of cleaved proteins on the gel.

본 명세서에서, 마커 ITI-H4는 절단되지 않은 120 kDa 뿐만 아니라, 절단된 형태의 85 kDa 및 36 kDa 단백질도 지칭한다.As used herein, the marker ITI-H4 refers to the 85 kDa and 36 kDa proteins in truncated form as well as the uncleaved 120 kDa.

본 발명은 습관성 유산 진단을 위하여 선택되는 마커의 수와 조합을 특정하게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조합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α-2 매크로글로불린, α-1 안티키모트립신, IGFBP1 또는 ITI-H4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2, 3 또는 4 개의 마커를 목적에 맞도록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폭넓은 마커들을 제공하고, 당업자는 의학적 판단을 내리기에 적합한 다양한 조합으로 마커의 종류와 수를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의성이 높은 마커, ITI-H4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ITI-H4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α-2 매크로글로불린, α-1 안티키모트립신 및 IGFBP1 중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 의 마커로 추가로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ed and used in various combinations without particularly limiting the number and combination of markers selected for habitual miscarriage diagnosis. Specifically, the α-2 macroglobulin, α-1 antichymotrypsin, IGFBP1 or ITI-H4 may be used alone, or 2, 3 or 4 markers may be selected and used to suit the purpos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de range of markers to enable various selection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select and use the types and numbers of markers in various combinations suitable for making medical judgment. Preferably, a highly significant marker, ITI-H4, is used alone or is added as a marker of 1 to 3, essentially comprising ITI-H4 and selected from α-2 macroglobulin, α-1 antichymotrypsin and IGFBP1. It can be used to include.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상기 바이오마커들의 발현 정도를 mRNA 또는 단백질 수준에서 측정함으로써 습관성 유산을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커들의 핵산 서열 및 단백질 서열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진단을 위한 마커 검출은 공지된 서열을 바탕으로, mRNA 또는 단백질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를 이용하여 마커를 유용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본 발명의 습관성 유산 검출용 마커의 검출 및/또는 정량적인 측정이 가능한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habitual miscarriage can be diagnosed by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the biomarker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mRNA or protein level. Since the nucleic acid and protein sequences of the mark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ready known, marker detection for diagnosis can be usefully detected using agents capable of measuring mRNA or protein levels, based on known sequenc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capable of detecting and / or quantitatively measuring the habitual miscarriage detection ma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biological sample of a patien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α-2 매크로글로불린, AACT, IGFBP1 및 ITI-H4로 이 루어진 군으로부터 1 내지 4 개 선택되는 습관성 유산 진단용 바이오마커의 mRNA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습관성 유산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bitual abortion diagnos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gent for measuring the mRNA level of the habitual lactic acid diagnostic biomark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α-2 macroglobulin, AACT, IGFBP1 and ITI-H4. It is about.

당업계에서 상기 마커의 mRNA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이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Agents for measuring mRNA levels of the markers in the art are preferably, but not limited to, primers or probes.

프라이머는 짧은 자유 3말단 수산화기(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핵산 서열로 상보적인 주형과 염기쌍을 형성할 수 있고 주형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을 하는 짧은 핵산 서열을 의미한다.A primer is a nucleic acid sequence having a short free 3 'hydroxyl group, which refers to a short nucleic acid sequence capable of forming complementary templates and base pairs and serving as a starting point for template strand copying.

프로브는 mRNA와 특정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혼성화될 수 있으며 라벨링 되어 있어서 특정 mRNA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RNA 또는 DNA 등의 자연 또는 변형된 핵산 단편을 의미한다. 혼성화에 사용되는 프로브는 올리고뉴클로타이드(oligonucleotide) 프로브, 단쇄 DNA(single stranded DNA) 프로브, 이중쇄 DNA(double stranded DNA) 프로브, RNA 프로브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혼성화에 적합한 조건은 온도, 이온세기 (완충액 농도) 및 유기 용매와 같은 화합물의 존재 등을 조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엄격한 조건은 혼성화되는 서열에 의존하여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Probe refers to a natural or modified nucleic acid fragment, such as RNA or DNA, which can hybridize to mRNA and a specific nucleotide sequence and can be labeled to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ecific mRNA. Probes used for hybridization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oligonucleotide probes, single stranded DNA probes, double stranded DNA probes, RNA probes, and the like. Conditions suitable for hybridization can be determined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ionic strength (buffer concentration), the presence of compounds such as organic solvents, and the like. Such stringent conditions can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quence being hybridized.

당업자는, 공지된 본 발명의 마커 유전자 핵산 서열로부터 상기 유전자의 특정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프라이머 쌍 또는 상기 유전자의 특정 영역을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프로브를 디자인할 수 있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또한, 검출 가능한 시그날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방사성 동위원소, 형광성 분자, 바이오틴 등의 표지를 이용하 여 변형시킬 수 있다.Those skilled in the art can design primer pairs that specifically amplify a specific region of the gene or probes that specifically recognize a specific region of the gene from known marker gene nucleic acid seque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known in the art. It can be synthesized chemically. In addition, it may be modified using a label such as radioisotopes, fluorescent molecules, biotin and the like to provide a detectable signal directly or indirectly.

또한, 본 발명은 α-2 매크로글로불린, AACT, IGFBP1 및 ITI-H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내지 4 개 선택되는 습관성 유산 진단용 바이오마커의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습관성 유산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habitual lactic acid diagnos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gent for measuring the protein level of the habitual lactic acid diagnostic biomark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α-2 macroglobulin, AACT, IGFBP1 and ITI-H4. .

당업계에서 마커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항체로, α-2 매크로글로불린, AACT, IGFBP1 및 ITI-H4에 대하여 각각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다클론 항체, 단클론 항체 및 재조합 항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완전한 형태 및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 예를 들어, Fab, F(ab'), F(ab') 2 및 Fv의 형태도 포함한다. Agents measuring marker protein levels in the art preferably include all polyclonal, monoclonal and recombinant antibodies that specifically bind to α-2 macroglobulin, AACT, IGFBP1 and ITI-H4 as antibodies. do. In addition, the antibodi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unctional fragments of the antibody molecule with the complete form having two full length light chains and two full length heavy chains, for example Fab, F (ab '), F (ab') 2 And forms of Fv.

α-2 매크로글로불린, AACT, IGFBP1 및 ITI-H4에 특이적인 각각의 항체는 기존의 항체뿐만 아니라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 항체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사용된 ITI-H4 특이적 항체는 비절단형 120 kDa 및 절단형 36 kDa의 단백질을 검출할 수 있었으나, 85 kDa의 절단형 단백질을 인지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85 kDa의 절단형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항체를 제작할 수 있다.Each antibody specific for α-2 macroglobulin, AACT, IGFBP1 and ITI-H4 includes both conventional antibodies as well as antibodies that can be prepared by known methods. For example, the ITI-H4 specific antibodi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ere able to detect uncleaved 120 kDa and truncated 36 kDa proteins, but could not recognize 85 kDa truncated proteins. However, by method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ne can construct antibodies that specifically recognize 85 kDa cleaved protein.

구체적으로, 상기한 85 kDa의 ITI-H4 항원을 동물에 주사하고 동물로부터 채혈하여 항체를 포함하는 혈청을 수득하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방법으로 85 kDa의 ITI-H4 특이적 다클론 항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도마 방법 또는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 기술을 이용하여 85 kDa의 ITI-H4 특이적 단클론 항체를 제조 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85 kDa ITI-H4 specific polyclonal antibody is prepared by a method well known in the art of injecting the above 85 kDa ITI-H4 antigen into an animal and collecting blood from the animal to obtain a serum containing the antibody. can do. In addition, 85 kDa ITI-H4 specific monoclonal antibodies can be prepared using hybridoma methods or phage antibody library techniques.

ITI-H4 마커의 경우, 실험에 사용되는 항체가 120 kDa, 85 kDa 및/또는 36 kDa을 인지하는 특성에 따라, 검출되는 밴드 패턴은 차이가 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ITI-H4 marker, the band pattern detected will differ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antibody used in the experiment to recognize 120 kDa, 85 kDa and / or 36 kDa.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상인 시료와 환자 시료에서 거의 동일한 양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를 정량 대조군으로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정량 대조군의 mRNA 수준 또는 단백질 수준을 검출하기 위한 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quantitative control gene, which is expressed in approximately the same amount in a normal sample and a patient sample, and thus may further include an agent for detecting mRNA or protein levels of the quantitative control.

본 발명의 습관성 유산 마커 검출용 조성물은 각 유형별 키트에 적합한 구성 성분, 검출 시약 또는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습관성 유산 진단 바이오마커 검출용 키트로 제작될 수 있다. The composition for detecting a habitual miscarriage ma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s a kit for detecting a variety of habitual miscarriage diagnostic biomarkers further comprising a component, a detection reagent or a device suitable for each type of kit.

구체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α-2 매크로글로불린, AACT, IGFBP1 및 ITI-H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내지 4 개 선택되는 습관성 유산 진단용 마커 유전자에 대한 특이적인 프라이머 쌍 외에 추가적으로 테스트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컨테이너, 반응 완충액, 데옥시뉴클레오타이드(dNTPs), Taq-폴리머라아제 및 역전사효소와 같은 효소, DNAse 억제제, RNAse 억제제, DEPC-수(DEPC-water), 멸균수 등을 포함하는 RT-PCR용 키트를 제공한다. As a specific example, a test tube or other suitable container in addition to the specific primer pairs for the habitual miscarriage diagnostic marker ge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α-2 macroglobulin, AACT, IGFBP1 and ITI-H4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kits for RT-PCR, including reaction buffers, deoxynucleotides (dNTPs), enzymes such as Taq-polymerases and reverse transcriptases, DNAse inhibitors, RNAse inhibitors, DEPC-water, sterile water and the like do.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커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에 해당하는 cDNA가 프로브로 부착되어 있는 기판을 포함하는 DNA 칩용 키트를 제공한다. DNA 마이크로어레이 칩 기판은 아미노-실란(amino-silane), 폴리-L-라이신(poly-L-lysine) 및 알데히드(aldehyde) 등의 활성기가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슬라이드 글래스, 플라스틱, 금속, 실리콘, 나일론 막, 또는 니트로셀룰로스 막 일 수 있다. 또한, 키트는 혼성화에 사용되는 완충용액, 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기 위한 역전사효소, cNTPs 및 rNTP, 형광 염색제의 화학적 유도제와 같은 표식시약, 세척 완충용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NTP는 사전 혼합될 수 있고 분리되어 공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kit for a DNA chip comprising a substrate on which a cDNA corresponding to the marker gene or a fragment thereof is attached with a probe. The DNA microarray chip substrate may be coated with active groups such as amino-silane, poly-L-lysine, and aldehyde. Further, the substrate may be a slide glass, plastic, metal, silicon, nylon film, or nitrocellulose film. In addition, the kit may include a buffer used for hybridization, reverse transcriptase for synthesizing cDNA from RNA, labeling reagents such as cNTPs and rNTP, chemical inducers of fluorescent dyes, washing buffers and the like. rNTPs can be premixed and supplied separately.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마커 단백질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 및, 추가적으로, 결합된 항체를 검출할 수 있는 시약, 예를 들면, 표지된 2차 항체, 발색단(chromophores), 효소 및 그의 기질을 포함하는 ELISA 용 키트를 제공한다. As another example, specific antibodies to the marker proteins of the invention and additionally include reagents capable of detecting bound antibodies, such as labeled secondary antibodies, chromophores, enzymes and substrates thereof. It provides a kit for ELISA.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마커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가 기판 위의 정해진 위치에 배열되어 고밀도로 고정화되어 있는 단백질 칩용 키트를 제공한다. 단백질 칩용 키트는 혼성화에 사용되는 완충용액, 표식시약, 세척 완충용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re is provided a kit for a protein chip in which an antibody specific for the marker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 substrate and immobilized at a high density. Kits for protein chips may include buffers, labeling reagents, wash buffers, and the like, used for hybridization.

상기 예시한 키트 외에도, 본 발명의 마커를 검출할 수 있는 래피드 진단 키트로 제작되는 여러 형태의 진단 키트를 포함한다.In addition to the kits exemplified above, it includes several types of diagnostic kits that are made of a rapid diagnostic kit capable of detecting the marker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키트는 정량 대조군의 mRNA 수준 또는 단백질 수준을 검출하기 위한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Ki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gents for detecting mRNA levels or protein levels of quantitative controls.

또한, 본 발명은 습관성 유산 진단용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습관성 유산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diagnosing habitual miscarriage by a method for detecting a biomarker for diagnosing habitual miscarriage.

구체적으로, α-2 매크로글로불린, AACT, IGFBP1 및 ITI-H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내지 4 개 선택되는 습관성 유산 진단용 바이오마커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쌍 또는 프로브를 사용하여 생물학적 시료내 상기 바이오마커의 mRNA 수준을 측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습관성 유산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α-2 매크로글로불린, AACT, IGFBP1 및 ITI-H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내지 4 개 선택되는 습관성 유산 진단용 바이오마커에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하여 생물학적 시료내 상기 바이오마커의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습관성 유산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Specifically, mRNA levels of the biomarkers in biological samples using primer pairs or probes specific for the habitual abortion diagnostic biomark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α-2 macroglobulin, AACT, IGFBP1 and ITI-H4. It relates to a method for diagnosing a habitual miscarriage, comprising the step of measuring the amount. In addition, by measuring the protein level of the biomarker in a biological sample using an antibody specific for the habitual lactic acid diagnostic biomark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α-2 macroglobulin, AACT, IGFBP1 and ITI-H4. A method of diagnosing a habitual miscarriage, comprising the step.

α-2 매크로글로불린, α-1 안티키모트립신 및 IGFBP1는 발현의 증가 여부, ITI-H4는 120 kDa의 단백질의 발현 감소와 36 kDa 과 85 kDa의 절단형 발현 증가 여부를 확인하여 습관성 유산을 진단할 수 있다.Diagnosing addictive abortion by checking whether α-2 macroglobulin, α-1 antichymotrypsin and IGFBP1 increase expression, ITI-H4 decreases expression of 120 kDa protein and increases cleavage expression of 36 kDa and 85 kDa can do.

마커의 mRNA 검출은 마커 특이적인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를 사용하여 당 분야에서 알려진 증폭반응 또는 하이브리드화 반응으로 수행된다. 공지된 검출 방법으로는 RT-PCR, 경쟁적 RT-PCR, 실시간 RT-PCR, RNase 보호 분석법, 노던블랏팅, DNA 칩, 프라이머 연장 방법,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연장 분석(OLA), RNase 불일치 절단(RNase mismatch cleavage), 단일가닥 형상 다형성(single strand conformation lymorphism: SSCP) 등이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MRNA detection of the marker is performed by amplification or hybridization reactions known in the art using marker specific primers or probes. Known detection methods include RT-PCR, competitive RT-PCR, real-time RT-PCR, RNase protection assay, northern blotting, DNA chip, primer extension method, oligonucleotide extension assay (OLA), RNase mismatch cleavage ), Single strand conformation lymorphism (SSCP)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erformed by any method.

마커 단백질의 검출은 상기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항체를 시료에 접촉하여 이의 항원-항체 복합체 형성을 측정하여 수행된다. 항원-항체 복합체의 형성량은 검출 라벨의 시그널의 크기를 통해서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하다. 이러한 검출 라벨은 효소, 형광물, 리간드, 발광물, 미소입자(microparticle), 레독스 분자 및 방사선 동위원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로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Detection of a marker protein is performed by contacting a sample with an antibody that specifically recognizes the protein and measuring its antigen-antibody complex formation. The amount of antigen-antibody complex formed can be measured quantitatively through the magnitude of the signal of the detection label. Such a detection labe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nzymes, fluorescent materials, ligands, luminescent materials, microparticles, redox molecules, and radioisotope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공지된 분석 방법으로는, 웨스턴 블롯, ELISA, 방사선면역분석, 방사 면역 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 보체 고정 분석법, 프리시피틴 반응, 겔 확산 프리시피틴 반응, 응집 분석법, 형광 면역분석법, 단백질 A 면역분석법, FACS, 단백질 칩 등과 같은 경쟁 또는 비경쟁 분석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Known assays for determining protein levels include Western blot, ELISA, radioimmunoassay, radioimmunoproliferation, oukteroni immunodiffusion, rocket immunoelectrophoresis, tissue immunostaining, immunoprecipitation assays, complement fixation assays, Competitive or non-competitive assays such as pricipitin response, gel diffusion pricipitin response, aggregation assay, fluorescence immunoassay, Protein A immunoassay, FACS, protein chip, etc. can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o, any method Can be performed by

상기에서 ELISA는 고체 지지체에 부착된 항체와 항원의 복합체에서 항원을 인지하는 표지된 또 다른 항체를 이용하는 직접적 샌드위치 ELISA, 고체 지지체에 부착된 항체와 항원의 복합체에서 항원을 인지하는 또 다른 항체와 반응시킨 후 이 항체를 인지하는 표지된 2차 항체를 이용하는 간접적 샌드위치 ELISA 등의 다양한 ELISA 방법을 포함한다. The ELISA is a direct sandwich ELISA using another labeled antibody that recognizes an antigen in a complex of an antibody attached to a solid support, and reacts with another antibody that recognizes an antigen in a complex of an antibody attached to a solid support and an antigen. And various ELISA methods, such as indirect sandwich ELISA using a labeled secondary antibody which recognizes this antibody.

검사에 사용되는 생물학적 시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조직, 세포 또는 체액일 수 있으며, 당 업계에서 널리 공지된 방법으로 처리하여 준비된다. 본 발명은, 채취가 용이한 혈액에서 검출되는 유전자를 마커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혈액은 예를 들면 정맥, 동맥 또는 모세관으로부터 선행 기술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혈액은 주사기를 통해 예를 들면, 피검체의 팔로부터, 정맥 혈액을 채취하여 수득된다. 혈액은 혈청과 같은, 추가의 정제 및 분리 방법에 의해 혈액으로부터 수득된 시료를 포함한다.The biological sample used for the tes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tissue, cell or bodily fluid and is prepared by treatment by methods well known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in that a gene which is easily detected in blood is used as a marker. Blood can be taken by method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from veins, arteries or capillaries. Typically, blood is obtained by taking venous blood, for example, from the subject's arm via a syringe. Blood includes a sample obtained from blood by further purification and separation methods, such as serum.

또한, 정상인의 시료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습관성 유산 의심 환자의 생물 학적 시료에서의 유전자 발현량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대조군과 생물학적 시료 간의 발현량의 차이는 절대적 또는 상대적 차이로 비교될 수 있다. In addition, using a sample of a normal person as a control may include comparing the gene expression in the biological sample of a suspected habitual abortion. This can be compared with absolute or relative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expression between the control and the biological sample.

피검체로부터 수득된 하나 이상의 샘플에 대해 마커의 병렬적 측정이 수행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조합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로부터 수집된 하나 이상의 샘플, 예컨대 혈액 또는 혈청 샘플에 대해 하나 이상의 검사가 순차적으로 동시에 또는 곧바로 조사된다. It is preferred to carry out the combination measure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on so that parallel measurements of the markers are carried out on one or more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One or more tests are sequentially irradiated simultaneously or immediately on one or more samples collected from the patient, such as blood or serum samples.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습관성 유산 검출 및 측정법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 분야에서 밝혀진 다양한 방법들의 조합으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The habitual miscarriage detection and measurement metho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method, and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may be made by a combination of various methods known in the art.

상기 예시한 검출을 위한 다양한 분석 방법들을 통하여, 습관성 유산 마커 발현을 mRNA 또는 단백질 수준에서 정성적 또는 정량적으로 분석 가능하고, 이를 분석하여 습관성 유산 의심 환자의 습관성유신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Through various analysis methods for the above-described detection, the habitual miscarriage marker expression can be analyzed qualitatively or quantitatively at the mRNA or protein level, and can be analyzed to diagnose the habitual inheritance of the suspected habitual miscarriage.

본 발명에 따르면,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 특이적으로 과발현되는 바이오마커 군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검출하는 방법으로, 습관성 유산을 효율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bitual miscarriage can be efficiently diagnosed by a method of detecting a group of biomarkers specifically overexpressed in a habitual abortion patient alone or in combina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 재료 및 방법Example 1: Materials and Methods

1-1: 실험대상과 표본1-1: Test subject and sample

등전초점법 (IEF: Isoelectric Focusing)을 이용한 단백체 발현 구별 분석법과 다양한 상업적 자원은 이전에 기술한 바와 같다 [Kim, Y. S. et al.. Proteomics 2006, 6, 3445-3454; Lee, H. J. et al., Curr. Opin. Chem. Biol. 2006, 10, 42-49]. RPL을 갖는 여성 환자들은 대한민국 서울에 소재한 강남차병원에서 모집하였으며, 초기 3명의 환자는 2-DE에 사용되었으며, 이후 14명을 포함한 총 17명의 환자들은 웨스턴 블롯 분석에 사용되었다. 다른 3명의 정상인 참여 여성이 등록되어 대조군으로 간주되었다. 서면 동의서가 모든 환자에게 공지되었고 받아들여졌다. 혈장 표본은 이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준비되었다 [Angelucci, S, et al., Biochim. Biophys. Acta 2006, 1764, 1775-1785]. 정맥혈 (Venous blood) 표본은 RPL 환자로부터 얻어졌고 항응고제로서 EDTA가 표면처리된 멸균 플라스틱 시험관에 채집됐고 곧바로 원심분리를 시행했다. 모든 표본은 사용이전까지 섭씨 -80도에 보관하였다.Protein expression differentiation assays using isoelectric focusing (IEF) and various commercial resources are described previously [Kim, YS et al. Proteomics 2006, 6 , 3445-3454; Lee, HJ et al., Curr. Opin. Chem. Biol. 2006, 10 , 42-49. Female patients with RPL were recruited from Gangnam Tea Hospital in Seoul, Korea. Initial three patients were used for 2-DE, and a total of 17 patients, including 14, were used for Western blot analysis. Three other normal participants were enrolled and considered as controls. Written informed consent was received and accepted by all patients. Plasma samples were prepared as previously described [Angelucci, S, et al., Biochim. Biophys. Acta 2006, 1764 , 1775-1785. Venous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rom patients with RPL and collected in sterile plastic test tubes with EDTA surface-treated as anticoagulants and immediately centrifuged. All samples were stored at -80 degrees Celsius before use.

1-2: 2-DE와 영상 분석1-2: 2-DE and Video Analysis

이전에 기술한 바와 같이 [Kim, Y. S. et al., Proteomics 2006, 6, 3445-345], 난포액에 있는 6가지 가장 풍부한 단백질(albumin, transferrin, IgG, IgA, haptoglobin, antitrypsin)의 제거는 MARC (Multiple Affinity Removal Column) (Agilent, Wilmington, DE, USA)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20 ㎕l의 난포액에 대해 부착능을 갖는 4.6 mm x 50 mm MARC를 사용하였다. MARC를 이용한 풍부한 단백질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리는 공급자로부터 제공된 표준 LC 교본에 따라 이동상 시약 도구를 가지고 수행됐다. 간단히 설명하면, 처리되지 않은 난포액 포본은 단백질 분해 저해제(CompleteTM, Roche, Manheim, Germany)를 포함한 완충액 A를 이용해 5차례 희석되었고, 0.22-㎛의 원심분리용 필터를 통해 16,000g, 상온 조건에서 1-2분간 원심분리를 통해 걸러졌다. 표본은 주입되었고 통과하여 나온 부분을 수집하여 섭시 -20도에 사용전까지 보관하였다. 특정 단백질이 제거된 난포액 단백질을 2-DE 젤에 분리하기 위해서, MARC를 통과하여 나온 부분을 수거하여 미리 냉각시켜놓은 10% TCA 용액에 섭시 -20도 조건으로 1시간동안 침전시켰다. 얼음으로 냉각시킨 아세톤으로 씻어낸 후, 침전물은 2-DE 표본 완충용액에 다시 용해시켰다.As previously described [Kim, YS et al., Proteomics 2006, 6 , 3445-345], the elimination of the six most abundant proteins in the follicular fluid (albumin, transferrin, IgG, IgA, haptoglobin, antitrypsin) was confirmed by MARC ( Multiple Affinity Removal Column) (Agilent, Wilmington, DE, USA). 4.6 mm x 50 mm MARC was used with adhesion to 20 μl of follicular fluid.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enriched proteins using MARC was performed with mobile phase reagent tools according to standard LC manuals provided from suppliers. In brief, the untreated follicular follicles were diluted five times with Buffer A with proteolytic inhibitors (Complete , Roche, Manheim, Germany), 10.2 g through a 0.22-μm centrifugal filter at room temperature. Filtered through centrifugation for 1-2 minutes. Samples were injected and the passages were collected and stored at -20 ° C until use. In order to separate the specific protein-free follicle protein onto the 2-DE gel, the portion passed through the MARC was collected and precipitated in a pre-cooled 10% TCA solution at -20 ° C for 1 hour. After washing with ice-cooled acetone, the precipitate was dissolved again in 2-DE sample buffer.

IEF는 IPGphor 시스템 (Amersham Biosciences, Uppsala, Sweden)을 이용해서 수행하였다. 1 mg의 난포액 단백질을 포함한 포본은 충분한 양의 재수화(rehydration) 완충용액(7M urea, 2M thiourea, 4.5% CHAPS, 100mM DTE, 20mM Tris, pH 8.8)과 혼합하였으며 최종 부피를 350 uL로 맞추었다. 표본은 18 cm의 Immobiline Drystrips (pH 3-10 비선형) (Amersham Biosciences, Uppsala, Sweden)에 젤 내부 재수화 방식으로 주입되었다. IEF는 약 80000 Vh에서 수행되었다. 2차원 분리는 9-16%의 선형 경사 폴리아크릴아미드 (polyacrylamide) 젤에서 고정 40 mA의 전류를 약 5시간 걸어주어서 수행하였다. 40% 메탄올, 5% 인산(phosphoric acid)에서 1시간 단백질 고정을 한 후, 젤은 코마시 블라이언트 블루 G-250 (Commassie brilliant blue G-250: CBB G-250)으로 12시간 염색되었다. 염색된 젤은 GS-710 이미징 덴시토미터 (imaging densitometer) (Bio-Rad, Hercules, CA, USA)를 통해 영상파일로 옮겨졌고 Image MasterTM 2D Platinum software (Amersham Bioscience, Uppsala, Swede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IEF was performed using the IPGphor system (Amersham Biosciences, Uppsala, Sweden). Copies containing 1 mg of follicle protein were mixed with a sufficient amount of rehydration buffer (7M urea, 2M thiourea, 4.5% CHAPS, 100 mM DTE, 20 mM Tris, pH 8.8) and the final volume was adjusted to 350 uL. . Samples were injected in 18 cm Immobiline Drystrips (pH 3-10 nonlinear) (Amersham Biosciences, Uppsala, Sweden) by gel internal rehydration. IEF was performed at about 80000 Vh. Two-dimensional separation was performed by applying a fixed 40 mA of current for about 5 hours on a 9-16% linear gradient polyacrylamide gel. After 1 hour protein fixation in 40% methanol, 5% phosphoric acid, the gels were stained with Comassie brilliant blue G-250 (CBB G-250) for 12 hours. Stained gels were transferred to image files via a GS-710 imaging densitometer (Bio-Rad, Hercules, Calif., USA) and were then imaged using Image Master 2D Platinum software (Amersham Bioscience, Uppsala, Sweden). Analyzed.

1-3: 젤 내 분해와 질량분광분석법1-3: In-gel Degradation and Mass Spectrometry

젤로부터 스팟(spot) 조각을 도려낸 후 모든 스팟은 이전에 기술한 바와 같이 [Kim, Y. S. et al., Proteomics 2006, 6, 3445-3454; Cho, S. Y. et al., Proteomics 2005, 5, 3386-3396] 트립신 (Promega, Madison, WI, USA)으로 처리하여 단백질을 분해하였다. MALDI-TOF-MS가 이전에 기술한 바와 같이 [Kim, Y. S. et al., Proteomics 2006, 6, 3445-3454] 펩티드 서열을 동정하는데 사용되었다. 펩티드의 염제거와 농축을 위해서 poros R2, oligo R3 컬럼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을 사용하였다. 또한, CHCA(a-cyano-4-hydrozycinnamic acid) 매트릭스와 4700 TOF/TOF 스펙트로포토미터 (Applied Biosystems)를 사용하였다. 펩티드 질량 분석도는 MASCOT (http://www.matrixscience.com)과 MS-Fit (http://prospector.ucsf.edu) monoisotopic peaks를 사용하여 정렬되었다.After spotting the spot pieces from the gel, all spots were previously described as described by Kim, YS et al., Proteomics 2006, 6 , 3445-3454; Cho, SY et al., Proteomics 2005, 5 , 3386-3396] trypsin (Promega, Madison, Wis., USA) to digest proteins. MALDI-TOF-MS was used to identify peptide sequences as previously described [Kim, YS et al., Proteomics 2006, 6 , 3445-3454]. The poros R2 and oligo R3 columns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 were used to decontaminate and concentrate the peptides. In addition, CHCA (a-cyano-4-hydrozycinnamic acid) matrix and 4700 TOF / TOF spectrophotometer (Applied Biosystems) were used. Peptide mass spectrometry was aligned using MASCOT (http://www.matrixscience.com) and MS-Fit (http://prospector.ucsf.edu) monoisotopic peaks.

1-4 생물정보1-4 Biological Information

MALDI-TOF 분석 후, MS 분광도를 얻었다. 분광결과로부터 각각의 단백질을 동정하기 위해서 생물정보 분석은 이전에 기술한 바[Kim, Y. S. et al., Proteomics 2006, 6, 3445-3454]와 같이 스펙트럼 밀 엠에스 프로테오믹스 워크벤치 (Spectrum Mill MS Proteomics Workbench) (Rev A.03.00.015, Agilent)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분석 방법은 이전에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Kim, Y. S. et al., Proteomics 2006, 6, 3445-3454; Cho, S. Y. etal., Proteomics 2005, 5, 3386-3396]. After MALDI-TOF analysis, MS spectroscopy was obtained. To identify each protein from the spectroscopic results, bioinformatic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ectrum Mill MS Proteomics Workbench as previously described (Kim, YS et al., Proteomics 2006, 6 , 3445-3454). ) (Rev A.03.00.015, Agilent). The analytical method is the same as previously described [Kim, YS et al., Proteomics 2006, 6 , 3445-3454; Cho, SY et al., Proteomics 2005, 5 , 3386-3396].

1-5 웨스턴 블롯 분석1-5 Western Blot Analysis

인간 혈청 단백질은 PBS 버퍼로 1/2 희석하고 SDS-PAGE를 실시하였다. 단백질을 10% SDS-PAGE 각 레인에 로딩하고 니트로셀룰로즈 멤브레인으로 이동시켰다. 멤브레인을 1:200 희석된 항-IGFBP1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 또는 항-AACT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 항체를 포함하는 블랏팅 용액으로 배양하였다. 또한, 1:2000 으로 희석된 α-2매크로글로불린 항체 (α-2 macroglobulin antibody) (Abcam, Cambridge, UK) 를 사용하여 검출하 였다. 또한, 멤브레인을 1:200 희석된 항-ITI-H4 항체 (sc-21987 및 sc-34471,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를 포함하는 블랏킹 용액으로 배양하였다. 2차 항체 반응은 멤브레인을 1:10000 희석된 호스래디쉬 퍼록시다제-콘쥬게이트된 2차 항체를 포함하는 블랏팅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ECL 시스템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 은 신호 검출에 사용되었다. 웨스턴 블롯의 밴드를 스캔하고 Fluor-STM MultiImager (Bio-Rad, Hercules, CA, USA)를 이용하여 디지털화하였다. Human serum proteins were diluted 1/2 in PBS buffer and subjected to SDS-PAGE. Protein was loaded into each lane of 10% SDS-PAGE and transferred to nitrocellulose membrane. Membranes were incubated with a blotting solution comprising anti-IGFBP1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 or anti-AACT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 diluted 1: 200. It was also detected using an α-2 macroglobulin antibody (Abcam, Cambridge, UK) diluted 1: 2000. The membrane was also incubated with a blocking solution containing anti-ITI-H4 antibody (sc-21987 and sc-34471,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 diluted 1: 200. Secondary antibody reactions were treated with a blotting solution comprising a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secondary antibody diluted 1: 10000. ECL system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 was used for signal detection. Bands of western blot were scanned and digitized using Fluor-S MultiImager (Bio-Rad, Hercules, Calif., USA).

실시예 2: 습관성 유산 환자의 혈액을 이용한 2-DE 분석Example 2: 2-DE Assay Using Blood of Patients with Habitual Abortion

습관성 유산 환자들로부터 조직이나 여포액을 얻기가 어렵다는 것에 착안하여 정상 환자와 습관성 유산 환자들로부터 혈액 샘플을 얻어 프로테오믹스 방법을 실시하였다. 표 1에서 환자들의 임상적인 특징들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얻어진 혈청에서 많이 존재하는 주요 단백질들은 면역친화 컬럼 (immunoaffinity column) (MARC)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또한 정상 환자와 습관성 유산 환자 사이에서에 발현의 차이를 보이는 단백질들을 찾기 위하여 기존에 알려진 프로테오믹스 분석법을 통해 IEF 기술을 도입하였다 (도 1).Considering the difficulty in obtaining tissue or follicles from patients with habitual miscarriage,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rom normal patients and patients with habitual miscarriage, and the proteomic method was performed. Table 1 describe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For this study, the major proteins present in the obtained serum were removed using an immunoaffinity column (MARC). In addition, the IEF technology was introduced through a known proteomic assay to find proteins showing differences in expression between normal patients and habitual abortion patients (FIG. 1).

Figure 112008087127276-PAT00001
Figure 112008087127276-PAT00001

실시예 3: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 발현의 차이를 보이는 단백질들의 동정Example 3: Identification of Proteins with Different Expressions in Patients with Habitual Abortion

단백질들 사이의 발현차를 알아보기 위해서 3명의 습관성 유산 환자 샘플과 3명의 정상 환자의 샘플을 섞어서 만든 정상 환자 샘플 세트 1개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각 습관성 유산 환자들의 샘플에서 정상 환자 샘플과 달리 발현하는 549개의 스팟, 563개의 스팟과 553개의 스팟을 2-DE 분석을 통해 얻었고 이와 같은 발굴은 젤 상에서 상태적인 스팟 양을 조사함으로써 진행되었다. 15개의 스팟이 정상 환자보다 2배 이상 강하게 발현하였고 6개의 스팟이 2배 이하로 약하게 발현되었다 (도 2와 3).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 강하게 발현하는 15개의 스팟은 도 2의 A부분에서 305번으로, B부분에서 530번으로, C부분에서 669, 684, 704, 714과 956번으로, D부분에서 778번으로, E부분에서 590, 616과 653번으로, F부분에서 402, 428, 453과 475번으로 나타내었고, 약하게 발현하는 6개의 스팟은 도 3의 A부분에서 215, 238, 320, 351번으로, B부분에서 702와 709번으로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얻어진 스팟들은 MALDI-TOF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표 2와 표 3에서는 분석된 21개의 단백질들을 보여준다. 이 중 스팟 475와 669의 ITI-H4, 스팟 402의 AACT는 면역 반응에 관여하며, 스팟 305의 IGFBP-1은 대사 과정에, 스팟 714의 α-2 매크로글로불린은 혈전 과정에 관여한다. 또한 ITI-H4의 경우는 다른 스팟과 달리 475와 669번에서 서로 크기가 다른 스팟이 얻어졌기 때문에 추가 실험을 위해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와 같은 현상은 절단형일 것이라 보고 습관성 유산 환자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expression between the proteins, we used one normal patient sample set made by mixing three habitual abortion patient samples and three normal patient samples. In this study, 549 spots, 563 spots, and 553 spots, which are expressed differently from normal patient samples, were obtained by 2-DE analysis in the samples of patients with habitual miscarriage. It became. Fifteen spots were more than twice as strong as normal patients and six spots were less than twice as weak (FIGS. 2 and 3). Fifteen spots that are strongly expressed in habitual abortion patients are 305 in section A, 530 in section B, 669, 684, 704, 714 and 956 in section C, and 778 in section D. 590, 616 and 653 in part E, 402, 428, 453 and 475 in part F. The six weakly expressed spots are 215, 238, 320 and 351 in part A of FIG. Are indicated by 702 and 709 in the section. The spots thus obtained were analyzed by MALDI-TOF method, and Table 2 and Table 3 show 21 proteins analyzed. Of these, ITI-H4 at Spots 475 and 669 and AACT at Spot 402 are involved in the immune response, IGFBP-1 at Spot 305 is involved in metabolism, and α-2 macroglobulin at Spot 714 is involved in thrombus. In the case of ITI-H4, unlike other spots, the spots of different sizes were obtained at 475 and 669, so they became more interested for further experiments, and this phenomenon may be related to addictive abortion patients. Estimated.

Figure 112008087127276-PAT00002
Figure 112008087127276-PAT00002

Figure 112008087127276-PAT00003
Figure 112008087127276-PAT00003

실시예 4: 혈청을 이용한 웨스턴 블롯 분석Example 4: Western Blot Analysis Using Serum

습관성 유산 환자의 혈청을 이용하여 발현 정도를 다시 확인하기 위하여 강하게 발현하는 4개의 단백질인 ITI-H4, AACT, IGFBP-1과 α-2 매크로글로불린에 대한 웨스턴 블롯 분석을 하였다. 도 4에서 α-2 매크로글로불린, AACT와 IGFBP1의 경우는 환자별로 발현에 차이가 나타남을 보았다. 흥미롭게도 ITI-H4의 경우는 도 5에서 2-DE 결과와 달리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 더 약하게 발현하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절단형인 85 kDa과 36 kDa을 발견하기 위하여 다시 웨스턴 블롯 분석을 실시하였고, 도 5A에서 36 kDa 크기의 절단형은 강하게 발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2-DE에서 강하게 발현하는 것으로 보인 스팟 475번이 120 kDa 크기의 ITI-H4가 아니라, 85 kDa 크기의 절단형일 것임을 확인하였다. 85 kDa을 재확인하기 위해서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항체를 구입 후 웨스턴 블롯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또한 도5A의 결과를 뒷받침 하고자 더 많은 습관성 유산 환자의 혈청을 이용하여 웨스턴 블롯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 5B). 이와 같은 총 분석을 통해 ITI-H4의 36 kDa 절단형이 17명의 습관성 유산 환자 중에서 13명에서 발견됨을 알았고 4명의 환자에서 다른 결과를 보였으나 76.5%의 습관성 유산 환자 진단이 가능함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ITI-H4가 습관성 유산 환자의 바이오마커로서의 사용 가능함을 제안한다.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on four strongly expressed proteins, ITI-H4, AACT, IGFBP-1, and α-2 macroglobulin, to confirm the expression level using the sera of habitual abortion patients. In FIG. 4, the expression of α-2 macroglobulin, AACT and IGFBP1 was different in each patient. Interestingly, ITI-H4 was found to be weaker in patients with habitual miscarriage, unlike the 2-DE results in FIG. 5. Therefore,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again to find the cleaved 85 kDa and 36 kD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leaved form of 36 kDa size was strongly expressed in FIG. 5A. This confirmed that Spot 475, which appears to be strongly expressed in 2-DE, would be 85 kDa truncated rather than 120 kDa ITI-H4. Western blot analysis failed after the purchase of commercially available antibodies to reconfirm 85 kDa. In addition,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era of more habitual abortion patients to support the results of FIG. 5A (FIG. 5B). These analyzes revealed that 36 kDa cleavage of ITI-H4 was found in 13 of 17 addictive abortions and 4 patients with different outcomes, but were able to diagnose 76.5% of addictive abortions. We therefore suggest that ITI-H4 can be used as a biomarker in patients with habitual miscarriage.

임신은 복잡한 과정으로 모체로부터의 면역과 혈관 형성 등과 같은 다양한 세포 내 과정을 통해 조절되므로 임신 기간 중에 이와 같은 과정의 이상으로 인한 습관성 유산과 같은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 현재 50-60%의 습관성 유산이 태아의 염색체 이상, 해부학적 이상과 감염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되나 아직까지 40-50%는 병인학적 원인을 전혀 모르는 상태이다. 본 발명자들은 최근, 습관성 유산 환자의 여포액을 이용하여 2-DE와 MALDI-TOF를 실시하여 특정 단백질의 이상 발현을 알아보는 시도를 처음으로 하였고 이를 통해 2-DE와 같은 프로테오믹스 방법이 습관성 유산 환자의 병인을 조사하는 좋은 기술임을 제시하였다. Pregnancy is a complex process and is regulated through various intracellular processes, such as immunity from the mother and blood vessel formation, which leads to many problems such as habitual miscarriage due to abnormalities in this process during pregnancy. Currently, 50-60% of habitual miscarriages are reported to be caused by chromosomal abnormalities, anatomical abnormalities and infections of the fetus, but 40-50% of them have no known etiological causes. The present inventors recently attempted to detect abnormal expression of a specific protein by performing 2-DE and MALDI-TOF using follicular fluid of a habitual abortion patient, and through this, a proteomic method such as 2-DE was used for a habitual abortion patient. It is suggested that it is a good technique to investigate the etiology of the disease.

본 발명에서, 발명자들은 프로테오믹스 방법을 통해 총 21개의 발현에 차이를 보이는 단백질을 혈액에서 얻어냈으며, 5개의 단백질은 웨스턴 블롯 분석을 통해 정상 환자와 습관성 유산 환자 사이의 발현 차이를 재확인하였다. 이 중에서, ITI-H4는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 85 kDa과 36 kDa으로 절단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 절단되지 않은 120 kDa은 줄어들고 절단형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ITI-H4의 절단 현상은 자궁이나 유방암 환자에서도 중요한 진단 현상으로 보고된 바 있으므로,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도 ITI-H4의 절단 현상이 중요한 진단 현상임을 알 수 있다. 비록 아직까지 ITI-H4의 기능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초기 염증 반응에 관여함이 보고된 바 있으며 또한 돼지를 통한 연구들에서 임신과 관련된 보고들이 있음으로 ITI-H4가 임신 유지와 관련된 주요 인자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최근 ITI-H4가 인터루킨-6에 의해 조절됨이 보고되었으며 이는 사이토카인이나 호르몬 등이 모체와 태아 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보고와 일치함으로 ITI-H4와 인터루킨-6와의 연관성이 임신에 있어 중요하리라 본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ors obtained a total of 21 expression proteins in the blood through the proteomics method, the five proteins were confirm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expression difference between normal patients and habitual abortion patients. Among them, ITI-H4 was confirmed to be cleaved to 85 kDa and 36 kDa in patients with habitual miscarriage. Therefore, in the patients with habitual miscarriage, the uncut 120 kDa was decreased and the cut type was increased. Since the cleavage of ITI-H4 has been reported as an important diagnostic phenomenon in uterine or breast cancer patients, it can be seen that the cleavage of ITI-H4 is an important diagnostic phenomenon in patients with habitual miscarriage. Although the function of ITI-H4 has not yet been clearly identified, it has been reported to be involved in the early inflammatory response, and there are reports of pregnancy-related studies in pig studies, suggesting that ITI-H4 is a major factor related to pregnancy maintenance. It is considered to be. In addition, ITI-H4 is reported to be regulated by interleukin-6,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port that cytokines and hormon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aternal and fetal liver, so the association between ITI-H4 and interleukin-6 may be important in pregnancy. see.

상기 실시예들의 결과를 통해, ITI-H4의 36 kDa 절단형이 76.5%가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 강하게 발현됨을 알 수 있다 (도 5). 이는 습관성 유산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ITI-H4가 중요한 병인적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ITI-H4는 습관성 유산에 대한 중요한 진단 마커이다. The results of the above examples show that 76.5% of 36 kDa truncated forms of ITI-H4 are strongly expressed in patients with habitual miscarriage (FIG. 5). This suggests that ITI-H4 may be an important etiological factor given that habitual miscarriage is caused by a variety of causes. Thus, ITI-H4 is an important diagnostic marker for habitual miscarriage.

본 발명에서 새롭게 습관성 유산 진단용 바이오마커로 밝혀진 α-2 매크로글 로불린, AACT, IGFBP1 및 ITI-H4를 이용하여 습관성 유산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진단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의학적 분야에서 폭넓은 이용이 기대된다.The use of α-2 macroglobulin, AACT, IGFBP1 and ITI-H4, which is newly identified as a biomarker for the diagnosis of addictive abortions, enables easy and efficient diagnosis of addictive abortions. do.

도 1은 인간 혈청의 2-DE 이미지이다. 정상 및 RPL 환자 혈청을 MARC 후 2-DE로 분리하였다. 1명의 정상 (A) 및 3 명의 RPL 환자 (B-D) 혈청의 2-DE 이미지이다. 분자량은 왼편에 kDa로 나타내었다.1 is a 2-DE image of human serum. Normal and RPL patient sera were separated by 2-DE after MARC. 2-DE images of 1 normal (A) and 3 RPL patient (B-D) sera. Molecular weight is shown as kDa on the left side.

도 2는 RPL 환자에서 15개 단백질이 증가하였음을 나타낸다. (A) 스팟 305 (B) 스팟 530 (C) 스팟 669, 684, 704, 714, 및 956 (D) 스팟 778 (E) 스팟 590, 616, 및 653 (F) 스팟402, 428, 453, 및 475에서 증가되었다.2 shows an increase of 15 proteins in RPL patients. (A) Spot 305 (B) Spot 530 (C) Spots 669, 684, 704, 714, and 956 (D) Spot 778 (E) Spots 590, 616, and 653 (F) Spots 402, 428, 453, and Increased from 475

도 3은 RPL 환자에서 감소한 6개의 스팟이다. 환자의 2-DE 젤에서, 감소된 스팟은 약하게 보였다. (A) 스팟 215, 238, 320, 및 351 (B) 스팟 702 및 709이다. 3 shows six spots reduced in RPL patients. In the patient's 2-DE gel, the reduced spot appeared weak. (A) spots 215, 238, 320, and 351 (B) spots 702 and 709.

도 4는 RPL 환자 및 정상 대조군 혈청에서 α-2 매크로글로불린 (α-2 macroglobulin) (163 kDa), α-1 안티키모트립신 (α-1-antichymotrypsin) (AACT) (68 kDa), 및 IGFBP1 (36 kDa) 의 웨스턴 블롯 분석 결과로, 단백질 발현의 개별차를 볼 수 있다.4 shows α-2 macroglobulin (163 kDa), α-1 antichymotrypsin (AACT) (68 kDa), and IGFBP1 (alpha) in RPL patients and normal control serum. As a result of Western blot analysis of 36 kDa), individual differences in protein expression can be seen.

도 5는 RPL 환자 및 정상 대조군에서 ITI-H4 에 대한 웨스턴 블롯 결과이다. ITI-H4 (36 kDa) 은 17명의 환자 중 13에서 검출되었고, 4 RPL 환자는 정상인에서 같이 ITI-H4 (120 kDa)을 발현하였다. (A) 3 정상 및 7 RPL 환자 (B) 3 정상인 및 10 RPL 환자. 5 is Western blot results for ITI-H4 in RPL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ITI-H4 (36 kDa) was detected in 13 of 17 patients and 4 RPL patients expressed ITI-H4 (120 kDa) as in normal subjects. (A) 3 normal and 7 RPL patients (B) 3 normal and 10 RPL patients.

Claims (9)

α-2 매크로글로불린 (α-2 macroglobulin), α-1 안티키모트립신 (α-1-antichymotrypsin: AACT), 인슐린유사성장인자-결합단백질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IGFBP1) 및 인터-α 트립신 억제자-헤비 체인 4 (inter-α trypsin inhibitor-heavy chain 4: ITI-H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내지 4 개 선택되는 습관성 유산 진단용 바이오마커.α-2 macroglobulin, α-1 antichymotrypsin (AACT),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IGFBP1) and inter- A biomarker for the diagnosis of habitual miscarriage selected from 1 to 4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α-trypsin inhibitor-heavy chain 4 (inter-α trypsin inhibitor-heavy chain 4: ITI-H4). 제1항에 있어서, ITI-H4는 비절단형 120 kDa, 절단형 85 kDa 또는 절단형 36 kDa인 바이오마커.The biomarker of claim 1, wherein the ITI-H4 is non-cleaved 120 kDa, truncated 85 kDa or truncated 36 kDa. 제1항의 α-2 매크로글로불린, AACT, IGFBP1 및 ITI-H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내지 4 개 선택되는 습관성 유산 진단용 바이오마커의 mRNA 또는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습관성 유산 진단용 조성물.The habitual lactic acid diagnos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gent for measuring the mRNA or protein level of the habitual lactic acid diagnostic biomark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α-2 macroglobulin, AACT, IGFBP1 and ITI-H4 of claim 1. 제3항에 있어서, ITI-H4는 비절단형 120 kDa, 절단형 85 kDa 또는 절단형 36 kDa인 조성물.4. The composition of claim 3, wherein the ITI-H4 is uncleaved 120 kDa, truncated 85 kDa or truncated 36 kDa. 제3항에 있어서, mRNA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가 상기 유전자의 mRNA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쌍 또는 프로브인 조성물.4. The composition of claim 3, wherein the agent for measuring mRNA level is a primer pair or probe specific for mRNA of said gene. 제3항에 있어서,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가 상기 유전자의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인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3, wherein the agent for measuring protein level is an antibody specific for a protein of said gene. 제1항의 α-2 매크로글로불린, AACT, IGFBP1 및 ITI-H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내지 4 개 선택되는 습관성 유산 진단용 바이오마커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쌍 또는 프로브를 사용하여 생물학적 시료내 상기 바이오마커의 mRNA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습관성 유산을 진단하는 방법.MRNA levels of the biomarkers in biological samples using primer pairs or probes specific for the habitual abortion diagnostic biomark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α-2 macroglobulin, AACT, IGFBP1 and ITI-H4 of claim 1 Measuring the habitual miscarriage. 제1항의 α-2 매크로글로불린, AACT, IGFBP1 및 ITI-H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내지 4 개 선택되는 습관성 유산 진단용 바이오마커에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하여 생물학적 시료내 상기 바이오마커의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습관성 유산을 진단하는 방법.Measuring the protein level of the biomarker in a biological sample using an antibody specific for the habitual lactic acid diagnostic biomark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α-2 macroglobulin, AACT, IGFBP1 and ITI-H4 of claim 1 Comprising the steps of diagnosing a habitual miscarriage.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혈액 또는 혈장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7 or 8, wherein the biological sample is blood or plasma.
KR1020080129472A 2008-12-18 2008-12-18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recurrent pregnancy loss KR201000707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472A KR20100070776A (en) 2008-12-18 2008-12-18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recurrent pregnancy lo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472A KR20100070776A (en) 2008-12-18 2008-12-18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recurrent pregnancy lo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776A true KR20100070776A (en) 2010-06-28

Family

ID=4236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472A KR20100070776A (en) 2008-12-18 2008-12-18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recurrent pregnancy lo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077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065A1 (en) * 2018-10-08 2020-04-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massive perivillous fibrin deposition associated with miscarriage, and use thereof
KR20200058832A (en) * 2018-11-20 2020-05-28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ssociation of miR―27a A>G, miR―423 C>A, miR―449b A>G and miR―604 A>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with the risk of recurrent implantation failure in a Korean women
WO2021177667A1 (en) * 2020-03-03 2021-09-1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nalytic method and kit for diagnosing recurrent miscarriag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065A1 (en) * 2018-10-08 2020-04-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massive perivillous fibrin deposition associated with miscarriage, and use thereof
KR20200058832A (en) * 2018-11-20 2020-05-28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ssociation of miR―27a A>G, miR―423 C>A, miR―449b A>G and miR―604 A>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with the risk of recurrent implantation failure in a Korean women
WO2021177667A1 (en) * 2020-03-03 2021-09-1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nalytic method and kit for diagnosing recurrent miscarriage
KR20210111407A (en) * 2020-03-03 2021-09-13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nalytical method for diagnosing recurrent pregnancy loss and kit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354B1 (en) Diagnostic biomarker for lung adenocarcinoma isolated from serum glycoproteins
KR20080016789A (en) Identification of molecular diagnostic markers for endometriosis in blood lymphocytes
US20100021898A1 (en) Mammalian oocyte development competency granulosa markers and uses thereof
EP1862804B1 (en) Method for diagnosis of prostate cancer
WO2011057411A1 (en) Ovarian markers of oocyte competency and uses thereof
CN111373056A (en) 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lung cancer or predicting prognosis based on exosomes overexpressing GCC2 gene or protein
KR101333207B1 (en) Genetic markers associated with endometriosis and use thereof
EP3015864A1 (en)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and the response to treatment of pancreatic cancer
KR20100070776A (en)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recurrent pregnancy loss
WO2009125936A2 (en) Analysis method and kit for diagnosi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KR20200098440A (en) Biomarkers in predicting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pregnancy associated hypertension
KR101995189B1 (en) Biomarker for non-invasive in vitro diagnosis of a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biokit for diagnosis thereof comprising the same
CN113994208A (en) Method for diagnosing endometriosis, method for monitoring disease state, and kit
KR102460127B1 (en) Biomarker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and Use Thereof
EP2568286B1 (en) Method for analysing mucin 1 having sia-alpha-2-8-sia-alpha-2-3-gal-beta glycans
US20140248637A1 (en) Composition for diagnosis of lung cancer and diagnosis kit of lung cancer
KR102185987B1 (en) A biomarker for diagnosing diabetic nephropathy comprising RIPK3 and the uses thereof
KR101978401B1 (en) A biomarker for diagnosing incompetent internal os of cervix and the uses thereof
EP2772759A1 (en) Composition for diagnosis of lung cancer
EP2089716A1 (en) Method for the diagnosis of leukemia
KR101795689B1 (en) A biomarker for diagnosing angiostenosis diseases and the uses thereof
EP3577457A1 (en) Gamete-secreted growth factors
EP3133400B1 (en) Use of ak6 and gpx5 male fertility related proteins or combination thereof
KR102327509B1 (en) Biomarker for Diagnosing Male Infertility or Decreased fertility
US20220334119A1 (en) Protein panels for the early diagnosis/prognosis and treatment of aggressive prostate can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