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643A - A aooker - Google Patents

A aoo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643A
KR20100064643A KR1020080123167A KR20080123167A KR20100064643A KR 20100064643 A KR20100064643 A KR 20100064643A KR 1020080123167 A KR1020080123167 A KR 1020080123167A KR 20080123167 A KR20080123167 A KR 20080123167A KR 20100064643 A KR20100064643 A KR 20100064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insulation layer
heat insulation
built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1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0100B1 (en
Inventor
손창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100B1/en
Priority to ES09252729T priority patent/ES2782355T3/en
Priority to US12/631,573 priority patent/US8399806B2/en
Priority to EP09252729.0A priority patent/EP2194328B1/en
Priority to CN200910254128XA priority patent/CN101749745B/en
Publication of KR20100064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6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1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5Constructive details concerning the regulation of th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PURPOSE: A built-in type cooker is provided to minimize heat transfer from a heating unit to a cabinet in which the heating unit is installed by effective heat insulation. CONSTITUTION: A built-in type cooker comprises a cabinet(10), a top plate(13), a heating unit(11), and an insulation layer(14). The cabinet has a polygonal shape with open top. The top plate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cabinet. The heating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to heat food. The insulation layer is formed between the rim surface of the cabinet and the heating unit in order to prevent heat transfer from the heating unit to the cabinet.

Description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A Aooker}Built-in Type Cooker {A Aooker}

본 발명은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일반적으로,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는 전기 또는 연료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상기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 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 및 마그네트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In general, the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is a device for heating food using electricity or fuel. The built-in type cooking apparatus includes at least one of a heater and a magnetron for generating heat or microwaves for heating food.

그리고, 상기 히터 또는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를 통하여 주변으로 전달되게 된다. 특히, 설치장에 수용되는 빌트인 타입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경우에는, 상기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설치장으로도 전달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빌트인 타입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는, 히터와, 상기 히터를 수용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상방에 구비되고 음식물이 안착되기 위한 탑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캐비닛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과 설치장 사이의 공간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탑플레이트를 통하여 또는 상기 캐비닛과 설치장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설치장으로도 전달되게 된다.Then,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er or the food is transferred to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built-in type cooking apparatu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built-in type built-in type cooker accommodated in the installation site, heat generated in the built-in type cooking device is also transmitted to the installation site. In more detail, the built-in type built-in type cooking apparatus includes a heater, a cabinet accommodating the heater, and a top plate provided above the cabinet and on which food is placed.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is transferred to the space between the cabinet and the installation site through the cabinet.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is also transmitted to the installation site through the top plate or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cabinet and the installation site.

본 발명은 캐비닛 및 설치장으로의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ilt-in type cooking apparatus that can minimize the heat transfer to the cabinet and the installation si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비닛의 내부 공간을 최적화할 수 있는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capable of optimizing an internal space of a cabine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장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ilt-in type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an installation sit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는, 상방으로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인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구비되는 탑플레이트;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상기 가열부로부터 상기 캐비닛으로의 열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의 테두리면과 가열부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층;을 포함한다.The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as described above comprises: a cabinet having a polyhedron shape opened upward; A top plat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A heating unit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configured to heat food; And a heat insulating layer provided between the edge of the cabinet and the heating unit in order to prevent heat transfer from the heating unit to the cabine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에 의하면, 가열부와 캐비닛 사이에 단열층이 구비되므로, 상기 가열부로부터 상기 캐비닛 및 설치장으로 열이 전달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heat insulation layer is provided between the heating unit and the cabine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heat transfer from the heating unit to the cabinet and the installation site can be minimized.

그리고, 상기 가열부와 캐비닛 테두리면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가까운 지점에 대응되도록 상기 단열층이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캐비닛의 테두리면 내부 전체에 단열층이 구비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간이 더욱 최적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at insulation layer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a point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ing part and the cabinet rim surface is relatively close, the internal space of the cabinet is further optimiz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heat insulation layer is provided in the entire rim surface of the cabin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또한, 상기 설치장으로의 열전달이 최소화되므로, 상기 가열부의 열에 의한 상기 설치장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heat transfer to the installation site is minimized,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installation site due to heat of the heating uni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는 설치장(2)에 형성되는 개구부(21)에 수용된다. 상기 개구부(21)는, 상기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에 대응되도록 상방으로 개구되는 형상이다. Referring to FIG. 1, the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is accommodated in the opening 21 formed in the installation cabinet 2. The opening portion 21 is shaped to open upward to correspond to the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상기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열부(1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열부(11)는, 상기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상기 음식물에 상대적으로 다량의 열을 집중적으로 가하기 위한 조리용가열부(111) 와, 조리된 음식물의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보온용가열부(112)를 포함한다.The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includes a cabinet 10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In addition,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11 for heating food are provided in the cabinet 10. At this time, the heating unit 11, the cooking heating unit 111 for intensively apply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heat to the food so that the food can be cooked, and to keep the warm state of the cooked food The molten heating part 112 is included.

또한,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상기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장부(12)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부(11) 및 전장부(12)는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11)와 전장부(12)의 사이에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공간을 상기 가열부(11)가 포함되는 가열실과, 상기 전장부(12)가 포함되는 전장실로 구획하는 구획부(101)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device 1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The heating part 11 and the electric part 12 ar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between the heating unit 11 and the electric component 12, the inner space of the cabinet 10 is a heating chamber including the heating unit 11, and an electric compartment including the electric component 12. The partition part 101 which divides is provided.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상방에는, 음식물이 안착되기 위한 탑플레이트(13)가 결합된다. 상기 탑플레이트(13)의 상면에는, 상기 음식물이 안착되기 위한 다수개의 안착부(13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131)는, 상기 가열부(11)에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13)의 상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기 위한 입력부(132)와, 상기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입력부(132)는, 버튼, 다이얼 또는 터치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33)도, 발광부재 또는 LCD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bove the cabinet 10, the top plate 13 for food is seated is coupl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13, a plurality of seating portion 131 for the food is seated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seating portion 131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heating portion 11. The top plate 13 includes an input unit 132 for inputting a signal by a user and a display unit 133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In this case, the input unit 132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a button, a dial, or a touch method. The display unit 133 may also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a light emitting member or an LCD.

여기서, 상기 탑플레이트(13)는, 상기 캐비닛(10)보다 더욱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가 상기 개구부(2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탑플레이트(13)의 테두리 하면만이 상기 설치장(2)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개구부(21)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다.Here, the top plate 13 is formed wider than the cabinet 10. 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is accommodated in the opening 21, only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13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cabinet 2 and the cabinet 10 is the opening 21. ) Is completely housed inside.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상기 조리용가열부(111)로부터 상기 캐비닛(10)으로의 열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열층(14)이 구비된다. 상기 단열 층(14)은, 상기 조리용가열부(111)와 캐비닛(10)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층(14)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테두리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a heat insulating layer 14 for minimizing heat transfer from the cooking heating unit 111 to the cabinet 10 is provided. The heat insulation layer 14 is located between the cooking heater 111 and the cabinet 10. In addition, the heat insulation layer 14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rim surface of the cabinet 10 an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in a parallel direction.

상세히, 상기 단열층(14)은, 상기 조리용가열부(111)와 캐비닛(10) 사이에 위치되는 단열브라켓(141)과, 상기 단열브라켓(141)의 내부에 수용되는 단열재(14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열브라켓(141)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테두리면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브라켓(141)은, 상기 단열브라켓(141)의 양단부가 상기 캐비닛(10)의 테두리면을 향하도록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후, 다시 상기 캐비닛(10)의 테두리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정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43)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테두리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43)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테두리면에 고정되는 방법은, 나사나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되는 방법, 고열을 견딜 수 있는 접착재로 부착되는 방법, 용접에 의한 방법 등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브라켓(141)이 고정되는 위치도 상기 캐비닛(10)의 바닥면 또는 상기 탑플레이트(13)의 저면 등 다양한 위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142)는, 상기 단열브라켓(141)과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테두리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된다.In detail, the heat insulation layer 14 includes an insulation bracket 141 positioned between the cooking heating unit 111 and the cabinet 10, and an insulation material 142 accommodated in the insulation bracket 141. do. At this time, the insulation bracket 141 is formed long along the inner rim surface of the cabinet 10. In addition, the insulation bracket 141 is bent in a 'b' shape so that both ends of the insulation bracket 141 face the rim surface of the cabinet 10, and then again on the rim surface of the cabinet 10. It includes a fixing part 143 is bent in a '-' shape in a parallel direction. The fixing part 143 is fixed to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cabinet 10. Here, the fixing part 143 is fixed to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cabinet 10, the method of fastening by fastening means such as screws, bolts, nuts, etc., a method of attaching with an adhesive that can withstand high heat, welding There may be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by. In addition, the position at which the insulating bracket 141 is fixed may be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10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13.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42 is accommodat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heat insulating bracket 141 and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cabinet 10.

여기서, 상기 단열층(14)은, 한편으로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테두리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조리용가열부(111)까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하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테두리면에 구비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단열 층(14)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테두리면 상에서,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테두리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조리용가열부(111)까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하에 해당하는 영역과 일대일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즉, 상기 단열층(14)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테두리면을 따라 단속적으로 구비되게 된다. 다만, 상기 단열층(14)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테두리면을 따라 단속적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단열층(14) 중 적어도 2개의 단열층(14)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Here, the heat insulation layer 14, on the one h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rim surface of the cabinet 10, the distance to the cooking heating unit 111 is the cabinet 10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 Is provided on the inner edge surface. On the other hand, the heat insulation layer 14, on the inner rim surface of the cabinet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rim surface of the cabinet 10, the distance to the cooking heating portion 111 It is positioned to correspond one-to-one with an are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That is, the heat insulation layer 14 is intermittently provided along the inner rim surface of the cabinet 10. However, the heat insulation layer 14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t least two heat insulation layers 14 of the plurality of heat insulation layers 14 intermittently provided along the inner rim surface of the cabinet 10.

그리고, 상기 단열층(14)은, 상기 조리용가열부(111)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다만, 상기 단열층(14)은, 상기 조리용가열부(111)에 고정되고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테두리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eat insulation layer 14 is spaced apart from the cooking heater 1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owever, the heat insulation layer 14 may be fixed to the cooking heating unit 111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edge of the cabinet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가 작동되면, 상기 가열부(11)에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이 발생된다. 상기 가열부(11)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캐비닛(10)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0)과 설치장(2) 사이의 공간으로 전달되게 된다. 특히, 상기 가열부(11) 중, 조리용가열부(111)는 보온용가열부(112)에 비하여 더욱 많은 열을 방출하고, 상기 방출된 열은 상기 캐비닛(10)과 설치장(2) 사이의 공간으로 더욱 많이 전달되게 된다.Referring to FIG. 1, when the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is operated, heat is generated in the heating unit 11 to heat food.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unit 11 is transferred to the space between the cabinet 10 and the installation site 2 through the cabinet 10. In particular, of the heating unit 11, the cooking heating unit 111 emits more heat than the thermal heating unit 112, the released heat is the cabinet 10 and the installation site (2) More space will be transmitted between them.

여기서, 상기 조리용가열부(111)와 캐비닛(10) 사이에 위치되는 단열층(14)에 의하여, 상기 조리용가열부(111)로부터 캐비닛(10)으로 열이 전달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0)이 가열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캐비닛(10)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0)과 설치장(2) 사이의 공간으로 열이 전달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Here, the heat transfer from the cooking heater 111 to the cabinet 10 may be minimized by the heat insulation layer 14 positioned between the cooking heater 111 and the cabinet 10. . Therefore, the phenomenon in which the cabinet 10 is heated can be prevented, and at the same time, a phenomenon in which heat is transferred to the space between the cabinet 10 and the installation cabinet 2 through the cabinet 10 can be minimized. .

그러므로, 상기 가열부(11)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설치장(2)이 손상, 변형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the phenomenon in which the installation site 2 is damaged or deform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unit 11 can be preven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단열층의 형상이 있어서 차이가 있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due to the shap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부분사시도이다.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을 참조하면, 단열층(34)은, 캐비닛(30)의 내부 테두리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조리용가열부(311)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상기 캐비닛(30)의 내부 테두리면에 구비되는 단열층(34)에 비하여, 가까운 상기 캐비닛(30)의 내부 테두리면에 구비되는 단열층(34)의 두께가 더욱 두꺼워진다. 즉, 상기 단열층(34)의 두께는, 상기 캐비닛(30)의 내부 테두리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조리용가열부(311)까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상기 캐비닛(30)의 내부 테두리면 상의 지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연속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리용가열부(311)와 상기 캐비닛(30)의 테두리면 사이의 단열효과를 최적화하는 차원에서, 상기 단열층(34)의 두께는, 상기 캐비닛(30)의 내부 테두리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상기 단열층(34)이 위치되는 상기 캐비닛(30)의 내부 테두리면으로부터 상기 조리용가열부(311)까지의 거리에 반비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2, the heat insulation layer 34 is formed on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cabinet 3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cabinet 30 and relatively far from the cooking heating unit 311. Compared with the heat insulation layer 34 provided,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on layer 34 provided in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said cabinet 30 near is thicker.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on layer 34 is a point on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cabinet 30 closest to the cooking heating portion 311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cabinet 30. As it moves away from it, it is continuously reduced. In this case, in order to optimize the insulation effect between the cooking heating unit 311 and the edge of the cabinet 30,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34 is perpendicular to the inner edge of the cabinet 30. In the direction, it is more preferably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from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cabinet 30 in which the heat insulation layer 34 is located to the cooking heating unit 311.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열부(31)로부터 상기 캐비닛(30)으로의 열전달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조리용가열부(311)로부터 상기 캐비닛(30)의 테두리면으로 방출되는 열량은, 상기 조리용가열부(311)와 상기 캐비닛(30)의 내부 테두리면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즉, 상기 조리용가열부(311)와 상기 캐비닛(30)의 내부 테두리면이 상대적으로 가까우면 상기 조리용가열부(311)로부터 상기 캐비닛(30)으로 방출되는 열량이 많고, 상기 조리용가열부(311)와 상기 캐비닛(30)의 내부 테두리면이 멀면 상기 조리용가열부(311)로부터 상기 캐비닛(30)으로 방출되는 열량이 적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 transfer phenomenon from the heating part 31 to the cabinet 30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In more detail, the amount of heat emitted from the cooking heater 311 to the edge of the cabinet 30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ooking heater 311 and the inner edge of the cabinet 30. . That is, when the cooking heating unit 311 and the inner rim surface of the cabinet 30 is relatively close, the amount of heat emitted from the cooking heating unit 311 to the cabinet 30 is large, and the cooking heating unit If the part 311 and the inner rim of the cabinet 30 are far from each other, the amount of heat emitted from the cooking heating unit 311 to the cabinet 30 is small.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리용가열부(311)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상기 캐비닛(30)의 내부 테두리면에 위치되는 상기 단열층(34)이, 먼 상기 캐비닛(30)의 내부 테두리면에 위치되는 상기 단열층(34)에 비하여 더욱 두껍게 형성된다. 즉, 상기 조리용가열부(311)와 상기 캐비닛(30)의 내부 테두리면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곳은, 먼 곳에 비하여 단열효과가 더욱 크다.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edge of the cabinet 30 is far away from the heat insulation layer 34 located on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cabinet 30 having a relatively close distance from the cooking heating unit 311. It is formed thicker than the heat insulating layer 34 positioned on the surface. That is,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cooking heating unit 311 and the inner rim surface of the cabinet 30 is relatively close, the heat insulating effect is greater than that in the far place.

따라서, 상기 단열층(34)은, 상기 가열부(31)와 상기 캐비닛(30)의 내부 테두리면 사이의 열전달 현상을 방지하는 데, 더욱 최적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heat insulation layer 34 may be formed to further optimize the heat transfer phenomenon between the heating part 31 and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cabinet 30.

또한, 상기 캐비닛(30)의 내부 공간 중, 상기 단열층(34)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30)의 내부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e occupied by the heat insulation layer 34 may be minimized among the internal spaces of the cabinet 30. That is, the internal space of the cabinet 30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단열층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of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embodiment differs in the shap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의 부분사시도이다.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 상에서 단열층(44)과 대응되는 다수개의 영역 중, 조리용가열부(411)까지의 최단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영역에 위치되는 단열층(44)은, 먼 영역에 위치되는 단열층(44)에 비하여 더욱 넓게 형성된다. 즉, 상기 조리용가열부(411)까지의 최단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영역에 위치되는 단열층(44)은, 먼 영역에 위치되는 단열층(44)에 비하여,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을 따라 더욱 길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of the plurality of areas corresponding to the heat insulation layer 44 on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cabinet, the heat insulation layer 44 located in a region where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cooking heating unit 411 is relatively close is far. It is formed wider than the heat insulating layer 44 located in the area. That is, the heat insulation layer 44 positioned in the region where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cooking heating unit 411 is relatively close is longer along the inner edge of the cabinet than in the heat insulation layer 44 positioned in the far region. Can be formed.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열부(41)로부터 상기 캐비닛으로 열전달되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조리용가열부(411)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 사이의 최단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울수록, 상기 조리용가열부(411)의 열은 더욱 넓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으로 방출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단열층(44)은, 상기 조리용가열부(411)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 사이의 최단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되는 것일수록, 더욱 넓게 형성되므로 단열효과는 더욱 커지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henomenon of heat transfer from the heating part 41 to the cabinet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More specifically, as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cooking heating unit 411 and the inner edge of the cabinet is relatively close, the heat of the cooking heating unit 411 is released to the inner edge of the wider cabinet. do. By the way, the heat insulation layer 44, the shorter the distance between the cooking heating unit 411 and the inner rim surface of the cabinet is located relatively close, the wider the formed, the greater the heat insulation effect.

따라서, 상기 단열층(44)은, 상기 가열부(41)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 사이의 열전달 현상을 방지하는 데, 더욱 최적화될 수 있다.Therefore, the heat insulation layer 44 may be further optimized to prevent heat transfer between the heating part 41 and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cabine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제4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단열층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Hereinafter, a fourth embodiment of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embodiment differs in the shap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제4실시예의 부분사시도이다.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을 참조하면,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 상에서 단열층(54)과 대응되는 다수개의 영역 중, 조리용가열부(511)까지의 최단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영역에 위치되는 단열층(54)은, 먼 영역에 위치되는 단열층(54)에 비하여 더욱 두껍게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4, of the plurality of areas corresponding to the heat insulation layer 54 on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cabinet, the heat insulation layer 54 located in a region where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cooking heating unit 511 is relatively close is far. It is formed thicker than the heat insulation layer 54 located in the area.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열부(51)로부터 상기 캐비닛으로 열전달되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조리용가열부(511)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 사이의 최단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울수록, 상기 조리용가열부(511)의 열은 더욱 집중적으로 많이 방출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단열층(54)은, 상기 조리용가열부(511)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 사이의 최단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되는 것일수록, 더욱 두껍게 형성되므로 단열효과는 더욱 커지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henomenon of heat transfer from the heating part 51 to the cabinet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In more detail, as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cooking heating unit 511 and the inner edge of the cabinet is relatively close, heat of the cooking heating unit 511 is released more intensively. By the way, the heat insulation layer 54, the shorter the distance between the cooking heating unit 511 and the inner rim surface of the cabinet is located relatively close, the thicker the heat insulation effect becomes greater.

따라서, 상기 단열층(54)은, 상기 가열부(51)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 사이의 열전달 현상을 방지하는 데, 더욱 최적화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heat insulation layer 54 may be further optimized to prevent heat transfer between the heating part 51 and the inner edge of the cabine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such,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will be.

예를 들어, 상기 단열층(14,34,44,54)은, 상기 캐비닛(10,30,40,50)의 테두 리면 내측을 따라 이어지는 폐곡선을 그리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열층(14,34,44,54)은, 상기 가열부(11,31,41,51)에 고정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단열층(14,34,44,54)은, 상기 조리용 가열부(111,311,411,511) 뿐만 아니라, 상기 보온용가열부(112,312,412,512)와 상기 캐비닛(10,30,40,50)의 내부 테두리면 사이에도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t insulation layers 14, 34, 44, and 54 may be integrally formed to draw closed curves extending along the inner side of the edges of the cabinets 10, 30, 40, and 50. In addition, the heat insulation layers 14, 34, 44, and 54 may be fixed to the heating units 11, 31, 41, and 51. In addition, the heat insulation layers 14, 34, 44, and 54 may have not only the cooking heaters 111, 311, 411, and 511, but also internal insulation surfaces of the insulation heaters 112, 312, 412, 512 and the cabinets 10, 30, 40, and 50. It may be provided betwee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부분사시도.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의 부분사시도.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제4실시예의 부분사시도.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상방으로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인 캐비닛;A cabinet having a polyhedron shape opened upward;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구비되는 탑플레이트;A top plat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A heating unit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configured to heat food; 상기 가열부로부터 상기 캐비닛으로의 열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의 테두리면과 가열부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층;을 포함하는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And a heat insulation layer provided between the edge of the cabinet and the heating unit to prevent heat transfer from the heating unit to the cabin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열층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가열부까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하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에 구비되는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The heat insulation layer is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provided in the inner rim surface of the cabinet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rim surface of the cabinet, the distance to the heating por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가열부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에 구비되는 단열층에 비하여, 가까운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에 구비되는 단열층의 두께가 더욱 증가되는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rim of the cabinet, the thickness of the thermal insulation layer provided on the inner rim of the cabinet is further increased, compared to the heat insulation layer provided on the inner rim of the cabinet, where the distance to the heating unit is relatively far. Built-in cooker which becom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열층은,The heat insulation layer,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과 가열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 및A heat insulator provided between the inner rim of the cabinet and the heating unit; And 상기 단열재를 고정하기 위한 단열브라켓;을 포함하는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heat insulating bracket for fix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단열브라켓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에 고정되고, The insulation bracket is fixed to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cabinet, 상기 단열재는 상기 단열브라켓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 사이에 구비되는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The insulation is a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provided between the insulation bracket and the inner rim surface of the cabin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열층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 상에서,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가열부까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하에 해당하는 영역과, 일대일 대응되도록 위치되고,The heat insulation layer is positioned on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cabinet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cabinet so as to correspond one-to-one with an area whose distance to the heating por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단열층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단열층에 대응되는 상기 영역과, 상기 캐비닛의 테두리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중첩되는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 insulation layer is a built-in type cooking apparatus overlapping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heat insulation layer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n edge of the cabinet.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단열층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 테두리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두께를 가짐과 동시에 평행방향으로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The heat insulation layer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rim surface of the cabinet and at the same time have an area in a parallel direction, 상기 단열층 및 영역은 다수개이며,The insulation layer and the area is a plurality, 상기 다수개의 영역 중, 상기 캐비닛의 테두리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상기 가열부까지의 최단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단열층의 두께 또는 면적은, 먼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단열층 두께 또는 면적에 비하여 더욱 두껍게 또는 넓게 형성되는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The thickness or area of the heat insulation layer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heating part is relatively close to the edge of the cabine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dge surface of the cabinet is the thickness or area of the heat insulation layer corresponding to the distant area. Built-in type cookers that are thicker or wider than their counterparts.
KR1020080123167A 2008-12-05 2008-12-05 A Aooker KR1016201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167A KR101620100B1 (en) 2008-12-05 2008-12-05 A Aooker
ES09252729T ES2782355T3 (en) 2008-12-05 2009-12-04 Integrated kitchen
US12/631,573 US8399806B2 (en) 2008-12-05 2009-12-04 Built-in type cooker
EP09252729.0A EP2194328B1 (en) 2008-12-05 2009-12-04 Built-in type cooker
CN200910254128XA CN101749745B (en) 2008-12-05 2009-12-07 Built-in type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167A KR101620100B1 (en) 2008-12-05 2008-12-05 A Aoo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643A true KR20100064643A (en) 2010-06-15
KR101620100B1 KR101620100B1 (en) 2016-05-12

Family

ID=4236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167A KR101620100B1 (en) 2008-12-05 2008-12-05 A Aoo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1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5108A (en) * 2017-09-26 2017-12-29 浙江爱隆电器有限公司 A kind of heat radiating type electric furn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055B1 (en) 2017-12-26 2019-06-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Cooking equipment move the control panel
KR20190077927A (en) 2017-12-26 2019-07-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Cooking equipment move the control pane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4214B2 (en) * 2002-07-23 2007-06-06 リンナイ株式会社 Built-in stove
JP4040508B2 (en) 2003-03-20 2008-01-30 パロマ工業株式会社 Built-in stove
JP2006003048A (en) * 2004-06-21 2006-01-05 Amami:Kk Electric brazier
KR100829622B1 (en) 2007-01-09 200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Built-in cooking applian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5108A (en) * 2017-09-26 2017-12-29 浙江爱隆电器有限公司 A kind of heat radiating type electric furnace
CN107525108B (en) * 2017-09-26 2024-05-14 浙江爱隆电器有限公司 Heat dissipation type electric sto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100B1 (en)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86429A (en) Cooker
KR20060069117A (en) A cooking cavity dividing plate and electric oven range having the same
US8916801B2 (en) Household appliance having supports supporting a glass heating element of a warming drawer
AU2020206080B2 (en) Cooker
US20100059513A1 (en) Electric induction oven
EP1083773A2 (en) Radiant electric heater for a microwave oven
KR20100064643A (en) A aooker
KR101656571B1 (en) cooking appliance
JP2011220590A (en) Cooker
KR100589768B1 (en) Electric oven provided with a door built in a heating unit
KR101052159B1 (en) Built-in cooker
KR100550479B1 (en) Heating cooker
JP2007315697A (en) Heating cooking apparatus
JP2006300430A (en) Heating cooking device
KR20100101346A (en) A cooker
WO2023026787A1 (en) Heating cooker
KR20100096971A (en) Cooking apparatus
JP2019020031A (en) Heating cooker
AP470A (en) Oven with electrical heating element.
KR101608983B1 (en) A built-in type cooker
KR100707426B1 (en) Electric oven having heater for heating vessel
KR101014437B1 (en) A Heater module for Cooking appliance
KR100751767B1 (en) Structure for mounting a top plate of an electric range
JP2023028543A (en) heating cooker
JP2024039710A (en) heating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04

Effective date: 201601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