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177A - 전자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177A
KR20100064177A KR1020080122622A KR20080122622A KR20100064177A KR 20100064177 A KR20100064177 A KR 20100064177A KR 1020080122622 A KR1020080122622 A KR 1020080122622A KR 20080122622 A KR20080122622 A KR 20080122622A KR 20100064177 A KR20100064177 A KR 20100064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information
user
display
display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희섭
최상언
이성진
정민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2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4177A/ko
Priority to US12/535,830 priority patent/US20100146461A1/en
Priority to EP09171851A priority patent/EP2194468A1/en
Publication of KR20100064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이 개시된다. 본 전자장치는 사용자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아이템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아이템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하여 결정된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아이템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실제 상품을 제공하면서 실제상품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품에 대해 사용자가 갖는 실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품정보를 쉽게 응시할 수 있다.
전자장치, 컴퓨터, 디스플레이장치, 광고디스플레이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전자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콘텐츠를 투명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정보가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에 배경화면을 더하는 처리를 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전자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워크스테이션, 및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전자기기를 일컫는다.
그런데, 종래의 전자장치에서는 실제 상품을 전시하는 경우에 실제 상품에 대한 가상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상품에 대해 사용자가 갖는 실감이 떨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되는 상품과 실제 상품 간의 오차가 큰 경우도 발생하여 사용자의 불쾌감을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하게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실제 상품 뿐만 아니라 실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위치 및 시선방향을 기초로 실제 상품 및 상품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사용자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아이템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읽어들인 아이템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하여 결정된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상기 아이템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사용자의 위치정보, 시선정보 및 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아이템을 나타내는 아이템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위치정보, 사용자 존재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정보, 사용자 시선정보, 및 사용자 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정보는, 아이템의 외관, 아이템의 모델명, 및 아이템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감지된 사용자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의 모델명을 저장부로부터 읽어들이고,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읽어들인 아이 템의 모델명에 대응되는 아이템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아이템컨텐츠는, 아이템의 기본정보, 상세정보, 아이템의 색상 및 아이템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방식은,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 색상변경, 크기변경, 및 기본정보와 상세정보의 디스플레이폰트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ㅅ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감지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변경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하여 결정된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아이템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시선정보, 및 사용자의 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감지부는, 이템에 부착된 태그를 비접촉식으로 리딩하는 리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정보와 리더가 리딩한 태그에 수록된 정보를 기초로 아이템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리더의 리딩결과를 기초로 아이템의 위치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아이템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방법은, 사용자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아이템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읽어들인 아이템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하여 결정된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상기 아이템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단계는, 사용자의 위치정보, 시선정보 및 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아이템을 나타내는 상기 아이템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위치정보, 사용자 존재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정보, 사용자 시선정보, 및 사용자 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아이템정보는, 아이템의 외관, 아이템의 모델명, 및 아이템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단계는, 감지된 사용자정보에 대응되도록 기저장된 상기 아이템의 모델명을 읽어들이고, 상기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상기 읽어들인 아이템의 모델명에 대응되는 상기 아이템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아이템컨텐츠는, 아이템의 기본정보, 상세정보, 아이템의 색상 및 아이템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방식은, 상기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 색상변경, 크기변경, 및 상기 기본정보와 상세정보의 디스플레이폰트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단계는, 감지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변경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단계는, 디스플레이방식을 변경하는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하여 결정된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상기 아이템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단계는, 디스플레이방식을 변경하는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시선정보, 및 사용자의 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감지단계는, 아이템에 부착된 태그를 비접촉식으로 리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단계는, 감지된 사용자정보와 상기 리딩된 태그에 수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단계는, 리딩단계의 리딩결과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의 위치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상기 아이템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시스템은, 사용자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아이템정보를 검출, 및 상기 검출된 아이템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상이 아이템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아이템컨텐츠는, 아이템의 기본정보, 상세정보, 아이템의 색상 및 아이템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방식은,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 색상변경, 크기변경, 및 기본정보와 상세정보의 디스플레이폰트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도 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 상품을 아이템으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센서(110), 전자장치(200), 및 디스플레이장치(130)를 포함한다.
센서(110)에는 마이크(미도시) 및 IR(Infrared) 카메라(미도시)가 장착되어 있으며, 센서(110)는 디스플레이장치(130)에 장착된다. 여기서, 센서(110)의 일 예로는 조도센서를 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도센서가 장착된 일정영역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110)는 감지된 센싱정보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전자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센싱정보는 영상데이터, 오디오데이터, 및 밝기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영상데이터는 IR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감지, 오디오데이터는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감지되고, 밝기데이터는 센서(110)에 의해 감지가능한 일정영역의 밝기를 나타낸다. 이때, 터치센서(미도시)가 디스플레이장치(130)에 장착된 경우, 센싱정보는 터치센서(미도시)에서 감지된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더 포함한다.
전자장치(200)는 센서(110)로부터 전송받은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정보 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제품인 아이템을 판별하여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한다.
여기서, 아이템컨텐츠는 아이템의 기본정보, 상세정보, 아이템의 색상 및 아이템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존재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정보, 사용자 위치정보, 사용자의 시선정보, 및 사용자 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전자장치(20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30)에 구비된 조작부(미도시)로부터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변경하는 명령이 수신되면,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하여 결정된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아이템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13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상에서는, 센서를 통해 센싱정보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센서는 센싱정보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 감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을 감지하는 센서이외에 아이템에 부착된 태그를 리딩하는 RF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장치(미도시)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아이템에 부착된 태그를 리딩하고, 제어부(230)는 리딩결과 및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아이템의 위치정보를 읽어드려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자장치(200)에서 사용자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아이템정보를 읽어드리고, 읽어드린 아이템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아이템정보는, 아이템의 외관, 아이템의 모델명, 아이템의 위치정보, 위치범위, 및 시선범위를 포함하고, 전자장치(200)는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아이템정보를 읽어드림으로써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아이템을 판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장치(200)는, 정보생성부(210), 제어부(230), 저장부(250), 및 인터페이스부(270)를 포함한다.
정보생성부(210)는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에 포함된 영상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정보생성부(210)는 컴퓨터비전 기반의 사람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이 사용자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식별자정보에 사용자 존재여부를 나타내도록 설정한다. 일 예로, 정보생성부(210)는 영상이 사용자를 포함하고 있으면, 식별자정보를 '1'로 설정하고, 사용자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식별자정보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비전 기반의 사용자검출 알고리즘에는 칼라기반 검출 및 윤곽선 기반검출 알고리즘이 있으며,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정보생성부(210)는 영상에 사용자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30)로부터 실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위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픽셀들의 위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크기 등을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으며,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정보생성부(210)는 영상에 사용자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검출하여 시선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시선방향은 시선방향 추적알고리즘(gaze tracking)을 이용하여 검출되며, 시선방향 추적알고리즘은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정보생성부(210)는, 영상에 사용자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를 계산하여 사용자 키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의 키는 컴퓨터비전 기반의 사용자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검출되며,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저장부(230)에는 복수의 아이템 각각에 대응되는 아이템정보, 아이템의 기본정보, 그리고 아이템의 상세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 DB저장된다. 여기서, 아이템의 기본정보는 아이템의 할인정보, 가격, 재고현황, 및 색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세정보는 아이템의 기본정보에 원산지, 원단, 및 제조회사 중 적어도 하나를 더한 정보를 나타낸다.
제어부(250)는 정보생성부(210)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아이템정보를 저장부(230)로부터 읽어들이고, 아이템정보를 기초로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정보생성부(210)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시선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의 위치정보 및 아이템의 모델명을 저장부(230)로부터 읽어들이고, 아이템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250)는 아이템의 모델명에 대응되는 아이템의 기본정보가 결정된 디스플레이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장치(130)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4개의 아이템 중 사용자가 A영역의 아이템1을 응시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면, 제어부(250)는 정보DB에서 사용자의 위치값이 기설정된 제1 내지 제4 위치범위(A~D) 중 어디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사용자의 시선방향값이 기설정된 제1 내지 제4 시선범위 중 어디에 포함되는지 판단하여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아이템에 대응되는 아이템의 모델명 및 아이템의 위치정보를 저장부(230)로부터 읽어들인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좌표 및 아이템의 위치좌표를 기초로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디스플레이위치에 아이템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4에서 x좌표는 디스플레이장치(130)로부터의 거리, y좌표는 디스플레이장치(130)가 장착된 위치, z좌표는 높이를 나타낸다.
이때, 아이템의 색상을 변경하는 변경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250)는 정보생성부(210)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시선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의 외관을 저장부(230)로부터 읽어들인다. 제어부(250)는, 아이템의 외관에 변경명령에 포함된 색상을 더함으로써 색상이 변경된 아이템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장치(1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디스플레이장치(130)에 구비된 조작부(미도시)로부터 상세정보표시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아이템의 기본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세정보표시명령이 수신되면, 아이템의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3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되면, 아이템의 위치좌표와 사용자의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재결정하고, 재결정 된 위치에 아이템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위치 변경에 따른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위치를 변경하는 내용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장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50)는 정부생성부(2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위치값과 사용자의 시선방향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아이템을 판별한다(S510).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정보생성부(210)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시선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의 위치정보 및 아이템의 모델명을 저장부(230)로부터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아이템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의 모델명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아이템을 판별한다.
이때,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위치좌표값과 아이템의 위치좌표값을 기초로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한다(S520).
구체적으로, 도 4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위치좌표가 (4,1)이고, 저장부(230)로부터 읽어들인 아이템의 좌표가(-2,-1)인 경우를 예로 들면, 제어부(250)는 y=ax+b의 일차 다항식에 각각의 좌표값을 대입연산하여
Figure 112008083758227-PAT00001
을 산출하고, x=0일 때 의
Figure 112008083758227-PAT00002
을 산출함으로써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위치를 결정한다. 즉,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는 (0,-1/3)이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아 이템컨텐츠는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아이템의 기본정보이다.
그리고, 아이템의 색상을 변경하는 변경명령이 입력되면(S530:Y),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시선정보를 이용하여 색상이 변경된 아이템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550).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저장부(23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시선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의 외관을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아이템의 외관에 변경명령에 포함된 색상을 더한 아이템컨텐츠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250)는 S520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된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디스플레이 위치에 아이템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컨텐츠는 색상이 변경된 아이템이다.
마찬가지로, 제어부(250)는 S520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색상이 변경된 아이템의 기본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색상이 변경된 아이템의 기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장치(130)를 제어한다.
이어,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되면(S570:Y), 제어부(250)는 변경된 사용자의 위치좌표값과 아이템의 위치좌표값을 기초로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디스플레이위치에 아이템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590).
구체적으로, 도 4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위치좌표가(4,1)에서 (4,3)으로 변경된 경우를 예로 들면,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위치좌표 (4,1)에 대응되는 아이템의 위치좌표(-2,-1)를 저장부(230)로부터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아이템의 위치좌표(-2,-1)와 변경된 사용자의 위치좌표 (4,3)을 기초로 S520단계에서 설명한 방법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0,1/3)로 결정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에 있어서, S510 내지 S590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30)로부터 상세정보 표시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50)는 사용자 위치정보 및 사용자 시선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의 상세정보를 저장부(230)로부터 읽어들여 디스플레이장치(1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상세정보 표시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템 혹은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아이템에 대응되는 상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생성부(210)는 움직임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센서(110)로 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을 검출하고, 제어부(250)는 검출된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을 이용하여 아이템의 기본정보 또는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30)에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이동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미만이고, 이동방향이 기설정된 방향범위 내에 포함되면,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아이템의 기본정보 또는 상세정보에 대응되는 오디오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에 있어서, 본 디스플레이장치(130)는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로 구현되는 투명디스플레이장치일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 법에 있어서, 위치범위 및 시선방향범위는 디스플레이장치(130)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기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내지 D 영역으로 구분하여 위치범위 및 시선범위는 기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에 있어서,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색상변경에 따라 변경된 아이템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방식은 아이템컨텐츠의 크기변경, 기본정보 및 상세정보의 디스플레이폰트변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아이템컨텐츠의 크기, 아이템의 기본정보와 상세정보의 디스플레이폰트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30)는 터치센서(미도시), 조작키패드, 마우스, 및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조작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조작명령인 색상변경명령 및 상세정보 표시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30)는 쇼윈도우(show window)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130) 전체가 투명성을 띄어 사용자에게 아이템의 실물이 바로 보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장치(130)의 일부가 투명성을 띄면, 아이템의 실물은 바로 보이고, 아이템정보에 대응되는 가상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의 실물에 대응되는 가상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감지장치에서 센싱정보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정보생성부(210)는 센싱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정보를 생성하므로, 센싱정보에 사용자정보가 포함되며, 감지장치에서 사용자정보가 감지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 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콘텐츠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장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센서 130 : 디스플레이장치
210 : 정보 생성부 230 : 저장부
250 : 제어부

Claims (21)

  1. 사용자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아이템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읽어들인 아이템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하여 결정된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상기 아이템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시선정보 및 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아이템을 나타내는 상기 아이템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위치정보, 사용자 존재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정보, 사용자 시선정보, 및 사용자 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아이템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정보는, 아이템의 외관, 아이템의 모델명, 및 아이템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의 모델명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어들이고, 상기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상기 읽어들인 아이템의 모델명에 대응되는 상기 아이템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컨텐츠는, 아이템의 기본정보, 상세정보, 아이템의 색상 및 아이템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방식은, 상기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 색상변경, 크기변경, 및 상기 기본정보와 상세정보의 디스플레이폰트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변경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하여 결정된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상기 아이템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시선정보, 및 사용자의 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아이템에 부착된 태그를 비접촉식으로 리딩하는 리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정보와 상기 리더가 리딩한 태그에 수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 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더의 리딩결과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의 위치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상기 아이템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0. 사용자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아이템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읽어들인 아이템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하여 결정된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상기 아이템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시선정보 및 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아이템을 나타내는 상기 아이템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위치정보, 사용자 존재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정보, 사용자 시선정보, 및 사용자 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정보는, 아이템의 외관, 아이템의 모델명, 및 아이템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정보에 대응되도록 기저장된 상기 아이템의 모델명을 읽어들이고, 상기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상기 읽어들인 아이템의 모델명에 대응되는 상기 아이템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컨텐츠는, 아이템의 기본정보, 상세정보, 아이템의 색상 및 아이템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방식은, 상기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 색상변경, 크기변경, 및 상기 기본정보와 상세정보의 디스플레이폰트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변경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방식을 변경하는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하여 결정된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상기 아이템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방식을 변경하는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시선정보, 및 사용자의 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는,
    아이템에 부착된 태그를 비접촉식으로 리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정보와 상기 리딩된 태그에 수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리딩단계의 리딩결과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의 위치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상기 아이템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
  19. 사용자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아이템정보를 검출, 및 상기 검출된 아이템정보에 대응되는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을 결정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상이 아이템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컨텐츠는, 아이템의 기본정보, 상세정보, 아이템의 색상 및 아이템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방식은, 상기 아이템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위치, 색상변경, 크기변경, 및 상기 기본정보와 상세정보의 디스플레이폰트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KR1020080122622A 2008-12-04 2008-12-04 전자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KR20100064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622A KR20100064177A (ko) 2008-12-04 2008-12-04 전자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US12/535,830 US20100146461A1 (en) 2008-12-04 2009-08-05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EP09171851A EP2194468A1 (en) 2008-12-04 2009-09-30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622A KR20100064177A (ko) 2008-12-04 2008-12-04 전자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177A true KR20100064177A (ko) 2010-06-14

Family

ID=4121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622A KR20100064177A (ko) 2008-12-04 2008-12-04 전자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146461A1 (ko)
EP (1) EP2194468A1 (ko)
KR (1) KR2010006417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874A (ko) * 2012-08-30 201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물품의 포장에 이용되는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WO2014061916A1 (en) * 2012-10-19 2014-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31804B1 (ko) * 2013-03-06 2014-08-19 (주)피엑스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쇼윈도 이미지 표시장치,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540099B1 (ko) * 2013-10-24 2015-07-29 (주)리안씨앤에스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60001466A (ko) * 2014-06-27 201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쇼 윈도우에 전시된 제품의 제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51801B (zh) * 2008-08-12 2014-09-01 Princeton Technology Corp 光源調光方法
KR20110069563A (ko) * 2009-12-17 201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1197603A (ja) * 2010-03-24 2011-10-06 Sharp Corp 操作設定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9294722B2 (en) * 2010-10-19 2016-03-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mized telepresence using mobile device gestures
US9658687B2 (en) 2011-09-30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sual focus-based control of coupled displays
KR101793628B1 (ko) * 2012-04-08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86218B1 (ko) 2012-08-02 2019-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047494B1 (ko) * 2012-09-10 2019-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객체 선택 방법
JP5964190B2 (ja) * 2012-09-27 2016-08-03 京セラ株式会社 端末装置
US9958681B2 (en) 2013-10-28 2018-05-01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017997A1 (en) 2014-07-31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glasses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 using the same
US9530302B2 (en) 2014-11-25 2016-12-27 Vivint, Inc. Keypad proj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0997B1 (en) * 1995-11-06 2002-08-13 Traze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assessing movement skills in multidimensional space
US5912721A (en) * 1996-03-13 1999-06-15 Kabushiki Kaisha Toshiba Gaze detection apparatus and its method as well as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US5731805A (en) * 1996-06-25 1998-03-24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yetrack-driven text enlargement
US7904333B1 (en) * 1996-10-25 2011-03-08 Ipf, Inc. Web-based electronic commerce (EC) enabled shopping network configured to allow members of a consumer product management team and authorized parties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consumers shopping at EC-enabled websites along the world wide web (WWW), using multi-mode virtual kiosks (MMVKS) driven by server-side components and managed by product team members
US6577329B1 (en) * 1999-02-25 2003-06-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levance feedback through gaze tracking and ticker interfaces
JP4465142B2 (ja) * 2002-01-30 2010-05-19 富士通株式会社 ウィンドウ表示制御プログラム、ウィンドウ表示制御方法およびウィンドウ表示制御装置
US7921036B1 (en) * 2002-04-30 2011-04-05 Videomining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targeting content based on automatic demographics and behavior analysis
US7173619B2 (en) * 2004-07-08 2007-02-06 Microsoft Corporation Matching digital information flow to a human perception system
KR100763900B1 (ko) * 2004-08-28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시선정보에 기반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녹화/재생방법 및 그 장치
US7501995B2 (en) * 2004-11-24 2009-03-10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ation of enterprise, clinical, and decision support information utilizing eye tracking navigation
JP5015926B2 (ja) * 2005-08-04 2012-09-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物件に関心を有する個人を監視する装置及び方法
US20060256133A1 (en) * 2005-11-05 2006-11-16 Outland Research Gaze-responsive video advertisment display
AU2007247852B2 (en) * 2006-05-04 2012-01-19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An electronic media system
CN101467197B (zh) * 2006-06-07 2014-10-22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关于物理对象选择的光反馈
JP5535626B2 (ja) * 2006-07-28 2014-07-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ショップウィンドーに沿って自動的に分布するプライベート用スクリーン
CN101495945A (zh) * 2006-07-28 2009-07-2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被凝视物品的信息显示的凝视交互
US7742623B1 (en) * 2008-08-04 2010-06-22 Videomining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gaze target, gaze sequence, and gaze map from video
TW201017474A (en) * 2008-09-03 2010-05-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performing a gaze-based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an interactive display system
CN101943982B (zh) * 2009-07-10 2012-12-12 北京大学 基于被跟踪的眼睛运动的图像操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874A (ko) * 2012-08-30 201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물품의 포장에 이용되는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WO2014061916A1 (en) * 2012-10-19 2014-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24023B2 (en) 2012-10-19 2016-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31804B1 (ko) * 2013-03-06 2014-08-19 (주)피엑스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쇼윈도 이미지 표시장치,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540099B1 (ko) * 2013-10-24 2015-07-29 (주)리안씨앤에스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60001466A (ko) * 2014-06-27 201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쇼 윈도우에 전시된 제품의 제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94468A1 (en) 2010-06-09
US20100146461A1 (en)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4177A (ko) 전자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US11402871B1 (en) Keyboard movement changes virtual display orientation
US20220261112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ouch-free typing
US20210096651A1 (en) Vehicle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on detection
CN110308789B (zh) 用于与外围设备的混合现实交互的方法和系统
US10120454B2 (en) Gesture recognition control device
US10565960B2 (en) User interface for a flashlight mode on an electronic device
US8959013B2 (en) Virtual keyboard for a non-tactile three dimensional user interface
CN110168475B (zh) 操作集线器的方法以及用于与外围装置交互的系统
JP2019087279A (ja) デジタルデバイスとの対話のための直接的なポインティング検出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80292907A1 (en) Ges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EP2669883B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transparency adjustment method thereof
US20160180594A1 (en) Augmented display and user input device
US20160306433A1 (en) Touch fee interface for augmented reality systems
US20140267029A1 (en) Method and system of enabling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an electronic device
KR102582541B1 (ko) 에지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40136442A (ko) 광 폴오프에 기초한 깊이 이미지의 생성 기법
US20200142495A1 (en) Gesture recognition control device
KR20170060353A (ko) 전자 장치, 거리 측정 센서 및 그 제어 방법
JP2004246578A (ja) 自己画像表示を用いたインタフェース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228120A1 (en) Scroll mode for touch/pointing control
US11054896B1 (en) Displaying virtual interaction objects to a user on a reference plane
US20070146320A1 (en) Information input system
JP2014211858A (ja) ジェスチャに基づく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259265A1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navigating and inputting or revising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443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29

Effective date: 2017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