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705A -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705A
KR20100060705A KR1020080119421A KR20080119421A KR20100060705A KR 20100060705 A KR20100060705 A KR 20100060705A KR 1020080119421 A KR1020080119421 A KR 1020080119421A KR 20080119421 A KR20080119421 A KR 20080119421A KR 20100060705 A KR20100060705 A KR 20100060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ona
geomagnetic storm
geomagnetic
release
st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1530B1 (ko
Inventor
김록순
조경석
김관혁
최성환
백지혜
봉수찬
Original Assignee
한국 천문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천문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천문 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19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530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6Measuring atmospheric potential differences, e.g. due to electrical charges in clou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8Adaptations of balloons, missiles, or aircraft for meteorological purposes; Radioson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2001/006Main server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from several sub-statio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을 이용한 지자기폭풍 예보 시스템은, 코로나물질방출 자동검출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DB)를 가지며, 상기 코로나물질방출 자동검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의 코로나물질방출 인자를 수집하고, 수집된 코로나물질방출 인자에 대하여 시스템 운용자에 의해 측정, 판단 및 리스트화되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DB에 저장하는 서버; 상기 DB에 저장된 코로나물질방출 인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코로나물질방출에 따른 충격파가 지구에 도달할 예상시각, 예상되는 지자기폭풍의 강도 및 발생확률을 계산하는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 및 현재의 우주환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에 의해 계산된 결과를 바탕으로 지자기폭풍의 예보 및 경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위성과 관측소에서 관측한 자료를 토대로 코로나물질방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지자기폭풍 예보 모델을 이용하여 지자기폭풍의 발생시각, 강도 및 확률을 예보함으로써 지자기폭풍에 따른 피해에 미리 대처할 수 있다.
코로나물질방출, 지자기, 폭풍, 플레어, 예보

Description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forecasting geomagnetic storm using coronal mass ejection phenomen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 위성과 관측소에서 관측한 자료를 토대로 코로나물질방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지자기폭풍 예보 모델을 이용하여 지자기폭풍의 발생시각, 강도 및 확률을 예보함으로써 지자기폭풍에 따른 피해에 미리 대처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주환경은 자기권, 이온권, 열권 등의 지구 주변뿐만 아니라, 태양 및 태양과 지구 사이의 공간의 상태로 우주환경 교란이 발생할 경우, 우주에서 또는 지상에서 운용되는 과학기술 시스템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에도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우주환경과 관련된 현상으로는 지자기 폭풍과 부폭풍(substorm), 프로톤 현상(태양입자활동), 전파 두절 등 다양한 물리적 현상이 있다. 이 중에서 지자기 폭풍은 대기밀도를 변화시켜 저궤도 위성의 성능을 급격히 떨어뜨리거나 우주선의 센 서나 전자부품들에 고장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고위도로 운항하는 항공기에 탑승한 승객은 고에너지 방사선에 노출되기도 한다. 이러한 지자기 폭풍은 주로 태양의 급격한 폭발 현상인 코로나 물질 방출이 지구에 도달하여 자기권을 압축하여 발생한다. 자기를 띤 플라즈마 거품인 코로나 물질 방출은 특히 방출각도가 커서 태양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보이는 헤일로(halo) 코로나물질 방출일 때, 지구에 정면으로 도달하기 때문에 지자기와 상호작용하여 지자기 폭풍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코로나물질 방출은 발생 후 1∼3일 이내에 지구에 도달하기 때문에 수 분에서 수 시간 이내에 지구에 도달하는 다량의 X-선이나 고에너지 입자로 인한 우주환경 변화현상에 비해 예보 및 경보와 그에 따른 대비가 가능하다.
그러나, 코로나물질 방출이 모두 우주환경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며, 약 40% 정도의 헤일로 코로나물질 방출만이 지자기폭풍과 관련이 있다. 때문에 코로나물질 방출의 어떤 성질이 지자기폭풍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코로나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폭풍 예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코로나물질 방출이 발생한 태양표면 활동영역의 위치와 자기장 방향, 방출되어 나가는 속도, 그리고 방출 방향을 표현하는 방향 인자(direction parameter) 등이 지자기폭풍에 영향을 주는 인수들로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실시간의 우주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곳은 많이 있지만, 코로나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1∼3일 이내의 지자기폭풍을 예보하는 곳은 없다. 즉, 실생활에서 이용될 수 있는 지자기폭풍 예보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여러 위성과 관측소에서 관측한 자료를 토대로 코로나물질방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지자기폭풍 예보 모델을 이용하여 지자기폭풍의 발생시각, 강도 및 확률을 예보함으로써 지자기폭풍에 따른 피해에 미리 대처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을 이용한 지자기폭풍 예보 시스템은,
운용 프로그램의 하나로서 코로나물질방출 자동검출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DB)를 가지며, 인공위성 및 관측소를 통해 관측된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에 대해 인터넷에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코로나물질방출 자동검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의 코로나물질방출 인자를 수집하고, 수집된 코로나물질방출 인자에 대하여 시스템 운용자에 의해 측정, 판단 및 리스트화되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DB에 저장하는 서버;
상기 DB에 저장된 코로나물질방출 인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코로나물질방출에 따른 충격파가 지구에 도달할 예상시각, 예상되는 지자기폭풍의 강도 및 발생확률을 계산하는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 및
현재의 우주환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에 의해 계 산된 결과를 바탕으로 지자기폭풍의 예보 및 경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는 미리 설정된 충격파 도달 모델을 이용하여 지자기폭풍 발생 시각을 예측하고, 미리 설정된 지자기폭풍 예보 모델을 이용하여 지자기폭풍의 강도 및 확률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방법은,
코로나물질방출 자동검출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DB)를 가지며, 코로나물질방출 현상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서버와; 상기 코로로물질방출 현상에 따른 예상 지자기폭풍 강도 및 발생확률을 계산하는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와; 현재의 우주환경 및 지자기폭풍의 예보 및 경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시스템에 의한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방법으로서,
a) 인공위성 및 관측소를 통해 관측된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에 대해 인터넷에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코로나물질방출 자동검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의 코로나물질방출 인자를 수집하고, 수집된 코로나물질방출 인자에 기초하여 지구영향인자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결정된 지구영향인자를 바탕으로 상기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에 의해 코로나물질방출에 따른 충격파가 지구에 도달할 시각, 예상되는 지자기폭풍의 강도 및 발생확률을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에 의해 계산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지자기폭풍의 예보 및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충격파가 지구에 도달할 시각, 예상되는 지자기폭풍의 강도 및 발생확률을 계산함에 있어서, 경험적인 공식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계산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c)에서 태양의 폭발현상, 우주공간과 지구자기장의 상태와 같은 현재의 우주환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위성과 관측소에서 관측한 자료를 토대로 코로나물질방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지자기폭풍 예보 모델을 이용하여 지자기폭풍의 발생시각, 강도 및 확률을 예보함으로써 지자기폭풍에 따른 피해에 미리 대처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을 이용한 지자기폭풍 예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을 이용한 지자기폭풍 예보 시스템은 서버(110),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120) 및 모니터링 장치(130)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110)는 운용 프로그램의 하나로서 코로나물질방출 자동검출 프로그램(112)과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DB)(114)를 가지며, 인공위성 및 관측소를 통해 관측된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에 대해 인터넷에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코로나물질방출 자동검출 프로그램(112)을 이용하여 각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의 코로나물질방출 인자를 수집하고, 수집된 코로나물질방출 인자에 대하여 시스템 운용자에 의해 측정, 판단 및 리스트화되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DB(114)에 저장한다.
상기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120)는 상기 DB(114)에 저장된 코로나물질방출 인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코로나물질방출에 따른 충격파가 지구에 도달할 시각 예측, 예상되는 지자기폭풍의 강도 및 발생확률을 계산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120)는 미리 설정된 충격파 도달 모델을 이용하여 지자기폭풍 발생 시각을 예측하고, 또한 미리 설정된 지자기폭풍 예보 모델을 이용하여 지자기폭풍의 강도 및 확률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120)는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서버(110)와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서버(110)에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120)가 갖는 기능을 모두 부여함으로써 서버(110)가 서버의 원래 기능 및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120)가 가졌던 기능을 모두 발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130)는 현재의 우주환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120)에 의해 계산된 결과를 바탕으로 지자기폭풍의 예보 및 경보를 출력한다. 즉, 모니터링 장치(130)는 태양 플레어(flare)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X-선 강도, 코로나물질방출 발생상황, 인공위성이 관측한 현재의 태양-지구 공간의 상태, 현재의 지구자기장의 상태, 예보된 지자기 지수 등을 모니터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지자기 폭풍 예보 시스템에 의한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방법의 실행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방법에 따라, 먼저 인공위성 및 관측소를 통해 관측된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에 대해 인터넷에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코로나물질방출 자동검출 프로그램(112)을 이용하여 각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의 코로나물질방출 인자를 수집하고(단계 S210), 그 수집된 코로나물질방출 인자에 기초하여 지구영향인자를 결정한다(단계 S220). 여기서, 이와 같은 지구영향인자의 결정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된다.
이후, 상기 결정된 지구영향인자를 바탕으로 상기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 (120)에 의해 코로나물질방출에 따른 충격파가 지구에 도달할 시각, 예상되는 지자기폭풍의 강도 및 발생확률을 계산한다(단계 S230).
그런 다음, 상기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120)에 의해 계산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모니터링 장치(130)에 의해 지자기폭풍의 예보 및 경보를 출력한다(단계 S240).
여기서, 상기 단계 S230에서 상기 충격파가 지구에 도달할 시각, 예상되는 지자기폭풍의 강도 및 발생확률을 계산함에 있어서, 경험적인 공식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계산한다.
또한, 상기 단계 S240에서 상기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120)에 의해 계산된 결과를 바탕으로 한 지자기폭풍의 예보 및 경보의 출력뿐만 아니라, 태양의 폭발현상, 우주공간과 지구자기장의 상태와 같은 현재의 우주환경을 더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은 코로나물질방출과 관련하여 지구영향인자의 결정, 지자기폭풍 예보 모델, 모니터링 장치에서의 우주환경 모니터링 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서 위의 내용들에 대하여 각각 설명해 보기로 한다.
<코로나물질방출의 주요 지구영향인자의 결정>
본 발명에 따른 지자기폭풍 예보 시스템에 의한 예보는 지자기폭풍 예보기간을 선택함으로써 시작되며, 가장 최근의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 실시간 지자기폭풍예보가 된다. 선택된 기간에 대하여 CACTus(Computer Aided CME Tracking)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코로나물질방출의 발생을 감지하며 코로나물질방출의 발생시각, 방출각도(DA), 방출속도(Speed) 등의 정보를 다음의 도 3과 같이 리스트로 만든다.
방출각도가 작은 현상은 규모가 작거나 지구로 향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감지된 모든 코로나물질방출 중에서 일정 범위 이상(예컨대, 120°이상)의 방출 각도를 갖는 것만을 선택하여 지자기폭풍 예보에 사용한다. 코로나물질방출 리스트에서 대상 코로나물질방출을 클릭하면 팝업 창을 통해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자료가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자료들은 인공위성이 관측한 태양면 극자외선 영상과 두 개의 코로나 영역 백색광 영상, 진동학을 이용하여 그려진 태양 뒷면의 활동영역 지도, 태양면의 활동영역 지도, 태양면의 자기장지도 등으로 지자기폭풍 예보 모델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지구영향인자들을 구하는데 이용된다.
위의 자료들을 이용하여 제일 먼저 코로나물질방출의 발생면이 지구방향인지, 지구 반대방향인지를 확인하고 태양뒷면에서 발생한 현상일 경우, 예보는 종료된다.
또한, 태양의 앞면에서 코로나질량방출이 발생한 경우, 발생영역의 위치, 자기장방향을 결정하고, 코로나물질방출의 형태로부터 진행방향을 구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지자기폭풍 예보 모델에 입력한다.
<지자기폭풍 예보 모델>
지자기폭풍 예보모델은 앞에서 구해진 지구영향인자들을 입력값으로 하여 지자기폭풍의 발생시각, 강도, 발생확률의 세가지 결과를 예보하는 모델이다.
지자기폭풍의 발생시각은 코로나물질방출의 초기 방출속도를 이용하여 태양지구간 공간을 진행해 오는데 필요한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예보할 수 있다.
지자기폭풍의 강도와 발생확률은 코로나물질방출의 발생위치, 자기장방향, 방출속도와 방출방향의 값에 따라 경험적으로 계산된 식에 의해 계산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모니터링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며, 예상되는 지자기변동의 강도가 기준 이상이 되면 지자기폭풍이 언제, 얼마나 강하게, 얼마의 확률로 일어날 것인지 도 6의 리스트로 나타낸 것과 같이 예보한다.
도 6의 예보 리스트는 지자기폭풍이 2003.11.20 12시에 85(nT)의 강도로 발생할 것임을 예보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우주환경 모니터링>
태양의 활동과 태양-지구간 공간, 그리고 지구의 자기장의 상태를 도 7에서와 같이, 함께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태양활동에 의한 지자기변동의 인과관계를 쉽게 추론하고 앞으로의 지자기변동을 예상할 수 있도록 한다.
태양에서 발생하는 대규모의 폭발현상은 플레어와 코로나물질방출인데 그 중 플레어를 감시하기 위하여 X-선 강도를 디스플레이 한다(도 7의 그래프에서 첫 번째 패널).
그리고, 코로나물질방출은 일시적인 폭발현상이기 때문에 발생시각에 방출속도와 분출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적절한 방법을 본 발명에서는 채용하고 있다(도 7의 그래프에서 두 번째 패널).
또한, 태양 활동의 전파를 확인하기 위하여 태양-지구간 공간의 행성간 자기장 성분과 태양풍의 속도와 밀도를 디스플레이 한다(도 7의 그래프에서 3, 4, 5번째 패널).
그리고, 지구자기장의 변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자기지수(Dst index)를 디스플레이 한다(도 7의 그래프에서 마지막 패널).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여러 위성과 관측소에서 관측한 자료를 토대로 코로나물질방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지자기폭풍 예보 모델을 이용하여 지자기폭풍의 발생시각, 강도 및 확률을 예보함으로써 지자기폭풍에 따른 피해에 미리 대처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을 이용한 지자기폭풍 예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방법의 실행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방법에 있어서, 지구영향인자의 결정과 관련된 정보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방법에 있어서, 코로나물질방출의 진행방향을 구하여 지자기폭풍 예보 모델에 입력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방법에 채용되는 지자기폭풍 예보 리스트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방법에 있어서, 지자기폭풍 예보 결과 및 태양-지구간 공간, 지구자기장 상태 등 우주환경을 함께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서버 112...코로나물질방출 자동검출 프로그램
114...데이터베이스(DB) 120...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
130...모니터링 장치

Claims (5)

  1. 운용 프로그램의 하나로서 코로나물질방출 자동검출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DB)를 가지며, 인공위성 및 관측소를 통해 관측된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에 대해 인터넷에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코로나물질방출 자동검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의 코로나물질방출 인자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코로나물질방출 인자에 대하여 시스템 운용자에 의해 측정, 판단 및 리스트화되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DB에 저장하는 서버;
    상기 DB에 저장된 코로나물질방출 인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코로나물질방출에 따른 충격파가 지구에 도달할 예상시각, 예상되는 지자기폭풍의 강도 및 발생확률을 계산하는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 및
    현재의 우주환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에 의해 계산된 결과를 바탕으로 지자기폭풍의 예보 및 경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을 이용한 지자기폭풍 예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는 미리 설정된 충격파 도달 모델을 이용하여 지자기폭풍 발생 시각을 예측하고, 미리 설정된 지자기폭풍 예보 모델을 이용하여 지자기폭풍의 강도 및 확률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을 이용한 지자기폭풍 예보 시스템.
  3. 코로나물질방출 자동검출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DB)를 가지며, 코로나물질방출 현상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서버와, 상기 코로로물질방출 현상에 따른 예상 지자기폭풍 강도 및 발생확률을 계산하는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와 현재의 우주환경 및 지자기폭풍의 예보 및 경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시스템에 의한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방법으로서,
    a) 인공위성 및 관측소를 통해 관측된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에 대해 인터넷에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코로나물질방출 자동검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코로나물질방출 현상의 코로나물질방출 인자를 수집하고, 수집된 코로나물질방출 인자에 기초하여 지구영향인자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결정된 지구영향인자를 바탕으로 상기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에 의해 코로나물질방출에 따른 충격파가 지구에 도달할 시각, 예상되는 지자기폭풍의 강도 및 발생확률을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지자기폭풍 예보 유니트에 의해 계산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지자기폭풍의 예보 및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충격파가 지구에 도달할 시각, 예상되는 지자기폭풍의 강도 및 발생확률을 계산함에 있어서, 경험적인 공식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태양의 폭발현상, 우주공간과 지구자기장의 상태와 같은 현재의 우주환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방법.
KR1020080119421A 2008-11-28 2008-11-28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21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421A KR101021530B1 (ko) 2008-11-28 2008-11-28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421A KR101021530B1 (ko) 2008-11-28 2008-11-28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705A true KR20100060705A (ko) 2010-06-07
KR101021530B1 KR101021530B1 (ko) 2011-03-16

Family

ID=4236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421A KR101021530B1 (ko) 2008-11-28 2008-11-28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53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0895A (zh) * 2012-01-29 2012-07-18 丁希庆 雷暴雨临近电子预警装置
KR101471509B1 (ko) * 2014-08-01 2014-12-11 (주)에스이랩 코로나 질량 방출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CN105183995A (zh) * 2015-09-11 2015-12-23 中国石油大学(北京) 利用pngspss找出埋地油气管网的地磁暴灾害突变点的方法
CN105260504A (zh) * 2015-09-11 2016-01-20 中国石油大学(北京) 一种埋地油气管道受地磁暴影响的gic和psp的计算方法
CN106971066A (zh) * 2017-03-16 2017-07-21 河南师范大学 基于神经网络模型预报地磁暴的方法
KR101845762B1 (ko) * 2017-01-25 2018-05-18 한국 천문 연구원 코로나 홀 및 cme 관측 자료를 이용한 지자기 교란 예측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KR102009464B1 (ko) 2018-07-18 2019-08-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 전면 자기장 지도를 이용한 태양 플레어 예측 장치 및 방법
CN111639301A (zh) * 2020-05-26 2020-09-08 国家卫星气象中心(国家空间天气监测预警中心) 一种地磁Ap指数中期预报方法
KR20220151246A (ko) * 2021-05-06 2022-11-15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참모총장) 극자외선 태양 영상을 사용하여 지자기 교란 지수를 예측하는 학습 방법 및 학습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및 테스트 장치
CN117010215A (zh) * 2023-09-28 2023-11-07 航天宏图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地球同步轨道高能电子通量预报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036A (ko) 2012-08-21 2014-03-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지 궤도 위성의 고장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1661472B1 (ko) * 2014-08-27 2016-10-04 한국 천문 연구원 우주환경 3차원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581836B1 (ko) 2015-07-15 2016-01-07 대한민국(국립전파연구원 우주전파센터장) Euv 디밍 현상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604298B1 (ko) 2015-11-16 2016-03-17 대한민국(국립전파연구원 우주전파센터장) 지구 자기장 유도 전류 상관 계수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6842B1 (en) 2000-04-18 2002-03-12 Carmel Systems, Llc Space weather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0895A (zh) * 2012-01-29 2012-07-18 丁希庆 雷暴雨临近电子预警装置
KR101471509B1 (ko) * 2014-08-01 2014-12-11 (주)에스이랩 코로나 질량 방출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CN105260504B (zh) * 2015-09-11 2018-02-02 中国石油大学(北京) 一种埋地油气管道受地磁暴影响的gic和psp的计算方法
CN105260504A (zh) * 2015-09-11 2016-01-20 中国石油大学(北京) 一种埋地油气管道受地磁暴影响的gic和psp的计算方法
CN105183995B (zh) * 2015-09-11 2017-12-19 中国石油大学(北京) 利用pngspss找出埋地油气管网的地磁暴灾害突变点的方法
CN105183995A (zh) * 2015-09-11 2015-12-23 中国石油大学(北京) 利用pngspss找出埋地油气管网的地磁暴灾害突变点的方法
KR101845762B1 (ko) * 2017-01-25 2018-05-18 한국 천문 연구원 코로나 홀 및 cme 관측 자료를 이용한 지자기 교란 예측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CN106971066A (zh) * 2017-03-16 2017-07-21 河南师范大学 基于神经网络模型预报地磁暴的方法
KR102009464B1 (ko) 2018-07-18 2019-08-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 전면 자기장 지도를 이용한 태양 플레어 예측 장치 및 방법
CN111639301A (zh) * 2020-05-26 2020-09-08 国家卫星气象中心(国家空间天气监测预警中心) 一种地磁Ap指数中期预报方法
CN111639301B (zh) * 2020-05-26 2023-05-23 国家卫星气象中心(国家空间天气监测预警中心) 一种地磁Ap指数中期预报方法
KR20220151246A (ko) * 2021-05-06 2022-11-15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참모총장) 극자외선 태양 영상을 사용하여 지자기 교란 지수를 예측하는 학습 방법 및 학습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및 테스트 장치
CN117010215A (zh) * 2023-09-28 2023-11-07 航天宏图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地球同步轨道高能电子通量预报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7010215B (zh) * 2023-09-28 2024-01-02 航天宏图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地球同步轨道高能电子通量预报方法、装置、设备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530B1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530B1 (ko) 코로나 물질 방출현상을 이용한 지자기 폭풍 예보 시스템 및 그 방법
Satriano et al. Earthquake early warning: Concepts, methods and physical grounds
JP2004501354A (ja) 宇宙気象予報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50138363A (ko) 지점 관측을 사용하여 기상 예보를 미세 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40095123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epicting plume arrival times
KR101834783B1 (ko) 3차원 지각구조 모델링 방법 및 지진조기경보 시스템
US10302816B2 (en) Method for lightning forecasting and alert system
Cremen et al. Developing a risk-informed decision-support system for earthquake early warning at a critical seaport
JP4506625B2 (ja) リアルタイム地震情報を利用した地震動の予測システム
Sobradelo et al. Short-term volcanic hazard assessment through Bayesian inference: retrospective application to the Pinatubo 1991 volcanic crisis
EP1639432A2 (en) Ct-analyst: a software system for zero latency, high fidelity emergency assessment of airborne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cbr) threats
Smith et al. Performance of interplanetary shock prediction models: STOA and ISPM
Srinivasa Kumar et al. A review of the progress, challenges and future trends in tsunami early warning systems
JP2018179580A (ja) 中性子強度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Fidani Probability, causality and false alarms using correlations between strong earthquakes and NOAA high energy electron bursts
Crosby et al. Forecasting the space weather impact: The COMESEP project
Thomas Lithosphere-Atmosphere-Ionosphere Coupling Processes for Pre-, Co-, and Post Earthquakes: A case study of Northern Mariana, USA Earthquake of 31st October, 2007
TW202307467A (zh) 異常檢測裝置、方法及程式
Pathy et al. Near real time ionospheric monitoring system over Malaysia using GPS Data: My-Iono Service
JP2009277125A (ja) 防災向け警報システム
Zillm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early warning systems
Kontogiannis et al. Building a new space weather facility at the National Observatory of Athens
Marzocchi et al. Tephra fall hazard for the Neapolitan area
Bingham et al. Operational space weather forecasting at the UK Met Office
Schumann et al. Early Warning For All With A Model-Of-Models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