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299A - Method,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virtual key on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Method,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virtual key on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299A
KR20100059299A KR1020080118028A KR20080118028A KR20100059299A KR 20100059299 A KR20100059299 A KR 20100059299A KR 1020080118028 A KR1020080118028 A KR 1020080118028A KR 20080118028 A KR20080118028 A KR 20080118028A KR 20100059299 A KR20100059299 A KR 20100059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key
virtual
event
ke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0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26711B1 (en
Inventor
김용
Original Assignee
유비벨록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벨록스(주) filed Critical 유비벨록스(주)
Priority to KR1020080118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711B1/en
Publication of KR20100059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2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7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supporting a virtual key in a touch screen, and a terminal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are provided to use an exclusive application for a keypad in a touch based terminal without a keypad by supporting virtual keys in the touch screen. CONSTITUTION: A virtual key display unit(110) displays a virtual key in a touch screen corresponding to a virtual key executing request. A touch event sensor(120) recognizes a touch event through the virtual key. An event converter(130) converts the touch event to a keypad event. The virtual key display unit receives the virtual key execution request according to an execution request of a user or execution of a keypad-only application and displays the virtual key.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Method,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Virtual Key on Touch Screen}Method,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Virtual Key on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키패드가 없는 터치 방식의 단말기에서도 키패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 terminal and a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a virtual key in a touch scree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 terminal, and a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a virtual key in a touch screen that enables the use of a keypad-only application even in a touch-type terminal without a keypad.

요즈음, LCD, 입력 장치 등의 단말기 기술 발전과 더불어, 입력 장치로서 키패드를 구비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을 통해 여러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 방식의 단말기 보급이 급속히 증가하고 추세이다. Nowadays, with the development of terminal technologies such as LCD and input devices, the spread of touch type terminals that receive various input information through a touch screen without a keypad as an input device is increasing rapidly.

한편, 많은 단말기 사용자들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모바일 게임, 노래방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중에는 터치 스크린을 지원하지 않는 키패드 전용의 애플리케이션들이 많이 있지만, 요즈음 많이 보급되고 있는 터치 방식의 단말기에서는 이들 키패드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many terminal users connect to the network to download and use various types of applications such as mobile games and karaoke, and among these applications, there are many applications for keypads that do not support the touch screen, but touches are being widely used these days. This type of terminal has a problem that these keypad-only applications cannot be executed.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키패드가 없는 터치 방식의 단말기에서도 키패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object to enable the use of keypad-only applications even in a touch-type terminal without a keypa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상키 실행 요청에 대하여 터치 스크린에 가상키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상키 표시부; 상기 가상키를 통해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인식하는 터치 이벤트 인식부; 및 상기 터치 이벤트를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하는 이벤트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rtual key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irtual key on a touch screen in response to a virtual key execution request; A touch event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that a touch event has occurred through the virtual key; And an event converter configured to convert the touch event into a keypad event.

또한, 본 발명은, 가상키 실행 요청을 전달받아, 터치 스크린에 가상키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상키 표시 단계; 상기 가상키를 통해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인식하는 터치 이벤트 인식 단계; 및 상기 터치 이벤트를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하는 이벤트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virtual key display step of receiving a virtual key execution request and displaying a virtual key on a touch screen; A touch event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that a touch event has occurred through the virtual key; And an event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touch event into a keypad event.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가상키 실행 요청을 전달받아, 터치 스크린에 가상키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상키 표시 기능; 상기 가상키를 통해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인식하는 터치 이벤트 인식 기능; 및 상기 터치 이벤트를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하는 이벤트 변환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supporting a virtual key in a touch screen, th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virtual key display function of receiving a virtual key execution request and displaying the virtual key on a touch screen; A touch event recognition function for recognizing that a touch event has occurred through the virtual key;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an event conversion function for converting the touch event into a keypad eve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키패드를 구비하지 않는 터치 방식의 단말기에서 가상의 키패드의 역할을 하는 가상키를 제공해주고, 이를 통해 입력된 터치 방식의 입력 정보를 키패드 방식의 입력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키패드가 없는 터치 방식의 단말기에서도 키패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 key serving as a virtual keypad is provided in a touch terminal that does not have a keypad, and converts the input touch type information into the keypad type input information.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a keypad-only application even in a touch terminal without a keypa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be another configuration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에서 가상키(Virtual Key)를 지원하는 단말기(1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100 supporting a virtual key i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단말기(100)는, 가상키 실행 요청에 대하여 터치 스크린에 가상키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상키 표시부(110); 디스플레이된 가상키를 통해 터치 이벤트(Touch Event)가 발생한 것을 인식하는 터치 이벤트 인식부(120); 및 인식된 터치 이벤트를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하는 이벤트 변환부(13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terminal 100 supporting a virtual key i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rtual key display unit 110 displaying a virtual key on a touch screen in response to a virtual key execution request; A touch event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ing that a touch event has occurred through the displayed virtual key; And an event converter 130 for converting the recognized touch event into a keypad event.

위에서 언급한 "가상키"는, 입력 장치로서 키패드를 구비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을 통해 여러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 방식의 단말기(100)에서 '가상의 키패드'의 역할을 한다. The above-mentioned "virtual key" serves as a "virtual keypad" in the touch-type terminal 100 that receives various input information through a touch screen without having a keypad as an input device.

위에서 언급한 "키패드 전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터치 스크린을 지원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예를 들어, 버튼 형태의 키패드로부터 방향키, 센터 키 등에 대한 입력 값을 이용하여 실행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모바일 게임 등이 이에 해당한다. The above-mentioned "keypad-only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that does not support a touch screen. For example, a mobile game that can be executed or operated by a user by using input values for a direction key, a center key, etc. from a keypad in the form of a button. And the like.

전술한 가상키 표시부(110)는, 사용자가 가상키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실행 요청에 따라 가상키 실행 요청을 입력받거나, 키패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가상키 실행 요청을 자동으로 전달받아, 가상키를 디스플레이한다. The virtual key display unit 110 receives a virtual key execution request according to a user execution request for the user to use the virtual key, or automatically receives a virtual key execu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a keypad-only application. Is displayed.

전술한 가상키 표시부(110)는, 이러한 가상키의 디스플레이 시, 가상키의 크기, 위치, 형태 및 투명도 등에서 하나 이상을 조절할 수 있다. The virtual key display unit 110 may adjust one or more in size, position, shape, transparency, etc. of the virtual key when the virtual key is displayed.

이러한 디스플레이되는 가상키의 크기, 위치, 형태 및 투명도 등은 디폴 트(Default)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적인 조절 설정 값 또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사양에 따라, 가상키의 크기, 위치, 형태 및 투명도 등에서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다. The size, position, shape, and transparency of the displayed virtual key may be set as the default, an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ve adjustment setting value or the display specification of the terminal, the size, position, shape, and the like of the virtual key may be set. You can adjust it by changing one or more of its transparency.

전술한 가상키 표시부(110)는,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에 가상 영역을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가상 영역이 포함된 가상키를 디스플레이한다. The above-described virtual key display unit 110 generates a virtual area on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100 and displays a virtual key including the generated virtual area.

여기서, '가상 영역'은, 일 예로서, 상(上) 방향키 영역, 하(下) 방향키 영역, 좌(左) 방향키 영역, 우(右) 방향키 영역 및 센터(Center) 키 영역 등에서 하나 이상의 세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virtual area' may be, for example, one or more details in an up arrow key area, a down arrow key area, a left arrow key area, a right arrow key area, and a center key area. It can include an area.

가상키 표시부(110)는, 이러한 가상 영역에 포함된 세부 영역의 개수, 크기, 위치, 형태 및 투명도 등에서 하나 이상을 조절할 수도 있다. The virtual key display unit 110 may adjust one or more of the number, size, position, shape, and transparency of the detailed areas included in the virtual area.

이러한 가상 영역에 포함된 세부 영역의 개수, 크기, 위치, 형태 및 투명도 등은 디폴트(Default)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적인 조절 설정 값 또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사양에 따라, 세부 영역의 개수, 크기, 위치, 형태 및 투명도 등에서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다. The number, size, position, shape, and transparency of the detailed areas included in the virtual area may be set as default, and according to the user's optional adjustment setting value or the display specification of the terminal, the number of detailed areas, One or more changes can be made in size, position, shape, and transparency.

또한, 가상키 표시부(110)는 가상키의 육안 식별 여부를 설정하고, 설정된 육안 식별 여부에 따라 가상키를 육안으로 보이게 또는 보이지 않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상키 표시부(110)는 가상키가 사용자의 육안으로 보이도록 디스플레이할지, 아니면 보이지 않도록 디스플레이할지를 설정하여, 육안으로 보이게 또는 보이지 않게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육안 식별 여부는 투명도의 설정을 통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rtual key display unit 110 may set whether the virtual key is visually identified and display the virtual key visually or invisibly according to the visual identification. In other words, the virtual key display unit 110 may set whether the virtual key is displayed to be visible to the naked eye of the user, or may be displayed to be invisible. Such visual identification can be realized through setting of transparency.

만약, 가상키가 육안으로 보이지 않도록 설정된다면, 설정된 가상키의 위치 또는 분할된 세부 영역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용자가 인식하여 가상키 작동을 시킬 수 있다. If the virtual key is set to be invisible to the naked eye, the user may be notified of the location of the set virtual key or the location of the divided subregion by allowing the user to recognize and operate the virtual key.

터치 이벤트 인식부(120)에서, 일 예로서, 상(上) 방향키 영역, 상기 하(下) 방향키 영역, 상기 좌(左) 방향키 영역, 상기 우(右) 방향키 영역 및 상기 센터(Center) 키 영역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세부 영역을 통한 터치 이벤트의 발생이 인식되면, 전술한 이벤트 변환부(130)는 인식된 '터치 이벤트'를 해당 영역에 해당하는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해준다. 이러한 키패드 이벤트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단말기가 아닌 물리적인 힘으로 키패드에 있는 버튼을 눌러서 작동시키는 단말기에서 인식될 수 있는 버튼 입력 또는 키 입력과 같은 정보이다. In the touch event recognition unit 120, for example, an up arrow key area, a down arrow key area, a left arrow key area, a right arrow key area, and a center key. When the occurrence of the touch event through one or more subregions of the region is recognized, the above-described event converting unit 130 converts the recognized 'touch event' into a 'keypad even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region. These keypad events are information such as button inputs or key inputs that can be recognized by a terminal operated by pressing a button on the keypad with a physical force rather than a touch screen terminal.

예를 들어, 터치 이벤트 인식부(120)에서 세부 영역인 상(上) 방향키 영역을 통한 터치 이벤트의 발생이 인지되면, 이벤트 변환부(130)는 상(上) 방향키 영역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를 상(上) 방향키에 해당하는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해준다. For example, when the touch event recognition unit 120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touch event through the up direction key area, which is a detailed area, the event converting unit 130 recognizes the touch event generated in the up direction key area. (Up) Converts to keypad event corresponding to directional key.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단말기가 아닌 물리적인 힘으로 키패드에 있는 버튼을 눌러서 작동시키는 단말기에서만 실행되고 동작할 수 있는 '키패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이벤트 변환부(140)에서 변환된 키패드 이벤트를 적용하는 키패드 이벤트 적용부(1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terminal 100 supporting a virtual key i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only in a terminal operated by pressing a button on a keypad with a physical force rather than a touch screen terminal. The keypad event application unit 140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apply a keypad event converted by the event conversion unit 140 to a 'keypad-only application' that can be opera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upporting a virtual key i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방법은, 가상키 실행 요청을 전달받아, 터치 스크린에 가상키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상키 표시 단계(S200); 디스플레이된 가상키를 통해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인식하는 터치 이벤트 인식 단계(S202); 및 인식된 터치 이벤트를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하는 이벤트 변환 단계(S204) 등을 포함한다. 2, a method of supporting a virtual key i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virtual key execution request and displaying a virtual key on the touch screen (S200); A touch event recognition step (S202) of recognizing that a touch event has occurred through the displayed virtual key; And an event conversion step (S204) for converting the recognized touch event into a keypad event.

전술한 가상키 표시 단계(S200)는, 일 예로서,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을 상(上) 방향키 영역, 하(下) 방향키 영역, 좌(左) 방향키 영역, 우(右) 방향키 영역 및 센터(Center) 키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세부 영역을 포함하는 가상 영역을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가상 영역이 포함된 가상키를 디스플레이한다. In the above-described virtual key display step (S200), for example,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100, the upper direction key area, the lower direction key area, the left direction key area, the right direction key area. And a virtual region including at least one subregion of a center key region, and displays a virtual key including the generated virtual reg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방법은, 터치 스크린 방식의 단말기가 아닌 물리적인 힘으로 키패드에 있는 버튼을 눌러서 작동시키는 단말기에서만 실행되고 동작할 수 있는 '키패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이벤트 변환 단계(S204)에서 변환된 키패드 이벤트를 적용하는 키패드 이벤트 적용 단계(S20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method for supporting a virtual key i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cuted and operated only in a terminal operated by pressing a button on a keypad with a physical force, not a touch screen terminal. The keypad only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keypad event application step S206 of applying the keypad event converted in the event conversion step S204.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The method for supporting a virtual key i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a program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가상키 실행 요청을 전달받아, 터치 스크린에 가상키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상키 표시 기능; 가상키를 통해 터치 이벤트 가 발생한 것을 인식하는 터치 이벤트 인식 기능; 및 터치 이벤트를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하는 이벤트 변환 기능 등을 구현한다. A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supporting a virtual key i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rtual key display function for receiving a virtual key execution request and displaying the virtual key on the touch screen; A touch event recognition function for recognizing that a touch event has occurred through the virtual key; And an event conversion function for converting a touch event into a keypad ev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 program for realizing a method for supporting a virtual key i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s all kinds of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Device.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which are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also includes.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3 및 도 4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가상키의 2가지 예시도이다. 단, 도 3 및 도 4에서의 가상키(300 및 400)는 그 기능은 동일하나, 가상키의 위치 및 크기 등의 표시 방식에서만 차이가 있다. 3 and 4 are two exemplary diagrams of virtual key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However, the virtual keys 300 and 400 in FIGS. 3 and 4 have the same function, but differ only in a display method such as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virtual key.

도 3을 참조하면, 가상키(300)가 상 방향키 영역(310), 하 방향키 영역(320), 좌 방향키 영역(330), 우 방향키 영역(340) 및 센터 영역(350)을 포함하는 5개의 세부 영역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키(300)가 터치 스 크린(30)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가상키(300)를 이용하여 단말기 기능 또는 키패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상키(300)는 높은 투명도로 조절되거나 육안 식별 여부가 식별 불가능으로 설정되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five virtual keys 300 include an up arrow key area 310, a down arrow key area 320, a left arrow key area 330, a right arrow key area 340, and a center area 350. Includes detailed areas. As shown in FIG. 3, since the virtual key 300 occupies most of the touch screen 30, in order to use a terminal function or a keypad-only application using the virtual key 300, a virtual key ( 300 may be adjusted to a high degree of transparency or to be visually identified as being set to be unidentifiable.

도 4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가상키의 다른 예시도이다. 4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of a virtual key displayed on a touch screen.

도 4를 참조하면, 가상키(400)가 상 방향키 영역(410), 하 방향키 영역(420), 좌 방향키 영역(430), 우 방향키 영역(440) 및 센터 영역(450)을 포함하는 5개의 세부 영역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가상키(400)는, 도 3의 가상키(300)에 비해, 그 크기 및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이 터치 스크린(4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상키(400)를 적용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키패드 전용 애플리케이션 등은 가상키(400)의 윗부분(41)에 표시될 수 있다. 즉, 가상키(400) 및 이를 적용한 키패드 전용 애플리케이션 등이 표시되는 영역(41)은 분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five virtual keys 400 include an up arrow key area 410, a down arrow key area 420, a left arrow key area 430, a right arrow key area 440, and a center area 450. Includes detailed areas. Compared to the virtual key 300 of FIG. 3, the virtual key 400 illustrated in FIG. 4 may have its size and position adjusted so that the displayed portion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ouch screen 40. In this case, a keypad-only application to be used by applying the virtual key 400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portion 41 of the virtual key 400. That is, the area 41 in which the virtual key 400 and the keypad-only application using the same are displayed may be separa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키패드를 구비하지 않는 터치 방식의 단말기에서 가상의 키패드의 역할을 하는 가상키를 제공해주고, 이를 통해 입력된 터치 방식의 입력 정보를 키패드 방식의 입력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키패드가 없는 터치 방식의 단말기에서도 키패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 key serving as a virtual keypad is provided in a touch terminal that does not have a keypad, and converts the input touch type information into the keypad type input information.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a keypad-only application even in a touch terminal without a keypad.

또한, 본 발명은, 가상키의 크기, 위치, 형태 및 투명도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기능과, 가상키의 육안 식별 여부를 설정하여 가상키를 육안으로 보이게 또 는 보이지 않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단말기의 이용에 편리함으로 주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size, position, shape and transparency of the virtual key, and by setting the visual identification of the virtual key to enable the display of the virtual key visible or invisible, There is an effect that gives convenience to the use of the terminal.

예를 들어, 가상키로 인하여 게임 화면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 육안 식별 여부 정보 또는 투명도를 조절하여 설정함으로써, 가상키가 육안으로 보이지 않게 또는 흐릿하게 보이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게임 화면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하고, 이와 겹치지 않는 부분에 가상키를 위치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game screen is hard to be seen due to the virtual key, the virtual key may be set to be invisible or blurry by adjusting vis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ransparency. In addition,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game screen may be adjusted, and the virtual key may be positioned at a portion that does not overlap.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all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independent hardware, each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functions combined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a.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 carrier wave medium, and the lik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s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instea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s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대한 블록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supporting a virtual key i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upporting a virtual key i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가상키의 예시도,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virtual key displayed on a touch screen;

도 4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가상키의 다른 예시도이다. 4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of a virtual key displayed on a touch scree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단말기100: terminal

110: 가상키 표시부110: virtual key display unit

120: 터치 이벤트 인식부120: touch event recognition unit

130: 이벤트 변환부130: event conversion unit

140: 키패드 이벤트 적용부140: keypad event application unit

300: 가상키300: virtual key

Claims (13)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In a terminal supporting a virtual key on a touch screen, 가상키 실행 요청에 대하여 터치 스크린에 가상키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상키 표시부; A virtual key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irtual key on a touch screen in response to a virtual key execution request; 상기 가상키를 통해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인식하는 터치 이벤트 인식부; 및 A touch event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that a touch event has occurred through the virtual key; And 상기 터치 이벤트를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하는 이벤트 변환부An event converter converting the touch event into a keypad even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단말기. Terminal supporting a virtual key on the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상키 표시부는, The virtual key display unit, 사용자 실행 요청에 따라 상기 가상키 실행 요청을 입력받거나, 키패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가상키 실행 요청을 전달받아, 상기 가상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단말기. And receiving the virtual key execution request in response to a user execution request, or receiving the virtual key execution request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a keypad-only application, and displaying the virtual ke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상키 표시부는, The virtual key display unit, 상기 가상키의 크기, 위치, 형태 및 투명도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단말기. The terminal supporting the virtual key in the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size, position, shape and transparency of the virtual ke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상키 표시부는, The virtual key display unit,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상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상 영역이 포함된 상기 가상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단말기. And generating a virtual area on the touch screen and displaying the virtual key including the generated virtual area on the touch screen.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가상 영역은, The virtual area, 상(上) 방향키 영역, 하(下) 방향키 영역, 좌(左) 방향키 영역, 우(右) 방향키 영역 및 센터(Center) 키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세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단말기.Virtual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sub-regions of the up direction key area, the down direction key area, the left direction key area, the right direction key area, and the center key area. Terminals that support keys.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가상키 표시부는, The virtual key display unit, 상기 가상 영역에 포함된 세부 영역의 개수, 크기, 위치, 형태 및 투명도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단말기. The terminal supporting the virtual key in the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size, position, shape and transparency of the detailed area included in the virtual area.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상(上) 방향키 영역, 상기 하(下) 방향키 영역, 상기 좌(左) 방향키 영역, 상기 우(右) 방향키 영역 및 상기 센터(Center) 키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세부 영역을 통한 상기 터치 이벤트의 발생이 인식되면, The touch event through one or more sub-areas of the up direction key area, the down direction key area, the left direction key area, the right direction key area, and the center key area. If an occurrence is recognized, 상기 이벤트 변환부는, The event conversion unit, 상기 인식된 터치 이벤트를 해당 영역에 해당하는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단말기.And a terminal for supporting a virtual key in the touch screen, wherein the recognized touch event is converted into a keypad event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region.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가상키 표시부는,The virtual key display unit, 상기 가상키의 육안 식별 여부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육안 식별 여부에 따라 상기 가상키를 육안으로 보이게 또는 보이지 않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단말기. And a terminal for visually identifying the virtual key and displaying the virtual key visually or invisibly according to the set visual identif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키패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변환된 키패드 이벤트를 적용하는 키패드 이벤트 적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단말기.And a keypad event application unit for applying the converted keypad event to a keypad-only application.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of supporting a virtual key on the touch screen, 가상키 실행 요청을 전달받아, 터치 스크린에 가상키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상 키 표시 단계; Receiving a virtual key execution request and displaying a virtual key on a touch screen; 상기 가상키를 통해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인식하는 터치 이벤트 인식 단계; 및 A touch event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that a touch event has occurred through the virtual key; And 상기 터치 이벤트를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하는 이벤트 변환 단계An event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touch event into a keypad even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방법. Method for supporting a virtual key on the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가상키 표시 단계는, The virtual key display step, 상기 터치 스크린을 상(上) 방향키 영역, 하(下) 방향키 영역, 좌(左) 방향키 영역, 우(右) 방향키 영역 및 센터(Center) 키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세부 영역을 포함하는 가상 영역을 생성하고, The virtual scree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virtual area including at least one subregion of an upper direction key area, a lower direction key area, a left direction key area, a right direction key area, and a center key area. and, 상기 생성된 가상 영역이 포함된 상기 가상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방법. And displaying the virtual key including the generated virtual area on the touch screen. 제 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키패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변환된 키패드 이벤트를 적용하는 키패드 이벤트 적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방법. And applying a keypad event to the keypad-only application to apply the converted keypad event. 터치 스크린에서 가상키를 지원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 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In a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supporting a virtual key on a touch screen, 가상키 실행 요청을 전달받아, 터치 스크린에 가상키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상키 표시 기능; A virtual key display function of receiving a virtual key execution request and displaying a virtual key on a touch screen; 상기 가상키를 통해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인식하는 터치 이벤트 인식 기능; 및 A touch event recognition function for recognizing that a touch event has occurred through the virtual key; And 상기 터치 이벤트를 키패드 이벤트로 변환하는 이벤트 변환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implementing an event conversion function for converting the touch event into a keypad event.
KR1020080118028A 2008-11-26 2008-11-26 Method,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Virtual Key on Touch Screen KR1010267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028A KR101026711B1 (en) 2008-11-26 2008-11-26 Method,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Virtual Key on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028A KR101026711B1 (en) 2008-11-26 2008-11-26 Method,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Virtual Key on Touch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299A true KR20100059299A (en) 2010-06-04
KR101026711B1 KR101026711B1 (en) 2011-04-08

Family

ID=4236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028A KR101026711B1 (en) 2008-11-26 2008-11-26 Method,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Virtual Key on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71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1354A1 (en) * 2012-04-04 2013-10-10 Seo Ju Hong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for smart device
WO2014046389A1 (en) * 2012-09-21 2014-03-27 주식회사 원더피플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hat keypad
WO2015149047A1 (en) * 2014-03-28 2015-10-01 Intel Corporation Alternate dynamic keyboard for convertible tablet compute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4008B2 (en) * 2004-07-30 2009-11-03 Apple Inc. Operation of a computer with touch screen interface
KR100753041B1 (en) * 2006-05-29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ith a virtual mode di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1354A1 (en) * 2012-04-04 2013-10-10 Seo Ju Hong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for smart device
US9311000B2 (en) 2012-04-04 2016-04-12 Joo Hong Seo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for smart devices
WO2014046389A1 (en) * 2012-09-21 2014-03-27 주식회사 원더피플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hat keypad
WO2015149047A1 (en) * 2014-03-28 2015-10-01 Intel Corporation Alternate dynamic keyboard for convertible tablet computers
US9436295B2 (en) 2014-03-28 2016-09-06 Intel Corporation Alternate dynamic keyboard for convertible tablet compu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711B1 (en) 201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62479B (en) Split screen application switch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JP5635274B2 (en) Tactile sensation presentation apparatus and tactile sensation presentation method
CN10336553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creen in portable terminal
US201001822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aille input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00214218A1 (en) Virtual mouse
KR101332643B1 (en) Method for Providing Browsing Histor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CN103955333A (en) Device and method
KR102250599B1 (en) Touch execution device using a thumb
JP2012505443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econdary character rendering and input
JP2007207107A (en) Portable terminal
KR201400350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cons on mobile terminal
CN104035722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eventing faulty operation of virtual key
KR201200694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con in portable terminal
KR102091509B1 (en) Method for processing character input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401068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voice service in terminal for visually disabled peoples
EP2741208A1 (en)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of
CN103019585A (en) Single point control method and signal point control device of touch screen and mobile terminal
KR101026711B1 (en) Method,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Virtual Key on Touch Screen
US10628031B2 (en) Control instruction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W201020876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touch input method thereof
CN104866178A (en) Intelligent screenshot method and intelligent screenshot terminal
US7324082B2 (en) Portable data processing device with one touch control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US20140062653A1 (en) Lock releas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KR201401310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essage in a portable terminal
KR20170133047A (en) Virtual keyboard strucutre for mobile device,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virtual keyboard for mobile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application stored in media for execu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