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495A - Method for half- and full-duplex subscriber station operation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s - Google Patents

Method for half- and full-duplex subscriber station operation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495A
KR20100055495A KR1020107006048A KR20107006048A KR20100055495A KR 20100055495 A KR20100055495 A KR 20100055495A KR 1020107006048 A KR1020107006048 A KR 1020107006048A KR 20107006048 A KR20107006048 A KR 20107006048A KR 20100055495 A KR20100055495 A KR 20100055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downlink
frame
start time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0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크리슈나 바라찬드란
도뤼 깔랑
쉬암 피. 파레크
아쇼크 엔. 루드라파트나
Original Assignee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217,867 external-priority patent/US20100008332A1/en
Application filed by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55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4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3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for modulat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6Frame synchronisation, e.g. packet synchronisation, time division duplex [TDD] switching point detection or subfram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28Variabl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vel framing structure that can be used to smoothly evolve a Time Division Duplex (TDD) wireless communications technology to a Frequency Division Duplex wireless communications technology. A method for establishing the start time of an uplink frame that is offset in relation to a downlink frame by an allocation start time is provided. In addition, methods of allocating downlink and uplink resources for half-duplex and full frequency division duplex operation with adequate provisions for transmit-receive and receive-transmit time gaps are also provided.

Description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시스템들에서 하프― 및 풀―듀플렉스 가입자 스테이션 동작을 위한 방법{METHOD FOR HALF- AND FULL-DUPLEX SUBSCRIBER STATION OPERATION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S}METHOD FOR HALF- AND FULL-DUPLEX SUBSCRIBER STATION OPERATION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communication systems, and more particularly, to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ystems.

IEEE 802.16e/m 및 범용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롱 텀 에볼루션(UMTS-LTE: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Long Term Evolution)에 기초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기술들은 3G 셀룰러를 넘어 선택의 기술들이 되도록 잘 배치되어 있다. IEEE 802.16e는 스케일러블 대역폭, 서브채널화의 방법들에 기초한 분산 및 인접한 부반송파, 및 다중 안테나 기술들과 같은 다수의 진화된 능력들을 지원한다. IEEE 802.16e는 3G 시스템들에서 발견되는 여러 리소스 제어 능력들을 반영(mirror)할 수 있다.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technologies based on IEEE 802.16e / m an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Long Term Evolution (UMTS-LTE) are the technology of choice beyond 3G cellular. Well arranged. IEEE 802.16e supports a number of advanced capabilities such as scalable bandwidth, distributed and adjacent subcarriers based on methods of subchannelization, and multiple antenna technologies. IEEE 802.16e may mirror various resource control capabilities found in 3G systems.

IEEE 802.16e의 한 가지 제한점은 단일 주파수 반송파가 두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위해 이용되고, 다운링크 및 업링크가 시간으로 분리되는 TDD 동작에 실제로 현재 제한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표준의 산업 구현들은 WiMAX 포럼에 의해 지정된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프로파일에 현재 제한되어 있다. One limitation of IEEE 802.16e is that a single frequency carrier is currently used for both downlink and uplink, and is currently currently limited to TDD operations where the downlink and uplink are separated by time. Industrial implementations of this standard are currently limited to the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profile specified by the WiMAX Forum.

도 1은 현재의 IEEE 802.16e TDD 프레임 구조(100)를 도시한다. 각 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101)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들(102)로 분할된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101)은 프리엠블(111), 프레임 제어 헤더(FCH: Frame Control Header) 메시지(121), 다운링크 맵(DL-MAP) 메시지(131), 및 업링크 맵(UL-MAP) 메시지(141)를 포함하는 제어 오버헤드를 송신함으로써 시작한다. 1 shows a current IEEE 802.16e TDD frame structure 100. Each frame is divided into downlink sub-frames 101 and uplink sub-frames 102. The downlink sub-frames 101 may include a preamble 111, a frame control header (FCH) message 121, a downlink map (DL-MAP) message 131, and an uplink map (UL). Begin by sending a control overhead comprising a message (141).

프리엠블(111)은 프레임 동기화, 채널 상태 추정, 수신 신호 강도 및 신호대 간섭 잡음비(SINR: 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 추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The preamble 111 may be used for frame synchronization, channel state estimation, received signal strength, and 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 (SINR) estimation.

프레임 제어 헤더(FCH) 메시지(121), 다운링크 맵(DL- MAP) 메시지(131), 및 업링크 맵(UL-MAP) 메시지(141)는 프레임의 구조 및 구성을 기술한다.The frame control header (FCH) message 121, the downlink map (DL-MAP) message 131, and the uplink map (UL-MAP) message 141 describe th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of the frame.

송신-수신 전이 갭(TTG: Transmit-to-Receive Transition Gap)(103) 및 수신-송신 전이 갭(RTG: Receive-to-Transmit Transition Gap)(104)로 표시된 시간 갭들은, 송신 및 수신 기능들 사이의 전이들을 허용하기 위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101)과 업링크 서브-프레임(102) 사이와 각 프레임의 끝에 각각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ime gaps indicated by the transmit-to-receive transition gap (TTG) 103 and the receive-to-transmit transition gap (RTG) 104 are the transmit and receive functions. In order to allow transitions between, it is preferr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downlink sub-frame 101 and the uplink sub-frame 102 and at the end of each frame, respectively.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동작은 쌍 스펙트럼을 가진 오퍼레이터들에게 큰 관심이 있다. 그러나, FDD의 상호 동작 가능한 지원은, 이것이 기지국(BS) 및 이동국(MS)에 관련되므로, 다운링크 및 업링크 타이밍 관계들을 명확히 지정하는 새로운 프레이밍 구조 규정을 요구한다. 용어들, 이동국 및 가입자 스테이션은 본 명세서에서 서로 교환 가능하게 이용된다.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operation is of great interest to operators with a pair spectrum. However, the interoperable support of FDD requires a new framing structure specification that explicitly specifies downlink and uplink timing relationships, since it relates to the base station (BS) and the mobile station (MS). The terms mobile station and subscriber station are used interchangeably herein.

프레이밍 구조를 규정할 때에는 다수의 고려사항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제 1 고려사항은 현재의 TDD 구현들에 대한 과도한 하드웨어 변경들이 불필요하게 되도록 기존의 TDD 프레임 구조들의 수정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A number of considerations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fining the framing structure. The first consideration is to minimize modifications to existing TDD frame structures such that excessive hardware changes to current TDD implementations are unnecessary.

제 2 고려사항은 하프-듀플렉스 FDD(H-FDD) 가입자 스테이션 동작의 지원이다. 가입자 스테이션들에서 듀플렉서들의 제거는 낮은 비용의 단말기들을 가지고 TDD 단말 ASIC들이 풀 FDD 능력으로 발전하기가 훨씬 쉬워지게 한다. The second consideration is the support of half-duplex FDD (H-FDD) subscriber station operation. The elimination of duplexers at subscriber stations makes it much easier for TDD terminal ASICs to develop to full FDD capability with lower cost terminals.

제 3 고려사항은 동일한 섹터 반송파에서 H-FDD 및 풀 FDD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국들의 공존이다. 이것은, 단말기들이 더욱 복잡하게 되고 풀 FDD 능력으로 발전하기 때문에, H-FDD 단말기들에서의 오퍼레이터 투자들이 유지된다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A third consideration is the coexistence of mobile stations supporting H-FDD and full FDD operation on the same sector carrier. This will ensure that operator investments in H-FDD terminals are maintained, as terminals become more complex and develop into full FDD capability.

제 4 고려사항은 오버헤드가 TDD에 대해 감소되는 것이다. 적어도, 이것은 TDD 경우보다 더욱 나빠져서는 안된다. TDD에 대한 개선된 링크 버짓이 또한 존재한다. The fourth consideration is that overhead is reduced for TDD. At the very least, this should not be worse than the TDD case. There is also an improved link budget for TDD.

제 5 고려사항은 유휴 시간들을 최소화함으로써 공중 인터페이스 리소스들의 활용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The fifth consideration is to maximize utilization of air interface resources by minimizing idle times.

이들 능력들은 시스템들이 TDD로부터 FDD 동작으로 신속히 이주하고, 더 간단한 H-FDD 가입자 스테이션들이 배치되게 하고, 다른 FDD 기술들에 기초하여 WiMAX-기반 OFDMA 시스템들이 다른 시스템들과 경쟁하게 하는 개선들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These capabilities may provide improvements that allow systems to quickly migrate from TDD to FDD operation, allow simpler H-FDD subscriber stations to be deployed, and to allow WiMAX-based OFDMA systems to compete with other systems based on other FDD technologies.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that it can.

이 문제에 대해 이전에 제안된 프레이밍 구조 솔루션들은 동기된 다운링크 및 업링크 프레임 구조를 취하고, 업링크에 대한 다소 열화된 링크 버짓(link budget)을 유발할 수 있는 구역들로의 가입자 스테이션들의 그룹화 및 증가된 MAP 오버헤드와 같은 다수의 단점들을 가진다.The previously proposed framing structure solutions for this problem take a synchronized downlink and uplink frame structure, grouping subscriber stations into zones that can cause a somewhat degraded link budget for the uplink, and There are a number of disadvantages such as increased MAP overhead.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업링크 프레임의 시작이 다운링크 프레임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허용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오프셋은 할당 시작 시간(AST: Allocation Start Time)에 의해 표시된다. AST는 기지국(BS)에 의해 가입자 스테이션(SS)에 시그널링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래서 SS는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프레임 시작 및 종료 시간들 둘 모두를 안다.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beginning of an uplink frame to be offset relative to the downlink frame.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offset is indicated by Allocation Start Time (AST). The AST is preferably signaled to the subscriber station SS by the base station BS, so the SS knows both the downlink (DL) and uplink (UL) frame start and end times.

본 발명은 또한, 전체 시스템과 대조적으로 가입자마다 기초하여 수신-송신 및 송신-수신으로부터 전이 갭들의 시행을 허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MAP 메시지들과 같은 리소스 할당 메시지들의 수신시, 이동국이 특정 기간 동안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요구되는지에 대한 순위를 확립하게 하는 리소스 할당 규칙을 활용한다.The invention also allows for the enforcement of transition gaps from receive-send and transmit-receive on a per subscriber basis in contrast to the overall system.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resource allocation rule that, upon receipt of resource allocation messages such as MAP messages, establishes a ranking as to whether the mobile station is required to transmit or receive for a particular period of time.

기지국은 상이한 관심있는 프레임 지속구간들(FD들)을 지원할 수 있고, 이 지속구간들은 2.5 ms, 5 ms 및 10 ms 프레임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더 긴 프레임 지속구간들은 감소된 오버헤드 및 개선된 링크 버짓의 관점에서 다수의 이점을 가지지만, 더 짧은 프레임들은 개선된 지연 가능성을 제공한다. H-FDD 가입자 스테이션의 업링크 송신은 이것이 특정 다운링크 프레임에서 제어 영역을 수신하고, 동일한 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약하는 전이 갭들에 따라 업링크 상으로 후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스케줄링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가입자 스테이션이, 업링크 상으로 송신할 때, 프리엠블 및/또는 리소스 할당 메시지(WiMAX의 경우 MAP)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영역을 놓치는 것이 발생한다면, 그 다운링크 프레임 동안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없고 대응하는 UL 프레임에 대한 할당을 얻을 수도 없다는 것을 유념한다. The base station may support different frame durations (FDs) of interest, which duration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2.5 ms, 5 ms, and 10 ms frames. Longer frame durations have a number of advantages in terms of reduced overhead and improved link budget, while shorter frames provide improved latency possibilities. Uplink transmission of an H-FDD subscriber station is scheduled such that it receives a control region in a particular downlink frame, receives downlink data in the same frame, and subsequently transmits on the uplink according to the constraining transition gaps. It is possible to be. However, if a subscriber station misses a downlink control area containing a preamble and / or a resource allocation message (MAP in the case of WiMAX) when transmitting on the uplink, it will not receive data during that downlink frame. Note that neither can nor obtain an assignment for the corresponding UL frame.

풀-듀플렉스 동작은 이 능력을 소유하는 가입자 스테이션들에 대해 허용된다. 이들 가입자 스테이션들은 다른 H-FDD 가능한 가입자 스테이션들과 공존할 수 있고, 가입자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라디오 리소스들을 공유할 수 있다. 동시 송신 및 수신이 풀-듀플렉스 모바일들에 대해 가능하기 때문에, 전이 갭들에 대한 필요성이 없다. Full-duplex operation is allowed for subscriber stations that possess this capability. These subscriber stations may coexist with other H-FDD capable subscriber stations and may share radio resources as determined by the subscriber. Since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ossible for full-duplex mobiles, there is no need for transition gaps.

취해진 프레임 지속구간에 상관없이, UL 상으로의 송신들은 전체 프레임 기간에 미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은, 데이터 버짓들이 더욱 소수의 서브-채널들 및 더욱 많은 심볼들 상으로 송신될 수 있고, 따라서 UL에 대한 SINR을 개선시키기 때문에, 링크 버짓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미리 결정된 수의 서브-채널들에 대한 더 큰 버스트들이 스케줄링되도록 허용하고, 따라서 MAC 헤더의 프렉션과 임의의 주기적 리던던시 검사(CRC: cyclic redundancy check)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하프-듀플렉스 FDD 동작의 목적을 위한 구역들로의 프레임의 분할은 셀-에지 사용자들에 대한 커버리지의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Regardless of the frame duration taken, it may be desirable for transmissions on the UL to span the entire frame period. This provides a link budget advantage because data budgets can be transmitted on fewer sub-channels and more symbols, thus improving the SINR for the UL. It also allows larger bursts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sub-channels to be scheduled, thus reducing the fragmentation of the MAC header and any cyclic redundancy check (CRC) overhead. Partitioning of the frame into zones for the purpose of half-duplex FDD operation can cause loss of coverage for cell-edge users.

BS 스케줄러는, 여러 요인들을 고려함으로써 동시 DL-UL 동작을 지원할 수 없는 HFDD SS들에 대한 DL 및 UL 프레임들 둘 모두의 활용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여러 요인들은: UL 다중 액세스 채널(802.16에서 레인징 채널)의 알려진 위치들, DL 동작의 지원시 CQI 및 ACK/NACK 피드백 및 명목상의 DL 및 UL 프레임들 동안 DL 및 UL 할당 사이를 스위칭하기 위한 SSRTG/SSTTG 갭들의 알맞은 제공을 포함한다(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일 프레임 내의 정수값의 심볼들의 송신으로 인한 연속하는 DL 또는 UL 프레임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임의의 갭은 OFDMA 심볼 지속구간과 관련하여 OFDMA 심볼 주기적 프리픽스 지속구간의 적당한 선택에 의해 최소화될 수 있다. The BS scheduler can maximize the utilization of both DL and UL frames for HFDD SSs that cannot support simultaneous DL-UL operation b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and several factors include: UL multiple access channel (802.16 lanes) Known locations of the channel), CQI and ACK / NACK feedback in support of DL operation, and proper provision of SSRTG / SSTTG gaps for switching between DL and UL allocations during nominal DL and UL frames. Not limited). In an exemplary embodiment, any gap that occurs between successive DL or UL frames due to the transmission of integer values of symbols within a single frame is determined by appropriate selection of the OFDMA symbol periodic prefix duration with respect to the OFDMA symbol duration. Can be minimized.

하프 듀플렉스 가능한 SS는 충돌없이 DL 데이터 및 제어를 수신하고 UL데이터 및 제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SS는 DL에 대한 제어 메시지들을 처리하고 UL에 대해 송신할 준비를 할 수 있다. HFDD SS는 DL프레임의 일부에 대한 제어 및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동시 발생하는 UL 프레임의 일부에 대한 UL제어 및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A half duplex capable SS can receive DL data and control and transmit UL data and control without collision. In addition, the SS may process control messages for the DL and be ready to transmit for the UL. The HFDD SS may transmit UL control and data for a portion of the UL frames that occur simultaneously while receiving control and data for a portion of the DL frame.

WiMAX의 하프-듀플렉스 FDD 동작에 대해, 최대 공통성은 기존의 WiMAX TDD 프로파일로 유지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업링크 할당의 지속구간 및 AST는 UL-MAP에서의 기존 필드들을 통해 시그널링된다.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할당의 지속구간 및 AST는 UCD/DCD 메시지들을 통해 시그널링된다. 업링크/다운링크 프레임 타이밍 관계의 보존과 함께 이들 특징들은 ASIC 설계와의 호환성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고 따라서 WiMAX FDD 솔루션을 시장화할 시간을 감소시킨다.For half-duplex FDD operation of WiMAX, maximum commonality is maintained with the existing WiMAX TDD profile.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uration of the uplink allocation and the AST are signaled through existing fields in the UL-MAP. In an alternative exemplary embodiment, the duration of the assignment and the AST are signaled via UCD / DCD messages. Together with preservation of uplink / downlink frame timing relationships, these features ensure compatibility with ASIC designs, thus reducing the time to market WiMAX FDD solution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TDD 동작의 OFDMA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의 FDD 프레임 구조의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H-FDD 가입자 스테이션 동작을 도시한 FDD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가입자마다 기초하여 시행되는 수신-송신 및 송신-수신 갭들을 포함하는 H-FDD 및 풀 FDD 가입자 스테이션들의 동작을 도시한 FDD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다운링크 집약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H-FDD 가입자 스테이션에 대한 리소스 할당을 도시한 FDD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업링크 인텐시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H-FDD 가입자 스테이션에 대한 리소스 할당을 도시한 FDD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1 illustrates an OFDMA frame of a TD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FDD frame structure from a base station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n FDD frame structure illustrating H-FDD subscriber station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n FDD frame structure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H-FDD and full FDD subscriber stations with receive-transmit and transmit-receive gaps implemented on a per-subscriber basis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n FDD frame structure illustrating resource allocation for an H-FDD subscriber station executing a downlink intensive application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llustrates an FDD frame structure illustrating resource allocation for an H-FDD subscriber station executing an uplink intensive application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특히 IEEE 802.16e/WiMAX 기반 시스템에 응용 가능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2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프레임 구조(200)를 투시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제안된 프레임 구조(300)로의 H-FDD 동작을 도시하며; DL/UL 오프셋은 모듈로 FD로 도시된다.2-6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ose applicable to IEEE 802.16e / WiMAX based systems. FIG. 2 illustrates a frame structure 200 from a base station perspectively and FIG. 3 shows an H-FDD operation to the proposed frame structure 300; DL / UL offset is shown modulo FD.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업링크 프레임의 시작이 AST(할당 시작 시간)에 의해 다운링크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허용한다. AST는 기지국(BS)에 의해 가입자 스테이션(SS)에 시그널링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래서 DL 및 UL 프레임 시작 및 종료 시간들 둘 모두를 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시스템 실시예에서, AST는 FD보다 크지만 2*FD보다 작은 임의의 값을 취할 수 있고, 여기서 FD는 하나의 다운링크(DL) 또는 업링크(UL) 프레임의 더 큰 지속구간을 표시한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들의 주기적 성질로 인해, 실제 관측된 DL-UL 프레임 오프셋은 AST 모듈로 FD가 된다. 이것은, 리소스 할당 제어 메시지들(IEEE 802.16e/WiMAX에서의 소위 MAP 메시지들)을 통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 할당의 관련성이 관련되는 한, TDD 시스템들에 대한 유사한 거동을 유지한다. 대안적인 예시적 실시예에서, AST는 상기 간격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것은 FD 보다 적거나 2*FD보다 클 수 있다. 특히, 프레임보다 적은 감소된 할당 시작 시간은 처리 전력이 시간에 걸쳐 가입자 스테이션에서 증가할 때 가능하게 될 것이고, 주어진 단말기에 대한 DL-UL 리소스 할당 지연이 더 감소되도록 허용할 것이다.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tart of an uplink frame to be offset relative to the downlink by an AST (allocation start time). The AST is preferably signaled by the base station BS to the subscriber station SS, so it knows both the DL and UL frame start and end times. In the example system embodiments shown in FIGS. 2 and 3, the AST may take any value greater than FD but less than 2 * FD, where FD is one downlink (DL) or uplink (UL). Indicates the longer duration of the frame. In this case, due to the periodic nature of the frames, the actual observed DL-UL frame offset becomes FD with the AST module. This maintains similar behavior for TDD systems as far as the relevance of downlink and uplink resource allocation via resource allocation control messages (so-called MAP messages in IEEE 802.16e / WiMAX) is concerned. In alternative exemplary embodiments, the AST may not be limited to the interval, for example, it may be less than FD or greater than 2 * FD. In particular, a reduced allocation start time less than a frame will be possible when processing power increases at the subscriber station over time and will allow the DL-UL resource allocation delay for a given terminal to be further reduced.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또한, 전체 시스템 기초와 대조적으로 가입자 스테이션마다 기초하여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한 수신-송신 및 송신-수신으로부터의 전이 갭들을 도시한다. 하나의 가입자 스테이션에 대한 전이 갭은 다른 가입자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이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것은 송신/수신 전이 갭들로 인한 시스템으로의 비효율성이 도입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S. 3 and 4 also show transition gaps from receive-transmit and transmit-receive that are preferably implemented on a per subscriber station basis as opposed to the overall system basis. The transition gap for one subscriber station may be utilized to send data to or receive data from another subscriber station. This ensures that no inefficiency into the system due to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s is introduced.

도 5는 하프-듀플렉스 가능한 가입자 스테이션에 대한 다운링크 집약 애플리케이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입자 스테이션은 업링크 제어 영역 동안을 제외하고 모든 시간들 동안 수신 모드로 될 수 있다. 업링크 제어 영역 동안, 다운링크에 대한 피드백은 다운링크 할당과 업링크 제어 영역 사이의 전이 갭 동안 가입자 스테이션에 의해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5 shows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downlink intensive application for a half-duplex capable subscriber station. In the example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subscriber station may be in receive mode for all times except during the uplink control area. During the uplink control region, feedback for the downlink is preferably transmitted by the subscriber station during the transition gap between the downlink allocation and the uplink control region.

도 6은 하프-듀플렉스 가능한 가입자 스테이션에 대한 업링크 인텐시브 애플리케이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입자 스테이션은 프리엠블 및 MAP 메시지들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제어 영역 동안을 제외하고 모든 시간들에서 송신 모드로 될 수 있다. 6 shows an exemplary embodiment of an uplink intensive application for a half-duplex capable subscriber station.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the subscriber station may be in transmission mode at all times except during the downlink control region in which preamble and MAP messages are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전이 갭들의 시행 외에도, 리소스 할당 규칙들은, 이동국이 특정 기간 동안 송신 또는 수신되도록 요구되는지에 대한 순위를 확립하기 위하여, 리소스 할당 메시지들(예를 들면 MAP)의 수신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기지국들은, 섹터에서 이용되는 서브채널들의 수와 같은 시스템 파라미터들을 DL에 대해 주기적으로 방송한다. 이들 방송 메시지들(BM들)은 모든 가입자 스테이션들에 의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정 순위 규칙들은 방송 메시지 수신과 업링크 송신 사이의 충돌들을 해결하기 위해 하프-듀플렉스 가능한 가입자 스테이션들에 대해 규정되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BM들을 스케줄링할 때 임의의 UL 송신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회피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것은, 모든 하프 듀플렉스 MS들이 UL 송신 대역폭의 일부를 소모하지 않으면서 방송 메시지들을 얻게 한다.In addition to enforcement of transition gaps, resource allocation rules are preferably enforced upon receipt of resource allocation messages (eg MAP) to establish a ranking as to whether the mobile station is required to be transmitted or received for a particular period of time. For example, base stations periodically broadcast system parameters, such as the number of subchannels used in a sector, over the DL. These broadcast messages (BMs) are preferably intended for all subscriber stations, and certain ranking rules should be defined for half-duplex capable subscriber stations to resolve conflicts between broadcast message reception and uplink transmission. .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base station avoids scheduling any UL transmissions when scheduling BMs.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is allows all half duplex MSs to get broadcast messages without consuming a portion of the UL transmission bandwidth.

대안적인 예시적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선택된 H-FDD SS들에 대한 것이므로, UL 송신들을 스케줄링함으로써 UL 대역폭을 소모하는 것을 회피한다. 선택된 SS들은 UL 송신들과 겹치도록 스케줄링되는 임의의 BM들에 걸쳐 UL 허가들에 대한 더 높은 우선순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L 송신들과의 충돌로 인해 놓친 BM들을 복구하기 위한 SS에 대한 한 가지 가능한 방식은 BS가 사용자 트래픽으로서 SS에 대한 DL 베어러 송신 내의 요구된 BM 컨텐트를 삽입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SS는 다음 방송 수신 기회들 중 하나에서 BM을 수신해야 할 것이며, 이것은 BM 갱신들을 위한 일부 부가의 지연을 유발할 수 있다. BS 스케줄러는 많은 BM 및 UL 할당 충돌들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순위 규칙들이 충돌하더라도 동작을 허용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xemplary embodiment, the base station avoids consuming UL bandwidth by scheduling UL transmissions, as it is generally for selected H-FDD SSs. It is desirable for the selected SSs to provide higher priority for UL grants over any BMs scheduled to overlap UL transmissions. One possible way for an SS to recover BMs missed due to a collision with UL transmissions is for the BS to insert the requested BM content in the DL bearer transmission for the SS as user traffic. Otherwise, the SS will have to receive the BM at one of the next broadcast reception opportunities, which may cause some additional delay for BM updates. The BS scheduler can ensure that many BM and UL allocation conflicts do not occur, but allow operation even if the ranking rules conflict.

본 발명은, IEEE 802.16m 표준에 기초할 차세대 WiMAX 시스템들과 IEEE 802.16e/WiMAX에 기초하여 OFDMA 시스템들에 특히 다수의 이점들을 제공한다. 이점들의 예는 기존의 TDD 프레임 구조들과의 호환성, 풀 FDD에 대한 부드러운 전개, TDD와 유사한 리소스 할당 오버헤드 및 다른 FDD 솔루션들에 대한 감소된 오버헤드(더 높은 용량으로 전환), 개선된 링크 버짓, 및 커버리지 개선으로 전환하는 감소된 헤더/트레일러 오버헤드 프렉션들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umber of advantages in particular for OFDMA systems based on the next generation WiMAX systems and IEEE 802.16e / WiMAX that will be based on the IEEE 802.16m standard. Examples of advantages include compatibility with existing TDD frame structures, smooth deployment for full FDD, resource allocation overhead similar to TDD, and reduced overhead (transition to higher capacity) for other FDD solutions, improved links And reduced header / trailer overhead fractions that translate to budget and coverage improvements.

본 발명의 부가의 이점은 TDD 프로파일과 기존의 하드웨어 솔루션들과의 호환성이고, 따라서, FDD 솔루션에 대해 시장화할 시간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또한, 5ms 프레임 지속구간의 가정하에, 본 발명은, 제안된 2.5 ms DL/UL 프레임들과 같이 대안적인 솔루션들에 대해 MAP 오버헤드의 고정된 부분의 2x 감소를 제공한다. 프레임 지속구간 내의 동일한 수의 버스트들을 스케줄링하는 가정하에, MAP 오버헤드의 가변 부분은 또한 2의 인자만큼 감소된다. 본 발명은 또한 TDD에 대해 개선된 업링크 링크 버짓을 제공한다. An additional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mpatibility of the TDD profile with existing hardware solutions, thus significantly reducing the time to market for the FDD solution. Furthermore, under the assumption of 5 ms frame d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2x reduction of the fixed portion of MAP overhead for alternative solutions, such as the proposed 2.5 ms DL / UL frames. Under the assumption of scheduling the same number of bursts within the frame duration, the variable portion of the MAP overhead is also reduced by a factor of two.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mproved uplink link budget for TDD.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관심있는 상이한 프레임 지속구간들(예를 들면, 2.5 ms, 5 ms 및 10 ms 프레임들)의 지원을 제공한다. 도 4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듀플렉스 가능한 가입자 스테이션의 업링크 송신은 이것이 특정 다운링크 프레임으로 제어 영역을 수신하고, 동일한 프레임으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후속적으로 업링크 상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스케줄링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이동국 1(MS1), 이동국 3(MS3) 및 이동국 4(MS4)에 대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가입자 스테이션은 업링크 상으로 송신할 때 프리엠블 및/또는 리소스 할당 메시지(WiMAX의 경우에 MAP)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영역을 놓치는 일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 다운링크 프레임 동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을 유념한다.In additio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upport of different frame durations of interest (eg, 2.5 ms, 5 ms and 10 ms frames). As show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4, the uplink transmission of a half-duplex capable subscriber station is such that it receives a control region in a specific downlink frame, receives downlink data in the same frame, and subsequently ups. It is possible to be scheduled to transmit on the link. This is shown in FIG. 4 for mobile station 1 (MS1), mobile station 3 (MS3) and mobile station 4 (MS4). However, if a subscriber station misses a downlink control area containing a preamble and / or a resource allocation message (MAP in the case of WiMAX) when transmitting on the uplink, the subscriber station does not receive data during that downlink frame. Note that you can't receive it.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동국 1(MS1)이 프레임 k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인해 프레임 k+1에서 DL 제어 영역을 놓치고, 결과로서 프레임 k+1 동안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될 수 없는 경우를 도시한다. 그러나, 풀-듀플렉스 동작은 이 능력을 소유한 가입자 스테이션들에 대해 허용된다. 이들 가입자 스테이션들은 다른 H-FDD 가능한 가입자 스테이션들과 공존할 수 있고, 스케줄러에 의해 결정된 라디오 리소스들을 공유하다. 동시 송신 및 수신은 풀-듀플렉스 모바일들에 대해 가능하기 때문에, 전이 갭들에 대한 필요성이 없다. 또한, 이들 시간들 동안, UL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되지 않은 다른 가입자 스테이션들은 DL 제어 메시지들을 청취할 수 있고, 후속적으로 DL 데이터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4 is scheduled such that mobile station 1 (MS1) misses the DL control region in frame k + 1 due to uplink transmission in frame k and as a result receives downlink data during frame k + 1. The case that cannot be shown is shown. However, full-duplex operation is allowed for subscriber stations possessing this capability. These subscriber stations can coexist with other H-FDD capable subscriber stations and share radio resources determined by the scheduler. Since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ossible for full-duplex mobiles, there is no need for transition gaps. Also, during these times, other subscriber stations that are not scheduled for UL transmission can listen to DL control messages and subsequently receive DL data transmission.

프레임 지속구간에 상관없이, UL 상으로의 송신은 전체 프레임 기간에 미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데이터 버스트들이 더 소수의 서브-채널들 상으로 더 많은 심볼들이 송신되어야 할 수 있고 따라서 UL에 대한 SINR을 개선하므로 링크 버짓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업링크 프레임에서 모든 사용 가능한 심볼들(SFDD)을 요구하는 단일 서브채널에 대해 스케줄링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러한 경우는 동일한 송신이 STDD 심볼들에 걸쳐 스케줄링되어야 하는 TDD 경우와 비교될 수 있으며, 여기서 SFDD > STDD이다. 이 경우, 하나보다 많은 서브-채널은 TDD에서 송신을 스케줄링하는데 이용되어야 한다. (SFDD / STDD) = 2인 특정 경우, 신호대 간섭 잡음비는 TDD에 대한 FDD 경우에 3dB만큼 개선된다(간섭은 2개의 경우들에서와 유사하다고 가정한다). FDD 동작을 위한 구역들로의 프레임의 분할(일부 대안적인 제안들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은 셀-에지 사용자들에 대한 커버리지의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Regardless of the frame duration, the transmission on the UL preferably spans the entire frame period. This provides a link budget advantage because data bursts may have to be transmitted on more sub-channels and thus improve the SINR for the UL. For example, consider the case where a scheduling is for a single subchannel requiring all available symbols S FDD in an uplink frame. This case may be compared to the TDD case where the same transmission should be scheduled over S TDD symbols, where S FDD > S TDD . In this case, more than one sub-channel should be used to schedule transmissions in TDD. In the particular case where (S FDD / S TDD ) = 2, the signal-to-interference noise ratio is improved by 3 dB in the FDD case over TDD (assuming the interference is similar in the two cases). Partitioning of the frame into zones for FDD operation (as suggested in some alternative proposals) can cause loss of coverage for cell-edge users.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또한, 더 큰 버스트들이 미리 결정된 수의 서브-채널들에 대해 스케줄링되도록 허용하고, 따라서 MAC 헤더의 프렉션과 임의의 주기적 리던던시 검사(CRC)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PUSC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으로의 레이트 1/2 QPSK(Quadrature phase-shift keying)로의 송신과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15개의 사용 가능한 심볼들로의 예시적인 TDD 시스템 실시예에서, 신호 서브채널에 미치는 버스트에 대한 오버헤드 프렉션은 64/240 ~ 27%이다. 반면에 48개의 사용 가능한 심볼들로의 FDD(또는 H-FDD) 동작에 대해, 오버헤드 프렉션은 64/(16*48) ~ 8.3% 오버헤드로 감소된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allows larger bursts to be scheduled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sub-channels, thus reducing the fragmentation of the MAC header and any periodic redundancy check (CRC) overhead. In an exemplary TDD system embodiment of 15 usable symbols for uplink data and transmission at rate 1/2 Quadrature phase-shift keying (QPSK) to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using PUSC, The overhead fraction for bursts is 64/240 to 27%. On the other hand, for FDD (or H-FDD) operation with 48 usable symbols, the overhead fraction is reduced from 64 / (16 * 48) to 8.3% overhead.

WiMAX의 FDD 동작에 대해, 최대 공통성은 기존의 WiMAX TDD 프로파일로 유지된다. 할당 시작 시간 및 할당의 지속구간은 UL-MAP 메시지에서 기존의 필드들을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업링크/다운링크 프레임 타이밍 관계의 보존과 함께 이들 특징들은 ASIC 설계와의 호환성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고 따라서 WiMAX FDD 솔루션을 시장화할 시간을 감소시킨다.For the FDD operation of WiMAX, the maximum commonality is maintained with the existing WiMAX TDD profile. The allocation start time and duration of allocation may be signaled via existing fields in the UL-MAP message. Together with preservation of uplink / downlink frame timing relationships, these features ensure compatibility with ASIC designs, thus reducing the time to market WiMAX FDD solutions.

본 발명은 특정 예들에 의해 기술되었지만, 상기 기술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만 제한된다. 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specific examples, it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is only limited to the scope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200, 300: 프레임 구조200, 300: frame structure

Claims (10)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운링크 프레임을 위한 다운링크 시작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업링크 프레임을 위한 업링크 시작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업링크 시작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시작 시간으로부터 할당 시작 시간만큼 오프셋되는 상기 업링크 시작 시간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방법.
In a method of allocating downlink and uplink resources:
Determining a downlink start time for the downlink frame; And
Determining an uplink start time for an uplink frame, wherein
And determining the uplink start time from the downlink start time by an allocation start time offset from the downlink start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시간 갭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간 갭은 이동국이 다운링크 프레임과 업링크 프레임 사이를 스위칭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시간 갭 결정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할당 시작 시간이 상기 시간 갭보다 크도록 모바일 유닛에 대한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etermining a time gap, wherein the time gap further comprises determining the time gap, includ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mobile station to switch between a downlink frame and an uplink frame;
Allocating resources for a mobile unit such that the allocation start time is greater than the time gap.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갭을 결정하는 단계는 송신-수신 전이 갭(transmit-to-receive transition gap)을 포함하는 업링크 인텐시브 애플리케이션(uplink intensive application)에 대한 시간 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Determining the time gap includes determining a time gap for an uplink intensive application that includes a transmit-to-receive transition gap. How to allocate link resourc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갭을 결정하는 단계는 수신-송신 전이 갭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집약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시간 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Determining the time gap comprises determining a time gap for a downlink intensive application that includes a 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갭을 결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이동국에 기초하여 시간 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Determining the time gap comprises determining a time gap based on each mobile s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시작 시간을 이동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ending the allocation start time to a mobile s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프레임은 다운링크 지속구간(downlink duration)을 갖고, 상기 업링크 프레임은 업링크 지속구간을 갖고, 상기 할당 시작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지속구간 및 상기 업링크 지속구간의 최대치보다 큰,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ownlink frame has a downlink duration, the uplink frame has an uplink duration, and the allocation start time is greater than a maximum of the downlink duration and the uplink duration; How to allocate link and uplink resourc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시작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지속구간 및 상기 업링크 지속구간 최대치의 2배보다 짧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rein the allocation start time is less than twice the maximum of the downlink duration and the uplink du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복수의 이동국들에 대한 일련의 업링크 리소스 할당들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로서, 상기 일련의 업링크 리소스 할당들은 모든 상기 복수의 이동국들에 브로드캐스트 메시지(broadcast message)를 송신할 수 있는, 상기 일련의 업링크 리소스 할당들 스케줄링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cheduling a series of uplink resource allocations for a plurality of mobile stations in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wherein the series of uplink resource allocations can transmit a broadcast message to all of the plurality of mobile stations; And scheduling the series of uplink resource alloca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시작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업링크 제어 영역들의 공지된 위치들을 이용하는 업링크 시작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etermining the uplink start time comprises determining an uplink start time using known locations of uplink control regions.
KR1020107006048A 2007-09-27 2008-09-24 Method for half- and full-duplex subscriber station operation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s KR2010005549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9583607P 2007-09-27 2007-09-27
US60/995,836 2007-09-27
US12/217,867 2008-07-09
US12/217,867 US20100008332A1 (en) 2008-07-09 2008-07-09 Method for half-and full-duplex subscriber station operation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495A true KR20100055495A (en) 2010-05-26

Family

ID=40512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048A KR20100055495A (en) 2007-09-27 2008-09-24 Method for half- and full-duplex subscriber station operation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95958A2 (en)
JP (1) JP2010541381A (en)
KR (1) KR20100055495A (en)
CN (1) CN101809928A (en)
WO (1) WO2009042158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409B1 (en) * 2009-08-25 201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system
JP5511708B2 (en) * 2011-02-18 2014-06-04 株式会社Nttドコモ Mobile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9014110B2 (en) * 2011-07-18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Enabling half-duplex operation
US10405306B2 (en) 2011-09-29 2019-09-03 Qualcomm Incorporated Half-duplex operation for low cost wireless devices
FR2985124B1 (en) * 2011-12-22 2014-08-15 Cassidian Sas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215039B2 (en) * 2012-03-22 2015-12-15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evices for enabling half-duplex communication
US10172155B2 (en) * 2015-07-29 2019-01-01 Qualcomm Incorporated Bundling an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for enhanced machine-type communication
JPWO2017191809A1 (en) * 2016-05-02 2019-03-28 株式会社Nttドコモ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0790957B2 (en) 2016-06-22 2020-09-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to FDR-mode U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51331B2 (en) * 2018-05-11 2021-06-2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paire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an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schedul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17909T2 (en) * 1992-01-31 1997-06-12 Cit Alcatel Time slot allocation method in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ransmission system
GB2321160B (en) * 1996-12-09 2001-05-16 Nokia Mobile Phones Ltd Packet data
EP1213855A1 (en) * 2000-12-08 2002-06-12 Lucent Technologies Inc. Frame structure for TDD telecommunication systems
ATE434883T1 (en) * 2002-06-27 2009-07-15 Nokia Corp METHOD AND DEVICE FOR PLANNING A SEMI-DULEX TRANSMISSION
US7729330B2 (en) * 2003-05-27 2010-06-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cheduler and method of scheduling data for communication between a node station and plurality of radio terminals
ATE354226T1 (en) * 2003-06-25 2007-03-15 Siemens Spa Italiana BANDWIDTH ALLOCATION FOR UPWARD CONNECTION OF A POINT-TO-MULTI-POINT RADIO SYSTEM WITH ADAPTIVE CODING AND MODULATION OF PHYSICAL CHANNELS (ADAPTIVE PHY MODE)
JP4021396B2 (en) * 2003-09-25 2007-12-12 株式会社ケンウッド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mobile device
WO2007048478A1 (en) * 2005-10-26 2007-05-03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re Europe B.V.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ownlink and uplink sub-frames in a half duplex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09928A (en) 2010-08-18
WO2009042158A2 (en) 2009-04-02
WO2009042158A3 (en) 2009-07-09
JP2010541381A (en) 2010-12-24
EP2195958A2 (en)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08332A1 (en) Method for half-and full-duplex subscriber station operation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s
US11805498B2 (en) Flexible multiplexing of users with difference requirements in a 5G frame structure
USRE46529E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superframe structure
US8036145B2 (en) Frame structur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55495A (en) Method for half- and full-duplex subscriber station operation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s
EP2465281B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422411B2 (en) Flexible frame stru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408247B1 (en) Method of resource distribution, method of data transmission, base station and terminal
CN110506442B (en) Group common control channel
KR20080082889A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on control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system thereof
US8345582B2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user apparatus and method
JP2020505883A (en) System and method for coexistence of low-latency and latency-tolerant communication resources
WO2012165067A1 (en) Wireless resource allocation method, wireless resource allo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090073920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corporating different phy mode wireless communications
EP2164185A2 (en) OFDMA-based operation of a wireless subscriber terminal in a plurality of cells
KR20090012039A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superframe structure
RU2728539C1 (en) Transmitting a dat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reduced through delay
KR20130039645A (en) Method for expanding control channel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EP1881655A1 (en) Signalling scheme for shared channel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