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3106A - Apprartus and mentod for audio outputting in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Apprartus and mentod for audio outputting in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106A
KR20100053106A KR1020080112088A KR20080112088A KR20100053106A KR 20100053106 A KR20100053106 A KR 20100053106A KR 1020080112088 A KR1020080112088 A KR 1020080112088A KR 20080112088 A KR20080112088 A KR 20080112088A KR 20100053106 A KR20100053106 A KR 20100053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data
audio
output
data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2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3106A/en
Publication of KR20100053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1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n audio data output apparatus in a imag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which output audio data through a minimum power consumption, and obtain power saving effect. CONSTITUTION: A control unit outputs audio data of external storage medium(710). If video data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storage media, the control unit turns on a display module. The control unit displays video data in a display module(740). If reproduction of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switches off the display module. The control unit performs audio output mode(770).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데이터 출력 장치 및 방법{Apprartus and mentod for audio outputting in image display device}Apparatus and mentod for audio outputting in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data in an image display device.

복합화된 영상표시기기의 다양화 및 보급화에 따라 종래에 단순히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가 일반화 되고 있다. Background Art With the diversification and widespread use of complex image display apparatuses, image display apparatuses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functions, which are not limited to a function of simply outputting images, have become common.

영상표시기기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아닌 MP3(MPEG Audio Layer-3)파일과 같은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플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거나, 전자앨범 기능을 포함하여 사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A video display device has a player function that can play audio data files such as MP3 (MPEG Audio Layer-3) files instead of audio data included in a broadcast program, or output photo data including an electronic album function. It includes a feature.

특히 종래에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위해서는 외부저장매체 또는 플레이어 등을 영상표시기기에 직접 연결하여 다운로드 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하는 형태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output audio data in the related art, audio data may be output in a form in which an external storage medium or a player is directly connected to a video display device, downloaded, stored in a memory, and played back the stored audio data.

또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는 특정적인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음에도 계속적으로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전력 소모가 발생되며, 초절전 모드 구현에 따른 사용자의 요구에도 부합하지 않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output state of the audio data, the display unit continues to be on even though it does not display a specific image or video. As a result, power consumption is consumed and an operation that does not meet the needs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ultra power saving mode is perform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표시기기의 최소전력 소비만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함으로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outputting audio data with only minimum power consump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do.

또한 영상표시기기에서 간단한 구성을 통해 오디오 재생을 수행할 수 있도로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audio reproduction through a simple configura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 출력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게 출력될 영상 데이터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하는 단계;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n audio data output request signal; Determining the existence of image data to be output corresponding to the audio data; Turning off the display unit when the image data does not exist; Performing an audio output mode for outputting audio data;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저장매체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외부 저장매체 또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데이터 출력 모드 수행시 오프되며, 오디오데이터 출력시 영상데이터의 존재 유무에 따라 온 하는 디스플레이부;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요청 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모드 수행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하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온 하 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an external storage medium; A memory unit for storing audio data or audio data; An audio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udio data stored in the external storage medium or internal memory; A display unit which is turned off when the audio data output mode for outputting the audio data is performed, and which is turned on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image data when audio data is outpu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n output request signal of audio data, to turn off the display unit when the output mode of the audio data is performed,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audio data and to turn on the display unit. do.

따라서 본 발명은 최소전력 소비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절감 효과를 갖는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udio data through minimum power consumption, thereby reducing the consumption.

또한 무선통신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오디오 재생을 위한 구성의 단순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by outputting audio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figuration for audio reproduction is simplifi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udio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오디오 데이터 출력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2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 출력 시스템에 포함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o data output system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audio data output system.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오디오 데이터 출력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300)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영상표시기기(100)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외부저장장치(200)로 구성된다. An audio data output system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remote controller 300 capable of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and an image display device 100 operating according to various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300. The external display device 200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including audio data or video data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video display device.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를 위한 다양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하도록 한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로부터 수신한 다양한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3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재생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영상표시기기(100)에서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 또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remote controller 300 receives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from a user and transmits them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performs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various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300.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eiving the audio playback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300,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play the audio data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or the internal memory connected vi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Perform the function.

특히 영상표시기기(100)는 오디오 재생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모듈(132)을 온/오프 하도록 한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무선 통신 모듈(113)을 구비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200)에 구비된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호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오디오 데이터의 송수신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출력하도록 한다. In particular,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urns on / off the display module 132 according to the audio reproduction state.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3 and perform mutu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200. Therefore, the audio display device 100 outputs the audio data or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audio data.

도 2는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system,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수신부(100), 처리부(120), 출력부(130), 제어부(140), 저장부(1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eiver 100, a processor 120, an outputter 130, a controller 140, a storage 150, and a user interface 160.

수신부(110)는 외부신호 입력부(111)와 튜너부(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처리부(120)는 영상/음성신호 절환부(121), A/D컨버터(122),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 영상 메모리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영상신호 출력부(131), 디스플레이 모둘(132), 음성신호 출력부(133) 및 스피커(134)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신호입력부(11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셋탑박스(Set Top Box), 캠코더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신호를 입 력받아 영상/음성신호 절환부(121)로 제공한다. The receiving unit 110 may include an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and a tuner unit 112, and the processing unit 120 may include an image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an A / D converter 122, an MPEG decoder, and an image. The audio signal processor 123 and the image memory unit 124 may be included. The output unit 130 may include a video signal output unit 131, a display module 132, an audio signal output unit 133, and a speaker 134.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receives an external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igital versatile disk (DVD), a set top box, a camcorder, and provides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10)에는 무선 통신 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13)은 블루투스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로, 무선통신모듈(113)을 구비한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외부저장장치에 저장된 오디오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모듈(132) 또는 스피커(134)를 통해 출려하도록 할 수 있다. The receiv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3.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3 is a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ha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3.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audio or video data stored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o be present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132 or the speaker 134 of the image display device.

튜너부(112)는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튜닝하고 그 튜닝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음성/데이터 신호ㅡㄹ 디코딩 또는 분리하여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 등으로 제공한다. 또한 튜너부(112)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튜너부(112a),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튜너부(112d), 아날로그 신호를 디코딩하는 아날로그 디코더(112b) 및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지털 디코더(112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uner unit 112 tunes at least one channe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0 and decodes or separates the video / audio / data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tuned channel to separate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 And so on. The tuner unit 112 also includes an analog tuner unit 112a for receiving an analog signal, a digital tuner unit 112d for receiving a digital signal, an analog decoder 112b for decoding an analog signal, and a digital decoder for decoding a digital signal ( 112e).

디지털 디코더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음성 신호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형태르 갖는다.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는 외부신호 입력부(111)와 튜너부(112)로 부터 제공받는 채널 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그 채널의 영상/음성 신호를 필요에 따라 분리한 후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처리부(123)로 제공한다.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는 영상/음성 데이터 신호를 분리할 수 있는 디멀티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ideo / audio signal output through the digital decoder has a form of a transport stream.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selects at least one channel among channels provided from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and the tuner unit 112 and separates the video / audio signal of the channel as necessary.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or 123 are provided.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may include a demultiplexer capable of separating video / audio data signals.

디지털 디코더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음성 신호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형태를 갖는다.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는 외부신호 입력부(111)와 튜너부(112)로 부터 제공받는 채널 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채널의 영상/음성 신호를 필요에 따라 분리한 후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데이터 신호를 분리할 수 있는 디멀티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ideo / audio signal output through the digital decoder has a form of a transport stream.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selects at least one channel among the channels provided from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and the tuner unit 112 and separates the video / audio signal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as necessary. It may include an MPEG decoder and a demultiplexer capable of separating the video / audio data signal.

영상/음성 신호절환부(121)에서 선택되는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그 아날로그 신호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분리된 후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A/D컨버터(122)에서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처리부(123)로 제공되고 그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음성신호 출력부(133)로 제공될 수 있다.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에서 선택되는 신호가 디지털 신호인 경우 그 디지털 신호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모두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로 제공될 수 있다. When the signal selected by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is an analog signal, after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of the analog signal are separated, the analog video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video signal by the A / D converter 122 and the MPEG The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or 123 may be provided, and the analog audio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133. When the signal selected by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is a digital signal, both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of the digital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23.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처리부(123)는 영상/음성 신호절환부(121)의 출력신호 중 영상/음성 스트림을 영상/음성 데이터로 복원함과 아울러 처리하며 그 처리된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출력부(131)로 제공되고, 처리된 음성 신호는 음성신호 출력부(133)로 제공된다. 또한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처리부(123)는 제어부(140)가 제공하는 OSD(On Screen Display)데이터가 복원 및 처리된 영상신호를 믹스할 수 있다.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or 123 restore and process the video / audio stream among the output signals of the video / audio signal converter 121 to the video / audio data, and the processed video signal outputs the video signal. The audio signal is provided to the unit 131 and the processed audio signal is provided to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133. In addition, the MPEG decoder and the image / audio signal processor 123 may mix the image signal from which the OSD (On Screen Display) data provided by the controller 140 is restored and processed.

영상 메모리부(124)는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처리부(123)의 디코딩 및 신호처리 시 요구되는 메모리 영역을 제공한다. 특히 메모리부(150)는 동일한 컨텐츠를 방영하는 다른 채널을 갖는 탐색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호 이용단계와 영상입력 단계가 수행될 때 둘 이상의 채널을 내용적 동일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The image memory unit 124 provides a memory area required for decoding and signal processing of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or 123. In particular, the memory unit 150 is used to compare the content identity between two or more channels when the symbol usage step and the image input step, which can be used in a search step having different channels that broadcast the same content, are performed.

영상신호 출력부(131)는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처리부(12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모듈(132)을 통해 출력될 수 있는 형태로 처리하고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133)는 상기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스피커(134)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형태로 처리한다. The video signal output unit 131 processe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23 through the display module 132 and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133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or 123 is processed in a form that can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134.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32)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시에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오프(off)되도록 하며, 오디오 데이터에 부합되는 영상 데이터의 존재 유무에 따라 온(on)하여 해당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132)을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성신호 출력부(133)는 외부신호입력부(111)를 통해 또는 내부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한다. In particular, the display module 13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off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when audio data is reproduced, and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audio data. The data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32.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output unit 133 outputs the audio data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unit 150 or through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나 영상기기에 부착된 로컬키 버튼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영상표기기기의 메모리부(150) 또는 외부신호입력부(111)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user interface 160 may be, for example, a local key button attached to a remote controller or an image device, and receives various commands and information from a user, converts them into control signals, and transmits them to the control unit 140. In particular, the user interface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reproducing audio data stored in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memory unit 150 or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of the image display device. Do this.

제어부(140)는 튜너부(112),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 및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처리부(123)를 제어하며 필요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다른 구성 요소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재생 요청 신호가 입력됨을 감지하며, 오디오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의 존재 유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32)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외부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저장매체 등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의 존재 유무에 따라 오디오 출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32)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tuner unit 112,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23, and controls other component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s necessary. Can be designed and connected.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etects that the audio reproduction request signal is input, and controls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display module 132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udio data and image dat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storage medium, etc. input through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to control the on / off of the audio output or the display module 132.

메모리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제어부(140)가 생성 및 관리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외부신호입력부(111)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기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memory unit 150 stores information input by a user or data generated and managed by the controller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function of storing audio or video data or information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 출력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An operation for outputting audio data in the audio data output system including the image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출력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표시기기의 온 신호 또는 오디오 재생을 위한 모드 진입 및 선택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한다.(500단계)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audio data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controller 300 transmits a mode entry and selection signal for playing an on signal or audio reproduc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from the user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step 500).

해당 신호를 수신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무선통신 모듈(113)을 통해 주변에 무선통신 대상을 검색한다.(510단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무선통신 모듈을 블루투스 통신 모듈인 것으로 예를 들어 외부기기와의 상호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receiving the corresponding signal search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target in the vicinity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3. (Step 5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performing mutual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영상표시기기(100)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외부 저장매체를 검색하고 해당 검색이 완료되면(520단계) 검색된 외부저장매체(200)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 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530단계)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searches for an external storage medium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ransmits a Bluetooth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searched external storage medium 200 when the corresponding search is completed (step 520).

영상표시기기(100)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외부저장매체(200)는 블루투스 통신 요청 신호를 확인하고(540단계)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락하는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한다.(550단계) 이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외부저장매체(200)는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에는 외부저장매체와의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된 연결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external storage medium 200 receiv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hecks the Bluetooth communication request signal (S540) and transmits a signal to accep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ly,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external storage medium 200 are connected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In some cases,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display connection information in which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storage medium is connected.

도 4는 도 3에서 외부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된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흐름도이며, 도 5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재생 동작 흐름도이다.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 which Bluetooth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in FIG. 3.

외부저장 장치(200)와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된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4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13)을 동작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드로 동작한다.(600단계) 제어부(14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 또는 로컬키의 입력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 재생 출력 요청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610단계) The controller 14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onnected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200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operates in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in whic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13 is operated (step 600). In operation 6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udio data reproduction output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of the local key.

제어부(140)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MP3모드가 선택됨을 확인하면 내부메모리(150), 무선통신 모듈(113) 또는 외부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연결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요청하는 신호를 외부저장매체(200)에 전송한다.(620단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외부저장매체(200)와 영상표시기기(100)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When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that the MP3 mode for reproducing audio data is selected, the controller 140 externally stores a signal for requesting reproduction of audio data connected through the internal memory 150,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3, or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In step 620, the external storage medium 200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re connected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따라서 제어부(140)는 외부저장매체에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630단계) 제어부(140)는 외부저장매체(200)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134)를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Therefore,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audio data is received in response to the output request signal of the audio data transmitted to the external storage medium. In operation 630, the controller 140 may perform Bluetooth communication from the external storage medium 200. Control to operate in the audio output mode for outputting the received audio data through the speaker 134.

제어부(140)는 오디오 출력 모드 수행 시 사용자로부터 스피커(134)에서 오디오만을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32)은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는 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받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650단계) 제어부(140)는 절전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32)의 온(on)되어 있는 상태에서 오디오 출력 모드를 수행한다.(660단계)When the audio output mode is performed, the controller 140 checks whether the user outputs only audio from the speaker 134 and the display module 132 is set to operate in a power saving mode that maintains the off state. If the power saving mode is not set, the controller 140 performs the audio output mode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module 132 is turned on (step 660).

반면 제어부(140)는 오디오 데이트 출력 모드 시 절전모드로 수행하도록 정된 경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32)은 오프되며, 스피커(134)만 온 되어 오디오만을 출력하도록 하는 절전모드 상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한다.(670단계)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 unit 140 is set to perform power saving mode in the audio data output mode, the display module 132 is turned off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reproduction of the audio data starts, and the power saving mode for outputting only the audio by only the speaker 134 is turned on. In step 670, the audio data is output.

상기와 같이 영상표시기기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외부 저장매체(2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데이터 출력모드로 수생한다. 도 5는 오디오 출력 모드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display device is aquatic in an audio data output mode for outputting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storage medium 200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audio output mode.

제어부(140)는 절전모드 상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외부 저장매체(200)로부터 계속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700단계)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710단계) 외부저장매체(2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에 부합되는 또는 별도의 비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720단계) The controller 140 outputs audio data in a power saving mode and continuously receives audio data from the external storage medium 200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step 700). Outputting the received audio data (step 710). In operation 7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xternal storage medium 200 receives video data corresponding to audio data or separate video data.

제어부(140)는 외부저장장치(2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외의 영상 데이터가 수신됨을 판단한 경우 오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34)를 온하도록 한다.(730단계) 제어부(140)는 외부저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134)에서 출력하며, 상기 온된 디스플레이 모듈(132)에 외부저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한다.(740단계)When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that image data other than audio data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storage device 200, the controller 140 turns on the display module 134 which is turned off (step 730).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external storage device 200. The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34 is output from the speaker 134, and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storage device 200 is output to the on display module 132 (step 740).

제어부(140)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부합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이 완료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32)의 오프 요청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750단계) 따라서 영상데이터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이 완료된 경우 온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32)을 오프하고(760단계) 이후에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134)에서만 출력하도록 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를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770단계)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 of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is completed or if an off request of the display module 132 occurs from the user (step 750). Therefore, the controller 140 reproduces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When the display module 132 is completed, the display module 132 which is turned on is turned off (step 760), and the audio output mode for continuously outputting audio data transmitted only after the speaker 134 is continuously performed (step 770).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시스템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o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블록 구성도.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시스템의 통신 연결 동작 흐름도.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operation of an audio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동작 흐름도.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dio output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오디오 출력 동작시 디스플레이부의 제어 동작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in the audio output operation of FIG. 4.

Claims (12)

오디오 데이터 출력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n audio data output request signal;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게 출력될 영상 데이터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the existence of image data to be output corresponding to the audio data; 상기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하는 단계;Turning off the display unit when the image data does not exist;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출력 방법. Performing an audio output mode for outputting the audio data; Audio output method in a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에서 오디오 데이터 출력 중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시 디스플레이부를 소정 시간 동안 온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audio data including the image data is output during the audio data output in the display off sta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온 하는 소정 시간은 상기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이 완료될 때까지 온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determined time of turning o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until the reproduction of the audio data including the image data is completed. 제 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오디오 데이터 출력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온 하여 오디오데이터의 출력 모드를 수행함 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출력 방법. The video display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to perform an output mode of the audio data whe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ff and receives the audio data output request signal. How to output audio from 외부 저장매체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An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an external storage medium;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A memory unit for storing audio data or audio data; 상기 외부 저장매체 또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An audio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udio data stored in the external storage medium or internal memory;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데이터 출력 모드 수행시 오프되며, 오디오데이터 출력시 영상데이터의 존재 유무에 따라 온 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which is turned off when the audio data output mode for outputting the audio data is performed, and which is turned on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image data when audio data is output;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요청 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모드 수행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하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온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n output request signal of audio data, to turn off the display unit when performing the output mode of the audio data,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audio data and to turn on the display unit. Audio output device on video displa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외부 저장매체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 The audio output device of claim 5, wherein the imag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storage mediu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 동안 온 하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 재생이 완료되면 오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 The audio output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during a reproduction time of the audio data when the audio data including the video data is reproduced, and is turned off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audio data is completed. 제 5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 또는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저장매체와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온하여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storage medium through the interface unit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hile the display unit is off, the control unit turns on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list of audio data stored in the external storage medium. Audio output device in a video display device.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playing audio data in the video display device, 외부저장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udio data from an external storage device;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중에 영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imag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received audio data; 상기 판단결과 영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영상표시기기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And supplying power to a modul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f the video information is includ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MP3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udio data is MP3 dat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MP3 표지, 디스크 표지자켓, 노래가사, 타이틀, 가수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video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of an MP3 cover, a disk cover jacket, a song lyrics, a title, and a singer nam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저장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eceiving of the audio data from the external storage device uses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KR1020080112088A 2008-11-12 2008-11-12 Apprartus and mentod for audio outputting in image display device KR201000531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088A KR20100053106A (en) 2008-11-12 2008-11-12 Apprartus and mentod for audio outputting in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088A KR20100053106A (en) 2008-11-12 2008-11-12 Apprartus and mentod for audio outputting in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106A true KR20100053106A (en) 2010-05-20

Family

ID=42278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088A KR20100053106A (en) 2008-11-12 2008-11-12 Apprartus and mentod for audio outputting in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310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249A (en) * 2018-09-04 2020-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of a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249A (en) * 2018-09-04 2020-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of a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7267B2 (en) Content output system,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content output apparatus, and cont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
EP1931139A1 (en) Video/audio output device and external speaker control apparatus
US9641787B2 (en) Playback apparatus, playback method and program
KR101478173B1 (en)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and the multmedia replaying apparatus thereof
JP4993491B2 (en) Music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terface device
JP2006295748A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JP4035154B1 (en) Video / audio output device and external speaker control device
KR20100053106A (en) Apprartus and mentod for audio outputting in image display device
JP2008054156A (en) Av output device and reproduction device
KR201000257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outputiing in image display device
KR100758078B1 (en) System for recording video/audio signal in optical disc player and method therefor
JP2009081757A (en) Electronic device
JP2017060002A (en) Content reproduction device
KR1014856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image display
US20170374337A1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ent Reproducing Method
JP4891264B2 (en) Switching control device, method thereof, program thereof,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and playback device
JP5029840B2 (en) CONTROL SIGNAL TRANSMITTING DEVICE, ITS OPERATION METHOD, AND ITS PROGRAM
WO2014045517A1 (en) Sound output device
JP2007172792A (en) Audio system and reproduction control method
KR20070107277A (en) Method for playing image file using broadcasting receiver
KR2010004808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of audio infromarion in image display device
KR20070111868A (en) Method for reproducing background music in broadcasting recevier
JP2008311823A (en) Content reproducing device
JP2007140541A (en) Reproducing device
KR20050020254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