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021A - Apparatus and method for surporting various declaration of intention in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urporting various declaration of intention in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021A
KR20100050021A KR1020080109098A KR20080109098A KR20100050021A KR 20100050021 A KR20100050021 A KR 20100050021A KR 1020080109098 A KR1020080109098 A KR 1020080109098A KR 20080109098 A KR20080109098 A KR 20080109098A KR 20100050021 A KR20100050021 A KR 20100050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event
video call
effects
vis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0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제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9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0021A/en
Publication of KR20100050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02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offering various expressions of opinions in the video call event in a portable terminal are provided to talks over the telephone through the various expressions of opinions using a vision, a hearing and tactual sense by a user terminals. CONSTITUTION: An event sensor(101) senses event during the video call. An event handler(102) extracts the code corresponding to the event from the code mapping information of the event. A code converter(103) generates the video call data including the code. A controller(100) transmits the video call data to the corresponding portable terminal. The code is included in the data sector used by the application of the video call data frame.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통화시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RPORTING VARIOUS DECLARATION OF INTENTION IN PORTABLE TERMINAL}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variety of expressions during video calls on a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URPORTING VARIOUS DECLARATION OF INTENTION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통화시 청각, 시각, 촉각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viding various expressions of speech using hearing, vision, and tactile sense during a video call.

일반적으로, 현재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통신 사업자들은 가입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업자들은 공간 및 시간에 구애됨이 없는 통화는 물론, 무선 인터넷 서비스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칭함)와,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이하 "MMS"라 칭함)와, 음성채널 환경에서 음성통화와 데이터 송수신이 동시에 가능한 다중 통신 서비스(Concurrent Multiple Service: 이하 "CMS"라 칭함)와, 이미지, 동영상 및 디지털 방송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In general,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spread of portable terminal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and as the spread of portable terminals is generalized, communication providers are providing various services to satisfy various needs of subscribers. For example, mobile service providers currently use wireless Internet services, short message services (S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s (Multimedia Messaging), as well as space and time-independent calls.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MS"), a multi-communication ser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calls and data in a voice channel environ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MS"), and multimedia services such as image, video, and digital broadcasting. Various services are provided through portable terminals.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 내에서 이동하면서 해당 기지국을 통해 일반전화 가입자 또는 다른 이동통신 가입자와 통화를 수행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개인정보 관리, 컴퓨터와의 정보교류 및 인터넷 등과 같은 데이터 접속을 수행하는 등의 부가적 기능을 가진다. 근래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이미지나 동영상의 송수신, MP3 플레이어 기능, 사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기능 및 디지털 방송 재생 기능 등 각종 부가기능을 구비한 복합 정보화 기기로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Such mobile terminals perform data acces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information exchange with a computer, and the Internet,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of mov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and making a call with a general subscriber or another mobile subscriber through a corresponding base station. It ha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In recent years, the portable terminal has been developed as a complex information device hav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mages and videos, an MP3 player function, a camera function capable of taking a picture, and a digital broadcast reproduction function.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들 간에 음성통화 등에 따른 청각적인 효과와, 문자메시지 및 동영상 송수신 등에 따른 시각적인 효과만을 제공하고 있다. 즉, 현재까지의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상대방과 영상통신 중에, 사용자가 상대방 휴대용 단말기로 다양한 시각/청각/촉각적인 효과를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However, these portable terminals provide only audible effects due to voice calls among users, and visual effects due to text messages and video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at is, until now,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have a function of transmitting various visual / audio / tactile effects to the counterpart portable terminal during video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이에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 중에 감지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청각적으로, 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differentiated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by transmitting sensed data to the user visually, acoustically, and tactilely during a call using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통화시 시각, 청각, 및 촉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arious expressions using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ensations during a video call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통화시 영상통화 메시지에 예약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을 사용하여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arious pseudo expressions using a data area reserved for a video call message during a video call in a portable terminal.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통화시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송신 방법에 있어서, 영상통화 중에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과, 기정의된 각 이벤트별 코드 매핑 정보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코드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통화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통화데이터를 해당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transmission method for providing a variety of expressions during a video call in a portable terminal, the process of detecting an event during a video call, and for each predefined event And extracting a code corresponding to the event from code mapping information, generating video call data including the code, and transmitting the video call data to the corresponding portable terminal.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통화시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수신 방법에 있어서, 영상통화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통화데이터에 포함된 해당 코드와 기정의된 각 이벤트별 코드 매핑 테이블에 있는 코드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매핑 테이블의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해당 코드에 대응하는 시각효과, 청각효과, 또는/ 및 촉각효과를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receiving method for providing a variety of expressions during a video call in a portable terminal, receiving the video call data and included in the video call data Comparing the code with the code in the predefined code mapping table for each event, and if it matches the code in the mapping table, a visual effect, auditory effect, and / or tactile effect corresponding to the code is genera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cess.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통화시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송신 장치에 있어서, 영상통화 중에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와, 기정의된 각 이벤트별 코드 매핑 정보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코드를 추출하는 이벤트 처리부와, 상기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통화데이터를 생성하는 코드 변환부와, 상기 영상통화데이터를 해당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transmission apparatus for providing a variety of expressions during a video call in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n event detector for detecting an event during a video call, and a predetermined angle And an event processor for extracting a code corresponding to the event from code mapping information for each event, a code converter for generating video call data including the code,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video call data to a corresponding portable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통화시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 영상통화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영상통화데이터에 포함된 해당 코드와 기정의된 각 이벤트별 코드 매핑 테이블에 있는 코드와 비교하는 코드 변환부와, 상기 매핑 테이블의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해당 코드에 대응하는 시각효과, 청각효과, 또는/및 촉각효과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reception apparatus for providing various expressions during a video call in a portable terminal, th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video call data, and included in the video call data A code conversion unit for comparing the code with the code in the code mapping table for each event, and the visual effect, the auditory effect, and / or the tactile effect corresponding to the code when the code is matched with the code in the mapp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단말 간에 청각, 시각, 및 촉각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다양한 의사 표현을 통해 통화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영상통화 메시지의 예약된 데이터 영역 부분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요금이 필요 없다.As described abov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ditory, visual, and tactile information between user terminals in a portable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call can be made through various expressions. In addition, by using the reserved data area portion of the video call message, no additional fee is requir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r customs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통화시 시각, 청각, 및 촉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variety of expressions using th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ense during a video call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송신 휴대용 단말기가 영상통화시에, 다양한 입력장치(키패드, 터치패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하나의 약속된 코드(이하 "S-코드"라 칭함)의 형태로 변환하여 영상통화데이터와 함께 송신하고, 이를 수신 휴대용 단말이 상기 변환된 코드를 여러 출력장치(진동, 디스플레이, 스피커)를 이용해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따라서 영상통화시 단말이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통화자끼리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a signal detected by various input devices (keypad, touchpad, sensor) into a single promise c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code") when the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makes a video call. A method of transmitting the call data together with the call data and expressing the converted code using various output devices (vibration, display, speaker) is provided. Therefore, during the video call, all the information that can be detected by the terminal can be shared among callers.

이하에서는 상기 S-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말기를 상기 발신 휴대용 단말기라 칭하고, 상기 발신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S-코드를 수신하여 그 에 대응하는 진동/소리/시각적 효과를 발생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수신 휴대용 단말기로 칭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erminal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S-code is called the originating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receiving the S-code transmitted from the originating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ing a vibration / sound / visual effect corresponding there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receiving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 개인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휴대전화기(mobile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단말기 및 휴대용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n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termi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such a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erminal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UMTS) terminals, mobile phone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MP3 terminals, and notebook computers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통화시 시각, 청각, 및 촉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1 illustrates a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various expressions using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ensations dur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메모리부(110), 진동 구동부(120), 키패드부(130), 표시부(140), RF 모듈(150), 기저대역처리부(155), 코덱(160), 센싱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ontrol unit 100, a memory unit 110, a vibration driver 120, a keypad unit 130, a display unit 140, an RF module 150, and a baseband processor 155. ), A codec 160, and a sensing unit 170.

상기 RF 모듈(150)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5)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5)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상기 RF 모듈(150)은 이벤트에 대응하는 S-코드를 송수신한다.The RF module 150 lowers the frequency of the radio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to the baseband processor 155 and raises the baseband signal from the baseband processor 155 through the antenna. Send. In addition, the RF module 150 transmits and receives an S-code corresponding to an event.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5)는 상기 RF 모듈(150)와 상기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aseband processor 155 processes a baseband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F module 150 and the controller 100. For example, in case of transmission, the channel coding and spreading of data to be transmitted are performed, and in case of reception, the function of despreading and channel decoding of the received signal is performed. .

상기 키패드부(key pad)(130)는 0 ∼ 9의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TALK), 종료키(END), 인터넷 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들(상/하/좌/우)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더하여, 상기 키패드부(130)는 영상통화 중에 사용자로부터 기정의된 S-코드에 대응하는 번호 키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00)로 출력한다.The keypad 130 includes key numbers 0 to 9, a menu key, a menu key, a cancel key, a confirmation key, a call key (TALK), an end key (END), an Internet access key,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such as navigation keys (up / down / left / right) are provided, and key input data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a user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100. In addi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pad unit 130 receives a number ke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code from a user during a video call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100.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다양한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40)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status information, various moving images and still images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unit 140 may use a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LCD).

터치패드부(141)는 상기 표시부(140) 전면에 위치하고 사용자 터치에 의한 터치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패드부(141)를 터치하면, 터치 영역에 따른 터치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터치 데이터를 바탕으로 터치가 발생한 좌표값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더하여, 상기 터치패드부(141)는 영상통화 중에 사용자 터치로부터 기정의된 S-코드에 대응하는 터치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00)로 출력한다.The touch pad unit 141 is located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140 and provides touch data by a user touch to the controller 100.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d unit 141, touch data according to a touch area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100, and the controller 100 coordinates at which a touch is generated based on the touch data. Can be calculated. In addi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ad unit 141 receives touch dat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code from a user touch and outputs the touch data to the controller 100 during a video call.

상기 센싱부(170)는 가속도센서 또는/및 접근센서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가속도, 진동, 충격을 감지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100)로 출력하거나, 다른 휴대용 단말기가 접근할 시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센싱부(170)는 가속도센서 또는/및 접근센서 외에 온도센서, 포토 센서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70 detects acceleration, vibration and shock of a portable terminal as an acceleration sensor or / and an approach sensor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100 or detects when another portable terminal approaches the controller 100. ) The sensing unit 17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 photo sensor, etc. in addition to the acceleration sensor or / and the proximity sensor.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시각/청각/촉각 기능의 활성화/비활성화 제어와 관련한 제어를 위해, 상기 키패드부(130) 또는 상기 터치패드부(141)의 조작에 의해 수행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센싱부(170)의 감지된 신호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청각/촉각 기능 활성화 시 S-코드 생성을 위한 이벤트의 입력을 상기 기능키들, 터치패드 및 키패드, 상기 센싱부(170)에 의한 감지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control related to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control of the visual / auditory / haptic function, it can be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keypad 130 or the touch pad unit 141, or It may be performed by the sensed signal of the sensing unit 170. In addition, when the visual / audio / tactile function is activated, an input of an event for generating an S-code may be performed by any one or a combination of the function keys, the touch pad and keypad, and a sensing signal by the sensing unit 170. Can be.

상기 메모리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예컨대, 시각/청각/촉각기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들을 비롯하여,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예컨대, 사진 및 동영상 데이터, 문자메시지 등) 등을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부(110)는 상기 촉각기능과 관련된 설정 정보들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1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memory unit 110 may be generated by a user or received from the outside, including application programs (eg, application programs for performing visual, audio, and tactile function control) necessary for operat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eg, picture and video data, text messages, etc.); The memory unit 110 stores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actile function.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buffers for temporarily storing user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또한 상기 메모리부(110)는 상기 시각/청각/촉각기능에 의거하여 진동 발생을 위한 이벤트, S-코드, 진동패턴, 진동레벨 및 시각적 발생을 위한 이벤트, S-코드, 상대방 영상 진동, 영상 깜빡임, 색반전, 및 청각적 발생을 위한 이벤트, S-코드, 호출(beep), 변조된 신호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정보들은 매핑 테이블 형태로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매핑 테이블은 시각/청각/촉각기능 활성화 시 사용자가 입력하는 이벤트(예컨대, 터치이벤트, 키 이벤트, 센서에 의한 이벤트 등) 정보를 나타내는 이벤트 필드와, 상기 각 이벤트의 동작 방식을 나타내는 동작 필드와, 상기 이벤트에 따른 해당 S-코드를 나타내는 S-코드 필드와, 상기 이벤트 및 S-코드에 의해 표현되는 시각/청각/촉각 등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현 필드로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unit 110 is based on the visual / auditory / tactile function, the event for the generation of vibration, S-code, vibration pattern, the vibration level and the event for visual generation, S-code, video vibration of the other party, image flickering Information such as events, S-codes, beeps, and modulated signals for color inversion, and audio generation. Such information is preferably stored in the form of a mapping table. For example, the mapping table may include an event field indicating information input by a user (eg, a touch event, a key event, an event by a sensor, etc.) when the visual / audio / tactile function is activated, and an operation method of each event. It may be represented by an operation field to be indicated, an S-code field indicating a corresponding S-code according to the event, and an expression field indicating types of visual / audio / tactile senses represented by the event and the S-code.

상기 매핑 테이블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나타낸 하나의 실시 예로, 본 발명의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매핑 테이블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조합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mapping table is one embodiment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pping table including the event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또한 상기와 같은 이벤트 정보는 사용자 임의로 추가/수정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가/수정되는 이벤트 정보는 송신 휴대용 단말기 및 수신 휴대용 단말기 간에 서로 공유함이 바람직하다. 기본적으로 상기 이벤트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들 간에 기본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에 시각/청각/촉각기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서버에서 상기 이벤트 정보를 다운로드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이벤트 정보의 업데이트 시 이를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 알려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 event information can be arbitrarily added / modified by the use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dded / modified event information is shared between the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and th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Basically, the event information is basically set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s, or the event information can be downloaded from any server for providing a visual / audio / tactile function service to the portable terminal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rver notifies the user's portable terminal of the event information update.

또한 상기 매핑 테이블에 의거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생성하는 S-코드는 영상통화데이터 프레임에 영상신호 및 오디오 신호와 함께 포함되어 전송된다. 화상회의를 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변환된 S-코드를 목적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가능하다.In addition, the S-code generated by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mapping table is transmitted along with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in the video call data frame. In the case of video conferencing, the portable terminal can transmit the converted S-code to one or more receiving portable terminals.

도 4는 영상통화 데이터 프레임을 도시하고 있다.4 illustrates a video call data frame.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프레임 구조는 헤더 영역(400), 제어 영역(402), 데이터 영역(404), 오디오 영역(406), 비디오 영역(408), CRC 영역(410)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영역(404)은 영상통화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경우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할당된 채널이다. 본 발명에서, 영상통화시 상기 데이터 영역(404)을 통해 시각/청각/촉각 기능을 위한 정보(예: S-코드 등등)를 송수신한다.Referring to FIG. 4, the data frame structure is divided into a header area 400, a control area 402, a data area 404, an audio area 406, a video area 408, and a CRC area 410. Here, the data area 404 is a channel allocat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hen using a specific application in a video call. In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video call, information (eg, S-code, etc.) for the visual / audio / tactile func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data area 404.

상기 진동 구동부(12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진동 발생을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즉, 상기 진동 구동부(120)는 상기 제어부(100)에서 진동 이벤트에 따라 전달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의 크기를 변경시켜 진동패턴/진동레벨을 변화시키고, 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진동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전류 제어에 따라 주기와 강약이 제어되어 구동하며, 해당 진동패턴/진동레벨에 따른 진동을 발생한다. 상기 스피커(161)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코덱(160)에서 생성된 호출음(beep)을 출력하거나,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코덱(160)에서 변형된 소리를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변형된 상대방 영상(영상을 진동하거나 깜빡임, 영상의 색을 반전시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The vibration driver 120 processes a function for vibration gen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That is, the vibration driver 120 input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00 according to the vibration event and changes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00 to change the vibration pattern / vibration level. In this way, various types of vibrations can be generated. The period and the intensity are controlled and driven according to the current control, and the vibrati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vibration pattern / vibration level. The speaker 161 outputs a beep generated by the codec 16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or outputs a sound modified by the codec 16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Output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the counterpart image (the image vibrates or flickers, inverts the color of the image, etc.) which is modifi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상기 제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메모리부(110), 상기 진동 구동부(120), 상기 키패드부(130), 상기 표시부(140), 상기 RF 모듈(150),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5), 상기 코덱(160), 상기 센싱부(170) 등의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ternal blocks. That is, the controller 100 includes a memory unit 110, the vibration driver 120, the keypad unit 130, the display unit 140, the RF module 150, the baseband processor 155, and the The signal flow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codec 160 and the sensing unit 170 is controlled. The controller 100 may include the baseband processor 155.

특히, 상기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각/청각/촉각기능의 활성화/비활성화 여부 및 그의 운영을 제어하고, 상기 시각/청각/촉각기능 활성화 시에 입력되는 이벤트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S-코드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생성하는 S-코드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진동/소리/시각 발생을 제어하고, 상기 S-코드를 사용자가 목적하는 수신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whether or not the activation of the visual / auditory / haptic function and its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ermines the event input when the visual / auditory / tactile function is activated Control the function to generate S-code accordingly. The controller 100 controls vibration / sound / time gen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generated S-code, and controls a series of operations of transmitting the S-code to a receiving portable terminal desired by the user.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영상통화중 임의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S-코드를 포함하는 영상통화데이터를 수신할 시 상기 S-코드에 대응하는 진동패턴/진동레벨을 분석하고 그에 의거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진동 발생을 제어한다. 또는 상기 S-코드에 대응하는 시각효과 및 청각 효과를 분석하고 그에 의거하여 소리 및 시각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analyzes the vibration pattern / vibration level corresponding to the S-code when receiving the video call data including the S-code from any portable terminal during the video call and based on the vib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 the occurrence. Or analyzes the visual and auditory effects corresponding to the S-code and controls sound and visual based thereon.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RF 모듈(150)을 통해 영상통화데이터 수신 시 영상통화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영역(404)에서 진동/소리/시각 발생을 위해 미리 약속된 명령코드(S-코드)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영역(404)에 진동/소리/시각 발생을 위한 정보 또는 명령코드가 존재할 시 상기 제어부(100)는 진동/소리/시각 발생시킨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receives a predetermined command code (S-code) for the vibration / sound / time generation in the data area 404 of the video call data frame when receiving the video call data through the RF module 150 Extract. In this case, when information or command code for vibration / sound / time generation is present in the data area 404, the controller 100 generates vibration / sound / time.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임의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영상통화데이터 내의 S-코드를 매핑 테이블의 S-코드와 비교하고, 상기 매핑 테이블의 S-코드와 일치하는 특정 S-코드가 검출될 시 사전 설정된 진동/소리/시각 발생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compares the S-code in the video call data received from any mobile terminal with the S-code of the mapping table, and when a specific S-code matching the S-code of the mapping table is detected. Controls preset vibration / sound / visual generation.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00)는 이벤트 감지부(101), 이벤트 처리부(102) 및 코드 변환부(103) 등을 더 포함한다.To this end, the controller 100 further includes an event detector 101, an event processor 102, a code converter 103, and the like.

상기 이벤트 감지부(101)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수행에 따른 일반적인 이벤트(예컨대, 통화 요청/수신이벤트, 문자메시지 송/수신 이벤트, 센서에 의한 이벤트 등)를 감지한다. 특히, 상기 이벤트 감지부(10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통화 모드 수행 중에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시각/청각/촉각기능 활성화 요청신호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감지부(101)는 상기 촉각기능 활성화 시에 사용자가 진동 발생을 위해 입력하는 진동/소리/시각 이벤트(예컨대, 터치 이벤트, 키 이벤트, 센서에 의한 이벤트 등)를 감지한다.The event detector 101 detects a general event (eg, a call request / receive event, a text message send / receive event, an event by a sensor, etc.) according to a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event detection unit 101 detects a visual / audio / tactile function activation request signal generated from the outside during the video call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event detecting unit 101 detects a vibration / sound / visual event (eg, a touch event, a key event, an event by a sensor, etc.) input by the user for generating vibration when the tactile function is activated.

또한 상기 이벤트 감지부(101)는 임의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S-코드를 포함하는 영상통화데이터 수신 시 시각/청각/촉각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시각/청각/촉각기능의 활성화/비활성화 여부는 사용자 설정 방식에 의거하여 항상 활성화 상태 즉, 온(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편의를 위해 해당 모드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선택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vent detection unit 101 determines whether the visual, auditory, and haptic function is activated when receiving video call data including an S-code from any portable terminal. At this time, whether to activate / deactivate the visual / hearing / tactil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lways maintained, that is, on (on) state according to a user setting method. It is desirable to select deactivation.

상기 이벤트 처리부(102)는 상기 이벤트 감지부(101)에서 감지하는 이벤트들에 대한 처리를 담당한다. 특히, 상기 이벤트 처리부(102)는 상기 이벤트 감지부(101)가 시각/청각/촉각기능 활성화 요청신호를 감지할 시 그에 대응하여 시각/청각/촉각기능을 활성화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처리부(102)는 상기 촉각기능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101)가 임의의 진동/소리/시각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진동/소리/시각 이벤트를 분석하여 그에 대응하는 S-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S-코드에 따른 진동/소리/시각 정보를 상기 코드 변환부(103)로 전달한다.The event processor 102 is in charge of processing events detected by the event detector 101. In particular, the event processing unit 102 activates the visual / hearing / tactile function in response to the event sensing unit 101 detecting the visual / hearing / tactile function activation request signal. In addition, the event processor 102 analyzes the vibration / sound / visual event when the event detector 101 detects any vibration / sound / visual event in the tactile function activation state and corresponds to the S-code. Extracts and transmits the vibration / sound / visu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code to the code conversion unit 103.

또한 상기 이벤트 처리부(102)는 상기 진동 이벤트에 대응하는 S-코드를 추출하고, 영상통화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영역(404)에 포함시켜 영상통화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이벤트 처리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통화데이터를 목적하는 수신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처리한다.In addition, the event processor 102 extracts the S-code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event and includes the data in the data area 404 of the video call data frame to generate video call data. The event processor 102 processes the video call data to be transmitted to a target receiving portable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또한 상기 이벤트 처리부(102)는 상기 이벤트 감지부(101)가 수신 영상통화데이터에서 진동/소리/시각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시, 진동/소리/시각을 발생하도록 처리한다. 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발신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진동 혹은 소리 혹은 시각으로 상기 영상통화데이터 수신을 통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vent processor 102 processes vibration / sound / time when the event detector 101 detects information related to vibration / sound / time in the received video call data. Through this, the portable terminal may notify the reception of the video call data by vibration, sound, or time that can transmit the emotion that the user of the calling portable terminal wants to transmit.

상기 코드 변환부(103)는 S-코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하도록 상기 진동 구동부(12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진동 구동부(120)에서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진동을 발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는 S-코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대응하는 소리를 발생하도록 상기 스피커(161)로 전달하거나, S-코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시각효과를 발생하도록 상기 표시부(140)로 전달한다. The code converter 103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cod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vibration driver 120 to generate a corresponding vibration. Then, the vibration driver 120 performs an operation of generating vibra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lternatively,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n S-cod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peaker 161 to generate a corresponding sound, or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n S-cod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40 to generate a visual effect. do.

한편, 상기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설명에 필요한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카메라 모듈, 블루투스 모듈,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FIG. 2 illustrates a schematic configuratio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required for describ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module, a Bluetooth module,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odul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provision form thereof.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통화 중에 S-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발신동작과, 상기 S-코드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진동/소리/시각효과를 발생하는 수신 동작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above, the schematic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thereof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Next, a transmission operation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S-code during a video call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a reception operation method for receiving the S-code and generating vibration / sound / visual effects corresponding thereto will be described. do.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following example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통화시 시각 청각, 및 촉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송신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various expressions using visual hearing and tactile sense dur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는 200 단계에서 수신 휴대용 단말기와 영상통화를 수행하고 있고, 202 단계에서 영상통화 중에 영상 및 음성 외에 입력장치를 통한 감지 신호를 S-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 할 수 있는 모드를 활성화한다. 상기 모드에서 다양한 입력장치(키 패드, 터치 패드, 센서 등)를 통해 발생하는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코드로 변환하여, 이를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면,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코드에 대응하는 출력을 청각, 시각, 촉각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n step 200, the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is conducting a video call with th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Activate the mode to send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mode is converted into a code corresponding to an event signal generated through various input devices (key pad, touch pad, sensor, etc.) and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th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outputs the corresponding code. Can be output as auditory, visual, and tactile.

이후,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는 204 단계에서 여러 입력장치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어떤 형태로 출력할지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키패드, 혹은 음성인식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입력받은 신호를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에서 진동(촉각), 또는 디스플레이(시각), 또는 스피커(청각) 등으로 출력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S-코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함에 있어서, 출력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서,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가 선택할 수 있다. 즉, 하나의 S-코드는 시각/청각/촉각으로 매핑되어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나의 S-코드에 따른 시각/청각/촉각기능을 하나 또는 두 개/세 개의 출력형태를 선택한다.Thereafter, in step 204, the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selects how to output the sensed data from various input devices. For example, the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transmits a signal input through a touch screen, a keypad, or a voice recognition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to the vibration (tactile), display (visual), or speaker (audio) in th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The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may select an output type in out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code from th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may choose. That is, one S-code is mapped to visual / audio / tactile,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selects one, two, or three output types of visual, audio, and tactile functions according to one S-code.

이후,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는 206 단계에서 이벤트가 발생할 시(즉, 다양한 입력장치(터치 스크린, 키패드, 혹은 센서)를 통해 입력신호가 발생할 때), 208 단계로 진행하여 기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이벤트에 대응하는 S-코드를 생성한다.Thereafter, when the event occurs in step 206 (that is, when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through various input devices (touch screen, keypad, or sensor)), the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208 and uses the predefined mapping table. To generate an S-code corresponding to the event.

이후,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는 208 단계에서 상기 S-코드에 해당하는 청각 또는 시각 또는 촉각을 발생한다. 즉,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S-코 드에 해당하는 처리를 소리/시각/진동으로 출력하기 전에,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에서 미리 실행하여 확인하기 위함이다.In step 208, the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generates an auditory or visual or tactile sense corresponding to the S-code. That is, before the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S-code is outputted as sound / time / vibration in th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th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is executed to confirm in advance.

이후,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는 212 단계에서 상기 S-코드를 전송할지를 판단하여, 상기 S-코드를 전송할 시 214 단계에서 영상통화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 영역에 상기 S-코드를 포함시켜 영상통화데이터를 구성한다.In step 212, the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S-code, and when transmitting the S-code, the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includes the S-code in the data area of the video call data format to configure the video call data. do.

이후,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는 216 단계에서 상기 영상통화데이터를 전송한다.In step 216, the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transmits the video call data.

상기 206 단계에서 이벤트가 발생하기 않거나, 상기 212 단계에서 상기 S-코드를 전송할지 않을 시, 218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모드를 수행한다.If no event occurs in step 206 or if the S-code is not transmitted in step 212,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18 to perform a corresponding mode.

이후,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Thereafter, the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terminates the proced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통화시 시각, 청각, 및 촉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수신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3 illustrates an operation of a receiving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various expressions using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ensations dur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수신 휴대용 단말기는 300 단계에서 송신 휴대용 단말기와 영상통화를 수행하고 있을 시, 302 단계에서 감지 데이터 전송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감지 데이터 전송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을 시 304 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 부분에 코드가 있는지 확인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is conducting a video call with the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in step 300, th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checks whether the sensing data transmission mode is activated in step 302, and when the sensing data transmission mode is activated. Proceed to the step to check if there is a code in the data area portion of the image data.

만약,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는 304 단계에서 영상 데이터에 S-코드가 있으면, 306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코드를 추출하여 상기 S-코드에 해당하는 출력패턴(소리/진동/시각)을 분석한다. 즉, 상기 S-코드에 대응하는 진동, 소리, 시각 효과 중 어떤 출력을 사용할지 분석한다.If there is an S-code in the image data in step 304, th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306 to extract the S-code to analyze an output pattern (sound / vibration / time) corresponding to the S-code. . That is, it analyzes which output of vibration, sound, and visual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code is used.

이후,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는 308 단계에서 출력 패턴을 소리 또는 진동 또는 시각효과 등으로 출력한다.In step 308, th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outputs the output pattern as sound, vibration, or visual effect.

이후,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는 310 단계에서 영상통화 모드를 계속유지한다. 즉, 상기 S-코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송신 휴대용 단말기와 영상통화를 수행한다.In step 310, th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maintains the video call mode. That is, the video call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while perform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code.

이후,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Thereafter, th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terminates the proced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통화시에 영상, 오디오, 데이터 처리 예를 도시하고 있다.5 illustrates an example of video, audio, and data processing dur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500)을 통해 데이터를 생성하고(510) 생성된 데이터를 해당 프레임 영역에 삽입하여 영상통화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한다(520). 즉, 카메라(502)를 통한 영상은 비디오 코덱(512)을 통해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되어, 비디오 영역에 삽입된다. 그리고 마이크(504)를 통한 음성은 오디오 코덱(514)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되어, 오디오 영역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더하여, 센서(506) 또는 버튼을 통한 신호, 마이크(504)에 의한 음성신호, 또는 카메라(502)에 의한 시각신호등은 코드 변환부(514)를 통해 S-코드로 변환되어, 데이터 영역에 삽입된다. 즉, 시각/청각/촉각에 신호는 S-코드로 변환되고, 상기 변환된 S-코드는 영상통화데이터의 데이터영역에 포함되어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된다.Referring to FIG. 5, the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generates data through an input 500 (510) and inserts the generated data into a corresponding frame region to form a video call data frame (520). That is, the image through the camera 502 is converted into video data through the video codec 512 and inserted into the video area. The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504 is converted into audio data through the audio codec 514 and inserted into the audio region. In addi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through the sensor 506 or button, the audio signal by the microphone 504, the visual signal by the camera 502, etc. are converted into the S-code via the code conversion unit 514, the data Is inserted into the area. That is, the signal to the visual, audio, and tactile is converted into an S-code, and the converted S-code is included in the data area of the video call data and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반대로, 영상통화데이터(530)를 수신한 휴대용 수신기는 상기 영상통화데이터를 데이터 처리(540)하여 출력한다(550). 즉, 비디오 영역에 있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그리고 오디오 영역에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고, 데이터 영역에 있는 S-코드를 디코딩하여 해당 출력장치(모터, 또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In contrast, the portable receiver receiving the video call data 530 processes and outputs the video call data in step 550. That is, the video data in the video area is decoded and output to the display. The audio data in the audio area is decoded and output to the speaker, and the S-code in the data area is decoded and output to the corresponding output device (motor, speaker or display).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경우, 단말에 나타나는 상대방 영상을 진동하거나 깜빡이거나, 영상의 색을 반전시킨다. 스피커로 출력되는 경우, "beep" 출력한다. 또는 오디오 영역에 있는 음성을 변형시켜 출력한다(예: 노이즈를 추가, 낮은음을 추가 등).For example, when output to the display, the other party's image displayed on the terminal vibrates or blinks, or inverts the color of the image. If the speaker outputs "beep". Or transform the voice in the audio domain and output it (e.g. add noise, add low tones, etc.).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통화시 시각, 청각, 및 촉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1 is a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a variety of expressions using visual, auditory, and tactile dur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통화시 시각 청각, 및 촉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송신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various expressions using visual hearing and tactile sense dur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통화시 시각 청각, 및 촉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수신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receiving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various expressions using visual hearing and tactile sense dur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영상통화 데이터 프레임 구조 및,4 is a video call data frame structur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통화시에 영상, 오디오, 데이터 처리 예시도.5 is a view illustrating video, audio, and data processing dur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2)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통화시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송신 방법에 있어서,In the transmission method for providing a variety of expressions during the video call in the portable terminal, 영상통화 중에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과,Detecting events during the video call, 기정의된 각 이벤트별 코드 매핑 정보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코드를 추출하는 과정과,Extracting a code corresponding to the event from code mapping information for each event; 상기 코드와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통화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Generating video call data including the code,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상기 영상통화데이터를 해당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ransmitting the video call data to the corresponding portab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코드는 상기 영상통화데이터 프레임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code is included in a data area used by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video call data fram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벤트 감지시 자체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 진동효과를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o activate own visual effects, auditory effects, and vibration effects upon detecting the event; 상기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 진동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활성화시,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 진동효과를 발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n the at least one of the visual effect, the auditory effect, and the vibration effect is activated, generating the visual effect, the auditory effect, and the vibration effect in response to the even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벤트에 대한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 진동효과 중 어떤 효과를 이용할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selecting which of the visual effects, the auditory effects, and the vibration effects for the event to us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매핑 정보는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 진동효과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추가/삭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app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visual effects, auditory effects, and vibration effects, and may be added / deleted by a us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벤트에 대한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또는 진동효과를 발생한 후, 상기 영상통화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after the visual, auditory, and / or vibrational effects of the event occur, maintaining the video cal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벤트는 키패드, 터치패드, 또는/및 센서로부터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event occurs from a keypad, a touchpad, and / or a sensor.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통화시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수신 방법에 있어서,In the receiving method for providing a variety of expressions during the video call in the portable terminal, 영상통화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video call data; 상기 영상통화데이터에 포함된 해당 코드와 기정의된 각 이벤트별 코드 매핑 테이블에 있는 코드와 비교하는 과정과,Comparing the code included in the video call data with a code in a predetermined code mapping table for each event; 상기 매핑 테이블의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해당 코드에 대응하는 시각효과, 청각효과, 또는/및 촉각효과를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Generating a visual effect, an auditory effect, and / or a tactile effect corresponding to the code in the mapping table.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이벤트에 대한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또는 진동효과를 발생한 후, 상기 영상통화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after the visual, auditory, and / or vibrational effects of the event occur, maintaining the video call.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매핑 테이블의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 진동효과를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Determining whether to activate visual effects, auditory effects, and vibration effects when the codes of the mapping table match.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매핑 정보는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 진동효과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추가/삭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app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visual effects, auditory effects, and vibration effects, and may be added / deleted by a user.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통화시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송신 장치에 있어서,In the transmission device for providing a variety of expressions during the video call in the portable terminal, 영상통화 중에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와,An event detector for detecting an event during a video call; 기정의된 각 이벤트별 코드 매핑 정보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코드를 추출하는 이벤트 처리부와,An event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a code corresponding to the event from predefined code mapping information for each event; 상기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통화데이터를 생성하는 코드 변환부와,A code converter for generating video call data including the code; 상기 영상통화데이터를 해당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video call data to the corresponding portable terminal.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코드는 상기 영상통화데이터 프레임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code is included in a data area used by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video call data frame.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이벤트 감지시 자체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 진동효과를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고,Determining whether to activate the own visual effects, auditory effects and vibration effects when the event is detected, 상기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 진동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활성화시,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 진동효과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when the at least one of the visual effect, the auditory effect and the vibration effect is activated, generating the visual effect, the auditory effect and the vibration effect in response to the event.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이벤트에 대한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 진동효과 중 어떤 효과를 이용할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Device for selecting the effect of the visual effect, auditory effect and vibration effect for the event.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매핑 정보는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 진동효과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추가/삭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mapp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visual effects, auditory effects, and vibration effects, and may be added / deleted by a user.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이벤트에 대한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또는 진동효과를 발생한 후, 상기 영상통화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fter the visual, auditory, and / or vibrational effects of the event occur, maintaining the video call.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이벤트는 키패드, 터치패드, 또는/및 센서로부터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rein the event occurs from a keypad, a touchpad, and / or a sensor.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통화시 다양한 의사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In the receiving device for providing a variety of expressions during the video call in the portable terminal, 영상통화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video call data; 상기 영상통화데이터에 포함된 해당 코드와 기정의된 각 이벤트별 코드 매핑 테이블에 있는 코드와 비교하는 코드 변환부와,A code conversion unit for comparing the code included in the video call data with a code in a predetermined code mapping table for each event; 상기 매핑 테이블의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해당 코드에 대응하는 시각효과, 청각효과, 또는/및 촉각효과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visual effect, an auditory effect, and / or a tactile effect corresponding to the code in the mapping table.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이벤트에 대한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또는 진동효과를 발생한 후, 상기 영상통화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fter the visual, auditory, and / or vibrational effects of the event occur, maintaining the video call.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매핑 테이블의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 진동효과를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If it matches with the code of the mapping tab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to activate the visual effect, auditory effect and vibration effect.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매핑 정보는 시각효과, 청각효과 및 진동효과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추가/삭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mapp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visual effects, auditory effects, and vibration effects, and may be added / deleted by a user.
KR1020080109098A 2008-11-04 2008-11-04 Apparatus and method for surporting various declaration of intention in portable terminal KR2010005002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098A KR20100050021A (en) 2008-11-04 2008-11-04 Apparatus and method for surporting various declaration of intention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098A KR20100050021A (en) 2008-11-04 2008-11-04 Apparatus and method for surporting various declaration of intention in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021A true KR20100050021A (en) 2010-05-13

Family

ID=4227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098A KR20100050021A (en) 2008-11-04 2008-11-04 Apparatus and method for surporting various declaration of intention in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002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9716B2 (en) 2015-12-15 2017-11-14 Li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call using two-way communication of visual or auditory effe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9716B2 (en) 2015-12-15 2017-11-14 Li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call using two-way communication of visual or auditory effect
US10182095B2 (en) 2015-12-15 2019-01-15 Li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call using two-way communication of visual or auditory effe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6919B2 (en) Method,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for screen mirroring
CN113727427A (en) Informa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time-frequency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and base station
KR20080058124A (en)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haptic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101954774B1 (en) Method for providing voice communication using character data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JP2011530902A (en) Sharing information during a call
JP2016530818A (en) CALL METHOD, CALL DEVICE, CALL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12905089B (en)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EP3713325A1 (en) Communication link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CN111556439A (en) Terminal connection control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1432071B (en) Call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US10708414B2 (en) Method for providing guidance during a call waiting state
CN109711830B (en) Quick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two-dimension code payment,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1314903B (en) Information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2064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elp of user device
CN107395724B (en) Network request method and device
EP3499857B1 (en)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100566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all mode in portable terminal
CN114268691A (en) Call method, device, terminal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0005002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rporting various declaration of intention in portable terminal
US20100022229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a related system for communicating and a related transforming part
US2006028699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xternal mike sens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200900129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 being executed
KR20070050314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message thereof
CN111357280A (en) Video call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00795749B1 (en) Method for executing video communication i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