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6376A - Hangul input apparatus and hangul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Hangul input apparatus and hangul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6376A
KR20100046376A KR1020080105193A KR20080105193A KR20100046376A KR 20100046376 A KR20100046376 A KR 20100046376A KR 1020080105193 A KR1020080105193 A KR 1020080105193A KR 20080105193 A KR20080105193 A KR 20080105193A KR 20100046376 A KR20100046376 A KR 20100046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basic
consonants
touch screen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1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원규
강정민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80105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6376A/en
Publication of KR20100046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3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Hangeul input apparatus and a Hange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re provided to reduce the number of touches required for the input of double consonants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double consonant input key. CONSTITUTION: A first consonant input unit has 4 keys for 4 basic Korean consonants (giyug, nieun, digeud, rieul), and 3 keys for 3 basic Korean consonants(mieum, bieub, siok) are araranged on a second consonant input unit. A third consonant input unit has 3 keys for 3 basic Korean consonants(ieung, gieuk, hieuk). A double consonant input unit(227) converts the consonants, giyug, digeud, bieub, siok and gieuk into double consonants thereof.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입력 방법{HANGUL INPUT APPARATUS AND HANGUL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Hangul input device and Hangul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HANGUL INPUT APPARATUS AND HANGUL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글의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device and a Hangul inpu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gul input device and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for the input of Hangul.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은 크게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법과 수기 입력(Handwriting Recognition) 방법이 존재한다. Character input methods in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largely include a soft keyboard input method and a handwriting recognition method.

이 중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법이란 일반 키보드와 마우스의 휴대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 키보드 형태의 입력 창을 띄워서 펜 클릭으로 입력을 받는 방법을 말한다. Among them, the soft keyboard input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receiving an input by a pen click by opening a keyboard-type input window on the touch screen to overcome the portability problem of a general keyboard and a mouse.

한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의 예로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전자수첩, 휴대폰, PDA 등을 들 수 있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단말기들이 점점 소형화되고 경량화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크기 또한 그만큼 소형화되고 경량화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examples of a terminal with a touch screen include a navigation terminal, an electronic notebook, a mobile phone, a PDA, etc. In recent years, such terminals are becoming smaller and lighter, and thus, the size of the touch screen is also smaller and lighter. have.

종래에는 이와 같이 소형화된 터치스크린 상에서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 26개의 키를 모두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문자 입력을 위한 화면 면적이 커질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출력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었다. Conventionally, a technique of displaying all 26 keys on a touch screen has been used to input an alphabet on the miniaturized touch screen. However,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the screen area for text input is inevitably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area for displaying the output text is relatively reduced.

또한, 알파벳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일일이 키를 찾아가면서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작아진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키보드의 작은 버튼을 눌러야 하기 때문에, 실수로 버튼을 잘못 누르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user who is not familiar with the alphabet, it is inconvenient because the user must input the key while searching for the key. In addition, since the user must press a small button of the keyboar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frequently pressing the wrong button by mistake.

한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수기 입력 방법은 사람의 수기(즉, 필기체)를 인식하여 데이터 코드로 변환시켜 주는 방법이다. On the other hand, a handwriting input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is a method of recognizing human handwriting (ie, handwriting) and converting it into a data code.

하지만, 이러한 수기 입력 방법은 사용자가 일일이 필기체로서 문자를 써야 하기 때문에 입력 속도가 느릴 뿐 아니라, 사용자의 많은 움직임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입력하기를 원하는 문자를 정확하게 기재하지 않으면 유사한 문자로 인식되어 입력되는 오류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handwriting input method is not only slow input speed because the user has to write a letter as a handwriting,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requires a lot of movement of the us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frequently input errors that are recognized as similar characters if the character that you want to input is not accurately describ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한글 입력 장치(100)는 4행 4열로 배열된 16개의 키(111~126)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Hangul input device 100 includes sixteen keys 111 to 126 arranged in four rows and four columns.

‘1’키 ~’d’키의 16개의 키(111~126)에는 (‘ㄱ’, ‘ㄴ’, ‘ㄷ’, ‘ㅏ’, ‘ㄹ’, ‘ㅁ’, ‘ㅂ’, ‘ㅓ’, ‘ㅅ’, ‘ㅇ’, ‘ㅗ’, ‘ㅜ’, ‘ㅈ’, ‘ㅎ‘, ‘ㅡ’, ‘ㅣ’)가 기본 키로서 지정되고, 상기 기본 키를 두 번 연속하여 입력하는 경우 (‘ㅋ’, ‘ㅌ’, ‘ㅑ’, ‘ㅍ’, ‘ㅕ’, ‘ㅛ’, ‘ㅠ’, ‘ㅊ’)으로 변환되며, 상기 기본 키를 세 번 연속하여 입력하는 경우 (‘ㄲ‘, ‘ㄸ’, ‘ㅆ’, ‘ㅉ’)으로 변환된다.The 16 keys (111-126) of the '1' key to the 'd' key include ('B', 'B', 'c', 'ㅏ', 'ㄹ', 'ㅁ', 'ㅂ', 'ㅓ' ',' ㅅ ',' ㅇ ',' ㅗ ',' TT ',' ㅈ ',' ㅎ ',' ㅡ ',' ㅣ ') are designated as primary keys, and the primary key is entered twice in succession. ('ㅋ', 'ㅌ', 'ㅑ', 'ㅑ', 'ㅕ', 'ㅛ', 'ㅠ', 'ㅊ'), and the primary key is entered three times in succession. ('ㄲ', 'ㄸ', 'ㅆ', 'ㅉ').

즉, ‘1’키(111)를 두 번 연속하여 누르면 ‘ㅋ’으로 변환되며, ‘1’키(111)를 세번 연속하여 누르면 ‘ㄲ’으로 변환된다. In other words, pressing the '1' key 111 two times in succession converts to 'ㅋ', and pressing the '1' key 111 three times in succession converts it to 'ㄲ'.

또한, ‘*’키(123)를 두 번 연속하여 누르면 ‘ㅊ’으로 변환되며, 세 번 연속하여 누르면 ‘ㅉ’으로 변환된다. Also, pressing the '*' key 123 twice in succession converts it to 'ㅊ', and pressing it three times in succession converts it to 'ㅉ'.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쌍자음 ‘ㄲ’, ‘ㄸ’, ‘ㅃ’, ‘ㅉ’의 입력은 각 쌍자음이 중복 배치된 ‘1’키(111), ‘3’키(113), ‘6’키(117), ‘*’키(123)의 세 번 연속 누름에 의해 입력되기 때문에 터치 회수가 비교적 많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of the twin consonants 'ㄲ', 'ㄸ', 'ㅃ', 'ㅉ' is the '1' key 111 and the '3' key in which the respective consonants are overlappe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touches are required because the input is performed by three consecutive presses of the 113, 6, 117, and 123 keys.

또한, 종래 기술은, 4행 4열로 배열된 16개의 키버튼에 배치되는 자음 및 모음의 배열 방법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하기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4행 4열 중 상단의 2행 4열은 좌측으로부터 3개의 키버튼에 자음을 배치하고 나머지 1개의 키버튼에 모음을 배치하고 있으나, 하단의 2행 4열은 좌측으로부터 2개의 키버튼에 자음을 배치하고 나머지 2개의 키버튼에 모음을 배치하고 있어서, 자음 입력부 및 모음 입력부의 배열이 불규칙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In addition,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in that a method of arranging consonants and vowels arranged in 16 key buttons arranged in four rows and four columns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intuitively recognize. That is, two rows and four columns at the top of the four rows and four columns place consonants in three key buttons from the left and a vowel in the other one key buttons, but two rows and four columns at the bottom are two key buttons from the left. Since the consonants are arranged in the vowels on the remaining two key buttons, the arrangement of the consonant input unit and the vowel input unit is irregular and it is very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m.

한편, 선행 기술로서, 한국 공개 특허 제2006-0100660호는 한글 자음 14개, 한글 모음 3개 및 쌍자음 키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에피 한글 입력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즉, 선행 기술은, 14개의 한글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8개의 한글 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및 한글 자음 ‘ㄱ’, ‘ㄷ’, ‘ㅂ’, ‘ㅅ’, ‘ㅈ’에 대응하는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으로의 변환을 위한 쌍자음 변환 키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ㄱ’이 배치된 키 및 쌍자음 변환 키를 순차적으로 누르면 ‘ㄲ’으로 변환되고, ‘ㄷ’이 배치된 키 및 쌍자음 변환 키를 순차적으로 누르면 ‘ㄸ’으로 변환되며, ‘ㅂ’이 배치된 키 및 쌍자음 변환 키를 순차적으로 누르면 ‘ㅃ’으로 변환된다. Meanwhile, as a prior art,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6-0100660 discloses an 'Epi Hangul input system' that can input Hangul using 14 Hangul consonants, 3 Hangul vowels, and double consonant keys. That is, the prior art, 14 Hangul consonants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 'ㅋ', 'ㅌ', 'ㄷ', 'ㅎ'), 8 Hangul vowels ('ㅏ', 'ㅓ', 'ㅗ', 'TT', 'ㅡ', 'ㅣ', 'ㅐ' , 'ㅔ') and the two consonants 'ㄱ', 'ㄸ', 'ㅃ', 'ㅆ', 'ㅉ' for the Korean consonants 'ㄱ', 'ㄷ', 'ㅂ', 'ㅅ', 'ㅈ' Enter Hangul using the consonant conversion key for conversion to '. For example, when the 'a' key and the double consonant conversion key is sequentially pressed, it is converted into 'ㄲ', and the 'c' is placed by the key and the double consonant conversion key is sequentially converted to 'ㄸ', When the key with the letter 'ㅂ' and the consonant conversion key are sequentially pressed, it is converted into 'ㅃ'.

그러나, 선행 기술은, 쌍자음 ‘ㄲ’, ‘ㄸ’, ‘ㅃ’, ‘ㅉ’의 입력을 위해 별도의 쌍자음 키를 이용하는 기술을 개시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한글 입력 방법을 처음 접하는 사용자는 상기 쌍자음 키의 기능을 직관적으로 인지하기 힘들어서, 별도의 매뉴얼 없이는 쉽게 한글 입력 방법을 터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discloses a technique of using a separate consonant key for inputting a consonant 'ㄲ', 'ㄸ', 'ㅃ', and 'ㅉ'. Since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function of the consonant ke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asily learn the Hangul input method without a separate manu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한글 자음 ‘ㄱ’, ‘ㄷ’, ‘ㅂ’, ‘ㅅ’, ‘ㅈ’이 배치된 키 중 하나의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된 한글 자음에 해당하는 쌍자음의 입력을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쌍자음 입력 키의 표시를 해당하는 쌍자음으로 전환하여 표시해주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ouch of one of the keys arranged with the Hangul consonants 'ㄱ', 'ㄷ', 'ㅂ', 'ㅅ', and 'ㅈ' is detected, input of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Hangul consonants In order to visually guide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gul input device and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that converts and displays a display of a twin consonant input key into a corresponding twin consonan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1행 4열로 배열된 4개의 키에 ‘ㄱ’, ‘ㄴ’, ‘ㄷ’, ‘ㄹ’의 기본 자음을 각각 배치하여 표시하는 제 1 자음 입력부, 상기 제 1 자음 입력부의 하측에 1행 3열로 배열된 3개의 키에 ‘ㅁ’, ‘ㅂ’, ‘ㅅ’의 기본 자음을 각각 배치하여 표시하는 제 2 자음 입력부, 상기 제 2 자음 입력부의 하측에 1행 3열로 배열된 3개의 키에 ‘ㅇ’, ‘ㅈ’, ‘ㅎ’의 기본 자음을 각각 배치하여 표시하는 제 3 자음 입력부, 상기 제 1 및 제 3 자음 입력부의 우측에 3행 2열로 배열된 6개의 키에 ‘ㅏ’, ‘ㅓ’, ‘ㅗ’, ‘ㅜ’, ‘ㅡ’, ‘ㅣ’의 기본 단모음을 각각 배치하여 표시하는 모음 입력부 및 상기 기본 자음 중 ‘ㄱ’, ‘ㄷ’, ‘ㅂ’, ‘ㅅ’, ‘ㅈ’을 ‘ㄲ’, ‘ㄸ’, ‘ㅃ’, ‘ㅆ’, ‘ㅉ’의 쌍자음으로 변환하여 입력하기 위한 쌍자음 입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본 자음 ‘ㄱ’, ‘ㄷ’, ‘ㅂ’, ‘ㅅ’, ‘ㅈ’이 배치된 키 중 하나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상기 쌍자음 입력부의 표시를 상기 터치된 기본 자음에 해당하는 쌍자음으로 전환하는 것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 'b', 'c' to four keys arranged in one row and four columns ,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for arranging and displaying the basic consonants of 'ㄹ', and the basic consonants of 'ㅁ', 'ㅂ', and 'ㅅ' on three keys arranged in one row and three columns below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 second consonant input unit for arranging and displaying the respective basic consonants of 'ㅇ', 'ㅈ', and 'ㅎ' on three keys arranged in one row and three columns below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3 consonant inputs, 6 keys arranged in a row of 3 rows and 2 columns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and third consonant inputs, the basic of 'ㅏ', 'ㅓ', 'ㅗ', 'TT', 'ㅡ', 'ㅣ' A vowel input unit for arranging and displaying a single vowel, and 'b', 'ㄷ', 'ㅂ', 'ㅅ', 'ㅈ' includes a twin consonant input unit for converting and inputting a consonant of 'ㄲ', 'ㄸ', 'ㅃ', 'ㅆ', 'ㅉ', the basic consonant 'ㄱ', When a touch of one of the keys arranged with 'ㄷ', 'ㅂ', 'ㅅ', and 'ㅈ' is detected,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basic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consona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dual consonant input uni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t provides a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to switch to.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10개의 키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본 자음 중 ‘ㄱ’, ‘ㄷ’, ‘ㅂ’, ‘ㅅ’, ‘ㅈ’을 ‘ㄲ’, ‘ㄸ’, ‘ㅃ’, ‘ㅆ’, ‘ㅉ’의 쌍자음으로 변환하기 위한 쌍자음 입력 키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1개의 키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자음 ‘ㄱ’, ‘ㄷ’, ‘ㅂ’, ‘ㅅ’, ‘ㅈ’이 배치된 키 중 하나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상기 쌍자음 입력 키의 표시를 상기 터치된 기본 자음에 해당하는 쌍자음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basic consonants 'ㄱ', 'ㄴ', 'ㄷ', 'ㄹ', 'ㅁ' , 'ㅂ', 'ㅅ', 'ㅇ', 'ㅈ', and 'ㅎ' to be displayed on the 10 keys on the touch screen, and displaying the same, among the basic consonants 'ㄱ', 'ㄷ', 'ㅂ' , 'Z', 'ㅈ' to 'twin', 'ㄸ', 'ㅃ', 'ㅆ', 'ㅉ' by placing a consonant input key to one key on the touch screen If a touch of one of the keys and the key consonants 'ㄱ', 'ㄷ', 'ㅂ', 'ㅅ', 'ㅈ' are arranged is detected, the input of the consonant input Using a touch screen including converting a display into a doubl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basic consonant Provides a way to enter text.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쌍자음 입력 키를 별도로 구비하여 쌍자음 입력에 소요되는 키의 터치 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글 자음 ‘ㄱ’, ‘ㄷ’, ‘ㅂ’, ‘ㅅ’, ‘ㅈ’이 배치된 키 중 하나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쌍자음 입력 키의 표시를 터치된 한글 자음에 해당하는 쌍자음으로 전환하여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하여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eparate consonant input key to reduce the number of touches of the key required to input the twin consonant, as well as the Hangul consonants' ㄱ ',' ㄷ ',' ㅂ When a touch of one of the keys arranged with ',' ㅅ 'and' ㅈ 'is detected, the display of the twin consonant input key is switched to a twin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Hangul consonant and displayed. You can enter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which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의 명세서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한글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및 ‘ㅎ’의 기본 자음, ‘ㅋ’, ‘ㅌ’, ‘ㅍ’ 및 ‘ㅊ’의 거센 소리 자음 및 ‘ㄲ’, ‘ㄸ’, ‘ㅃ’, ‘ㅆ’ 및 ‘ㅉ’ 의 쌍자음으로 구분한다.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Hangul consonants are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and 'ㅎ' Basic consonants of ',', 'ㅌ', 'ㄷ' and 'ㅊ' are consonants and 'ㄲ', 'ㄸ', 'ㅃ', 'ㅆ' and 'ㅉ' consonants.

또한, 한글 모음은 ‘ㅏ’, ‘ㅓ’, ‘ㅗ’, ‘ㅜ’, ‘ㅡ’ 및‘ㅣ’의 기본 단모음, ‘ㅑ’, ‘ㅕ’, ‘ㅛ’ 및 ‘ㅠ’의 기본 복모음 및 상기 기본 단모음 및 상기 기본 복모음의 결합으로 입력되는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및 ‘ㅢ’ 의 복합 모음으로 구별하여 사용한다. Also, Hangul vowels are the basic short vowels of 'ㅏ', 'ㅓ', 'ㅗ', 'TT', 'ㅡ' and 'ㅣ', and the basic double vowels of 'ㅑ', 'ㅕ', 'ㅛ' and 'ㅠ' And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inputted by combining the basic short vowel and the basic double vowel. Used as a complex collection of ㅟ 'and' ㅢ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이 적용되는 키패드에는 하나의 키에 다수의 층을 둘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 ‘층’이라는 용어는 동일 키에 중복으로 배치된 자음 또는 모음들이 속한 계층을 의미한다. 즉, 동일 키에 자음 또는 모음의 1개가 배치되면 1층 배치, 2개가 중복으로 배치되면 2층 배치라고 한다. Meanwhile, a keypad to which a text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have a plurality of layers on one key.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layer' refers to consonants or vowels that are overlapped on the same key. It belongs to the hierarchy. That is, when one consonant or vowel is arranged on the same key, the first floor is arranged, and when two are arranged in duplicate, the second floor is called.

이때, 동일 키에 2개 이상의 자음 또는 모음이 중복으로 배치된 경우에, 각 자음 또는 모음의 선택은 해당 키의 터치 횟수, 예를 들어, 1회 터치 또는 연속 2회 터치로써 선택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wo or more consonants or vowels are arranged in the same key, the selection of each consonant or vowel may be selected by the number of touches of the corresponding key, for example, one touch or two consecutive touches.

이하에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Hangul input device and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touch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200)은 입력창 영역(210) 및 소프트 키보드 영역(2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touch screen 200 includes an input window region 210 and a soft keyboard region 220.

입력창 영역(21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한글 자음 및 모음을 디스플레이한다. The input window area 210 displays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selected by the user.

소프트 키보드 영역(220)은 제 1 자음 입력부(221), 제 1 모음 입력부(222), 제 2 자음 입력부(223), 제 2 모음 입력부(224), 제 3 자음 입력부(225), 제 3 모음 입력부(226), 쌍자음 입력부(227) 및 기능키 입력부(228)를 포함한다. The soft keyboard area 220 includes a first consonant input unit 221, a first vowel input unit 222, a second consonant input unit 223, a second vowel input unit 224, a third consonant input unit 225, and a third vowel unit. And an input unit 226, a double consonant input unit 227, and a function key input unit 228.

제 1 자음 입력부(221)는 1행 4열로 배열된 4개의 키로 이루어지며, 각 키 마다 1개의 기본 자음, 예를 들어, ‘ㄱ’, ‘ㄴ’, ‘ㄷ’, ‘ㄹ’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기본 자음 중 ‘ㄱ’, ‘ㄷ’이 배치된 키에는 거센 소리 자음 ‘ㅋ‘, ‘ㅌ‘이 각각 2층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221 is composed of four keys arranged in one row and four columns, and each basic consonant, for example, 'a', 'b', 'c', and 'r' is arranged for each key. Can be. In this case, a strong sound consonant 'ㅋ' and 'ㅌ' may be arranged on the second floor of the basic consonants 'ㄱ' and 'ㄷ'.

제 1 모음 입력부(222)는 제 1 자음 입력부(221)의 우측에 1행 2열로 배열된 2개의 키로 이루어지며, 각 키 마다 1개의 기본 단모음, 예를 들어, ‘ㅏ’, ‘ㅓ’가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이때, 기본 단모음 ‘ㅏ’, ‘ㅓ’가 배치된 각 키에는 기본 복모음 ‘ㅑ’, ‘ㅕ’가 각각 2층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vowel input unit 222 is composed of two keys arranged in one row and two columns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221. For each key, one basic short vowel, for example, 'ㅏ' and 'ㅓ' In this case, each key on which the basic short vowels 'ㅏ' and 'ㅓ' are arranged may have two levels of basic double vowels 'ㅑ' and 'ㅕ'.

제 2 자음 입력부(223)는 제 1 자음 입력부(221)의 하측, 즉, 제 2 행에 1행 3열로 배열된 3개의 키로 이루어지며, 각 키 마다 1개의 기본 자음, 예를 들어, ‘ㅁ’ ‘ㅂ’, ‘ㅅ’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기본 자음 중 ‘ㅂ’이 배치된 키에는 거센 소리 자음 ‘ㅍ’이 2층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223 is composed of three keys arranged below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221, that is, the second row in one row and three columns, and each basic consonant, for example, 'ㅁ 'ㅂ' and 'ㅅ' may be arranged respectively. In this case, a strong sound consonant 'ッ' may be arranged on the second floor of the basic consonant key “ㅂ”.

제 2 모음 입력부(224)는 제 1 모음 입력부(222)의 하측에 1행 2열로 배열된 2개의 키로 이루어지며, 각 키 마다 1개의 기본 단모음, 예를 들어, ‘ㅗ’, ‘ㅜ’가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이때, 기본 단모음 예를 들어, ‘ㅗ’, ‘ㅜ’가 배치된 각 키에는 기본 복모음 ‘ㅛ’, ‘ㅠ’가 각각 2층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vowel input unit 224 is composed of two keys arranged in one row and two columns below the first vowel input unit 222, and one basic short vowel for each key, for example, 'ㅗ' and 'TT' In this case, the basic short vowels, for example, 'ㅗ', 'TT' may be arranged on each of the two keys, the basic double vowel 'ㅛ', 'ㅠ' are arranged.

제 3 자음 입력부(225)는 제 2 자음 입력부(223)의 하측, 즉, 제 3 행에 1행 3열로 배열된 3개의 키로 이루어지며, 각 키 마다 1 개의 기본 자음, 예를 들어, ‘ㅇ’, ‘ㅈ’, ‘ㅎ’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기본 자음 중 ‘ㅈ’이 배치된 키에는 거센 소리 자음 ‘ㅊ’이 2층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consonant input unit 225 is composed of three keys arranged below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223, that is, three rows in one row and three columns, and each basic consonant, for example, ' ',' ㅈ 'and' ㅎ 'can be arranged respectively. In this case, a strong sound consonant “ㅊ”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loor of a key in which “ㅈ” is arranged among the basic consonants.

제 3 모음 입력부(226)는 제 2 모음 입력부(224)의 하측, 즉, 제 3 행에 1행 2열로 배열된 2 개의 키로 이루어지며, 각 키마다 1 개의 기본 단모음, 예를 들어, ‘ㅡ’, ‘ㅣ’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vowel input unit 226 is composed of two keys arranged below the second vowel input unit 224, that is, the third row in one row and two columns, and each key has one basic short vowel, for example, 'ㅡ ',' | May be arranged respectively.

이때, 제 1 행의 제 1 자음 입력부(221)는 그 하측, 즉, 제 2 행의 제 2 자음 입력부(223)와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고, 제 3 행의 제 3 자음 입력부(225)는 제 2 행의 제 2 자음 입력부(223)와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221 of the first row may be alternately disposed with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223 of the second row, that is, the third consonant input unit 225 of the third row.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223 of the second row may be alternately arranged.

상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 키보드 영역의 자음 입력부의 각 행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키의 터치 시 의도하지 않은 한글 자음의 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rranging each row of the consonant input units of the soft keyboard area with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minimize the unintentional input of Hangul consonants when the key is touched.

쌍자음 입력부(227)는 제 3 자음 입력부(225)의 우측, 즉, 제 3 행에 배치되고, 기본 자음 중 ‘ㄱ’, ‘ㄷ’, ‘ㅂ’, ‘ㅅ’, ‘ㅈ’을 ‘ㄲ’, ‘ㄸ’, ‘ㅃ’, ‘ㅆ’, ‘ㅉ’의 쌍자음으로 변환하여 입력한다. 또한, 쌍자음 입력부(227)는 기본 자음 ‘ㄱ’, ‘ㄷ’, ‘ㅂ’, ‘ㅅ’, ‘ㅈ’이 배치된 키 중 하나가 터치되면, 터치된 키에 해당하는 쌍자음의 입력을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터치된 기본 자음의 쌍자음으로 전환되어 표시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double consonant input unit 227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third consonant input unit 225, that is, the third row, and the 'b', 'c', 'ㅂ', 'ㅅ', 'ㅈ' among the basic consonants are ' 하여 ',' ㄸ ',' ㅃ ',' ㅆ ',' ㅉ 'is converted to the double consonants and input. In addition, the twin consonant input unit 227, if one of the keys arranged with the basic consonants 'ㄱ', 'ㄷ', 'ㅂ', 'ㅅ', 'ㅈ' is touched, input of the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key In order to visually guide, the consonants of the touched basic consonants are converted and display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쌍자음 입력부(227)는 제 3 자음 입력부(225)의 우측, 즉, 제 3 행에 배열함으로써 사용자가 각 키의 배치 구조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고, 사 용자에게 한 눈에 들어올 수 있다. The double consonant input unit 227 is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third consonant input unit 225, that is, the third row, so that the user can more intuitively recognize the arrangement of each key, and the user can catch the user at a glance. have.

상술한 쌍자음 입력부(227)의 배치 위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bove-described arrangement position of the twin consonant input unit 227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is not limited thereto.

기능키 입력부(228)는 제 3 자음 입력부(225), 쌍자음 입력부(227) 및 제 3 모음 입력부(226)의 하측, 즉, 제 4 행에 한글 입력 모드에서 영문 입력 모드로의 변환을 위한 한영 변환부(228a) 및 숫자의 입력을 위한 숫자 입력부(228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unction key input unit 228 is a lower side of the third consonant input unit 225, the double consonant input unit 227, and the third vowel input unit 226, that is, the fourth line for converting from the Korean input mode to the English input mode. It may include a Korean-English conversion unit 228a and a numeric input unit 228b for inputting numbers.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자음 입력부의 쌍자음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A to 3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for displaying a consonant of a twin consona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예를 들어, 기본 자음 ‘ㄱ’이 배치된 키를 터치하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쌍자음 ‘ㄲ’의 입력을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쌍자음 입력부(227)의 표시가 ‘ㄲ’으로 전환되고, 사용자가 쌍자음 입력을 위해 ‘ㄲ’으로 전환되어 표시된 쌍자음 입력부(227)를 터치하면 입력창 영역(210)에 ‘ㄲ’이 디스플레이된다. For example, when a user touches a key on which a basic consonant 'a' is arranged, as shown in FIG. 3A, the display of the twin consonant input unit 227 displays 'ㄲ' to visually guide the input of the double consonant 'ㄲ'. When the user touches the displayed double consonant input unit 227 which is switched to 'ㄲ' for inputting the double consonant, 'ㄲ' is displayed in the input window area 210.

또한, 사용자가 예를 들어, 기본 자음 ‘ㄷ’이 배치된 키를 터치하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쌍자음 ‘ㄸ’의 입력을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쌍자음 입력부(227)의 표시가 ‘ㄸ’으로 전환되고, 사용자가 쌍자음 입력을 위해 ‘ㄸ’으로 전환되어 표시된 쌍자음 입력부(227)를 터치하면 입력창 영역(210)에 ‘ㄸ’이 디스플레이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touches a key on which the basic consonant 'c' is dispos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B, the display of the twin consonant input unit 227 may be used to visually guide the input of the double consonant 'ㄸ'. When the user inputs the consonant input unit 227, which is switched to 'ㄸ' and the user switches to 'ㄸ' for inputting the consonant, 'ㄸ' is displayed in the input window area 210.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예를 들어, 기본 자음 ‘ㅂ’이 배치된 키를 터치하면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쌍자음 ‘ㅃ’의 입력을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쌍자음 입력부(227)의 표시가 ‘ㅃ’으로 전환되고, 사용자가 쌍자음 입력을 위해 ‘ㅃ’으로 전환되어 표시된 쌍자음 입력부(227)를 터치하면 입력창 영역(210)에 ‘ㅃ’이 디스플레이된다. Similarly, when the user touches a key on which the basic consonant 'ㅂ' is plac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C, the display of the twin consonant input unit 227 may be used to visually guide the input of the double consonant 'ㅃ'. When the user inputs the consonant input unit 227, which is switched to 'ㅃ' and the user switches to 'ㅃ' for inputting the consonant, 'ㅃ' is displayed in the input window area 2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자음 입력부(221, 223, 225), 각 모음 입력부(222, 224, 226), 쌍자음 입력부(227) 및 기능키 입력부(228)의 각각의 키의 배치 위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순서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Arrangement position of each key of each consonant input unit 221, 223, 225, each vowel input unit 222, 224, 226, the double consonant input unit 227 and the function key input unit 22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S. 2 and 3, and may be arranged in any ord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세부 구성도이다.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320), 접촉 감지부(330), 저장부(340) 및 제어부(3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portable terminal 300 includes a display 320, a touch detector 330, a storage 340, and a controller 310.

디스플레이부(320)는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소프트 키보드, 휴대용 단말기(300)를 작동시키기 위한 메뉴 버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자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20)는 10개의 기본 자음 및 6개의 기본 단모음을 포함하는 소프트 키보드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 The display 320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soft keyboard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 menu button for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300, and a character select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display 320 displays a soft keyboard including ten basic consonants and six basic short vowels on the touch screen.

접촉 감지부(330)는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된 메뉴, 데이터 또는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접촉 감지부(330)는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소프트 키보드 상의 특정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하는 조작을 행할 시에, 접촉 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터치 위치 및 터치 수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The touch sensor 330 detects a user's touch operation for selecting a menu, data, or text displayed on the display 320. Specifically, the touch sensing unit 330 performs a touch operation to select a specific character on the soft keyboar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sing a user's finger or a stylus pen. The touch position and the number of touches of the finger or the stylus pen are sens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10.

저장부(340)는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예를 들어, 한글의 입력을 위한 한글 키보드 정보, 숫자의 입력을 위한 숫자 키보드 정보 및 영문의 입력을 위한 영문 키보드 정보 등의 소프트 키보드 정보, 휴대용 단말기(300)를 작동시키기 위한 메뉴 버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자 등의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340 may include, for example, soft keyboard information such as Korean keyboard information for input of Korean characters, numeric keyboard information for input of numbers, and English keyboard information for input of English characters, and a portable terminal ( 300 stor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menu button for operating the 300 and a character selected by the user.

제어부(310)는 휴대용 단말기(300)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며, 접촉 감지부(330)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저장부(340) 및 디스플레이부(32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310)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터치 위치 및 터치 수에 기초하여, 기본 자음에 중복 배치된 거센 소리 자음 또는 기본 단모음에 중복 배치된 기본 복모음을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3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ntire portable terminal 300 and controls the storage 340 and the display 320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touch sensor 330. That is, the controller 310 controls to select the coarse sound consonant arranged on the basic consonant or the basic double vowel overlapping the basic short vowel based on the touch position and the number of touches of the user's finger or the stylus pen.

또한, 제어부(310)는 기본 자음 ‘ㄱ’, ‘ㄷ’, ‘ㅂ’, ‘ㅅ’, ‘ㅈ’이 배치된 키 중 하나의 터치가 감지되면, 쌍자음 입력부(227)의 표시를 터치된 기본 자음에 해당하는 쌍자음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즉, 기본 자음 ‘ㄱ’이 배치된 키가 터치되면 쌍자음 입력부(227)의 표시를 쌍자음 ‘ㄲ’으로 전환하고, 기본 자음 ‘ㄷ’이 배치된 키가 터치되면 쌍자음 입력부(227)의 표시를 쌍자음 ‘ㄸ’으로 전환하며, 기본 자음 ‘ㅂ’이 배치된 키가 터치되면 쌍자음 입력부(227)의 표시를 쌍자음 ‘ㅃ’으로 전환한다. 마찬가지로, 기본 자음 ‘ㅅ’이 배치된 키가 터치되면 쌍자음 입력부(227)의 표시를 쌍자음 ‘ㅆ’으로 전환하고, 기본 자음 ‘ㅈ’이 배치된 키가 터치되면 쌍자음 입력부(227)의 표시를 쌍자음 ‘ㅉ’으로 전 환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touch of one of the keys arranged with the basic consonants 'ㄱ', 'ㄷ', 'ㅂ', 'ㅅ', and 'ㅈ' is detected, the controller 310 touches the display of the double consonant input unit 227. Converted to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basic consonant. That is, when the key on which the basic consonant 'a' is disposed is touched, the display of the twin consonant input unit 227 is switched to the twin consonant 'ㄲ', and when the key on which the basic consonant 'c' is disposed is touched, the twin consonant input unit 227 The display of the consonant 'ㄸ' is switched to, and when the key on which the basic consonant 'ㅂ' is disposed is touched, the display of the consonant input unit 227 is switched to the consonant 'ㅃ'. Similarly, when the key on which the basic consonant 'ㅅ' is disposed is touched, the display of the twin consonant input unit 227 is switched to the twin consonant 'ㅆ', and when the key on which the basic consonant 'ㅈ' is arranged is touched, the twin consonant input unit 227 is touched. You can switch the symbol of to double consonant 'ㅉ'.

또한, 제어부(310)는 저장부(340)에 저장된 소프트 키보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선택에 따라, 예를 들어, 한글 키보드, 영문 키보드, 숫자 키보드 등의 소프트 키보드를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2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한글 키보드를 통한 한글의 입력 중에 한영 변환 키 또는 숫자 입력 키를 선택하는 경우, 한글 키보드를 지우고 영문 입력을 위한 영문 키보드 또는 숫자 입력을 위한 숫자 키보드를 소프트 키보드 영역(320)에 디스플레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310 displays a soft keyboard such as, for example, a Korean keyboard, an English keyboard, and a numeric keyboard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based on the soft keyboard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340. The unit 320 is controlled.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Korean-English conversion key or the numeric input key during the input of the Hangul through the Hangul keyboard, the controller 310 erases the Hangul keyboard and replaces the English keyboard for the English input or the numeric keyboard for the number input. Display on 32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자음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Korean consonants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단계(S11)에서는 16개의 키를 디스플레이한 다음, 단계(S12)로 진행하여, 10개의 키에 기본 자음 및 거센 소리 자음을 배치하여 표시한다. 즉, 10개의 키에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을 각각 배치하여 표시한 다음, 기본 자음 중 ‘ㄱ’, ‘ㄷ’, ‘ㅂ’, ‘ㅈ’에 ‘ㅋ’, ‘ㅌ’, ‘ㅍ’, ‘ㅊ’의 거센 소리 자음을 각각 중복 배치하여 표시한다. 이때, 2층 배치된 거센 소리 자음 ‘ㅑ’, ‘ㅕ’, ‘ㅛ’, ‘ㅠ’의 입력은 각 키의 연속 2회 터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First, in step S11, 16 keys are displayed, and then the flow advances to step S12, in which the basic consonants and the coarse consonants are arranged and displayed on the 10 keys. That is, the basic consonants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and 'ㅎ' And then place the consonant sounds of 'ㅋ', 'ㅌ', 'ㄷ' and 'ㅊ' in the 'AB', 'ㄷ', 'ㅂ', and 'ㅈ'. . In this case, the input of the consonant sounds 'ㅑ', 'ㅕ', 'ㅛ', and 'ㅠ' arranged in two layers may be performed by two consecutive touches of each key.

단계(S13)에서는 6개의 키에 기본 단모음 및 기본 복모음을 배치하여 표시한다. 즉, 6개의 키에 기본 단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을 각각 배치하여 표시한 다음, 기본 단모음 중 ‘ㅏ’, ‘ㅓ’, ‘ㅗ’, ‘ㅜ’에 ‘ㅑ’, ‘ㅕ’, ‘ㅛ’, ‘ㅠ’의 기본 복모음을 각각 중복 배치하여 표시한다. 이때, 2층 배치된 기본 복모음 ‘ㅑ’, ‘ㅕ’, ‘ㅛ’, ‘ㅠ’의 입력은 각 키의 연속 2회 터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step S13, the basic short vowels and the basic double vowels are arranged and displayed on the six keys. That is, the basic short vowels 'ㅏ', 'ㅓ', 'ㅗ', 'TT', 'ㅡ', 'ㅣ' are placed and displayed on each of the six keys, and then 'ㅏ', 'ㅓ', '복', 'TT' and '기본', 'ㅕ', 'ㅛ', 'ㅠ' basic double vowels are placed in duplicate. At this time, the input of the basic double vowels 'ㅑ', 'ㅕ', 'ㅛ', and 'ㅠ' arranged in two layers may be performed by two consecutive touches of each key.

단계(S14)에서는 1개의 키에 기본 자음 중 ‘ㄱ’, ‘ㄷ’, ‘ㅂ’, ‘ㅅ’, ‘ㅈ’을 ‘ㄲ’, ‘ㄸ’, ‘ㅃ’, ‘ㅆ’, ‘ㅉ’의 쌍자음으로 변환하기 위한 쌍자음 입력 키를 배치하여 표시한다.In step S14, 'a', 'c', 'ㅂ', 'ㅅ', 'ㅈ' among the basic consonants are assigned to one key, 'ㄲ', 'ㄸ', 'ㅃ', 'ㅉ', 'ㅉ' The consonant input key for converting to a consonant of 'is arranged and displayed.

당업자라면, 상술한 단계 S11, S12, S13 및 S14 단계가 임의의 순서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the steps S11, S12, S13 and S14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in any order or simultaneously.

단계(S15)에서는 기본 자음 ‘ㄱ’, ‘ㄷ’, ‘ㅂ’, ‘ㅅ’, ‘ㅈ’이 배치된 키 중 하나의 터치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기본 자음 ‘ㄱ’, ‘ㄷ’, ‘ㅂ’, ‘ㅅ’, ‘ㅈ’이 배치된 키 중 하나가 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16)으로 진행하여, 터치된 키에 배치된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창 영역(210)에 디스플레이한다. In step S15, it is determined whether a touch of one of the keys including the basic consonants 'ㄱ', 'ㄷ', 'ㅂ', 'ㅅ', and 'ㅈ' is detected, and thus the basic consonants 'ㄱ' and 'c' If one of the keys, 'ㅂ', 'ㅅ', and 'ㅈ' is not touch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6 to display consonants or vowels arranged on the touched key in the input window area 210. Display.

반면에, 단계(S15)에서의 판단 결과, 기본 자음 중 ‘ㄱ’, ‘ㄷ’, ‘ㅂ’, ‘ㅅ’, ‘ㅈ’이 배치된 키 중 하나의 키가 터치된 경우에는 단계(S17)로 진행하여, 쌍자음 입력 키의 표시를 단계(S15)에서 터치된 키에 배치된 기본 자음의 쌍자음으로 전환한다. 즉, 기본 자음 중 ‘ㄱ’이 배치된 키가 터치되면 쌍자음 입력 키의 표시를 쌍자음 ‘ㄲ’으로 전환하고, 기본 자음 중 ‘ㄷ’ 이 배치된 키가 터치되면 쌍자음 입력 키의 표시를 쌍자음 ‘ㄸ’으로 전환하고, 기본 자음 중 ‘ㅅ’이 배치된 키가 터치되면 쌍자음 입력 키의 표시를 쌍자음 ‘ㅆ’으로 전환하며, 기본 자음 중 ‘ㅈ’이 배치된 키가 터치되면 쌍자음 입력 키의 표시를 쌍자음 ‘ㅉ’으로 전환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5, if one of the keys arranged '', '' '' '' '' '' '' among the basic consonants is touched (step S17) In step S15, the display of the consonant input key is switched to the consonant of the basic consonant arranged on the touched key in step S15. In other words, when the key with 'a' among the basic consonants is touched, the display of the double consonant input key is switched to the twin consonant 'ㄲ'. To double consonant 'ㄸ', and when the key with 'ㅅ' among basic consonants is touched, the display of the double consonant input key is switched to double consonant 'ㅆ', and the key with 'ㅈ' among basic consonants When touched, the display of the double consonant input key is switched to the double consonant 'ㅉ'.

다음, 단계(S18)에서는 쌍자음 변환 키의 터치 여부를 판단하여, 쌍자음 변환 키가 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19)로 진행하여, 단계(S15)에서 터치된 기본 자음을 출력하는 반면에, 쌍자음 변환 키가 터치된 경우에는 단계(S20)로 진행하여, 단계(S15)에서 터치된 키에 해당하는 기본 자음의 쌍자음으로 변환하여 입력창 영역(210)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기본 자음 중 ‘ㄱ’이 배치된 키 및 쌍자음 변환 키가 순차적으로 터치되면 쌍자음 ‘ㄲ’으로 변환되어 입력되고, 기본 자음 중 ‘ㄷ’이 배치된 키 및 쌍자음 변환 키가 순차적으로 터치되면 쌍자음 ‘ㄸ’으로 변환되어 입력되고, 기본 자음 중 ‘ㅅ’이 배치된 키 및 쌍자음 변환 키가 순차적으로 터치되면 쌍자음 ‘ㅆ’으로 변환되어 입력되고, 기본 자음 중 ‘ㅈ’이 배치된 키 및 쌍자음 변환 키가 순차적으로 터치되면 쌍자음 ‘ㅉ’으로 변환되어 입력된다.Next, in step S1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sonant conversion key is touched, and if the consonant conversion key is not touch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9 and outputs the basic consonant touched in step S15. If the consonant conversion key is touch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0, and the condensed consonant of the basic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key in step S15 is converted and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 area 210. That is, when the key of the basic consonants and the consonant conversion key arranged with 'a' are sequentially touched, the consonant is converted into the consonant 'ㄲ' and input. When touched by, the consonant 'ㄸ' is converted and inputted, and when the key is placed with 'ㅅ' among the basic consonants and the consonant conversion key is sequentially touched, the consonant 'ㅆ' is converted and inputted. When the arranged key and the consonant conversion key are sequentially touched, the consonant is converted into a consonant 'ㅉ' and inpu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the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Kore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touch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a 및 도 3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자음 입력부의 쌍자음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A and 3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of displaying a consonant of a twin consonant,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세부 구성도이다.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In the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1행 4열로 배열된 4개의 키에 ‘ㄱ’, ‘ㄴ’, ‘ㄷ’, ‘ㄹ’의 기본 자음을 각각 배치하여 표시하는 제 1 자음 입력부,A first consonant input unit configured to display basic consonants of 'ㄱ', 'ㄴ', 'ㄷ', and 'ㄹ' on four keys arranged in one row and four columns, 상기 제 1 자음 입력부의 하측에 1행 3열로 배열된 3개의 키에 ‘ㅁ’, ‘ㅂ’, ‘ㅅ’의 기본 자음을 각각 배치하여 표시하는 제 2 자음 입력부,A second consonant input unit configured to display basic consonants of 'ㅁ', 'ㅂ', and 'ㅅ' on three keys arranged in one row and three columns below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상기 제 2 자음 입력부의 하측에 1행 3열로 배열된 3개의 키에 ‘ㅇ’, ‘ㅈ’, ‘ㅎ’의 기본 자음을 각각 배치하여 표시하는 제 3 자음 입력부,A third consonant input unit configured to display basic consonants of 'ㅇ', 'ㅈ', and 'ㅎ' on three keys arranged in one row and three columns below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상기 제 1 및 제 3 자음 입력부의 우측에 3행 2열로 배열된 6개의 키에 ‘ㅏ’, ‘ㅓ’, ‘ㅗ’, ‘ㅜ’, ‘ㅡ’, ‘ㅣ’의 기본 단모음을 각각 배치하여 표시하는 모음 입력부 및Basic short vowels of 'ㅏ', 'ㅓ', 'ㅗ', 'TT', 'ㅡ' and 'ㅣ' are arranged on six keys arranged in three rows and two columns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and third consonant input units. A vowel input to display 상기 기본 자음 중 ‘ㄱ’, ‘ㄷ’, ‘ㅂ’, ‘ㅅ’, ‘ㅈ’을 ‘ㄲ’, ‘ㄸ’, ‘ㅃ’, ‘ㅆ’, ‘ㅉ’의 쌍자음으로 변환하여 입력하기 위한 쌍자음 입력부를 포함하되,Of the basic consonants, 'ㄱ', 'ㄷ', 'ㅂ', 'ㅅ', 'ㅈ' are converted into two consonants of 'ㄲ', 'ㄸ', 'ㅃ', 'ㅆ', 'ㅉ' Including a consonant input unit for 상기 기본 자음 ‘ㄱ’, ‘ㄷ’, ‘ㅂ’, ‘ㅅ’, ‘ㅈ’이 배치된 키 중 하나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상기 쌍자음 입력부의 표시를 상기 터치된 기본 자음에 해당하는 쌍자음으로 전환하는 것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When a touch of one of the keys including the basic consonants 'ㄱ', 'ㄷ', 'ㅂ', 'ㅅ', and 'ㅈ' is detected, the touched display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dual consonant input uni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to switch to a doubl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basic consona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쌍자음 입력부는, 상기 제 3 자음 입력부의 우측에 배치되는 것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The consonant input unit is a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that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third consonant input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자음 입력부를 이루는 1행 4열은 상기 제 2 자음 입력부를 이루는 2행 3열과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The first row and the fourth column forming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re alternately arranged with the second row and the third column forming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본 자음 ‘ㄱ’, ‘ㄷ’, ‘ㅂ’, ‘ㅈ’에는 ‘ㅋ’, ‘ㅌ’, ‘ㅍ’, ‘ㅊ’의 거센 소리 자음이 각각 중복 배치되고, 상기 기본 단모음 ‘ㅏ’, ‘ㅓ’, ‘ㅗ’, ‘ㅜ’에는 기본 복모음 ‘ㅑ’, ‘ㅕ’, ‘ㅛ’, ‘ㅠ’가 각각 중복 배치되는 것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In the basic consonants 'ㄱ', 'ㄷ', 'ㅂ', and 'ㅈ', 'k', 'ㅌ', 'ㅍ', and 'ㅊ' are arranged with overlapping loud consonants, respectively, and the basic short vowel 'ㅏ' , 'ㅓ', 'ㅗ', 'TT', the basic vowel 'ㅑ', '기본', 'ㅛ', 'ㅠ' are each placed in Korean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과 기본 단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The basic consonants'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ㅎ 'and the basic short vowel' Display unit for displaying '', 'ㅓ', 'ㅗ', 'TT', 'ㅡ', 'ㅣ', 사용자의 터치 위치 및 터치 수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 및 A touch detector for detecting a user's touch position and number of touches; 상기 터치 위치 및 상기 터치 수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자음 ‘ㄱ’, ‘ㄷ’, ‘ㅂ’, ‘ㅅ’, ‘ㅈ’이 배치된 키 중 하나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쌍자음 입력부의 표시를 상기 터치된 기본 자음에 해당하는 쌍자음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Based on the touch position and the number of touches, when a touch of one of the keys arranged with the basic consonants 'ㄱ', 'ㄷ', 'ㅂ', 'ㅅ', and 'ㅈ' is detected, the twin consonant input uni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to switch to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basic consonant 를 더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further comprising.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소프트 키보드 정보 및 상기 소프트 키보드 별 각각의 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soft keyboard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key arrangement information for each soft keyboard;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further comprising.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10개의 키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Basic consonants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and 'ㅎ' are assigned to the 10 keys on the touch screen. Placement and display, 상기 기본 자음 중 ‘ㄱ’, ‘ㄷ’, ‘ㅂ’, ‘ㅅ’, ‘ㅈ’을 ‘ㄲ’, ‘ㄸ ’, ‘ㅃ’, ‘ㅆ’, ‘ㅉ’의 쌍자음으로 변환하여 입력하기 위한 쌍자음 입력 키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1개의 키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Of the basic consonants, 'ㄱ', 'ㄷ', 'ㅂ', 'ㅅ', 'ㅈ' are converted into two consonants of 'ㄲ', 'ㄸ', 'ㅃ', 'ㅆ' and 'ㅉ' Arranging and displaying a pair of consonant input keys to one key on the touch screen; and 상기 기본 자음 ‘ㄱ’, ‘ㄷ’, ‘ㅂ’, ‘ㅅ’, ‘ㅈ’이 배치된 키 중 하나의 키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상기 쌍자음 입력 키의 표시를 상기 터치된 기본 자음에 해당하는 쌍자음으로 전환하는 단계If a touch on one of the keys arranged with the basic consonants 'ㄱ', 'ㄷ', 'ㅂ', 'ㅅ', and 'ㅈ' is detected, display of the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Converting to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basic consonant 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comprising a.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기본 자음 중 ‘ㄱ’, ‘ㄷ’, ‘ㅂ’, ‘ㅈ’에 ‘ㅋ’, ‘ㅌ’, ‘ㅍ’, ‘ㅊ’의 거센 소리 자음을 각각 중복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Displaying, by overlapping each of the basic consonants, a strong sound consonant of 'ㅋ', '배치', 'ㄷ', and 'ㅊ' in 'ㄱ', 'ㄷ', 'ㅂ', and 'ㅈ'; 상기 기본 자음 ‘ㄱ’, ‘ㄷ’, ‘ㅂ’, ‘ㅈ’이 배치된 키 중 하나의 키에 대한 연속 2회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된 기본 자음에 대응하는 거센 소리 자음을 출력하는 단계When two consecutive touches of one of the keys arranged with the basic consonants 'ㄱ', 'ㄷ', 'ㅂ', and 'ㅈ' are detected, the consonant sound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basic consonants is output. step 를 더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further comprising.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기본 단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6개의 키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the basic short vowels 'ㅏ', 'ㅓ', 'ㅗ', 'ㅜ', 'ㅡ' and 'ㅣ' by placing them on the six keys on the touch screen, 상기 기본 단모음 ‘ㅏ’, ‘ㅓ’, ‘ㅗ’, ‘ㅜ’에는 기본 복모음 ‘ㅑ’, ‘ㅕ’, ‘ㅛ’, ‘ㅠ’를 각각 중복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Displaying the basic short vowels 'ㅏ', 'ㅓ', 'ㅗ', and 'ㅜ' by overlapping the basic double vowels 'ㅑ', 'ㅕ', 'ㅛ', and 'ㅠ' 상기 기본 단모음 ‘ㅏ’, ‘ㅓ’, ‘ㅗ’, ‘ㅜ’가 배치된 키 중 하나에 대한 연속 2회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된 기본 단모음에 대응하는 기본 복모음을 출력하는 단계Outputting a basic double vowel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basic short vowel when two consecutive touches of one of the keys arranged with the basic short vowel 'ㅏ', 'ㅓ', 'ㅗ', and 'TT' are detected; 를 더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한글 입력 방법의 각 단계를 컴퓨터 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each step of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KR1020080105193A 2008-10-27 2008-10-27 Hangul input apparatus and hangul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KR201000463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193A KR20100046376A (en) 2008-10-27 2008-10-27 Hangul input apparatus and hangul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193A KR20100046376A (en) 2008-10-27 2008-10-27 Hangul input apparatus and hangul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376A true KR20100046376A (en) 2010-05-07

Family

ID=4227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193A KR20100046376A (en) 2008-10-27 2008-10-27 Hangul input apparatus and hangul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637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868B1 (en) * 2010-06-30 2012-03-16 조성대 The Korean alphabet letter arrangement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868B1 (en) * 2010-06-30 2012-03-16 조성대 The Korean alphabet letter arrangement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02481B2 (en) Integrated keypad system
KR101323281B1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CN101174190B (en) Software keyboard entry method for implementing composite key on screen of electronic equipments
EP3190482B1 (en)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module and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s thereof
US20150025876A1 (en) Integrated keypad system
KR20100121218A (en) Method for letter inputting of touch screen
KR20110003130A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 in a mobile phone
KR100951802B1 (en) Touch screen hangul input apparatus displaying guide popup
KR100927183B1 (en) How to enter symbols using the touch screen
KR100933891B1 (en) Hangul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KR20100046376A (en) Hangul input apparatus and hangul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KR20090131827A (en) Hangul input apparatus and hangul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TWI468986B (en) Electronic device, inpu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KR1011417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small eletronic device
KR20100014163A (en)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circular key arrangement
AU2011247861A1 (en) Integrated keypad system
KR20110020342A (en) Text input method by a touch pointing device
KR20110020341A (en) Text input method by a touch pointing device with a bottom switch
CA2296961A1 (en) Alphanumeric input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