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188A - 원격 조정 장치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조정 장치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188A
KR20100045188A KR1020080104261A KR20080104261A KR20100045188A KR 20100045188 A KR20100045188 A KR 20100045188A KR 1020080104261 A KR1020080104261 A KR 1020080104261A KR 20080104261 A KR20080104261 A KR 20080104261A KR 20100045188 A KR20100045188 A KR 20100045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user interface
controlling
remote contro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현
유승동
장우용
박은희
황창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4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5188A/ko
Priority to US12/481,978 priority patent/US20100103125A1/en
Publication of KR20100045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188A/ko
Priority to US14/284,100 priority patent/US9940011B2/en
Priority to US15/926,423 priority patent/US10423324B2/en
Priority to US16/563,306 priority patent/US1084598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복수개의 기능 중 하나를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선택하고, 그 터치스크린에 감지되는 입력에 따라 그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는데 이용 가능한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하나씩 순서대로 출력한 후, 그 순서대로 출력되는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원격 조정 장치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ther devices us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원격 조정 장치 및 그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기 디바이스들은 각각의 디바이스들을 원격으로 조정하기 위한 원격 조정 장치들을 가진다. 예컨대, TV,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비디오 레코더 등은 각각에 대응되는 원격 조정 장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각각의 디바이스들마다 서로 다른 원격 조정 장치가 존재하게 되면, 지나치게 많은 개수의 원격 조정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통합형 원격 조정 장치가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의 통합형 원격 조정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통합형 원격 조정 장치는 터치스크린(110)과 버튼들(120)로 구성된다.
터치스크린(110)은 터치를 감지하고, 각각의 전기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사용 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버튼들(120)은 볼륨 조절 버튼, 채널 변경 버튼, 방향 조정 버튼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통합형 원격 조정 장치는 터치스크린(110)을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전기 디바이스들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 조정 장치 및 그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복수개의 기능 중 하나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선택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에 감지되는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는데 이용 가능한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하나씩 순서대로 출력하는 단계 ; 및 상기 순서대로 출력되는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기능은 채널 변경 기능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채널 번호를 상하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채널의 번호를 입력받기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채널 리스트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가 장 사용 빈도가 높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장 먼저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감지되는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클릭하는 동작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감지되는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소정의 방향에 따라 드래그(drag)하는 동작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하나씩 순서대로 출력할 때, 상기 디바이스에서 현재 수행 중인 태스크(task)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태스크가 종료되면 상기 종료된 태스크와 관련된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출력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조정 장치는 상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복수개의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소정의 입력이 감지될 때마다 상기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는데 이용 가능한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하나씩 순서대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 및 상기 순서대로 출력되는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복수개의 기능 중 하나를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선택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 린에 감지되는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는데 이용 가능한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하나씩 순서대로 출력하는 단계 ; 및 상기 순서대로 출력되는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210에서는,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복수개의 기능 중 하나를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선택한다.
이때,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는 TV,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비디오 레코더 등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디바이스 중에 제어할 하나의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220에서는, 그 터치스크린에 감지되는 입력에 따라, 그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는데 이용 가능한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하나씩 순서대로 출력한다.
여기서, 선택된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기능 중 대표적인 기능은 채널 변경 기능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때 터치스크린은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장 먼저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장 먼저 출력할 수도 있다.
예컨대, TV의 채널 변경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채널번호를 상하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채널의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채널 변경을 위한 채널 리스트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만일 사용자가 채널의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장 빈번하게 사용했다면, 채널 변환 기능에 대해서는 채널의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가장 먼저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터치스크린이 이와같이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를 터치스크린 전체에 출력함으로써,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모든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스크린 전체에 출력하던 종래 기술에 비하여 사용자가 원격 조정 장치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단계 230에서는, 순서대로 출력되는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TV의 채널 변경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이용하여 TV의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동작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터치스크린에 TV의 채널 변경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세 종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10, 320, 330)가 출력되어 있다.
첫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310)는 TV의 채널 번호를 상하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출력된 "CH+" 부분을 클릭하면 현재 채널보다 상위 채널로 채널이 변경되고, "CH-"부분을 클릭하면 현재 채널보다 하위 채널로 채널이 변경된다.
두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는 TV 채널의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 출력된 숫자를 이용하여 채널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TV의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세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TV가 지원하는 채널 리스트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 출력된 채널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TV의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스크린을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소정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러빙(rubbing) 이라고 하는데, 예컨대 터치스크린에 첫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310)가 출력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우측 방향으로 러빙하게 되면 터치스크린에 두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320)가 출력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스크린에 러빙이 수행될 때마다 첫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310)로부터 세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330)까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터치스크린에 차례대로 출력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세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330)에서 러빙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다시 첫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310)가 출력되는 방식으로 첫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310)로부터 세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330)까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순환되면서 출력된다.
한편, 구현예에 따라서는 터치스크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들(310, 320, 330) 외에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가 더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터치스크린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이전", "다음" 등과 같은 글자가 표시된 메뉴가 더 출력될 수 있다.
만일, 터치스크린에 이와 같은 메뉴와 함께 두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320)가 출력되고 있다면, 사용자는 "이전" 메뉴를 클릭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이 첫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310)를 출력하도록 하거나, "다음" 메뉴를 클릭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이 세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메뉴는 "이전", "다음"과 같은 글자로 된 메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현재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모든 형태의 메뉴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메뉴는 화살표 등과 같이 그래픽으로 표시된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동작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터치스크린에 TV의 채널 변경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세 종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10, 320, 330)와 디지털 방송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40)가 출력되어 있다.
여기서,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410, 420, 430)는 각각 도 3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310, 320, 330)에 대응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의 네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방송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로서,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하는 중에 그 변경된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트가 디지털 방송인 경우에 출력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이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410, 420, 430) 외에 이와 같이 그 디바이스에서 현재 수행 중인 태스크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TV를 통해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던 중에 그 디지털 방송과 관련하여 문자를 입력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터치스크린은 디지털 방송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40) 뿐만 아니라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네 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10, 420, 430, 440)는 순환하면서 출력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동작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터치스크린에 TV의 채널 변경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다섯 종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10, 520, 530, 540, 550)와 디지털 방송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60)가 출력되어 있다.
여기서, 첫 번째, 두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510, 520, 550, 560)는 각각 도 3의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310, 320, 330, 340)에 대응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의 세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530)는 선호 채널 리스트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 출력된 자신이 선호하는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을 선택하게 되므로, 보다 손쉽게 자신이 시청하고자 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네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540)는 채널 히스토리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 출력된 채널 히스토리를 통하여 자신이 이전에 시청했던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한쪽 방향으로만 러빙이 가능하도록 도시된 도 3 및 도 4와는 달리 러빙이 양쪽 방향으로 모두 가능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두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520)에서 좌측 방향으로 러빙하게 되면 터치스크린에 첫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510)가 출력되고, 우측 방향으로 러빙하게 되면 터치스크린에 세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530)가 출력된다.
하지만, 러빙은 이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구현예에 따라서는 상하 방향, 대각선 방향 등으로도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구현예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510, 520, 530, 540, 550, 560) 중에서 현재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태스크에 필요하지 않은 기능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스크린에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변경한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트가 디지털 방송이 아닌 경우에는 디지털 방송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여섯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560)는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다섯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550)에서 우측으로 러빙을 하면 여섯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560)가 출력되지 않고, 첫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510)가 출력될 것이다.
또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던 중에 문자를 입력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더 출력되었던 경우라도,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상황이 종료되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더 이상 출력되지 않게 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는 터치스크 린(610) 및 제어부(620)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610)은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복수개의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소정의 입력이 감지될 때마다 그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는데 이용 가능한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하나씩 순서대로 출력한다.
이때, 소정의 입력은 터치스크린을 클릭하는 동작이거나 터치스크린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소정의 방향에 따라 드래그(drag)하는 동작, 즉 러빙일 수 있다.
제어부(620)는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순서대로 출력되는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예컨대, 터치스크린(610)을 통하여 현재의 TV 채널보다 상위 채널 번호로 채널을 변경할 것을 지시하는 입력을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620)가 TV에게 현재의 채널보다 상위 채널 번호로 채널을 변경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TV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통합형 원격 조정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동작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동작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동작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7)

  1.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복수개의 기능 중 하나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선택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에 감지되는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는데 이용 가능한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하나씩 순서대로 출력하는 단계 ; 및
    상기 순서대로 출력되는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기능은
    채널 변경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채널 번호를 상하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채널의 번호를 입력받기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채널 리스트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장 먼저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감지되는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클릭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감지되는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소정의 방향에 따라 드래그(drag)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하나씩 순서대로 출력할 때, 상기 디바 이스에서 현재 수행 중인 태스크(task)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태스크가 종료되면, 상기 종료된 태스크와 관련된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9.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복수개의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소정의 입력이 감지될 때마다 상기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는데 이용 가능한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하나씩 순서대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 및
    상기 순서대로 출력되는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기능은
    채널 변경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정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채널 번호를 상하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채널의 번호를 입력받기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채널 리스트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정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장 먼저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정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감지되는 소정의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클릭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정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감지되는 소정의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소정의 방향에 따라 드래그(drag)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정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하나씩 순서대로 출력할 때, 상기 디바이스에서 현재 수행 중인 태스크(task)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정 장치.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태스크가 종료되면, 상기 종료된 태스크와 관련된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정 장치.
  17.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
    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80104261A 2008-10-23 2008-10-23 원격 조정 장치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KR2010004518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261A KR20100045188A (ko) 2008-10-23 2008-10-23 원격 조정 장치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US12/481,978 US20100103125A1 (en) 2008-10-23 2009-06-10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ther devices using the same
US14/284,100 US9940011B2 (en) 2008-10-23 2014-05-21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ther devices using the same
US15/926,423 US10423324B2 (en) 2008-10-23 2018-03-20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ther devices using the same
US16/563,306 US10845986B2 (en) 2008-10-23 2019-09-06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ther device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261A KR20100045188A (ko) 2008-10-23 2008-10-23 원격 조정 장치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056A Division KR20150104079A (ko) 2015-08-31 2015-08-31 원격 조정 장치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188A true KR20100045188A (ko) 2010-05-03

Family

ID=42117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261A KR20100045188A (ko) 2008-10-23 2008-10-23 원격 조정 장치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4) US20100103125A1 (ko)
KR (1) KR201000451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5188A (ko) * 2008-10-23 2010-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조정 장치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JP5359743B2 (ja) * 2009-09-29 2013-12-04 ソニー株式会社 遠隔操作装置、遠隔操作装置システム、遠隔操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49435B2 (ja) * 2009-12-28 2015-07-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制御対象機器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10191516A1 (en) * 2010-02-04 2011-08-04 True Xiong Universal touch-screen remote controller
CN102860034B (zh) * 2010-04-28 2016-05-18 Lg电子株式会社 图像显示设备和操作图像显示设备的方法
KR20120013727A (ko) 2010-08-06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20173979A1 (en) * 2010-12-31 2012-07-05 Openpeak Inc.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enhanced user interface
EP4344163A3 (en) 2011-06-05 2024-04-24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notifications received from multiple applications
US9841822B2 (en) * 2011-06-28 2017-12-12 Guangzhou Ucweb Computer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operating mobile device using vibration sensor
US20130076651A1 (en) 2011-09-28 2013-03-28 Robert Reimann Methods and apparatus to change control centexts of controllers
JP2015038665A (ja) * 2012-01-06 2015-02-2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WO2013159302A1 (zh) * 2012-04-26 2013-10-31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采用触控遥控器实现频道输入的方法及系统
US10129324B2 (en) 2012-07-03 2018-11-13 Google Llc Contextual, two way remote control
TWI552610B (zh) * 2012-11-02 2016-10-0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切換電視頻道的方法、裝置及電腦程式產品
CN103034408A (zh) * 2012-12-21 2013-04-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用户界面的页面切换方法及移动终端
US20140298241A1 (en) * 2013-03-29 2014-10-02 Deere & Company Retracting shortcut bars, status shortcuts and edit run page sets
USD740833S1 (en) * 2013-04-24 2015-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780406A (zh) * 2014-01-10 2015-07-15 新益先创科技股份有限公司 控制装置
GB201406550D0 (en) * 2014-04-11 2014-05-28 Lomas David G Optical touch screen
US20150350146A1 (en) 2014-05-29 2015-12-03 Apple Inc. Coordination of message alert presentations across devices based on device modes
US10866731B2 (en) 2014-05-30 2020-12-15 Apple Inc. Continuity of applications across devices
US10254911B2 (en) 2015-03-08 2019-04-09 Apple Inc. Device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CN106154843A (zh) * 2015-03-27 2016-11-23 上海科泰世纪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设备和控制系统
KR102575230B1 (ko) 2016-07-29 202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602046B2 (en) 2017-07-11 2020-03-24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US11477609B2 (en) 2019-06-01 2022-10-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US11481094B2 (en) 2019-06-01 2022-10-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CN110636355B (zh) * 2019-09-20 2021-10-22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视频切换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294633B (zh) 2019-12-03 2021-11-23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epg用户界面的展示方法及显示设备
CN111131871B (zh) * 2019-12-03 2021-03-1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播放节目时显示epg用户界面的方法及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0326A (en) * 1992-12-04 1995-04-25 Goldstein; Steven W. 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 for interacting with a plurality of remotely controlled devices
US5784059A (en) * 1994-09-16 1998-07-21 Aisin Aw Co., Ltd. Vehicle navigation system with destination selection using hierarchical menu arrangement with selective level skipping
KR100298343B1 (ko) * 1997-12-31 2001-08-07 윤종용 휴대용무선단말기의자동메뉴재구성방법
US6211856B1 (en) * 1998-04-17 2001-04-03 Sung M. Choi Graphical user interface touch screen with an auto zoom feature
US7831930B2 (en) * 2001-11-20 2010-11-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US20020140571A1 (en) * 2001-01-29 2002-10-03 Hayes Patrick H.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hand held device to display product information
JP2000105772A (ja) 1998-07-28 2000-04-11 Sharp Corp 情報管理装置
US20010015719A1 (en) * 1998-08-04 2001-08-23 U.S. Philips Corporation Remote control has animated gui
US7254823B2 (en) * 1998-08-21 2007-08-0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ained selection of favorite channels
AU2001266417A1 (en) * 2000-06-29 2002-01-08 Woori Technology Inc. Remote controller and broadcasting receiver having electronic program guide (epu) function and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KR20020045237A (ko) 2000-12-08 2002-06-19 윤종용 가전기기용 리모컨의 기능모드 선택 제어장치와 그 방법
US7102688B2 (en) * 2001-01-29 2006-09-0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hand held device to display a readable representation of an audio track
US6938101B2 (en) * 2001-01-29 2005-08-30 Universal Electronics Inc. Hand held device having a browser application
AUPR340401A0 (en) * 2001-02-27 2001-03-22 E R & D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onic content display
US8863184B2 (en) * 2001-07-13 2014-10-14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program guide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US8063923B2 (en) * 2001-07-13 2011-11-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US6947101B2 (en) * 2001-08-03 2005-09-20 Universal Electronics Inc. Control device with easy lock feature
US7386870B2 (en) * 2001-08-23 2008-06-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roadcast video channel surfing system based on internet streaming of captured live broadcast channels
US7429979B2 (en) * 2002-10-16 2008-09-30 Thomson Licensing Remote control with programmable button labeling and labeling display upon button actuation
KR100500962B1 (ko) 2002-11-29 2005-07-1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대화형 텔레비전의 무선 입력 장치
JP4161814B2 (ja) * 2003-06-16 2008-10-08 ソニー株式会社 入力方法および入力装置
JP4352797B2 (ja) * 2003-07-07 2009-10-28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4254950B2 (ja) * 2003-09-01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装置における操作メニュー表示方法
US8291465B2 (en) * 2003-10-06 2012-10-16 Lester Sussman Television system to extract TV advertisement contact data and to store contact data in a TV remote control
JP2005136518A (ja) 2003-10-28 2005-05-26 Sanyo Electric Co Ltd 遠隔操作システム
US7412653B2 (en) * 2003-11-06 2008-08-12 Universal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having a display with multi-function EL segments
US8554374B2 (en) * 2003-12-02 2013-10-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hermostat with electronic image display
JP4036823B2 (ja) 2003-12-10 2008-01-23 シャープ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4225418B2 (ja) 2004-02-05 2009-02-18 ソニー株式会社 複合装置
JP4366592B2 (ja) * 2004-07-12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における表示制御方法およびグラフィッ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用プログラム
US7266777B2 (en) * 2004-09-08 2007-09-04 Universal Electronics Inc. Configurable controlling device having an associated editing program
US8107010B2 (en) * 2005-01-05 2012-01-31 Rovi Solutions Corporation Windows management in a television environment
DE602005025700D1 (de) * 2005-03-03 2011-02-10 Nokia Corp Benutzeroberflächenkomponente
JP4455415B2 (ja) * 2005-06-10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方法及び表示制御装置
KR101114688B1 (ko) * 2005-07-29 2012-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 및 그 기능 수행 방법
EP1748630B1 (en) * 2005-07-30 2013-07-24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941316B2 (en) * 2005-10-28 2011-05-10 Microsoft Corporation Combined speech and alternate input modality to a mobile device
KR100792295B1 (ko) * 2005-12-29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네비게이션 방법 및 그 컨텐츠 네비게이션 장치
US20070168369A1 (en) * 2006-01-04 2007-07-19 Companionlink Software, Inc.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054294B2 (en) * 2006-03-31 2011-11-08 Sony Corporation Touch screen remote control system for use in controlling one or more devices
US7758797B2 (en) 2006-07-21 2010-07-20 Quadrant Epp Ag Production of UHMWPE sheet materials
DE102006034415A1 (de) * 2006-07-25 2008-01-31 Siemens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m Bedienen von elektrischen Geräten
KR100826194B1 (ko) 2006-07-27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패널형 리모트 콘트롤러 및 이 터치 패널형 리모트콘트롤러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CN101558647A (zh) * 2006-08-29 2009-10-14 希尔克瑞斯特实验室公司 电视控制、播放列表生成和dvr系统和方法
US8316324B2 (en) * 2006-09-05 2012-11-20 Navisense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less control of a device
US8736557B2 (en) * 2006-09-11 2014-05-2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based browsers
US8564543B2 (en) * 2006-09-11 2013-10-22 Apple Inc. Media player with imaged based browsing
KR20080029548A (ko) 2006-09-29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사기반 이동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80104655A1 (en) * 2006-10-31 2008-05-0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Digital Video Recorder Having a Pause Feature Displaying the First Frame of a Program
KR20080042354A (ko) * 2006-11-09 200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대기 화면 전환 방법 및 대기 화면회전 방법과 그 이동 통신 단말기
US20080172695A1 (en) * 2007-01-05 2008-07-17 Microsoft Corporation Media selection
US20080168501A1 (en) * 2007-01-05 2008-07-10 Microsoft Corporation Media selection
US7649456B2 (en) * 2007-01-26 2010-01-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ser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ed as a home controller
US8884981B2 (en) * 2007-09-04 2014-11-11 Apple Inc. Dynamically reconfigurable graphics layer system and method
US9477395B2 (en) * 2007-09-04 2016-10-25 Apple Inc. Audio file interface
US7810047B2 (en) * 2007-09-04 2010-10-05 Apple Inc. List item layouts system and method
US11126321B2 (en) * 2007-09-04 2021-09-21 Apple Inc. Application menu user interface
KR101135898B1 (ko) * 2007-12-05 201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가지는영상처리장치
US7960682B2 (en) * 2007-12-13 2011-06-14 Apple Inc. Display device control based on integrated ambient light detection and lighting source characteristics
US8600120B2 (en) * 2008-01-03 2013-12-03 Apple Inc. Personal computing device control using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US8327272B2 (en) * 2008-01-06 2012-12-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and managing electronic calendars
KR101434295B1 (ko) * 2008-01-07 2014-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전자장치를통해 gui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US8958848B2 (en) * 2008-04-08 2015-02-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nu control method thereof
US8150387B2 (en) * 2008-06-02 2012-04-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mart phone as remote control device
KR20100045188A (ko) * 2008-10-23 2010-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조정 장치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US8453057B2 (en) * 2008-12-22 2013-05-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tage interaction for mobile device
US9014685B2 (en) * 2009-06-12 2015-04-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which automatically determines operating mode
US9652135B2 (en) * 2012-12-10 2017-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of bangle type, control method thereof, and user interface (ui) display method
KR102034584B1 (ko) * 2013-06-20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452253B2 (en) *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03125A1 (en) 2010-04-29
US10845986B2 (en) 2020-11-24
US10423324B2 (en) 2019-09-24
US20190391722A1 (en) 2019-12-26
US20180210625A1 (en) 2018-07-26
US9940011B2 (en) 2018-04-10
US20140258909A1 (en) 201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5188A (ko) 원격 조정 장치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KR100810920B1 (ko) 멀티-레벨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91433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UI
US6701525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audio/video set as based on hierarchical menuing of selectable bulletized and stringed items and an audio/video set arranged for practicing the method
KR101344173B1 (ko) 텔레비전용 커서를 구현하는 기술
EP2703972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9520379A (ja) 階層的番組ガイド
KR20120012115A (ko)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661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18268A (ko) 라인 인터랙션을 이용하여 컨텐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5191876B2 (ja) リモコンリコメンドシステム
KR201600947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536662B2 (en) Method for zapping contents and display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KR2015006613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리모컨,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49461B1 (ko)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JP2007094531A (ja) 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2140812B1 (ko)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US20170237929A1 (en) Remote controller for providing a force input in a media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003046B1 (ko)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US2014034468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izing tactilely distinguishable inputs on a user input interface based on available functions
JP2008090361A (ja) 画面操作方法
KR20160093306A (ko) 음향 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191968B2 (ja) データ処理装置と、そのプログラム
KR20150104079A (ko) 원격 조정 장치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JP2012103914A (ja) 表示装置、表示用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511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831

Effective date: 2017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