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4341A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러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러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4341A
KR20100044341A KR1020080103436A KR20080103436A KR20100044341A KR 20100044341 A KR20100044341 A KR 20100044341A KR 1020080103436 A KR1020080103436 A KR 1020080103436A KR 20080103436 A KR20080103436 A KR 20080103436A KR 20100044341 A KR20100044341 A KR 20100044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r
screen
touch
mobile terminal
z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민
고정미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3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4341A/ko
Priority to US12/410,140 priority patent/US8386949B2/en
Publication of KR20100044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러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스케쥴러(scheduler)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스케쥴러의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경우, 시간축(time axis)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변화할 수 있고 상기 상대적 위치에 의해 어느 스케쥴 아이템(schedule item)의 시간 범위(time range)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상기 스케쥴러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스케쥴러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 스케쥴러(scheduler)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러 제공 방법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Scheduler Using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에서 스케쥴을 입력/편집/관리/표시할 수 있는 스케쥴러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러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스케쥴러 제공 기능이 지원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에 탑재된 스케쥴러 기능은, 매우 단순한 사용자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케쥴을 입력하거나 조회하거나 관리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많았다. 특히 이러한 불편함은 이동 단말기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가 종래보다 단순하고 편리하게 스케쥴을 입력하거나 조회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러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스케쥴러(scheduler)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스케쥴러의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경우, 시간축(time axis)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변화할 수 있고 상기 상대적 위치에 의해 어느 스케쥴 아이템(schedule item)의 시간 범위(time range)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상기 스케쥴러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스케쥴러(scheduler)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스케쥴러의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스케쥴러 화면이 갖는 시간 범위가 변화하도록 상기 스케쥴러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제1 스케쥴러 화면과 제2 스케쥴러 화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스케쥴러 화면들을 제공하는 스케쥴러(scheduler)를 저장하는 메모리; 이동 단말기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및 상기 제1 스케쥴러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위치 감지부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변화가 기준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케쥴러 화면을 상기 제2 스케쥴러 화면으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케쥴러 화면과 상기 제2 스케쥴러 화면 중 하나는 화면 스크롤이 제공되고, 나머지 하나는 화면 스크롤이 제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은, 어느 스케쥴 아이템(schedule item)의 시간 범위(time range)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ndicator)와 시간축(time axis)을 포함하는 스케쥴러 화면을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시간축에 대한 상기 인디케이터의 상대적 위치를 변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대적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기 스케쥴 아이템의 상기 시간 범위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은, 스케쥴러 화면을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스케쥴러 화면이 갖는 시간 범위가 변화하도록 상기 스케쥴러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6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은, 스케쥴러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스케쥴러 화면을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변화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스케쥴러 화면을 상기 스케쥴러에 의해 제공되는 제2 스케쥴러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케쥴러 화면과 상기 제2 스케쥴러 화면 중 하나는 화면 스크롤이 제공되고, 나머지 하나는 화면 스크롤이 제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러 제공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다 단순하고 편리하게 스케쥴을 입력/조회/관리할 수 있는 스케쥴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복잡한 메뉴 탐색이나 검색 과정 없이도 기 입력된 스케쥴 아이템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 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 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 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 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16 및 117)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16)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17)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 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도 3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부(116)가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 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가 단말기 바디을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3b는 단말기 바디을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휴대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35a)과 입력창(135b)이 표시된다. 입력창(135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키(135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키(135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를 통하여 소프트키(135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35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소프트키(135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접 센서(141)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도 4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 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스크린(151)으로 가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51)은, 정보 표시 기능과 정보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터치는, 근접 터치와 직접 터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스케쥴러(scheduler)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스케쥴러는, 스케쥴을 입력 또는 편집하는 기능과, 기 입력된 스케쥴을 표시하는 기능과, 스케쥴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 다. 또한 상기 스케쥴러는 캘린더의 표시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캘린더를 통한 스케쥴의 입력/편집/표시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케쥴러는, 다양한 스케쥴러 화면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각 스케쥴러 화면은, 시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축은, 상기 각 스케쥴러 화면에 명시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명시적으로 표시되지 않고 가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 스케쥴러 화면의 스크롤 >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a는 S100 단계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특정 스케쥴 아이템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c는 S110 단계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d는 S120 단계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상기 스케쥴러의 화면을 표시한다[S100].
도 6a는 S100 단계에서 표시되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스케쥴러 화면은, 시간축(10)과 기 입력된 스케쥴 아이템들(12)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시간축(10)에 대한 상기 스케쥴 아이템들(12) 각각의 상대적 위치를 통해 상기 스케쥴 아이템들(12) 각각의 시간 범위(time range)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Meeting"이라는 제목을 갖는 제1 스케쥴 아이템(12a)은, 2008년 8월 29일(금요일) 오전 9시부터 정오까지의 시간 범위를 갖는다. 또한 예를 들어, "Lunch"라는 제목을 갖는 제2 스케쥴 아이템(12b)는, 2008년 8월 29일 정오부터 오후 2시까지의 시간 범위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에 미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 아이템을 표시하는 경우, 도 6a 및 뒤에서 참조되는 다양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 아이템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 아이템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케쥴 아이템(12a), 상기 제2 스케쥴 아이템(12b) 및 제3 스케쥴 아이템(12c)에는 각각, "Meeting", "Lunch" 및 "Seminar"라는 텍스트 정보가 대응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Meeting", "Lunch" 및 "Seminar"라는 텍스트 정보는 각각 대응되는 스케쥴 아이템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도 6a에 도시된 스케쥴러 화면에서 새로운 스케쥴 아이템의 추가 버튼(14)을 누르면 새로운 스케쥴 아이템을 추가할 수 있는 스케쥴 입력/편집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케쥴러 화면은, 상기 스케쥴러 및/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관한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메뉴 버튼(13)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케쥴 아이템들(12) 중 특정 스케쥴 아이템이 선 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스케쥴 아이템의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b는 제1 스케쥴 아이템(12a)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제1 스케쥴 아이템(12a)이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스케쥴 아이템(12a)이 표시된 영역 부근에 상기 제1 스케쥴 아이템(12a)과 관련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팝업창(popup window, 2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팝업창(20)을 통해 제공해야 할 정보가 많은 경우, 스크롤 바(21, 22)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스크롤 바(21, 22)를 조작하여 상기 팝업창(20) 내에 표시된 정보가 스크롤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상기 터치가 상기 제1 스케쥴 아이템(12a)이 표시된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팝업창(20)을 화면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팝업창(20)에 제공되는 종료 버튼(23)을 선택하면, 상기 팝업창(20)이 사라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스크롤 명령을 수신한다[S110].
상기 스크롤 명령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롤 명령은, 상기 터치스크린(151) 또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 내의 특정 영역에 대한 터치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의 우측의 일정 영역에 대한 터치 신호를, 상기 스케쥴러 화면을 오른쪽으로 스크롤하라는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케쥴 러 화면의 좌측의 일정 영역에 대한 터치 신호를 상기 스케쥴러 화면을 왼쪽으로 스크롤하라는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크롤 명령은, 상기 터치스크린(151) 또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에서 임의의 지점에 대한 터치의 이동 신호이거나, 플리킹(flicking) 신호일 수 있다.상기 터치의 이동의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특정 지점을 터치한 후 손가락을 이격시키지 않고 다른 지점으로 손가락을 이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터치의 이동은, 일반적으로 터치앤드래그 동작(touch-and-drag operation)으로 호칭되기도 한다. 상기 플리킹 신호의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특정 지점을 터치한 후 손가락을 특정 방향으로 튕기는 동작을 감지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크롤 명령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131)에 구비된 방향키를 통해 수신되는 키 신호일 수 있다.
도 6c는 사용자로부터 스크롤 명령을 수신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터치스크린(151)을 직접 터치하지 않고 상기 터치스크린(151)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손가락을 근접시키면, 화면이 스크롤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스크롤 아이콘(25a, 25b)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아이콘은, 사용자에게 화면이 스크롤될 수 있음을 알리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거나, 이와 동시에 스크롤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오른쪽으로 스크롤시키기 위해 제1 스크롤 아이콘(25a)을 손가락으로 적어도 1회 이상 터치하거나 일정 시간동안 터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스크롤 명령에 따라 상기 스케쥴러 화면을 스크롤한다[S120]. 도 6d는 도 6c에 도시된 스케쥴러 화면이 오른쪽으로 스크롤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6c 및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스크롤 아이콘(25a)이 표시된 영역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신호의 수신 회수 또는 상기 터치 신호의 유지 시간에 따라 상기 스케쥴러 화면을 오른쪽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 스케쥴러 화면의 줌인( Zoom - in )/줌아웃( Zoom - out )>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a는 S200 단계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 내지 도 8d는 줌 조절 바(30)를 이용하여 S210 단계 및 S220 단계가 수행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e는 도 8d의 특정 스케쥴 아이템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된 줌 조절 바(30)와 스케쥴러 화면의 시간 범위 간의 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멀티 터치(multi touch)를 이용하여 S210 단계 및 S220 단계가 수행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상기 스케쥴러의 화면을 표시한다[S200]. 예를 들어,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줌 조절 바(zoom control bar, 30)를 포함하는 스케쥴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스케쥴러 화면은, 줌 조절 바(30) 외에는 도 6a에 도시된 스케쥴러 화면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줌 조절 바(30)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의 줌인 또는 줌아웃을 대표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의 일종이다. 상기 줌 조절 바(30)는, 사용자에게 상기 스케쥴러 화면이 줌인 또는 줌아웃될 수 있음을 알리는 동시에, 상기 줌 조절 바(30)가 표시된 영역을 통해 상기 스케쥴러 화면의 줌인 또는 줌아웃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줌 조절 바(3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줌 조절 바(30) 내에서 이동 가능한 줌 조절자(31)와, 줌인(zoom-in)을 대표하는 줌인 아이콘(32)과 줌아웃(zoom-out)을 대표하는 줌아웃 아이콘(3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줌 조절자(31)를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상기 스케쥴러 화면을 줌인시키거나 줌아웃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줌인 아이콘(32) 및 상기 줌아웃 아이콘(33)을 각각 조작하여 상기 스케쥴러 화면을 줌인/줌아웃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줌인 또는 줌아웃 명령을 수신하고[S210], 상기 수신된 줌인 또는 줌아웃 명령에 따라 상기 S200 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스케쥴러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시키면서, 상기 스케쥴러 화면이 갖는 시간 범위를 변화시킬 수 있다[S220].
상기 줌인 또는 줌아웃 명령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줌인 또는 줌아웃 명령은, 상기 터치스크린(151) 또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에 표시되는 인디케이터에 대한 터치 또는 터치의 이동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줌 조절 바(30)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상기 줌인 또는 줌아웃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들로서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줌 조절자(31)를 손가락으로 터치한 상태에서 이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터치의 이동 또는 터치앤드래그(touch-and-drag)), 상기 줌인 또는 줌아웃 명령이 상기 제어부(18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줌인 아이콘(32)을 또는 상기 줌아웃 아이콘(33)을 손가락으로 터치함으로써, 상기 줌인 또는 줌아웃 명령이 상기 제어부(180)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줌인 또는 줌아웃 명령은, 상기 터치 스크린의 서로 다른 임의의 두 지점에 대한 터치들의 이동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의 서로 다른 임의의 두 지점에 대한 터치들은, 일반적으로 멀티 터치(multi-touch)로 호칭된다. 구체적인 예들로서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스케쥴러 화면 내부의 임의의 두 지점들(A, B)을 각각 두 손가락들로 동시에 터치한 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대한 접촉을 유지하면서 다른 지점들(A', B')로 드래그하면(도 10a 참조), 상기 줌인 명령이 상기 제어부(18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임의의 두 지점들(C, D)을 두 손가락들로 동시에 터치한 후 상기 접촉을 유지하면서 다른 지점들(C', D')로 드래그하면(도 10b 참조), 상기 줌아웃 명령이 상기 제어부(18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줌인 또는 줌아웃 명령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에 구비된 키 버튼을 통한 키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스케쥴러 화면이 갖는 시간 범위란, 상기 스케쥴러 화면이 나타낼 수 있는 전체 시간의 범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에 표시되는 날짜와 상기 시간축(10)을 통해 상기 스케쥴러 화면이 나타내는 시간 범위를 알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줌인 또는 줌아웃 명령에 따라, 상기 스케쥴러 화면이 갖는 시간 범위가 변화하도록, 상기 스케쥴러 화면을 줌인시키거나 줌아웃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줌 조절자(31)를 손가락을 이용해 위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줌 조절자(31)가 위로 이동된 거리에 해당하는 비율만큼 상기 스케쥴러 화면을 줌인시킬 수 있다. 도 8b는, 상기 줌 조절자(31)가 제1 위치(31a)에서 제2 위치(31b)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케쥴러 화면의 시간 범위가 축소되면서 상기 스케쥴러 화면이 줌인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상기 줌 조절자(31)가 상기 제1 위치(31a) 및 상기 제2 위치(31b)에 위치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8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줌 조절자(31)를 손가락을 이용해 아래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줌 조절자(31)가 아래로 이동된 거리에 해당하는 비율만큼 상기 스케쥴러 화면을 줌아웃시킬 수 있다. 도 8c는, 상기 줌 조절자(31)가 제1 위치(31a)에서 제3 위치(31c)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케쥴러 화면의 시간 범위가 확대되면서 상기 스케쥴러 화면이 줌아웃되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8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줌 조절자(31)를 제3 위치(31c)보다 더 아래에 위치하는 제4 위치(31d)로 이동시키면, 상기 줌 조절자(31)가 제3 위치(31c)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상기 스케쥴러 화면의 시간 범위가 더 확대되면서 상기 스케쥴러 화면이 더 줌아웃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c에 도시된 스케쥴러 화면은 약 24 시간의 시간 범위를 갖는 반면, 도 8d에 도시된 스케쥴러 화면은 약 8일의 시간 범위를 갖는다. 한편 도 8d에서 상기 스케쥴러 화면의 시간 범위가 확대됨으로써, 화면의 크기 제약으로 인해 각 스케쥴 아이템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특정 스케쥴 아이템을 터치(또는 근접 터치)하면,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된 특정 스케쥴 아이템의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줌 조절자(3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줌인 또는 줌아웃의 배율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줌 조절자(31)의 위치와 상기 스케쥴러 화면의 시간 범위가 다양하게 대응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상기 줌 조절자(31)의 위치가 서로 다른 상기 줌 조절 바(30)의 다양한 상태들(30a 내지 30e)은 각각, 서로 다른 시간 범위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이 상기 줌 조절자(31)의 위치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를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151) 또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 내의 임의의 두 지점에 대한 멀티 터치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 터치의 이동 거리에 대응되는 비율만큼 상기 스케쥴러 화면이 갖는 시간 범위를 변화시키면서 상기 스케쥴러 화면을 줌인(도 10a 참조) 또는 줌아웃(도 10b 참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의 줌인 또는 줌아웃에 따라 상기 스케쥴러 화면의 시간 범위가 확대되는 경우, 상기 스케쥴러 화면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정보 중 일부만을 표시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정보를 아이콘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정보 중 일부만 표시되는 경우, 그 기준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케쥴 아이템을 입력할 때 설정한 중요도에 따라, 중요도가 높은 스케쥴 아이템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정보 각각의 일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c는 모든 스케쥴 아이템들(12)에 대응되는 모든 텍스트 정보들이 표시되는데, 그 일부는 대응되는 제목의 첫문자만 표시된다. 도 8c에서 참조번호 12a 내지 12d는 아이콘일 수도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상기 스케쥴러 화면의 시간 범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이 되면, 상기 스케쥴러 화면에 텍스트 정보들이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의 줌인 또는 줌아웃에 따라 상기 스케쥴러 화면의 시간 범위가 축소되는 경우, 상기 스케쥴러 화면에 표시되는 특정 스케쥴 아이템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를 참조하면, 도 8a의 경우보다, 각 스케쥴 아이템에 대응되어 표시된 텍스트 정보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으로 표시되는 텍스트 정보의 종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8b의 경우는, 상기 추가적으로 표시되는 텍스트 정보의 종류가, 상기 각 스케쥴 아이템에 포함되는 "장소" 정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상기 제1 스케쥴 아이템은, "LGE 연구소"(장소)에서 "Meeting"(제목 또는 카테고리)이라는 스케쥴이 "오전 8시부터 정오까지"(시간 범위) 존재함을 나타낸다.
< 스케쥴 아이템의 시간 범위의 설정/갱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a 및 도 13b는 S300 단계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b 내지 도 12d와, 도 13a 내지 도 13e와, 도 14a 및 도 14b는 S310 단계 및 S320 단계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스케쥴러 화면의 날짜 변경이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1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어느 스케쥴 아이템의 시간 범위를 나타내는 제1 인디 케이터와 시간축을 포함하는 스케쥴러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한다[S300]. 상기 S300 단계에서 표시되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은, 새로운 스케쥴 아이템을 입력받는 기능과, 미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 아이템을 표시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a는 새로운 스케쥴 아이템을 입력받기 위한 스케쥴러 화면에 해당하고, 도 13b는 미리 입력된 스케쥴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스케쥴러 화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상기 S300 단계에서 표시되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은, 상기 스케쥴러가 제공하는 다양한 스케쥴러 화면들일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스케쥴러 화면은, 새로운 스케쥴 아이템의 시간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스케쥴러 화면은, 상기 새로운 스케쥴 아이템의 시간 범위를 나타내는 제1 인디케이터(40a)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새로운 스케쥴 아이템의 시간 범위를 정한 후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버튼(16)을 터치하면, 새로운 스케쥴 아이템의 설정에 필요한 기타 정보들(예를 들어, 장소,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스케쥴러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2a에 도시된 스케쥴러 화면에서 화면 전환 없이 상기 기타 정보들이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 S300 단계에서 표시되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제1 인디케이터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인디케이터는, 도 12a 내지 도 12d에 도시된 인디케이터(40a, 40b, 40c) 또는 도 13a에 도시된 인디케이터(41a, 41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인디케이터는, 도 13b의 경우, 상기 스케쥴 아이템들(12) 자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b에서, 상기 제1 스케쥴 아이 템(12a)은, 그 자체가 오전 9시부터 정오까지라는 시간 범위를 나타내므로, 상기 제1 인디케이터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시간축(10)에 대한 상기 제1 인디케이터의 상대적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고[S310], 상기 상대적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기 스케쥴 아이템의 상기 시간 범위를 갱신한다[S320].
상기 제1 인디케이터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상대적 위치가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에 대한 터치의 이동에 의해 상기 상대적 위치가 변화할 수 있다. 도 12b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에 대한 터치의 이동에 의해 상기 상대적 위치가 변화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a)의 일측의 경계를 우측으로 터치앤드래그하면,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a)의 상기 일측 경계가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a)의 일측 경계가 다른 위치(40b)로 이동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a)의 상기 시간축(10)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변화하고,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a)가 나타내는 새로운 스케쥴 아이템의 시간 범위가 갱신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1 인디케이터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 내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한 터치 또는 터치의 이동에 의해 상기 상대적 위치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미리 정해진 그래픽 요소(graphic element)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에서 제공되는 제1 및 제2 이동 아이콘들(50a, 50b)이 상기 그래픽 요소에 해당한다.
도 12c 및 도 12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스케쥴러 화면에 제공되는 상기 제1 및 제2 이동 아이콘(50a, 50b)를 터치함으로써,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a)의 상기 시간축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변화하면서 상기 새로운 스케쥴 아이템의 시간 범위가 갱신될 수 있다. 도 12c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2 이동 아이콘(50b)을 소정 회수 또는 소정 시간동안 터치하면,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a)의 좌측 경계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새로운 스케쥴 아이템의 시간 범위가 변화한다. 상기 제2 이동 아이콘(50b)에 대한 터치 회수와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a)의 좌측 경계의 이동 거리는 다양하게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이동 아이콘(50b)에 대한 1회 터치에 대해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a)의 좌측 경계의 이동 거리는 좌측으로 1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아이콘(50a)에 대한 1회 터치에 대해,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a)의 우측 경계의 우측으로의 이동 거리 또한 다양하게 대응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인디케이터와, 상기 S310 단계 및 상기 S320 단계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a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의 다른 형태(41a, 41b)를 예시한다. 사용자는 도 13a에 도시된 상기 제1 인디케이터(41a, 41b)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새로운 스케쥴 아이템의 시간 범위를 갱신 및 설정할 수 있다.
도 13b는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입력된 스케쥴 아이템 자체가 상기 제1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도 1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2 스케쥴 아이템(12b)의 우측 경계를 손가락으로 터치한 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상 기 제2 스케쥴 아이템(12b')의 우측 경계가 '15:00'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스케쥴 아이템의 종료 시각을 오후 2시에서 오후 3시로 갱신한다.
도 13c 및 도 13d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제3 실시예에 적용하는 예들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S300에 표시되는 스케쥴러 화면은,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 조절 바(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줌 조절 바(4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언급된 줌 조절 바(30)과 유사하다. 즉 상기 줌 조절 바(45)는, 도 13c 및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줌 조절 바(45) 내에서 이동 가능한 줌 조절자(46)와, 줌인(zoom-in)을 대표하는 줌인 아이콘(47)과 줌아웃(zoom-out)을 대표하는 줌아웃 아이콘(48)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줌 조절자(46)를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상기 시간축(10)의 전체 시간 범위를 줌인시키거나 줌아웃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줌인 아이콘(47) 및 상기 줌아웃 아이콘(48)을 각각 조작하여 상기 시간축(10)의 전체 시간 범위를 줌인/줌아웃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줌 조절자(46), 상기 줌인 아이콘(47) 및 상기 줌아웃 아이콘(48)을 조작하면 상기 시간축(10)의 전체 시간 범위가 줌인되거나 줌아웃되어 상기 스케쥴러 화면이 갖는 시간 범위가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시간축(10)의 시간 범위만을 변화시키고,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a)의 절대적 위치는 변화시키지 않는다. 결국 상기 시간축(10)의 시간 범위의 변화에 의해,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a)의 상기 시간축(10)에 대한 상대적 위치는 변화하게 된다. 상기 시간축(10)에 대한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a)의 상대적 위치는 시간 개념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도 13d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a)가 나타내는 시간 범위의 변화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상기 줌 조절자(46)를 제1 위치(46a)에서 제2 위치(46b)로 이동시키면, 상기 시간축(10)의 시간 범위가 변화하고, 결국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d)가 나타내는 시간 범위가 변화한다.
도 13e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에 상기 시간축(10)외에 날짜축(11)이 포함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에 상기 시간축(10)과 상기 날짜축(11)을 동시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미리 정해진 날짜 범위 및 시간 범위를 갖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3e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2008년 8월 15일부터 8월 20일까지의 날짜 범위를 갖고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의 시간 범위를 갖는 제1 인디케이터(40g)를 상기 스케쥴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g)의 상/하/좌/우의 경계를 터치한 후 드래그함으로써, 날짜 범위 및/또는 시간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3e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g)의 상측 경계를 터치앤드래그함으로써,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h)가 2008년 8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의 날짜 범위를 갖도록 조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4a는 전술한 멀티 터치에 의해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나타내는 시간 범위가 변화하는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두 지점(E, F)을 동시에 터치한 후 다른 두 지점(E', F')으로 드래그하면, 상기 제1 인디케이터(40e)가 나타내는 시간 범위가 변화한다.
도 14b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시간축(10)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나타내는 시간 범위를 변화시키는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시간축(10)이 표시된 영역을 터치앤드래그함에 따라, 상기 제1 인디케이터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시간축(10)이 스크롤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인디케이터의 시간 범위가 변화된다. 예를 들어 도 14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시간축(10)이 표시된 영역을 좌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터치앤드래그하면(S310), 상기 시간축(10)이 스크롤되어 상기 제1 인디케이터의 시간 범위(40f)가 변화된다(S320).
도 15a 내지 도 15d는, 스케쥴 아이템의 날짜를 설정 또는 변경하는 다양한 방식들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날짜 표시 영역 부근에 있는 날짜 변경 아이콘(70)을 조작함으로써 날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날짜 변경 아이콘(70a)을 터치하면, 도 15b와 같이 다음날에 해당하는 날짜로 변경된다. 사용자가 제2 날짜 변경 아이콘(70b)을 터치하면 이전날에 해당하는 날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5c 및 도 15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날짜 표시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날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날짜 표시 영역을 터치하면, 도 15d와 같이 캘린더를 포함하는 팝업창(61)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61)에 포함된 캘린더의 특정 날짜를 선택함으로써 스케쥴 아이템의 날짜를 변경할 수 있다.
<위치 이동(회전)에 따른 스케쥴러 화면의 전환>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각각, 화면 스크롤이 제공되지 않는 스케쥴러 화면의 예와, 화면 스크롤이 제공되는 스케쥴러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6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화면 스크롤이 제공되지 않는 제1 스케쥴러 화면을 표시한다[S400]. 상기 제1 스케쥴러 화면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도 16a는 상기 제1 스케쥴러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한다[S41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140)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변화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자세 변화를 의미한다. 상기 자세 변화는, 직선 이동, 회전 등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지표면에 대해 수직(도 17a)에서 수평(도 17b)으로 변화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위치 변화가 기준값(threshold value) 이상인지를 판단하여[S420], 기준값 이상이면 화면 스크롤이 제공되는 제2 스케쥴러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S430]. 도 1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화면 스크롤이 제공되는 스케쥴러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430 단계를 수행한 후에도 계속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S440], 상기 위치 변화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S400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이상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회전과 같은 위치 이동에 따른 스케쥴러 화면의 변환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스케쥴러 화면의 변환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8a 및 도 18b는 스케쥴러 화면이 변환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8a는 일반적인 캘린더를 표시하는 스케쥴러 화면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캘린더의 특정 날짜를 터치하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a에 도시된 스케쥴러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유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통신 시스템(seteilte-based communication systems)을 포함하는, 프레임(frames) 또는 패킷(packets)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들은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들(air interfaces) 및/또는 물리 계층들(physical layers)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이용되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들의 예는 주파수분할다중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및 유니버설모바일텔레커뮤니케이션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UMTS의 LTE(Long Term Evolution), 및 모바일통신용글로벌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CDMA 통신 시스템에 국한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만이 아니라, 다른 시스템 타입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개의 이동 단말기들(100), 다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 200),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210), 및 모바일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s; MSCs, 220)을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20)는,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PSTN, 23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20)는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1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10)은 백하울 라인들(backhaul lines)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들(200)에 연결된다. 상기 백하울 라인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E1/T1, ATM, IP, PPP,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 다. 상기 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들(210)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 기지국(200)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섹터들(sectors)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omnidirectional antenna) 또는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특정한 방사방향으로 조정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각각의 섹터는 다이버시티수신(diversity reception)용 안테나 두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200)은 다수개의 주파수 할당들(frequency assignments)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파수 할당들은 특정 스펙트럼(예를들어, 1.25MHz, 5Mhz)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인터섹션(intersection)은 CDMA 채널로 칭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들(27)은 또한 기지국 트랜스시버 서브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s; BTSs)으로 칭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기지국 제어기(210)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들(200)을 집합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들은 또한 "셀 사이트"라고 표기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주어진 기지국(200)의 개별적인 섹터들이 셀 사이트들로 일컬어질 수 있다.
지상파 DMB 송신기(240)는 상기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이동 단말기들(100)에 방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방송수신모듈(111)은 일반적으로 상기 DMB 송신기(240)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른 타입의 방송 및 멀티캐스트 시그널링(broadcast and multicast signaling)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9는 여러가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들(250)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위성들(250)은 몇몇 또는 모든 이동 단말기들(1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두개의 위성들이 도시되었으나, 위치정보는 그보다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위성들로부터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다른 타입의 위치추적기술(예를 들어, GPS 기술을 대신하거나 또는 그에 더하여 사용될 수 있는 위치추적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몇몇 또는 모든 상기 GPS 위성들(250)은 별도로 또는 부가적으로 위성 DMB 전송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작동중에, 상기 기지국들(200)은 여러개의 이동 단말기들(100)로부터 역방향 링크 신호들(reverse-link signals)을 수신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들(100)은 통화 중이거나, 메시지를 보내고 있거나, 그리고 다른 통신을 수행 중일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역방향 링크 신호는 상기 기지국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된 데이타는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 제어기(210)로 전송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210)는 콜 리소스 할당(call resource allocation)을 제공하며, 그리고 기지국들(200) 사이의 소프트 통화채널전환(soft handoffs)의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을 포함하는 이동관리기능(mobility management functionality)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10)는 또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s, 220)로 전송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20)는 상기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STN, 230)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추가적인 루팅 서비스들(routing services)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상기 퍼블릭스위 칭텔레폰네트워크(230)는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20)와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10)과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10)은 차례로 상기 기지국들(200)을 제어하여 순방향 링크 신호들을 상기 이동 단말기들(100)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와, 도 9와,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와, 도 13a 내지 도 13e와,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들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스케쥴러 화면의 날짜 변경이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스케쥴러 화면이 변환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 단말기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1: 디스플레이부(터치스크린)
160: 메모리 180: 제어부

Claims (23)

  1.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스케쥴러(scheduler)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스케쥴러의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경우, 시간축(time axis)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변화할 수 있고 상기 상대적 위치에 의해 어느 스케쥴 아이템(schedule item)의 시간 범위(time range)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상기 스케쥴러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상기 시간축에 대한 상대적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기 스케쥴 아이템의 상기 시간 범위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인디케이터에 대한 터치의 이동이나, 상기 스케쥴러 화면 내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한 터치 또는 터치의 이동에 의해 상기 상대적 위치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의 이동은,
    한 지점에 대한 터치의 이동과, 서로 다른 두 지점에 대한 터치들의 이동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미리 정해진 그래픽 요소(graphic element)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 화면은,
    새로운 스케쥴 아이템을 입력받는 기능과, 미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 아이템을 표시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스케쥴러(scheduler)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스케쥴러의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스케쥴러 화면이 갖는 시간 범위가 변화하도록 상기 스케쥴러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을 연속적으로 또는 이산적으로 줌인 또는 줌아웃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인디케이터에 대한 터치 또는 터치의 이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서로 다른 임의의 두 지점에 대한 터치들의 이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 화면은,
    새로운 스케쥴 아이템을 입력받는 기능과, 미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 아이템을 표시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에 상기 미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 아이템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 아이템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 아이템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케쥴러 화면의 줌인 또는 줌아웃에 따라 상기 스케쥴러 화면의 시간 범위가 확대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정보 중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해 정해지는 일부만을 표시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정보를 아이콘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제1 스케쥴러 화면과 제2 스케쥴러 화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스케쥴러 화면들을 제공하는 스케쥴러(scheduler)를 저장하는 메모리;
    이동 단말기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및
    상기 제1 스케쥴러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위치 감지부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변화가 기준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케쥴러 화면을 상기 제2 스케쥴러 화면으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케쥴러 화면과 상기 제2 스케쥴러 화면 중 하나는 화면 스크롤이 제공되고, 나머지 하나는 화면 스크롤이 제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쥴러 화면과 상기 제2 스케쥴러 화면 중 상기 화면 스크롤이 제공되는 화면은,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에 따라 줌인 또는 줌아웃이 가능하고, 상기 줌인 또는 줌아웃에 따라 그 시간 범위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 스케쥴러(scheduler)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어느 스케쥴 아이템(schedule item)의 시간 범위(time range)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ndicator)와 시간축(time axis)을 포함하는 스케쥴러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시간축에 대한 상기 인디케이터의 상대적 위치를 변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대적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기 스케쥴 아이템의 상기 시간 범위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위치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인디케이터에 대한 터치의 이동에 의해 수행되거나, 상기 스케쥴러 화면 내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한 터치 또는 터치의 이동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의 이동은,
    한 지점에 대한 터치의 이동과, 서로 다른 두 지점에 대한 터치들의 이동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
  19.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 스케쥴러(scheduler)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케쥴러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스케쥴러 화면이 갖는 시간 범위가 변화하도록 상기 스케쥴러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 화면의 줌인 또는 줌아웃시키는 단계는,
    연속적 또는 이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인디케이터에 대한 터치 또는 터치의 이동이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의 서로 다른 임의의 두 지점에 대한 터치들의 이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
  22.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 스케쥴러(scheduler)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스케쥴러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변화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스케쥴러 화면을 상기 스케쥴러에 의해 제공되는 제2 스케쥴러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케쥴러 화면과 상기 제2 스케쥴러 화면 중 하나는 화면 스크롤이 제공되고, 나머지 하나는 화면 스크롤이 제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쥴러 화면과 상기 제2 스케쥴러 화면 중 상기 화면 스크롤이 제공되는 화면은,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에 따라 줌인 또는 줌아웃이 가능하고, 상기 줌인 또는 줌아웃에 따라 그 시간 범위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스케쥴러 제공 방법.
KR1020080103436A 2008-10-22 2008-10-22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러 제공 방법 KR20100044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436A KR20100044341A (ko) 2008-10-22 2008-10-22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러 제공 방법
US12/410,140 US8386949B2 (en) 2008-10-22 2009-03-24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scheduler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436A KR20100044341A (ko) 2008-10-22 2008-10-22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러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341A true KR20100044341A (ko) 2010-04-30

Family

ID=4210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436A KR20100044341A (ko) 2008-10-22 2008-10-22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러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86949B2 (ko)
KR (1) KR201000443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4504A (ko) * 2012-12-10 201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케줄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04237B1 (ko) * 2013-11-15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1954B2 (en) * 2009-02-18 2014-06-10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crolling information in a UI table
US20110099189A1 (en) * 2009-10-26 2011-04-2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ploring connections of a polymorphic note
US8335989B2 (en) * 2009-10-26 2012-12-1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polymorphic note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10099153A1 (en) * 2009-10-26 2011-04-2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olymorphic note
CN102117165A (zh) * 2009-12-31 2011-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触摸输入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9275376B2 (en) * 2010-03-25 2016-03-0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oft reminders
US9268478B2 (en) * 2010-03-31 2016-02-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uch screen system for use with a commanded system requiring high integrity
GB2483223A (en) * 2010-08-25 2012-03-07 Chp Consulting Ltd A method of modifying a displayed scheduling profile
US8890818B2 (en) * 2010-09-22 2014-11-1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KR102006740B1 (ko) 2010-10-20 2019-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260834B1 (ko) * 2010-12-14 2013-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임라인 바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
EP2469840A1 (en) * 2010-12-21 2012-06-27 Thomson Licensing Dynamic resizing of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KR101892630B1 (ko) 2011-01-10 2018-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8381106B2 (en) 2011-02-03 2013-02-19 Google Inc. Touch gesture for detailed display
JP5360140B2 (ja) * 2011-06-17 2013-12-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閲覧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方法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893931B1 (ko) * 2011-08-31 2018-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케줄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857561B1 (ko) * 2011-08-31 2018-05-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30025301A (ko) * 2011-09-01 2013-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US9501213B2 (en) * 2011-09-16 2016-11-22 Skadool, Inc. Scheduling events on an electronic calendar utilizing fixed-positioned events and a draggable calendar grid
KR101914069B1 (ko) * 2011-11-02 2018-11-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 및 그 단말에서 데이터 표시 방법
US9514447B2 (en) 2011-12-27 2016-12-06 Dassault Systemes Americas Corp. Multi-horizon time wheel
KR20130094044A (ko) * 2012-02-15 201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에서 자막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459781B2 (en) 2012-05-09 2016-10-0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imated sequences
US8737821B2 (en) 2012-05-31 2014-05-27 Eric Qing Li Automatic triggering of a zoomed-in scroll bar for a media program based on user input
US9648369B2 (en) * 2012-06-11 2017-05-0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ross-platform schedule management interface
US9123030B2 (en) * 2012-07-30 2015-09-01 Sap Se Indication of off-screen calendar objects
US9658672B2 (en) 2012-07-30 2017-05-23 Sap Se Business object representations and detail boxes display
US20140028729A1 (en) * 2012-07-30 2014-01-30 Sap Ag Scalable zoom calendars
US9483086B2 (en) 2012-07-30 2016-11-01 Sap Se Business object detail display
US8832583B2 (en) 2012-08-31 2014-09-09 Sap Se Visualizing entries in a calendar using the third dimension
US9081466B2 (en) 2012-09-10 2015-07-14 Sap Se Dynamic chart control that triggers dynamic contextual actions
US9250781B2 (en) * 2012-10-17 2016-02-02 Sap Se Method and device for navigating time and timescale using movements
US8972883B2 (en) * 2012-10-19 2015-03-03 Sap Se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 time and timescale reset
US20140157099A1 (en) * 2012-12-04 2014-06-05 Rolan Abdukalykov Efficient space allocation for business objects
JP5805685B2 (ja) * 2013-02-27 2015-11-04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9471200B2 (en) 2013-03-15 2016-10-1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organizing and presenting a collection of media items
JP6221323B2 (ja) 2013-04-22 2017-11-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グラフ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CN110908441B (zh) 2013-09-03 2024-02-02 苹果公司 用于可穿戴电子设备的表冠输入
KR101572331B1 (ko) * 2013-12-26 2015-11-30 (주)멜파스 터치스크린패널을 이용하여 근접 센싱 기능을 제공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 및 방법
JP6287412B2 (ja) 2014-03-19 2018-03-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図形描画装置、図形描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978043B2 (en) 2014-05-30 2018-05-22 Apple Inc. Automatic event scheduling
AU2015279544B2 (en) * 2014-06-27 2018-03-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input mechanism for navigating calendar application
EP3195098A2 (en) 2014-07-21 2017-07-26 Apple Inc. Remote user interface
JP6394163B2 (ja) 2014-08-07 2018-09-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グラフ表示装置、グラフ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201610758A (zh) 2014-09-02 2016-03-16 蘋果公司 按鈕功能性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CN115695632A (zh) 2014-09-02 2023-02-03 苹果公司 电话用户界面
JP6252414B2 (ja) * 2014-09-16 2017-12-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図形表示装置、図形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K201770423A1 (en) 2016-06-11 2018-01-15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KR102635945B1 (ko) * 2016-07-19 2024-0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일정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A174365S (en) * 2016-10-27 2017-11-28 Apple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931804B2 (en) 2017-01-25 2021-02-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chedul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terminal
US10512025B2 (en) * 2017-11-14 2019-12-17 Apple Inc. Activity mode for a cellular connection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893212B2 (en) 2021-06-06 2024-02-0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pplication widge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296B1 (ko) * 2007-05-29 2014-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메뉴 실행 장치 및 방법
KR101012300B1 (ko) * 2008-03-0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4504A (ko) * 2012-12-10 201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케줄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04237B1 (ko) * 2013-11-15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274741B2 (en) 2013-11-15 2016-03-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52217B2 (en) 2013-11-15 2018-12-1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indicating lapse of time associated with a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99462A1 (en) 2010-04-22
US8386949B2 (en)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434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러 제공 방법
KR10156071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시 방법
KR101609162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626621B1 (ko) 원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EP2163972B1 (en) Mobile terminal with touch inpu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3119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맵 표시 방법
KR101568351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600091B1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012379B1 (ko)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5305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67420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아이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74452B1 (ko)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KR101545569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
KR2010012563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12989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2010011997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일정관리방법
KR20100016842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시지처리 방법
KR2010002823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00109277A (ko) 단말기 및 단말기를 이용한 메뉴제어방법
KR2011005139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6225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20100038858A (ko)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아이콘의 제어방법
KR2010010429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표시방법
KR2010002085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2010007142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