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679A -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679A
KR20100042679A KR1020080097343A KR20080097343A KR20100042679A KR 20100042679 A KR20100042679 A KR 20100042679A KR 1020080097343 A KR1020080097343 A KR 1020080097343A KR 20080097343 A KR20080097343 A KR 20080097343A KR 20100042679 A KR20100042679 A KR 20100042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remote control
message
master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경
정인형
김성용
이상하
손영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2679A/ko
Priority to US12/565,362 priority patent/US9131359B2/en
Priority to EP09171459.2A priority patent/EP2173120B1/en
Publication of KR2010004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2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의 기능들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원격제어 기능이 설정된 슬레이브 단말기(슬레이브)에서 마스터 단말기(마스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설정을 요청받는 과정과, 인증된 마스터로부터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기능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원격제어, 이동추적(Mobile Tracker) 기능, 콜 제한, 메시지 포워딩, 수신측 단말기(Recipient) 변경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의 기능들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의 편리성으로 인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들에게 보편화되면서 휴대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 또한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급속히 증가해왔다. 단순한 음성 통신 제공 기능으로부터 텍스트나 멀티미디어와 같은 패킷 통신 제공 기능에 이르기까지의 이동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전화번호부 기능이나 일정관리 기능 등 사용자의 개인정보 관리기능 등 휴대 단말기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장점으로 인해 휴대 단말기의 기능은 급속히 발전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장점으로 인해 불편함 또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를 분실하는 경우 분실된 휴대 단말기의 습득자에 의한 악의적인 사용으로 인해 개인 정보 유출이나 무분별한 서비스 이용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품목으로써 자리잡고 있는 휴대 단말기는 출근 시 집에 휴대 단말기를 두고 온 경우나 방문한 장소에 휴대 단말기를 두고 온 경우와 같이 분실한 경우는 아니지만 일시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에 수신되는 콜(Call) 또는 메시지(Message)등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일정시간동안 이용하지 못함으로 인해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를 분실하는 경우나 휴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원격으로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원격제어 기능이 설정된 슬레이브 단말기(슬레이브)에서 마스터 단말기(마스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설정을 요청받는 과정과, 인증된 마스터로부터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기능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은 원격제어 기능이 설정된 후 타단말기(마스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설정이 요청되면 상기 마스터의 인증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요청된 기능을 설정하고 해당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슬레이브 단말기(슬레이브)와, 상기 슬레이브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마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슬레이브는 상기 마스터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부와, 마스터 정보, 원격제어 비밀번호, 및 상기 설정된 원격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마스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고, 상기 마스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설정을 요청받으면 상기 마스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요청된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기능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단말기에 의해 원격제어 기능이 설정된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 가능함에 따라 보안 및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메시지 또는 일정 조건의 메시지에 대한 포워딩 기능 및 다양한 종류의 콜 제한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증을 통해 미리 원격 제어 단말기로 설정된 단말기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므로 휴대 단말기의 분실시 습득자에 의한 무분별한 사용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 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분실하거나 휴대하고 있지 않은 등의 경우에 분실되거나 휴대하지 않은 휴대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원하는 기능을 다른 단말기에서 수행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원격으로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기술로서 이동 추적(Mobile Tracker) 기능에 기반한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이동 추적 기능은 이동 추적 기능이 구동되는 휴대 단말기가 분실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는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이하 'SIM'이라 칭함)등이 변경되는 때 미리 설정된 다른 단말기에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이다. 이하 이동 추적 기능에 대해서 언급하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능들에 대한 원격제어 방법이 이동 추적 기능에 기반한 방법에만 국한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이동 추적 기능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원격 제어를 위해 이동 추적 기능이 이용되고, 슬레이브 단말기와 마스터 단말기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칭함) 메시지임을 가정한다. 따라서, 도 1에서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구조가 예로 들어 설명된다. 그러나 원격 제어 방법으로 이동 추적 기능이외의 다른 기능에 의해 원격 제어 될 수 있으며, SMS 메시지가 아닌 다른 메시지 포맷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메시지 포맷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 이동통신망이 아닌 다른 망에 의할 수 있으며, 다른 망에 의하는 경우 도 1의 시스템 구조는 그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Mobile Station, 이하 'MS'라 칭함)(101)이 원격 제어 기능이 설정되는 휴대 단말기로써 슬레이브(Slave) 단말기가 될 수 있고, 이동 단말기2(MS2)(102)가 원격으로 MS1(101)을 제어하는 단말기로써 마스터(Master) 단말기가 될 수 있다. 기지국(Base Station, 이하 'BS'라 칭함)1(111) 및 BS2(112)는 각각 MS1(101) 및 MS2(102)를 관리하는 기지국들로써 MS1(101) 및 MS2(102)가 동일한 셀(Cell)에 위치하는 경우 하나의 기지국이 될 수 있다. BS1(111) 및 BS2(112)는 각각 MS1(101) 및 MS2(102)와 무선 링크를 통해 연결되어 각각 MS1(101) 및 MS2(102)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120)은 BS1(111) 또는 BS2(112)로부터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기지국들을 제어하며, 필요한 경우 MS1(101) 또는 MS2(102)의 위치를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140)에 문의한다.
SMS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130)는 HLR(140)과 MSC(120)과 연결되어 MS1(101) 또는 MS2(102)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SMS 메시지를 전달하며, 임의의 순간에 수신할 수 없는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의 SMS 메시지 전송이 요청된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저장한 후 전달(Forward)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제어 기능을 위한 SMS 메시지가 MS1(101) 또는 MS2(102)로부터 송신되면, 이를 수신한 BS1(111) 또는 BS2(112)는 MSC(120)로 전송하고, MSC(120)는 수신된 신호가 SMS 메시지이므로 SMSC(130)로 전송한다. SMSC(130)는 수신된 SMS 메시지의 수신측 단말기 즉, MS1(101) 또는 MS2(102)가 현재 수신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하여 수신 가능한 경우 수신된 SMS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 HLR(140)은 이동 단말기 사용자들의 위치 등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MS1(101) 또는 MS2(102)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동통신 단말기 이외에 개인정보 단말기(Personal Data Assistance: PDA), 스마트폰(Smart phone) 등으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는 도 1의 MS1(101) 또는 MS2(102)가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부(210)는 도 1의 BS1(111) 또는 BS2(112)와 휴대 단말기(101 또는 102)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무선 통신부(210)는 원격 제어를 위한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입력되는 데이터 등을 처리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20)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부와,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처리부(220)는 모뎀(MOdulator/DEModulator: MODEM) 및 코덱(Coder/DECoder: 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휴대 단말기(101 또는 102)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1 또는 102)의 내부 블록들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데이터 처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전반적인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제어부(232) 및 원격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분석하는 제어 메시지부(234)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부(232)는 도 1의 MS1(101)의 경우 원격 제어 기능을 설정하고, 메시지가 수신되면 원격 제어를 위한 메시지인지 일반적인 SMS 메시지인지 확인하며, 설정된 원격 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와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원격 제어 기능 정보의 일치여부를 확인한 후 일치하는 경우 해당하는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원격제어부(232) 및 제어 메시지부(234)는 도 1의 MS1(101)에 구비되는지 MS2(102)에 구비되는지에 따라 수행하는 기능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MS2(102)에 구비된 원격제어부(232)는 원격 제어할 기능을 요청하고, 제어 메시지부(234)는 이를 요청할 메시지를 생성하며, MS1(101)에 구비된 원격제어부(232)는 MS2(102)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에 원격 제어를 설정하며, 제어 메시지부(234)는 수신된 원격 제어 메시지를 분석하여 포함된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수신측 단말기(Recipient) 변경을 알리는 메시지의 경우 MS1(101)의 제어 메시지부(234)에 의해 상기 수신측 단말기 변경을 알리는 메시지가 생성되고, 이를 수신한 MS2(102)의 제어 메시지부(234)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가 수신측 단말기 변경을 알리는 메시지임이 확인된다. 원격 제어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저장부(240)는 휴대 단말기(101 또는 102)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응용 프로 그램들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40)는 원격제어 기능에 의해 설정된 원격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250)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 등에 의한 입력키 조작 상태를 표시한다. 표시부(25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함)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표시부(250)는 입력부(260)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26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1 또는 102)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260)는 휴대 단말기(101 또는 102)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Touch pad) 또는 일반적인 키 배열 및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휴대 단말기(101 또는 102)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SIM 카드(Card)(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으며, SIM 카드가 장착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SIM 카드의 변경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분실 이벤트의 발생여부를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MS1(101)이 원격 제어 기능이 설정된 슬레이브 단말기라고 가정하고, MS2(102)가 원격으로 MS1(101)의 기능을 제어하는 마스터 단말기라고 가정한다. 즉, MS1(101)은 원격으로 제어 받는 휴대 단말기이고, MS2(102)는 MS1(101)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또한, 슬레이브 단말기에 설정된 원격 제어 기능에서 메시지 수신측 단말기로써 MS2(102) 의 전화번호 등에 의해 MS2(102)가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원격 제어 기능의 설정 과정 및 수신측 단말기의 변경 과정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310 단계에서 MS1(101)은 원격 제어 기능이 온(On)되어 있는 상태이다. MS1(101)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MS2(102)는 320 단계에서 원격 제어할 기능을 선택한다. 여기에서 원격 제어할 기능의 선택은 도 2의 입력부(270)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 선택을 위해 MS2(102)는 MS1(101)에 의해 제공 가능한 기능들의 목록을 요청하고, MS1(101)로부터 해당하는 기능들의 목록을 수신한 후 수신된 목록에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원격 제어할 기능은 MS1(101)에서 제공되는 기능들 중 MS2(102)에서 대신하여 수행가능한 기능들로써 예를 들어, 콜 제한(Call Barring) 기능 및 포워딩(Forwarding) 기능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기능의 원격 제어 설정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330 단계에서 MS2(102)는 상기 선택된 원격 제어를 요청하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MS1(101)로 전송을 요청한다. 이때 상기 정보는 SMS 메시지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340 단계에서 MS1(101)과 MS2(102)는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인증 과정은 MS1(101)이 MS2(102)로 비밀번호(Password)와 같은 인증번호를 문의하고, MS2(102)로부터 입력된 인증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인증번호가 MS1(101)에 미리 저장된 인증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MS1(101)은 상기 인증번호들이 서로 일치하면 MS2(102)로부터 요청된 기능에 대한 원격 제어를 설정하기 위한 이후 과정들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번호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MS2(102)로 인증번호 불일치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MS2(102)로의 인증번호 문의는 1회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인증번호 재확인 문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330 단계에서 전송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비밀번호 즉, 인증번호와 미리 저장된 인증번호의 일치여부를 확인함으로써 MS1(101)은 MS2(102)에 대한 인증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MS1(101)이 상기 인증번호들이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350 단계에서 MS1(101)은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요청된 기능에 대해 원격 제어 기능을 설정한다. 여기에서 메시지 분석은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원격 제어할 기능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는 수신된 메시지가 원격 제어를 위한 메시지라는 전제하에 가능한 것으로, 메시지 수신시 원격 제어를 위한 메시지인지 일반적인 SMS 메시지인지 확인한다. 즉, 340 단계의 인증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MS1(101)은 수신된 메시지가 원격 제어를 위한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MS1(101) 및 MS2(102)는 원격 제어를 위한 메시지와 일반적인 SMS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규약에 의해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메시지를 분석한 후 MS1(101)은 메시지에 포함된 원격 제어 요청 기능에 대해 원격 제어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기능이 콜 제한 기능에 대한 원격 제어 요청인 경우 제한하고자 하는 콜(Call)의 종류를 확인한다. 콜 제한의 종류에는 MS1(101)이 발신하는 발신호(Outgoing call) 제한, 국제전화호(International Call) 제한, 수신하는 착신호(Incoming call) 제한, 로밍(Roaming) 제한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기능이 포워딩 기능에 대한 원격 제어 요청인 경우 포워딩을 요청하는 호 또는 메시지의 종류 및 포워딩을 요청하는 단말기 정보를 확인한다. 포워딩을 요청하는 호 또는 메시지의 종류는 호(Call), SMS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이하, 'MMS'라 칭함)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360 단계에서 MS1(101)은 요청된 기능에 대한 원격제어 기능 설정이 완료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MS2(102)로 전송한다. 이때, 포워딩 기능, 특히 메시지 포워딩 기능이 설정된 경우, 이전에 수신되어 저장된 메시지들에 대한 포워딩이 요청된 경우 해당하는 메시지들을 MS2(102)로 전달한다. 370 단계에서 MS1(101)은 설정된 기능에 해당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콜 제한 기능이 설정된 경우, 제한된 콜의 발생 즉, 발신 호 제한 설정의 경우 호 발신에 대한 요청이 발생되거나, 착신 호 제한 설정의 경우 호 수신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는 메시지 포워딩 기능이 설정된 경우, 설정된 메시지 종류에 해당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MS1(101)은 380 단계에서 설정된 기능 예를 들어, 발신 호 또는 착신 호에 대한 발신 또는 착신 제한, 또는 설정된 메시지의 종류에 해당하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미리 저장된 수신측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측 단말기로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분실하거나 휴대하지 않은 경우 미리 설정된 타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분실되거나 휴대하지 않은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기능에 대한 원격 제어 설정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는 도 3의 350 단계에서 메시지 분석 후 요청된 기능에 대해 원격 제어를 설정하는 과정이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2 및 도 3의 MS1(101), 특히 제어 메시지부(234)는 410 단계에서 원격 제어 메시지를 분석한다. 이때 원격 제어 메시지의 분석은 메시지에 포함된 원격 제어를 요청하는 기능을 확인하고, 상기 요청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되는 정보는 요청된 기능의 종류 및 수신측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MS1(101) 특히, 원격 제어부(232)는 420 단계에서 요청된 원격 제어 기능 및 수신측 단말기 정보와 설정된 원격 제어 기능 및 수신측 단말기 정보를 비교한다. 430 단계에서 원격 제어부(232)는 비교 결과 상기 두 정보들이 일치하는지 확인한 후 일치하는 경우 44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90 단계로 진행하여 요청된 원격 제어 기능의 설정 불가를 알리는 메시지를 MS2(102)로 전송한다. 이때 원격제어 기능 설정 불가를 알리는 원격제어 메시지는 SMS 메시지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SMS 메시지 포맷은 국제 표준에 따르며, 일반적으로 하나의 SMS 메시지는 140 바이트(Byte)의 유저 데이터(User data)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440 단계에서 원격 제어부(232)는 요청된 원격 제어 기능이 콜 제한 기능인지 포워딩 기능인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콜 제한 기능 및 포워딩 기능은 원격 제어할 기능의 예들로써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두 기능들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 만 본 발명의 원격 제어 기능이 콜 제한 기능 또는 포워딩 기능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요청된 기능이 콜 제한 기능인 경우 원격 제어부(232)는 450 단계로 진행하고, 포워딩 기능인 경우 470 단계로 진행한다.
450 단계에서 원격 제어부(232)는 제한을 요청하는 콜 정보를 확인한다. 콜 정보는 콜 제한 종류 및 전화번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콜 제한의 종류에는 발신호(Outgoing call) 제한, 국제전화호(International Call) 제한, 착신호(Incoming call) 제한, 로밍(Roaming) 제한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발신호 제한은 호 발신을 제한하는 기능으로 모든 발신 호에 대한 제한이나, 저장된 전화번호 등 조건에 따른 부분적인 발신 호에 대한 제한 등 설정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선택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신호 제한은 호 착신을 제한하는 기능으로, 모든 착신호에 대한 제한이나, 저장된 전화번호 등 조건에 따른 부분적인 착신 호에 대한 착신 호에 대한 제한 등 설정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선택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국제전화 제한은 국제전화의 사용을 제한하는 기능이고, 상기 로밍 제한은 다른 통신단말기로의 로밍을 제한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콜 제한은 MS1(101)의 무선통신부(210) 등의 제어에 의해 단말기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수행되거나, 콜 제한이 설정되는 경우 MS1(101)이 도 1의 BS1(111)을 통해 통신망으로 해당하는 콜 제한 정보를 제공하여 통신망에서 MS1(101)의 콜 제한이 수행될 수 있다. 460 단계에서 원격 제어부(232)는 확인된 콜 정보에 따라 요청된 콜 제한 기능을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이후 제한된 콜에 대해 착신 혹은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콜은 강제 종료되는 등 제한된다.
470 단계에서 원격 제어부(232)는 포워딩을 요청하는 콜 또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메시지에 대한 정보는 포워딩 메시지 종류, 수신자, 발신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포워딩 메시지 종류는 SMS 메시지, 및 MMS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호는 음성 통화 신호이고, SMS 메시지는 일정한 크기 이하로 제한된 짧은 텍스트(Text)를 포함하는 메시지이며, MMS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이다. 포워딩 기능은 상술한 호, SMS 메시지, 및 MMS 메시지에 대한 포워딩 이외에도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포워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에 대한 포워딩은 SMS 메시지, MMS 메시지 등과 같은 메시지 종류별로 포워딩을 요청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정해진 수신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해 포워딩 기능을 설정하는 등 수신자,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포워딩 기능 설정도 가능하다. 또한, 이전에 수신되어 저장된 메시지들에 대한 포워딩 기능 설정 또는 이후 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한 포워딩 기능 설정 등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 포워딩 기능들 중에서 원하는 포워딩 기능이 선택되어 설정될 수 있다. 480 단계에서 원격 제어부(232)는 확인된 포워딩 정보에 따라 포워딩 기능을 설정한다. 이때 설정된 메시지 포워딩 기능이 이전에 수신된 메시지들에 대한 포워딩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원격 제어부(232)는 상기 포워딩 기능을 설정하고 이전에 수신된 메시지들을 수신측 단말기 즉, MS2(102)로 전송한다. 만약 이후 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해 포워딩 기능이 설정된 경우 480 단계에서 MS1(101)은 포워딩 기능을 설정하고, 이후 설정된 종류에 해당하는 메시지 혹은 콜이 수신되는 때 즉, 설정된 포워딩 기능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때 수신측 단말기 즉, MS2(102)로 수신된 콜 또는 메시지를 포워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원격제어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화면들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원격으로 제어 받는 슬레이브 단말기 즉, 도 1 및 도 3의 MS1(101)에서 원격 제어 기능이 설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 및 도 3의 MS1(101)에 원격제어 기능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보안(Security)" 메뉴가 도 2의 표시부(250)에 화면(510)과 같이 표시된다. 화면(510)에서 원격제어 기능, 예를 들어, "이동 추적(Mobile Tracker)" 기능(512)이 선택되면 이동추적 기능의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Password) 입력 화면(520)으로 전환된다. 화면(520)에서 입력부(260) 등을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비밀번호 확인을 위해 비밀번호 재입력을 요구하는 화면(530)으로 전환된다. 이때 비밀번호 재입력 화면은 생략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비밀번호는 도 3의 340 단계의 인증시 MS2(102)로부터 제공된 비밀번호와의 일치여부 확인에 이용된다.
비밀번호 재입력이 완료되면, 화면(540)으로 전환되어 '이동추적' 기능의 '활성화(On)'여부 선택(542), '수신측 단말기(Recipient)' 정보(544), 예를 들어, 전화번호, '송신측 단말기(Sender)' 정보(546), 예를 들어, 전화번호에 대한 입력을 받는다. 여기에서 설정된 이동추적 기능 즉, 원격제어 기능의 활성화 여부, 수신측 및 송신측 단말기들의 정보는 도 3 및 도 4에서 기능들에 대한 원격제어 과정들의 수행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MS1(101)은 원격제어 기능이 활 성화(On)되지 않은 경우 도 3의 과정들은 수행되지 않으며, 설정된 수신측 단말기 정보가 원격제어를 요청한 단말기 즉, MS2(102)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 4의 기능 설정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원격 제어 설정 불가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은 분실되거나 휴대하지 않는 단말기의 기능들이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화면(550)은 포워딩 기능에 대해 설정하는 화면으로, 원격 제어를 허여할 포워딩 기능의 정보가 선택된다. 즉, 포워딩될 콜 또는 메시지의 종류가 설정된다. 화면(550)은 실시간 혹은 비실시간 서비스 중 콜(Call)(552), SMS 메시지(554), 및 MMS 메시지(556)에 대해 포워딩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화면(550)과 같이 설정된 경우,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포워딩 기능에 대한 원격 제어 요청시 콜, SMS 메시지, 및 MMS 메시지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즉, 도 4의 420 단계에서 요청된 원격 제어 기능 정보와 설정된 원격 제어 기능 정보 비교시, 화면(550)과 같이 설정된 경우, 요청된 원격 제어 기능이 콜, SMS 메시지, 및 MMS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요청되면 상기 요청된 정보와 설정된 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기능의 설정 과정을 도시하는 화면들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슬레이브 단말기인 도 1 및 도 3의 MS1(101)에 원격제어 기능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원격제어 기능 예를 들어, 이동 추적(Mobile Tracker) 기능이 선택되면 도 2의 표시부(250)에 화면(610)과 같이 표시된다. 화 면(610)에서 '설정(Settings)'(612)이 선택되면 수신측 단말기 정보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화면(620)으로 전환된다. 화면(620)에서 입력부(260)를 통해 수신측 단말기 정보 즉, 전화번호(Remote phone number) 및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Password)가 입력되면 이동 추적 기능을 위한 수신측 단말기 설정이 완료됨(Remote phone has been set)이 화면(630)과 같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설정의 정확성을 위해 화면(630)과 같이 설정이 완료된 후 MS1(101)은 이동 추적 기능의 수신측으로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 즉, MS2(102)로 전송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측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가 전송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부터 MS1(101)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측 단말기의 설정이 완료되면 화면(640)으로 전환되고, 입력부(260) 등을 통해 화면(640)에서 '활성화(Activation)'(642)이 선택되면 원격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하는 화면(650)으로 전환된다. 화면(650)에서 입력부(260) 등을 통해 원격제어 기능 활성화를 지시하는 '온(On)'(652)이 선택되면 원격제어 기능에 대한 설정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MS1(101)에서 도 5 또는 도 6과 같은 설정 과정에 의해 원격제어 기능이 설정되고, 수신측 단말기는 MS2(102)로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또한, 도 3의 310 단계에서 원격 제어 기능이 온(On)된 상태는 도 6과 같은 설정과정을 통해 MS1(101)에 원격제어 기능이 설정된 후 화면(650)과 같이 원격제어 기능이 활성화(On)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원격기능 설정 정보 중 수신측 단말기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화면(610)에서 '수신측 단말기 변경(Change Recipient)' 항목이 선택된 경우 원격 제어 기능 설정 과정을 도시한다. 이러한 수신측 단말기 변경은 도 5 또는 도 6의 과정들을 통해 원격제어 기능이 설정된 후 수신측 단말기의 변경이 있는 경우 원격기능 설정 정보는 유지한 채 수신측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슬레이브 단말기인 도 1 및 도 3의 MS1(101)에 대한 원격제어 기능을 설정하는 화면(710)에서 '수신측 단말기 정보 변경(Change Recipient)' (712)이 선택되면 도 2의 표시부(250)에 화면(720)과 같이 표시된다. 화면(720)에서 입력부(260)를 통해 새로운 수신측 단말기 정보 및 새로운 비밀번호(New password)에 대한 입력을 받는다. 상기 수신측 단말기 정보는 예를 들어 전화번호(New Remote phone number)가 될 수 있다. 화면(720)에서 새로운 수신측 단말기 정보 및 새로운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변경된 수신측 단말기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화면(730)으로 전환된다. 화면(730)에서 변경된 수신측 단말기로의 확인 메시지 전송(YES)(732)이 선택되면, MS1(101)은 미리 정해진 포맷으로 수신측 단말기 정보가 변경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새로운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 확인 메시지 전송 후 MS1(101)은 화면(740)과 같이 상기 새로운 수신측 단말기로부터 응답 메시지(Acknowledge)를 대기한다.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화면(750)과 같이 수신측 단말기 정보의 변경 완료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변경되기 쉬운 정보, 예를 들어, 수신측 단말기 정보를 원격제어 기능의 모든 설정을 변경하지 않고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 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을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기능에 대한 원격 제어 설정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원격제어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화면들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기능의 설정 과정을 도시하는 화면들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원격기능 설정 정보 중 수신측 단말기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20)

  1.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격제어 기능이 설정된 슬레이브 단말기(슬레이브)에서 마스터 단말기(마스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설정을 요청받는 과정과,
    인증된 마스터로부터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기능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콜 제한 기능 및 포워딩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콜 제한 기능은,
    발신 호 제한, 착신 호 제한, 국제전화 제한, 및 로밍 제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 기능은,
    콜 포워딩 기능 및 메시지 포워딩 기능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포워딩 기능은,
    모든 단문자(SMS) 메시지 포워딩 기능, 일부 SMS 메시지 포워딩 기능, 모든 멀티미디어(MMS) 메시지 포워딩 기능, 및 일부 MMS 메시지 포워딩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포워딩 기능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콜 제한 기능이 설정된 경우 제한된 콜이 착신되거나 발신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포워딩 기능이 설정된 경우 설정된 콜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는,
    상기 슬레이브에 원격제어 기능 설정시 저장된 비밀번호와 상기 마스터로부터 제공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인증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설정은,
    상기 슬레이브에서 상기 마스터의 정보 및 원격제어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저장하는 과정과,
    원격제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기능은,
    이동 추적(Mobile Tracker)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새로운 마스터 정보 및 새로운 원격제어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마스터 정보 및 원격제어 비밀번호를 상기 입력된 새로운 마스터 정보 및 새로운 원격제어 비밀번호로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방법.
  11.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원격제어 기능이 설정된 후 타단말기(마스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설정이 요청되면 상기 마스터의 인증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요청된 기능을 설정하고 해당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슬레이브 단말기(슬레이브)와,
    상기 슬레이브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마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는,
    상기 마스터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부와,
    마스터 정보, 원격제어 비밀번호, 및 상기 설정된 원격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마스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고, 상기 마스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설정을 요청받으면 상기 마스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요청된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기능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콜 제한 기능 및 포워딩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콜 제한 기능은,
    발신 호 제한, 착신 호 제한, 국제전화 제한, 및 로밍 제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시스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 기능은,
    콜 포워딩 기능 및 메시지 포워딩 기능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포워딩 기능은,
    모든 단문자(SMS) 메시지 포워딩 기능, 일부 SMS 메시지 포워딩 기능, 모든 멀티미디어(MMS) 메시지 포워딩 기능, 및 일부 MMS 메시지 포워딩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포워딩 기능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시스템.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콜 제한 기능이 설정된 경우 제한된 콜이 착신되거나 발신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포워딩 기능이 설정된 경우 설정된 콜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시스템.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에 대한 인증을 위해 상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상기 마스터로부터 제공된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시스템.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새로운 마스터 정보 및 새로운 원격제어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마스터 정보 및 원격제어 비밀번호를 상기 새로운 마스터 정보 및 새로운 원격제어 비밀번호로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시스템.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기능은,
    이동 추적(Mobile Tracker)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시스템.
KR1020080097343A 2008-10-02 2008-10-02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00042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343A KR20100042679A (ko) 2008-10-02 2008-10-02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12/565,362 US9131359B2 (en) 2008-10-02 2009-09-23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portable terminal and system therefor
EP09171459.2A EP2173120B1 (en) 2008-10-02 2009-09-28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portable terminal and syste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343A KR20100042679A (ko) 2008-10-02 2008-10-02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241A Division KR101572831B1 (ko) 2015-04-27 2015-04-27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679A true KR20100042679A (ko) 2010-04-27

Family

ID=4166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343A KR20100042679A (ko) 2008-10-02 2008-10-02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31359B2 (ko)
EP (1) EP2173120B1 (ko)
KR (1) KR201000426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7052B2 (en) * 2009-12-22 2015-06-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implified control input to a mobile device
US20110306319A1 (en) * 2010-06-09 2011-12-15 Lee Sanft Telephone Security System
CN105430630A (zh) * 2015-12-25 2016-03-23 中科创达软件股份有限公司 设定呼叫转移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EP3486991A1 (en) 2017-11-15 2019-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lyte additive for lithium battery, organic electrolyte solution including the sam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13901454A (zh) * 2021-07-22 2022-01-07 统信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远程控制方法、计算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8843B (en) * 1997-08-29 2002-08-14 Nokia Mobile Phones Ltd A system for remotely accessing data stored in a radiotelephone
US6295447B1 (en) * 1998-12-31 2001-09-25 Ericsson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the control of execution of feature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301484B1 (en) * 1999-08-31 2001-10-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activation of wireless device features using short message services (SMS)
KR100636111B1 (ko) * 1999-10-30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실된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데이터 보호 방법 및 이에 관한 기록매체
US6754484B1 (en) * 2000-07-10 2004-06-22 Nokia Corporation Short messaging using information beacons
US6735433B1 (en) * 2000-10-11 2004-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call feature activation/deactivation
US20030003907A1 (en) * 2001-06-29 2003-01-02 Cheng-Shing Lai Mobile phone monitor and remote control system
CN1411259A (zh) * 2001-09-21 2003-04-16 国际商业机器公司 基于无线消息业务的远程控制系统和方法
US7043263B2 (en) * 2002-04-11 2006-05-09 Kyocera Wireless Corp.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configuration
US7110753B2 (en) * 2002-09-26 2006-09-19 Siemens Communications, Inc. Remotely controllable wireless device
US20040203601A1 (en) * 2002-12-19 2004-10-14 Morriss Matthew James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restrictive operating mod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653383B2 (en) * 2003-02-28 2010-01-2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data access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99863A (ko) * 2003-05-20 200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지에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US20040248563A1 (en) * 2003-06-09 2004-12-09 Ayers John I.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all-forward telephone numbers received for a subscriber
WO2005055498A2 (en) * 2003-12-01 2005-06-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Implementation of controls by use of customer programmable portal
SG143959A1 (en) * 2004-06-01 2008-07-29 Nanyang Polytechnic System and method of commanding a mobile phone remotely
WO2006017668A1 (en) * 2004-08-04 2006-02-16 Celltitude, Inc. Determining location of a wireless handset from another wireless handset
TWI252680B (en) * 2004-11-11 2006-04-01 Inventec Appliances Corp Method to control the setup of mobile phone remotely by utilizing SMS
KR100735328B1 (ko) * 2005-02-04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Ptt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 자동 갱신 방법 및 그시스템
US7505763B2 (en) * 2005-04-07 2009-03-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remotely operating and viewing a wireless telephone device
CA2609246A1 (en) * 2005-06-01 2006-12-07 Sanyo Electric Co., Ltd. Telepho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elephone
US8880047B2 (en) 2005-08-03 2014-11-04 Jeffrey C. Konicek Realtime, location-based cell phone enhancements, uses, and applications
US20070190995A1 (en) * 2006-02-13 2007-08-16 Nokia Corporation Remote control of a mobile device
KR20070093743A (ko) 2006-03-15 2007-09-19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원격지에 위치한 단말기의 포워딩 서비스 제어 방법
US8155636B2 (en) * 2006-05-05 2012-04-10 Mediate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mobile stations
EP1874069A1 (en) * 2006-06-26 200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cking a lost mobile station
US8014402B2 (en) 2006-11-01 2011-09-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forwarding short message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100836617B1 (ko) * 2006-12-26 2008-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09230B1 (ko) * 2007-09-07 201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서비스와 연계하여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는 시스템
US8565723B2 (en) * 2007-10-17 2013-10-22 First Data Corporation Onetime passwords for mobile wall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3120B1 (en) 2020-05-06
US9131359B2 (en) 2015-09-08
EP2173120A3 (en) 2012-11-07
US20100087165A1 (en) 2010-04-08
EP2173120A2 (en)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55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100414926B1 (ko) 해석된 바이트코드 프로그램의 무선 전송을 이용하여이동국을 준비/업데이트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3261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pplication toolki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60083187A1 (en) Pairing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connecting communication devices
CN101563943A (zh) 用于在多个装置之间共享蜂窝式帐户签约的方法和设备
US20180054527A1 (en) LTE Cellular Mobile Network Access System and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ethod
CN106465461B (zh) 用于通信系统中的选择性通信服务的方法和设备
KR2008010114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파라미터 정보를 저장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42679A (ko)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41633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80278286A1 (en)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User Terminal
US11076282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with a radio-linked smart card
KR20070122379A (ko)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 추적 방법
KR20100037263A (ko) 사용자 데이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169729B1 (ko) 왑푸쉬를 이용한 가입자 인증모듈 어플리케이션 툴킷의데이터 수신장치 및 방법
KR101572831B1 (ko)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901717B1 (ko) 멀티심 모바일 단말에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617543B1 (ko)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부재중 수신메시지목록 확인기능이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63486B1 (ko)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988232B1 (ko)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을 연계한 그룹 단문메시지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JP2023021685A (ja) 電子情報記憶媒体、及び無線通信網接続方法
KR20020028436A (ko) 단문전송을 이용한 이동무선 단말기의 송신기능 제한 방법
KR2004006499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US20120172015A1 (en) Method of over-the air personaliz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101105414B1 (ko) 단문 메시지의 코딩 방식 전환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