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3613A - Ptt서비스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및 단말 - Google Patents

Ptt서비스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3613A
KR20100033613A KR1020080092568A KR20080092568A KR20100033613A KR 20100033613 A KR20100033613 A KR 20100033613A KR 1020080092568 A KR1020080092568 A KR 1020080092568A KR 20080092568 A KR20080092568 A KR 20080092568A KR 20100033613 A KR20100033613 A KR 20100033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ence
terminal
notification message
state
subscrib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선미
박우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2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3613A/ko
Priority to US12/586,369 priority patent/US20100075708A1/en
Publication of KR2010003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 투 토크 서비스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부재 상태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사용자가 부재중 일 경우 푸시 투 토크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 단말이 부재 알림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2 단말이 제1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부재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제2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제1 단말과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제2 단말은 제1 단말의 부재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술한 부재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는 부재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부재 사유 및 부재 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PTT서비스 시스템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부재중일 경우 상대방의 사용자로의 무의미한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연결 요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푸시 투 토크 서비스, 부재 상태

Description

PTT서비스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및 단말{Method,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notifying absence in PTT ser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푸시 투 토크(PTT; Push To Talk)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부재 알림 메시지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고, 상대방이 사용자에게 푸시 투 토크 연결 요청 시 사용자의 부재 상태 표시를 출력함으로서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부재 상태를 인식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푸시 투 토크(이하 "PTT"라 함) 서비스는 무전기의 통화 방식으로 잘 알려져 있는 통신 방식으로서, 상대방에게 말을 전할 때에 키를 누르고 들을 때에 키를 떼어 통화하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휴대폰마다 고유 IP 어드레스(Internet Protocol Address)를 부여한 후 VoIP(Voice over IP)를 이용해 무전기처럼 일대일 또는 일대다 형식으로 통화할 수 있는 PTT 통신 서비스가 소개되어 있다.
PTT 통신 서비스는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로 PTT 연결을 요청하면서부터 시작된다. PTT 연결 요청은 PTT 키를 누름으로써 가능하다. PTT 연결 요청을 수신한 착신 단말은 PTT 연결 요청의 수신을 착신 단말의 사용자에게 알리고, 발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즉 가입자 번호(call number)와 이름 및 이미지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착신 단말의 사용자는 PTT 연결 요청을 인지하고, PTT 연결을 수락함으로써 발신 단말의 사용자와 PTT 통화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착신 단말의 사용자가 부재중일 경우 일정시간 경과 후까지 응답하지 않으면 발신 단말의 사용자의 PTT 연결 요청은 종료된다. 착신 단말의 사용자의 부재 상태를 인식하지 못한 발신 단말의 사용자는 시간 낭비가 초래될 뿐만 아니라, PTT 연결 요청에 의한 PTT 서버와의 통신비용이 부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푸시 투 토크 서비스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부재 상태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사용자가 부재중 일 경우 푸시 투 토크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푸시 투 토크 서비스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은 수신된 호의 전화번호가 동일한 전화번호가 폰북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단말이 부재 알림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부재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단말과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제2 단말은 제1 단말의 부재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재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가입자 정보 중 부재 상태 데이터를 상기 수신한 부재 알림 메시지를 기초로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재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 사유 및 부재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PTT서비스 시스템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은 사용자가 부재 상태에 있음을 상대방에게 알려, 무의미한 PTT서비스 연결 요청을 방지하여, 시간 낭비 를 방지하고 통신 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있어 가입자 정보란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이름, 회사 명칭, 전화번호, 그룹 명칭 등 사용자가 상대방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통칭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 가입자 정보는 부재 사유 및 부재 시간을 포함하며, 부재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부재 알림 메시지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상대방 또는 지정된 상대방 그룹 또는 단말에 저장되고 푸시 투 토크 서비스에 가입한 상대방 모두에게 사용자의 부재 상태를 알리기 위하여 부재 사유 및 부재 시간을 포함하여 전송하는 메시지를 지칭하며, 부재 해제 메시지란 위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사용자가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상대방에 대하여 자신의 부재 상태가 해 제되었음을 알라기 위하여 전송하는 메시지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부재 중 알림 메뉴란 단말의 인터페이스 중 부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또는 부재 해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부재 상태 표시란 사용자가 부재 상태에 있는 상대방에게 연결 요청 시 단말이 사용자에게 상대방의 부재 상태를 인식시키기 위해 단말의 표시부에 팝업창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지칭하며, 또한 사용자에게 상대방의 부재 상태를 인식시키기 위한 목적의 어떠한 형태의 이벤트(알람음, 진동 등)이라도 부재 상태 표시로서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제공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다수개의 단말(11, 12)과, 다수개의 기지국(21, 22), 다수개의 PDSN(Packet Data Serving Node)(31, 32) 및 푸시 투 토크 서버(40)을 포함한다. 다수개의 단말(11, 12)은 각 기지국(21, 22)의 서비스 범위 내에서 기지국(21, 22)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가입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또는 데이터에 따른 신호를 무선으로 해당 기지국(21, 22)으로 전송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 다수개의 단말(11, 12)은 부재 알림 메시지 및 부제 상태 해제 메시지를 생성하고 송신하며,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 신한 단말(11, 12)은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11, 12)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부재 상태로 변경한다. 또한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1, 12)이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로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연결을 요청한 경우,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1, 12)은 상대방의 부재 상태 표시를 출력함으로서 부재 상태에 있는 상대방에게 연결 요청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기지국(21, 22)은 해당 서비스 셀 내에 포함된 각 단말(11, 1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특히 부재 알림 메시지 및 부재 해제 메시지를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각 PDSN(31, 32)으로 전송하고, 각 PDSN(31, 32)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해당 서비스 셀 내에 포함된 각 단말(11, 12)로 전송한다. 또한, 각 기지국(21, 22)은 서비스 셀 내에 포함된 각 단말(11, 12)에 대한 무선 채널을 할당하거나 해제하고, 각 단말(11, 12)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핸드 오프를 처리한다. 또한 각 기지국(21, 22)은 서비스 셀 내에 포함된 각 단말(11, 12)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E1/T1 급 회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 PDSN(31, 32)으로 전송하고, 각 PDSN(31, 32)으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무선으로 각 단말(11, 12)로 전송할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각 단말(11, 12)로 전송한다.
또한, 각 PDSN(31, 32)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IP 망(IP Network)으로 전송할 수 있는 IP 패킷으로 변환하고, IP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IP 패킷을 유선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각 기지 국(21, 22)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각 기지국(21, 22)의 서비스 셀내에 포함되는 각 단말(11, 12)과, 각 기지국(21, 22)와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각 PDSN(31, 32)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접속 네트워크(AN : Access Network, 미도시)라 칭한다.
또한 푸시 투 토크 서버(40)은 각 PDSN(31, 32)으로부터 전송되는 IP 패킷을 분석하여, 각 단말(11, 12)간 푸시 투 토크 서비스를 연결하여, 푸시 투 토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푸시 투 토크 서버(40)는 단말(11,12)로부터 부재 알림 메시지 수신 시 사용자의 부재 상태와 착신 단말의 IP 주소를 저장하여, 이후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로부터 부재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저장된 IP 주소의 단말 즉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로 부재 해제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재 중 알림 방법을 구현하는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은 제어부(210), 무선 통신부(220), 키 입력부(230), 표시부(240) 및 저장부(2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20)는 단말과 기지국과의 통상적인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20)는 통신망을 통한 음성데이터의 송/수신, 문자메시지의 송/수신 및 멀티미디어메시지의 송/수신 등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 무선 통신부(220)는 제어부(210) 의 부재 메시지 생성부(280)에서 생성하는 부재 알림 메시지 및 부재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또한 표시부(240)는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단말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상태와 동작결과 및 다수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2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표시부(240)는 사용자가 부재 상태로 변경된 상대방에게 푸시 투 토크 연결을 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210)로부터 전송되는 부재 상태 표시를 출력한다.
또한, 키 입력부(230)는 통상적인 키패드로 구성된다. 또한, 키 입력부(230)는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또는 스크롤 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키 입력부(230)는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특히 키 입력부(230)는 부재 알림 메시지에 포함되는 부재 사유 및 부재 시간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저장부(250)는 프로그램 영역(260), 데이터 영역(2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260)에는 단말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며 데이터 영역(270)에는 프로그램들을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50)의 데이터 영역(270)에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다. 가입자 정보는 아래 표 1과 같이 가입자 명칭 필드, 각종 전화번호 필드 등이 저장되고, 특히 부재 상태인 것을 표시할 수 있는 필드와 부재 사유 및 부재 시간을 저장할 수 있는 필드가 포함된다.
< 표 1 >
이름
mobilenumber
homenumber
worknumber
Faxnumber
Othernumber
그룹
부재 상태 <Boolean Type>
부재 사유 <Byte Type>
부재 시간 <Byte Type>
제어부(210)는 단말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부재 메시지 생성부(280), 부재 상태 제어부(290) 및 부재 상태 설정부(295)를 포함한다. 부재 메시지 생성부(280)는 사용자가 자신의 부재 상태를 다른 가입자에게 알리고 싶은 경우,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부(230)을 이용하여 부재 사유 및 부재 시간을 입력받아 부재 알람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부재 메시지 생성부(280)는 단말이 부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 경우 부재 해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부재 상태 제어부(290)는 사용자가 상대방과 푸시 투 토크 연결을 요청한 경우, 저장부(250)의 데이터 영역(270)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 중 상대방의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가입자 정보의 부재 상태를 확인한다. 또한 상대방이 부재 상태로 확인된 경우 저장부(250)의 데이터 영역(270)에서 검색된 가입자 정보에 포함된 부재 시간을 확인하고 부재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대방이 부재중 인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부재 상태 표시를 출력한다.
또한 부재 상태 설정부(295)는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부(250)의 데이터 영역(270)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가입자 정보를 부재 상태로 변경한다. 즉 가입자 정보 중 부재 상태 필드는 불린 타입(Boolean Type)으로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부재 상태 필드의 값을 1로 변경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부재 상태임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1 인 것으로 가정한 경우이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계속하여, 부재 상태 설정부(295)는 부재 상태로 변경된 가입자 정보의 부재 사유 필드와 부재 시간 필드에 수신한 부재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부재 사유 데이터와 부재 시간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한다. 이때 부재 사유 필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와 그에 대응하는 예시적인 부재 사유는 아래 표 2와 같으며, 이 이외의 다른 어떠한 부재 사유도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한 직접 입력도 가능하다.
< 표 2 >
Data 부재 사유
00 회의중
01 여행중
10 업무중
11 기타
또한 부재 상태 설정부(295)는 부재 알람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으로부터 부재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대방의 가입자 정보에 포함된 부재 상태를 해제한다. 상술한 부재 상태 설정부(295)의 부재 상태 설정 및 부재 상태 해제는 단말의 사용자가 인식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상대방의 부재 상태를 설정하거나 해제함에 없이, 단말이 부재 알람 메시지 및 부재 해제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서 가입자 정보 중 부재 상태 필드의 데이터가 변경되며, 사용자는 부재 상태인 상대방에게 푸시 투 토크 연결을 요청한 경우 부재 상태 표시가 출력되어 확인한 경우에 비로소 상대방의 부재를 인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단말에서 부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 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 301에서 단말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부재 중 알림 메뉴로 진입한다. 단계 305에서 사용자는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상대방을 선택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대방은 푸시 투 토크 서비스의 가입자 중 사용자가 지정한 일 특정인 또는 복수의 특정인일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의 가입자둘 중 일 그룹을 선택하여 그룹원 전체에 부재 알림 메시지 및 부재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서비스 가입자에 대하여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계속하여, 단계 310에서는 사용자는 부재 사유 및 부재 시간을 입력한다. 부재 사유는 상술한 표 2에 예시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는 부재 사유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부재 사유에 의하여 상대방의 단말에서 자신의 부재 상태를 지속시키고자 하는 시간을 입력한다.
계속하여 단계 315에서 제어부(210)의 부재 메시지 생성부(280)는 선택된 상대방에 대한 정보와 부재 사유 및 부재 시간을 포함하는 부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계 325에서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로 생성된 부재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무선 통신부는 기지국으로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이 발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부재 상태로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 401에서 단말은 상대방으로부터 푸쉬 투 토크 서버를 통해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다. 계속하여,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 한 단말은 단계 405에서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부의 데이터 영역에서 검색한다. 또한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단계 410에서 검색된 가입자 정보를 부재 상태로 설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부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가입자 정보에 부재 상태 필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고 있으나, 또 다른 어떠한 형태의 표시라도 저장된 가입자 정보에 상대방의 부재 상태임을 인식하도록 데이터를 부가하여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면 족하다. 계속하여 단계 415에서는 검색된 가입자 정보에 부재 사유 및 부재 시간을 입력한다. 즉,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사용자가 인식하지 않은 경우에도, 부재 알림 메시지 수신 시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된 상대방의 가입자 정보가 부재 상태로 설정되고 그에 따른 정보가 입력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단말이 부재 상태로 설정된 상대방과 푸시 투 토크 연결을 요청한 경우 단말에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 501에서 사용자는 특정 상대방 또는 특정 그룹을 상대로 푸시 투 토크 연결을 시도한다. 단말은 이 경우 단계 505에서는 단말의 제어부에 포함된 부재 상태 제어부는 푸시 투 토크 연결을 요청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여, 상대방의 가입자 정보가 부재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즉,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가입자 정보가 부재 상태로 설정된 상대방에 대한 연결인지를 확인한다. 단계 505에서 상대방의 가입자 정보가 부재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단말은 단계 510에서 사용자와 상대방과의 푸시 투 토크 서비스를 연결한다.
한편 단계 505에서 상대방의 가입자 정보가 부재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 515에서 제어부의 부재 상태 제어부는 가입자 정보 중 부재 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515에서 부재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의 부재 상태 설정부는 상대방의 가입자 정보의 부재 상태를 해제한다. 즉, 부재 상태로 설정되어 있고 상대방이 부재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라도, 부재 시간이 경과하면 가입자 정보의 부재 상태를 해제하여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525에서 단말은 상대방과의 푸시 투 토크 서비스를 연결한다.
계속하여, 단계 515에서 단말이 상대방의 가입자 정보 중 부재 시간이 경과 했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530에서 상대방이 부재 상태에 있음을 표시한다. 즉, 사용자는 상대방과의 푸시 투 토크 연결을 요청하지만, 사용자가 상대방의 부재 상태를 인식하게 하기 위하여 제어부의 부재 상태 제어부는 상대방이 부재 상태를 팝업창 형태로 표시하여 서비스를 진행할 수 없음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대방의 부재 상태 표시에는 이전에 수신한 부재 알림 메시지에 포함되어있던 부재 이유 및 부재 사유가 포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상대방의 부재 상태 표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상대방이 부재 상태에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방에 대한 푸시 투 토크 연결 요청을 취소하여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연결 요청에 의한 푸시 투 토크 서버와의 무의미한 통신이 방지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부재 알림 메시지 전송 시 푸시 투 토크 서버가 상대방 단말의 아이피 주소를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이 부재 상태를 해제하는 일 실시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 601에서 단말에서 생성하여 송신한 부재 알림 메시지를 푸시 투 토크 서버로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단말에서 송신한 부재 알림 메시지를 기지국에서 E1/T1 급 회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PDSN으로 전송하고, PDSN은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IP 망(IP Network)을 통해 푸시 투 토크 서버로 전송한다. 계속하여, 단계 602에서 푸시 투 토크 서버는 수신한 IP 패킷 형태의 부재 알림 메시지를 분석하여 착신 측 단말의 아이피를 추출하고 저장한다. 이때 푸시 투 토크 서버는 발신 측 단말이 부재 상태라는 데이터와 부재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부재 사유 및 부재 시간 역시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계 603에서 푸시 투 토크 서버는 선택된 상대방 단말로 수신한 부재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푸시 투 토크 서버는 IP 패킷 형태의 부재 알람 메시지를 PDSN으로 전송하고, PDSN은 수신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은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선택된 상대방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 605에서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의 사용자는 부재 알림 메시지 생성 과정과 동일하게 부재 중 알림 메뉴로 진입한다. 계속하여 단계 610에서 사용자는 부재 해제 메시지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는 달리, 사용자는 부재 해제 메시지 생성 시에는 부재 사유 및 부재 시간을 입력하거나 상대방을 지정할 필요가 없다. 이미 부재 알림 메시지 전송 시 푸시 투 토크 서버에 착신 단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단계 615에서는 부재 알림 메시지 송신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말은 부재 해제 메시지를 푸시 투 토크 서버로 전송한다.
단계 620에서 푸시 투 토크 서버는 단말로부터 부재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다. 수신한 부재 해제 메시지에는 착신 단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계 625에서 푸시 투 토크 서버는 부재 알림 메시지 송신 과정에서 저장한 착신 단말의 아이피 주소를 수신한 부재 해제 메시지에 부가한다. 계속하여 단계 630에서 푸시 투 토크 서버는 착신 단말 즉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를 부재 상태로 설정한 단말로 부재 해제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635에서는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를 부재 상태로 설정한 단말 즉 착신 단말이 푸시 투 토크 서버로부터 부재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다. 계속하여 단계 640에서는 착신 단말이 부재 해제 메시지 분석하여 발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부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가입자 정보의 부재 상태를 해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방 단말의 아이피 주소가 부재 알림 메시지 전송 시 푸시 투 토크 서버에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이를 기초로 부재 상태 해제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부재 알림 메시지 전송 시 발신 단말의 저장부에 상대방 단말의 아이피 주소가 저장되고 부재 해제 메시지 생성 시 자동으로 부재 메세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푸시 투 토크 서버는 부재 알림 메시지 및 부재 해제 메시지를 발신 단말에서 착신 단말로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인 푸시 투 토크 서비스의 부재 상태 알림 방법의 수행 중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7a를 참조하면 단말은 부재 중 알림 메뉴에 진입하여 부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8a의 식별번호 801은 부재 알람 메시지를 수신할 상대방을 지정하는 입력창을 도시하고 있다. 즉 식별번호 801에서는 사용자가 "영업부"라는 그룹에 포함된 그룹원 전체와 "홍길동"이라는 상대방을 선택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식별번호 702에서 사용자는 부재 알림 메시지에 포함되는 부재 사유의 입력창를 도시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미리 입력된 부재 사유를 선택하거나, 사용자 임의의 부재 사유를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식별번호 703 및 704는 부재 알림 메시지에 포함되는 부재 시간의 입력창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부재 시작 시간과 부재 종료 시간을 입력하여 부재 알림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b는 상술한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 단말이 부재 알림 메시지를 분석하여 발신 단말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를 부재 상태로 설정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발신 단말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는 부재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며, 부재 시간이 입력되어 있다. 이러한 화면 구성은 사용자 또는 단말 생산자의 임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c는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 단말의 사용자가 부재 알림 메시지를 발신한 단말로 푸시 투 토크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착신 단말의 표시 부에 표시되는 부재 상태 표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착신 단말이 발신 단말로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연결 요청을 한 경우, 착신 단말은 발신 단말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가입자 정보가 부재 상태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이후, 착신 단말은 검색된 가입자 정보에서 부재 시간을 판단하여, 부재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상대방의 부재 상태, 즉 부재 사유 및 부재 시간을 도 7c와 같이 표시부에 출력하여 착신 단말의 사용자에게 발신 단말의 사용자가 부재 상태에 있음을 인식시킨다. 이 경우 착신 단말의 사용자는 확인키를 눌러 연결 요청을 취소하고 대기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부재 상태 표시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도 7d에 도시하고 있다. 도 7d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의 차이점은 부재 상태 표시가 출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게 연결 여부에 관한 확인을 받는다는 것이다. 즉, 상대방이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고 이후 입력한 부재 시간보다 일찍 부재 사유가 종료되었음에도 부재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은 경우라면, 상대방은 부재 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단말의 가입자 정보는 부재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부재 상태 표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7d에서는, 단말이 사용자에게 상대방이 부재 상태에 있음을 인식시키는 것에 더해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결을 요청할 것인지 확인을 받을 수 있다.
도 7e는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이 부재 해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부재 중 알림 메뉴에 진입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 즉 발신 단말은 부재 알림 메뉴 진입 후 부재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부 재 해제 메시지를 생성하고 푸시 투 토크 서버로 전송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제공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재 중 알림 방법을 구현하는 단말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단말에서 부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이 발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부재 상태로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단말이 부재 상태로 설정된 상대방과 푸시 투 토크 연결을 요청한 경우 단말에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부재 알림 메시지 전송 시 푸시 투 토크 서버가 상대방 단말의 아이피 주소를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6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이 부재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인 푸시 투 토크 서비스의 부재 상태 알림 방법의 수행 중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18)

  1. 제1 단말이 부재 알림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부재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단말과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제2 단말은 제1 단말의 부재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가입자 정보 중 부재 상태 필드를 상기 수신한 부재 알림 메시지를 기초로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부재 사유와 부재 시간을 상기 검색된 제1 단말의 가입자 정보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푸시 투 토크 서비스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부재 시간이 경과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부재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부재 사유 및 부재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부재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부재 상태에서 해제하고 상기 제1 단말과 푸시 투 토크 서비스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제 2 단말로 부재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부재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제2 단말은 제1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부재 상태에서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
  7. 제1 단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을 포함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단말은 부재 알림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부재 메시지 생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부재 상태로 설정하는 부재 상태 설정 수단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단말과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의 부재 상태 표시를 출력하는 부재 상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태 설정 수단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에 포함된 부재 상태 데이터를 상기 수신한 부재 알림 메시지를 기초로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태 설정 수단은
    상기 수신한 부재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부재 사유와 부재 시간을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에 입력 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태 표시는
    상기 부재 사유 및 부재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메시지 생성 수단은
    부재 해제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태 설정 수단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부재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단말 가입자 정보의 부재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시스템.
  13. 부재 상태 정보, 부재 사유 정보 및 부재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부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부재 메시지 생성부;
    상기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부재 상태로 설정하는 부재 상태 설정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입자 정보가 부재 상태로 설정된 단말과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부재 상태로 설정된 가입자 정보의 부재 상태 표시를 출력하는 부재 상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지원 단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태 설정부는
    상기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의 가입자 정보에 포함된 부재 상태 정보를 상기 수신한 부재 알림 메시지를 기초로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지원 단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태 설정부는
    상기 수신한 부재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부재 사유와 부재 시간을 상기 부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의 가입자 정보에 입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지원 단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태 표시는
    상기 입력된 부재 사유 정보 및 부재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지원 단말.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메시지 생성부는
    부재 해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부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지원 단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태 설정부는
    상기 부재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부재 상태로 설정된 가입자 정 보를 부재 상태에서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서비스 지원 단말.
KR1020080092568A 2008-09-22 2008-09-22 Ptt서비스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및 단말 KR20100033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568A KR20100033613A (ko) 2008-09-22 2008-09-22 Ptt서비스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및 단말
US12/586,369 US20100075708A1 (en) 2008-09-22 2009-09-21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absence in PTT service, and portable terminal adapt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568A KR20100033613A (ko) 2008-09-22 2008-09-22 Ptt서비스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및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613A true KR20100033613A (ko) 2010-03-31

Family

ID=4203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568A KR20100033613A (ko) 2008-09-22 2008-09-22 Ptt서비스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및 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75708A1 (ko)
KR (1) KR201000336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381B1 (ko) * 2010-03-02 2016-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펨토 셀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0863B1 (en) * 2001-02-12 2007-01-30 Nortel Networks Limited Push-to-talk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tilizing a voice-over-IP network
US7107017B2 (en) * 2003-05-07 2006-09-12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ort services in push to talk communication platforms
US7328036B2 (en) * 2003-12-05 2008-02-0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reducing PTT call setup delays
US20050164681A1 (en) * 2004-01-22 2005-07-28 Jenkins William W. Voice message storage in a push-to-talk communication system
US20050250476A1 (en) * 2004-05-07 2005-11-10 Worger William R Method for dispatch voice messaging
US7593743B2 (en) * 2004-12-03 2009-09-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updating availability information in voice-call applications
US20060258336A1 (en) * 2004-12-14 2006-11-16 Michael Sajor Apparatus an method to store and forward voicemail and messages in a two way radio
US7801494B2 (en) * 2005-05-27 2010-09-21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for PoC server to handle PoC caller preferences
US7912498B2 (en) * 2006-03-31 2011-03-22 Motorola Solutions, Inc. Adaptive buffering to reduce audio truncation
US20080032728A1 (en) * 2006-08-03 2008-02-07 Bina Patel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ommunicating among multiple users
US8768320B2 (en) * 2007-03-21 2014-07-01 Qualcomm Incorporated Pre-programmed subscriber respon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75708A1 (en)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898B1 (ko) 통신 장치, 서버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CN100518364C (zh) 接入类限制期内的优先e911回叫
CN100512558C (zh) 在移动通信系统的会议模式中的移动台控制方法及移动台
EP167992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talk group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2007036876A (ja)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US20050250550A1 (en) Voice to text messaging system and method
US8639222B2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message transmission system
KR10064044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중 전화통화 연결 방법
KR20100033613A (ko) Ptt서비스에서 부재 상태 알림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및 단말
JP2012075047A (ja) Ip交換システム及びip交換装置
CN101316294B (zh) 基于码分多址网络的移动终端通话状态管理方法及装置
KR1007249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PTT(Push―To―Talk)방식의 통화 알림 장치및 방법
WO20141696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JP2008258999A (ja) メール応答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KR20050018912A (ko) 단말기의 단문 메세지를 이용한 변경전화번호 안내 서비스제공 시스템
KR10064032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알림 방법
KR100894907B1 (ko) 이동통신망에서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응답 메시지 제공시스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WO2006117870A1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JP2005197915A (ja) 通話機器および通話機器の呼出方法
KR20020057682A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호 형성 방법
KR100541990B1 (ko) 단발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06019B1 (ko)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
KR100508830B1 (ko) 개인용 교환기 구현을 위한 통신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20945B1 (ko) 착신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403155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