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2001A -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bandwidth at the multi hop relay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bandwidth at the multi hop relay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2001A
KR20100032001A KR1020080090934A KR20080090934A KR20100032001A KR 20100032001 A KR20100032001 A KR 20100032001A KR 1020080090934 A KR1020080090934 A KR 1020080090934A KR 20080090934 A KR20080090934 A KR 20080090934A KR 20100032001 A KR20100032001 A KR 20100032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bandwidth
connection
bandwidth request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9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옥선
민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0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2001A/en
Publication of KR20100032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0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questing bandwidth in a multi hop relay network are provided to request uplink bandwidths according to each group, thereby reducing overhead and delay. CONSTITUTION: A group generator(220A) groups uplink bandwidth requests to generate groups. The uplink bandwidth requests include at least one connection ID generated from at least one terminal. A group bandwidth request message generator(220B) generates bandwidth request messages according to each group according to whether uplink packets exist about each group.

Description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요청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BANDWIDTH AT THE MULTI HOP RELAY NETWORK}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bandwidth in multi-hop relay network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BANDWIDTH AT THE MULTI HOP RELAY NETWORK}

본 발명은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요청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릴레이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를 가지는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 받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을 설정된 기준에 따라 그룹화 하여 필요한 대역폭을 그룹별로 기지국에 요청하는 대역폭 요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bandwidth in a multi-hop relay network. More specifically, the 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quests the uplink bandwidth request when one or more terminals request an uplink bandwidth having one or more connection I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dwidth request method for requesting a base station to a base station by grouping according to a set criterion and an apparatus (relay) for performing the same.

차세대 이동통신에서는 기지국이 모든 지역을 서비스하기보다는 릴레이(Relay Station)을 통해서 많은 통신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릴레이를 설치함으로써 커버리지 확장은 물론 용량도 증대할 수 있다. 종래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아날로그 리피터나 디지털 리피터와는 달리, 릴레이 시스템은 간섭과 자원의 상황을 고려한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좋은 링크를 확보할 수 있어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음영 지역에 위치한 단말기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커버리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it is expected that a lot of communication will be performed through a relay station, rather than a base station serving all regions. By installing these relays, you can expand coverage and increase capacity. Unlike analog repeaters or digital repeaters used in conventional cellular systems, the relay system is capable of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consideration of interference and resource conditions. As a result, a good link can be secured to improve capacity, and a service can be provided to a terminal located in a shadow area, thereby improving coverage.

단말기가 이러한 릴레이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는 경우, 릴레이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에 따라 개별적으로 요청한다. 이 경우, 상기 요청은 IEEE 802.16e 에서 제공하는 MAC signaling header type 1을 사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특정 릴레이 영역에 속한 하나 이상의 단말기들이 발생한 각각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커넥션 아이디에 따라 릴레이에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을 받은 릴레이는 다시 단말의 커넥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릴레이 커넥션 아이디에 따라 기지국에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한다. 따라서 발생하는 커넥션 아이디 마다 개별적으로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면 개별적으로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전송을 위한 폴링 자원을 할당받기 때문에 오버헤드(overhead)가 발생한다. When the terminal requests uplink bandwidth to the base station through such a relay, the relay requests individually according to one or more connection IDs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terminals. In this case, the request may use the MAC signaling header type 1 provided by IEEE 802.16e. In the related art, one or more terminals belonging to a specific relay area request an uplink bandwidth to a relay according to a connection ID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generated, and the relay receiving the request again according to a relay connection ID corresponding to a connection ID of the terminal. Requests uplink bandwidth to the base station. Therefore, when an uplink bandwidth is individually requested for each generated connection ID, overhead is generated because polling resources for uplink bandwidth request transmission are individually allocated.

따라서, 단말기 또는 릴레이가 효율적으로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cheme for a terminal or a relay to efficiently request uplink bandwidt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 릴레이가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고 할당받는데 필요한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reduce the overhead required for a relay to request and allocate an uplink bandwidth to a base station in a multi-hop relay net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에 따른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받은 릴레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요청을 그룹화 하여 필요한 대역폭을 그룹별로 기지국에 요청하는 대역폭 요청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ndwidth request method for requesting a base station for a required bandwidth by grouping a request based on a predetermined criterion of a relay that receives a request for uplink bandwidth according to one or more connection IDs from one or more terminals. The purpose i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역폭 요청 방법은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를 가지는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상기 커넥션 아이디를 분석하여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에 의해 생성된 그룹 각각에 대해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상향 링크 패킷의 커넥션 아이디와, 그룹으로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는 커넥션 아이디가 그룹화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 면 상기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일반 MAC 헤더 및 이에 연접되는 확장 서브헤더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지 않으면 종래의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변형하여 사용한다. The bandwidth reques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n uplink bandwidth request message having at least one connection ID generated from at least one terminal, the connection ID of the received uplink bandwidth request message Analyzing and grouping, generating a group-specific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generated by the grouping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group-specific bandwidth request message to the base station. In this case, the generating of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n uplink packet exists and, if the uplink packet exists, request a connection ID of the uplink packet and request uplink bandwidth to a group. And determining whether a connection ID is groupable. If the uplink packet is present,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is generated using a general MAC header and an extended subheader concatenated thereto. If the packet does not exist, the conventional uplink bandwidth request message is used as it is or modified.

그리고 본 발명의 대역폭 요청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를 가지는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릴레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가 상기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커넥션 아이디를 분석하여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에 의해 생성된 그룹 각각에 대해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각각의 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대역폭을 업링크 맵을 통하여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bandwidth reques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generates and transmits an uplink bandwidth request message having one or more connection IDs to the relay, and when the relay receives the uplink bandwidth request message, analyzes and groupes the connection IDs. And generating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for each group generated by the grouping, and transmitting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to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to uplink the bandwidth required by each terminal. And assigning through a map.

또한 본 발명의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 대역폭 요청을 처리하는 릴레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를 가지는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을 그룹화 하여 그룹을 생성하는 그룹 생성부 및 각각의 그룹에 대해 상향 링크 패킷의 존재 여부에 따라 대응하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multi-hop relay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lay device for processing a bandwidth request includes a group generator for generating a group by grouping uplink bandwidth requests having one or more connection IDs generated from one or more terminals and an uplink for each group. And a bandwidth request message generator for each group generating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link packet.

이 경우, 상기 각각의 방법 및 장치에서의 그룹화는 서비스 종류, 요청하는 대역폭의 양, 우선순위, 지연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의해 그룹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the grouping in each of the above methods and apparatus is characterized by grouping by at least one criterion of service type, amount of bandwidth requested, priority, and dela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에 따른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그룹화 한 후, 그룹별로 필요한 대역폭을 요청하게 되므로 개별의 커넥션 아이디에 따라 대역폭을 요청하는 경우에 비하여 오버헤드가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re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ests the uplink bandwidth from the base station, the uplink bandwidth request according to one or more connection IDs received from one or more terminals is group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then the required bandwidth for each group is requested. As a result, overhead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requesting bandwidth according to an individual connection ID.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용어는 IEEE 802.16e/j 의 표준 규격에 따르기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The terminology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IEEE 802.16e / j standar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그리고 상기 IEEE 802.16j 의 표준 규격에 따르면 단말이 사용하는 커넥션 아이디는 단말에서 발생한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릴레이로부터 할당받는 것이고, 릴레이가 사용하는 커넥션 아이디는 상기 단말 커넥션 아이디와 일대일 대응되는 식별자로서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 커넥션 아이디와 릴레이 커넥션 아이디 모두 커넥션 아이디로 칭하기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EEE 802.16j standard, the connection ID used by the terminal is assigned from the relay a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service generated in th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ID used by the relay is a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connection ID one-to-one. Although allocated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terminal connection ID and the relay connection ID will be referred to as a connection I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릴레이(Relay Station, RS)가 존재하는 멀티 홉(multi-hop)에서도 적용 가능하지만,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투 홉(two-hop)인 경우, 즉 하나의 릴레이가 적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기술하도록 한다. 상기 투 홉에서의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방법이 멀티 홉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지득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multi-hops in which a plurality of relay stations (RSs) exist, but for the sake of simplicity, two-hops, that is, one relay The case where is applied is described as an example.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uplink bandwidth request method in the two hops can be applied to the multi hops.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이란 단말기가 단말기 에서 발생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대역폭을 기지국에 요청하는 것을 의미하고, 그룹별 대역폭 요청이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을 릴레이가 수신하여 일정한 기준에 따라 그룹화 하여 기지국에 대역폭을 요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uplink bandwidth requ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the terminal requests the base station for the bandwidth required to perform a service generated in the terminal, and the bandwidth request for each group relays an uplink bandwidth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Means receiving and grouping bandwidth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첫 번째 실시예와 두 번째 실시예로 구분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이 경우, 첫 번째 실시예는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릴레이가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기지국에 전송하는 방법이며, 두 번째 실시예는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모든 상향 링크 패킷에 포함되는 일반 MAC 헤더(generic MAC header)에 연접되는 확장 헤더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대역폭을 요청하는 방법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pecific embodiment of an uplink bandwidth request is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a first embodiment and a second embodiment. In this case, the first embodiment is a method in which a relay generates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when the uplink packet does not exist and transmits it to the base sta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all uplink packets are present when the uplink packet exists. A method of requesting bandwidth to a base station using an extension header concatenated with a generic MAC header included in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릴레이 네트워크는 단말기(110), 릴레이(120), 기지국(130)을 포함한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requesting an uplink bandwidth in a relay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110, a relay 120, and a base station 130.

단말기(110)는 상향링크 대역폭을 릴레이(120)를 통하여 기지국(130)에 요청하고, 기지국(130)으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맵(Uplink-Map, UL MAP)을 릴레이(120)를 통하여 전달받는다. 이 경우, 단말기(110)는 단말기에서 발생한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커넥션 아이디 별로 필요한 상향링크 대역폭을 릴레이(120)에 요청한다. 여기서 업링크 맵이란 단말기별 자원 할당을 위해 매 프레임마다 가장 앞 부분에 위치하여, 단말기에게 동적으로 자원이 할당된 결과를 통보하는 MAC(Media Access Control) 관리 메시지를 말한다. The terminal 110 requests an uplink bandwidth to the base station 130 through the relay 120 and receives an uplink map (UL MAP)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130 through the relay 120. . In this case, the terminal 110 requests the relay 120 for an uplink bandwidth required for each connection ID for each service generated in the terminal. In this case, the uplink map refers to a MAC (Media Access Control) management message which is located at the front of each frame for resource allocation for each terminal and informs the terminal of the result of dynamically allocated resources.

이 경우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은 IEEE 802.16e 시스템의 대역폭 요청 메시지(대역폭 요청 헤더)의 전송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대역폭 요청 메시지에 대한 포맷 및 스펙은 IEEE 802.16e draft에서 기술하고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In this case, the uplink bandwidth request may be performed by transmitting a bandwidth request message (bandwidth request header) of the IEEE 802.16e system. Since the format and specification for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are described in IEEE 802.16e draf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상기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은 릴레이(120)를 통하여 기지국(130)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단말기(110)는 기지국(130)으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 자원의 스케쥴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 맵을 릴레이(120)를 통하여 전달받는다. 상기 업링크 맵을 수신한 단말기(110)는 할당받은 슬롯과 자신이 전송해야 할 슬롯의 시점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The uplink bandwidth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30 through the relay 120. In addition, the terminal 110 receives an uplink map including information on scheduling of uplink resource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130 through the relay 120. Upon receiving the uplink map, the terminal 110 transmits data based on the assigned slot and the time point of the slot to be trans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는 멀티 커넥션 및 멀티 QoS 서비스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단말기(110)는 동일한 시점에서 복수의 서비스에 따른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를 유지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커넥션 아이디들의 QoS 클래스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ulti-connection and multi-QoS service. In other words, the terminal 110 may maintain one or more connection IDs according to a plurality of services at the same time point, in which case the QoS classes of the connection ID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또한, 단말기(110)는 서비스하는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가 존재하는 경우, 일정 기준 하에 그룹 형성이 가능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를 그룹화 하여 각 그룹별로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릴레이(1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re is at least one connection ID to service, if a group can be formed under a predetermined criterion, the terminal 110 may generate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and transmit the group to the relay 120 by grouping the one or more connection IDs. have.

도 1에서, 단말기(110A)는 두 개의 서비스에 따른 커넥션 아이디1, 커넥션 아이디2를 바탕으로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고, 단말기(110B)는 두 개의 서비스에 따른 커넥션 아이디3, 커넥션 아이디4를 바탕으로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며, 단말기(110C)는 세 개의 서비스에 따른 커넥션 아이디5, 커넥션 아이디6, 커넥션 아이디7을 바탕으로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는 예시를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각각의 단말기는 커넥션 아이디를 바탕으로 필요한 대역폭을 요청한다. In FIG. 1, the terminal 110A requests uplink bandwidth based on a connection ID 1 and a connection ID 2 according to two services, and the terminal 110B based on a connection ID 3 and a connection ID 4 according to two services. Requesting the uplink bandwidth, the terminal (110C) has shown an example of requesting the uplink bandwidth based on the connection ID 5, connection ID 6, connection ID 7 according to the three services. As such, each terminal requests the required bandwidth based on the connection ID.

릴레이(120)는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을 수신한 후 이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그룹화 하고, 필요한 대역폭을 그룹별로 기지국(130)에 요청한다. 다시 말해, 릴레이(120)는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에 따른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각각에 대하여 기지국(130)에 대역폭을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수신한 복수의 대역폭 요청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그룹화 하고 그룹 별로 기지국(130)에 대역폭을 요청한다. The relay 120 receives the uplink bandwidth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10 and groups the received bandwidth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requests the base station 130 for the required bandwidth for each group. In other words, the relay 120 does not request a bandwidth from the base station 130 for each uplink bandwidth request based on one or more connection ID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10, but instead receives a plurality of received bandwidth requests on a predetermined basis. Grouping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bandwidth to the base station 130 for each group.

도 1에서, 릴레이(120)는 각각의 단말(110A, 110B, 110C)로부터 전송되는 커넥션 아이디 별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을 수신한 후, 일정한 기준에 따라 그룹 1(커넥션 아이디 1, 커넥션 아이디 3), 그룹 2(커넥션 아이디 2, 커넥션 아이디 4) 등으로 분류하는 예시를 도시하였다. 상기 분류 후 릴레이(120)는 그룹 별로 필요한 대역폭을 기지국(130)에 요청한다. 이와 같이, 릴레이(120)가 커넥션 아이디 각각에 대해 대역폭을 요청하지 않고, 한 번에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에 대한 대역폭을 요청함으로써 릴레이(12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In FIG. 1, the relay 120 receives an uplink bandwidth request for each connection ID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terminals 110A, 110B, and 110C, and then selects group 1 (connection ID 1 and connection ID 3)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 example of classifying into group 2 (connection ID 2, connection ID 4) and the like is illustrated. After the classification, the relay 120 requests the base station 130 for a bandwidth required for each group. As such, the relay 120 may request bandwidth for one or more connection IDs at a time, rather than requesting bandwidth for each connection ID, thereby reducing the overhead that may occur in the relay 120.

기지국(130)은 릴레이(120)로부터 전송되는 그룹 별 대역폭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그룹 별 대역폭 요청에 포함된 커넥션 아이디를 통해 이를 전송한 릴레이(120)를 식별한다. 그리고 기지국(130)은 각 단말기(110)가 필요로 하는 대역폭, 각 단말기(110)에게 할당하는 슬롯 및 전송해야 할 슬롯의 시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업링크 맵을 생성하여 릴레이(120)에게 전송한다. The base station 130 receives the bandwidth request for each group transmitted from the relay 120 and identifies the relay 120 that has transmitted it through the connection ID included in the bandwidth request for each group. The base station 130 generates an uplink map including information on bandwidth required by each terminal 110, a slot allocated to each terminal 110, and a timing point of a slot to be transmitted, to the relay 120. se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릴레이(120)가 상향링크 대역폭을 기지국(130)에 요청하는 방법은 두 가지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첫 번째 실시예는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릴레이(120)가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기지국(130)에 전송하는 방법이며 도 2 내지 도 5에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 도시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two cases in which the relay 120 requests the uplink bandwidth to the base station 130. The first embodiment is a method in which the relay 120 generates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and transmits it to the base station 130 when there is no uplink packet. FIGS. 2 to 5 illustrate the first embodiment. Shown.

두 번째 실시예는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모든 상향 링크 패킷에 포함되는 일반 MAC 헤더(generic MAC header)에 연접되는 확장 헤더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대역폭을 요청하는 방법이며 도 2 내지 도 3, 및 도 6에 상기 두 번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일반 MAC 헤더 및 그의 확장 헤더 포맷이 도시된다.The second embodiment is a method for requesting a bandwidth from a base station using an extension header concatenated with a generic MAC header included in all uplink packets when an uplink packet exists. 6 shows a general MAC header and its extended header format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첫 번째 실시예><First Embodiment>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12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릴레이(120)는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210)와 제어부(220)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220)는 그룹 생성부(220A)와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 생성부(20B)를 포함한다. First,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lay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12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d a control unit 220 as shown in FIG. 2, in which case the control unit 220 includes a group generator 220A and a bandwidth request message generator 20B for each group. ).

우선, 무선 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210)는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220)로 전달하고, 릴레이(120)에서 생성된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130)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210)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 대역폭 할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 맵을 수신하여 다시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Firs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uplink bandwidth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1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220, and transmits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generated by the relay 120 to the base station. Send to 130.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an uplink map including information on uplink bandwidth allocation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s the uplink map to the terminal 110 again.

제어부(220)는 릴레이(1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20)는 그룹 생성부(220A) 및 그룹별 대역폭 메시지 생성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elay 120.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roup generator 220A and a bandwidth message generator 220B for each group.

그룹 생성부(220A)는 릴레이(120)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에 따른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을 일정 기준에 따라 그룹화 한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샹향링크 대역폭 요청을 그룹화 하는 기준으로는 커넥션 아이디에 포함되는 정보들 중 서비스의 종류, 요구하는 대역폭의 양, 우선순위(priority), 지연(latency) 등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음성 통화, 데이터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 등과 같은 종류의 서비스에 대한 대역폭 요청인지(서비스의 종류), 상향링크를 위한 대역폭 요청의 전체 크기가 동일한지(대역폭의 양), 119콜과 같은 비상 상황을 위한 대역폭 요청인지(우선순위),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져야 하는지(지연) 등이 하나 이상의 대역폭 요청을 그룹화 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상기 그룹화 기준에 대한 일 예시일 뿐이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group generator 220A groups uplink bandwidth requests based on one or more connection IDs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relay 12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this case, the criteria for grouping one or more channel link bandwidth requests may be a type of service, an amount of bandwidth required, a priority, a latency, and the like, amo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nection ID. In other words, whether the bandwidth request is for a kind of service such as voice call, data service, video service, etc. (type of service), the total size of the bandwidth request for uplink is the same (amount of bandwidth), emergency such as 119 call The criteria for grouping one or more bandwidth requests may be whether the bandwidth request for the situation (priority) or whether data transmission should be made in real time or non-real time (delay).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of the grouping criteria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 생성부(220B)는 각 그룹에 대한 식별자, 그룹화 된 커넥션 아이디들이 요청하는 대역폭들의 양이 합산된 대역폭의 양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 경우 각 그룹에 대한 식별자는 각 그룹 내에서 임의로 선택된 커넥션 아이디로 표시할 수도 있고, 기지국(130)과 릴레이(120) 사이에 사전 협의된 그룹 식별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 사전 협의된 식별자란 예를 들어 우선순위가 높은 그룹, 우선순위가 낮은 그룹,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는 그룹, 비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는 그룹 등에 대해 미리 기지국(130)과 릴레이(120)가 특정 식별자를 지정하여 사용하는 식별자일 수 있다. 그리고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대역폭의 양은 각각의 커넥션 아이디가 요청하는 대역폭들의 전체 양을 단순히 합산한 것이다.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generation unit 220B for each group generates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bandwidth, the identifier for each group and the amount of bandwidths requested by the grouped connection IDs. In this case, the identifier for each group may be displayed as a connection ID arbitrarily selected in each group, or may be displayed as a group identifier previously negotiated between the base station 130 and the relay 120. The pre-negotiated identifier is,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130 and the relay 120 may be previously identified for a high priority group, a low priority group, a group requiring real-time data transmission, a group requiring non-real-time data transmission, and the like. It may be an identifier used by designating an identifier. The amount of bandwidth included in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simply adds up the total amount of bandwidths requested by each connection ID.

도 3은 릴레이(120)가 단말기(110)들로부터 수신한 커넥션 아이디에 대한 대역폭 요청을 일정 기준에 따라 그룹화 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relay 120 groups bandwidth requests for connection IDs received from the terminals 11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용이한 설명을 위해,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는 단말기는 제1 단말기(305), 제2 단말기(310), 제3 단말기(315)의 3개의 단말기가 존재함을 가정한다. 그리고 제1 단말기(305)에는 커넥션 아이디 1(305A), 커넥션 아이디 2(305B), 커넥션 아이디 3(305C)가 발생하고, 제2 단말기(310)에는 커넥션 아이디 4(310A), 커넥션 아이디 5(310B), 커넥션 아이디 6(310C)이 발생하고, 제3 단말기(315)에는 커넥션 아이디 7(315A), 커넥션 아이디 8(315B), 커넥션 아이디 9(315C), 커넥션 아이디 10(315D)가 발생하였음을 가정한다. For eas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ree terminals of the first terminal 305, the second terminal 310, and the third terminal 315 exist in the terminal requesting the uplink bandwidth. A connection ID 1 305A, a connection ID 2 305B, and a connection ID 3 305C are generated in the first terminal 305, and a connection ID 4 310A and a connection ID 5 (in the second terminal 310). 310B), connection ID 6 (310C) is generated, the connection ID 7 (315A), connection ID 8 (315B), connection ID 9 (315C), connection ID 10 (315D) generated in the third terminal 315. Assume

우선, 제1 단말기(305), 제2 단말기(310), 제3 단말기(315)에는 발생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커넥션 아이디 1 내지 10 이 각각 할당된다. 이 경우, 도 3에서 음영이 있는 커넥션 아이디가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할 필요가 있는 커넥션 아이디 이다. 각 단말기는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릴레이(120)에 필요한 대역폭을 요청한다. First, connection IDs 1 to 10 corresponding to a generated service are assigned to the first terminal 305, the second terminal 310, and the third terminal 315,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shaded connection ID in FIG. 3 is a connection ID that needs to request uplink bandwidth. Each terminal requests a bandwidth required for the relay 120 using an uplink bandwidth request mess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단말기(305, 310, 315)는 서비스하는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가 존재하는 경우, 일정 기준 하에 그룹 형성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를 그룹화 하여 각 그룹별로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릴레이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의 제1 단말기(305)의 커넥션 아이디 1(305A) 및 커넥션 아이디 3(305C)의 서비스 종류가 동질인 경우에는 커넥션 아이디 1(305A) 및 커넥션 아이디 3(305C) 각각에 대하여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그룹화된 커넥션 아이디 1 및 3에 대하여 한 번에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terminal 305, 310, 315, if there is at least one connection ID to service, if a group can be formed under a certain criterion, the group of the at least one connection ID group each group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a bandwidth request message and send it to the relay. For example, when the service types of connection ID 1 305A and connection ID 3 305C of the first terminal 305 of FIG. 3 are the same, each of connection ID 1 305A and connection ID 3 305C may be used. Rather than requesting the uplink bandwidth, the uplink bandwidth may be requested for the grouped connection IDs 1 and 3 at once.

상기 대역폭 요청을 수신한 릴레이(120)는 일정한 주기 동안 수신한 대역폭 요청을 버퍼에 저장한다. 그리고 릴레이(120)의 그룹 생성부(220A)는 설정된 주기가 경과하면 그때 까지 수신한 대역폭 요청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그룹화 한다. 여기서 수신한 대역폭 요청을 그룹화 하는 기준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서비스의 종류, 요구하는 대역폭의 양, 우선순위(priority), 지연(latency) 등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The relay 120 receiving the bandwidth request stores the received bandwidth request in a buffer for a certain period. When the set period elapses, the group generator 220A of the relay 120 groups the received bandwidth request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The criteria for grouping the received bandwidth requests may be a type of service, an amount of bandwidth required, a priority, a latency,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3에서 그룹 1에는 커넥션 아이디 1(305A) 및 커넥션 아이디 4(310A)가, 그룹 2에는 커넥션 아이디 3(305C) 및 커넥션 아이디 6(310C)이, 그룹 3에는 커넥션 아이디 8(315B) 및 커넥션 아이디 9(315C)가 포함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FIG. 3, Group 1 has Connection ID 1 (305A) and Connection ID 4 (310A), Group 2 has Connection ID 3 (305C) and Connection ID 6 (310C), and Group 3 has Connection ID 8 (315B) and Connec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ID 9 (315C) is included.

그리고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 생성부(220B)는 각 그룹에 대한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 경우, 생성되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에는 각 그룹에 대한 식별자, 그룹화된 커넥션 아이디들이 요청하는 각각의 대역폭의 양이 합산된 대역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generator 220B for each group generates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In this case, the generated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includes information on the bandwidth of the sum of the amount of each bandwidth requested by the group ID and the grouped connection ID.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룹 1, 그룹 2, 그룹 3에 대한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그룹화된 커넥션 아이디들에 따라 각각 그룹 1의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325), 그룹 2의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330), 그룹 3의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335)로 생성되어 기지국(130)에 전송된다. 그러면 기지국(130)은 상기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커넥션 아이디를 통해 각 그룹을 식별하고, 단말기들이 필요로 하는 대역폭을 업링크 맵을 통해 단말기 별로 할당한다. As can be seen in FIG. 3,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s for Group 1, Group 2, and Group 3 are each group's bandwidth request message 325 of Group 1 and Group 2's bandwidth request according to grouped connection IDs, respectively. Message 330 is generated as a group-specific bandwidth request message 335 of the group 3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30. Then, the base station 130 identifies each group through the connection ID of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and allocates the bandwidth required by the terminals to each terminal through the uplink map.

도 4는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릴레이가 기지국(130)에 전송하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ormat of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that a relay transmits to a base station 130 when there is no uplink packet.

도 4의 메시지 포맷에서 HT=1 이고, EC=0 이면 상기 메시지가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종래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메시지에서의 커넥션 아이디 필드에는 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 별로 할당된 커넥션 아이디가 기록되고, 대역폭 요청 필드에는 상기 커넥션 아이디가 필요로 하는 대역폭을 기록하였다. In the message format of FIG. 4, when HT = 1 and EC = 0, this indicates that the message is an uplink bandwidth request message. In the conventional uplink bandwidth request message, a connection ID allocated to each service required by a terminal is recorded in a connection ID field, and a bandwidth required by the connection ID is recorded in a bandwidth request field.

그러나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종래 의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을 동일하게 사용하되, 각 필드의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한다. 다시 말해, 커넥션 아이디 필드(410)에는 그룹을 대표할 수 있는 그룹 대표 식별자가 기록된다. 이 경우 상기 그룹 대표 식별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그룹 내에서 임의로 선택된 커넥션 아이디 또는 사전 협의된 그룹 식별자일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커넥션 아이디 필드(410)에 기록된 커넥션 아이디를 통해 각 그룹을 식별하고, 커넥션 아이디를 기준으로 각 단말기별로 대역폭을 할당하게 된다. 또한, 대역폭 요청 필드(420)에는 각 그룹에 속한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들이 요청하는 전체 대역폭의 양을 기록한다. 이 경우 전체 대역폭의 양이란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들이 요구하는 각각의 대역폭을 단순 합산한 것이다. 릴레이(120)는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 개의 커넥션 아이디들이 요청하는 전체 대역폭을 하나의 메시지를 통해 동시에 요청할 수 있다. However,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ame format of the conventional uplink bandwidth request message, but changes the purpose of each field. In other words, a group representative identifier that can represent a group is recorded in the connection ID field 410. In this case, the group representative identifier may be a connection ID or a pre-negotiated group identifier arbitrarily selected in each group as described above. The base station identifies each group through the connection ID recorded in the connection ID field 410, and allocates bandwidth to each terminal based on the connection ID. In addition, the bandwidth request field 420 records the total amount of bandwidth requested by one or more connection IDs belonging to each group. In this case, the total amount of bandwidth is simply the sum of the bandwidths required by one or more connection IDs. The relay 120 may simultaneously request the total bandwidth requested by the plurality of connection IDs through one message.

도 5는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릴레이가 기지국(130)에 전송하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의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format of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that a relay transmits to a base station 130 when there is no uplink packet.

종래의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HT 필드 1비트, EC 필드 1비트, 타입 3비트, 대역폭 요청 필드 19비트(BR MSB 11 비트와 BR LSB 비트), 커넥션 아이디 필드 16비트(CID MSB 8비트와 CID LSB 8비트), HCS 필드 8비트의 48비트, 즉 6바이트의 크기를 갖는다. Conventional bandwidth request messages include HT field 1 bit, EC field 1 bit, type 3 bits, bandwidth request field 19 bits (BR MSB 11 bits and BR LSB bits), connection ID field 16 bits (CID MSB 8 bits and CID LSB 8). Bits), which has a size of 48 bits, that is, 6 bytes of 8 bits of the HCS field.

상기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대역폭 요청 필드에 할당된 비트 중 1비트를 타입 필드에 전환 배치하여, 그룹별로 대역폭을 요청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식별자(510)를 기록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머지 필드에는 상기 도 4의 경 우와 마찬가지로 커넥션 아이디 필드(520)에는 그룹을 대표하는 그룹 대표 식별자가 기록되고, 대역폭 요청 필드(530)에는 각 그룹에 속한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들이 요청하는 전체 대역폭의 양을 기록한다. 릴레이(120)는 변경된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커넥션 아이디들이 요청하는 전체 대역폭을 하나의 메시지를 통해 동시에 요청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one bit of the bits allocated to the conventional bandwidth request field is switched to the type field to record the bandwidth request identifier 510 for each group indicating that the bandwidth is requested for each group. In the remaining fields, as in the case of FIG. 4, a group representative identifier representing a group is recorded in the connection ID field 520, and in the bandwidth request field 530, a total bandwidth of one or more connection IDs belonging to each group is requested. Record the amount. The relay 120 may simultaneously request the total bandwidth requested by the plurality of connection IDs through one message using the changed group-specific bandwidth request message.

이 경우, 상기 도 5에서는 대역폭 요청 필드에 할당된 1비트를 타입 필드에 전환 배치하는 예시를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는 것이고, 커넥션 아이디 필드 또는 HCS 필드에 할당된 1비트를 타입 필드로 전환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case, although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1 bit allocated to the bandwidth request field is switched to the type field,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1 bit allocated to the connection ID field or the HCS field is assigned to the type field. It is also possible to switch to batch.

<두 번째 실시예>Second Embodiment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120)의 내부 구조 및 상향링크 대역폭의 그룹화 개념은 상기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동일하다. 그러나 두 번째 실시예는 상향 링크 패킷에 존재하는 일반 MAC 헤더(602) 및 이에 연접되는 확장 서브헤더(604)를 이용하여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는 점에서 첫 번째 실시예와 상이하다.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lay 120 and the grouping concept of the uplink bandwidt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S. 2 and 3. However,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a group-specific bandwidth request message is generated using the general MAC header 602 present in the uplink packet and the extended subheader 604 concatenated thereto.

도 6은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릴레이(120)가 기지국(130)에 전송하는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ormat of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relay 120 transmitting to the base station 130 when an uplink packet exists.

모든 상향 링크 패킷에는 일반 MAC 헤더(generic MAC header, 602)가 포함된 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향 링크 패킷을 이용하여 그룹화 된 커넥션 아이디들의 대역폭을 요청하고자 하는 것이다. Every uplink packet includes a generic MAC header (602). In this embodiment, the bandwidth of the connection IDs grouped using the uplink packet is to be requested.

상기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 MAC 헤더의 ESF(Extended Subheader Field, 610)가 1로 세팅되면, 일반 MAC 헤더(602)에 확장 서브헤더(604)가 연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커넥션 아이디(620)는 상향 링크 패킷을 전송 중인 커넥션 아이디를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커넥션 아이디(620)는 그룹으로 상향 링크 대역폭 요청을 하려는 커넥션 아이디들과 동일한 기준으로 그룹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상향 링크 패킷을 전송하는 중이라 하더라도 상기 커넥션 아이디(620)가 그룹을 구성하는 커넥션 아이디와 같은 그룹으로 그룹화될 수 없는 경우에는 첫번째 실시예에 따라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을 수행해야 한다. 상기 그룹화가 가능한 경우, 상기 커넥션 아이디(620)는 동일한 기준으로 형성된 그룹을 대표하는 그룹 대표 식별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when the Extended Subheader Field (ESF) 610 of the general MAC header is set to 1, it means that the extended subheader 604 is connected to the general MAC header 602. The connection ID 620 means a connection ID transmitting an uplink packet. In this case, the connection ID 620 should be able to form a group based on the same criteria as connection IDs for requesting an uplink bandwidth to the group. That is, even when transmitting an uplink packet, if the connection ID 620 cannot be grouped into the same group as the connection ID constituting the group, an uplink bandwidth request should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grouping is possible, the connection ID 620 may be used as a group representative identifier representing a group formed based on the same criteria.

상기 일반 MAC 헤더(602)에 연접되는 확장 서브헤더(604)는 확장 서브헤더 그룹 길이 필드(630), 확장 서브헤더 타입 필드(640), 요청 대역폭 필드(65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확장 서브헤더 그룹 길이(Extended subheader group length, 630) 필드에는 서브헤더 그룹의 전체 길이를 지시하는 식별자가 기록된다. 그리고 확장 서브헤더 타입(Extended subheader type, 640) 필드에는 서브헤더의 용도를 식별할 수 있는 용도 식별자가 기록되며, 요청 대역폭 필드(650)에는 상기 커넥션 아이디에 의해 대표되는 그룹에서 필요로 하는 전체 대역폭의 양이 기록된다. The extended subheader 604 concatenated to the general MAC header 602 may include an extended subheader group length field 630, an extended subheader type field 640, a request bandwidth field 650, and the like. In this case, an identifier indicating the total length of the subheader group is recorded in the extended subheader group length (630) field. In the Extended subheader type (640) field, a usage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subheader's purpose is recorded. In the request bandwidth field 650, the total bandwidth required by the group represented by the connection ID is required. The amount of is recorded.

그러면 기지국(130)은 상기 일반 MAC 헤더(602)의 커넥션 아이디(620) 및 ESF(610)를 통하여 해당하는 그룹에 대한 확장 서브헤더가 연접되었다(ESF=1)는 것을 감지하고, 확장 서브헤더의 그룹길이 필드로부터 그룹의 길이(630)를 알 수 있으며, 확장 서브헤더의 타입으로부터 연접된 확장 서브헤더의 용도(640, 대역폭 요청)를 확인한 후, 대역폭 요청 필드(650)에 기록된 대역폭의 양을 통해, 상기 그룹(CID)이 요청하는 전체 대역폭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130)은 커넥션 아이디(CID)를 기준으로 단말기(110) 별로 대역폭을 할당하여 업링크 맵을 생성하고, 이를 릴레이(120)에 전송한다. The base station 130 then detects that the extended subheader for the corresponding group is concatenated (ESF = 1) through the connection ID 620 and the ESF 610 of the generic MAC header 602, and the extended subheader The length of the group 630 can be known from the group length field of, and after confirming the usage (640, bandwidth request) of the concatenated extended subheader from the type of the extended subheader, Through the amou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of bandwidth requested by the group (CID). Then, the base station 130 generates an uplink map by allocating bandwidth for each terminal 110 based on the connection ID CID, and transmits the uplink map to the relay 120.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순서도><Uplink Bandwidth Request Flowchart>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 복수의 단말기(110A, 110B)로부터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을 수신한 릴레이(120)가 이를 그룹화 하여 다시 기지국(130)에 그룹별로 대역폭을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FIG. 7 illustrates that a relay 120 that receives an uplink bandwidth request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110A and 110B in a multi-hop relay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oups the same and requests the base station 130 for the bandwidth for each group. This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우선 복수의 단말기(110A, 110B)는 커넥션 아이디가 필요로 하는 상향링크 대역폭을 각각 S710A 단계 및 S710B 단계에서 릴레이(120)에 요청한다. 이 경우 상기 S710A 단계 및 S710B 단계는 단순히 하나 이상의 단말기들로부터 릴레이(120)에 대역폭이 요청되는 것임을 나타내는 것일 뿐, 반드시 그 전송 순서에 구애받는 것은 아니다. First, the plurality of terminals 110A and 110B request the relay 120 for the uplink bandwidth required by the connection ID in steps S710A and S710B, respectively. In this case, steps S710A and S710B merely indicate that a bandwidth is requested to the relay 120 from one or more terminals,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transmission order.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대역폭 요청을 수신한 릴레이(120)는 일정 주기 경과 후, S720 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을 그룹화 한다. 이 경우 릴레이(120)는 동일한 종류의 서비스(예를 들어, 음성 통신, 데이터 통신, 비디오 통신)에 대하여 그룹화 하는 등 일정한 기준에 따라 커넥션 아이디에 대한 대역폭 요청을 그룹화 할 수 있다. After receiving a bandwidth request from at least one terminal, the relay 120 groups the uplink bandwidth reques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step S720. In this case, the relay 120 may group bandwidth requests for connection ID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such as grouping for the same type of service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and video communication).

그룹화 과정이 수행된 후, 릴레이(120)는 S730 단계에서 그룹별로 필요한 대역폭 크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 경우 릴레이(120)는 상향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대역폭을 요청(첫 번째 실시예)할 수 있고, 상향 링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모든 상향 링크 패킷에 포함되는 일반 MAC 헤더에 연접되는 확장 헤더를 이용하여 대역폭을 요청(두 번째 실시예)할 수도 있다. 그리고 릴레이(120)는 S740 단계에서 상기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130)으로 전송한다. After the grouping process is performed, the relay 120 generates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required bandwidth size for each group in step S730. In this case, the relay 120 may request bandwidth by generating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when the uplink does not exist (first embodiment), and when the uplink exists, the relay 120 is included in all uplink packets. It is also possible to request bandwidth (second embodiment) using an extension header concatenated with a general MAC header. The relay 120 transmits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to the base station 130 in step S740.

기지국(130)은 릴레이(120)로부터 전송되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커넥션 아이디를 통해 그룹을 식별한다. 그리고 기지국(130)은 S750 단계에서 각 단말기(110A, 110B)별로 필요로 하는 대역폭을 할당해주는 업링크 맵을 생성한다. 그리고 기지국(130)은 S760 단계에서, 생성된 업링크 맵을 릴레이(120)로 전송한다. After receiving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transmitted from the relay 120, the base station 130 identifies the group through the connection ID.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130 generates an uplink map for allocating a bandwidth required for each terminal 110A and 110B in step S750. In operation S760, the base station 130 transmits the generated uplink map to the relay 120.

릴레이(120)는 기지국(130)으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맵을 수신하고, S770A 단계 및 S770B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업링크 맵을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에게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업링크 맵을 수신한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는 상기 업링크 맵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상향링크 대역폭을 확인한다. The relay 120 receives the uplink map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130 and transmits the uplink map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n steps S770A and S770B to the first terminal 110A and the second terminal 110B. . Then, the first terminal 110A and the second terminal 110B receiving the uplink map identify the uplink bandwidth allocated to the uplink map.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120)가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을 수신한 후 이를 그룹화 하여 다시 기지국(130)에 그룹별 대역폭을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relay 120 receives an uplink bandwidth request from a terminal, groups the same, and requests the group-specific bandwidth from the base station 130 again.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8.

우선, 릴레이(120)는 S810 단계에서 단말기로부터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릴레이(120)는 도 3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에 따라 대역폭 요청을 수신한다. 그리고 릴레이(120)는 단말기로부터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S820 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버퍼에 저장된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특정 주기 경과 후 일정한 기준에 따라 그룹화 되어,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로 변환된다. First, the relay 120 determines whether a bandwidth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in step S810. In this case, as described in FIG. 3, the relay 120 receives a bandwidth request according to one or more connection IDs generated from one or more terminals. When the relay 120 receives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the relay 120 temporarily stores the message received in step S820 in a buffer.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s stored in the buffer are group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re converted into bandwidth request messages for each group.

릴레이(120)는 특정 주기가 경과하기 전 까지 S810 단계 내지 S820 단계를 반복하며,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대역폭 요청메시지를 버퍼에 저장하고, S830 단계에서 특정 주기가 경과하였음을 감지한다. 그러면 릴레이(120)는 S840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단말기들에 대한 대역폭 요청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그룹화 한다. 그룹화에 대한 기준은 이미 언급한 바가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relay 120 repeats steps S810 to S820 until a specific period elapses, stores a bandwidth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one or more terminals in a buffer, and detects that the specific period has elapsed in step S830. Then, in step S840, the relay 120 groups bandwidth requests for one or more terminal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Since the criteria for grouping have already been mention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릴레이(120)는 S850 단계에서 이전 단계에서 분류된 각각의 그룹에 대해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을 위한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325, 330, 335)를 생성하고, S860 단계에서 생성된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130)에 전송한다. 상기 S850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후술하도록 한다. The relay 120 generates a bandwidth request message 325, 330, 335 for each group for the uplink bandwidth request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the previous step in step S850, and the bandwidth request for each group generated in step S860.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30. A detailed process for the S850 will be described later.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130)으로 전송한 릴레이(120)는 S870 단계에서 기지국(130)으로부터 업링크 맵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업링크 맵에는 각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슬롯과 자신이 전송해야 할 슬롯의 시점, 할당받은 대역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릴레이(120)가 S870 단계에서 업링크 맵을 수신하면, S880 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업링크 맵을 각각의 단말기에게 전송한다. The relay 120 that transmits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to the base station 130 determines whether to receive the uplink map from the base station 130 in step S870. The uplink map includes information on slots allocated by the mobile station from the base station, timings of slots to be transmitted and bandwidth allocated thereto. When the relay 120 receives the uplink map in step S870, the relay 120 transmits the received uplink map to each terminal.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120)가 각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대역폭 요청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그룹화 하여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S850 단계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 경우, 릴레이(120)가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생성하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은 상기한 도 5에 따르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도 6 및 도 9를 참고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9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step S850 in which the relay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oups a bandwidth request received from each termi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to generate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format of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that the relay 120 generates when the uplink packet does not exist is in accordance with FIG. 5.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6 and 9 will be described.

우선, 릴레이(120)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들에 대한 대역폭 요청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그룹화한 후, S905 단계에서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릴레이(120)는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룹별로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모든 상향 링크 패킷에 포함되는 일반 MAC 헤더(602)의 확장 서브헤더(604)에 그룹별 대역폭 요청 정보를 포함시킨다. First, the relay 120 groups the bandwidth requests for one or more terminal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then, in step S905, determines whether an uplink packet exists. The relay 120 generates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if no uplink packet exists, and the extended subheader 604 of the general MAC header 602 included in all uplink packets if the uplink packet exists. ) Includes bandwidth request information for each group.

릴레이(120)가 S905 단계에서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S910 단계 이하에서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릴레이(120)는 S910 단계에서 그룹별로 대역폭을 요청하는 것임을 식별할 수 있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식별자(510)를 기록한다. 이 경우 릴레이(120)는 종래의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타입 필드를 1비트 증가시켜 상기 그룹별 대역폭 요청 식별자(510)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릴레이(120)는 S915 단계에서 커넥션 아이디 필드(520)에 그룹을 대표할 수 있는 임의의 커넥션 아이디를 기록한다. 기지국(130)은 커넥션 아이디를 바탕으로 그룹을 식별하고, 이를 기준으로 대역폭을 할당한다. 임의의 커넥션 아이디 기록 후 릴레이(120)는 S920 단계에서 그룹별로 요구되는 대역폭을 대역폭 요청 필드(530)에 기록한다. When the relay 12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uplink packet in step S905, the relay 120 generates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in step S910 or below. That is, the relay 120 records the bandwidth request identifier 510 for each group which can identify that the bandwidth is requested for each group in step S910. In this case, the relay 120 may increase the type field of the conventional bandwidth request message by one bit to record the bandwidth request identifier 510 for each group. In addition, the relay 120 records an arbitrary connection ID that can represent a group in the connection ID field 520 in step S915. The base station 130 identifies the group based on the connection ID and allocates the bandwidth based on the group. After recording any connection ID, the relay 120 records the bandwidth required for each group in the bandwidth request field 530 in step S920.

상기 S910 단계 내지 S920 단계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각 필드가 기록되는 과정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것일 뿐, 반드시 이의 순서에 구속받는 것은 아니다. The steps S910 to S920 merely illustrate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each field of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is recorded,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thereof.

만약, 릴레이(120)가 S905 단계에서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였다면, S925 단계에서 상향 링크 패킷의 커넥션 아이디, 및 그룹으로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는 커넥션 아이디가 동일한 기준으로 그룹화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릴레이(120)가 상기 그룹화가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S930 단계에서 상향 링크 패킷에 포함된 일반 MAC 헤더(602)의 ESF 필드(610)를 1로 세팅한다. 이는 상기 일반 MAC 헤더(602)에 확장 서브헤더(604)가 연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릴레이(120)는 S935 단계에서 확장 서브헤더 그룹 길이 필드(630)에 서브헤 더 그룹의 전체 길이를 기록하고, S940 단계에서 확장 서브헤더 타입 필드(640)에 서브헤더의 용도를 식별할 수 있는 용도 식별자를 기록한다. 그리고 릴레이(120)는 S920 단계에서 그룹별로 요청되는 대역폭을 요청 대역폭 필드(650)에 기록한다. If the relay 120 determines that there is an uplink packet in step S905, it is determined in step S925 whether the connection ID of the uplink packet and the connection ID requesting uplink bandwidth to the group can be grouped on the same basis. do. When the relay 120 determines that the grouping is possible, the ESF field 610 of the general MAC header 602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is set to 1 in step S930. This means that the extended subheader 604 is concatenated with the generic MAC header 602. In operation S935, the relay 120 records the total length of the subheader group in the extended subheader group length field 630 and identifies the use of the subheader in the extended subheader type field 640 in step S940. Record the usage identifier. In operation S920, the relay 120 records the bandwidth requested for each group in the request bandwidth field 650.

만약 릴레이(120)가 S925 단계에서, 상향 링크 패킷의 커넥션 아이디와 그룹으로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는 커넥션 아이디를 동일한 기준으로 그룹화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비록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S910 단계 내지 S920 단계의 과정을 수행한다. If the relay 120 determines in step S925 that the connection ID of the uplink packet and the connection ID requesting the uplink bandwidth to the group cannot be grouped on the same basis, even if the uplink packet exists, the bandwidth request for each group is requested. The process of generating steps S910 to S920 is performed.

S925 단계 내지 S940 단계 역시, 상향 링크 패킷에 포함된 일반 MAC 헤더 및 확장 서브헤더의 각 필드가 기록되는 과정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것일 뿐, 반드시 이 순서에 구속받는 것은 아니다. Steps S925 to S940 also represent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each field of the general MAC header and the extended subheader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is record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order.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questing an uplink bandwidth in a relay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12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relay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릴레이(120)가 단말기(110)들로부터 수신한 커넥션 아이디에 대한 대역폭 요청을 일정 기준에 따라 그룹화 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relay 120 groups bandwidth requests for connection IDs received from terminals 11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도 4는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릴레이가 기지국(130)에 전송하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format of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that a relay transmits to a base station 130 when there is no uplink packet.

도 5는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릴레이가 기지국(130)에 전송하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의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5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format of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that a relay transmits to a base station 130 when there is no uplink packet.

도 6은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릴레이(120)가 기지국(130)에 전송하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포맷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format of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that the relay 120 transmits to the base station 130 when an uplink packet exist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단말기(110A, 110B)로부터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을 수신한 릴레이(120)가 이를 그룹화 하여 다시 기지국(130)에 그룹별 대역폭을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FIG. 7 illustrates that a relay 120 that receives an uplink bandwidth request from one or more terminals 110A and 110B in a multi-hop relay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oups the same and requests the base station 130 for the group-specific bandwidth.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120)가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을 수신한 후 이를 그룹화 하여 다시 기지국(130)에 그룹별 대역폭을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relay 120 receives an uplink bandwidth request from a terminal, groups the same, and requests the group-specific bandwidth from the base station 130 agai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120)가 각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대 역폭 요청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그룹화 하여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S850 단계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9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step S850 in which the relay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oups a bandwidth request received from each termi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to generate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Claims (17)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요청 방법에 있어서,A bandwidth request method in a multi-hop relay network,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를 가지는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n uplink bandwidth request message having at least one connection ID generated from at least one terminal; 상기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커넥션 아이디에 따라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에 의해 생성된 그룹 각각에 대해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Grouping according to the connection ID included in the uplink bandwidth request message, and generating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for each group generated by the grouping; And 상기 생성된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요청 방법.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to a base st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커넥션 아이디는 서비스 종류, 요청하는 대역폭의 양, 우선순위, 지연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화는 상기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요청 방법.The connection ID includes information of a service type, a requested amount of bandwidth, priority, and delay, and the grouping is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generating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comprises: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an uplink packet exists; And 상기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상향 링크 패킷의 커넥션 아이디와, 그룹으로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는 커넥션 아이디가 그룹화 가능한지 여부 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요청 방법.Determining whether a connection ID of the uplink packet and a connection ID requesting an uplink bandwidth to a group can be grouped when the uplink packet exists. Request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며 상기 그룹화가 가능한 경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link packet is present and the grouping is possible. 상기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일반 MAC 헤더 및 이에 연접되는 확장 서브헤더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요청 방법.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is generated using a general MAC header and an extended subheader concatenated thereto.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MAC 헤더는 그룹 대표 식별자가 기록되는 커넥션 아이디 필드를 포함하고,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eneric MAC header includes a connection ID field in which a group representative identifier is recorded. 상기 확장 서브헤더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을 지시하는 타입 필드, 상기 그룹에서 필요로 하는 전체 대역폭이 기록되는 대역폭 요청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요청 방법.The extended subheader includes a type field indicating a bandwidth request for each group, and a bandwidth request field in which the total bandwidth required by the group is record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지만 상기 그룹화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link packet does not exist or the uplink packet exists but the grouping is not possible. 상기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그룹 대표 식별자가 기록되는 커넥션 아이디 필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들이 요청하는 전체 대역폭의 양이 기재되는 대역폭 요청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 크에서의 대역폭 요청 방법.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includes a connection ID field in which a group representative identifier is recorded and a bandwidth request field in which a total amount of bandwidth requested by the one or more connection IDs is described. Request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link packet does not exist. 상기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을 지시하는 타입 필드, 그룹 대표 식별자가 기록되는 커넥션 아이디 필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들이 요청하는 전체 대역폭의 양이 기재되는 대역폭 요청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요청 방법.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includes a type field indicating a bandwidth request for each group, a connection ID field for recording a group representative identifier, and a bandwidth request field for describing the total amount of bandwidth requested by the one or more connection IDs. Bandwidth request method in a multi-hop relay networ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맵을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an uplink map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And 상기 업링크 맵에 포함된 단말기에 따른 상향링크 업링크 대역폭을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요청 방법.And allocating an uplink uplink bandwidth according to a terminal included in the uplink map to the one or more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에 따라 그룹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요청 방법.The uplink bandwidth request message is a bandwidth request method in a multi-hop relay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grouped according to at least one connection ID generated in the terminal. 단말기와 릴레이와 기지국을 포함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대역 폭 요청 방법에 있어서,A bandwidth request method in a multi-hop relay network including a terminal, a relay, and a base station, 상기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를 가지는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릴레이로 전송하는 단계;Generating, by the terminal, an uplink bandwidth request message having one or more connection IDs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uplink bandwidth request message to the relay; 상기 릴레이가 상기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커넥션 아이디를 분석하여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에 의해 생성된 그룹 각각에 대해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When the relay receives the uplink bandwidth request message, analyzes and groups the connection IDs, and generates a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generated by the grouping and transmits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to the base station; And 상기 기지국이 상기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각각의 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대역폭을 업링크 맵을 통하여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요청 방법.And receiving, by the base station, 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and allocating a bandwidth required by each terminal through an uplink map.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 대역폭 요청을 처리하는 릴레이 장치에 있어서,A relay device for processing bandwidth requests in a multi-hop relay network,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를 가지는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을 그룹화 하여 그룹을 생성하는 그룹 생성부; A group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group by grouping an uplink bandwidth request having at least one connection ID generated from at least one terminal; 각각의 그룹에 대해 상향 링크 패킷의 존재 여부에 따라 대응하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릴레이 장치.And a group-specific bandwidth request mess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group-specific bandwidth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uplink packet for each group.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커넥션 아이디는 서비스 종류, 요청하는 대역폭의 양, 우선순위, 지연 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화는 상기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요청 방법.The connection ID includes information of a service type, a requested amount of bandwidth, a priority, and a delay, and the grouping is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고 상기 상향 링크 패킷의 커넥션 아이디와 그룹으로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는 커넥션 아이디가 그룹화 가능한 경우,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n an uplink packet exists and a connection ID for requesting an uplink bandwidth to a group and a connection ID of the uplink packet are groupable, 상기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일반 MAC 헤더 및 이에 연접되는 확장 서브헤더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릴레이 장치.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is generated using a general MAC header and an extended subheader concatenated thereto.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MAC 헤더는 그룹 대표 식별자가 기록되는 커넥션 아이디 필드를 포함하고,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generic MAC header includes a connection ID field in which a group representative identifier is recorded. 상기 확장 서브헤더는 상기 확장 서브헤더가 그룹별 대역폭 요청을 지시하는 타입 필드, 상기 그룹에서 필요로 하는 전체 대역폭이 기록되는 대역폭 요청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릴레이 장치.The extended subheader may include a type field in which the extended subheader indicates a bandwidth request for each group, and a bandwidth request field in which the total bandwidth required by the group is recorded. 제11항에 있어서,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if no uplink packet is present, 상기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그룹 대표 식별자가 기록되는 커넥션 아이디 필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들이 요청하는 전체 대역폭의 양이 기재되는 대역폭 요청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 크에서의 릴레이 장치.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includes a connection ID field in which a group representative identifier is recorded and a bandwidth request field in which a total amount of bandwidth requested by the one or more connection IDs is described.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상향 링크 패킷이 존재하지만 상기 상향 링크 패킷의 커넥션 아이디와 그룹으로 상향링크 대역폭을 요청하는 커넥션 아이디를 그룹화 할 수 없는 경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n uplink packet does not exist or an uplink packet exists, but a connection ID requesting an uplink bandwidth cannot be grouped into a connection ID and a group of the uplink packet. 상기 그룹별 대역폭 요청 메시지는 그룹별 대역폭 요청을 지시하는 타입 필드, 그룹 대표 식별자가 기록되는 커넥션 아이디 필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들이 요청하는 전체 대역폭의 양이 기재되는 대역폭 요청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릴레이 장치.The bandwidth request message for each group includes a type field indicating a bandwidth request for each group, a connection ID field for recording a group representative identifier, and a bandwidth request field for describing the total amount of bandwidth requested by the one or more connection IDs. Relay device in a multi-hop relay network.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은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하나 이상의 커넥션 아이디에 따라 그룹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의 릴레이 장치.The uplink bandwidth request is relayed according to at least one connection ID generated in the terminal relay device in a multi-hop relay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80090934A 2008-09-17 2008-09-17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bandwidth at the multi hop relay network KR201000320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934A KR20100032001A (en) 2008-09-17 2008-09-17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bandwidth at the multi hop relay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934A KR20100032001A (en) 2008-09-17 2008-09-17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bandwidth at the multi hop relay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001A true KR20100032001A (en) 2010-03-25

Family

ID=42181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934A KR20100032001A (en) 2008-09-17 2008-09-17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bandwidth at the multi hop relay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200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2296B2 (en) 2012-12-18 2016-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ulti-hop cooperative communication from terminal and base station and network for multi-hop cooperative commun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2296B2 (en) 2012-12-18 2016-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ulti-hop cooperative communication from terminal and base station and network for multi-hop cooperative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21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1011066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uplink radio resource in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91254B2 (en) Channel configuration and bandwidth allocation in multi-hop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JP4620690B2 (en) Method for requesting and allocating upstream bandwidth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system
CN101946551B (en) Scheduling policy-based traffic management
KR101078673B1 (en) Relay system and method for bandwith assignment and scheduling
WO2017128275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via sidelink and terminal
KR100830536B1 (en) Method of bandwidth allocation and repeater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002967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urce scheduling related to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090088165A1 (en) Relay statio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extending a coverage area of a base station in a radio network
JP2008172759A (en) Method for communicating packet in relay network
JP5076992B2 (en) UL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terminal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1946540A (en) Traffic management employing interference management messages
US20220346112A1 (en) Method of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to support sidelink relay
CN101946471A (en) Traffic management for multi-hop wireless communication
KR1010156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bandwidth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07531439A (en) Method for allocating radio resources for WLAN
JP2002335204A (en)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base stations
US86056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278017B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virtual link
JP2007006199A (en) Media access control method and program of relay station in high speed radio access system
KR20060013402A (en) Method and system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320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bandwidth at the multi hop relay network
JP7416268B2 (en) Relay method and relay device
CN101925127A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atching mobile station (MS) access by relay station (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