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230A -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230A
KR20100031230A KR1020080090217A KR20080090217A KR20100031230A KR 20100031230 A KR20100031230 A KR 20100031230A KR 1020080090217 A KR1020080090217 A KR 1020080090217A KR 20080090217 A KR20080090217 A KR 20080090217A KR 20100031230 A KR20100031230 A KR 20100031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nformation
usim card
security
mobile terminal
rfid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9655B1 (ko
Inventor
박창준
최주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9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655B1/ko
Priority to US12/583,611 priority patent/US8643466B2/en
Publication of KR2010003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9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by using a location-limited connec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or limited proximity of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05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by remotely controlling device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 들어가는 경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3세대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유심(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이하 USIM)카드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USIM 카드 정보를 출입관리서버에 등록하고, 출입구에 설치된 RFID 판독기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USIM, RFID, 보안 설정, 카메라, 휴대 단말기, 기능 제한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ecurity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보안을 요구하는 장소에 출입 시 휴대 단말기의 USIM 카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자사의 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보안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가 여러 가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기술 유출 방지 방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는 악의 적인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사진 촬영 기능, 휴대 단말기의 내장 또는 외장 메모리를 통한 데이터 저장 기능 등을 이용하여 회사의 기밀 문서, 제품의 디자인 등에 대한 정보를 유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진 촬영 기능, 데이터 저장 기능 등은 일반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회사나 연구소 등의 기밀 유출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밀 유출 방지를 위한 대표적인 휴대 단말기의 보안 방법으로는 카메라 촬영을 금지하기 위하여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 입문 시 카메라 렌즈에 보안테이프를 붙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보안요원이 입구에서 일일이 카메라 렌즈에 보안테이프를 붙여야하고, 사용자는 보안테이프가 실수로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휴대 단말기에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예컨대 카메라 촬영)을 제한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 역시 사용자 또는 보안요원이 PC 등의 보안기기와 휴대 단말기를 데이터 케이블 등으로 연결하여 보안프로그램을 실행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유심(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이하 USIM)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출입 관리 및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보안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출입관리서버;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포함된 USIM 카드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출입관리서버에 등록된 USIM 카드 정보인 경우 휴대 단말기에게 보안 설정 신호를 전송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판독기; 상기 보안 설정 신호 수신 시 일부 기능이 제한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은 휴대 단말기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판독기에 접근하는 경우 RFID 판독기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정보를 인식하는 과정; 상기 RFID 판독기가 상기 인식된 USIM 카드 정보의 등록 여부를 출입관리서버에 요청하는 과정; 상기 출입관리서버가 상기 USIM 카드 정보의 등록 여부를 RFID 판독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USIM 카드 정보가 상기 출입관리서버에 등록된 경우 상기 RFID 판독기가 보안 설정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보안 설정 신호를 전송받은 휴대 단말기가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보안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은 입문 시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보안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며, 기술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게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게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RFID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유심(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이하 USIM)"은 3세대 이동통신 방식인 WCDMA에서 사용되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로서, 전화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장치 일련 번호(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를 저장하며, 교통카드, 신용카드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교통카드, 신용카드 등의 기능은 RFID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소형 전자 칩과 안테나로 구성된 전자 태그를 사물에 부착하여 전자 태그의 고유 주파수를 통해 사물을 인식하여 실시간으로 정보의 교환 및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RFID 기술은 원거리에서도 물리적인 접촉 없이 사물 인식이 가능하고, 여러 개의 정보를 동시에 판독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100), RFID 판독기(200), 출입관리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100)에서 사용하는 USIM 카드 정보를 상기 출입관리서버(300)에 등록한다. 상기 USIM 카드 정보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로서 MIN, IME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SIM 카드 정보는 금융 거래 등을 위해 USIM 카드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 공인 인증서 등의 개인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한을 요구하는 장소 즉,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 입문하기 위해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입구에 설치된 RFID 판독기(200)에 접근시킬 수 있다. 이때, RFID 판독기(200)는 휴대 단말기(100)의 USIM 카드에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을 공급받은 USIM 카드는 상기 USIM 카드 정보를 RFID 판독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USIM 카드 정보를 전송받은 RFID 판독기(200)는 이를 출입관리서버(300)에 전송하고, 이를 전송받은 출입관리서버(300)는 등록된 USIM 카드 정보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입관리서버(300)는 상기 USIM 카드 정보 수신 시간을 저장하여 상기 USIM 카드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출입 관리를 할 수 있다. 상기 USIM 카드 정보의 등록 여부 확인 결과 미등록된 경우 RFID 판독기(200)는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고, 경고 메시지 예컨대 "귀하는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 입니다. 확인 후 다시 이용해 주십시요" 등과 같은 음성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등록된 경우 RFID 판독기(200)는 휴대 단말기(100)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기 위해 보안 설정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설정 신호는 사용자의 보안 등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의 보안 등급에 따라 제한되는 기능을 다르게 설정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출입관리서버(300)는 상기 USIM 카드 정보 등록 시 상기 USIM 카드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보안 등급을 함께 저장하며, RFID 판독기(200)에 USIM 카드 정보의 등록 여부를 전송할 때 상기 보안 등급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설정 신호를 전송받은 휴대 단말기(100)는 보안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 예컨대 사진 촬영 및 동영상 촬영(이하 카메라 촬영) 기능,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동식 디스크 기능, 녹음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파일 전송 기능 등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설정 신호를 전송한 후 RFID 판독기(200)는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보안 설정 신호를 전송한 후 출입문을 개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RFID 판독기(200)는 보안 설정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에게 전송한 후,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보안 설정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보안 설정 완료 신호를 수신한 후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사용자가 출구에 설치된 RFID 판독기(200)에 휴대 단말기(100)를 접근 시키는 경우 상기 RFID 판독기(200)는 휴대 단말기(100)에 보안 설정 해제 신호를 송신하고,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RFID 판독기(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보안 설정 해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보안 설정 해제 신호를 수 신한 후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 출입 시 휴대 단말기(100)의 USIM 카드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100)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휴대 단말기(10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사용자의 보안 등급이 설정된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가 보안 설정 상태임을 알리는 화면 예시도 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저장부(140), 표시부(150) 및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30)는 USIM 카드가 삽입되는 장치로서, 상기 USIM 카드와 제어부(110) 사이에 통신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USIM 카드는 3 세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도입된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을 말한다.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모듈로써 가입자 인증과 요금부과, 보안 기능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인 정보를 저장한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USIM 카드는 MIN, IMEI, 공인 인증서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USIM 카드에 저장된 MIN, IMEI, 공인 인증서 정보들은 상기 출입관리서버에 기 등록되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RFID 판독기(200)에 근접시킬 경우 상기 RFID 판독기(200)를 통해 출입관리서버(30)에 전송될 수 있다. 이는 출입이 허가된 사용자인지 확인하고, 휴대 단말기(100)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기 위해서 이다.
또한, 상기 USIM 카드는 휴대 단말기(100)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보안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보안 프로그램은 USIM 카드의 메모리 영역에 에플릿(Applet)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보안 프로그램은 기본 파일(Elemetary File 이하 EF)로 구성되며, 상기 EF는 상기 RFID 판독기로부터 보안 설정 또는 해제 신호 수신 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상기 EF는 보안 설정이 된 경우 "1"로 설정될 수 있고, 보안 설정이 해제된 경우 "0" 일 수 있다. 반대로 보안 설정된 경우 상기 EF가 "0"으로 설정되고, 보안 설정이 해제된 경우 상기 EF가 "1"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 화면을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5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5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보안 설정 상태임을 알리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 부호 510과 같은 이미지를 표시부 일측에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부(150)는 알람, 매너모드 등이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방법과 같 이 인디케이터 영역(520)에 보안 설정이 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50)는 사용자가 보안 설정된 메뉴 실행 시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사용이 제한된 메뉴임을 알리는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사진 촬영. 데이터 전송,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컨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의 보안 등급이 설정된 경우, 상기 설정된 보안 등급에 따라 제한되는 기능을 설정한 기능 제한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표 1>은 기능 제한 리스트의 예를 나타낸 표이다.
보안 등급 제한된 기능
1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2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이동식디스크
3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이동식디스크, 녹음기능
4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이동식디스크, 블루투스, 녹음기능, 외장 메모리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기능 제한 리스트는 보안 등급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등급이 "1"인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100)는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기능을 사용할 수 없고, 보안 등급이 "2"인 사람의 휴대 단말기(100)는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이동식 디스크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이를 위해 휴대 단말기(100)는 보안 설정 신호 수신 시 보안 등급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제한 리스트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상기 기능 제한 리스트의 보안 등급 및 제한되는 기능들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제한리스트는 USIM 카드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될 수 도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특정 메뉴 실행 시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보안 설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10)는 보안 프로그램의 EF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EF가 "1"인 경우 제어부(110)는 보안 설정이 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EF가 "0"인 경우 보안 설정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안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실행된 메뉴가 보안 설정된 메뉴 즉, 기 저장된 기능 제한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행된 메뉴가 기능 제한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메뉴를 실행할 수 없음을 표시부(150) 또는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보안 설정이 된 경우 카메라 촬영 기능,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동식 디스크 기능, 녹음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파일 전송 기능 등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사용이 제한된 메뉴임을 사용자에게 스피커(미도시) 또는 표시부(150)를 통해 알릴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이 제한된 메뉴임을 알리는 팝업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경고음을 송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외부 디지털 기기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연결단자, 충전용 단자,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을 이용하는 각 기능들은 보안 설정 시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휴대 단말기(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USIM 카드 정보를 출입관리서버(300)에 기 등록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문을 위해 휴대 단말기(100)를 RFID 판독기(200)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면, RFID 판독기(200)는 S401 단계에서 USIM 카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SIM 카드 정보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로서, MIN, IMEI, 공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ID 판독기(200)는 S402 단계에서 인식된 USIM 카드 정보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출입관리서버(300)에 상기 USIM 카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USIM 카드 정보의 등록 여부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USIM 카드 정보를 전송받은 출입관리서버(300)는 S403 단계에서 USIM 카드 정보의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출입관리서버(300)는 USIM 카드 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USIM 카드 정보 수신 시간을 확인하고, 저장함으로서 상기 USIM 카드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출입 관리(예컨대 출퇴근 시간 관리, 휴일 근무 시간 관리 등)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출입관리서버(300)는 S404 단계에서 USIM 카드 정보의 등록 여부를 RFID 판독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따른 보안 등급이 설정된 경우 상기 출입관리서버(300)는 상기 보안 등급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보안 등급은 상기 USIM 카드 정보 등록 시 출입관리서버(300)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상기 RFID 판독기(200)는 S405 단계에서 상기 USIM 카드 정보가 등록된 경우 S407 단계로 진행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보안 설정 신호를 전송한 후, S411 단계에서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RFID 판독기(200)로부터 보안 설정 신호를 전송받은 휴대 단말기(100)는 S409 단계에서 보안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일부 기능 예컨대 카메라 촬영 기능,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동식 디스크 기능, 녹음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파일 전송 기능 등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안 설정 신호에 보안 등급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술한 기능 제한 리스트를 참조하여 사용이 제한되는 기능을 확인함으로서 보안 등급에 따른 보안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S405 단계에서 등록된 카드가 아닌 경우 RFID 판독기(200)는 S413 단계로 진행하여 미등록 카드임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 예컨대 "귀하는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 입니다. 확인 후 다시 이용해 주십시요"와 같은 음성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USIM 카드의 등록 여부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RFID 판독기(200)는 휴대 단말기(100)의 보안 설정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 후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RFID 판독기(200)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보안 설정 완료 신호 수신 시 출입문을 개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 출입 시 휴대 단말기의 USIM 카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보안 설정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일부 기능이 제한되도록 보안 설정된 휴대 단말기의 메뉴 실행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실행 시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S501 단계에서 특정 메뉴 실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메뉴 실행을 감지한 제어부는 S503 단계에서 보안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보안 설정이 된 경우 제어부는 S505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실행된 메뉴가 보안 설정된 메뉴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안 등급에 따라 제한되는 기능을 달리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기 저장된 기능 제한 리스트를 참조하여 제한되는 기능 즉, 보안 설정된 메뉴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USIM 카드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USIM 카드에 저장된 보안 프로그램으로부터 보안 설정된 메뉴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S505 단계에서 실행 요청된 메뉴가 보안 설정된 경우 제어부는 S507 단계로 진행하여 메뉴의 실행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에 S505 단계에서 보안 설정된 메뉴가 아닌 경우 제어부는 S509 단계로 진행하여 실행 요청된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S50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에 보안 설정이 되지 않은 경우 S509 단계로 진행하여 실행 요청된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보안 설정 상태임을 알리는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뉴 실행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Claims (17)

  1. 휴대 단말기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판독기에 접근하는 경우 RFID 판독기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정보를 인식하는 과정;
    상기 RFID 판독기가 상기 인식된 USIM 카드 정보의 등록 여부를 출입관리서버에 요청하는 과정;
    상기 출입관리서버가 상기 USIM 카드 정보의 등록 여부를 RFID 판독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USIM 카드 정보가 상기 출입관리서버에 등록된 경우 상기 RFID 판독기가 보안 설정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보안 설정 신호를 전송받은 휴대 단말기가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보안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IM 카드 정보가 상기 출입관리서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RFID 판독기가 미등록 사용자임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SIM 카드 정보의 등록 여부에 따라 상기 RFID 판독기가 출입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판독기가 출입문을 개방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경우 출입문을 개방하고, 보안 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출입문을 미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IM 카드 정보 수신 시 상기 출입관리서버에 상기 USIM 카드 정보 수신 시간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IM 카드 정보는
    전화번호, 장치 일련번호, 공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설정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USIM 카드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보안 등급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 등급에 따라 제한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기능은
    카메라 촬영 기능,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동식 디스크 기능, 녹음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파일 전송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9. 휴대 단말기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출입관리서버;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포함된 USIM 카드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출입관리서버에 등록된 USIM 카드 정보인 경우 휴대 단말기에게 보안 설정 신호를 전송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판독기;
    상기 보안 설정 신호 수신 시 일부 기능이 제한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판독기는
    상기 인식된 USIM 카드 정보가 미등록된 경우 미등록 사용자임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판독기는
    상기 USIM 카드 정보의 등록 여부에 따라 출입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판독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여, 보안 설정이 완료된 경우 출입문을 개방하고, 보안 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출입문을 미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USIM 카드 정보는
    전화번호, 장치 일련번호, 공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리서버는
    상기 USIM 카드 정보의 수신 시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리서버는
    상기 USIM 카드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보안 등급을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보안 등급에 따라 제한되는 기능이 다르게 설정된 기능 제한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시스템.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기능은
    카메라 촬영 기능,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동식 디스크 기능, 녹음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파일 전송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시스템.
KR20080090217A 2008-09-12 2008-09-12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479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0217A KR101479655B1 (ko) 2008-09-12 2008-09-12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
US12/583,611 US8643466B2 (en) 2008-09-12 2009-08-24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security of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0217A KR101479655B1 (ko) 2008-09-12 2008-09-12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230A true KR20100031230A (ko) 2010-03-22
KR101479655B1 KR101479655B1 (ko) 2015-01-06

Family

ID=4200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0217A KR101479655B1 (ko) 2008-09-12 2008-09-12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43466B2 (ko)
KR (1) KR1014796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46B1 (ko) * 2011-11-22 2013-11-26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이동 단말 기능 통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089485B2 (en) 2013-03-22 2018-10-02 I3 Systems, Inc. Mobile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storage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9211A1 (en) * 2009-09-08 2011-03-17 Axalto Smart Cards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binding secure device to a wireless phone
CN103139767B (zh) * 2011-11-28 2016-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手机及其通信方法
US9027102B2 (en) 2012-05-11 2015-05-0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eb server bypass of backend process on near field communications and secure element chips
US9282898B2 (en) 2012-06-25 2016-03-1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End-to-end trusted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US9183412B2 (en) 2012-08-10 2015-11-1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and using multiple trusted security zones on an electronic device
US8888002B2 (en) 2012-09-18 2014-11-18 Sensormatic Electronics, LLC Access control reader enabling remote applications
CN103813305A (zh) * 2012-11-15 2014-05-21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基于网络侧控制手机终端通信行为能力的方法与系统
US9578664B1 (en) 2013-02-07 2017-02-2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Trusted signaling in 3GPP interfaces in a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24016B1 (en) * 2013-04-04 2016-04-2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igest of biographical inform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static and dynamic portions
US9838869B1 (en) 2013-04-10 2017-12-0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elivering digital content to a mobile device via a digital rights clearing house
US9426604B1 (en) 2013-04-30 2016-08-2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revention of inductive coupling between components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560519B1 (en) 2013-06-06 2017-01-3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rofound identity brokering framework
EP3090405A4 (en) * 2014-01-03 2017-03-08 Gleim Conferenc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validating test takers
CN104217482A (zh) * 2014-09-05 2014-12-17 南通北城科技创业管理有限公司 一种房屋门锁控制监控系统
US9779232B1 (en) 2015-01-14 2017-10-0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Trusted code generation and verification to prevent fraud from maleficent external devices that capture data
US9838868B1 (en) 2015-01-26 2017-12-0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ated universal serial bus (USB) wireless dongles configured with destination addresses
US9819679B1 (en) 2015-09-14 2017-11-1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Hardware assisted provenance proof of named data networking associated to device data, addresses, services, and servers
US10282719B1 (en) 2015-11-12 2019-05-0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ecure and trusted device-based billing and charging process using privilege for network proxy authentication and audit
US9817992B1 (en) 2015-11-20 2017-11-1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USIM wireless network access
US10135872B2 (en) * 2016-06-24 2018-11-20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aware mobile policies
US10499249B1 (en) 2017-07-11 2019-12-0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ata link layer trust signaling in communication network
CN112070946A (zh) * 2020-09-02 2020-12-11 平安信托有限责任公司 基于闸机的社交应用程序管控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513301A (en) * 1999-11-30 2001-06-12 Bording Data A/S An access control system
JP3576977B2 (ja) * 2001-01-12 2004-10-13 株式会社東芝 携帯端末
EP1372089A4 (en) * 2001-03-13 2006-06-07 Fujitsu Ltd ELECTRONIC MONEY SETT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973333B1 (en) * 2001-04-10 2005-12-06 At&T Corp. Modification of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operation in vehicles
NZ533176A (en) * 2001-12-25 2005-10-28 Ntt Docomo Inc Device and method for restricting content access and storage
US6892052B2 (en) * 2002-03-26 2005-05-10 Nokia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discovery for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JP4022131B2 (ja) * 2002-11-21 2007-12-12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の位置登録方法、プログラム及び装置
GB2405771B (en) * 2003-06-27 2007-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communication device having built-in camera
KR100566260B1 (ko) * 2003-11-27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주파수 식별 태그와 스마트 카드가 결합된 이동단말기및 그 이동단말기에서의 무선 식별 방법
WO2006008223A1 (de) * 2004-07-16 2006-01-26 Swisscom Mobile Ag Verfahren, mit welchem ein endgerät informationen, die mit einem epc-code assoziiert werden, aus einem epc-netzwerk holen kann
KR100727423B1 (ko) * 2004-10-11 2007-06-13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
CN102831676B (zh) * 2004-11-02 2015-07-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管理系统
KR20060068867A (ko) 2004-12-17 2006-06-21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카메라 기능 제한 방법
JP2006191274A (ja) 2005-01-05 2006-07-20 Nec Corp 携帯通信端末システム、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携帯通信端末、機能制限方法及び機能制限制御プログラム
US20090075592A1 (en) * 2005-12-16 2009-03-19 Sebastian Nystrom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d providing indications of communication ev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46B1 (ko) * 2011-11-22 2013-11-26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이동 단말 기능 통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089485B2 (en) 2013-03-22 2018-10-02 I3 Systems, Inc. Mobile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655B1 (ko) 2015-01-06
US8643466B2 (en) 2014-02-04
US20100066486A1 (en)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655B1 (ko)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
EP2458834A1 (en) Mobile terminal with NFC function
EP3671694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access method and device
EP26776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terminal
CN105307137A (zh) 短信读取方法及装置
CN105550568B (zh) 移动终端数据保护的方法及装置
CN105472596A (zh) 通信号码的绑定方法、装置及终端
CN104376273A (zh) 一种数据访问控制方法和装置
JP6126755B2 (ja) 端末検証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8091808B (zh) 电池、设备、充电控制方法及装置
JP2017514428A (ja) 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70038178A (ko) 지문 인식 방법, 장치, 이동 단말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05631254B (zh) 解锁方法及解锁装置
CN110049062A (zh) 验证码校验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832120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KR2019008632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eSIM 관리 방법
US20220240247A1 (en) A time domain configura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a
CN114595437A (zh) 访问控制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162612B (zh) 控制Root权限的方法及装置
CN112163192A (zh) root权限获取方法、装置、介质和电子设备
CN114416127A (zh) 终端软件升级方法、终端软件升级装置及存储介质
CN203673550U (zh) 门禁装置及系统
KR102001223B1 (ko)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휴대 단말을 인증하는 외부 디바이스
CN115623486A (zh) 个人身份识别码pin码的处理方法和装置
CN106355410A (zh) 电子设备及信息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