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860A - Method of transmitting data - Google Patents

Method of transmitting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860A
KR20100019860A KR1020080078603A KR20080078603A KR20100019860A KR 20100019860 A KR20100019860 A KR 20100019860A KR 1020080078603 A KR1020080078603 A KR 1020080078603A KR 20080078603 A KR20080078603 A KR 20080078603A KR 20100019860 A KR20100019860 A KR 20100019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ing
collision
data
terminal
radio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6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진수
정재훈
조한규
성단근
정방철
강민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8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9860A/en
Publication of KR2010001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8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s provided to reduce signaling overhead and to improve system performance by assign radio resource based on the advantage of the collision-based transmission mode and scheduling-bases transmission mode. CONSTITUTION: A multiple access pointer is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The multiple access pointer indicates scheduling or collision based mode for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In case of the scheduling base mode, the uplink data is transmitted through a scheduling based block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the scheduling base mode among wireless resource frames. In case of the collision based mode, the uplink data is transmitted through a collision based block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the collision based mode.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Method of Transmitting Data}Method of Transmitting Data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접속 방식에 따른 무선자원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 multiple access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무선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및/또는 데이터가 무선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인 무선통신 시스템은 다중 사용자에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유 자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시스템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다양한 다중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re widely used to provide various kinds of communication. For example, voice and / or data are provid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ypi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rovide multiple users with one or more shared resource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y use various multiple access schemes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nd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은 다수의 직교 부반송파(subcarrier)를 이용한다. OFDM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와 FFT(fast Fourier Transform) 사이의 직교적 특성을 이용한다. 전송기에서 데이터는 IFFT를 수행하여 전송한다. 수신기에서 수신신호에 대해 FFT를 수행하여 원래 데이터를 복원한다. 전송기는 다중 부반송파들을 결합하기 위해 IFFT를 사용하고, 다중 부반송파들을 분리하기 위해 수신기는 대응하는 FFT를 사용한다.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uses multiple orthogonal subcarriers. OFDM uses an orthogonal characteristic between an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and a Fast Fourier Transform (FFT). At the transmitter, data is sent by performing an IFFT. The receiver performs FFT on the received signal to recover the original data. The transmitter uses an IFFT to combine multiple subcarriers, and the receiver uses a corresponding FFT to separate multiple subcarriers.

OFDM에 의하면, 광대역 채널의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 환경에서 수신기의 복잡도를 낮추고, 부반송파간의 상이한 채널 특성을 활용하여 주파수 블록에서의 선택적 스케줄링 등을 통해 주파수 효율(spectral efficiency)을 높일 수 있다.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는 OFDM을 기반으로 한 다중접속 방식이다. OFDMA에 의하면 다중 사용자에게 상이한 부반송파를 할당함으로써 무선자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OFDM, the complexity of the receiver can be reduced in a frequency selective fading environment of a wideband channel, and the spectral efficiency can be increased through selective scheduling in a frequency block by using different channel characteristics between subcarriers.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is a multiple access scheme based on OFDM. According to OFDMA, the efficiency of radio resources can be improved by assigning different subcarriers to multiple users.

무선통신 시스템은 적용 영역(coverage area)을 제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을 채용한다. 전형적인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은 단말이 독립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스트림이다. 또한, 단말도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s one or more base stations that provide a coverage area. A typical base station can transmit multiple data streams for broadcast, multicast and / or unicast services. The data stream is a stream of data that the terminal can independently receive.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transmit a data stream to the base station or another terminal.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Hereinafter, downlink means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and uplink means communication from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일반적으로 기지국은 무선자원을 스케줄링한다. 무선자원은 상향링크에서 상향링크 자원이 되고, 하향링크에서 하향링크 자원이 된다. 하향링크에서 기지국은 데이터 스트림에 할당된 하향링크 자원을 단말에게 알려주고, 단말은 상기 하향링크 자원을 통해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다. 상향링크에서 기지국은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단말에게 알려주고, 단말은 상기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In general, the base station schedules radio resources. Radio resources become uplink resources in uplink and downlink resources in downlink. In downlink, a base station informs a user equipment of a downlink resource allocated to a data stream, and the terminal receives the data stream through the downlink resource. In uplink, a base station informs a user equipment of an allocated uplink resource, and the terminal transmits a data stream through the uplink resource.

전송할 데이터 스트림의 양, 채널 상태나 QoS(Quality of Service)에 따라서 할당되는 무선자원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의 양이 많으면 많은 무선자원이 할당되어야 한다. 하지만, 무선자원의 크기는 유한하므로, 무선자원은 효율적으로 할당되어야 한다.The size of the allocated radio resource may vary according to the amount of data stream to be transmitted, the channel state, or the quality of service (QoS). If the amount of data stream is large, many radio resources must be allocated. However, since the size of radio resources is finite, radio resources should be allocated efficiently.

스케줄링 기반 방식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에는 충돌이 발생할 우려가 없는 대신에, 각 사용자 간에 간섭이 없어야 하기 때문에 수용 가능한 사용자의 수가 제한된다. 또한 실시간 중 저속의 데이터를 전송을 요구하는 서비스에 적절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allocating resources according to the scheduling-based scheme, there is no risk of collision, but the number of users that can be accommodated is limited because there should be no interference between user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suitable for services that require the transmission of low-speed data in real time.

다만, 충돌 기반 방식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스케줄링 프로토콜을 이용하지 않고, 채널 상황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스펙트럼 효율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높은 스펙트럼 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자원 할당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However, in case of allocating resources according to the collision-based scheme, high spectral efficiency cannot be obtained because the scheduling protocol is not used and channel conditions are not consider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that can provide a high spectrum efficiency to more users.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 기반 방식과 충돌 기반 방식 중 어느 방식에 따라 전송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다중접속 지시자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접속 지시자가 상기 스케줄링 기반 방식의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무선자원 프레임 중 스케줄링 기반 방식에 따라 데이터가 전송되는 스케줄링 기반 블록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다중접속 지시자가 상기 충돌 기반 방식의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무선자원 프레임 중 상기 충돌 기반 방식에 따라 데이터가 전송되는 충돌 기반 블록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ata transmission method comprising: receiving, from a base station, a multiple access indicator indicating whether to transmit uplink data according to a scheduling based method or a collision based method; And when the multiple access indicator indicates transmission of the scheduling based scheme, the uplink data is transmitted through a scheduling based block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ccording to a scheduling based scheme among radio resource frames, and the multiple access indicator is based on the collision. And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through a collision based block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collision based scheme among the radio resource frames when instructing transmission of the sche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링 기반 전송 방식과 충돌 기반 전송 방식의 장점을 취합하여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시 시그널링 오버헤드는 줄이면서 시스템의 성능은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dio resources are allocated by combining the advantages of the scheduling-based transmission method and the collision-based transmission method. As a result,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can be improved while reducing the signaling overhead in data transmission.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re widely deployed to provide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voice and packet data.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20)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user equipment (UE) 10 and a base station 20 (BS). The terminal 10 may be fixed or mobile and may be called by other terms such as a mobile station (MS), a user terminal (UT), a subscriber station (SS), and a wireless device. The base station 20 generally refers to a fixed station that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10, and in other terms, such as a Node-B, a Base Transceiver System, or an Access Point. Can be called. One or more cells may exist in one base station 20.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다양한 다중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OFDMA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ultiple access scheme appli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Various multiple access techniques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can be used. For clarity,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n OFDMA-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프레임(frame)은 상향링크 전송에 있어서 상향링크 프레임이 되고, 하향링크 전송에 있어서 하향링크 프레임이 된다. 프레임은 상향링크 프레임과 하향링크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uplink transmission or downlink transmission. Hereinafter, a frame becomes an uplink frame in uplink transmission and becomes a downlink frame in downlink transmission. The frame may include an uplink frame and a downlink frame. The uplink transmission and the downlink transmission may use a time division duplex (TDD) scheme that is transmitted using different times, or may use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scheme that is transmitted using different frequencies.

도 2는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다. 2 shows an example of a frame.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의 일축은 시간 영역에서 OFDMA 심벌 인덱스를 나타내고, 다른 축은 주파수 영역에서 서브채널(subchannel) 인덱스를 나타낸다. 서브채널은 복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한다.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A 심벌과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서브채널을 포함한다.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말한다.2, one axis of the frame represents an OFDMA symbol index in the time domain and the other axis represents a subchannel index in the frequency domain. The subchannel includes a plurality of subcarriers. The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OFDMA symbols in the time domain and a plurality of subchannels in the frequency domain.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refers to the time required to transmit one frame.

여기서 하나의 프레임은 N+1개의 OFDMA 심벌과 K+1개의 서브채널을 포함하나(N, K는 임의의 자연수), OFDMA 심벌의 수 및 서브채널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 OFDMA 인덱스 및 서브채널 인덱스도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Here, one frame includes N + 1 OFDMA symbols and K + 1 subchannels (N and K are arbitrary natural numbers), but the number of OFDMA symbols and the number of subchannels are not limited. The OFDMA index and the subchannel index may also be variously changed.

즉, 도 2에 도시된 프레임 상에서 무선자원이 할당되는 경우 무선자원 할당 정보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위무선자원들의 수와 오프셋을 포함하고, 무선자원 할당 정보를 통해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무선자원을 알 수 있다. 오프셋은 단말에 할당되는 무선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값이다. That is, when radio resources are allocated on the frame shown in FIG. 2,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and offset of unit radio resources constituting the frame, and through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he terminal identifies the radio resource allocated to itself. Able to know. The offset is a value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radio resource allocated to the terminal.

단말에게 무선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무선자원 할당 정보를 다음 표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allocating radio resources to the terminal may be defined as shown in Table 1 below.

NameName Number of bitsNumber of bits DescriptionDescription OFDMA symbol offsetOFDMA symbol offset 88 Offset from start symbol of frameOffset from start symbol of frame Subchannel offsetSubchannel offset 77 Offser from start subchannel of frameOffser from start subchannel of frame Number of OFDMA symbolsNumber of OFDMA symbols 77 -- Number of subchannelsNumber of subchannels 77 -- ReservedReserved 33 --

OFDMA 심벌 오프셋은 할당이 시작되는 OFDMA 심벌 인덱스를 나타내고, 서브채널 오프셋은 할당이 시작되는 서브채널 인덱스를 나타내고, OFDMA 심벌의 수는 할당된 OFDMA 심벌의 수를 나타내고, 서브채널의 수는 할당된 서브채널의 수를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난 명칭과 비트 수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칭과 비트 수는 시스템에 따라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OFDMA symbol offset indicates the OFDMA symbol index from which allocation is started, subchannel offset indicates the subchannel index from which allocation is started, the number of OFDMA symbols indicates the number of allocated OFDMA symbols, and the number of subchannels is assigned Indicates the number of channels. The names and number of bits shown in Table 1 are merely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e and number of bits can vary from system to system.

미리 일정한 크기를 갖는 단위무선자원을 정의하고, 단위무선자원의 수와 오프셋을 무선자원 할당 정보로 생성하여 단말에게 전송한다. 단위무선자원의 수와 오프셋을 통해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임의의 위치와 임의의 크기로 단말에게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는 무선자원 할당의 자유도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단말에게 필요한 무선자원의 크기에 따라서 유연하게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에 의하면 무선자원 할당 정보의 크기가 커진다. 표 1의 예제에서, 하나의 할당된 무선자원을 가리키기 위해, 적어도 32비트의 무선자원 할당 정보가 필요하다. Unit radio resourc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re defined in advance, and the number and offset of unit radio resources are generated as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radio resource may be allocated to the terminal at an arbitrary position and any size within one frame through the number and offset of the unit radio resources. This can be said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radio resource allocation. Radio resources can be flexibly alloc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radio resources required by the terminal. However, this method increases the size of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n the example of Table 1, at least 32 bits of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are needed to indicate one allocated radio resource.

이하에서 프레임 내에서 단말에게 할당되는 영역을 할당영역(A1)이라고 하며, 할당영역(A1)은 단말에게 할당된 무선자원을 말한다. 할당영역(A1)의 크기나 위치는 예시에 불과하다. 할당영역(A1)은 적어도 하나의 자원요소를 포함하는 자원요소의 집합으로서 자원요소의 수와 오프셋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할당영역(A1)은 24 자원요소를 포함하고, 표 1의 표현을 사용하면 "OFDMA symbol offset = 2, Subchannel offset = 3, Number of OFDMA symbols = 4, Number of subchannels = 6" 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Hereinafter, an area allocated to the terminal in the frame is called an allocation area A1, and the allocation area A1 refers to a radio resource allocated to the terminal. The size or position of the allocation area A1 is merely an example. The allocation area A1 is a set of resource elements including at least one resource element and may be represented by the number and offset of the resource elements. The allocation area A1 according to an example includes 24 resource elements, and using the expression of Table 1, "OFDMA symbol offset = 2, Subchannel offset = 3, Number of OFDMA symbols = 4, Number of subchannels = 6". Can be represented.

도 3은 스케줄링 기반 방식을 통한 데이터 전송의 일 예를 나타낸다. 3 shows an example of data transmission through a scheduling based scheme.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에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한다(S310). 그러면 기지국은 단말로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을 위한 자원을 할당한다(S320). 단말은 스케줄링 요청을 위해 할당받은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330). 기지국은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에 상응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하고(S340), 단말은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S350). Referring to FIG. 3, the terminal transmits an access preamble to the base station (S310). Then, the base station allocates a resource for a scheduling request (SR) to the terminal (S320). The terminal transmits the scheduling request to the base station by using the radio resource allocated for the scheduling request (S330). The base station allocates radio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uplink data according to the scheduling request of the terminal (S340), and the terminal transmits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S350).

단말들의 자원 및 채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도 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단말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에 무선자원을 스케줄링하여 할당한다. 즉 여기서 기지국은 스케줄링 방식에 의해 무선자원을 단말에 할당하게 된다. It also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resources and channel status of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schedules and allocates radio resources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terminal. That is, the base station allocates radio resources to the terminal by a scheduling method.

이와 같이 스케줄링 기반의 무선자원 할당 방법은, 단말이 기지국으로 무선자원 할당 요청을 전송하고, 기지국은 이에 상응하여 기지국의 스케줄링에 따라 단말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기본적인 내용으로 한다. 예컨대, 스케줄링 기반 방식에 따르면 기지국은 매 프레임의 전송시마다 각 사용자 단말에 유리한 무선자원을 할당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cheduling-based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the terminal transmits a radio resource allocation request to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ly allocates radio resources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scheduling of the base station.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scheduling-based scheme, the base station allocates an advantageous radio resource to each user terminal at every frame transmission.

도 4는 충돌 기반 방식을 통한 데이터 전송의 일 예를 나타낸다.4 shows an example of data transmission through a collision based method.

충돌 기반 방식에 따르면 기지국과 단말 간에는 스케줄링 없이 무선자원이 할당됨과 동시에 데이터가 바로 전송된다. 따라서 충돌 기반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 별도의 스케줄링 요청을 하기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받을 필요 없이 바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410). 이 때 일 예에 따르면 데이터는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스케줄링 기반 방식을 통한 데이터 전송에 비하여 도 4에 도시된 충돌 기반 방식에 의한 데이터 전송은 그 과정이 간소한 것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llision-based method, a radio resource is allocated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without scheduling and data is transmitted immediately. Therefore, referring to FIG. 4, which shows an embodiment of transmitting data based on a collision-based scheme, the terminal immediately transmits data without having to allocate radio resources for a separate scheduling request to the base station (S410). 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xample, data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random access channel. Compared to the data transmission based on the scheduling based scheme illustrated in FIG. 3, the data transmission based on the collision based scheme illustrated in FIG. 4 may be simplifi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할당 방법과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다중접속 방식에 관한 것인데, 다중접속 방식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주어진 대역을 협력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규칙을 의미한다. 전체 통신 채널은 서브 채널로 나뉠 수 있고, 이것은 각각의 사용자들의 단말로 할당된다. 보통 사용자의 수는 허용된 서브채널의 수보다 많고, 그 사용자 중의 일부만이 특정 시간대에 전송할 데이터를 갖는다. 따라서 전송할 데이터를 갖고 있는 사용자들이 효율적으로 무선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Hereinafter, a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 data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multiple access scheme, which means a rule for a plurality of users to cooperatively use a given band. The entire communication channel can be divided into subchannels, which are assigned to the terminals of the respective users. Usually the number of users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subchannels allowed, and only some of those users have data to send in a particular time frame. Therefore, users who have data to transmit should be able to utilize radio resources efficiently.

그러나 무선 통신의 특성에 의해 한 사용자의 단말이 데이터나 신호 등의 전송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전송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다른 사용자의 단말과의 간섭이 제어되거나 회피될 수 있어야 데이터 전송이 성공적일 수 있다. 동시에 진행되는 다수의 무선 전송은 충돌을 일으키거나 신호를 왜곡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중접속 프로토콜에는 자원 할당 방식에 관한 논의된다.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order for a user's terminal to successfully transmit data or a signa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ata transmission of another user terminal. That is, data transmission can be successful only when interference with another user's terminal can be controlled or avoided. Multiple simultaneous wireless transmissions can cause collisions or distort signals. Therefore, the multi-access protocol discusses the resource allocation scheme.

하이브리드 다중접속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케줄링 기반 방식,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충돌 기반 방식 및 도약 기반 방식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의 무선자원 할당 또는 데이터 전송 방법은 스케줄링 기반의 무선자원 할당 방식과 충돌 기반 방식이 결합된 형태이다. In the hybrid multiple access, the scheduling based schem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collision based scheme and the leap based schem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r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hybrid radio resource allocation or data transmission method is a combination of a scheduling-based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 collision-based method.

스케줄링 기반 방식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시마다 각 사용자 단말에 유리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데에 비하여, 충돌 기반 방식은 무선자원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스케줄링을 거치지 않고 단말의 상태와 무관하게 데이터 전송 전에 송수신 단 간에 미리 알고 있는 도약 패턴을 이용하여 신호 부하(signaling overhead)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자원할당방식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scheduling-based scheme allocates an advantageous radio resource to each user terminal at every data transmission, whereas the collision-based scheme does not undergo scheduling in using radio resources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efore or after data transmission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terminal. It is a resource allocation method that can greatly reduce signaling overhead by using a leap pattern known in advance.

또한 스케줄링 기반 방식은 각 사용자에게 유리한 자원을 서로 간섭 없이 효율적으로 할당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자원 할당 방식이 복잡하다. 반면 충돌 기반 방식은 채널 정보에 상관없이 자원을 할당하기 때문에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환경에서 높은 스펙트럼 효율을 얻을 수 없다. In addition, the scheduling-based scheme is complicated because resource allocation advantageous to each user must be efficiently allocated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llision-based method allocates resources regardless of channel information, high spectral efficiency cannot be obtained in a frequency selective fading environment.

충돌 기반 방식은 주파수 대역과 시간축 상의 무선자원을 사용함에 있어서, 스케줄링 없이 접속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충돌 기반 방식에 의하면 트래픽 부하가 낮을 때에 망에 접속하는 시간이 단축된다. 그러나 충돌 기반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 수가 많거나 사용자 수의 변동이 큰 경우 또는 저속/중속의 데이터 사용자 단말들이 주기적이거나 비주기적이 트래픽을 가지는 경우에 사용된다. The collision based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connection is made without scheduling in using radio resources on a frequency band and a time base. The collision-based approach shortens the time to access the network when the traffic load is low. However, the collision-based method is used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users or a large variation in the number of users, or when low / medium-speed data user terminals have periodic or aperiodic traffic.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무선자원의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은 복수의 자원 블록(501, 502, 503, 504)들로 구분된다. 각각의 단위 블록들은 서로 다른 방식에 의해 단말에 할당된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of radio resources config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 fram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source blocks 501, 502, 503, and 504. Each unit block is allocated to the terminal in a different manner.

프레임에는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한 자원 블록(501),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자원 블록(502), 기지국의 스케줄링에 따라 단말에 할당되어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 블록인 스케줄링 기반 블록(503)과 스케줄링 없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자원 블록인 충돌 기반 블록(504)이 포함되는데, 시스템에 따라 이들 자원 블록들 중 일부 종류의 자원 블록은 없을 수 있다. 같은 종류의 자원 블록들은 반드시 인접해 있을 필요는 없으며, 흩어져 있을 수 있다. The frame includes a resource block 501 for transmitting an access preamble, a resource block 502 for transmitting a scheduling request, a scheduling base block 503 that is a resource block allocated to a terminal according to a scheduling of a base station, and data is transmitted. Conflict-based block 504, which is a resource block without data transmission, is included. Depending on the system, some types of resource blocks may be absent. Resource blocks of the same type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ntiguous and may be scattered.

각 단말이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데이터의 길이는 모두 다를 수 있으며, 각 단말에 상응하는 상향채널 또는 하향채널의 트래픽 양도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의 각 상태를 고려하여 자원 블록이 할당된다. 예컨대, 특정 단말과 기지국 간에 전송될 데이터의 길이가 짧으면, 그 단말에는 충돌 기반 블록(504)이 할당된다. 반대의 경우에는 스케줄링 기반 블록(503)의 단위블록을 할당한다. The length of data transmitted or received by each terminal may be different, and the amount of traffic of an uplink channel or a downlink channel corresponding to each terminal may also be different. Therefore, resource blocks are allocated in consideration of each state of the terminal. For example, if the length of data to be transmitted between a specific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is short, the terminal is assigned a collision based block 504. In the opposite case, the unit block of the scheduling base block 503 is allocated.

어떤 종류의 자원 블록이 할당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에는 데이터의 길이 외에도 셀 내의 단말의 수를 고려될 수 있다. 즉 셀 내의 단말의 수가 적거나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는 충돌 기반 블록이 할당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스케줄링 기반 블록이 할당될 수 있다. In determining what kind of resource block is to be allocated, the number of terminals in a cell may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the length of data. That is, when the number of terminals in the cell is small or below a certain level, collision-based blocks may be allocated, and in contrast, scheduling-based blocks may be allocated.

이 외에도 트래픽 양이나 채널 상황이 고려될 수 있다. 즉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에게 트래픽의 양이 적은 자원 블록 또는 채널 이득을 높일 수 있는 무선자원을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할당 방식은 스케줄링 기반의 무선자원 할당 방식과 충돌 기반의 무선자원 할당 방식이 혼합된 형태가 된다. 단말에 어떤 단위블록을 할당할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CQI(Channel Quality Indication) 등의 채널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raffic volume or channel conditions may be considered. That is, a resource block having a small amount of traffic or a radio resource capable of increasing a channel gain may be preferentially allocated to a terminal having data to be transmitted. Accordingly,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xture of a scheduling-based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 collision-based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order to determine which unit block to allocate to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may receive information on channel conditions such as channel quality indication (CQI) from the terminal.

또한 각 자원 블록들의 채널 상태에 따라, 스케줄링 기반 블록(503)과 충돌 기반 블록(504) 간의 상대적인 비율이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케줄링 기반 블록(503)과 충돌 기반 블록(504)들의 크기나 비율, 프레임 내에서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다만 채널 상황이나 단말의 상태, 데이터량 등에 따라 무선자원 프레임 내의 스케줄링 기반 블록이 차지하는 영역과 충돌 기반 블록이 차지하는 영역은 다양한 방법과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nnel state of each resource block, the relative ratio between the scheduling base block 503 and the collision-based block 504 may be predetermined.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the ratio, and the position in the frame of the scheduling based block 503 and the collision based block 504 are fixed. However, the area occupied by the scheduling-based block and the area occupied by the collision-based block in the radio resource frame may be fixed in various methods and forms according to the channel condition, the state of the terminal, and the amount of data.

무선자원 프레임 내에서 스케줄링 기반 블록의 비율은 단말들 중 활동성이 높은 단말의 수가 많은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즉 셀 내에서 활동성(Activity)이 높은 단말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스케줄링 기반 블록의 비율이 커진다. 여기서 이러한 단말들은 주로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할 수 있다. 반면 충돌 기반 블록의 비율은 활동성이 낮은 단말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커진다. 이 경우 단말들은 상대적으로 저/중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할 수 있다. The ratio of scheduling-based blocks in a radio resource frame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number of highly active terminals among the terminals is large. That is, as the number of terminals having high activity in a cell increases, the ratio of scheduling-based blocks increases. In this case, these terminals may mainly require a high speed data service.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collision-based blocks increases as the number of terminals with low activity increases. In this case, the terminals may request a relatively low / medium speed data servic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할당된 무선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n allocated radio re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다중접속 지시자를 수신한다(S61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중접속 지시자는 자원 할당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 외에도, 셀 내의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 아니면 충돌 기반 방식에 따라 스케줄링 없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The terminal receives a multiple access indicator from the base station (S61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general content regarding resource allocation, the multi-access indicator may transmit uplink data according to a scheduling scheme or uplink data without scheduling according to a collision-based scheme when a terminal in a cell transmits uplink data. Contain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o send.

다중접속을 시도하는 단말은 다중접속 지시자를 수신하여 다중접속 지시자에 상응하는 자원 블록에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싣게 된다. 다중접속 지시자는 전용 채널(dedicated chanel)을 통해 특정 단말로 전송되거나, 공용 채널을 통해 일정 그룹 내의 모든 단말들에게 전송될 수 있다. A terminal attempting multiple access receives the multiple access indicator and loads uplink data to be transmitted to a resource block corresponding to the multiple access indicator. The multiple access indicator may be transmitted to a specific terminal through a dedicated channel or to all terminals in a group through a shared channel.

즉 다중접속 지시자는 무선자원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충돌 기반 블록과 스케줄링 기반 블록 중 단말이 어느 자원 블록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That is, the multi-access indicator includes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resource block the UE transmits uplink data from among the collision-based block and the scheduling-based block included in the radio resource frame.

단말은 다중접속 지시자의 내용에 따라 스케줄링 기반 블록 또는 충돌 기반 블록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S620). The terminal transmits uplink data through a scheduling based block or a collision based block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multiple access indicator (S620).

기지국이 각각의 단말에 상응하는 다중접속 지시자를 생성하여 각 해당 단말로 전송할 때에 셀 내의 단말의 수나 상향링크 데이터의 길이, 채널 상태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예컨대 셀 내에 단말의 수가 많은 때에는 단말들에게 스케줄링 기반 방식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지시하는 다중접속 지시자를 전송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충돌 기반 방식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지시하는 다중접속 지시자를 전송한다. 셀 내의 단말의 많고 적음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이용하여 기지국이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 수의 많고 적음 또는 단말 수의 증가 또는 감소가 다중접속 지시자가 어떤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지시할 것인지에 고려될 수 있다. When the base station generates a multi-access indicator corresponding to each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each corresponding terminal, the number of terminals in the cell, length of uplink data, channel state, etc. may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example,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terminals in a cell, a multi-access indicator instructing the UEs to transmit uplink data in a scheduling-based manner is transmitted, and vice versa, a multi-access indicator instructs the transmission of uplink data in a collision-based manner. do. Many and few of the terminals in the cell can be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using a preset reference value. As such, a large number or a small number of terminals or an increase or a decrease in the number of terminals may be considered in which manner of data transmission is indicated by the multiple access indicator.

예컨대 상기 다중접속 지시자는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필요로 하며 높은 활동성(Activity)을 가지는 단말에게는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를 스케쥴링 기반 방식에 따라 전송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낮은 활동성(Activity)을 가지는 단말에게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충돌 기반 방식에 따라 전송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낮은 활동성을 가지는 단말은 상대적으로 중/저속 데이터 서비스를 필요로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ultiple access indicator may require a fast data service and may instruct a terminal having high activity to transmit the uplink data according to a scheduling based scheme. In addition, a terminal having a relatively low activity may be instructed to transmit the uplink data according to the collision based scheme. In this case, a terminal having low activity may require a relatively medium / low speed data service.

또한 다중접속 지시자를 생성할 때에 전송될 데이터의 길이를 고려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의 길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결과 데이터의 길이가 긴 경우, 스케줄링 기반 방식에 따라 스케줄링 기반 블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다중접속 지시자를 단말에 전송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considering the length of data to be transmitted when generating the multi-access indicator, the base station compares the length of data to b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data is long, the scheduling based block according to the scheduling based method The multi-access indicator to the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여기서 데이터의 길이는 단말별 전송 대기열(Queue)에 대기중인 데이터의 양 또는 전송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의 길이에 관한 정보는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전송하기 전에 단말이 기지국으로 미리 전송한다. 이 경우 단말은 미리 기지국으로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Herein, the length of data may refer to the amount of data waiting to be transmitted to a transmission queue for each terminal or a transport block size. Information about the length of data is transmitted in advance by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before transmitting the data substantially.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access preamble to the base station in advance.

단말이 스케줄링 기반 블록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 스케줄링 요청을 한다. 또한 스케줄링 요청을 위해서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 요청을 위한 자원 블록(도 5의 502 참조)을 할당받을 수 있다. 기지국의 스케줄링에 따라 단말은 스케줄링 기반 블록을 할당받아, 스케줄링 기반 블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When the terminal transmits uplink data through the scheduling base block, the terminal sends a scheduling request to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a resource block (see 502 of FIG. 5) for scheduling request may be allocated from the base station for the scheduling request. According to the scheduling of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receives a scheduling based block and transmits data through the scheduling based block.

단말이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의 길이를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 데이터의 길이가 짧은 경우 단말은 스케줄링 없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데이터의 길이에 관하여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 경우 단말은 프레임 내의 무선자원을 도약하여 충돌 기반 블록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단말은 프레임 내의 여러 충돌 기반 블록 중에서 트래픽이 없는 충돌 기반 블록을 할당받을 수 있다.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ength of uplink data to b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with a reference value, if the length of data is short, the terminal transmits uplink data without scheduling. The length of the data is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terminal leaps radio resources in the frame and transmits uplink data through the collision based block. Here, the terminal may be allocated a collision-based block without traffic among several collision-based blocks in the frame.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자인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 유닛이나 프로세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The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hardware implementation,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 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a 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 processor, a controller, and a microprocessor are designed to perform the above functions. , Other electronic units,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software implementation,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as a module that performs the above-described function. The software may be stored in a memory unit and executed by a processor. The memory unit or processor may employ various mean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 can underst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include all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2는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rame.

도 3은 스케줄링 기반 방식을 통한 데이터 전송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ata transmission through a scheduling based scheme.

도 4는 충돌 기반 방식을 통한 데이터 전송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ata transmission through a collision based schem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무선자원의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of radio resources config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할당된 무선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n allocated radio re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 기반 방식과 충돌 기반 방식 중 어느 방식에 따라 전송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다중접속 지시자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Receiving a multiple access indicator from a base station indicating whether to transmit uplink data according to a scheduling based method or a collision based method; And 상기 다중접속 지시자가 상기 스케줄링 기반 방식의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무선자원 프레임 중 스케줄링 기반 방식에 따라 데이터가 전송되는 스케줄링 기반 블록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다중접속 지시자가 상기 충돌 기반 방식의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무선자원 프레임 중 상기 충돌 기반 방식에 따라 데이터가 전송되는 충돌 기반 블록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When the multiple access indicator indicates transmission of the scheduling based scheme, the uplink data is transmitted through a scheduling based block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ccording to a scheduling based scheme among radio resource frames, and the multiple access indicator transmits the uplink data. And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through a collision-based block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collision-based scheme among the radio resource frames when instructing transmission of the dat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자원 프레임 내에서 상기 스케줄링 기반 블록이 차지하는 영역과 상기 충돌 기반 블록이 차지하는 영역의 위치와 크기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And a position and a size of an area occupied by the scheduling based block and an area occupied by the collision based block in the radio resource frame are predetermin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셀 내의 단말의 수가 기준치보다 많으면 상기 다중접속 지시자는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를 상기 스케줄링 기반 방식에 따라 전송할 것을 지시하고, 상기 단말의 수가 상기 기준치보다 적으면 상기 다중접속 지시자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충돌 기반 방식에 따라 전송할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If the number of terminals in a cell is larger than a reference value, the multi-access indicator instructs to transmit the uplink data according to the scheduling based scheme, and if the number of terminals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multi-access indicator indicates the collision with the uplink data. And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the base sche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자원 프레임 내에서 상기 스케줄링 기반 블록의 비율은 셀 내의 단말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커지고, 상기 충돌 기반 블록의 비율은 상기 단말의 수가 적어짐에 따라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The ratio of the scheduling-based block in the radio resource frame increases as the number of terminals in a cell increases, the ratio of the collision-based block increases as the number of terminals decreas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케줄링 기반 블록 또는 상기 충돌 기반 블록에는 단말마다 직교하는 직교자원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Orthogonal resources orthogonal resources are allocated to each terminal in the scheduling based block or the collision based block.
KR1020080078603A 2008-08-11 2008-08-11 Method of transmitting data KR201000198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603A KR20100019860A (en) 2008-08-11 2008-08-11 Method of transmitting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603A KR20100019860A (en) 2008-08-11 2008-08-11 Method of transmitting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860A true KR20100019860A (en) 2010-02-19

Family

ID=42090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603A KR20100019860A (en) 2008-08-11 2008-08-11 Method of transmitting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986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64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S10944521B2 (en) Data sending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EP3103299B1 (en) Flexible sub-carrier spacing and symbol duration in ofdm based communication systems
JP71444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existence of low latency and latency tolerant communication resources
JP5865534B2 (en)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mission apparatus
CN101978664B (en) Frequency hopping pattern and arrangement for sounding reference signal
CA2683563C (en) Flexible signaling of resources on a control channel
US8817726B2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806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sound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dynamically changes
JP517678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9198090A (en) Dynamic selection of multi-carrier mode based of qos parameters
RU2763149C1 (en) Method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the same
JP5074007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JP20175194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uplink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468267B2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2384041A1 (en)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WO20170763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f-contained air interface partitions
JPWO2007088854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and RACH transmission method
CN109196941A (en) Communication means, terminal device and the network equipment based on wireless network
US201101498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872886B (en) Media access control layer architecture, data transmission method, network side equipment and terminal
KR101558568B1 (en)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 region for mitigating intercell interference
KR20100019860A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CN115315930B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guard interval
KR101505680B1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and allocating radio re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