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883A -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883A
KR20100018883A KR1020080077602A KR20080077602A KR20100018883A KR 20100018883 A KR20100018883 A KR 20100018883A KR 1020080077602 A KR1020080077602 A KR 1020080077602A KR 20080077602 A KR20080077602 A KR 20080077602A KR 20100018883 A KR20100018883 A KR 20100018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touch input
input
pressur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흠
박기준
이주화
안혜선
김건년
박광범
Original Assignee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7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8883A/ko
Publication of KR20100018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혹은 터치 윈도우(Touch Windows)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부분의 절대 좌표값을 인식하여 제1기능을 구현하고 동시에 터치입력의 압력변화(Z방향의 값)를 인식하여 제2기능을 다양하게 구현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입력이 검출되면 절대좌표값을 인식하여 지정된 제1기능을 표출시키는 과정, 터치입력에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Z방향 힘의 세기를 검출하여 설정된 제2기준압력의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Z방향의 힘의 세기가 제2기준압력 범위에 포함되면 제2기능을 표출시키는 과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치입력의 위치를 인식하여 지정된 하나의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터치입력의 압력변화에 따라 다른 하나의 기능을 다양하게 구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서, 고객의 다변화되는 욕구를 충족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077602
터치입력, 제1기능, 압력변화, 제2기능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system for User interface o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혹은 터치 윈도우(Touch Windows)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부분의 절대 좌표값(X,Y값)을 인식하여 제1기능을 구현하고 동시에 터치입력의 압력변화(Z값)를 인식하여 제2기능을 다양하게 구현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Stylus)로 접촉되는 표시수단의 화면상 위치를 인식하고, 소프트웨어의 처리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그에 대응되는 명령이 구현되도록 한다.
터치 스크린은 표시수단의 화면상에서 메뉴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한 특성에 따라 백화점이나 지하철, 은행 등 대중들이 많이 이용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다양한 종류의 포스 시스템 및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으며,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해 휴대폰, 스마트 폰, 팜 피씨(Palm PC), PDA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입력장치로 터치 스크린이 적용됨에 따라 다양한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표시수단의 화면상에서 원하는 위치 혹은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 절대좌표값 만을 인식하고, 소프트웨어의 처리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명령을 분석하여 그에 대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하는 단일 기능만이 제공되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한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화면상에 표시되는 사진이나 이미지의 확대/축소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화면상에 별도의 영역을 할애하여 버튼이나 스크롤 바를 구현하고, 이것의 터치입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비율로의 확대/축소가 제공되고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한 지점 이상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멀티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터치되어 있는 두 개의 손가락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으로 사진이나 이미지의 확대/축소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로 터치 스크린을 적용하는 경우 터치입력을 통해 아이콘을 선택하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지만, 사진의 확대/축소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표시수단에 별도의 영역을 정해 확대/축소 버튼이나 스크롤 바 등을 구현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가지고 멀티 터치입력을 구현함으로써 가능하나, 이는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량을 인지하여 구동시키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기술적 제한이 있고, 펜이나 장갑 낀 손, 기타 정전용량 값에 변화를 주지 못하는 물체로는 터치입력이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사람의 손만을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PDA와 같이 매우 작은 화면에는 손으로 작업해야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입력은 사용상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자기기의 입력수단으로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 혹은 터치 윈도우에서 사용자가 터치입력한 부분의 절대좌표값을 인식하여 제1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터치입력의 압력변화(Z값) 및 압력변화가 포함되는 이동량을 인식하여 사진이나 이미지의 확대/축소 및 옵션 창 구현, 가속도, 페이징, 탭 기능 등의 제2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터치센서가 내장된 윈도우 상의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과정; 상기 터치입력에 대한 절대 좌표값과 압력 변화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터치입력에 대한 제1기능과 압력 변화에 대한 제2기능을 구현하여 표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대기상태에서 터치입력이 검출되면 절대좌표값을 인식하여 지정된 제1기능을 표출시키는 과정; 터치입력에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Z방향 힘의 세기를 검출하여 설정된 제2기준압력의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Z방향의 힘의 세기가 제2기준압 력 범위에 포함되면 제2기능을 표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터치 스크린 혹은 터치 윈도우의 형태로 배치되며, 기능 선택을 검출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서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분석하여 절대좌표값을 추출한 다음 선택된 제1기능을 실행하고, 터치입력의 압력변화 및 이동량을 분석하여 제2기능을 실행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터치입력에 대한 제1기능 및 제2기능을 표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터치입력의 위치를 인식하여 지정된 하나의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터치입력의 압력변화에 따라 다른 하나의 기능을 다양하게 구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서, 고객의 다변화되는 욕구를 충족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입력부(100)와 제어부(200), 구동부(300) 및 표시부(400)를 포함한다.
입력부(100)는 입력감지부(110)와 신호변환부(120)를 포함하여 상기 표시부(400) 상에 터치 스크린 혹은 터치 윈도우의 형태로 배치되며, 사용자의 기능 선택을 검출하여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입력감지부(110)는 임의의 제1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입력과 제2기능을 실행하는 터치입력의 압력변화(Z방향의 값) 및 압력변화(Z방향의 값)가 포함된 이동량을 감지하여 출력한다.
상기 입력감지부(110)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센서와 터치입력의 압력변화(Z방향의 값)를 인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되거나 터치입력과 터치입력의 압력변화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하나의 센서로 적용된다.
상기 입력감지부(110)는 촉각센서, 로드 셀, 압력센서, FSR(Force sensing resistor)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으며, 터치입력의 압력변화(Z값)를 아날로그 신호로 인지할 수 있는 센서로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제1기능을 선택하는 터치입력의 압력은 0.2 ~ 0.3N의 범위로 설정되고, 제2기능을 선택하는 터치입력의 압력은 0.5 ~ 0.7N의 범위로 설정하여 사용자의 오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터치입력의 압력범위는 적용되는 대상의 전자기기 종류나 압력 변화를 인지하는 센서의 종류 및 감도에 따라 그 범위는 탄력적으로 조정 가능하다.
신호변환부(120)는 상기 입력감지부(110)에서 감지되는 터치입력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와 터치입력의 압력변화 및 압력변화가 포함된 이동량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제어부(200)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어부(200)는 터치 판별부(210)와 압력 판별부(220) 연산부(230) 및 기능 제어부(240)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입력부(100)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분석하여 절대좌표값을 추출한 다음 선택된 제1기능을 실행하고, 터치입력의 압력변화 및 압력변화 포함되는 이동량을 분석하여 선택된 제2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200)가 실행하는 제2기능은 이미지나 사진의 확대/축소, 전자서적의 낱장 혹은 단원별 페이징, 옵션창 띄우기, 글씨체 변화, 게임 속도조절 등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판별부(210)는 상기 신호변환부(12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감시하여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인식한다.
상기 압력판별부(220)는 상기 신호변화부(12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감시하여 터치입력의 압력변화(Z방향의 값)를 검출한다.
상기 연산부(230)는 터치입력의 절대좌표값를 추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기능 제어부(240)에 인가하고, 압력판별부(220)에서 검출되는 터치입력의 압력변화와 이동량을 추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40)에 인가한다.
기능 제어부(240)는 상기 절대좌표값에 지정된 임의의 제1기능을 추출하여 실행시키고, 터치입력의 압력변화와 이동량에 따라 이미지나 사진의 확대/축소, 전자서적의 낱장 혹은 단원별 페이징, 옵션창 띄우기, 글씨체 변화, 게임 속도조절 등의 제2기능을 실행시킨다.
구동부(300)는 상기 제어부(20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액정표시소자로 이루어지는 표시부(400)의 공통전극과 제어전극을 동작시켜 선택된 기능이 표출될 수 있도록 한다.
표시부(400)는 바람직하게는 액정 표시소자로 이루어지며, 구동부(300)의 동작에 따라 터치입력을 통해 선택한 제1기능 및 제2기능을 표출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전원이 온을 유지하는 대기상태에서(S101) 터치 스크린 혹은 터치 윈도우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입력하면 입력감지부(110)는 임의의 제1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입력과 제2기능을 선택하는 터치입력의 압력변화 및 압력변화가 포함된 이동량을 감지하여 신호변환부(120)에 인가한다.
신호변환부(120)는 상기 입력감지부(110)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와 터치입력의 압력변화(Z값) 및 이동량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00)에 인가한다.
이때, 제어부(200)내의 상기 터치 판별부(210)는 입력부(100)에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여(S102), 설정된 기준압력 바람직하게는 0.2 ~ 0.3N 범위의 터치입력이 검출되면 연산부(230)를 통해 터치입력 위치에 대한 절대 좌표값을 추출하여 기능 제어부(240)에 인가한다(S103).
기능 제어부(240)는 연산부(230)에서 인가되는 절대좌표값에 지정된 임의의 제1기능을 추출한 다음(S104) 구동부(300)를 통해 표시부(400)의 공동전극과 제어전극을 동작시켜 사용자가 선택한 제1기능을 표출시킨다(S105).
또한, 동시에 제어부(200)내의 압력판별부(220)는 터치입력의 압력변화를 검출하여 연산부(230)에 인가하면(S106), 연산부(230)는 제1기능의 선택에 연속되어 인가되는 터치입력의 압력이 제2기준압력, 바람직하게는 0.5 ~ 0.7N 범위의 터치입력으로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107).
상기 S107의 판단에서 터치입력의 압력이 제2기준압력 이상이면 압력변화(Z값)와 이동량을 추출한 다음 기능 제어부(240)에 인가하여 기능 제어부(240)를 통해 터치입력의 압력변화와 이동량에 따른 제2기능을 추출한다(S108).
상기 기능 제어부(240)에 추출되는 제2기능은 예를 들어 이미지나 사진의 확대/축소, 전자서적의 낱장 혹은 단원별 페이징, 옵션창 띄우기, 글씨체 변화, 게임 속도조절 등의 기능이다.
따라서, 기능 제어부(240)는 구동부(300)를 통해 표시부(400)의 공통전극과 제어전극을 동작시켜 선택된 제2기능을 표출시킨다.
상기 제2기능의 표출에 대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한 제1기능의 선택으로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혹은 이미지(A)를 표출시키는 상태에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능을 선택한 P1지점에서 터치입력을 제2기준압력의 범위로 하여 P2의 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량의 검출을 통해 제1기능의 선택으로 표출되는 사진이나 이미지(A)는 확대된다.
반대로, (c)에 도시된 바와 P2의 지점에서 터치입력을 제2기준압력의 범위로 하여 P1의 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량의 검출을 통해 표출되는 사진이나 이미지(A)는 축소된다.
상기에서 터치입력의 압력을 제2기준압력의 범위로 하여 표출되는 사진이나 이미지를 확대 혹은 축소시키는 동작의 설정은 프로그램의 설정에 따라 방향의 조정이 가변된다.
또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한 제1기능의 선택으로 도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서적이나 파일의 읽기를 표출시키는 상태에서 제2기준압력의 범위로 사용자가 터치입력한 위치를 책장을 넘기듯 이동시키면 전자서적의 페이지 넘김 혹은 파일의 넘김 기능이 실행된다.
이때, 사용자가 터치입력의 압력세기를 조절하여 제2기준압력의 범위에서 'a'의 힘으로 터치입력하면 한 페이지의 넘김 기능이 실행되고, 제2기준압력의 범위에서 "a' 보다 큰 힘인 'b'의 힘으로 터치입력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단원 혹은 설정된 여러 페이지를 한번에 넘기는 기능이 실행된다.
이외에 탭 기능에서 터치 후 떨어지는 순간 방향성을 가지고 페이지 넘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으로 제1기능 선택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를 직접 입력하는 글쓰기 모드를 표출시킨 상태에서 제2기준압력의 범위에서 터치입력의 세기를 구분하여 글자체의 두께 변화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그리기 모드에서 제2기준압력의 범위에서 터치입력의 압 력에 따라 채도나 명도가 높게 또는 진하게 표현되는 기능도 동일한 개념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한 제1기능의 선택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게임 모드를 표출시킨 상태에서 (a)와 같이 제2기준압력의 범위에서 자동차의 속도를 조절하는 가속 버튼을 'c'의 압력으로 누를 경우 감속되고, 반대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준압력의 범위에서 자동차의 속도를 조절하는 가속 버튼을 'd'의 압력으로 누를 경우 가속되는 기능이 구현된다.
상기 'c'의 압력이 'd'의 압력 보다 낮은 압력이다.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한 제1기능의 선택으로 전자기기의 화면 밝기 및 통화음, 벨소리 등의 설정모드를 선택한 상태에서 터치입력의 압력변화를 이용하면 별도의 버튼이나 터치 영역의 필요 없이 간편하고 쉽게 구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행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행에서 이미지의 확대/축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행에서 페이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행에서 글씨체 변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행에서 게임 속도제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입력감지부 120 : 신호변환부
210 : 터치판별부 220 : 압력판별부
230 : 연산부 240 : 기능제어부
300 : 구동부 400 : 표시부

Claims (24)

  1. 터치센서가 내장된 윈도우 상의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과정;
    상기 터치입력에 대한 절대 좌표값과 압력 변화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터치입력에 대한 제1기능과 압력 변화에 대한 제2기능을 구현하여 표출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변화는 터치가 검출된 위치에서 Z축 방향에 대한 입력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의 검출 압력과 제2기능 구현을 위한 압력은 서로 다른 기준값의 범위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으로부터 제1기능은 설정된 제1기준압력의 범위를 적용하여 실행하고, 제2기능은 설정된 제2기준압력 범위를 적용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압력 범위와 제2기준압력 범위는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종류와 입력 방식, 압력의 변화를 인식하는 센서의 종류와 센싱 감도에 따라 그 범위가 조정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능은 터치입력에서 제2기준압력 범위의 압력이 검출될 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능은 터치입력의 압력변화와 좌표의 이동량에 따라 구현되어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능의 실행에서 터치입력의 압력 변화에 따라 다양한 2차적 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능은 제1기능으로 표출되는 이미지나 사진의 확대/축소, 옵션 창 구현, 전자서적의 페이지 넘김, 파일 열기/닫기, 탭 기능, 게임 속도 조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압력 범위의 터치입력으로 아이콘의 드래그 앤 드롭과 스크롤바의 이동을 제공하고, 제2기준압력 범위의 Z축 방향 입력으로 표시수단에 표출되는 정보에 대하여 제2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에 의한 사진이나 이미지 보기 모드에서 제2기준압력 범위의 Z방향 입력과 압력이 유지되는 절대 좌표의 이동(드레그)이 검출되면 제2기능으로 사진이나 이미지의 확대/축소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에 의한 글쓰기 모드에서 제2기준압력 범위의 Z방향 입력으로 제2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제2기준압력 범위의 Z방향 입력량(압력 변화) 조정으로 글자체의 두께 변화가 자유롭게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에 의한 게임 모드에서 제2기준압 범위의 Z방향 입력으로 제2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제2기준압력 범위의 Z방향 입력량(압력 변화) 조정으로 게임 속도의 조절이 자유롭게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4. 터치입력수단이 제공되는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 구현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에서 터치입력이 검출되면 절대좌표값을 인식하여 지정된 제1기능을 표출시키는 과정;
    터치입력에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Z방향 힘의 세기를 검출하여 설정된 제2기준압력의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Z방향의 힘의 세기가 제2기준압력 범위에 포함되면 제2기능을 표출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5. 터치입력수단이 제공되는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 구현방법에 있어서,
    터치입력에 따른 절대 좌표값과 터치입력에 연속되는 Z방향 힘의 세기를 인식하는 과정;
    상기 절대 좌표값에 지정된 제1기능을 추출하고, 제1기능에 부가적이며 Z방 향 힘의 세기에 대한 제2기능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제1기능을 표출시키는 과정에서 부가적인 제2기능을 표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6. 터치 스크린 혹은 터치 윈도우의 형태로 배치되며, 기능 선택을 검출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서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분석하여 절대좌표값을 추출한 다음 선택된 제1기능을 실행하고, 터치입력의 압력변화 및 이동량을 분석하여 제2기능을 실행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터치입력에 대한 제1기능 및 제2기능을 표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임의의 제1기능을 선택하는 터치입력과 제2기능을 실행시키는 터치입력의 압력변화 및 압력변화가 포함된 이동량을 감지하는 입력감지부;
    상기 입력감지부에서 검출되는 터치입력과 압력변화 및 압력변화가 포함된 이동량의 아날로그 신호를 제어수단이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부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센서와 터치한 힘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부는 터치입력과 터치입력의 압력변화를 동시에 감지하는 하나의 센서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부는 촉각센서, 로드 셀, 압력센서, FSR(Force sensing resistor)중 어느 하나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실행하는 제2기능은 이미지나 사진의 확대/축소, 전자서적의 낱장 혹은 단원별 페이징, 옵션창 띄우기, 글씨체 변화, 게임 속도조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입력수단에서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인식하여 절대좌표값을 추출하는 터치판별부;
    상기 입력수단에서 인가되는 터치입력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판별부;
    상기 터치판별부에서 추출된 터치입력의 절대좌표값과 압력판별부에서 검출되는 터치입력의 압력변화 및 이동량을 추출하는 연산부;
    상기 절대 좌표값에 지정된 제1기능을 추출하여 실행시키고, 터치입력의 압력변화와 이동량에 따라 제2기능을 실행시키는 기능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판별부는 터치입력에서 제1기능과 제2기능을 인식하는 기준압력이 설정되며, 기준압력은 적용되는 대상의 전자기기 종류, 압력 변화를 인지하는 센서 종류 및 감도에 따라 조정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4. 임의의 제1기능을 선택하는 터치입력과 제2기능을 실행시키는 터치입력의 압력변화를 검출하는 입력감지부;
    상기 입력감지부에서 검출되는 터치입력과 압력변화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상기 신호변환부를 통해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인식하여 절대좌표값을 추출하는 터치판별부;
    상기 신호변환부를 통해 인가되는 터치입력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판별부;
    상기 터치판별부에서 추출된 터치입력의 절대좌표값과 압력판별부에서 검출 되는 터치입력의 압력변화를 추출하는 연산부;
    상기 절대좌표값에 지정된 제1기능을 추출하여 실행시키고, 터치입력의 압력변화에 따라 제2기능을 실행시키는 기능 제어부;
    상기 기능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1기능 및 제2기능을 표출시키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080077602A 2008-08-07 2008-08-07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20100018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602A KR20100018883A (ko) 2008-08-07 2008-08-07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602A KR20100018883A (ko) 2008-08-07 2008-08-07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883A true KR20100018883A (ko) 2010-02-18

Family

ID=42089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602A KR20100018883A (ko) 2008-08-07 2008-08-07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8883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8271A1 (ko) * 2011-03-03 2012-09-07 한국과학기술원 터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101355870B1 (ko) * 2011-01-15 2014-01-28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 친화적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컨텐츠 제어 시스템
WO2014017790A1 (en) * 2012-07-27 201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73081A (ko) * 2014-11-26 2015-06-30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US9501098B2 (en) 2011-09-19 2016-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US9519350B2 (en) 2011-09-19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WO2017099378A1 (ko) * 2015-12-08 2017-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0175878B2 (en) 2010-02-23 2019-01-08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US10503276B2 (en) 2013-12-19 2019-12-10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10514775B2 (en) 2013-12-19 2019-12-24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11054929B2 (en) 2013-12-19 2021-07-06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11868577B2 (en) * 2021-04-14 2024-01-09 Alps Alpine Co., Ltd. Input check device having a pressing force threshold based on a detected minimum pressing force and input check method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5878B2 (en) 2010-02-23 2019-01-08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KR101355870B1 (ko) * 2011-01-15 2014-01-28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 친화적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컨텐츠 제어 시스템
WO2012118271A1 (ko) * 2011-03-03 2012-09-07 한국과학기술원 터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US9513796B2 (en) 2011-03-03 2016-12-06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ontents using touch, recording medium therefor, and user terminal having same
US9519350B2 (en) 2011-09-19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US9501098B2 (en) 2011-09-19 2016-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US10185456B2 (en) 2012-07-27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017790A1 (en) * 2012-07-27 201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03276B2 (en) 2013-12-19 2019-12-10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10514775B2 (en) 2013-12-19 2019-12-24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11054929B2 (en) 2013-12-19 2021-07-06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73081A (ko) * 2014-11-26 2015-06-30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WO2017099378A1 (ko) * 2015-12-08 2017-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1073942B2 (en) 2015-12-08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recogni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xecuting same
US11868577B2 (en) * 2021-04-14 2024-01-09 Alps Alpine Co., Ltd. Input check device having a pressing force threshold based on a detected minimum pressing force and input check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8883A (ko)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US20220100368A1 (en) User interfaces for improving single-handed operation of devices
US10402042B2 (en) Force vector cursor control
US7760187B2 (en) Visual expander
KR100260866B1 (ko) 터치스크린포인팅디바이스의분리를위한방법및시스템
US90358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virtual keyboards on a user interface
KR100260867B1 (ko) 터치스크린포인팅디바이스의분리및합체를위한방법및시스템
US11762546B2 (en) Device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conveying proximity-based and contact-based input events
US8823749B2 (en) User interface methods providing continuous zoom functionality
US86869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2657811B1 (en) Touch input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touch input control method
US20110057886A1 (en) Dynamic sizing of identifier on a touch-sensitive display
EP2302496A1 (en) Dynamic sizing of identifier on a touch-sensitive display
US20140300569A1 (en) User interface device that zooms image in response to operation that presses screen, image zoom method, and program
KR20130090138A (ko) 다중 터치 패널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WO2014041436A2 (en) Processing user input pertaining to content movement
JP3850570B2 (ja) タッチパッド及びタッチパッドによるスクロール制御方法
US201500024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zooming action
EP21464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key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KR101403079B1 (ko) 터치스크린에서 화면 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20140067861A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객체 스크롤 방법 및 장치
WO2018123320A1 (ja)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50111651A (ko) 즐겨찾기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JP5165624B2 (ja) 情報入力装置、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KR20200031598A (ko) 즐겨찾기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