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108A - Hangul inputting method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Hangul inputting method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108A
KR20100013108A KR1020080074625A KR20080074625A KR20100013108A KR 20100013108 A KR20100013108 A KR 20100013108A KR 1020080074625 A KR1020080074625 A KR 1020080074625A KR 20080074625 A KR20080074625 A KR 20080074625A KR 20100013108 A KR20100013108 A KR 20100013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word
words
candidat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6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두권
마석준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74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3108A/en
Publication of KR20100013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1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2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 G06F16/3323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using document space presentation or visualization, e.g. category, hierarchy or range presentation and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Abstract

PURPOSE: A Korean inputt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are provided to secondarily input a middle sound to search a candidate word matched with an initial sound and a middle sound, thereby quickly and easily inputting a Korean word. CONSTITUTION: Initial sounds of each syllable of words are inputted(S12). Word class category information of words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sounds is received(S13). Candidate words are searched(S14). Lists of the searched candidate words are arranged and displayed(S15). If one among the lists is selected, the selected candidate word is displayed.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HANGUL INPUTTING METHOD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How to input Hangul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HANGUL INPUTTING METHOD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긴 한글 문장을 쉽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putting Hangul,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asily and accurately inputting long Hangul sentences and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채택된 키패드는 0~9까지의 10개의 숫자키와 '*'(이하 *키) 및 '#'(이하 #키)의 2개의 제어키를 조합한 12개의 4*3 매트릭스 구조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영문자 입력을 위해 1부터 9까지의 9개 숫자키에 2개 또는 3개의 영문자를 중복으로 배치하고 있다. In general, a keypad adopted for a portable terminal has 12 4 * 3 combinations of ten numeric keys 0 to 9 and two control keys of '*' (hereinafter referred to as * key) and '#' (hereinafter referred to as #key). The matrix structure is used as the basic structure, and two or three alphabetic characters are arranged in duplicate on nine numeric keys 1 to 9 for English character input.

이러한 키의 개수와 배치 방식은 숫자와 영문자 입력과 관련하여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는데, 이하 이를 '텐키 방식 키패드'라 하고, 줄여서 '키패드'라고도 한다. 상기 각 버튼들에는 ㄱ에서 ㅎ까지의 한글 자음과 제조사 별로 지정된 모음, 자음 및 특수문자들이 배치된다.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se keys is internationally standardized with respect to numbers and alphabetic characters inpu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nkey keypad' or 'keypad' for short. Each of the buttons is arranged a Hangul consonants from a to ㅎ and vowels, consonants and special characters designated by the manufacturer.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A and 1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a에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한글 모음을 입력함에 있어서 한글 모음의 제자 원리인 천(·), 지(ㅡ), 인(ㅣ)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즉, 천지인 방식은 모음의 세 가지 구성 획인 천(·)획, 지(ㅡ)획, 인(ㅣ)획을 조합하여 손으로 모음을 쓰는 순서대로 각 키를 선택하면 원하는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In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a, and it introduces the concept of a Hangul cloth (·) student principle of the bar, not (Ao), the (l) according as the input the Hangul bar. In other words, Cheonjiin method can input the desired vowel by selecting each key in the order of vowel writing by combining the three constituent strokes of the vowel, Cheon ( · ) stroke, Ji (ㅡ) stroke, and phosphorus (ㅣ) stroke. .

이러한 도 1a의 한글 입력 방식은, 한글 모음의 제자 원리를 그대로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습득이 쉬운 반면에 모음을 이루는 구성 획이 많은 복모음의 입력에는 그만큼 많은 횟수의 키버튼 누름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복모음 'ㅒ'는 'ㅣ', '·', '·' 및 'ㅣ'키의 순차적인 선택에 의해 입력되므로 각 키가 배치된 키버튼을 순차적으로 4회 눌러야 하고, 마찬가지로 'ㅖ'는 '·', '·', 'ㅣ' 및 'ㅣ'로 4회, 'ㅙ'는 '·', 'ㅡ', 'ㅣ', '·' 및 'ㅣ'로 5회, 'ㅞ'는 'ㅡ', '·', '·', 'ㅣ' 및 'ㅣ'로 5회의 키버튼 누름이 요구된다. The input method of Hangul of FIG. 1A is easy to learn because it adopts the principle of Hangeul vowels as it is, while inputting a vowel having a large number of vowels constituting a vowel requires a large number of key button presses. For example, the double vowel 'ㅒ' is inputted by the sequential selection of the 'ㅣ', ' · ', ' · ' and 'ㅣ' keys, so the key button on which each key is placed must be sequentially pressed four times, and the ''ㅖ' is 4 times as' · ',' · ',' ㅣ 'and' ㅣ ',' ㅙ 'is 5 times as' · ', 'ㅡ', 'ㅣ', ' · ' and 'ㅣ', ''ㅞ','ㅡ',' · ', ' · ', 'ㅣ' and 'ㅣ' require five key button presses.

한편, 도 1b에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한글 자음의 입력을 위해 6개의 키버튼에 'ㄱ', 'ㄴ', 'ㄹ', 'ㅁ', 'ㅅ', 'ㅇ'을 각각 배치하고, 한글 모음의 입력을 위해 4개의 키버튼에 'ㅏ', 'ㅗ', 'ㅣ', 'ㅡ'를 각각 배치하되, 모음 'ㅏ' 및 'ㅗ'가 배치된 각 키버튼에는 'ㅓ' 및 'ㅜ'를 각각 중복 배치하고 있다. 또한, 쌍자음의 입력과 획 추가를 위해 별도의 #키 및 *키에 '쌍자음 변환' 키 및 '획추가' 키를 배치하고 있다. 이때, 하나의 키버튼에 중복 배치된 모음 'ㅓ' 및 'ㅜ'는 해당 키버튼을 2회 연속 누름으로써 선택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ure 1b, for the input of the Hangul consonants 'AB', 'B', 'ㄹ', 'ㅁ', 'ㅅ', 'ㅇ' are arranged respectively, '입력', 'ㅗ', 'ㅣ', 'ㅡ' are placed on each of the four key buttons for inputting Korean vowels, but each key button with vowel 'ㅏ' and 'ㅗ' is placed 'ㅓ' and 'TT' is overlapping each other. In addition, for input of a double consonant and a stroke addition, a 'contrastance conversion' key and a 'add stroke' key are arranged on separate # keys and * keys. At this time, the vowels 'ㅓ' and 'TT' arranged in one key button are selected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twice consecutively.

이러한 도 1b의 한글 입력 방식은, 하나의 키버튼에 여러 개의 모음 키 및 자음 키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된소리 자음 및 복모음의 입력을 위해서는 여러 번의 키버튼 누름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복모음 'ㅒ'는 'ㅏ', '획추가' 및 'ㅣ'키의 순차적인 선택에 의해 입력되므로 각 키가 배치된 키버튼을 순차적으로 3회 눌러야 하고, 마찬가지로 'ㅖ'는 'ㅓ', '획추가' 및 'ㅣ'로 4회, 'ㅙ'는 'ㅗ', 'ㅏ' 및 'ㅣ'로 3회, 'ㅞ'는 'ㅜ', 'ㅓ', 및 'ㅣ'로 4회의 키버튼 누름이 요구된다. In the Korean input method of FIG. 1B, since a plurality of vowel keys and consonant keys are arranged in one key button, several key button presses are required for inputting a consonant sound and a vowel sound. For example, since the double vowel 'ㅒ' is input by the sequential selection of the 'ㅏ', 'add stroke' and 'ㅣ' keys, the key button on which each key is placed must be sequentially pressed three times. 4 times with 'ㅓ', 'addition' and 'ㅣ', 'ㅙ' with 'ㅗ', 'ㅏ' and 'ㅣ' 3 times, 'ㅞ' with 'TT', 'ㅓ', and 'ㅣ Four key button presses are required.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은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많은 횟수의 키버튼 누름이 요구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한글의 입력 속도 및 정확도 면에서도 사용자들을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quires a large number of key button presses to input the Hangul, which not only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but also satisfies the user in terms of the input speed and accuracy of the Hangul.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1 이상의 한글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초성만을 1차적으로 입력하여 초성에 매칭되는 후보 단어를 검색하거나, 중성을 2차적으로 추가 입력하여 초성 및 중성에 매칭하는 후보 단어를 검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ndidate word matching the first consonant may be searched by first inputting only the first consonants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one or more Hangul words, or a candidate word matching the initial consonant and the neutral by additionally inputting the second secondary. It provides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search fo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1 이상의 한글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초성만을 입력하여 초성에 매칭되는 후보 단어를 검색하거나, 또는 중성을 추가 입력하여 초성 및 중성에 매칭하는 후보 단어를 검색할 시에 각 후보 단어를 품사 별로 분류하여 검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only the first consonants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one or more Hangul words to search for candidate words matching the first consonants, or additionally inputs neutral to search for candidate words matching both initial and neutral. Provides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classify and search each candidate word by part of speech.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사용자로부터 한글 문장에 속하는 1 이상의 단어에 대해 상기 단어의 각 음절의 초성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초성에 해당하는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품사 분류 정보 및 상기 입력된 초성에 기초하여, 후보 단어를 단어 저장부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선택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후보 단어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한 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tep of receiving a first consonant of each syllable of the word for one or more words belonging to the Hangul sentence from the user, the word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sonant Receiving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nput initial consonant, searching for a candidate word from a word storage unit, and searching the list of the retrieved candidate words according to preset criteria. And displaying the selected candidate words in the input area when sorting and displaying the selected candidate words in the input area when one of the displayed list of candidate words is selected by the user.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한글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한글 단어를 품사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분류 저장하는 단어 저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한글 단어의 각 음절의 초성 및 상기 한글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를 입력 받는 키 입력부, 상기 입력된 한글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 및 상기 입력된 초성에 기초하여, 후보 단어를 상기 단어 저장부로부터 검색하는 단어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는 단어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d storage unit for classifying and storing the Hangul word input by the user based on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Hangul input, A key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consonant of each syllable of the Hangul word and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angul word from the user, and based on the input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angul word and the input consonant, a candidate word from the word storage unit; Provided is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word search unit for searching and a word display unit for sorting and displaying the list of searched candidate words according to preset criteria.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1 이상의 한글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초성만을 1차적으로 입력하여 초성에 매칭되는 후보 단어를 검색하거나, 중성을 2차적으로 추가 입력하여 초성 및 중성에 매칭하는 후보 단어를 검색함으로써 입력하고자 하는 1 이상의 한글 단어를 빠르고 쉽게 입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ntering only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one or more Hangul words to search for candidate words matching the first consonant, or by additionally entering the second secondary to the first consonant and By searching for candidate words matching neutral, one or more Hangul words to be input can be quickly and easily entered.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다른 하나에 의하면, 1 이상의 한글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초성만을 입력하여 초성에 매칭되는 후보 단어를 검색하거나, 또는 중성을 추가 입력하여 초성 및 중성에 매칭하는 후보 단어를 검색할 시에 각 후보 단어를 품사 별로 분류하여 검색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원하는 단어를 찾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ntering only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one or more Hangul words to search for candidate words matching the first consonant, or by additionally entering the neutral to match the initial and neutral When searching for candidate words, it is possible to find a desired word more quickly by classifying each candidate word by parts of speech.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which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에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and a portable terminal for inputting Korean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입력 영역(110), 선택 영역(120), 기능키 영역(130) 및 키패드 영역(14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terminal 100 to which the Korean input method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put area 110, a selection area 120, a function key area 130, and a keypad area 140. ).

입력 영역(110)은 사용자가 입력한 한글 자음, 한글 모음, 숫자, 특수 문자 등을 표시한다. The input area 110 displays Hangul consonants, Hangul vowels, numbers, special characters, and the like input by the user.

선택 영역(12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초성에 대응하거나, 또는 초성 및 중성에 대응하는 후보 단어의 리스트를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형태로 표시한다. The selection area 120 displays a list of candidate words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put consonant or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and the neutral in a form selectable by the user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 영역(110)에 "ㄱㄹ"과 같이, 1 이상의 한글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초성만을 1차적으로 입력하여 검색하면 입력된 초성에 매칭되는 후보 단어의 리스트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 영역(120)에 표시된다. For example, when a user primarily inputs and searches only the first consonants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one or more Korean words, such as "ㄱㄹ" in the input area 110, a list of candidate words matching the input consonants is preset. It is displayed in the selection area 120 according to the criteria.

선택 영역(120)에는, 입력된 초성과의 일치율이 가장 높은 후보 단어의 순위로 정렬되되,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어 입력 빈도수가 가장 높은 후보 단어 또는 가장 최근에 사용된 후보 단어의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될 수 있다. The selection area 120 sorts the candidate words having the highest matching rate with the input first constellation, and ranks them in the order of the most frequently used candidate words or the most frequently used candidate words. Can be displayed.

예를 들어, 입력된 초성 "ㄱㄹ"과의 일치율이 가장 높은 후보 단어의 순으로 정렬하되, 입력된 빈도수가 가장 높은 "가로"가 최상단에 위치하며, 그 다음으로는 가장 최근에 입력된 "구리"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후 순위로 "ㄱㄹ"과 매칭되며 입력 빈도수가 높지 않은 "고리", "경로", "교란" 등이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you can sort in order of candidate words with the highest match with the initial consonant "ㄱㄹ" entered, with the highest "horizontal" entered, followed by the most recently entered "copper". "Can be located. In addition, "ring", "path", "disturbance", etc., which are matched with "ㄱㄹ" and do not have high input frequency, may be located as a post-order.

상술한 정렬 순서는 단지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bove-described sorting order is merely illustrative, but not limited to.

기능 버튼 영역(130)은 1 이상의 기능 버튼, 예를 들어, 메뉴 기능 버튼(131), 검색 기능 버튼(132), 통화 기능 버튼(133), 종료 기능 버튼(134) 및 방향키 기능 버튼(135)을 포함한다. 이들 기능 버튼 중 1 이상을 후보 단어의 검색 시에 후보 단어의 품사를 분류하여 검색하는 후보 단어 검색키로서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메뉴 기능 버튼(131)은 검색할 후보 단어를 명사군에 속하는 단어들로부터 검색하는 "명사군 검색키"로서 사용하고, 검색 기능 버튼(132)은 검색할 후보 단어를 동사군에 속하는 단어들로부터 검색하는 "동사군 검색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초성만을 1차적으로 입력한 후 후보 단어 검색키를 누르는 경우에 입력 영역(110) 상의 커서의 위치는 입력 중인 단어의 첫 글자의 중성 입력 위치로 이동되고, 입력된 초성에 매칭되는 후보 단어의 리스트가 선택 영역(120)에 표시된다. 또한,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중성을 2차적으로 추가 입력한 후 후보 단어 검색키를 누르는 경우에 입력 영역(110) 상의 커서의 위치는 입력 중인 단어의 첫 글자의 종성 입력 위치로 이동되고, 입력된 초성 및 중성에 매칭되는 후보 단어의 리스트가 선택 영역(120)에 표시된다. 또한, 이들 기능 버튼 중 하나, 예를 들어, 통화 기능 버튼(133)을 선택 영역(120)을 활성화시키는 "선택 영역 활성화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function button area 130 may include one or more function buttons, for example, a menu function button 131, a search function button 132, a call function button 133, an end function button 134, and an arrow key function button 135. It includes. One or more of these function buttons can be used as a candidate word search key for classifying and searching parts of parts of candidate words when searching for candidate words. For example, the menu function button 131 selects a candidate word to be searched for a noun group. The search function button 132 can be used as a "verb group search key" for searching from words belonging to the verb group for the candidate word to be searched. As such, when only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the word is first input and the candidate word search key is pressed,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input area 110 is moved to the neutral input position of the first letter of the word being input. A list of candidate words matching the input initials is displayed in the selection area 120. In addition, in the case of pressing a candidate word search key after additionally inputting a neutral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a word,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input area 110 is moved to the final input position of the first letter of the word being input. A list of candidate words that match the input initial and neutral inputs is displayed in the selection area 120. In addition, one of these function buttons, for example, the call function button 133 can be used as a "selection area activation key" for activating the selection area 12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키패드 영역(140)은 한글 자음, 한글 모음, 숫자 및 특수 문자 등의 입력을 위한 다수 개의 숫자 키 및 문자 키를 배치하고 있다. The keypad area 140 arrang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character keys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Korean vowels,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A to 3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사용자가 입력하려고 하는 문장이, 예를 들어, "경준이 학교에 간다"인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문장을, 예를 들어, 띄어 쓰기 단위, 즉, "경준이", "학교에", "간다"로 나누어 입력할 수 있다. If the sentence that the user is trying to enter is, for example, "Jungjun goes to school", the user may write the sentence, for example, in a spacing unit, that is, "Jyungjun", "Go to school", " To enter.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 영역(110)에 "ㄱㅈㅇ"과 같이, 입력하고자 하는 1 이상의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초성만을 1차적으로 입력한다. 초성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명사군 검색키"(예를 들어, 도 2의 도면 부호 131)를 사용하여 입력 중인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입력 영역(110) 상의 커서의 위치는 입력 중인 단어의 첫 글자의 중성 입력 위치로 이동되고, 입력된 초성 "ㄱㅈㅇ"에 매칭되는 후보 단어의 리스트가 선택 영역(120)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초성만이 입력된 상태에서, 전체 후보 단어를 검색하지 않고, 품사 분류 정보(명사군 또는 동사군)에 따른 검색을 행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원하는 단어를 찾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3A, a user primarily inputs only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one or more words to be input, such as "AB" in the input area 110. When the initial entry is completed, the user inputs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ord being input using the "noun group search key" (for example, reference numeral 131 of FIG. 2).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input area 110 is moved to the neutral input position of the first letter of the word being input, and a list of candidate words matching the input first contiguous "ㄱㅈ" is displayed on the selection area 120. In this manner, in the state where only the first constellation is input, the desired word can be found more quickly by searching based on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noun group or verb group) without searching the entire candidate word.

선택 영역(120)에는 명사군에 속하는 단어들로부터 검색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가 표시되는데, 이때 후보 단어의 리스트는 입력된 초성 "ㄱㅈㅇ"과의 일치율이 가장 높은 후보 단어의 순위로 정렬되되,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어 입력 빈도수가 가장 높은 "고집은"이 최상단에 위치하며, 그 다음으로는 가장 최근에 입력된 "경준이"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후 순위로 "ㄱㅈㅇ"와 매칭되며 입력 빈도수가 높지 않은 "기장을", "곰장어", "공주에" 등이 위치할 수 있다. The selection area 120 displays a list of candidate words searched from words belonging to the noun group, in which the list of candidate words is sorted by the rank of the candidate word having the highest matching rate with the input first entry "ㄱㅈ", of which The most frequently used "sticky"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entry is located at the top, followed by the most recently entered "race". In addition, after the match with "ㄱㅈㅇ" in the ranking and the frequency of input is not high "millet", "eel", "princess" and the like can be located.

상술한 정렬 순서는 단지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선택 영역(120)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품사 분류 정보에 해당하는 후보 단어들만 표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품사 분류 정보에 해당하는 단어 중 입력된 초성과의 일치율이 높은 단어 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1 이상의 단어의 각 음절의 초성을 입력 받은 후 특정 품사군 정보, 예를 들어, 명사군 정보가 입력된 경우, 선택 영역(120)에는 명사군에 해당하는 후보 단어 중 입력된 초성과 100% 일치하는 후보 단어가 최상단에 표시되고, 그 다음으로는 다른 품사군, 예를 들어, 동사군에 해당하는 후보 단어 중 입력된 초성과 100% 일치하는 후보 단어가 위치할 수 있다. 그 다음 순위로는 명사군에 해당하는 후보 단어 중 입력된 초성과 1개의 초성이 다른 후보 단어가 표시되고, 그 다음으로는 동사군에 해당하는 후보 단어 중 입력된 초성과 1개의 초성이 다른 후보 단어가 위치할 수 있다. 그 다음 순위로는 명사군에 해당하는 후보 단어 중 입력된 초성과 2개의 초성이 다른 후보 단어가 표시되고, 그 다음으로는 동사군에 해당하는 후보 단어 중 입력된 초성과 2개의 초성이 다른 후보 단어가 위치할 수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bove-described sorting order is merely illustrative, but not limited to. That is, not only the candidate words corresponding to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re displayed on the selection area 120, but words having a high matching rate with the inputted first consonant among words corresponding to other parts-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ogether. have. That is, when a specific part-of-speech group information, for example, noun group information is input after receiving a consonant of each syllable of one or more words to be input by the user, the selection area 120 includes candidate words corresponding to the noun group. Candidate words that match 100% of the entered initials are displayed at the top, followed by candidate words that correspond to 100% of the entered initials among the other parts of speech, for example, verb groups. have. In the next rank, candidate words different from the candidate first name and one first name among candidate words corresponding to the noun group are displayed. Next, candidates different from the candidate first words and one first name among the candidate words corresponding to the verb group are different. The word may be located. In the next rank, candidate words different from the candidates entered in the noun group and the two selected first candidates are displayed. Next, candidates different from the candidate words entered in the verb group corresponding to the noun group and the two selected first candidates are listed. The word may be located.

이와 같이, 초성만이 입력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정확하지 않은 품사 분류 정보가 입력되더라도 원하는 단어를 보다 빠르게 찾을 수 있다.In this manner, in the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constellation is input, even if incorrect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is input by the user, the desired word can be found more quickly.

선택 영역(120)에 표시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경준이"를 선택하려면, "선택 영역 활성화키"(예를 들어, 도 2의 도면 번호 133)를 눌러 선택 영역(120)을 활성화한 후 키패드 영역(140) 상의 숫자키 "2"를 선택하거나, 기능 버튼 영역(130) 상의 방향키 기능 버튼(135)를 사용하여 입력 영역(110) 상의 커서를 직접 움직여서 선택할 수 있다. To select the "parallel" which the user wants to input from the list of candidate words displayed in the selection area 120, the selection area 120 is pressed by pressing the "selection area activation key" (for example, reference numeral 133 of FIG. 2). After activating, the numeric key “2” on the keypad area 140 may be selected, or the cursor on the input area 110 may be directly selected by using the direction key function button 135 on the function button area 130.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입력 영역(110) 상의 커서의 위치는 다음 단어의 초성 입력 위치로 이동한다. When one of the list of candidate words is selected by the user,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input area 110 moves to the initial entry position of the next word.

반면에, 선택 영역(120)에 표시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 단어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1 이상의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중성을 2차적으로 입력 받는다. 즉, 사용자로부터 품사 분류 정보를 입력 받은 후 키패드 영역(140) 상의 임의의 문자키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문자키에 해당하는 중성을 입력 영역(110)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학교에"를 입력하는 방법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영역(110)에 "ㅎㄱㅇ"과 같이, 입력하고자 하는 1 이상의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초성만을 1차적으로 입력한다. 초성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명사군 검색키"(예를 들어, 도 2의 도면 부호 131)를 사용하여 입력 중인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입력 영역(110) 상의 커서의 위치는 첫 글자의 중성 입력 위치로 이동되고, 입력된 초성 "ㅎㄱㅇ"에 매칭되는 후보 단어의 리스트가 선택 영역(120)에 표시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candidate word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list of candidate words displayed in the selection area 120, the neutral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one or more words to be input from the user is secondarily input. That is, if an arbitrary character key on the keypad area 140 is selected after receiving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he neutralit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racter key is displayed on the input area 110. Next, as shown in FIG. 3B, a method of inputting “in school” is primarily input only first consonants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one or more words to be input, such as “ㅎㄱㅇ” in the input area 110. do. When the initial entry is completed, the user inputs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ord being input using the "noun group search key" (for example, reference numeral 131 of FIG. 2).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input area 110 is moved to the neutral input position of the first letter, and a list of candidate words matching the input first entry “ㅎㄱㅇ” is displayed in the selection area 120.

선택 영역(120)에 표시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입력 영역(110) 상의 커서의 위치는 다음 단어의 초성 입력 위치로 이동한다. When one of the list of candidate words displayed in the selection area 120 is selected by the user,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input area 110 moves to the initial input position of the next word.

만약,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1 이상의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중성을 2차적으로 입력 받는다. If the candidate word selected by the user does not exist in the list of candidate words, neutrality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one or more words to be input from the user is secondarily input.

중성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명사군 검색키"를 사용하여 입력 중인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입력 영역(110) 상의 커서의 위치는 입력 중인 단어의 종성 입력 위치로 이동하고, 입력된 초성 및 중성 "하교에"에 매칭 되는 후보 단어의 리스트가 선택 영역(120)에 표시된다. When neutral input is completed, the user inputs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ord being input using the "noun group search key".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input area 110 moves to the final input position of the word being input, and a list of candidate words matching the input primary and neutral "lower" is displayed on the selection area 120.

선택 영역(120)에 표시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입력 영역(110) 상의 커서의 위치는 다음 단어의 초성 입력 위치로 이동한다. When one of the list of candidate words displayed in the selection area 120 is selected by the user,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input area 110 moves to the initial input position of the next word.

만약,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1 이상의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종성을 3차적으로 입력 받는다. If the candidate word selected by the user does not exist in the list of candidate words, the finality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one or more words to be input from the user is received in a third order.

마지막으로, "간다"를 입력하는 방법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영역(110)에 "ㄱㄷ"과 같이, 입력하고자 하는 1 이상의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초성만을 1차적으로 입력한다. 초성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동사군 검색키"(예를 들어, 도 2의 도면 부호 132)를 사용하여 입력 중인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입력 영역(110) 상의 커서의 위치는 첫 글자의 중성 입력 위치로 이동되고, 입력된 초성 "ㄱㄷ"에 매칭되는 후보 단어의 리스트가 선택 영역(120)에 표시된다. Lastly, as shown in FIG. 3C, as shown in FIG. 3C, only an initial consonant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one or more words to be input is primarily input to the input area 110, such as “ㄱㄷ”. . When the initial entry is completed, the user inputs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ord being input using the "verb group search key" (for example, reference numeral 132 of FIG. 2).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input area 110 is moved to the neutral input position of the first letter, and a list of candidate words matching the input initial letter "ㄱ" is displayed on the selection area 120.

선택 영역(120)에 표시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입력 영역(110) 상의 커서의 위치는 다음 단어의 초성 입력 위치로 이동한다. When one of the list of candidate words displayed in the selection area 120 is selected by the user,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input area 110 moves to the initial input position of the next word.

만약,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1 이상의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중성을 2차적으로 입력 받는다. If the candidate word selected by the user does not exist in the list of candidate words, neutrality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one or more words to be input from the user is secondarily input.

중성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동사군 검색키"(예를 들어, 도 2의 도면 부호 132)를 사용하여 입력 중인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입력 영역(110) 상의 커서의 위치는 입력 중인 단어의 종성 입력 위치로 이동하고, 입력된 초성 및 중성 "가다"에 매칭되는 후보 단어의 리스트가 선택 영역(120)에 표시된다. When neutral input is completed, the user inputs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ord being input using the "verb group search key" (for example, reference numeral 132 of FIG. 2).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input area 110 moves to the final input position of the word being input, and a list of candidate words matching the input initial and neutral "go" is displayed in the selection area 120.

선택 영역(120)에 표시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입력 영역(110) 상의 커서의 위치는 다음 단어의 초성 입력 위치로 이동한다. When one of the list of candidate words displayed in the selection area 120 is selected by the user,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input area 110 moves to the initial input position of the next word.

만약,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1 이상의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종성을 3차적으로 입력 받는다. If the candidate word selected by the user does not exist in the list of candidate words, the finality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one or more words to be input from the user is received in a third order.

지금까지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명사군 정보 및 동사군 정보로만 분류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 이상, 4 이상 또는 그 이상의 품사 분류 정보로도 분류 가능하다. So fa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classifying only noun group information and verb group inform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lassified into three or more parts, four or more parts of 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Do.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11)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한글 단어를 품사 분류 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단어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이때, 품사 분류 정보는 예를 들어,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감탄사, 관형사, 부사를 포함하는 명사군 정보 및 동사, 형용사를 포함하는 동사군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단 계(S12)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단어의 각 음절의 초성을 순차적으로 입력 받는다. 이때,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단어가 예를 들어, "경준이"인 경우, 입력 영역(110)에 "경준이"에 해당하는 각 음절의 초성 "ㄱㅈㅇ"을 1차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In operation S11, the portable terminal 100 classifies the Hangul word inpu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s the word in the word storage unit 150. In this case,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noun group information including nouns, pronouns, investigations, investigations, interjections, adjectives, and adverbs, and verb group information including verbs and adjectives. In step S12, the portable terminal 100 sequentially receives the consonants of each syllable of the Hangul word to be input from the user. In this case, when the Korean word to be input is, for example, "Gyeong-Jun", the user may first input a consonant "AB" of each syllable corresponding to "Gyeong-Jun" in the input area 110.

단계(S13)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중인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예를 들어, 명사군 또는 동사군)를 입력 받은 다음, 단계(S14)로 진행하여, 입력된 각 초성 및 품사 분류 정보에 대응하는 후보 단어를 단어 저장부(210)로부터 검색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가 명사군 정보인 경우에는 명사군으로 분류된 단어들로부터 후보 단어를 검색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가 동사군 정보인 경우에는 동사군으로 분류된 단어들로부터 후보 단어를 검색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중인 단어 "경준이"에 해당하는 품사 분류 정보, 즉, 명사군 정보가 입력되면 명사군에 속하는 단어들로부터 후보 단어를 검색한다. In step S13, the portable terminal 100 receives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eg, noun group or verb group) of the word being input by the user, and then proceeds to step S14 to input each initial and part-of-speech input. The candidate word corresponding to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is searched from the word storage 210. In this case, when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ord input by the user is noun group information, the candidate word is searched from the words classified as the noun group, and when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ord input by the user is verb group information, Candidate words can be searched from words classified into verb groups. In other words, when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ord "race" is being input from the user, that is, the noun group information is input, the portable terminal 100 searches for candidate words from words belonging to the noun group.

이때,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 영역(110) 상의 커서의 위치를 입력 중인 단어의 첫 글자의 중성 입력 위치로 이동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ord is input from the user, the portable terminal 100 moves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input area 110 to the neutral input position of the first letter of the word being input.

단계(S1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검색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를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형태로 선택 영역(120)에 표시한 다음, 단계(S16)으로 진행하여, 표시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 단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In step S15, the portable terminal 100 displays the list of retrieved candidate words in the selection area 120 in a form selectable by the user, and then proceeds to step S16, by the user among the displayed list of candidate word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lected candidate word exists.

검색된 후보 단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품사 분류 정보에 해당하는 단어들 중 입력된 초성 "ㄱㅈㅇ"과의 일치율이 높은 순서대로 정렬하되, 그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빈도수가 높은 순서 또는 가장 최근에 입력된 순서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searched candidate words are sorted in the order of high matching rate with the initial consonant "ㄱㅈ" entered among the words corresponding to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Can be displayed in sorted order.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품사 분류 정보에 해당하는 후보 단어만을 검색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품사 분류 정보에 해당하는 단어들 중 입력된 초성과의 일치율이 높은 후보 단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품사 분류 정보에 해당하는 후보 단어와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른 품사 분류 정보에 해당하는 후보 단어도 함께 검색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정확하지 않은 품사 분류 정보가 입력되더라도 원하는 단어를 보다 빠르게 찾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does not search only candidate words corresponding to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but searches for candidate words having a high match rate with the inputted first among the words corresponding to other parts-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It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candidate words corresponding to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s such, the candidate words corresponding to other parts-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are also searched for and displayed together, so that even if an incorrect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is input by the user, a desired word can be found more quickly.

단계(S16)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S17)로 진행하여, 선택된 후보 단어를 입력 영역(110)에 표시하는 반면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18)로 진행하여, 단계(S12)에서 입력된 초성에 해당하는 중성을 사용자로부터 각각 입력 받는다. 즉,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계(S12)에서 입력된 각 초성, 예를 들어, "ㄱㅈㅇ"에 해당하는 중성 "ㅕ ㅜ ㅣ"을 입력 받아 입력 영역(110)에 표시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6, if there is a candidate word selected by the user, the flow advances to step S17 to display the selected candidate word in the input area 110, while the candidate word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If it does not exis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8 and the neutrality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tellation input in step S12 is inputted from the user.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0 receives the neutral "ㅕ ㅕ |" corresponding to each initial constellation inputted in step S12, for example, "AB", and displays it in the input area 110.

이때, 휴대용 단말기(100)는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입력 영역(110) 상의 커서의 위치를 다음 단어의 입력 위치로 이동시킨다.At this time, if one of the list of candidate words is selected by the user, the portable terminal 100 moves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input area 110 to the input position of the next word.

단계(S19)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초성 및 중성에 해당하는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다음, 단계(S20)으로 진행하여, 입력된 초성 및 중성, 그리고 입력된 품사 분류 정보에 대응하는 후보 단어를 단어 저장부(210)로부터 검색한다. In step S19, the portable terminal 100 receives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ords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and the neutral from the user, and then proceeds to the step S20 to input the initial and neutral parts and the input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candidate word is retrieved from the word storage 210.

단계(S21)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초성 및 중성, 그리고 입력된 품사 분류 정보에 대응하는 후보 단어의 리스트를 선택 영역(120)에 표시한 다음, 단계(S22)로 진행하여, 표시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 단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In step S21, the portable terminal 100 displays a list of candidate words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and neutral and the input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 the selection area 120, and then proceeds to step S22 and displays the displayed candidate word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andidate word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list.

검색된 후보 단어는 입력된 "겨주이"과 매칭되는 단어이며, 이들 후보 단어 간의 정렬 순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된 빈도수 또는 선택된 빈도수에 기초한다. 또한, 후보 단어는 입력된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초성 및 중성과의 일치율이 높은 순서대로 표시할 수도 있다. The retrieved candidate words are words that match the entered "muscle", and the sort order between these candidate words is based on the entered frequency or the selected frequency, as already described. In addition, the candidate words may be displayed in the order of high agreement between the initial and the neutral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the input word.

단계(S22)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S23)으로 진행하여, 선택된 후보 단어를 입력 영역(110)에 표시하는 반면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24)로 진행하여, 입력 중인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종성을 입력 받는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2, if there is a candidate word selected by the user, the flow advances to step S23 to display the selected candidate word in the input area 110, while the candidate word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If it does not exist, the flow advances to step S24 to receive a finality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the word being inpu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명사군 및 동사군 중 하나의 품사 분류 정보만을 검색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의 품사 분류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의 중심 품사를 명사군 정보 또는 동사군 정보로서 구분해 주는 것에 불과하며, 입력 중인 단어가 명사와 동사의 결합으로 이 루어진 경우, 예를 들어, "밤입니다"는 중심 품사가 동사이므로 동사군으로 분류된 단어들로부터 검색을 수행하지만, 명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명사군으로 분류된 단어들로부터 검색할 수도 있다. 이때, "밤입니다"를 명사군 정보로서 검색할 경우에 후보 단어의 리스트 상의 최하위에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earch only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oun group and the verb group. That is,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rely distinguishes the central part-of-speech of the word to be input by the user as the noun group information or the verb group information. When the word being input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the noun and the verb, For example, "Night" is a core part-of-speech verb that performs a search from words classified as a verb group, but because it contains nouns, it can also search from words classified into a noun group. At this time, when searching for "night is" as the noun group information, it may b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list of candidate word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실제 입력된 한글 단어뿐만 아니라 국어 사전에 등록된 다수의 한글 단어를 품사 분류 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단어 저장부(150)에 저장해 두고 이를 후보 단어의 검색 시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단어 "학교에"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적이 없는 단어인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어 저장부(150)에 저장된 국어 사전 상의 단어들로부터 "ㅎㄱㅇ"에 매칭되는 후보 단어 "학교"를 검색하여 선택 영역(120)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선택 영역(120)에는 "학교에"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ㅎㄱㅇ"에 대응하도록 "학교"라는 명사뿐만 아니라 "에"라는 조사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not only Korean words actually input by the user but also a plurality of Korean words registered in the Korean dictionary according to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to the word storage unit 150. You can save it and use it when searching for candidate words. For example, when the Korean word “to school” that the user wants to input is a word that has never been used by the user,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use the word “ㅎㄱㅇ from the words on the Korean dictionary stored in the word storage unit 150. The candidate word “school” matching ““ may be searched for and displayed on the selection area 120. In this case, the selection area 120 may display not only the noun “school” but also “e” to correspond to the user input “ㅎㄱㅇ” such as “to schoo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세부 구성도이다.5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Hangul input method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어 저장부(150), 키 입력부(160), 단어 검색부(170), 디스플레이부(180), 단어 표시부(185) 및 커서 제어부(19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ord storage unit 150, a key input unit 160, a word search unit 170, a display unit 180, and a word display unit 185. ) And a cursor controller 190.

단어 저장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실제 입력되는 한글 단어를 품사 분류 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한다. 단어 저장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입력되거 나 선택된 한글 단어의 입력 횟수 및 선택 횟수 등을 누적하여 저장한다. The word storage unit 150 classifies and stores the Hangul word actually inpu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art of 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e word storage unit 150 accumulates and stores the number of times and the number of times of inputting or selecting the Hangul word actually input or selected by the user.

키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한글 자음 및 모음의 선택에 관한 각종 키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다. 키 입력부(160)는 통상적으로 숫자키와 다수의 제어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터치 패널과 같은 입력 수단에 아이콘과 같은 영상 데이터로 구분되는 다수 개의 키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터치 패널에 사용자가 펜으로 입력한 신호를 문자로 인식하여 받아들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key input unit 160 receives various key input signals for select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from the user. The key input unit 160 may be generally configured as a keypad including a numeric key and a plurality of control keys, or may be configured as a plurality of key buttons divided into image data such as an icon on an input means such as a touch panel. The touch panel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and accept a signal input by the user as a pen.

단어 검색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품사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한글 단어의 각 음절의 초성, 중성에 대응하는 후보 단어를 단어 저장부(150)로부터 검색한다. The word search unit 170 searches the word storage unit 150 for candidate words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and neutral of each syllable of the Hangul word input from the user, based on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디스플레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한글 자음, 모음, 숫자, 특수 문자 등의 각종 정보를 입력 영역(110)에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Korean consonants, vowels,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input area 110.

단어 표시부(185)는 단어 검색부(170)에 의해 검색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를 선택 영역(120)에 표시한다. 이때, 단어 표시부(170)는 후보 단어의 리스트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빈도수 또는 선택된 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The word display unit 185 displays the list of candidate words searched by the word search unit 170 in the selection area 120. In this case, the word display unit 170 may sort and display the list of candidate words by a preset number in the order of the frequency input by the user or the selected frequency.

커서 제어부(190)는 키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한글 단어의 초성 입력 후에 품사 분류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 영역(110)에 표시된 한글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의 중성 입력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킨다. 또한, 커서 제어부(190)는 키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한글 단어의 중성 입력 후에 품사 분류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 영역(110)에 표시된 한글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의 종성 입력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킨다. 또한, 커서 제어부(190)는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다음 단어의 입력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킨다. The cursor controller 190 moves the cursor to the neutral input position of the first letter of the Hangul word displayed in the input area 110 when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is input after the initial entry of the Hangul word from the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160. . In addition, when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is input after the neutral input of the Hangul word from the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160, the cursor controller 190 moves the cursor to the final input position of the first letter of the Hangul word displayed in the input area 110. Move it. In addition, when one of a list of candidate words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ursor controller 190 moves the cursor to an input position of the next word.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the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 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A and 1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spectivel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a Korean input method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A to 3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세부 구성도이다.5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Hangul input method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8)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사용자로부터 한글 문장에 속하는 1 이상의 단어에 대해 상기 단어의 각 음절의 초성을 입력 받는 단계,Receiving a consonant of each syllable of the word for at least one word belonging to a Hangul sentence from a user, 상기 입력된 초성에 해당하는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a word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sonant from the user, 상기 수신된 품사 분류 정보 및 상기 입력된 초성에 기초하여, 후보 단어를 단어 저장부로부터 검색하는 단계,Searching for a candidate word from a word storage based on the received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nput consonant; 상기 검색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선택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Displaying the list of searched candidate words in a selected area by sorting the list of candidate words according to preset criteria; and 상기 표시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후보 단어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If one of the displayed list of candidate words is selected by the user, displaying the selected candidate word in an input area 를 포함하는 한글 입력 방법.Hangul input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1 이상의 단어의 각 음절에 해당하는 중성을 각각 입력 받는 단계,Receiving a neutral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of the one or more words, 상기 기 입력된 초성과 상기 입력된 중성에 해당하는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a word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input initial and the input neutral, from the user; 상기 수신된 품사 분류 정보 및 상기 기 입력된 초성 및 상기 입력된 중성에 기초하여, 후보 단어를 단어 저장부로부터 검색하는 단계,Retrieving a candidate word from a word storage based on the received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e input first initial, and the input neutrality; 상기 검색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Displaying the searched candidate words in the selection area by sorting the list of candidate words according to preset criteria; and 상기 표시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후보 단어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If one of the displayed list of candidate words is selected by the user, displaying the selected candidate word in the input area 를 더 포함하는 한글 입력 방법.Hangul input method comprising mo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보 단어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어 저장부에 저장된 후보 단어 중 상기 입력된 초성과의 일치율이 가장 높은 후보 단어의 순위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인 한글 입력 방법.The displaying of the list of candidate words may include displaying the list of candidate words sorted by the rank of the candidate words having the highest matching rate with the input initial consonant among the candidate words stored in the word storage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보 단어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단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단어 간의 표시 순위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인 한글 입력 방법.The displaying of the list of candidate words may include displaying the candidate words by sorting the display order among the candidate words based on a frequency input by a us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보 단어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단어가 사용자에 의해 가장 최근에 입력된 순서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인 한글 입력 방법.The displaying of the list of candidate words may include displaying the candidate words in a sorted order most recently input by a us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한글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한글 단어를 품사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분류 저장하는 단계When the user inputs the Hangul word, classifying and storing the input Hangul word based on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를 더 포함하는 한글 입력 방법.Hangul input method comprising mo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품사 분류 정보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감탄사, 관형사, 부사를 포함하는 명사군 정보와 동사, 형용사를 포함하는 동사군 정보로 구성되는 것인 한글 입력 방법.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noun group including nouns, pronouns, investigations, interjections, adjectives, and adverbs, and verb group information including verbs and adjectiv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품사 분류 정보로서 명사군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는, 명사군에 속하는 단어들로부터 후보 단어를 검색하는 것인 한글 입력 방법.And when noun group information is received as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searching for a candidate word from words belonging to the noun grou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품사 분류 정보로서 동사군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동사군에 속하는 단어들로부터 후보 단어를 검색하는 것인 한글 입력 방법.And when the verb group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as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searching for a candidate word from words belonging to the verb grou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품사 분류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의 중성 입력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인 한글 입력 방법.When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is input, the Korean input method of moving the cursor to the neutral input position of the first letter of the input wor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는 다음 단어의 입력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인 한글 입력 방법.And when one of the list of candidate words is selected by the user, moves the cursor to an input position of the next word. 한글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Hangul,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한글 단어를 품사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분류 저장하 는 단어 저장부,A word storage unit for classifying and storing Korean words input by a user based on parts of 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한글 단어의 각 음절의 초성 및 상기 한글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를 입력 받는 키 입력부,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nsonant of each syllable of the Hangul word and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angul word from the user; 상기 입력된 한글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 및 상기 입력된 초성에 기초하여, 후보 단어를 상기 단어 저장부로부터 검색하는 단어 검색부 및A word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a candidate word from the word storage based on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Hangul word and the input consonant; 상기 검색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는 단어 표시부A word display unit arranged to display the searched list of candidate words according to preset criteria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상기 한글 단어의 품사 분류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 영역 상의 커서의 위치를 상기 입력 중인 한글 단어의 첫 번째 글자의 중성 입력 위치로 이동시키는 커서 제어부When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angul word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a cursor controller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input area to the neutral input position of the first letter of the Hangul word being input;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커서 제어부는, 상기 후보 단어의 리스트 중 하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다음 단어의 입력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인 휴대용 단말기.And the cursor controller moves the cursor to an input position of a next word when one of the list of candidate words is selected by the user.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검색부는, 상기 입력된 품사 분류 정보에 속하는 단어들로부터 상기 후보 단어를 검색하는 것인 휴대용 단말기.The search unit searches for the candidate word from words belonging to the input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단어 표시부는, 상기 입력된 품사 분류 정보에 속하는 단어들로부터 검색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를 상기 입력된 초성과의 일치율이 높은 순서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인 휴대용 단말기. And the word display unit arranges and displays a list of candidate words searched from words belonging to the input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 the order of high agreement with the input initial consonant.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검색부는, 상기 입력된 품사 분류 정보에 속하지 않는 단어들로부터 후보 단어를 검색하는 것인 휴대용 단말기.The search unit searches for a candidate word from words that do not belong to the input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단어 표시부는, 상기 입력된 품사 분류 정보에 속하지 않는 단어들로부 터 검색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를 상기 입력된 초성과의 일치율이 높은 순서로 정렬하되,The word display unit sorts the list of candidate words searched from words that do not belong to the input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 the order of high agreement with the input initial consonant, 상기 입력된 품사 분류 정보에 속하는 단어들로부터 검색된 후보 단어의 리스트에 포함시켜 함께 표시하는 것인 휴대용 단말기.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list of candidate words retrieved from words belonging to the input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ed together.
KR1020080074625A 2008-07-30 2008-07-30 Hangul inputting method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KR201000131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625A KR20100013108A (en) 2008-07-30 2008-07-30 Hangul inputting method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625A KR20100013108A (en) 2008-07-30 2008-07-30 Hangul inputting method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108A true KR20100013108A (en) 2010-02-09

Family

ID=42087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625A KR20100013108A (en) 2008-07-30 2008-07-30 Hangul inputting method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310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831B1 (en) * 2019-08-13 2020-06-25 주식회사 베네디아 Chi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based on first-input-charac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10156900A (en) * 2020-06-18 2021-12-28 주식회사 베네디아 Japa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based on first-input-charac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831B1 (en) * 2019-08-13 2020-06-25 주식회사 베네디아 Chi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based on first-input-charac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1029658A1 (en) * 2019-08-13 2021-02-18 주식회사 베네디아 Device for chinese character input based on initial input charac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156900A (en) * 2020-06-18 2021-12-28 주식회사 베네디아 Japa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based on first-input-charac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4809B2 (en) Korean language predictive mechanism for text entry by a user
KR101377763B1 (en) Korean input method and device therefor in which the consonant is recognized by a long press in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and the continuous input of consonants concatenated or arranged on the same button is possible
AU2006341370B2 (en) Data entry system
KR100891358B1 (en) System and its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by predicting character sequence of user's next input
US8788508B2 (en) Object access system based upon hierarchical extraction tree and related methods
US20030023426A1 (en) Japanese language entry mechanism for small keypads
KR20120006503A (en) Improved text input
CN102119375B (en) Word input method
KR20100013108A (en) Hangul inputting method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N101290545B (en) Matrix Chinese characters input method and device
KR100599873B1 (en) device for input various characters of countrys using hangul letters and method thereof
JP2011186994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KR20100024566A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korean alphabet for handy terminal
KR100715471B1 (en)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
CN103678467A (en) Information display control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control method, information display control system
KR101312875B1 (en) Data entry system
KR100846042B1 (en) The method of providing more bigger effect of button
KR2009007708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from keypad
KR101340511B1 (en) Multilingual Dictionary Search System using Hangul-based Universal Phonetic System
KR101249890B1 (en) Personalized Vocabulary System and Foreign Language Search Method using Thereof
KR200500972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gul input/output
KR100745978B1 (en) Letter input device, portab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input method the same
KR1012753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from keypad
KR20010034982A (en) New method of inputting Han-gul and apparatus using it
KR101063601B1 (en) Mobile terminal and his phone number search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