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149A - Quantization/inverse quantiz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video encoding/decoding apparatus using same - Google Patents

Quantization/inverse quantiz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video encoding/decoding apparatus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149A
KR20100012149A KR1020080073378A KR20080073378A KR20100012149A KR 20100012149 A KR20100012149 A KR 20100012149A KR 1020080073378 A KR1020080073378 A KR 1020080073378A KR 20080073378 A KR20080073378 A KR 20080073378A KR 20100012149 A KR20100012149 A KR 20100012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ization
inverse
frequency
residual block
quant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3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59500B1 (en
Inventor
김하윤
김해광
문주희
이영렬
전병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3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500B1/en
Publication of KR20100012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1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5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PURPOSE: An inverse quantization apparatus/method and an image encoding/decoding apparatus for quantizing a quantization table are provided to improve the image encoding/decoding effect by simplifying a calculation for quantization and inverse quantization. CONSTITUTION: A quantization table input unit(310) inputs a quantization table. A quantization calculator(320) quantizes the frequency coefficient by using a dead zone uniform border quantization. The quantum computing part calculates the absolute value and denotation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by using the quantization table.

Description

양자화/역 양자화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Quantization/Inverse Quantiz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Video Encoding/Decoding Apparatus Using Same}Quantization / Inverse Quantiz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Video Encoding / Decoding Apparatus Using Same}

본 발명은 양자화/역 양자화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데 있어서, 사람의 시각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양자화 및 역 양자화를 위한 계산을 단순화하여 부호화 및 복호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antization / inverse quantiz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an image encoding / deco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encoding and decoding efficiency by simplifying calculation for quantization and inverse quantization while reflecting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while encoding or decoding an image.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과 VCEG(Video Coding Experts Group)은 기존의 MPEG-4 Part 2와 H.263 표준안보다 우수하고 뛰어난 비디오 압축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새로운 표준안은 H.264/AVC(Advanced Video Coding)이라 하며, MPEG-4 Part 10 AVC와 ITU-T Recommendation H.264로 공동으로 발표되었다.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and Video Coding Experts Group (VCEG) have developed video compression techniques that are superior to the existing MPEG-4 Part 2 and H.263 standards. The new standard is called H.264 / AVC (Advanced Video Coding) and was jointly released as MPEG-4 Part 10 AVC and ITU-T Recommendation H.264.

이러한 H.264/AVC(이하 'H.264'라 약칭함)에서는 정수형의 이산 코사인 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이하 'DCT'라 칭함), 변환 블록 크기의 움직임 추정 및 보상(Variable Block Size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양자화(Quantization), 엔트로피 부호화(Entropy Coding)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에서 움직임 추정 및 보상과 DCT 변환 및 역 DCT와 양자화와 역 양자화는 실제로 구현할 때, 계산량이 많고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메모리의 크기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MPEG-4와 비교할 때, 2배의 압축 성능을 지니는 H.264에서는 더욱 많은 계산이 필요하다.In such H.264 / AVC (hereinafter abbreviated as 'H.264'), integer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is called, and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of transform block size (Variable Block Size)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Quantization, Entropy Coding. Among these,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DCT transform, inverse DCT, quantization and inverse quantization are known to be large in computational amount and additionally require large memory when actually implemented. In particular, H.264, which has twice the compression performance compared to MPEG-4, requires more computation.

따라서, 양자화와 역 양자화를 하는 과정에서 계산량을 감소시켜 궁극적으로는 동영상의 부호화 또는 복호화를 위한 장치의 구현을 용이하게 하고 구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동영상 부호화 또는 복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amount of computation in the process of quantization and inverse quantization, ultimately facilitating the implementation of an apparatus for encoding or decoding a video, reducing the implementation cost, and improving video encoding or decoding efficiency. Development of the situation is required.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상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데 있어서, 사람의 시각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양자화 및 역 양자화를 위한 계산을 단순화하여 부호화 및 복호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object in improving encoding and decoding efficiency by simplifying calculation for quantization and inverse quantization while reflecting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while encoding or decoding an imag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자화 장치에 있어서, 데드존 균일 경계 양자화(DZUTQ: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를 이용하여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를 양자화하되,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quantization apparatus, using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 (DZUTQ) to quantize the frequency coefficient of the residual block, but at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 of the residual block Provided is a quantiz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by quantization us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a corresponding quantization coeffici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양자화 방법에 있어서,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입력받는 양자화 테이블 입력 단계; 및 데드존 균일 경계 양자화(DZUTQ: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를 이용하여 주파수 계수를 양자화하되,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과 부호를 계산하는 양자화 계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quantization method comprising: a quantization table input step of receiv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quantization coefficients according to positions of frequency coefficients; And a quantization calculation step of quantizing the frequency coefficients using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 (DZUTQ), but calculating an absolute value and a sign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using a quantization table. It provides a quantization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역 양자화 장치에 있어서, 데드존 균일 경계 양자화(DZUTQ: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를 이용하여 양자화된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를 역 양자화하되,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역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양자화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verse quantization apparatus, dead frequency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 (DZUTQ) is used to inverse quantize the frequency coefficients of the quantized residual block, but the frequency of the residual block An inverse quantization apparatus is characterized by inverse quantization us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quantization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coefficient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역 양자화 방법에 있어서,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입력받는 양자화 테이블 입력 단계; 및 데드존 균일 경계 양자화(DZUTQ: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를 이용하여 양자화된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를 역 양자화하되,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과 부호를 역 양자화하여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를 계산하는 역 양자화 계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양자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verse quantization method comprising: a quantization table input step of receiv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quantization coefficients according to positions of frequency coefficients; And inverse quantiza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s of the quantized residual block using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 (DZUTQ), and inverse quantization by inverse quantizing the absolute value and sign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using a quantization table. And an inverse quantization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calculated frequency coefficient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영상을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영상의 현재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부; 현재 블록에서 예측 블록을 감산하여 잔차 블록을 생성하는 감산부; 잔차 블록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 하는 변환부; 변환된 잔차 블록을 데드존 균일 경계 양자화(DZUTQ: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를 이용하여 양자화하되,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하는 양자화부; 및 양자화된 잔차 블록을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encoding an image, comprising: a prediction unit configured to predict a current block of an image and generate a prediction block; A subtraction unit for generating a residual block by subtracting the prediction block from the current block; A transformer for converting the residual block into the frequency domain; A quantization unit for quantizing the transformed residual block using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 (DZUTQ) and quantizing the quantization table us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a quantiz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 of the residual block; And an encoder to generate a bitstream by encoding the quantized residual block.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영상을 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잔차 블록을 추출하는 복호화부; 추출된 잔차 블록을 데드존 균일 경계 양자화(DZUTQ: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를 이용하여 역 양자화하되,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역 양자화하는 역 양자화부; 역 양자화된 잔차 블록을 시간 영역으로 역 변환하는 역 변환부; 현재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부; 및 예측 블록에 역 변환된 잔차 블록을 가산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가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decoding an image, comprising: a decoder configured to decode a bitstream to extract a residual block; An inverse quantizer which inversely quantizes the extracted residual block using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 (DZUTQ), and inversely quantizes the quantization table having a quantiz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 of the residual block. ; An inverse transform unit for inversely transforming an inverse quantized residual block into a time domain; A prediction unit for predicting a current block to generate a prediction block; And an adder configured to reconstruct the current block by adding the inverse transformed residual block to the prediction block.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데 있어서, 사람의 시각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양자화 및 역 양자화를 위한 계산을 단순화하여 부호화 및 복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encoding or decoding an image, encoding and decoding efficiency may be improved by simplifying calculation for quantization and inverse quantization while reflecting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designat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frames constituting an image.

영상을 부호화하는 기법은 다양한데, 대표적으로 영상을 화소 단위로 분할하여 화소 단위로 부호화할 수도 있고 영상을 블록 단위로 분할하여 블록 단위로 부호화할 수도 있다. 블록 단위로 부호화하는 경우, 영상을 구성하는 여러 프레임 중 부호화하고자 하는 하나의 프레임은 매크로블록과 매크로블록을 구성하는 서브블록 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나누어진 블록 단위로 예측되고 부호화가 수행된다.There are various techniques for encoding an image. Typically, an image may be divided into pixels and encoded in pixels, or an image may be divided into blocks and encoded in blocks. In the case of encoding in block units, one frame to be encoded among several frames constituting the image may be divided into a macroblock and a subblock constituting the macroblock, and are predicted in units of divided blocks and encoding is performed.

통상적으로 영상은 1초 동안에 30장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므로, 하나의 프레임과 이웃한 프레임 간에는 프레임 간의 영상의 차이가 작기 때문에, 인간의 눈으로 그 차이를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로 인해, 영상이 1초 동안에 30장의 프레임으로 출력되면, 인간은 각 프레임이 연속적인 것으로 인식한다.In general, since an image is composed of 30 frames in one second, 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with a human eye because the difference in the image between frames is small between one frame and neighboring frames. Therefore, if the image is output in 30 frames in one second, the human recognizes that each frame is continuous.

따라서,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영상이 유사하다면, 이전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는 이미 알고 있는 영상의 화소값으로부터 현재 프레임의 미지의 화소값을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측 기법을 인터 예측(Inter Prediction)이라 한다. 이러한 인터 예측은 움직임 예측(Motion Prediction)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움직임 예측은 시간 축을 기준으로 이전 프레임을 참조하거나 이전 프레임과 미래 프레임을 모두 참조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현재 프레임을 부호화하거나 복 호화하는데 참조되는 프레임을 참조 프레임(Reference Frame)이라고 한다.Therefore, if the image of the previous frame and the current frame is similar, the unknown pixel value of the current frame can be predicted from the pixel values of the known image constituting the previous frame. Such a prediction technique is called inter prediction. Such inter prediction is based on a motion prediction technique. Motion prediction is performed by referring to a previous frame or to both a previous frame and a future frame based on the time axis. A frame referred to to encode or decode a current frame is called a reference frame.

도 1을 참조하면, 영상은 일련의 정지 영상(Still Image)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정지 영상들은 픽쳐 그룹(GOP: Group of Picture) 단위로 구분되어 있다. 각 정지 영상을 프레임이라 한다. 하나의 픽쳐 그룹에는 I 프레임(110), P 프레임(120), B 프레임(130)이 포함되어 있다. I 프레임(110)은 참조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부호화되는 프레임이며, P 프레임(120)과 B 프레임(130)은 참조 프레임을 사용하여 움직임 추정 및 보상을 수행하여 부호화되는 프레임이다. 특히, B 프레임(130)은 과거의 프레임과 미래의 프레임을 각각 순방향 및 역방향 즉, 양방향으로 예측하여 부호화되는 프레임이다.Referring to FIG. 1, an image is composed of a series of still images. These still pictures are divided in units of group of pictures (GOP). Each still image is called a frame. One picture group includes an I frame 110, a P frame 120, and a B frame 130. The I frame 110 is a frame that is encoded by itself without using a reference frame, and the P frame 120 and the B frame 130 are frames that are encoded by performing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using the reference frame. In particular, the B frame 130 is a frame that is predicted and encoded in a forward and a reverse direction, that is, a bidirectional direction, for a past frame and a future frame, respectively.

또한,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화소들 간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다음 화소를 예측할 수 있는데, 이를 인트라 예측(Intra Prediction)이라 한다. 인트라 예측의 경우에는 부호화하고자 하는 최적의 예측 모드에 의해 정해지는 예측 방향에 따라 현재 블록의 각 화소의 화소값을 이전에 부호화되고 현재 블록의 주변에 있는 주변 블록의 인접 화소를 이용하여 예측한다.In addition, the next pixel may be predicted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ixels in the same frame, which is called intra prediction. In the case of intra prediction, the pixel value of each pixel of the current block is predicted using neighboring pixels of a neighboring block that is previously encoded and is in the vicinity of the current block according to a prediction direction determined by an optimal prediction mode to be encod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 video en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영상을 부호화하는 장치로서, 예측부(210), 감산부(220), 변환부(230), 양자화부(240) 및 부호화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mage enco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encoding an image, and includes a predictor 210, a subtractor 220, a transformer 230, a quantizer 240, and an encoder 25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이러한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 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PlayStation Portable),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일 수 있으며,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The video encoding apparatus 200 may be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or a PlayStation Portable (PSP). And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communication modem for communicating with various devices or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memory for storing various programs and data for encoding an image, and a program. It means a variety of devices having a microprocessor, etc. for execution and operation and control.

예측부(210)는 영상의 현재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즉, 예측부(210)는 인트라 예측(Intra Prediction) 또는 인터 예측(Inter Prediction) 등을 이용하여 영상에서 부호화하고자 하는 현재 블록(Current Block)을 예측함으로써 예측 화소값(Predicted Pixel Value)을 각 화소의 화소값으로 갖는 예측 블록(Predicted Block)을 생성한다.The predictor 210 predicts a current block of an image and generates a predicted block. That is, the prediction unit 210 predicts the current block to be encoded in the image by using intra prediction or inter prediction, thereby predicting the predicted pixel value by each pixel. A predicted block having a pixel value of is generated.

감산부(220)는 현재 블록에서 예측 블록을 감산하여 잔차 블록(Residual Block)을 생성한다. 즉, 감산부(220)는 현재 블록의 각 화소의 원 화소값(Original Pixel Value)과 예측 블록의 각 화소의 예측 화소값의 차이값을 계산하여 잔차 신호(Residual Signal)를 갖는 잔차 블록을 생성한다.The subtractor 220 subtracts the prediction block from the current block to generate a residual block. That is, the subtractor 220 generates a residual block having a residual signal by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an original pixel value of each pixel of the current block and a predicted pixel value of each pixel of the prediction block. do.

변환부(230)는 잔차 블록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 즉, 변환부(130)는 감산부(220)에 의해 생성된 잔차 블록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여 주파수 계수를 갖는 잔차 블록을 생성한다. 여기서, 변환부(330)는 하다마드 변환(Hadamard Transform), 이산 코사인 변환 기반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Based Transform) 등과 같은 시간축의 화상 신호를 주파수축으로 변환하는 다양한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잔차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할 수 있는데,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잔차 신호가 주파수 계수가 된다.The converter 230 converts the residual block into the frequency domain. That is, the transformer 130 converts the residual block generated by the subtractor 220 into the frequency domain to generate a residual block having a frequency coefficient. The transform unit 330 may convert the residual signal into a frequency using various transform techniques such as a Hadamard transform and a discrete cosine transform based transform. It can be converted into a domain, and the residual signal converted into the frequency domain becomes a frequency coefficient.

양자화부(240)는 변환부(230)에 의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잔차 신호를 갖는 잔차 블록을 양자화(Quantization)한다. 여기서, 양자화부(240)는 변환된 잔차 블록을 데드존 균일 경계 양자화(DZUTQ: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 이하 'DZUTQ'라 칭함)를 이용하여 양자화하되,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QP: Quantization Parameter)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한다. 양자화부(240)가 잔차 블록을 양자화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과정에서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quantization unit 240 quantizes the residual block having the residual signal converted into the frequency domain by the transform unit 230. Here, the quantization unit 240 quantizes the transformed residual block using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 (DZUTQ), quantiz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 of the residual block. Quantization is performed us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coefficients (QPs). A process of quantizing the residual block by the quantization unit 2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in a later process.

부호화부(250)는 양자화부(240)에 의해 양자화된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들을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이러한 부호화 기술로서는 엔트로피 부호화(Entropy Encoding)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다양한 부호화 기술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encoder 250 generates a bitstream by encoding the frequency coefficients of the residual block quantized by the quantizer 240. As the encoding technique, an entropy encoding technique may be used, but various encoding techniques may be used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 quant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장치는 도 2를 통해 전술한 영상 부호화 장치(200)에서는 양자화부(240)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장치를 양자화부(240)라 칭한다.The quan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the quantization unit 240 in the image encoding apparatus 2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quan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lled a quantization unit 2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부(2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DZUTQ를 이 용하여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를 양자화하되,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한다.As described above, the quantization unit 240 quantizes the frequency coefficients of the residual block using DZUTQ, but uses a quantization table having a quantiz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s of the residual block. Quantize.

H.264에서는 매크로블록(Macroblock)마다 양자화 계수를 설정하여 양자화 단계(Qstep: Quantization Step)를 제어한다. H.264에서 양자화 계수는 0에서 51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각 양자화 계수에 따른 '0'이 아닌 양자화 단계는 일정한 값으로 고정된다. 예를 들어, 양자화 계수가 '0'인 경우 양자화 단계는 0.625의 값을 가지며, 양자화 계수가 6씩 증가할 때마다 양자화 단계는 2배로 증가하여, 양자화 계수가 51인 경우 양자화 단계는 224의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이 양자화 계수를 다양하게 설정함으로써 양자화 단계를 조절하여 부호화를 위한 비트율과 화질의 최적화를 제어할 수 있다.In H.264, a quantization coefficient is set for each macroblock to control a quantization step (Qstep). In H.264, the quantization coefficients may have a value from 0 to 51, and a quantization step other than '0' according to each quantization coefficient is fixed to a constant value. For example, if the quantization coefficient is '0', the quantization step has a value of 0.625, and each time the quantization coefficient is increased by 6, the quantization step is doubled. When the quantization coefficient is 51, the quantization step is a value of 224. Has As such, by setting the quantization coefficients in various ways, the quantization step may be adjusted to control optimization of bit rate and image quality for encoding.

DZUTQ란 양자화 레벨이 '0'이 되는 데드존(Dead Zone)의 양자화 단계를 제외한 나머지 양자화 단계는 일정하게 유지하여 양자화하는 방식을 말한다. 양자화 계수는 매크로블록마다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는데, DZUTQ의 경우에는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관계없이 모두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는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주파수 계수를 양자화한다.DZUTQ refers to a method in which the quantization step except for the dead zone in which the quantization level becomes '0' is quantized while keeping the other quantization step constant. The quantization coefficients can be changed and set for each macroblock. In the case of DZUTQ, the frequency coefficients are quantized using quantization coefficients set to the same value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s.

예를 들어, 감산부(220)에서 잔차 블록 'X'을 생성하여 변환부(230)로 전달하면, 변환부(230)는 입력된 잔차 블록 'X'의 각 잔차 신호를 수학식 1과 같이 '코어' 변환(Forward 'Core' Transform)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주파수 계수 Wi,j를 생성하여, 양자화부(240)로 전달한다.For example, when the subtraction block 220 generates the residual block 'X' and transmits the residual block 'X' to the conversion unit 230, the conversion unit 230 transmits each residual signal of the input residual block 'X'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A 'core' transform is used to transform the frequency domain to generate a frequency coefficient W i, j and transmit the generated frequency coefficient to the quantizer 240.

Wi,j = CfXCf T W i, j = C f XC f T

여기서, Cf는 정방향 정수 변환의 행렬을 나타내며, Cf T는 해당 행렬이 전치(Transposition)되었음을 의미한다.Here, C f represents a matrix of forward integer transformations, and C f T means that the matrix is transposed.

양자화부(240)는 변환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주파수 계수 Wi,j를 포스트 스케일링(Post Scailing)하고 양자화하는데, 이러한 양자화를 통해 생성되는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Zi,j|)과 부호(sign(Zi,j))는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된다.The quantization unit 240 post-scales and quantizes the frequency coefficient W i, j input from the transform unit 230. The absolute value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generated through such quantization (| Z i, j |) And the sign (sign (Z i, j )) are calculated as in Equation 2.

|Zi,j| = ( |Wi,j| × MFi,j(QP%6) + f ) >> (15 + (QP/6) ) | Z i, j | = (W i, j | × MF i, j (QP% 6) + f) >> (15 + (QP / 6))

sign(Zi,j) = sign (Wi,j)sign (Z i, j ) = sign (W i, j )

여기서, Wi,j는 주파수 계수 행렬 W의 각 위치 (i,j)에 따른 주파수 계수를 말하고, MFi,j(QP%6)는 증배 계수(Multiplication Factor)를 말하며, 주파수 변환에서의 포스트 스케일링 계수(Post Scaling Factor)와 양자화 단계가 결합된 고정된 값으로서, QP%6의 값에 따라 표 1과 같이 고정된다. 또한, f는 양자화 과정에서의 반올림(Round)으로 인한 오류와 데드존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예측 블록이 인트라 예측으로 예측된 경우에는 2(15+(QP/6))/3이고, 인트라 예측으로 예측된 경우에 는 215+((QP/6)/6)으로 고정된다. 또한, QP%6은 양자화 계수를 6으로 나눈 나머지를 말하며, QP/6은 양자화 계수를 6으로 나눈 몫을 말하며, '>>'는 이진 우측 이동 연산(Binary Shift Right)을 의미한다.Here, W i, j refers to a frequency coefficient according to each position (i, j) of the frequency coefficient matrix W, MF i, j (QP% 6) refers to a multiplication factor, and post in frequency conversion A fixed value combined with a scaling factor and a quantization step is fixed as shown in Table 1 according to the value of QP% 6. In addition, f i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size of errors and dead zones due to rounding in the quantization process, and is 2 (15+ (QP / 6)) / 3 when the prediction block is predicted by intra prediction. In case of prediction, it is fixed as 2 15 + ((QP / 6) / 6) . In addition, QP% 6 refers to the remainder obtained by dividing the quantization coefficient by 6, QP / 6 refers to the quotient obtained by dividing the quantization coefficient by 6, and '>>' denotes a binary shift right.

Figure 112008054015377-PAT00001
Figure 112008054015377-PAT00001

한편, DZUTQ가 아닌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Quantization Weighted Matrix)를 이용한 양자화 방법을 이용하여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를 양자화할 수 있다.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를 이용한 양자화 방법에서는 사람의 시각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고주파 성분의 주파수 계수에 대해 저주파 성분의 주파수 계수보다 상대적으로 큰 양자화 단계를 적용하여 양자화한다. 즉, 사람의 눈은 저주파 성분의 화질 열화에는 민감하지만 고주파 성분의 화질 열화에는 민감하지 않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고주파 성분을 저주파 성분보다 덜 섬세하게 양자화한다.Meanwhile, the frequency coefficient of the residual block may be quantized by using a quantization method using a quantization weighted matrix instead of DZUTQ. In the quantization method using the quantization weight matrix, quantization is performed by applying a quantization step tha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frequency coefficient of the low frequency component to the frequency coefficient of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in consideration of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That is, the human eye quantizes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less delicately than the low frequency component by using the characteristic that the human eye is sensitive to the image quality degradation of the low frequency component but not the image quality degradation of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는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는데, 표 2를 통해 화질 열화에 민감한 저주파 성분에서는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의 양자화 계수 값이 작고 화질 열화에 민감하지 않은 고주파 성분에서는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의 양자화 계수 값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e quantization weighting matrix can be represented as shown in Table 2. Table 2 shows that the quantization coefficients of the quantization weighting matrix are small in the low frequency components sensitive to image quality degradation, and that the quantization coefficients of the quantization weighting matrix are large in the high frequency components which are not sensitive to image quality degradation. It can be seen that.

Figure 112008054015377-PAT00002
Figure 112008054015377-PAT00002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양자화하는 과정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예를 들어, 감산부(220)에서 잔차 블록 'X'을 생성하여 변환부(230)로 전달하면, 변환부(230)는 입력된 잔차 블록 'X'의 각 잔차 신호를 수학식 1과 같이 '코어' 변환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주파수 계수 Wi,j를 생성하여, 양자화부(240)로 전달한다.The process of quantization using the quantization weight matrix is described later. For example, when the subtraction block 220 generates the residual block 'X' and transmits the residual block 'X' to the conversion unit 230, the conversion unit 230 transmits each residual signal of the input residual block 'X'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The core is transformed into a frequency domain using a 'core' transform, and a frequency coefficient W i, j is generated and transferred to the quantization unit 240.

양자화부(240)는 변환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주파수 계수 Wi,j를 포스트 스케일링하고 양자화하는데,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Zi,j|)과 부호(sign(Zi,j))는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된다.The quantization unit 240 post-scales and quantizes the frequency coefficient W i, j input from the conversion unit 230. The absolute value (| Z i, j |) and the sign (sign (Z i, j )) is calculated as in Equation 3.

|Zi,j| = ( |Wi,j| × MFi,j(QP%6) / Pi,j + f ) >> (15 + (QP/6) ) | Z i, j | = (W i, j | × MF i, j (QP% 6) / P i, j + f) >> (15 + (QP / 6))

sign(Zi,j) = sign (Wi,j)sign (Z i, j ) = sign (W i, j )

여기서, Wi,j, MFi,j(QP%6), f, QP%6, QP/6와 '>>'는 수학식 2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고, Pi,j는 양자화 가중치(Quantization Weighted Value)를 말한다. 양자화 가중치란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에서 기본 양자화 계수에 대한 각 양자화 계수의 비율을 말하며, 표 2에 나타낸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에서 양자화 계수가 16인 경우 가중치는 1이고 양자화 계수가 24인 경우 가중치는 1.5가 된다.Here, W i, j , MF i, j (QP% 6), f, QP% 6, QP / 6 and '>>' are as described above through Equation 2, and P i, j is the quantization weight ( Quantization Weighted Value). The quantization weight refers to the ratio of each quantization coefficient to the basic quantization coefficient in the quantization weight matrix. In the quantization weight matrix shown in Table 2, the weight is 1 when the quantization coefficient is 16 and the weight is 1.5 when the quantization coefficient is 24.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를 이용하면 사람의 시각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주파수 계수를 양자화할 수 있지만, 수학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화 가중치 Pi,j로 증배 계수 MFi,j(QP%6)를 나누는 연산을 추가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양자화를 위한 계산 복잡도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하드웨어의 구현이 복잡해 질뿐만 아니라 부호화 속도를 저하한다. 이러한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를 이용한 양자화 방법의 비효율은 후술할 역 양자화 과정에서는 더욱 두드러진다.Although the quantization weight matrix can be used to quantize the frequency coefficient to reflect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a person, the operation of dividing the multiplication factor MF i, j (QP% 6) by the quantization weight P i, j as shown in Equation 3. Because of the additional computation,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for quantization increases, which not only complicates hardware implementation but also reduces coding speed. The inefficiency of the quantization method using the quantization weight matrix is more prominent in the inverse quantization proces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를 이용한 양자화를 통해 달성할 수 있는 사람의 시각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양자화하는 장점을 취하면서 DZUTQ의 계산 과정과 유사하게 양자화를 위한 계산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DZUTQ를 이용하여 주파수 계수를 양자화하되,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은 표 3과 같이 일반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Using DZUTQ, frequency can be used to quickly perform quantization calculations similar to DZUTQ's calculation process while taking advantage of quantization by reflect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humans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quantization using quantization weight matrix. The coefficients may be quantized but quantized us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quantization coefficients according to positions of frequency coefficients. Here, the quantization table having quantization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requency coefficients may be generalized as shown in Table 3.

Figure 112008054015377-PAT00003
Figure 112008054015377-PAT0000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화 테이블에는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라 다른 양자화 계수가 배열되는데, 사람이 화질 열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저주파 성분 쪽에는 작은 양자화 계수가 배열되고 사람이 화질 열화에 민감하지 않게 반응하는 고주파 성분 쪽에는 큰 양자화 계수가 배열된다. 표 3에서 QP는 매크로블록의 양자화 계수를 나타내고, () 안의 숫자는 지그재그 스캔((ZigZag Scan)의 순서를 나타낸다.As shown in Table 3, different quantization coefficients are arranged in the quantization tab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s, and small quantization coefficients are arranged on the low frequency component where a human is sensitive to image degradation, and a human is not sensitive to image degradation. A large quantization coefficient i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that reacts. In Table 3, QP represents the quantization coefficient of the macroblock, and the number in () represents the order of the ZigZag Scan.

지그재그 스캔으로 표 3의 양자화 테이블을 스캔한 양자화 계수는 "QP(1), QP(2), QP(3), QP+1(4), QP+1(5), QP+1(6), QP+1(7), QP+1(8), QP+1(9), QP+1(10), QP+2(11), QP+2(12), QP+2(13), QP+3(14), QP+3(15), QP+3(16)"와 같은 순서로 나열된다.The quantization coefficients that scanned the quantization table in Table 3 by zigzag scan are "QP (1), QP (2), QP (3), QP + 1 (4), QP + 1 (5), QP + 1 (6) , QP + 1 (7), QP + 1 (8), QP + 1 (9), QP + 1 (10), QP + 2 (11), QP + 2 (12), QP + 2 (13), QP + 3 (14), QP + 3 (15), and QP + 3 (16) "are listed in this order.

이와 같은 양자화 테이블을 부호화할 때에는 DC 성분의 QP는 매크로블록의 양자화 계수로서 부호화하지 않고 QP+X의 X만을 부호화하여, "0(2), 0(3), 1(4), 1(5), 1(6), 1(7) 1(8), 1(9), 1(10), 2(11), 2(12), 2(13), 3(14), 3(15), 3(16)"와 같이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차동 펄스 부호 변조(DPCM: Differential Pulse Coded Modulation) 방식으로 부호화하면, "0(2), 0(3), 1(4), 0(5), 0(6), 0(7) 0(8), 0(9), 0(10), 1(11), 0(12), 0(13), 1(14), 0(15), 0(16)"와 같이 부호화할 수 있다. 이때, ()의 순서는 부호화하지 않는다. 이러한 양자화 테이블은 시퀀스 파라미터(Sequence Parameter) 또는 픽처 파라미터(Picture Parameter) 등의 형태로 영상 부호화 장치(200)로부터 후술할 영상 복호화 장치로 전송되거나 영상 부호화 장치(200)와 영상 복호화 장치에서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When encoding such a quantization table, the QP of the DC component is encoded by only X of QP + X without encoding as the quantization coefficient of the macroblock, so that "0 (2), 0 (3), 1 (4), 1 (5)" is encoded. ), 1 (6), 1 (7) 1 (8), 1 (9), 1 (10), 2 (11), 2 (12), 2 (13), 3 (14), 3 (15) , 3 (16) ". In addition, when coded by differential pulse coded modulation (DPCM), "0 (2), 0 (3), 1 (4), 0 (5), 0 (6), 0 (7) 0. (8), 0 (9), 0 (10), 1 (11), 0 (12), 0 (13), 1 (14), 0 (15), 0 (16) ". . At this time, the order of () is not encoded. The quantization table is transmitted from the image encoding apparatus 200 to the image decoding apparatus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form of a sequence parameter or a picture parameter, or fixedly used by the image encoding apparatus 200 and the image decoding apparatus. Can be.

표 3에서 나타낸 양자화 테이블에서 QP가 25인 경우, 양자화 테이블은 표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If QP is 25 in the quantization table shown in Table 3, the quantization table may be represented as shown in Table 4.

Figure 112008054015377-PAT00004
Figure 112008054015377-PAT00004

DZUTQ를 이용하여 양자화하되, 전술한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하는 과정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예를 들어, 감산부(220)에서 잔차 블록 'X'을 생성하여 변환부(230)로 전달하면, 변환부(230)는 입력된 잔차 블록 'X'의 각 잔차 신호를 수학식 1과 같이 '코어' 변환('Core' Transform)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주파수 계수 Wi,j를 생성하여, 양자화부(240)로 전달한다.Quantization using DZUTQ, but quantization using the above-described quantization table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when the subtraction block 220 generates the residual block 'X' and transmits the residual block 'X' to the conversion unit 230, the conversion unit 230 transmits each residual signal of the input residual block 'X'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The core is transformed into a frequency domain using a 'Core' transform, and a frequency coefficient W i, j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quantization unit 240.

양자화부(240)는 변환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주파수 계수 Wi,j를 포스트 스케일링하고 양자화하는데,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Zi,j|)과 부호(sign(Zi,j))는 수학식 4와 같이 계산된다.The quantization unit 240 post-scales and quantizes the frequency coefficient W i, j input from the conversion unit 230. The absolute value (| Z i, j |) and the sign (sign (Z i, j )) is calculated as in Equation 4.

|Zi,j| = ( |Wi,j| × MFi,j(QPi,j%6) + f ) >> (15 + (QPi,j/6) ) | Z i, j | = (W i, j | × MF i, j (QP i, j % 6) + f) >> (15 + (QP i, j / 6))

sign(Zi,j) = sign (Wi,j)sign (Z i, j ) = sign (W i, j )

여기서, Wi,j, f와 '>>'는 수학식 2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고, MFi,j(QPi,j%6)는 양자화 테이블의 각 양자화 계수에 따라 결정되는 증배 계수로서, 표 1에서 나타낸 증배 계수 테이블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QPi,j%6은 양자화 테이블에서 각 위치에 대한 양자화 계수(QP)를 6으로 나눈 나머지를 말하며, QPi,j/6은 양자화 테이블에서 각 위치에 대한 양자화 계수를 6으로 나눈 몫을 말한다.Here, W i, j , f and '>>' are as described above through Equation 2, and MF i, j (QP i, j % 6) is a multiplication factor determined according to each quantization coefficient of the quantization table. , Using the multiplication factor table shown in Table 1. QP i, j % 6 is the remainder of dividing the quantization coefficients (QP) for each position in the quantization table by 6, and QP i, j / 6 is the quotient of quantization coefficients for each position in the quantization table divided by 6. .

이와 같이, DZUTQ를 이용하여 양자화하되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하면, 사람의 시각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양자화하면서도 신속한 양자화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quantization using DZUTQ, but quantization us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quantization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frequency coefficients, enables quantization while taking into account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부(240)는 양자화 테이블 입력부(310) 및 양자화 연산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quantization uni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quantization table input unit 310 and a quantization operator 320.

양자화 테이블 입력부(310)는 전술한 양자화 테이블을 입력받는다. 양자화 연산부(320)는 DZUTQ를 이용하여 주파수 계수를 양자화하되, 표 1과 같은 증배 계수 테이블에서 입력된 양자화 테이블의 양자화 계수에 따른 증배 계수값을 구해 수학식 4와 같이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과 부호를 계산한다. 즉, 양자화 연산부(320)는 주파수 계수 Wi,j를 포스트 스케일링하고 양자화하는데 DZUTQ를 이용하여 수학식 4와 같이 양자화한다.The quantization table input unit 310 receives the quantization table described above. The quantization operation unit 320 quantizes the frequency coefficients using DZUTQ, but obtains the multiplication coefficient value according to the quantization coefficients of the quantization table input from the multiplication coefficient table as shown in Table 1 to obtain an absolute value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as shown in Equation 4. Calculate the and sign. That is, the quantization operator 320 post-scales and quantizes the frequency coefficients W i, j and quantizes them using Equation 4 using DZUTQ.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 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quant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통해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해, 영상을 매크로블록 또는 서브 블록 단위로 분할하고, 인터 예측 또는 인트라 예측 등의 예측 기법을 이용하여 영상의 현재 블록을 예측하며, 현재 블록과 예측 블록의 차인 잔차 블록을 생성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 잔차 블록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되면 잔차 블록의 각 잔차 신호는 주파수 계수로서 출력되어 양자화된다.The image enco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divides an image into macroblocks or subblocks to encode an image, and uses a prediction technique such as inter prediction or intra prediction. The current block of the image is predicted, and a residual block,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block and the prediction block, is generated and converted into a frequency domain. When the residual block is transformed into the frequency domain, each residual signal of the residual block is output as a frequency coefficient and quantized.

양자화부(240)는 주파수 계수를 DZUTQ를 이용하여 양자화하는데,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한다. 이를 위해 양자화부(240)는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입력받는다(S410). 이때, 매크로블록의 양자화 계수의 값 QP를 함께 입력받을 수 있다. 즉, 고정된 QP값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변환부(230)로부터 주파수 계수 Wi,j가 입력되면 양자화부(240)는 수학식 4와 같이 주파수 계수를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과 부호를 계산한다(S420).The quantization unit 240 quantizes the frequency coefficients using DZUTQ, and quantizes them us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quantization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requency coefficients. To this end, the quantization unit 240 receives a quantization table having a quantiz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 (S410). At this time, the value QP of the quantization coefficient of the macroblock may be input together. That is, when a fixed QP value is not used, it can be input. Thereafter, when the frequency coefficient W i, j is input from the converter 230, the quantization unit 240 quantizes the frequency coefficient as shown in Equation 4 to calculate the absolute value and sign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S420).

이 경우, DZUTQ와 같은 간단한 계산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양자화하면서도,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과 부호를 계산하기 때문에 사람의 시각적인 특성을 고려한 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a simple calculation such as DZUTQ is used to quickly quantize, while calculating the absolute value and sign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us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a quantiz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 Considered quantization can be perform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 부호화 장치(200)에 의해 비트스트림으로 부호화된 영상은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인터넷, 근거리 무선 통신망, 무선랜망, 와이브로망, 이동통신망 등의 유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거나 케이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전송되어 후술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에서 복호화되어 영상으로 복원되고 재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encoded in the bitstream by the video encoding apparatus 200 is real-time or non-real-time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LAN network, WiBro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like, The image decoding apparatus may be transmitted to a video decoding apparatus through a communication interface such as a universal serial bus (USB), decoded by a video decoding apparatus to be described later, and restored and reproduc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n image de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500)는 영상을 복호화하는 장치로서, 복호화부(510), 역 양자화부(520), 역 변환부(530), 예측부(540) 및 가산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mage decoding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decoding an image, and includes a decoder 510, an inverse quantizer 520, an inverse transformer 530, a predictor 540, and an adder. And 550.

이러한 영상 복호화 장치(500)는 도 2를 통해 전술한 영상 부호화 장치(200)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PlayStation Portable),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일 수 있으며,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영상을 복호화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The video decoding apparatus 500, like the video encoding apparatus 2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may be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SP), PlayStation Portable (PSP: PlayStation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ik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communication modem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various devices or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ecoding the image Means a variety of devices including a memory for storing various programs and data, a microprocessor for executing and controlling the program by executing.

복호화부(510)는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잔차 블록을 추출한다. 즉, 복호화부(510)는 영상 부호화 장치(300)에 의해 부호화된 영상인 비트스트림을 복호화 하여 영상의 현재 블록에 대한 화소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잔차 블록을 추출한다. 이때의 잔차 블록의 잔차 신호들은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과 부호를 갖는다.The decoder 510 extracts a residual block by decoding the bitstream. That is, the decoder 510 decodes a bitstream, which is an image encoded by the image encoding apparatus 300, and extracts a residual block including pixel information of the current block of the image. Residual signals of the residual block at this time have an absolute value and a sign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역 양자화부(520)는 복호화부(510)에 의해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잔차블록을 역 양자화(De-quantization)한다. 이때, 역 양자화부(52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잔차 블록을 DZUTQ를 이용하여 역 양자화하되,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역 양자화한다. 역 양자화부(520)가 잔차 블록을 역 양자화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과정에서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inverse quantizer 520 de-quantizes the residual block extracted from the bitstream by the decoder 510. In this case, the inverse quantizer 520 inverse quantizes the residual block extracted from the bitstream using DZUTQ, but inversely quantizes the quantization table having a quantiz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 of the residual block. A process of inverse quantization of the residual block by the inverse quantization unit 5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in a later process.

역 변환부(530)는 역 양자화된 잔차 블록을 시간 영역으로 역 변환한다. 즉, 역 변환부(530)는 역 양자화부(520)에 의해 역 양자화된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를 하다마드 변환 또는 DCT 기반 변환 등을 이용하여 시간 영역으로 역 변환한다.The inverse transformer 530 inversely transforms the inverse quantized residual block into the time domain. That is, the inverse transformer 530 inversely transforms the frequency coefficient of the residual block inversely quantized by the inverse quantizer 520 into the time domain by using Hadamard transform or DCT based transform.

예측부(540)는 복호화하고자 하는 현재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이때, 예측 기법으로서는 인터 예측 또는 인트라 예측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prediction unit 540 generates a prediction block by predicting a current block to be decoded. In this case, inter prediction or intra prediction may be used as the prediction technique.

가산부(550)는 예측 블록에 역 변환된 잔차 블록을 가산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원 영상이 복원된다.The adder 550 reconstructs the current block by adding the inverse transformed residual block to the prediction block, thereby ultimately reconstructing the original imag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양자화 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n inverse quan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양자화 장치(600)는 도 5에서 전술한 역 양자화부(520)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역 양자 화부(520)라 칭한다.The inverse quantization apparatus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the inverse quantization unit 52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Therefo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verse quantization unit 52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양자화부(520)는 DZUTQ를 이용하여 양자화된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를 역 양자화하되,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역 양자화한다.The inverse quantizer 5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verse quantizes the frequency coefficients of the residual block quantized using DZUTQ, but uses an inverse quantization table having a quantiz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s of the residual block. Quantize.

DZUTQ를 이용하여 역 양자화하는 과정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예를 들어, 복호화부(510)에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한 잔차 블록이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Zi,j|)과 부호(sign(Zi,j))를 포함하여 역 양자화부(520)에 입력되면, 역 양자화부(520)는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Zi,j|)과 부호(sign(Zi,j))를 프리 스케일링(Pre Scaling)하고 역 양자화하는데, 수학식 5와 같이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Zi,j|)과 부호(sign(Zi,j))를 이용하여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Zi,j를 계산하고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Zi,j를 이용하여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W'i,j를 계산한다.The process of inverse quantization using DZUTQ is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residual block extracted from the bitstream by the decoder 510 may include an inverse quantizer (Z i, j |) and a sign (sign (Z i, j ))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When inputted to 520, the inverse quantizer 520 prescales and dequantizes the absolute value (| Z i, j |) and the sign (sign (Z i, j ))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Calculate th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Z i, j using the absolute value (| Z i, j |) and sign (sign (Z i, j )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as shown in Equation 5 Z i, j is calculated by using the de-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s W 'i, j.

Zi,j = sign(Zi,j) × |Zi,j|Z i, j = sign (Z i, j ) × | Z i, j |

Wi,j' = Zi,j × Vi,j(QP%6) << floor (QP/6)W i, j '= Z i, j × V i, j (QP% 6) << floor (QP / 6)

여기서, Vi,j(QP%6)는 스케일링 계수(Scaling Factor)를 말하며, 주파수 역 변환에서 프리 스케일링 요소와 양자화 계수에 따른 양자화 단계를 결합한 고정된 값으로서, QP%6의 값에 따라 표 5과 같이 고정된다. 또한, QP%6은 양자화 계수를 6 으로 나눈 나머지를 말하고, QP/6은 양자화 계수를 6으로 나눈 몫을 말하며, '<<'는 이진 좌측 이동 연산(Binary Shift Right)을 의미하며, floor는 내림(Round Down) 연산을 의미한다.Here, V i, j (QP% 6) refers to a scaling factor, and is a fixed value combining a quantization step according to a prescaling factor and a quantization coefficient in a frequency inverse transform, and is a table according to the value of QP% 6. It is fixed as 5. In addition, QP% 6 is the remainder of quantization coefficient divided by 6, QP / 6 is the quotient of quantization coefficient divided by 6, and '<<' means binary shift right, and floor is Round down operation.

Figure 112008054015377-PAT00005
Figure 112008054015377-PAT00005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W'i,j가 계산되면, 역 양자화부(520)는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W'i,j를 역 변환부(530)로 전달하고, 역 변환부(530)는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W'i,j를 수학식 6과 같이, 역 '코어' 변환(Inverse 'Core' Transform)을 수행함으로써 시간 영역으로 변환하여 결과적으로 역 양자화되고 역 변환된 잔차 블록이 역 변환부(530)로부터 출력된다.When the invers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W'i, j is calculated, the inverse quantizer 520 transfers the invers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W'i, j to the inverse transformer 530, and the inverse transformer 530 inverse Th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W ' i, j is transformed into a time domain by performing an inverse' core 'transform as shown in Equation 6, and as a result, the inverse quantized and inverse transformed residual block is inverse transform unit. It is output from 530.

W = Ci TXCi W = C i T X C i

여기서, Ci는 역 방향 정수 변환의 행렬을 나타내며, Ci T는 해당 행렬이 전치되었음을 의미한다.Here, C i represents a matrix of inverse integer transformations, and C i T means that the matrix is transposed.

한편, DZUTQ가 아닌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를 이용한 양자화 방법을 이용하여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Zi,j|)과 부호(sign(Zi,j))를 역 양자화하여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W'i,j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에도 양자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사람의 시각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역 양자화할 수 있다.Meanwhile, an invers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is obtained by inverse quantizing the absolute value (| Z i, j |) and the sign (sign (Z i, j ))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using a quantization method using a quantization weight matrix rather than DZUTQ. We can generate W ' i, j . In this case, as in the case of quantization, the quantization weight matrix shown in Table 2 may be used to inverse quantization by reflect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a person.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역 양자화하는 과정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예를 들어, 복호화부(510)에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한 잔차 블록이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Zi,j|)과 부호(sign(Zi,j))를 포함하여 역 양자화부(520)에 입력되면, 역 양자화부(520)는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Zi,j|)과 부호(sign(Zi,j))를 프리 스케일링하고 역 양자화하는데, 수학식 7과 같이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Zi,j|)과 부호(sign(Zi,j))를 이용하여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Zi,j를 계산하고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Zi,j를 이용하여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W'i,j를 계산한다.Inverse quantization using the quantization weight matrix is described below. For example, the residual block extracted from the bitstream by the decoder 510 may include an inverse quantizer (Z i, j |) and a sign (sign (Z i, j ))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Inversely, the inverse quantizer 520 prescales and inversely quantizes the absolute value (| Z i, j |) and the sign (sign (Z i, j ))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the absolute value of the frequency level of quantization steps (| Z i, j |) and the sign (sign (Z i, j) ) to the calculated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Z i, j and th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s using the Z i, j Calculate the invers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W'i, j using

Zi,j = sign(Zi,j) × |Zi,j|Z i, j = sign (Z i, j ) × | Z i, j |

Wi,j' = Zi,j × Pi,j × Vi,j(QP%6) << (floor(QP/6) - 4) … QP/6 ≥ 4인 경우W i, j '= Z i, j x P i, j x V i, j (QP% 6) << (floor (QP / 6)-4). If QP / 6 ≥ 4

Wi,j' = (Zi,j × Pi,j × Vi,j(QP%6) + 1 << (3 - QP/6)) >> 4 - QP/6 … QP/6 < 4인 경우W i, j '= (Z i, j × P i, j × V i, j (QP% 6) + 1 << (3-QP / 6)) >> 4-QP / 6. If QP / 6 <4

여기서, Vi,j(QP%6), QP%6, QP/6, floor, '<<'는 수학식 5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Pi,j는 표 2를 통해 전술한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에서 각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가중치를 말하며, '>>'는 이진 우측 이동 연산을 의미한다.Here, V i, j (QP% 6), QP% 6, QP / 6, floor, '<<' are as described in Equation 5, P i, j in the quantization weight matrix described above in Table 2 The weight refers to the position of each frequency coefficient, and '>>' means a binary right shift operation.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W'i,j가 계산되면, 역 양자화부(520)는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W'i,j를 역 변환부(530)로 전달하고, 역 변환부(530)는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W'i,j를 수학식 6과 같이, 역 '코어' 변환을 수행하여 시간 영역으로 변환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역 양자화되고 역 변환된 잔차 블록이 역 변환부(530)로부터 출력된다.When the invers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W'i, j is calculated, the inverse quantizer 520 transfers the invers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W'i, j to the inverse transformer 530, and the inverse transformer 530 inverse As shown in Equation 6 , th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W'i, j is transformed into a time domain by performing an inverse 'core' transform, and as a result, an inverse quantized and inverse transformed residual block is output from the inverse transform unit 530.

전술한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을 이용한 역 양자화를 위한 수학식인 수학식 7을 DZUTQ를 이용한 역 양자화의 수학식인 수학식 5와 비교하면,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을 이용한 역 양자화에서는,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Wi,j'를 계산하기 위해, 가중치 Pi,j를 곱하는 연산을 추가로 수행해야 할 뿐만 아니라, QP/6의 값이 4이상인지 아닌지 여부를 확인하여 그에 따라 다른 계산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계산의 복잡성이 증가한다.Comparing Equation 7, which is the equation for inverse quantization using the quantization weight metric, to Equation 5, which is the equation of inverse quantization using DZUTQ, in inverse quantization using the quantization weight metric, the invers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W i, j In order to calculate ', not only does the computation multiply by the weights P i, j , but also the complexity of the computation that requires checking whether the value of QP / 6 is greater than or equal to 4 and performing other calculations accordingly. Increases.

이와 같이,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를 역 양자화하면, 비록 사람의 시각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양자화한 것을 역 양자화할 수 있지만, 수학식 7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역 양자화하기 위한 계산이 상당히 복잡해 져서, 궁극적으로는 부호화 또는 복호화를 위한 하드웨어의 구현의 복잡도를 증가시키고 부호화 속도를 저하하여 압축의 효율을 저하한다. 따라서,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와 같이 사람의 시각적인 특성을 고려할 수 있으면서도 DZUTQ와 같이 계산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이 효율적이다. 이와 같은 방안이 후술하는 바와 같은, DZUTQ를 이용하여 양자화하되, 표 3을 통해 전술한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역 양자화하는 것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is inversely quantized using the quantization weight matrix, th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may be inversely quantized in consideration of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a person. This becomes quite complicated, ultimately increasing the complexity of the implementation of hardware for encoding or decoding and lowering the coding speed to reduce the efficiency of compression. Therefore, while it is possible to take into account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a person such as a quantization weight matrix, a method of reducing the complexity of a calculation such as DZUTQ is efficient. Such a method may be quantized using DZUTQ as described below, but may be inverse quantized using the quantization tabl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able 3.

예를 들어, 복호화부(510)에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한 잔차 블록이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Zi,j|)과 부호(sign(Zi,j))를 포함하여 역 양자화부(520)에 입력되면, 역 양자화부(520)는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Zi,j|)과 부호(sign(Zi,j))를 프리 스케일링하고 역 양자화하는데, 수학식 8과 같이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Zi,j|)과 부호(sign(Zi,j))를 이용하여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Zi,j를 계산하고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Zi,j를 이용하여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W'i,j를 계산한다.For example, the residual block extracted from the bitstream by the decoder 510 may include an inverse quantizer (Z i, j |) and a sign (sign (Z i, j ))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Inversely, the inverse quantizer 520 prescales and inversely quantizes the absolute value (| Z i, j |) and the sign (sign (Z i, j ))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the absolute value of the frequency level of quantization steps (| Z i, j |) and the sign (sign (Z i, j) ) to the calculated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Z i, j and th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s using the Z i, j Calculate the invers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W'i, j using

Zi,j = sign(Zi,j) × |Zi,j|Z i, j = sign (Z i, j ) × | Z i, j |

Wi,j' = Zi,j × Vi,j(QPi,j%6) << floor(QPi,j/6)W i, j '= Z i, j × V i, j (QP i, j % 6) << floor (QP i, j / 6)

여기서, floor, '<<'는 수학식 5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Vi,j(QPi,j%6)은 양자화 테이블의 각 양자화 계수에 따라 결정되는 스케일링 계수로서, 표 5에서 나타낸 스케일링 계수 테이블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QPi,j%6은 양자화 테이블에서 각 위치에 대한 양자화 계수를 6으로 나눈 나머지를 말하며, QPi,j/6은 양자화 테이블에서 각 위치에 대한 양자화 계수를 6으로 나눈 몫을 말한다.Here, floor, '<<' are as described in Equation 5, V i, j (QP i, j % 6) is a scaling factor determined according to each quantization coefficient of the quantization table, the scaling factor shown in Table 5 You can get it using a table. QP i, j % 6 denotes the remainder of dividing the quantization coefficients for each position in the quantization table by 6, and QP i, j / 6 denotes the quotient of the quantization coefficient for each position in the quantization table divided by 6.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W'i,j가 계산되면, 역 양자화부(520)는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W'i,j를 역 변환부(530)로 전달하고, 역 변환부(530)는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 W'i,j를 수학식 6과 같이, 역 '코어'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시간 영역으로 변환하여 결과적으로 역 양자화되고 역 변환된 잔차 블록이 역 변환부(530)로부터 출력된다.When the invers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W'i, j is calculated, the inverse quantizer 520 transfers the invers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W'i, j to the inverse transformer 530, and the inverse transformer 530 inverse As shown in Equation 6 , th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W'i, j is transformed into a time domain by performing an inverse 'core' transform, and as a result, an inverse quantized and inverse transformed residual block is output from the inverse transform unit 530.

수학식 8은 수학식 5와 비교할 때, 양자화 테이블의 양자화 계수 즉, 주파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DZUTQ를 이용하여 역 양자화하되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역 양자화하는 방식은, DZUTQ를 이용한 역 양자화 방식과 비교할 때 계산의 복잡도에 거의 차이가 없다. 하지만,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므로 사람의 시각적인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Equation 8 is different from Equation 5 in that it uses a quantization coefficient of the quantization table, that is, a quantiz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a frequency position. Accordingly, the method of inverse quantization using DZUTQ but inverse quantization us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quantization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 has almost no difference in computational complexity when compared to the inverse quantization method using DZUTQ. However, since a quantization table having a quantiz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 is used, a visual characteristic of a person can be consider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양자화부(520)는 양자화 테이블 입력부(610) 및 역 양자화 연산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inverse quantization unit 5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quantization table input unit 610 and an inverse quantization operation unit 620.

양자화 테이블 입력부(610)는 표 3을 통해 전술한 양자화 테이블을 입력받는다. 역 양자화 연산부(620)는 DZUTQ를 이용하여 양자화된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를 역 양자화하되,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과 부호를 역 양자화하여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를 계산한다.The quantization table input unit 610 receives the quantization table described above through Table 3. The inverse quantization calculator 620 inverse quantizes the frequency coefficients of the quantized residual block using DZUTQ, and calculates the invers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by inversely quantizing the absolute value and the sign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using a quantization tabl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양자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verse quant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유무선 통신망 또는 케이블 등을 통해 영상에 대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여 저장한 영상 복호화 장치(50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실행 중인 다른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 따라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 영상을 복호화하여 복원한다.The image decoding apparatus 500 that receives and stores a bitstream of an imag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cable, decodes the image, and restores the image to reproduce the imag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r an algorithm of another program being executed.

이를 위해, 영상 복호화 장치(500)의 복호화부(510)는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영상의 현재 블록의 화소값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잔차 블록을 추출한다. 잔차 블록이 추출되면 역 양자화부(520)는 잔차 블록에 포함된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를 DZUTQ를 이용하여 역 양자화하는데,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역 양자화한다. 이를 위해 역 양자화부(520)는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입력받는다(S710). 이때, 매크로블록의 양자화 계수의 값 QP를 함께 입력받을 수 있다. 즉, 고정된 QP값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복호화부(510)로부터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인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과 부호가 입력되면 역 양자화부(520)는 수학식 8과 같이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과 부호를 역 양자화하 여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를 계산한다(S720).To this end, the decoder 510 of the image decoding apparatus 500 decodes the bitstream and extracts a residual block representing information about pixel values of the current block of the image. When the residual block is extracted, the inverse quantizer 520 inverse quantizes th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s included in the residual block using DZUTQ, and inverse quantizes the quantization table having a quantiz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s. To this end, the inverse quantizer 520 receives a quantization table having a quantiz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 (S710). At this time, the value QP of the quantization coefficient of the macroblock may be input together. That is, when a fixed QP value is not used, it can be input. Subsequently, when the absolute value and the sign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which ar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s, are input from the decoder 510, the inverse quantizer 520 inversely quantizes the absolute value and the sign of the frequency level as shown in Equation (8). Th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is calculated (S720).

이 경우, DZUTQ와 같은 간단한 계산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역 양자화하면서도,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를 계산하기 때문에 사람의 시각적인 특성을 고려한 역 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while inverse quantization is quickly performed using a simple calculation such as DZUTQ, the inverse quantization is calculated us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quantization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s. Can be performed.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DZUTQ를 이용하여 양자화하거나 역 양자화하되,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하거나 역 양자화하는 방식은 DZUTQ를 이용하여 양자화하거나 역 양자화하는 방식이 갖는 계산의 신속함과 양자화 가중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양자화하거나 역 양자화하는 방식이 갖는 좋은 품질의 양자화 및 역 양자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quantizing or inverse quantizing using DZUTQ, but quantizing or inverse quantizing us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a quantiz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 is a method of quantizing or inverse quantizing using DZUTQ. Both the fastness of the calculation and the good quality quantization and inverse quantization of the method of quantizing or inverse quantizing using a quantization weight matrix are possibl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장치 분야에 적용되어, 사람의 시각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양자화 및 역 양자화를 위한 계산을 단순화하여 부호화 및 복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field of an apparatus for encoding or decoding an image, thereby generating an effect of improving encoding and decoding efficiency by simplifying calculation for quantization and inverse quantization while reflecting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도 1은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을 나타낸 예시도,1 is a diagram illustrating frames constituting an imag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n image en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 quant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quant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n image de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양자화 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n inverse quan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양자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verse quant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310, 610: 양자화 테이블 입력부 320: 양자화 연산부310 and 610: quantization table input unit 320: quantization operation unit

620: 역 양자화 연산부620: inverse quantization operation unit

Claims (8)

양자화 장치에 있어서,In the quantization device, 데드존 균일 경계 양자화(DZUTQ: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를 이용하여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를 양자화하되, 상기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 장치.Quantize the frequency coefficients of the residual block using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 (DZUTQ), but quantize us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quantization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s of the residual block. Quantiz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장치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quantization device, 상기 양자화 테이블을 입력받는 양자화 테이블 입력부;A quantization table input unit to receive the quantization table; 상기 데드존 균일 경계 양자화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계수를 양자화하되, 상기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과 부호를 계산하는 양자화 계산부A quantization calculator that quantizes the frequency coefficient using the dead zone uniform boundary quantization, and calculates an absolute value and a sign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using the quantization tabl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 장치.Quantization device comprising a. 양자화 방법에 있어서,In the quantization method,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입력받는 양자화 테이블 입력 단계;A quantization table input step of receiv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quantization coefficients according to positions of frequency coefficients; 데드존 균일 경계 양자화(DZUTQ: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계수를 양자화하되, 상기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과 부호를 계산하는 양자화 계산 단계A quantization calculation step of quantizing the frequency coefficients using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 (DZUTQ), and calculating the absolute value and sign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using the quantization tabl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 방법.Quantization method comprising a. 역 양자화 장치에 있어서,In inverse quantization device, 데드존 균일 경계 양자화(DZUTQ: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를 이용하여 양자화된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를 역 양자화하되, 상기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역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양자화 장치.Inverse quantiza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s of the quantized residual block using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 (DZUTQ), but inverse quantization us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quantization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requency coefficients of the residual block. Inverse quant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역 양자화 장치는,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inverse quantization device comprises: 상기 양자화 테이블을 입력받는 양자화 테이블 입력부;A quantization table input unit to receive the quantization table; 상기 데드존 균일 경계 양자화를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된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를 역 양자화하되, 상기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과 부호를 역 양자화하여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를 계산하는 역 양자화 계산부Inverse quantiza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s of the quantized residual block using the dead zone uniform boundary quantization, and inverse quantization of the absolute value and the sign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using the quantization table to calculate an inverse quantized frequency coefficient Quantization calculato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양자화 장치.Inverse quantization apparatus comprising a. 역 양자화 방법에 있어서,In the inverse quantization method,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입력받는 양자화 테이블 입력 단계; 및A quantization table input step of receiv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quantization coefficients according to positions of frequency coefficients; And 데드존 균일 경계 양자화(DZUTQ: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를 이용하여 양자화된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를 역 양자화하되, 상기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된 주파수 레벨의 절대값과 부호를 역 양자화하여 역 양자화된 주파수 계수를 계산하는 역 양자화 계산 단계Inverse quantization of frequency coefficients of the quantized residual block using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 (DZUTQ), and inverse quantization by inverse quantizing the absolute value and sign of the quantized frequency level using the quantization table Quantization calculation step to calculate the calculated frequency coefficient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양자화 방법.Inverse quantization method comprising a. 영상을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apparatus for encoding a video, 상기 영상의 현재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부;A prediction unit for predicting a current block of the image to generate a prediction block; 상기 현재 블록에서 상기 예측 블록을 감산하여 잔차 블록을 생성하는 감산부;A subtraction unit for generating a residual block by subtracting the prediction block from the current block; 상기 잔차 블록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A transformer for converting the residual block into a frequency domain; 상기 변환된 잔차 블록을 데드존 균일 경계 양자화(DZUTQ: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를 이용하여 양자화하되, 상기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하는 양자화부; 및A quantization unit for quantizing the transformed residual block using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 (DZUTQ) and quantizing the quantization table us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a quantiz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frequency coefficient of the residual block; And 상기 양자화된 잔차 블록을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부호화부An encoder that encodes the quantized residual block to generate a bitstream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An image encoding apparatus comprising a. 영상을 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apparatus for decoding an image,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잔차 블록을 추출하는 복호화부;A decoder which extracts a residual block by decoding the bitstream; 상기 추출된 잔차 블록을 데드존 균일 경계 양자화(DZUTQ: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를 이용하여 역 양자화하되, 상기 잔차 블록의 주파수 계수의 위치에 따른 양자화 계수를 갖는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역 양자화하는 역 양자화부;Inverse quantization of the extracted residual block using Dead Zone Uniform Threshold Quantization (DZUTQ), and inverse quantization using a quantization table having a quantiz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 of the residual block. Quantization unit; 상기 역 양자화된 잔차 블록을 시간 영역으로 역 변환하는 역 변환부;An inverse transformer for inversely transforming the inverse quantized residual block into a time domain; 현재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예측부; 및A prediction unit for predicting a current block to generate a prediction block; And 상기 예측 블록에 상기 역 변환된 잔차 블록을 가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가산부An adder configured to add the inverse transformed residual block to the prediction block to restore the current block;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Video decoding apparatus comprising a.
KR1020080073378A 2008-07-28 2008-07-28 Quantization/Inverse Quantiz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Video Encoding/Decoding Apparatus Using Same KR1013595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378A KR101359500B1 (en) 2008-07-28 2008-07-28 Quantization/Inverse Quantiz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Video Encoding/Decoding Apparatus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378A KR101359500B1 (en) 2008-07-28 2008-07-28 Quantization/Inverse Quantiz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Video Encoding/Decoding Apparatus Us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149A true KR20100012149A (en) 2010-02-08
KR101359500B1 KR101359500B1 (en) 2014-02-11

Family

ID=4208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378A KR101359500B1 (en) 2008-07-28 2008-07-28 Quantization/Inverse Quantiz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Video Encoding/Decoding Apparatus Us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50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707A (en) * 2011-06-30 2013-01-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encoding/decoding using efficient non-fixed quantization
US9854275B2 (en) 2011-06-25 2017-12-26 Qualcomm Incorporated Quantization in video coding
KR20190009826A (en) * 2019-01-22 2019-01-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Encoding/Decoding using Efficient Non-fixed Quantization
CN113573051A (en) * 2015-01-13 2021-10-29 英迪股份有限公司 Video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100B1 (en) 2016-12-16 2024-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Encoder performing quantization based on deadzone and video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5151A (en) * 1995-01-26 1996-08-09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Image compressing and encoding device and image expanding and decoding device
JPH08214308A (en) * 1995-02-06 1996-08-20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Image compression encoder and image expansion decoder
KR101193790B1 (en) * 2004-06-18 2012-10-23 톰슨 라이센싱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ec quantization
WO2006065078A1 (en) * 2004-12-14 2006-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 and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4275B2 (en) 2011-06-25 2017-12-26 Qualcomm Incorporated Quantization in video coding
KR20130003707A (en) * 2011-06-30 2013-01-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encoding/decoding using efficient non-fixed quantization
CN113573051A (en) * 2015-01-13 2021-10-29 英迪股份有限公司 Video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3573051B (en) * 2015-01-13 2024-03-01 杜比实验室特许公司 Video encoding/decod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90009826A (en) * 2019-01-22 2019-01-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Encoding/Decoding using Efficient Non-fixed Quant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500B1 (en)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352B1 (en) Method and Apparatus Video Encoding and Decoding using Skip Mode
KR1013627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encoding and decoding using inter color compensation
KR101418096B1 (en) Vide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Weighted Prediction
JP2618083B2 (en) Image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KR101377660B1 (en) Motion Vector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Multiple Motion Vector Estimation and Video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Same
US20070189626A1 (en) Video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900094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Decoding
KR1016774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of Video Data Using Efficient Selection of Intra Prediction Mode Set
US98074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s considering low frequency components
KR20090097688A (en) Method and apparatus of encoding/decoding image based on intra prediction
KR201200098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of Video Data Using Expanded Skip Mode
KR101768865B1 (en) Vide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Weighted Prediction
KR1016813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of Video Data Capable of Skipping Filtering Mode
KR101359500B1 (en) Quantization/Inverse Quantiz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Video Encoding/Decoding Apparatus Using Same
KR200900901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and decoding
KR200900950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and decoding
KR101539045B1 (en) Quantization Parameter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Video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9430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Decoding
KR20100019088A (en) Inter prediction apparatus and video encoding/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same
KR2013002344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encoding/decoding using multi-step inter prediction
KR1019975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Encoding/Decoding using Efficient Non-fixed Quantization
KR1019434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Encoding/Decoding using Efficient Non-fixed Quantization
KR1016932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of Video Data Using Global Motion-based Enconding Structure
KR101456973B1 (en) Vide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Weighted Prediction
KR101096619B1 (en) The method for encoding/decoding data and the apparatu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