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339A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of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of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339A
KR20100005339A KR1020080065331A KR20080065331A KR20100005339A KR 20100005339 A KR20100005339 A KR 20100005339A KR 1020080065331 A KR1020080065331 A KR 1020080065331A KR 20080065331 A KR20080065331 A KR 20080065331A KR 20100005339 A KR20100005339 A KR 20100005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ps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봉석
김동섭
김성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5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339A/en
Publication of KR20100005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3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re provided to improve reliability by reducing an error range of a position 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existing base station based method. CONSTITUTION: A portable terminal(100) includes an input unit, an output unit, a memory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controller, and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a GPS signal.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the position information using the GPS information received from a GPS satellite(300) with a constant period unit. The generated posi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an internal memory unit. The portable terminal matches the 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base station(200) with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The portable terminal stores the matched information in the internal memory unit. The base station processes the general call and provides the ce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GPS satellite provides the GPS information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OF PORTABLE TERMINAL}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에서 GPS 기반 및 기지국 기반으로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하는 휴대단말의 위치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in particular, a mobile terminal that provides a location based service (LBS) based on GPS and a base station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 measuring system and method.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율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무선 인터넷의 가장 큰 특징은 개인별 단말기 사용에 따른 더욱 개인화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이동성에 기반한 고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부가 서비스인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가 부각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rate of use of wireless Internet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inues to increase. The biggest feature of the wireless Internet is that it can utilize more personalized services according to the use of individual terminals, and can provide unique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mobility. Location-based services (LBS), which are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them, are emerging.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는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컴퓨터 등 이동통신단말을 기반으로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위치와 관련된 부가 정보 를 제공하는 서비스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통칭한다.These location-based services are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cellular phones,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notebook computers to accurately identify the location of people or objects and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Collectively, the service and the system for it.

위치기반 서비스의 주요 서비스로는, 상호 위치 정보 제공을 허용한 관계에서 상대방의 위치를 찾는 타인 위치찾기(친구찾기) 서비스, 사용자의 위치를 검색하고 그 주위의 교통 정보를 검색하여 서비스하여 주는 교통정보 서비스, 고장난 자동차의 위치를 자동 검색하고 견인차를 보내는 차량 긴급 상황 서비스, 갑작스런 사고로 인한 부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가장 가까운 응급실의 위치를 서비스하여 주는 응급상황 서비스, 이동통신 장비를 이용하는 위치에 따라서 요금을 달리하는 위치기반 지불서비스,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깝고 저렴한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주유소, 휴게소, 음식점 등의 위치를 알려 주는 생활정보 서비스, 세일광고 등과 같이 특별한 서비스를 가능한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광고 및 할인 쿠폰 푸쉬 서비스 등이 있고, 이 외에도 레저정보, 도난 추적 등의 수많은 서비스가 가능하다.The main services of location-based services include: another person's location finder (friend finder) service that finds the other's location in relation to providing mutual location information, and traffic that searches the user's location and searches for traffic information around it Information services, vehicle emergency services that automatically detect the location of a broken car and send a tow truck, emergency services that service the location of the nearest emergency room to treat injuries from sudden accidents, and charges depending on where you use mobile communications equipment Location-based payment service that differs from the user's location, closest to the user's location or the location of the gas station, rest area, restaurants, etc. that fits your preferences, such as living information services, sale advertisements, etc. Advertising and Discount Coupons Push Service There are also numerous services such as leisure information and theft tracking.

한편, 위치기반 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의 위치 측정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얻게 된다.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 추적 기술로는, 기지국(BS, Base Station) 수신 신호를 이용하는 기지국 기반 기술과 GPS 수신기를 이용하는 GPS 기반 기술이 있으며, 최근에는 기지국 기반 기술과 GPS 기반 기술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의 기술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based service obtai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location measurement technolog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tracking technologies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include base station-based technology using base station (BS) received signals and GPS-based technology using GPS receivers. There is a hybrid technique used.

먼저, 기지국 기반 기술은 이동통신단말이 위치 등록한 기지국의 셀 식별정보(Cell-ID)를 이용해 기지국 내에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하는 것으로 파악하는 방식으로, 추가 비용 없이 기존의 단말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나, 기지국의 셀 크기 나 처리 방식에 따라 위치 정확도가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First, the base station-based technology is a way to determine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base station by using the ce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ell-ID) of the base station register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existing terminal can be used as it is, without additional costs, The location accuracy is not high depending on the cell size or processing method of the base station.

또한, GPS 기반 기술은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된 GPS 수신기가 GPS 위성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해 이동통신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매우 정확한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초기 위치 측정 시간이 오래 걸리고 실내 및 건물 등에 의해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위치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GPS-based technology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s buil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easure a very accurate position, but the initial position measurement time This takes a long time and the position measurement is difficult when the signal cannot be received from the satellite due to indoors and buildings.

그리고 기지국 기반 기술과 GPS 기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이 하이브리드 방식의 기술인데, 이동통신단말이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위치를 측정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단말이 위치 등록한 기지국의 셀 식별정보(Cell-ID)를 이용해 위치를 동시에 측정하므로, 도심지역에서 건물 등을 통해 신호가 반사되면서 발생되는 오차를 현저히 줄여 신뢰도가 높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for complementing the problems of the base station-based technology and the GPS-based technology is a hybrid technology,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 signal from a GPS satellite and measures its position, and the ce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register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the location is measured simultaneously using (Cell-ID), reliability is greatly reduced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error caused by the signal reflected from buildings in the urban area.

종래의 하이브리드 방식은 이동통신단말이 대부분의 경우에 GPS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없는 지하나 실내 안에 있으므로, GPS 기반의 위치정보보다 기지국 기반의 위치정보에 의하여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In the conventional hybrid method,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basement or indoors where GPS signals cannot be received in most cases, it is likely to be us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base station based location information rather than the GPS based location information. Big.

즉, 종래의 하이브리드 방식은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경우에 1순위로 GPS 기반으로 위치를 측정하고, 이에 실패하면 2순위로 기지국 기반으로 위치를 측정하여 이를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로 제공한다. 즉, 이동통신단말이 실내 등과 같이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2순위인 기지국 기반 방식으로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That is, the conventional hybrid method measures the position based on GPS at the first priority when check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f it fails, measures the position based on the base station at the second position and provides it a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 That i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shadow area, such as indoors, the location is measured by the base station based method which is second order.

따라서 종래의 하이브리드 방식은 이동통신단말의 위치가 주로 기지국 기반 으로 측정됨으로써, 매우 정확한 GPS 기반 방식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비효율성이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이 실내 등의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GPS를 이용한 위치측정이 불가능하므로, 이동통신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지국 기반 방식과 GPS 기반 방식을 결합하여 사용하더라도, 대부분 기지국 기반 방식으로 위치가 측정되어 그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hybrid method, since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inly measured based on the base station, there is an inefficiency of not using a very accurate GPS-based method properly. In other words,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a shaded area such as a room,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location using GPS. Even though the base station based method and the GPS based method are used to measure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st of the base station based method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ition is measured and its accuracy is lowered.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 기반 방식과 GPS 기반 방식을 결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을 통해 신뢰성 있는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that can provide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of a reliable mobile terminal through a hybrid method combining a base station-based method and a GPS-based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이브리드 방식에 의한 위치정보 제공 시, 기지국 기반 방식으로 위치가 측정되어 그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that can compensate for the problem that the location is measured in a base station-based manner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by a hybrid method, the accuracy thereof is po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지국 기반 방식에 GPS 기반 방식을 결합하여, 기지국 기반 방식에 따른 측위 시 그의 오차거리를 줄일 수 있는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which can reduce its error distance during positioning according to the base station based method by combining the base station based method with the GPS based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 GPS 신호의 수신 가능 여부에 따라 GPS 기반 방식, 기지국 기반 방식 및 하이브리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by any one of a GPS based method, a base station based method, and a hybrid method according to whether a GPS signal can be received when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of a mobile terminal. In provi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지국 기반 방식에 의한 서비스 제공 시,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계산되어 저장된 보상값을 기지국 기반의 위치정보에 보상함으로써, 보상된 위치정보에 의해 보다 정확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re accurate location-based service by the compensated location information by compensating the compensation value pre-calculated and stored us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based location information when providing the service by the base station-based method. It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that can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수신 구간에서 획득하는 GPS 위치정보 및 기지국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GPS 신호 수신 음영구간으로 진입 시, 저장된 GPS 위치정보 및 기지국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상값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음영구간에서 획득하는 기지국 위치정보에 상기 보상값을 적용한 보상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보상 위치정보에 의해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stor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in th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ignal receiving section And calculating a compensation value using the stored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when entering the GPS signal reception shadow section, and performing the compensation location information applying the compensation value to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in the shadow section. And obtaining a location-based service based on the reward location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무선통신 시스템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휴대단말이 위치하는 영역의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하나 이상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와,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상기 GPS 위성 및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휴대단말이 GPS 신호 수신 음영구간에 위치할 시 미리 저장하는 GPS 위치정보 및 기지국 위치정보에 의해 보상값을 산출하고, 상기 보상값을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는 기지국 위치정보에 보상한 후, 보상된 위치정보에 의해 상기 음영구간에서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obile terminal, by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perform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area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base station information,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atellites,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required for the functiona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position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s and the base station.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for calculating a compensation value based on a memory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and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 a GPS signal receiving shadow section, and obtaining the compensation value from a base station; After compensation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in the shadow section by the compensated location information A control unit for process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기존 기지국 기반 방식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의 오차 범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보다 신뢰성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error range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existing base station-based method can be drastically improved, thereby making the location-based more reliable to the user. Can provide services.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이 건물 내부, 지하 공간, 터널 등과 같은 GPS 신호 수신 음영구간에 위치할 시, 미리 저장된 GPS 위치정보와 기지국 위치정보에 의하여 보상값을 구하고, 상기 보상값을 음영구간에서 획득하는 기지국 위치정보에 보상하여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하는 위치정보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정확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 a GPS signal receiving shadow section such as an interior of a building, an underground space, a tunnel, and the like, a compensation value is obtained based on previously stored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a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ompensation value is determined in a shadow section. By compensating and updating the obtained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a service by the updated lo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of the mobile terminal.

따라서 휴대단말의 위치 여부에 상관없이 구조 요청, 범죄 신고, 친구 위치 찾기, 분실 위치 확인, 지리정보 시스템, 교통정보, 차량항법 및 물류 관제 등과 같이 휴대단말의 정확한 위치를 요구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Therefore,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that require the exact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such as rescue requests, crime reports, friend location, lost location confirm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traffic information, car navigation and logistics control, etc. It is possible.

이에 의해, 위치정보 서비스의 정확하지 못한 정보 제공으로 인해 발생하는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불신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사업자 입장에서는 고객 불만 해소에 따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As a result, distrust of the user of the service caused by inaccurate information provis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can be solved, and the operator can generate profits by solving customer complaints.

아울러, GPS 신호 수신 음영구간에서 휴대단말의 위치를 측정할 경우, GPS 기반 방식을 이용할 수가 없어 기지국 기반으로 측정되던 비효율성을 보완할 수 있다. 즉, GPS 신호 수신 음영구간에서 GPS 기반 방식을 이용할 수가 없더라도 미리 수집되어 계산된 보상값에 의해 기지국 위치정보를 보상함으로써, 그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GPS signal receiving shadow interval, GPS-based method can not be used to compensate for the inefficiency measured based on the base station. That is, even if the GPS-based method cannot be used in the GPS signal reception shadow section,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is compensated by the previously collected and calculated compensation value, thereby improving its accurac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 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lu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제안하는 본 발명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에서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제공 방법 및 그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LBS)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 기반 기술에 의해 수집된 위치정보(이하, '기지국 위치정보'라 칭함)와 GPS 기반 기술에 의해 수집된 위치정보(이하, 'GPS 위치정보'라 칭함)를 저장한다. 이때, 위치정보 저장은 동일 시간 때에서 수신된 GPS 위치정보와 기지국 위치정보를 매칭(matching)하여 저장한다. 이후, 휴대단말이 GPS 신호 수신 음영구간에서 기지국 기반 기술에 의해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 기지국 기반 기술에 의해 획득된 기지국 위치정보를, 미리 수집되어 저장된 GPS 위치정보 및 기지국 위치정보를 이용해 산출한 보상값으로 보상함으로써, 보상된 위치정보에 의해 보다 정확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해결 방안을 제안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base station-based technology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GPS-based technology (hereinafter referred to as 'GPS location information') are stored. . 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matches and stores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at the same time. Subsequently, when the mobile terminal provides the location-based service by the base station-based technology in the GPS signal reception shadow section, the mobile station calculates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the base station-based technology by using the previously collected and stored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By compensating with the value, we propose a technical solution that can provide a more accurate location-based service by the compensated location information.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system for a location-based service and an operation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시스템은, GPS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 말(100)과, 무선 구간 통신을 위한 기지국(BS, Base Station)(200) 및 GPS 위성(30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cludes a mobile terminal 100 having a GPS function, a base station (BS) 200, a GPS satellite 300, and the like for wireless section communication. do.

상기 휴대단말(100)은 입력부, 출력부, 메모리부, 무선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 이외에,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휴대단말(100)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휴대단말(100)은 GPS 수신부와 본 발명의 동작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한 어떠한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n input unit, an output unit, a memory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and further includes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a GPS signal.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have any form as long as it has a GPS receiver and a controller for process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휴대단말(100)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은, GPS 수신부를 이용한 GPS 신호 수신 및 기지국과 설정된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이 가능한 단말을 나타낸다. 이러한 휴대단말(100)의 예시로는,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단말,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과 같이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단말을 비롯하여,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핸드헬드 PC(hand-held Personal Computer) 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은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의 모든 단말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100 represents a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by a GPS signal reception using a GPS receiver and a communication method established with a base station. Examples of such a mobile terminal 100 are all mobile devices operating based on a communication protocol correspon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a cellular phone,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CS) terminal, and an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terminal. In addition to communication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MP3 players, hand-held personal computers (PCs), and the like. That is,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oad concept including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multimedia devices, and all terminals of applications thereof.

상기 휴대단말(100)은 일정 기간 단위 예컨대, 5초, 10초, 30초, 1분 단위로 GPS 위성(300)으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위치정보(GPS 위치정보)를 내부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아울러, 상기 휴대단말(100)은 기지국(200)으로부터 획득하는 위치정보(기지국 위치정보)를 상기 GPS 위치정보 와 매칭하여 내부 메모리부에 저장한다.The mobile terminal 100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using GP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 300 in units of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5 seconds, 10 seconds, 30 seconds, and 1 minute, and generates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GPS).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tches location information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ase station 200 with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internal memory unit.

상기 기지국(200)은 통상적인 호(Call)를 처리한다. 상기 기지국(200)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로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기지국(200)을 비롯하여, 기지국의 제어를 위한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 하나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어 호(Call)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가입자 정보 관리 및 위치등록 등을 수행하기 위한 홈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등을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휴대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위치정보 즉, 셀 식별정보(Cell-ID)를 제공한다.The base station 200 processes a typical call. The base station 200 is an element constitut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for controlling the base station, and one or more base station controllers. It includes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for connecting and performing call exchange,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for performing subscriber information management and location registration, and the like. The base station 200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ce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ell-ID) us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상기 GPS 위성(300)은 휴대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GPS 정보를 제공하는 위성을 나타낸다. 상기 GPS 위성(300)은 위치 계산을 위해 필요한 GPS 정보를 반송파(Carrier Wave)를 통하여 휴대단말(100)로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GPS satellite 300 represents a satellite that provides GPS information us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GPS satellite 300 may continuously transmit GPS information necessary for calculating a position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a carrier wave.

이러한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휴대단말(100)은 위치기반 서비스 기능 활성화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기능을 활성화한다. 그리고 상기 기능 활성화에 따라 상기 기지국(200) 및 GPS 위성(300)으로부터 각각의 위치정보(GPS 위치정보, 기지국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며, GPS 기반에 의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In such a system,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mobile terminal 100 activates a corresponding function in response to a location-based service function activation reques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activation, each location information (GPS location information,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and stored from the base station 200 and the GPS satellite 300, and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GPS.

이때, 상기 휴대단말(100)은 이동에 의하여, GPS 위성(300)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음영구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미 리 수집되어 저장된 위치정보(GPS 위치정보, 기지국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상값을 계산한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보상값을 기지국(200)으로부터 획득하는 위치정보에 보상하여 업데이트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음영구간에서 기지국 기반에 의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시 상기 보상값에 의해 업데이트 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동작의 예시를 후술하는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located in a shaded section in which GPS information cannot be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 300 by movement. Then, the mobile terminal 100 calculates a compensation value using previously collected and stored location information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Subsequently, the mobile terminal 100 compensates and updates the compensation value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ase station 200. The mobile terminal 100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updated by the compensation value when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a base station in the shadow section. An example of such an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한편, 기지국의 셀 식별정보 또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단말(100)의 위치를 산출하는 각 방법은 일반적인 기술에 해당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using the ce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GPS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corresponds to a general technique, its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100)은 기능 활성화에 대응하여 t1 시점에서 GPS 위성(300)에 의한 GPS 위치정보(a 좌표) 및 기지국에 의한 기지국 위치정보(b 좌표)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GPS 기반 기술에 의하여 GPS 위치정보(a 좌표)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휴대단말(100)은 전술한 동작에 대응하여 GPS 신호 수신 구간(210) 즉, t1시점 내지 t4 시점까지 각 위치정보(c 좌표 내지 h 좌표)를 저장하면서, GPS 기반 기술에 의하여 GPS 위치정보(c 좌표, e 좌표, g 좌표)를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2, first, the mobile terminal 100 collects GPS location information (a coordinates) and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b coordinates) by the GPS satellite 300 at the time t1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the function. Store and provide a location-based service using GPS location information (a coordinates) by GPS-based technology. The mobile terminal 100 stores the position information (c coordinates to h coordinates) from the GPS signal reception section 210, that is, from the time t1 to the time t4, in response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nd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by the GPS-based technology. (c coordinate, e coordinate, g coordinate).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GPS 신호 수신 음영구간(230)으로 이동할 시, GPS 위성(300)에 의한 GPS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기지국(200)에 의한 위치정보(m, n, p)만을 각 시점(t5 내지 t7)마다 획 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100)은 이전에 저장된 각 시점의 GPS 위치정보(a 좌표, c 좌표, e 좌표, g 좌표)와 기지국 위치정보(b 좌표, d 좌표, f 좌표, h 좌표)에 의하여 보상값을 산출한다. Next, the mobile terminal 100 cannot obtain GPS position information by the GPS satellite 300 when moving to the GPS signal receiving shadow section 230.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cquire only the location information m, n, and p by the base station 200 at each time point t5 to t7.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100 is based on previously stored GPS position information (a coordinate, c coordinate, e coordinate, g coordinate) and bas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b coordinate, d coordinate, f coordinate, h coordinate). Calculate the compensation value.

예를 들면, t4 시점에서의 GPS 위치정보(g 좌표)와 기지국 위치정보(h 좌표)의 차이 값을 구하고, t3 시점에서의 GPS 위치정보(e 좌표)와 기지국 위치정보(f 좌표)의 차이 값을 구한다. 이러한 절차를 t1 시점까지 구할 수 있다. 또한 차이 값은 GPS 신호 수신이 불가능한 시점(t4)에 대해서만 산출할 수도 있고, 설정된 몇 단계 이전 시점의 정보까지만 산출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g coordinate) and the bas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h coordinate) at time t4 is obtain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e coordinate) and the bas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f coordinate) at time t3. Find the value. This procedure can be obtained up to time t1. In addition, the difference value may be calculated only for a time point t4 at which GPS signals cannot be received, or may be calculated only up to information of a time point which is set a few steps ago.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차이 값의 평균값을 구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100)은 최근 시점의 데이터일수록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Next,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an average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s.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calculate an average value by weighting the data at the latest time.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평균값을 보상값으로 결정하고, 음영구간(230)의 각 시점에서 기지국 기반 기술에 의해 측정되는 기지국 위치정보에 상기 보상값을 적용한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t5 시점에서 획득하는 기지국 위치정보(m 좌표)를 상기 보상값으로 보상하여 보상된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t5 시점에서는 상기 보상된 위치정보에 의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동작은 음영구간(230) 동안 각 시점마다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mobile terminal 100 determines the average value as the compensation value, and applies the compensation value to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base station based technology at each time point of the shadow section 230.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the compensated position information by compensating the bas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m coordinate) obtained at time t5 with the compensation value. At time t5, location-based services are provided based on the compensated location information. This operation may be performed at each time point during the shadow period 230.

이후, 다시 GPS 신호 수신 구간으로 진입할 시 상기 휴대단말(100)은 전술한 위치정보 저장 및 GPS 기반 기술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동작을 서비스 수행도안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entering the GPS signal reception section aga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continuously perform the above-described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and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GPS-based technology.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단말(100)의 구성과 그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Nex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trol means and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은 무선통신부(110), GPS 수신부(120), 입력부(130), 메모리부(140), 출력부(150) 및 제어부(16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 GPS receiver 120, an input unit 130, a memory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d a controller. 160 and the like.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무선통신 시스템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휴대단말(100)이 위치하는 영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셀 식별정보(Cell-ID)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In particula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the ce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ell-ID)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area where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60.

상기 GPS 수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GPS 수신부(120)는 수신하는 상기 GPS 정보를 분석하여 휴대단말(100)의 경위도 위치정보 및 시각 정보를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여기서,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정보에는 GPS 위성의 식별 코드(ID Code), 궤도 위치, 시각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GPS 수신부(120)는 다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전파 간 도달 속도의 차이를 연산하여 휴대단말(100)의 위치 좌표를 연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GPS 수신부(120)를 별도의 장치로 구비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 및 호 처리를 담당하는 모뎀 칩에서 GPS 수신부(12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GPS receiver 120 receives GPS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GPS satellites. The GPS receiver 120 analyzes the received GPS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latitude and longitude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controller 160. Here, the GP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s includes ID codes, orbital positions, and time information of the GPS satellites, and the GPS receiver 120 has a difference in arrival speed between radio wave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calculated by calculating. Meanwh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PS receiver 120 may not be provided as a separate device, but may perform a function of the GPS receiver 120 in a modem chip in charge of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call processing.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입력과 관련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키입력부와, 오디오신호 처리를 위한 오디오처리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는 외부 오디오신호(예컨대, 사용자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하는 마이크(Microphon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휴대단말(100)의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 쿼티 방식의 키패드 및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능키 등과 같은 입력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module related to the input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put unit 130 may be classified into a key input unit for a user input and an audio processor for audio signal processing. The audio processor may include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external audio signal (eg, a user voic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audio signal to the controller 150. The key input unit receives various character information and transmits a signal input in connection with setting and function control of various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he controller 160. The key input unit may be one or more of input means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 keypad of a general key arrangement, a QWERTY keypad, and a function key set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according to the provis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It can be formed by a combination of.

상기 메모리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거나 외부(GPS 위성, 기지국)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및 GPS 위성으로부터 획득하는 위치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정보는 상기 메모리부(140)의 위치정보 저장영역(141)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의 저장 형태를 살펴보면 하기 <표 1>의 예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memory unit 140 stores at least one application, data generated by a user or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GPS satellite, base station), etc. required for operat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base station and a GPS satell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loca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area 141 of the memory unit 140. Looking at the storage form of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represented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Figure 112008048725929-PAT00001
Figure 112008048725929-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설정된 주기마다 GPS 위성으로부터 획득하는 위치정보(GPS 위치정보)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셀 식별정보를 통해 획득하는 위치정보(기지국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위치정보 저장은 측정하는 시점마다 계속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또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몇 단계 이전까지의 시점까지만 계속하여 업데이트 하고 설정된 단계 이후의 저장된 위치정보들은 삭제하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설정 방식에 따라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바로 이전 시점의 위치정보에 대해서만 저장할 수도 있다.As shown in T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cation information (GPS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GPS satellites and cell location information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base station are stored for each set period. do.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may be continuously stored for each measurement time point, or may be continuously updated until a few steps before the current time point and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after the set step may be stored in a deleted form.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method, it may be stored only for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mmediately previous time point based on the current time point.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휴대단말(100)의 위치기반 서비스에 관련된 기능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GPS 위성 및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된 위치정보를 동일 수신 시간대별로 매칭하여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하는 GPS 위성 및 기지국의 시간대별 위치정보들에 대한 차이값을 산출하는 어플리케이션, 각 시간대의 차이값들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값을 산출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평균값에 의해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보상하는 어플리케이션, 보상되는 위치정보에 의하여 기지국 기반 방식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메모리부(140)의 어플리케이션 저장영역(143)에 저장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may include an application for processing a function related to a location-based servi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 application for matching and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and a base station for each same reception time period, a GPS satellite for storing in response to an information request, and An application for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time zone of the base station, an application for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by weighting the difference value of each time zone, an application for compens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by the average value, the compensated location information It may be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service according to the base station based method. Such an application may be stored in the application storage area 143 of the memory unit 140.

상기 메모리부(140)는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외부의 모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emory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buffers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40 may be configured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be configured externally, such as a smart card, and may include an internal / external mode storage medium. Of course.

상기 출력부(15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출력과 관련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휴대단말(100)의 현재 상태, 기본 정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처리 상태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와, 휴대단말(100)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신호(음성, 음향)를 처리하는 오디오처리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는 상기 제어부(160)를 통해 전달되는 오디오신호(예컨대,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수신된 다른 휴대단말 사용자의 음성신호, 상기 휴대단말에서 재생되는 음악파일/영상파일 등의 오디오신호 등)를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module related to the output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output unit 150 is a display unit for visually outputting the current state, basic information, the processing state according to the user inpu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various audio signals (voice, sound) gene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udio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audio processor may transmit an au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unit 160 (eg, a voice signal of another user of a mobile terminal receiv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 audio signal such as a music file / video file played in the mobile terminal, etc.). It may include a speaker (Speaker) for outputting.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기 휴대단말(100) 내의 상기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무선통신부(110)와, 상기 GPS 수신부(120)와, 상기 입력부(130)와, 상기 메모리부(140) 및 출력부(15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코덱(CODEC) 및 적어도 하나의 모뎀(MODEM)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blocks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60 controls a signal flow between components such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GPS receiver 120, the input unit 130, the memory unit 140, and the output unit 150. do. The controller 160 may include a data processing unit including a codec and at least one mod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특히, 상기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수행에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어부(16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60 controls a series of operations related to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60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상기 제어부(160)는 위치기반 서비스에 관련된 기능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처리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GPS 기반의 측위 방식과 기지국 기반의 측위 방식을 휴대단말(100)의 상태 조건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controller 160 processes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a function related to a location-based service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The controller 160 provides a location-based service by adaptively selecting a GPS-based positioning method and a base station-based positioning metho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특히, 상기 제어부(160)는 기능 활성화 시 GPS 위성을 통해 획득하는 GPS 위치정보와 기지국을 통해 획득하는 기지국 위치정보를 각 시점마다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기능 활성화 시 GPS 신호 수신 구간에서는 GPS 기반의 위치정보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GPS 신호 수신 음영구간에서는 이전에 수집하여 저장하는 GPS 위치정보와 기지국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상값을 획득하고, GPS 신호 수신 음영구간에서 획득하는 기지국 기반의 위치정보를 상기 보상값으로 보상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보상된 위치정보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60 stores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GPS satellites and the bas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base station at each time point when the function is activated. The controller 160 provides a service based on GPS-based location information in a GPS signal receiving section when a function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160 obtains a compensation value using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collected and stored in the GPS signal reception shadow section, and compensates for the base station based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in the GPS signal reception shadow section. Compensate by value The controller 160 provides a service based on the compensated location information.

상기 제어부(160)는 미리 수집하여 저장된 GPS 위치정보와 기지국 위치정보의 각각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각 차이 값의 평균값에 의해 상기 보상값을 결정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평균값을 산출할 시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60 calculate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collected and stored in advance, and determines the compensation value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s.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0 may calculate the value by applying the set weight when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예를 들어, 상기 도 2 및 <표 1>를 참조하면, t4 시점의 데이터(GPS 위치정보(g), 기지국 위치정보(h))에 의한 차이값에 신뢰성에 따른 가중치를 더 부여한다. 이러한 가중치를 t4 시점에서 t1 시점으로 차등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60)는 각 차이값들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값을 보상값으로서 결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t5 시점에서 획득하는 기지국 기반의 위치정보(m)에 상기 보상값을 보상한다. 즉, 상기 보상값은 GPS 기반의 위치정보와 기지국 기반의 위치정보에 대한 오차값을 나타내며, 따라서 상기 위치정보(m)에 오차값을 적용하여 GPS 기반의 위치정보에 대등한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이러한 절차를 통해 GPS 신호 수신 음영구간에서는 보상된 위치정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위치기반 서비스에 따른 보다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and Table 1, weights according to reliability are further added to the difference value based on the data (GPS location information g and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h) at time t4. This weight can be given differentially from time t4 to time t1. Subsequently, the controller 160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each difference value and determines the average value as a compensation value. Thereafter, the controller 160 compensates the compensation value to the base station-based location information m obtained at time t5. That is, the compensation value represents an error value between the GPS-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based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by applying the error valu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m), the location information equivalent to the GPS-based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Can be. The control unit 160 provides a service through the compensated position information in the GPS signal reception shadow section through this procedur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accurate service according to the location-based services.

상기 제어부(160)는 전술한 제어 동작의 편의를 위하여, 위치정보 관리부(161), 위치 산출부(163) 및 서비스 처리부(16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may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r 161, a location calculator 163, a service processor 165, and the like, for the convenience of the aforementioned control operation.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161)는 설정된 주기의 시점마다 GPS 위성 및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는 위치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161)는 GPS 위성으로부터 획득하는 GPS 위치정보와 상기 GPS 위치정보와 동일 시점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는 기지국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관리한다.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161)는 상기한 위치정보들을 위치기반 서비스 기능 활성화동안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위치기반 서비스 기능 비활성화 시 저장된 정보들을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161)는 설정 방식에 따라 지정된 범위만큼의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새로운 위치정보가 저장될 때마다 가장 먼저 저장된 위치정보부터 순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설정된 범위만큼의 위치정보들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r 161 manages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GPS satellite and a base station at each time point of a set period.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r 161 matches and manages GPS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GPS satellite and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base station at the same time as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r 161 may accumulate and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during activation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function, and may delete the stored information when the location-based service function is deactivated.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61 may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ed range according to the setting method, so that each time the new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can be sequentially removed from the first stored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t range may be updated periodically.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161)는 위치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하는 GPS 위치정보 및 기지국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161)는 상기 위치 산출부(163)에서 연산하는 보상값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정값은 영구적/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정값은 GPS 신호 수신 음영구간에서 기지국 위치정보를 보상하기 위한 값으로, 휴대단말(100)이 GPS 신호 수신 구간에 위치할 시 상기 보상값은 제거될 수 있다. 또는 안정성을 고려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기능 비활성화 시까지 생성되는 모든 보상값들을 누적하여 다수개의 보상값이 저장될 수 있다. 다수개의 보상값이 저장될 시 최근에 생성된 보상값에 의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최근의 보상값이 손실될 시 바로 이전의 보상값에 의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적용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r 161 provides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respons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r 161 may store and manage a compensation value calculated by the location calculator 163. In this case, the correction value may be stored permanently or semi-permanently. That is, the correction value is a value for compensating the bas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in the GPS signal reception shadow sec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in the GPS signal reception section, the compensation value may be removed.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compensation values may be stored by accumulating all compensation values generated until the location-based service function is deactivated in consideration of stability. When a plurality of compensation values are stored, it can be applied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recently generated compensation value. In addition, when the recent compensation value is lost, it can be applied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previous compensation value.

상기 위치 산출부(163)는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161)에서 관리하는 위치정보들을 이용하여 보상값을 산출한다. 상기 위치 산출부(163)는 각 시점의 GPS 위치정보와 기지국 위치정보의 차이값을 산출한다. 상기 위치 산출부(163)는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차이값이 다수 개일 경우, 다수개의 차이값들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산출부(163)는 상기 차이값 또는 평균값을 보정값으로서 결정하여 저장한다. The location calculator 163 calculates a compensation value using location information manag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r 161. The location calculator 163 calculates a difference between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t each time point. The position calculator 163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a plurality of difference value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ifference values according to a setting method. The position calculator 163 determines and stores the difference value or the average value as a correction value.

상기 서비스 처리부(165)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GPS 기반 기술의 GPS 위치정보와, 기지국 기반 기술의 기지국 위치정보를 보상값에 따라 보상한 보상 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서비스를 처리한다.The service processor 165 processes a service using any one of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PS-based technology and the compens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based technology based on the compensation valu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do.

한편, 상기 제어부(160), 위치정보 관리부(161), 위치 산출부(163) 및 서비스 처리부(165)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도 4의 동작을 포함하며, 전술한 기능들은 소정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60,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r 161, the location calculator 163, and the service processor 165 include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nd the operation of FIG. 4 described later. It can also be implemented by.

또한, 상기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이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카메라모듈, 전자결재모듈, 디지털방송모듈, 근거리통신모듈 및 인터넷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블록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블록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FIG. 3 illustrates a schematic configuratio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not mentioned above, such as a camera module, an electronic payment module, a digital broadcasting modul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an internet module, according to the provision form thereof.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cluded or replaced with other blocks in the above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provision. This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이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할 시 이를 위한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은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다른 휴대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이 인터넷 망을 이용한 통신을 지원할 시 이를 위한 인터넷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넷모듈은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 망을 통해 다른 휴대단말 및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이 디지털 방송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할 시 이를 위한 방송수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support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ZigBee, and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ternet module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using the internet network, and the internet module may be connected to another mobile terminal through an internet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network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for providing a function related to digital broadcastin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100)은 요청에 응답하여 서비스를 활성화하고(401단계), 이에 대응하여 GPS 신호 체크한다(403단계).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신호 체크에 의하여 GPS 신호의 수신 가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405단계).Referring to FIG. 4, first, the mobile terminal 100 activates the ser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step 401), and checks the GPS signal correspondingly (step 403).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GPS signal can be received based on the signal check in step 405.

상기 판별결과, GPS 신호가 수신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기지국 기반 방식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407단계). 이때,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기지국 기반 방식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도 계속하여 GPS 신호를 체크(403단계)할 수 있으며, 상기 체크에 의해 GPS 신호가 수신 가능함을 인지하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기지국 기반 방식에서 GPS 기반 방식으로 전환하여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본 발명의 동작을 포함하여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GPS signal is not receivabl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rovide a service by a base station based method (step 407).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continue to check the GPS signal (step 403) even while providing the service by the base station-based metho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recognizes that the GPS signal can be received by the check, the mobile terminal 100 100 may provide a service by switching from the base station-based method to the GPS-based method, and may include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판별결과, GPS 신호가 수신 가능하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GPS 기반 방식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며(411단계), 이때, 상기 휴대단말(100)은 설정된 주기의 매 시점마다 수신하는 GPS 위치정보 및 기지국 위치정보를 각 시점별로 매칭하여 저장한다(413단계).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GPS signal can be received, the mobile terminal 100 provides a service based on a GPS based method (step 411).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the GPS at every time point in a set perio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re matched and stored for each viewpoint (step 413).

한편,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GPS 기반 방식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 중에, GPS 신호 수신이 불가(GPS 신호 수신 음영구간)함을 인지하면(415단계), 이전에 수집하여 저장한 각 시점의 GPS 위치정보와 기지국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상값을 산출한다(417단계). 이를 위해, 상기 휴대단말(100)은 먼저 상기 각 시점의 GPS 위치정보와 기지국 위치정보 간의 적어도 하나의 차이값을 산출한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각 차이값들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값을 기지국 위치정보의 보상을 위한 보상값으로 결정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평균값을 산출할 시 각 시점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mobile terminal 100 recognizes that GPS signal reception is impossible (GPS signal reception shadow section) while providing a service by the GPS-based method (step 415), the mobile terminal 100 collects and stores each time previously collected. The compensation value is calculated us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step 417). To this end, the mobile terminal 100 first calculates at least on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viewpoint. Subsequently, the mobile terminal 100 calculates an average value for each difference value and determines the average value as a compensation value for compensation of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calculate the average value by assigning a weight to each time point when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GPS 신호 수신 음영구간에서 획득하는 기지국 위치정보를 상기 보상값에 의해 보상한다(419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음영구간에서 획득하는 기지국 위치정보에 상기 보상값을 적용하여 GPS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보상 위치정보를 예측한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보상 위치정보에 의하여 음영구간에서 획득하는 기지국 위치정보를 업데이트 한다(421단계). 이때, 상기 보상값에 의한 보상 위치정보 예측 및 업데이트는 음영구간의 각 시점마다 수행되고, 해당 시점에서의 보상 위치정보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위치 이동 여부에 대응하여 동일 정보 또는 다른 정보를 가질 수 있다.Next, the mobile terminal 100 compensates the bas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in the GPS signal reception shadow section by the compensation value (step 419).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00 predicts the compensation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by applying the compensation value to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in the shadow section. Subsequently, the mobile terminal 100 updates bas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in the shadow section based on the compensated position information (step 421). In this case, the prediction and the update of the compensation position information by the compensation value are performed at each time point of the shadow section, and the compensation position information at the corresponding time point corresponds to the same information or other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moved. Can have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업데이트하는 위치정보에 의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423단계). 이를 통해, GPS 신호 수신 음영구간에서 기지국 기반 방식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하더라도, 실제 제공되는 위치정보는 GPS 기반 방식에 대응하는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mobile terminal 100 provides a service based on the updated location information (step 423). Through this, even if the service is provided by the base station-based method in the GPS signal reception shadow section, the actual location information may provide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PS-based method.

한편,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음영구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도 계속하여 GPS 신호를 체크할 수 있으며, 상기 체크에 의해 GPS 신호가 수신 가능함을 인지하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기지국 기반 방식에서 GPS 기반 방식으로 전환하여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전술한 본 발명의 동작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도 4의 절차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서비스 비활성화 요청에 응답하여 종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continue to check the GPS signal even while providing a service in the shadow period, and if the mobile terminal 100 recognizes that the GPS signal can be received by the check, the mobile terminal 100 is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to providing a service by switching from a GPS-based scheme to a GPS-based scheme,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The procedure of FIG. 4 may be terminated in response to a service deactivation request according to a user request.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8)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수신 구간에서 획득하는 GPS 위치정보 및 기지국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Storing GPS position information and bas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in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ignal reception section; GPS 신호 수신 음영구간으로 진입 시, 저장된 GPS 위치정보 및 기지국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상값을 산출하는 과정과,Calculating a compensation value using the stored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when entering the GPS signal reception shadow section; 상기 음영구간에서 획득하는 기지국 위치정보에 상기 보상값을 적용한 보상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Obtaining compensation position information by applying the compensation value to the bas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in the shadow section; 상기 보상 위치정보에 의해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And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based on the reward loc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상값을 산출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compensation value, 상기 GPS 위치정보와 상기 기지국 위치정보 간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을 상기 보상값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determining the difference value as the compensation value.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GPS 위치정보와 상기 기지국 위치정보 간의 차이값이 다수 개가 존재할 시, 다수개의 차이값들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값을 상기 보상값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Calculating a mean value of a plurality of difference values and determining the mean value as the compensation valu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ifference values between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How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평균값 산출 시, 최근 위치정보에 의한 차이값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And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by assigning a weight to a difference value based on recent position information when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기능 활성화에 응답하여 GPS 신호를 체크하는 과정과,Checking the GPS signal in response to activating the function for the location-based service; GPS 신호 수신이 불가능할 시, 기지국 기반 방식으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과,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 a base station-based manner when GPS signal reception is impossible; GPS 신호 수신이 가능할 시, GPS 기반 방식으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GPS 위성을 통해 획득하는 GPS 위치정보와 기지국을 통해 획득하는 기지국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When the GPS signal can be received,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 a GPS-based manner, and stor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GPS satellite and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base station How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GPS 위치정보 및 기지국 위치정보는 설정된 주기의 시점별로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match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time point of the set period. 휴대단말에 있어서,In the mobile terminal, 무선통신 시스템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휴대단말이 위치하는 영역의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and receives base station information from a base station in an area where a mobile terminal is located; 하나 이상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와,A GPS receiver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atellites;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상기 GPS 위성 및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A memory unit for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t least one application, the GPS satellites and the base station required for the functiona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단말이 GPS 신호 수신 음영구간에 위치할 시 미리 저장하는 GPS 위치정보 및 기지국 위치정보에 의해 보상값을 산출하고, 상기 보상값을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는 기지국 위치정보에 보상한 후, 보상된 위치정보에 의해 상기 음영구간에서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When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 the GPS signal reception shadow section, a compensation value is calculated by using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and the compensation value is compensated by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base station, and then the compensated location. And a controller for proces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in the shadow sec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GPS 위치정보와 상기 기지국 위치정보 간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에 의해 상기 보상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And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calculating the compensation value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GPS 위치정보와 상기 기지국 위치정보 간의 차이값이 다수 개가 존재할 시, 다수개의 차이값들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값을 상기 보상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ifference values between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of the plurality of difference values and determining the average value as the compensation valu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평균값 산출 시, 최근 위치정보에 의한 차이값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And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by weighting a difference value based on recent position information when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위치기반 서비스에 관련된 기능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처리하고, GPS 신호 수신 구간에서 획득하는 GPS 위치정보 및 기지국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cessing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a function related to a location-based service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and storing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in a GPS signal reception se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unit 기능 활성화 시 GPS 위성을 통해 획득하는 GPS 위치정보와 기지국을 통해 획득하는 기지국 위치정보를 각 시점별로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When the function is activated,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matching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GPS satellite and the bas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base station for each point of view and stor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unit 위치기반 서비스 기능 활성화에 응답하여 GPS 신호를 체크하고, Checks GPS signals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location-based services; GPS 신호 수신이 불가능할 시 기지국 기반 방식에 의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Provides location-based service by base station based method when GPS signal reception is impossible GPS 신호 수신이 가능할 시 GPS 기반 방식에 의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및 GPS 위성을 통해 획득하는 GPS 위치정보와 기지국을 통해 획득하는 기지국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When the GPS signal can be received,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ed by the GPS-based method and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GPS satellite and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base station is stor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설정된 주기의 시점마다 GPS 위성 및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는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부와,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a GPS satellite and a base station at a set time point;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에서 관리하는 위치정보들을 이용하여 보상값을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And a position calculator which calculates a compensation value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managed by the position information manag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산출부는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position calculator 상기 GPS 위치정보와 기지국 위치정보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보정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And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and determining the difference value as the correction valu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산출부는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position calculator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차이값이 다수 개일 경우 다수개의 차이값들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값을 보정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plurality of difference values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a plurality, and determining the average value as a correction valu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ntrol unit GPS 기반 기술의 GPS 위치정보 및 기지국 기반 기술의 기지국 위치정보를 보 상값에 의해 보상된 보상 위치정보 중 휴대단말의 상태 조건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service processor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GPS-based technology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based technology compensated by the compensation value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pplication is GPS 위성 및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된 위치정보를 동일 수신 시간대별로 매칭하여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An application for matching and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and a base station for each same reception time zone;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하는 GPS 위성 및 기지국의 시간대별 위치정보들에 대한 차이값을 산출하는 어플리케이션;An application for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of time slot position information of a GPS satellite and a base station stor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information; 각 시간대의 차이값들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값을 산출하는 어플리케이션;An application that calculates an average value by weighting difference values of each time zone; 상기 평균값에 의해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보상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And an application for compensating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by the average value.
KR1020080065331A 2008-07-07 2008-07-07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of portable terminal KR201000053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331A KR20100005339A (en) 2008-07-07 2008-07-07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of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331A KR20100005339A (en) 2008-07-07 2008-07-07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of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339A true KR20100005339A (en) 2010-01-15

Family

ID=41814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331A KR20100005339A (en) 2008-07-07 2008-07-07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of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339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799B1 (en) * 2010-12-24 2013-06-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ystem for checking posi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th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54944B1 (en) * 2012-08-07 2014-01-24 한국과학기술원 Methods for prediction and estimation of location of mobile devices using way network
KR101631121B1 (en) * 2015-08-18 2016-06-27 주식회사 아이쉐어링소프트 Method of measuring a location of mobile computing device and mobile computing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102140424B1 (en) 2020-05-25 2020-07-31 김기옥 Inclined water gate apparatus for agricultural waterwa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799B1 (en) * 2010-12-24 2013-06-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ystem for checking posi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th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54944B1 (en) * 2012-08-07 2014-01-24 한국과학기술원 Methods for prediction and estimation of location of mobile devices using way network
KR101631121B1 (en) * 2015-08-18 2016-06-27 주식회사 아이쉐어링소프트 Method of measuring a location of mobile computing device and mobile computing device performing the same
WO2017030233A1 (en) * 2015-08-18 2017-02-23 주식회사 아이쉐어링소프트 Method for position detection by mobile computing device, and mobile computing device performing same
US9936477B2 (en) 2015-08-18 2018-04-03 Isharingsoft Co., Ltd.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 of mobile computing device and mobile computing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102140424B1 (en) 2020-05-25 2020-07-31 김기옥 Inclined water gate apparatus for agricultural waterw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2652B2 (en)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US7218275B2 (en) Tes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use with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capable of optimizing location based service by adjusting maximum antenna range
US9198004B2 (en) User-in-the-loop architecture for indoor positioning
US20080227463A1 (en)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US20140324590A1 (en) Location guiding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954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mantic location in electronic device
US20080234928A1 (en) Location based services using altitude
KR100723680B1 (en) Method for Location Determination in In/Out Building An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by Using The Same
WO2008047628A1 (en) Position storage device, radio terminal, position storage system, position registering method, position update method, and program
KR20070026861A (en)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among wireless devices
CA25393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on of wireless computer network in position determining technology
JP2016535272A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Wi-Fi access point for location determination
JP20145297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mobile device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mobile device)
JP4695123B2 (en)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US201301023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data in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eof
CN113364490A (en) NFC application calling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NFC device
CN110234068B (en) Positioning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KR20100005339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of portable terminal
JP2018125572A (en) Position detection system, server device thereof, portable terminal
EP2625907A1 (en) Mobile device for low power identification of its position and a method therefore
KR10069318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aptived Navigation Service
CN109791209B (en)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KR101128456B1 (en) Location detector and method of detect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KR101165574B1 (en)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Detection in Shadow Area by Using Automatic Position Tracking Function of GPS Mobile Terminal
JP2003259409A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