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605A -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및 그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및 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605A
KR20100004605A KR1020080064861A KR20080064861A KR20100004605A KR 20100004605 A KR20100004605 A KR 20100004605A KR 1020080064861 A KR1020080064861 A KR 1020080064861A KR 20080064861 A KR20080064861 A KR 20080064861A KR 20100004605 A KR20100004605 A KR 20100004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ells
write
nodes
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주
정진환
석성우
박유현
김창수
박춘서
김학영
김명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64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605A/ko
Priority to US12/497,379 priority patent/US8463840B2/en
Publication of KR2010000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4Interdomain routing, e.g. hierarchical rou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대용량 클러스터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영역을 복수의 셀(cell)로 분할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셀에 포함된 과반수의 노드에 대해 쓰기 작업을 수행하고, 분할된 셀 중 소정의 셀을 선택하여 선택된 셀에 포함된 과반수의 노드에 대해 읽기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한 노드들을 묶어 셀을 형성하여 선택된 셀 별로 접근함에 따라 네트워크의 접근성을 최소화하고, 셀 별로 과반수의 작업 노드를 선택함에 따라 네트워크 접근을 위한 계층성을 최적화함으로써 네트워크 접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셀(cell), 노드(node), 과반수, 쓰기 기준 셀, 읽기 기준 셀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selecting node in network system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대용량 클러스터 상에서 네트워크 접근 지연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S-016-01, 과제명: 저비용 대규모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 솔루션 개발].
일반적으로, 여러 대의 컴퓨팅 파워를 사용하여 싱글 컴퓨터 이미지를 제공하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는 변경된 데이터에 대한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 노드에서 변경이 이루어지고, 이후 다른 노드에서 변경된 데이터에 대한 읽기를 수행하면, 일관된 데이터를 얻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한 노드에서의 변경을 다른 노드들에 반영하기 위한 데이터 복제(Data Replication)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일 예로써, 한 노드에서의 쓰기 변경을 다른 모든 노드에 반영하고, 읽기 수 행에서는 아무 노드에서나 가능하게 하는 방법인 ROWA(Read-One Write-All)가 존재한다. 다른 예로는, 노드들의 구성 측면에서 논리적 구조를 이용하는 방법들에서 그 논리적 구조에 따라 계층, 사각형, 삼각형, 트리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대용량 클러스터 상에서 읽기/쓰기에 참여하는 노드의 수가 많아 네트워크 접속이 지연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읽기/쓰기에 참여하는 노드의 수를 감소시키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한 노드들을 묶어 셀을 형성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접근성을 최소화하고, 네트워크 접근을 위한 계층성을 최적화함에 따라 네트워크 접근 비용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은, 대용량 클러스터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영역을 복수의 셀(cell)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를 쓰기 기준 셀로 선택하고, 상기 쓰기 기준 셀 및 상기 쓰기 기준 셀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셀을 선택하여 쓰기 셀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쓰기 셀에 포함된 노드 중 각각의 쓰기 셀 별로 과반수(majority)의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쓰기 셀에 대해 선택된 노드에 쓰기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은, 대용량 클러스터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고, 복수의 셀로 분할되어 있는 네트워크 영역을 갖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를 읽기 기준 셀로 선택하고, 상기 읽기 기준 셀 및 상기 읽기 기준 셀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셀을 선택하여 읽기 셀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읽기 셀에 포함된 노드 중 각각의 읽기 셀 별로 과반수(majority)의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읽기 셀에 대해 선택된 노드의 읽기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한 작업 노드 선택방법을 실시하며, 대용량 클러스터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고, 복수의 셀로 분할된 네트워크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한 노드들을 묶어 셀을 형성하여 선택된 셀 별로 접근함에 따라 네트워크의 접근성을 최소화하고, 셀 별로 과반수의 작업 노드를 선택함에 따라 네트워크 접근을 위한 계층성을 최적화함으로써 네트워크 접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노드 선택 방법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 총 23개의 가상 노드(A 내지 W)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이러한 노드들은 일정하게 배열된 것이 아니라 제각각 배열되어 있어 각 노드 사이의 거리 값이 다르다. 따라서, 각 노드마다 접근 지연시간이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도 1의 노드들 중 U, V, W를 예로 하면, U-V 간 거리는 V-W 간 거리 보다 멀다. 따라서, V에서 U까지의 접근 지연시간이 V에서 W까지의 접근 지연시간보다 오래 걸리게 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작업노드 선택 시, 서로 인접한 최소한의 노드를 선택함으로써 네트워크로의 접근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특히 쓰기 작업을 위한 노드 선택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용량 클러스터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영역을 복수의 셀로 분할하여, 셀 집단을 형성하도록 한다(S100). 여기서, 셀 집단은 그리드(grid) 형태로 분할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행과 열이 N X N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분할된 각각의 셀은 복수의 노드를 모두 포함하며, 복수의 노드 개수가 복수의 셀의 개수보다 큰 것으로 한다. 이에 대한 실시예는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복수의 노드에 대한 쓰기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분할된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을 쓰기 기준 셀(CW)로 선택하고(S110), 이때 쓰기 기준 셀(CW)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셀을 선택하여 쓰기 셀을 지정하도록 한다(S120). 여기서, 쓰기 셀은 쓰기 기준 셀(CW) 및 쓰기 기준 셀(CW)과 동일한 위치의 행(column)과 열(row)에 배치된 셀을 포함한다.
'S110' 및 'S120' 과정에서 쓰기 셀이 선택되면, 쓰기 셀로 지정된 각각의 셀 내에 포함된 노드를 감지한다. 이때, 쓰기 셀로 지정된 셀 안에 포함된 노드 중 과반수를 선택하고(S130), 선택된 노드에 대해 쓰기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S140). 'S130' 및 'S140' 과정은 쓰기 셀로 선택된 셀 별로 각각 수행되는 것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특히 읽기 작업을 위한 노드 선택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도 3의 동작은 도 2에서의 쓰기 작업을 수행한 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도 3의 읽기 작업을 위한 노드 선택 방법은, 대용량 클러스터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고, 복수의 셀로 분할된 네트워크 영역을 갖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과정은 도 2에서 선행되므로, 도 3의 과정에선 생략하도록 한다.
복수의 셀로 이루어진 셀 집단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에 대한 읽기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분할된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을 읽기 기준 셀(CR)로 선택하고(S200), 이때 읽기 기준 셀(CR)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셀을 선택하여 읽기 셀을 지정하도록 한다(S210).
여기서, 읽기 셀은 읽기 기준 셀(CR) 및 읽기 기준 셀(CR)과 동일한 위치의 행 또는 열에 배치된 셀을 포함한다. 즉, 쓰기 셀은 쓰기 기준 셀(CW)과 동일한 위치의 행과 열에 배치된 셀을 선택하는 반면에, 읽기 셀은 읽기 기준 셀(CR)과 동일한 위치의 행에 배치된 셀을 선택하거나, 혹은 읽기 기준 셀(CR)과 동일한 위치의 열에 배치된 셀을 선택하도록 한다.
'S200' 및 'S210' 과정에서 읽기 셀이 지정되면, 읽기 셀로 지정된 각각의 셀 내에 포함된 노드를 감지한다. 이때, 읽기 셀로 지정된 셀 안에 포함된 노드 중 과반수를 선택하고(S220), 선택된 노드에 대한 읽기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S230). 여기서, 'S220' 및 'S230' 과정은 읽기 셀로 지정된 셀 별로 각각 수행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선택된 각 노드의 버전을 확인하여 최신 버전의 노드를 선택하고(S240), 선택된 최신 버전의 노드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한다(S250).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 방법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셀 집단이 3 x 3의 행렬구조를 갖는 것을 그 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M x N의 행렬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바람직하게는 셀 집단이 N x N의 행렬구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 4는 대용량 클러스터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노드, 즉, A 내지 W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영역을 복수의 셀로 분할하여 형성된 셀 집단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셀 집단이 총 9개의 셀로 분할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각 셀은 1 내지 9의 번호를 임의로 부여하도록 한다.
즉,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1번 셀에는 A, B 노드, 2번 셀에는 F, G, P 노드, 3번 셀에는 O, R, S 노드, 4번 셀에는 C, D, I 노드, 5번 셀에는 H, J 노드, 6번 셀에는 Q, T, U 노드, 7번 셀에는 E, L 노드, 8번 셀에는 K, M, N 노드, 9번 셀에는 V, W 노드가 각각 포함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실시예로부터 쓰기 작업을 위한 노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는 총 9개의 셀 중 1번 셀을 쓰기 기준 셀(CW)로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 쓰기 기준 셀과 동일한 행에 위치한 2번, 3번 셀과, 쓰기 기준 셀과 동일한 열에 위치한 4번, 7번 셀을 선택하여, 쓰기 셀로 지정하도록 한다.
물론, 쓰기 기준 셀(CW)은 특정 위치의 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6의 (a) 내지 (h)에서와 같이 2번 내지 9번 셀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 이 경우, 쓰기 셀은 쓰기 기준 셀(CW)의 위치에 따라 변경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기 기준 셀과 동일한 위치의 행과 열에 배치된 셀을 선택하여 쓰기 셀로 지정하도록 한다.
도 7은 도 5에서 지정된 쓰기 셀을 바탕으로 하여 쓰기 노드를 선택하는 실 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기 셀이 1, 2, 3, 4, 7번으로 지정된 경우, 각 셀에 포함된 노드 중 각각의 셀 별로 과반수의 노드를 선택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1번 셀에 포함된 노드가 2개이므로, A와 B 노드를 모두 선택한다. 또한, 2번 셀에 포함된 노드가 3개이므로, F, G, P 중 과반수인 2개를 선택한다. 이때, (F, G), (G, P), (F, P)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마찬가지로, 3번 셀에 포함된 노드가 3개이므로 O, R, S 중 과반수인 2개를 선택하며, 이때 (O, R), (R, S), (O, S)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또한, 4번 셀에 포함된 노드도 3개이므로 C, D, I 중 과반수인 2개를 선택하며, 이때 (C, D), (D, I), (C, I)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한편, 7번 셀에 포함된 노드는 2개이므로 E와 L 노드를 모두 선택한다.
물론, 도 7의 (a), (b), (c)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 외에도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기 셀에 포함된 노드 중 10개 노드가 선택되어, 선택된 10개 노드에 대해 쓰기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도 4의 실시예로부터 읽기 작업을 위한 노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8은 총 9개의 셀 중 9번 셀을 읽기 기준 셀(CR)로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읽기 기준 셀(CR)과 동일한 행에 위치한 7번, 8번 셀을 선택하여 읽기 셀로 지정하도록 한다.
물론, 읽기 기준 셀(CR)은 쓰기 기준 셀(CW)과 마찬가지로 특정 위치의 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9의 (a) 내지 (h)에서와 같이 1번 내지 8번 셀 중 선택 가능하다. 이 경우, 읽기 셀은 읽기 기준 셀(CR)의 위치에 따라 변경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읽기 기준 셀과 동일한 위치의 행(column)에 배치된 셀을 선택하여 읽기 셀로 지정하도록 한다. 한편, 설정에 따라서는 읽기 기준 셀과 동일한 위치의 열(row)에 배치된 셀을 선택하여 읽기 셀로 지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10은 도 8에서 지정된 읽기 셀로부터 읽기 노드를 선택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읽기 셀이 7, 8, 9번으로 지정된 경우, 각 셀에 포함된 노드 중 각각의 셀 별로 과반수의 노드를 선택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7번 셀에 포함된 노드가 2개이므로, E와 L 노드를 모두 선택한다. 또한, 8번 셀에 포함된 노드가 3개이므로, K, M, N 중 과반수인 2개를 선택한다. 이때, (M, N), (K, M), (K, N)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마찬가지로, 9번 셀에 포함된 노드는 2개이므로 V와 W 노드를 모두 선택한다.
물론, 도 10의 (a), (b), (c)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 외에도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읽기 셀에 포함된 노드 중 6개 노드가 선택되어, 선택된 6개 노드에 대해 읽기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선택된 6개 노드를 읽어 각 노드의 버전을 확인하고, 이때 가장 최신 버전의 노드를 판별하여 해당 노드에 기록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도 7의 (a)와 도 10의 (a)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도 7의 (a)에서는 1, 2, 3, 4, 7번 셀이 쓰기 셀로 지정되었고, 도 10의 (a)에서는 7, 8, 9번 셀이 읽기 셀로 지정되었다. 여기서, 읽기 셀로 지정된 7, 8, 9번 셀 중 도 7의 (a)에서 쓰기 셀로 지정된 7번 셀의 노드에 최신 버전의 데이터가 기록된 것이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읽기 노드로 선택된 7:(E, L), 8:(M, N), 9:(V, W) 중 (E, L)에 최신 버전의 데이터가 기록되었으므로, E 노드 또는 L 노드로부터 최신의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9번 셀을 읽기 기준 셀로 하여 동일 열(raw)의 셀을 읽기 셀로 지정한 경우에는, 3번 셀의 O, R, S 중 두개의 노드가 읽기 노드로 선택되고, 6번 셀에서는 Q, T, U 중 선택된 두개의 노드가 읽기 노드로 선택된다. 또한, 9번 셀에서는 V, W 노드가 읽기 노드로 선택된다. 이때, 읽기 노드는 총 6개로, 이 중 쓰기 셀과 겹치는 3번 셀에서 선택된 두개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는 최신 버전의 데이터가 기록된 것이 된다. 따라서, 최신 버전의 데이터가 기록된 노드를 선택함으로써 소정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 노드 선택 방법에 대한 비교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a)는 종래의 단일읽기/쓰기 기법을 이용하여 23개의 노드에 대한 읽기/쓰기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의 읽기/쓰기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종래의 과반수 투표 기법을 이용하여 23개의 노드에 대한 읽기/쓰기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의 읽기/쓰기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12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노드 선택 방법, 즉 셀 근사화 기법을 이용하여 23개의 노드에 대한 읽기/쓰기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의 읽기/쓰기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 도 12의 (a)는, 총 23개의 노드에 대해 모두 쓰기 작업을 수행하고, 이후 23개의 노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하나의 노드에 대해 읽기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 경우, 읽기 작업은 하나의 노드에 대해서만 수행하나, 쓰기 작업을 모든 노드에 대해 수행함에 따라 네트워크 접근이 지연되게 된다.
또한, 도 12의 (b)는, 총 23개의 노드 중 과반수인 12개의 노드에 대해 쓰기 작업을 수행하고, 마찬가지로 23개의 노드 중 과반수인 12개의 노드에 대해 읽기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 경우, 쓰기 작업에 참여하는 노드의 수는 (a)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읽기 작업에 참여하는 노드의 수가 12배 증가하였으므로, (a)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접근이 지연되게 된다.
한편, 도 12의 (c)는, 총 23개의 노드에 대해 형성된 총 9개의 셀 중 쓰기 셀로 선택된 7개의 셀에 포함된 10개 노드가 쓰기 작업에 참여하게 되며, 이 중 읽기 셀로 선택된 3개의 셀에 포함된 6개 노드가 읽기 작업에 참여하게 된다. 여기서, 도 12의 (a) 및 (b)에 비해 (c)에서 쓰기 작업에 참여하는 노드의 수가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읽기 작업에 참여하는 노드의 수 또한 (b)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읽기/쓰기 작업에 참여하는 노드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네트워크의 접근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및 그 시스템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노드 선택 방법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노드 선택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노드 선택 방법에 적용되는 셀 집단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5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노드 선택 방법에 대한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 그리고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노드 선택 방법에 대한 비교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13)

  1. 대용량 클러스터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영역을 복수의 셀(cell)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를 쓰기 기준 셀로 선택하고, 상기 쓰기 기준 셀 및 상기 쓰기 기준 셀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셀을 선택하여 쓰기 셀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쓰기 셀에 포함된 노드 중 각각의 쓰기 셀 별로 과반수(majority)의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쓰기 셀에 대해 선택된 노드에 쓰기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셀이 상기 노드를 전부 포함하고, 상기 노드의 개수가 상기 셀의 개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로 분할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셀은, 그리드(grid) 형태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 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형태는, 행(column)과 열(row)에 배치된 셀의 수가 N x N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쓰기 셀을 지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쓰기 셀은, 상기 쓰기 기준 셀과 동일한 행(column)과 열(row)에 배치된 셀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6. 대용량 클러스터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고, 복수의 셀로 분할되어 있는 네트워크 영역을 갖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를 읽기 기준 셀로 선택하고, 상기 읽기 기준 셀 및 상기 읽기 기준 셀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셀을 선택하여 읽기 셀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읽기 셀에 포함된 노드 중 각각의 읽기 셀 별로 과반수(majority)의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읽기 셀에 대해 선택된 노드의 읽기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셀은 상기 노드를 전부 포함하고, 상기 노드의 개수가 상기 셀의 개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은, 그리드(grid) 형태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형태는, 행(column)과 열(row)에 배치된 셀의 수가 N x N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읽기 셀을 지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읽기 셀은, 상기 읽기 기준 셀과 동일한 행(column)에 배치된 셀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읽기 셀을 지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읽기 셀은, 상기 읽기 기준 셀과 동일한 열(row)에 배치된 셀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노드의 버전을 확인하여 최신 버전의 노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최신 버전의 노드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작업 노드 선택방법을 실시하며, 대용량 클러스터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고, 복수의 셀로 분할된 네트워크 영역을 갖는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080064861A 2008-07-04 2008-07-04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및 그시스템 KR20100004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861A KR20100004605A (ko) 2008-07-04 2008-07-04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및 그시스템
US12/497,379 US8463840B2 (en) 2008-07-04 2009-07-02 Method for selecting node in network system and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861A KR20100004605A (ko) 2008-07-04 2008-07-04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및 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05A true KR20100004605A (ko) 2010-01-13

Family

ID=4146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861A KR20100004605A (ko) 2008-07-04 2008-07-04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및 그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63840B2 (ko)
KR (1) KR201000046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65355A1 (en) 2011-04-15 2012-10-18 Power Tagging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ingle and multizonal optimization of utility services delivery and utilization
US9059842B2 (en) 2011-06-09 2015-06-16 Astrolink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grid based cyber security
US9380545B2 (en) 2011-08-03 2016-06-28 Astrolink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edge devices on channels without carrier sense
US10097240B2 (en) * 2013-02-19 2018-10-09 Astrolink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schematic and topological properties of an electrical distribution grid
US9438312B2 (en) 2013-06-06 2016-09-06 Astrolink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schematic relationships between load points and service transformers
US10001514B2 (en) 2013-06-13 2018-06-19 Astrolink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lizing non-technical losses in a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grid
US10749571B2 (en) 2013-06-13 2020-08-18 Trc Companies, Inc. System and methods for inferring the feeder and phase powering an on-grid transmitter
MX363666B (es) 2014-10-30 2019-03-28 Astrolink Int Llc Sistema, método y aparato para ubicación de red.
MX361841B (es) 2014-10-30 2018-12-18 Astrolink Int Llc Sistema y métodos para asignar intervalos y resolver conflictos de intervalo en una red de distribución eléctric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9646B2 (en) * 2004-02-26 2016-01-05 Emc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data storage capacity
US7249280B2 (en) * 2004-06-18 2007-07-24 Microsoft Corporation Cheap paxos
JP4550717B2 (ja) * 2005-10-28 2010-09-22 富士通株式会社 仮想ストレージシステム制御装置、仮想ストレージ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仮想ストレージシステム制御方法
US8768895B2 (en) * 2007-04-11 2014-07-01 Emc Corporation Subsegmenting for efficient storage, resemblance determination, and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63840B2 (en) 2013-06-11
US20100005273A1 (en)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4605A (ko)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작업 노드 선택방법 및 그시스템
KR101259557B1 (ko) 클러스터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클러스터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서 병렬 처리를 이용한 데이터 복구 방법
US8090710B2 (en) Index maintenance in a multi-node database
CN109522428B (zh) 一种基于索引定位的图计算系统的外存访问方法
Cheung et al. The grid protocol: A high performance scheme for maintaining replicated data
US8195642B2 (en) Partial indexes for multi-node database
CN103246616B (zh) 一种长短周期访问频度的全局共享缓存替换方法
CN103038755B (zh) 多节点系统中数据缓存的方法、装置及系统
US7783825B2 (en) Nonvolatile memory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for nonvolatile memory
US8903803B1 (en) Horizontal interval-based data partitioning and indexing for large clusters
US87689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panding a shared-nothing system
CN109196807B (zh) 网络节点以及操作网络节点以进行资源分发的方法
WO20140674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flexible distributed massively parallel processing (mpp) database
CN105991478A (zh) 服务器资源分配方法及其系统
KR20190079354A (ko) 분할 공간 기반의 공간 데이터 객체 질의처리장치 및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N106407191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服务器
CN111708894B (zh) 一种知识图谱创建方法
CN109189343B (zh) 一种元数据落盘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108382B1 (en) Optimizing the execution of a query in a multi-database system
CN107430510A (zh) 数据处理方法、装置和系统
CN110515947A (zh) 一种存储系统
CN113360551B (zh) 一种靶场中时序数据的存储与快速统计方法及系统
CN104484404A (zh) 一种改善分布式文件系统中地理栅格数据文件处理方法
CN109189326A (zh) 分布式集群的管理方法和装置
CN108491274A (zh) 分布式数据管理的优化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