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816A -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 Google Patents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816A
KR20100003816A KR1020080063824A KR20080063824A KR20100003816A KR 20100003816 A KR20100003816 A KR 20100003816A KR 1020080063824 A KR1020080063824 A KR 1020080063824A KR 20080063824 A KR20080063824 A KR 20080063824A KR 20100003816 A KR20100003816 A KR 20100003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robot cleaner
wireless signal
received
de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8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인규
단철순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3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816A/en
Publication of KR20100003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8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PURPOSE: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is provided to only clean a cleaning area set by a user by sensing a signal from a transmission device. CONSTITUTION: The cleaning start information is received(302). The cleaning time is calculated by moving a robot cleaner and scanning a cleaning area(304). The cleaning of the robot cleaner is performed by driving a driving part, a dust absorption part, and a sensing part(306). A radio signal is received through a receive part(308). When the received radio signal is a signal transmitted from a first transmission device, it is decided whether the intensity of the radio signal is weakened or not(314). In case it is decided that the intensity of the radio signal gets weak, the progress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is modified(316).

Description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Robot Cleaner Control Method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신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수신부가 장착되어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robot cleaner equipped with a receiver for communication with a transmitter.

로봇은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공장 자동화의 일환으로 사용되거나, 인간이 견딜 수 없는 극한의 환경에서 인간을 대신하여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로봇공학 분야는 근래에 들어 최첨단 우주개발산업에 사용되면서 발전을 거듭하여 왔고, 최근에 들어서는 인간 친화적인 가정용 로봇이 개발되기에 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인간 친화적인 가정용 로봇의 대표적인 응용예로는 로봇 청소기를 들 수 있다. Robots have been developed for industrial use and used as part of factory automation, or to collect information on behalf of humans in extreme environments that humans cannot tolerate. This field of robotics has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as it is used in the cutting-edge space development industry, and recently, until a human-friendly home robot was developed. Representative applications of such human-friendly home robot is a robot cleaner.

일반적으로 로봇 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일정 범위의 작업영역 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면으로부터 먼지, 이물질을 흡입하는 청소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로봇 청소기는 센서 및 카메라를 통해 집안이나 사무실과 같은 작 업영역 내에 설치된 가구, 사무용품, 벽과 같은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판별하고, 판별된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물과 충돌되지 않도록 주행하면서 지시된 작업을 수행한다.In general, the robot cleaner refers to a device that performs a cleaning operation of sucking dust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loor surface while traveling by itself within a range of working areas without a user's manipulation. The robot cleaner uses sensors and cameras to determine the distance to obstacles such as furniture, office supplies, and walls installed in the work area such as the home or office, and uses the determined information to drive the operation while avoiding collision with the obstacle. To perform.

그러나, 종래의 로봇 청소기는 자기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판단하지 못하고, 주변의 장애물 감지에 의한 램던 방식에 의해 청소 경로를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청소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공간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does not determine the area where the robot cleaner is located and controls the cleaning path by a lambdon method by detecting an obstacle around it, in some cases, a space where no cleaning is performed may be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또한, 사용자가 전체 청소구역 중에서 로봇 청소기에 의한 청소가 불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거나, 또는 청소가 이루어져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 청소구역이 있을 수도 있으나, 종래의 로봇 청소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 In addition, there may be a cleaning area that the user thinks that cleaning by the robot cleaner is not necessary, or that the cleaning should not be performed in the entire cleaning area,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is clean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given the ability to perform.

따라서, 종래의 청소기가 이용되는 경우, 청소가 불필요한 영역에 대한 청소가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청소가 이루어져서는 안되는 영역에 대한 청소가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불측의 손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a conventional cleaner is used, cleaning may be performed for an area that does not need cleaning, and cleaning may be performed for an area that should not be cleaned, thereby causing an undesired damage to a us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 청소기가 송신장치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청소구역만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control method for the robot cleaner to detec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device, so that only the cleaning area set by the user can be clean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적용되는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세부청소구역에 대한 청소 시작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로봇 청소기의 제어부가 상기 로봇 청소기의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제1세부청소구역에 대한 청소를 수행하도록 하는 청소수행단계; 상기 청소수행 중 상기 제1세부청소구역에 구비된 제1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무선신호의 세기가 약해지고, 상기 청소구역 내의 제2세부청소구역에 구비된 제2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제2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는 무선신호 세기 판단단계; 상기 무선신호 세기 판단결과, 상기 제1무선신호 세기가 약해지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2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청소수행단계를 지속하는 지속단계; 및 상기 무선신호 세기 판단결과, 상기 제1무선신호 세기가 약해지고, 상기 제2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을 변경시키는 경로 변경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robot cleaner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robot cleaner, when the cleaning start information for the first detail cleaning area is received, the controller of the robot cleaner drives the driving unit of the robot cleaner; A cleaning step of causing the robot cleaner to clean the first detail cleaning area; During the cleaning, the intensity of the first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in the first detail cleaning zone is weakened, and the second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in the second detail cleaning zone in the cleaning zone.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whether a radio signal is received or not; A continuous step of continuing, by the control unit, the cleaning step when the first wireless signal strength is not weakened or the second wireless signal is not receiv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wireless signal strength; And a path changing step of changing, by the control unit,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by driving the driving unit when the first wireless signal strength is weakened and the second wireless signal is receiv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wireless signal strength. do.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가 송신장치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청소구역만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가 불필요한 영역에 대한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가 요구되는 영역에 대한 지속적인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cleaner sens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device, so that only the cleaning area preset by the user can be cleaned, so that the robot cleaner may not be cleaned for the unnecessary area, and the cleaning is required.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allows for constant cleaning of the area.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청소가 요구되지 않는 영역에 대하여는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로봇 청소기의 청소 수행에 의한 불측의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that the unavoidable situation due to the cleaning of the robot cleaner can not be generated by preventing the cleaning to be performed on the area that is not required to be cleaned by the us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로봇 청소기와 송신장치로 구성된 청소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특히, 청소구역의 천정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leaning system composed of a robot cleaner and a transmission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in particular,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viewed from the ceiling of the cleaning area.

본 발명이 적용되는 청소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구역(30)의 천장에 설치되어 무선신호(RF)를 송신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송신장치(21, 22)들 및 송신장치들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를 판단하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The clean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t least two transmitters 21 and 22 and transmitter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cleaning zone 30 to transmit radio signals RF, as shown in FIG. 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bot cleaner 10 that can perform the cleaning while receiving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urrent position is determined.

송신장치(21, 22)는 로봇 청소기에 의하여 동시에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는 청소구역(30) 중 각 세부청소구역 별로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의 경우, 거실, 안방, 주방 등에 송신장치가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의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청소구역(30)에 제1송신장치(21)와 제2송신장치(22)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여기서, 제1송신장치(21)에 의해 관리되는 세부청소구역은 제1세부청소구역이라 하며, 제2송신장치(22)에 의해 관리되는 세부청소구역은 제2세부청소구역이라 한다. 한편, 제1송신장치와 제2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가 중첩적으로 수신될 수 있는 세부청소구역은 제3세부청소구역이라 한다. 송신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전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각 송신장치는, 로봇 청소기에 의해 구분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주파수를 이용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인식정보 등을 무선신호에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 The transmitting apparatuses 21 and 22 are installed for each sub-cleaning area of the cleaning area 30 which can be cleaned at the same time by the robot clean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apartment, a transmitting device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a living room, a room, a kitchen, or the lik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suming that the first transmission device 21 and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22 are installed in one cleaning area 30. Here, the detailed cleaning area managed by the first transmitting device 21 is called a first detail cleaning area, and the detailed cleaning area managed by the second sending device 22 is called a second detail cleaning area. On the other hand, the detailed cleaning area in which the radio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tting device and the second transmitting device can be superimposed can be called a third detail cleaning area. The transmitting device may use any one of various kinds of radio waves, and in particular, each transmitting device may use different frequencies or include different recognition information in a radio signal to be distinguished by a robot cleaner. I can send it.

로봇 청소기(20)는 송신장치에서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수신부(16)를 구비하고 있다. 로봇 청소기는 수신된 무선신호를 분석하여 어떠한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된 무선신호인지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송신장치로부터만 무선신호를 수신할 할 수 있도록 자신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20)의 세부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The robot cleaner 20 includes a receiver 16 so as to receive and identify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tter. The robot cleaner may analyze the received wireless signal to determine which transmission device is a wireless signal, and then move its position to receive the wireless signal only from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devic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obot cleaner 20 including the above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로봇 청소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robot clean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로봇 청소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1), 로봇 청소기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2), 로봇 청소기의 이동 구간에 배치된 장애물이나 벽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13), 모터를 구동하여 청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부(14),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흡진부(15),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 신하기 위한 수신부(16)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the robot cleaner to which the robot clean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n input unit 11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a storage unit 12 storing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From the sensing unit 13 for detecting an obstacle or a wall disposed in the moving section of the robot cleaner, the driving unit 14 for driving the motor to perform a cleaning function, the dust collecting unit 15 for collecting dust, the transmitter And a receiver 17 for receiv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a controller 17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입력부(11)는 로봇 청소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로봇 청소기 자체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버튼이 될 수도 있으며, 로봇 청소기와 무선을 통해 통신을 주고 받는 리모컨(미도시)이 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로봇 청소기의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 또는 리모컨과 같은 입력부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를 제어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1 is for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and may be various buttons provided on the robot cleaner itself, and may be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that communicates with the robot cleaner via wireless. It may be. That is, the user may control the robot cleaner by using an input unit such as a button or a remote controller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robot cleaner.

저장부(12)는 로봇 청소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청소 동작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사용자는 전체 청소 시간 중 특정 지역에서의 청소 시간을 한정하여 설정할 수도 있으며, 설정된 정보는 저장부에 저장된다.The storage unit 12 stores various program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or information on a cleaning operation process set by the user. In particular, the user may limit and set the cleaning time in a specific region of the entire cleaning time, and the se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감지부(13)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이 적용되어 전방 또는 주행방향의 장애물이나 벽 등을 감지하고, 그 거리를 감지함으로써, 로봇 청소기가 장애물에 걸리지않고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감지부의 각종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된다.The sensing unit 13 detects an obstacle or a wall in the forward or driving direction by applying an infrared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and detects the distance so that the robot cleaner can be moved without being caught by the obstacle. . On the other hand,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from the various sensors of the detection un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구동부(14)는 로봇 청소기의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모터, 바퀴를 회전시켜 로봇 청소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먼지 흡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브러쉬를 구동시키기 위한 브러쉬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 모터를 독립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주행방향은 각 모터의 회전수를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정해진다.The driving unit 14 is to drive a function of the robot cleaner, a suction motor for sucking dust, a driving motor for moving the robot cleaner by rotating wheels, a brush motor for driving a brush to easily inhale dust, and the like. It may be configured as. The driving unit independently drives each motor to rotate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he running direction is determin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each motor differently.

흡진부(15)는 공기를 흡입하면서 바닥의 먼지를 집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흡입모터, 흡입모터의 구동에 의해 바닥과 대향되게 형성된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와 흡입관을 통해 연결되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5 performs a function of collecting dust on the floor while inhaling air, and the suction motor, the suction port formed to face the floor by driving the suction motor, and the dust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the suction pipe. The dust collecting chambe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ust collecting chamber.

수신부(16)는 송신장치(21, 22)로부터 전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로봇 청소기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ceiving unit 16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es 21 and 22, and is preferably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robot cleaner body.

제어부(17)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로봇 청소기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함으로써 지시된 청소작업을 수행하는 한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분석하여, 로봇 청소기의 현재 위치 등을 분석한 후 세부청소구역을 재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17 performs the indicated cleaning operation by controll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robot clean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analyz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by analyzing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After that, it resets the detailed cleaning area.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가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청소 동작을 재설정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들 외에도 일반적인 로봇 청소기에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obot cleaner receives a radio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device and resets the cleaning operation accordingly, and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that may be applied to the general robot cleane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신호(RF) 송수신을 위한 셀 영역 설정 및 위치 제어를 이용하여 세부청소구역별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청소 시스템에는 지정된 위치별로 각 영역을 알려주는 송신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제1세부청소구역에서 청소를 시작하면 랜덤으로 제1세부청소구역 주변에서 청소를 진행하며, 청소가 완료되면 제2세부청소구역으로 순차적으로 넘어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식 으로 세부청소구역을 확대할 수 있으며 각 세부청소구역별로 다른 영역을 설정하여 청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무선신호의 수신강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의 방향성을 정할 수 있으며, 제1세부청소구역의 신호가 약해지면 회전을 통해, 제1세부청소구역의 신호가 강한 쪽으로 방향을 설정하며, 설정된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전진한 후 다시 랜덤 청소를 실행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erform cleaning for each detailed cleaning area by using the cell area setting and position control for the radio signal (RF) transmission and reception. To this end, the clean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ttached with a transmitting device for notifying each area for each designated position. Therefore, whe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cleaning in the first detail cleaning zone, the robot cleaner randomly proceeds to clean the area around the first detail cleaning zone, and when the cleaning is completed, the robot cleaner may proceed to the second detail cleaning zone sequenti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nlarge the detailed cleaning zone in the above manner and can be cleaned by setting a different area for each detailed cleaning zone. 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difference i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adio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if the signal of the first detail cleaning zone is weakened through the rotation, the direction of the signal of the first detail cleaning zone is stronger direction After setting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set direction, and performs a random cleaning again.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로봇 청소기가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청소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이 상세히 설명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a method of performing the cleaning operation by the robot cleaner as described above using a wireless sig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obot clean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해 로봇 청소기로 청소 시작 정보를 전송한다. 즉, 사용자가 로봇 청소기 자체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 또는 리모컨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청소 시작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는 청소 시작 정보의 수신을 확인한다(302). 이때, 송신장치(21, 22)에 구동 시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송신부가 로봇 청소기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는 송신장치로 구동 시작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송신장치(21, 22)가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로봇 청소기에 송신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구동 시작 정보를 송신장치(21, 22)로도 전송할 수 있으며, 송신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를 온(On) 시킴으로써, 송신장치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First, the user transmits cleaning start information to the robot cleaner through the input unit.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cleaning start menu using a button provided on the robot cleaner itself or a button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ler, the controller confirms reception of cleaning start information (302). In this case, when the robot cleaner is provided with a transmitter capable of transmitting driving start information to the transmitters 21 and 22, the controller may transmit driving start information to the transmitter, whereby the transmitters 21 and 22 may transmit the driving start information. Can be driven. However, when the robot cleaner is not provided with a transmitter, the user may wirelessly transmit driving start information to the transmitters 21 and 22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and turn on a switch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by wire. ), The transmitter can be driven.

상기 청소 시작 정보를 수신한 제어부는 우선 구동부를 구동하여 로봇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구역(30)을 스캐닝함으로써, 청소 시간 등을 산출하게 된다(304). 즉, 로봇 청소기는 청소 동작을 수행하기에 앞서 청소구역을 스캐닝하면 서, 청소구역에 대한 넓이 및 청소 시간 등을 산출하게 된다. 한편, 스캐닝 과정에서는, 이하에서 설명될 청소 기능 수행 과정에서 수행되는 경로 설정 방법과 유사한 방법이 적용됨으로, 그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설명으로 대체된다.The controller receiving the cleaning start information first calculates a cleaning time by scanning the cleaning area 30 while moving the robot cleaner by driving the driving unit (304). That is, the robot cleaner scans the cleaning area before performing the cleaning operation, and calculates the area and the cleaning time for the cleaning area. Meanwhile, in the scanning process, a method similar to the path setting method performed in the cleaning function execution process to be described below is applied,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replaced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스캐닝 과정을 수행한 후, 제어부가 구동부, 흡진부 및 감지부 등을 구동시킴으로써, 로봇 청소기의 청소 기능이 수행된다(306). 즉, 구동부(14) 및 흡진부(15)는 각종 모터로 구성되어 있어서, 로봇 청소기의 이동 및 먼지 흡입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감지부(13)는 로봇 청소기의 이동 경로 상에 있는 장애물 등에 대한 감지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며, 제어부(17)는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로봇 청소기가 정상적인 청소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After performing the scanning process, the controller drives the driving unit, the suction unit, the sensing unit, etc., so that the cleaning function of the robot cleaner is performed (306). That is, the driving unit 14 and the suction unit 15 are composed of various motors to perform the movement and dust suction function of the robot cleaner. 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unit 13 detects the detection signal for the obstacle on the moving path of the robot cleane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17 controls the drive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the robot cleaner cleans the normal Perform a function.

한편, 상기와 같은 청소 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제어부는 수신부를 통해 무선신호를 수신한다(308). On the other hand, while the cleaning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receives a wireless signal through the receiving unit (308).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상기 무선신호가 기 설정된 세부청소구역에 설치된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310). 즉, 상기에서 예를 든 바와 같이, 청소구역은 제1세부청소구역과 제2세부청소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세부청소구역에는 각 세부청소구역을 담당하는 두 개의 송신장치(21, 22)가 구비되어 있다. 즉, 각 송신장치는 하나의 세부청소구역을 분할하여 무선신호를 송신하고 있으며, 각 송신장치는 서로 다른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거나 서로 다른 주파수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저장부에는 각 송신장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부는 수신된 무선신호를 각 송신장치별로 구분할 수 있 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청소구역을 세부청소구역으로 구분하여 자신이 원하는 세부청소구역만을 로봇 청소기가 청소하도록 하거나, 시간대를 설정하여 각 세부청소구역별로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사용자는 청소 시작 정보와 함께, 청소를 원하는 세부청소구역 또는 각 세부청소구역별 청소 시작시간 등(이하, 간단히 '청소메뉴'라 함)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청소메뉴는 저장부에 저장된다. 가정에서의 청소를 예로 들면, 사용자는 특정 시간대에는 로봇 청소기가 동작되더라도 침실과 같은 특정 세부청소구역(예를 들어, 제2송신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제2세부청소구역)에 대하여는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청소메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시간대와 상관없이 특정 세부청소구역에 대하여만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청소메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청소메뉴를 통해, 청소가 요구되는 세부청소구역을 담당하는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만이 수신될 수 있도록 로봇 청소기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저장부에는 각 무선장치의 식별정보와 매칭될 수 있는 분석정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부는 수신된 무선신호의 식별정보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분석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어떠한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송신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의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각 송신장치가 송신하는 주파수에 대한 분석정보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부는 수신된 무선신호의 주파수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분석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어떠한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제1청소구역만이 청소되도록 청소메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When the radio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radio signal is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tter installed in a preset sub-cleaning zone (310). That is, as exemplified above, the cleaning area is divided into a first detail cleaning area and a second detail cleaning area, and each of the detailed cleaning areas has two transmitting apparatuses 21 and 22 in charge of each detailed cleaning area. Is provided. That is, each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a radio signal by dividing one sub-cleaning zone, and each transmitting apparatus has diffe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uses different frequencies. In addition, since the storage unit stores information on each transmitter, the controller can classify the received radio signal for each transmitter.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robot cleaner to clean only the detailed cleaning zones that the user wants to separate the cleaning zones into the detailed cleaning zones, or to set the time zone to be cleaned for each detailed cleaning zone, the user With cleaning start information, you can input the detailed cleaning area or cleaning start time for each detailed cleaning area (hereinafter, simply called 'cleaning menu') that you want to clean through the input unit. Are stored in. For example, in the home cleaning, the user may not clean the specific detail cleaning area such as the bedroom (eg, the second detail cleaning area equipped with the second transmitting device) even if the robot cleaner is operated at a certain time. The cleaning menu can be set so that the cleaning menu can be set, and the cleaning menu can be set so that cleaning is not performed only for a specific cleaning area regardless of time zone. That i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so that only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device in charge of the detailed cleaning area requiring cleaning is received through the cleaning menu stored in the storage unit. Since the storage unit stores analysis information that can be matched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wireless device,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radio signal with the analysis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reby transmitting from any transmission device. You can check whether it is a wireless signal. In addition, when the two transmitters transmit radio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since the analysis information about the frequencies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s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control unit stores the frequencies of the received radio signals. By comparing with the analysis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it is possible to confirm which radio signal is transmitted from which transmission apparatus. 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by taking an example in which the cleaning menu is set so that only the first cleaning area is cleaned by the user.

상기 무선신호 판단결과, 수신된 무선신호가 청소메뉴에 설정되어 있는 제1송신장치(21)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가 아닌 경우, 제어부는 구동부를 구동하여 로봇 청소기의 경로를 재탐색하게 된다(312). 즉, 청소메뉴에 의해 제1송신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제1세부청소구역에 대하여만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가 없다는 것은, 로봇 청소기가 제2세부청소구역에 놓여져 있거나 또는 청소구역과 전혀 관계없는 위치에 놓여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는 구동부를 구동하여 로봇 청소기의 경로를 수정함으로써, 로봇 청소기가 제1세부청소구역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경로 재탐색 과정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도, 제1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경로 탐색 불능이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로봇 청소기의 위치를 확인한 후, 로봇 청소기를 제1세부청소구역 내에 재배치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radio signal, if the received radio signal is not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device 21 set in the cleaning menu, the controller drives the driving unit to search for the path of the robot cleaner again (312). ). That is, in the state where cleaning is performed only for the first detail cleaning area in which the first transmitting device is mounted by the cleaning menu, there is no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mitting device. It means that it is placed in the sub-cleaning area or in a position that has nothing to do with the cleaning area. Therefore, the robot cleaner drives the driving unit to modify the path of the robot cleaner, thereby allowing the robot cleaner to enter the first detail cleaning zone.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above-mentioned path rescanning process is performed for a preset time, if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tting device is not received, the controller may output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ath search is impossible through the speaker or the display. . In this case, the user may check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and then reposition the robot cleaner in the first detail cleaning area.

상기 무선신호 판단결과, 수신된 무선신호가 청소메뉴에 설정되어 있는 제1송신장치(21)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인 경우, 제어부는 청소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무선신호의 세기가 약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314).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장치가 출력하는 무선신호의 세기는, 송신장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게 되므로, 로봇 청소기가 제1세부청소구역을 벗어나려 하거나 또는, 청소가 요구되지 않는 제2세부청소구역과의 중첩지역(제3세부청소구역)에 위치하게 되면, 제1송신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신호의 세기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무선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세기보다 작아지거나, 또는 직전에 수신된 무선신호의 세기보다 작아짐을 지속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후자의 경우, 제어부는 일정한 주기별로(예를 들어, 30초 또는 1분) 무선신호를 분석하는 한편, 분석된 무선신호의 정보(예를 들어, 무선신호의 세기 및 무선신호를 송신한 송신장치 정보 등)를 저장부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이후에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정보와 비교하여 무선신호의 세기 변동을 판단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radio signal, if the received radio signal is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device 21 set in the cleaning menu, the controller performs a cleaning function and whether the strength of the radio signal is weak. Determine (314). 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intensity of the radio signal output by the transmission device is smaller as the distance away from the transmission device, so that the robot cleaner does not want to leave the first detail cleaning zone, or cleaning is not required When it is located in an overlapping area (third detail cleaning zone) with the second detail cleaning zone, the intensity of the radio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transmitting device is reduced. Therefore, the controller continuously determines that the intensity of the radio signal is smaller than the preset intensity or less than the intensity of the radio signal received immediately before. In the latter case,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radio signal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30 seconds or 1 minute), while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analyzed radio signal (for example, the strength of the radio signal and a radio signal transmitting the radio signal). Information, etc.)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variation in the strength of the radio signal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radio signal with information received thereafter.

상기 무선신호 세기 판단결과, 무선신호의 세기가 약해지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는, 청소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306).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ength of the radio signal is not weaken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trength of the radio signal, the controller continuously performs the cleaning function (306).

그러나, 무선신호의 세기가 작아진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로봇 청소기의 진행 방향을 수정함으로써, 로봇 청소기가 제1세부청소구역에 머물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316). 그러나, 기 설정된 송신장치인 제1송신장치(21)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의 세기가 작아진다고 하여, 로봇 청소기의 진행 경로가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즉, 로봇 청소기가 제1세부청소구역 내에서, 제1송신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청소가 진행된다고 하여 로봇 청소기의 경로가 수정된다면, 제1세부청소구역의 외곽 부분은 청소가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가 제1송신장치에서 송신된 무선신호가 약해지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한편, 제2송신장치에서 송신된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를 제1세부청소구역 이탈로 판단하여 로봇 청소기의 진행 방향을 수정하도록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1에서 로봇 청소기가 제1세부청소구역의 상단측, 좌 측 또는 하단측으로 이동해 가는 경우는 제1세부청소구역에 대한 정상적인 청소 진행으로 보고 로봇 청소기의 진행 방향을 인위적으로 수정하지는 않지만, 제1세부청소구역의 우측, 특히 제3세부청소구역에 진입한 경우에는, 로봇 청소기의 진행 방향을 인위적으로 수정함으로써, 로봇 청소기가 제2세부청소구역으로 진입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제3세부청소구역에 대한 청소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음으로, 제어부는, 제1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무선신호와, 제2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무선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제2무선신호가 제1무선신호에 비하여 기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크지 않은 경우에는, 로봇 청소기의 진행 방향을 극단적으로(예를 들어 180°) 변경하지 않음으로써, 제3세부청소구역에 대하여도 청소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직전에 수신되었던 제1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제2무선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세기 이상으로 커지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는 일반적인 랜덤 방식에 의해 로봇 청소기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며, 직전에 수신되었던 제1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제2무선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세기 이상으로 커진 경우에는, 제어부는 로봇 청소기의 진행 방향을 90°~ 270°사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로봇 청소기가 제2세부청소구역으로 진입하지 않도록 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ength of the radio signal is small, the controller modifi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bot cleaner proceeds, thereby allowing the robot cleaner to perform cleaning while staying in the first detail cleaning zone (316). However, when the strength of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device 21, which is a preset transmission device, becomes small, the progress path of the robot cleaner does not change. That is, if the path of the robot cleaner is modified by cleaning the robot clean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transmitting device in the first detail cleaning zone, the outer portion of the first detail cleaning zone cannot be clean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where the robot cleaner proceed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device is weakened, and proceeds in a direction in which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is received. Judging by the departure, the robot cleaner to modify the direction of progress.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bot cleaner moves to the upper side, the left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etail cleaning zone, the robot cleaner sees the normal cleaning progress for the first detail cleaning zone and artificially determin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Although not corrected, the robot cleaner may not enter the second detail cleaning zone by artificially modify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when entering the right side of the first detail cleaning zone, particularly the third detail cleaning zone. .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cleaning for the third detail cleaning area may not be performed at all,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device and the second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By comparing the magnitudes, when the second wireless signal is not larger than a predetermined range compared to the first wireless signal, the third cleaner is not changed by chang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extremely (for example, 180 °). Cleaning can also be carried out for the area.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wireless signal received immediately before or the intensity of the second wireless signal does not increase beyond the preset intensit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by a general random method When the first wireless signal received immediately before is not received, or when the intensity of the second wireless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intensity, the controller rotat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between 90 ° and 270 °, thereby providing a robot cleaner. Do not enter the second detail cleaning area.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세부청소구역만을 청소하도록 할 수 있다.By the above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w the robot cleaner to clean only the detailed cleaning area set by the user.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청소메뉴에 설정되어 있는 청소시간을 함께 고려하여 청소를 진행할 수 있다. 즉, 특정 시간대에는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 도록 설정되어 있는 제2세부청소구역일지라도, 제어부는 상기 특정 시간대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경과된 경우에는 로봇 청소기가 제2세부청소구역으로 진입하도록 하여 청소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ceed with the cleaning in consideration of the cleaning time set in the cleaning menu as described above. That is, even in the second detail cleaning zone that is set not to be cleaned at a specific time zon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pecific time zone has elapsed, and if so, the robot cleaner enters the second detail cleaning zone to perform cleaning. It can also be don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이 송신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세부청소구역에 대하여만 청소가 진행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또 다른 방법에 의하여 , 특정 세부청소구역만이 청소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leaning to be performed only for the specific sub-cleaning area by using the transmitt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w only the specific sub-cleaning area to be cleaned by another method.

예를 들어, 냄새센서가 장착된 로봇 청소기에 대하여, 사용자가 냄새에 따라 청소진행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제어부는, 일정량 이상의 냄새가 측정된 경우에는, 로봇 청소기가 냄새가 측정된 방향으로 진입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로봇 청소기를 동작시킨 후, 부엌에서 사용자가 조리중일 경우는, 로봇 청소기의 진입에 의해 사용자가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냄새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로봇 청소기인 경우, 본 발명은 냄새의 측정 여부에 따라 로봇 청소기의 진행 방향을 수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the robot cleaner equipped with an odor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o proceed with cleaning according to the smell, the control unit, when a certain amount or more of the smell is measured, the robot cleaner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mell is measured You can prevent it from entering. That is, after operating the robot cleaner, when the user is cooking in the kitchen, the user may be disturbed by the entry of the robot cleaner. Therefore, in the case of a robot cleaner equipped with an odor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may modify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whether the smell is measured.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로봇 청소기와 송신장치로 구성된 청소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leaning system composed of a robot cleaner and a transmission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로봇 청소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robot clean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Figure 3 is a flow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a robot clean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 : 로봇 청소기 21, 22 : 송신장치10: robot cleaner 21, 22: transmitter

30 : 청소구역30: cleaning area

Claims (4)

로봇 청소기에 적용되는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robot cleaner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robot cleaner, 제1세부청소구역에 대한 청소 시작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로봇 청소기의 제어부가 상기 로봇 청소기의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제1세부청소구역에 대한 청소를 수행하도록 하는 청소수행단계;A cleaning step of controlling, by the controller of the robot cleaner, the driving unit of the robot cleaner to perform the cleaning of the first detail cleaning zone when the cleaning start information on the first detail cleaning zone is received; 상기 청소수행 중 상기 제1세부청소구역에 구비된 제1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무선신호의 세기가 약해지고, 상기 청소구역 내의 제2세부청소구역에 구비된 제2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제2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는 무선신호 세기 판단단계;During the cleaning, the intensity of the first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in the first detail cleaning zone is weakened, and the second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in the second detail cleaning zone in the cleaning zone.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whether a radio signal is received or not; 상기 무선신호 세기 판단결과, 상기 제1무선신호 세기가 약해지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2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청소수행단계를 지속하는 지속단계; 및A continuous step of continuing, by the control unit, the cleaning step when the first wireless signal strength is not weakened or the second wireless signal is not receiv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wireless signal strength; And 상기 무선신호 세기 판단결과, 상기 제1무선신호 세기가 약해지고, 상기 제2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을 변경시키는 경로 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And a path changing step of changing, by the controller,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by driving the driving unit when the first wireless signal strength is weakened and the second wireless signal is receiv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wireless signal strength. How to control the robot clean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송신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제2세부청소구역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청소메뉴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에는, 청소가 이루어지 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는 상기 단계들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The second detail cleaning zone in which the second transmitter is mounted is set so that cleaning is not performed during the time set by the cleaning menu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step is performed during the set time. Robot cleaner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peatedly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속단계는,The sustaining step,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를 랜덤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And the controller is performed by randomly driving the driv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경로 변경 단계는,The rerouting step, 상기 제어부가 서로 다른 시간대에 수신된 두 개의 제1무선신호의 세기 및 제2무선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And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by comparing the strengths of the two first wireless signals and the strengths of the second wireless signals received at different time periods, and determin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KR1020080063824A 2008-07-02 2008-07-02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KR201000038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824A KR20100003816A (en) 2008-07-02 2008-07-02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824A KR20100003816A (en) 2008-07-02 2008-07-02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816A true KR20100003816A (en) 2010-01-12

Family

ID=41813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824A KR20100003816A (en) 2008-07-02 2008-07-02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81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1339A (en) * 2011-01-05 2012-07-18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Window wiping robot position adjust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207682A (en) * 2019-07-15 2022-03-18 索尤若驱动有限及两合公司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system and an alarm gateway as a subscriber in a wireless networ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1339A (en) * 2011-01-05 2012-07-18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Window wiping robot position adjust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207682A (en) * 2019-07-15 2022-03-18 索尤若驱动有限及两合公司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system and an alarm gateway as a subscriber in a wireless network
CN114207682B (en) * 2019-07-15 2024-03-19 索尤若驱动有限及两合公司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system and an alarm gateway as subscribers in a wireless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124B1 (en) Robot cleaner system and robot cleaner control method
EP3727122B1 (en) Robot cleaner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432107B1 (en) Clean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TWI415590B (en) Method for operating an automatically displaceable domestic appliance
JP4991112B2 (en) Mobile robot call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420171B1 (en) Robot cleaner and system therewith and method of driving thereof
KR100468107B1 (en) Robot cleaner system having external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ocking with the same apparatus
AU2004201755A1 (en) Air cleaning robot and system thereof
JP2004148090A (en) Robot cleaner, and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50072300A (en) Clean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97557B1 (en) Dust measurement apparatus and robot cleaner included the apparatus
KR20190134870A (en)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80001001A (en) Robot clean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U2020210293B2 (en) Robot cleaner and robot system having the same
KR10063582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navigation of a cleaning robot
KR102122236B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JPH0561545A (en) Mobile work robot
KR20090115526A (en) Position sense method of robotic vacuum cleaner
KR20100003816A (en)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US11397437B2 (en) System with a first floor processing device and a second floor processing device as well as a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ystem
KR101487781B1 (en) Mobile robo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37200A (en) A plurality of robot cleaner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0500839B1 (en) Robot cleaner having wall following function and method for following wall
KR102016993B1 (en) Robot cleaner and apparatus for managing cleaning of robot cleaner
KR100538950B1 (en) Method for setting working area of a robot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