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658U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658U
KR20100003658U KR2020080012984U KR20080012984U KR20100003658U KR 20100003658 U KR20100003658 U KR 20100003658U KR 2020080012984 U KR2020080012984 U KR 2020080012984U KR 20080012984 U KR20080012984 U KR 20080012984U KR 20100003658 U KR20100003658 U KR 201000036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tation
handle
rotating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슈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슈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슈머
Priority to KR2020080012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658U/ko
Publication of KR201000036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6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의 실내측에 결합되며,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실내측 하우징; 실내측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도록 실내측 하우징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부와, 실내측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가지는 프레임;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삽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회전부재; 제1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1회전부재의 회전축의 주위를 회전하도록 제1회전부재에 연결되는 핸들핀; 제1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제1회전부재에 고정되는 핸들; 및 도어가 록킹 및 록킹해제되도록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도어에 설치되며, 핸들핀의 회전에 연동되어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핸들핀에 연결되는 데드볼트;를 구비한다.
도어, 도어록, 록킹(locking), 데드볼트(deadbolt), 래치볼트(latchbolt)

Description

도어록 장치 {Door lock device}
본 고안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비밀번호 입력이나 지문 인식 등의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한 후에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데드볼트를 직선이동시킴으로써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도어록 장치에 안테나가 내장되어 무선으로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할 수 있는 도어록 장치도 출시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는, 배터리 방전이나 고장 등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도어의 록킹을 수동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즉, 도어의 실외측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키뭉치를 회전시킴으로써 데드볼트를 구동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열쇠가 분실되는 경우에는 도어록 장치의 보안성을 담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열쇠에 의한 도어()의 록킹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록 장치에 대한 수요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는 도어가 열리는 방향에 따라 핸들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기가 매우 어렵게 구성되어 있었다. 즉, 도어가 좌측으로 열리는 좌수문에 맞게 설정된 도어록 장치를 도어가 우측으로 열리는 우수문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도어록 장치를 좌수문 또는 우수문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록 장치에 대한 수요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열쇠에 의한 도어의 록킹 해제를 차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핸들의 위치를 도어가 열리는 방향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의 실내측에 결합되며,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실내측 하우징; 상기 실내측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도록 상기 실내측 하우징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부와, 상기 실내측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가지는 프레임;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축의 주위를 회전하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에 연결되는 핸들핀; 상기 제1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에 고정되는 핸들; 및 상기 도어가 록킹 및 록킹해제되도록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핸들핀의 회전에 연동되어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핸들핀에 연결되는 데드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열쇠에 의한 도어의 록킹 해제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들의 위치를 도어가 열리는 방향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실외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회전부재 및 이동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실외측 유니트(100), 모티스(200) 및 실내측 유니트(300)를 구비한다.
실외측 유니트(100)는 도어(d)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실외측 하우징(110)과, 실외측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회전에 연동되어 후술하는 래치볼트를 구동하는 실외측 핸들(120)과, 실외측 핸들(120)에 결합되며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를 인증하는 키패드(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키패드(13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4개의 버튼으로 구성되며, 4개의 버튼은 방위버튼으로서 각각 E(동), W(서), S(남) 및 N(북)을 지시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키패드(130)가 종래에 사용되던 10키와 달리 4개의 방위 버튼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키패드(130)는 실외측 핸들(120)에 결합되어 실외측 핸들(120)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키패드(130)의 위치가 종래와 달리 실외측 핸들에 구비되어서, 실외측 하우징(110)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실외측 핸들(120)에는 열쇠공(141)이 형성된 키뭉치(1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모티스(200)는 도어(d)에 결합되는 케이스(210)와,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데드볼트(220) 및 래치볼트(230)를 가진다. 데드볼트(220)가 문설주(미도시)에 형성된 데드볼트 삽입공(미도시)에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도어(d)가 록킹 및 록킹해제된다. 그리고, 케이스(210)에는 데드볼트(22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미도시)이 설치된다. 구동원은 실내측 하우징에 수용되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로 구성된다. 모터의 출력축은 데드볼트(220)에 연결되어 있어서,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데드볼트(220)가 직선이동하게 된다.
실내측 유니트(300)는 실내측 하우징(10)과, 프레임(20)과, 제1회전부재(30)와, 핸들핀(40)과, 핸들(50)과, 노브부재(60)와, 제2회전부재(70)와, 키샤프트(80)와, 이동부재(90)를 구비한다.
실내측 하우징(10)은 도어(d)의 실내측에 결합된다. 실내측 하우징(10)에는 다수의 배터리(b)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부재(11)가 결합되며, 배터리 수용부재(11)에는 배터리접점부재(12,13,14)가 결합된다. 그리고, 배터리(b)는 실내측 하우징(10)의 전면으로 노출되나, 커버부재(15)의 결합시에는 노출되지 않는다. 커버부재(15)는 실내측 하우징(10)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부재(15)의 전면에는 무늬 또는 문양이 인쇄된 장식부재(16)가 부착된다.
그리고, 실내측 하우징(10)의 전면에는 관통공(101)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공(101)의 주위에는 무늬 또는 문양이 인쇄된 장식부재(17)가 결합된다. 장식부재(17)에도 실내측 하우징(10)의 관통공(101)과 동일한 크기의 관통공(171)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내측 하우징(10)의 상측에는 버튼(18)이 결합된다. 버튼(18) 및 배터리접점부재(12,13,14)는 도어록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다수의 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9)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19)은 실내측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막도록 설치된다.
프레임(20)은 삽입부(21) 및 고정부(22)를 가진다. 삽입부(21)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통공(101)에 삽입된다. 그리고, 삽입부(21)는 실내측 하우징(10)의 전면에 대해 돌출된다. 고정부(22)는 삽입부(21)의 단부와 연결되며, 실내측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부(22)는 실내측 하우징(1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프레임(20)은 실내측 하우징(10)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다.
제1회전부재(30)는 프레임의 삽입부(2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의 삽입부(21)에 삽입되는 삽입부(31)와, 삽입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플랜지부(32)를 가진다. 삽입부(31)에는 한 쌍의 암나사공(311)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도 2에는 하나의 암나사공(311)만이 도시되어 있다. 한 쌍의 암나사공(311)은 각 암나사공의 중심축선이 제1회전부재(30)의 회전중심축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부(32)에는 제1돌기(321) 및 제2돌기(322)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돌기(321) 및 제2돌기(322)는 각각 삽입부(31)의 형성방향으로 및 삽입부(31)의 형성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형성있다. 또한, 제1회전부재(30)는 스프링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원위치로 항상 복귀하게 된다. 여 기서 스프링부재(33)의 일단부는 플랜지부의 제1돌기(321)에 고정되며, 스프링부재(33)의 타단부는 프레임(2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핸들핀(40)은 플랜지부의 제2돌기(322)에 삽입되어 제1회전부재(3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한다. 특히, 핸들핀(40)은 제1회전부재(30)의 회전축 주위를 회전, 즉 공전하게 된다. 핸들핀(40)은 앞서 설명한 데드볼트(220)에 연결되어 데드볼트(220)를 직선 구동한다.
핸들(50)은 제1핸들부재(51), 제1핸들부재(51)에 볼트 결합되는 제2핸들부재(52) 및 무늬 또는 문양이 인쇄되며 제2핸들부재(52)에 부착되는 장식부재(53)를 포함한다. 제1핸들부재(51)에도 제1회전부재의 암나사공(31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암나사공(511)이 하나 형성된다. 제1핸들부재(51) 및 제1회전부재(30)는 각 부재의 암나사공(311,511)에 볼트를 결합함으로써 서로 고정된다. 따라서, 핸들(50)은 제1회전부재(3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핸들(50)의 회전 위치를 도 2에 도시된 위치의 반대방향으로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는 암나사공(311,511)에 결합된 볼트를 풀고 핸들(50)을 180도 회전시킨 후에 다시 볼트를 결합하기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좌수문 또는 우수문에 맞춰 세팅된 핸들(50)을 우수문 또는 좌수문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단순히 볼트를 풀어서 핸들(50)을 회전시킨 후에 다시 볼트를 결합하기만 하면 되므로, 일반 소비자라도 핸들(50)의 회전 위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노브부재(60)는 제2핸들부재(52)에 삽입된다. 노브부재(60)에는 홈(61)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61)에 동전을 삽입하여 돌리면 노브부재(60)가 제2핸들부 재(52)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또한, 노브부재(60)에는 돌출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제2회전부재(70)는 프레임의 삽입부(21)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회전부재(70)의 선단부는 제1핸들부재(51)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2회전부재(70)의 내측면에는 노브부재의 돌출부(62)가 삽입되며, 이에 따라 제2회전부재(70)는 노브부재(60)의 회전시 노브부재(60)와 함께 회전한다.
키샤프트(80)는 실내측 하우징(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키샤프트(80)는 키뭉치(14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키뭉치(14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키샤프트(80)의 회전에 연동되어 데드볼트(220)가 직선 구동된다. 여기서, 키샤프트(80) 및 키뭉치(140) 그리고 키샤프트(80) 및 데드볼트(220)의 연동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키샤프트(80)에는 홈부(81)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재(90)는 제2회전부재(70)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2회전부재(70)의 회전중심축에 수직인 평면 상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제2회전부재(70)에 연결된다. 이동부재(90) 및 제2회전부재(70) 간의 연동구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65516호에 개시된 구조와 유사하다. 즉, 이동부재(90)에는 제2회전부재(70)에 형성된 가압돌기(71)가 삽입되는 삽입구멍(91)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돌기(71)는 제2회전부재(70)의 회전축에 대해 편심지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회전부재(70)의 회전시에 삽입구멍(91)의 내측면은 제2회전부재의 가압돌기(71)에 의해 가압되며 이에 따라 이동부재(90)는 직선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부재(90)는 제2회전부재(70)의 회전 정도에 따라서 걸림위치, 걸림해제위치 및 상시개방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하다.
걸림위치에서는 키샤프트의 홈부(81)에 이동부재(90)에 형성된 걸림돌기(미도시)가 삽입되므로, 열쇠공(141)에 열쇠를 넣고 키뭉치(140)를 회전시키더라도 키샤프트(80)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도어(d)의 실외측에서 수동으로 도어(d)를 록킹해제할 수 없게 된다.
걸림해제위치에서는 키샤프트의 홈부(81)에 이동부재의 걸림돌기가 삽입되지 않아 키샤프트(80) 및 이동부재(90) 간의 걸림이 해제되므로, 도어의 실외측에서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d)를 수동으로 록킹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상시개방위치에서도 키샤프트(80) 및 이동부재(90) 간의 걸림이 해제된다. 그리고, 상시개방위치는 인쇄회로기판(19)에 실장된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되며, 센서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하여 모터를 작동시켜 도어(d)를 록킹해제한다. 또한, 도어(d)를 닫더라도 항상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어 도어 출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동잠금수단이 작동하지 않게 제어된다. 여기서, 자동잠금수단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도어(d)가 록킹해제되어 개방된 후에 닫히면 자동적으로 데드볼트(220)를 작동시켜 도어를 록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부재번호 95 및 96는 각각 인쇄회로기판(19)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절연부재 및 플레이트부재를 지시한다. 그리고, 부재번호 97은 플레이트부재(96) 및 도어(d)의 실내측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완충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고무부재를 지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노브부재(60)를 회전시켜 이동부재(90)를 걸림위치에 위치시키면, 도어(d)의 실외측에서는 열쇠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도어(d)를 록킹해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열쇠를 분실한 경우에 분실된 열쇠에 의해 도어록 장치가 해킹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도어록 장치의 보안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부재(90)를 상시개방위치에 위치시키면, 도어(d)가 항상 개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도어(d)를 출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50)의 회전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볼트를 풀어서 핸들(50)을 회전시킨 후에 다시 볼트를 결합하기만 하면 되므로, 일반 소비자라도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핸들(50)의 회전 위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실외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회전부재 및 이동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도어 10...실내측 하우징
20...프레임 21,31...삽입부
22...고정부 30...제1회전부재
32...플랜지부 33...스프링부재
40...핸들핀 50...핸들
60...노브부재 70...제2회전부재
80...키샤프트 81...홈부
90...이동부재 91...삽입구멍
95...절연부재 96...플레이트부재
97...고무부재 100...실외측 유니트
110...실외측 하우징 120...실외측 핸들
130...키패드 140...키뭉치
200...모티스 210...케이스
220...데드볼트 230...래치볼트

Claims (2)

  1. 도어의 실내측에 결합되며,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실내측 하우징;
    상기 실내측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도록 상기 실내측 하우징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부와, 상기 실내측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가지는 프레임;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축의 주위를 회전하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에 연결되는 핸들핀;
    상기 제1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에 고정되는 핸들; 및
    상기 도어가 록킹 및 록킹해제되도록 상기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핸들핀의 회전에 연동되어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핸들핀에 연결되는 데드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부재;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노브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노브부재에 연결되는 제2회전부재;
    상기 실내측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한 키샤프트; 및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에 수직인 평면 상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키샤프트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키샤프트가 걸리는 걸림위치와, 상기 키샤프트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해제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한 이동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데드볼트는 상기 키샤프트의 회전에 연동되어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키샤프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KR2020080012984U 2008-09-27 2008-09-27 도어록 장치 KR201000036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984U KR20100003658U (ko) 2008-09-27 2008-09-27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984U KR20100003658U (ko) 2008-09-27 2008-09-27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658U true KR20100003658U (ko) 2010-04-06

Family

ID=4929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984U KR20100003658U (ko) 2008-09-27 2008-09-27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65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445B2 (en) Mortise lock status indicator
US20230332433A1 (en) Electronically Operated Lock Cylinder
KR200428164Y1 (ko) 구동모타를 내장한 도어록 모티스
KR20100003658U (ko) 도어록 장치
KR101037203B1 (ko) 개폐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0734032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20110130545A (ko)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KR200311370Y1 (ko) 전자식 도어록에 적용되는 전동 모티스 록킹 장치
KR100849524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1322308B1 (ko) 썸턴 클러치 구조체
KR100930731B1 (ko) 회전형 데드볼트 및 회전형 데드볼트를 갖는 도어 록
KR101912128B1 (ko)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갖춘 출입문 구조
KR200407877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20090071341A (ko) 도어록 장치
KR100994344B1 (ko) 도어록 장치
KR100734030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20020068641A (ko) 자동 시정형 모티스 잠금 시스템
JP2002070370A (ja) サムターン錠
JP3698806B2 (ja) 電子錠
KR100996477B1 (ko) 도어록 장치
KR200445717Y1 (ko) 목재재질의 도어용 디지털도어락
KR100813122B1 (ko) 도어록 장치
KR101965533B1 (ko) 박스형 도어락 장치
KR20030025502A (ko) 도어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