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429U - Learning and playing apparatus for infants - Google Patents

Learning and playing apparatus for inf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429U
KR20100001429U KR2020080010204U KR20080010204U KR20100001429U KR 20100001429 U KR20100001429 U KR 20100001429U KR 2020080010204 U KR2020080010204 U KR 2020080010204U KR 20080010204 U KR20080010204 U KR 20080010204U KR 20100001429 U KR20100001429 U KR 201000014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main body
data corresponding
board
learning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2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석
오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비비솔루텍
오정희
김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비비솔루텍, 오정희, 김기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비비솔루텍
Priority to KR2020080010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429U/en
Publication of KR20100001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42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the elements being slidably mounted on the suppo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는, 내부에 마이크로 컴퓨터가 설치되며 스피커가 구비된 본체부; 및 복수로 구획으로 분리된 학습대상에 각각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구비되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학습보드;를 포함하여, 상기 학습대상이 사용자에 의해 접촉될 때 그 학습대상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earning learning rides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computer is installed therein, the main body having a speaker; And a learning board having voice data corresponding to a learning objec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the learning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replaced. When the object is touched by the user, the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is output to the speaker.

Description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Learning and playing apparatus for infants}Learning and playing apparatus for infants}

본 고안은 따른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보드를 교체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효율적인 학습효과를 제공하며 다양한 학습자료의 채용이 가능한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play equipment for toddl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arning learning equipment for toddlers that provides an effective learning effect by improving the structure to replace the learning board and employing various learning materials.

일반적으로 생후 6개월 이후의 아기 즉 기어다니기 시작하는 시기부터 말을 하기 시작하는 만 3세의 유아들은 사물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시기에 놀이기구를 겸한 언어 또는 사물에 대한 학습을 시키는 것이 유아 교육에 좋은 효과를 가진다.In general, babies after six months of age, ie infants who start talking from the time they start crawling, are curious and interested in things. Therefore, at this time, learning about language or things that combines with play equipment has a good effect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일반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그림과 간단한 단어들로 구성된 유아용 교재나 그림·숫자판 등을 부모가 반복적으로 읽어주거나 인지시킴으로써 학습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한편, 간단한 그림·숫자 등을 해당소리나 멜로디가 입력된 집적회로(IC)와 연결하여 학습시키는 방법이 주종을 이루어 왔다.In general, a method of learning by reading or recognizing a child's textbook, a figure, or a number plate composed of various forms of pictures and simple words repeatedly has been used. On the other hand, the main method has been to connect a simple picture, numbers, and the like with a corresponding sound or melody input IC.

하지만, 이러한 방법이 구현된 종래의 학습용 놀이기구는 부모가 늘 곁에 있어 읽고 가르쳐 줘야 하는 번거로움과 미리 인쇄되어 고정된 그림 및 미리 입력되어 고정된 소리의 재생을 통한 한시적 호기심 유발과 한정적 습득이라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earning play equipment in which such a method is implemented has a problem that parents are always there to read and teach, and the temporary curiosity and limited acquisition through the reproduction of a pre-printed fixed picture and a pre-fixed fixed sound. There is this.

또한, 나날이 성장·발달하며 변화하는 유아의 관심대상에 따라 구입해야 하는 학습용 놀이기구의 비용과 순간순간 보이는 대로 알고자 하는 아동의 요구에 부응하여 학습시키는데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in learning in response to the cost of learning equipment that must be purchased according to the interests of infants that grow and develop day by day, and the needs of children who want to know what is seen at the moment.

따라서 성장단계의 변화에 따른 호기심과 학습에 있어서 유아의 눈에 쉽게 보이는 주위의 가장 친근한 것에서부터 적은 비용으로 지속적이고 다양하게 학습시킬 수 있는 학습용 놀이기구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n the curiosity and learn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growth sta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earning play equipment that can continuously and variously learn at a low cost from the most familiar surroundings that are easily seen by the children.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학습보드를 본체부에 대해 교체가 가능하도록 분리가능하게 구성하여 적은 비용으로 다양한 내용의 학습보드를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configure the learning board detachably replaceable to the main body to implement a learning board of various contents in a single device at a low co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learning learning rides for children.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는,Toddler learning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내부에 마이크로 컴퓨터가 설치되며 스피커가 구비된 본체부; 및A main body unit in which a microcomputer is installed and provided with a speaker; And

복수로 구획으로 분리된 학습대상에 각각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구비되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학습보드;를 포함하여,And a learning board having voice data corresponding to each learning objec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replaced.

상기 학습대상이 사용자에 의해 접촉될 때 그 학습대상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When the learning object is touched by the user, the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is output to the speaker.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학습대상에 각각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가 분리하여 입력 및 재생할 수 있는 음성인식처리부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unit preferably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processor that allows a user to separately input and reproduce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상기 음성인식처리부는 상기 본체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is preferably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상기 학습대상의 음성 데이터가 출력될 때 그 학습대상에 대응하는 영상자료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audio data of the learning object is output, the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is preferably provided.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는 학습보드를 본체부에 대해 교체가 가능하도록 분리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다양한 내용의 학습보드를 하나의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학습보드를 구성하는 학습대상에 각각 대응하는 음성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 및 재생할 수 있으므로 유아에게 친근한 부모의 음성을 채용하여 유아에게 친근하고 효율적인 교육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learning play equipment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learning board of various contents can be used in one device at a low cost by configuring the learning board so as to be replaceable for the main body.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directly input and play the voice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constituting the learning board, the voice of the parent friendly to the infant may be employed to provide an education that is friendly and efficient for the infant.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에서 학습보드와 본체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oddler learning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learning board and the main body in the learning play equipment for children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10)는 본체부(20)와, 학습보드(30)와, 음성인식처리부(40)와,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하고 있다.1 and 2, the toddler learning play equipmen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20, the learning board 30,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40, the display unit It contains 50.

상기 본체부(20)는 후술하는 학습보드(30)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학습보드(30)의 일측면을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윈도우(2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윈도우(24)에는 유연성을 가는 투명한 소재의 비닐 또는 아크릴과 같은 보호막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의 내부에는 마이크 로 컴퓨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공지된 종래의 컴퓨터와 유사한 구조로서 입출력장치, 기억장치,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체부(20)에는 스피커(22)와 디스플레이부(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피커(22)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입출력장치에 연결되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입출력장치에 연결되어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공지의 장치를 채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main body 20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earning board 30 to be described later, and has a window 24 opened to visually expose one side of the learning board 30 to the outside. . The window 24 may be provided with a protective film such as vinyl or acrylic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 microcomputer (not shown)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20. The microcomputer has a structure similar to a known conventional computer and includes an input / output device, a memory device, and a control device. The main body 20 includes a speaker 22 and a display 50. The speaker 22 is a device connected to an input / output device of the microcomputer to output voice data. The display unit 50 is connected to an input / output device of the microcomputer to output image data. The display unit 50 may be implemented by employing a known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상기 학습보드(30)는 상기 본체부(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학습보드(30)는 전기적으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기계적으로 상기 본체부(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학습보드(30)는 복수의 구획으로 분리된 학습대상(3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학습대상(32)은 글자, 그림, 입체적 형상 등과 같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학습보드(30)는 상기 학습대상(32)에 각각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장치(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학습보드(30)의 일측면에는 상기 학습대상(32)이 시각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학습대상(32)은 상기 본체부(20)에 마련된 윈도우(24)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부(20)에 결합되어 있다. 본 고안의 핵심적인 구조로서 상기 학습보드(30)가 상기 본체부(20)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상기 학습보드(30)는 교체가 가능하다.The learning board 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20. More specifically, the learning board 30 is electrically detachably coupled to the microcomputer and mechanically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20. The learning board 30 includes a learning object 32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The learning object 32 may be employed as a letter, a picture, a three-dimensional shape. The learning board 30 includes a memory device (not shown) in which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32 is stored. One side of the learning board 30 is provided so that the learning object 32 is visually exposed to the outside. The learning object 32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window 24 provided in the main body 20. As a co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board 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20. Therefore, the learning board 30 can be replaced.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40)는 상기 본체부(2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음성인 식 처리부(40)는 상기 학습보드(30)에 구비된 각각의 학습대상(32)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40)의 특정한 버튼(미도시)을 누른 다음 상기 학습보드(30)의 임의의 학습대상(32)을 터치한 상태에서 녹음을 하고 그 학습대상(32)을 다시 한번 눌러주면 그 학습대상(32)에 대한 음성 데이터가 그 학습대상(32)에 대응하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저장된 음성 데이터는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40)에 의해 상기 스피커(22)를 통해 다시 외부로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40)는 상기 본체부(20)와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40)는 별도의 장치로 구성하여 상기 학습보드(30)와 결합한 상태에서 그 학습보드(30)에 마련된 복수의 학습대상(32)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입력한 다음에 상기 학습보드(30)와 상기 본체부(2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학습보드(30)의 각각의 학습대상(32)을 사용자가 터치하거나 누르면 그 학습대상(32)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상기 스피커(22)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학습대상(32)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그 영상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학습대상(32)을 터치하거나 누를 경우에 상기 스피커(22)나 상기 디스플레이부(50)로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공지의 전자공학기술로 실현가능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4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unit 20. The speech recognition processor 40 is provided to allow a user to directly input voice data corresponding to each learning object 32 provided in the learning board 30. For example, after pressing a specific button (not shown) of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40, the recording is made while touching any learning object 32 of the learning board 30 and pressing the learning object 32 again. In other words, voice data of the learning object 32 is stored in the memor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32. The voice data sto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output again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22 by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or 40.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4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with the main body unit 20. For example,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or 40 is configured as a separate device and inputs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earning objects 32 provided on the learning board 30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learning board 30. The learning board 30 and the main body 20 can be used in combination. When the user touches or presses each learning object 32 of the learning board 30,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32 is output to the speaker 22. In addition, when there i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32, the image data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50. As described above, when audio or image data is output to the speaker 22 or the display unit 50 when the learning object 32 is touched or pressed,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realized by a known electronic technology. Will be omitted.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10)의 작용을 상기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10)을 이용하여 유아의 학습과정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oddler learning play equipment 10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aking the learning process of the toddler as an example using the toddler learning play equipment 10.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와 상기 학습보드(30)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고 전제한다. 상기 학습보드(30)에 구비된 여러 학습대상(32)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그 학습대상(32)에 대응하는 음성 및 영상 데이터가 상기 학습보드(30)로부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전송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그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22)로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50)로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사용자가 다른 학습대상(32)을 누를 경우에는 동일한 절차에 의해 그 학습대상(32)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유아는 자기가 원하는 학습대상(32)을 누름으로써 그 학습대상(32)에 대응하는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듣거나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반복적인 학습에 의해 유아가 그 학습보드(30)에 싫증을 느끼게 되면 부모와 같은 그 유아의 보호자는, 상기 본체부(20)의 전원을 끈 다음에 상기 학습보드(3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상기 본체부(20)와 분리한다. 그런 연후에 새로운 학습보드(30)를 상기 본체부(20)에 결합한 후 그 본체부(20)에 마련된 전원을 켠다. 이와 같이 새로운 학습보드(30)를 교체함으로써 유아는 새로운 내용물이 포함된 학습보드(30)로 새로운 호기심과 재미를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10)는 하나의 본체부(20)에 다양한 내용의 학습보드(30)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경제적인 면에서 종래의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학습내용의 측면에서 사용자는 보다 다양하고 풍부한 내용을 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2차적인 효과로서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40)와 상기 학습보드(30)의 결합에 의해 부모가 원하는 내용의 음성 데이터를 직접 그 학습보드(30)에 마련된 메모리 장치에 입력할 수 있으며, 그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유아는 엄마 또는 아빠와 같이 항상 같이 생활하는 보호자의 목소리에 친근하므로 부모의 목소리가 학습대상(32)으로부터 출력되는 경우에 더욱 큰 학습효과가 있다. 즉 아빠 또는 엄마의 목소리를 녹음하여 유아가 그 목소리를 들음으로써 부모와 친밀한 교감을 나눌 수 있다. 그 결과 성장하는 영유아의 발달과정에서 그 영유아가 거부감 없이 본 고안의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에 접근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it is assumed that the main body 20 and the learning board 30 are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upled to each other.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objects 32 included in the learning board 30 is pressed, voice a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32 is transmitted from the learning board 30 to the microcomputer. The microcomputer processes the data to output audio data to the speaker 22 and to output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50. When the user presses another learning object 32,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32 is output by the same procedure. In this way, the infant can hear or view the audio a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32 by pressing the learning object 32 desired by the child. When the infant feels tired of the learning board 30 by repetitive learning as described above, the child's guardian, such as a parent, turns off the main body 20 and then turns the learning board 30 into FIG. 2. I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0 as shown in. After that, the new learning board 3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0, and then the power provided in the main body 20 is turned on. By replacing the new learning board 30 as described above, the infant will feel new curiosity and fun with the learning board 30 containing the new contents. As described above, the infant learning play equipmen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learning board 30 having various contents in one main body 2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conventional children learning play equipment in economical terms. It is cheaper than that. In addition, in terms of learning content, the user is able to access more diverse and rich contents. In addition, as a secondary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or 40 and the learning board 30, voice data of a desired content can be directly input to a memory device provided in the learning board 30. And it is effective to output the input voice data. In general, infants are familiar with the voices of guardians who always live together, such as mothers or dads, and thus have a greater learning effect when the parents' voices are output from the learning object 32. In other words, the voice of the father or mother can be recorded, and the infant can listen to the voice to communicate with the parents. As a result, in the process of growing infants, the infants have an effect of approaching the infant learning play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bjection.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학습대상에 각각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가 분리하여 입력 및 재생할 수 있는 음성인식처리부를 포함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음성인식처리부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교체 가능하게 마련된 상기 학습보드를 상기 본체부에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학습대상을 유아에게 학습시킬 수 있는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described as including a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that can be input and reproduced separately by the user to separate the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but is provided as a replaceable even if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is not provided By coupling the learning board to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learn a variety of learning objects to the infant.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성인식처리부는 상기 본체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음성인식처리부는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결합할 수도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has been described a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but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학습대상의 음성 데이터가 출력될 때 그 학습대상에 대응하는 영상자료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도 음성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달성될 수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udio data of the learning object is output, it is described as having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even if the display unit is not provided the voice data to the speak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outputting.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viou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oddler learning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에서 학습보드와 본체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learning board and the main body in the learning play equipment for children shown in FIG. 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유아용 학습 놀이기구 20...본체부10.Learning rides for toddlers 20.

22...스피커 24...윈도우22 Speaker 24 Windows

30...학습보드 32...학습대상30.Learning board 32 ... Learning target

40..음성인식 처리부 50...디스플레이부 40..Voice Recognition Processor 50.Display Unit

Claims (4)

내부에 마이크로 컴퓨터가 설치되며 스피커가 구비된 본체부; 및A main body unit in which a microcomputer is installed and provided with a speaker; And 복수로 구획으로 분리된 학습대상에 각각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구비되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학습보드;를 포함하여,And a learning board having voice data corresponding to each learning objec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replaced. 상기 학습대상이 사용자에 의해 접촉될 때 그 학습대상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When the learning object is touched by the user,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is output to the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ant learning play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학습대상에 각각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가 분리하여 입력 및 재생할 수 있는 음성인식처리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And a main body unit comprising a voice recognition processor that allows a user to separately input and reproduce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음성인식처리부는 상기 본체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The speech recognition processing unit learning learning rides for children,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학습대상의 음성 데이터가 출력될 때 그 학습대상에 대응하는 영상자료 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학습 놀이기구.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when the audio data of the learning object is output.
KR2020080010204U 2008-07-30 2008-07-30 Learning and playing apparatus for infants KR2010000142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204U KR20100001429U (en) 2008-07-30 2008-07-30 Learning and playing apparatus for inf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204U KR20100001429U (en) 2008-07-30 2008-07-30 Learning and playing apparatus for infa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429U true KR20100001429U (en) 2010-02-09

Family

ID=44197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204U KR20100001429U (en) 2008-07-30 2008-07-30 Learning and playing apparatus for inf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429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5959A (en) * 2015-08-25 2017-03-08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A kind of extension pi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5959A (en) * 2015-08-25 2017-03-08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A kind of extension pi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vato et al. Young children learning from touch screens: taking a wider view
US6641401B2 (en) Interactive apparatus with templates
US6146146A (en) Learning device for children
JP2003208082A (en) Document interpreting system
Khoo et al. iPads and opportunities for teaching and learning for young children
Keumala et al. The impacts of gadget and internet on the implementation of character education on early childhood
Ilari Twenty-first-century parenting, electronic media, an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JP2008122482A (en) Language learning card and language learning system
US20030129572A1 (en) Learning center
CN203300063U (en) Story machine
Slutsky et al. Playing with Technology: Is It All Bad?.
KR200425379Y1 (en) Learning apparatus for a preschool education
KR20100001429U (en) Learning and playing apparatus for infants
CN201465327U (en) Multimedia teaching machine for infants
US20180165986A1 (en) Real Time Phonetic Learning System
EP1415291A1 (en) Interactive apparatus using print media
KR20180003496U (en) Picturebook apparatus
CN205194115U (en) Be used for early drawing machine of teaching
KR20140049102A (en) The sound book providing system using smartifact and the sound book
CN204390616U (en) Mark label and children cognition learning system
CN215117866U (en) Children intelligence training equipment
US11132912B1 (en) Electronic educational device
KR0141357B1 (en) Educational album for toddlers
KR200184044Y1 (en) Educational aid for children
RU2721344C1 (en) Interactive book and electronic substrate for interactive b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