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336A - 컨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336A
KR20100000336A KR1020080059791A KR20080059791A KR20100000336A KR 20100000336 A KR20100000336 A KR 20100000336A KR 1020080059791 A KR1020080059791 A KR 1020080059791A KR 20080059791 A KR20080059791 A KR 20080059791A KR 20100000336 A KR20100000336 A KR 20100000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state
change
vi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준
김보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9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336A/ko
Priority to US12/391,791 priority patent/US9210366B2/en
Publication of KR20100000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336A/ko
Priority to US14/942,463 priority patent/US956417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원격 사용자간에 콘텐츠를 동시에 감상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콘텐츠 감상 경험을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시 콘텐츠를 감상한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를 검지하는 과정, 검지된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상태 변화 이력을 표시하는 과정,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중에서 사용자의 상태 변화 지점이 선택되면 그 사용자 상태 변화 시점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media contents}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컨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하고 재생함으로써 원격 사용자간에 콘텐츠를 동시에 감상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 라인 서비스 또는 콘텐츠 재생 장치가 일반화되고 있다.
종래의 온 라인 서비스 또는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콘텐츠를 감상하는 듯한 경험을 얻기 위해서는 화상 채팅을 이용한다.
즉, 종래 온 라인 서비스 또는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 화상 채팅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감상하는 다른 사용자의 상태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콘텐츠를 감상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컨텐츠의 동시 감상 방법은 원격 사용자간에 같은 시간에 콘텐츠 재생 기기를 사용하고 동시에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컨텐츠 재생 화면과 사용자 감상 경험이 함께 표시되는 화면을 이용하여 원격 사용자간에 콘텐츠를 동시에 감상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중 콘텐츠를 감상한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를 검지하는 과정;
상기 검지된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상태 변화 이력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중에서 사용자의 상태 변화 지점이 선택되면 그 사용자 상태 변화 시점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시 사용자 감상 경험 수집을 위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상 모습을 기록하는 과정;
상기 기록된 사용자의 감상 모습에서 사용자 상태 변화를 체크하여 상기 사 용자 상태의 변화가 일어난 시간과 그 사용자 상태를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텐츠 감상 경험을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시 콘텐츠를 감상한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를 검지하는 과정;
상기 검지된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상태 변화 지점마다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상태 변화 지점의 인디케이터마다 사용자 감상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시 콘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 감상 과정을 수집하는 사용자 감상 입력부;
재생중인 콘텐츠와 사용자 감상 기록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사용자 감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감상 정보로부터 사용자 상태의 변화가 발생된 시간과 그 사용자 상태를 기록하고, 콘텐츠 재생시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에서 사용자의 상태 변화 지점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사용자 상태 변화의 시점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초월하여 콘텐츠를 여러 사람이 동시에 감상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감정 정보에 따라 콘텐츠를 재 분류하고, 그 감정 정보에 따라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는 키 입력부(110), 사용자 감상 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로 구성된다.
키 입력부(110)는 키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등으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숫자/문자 입력 키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능 키등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키 입력부(110)는 미리 정해진 키를 이용하여 표시부(130)에서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 정보 및 아이콘들을 선택한다.
사용자 감상 입력부(120)는 콘텐츠 재생시 사용자 감상 경험을 수집한다. 즉, 사용자 감상 입력부(120)는 영상 입력부(122), 음성 입력부(124), 텍스트 입력부(126)로 구분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122)는 콘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의 화상 정보를 카메라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사용자의 화상 정보를 제어부(150)로 입력한다. 그리고 음성 입력부(124)는 콘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마이크로 수신하고, 그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제어부(150)로 입력한다. 그리고 텍스트 입력부(126)는 콘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의 텍스트 정보를 제어부(150)로 입력한다.
표시부(130)는 CRT(Cathode-Ray Tube)나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부(150)에서 발생하는 각종 문자나 저장부(140)에 저장된 콘텐츠를 영상 신호로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130)는 제어부(150)에서 생성되는 사용자의 감상 기록 정보중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을 표시한다.
저장부(140)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등으로 이루어지며,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이나 제어부(150)에서 생성되는 사용자의 감상 기록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150)는 콘텐츠 재생시 사용자 감상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음성, 텍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상 모습을 저장부(140)에 기록하고, 그 기록된 사용자의 감상 모습에서 사용자 상태 변화를 체크하여, 사용자 상태의 변화가 일어난 시간과 그 사용자 상태를 저장부(140)에 기록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콘텐츠 재생시 컨텐츠와 별개로 저장 공간에 기록된 사용자의 상태 변화에 대한 기록 정보를 검출하고, 검지된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상태 변화 이력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중에서 사용자의 상태 변화 지점을 선택할 때마다 사용자 상태 변화 시점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한다(210 과정).
이어서, 컨텐츠 재생중 카메라나 마이크등과 같은 사용자 감상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 상태를 관찰한다. 이때 카메라 또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및 음성 및 텍스트등으로 사용자의 콘텐츠 감상 과정을 기록한다(220 과정).
이어서, 콘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의 표정이나 음성 또는 맥박과 같은 사용자 상태를 측정한다(230 과정). 이때 사용자 상태를 측정하는 기술은 여러 가지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웃음, 슬픔, 놀람, 실망을 나타내는 표정에 연관된 복수개의 표정 템플릿이 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된다. 그리고 콘텐츠 재생중에 콘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의 표정 정보를 미리 저장된 표정 템플릿과 비교해가면서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의 상태는 뇌파 또는 맥박 수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이어서, 사용자 상태를 웃음, 슬픔, 놀람, 실망과 같은 표정들로 분류하고, 그 분류된 사용자 표정들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자 상태 변화를 체크한다(240 과정).
이어서, 사용자 상태 변화가 체크되면 사용자 상태의 변화가 일어난 시간과 그 사용자 상태를 기록한다(250 과정). 예를 들면, 콘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가 놀라는 표정에 해당하는 사용자 상태 변화를 체크하면 그 사용자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시작 및 종료 시간과, 사용자의 ID,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해당 콘텐츠와 동기 화하여 기록한다. 이때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화상 또는 음성 또는 텍스트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상태의 변화가 일어난 시간과 그 사용자 상태 정보를 해당 컨텐츠와 결합한다. 즉, 사용자 상태의 변화가 일어난 시간과 그 사용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감상 경험에 대한 메타 데이터로 생성하고, 그 메타 데이터를 콘텐츠와 결합한다.
그러나 사용자 상태 변화가 체크되지 않으면 콘텐츠 재생을 완료하였는가를 체크한다(260).
이때 콘텐츠 재생을 완료하였으면 사용자 감상 기록을 종료하고, 콘텐츠 재생을 완료하지 않았으면 다시 사용자의 콘텐츠 감상 과정을 기록하는 단계(220)로 돌아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감상 경험을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사용자 감상 기록 정보를 재생한다(310 과정). 이때 사용자 감상 기록 정보는 콘텐츠에 동기화 되어 재생된다. 여기서 사용자 감상 기록 정보는 사용자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시작 및 종료 시간과, 사용자의 ID, 사용자의 상태 정보와 같은 사용자 상태 변화에 대한 기록 정보를 나타낸다.
이어서, 콘텐츠 재생시 메터 데이터 형태의 사용자 감상 기록 정보를 참조하여 콘텐츠를 감상한 사용자 상태 변화에 대한 기록 정보를 검출한다(315 과정).
이어서, 검출된 사용자 상태 변화에 대한 기록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상태 변화 이력을 재생 바에 표시한다(320 과정).
이때 사용자 상태 변화 이력은 전체 컨텐츠 재생 동안의 사용자 상태 변화 시간, 사용자 ID, 사용자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콘텐츠 재생을 시작하면 사용자 감상 기록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콘텐츠 재생 지점의 인디케이터와 함께 사용자 상태 변화 지점의 인디케이터를 재생 바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상태 변화가 감지된 재생 지점마다 사용자의 아이디 및 사용자 표정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Icon)을 표시한다.
이어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한다(330 과정).
이어서,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면 재생 바에 표시된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는가를 체크한다(340 과정).
이어서, 아이콘이 선택되면 현재 콘텐츠 재생 시점에서 선택된 아이콘이 가리키는 콘텐츠 재생 시점으로 이동하여(350 과정) 그 재생 시점의 콘텐츠 재생을 수행한다(370 과정).
그러나 아이콘이 선택되지 않으면 현재의 콘텐츠를 계속하여 재생한다(370 과정).
이어서, 콘텐츠 재생을 완료하였는가를 체크한다(380 과정).
이때 콘텐츠 재생을 완료하였으면 멀티미디어 재생을 종료하고, 콘텐츠 재생을 완료하지 않았으면 다시 사용자 입력 검출 단계(330 과정)로 돌아간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 상태 정보가 포함된 콘텐츠들은 정렬, 스킵등과 같은 다양한 네비게이션 알고리듬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특정 상태 변화에 해당하는 콘텐츠만을 재생하기를 원하면 사용자의 특정 상태 변화 정보들이 선별적으로 선택된다. 이어서, 사용자의 감상 기록 정보중 선택된 사용자의 특정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아이콘만을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된 아이콘에 해당되는 콘텐츠만을 선별적으로 재생하거나 스킵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을 나타내는 아이콘은 사용자 상태 변화가 있는 시점의 전, 후에 임시로 표시되고 일정 시간 후 숨겨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감상 경험 정보와 콘텐츠를 표시하는 재생 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콘텐츠 재생시 메터 데이터를 참조하여 콘텐츠를 감상한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상태의 변화가 일어난 시간 정보와 사용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감상 이력 정보가 재생바 에 표시된다.
콘텐츠 재생이 시작되면 재생 바에는 전체 콘텐츠중에서 현재 재생 지점의 인디케이터(430)와 함께 사용자 상태 변화 지점의 인디케이터(420, 440, 450)가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 상태 변화 지점의 인디케이터(420, 440, 450)마다 사용자 감상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들(422, 442, 452)이 표시된다. 하나의 아이콘(420)에는 사용자의 ID(424)와 사용자 감정 상태(426)를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 감정 상 태는 웃음 또는 실망과 같은 사용자 표정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 시간중 사용자 상태 변화들이 발생한 시간이 각각 5:00분 - 6:00분, 50:00분 - 55:00분, 1:10:00 - 1:11:00 라고 하자. 그러면 콘텐츠 재생시 사용자 상태 변화 시간에 해당하는 사용자 상태 변화 지점의 인디케이터들(420, 440, 450)에 각각 사용자의 ID와 사용자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들(422, 442, 452)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아이콘들(422, 442, 452)에 표시된 사용자 표정 정보를 보면서 자신이 원하는 장면을 선별할 수 있거나 원하지 않는 장면을 스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생 바에서 아이콘(422)이 선택되면 사용자 상태 변화가 발생한 시간 5:00분 - 6:00 에 기록된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기의 사용자는 코믹 프로그램을 보면서 친구가 보고 웃은 장면만 선별하여 시청할 수 있으며, 또한 공포 영화를 시청시 친구의 감상 기록 정보를 참조하여 잔인하고 놀라게 하는 장면을 스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감상 경험 정보와 콘텐츠를 함께 재생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디스플레이 장치(510), 제2디스플레이 장치(520), 콘텐츠 처리 장치(530)는 서로 유선/무선으로 연결된다.
콘텐츠 처리 장치(530)에서 컨텐츠를 선택하면 제1디스플레이 장치(510)에 콘텐츠가 출력된다. 이때 콘텐츠 재생이 시작되면 사용자 감상 이력 정보가 제2디스플레이 장치(520)에 아이콘 형태들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아이콘들 중하나를 선택하면 콘텐츠 재생 시점은 그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콘텐츠 재생 시점으로 이 동한다. 그리고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사용자 상태 정보(532)가 화상 정보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아이콘에 해당하는 콘텐츠 재생 시간이 5:00분 - 6:00분라고 하면 콘텐츠 처리 장치(530)는 전체 콘텐츠 재생 시간중 5:00분 - 6:00분에 위치한 콘텐츠를 재생한다.
또한 재생되는 콘텐츠와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들(510, 520)에 표시될 수 있고, 콘텐츠 처리 장치(53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모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감상 경험 정보와 콘텐츠를 표시하는 재생 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감상 경험 정보와 콘텐츠를 함께 재생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26)

  1. 콘텐츠 감상 경험을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중 콘텐츠를 감상한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를 검지하는 과정;
    상기 검지된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상태 변화 이력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중에서 사용자의 상태 변화 지점이 선택되면 그 사용자 상태 변화 시점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는 사용자 상태의 변화가 발생한 시간과 그 사용자 상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는 콘텐츠 재생시 콘텐츠에 연결된 메타 데이터를 참조하여 검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는 콘텐츠 재생 에 동기화하여 재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을 표시하는 과정은,
    콘텐츠 재생중 상기 사용자의 상태 변화가 감지되는 지점마다 사용자의 상태 이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재생 바에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을 표시하는 과정은,
    콘텐츠 재생중 현재 재생 지점의 인디케이터와 함께 사용자 상태 변화 지점의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상태 변화 지점의 인디케이터마다 사용자 감상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은 사용자 ID 및 사용자 감정 상태를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의 상태 변화 지점에 사용자의 아이디 및 사용자 상태를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는 화상 또는 문자 또는 음성으로 나타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는 표정 또는 뇌파 또는 맥박수로 나타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은,
    상기 사용자 상태 변화가 있는 시점의 전, 후에 임시로 표시되고 일정 시간 후 숨기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은 상기 콘텐츠 재생과 동시에 화면의 소정 부분에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콘텐츠와 상기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 정보는 동일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또는 각각 별도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과정은
    상기 사용자의 상태 변화 지점들이 선별적으로 선택되면 사용자의 감상 기록 정보중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상태 변화 지점에 해당하는 콘텐츠들이 선별적으로 재생되고, 그렇지 않은 콘텐츠들은 스킵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처리 방법.
  15. 콘텐츠 감상 경험을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시 콘텐츠를 감상한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를 검지하는 과정;
    상기 검지된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상태 변화 지점마다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상태 변화 지점의 인디케이터마다 사용자 감상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는 사용자 상태의 변화가 일어난 시간과 그 사용자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은 사용자 ID 및 사용자 감정 상태를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사용자 상태의 변화가 일어난 시 간에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19. 콘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시 사용자 감상 경험 수집을 위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상 모습을 기록하는 과정;
    상기 기록된 사용자의 감상 모습에서 사용자 상태 변화를 체크하여 콘텐츠 재생중 상기 사용자 상태의 변화가 일어난 시간과 그 사용자 상태를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감상 모습을 기록하는 과정은
    화상 또는 음성 또는 문자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을 이용해 사용자의 감상 모습을 기록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태 변화를 체크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상태를 분류하고, 그 분류된 사용자 상태에 따라 사용자 상태 변화를 체크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태 정보를 컨텐츠와 결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23.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시 콘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 감상 과정을 수집하는 사용자 감상 입력부;
    재생중인 콘텐츠와 사용자 감상 기록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사용자 감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감상 정보로부터 사용자 상태의 변화가 발생된 시간과 그 사용자 상태를 기록하고, 콘텐츠 재생시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에서 사용자의 상태 변화 지점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사용자 상태 변화의 시점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감상 입력부는
    콘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의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입력부;
    콘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입력부;
    콘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의 텍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텍스트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감상 기록 정보와 동기화된 콘텐츠를 저장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
  26. 콘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시 콘텐츠를 감상한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를 검지하는 과정;
    상기 검지된 사용자 상태 변화의 기록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상태 변화 이력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의 상태 변화 이력중에서 사용자의 상태 변화 지점이 선택되면 그 사용자 상태 변화 시점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KR1020080059791A 2008-06-24 2008-06-24 컨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방법 및 장치 KR20100000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791A KR20100000336A (ko) 2008-06-24 2008-06-24 컨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방법 및 장치
US12/391,791 US9210366B2 (en) 2008-06-24 2009-02-2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media
US14/942,463 US9564174B2 (en) 2008-06-24 2015-11-1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med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791A KR20100000336A (ko) 2008-06-24 2008-06-24 컨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367A Division KR101718896B1 (ko) 2015-03-26 2015-03-26 컨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336A true KR20100000336A (ko) 2010-01-06

Family

ID=4143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791A KR20100000336A (ko) 2008-06-24 2008-06-24 컨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210366B2 (ko)
KR (1) KR201000003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190B1 (ko) * 2014-04-01 2015-01-20 한국과학기술원 신체 반응에 의한 동영상 콘텐츠 감상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07159A (ko) * 2013-07-10 2015-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5953B2 (en) * 2008-07-18 2014-02-18 Porto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for playback positioning of distributed media co-viewers
US8191004B2 (en) * 2008-08-06 2012-05-29 Microsoft Corporation User feedback correlated to specific user interface or application features
WO2013077983A1 (en) 2011-11-01 2013-05-30 Lemi Technology, Llc Adaptive media recommend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US10638197B2 (en) * 2011-11-07 2020-04-28 Monet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gment relevance detection for digital content using multimodal correlations
US11064257B2 (en) * 2011-11-07 2021-07-13 Monet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gment relevance detection for digital content
KR20140062886A (ko) * 2012-11-15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91848B1 (ko) * 2013-01-04 2020-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853923B2 (en) * 2013-03-01 2017-12-26 Justin Bingham Capturing a content object in a messaging system
US20150098691A1 (en) * 2013-10-04 2015-04-09 Daniel Avrahami Technology for dynamically adjusting video playback speed
CN104008764A (zh) * 2014-04-30 2014-08-2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多媒体信息标记方法及相关装置
US20150331869A1 (en) * 2014-05-15 2015-11-19 Brian LaRoy Berg Method and system allowing users to easily contribute to a social composition
US10770113B2 (en) * 2016-07-22 2020-09-08 Zeality Inc. Methods and system for customizing immersive media content
US10222958B2 (en) 2016-07-22 2019-03-05 Zeality Inc. Customizing immersive media content with embedded discoverable elements
US10931676B2 (en) * 2016-09-21 2021-02-23 Fyfo Llc Conditional delivery of content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social sharing and video conference applications using facial recognition
US10798451B2 (en) * 2017-02-24 2020-10-06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reaction by a user to a media asset to which the user previously reacted at an earlier time, and recommending a second media asset to the user consumed during a range of times adjacent to the earlier time
US11200425B2 (en) 2018-09-21 2021-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key moments in multimedia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330313B2 (en) * 2019-08-02 2022-05-10 Dell Products L.P. Crowd rating media content based on micro-expressions of viewers
CN111124207B (zh) * 2019-12-23 2021-06-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多媒体文件播放方法及电子设备
KR102316822B1 (ko) * 2020-02-19 2021-10-25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영상과 관련된 사용자 반응에 기반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2688B1 (en) * 1996-02-28 2001-09-18 Advanced Neuro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neurological response to emotion-inducing stimuli
EP0935249B1 (en) * 1996-04-12 2006-05-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media optical disc storing both video titles provided with AV functions and video titles with no such functions which can instantly distinguish between such kinds of titles, and a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production method for such disc
US20020072952A1 (en) * 2000-12-07 2002-06-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sual and audible consumer reaction collection
JP2002230011A (ja) 2001-02-05 2002-08-16 Seiko Epson Corp 感情認識システム
WO2002067194A2 (en) * 2001-02-20 2002-08-29 I & A Research Inc. System for modeling and simulating emotion states
JP4701564B2 (ja) * 2001-08-31 2011-06-15 ソニー株式会社 メニュー表示装置及びメニューの表示方法
US20030236582A1 (en) * 2002-06-25 2003-12-25 Lee Zamir Selection of items based on user reactions
EP1422668B1 (en) * 2002-11-25 2017-07-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hort film generation/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4264717B2 (ja) 2003-08-13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情報の検索再生装置および方法、コンテンツの検索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感情検索装置および方法
EP1582965A1 (en) * 2004-04-01 2005-10-05 Sony Deutschland Gmbh Emotion controlled system for processing multimedia data
US7400316B2 (en) * 2004-05-28 2008-07-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modifying web page display for mobile devices
US7542814B2 (en) * 2004-06-01 2009-06-02 Craig Barr Home entertainment apparatus and method
US20050289582A1 (en) * 2004-06-24 2005-12-29 Hitachi, Ltd.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using biometrics to review a product, service, creative work or thing
WO2006028223A1 (ja) * 2004-09-10 2006-03-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情報処理端末
JP4368819B2 (ja) * 2005-03-30 2009-11-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要約再生装置及び要約再生装置の制御方法
US20060271405A1 (en) * 2005-05-27 2006-11-30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harmaceutical care of patients and documentation system therefor
JP2007041988A (ja) * 2005-08-05 2007-02-1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080357A (ja) * 2005-09-13 2007-03-29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情報再生方法、情報再生装置
KR100735556B1 (ko) * 2005-10-17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인덱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7208477A (ja) * 2006-01-31 2007-08-16 Toshiba Corp 映像再生装置、ブックマークデータのデータ構造およびブックマークデータを記憶した記憶媒体並びにブックマークデータの生成方法
JP5341523B2 (ja) * 2006-02-10 2013-11-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メタデータを生成する方法及び装置
WO2007109237A2 (en) * 2006-03-20 2007-09-27 Jesse Schell Controlling an interactive story through manipulation of simulated character mental state
ES2453373T3 (es) * 2006-04-14 2014-04-07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Procedimiento de introducción de una pluralidad de disoluciones en un canal microfluídico
KR100856407B1 (ko) * 2006-07-06 2008-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828371B1 (ko) * 2006-10-27 2008-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장치
US9154842B2 (en) * 2006-11-02 2015-10-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able video playback controls
AU2007325931A1 (en) * 2006-11-02 2008-06-05 Yale University Assessment of oocyte competence
CN101601292B (zh) * 2007-01-22 2011-11-16 索尼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JP4980737B2 (ja) * 2007-01-30 2012-07-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情報提示装置
CN101149950A (zh) * 2007-11-15 2008-03-26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实现分类播放的媒体播放器及分类播放方法
US8136140B2 (en) * 2007-11-20 2012-03-13 Dish Network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etadata utilized to filter content from a video stream using text data
US8621502B2 (en) * 2007-12-21 2013-12-31 Microsoft Corporation Obtaining user reactions to vide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159A (ko) * 2013-07-10 2015-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4190B1 (ko) * 2014-04-01 2015-01-20 한국과학기술원 신체 반응에 의한 동영상 콘텐츠 감상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17060A1 (en) 2009-12-24
US20160071545A1 (en) 2016-03-10
US9210366B2 (en) 2015-12-08
US9564174B2 (en) 201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0336A (ko) 컨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방법 및 장치
US7739584B2 (en) Electronic messaging synchronized to media presentation
CN101950578B (zh) 一种视频信息添加方法及装置
JP4216308B2 (ja) 通話装置および通話プログラム
US20210160575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facilitating interaction between viewers of a stream of content
JP5135024B2 (ja) コンテンツのシーン出現を通知する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06025284A1 (ja) ストリーム再生装置
JP2011130279A (ja)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提供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JP2013070155A (ja) 動画スコアリングシステム、サーバ装置、動画スコアリング方法、動画スコアリングプログラム
KR101350596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기록 재생 장치, 재생 단말기,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4737213B2 (ja) 情報処理装置
JP2006139408A (ja) 特徴ベクトル生成装置、検索装置、特徴ベクトル生成方法、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32015B2 (ja) コンテンツの評価装置、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端末装置
US202300520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content using progress bars
WO2023011300A1 (zh) 记录观看视频的人脸表情的方法和装置
JP2009284103A (ja) 映像視聴履歴取得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572601A (zh) 一种视频信息显示方法及装置
JP2002314917A (ja) 情報再生装置
KR101718896B1 (ko) 컨텐츠 감상 경험을 기록/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0093865A (ja) 電子機器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5073535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172655B2 (ja)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20090025441A (ko) 동영상 팁 서비스 방법, 사용자 단말 및 기록매체
JP2004259198A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034111B2 (ja) データ蓄積システム、データ蓄積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02

Effective date: 2016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