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7586A -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맞춤형컨텐츠 방송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맞춤형컨텐츠 방송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7586A
KR20090127586A KR1020080053639A KR20080053639A KR20090127586A KR 20090127586 A KR20090127586 A KR 20090127586A KR 1020080053639 A KR1020080053639 A KR 1020080053639A KR 20080053639 A KR20080053639 A KR 20080053639A KR 20090127586 A KR20090127586 A KR 20090127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er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형
이동학
최선웅
유재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3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7586A/ko
Publication of KR2009012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2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공간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취향을 고려하여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고,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라 차별화된 컨텐츠 방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은, 특정 구역 내에 설치된 출력장치로 송출되는 컨텐츠 방송의 소스를 제공하는 소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특정 구역 내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자신의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근거리 통신으로 송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선호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거나 또는 상기 소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한 후, 수집된 상기 선호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여 상기 특정 구역 내의 상기 출력장치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른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는 컨텐츠 방송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특정 공간에 머무르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음악, 영상물 등의 컨텐츠 방송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매장을 방문하는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RFID, 카페, 음악, 방송, 이동통신, 단말기, 맞춤형, 스케줄, 위치정보

Description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Broadcasting, Server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 Broadcast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공간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취향을 고려하여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고,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라 차별화된 음악이나 영상물 등의 컨텐츠 방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페나 레스토랑, 바, 백화점 등 고객이 일정 위치에서 장시간 동안 머무르는 매장 공간에는 이용하는 고객들을 위해, 고객들이 들을 수 있도록 대부분 음악을 방송한다.
그러나, 매장에서 방송되는 음악은 다양한 고객들의 취향을 반영하지 않고 매장 운용자에 의해서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매장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취향을 고려하여 고객들이 원하는 맞춤형 음악 방송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특정 공간에 머무르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차별화된 음악이나 영상물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가 이용하는 음원 제공 서버로부터 선호 음악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선호 음악 정보를 기초로 차별화된 음악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여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 공간 내에 일정 시간 머무르면, 자신의 위치정보를 통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은, 특정 구역 내에 설치된 출력장치로 송출되는 컨텐츠 방송의 소스를 제공하는 소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특정 구역 내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자신의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근거리 통신으로 송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선호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거나 또는 상기 소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한 후, 수집된 상기 선호 컨텐츠 정보를 기초 로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여 상기 특정 구역 내의 상기 출력장치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른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는 컨텐츠 방송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특정 구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인식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위치 인식 단말기를 통하여 전달받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부터 선호 컨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내부에 저장된 소스 보유 정보, 상기 소스 제공 서버에 사용자가 가입한 정보, 신청곡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장치가 지향성 스피커인 경우,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는 사용자의 선호 음악으로 구성된 음원의 출력 순서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여, 상기 특정 구역에 설치된 상기 지향성 스피커를 통해 상기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고, 상기 출력장치가 지향성 스피커가 아닌 경우,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의 선호 음악으로 구성된 음원의 출력 순서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여, 상기 특정 구역 내 상기 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는, 컨텐츠 방송에 관한 소스를 제공하는 소스 제공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소스를 특정 구역의 출력장치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컨텐츠 방송으로 제공하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로서, 상기 특정 구역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위치 인식 단말기와 통신하거나, 상기 특정 구역의 출력장치로 상기 컨텐츠 방송을 송출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와 위치정보 및 선호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소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소스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특정 구역의 상기 위치 인식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직접 수신하여 상기 특정 구역 내에 진입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인식하는 사용자 위치 인식부; 상기 특정 구역 내에 진입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거나 또는 상기 소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선호 컨텐츠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선호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생성하는 컨텐츠 방송 스케줄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컨텐츠 방송을 상기 특정 구역의 상기 출력장치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방송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른 소스를 상기 소스 제공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는 소스 요청 및 수신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장치가 지향성 스피커인 경우,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 생성부는,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의 출력 순서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고, 상기 컨텐츠 방송 제공부는 상기 특정 구역에 설치된 상기 지향성 스피커를 통해 상기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며, 상기 출력장치가 상기 지향성 스피커가 아닌 경우,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 생성부는 복수의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의 출력 순서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고, 상기 컨텐츠 방송 제공부는 상기 특정 구역 내 설치된 상기 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특정 구역 내에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컨텐츠 방송을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특정 구역 내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제공부;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타이머를 구동하여 계수하는 타이머 구동부; 상기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정보 제공부; 및 상기 타이머 구동부를 통해 타이머를 구동하여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계수하는 동안 상기 위치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 제공부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 및 식별정보를 상기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하고, 이후 상기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로부터의 선호 컨텐츠 정보의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정보 제공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상기 맞춤 형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해 주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스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정보를 저장하는 소스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호 컨텐츠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음원 보유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음원 제공 서버 정보, 신청곡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방송 제공방법은, 특정 구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특정 구역에 설치된 출력장치,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컨텐츠 방송을 상기 출력장치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컨텐츠 방송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맞춤형 컨텐츠 방송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특정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자신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가 상기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추출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집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선택하여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고,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컨텐츠 방송을 상기 특정 구역의 출력장치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가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기 이전에, 소스 제공 서버로 해당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취향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호 컨텐츠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음원 보유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음원 제공 서버 정보, 신청곡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선호 컨텐츠 취향 정보는, 사용자가 기존에 구매한 음악 제목, 선호하는 장르, 가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맞춤형 컨텐츠 방송 제공 방법은, 특정 구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는 서버의 맞춤형 컨텐츠 방송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선호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선호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선택하여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컨텐츠 방송을 상기 특정 구역에 설치된 출력장치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출력장치가 지향성 스피커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의 출력 순서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특정 구역에 설치된 상기 지향성 스피커를 통해 상기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고, 상기 출력장치가 상기 지향성 스피커가 아닌 경우, 복수의 사용자의 선호 컨테츠의 출력 순서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맞춤형 컨텐츠 방송 제공 방법은, 특정 구역에 위치하여 컨텐츠 방송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한 컨텐츠 방송을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맞춤형 컨텐츠 방송 제공 방법으로서, (a)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특정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자신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부터 선호 컨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추출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집한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선호 컨텐츠 정보에 대응된 상기 컨텐츠 방송을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선호 컨텐츠 정보는, 내부에 저장된 음원 보유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음원 제공 서버 정보, 신청곡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는, 특정 구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는 서버의 맞춤형 컨텐츠 방송 제공 방법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선호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선호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선택하여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컨텐츠 방송을 상기 특정 구역에 설치된 출력장치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출력장치가 지향성 스피커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의 출력 순서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특정 구역에 설치된 상기 지향성 스피커를 통해 상기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고, 상기 출력장치가 상기 지향성 스피커가 아닌 경우, 복수의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의 출력 순서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는, 특정 구역에 위치하여 컨텐츠 방송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한 컨텐츠 방송을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맞춤형 컨텐츠 방송 제공 방법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a)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특정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자신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부터 선호 컨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추출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집한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선호 컨텐츠 정보에 대응된 상기 컨텐츠 방송을 제공받는 단계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선호 컨텐츠 정보는, 내부에 저장된 음원 보유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음원 제공 서버 정보, 신청곡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특정 공간에 머무르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차별화된 컨텐츠 방송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매장을 방문하는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가 이용하는 음원 제공 서버로부터 선호 음악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선호 음악 정보를 기초로 차별화된 음악 방송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동일 공간 내에 일정 시간 머무르면 자신의 위치정보를 통보하기 때문에, 사용자별 취향에 따라 음악 방송을 제공 하는 서버가 사용자의 매장 방문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과 통신망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10~114),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 음원 제공 서버(130),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 및 스피커(150~15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114)와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 및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블루투스, ZigBee, Wi-Fi, UWB(Ultra-Wide Ban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탑재하여, 서로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 및 스피커(150~154)는 카페, 레스토랑, 백화점 등과 같은 매장 공간의 특정 구역, 예컨대, A 영역이나 B 영역, C 영역 등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스피커(150~154)는 지향성 스피커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피커(150~154)는 출력장치이며 도 1에서 출력장치로서 음악을 출력하는 스피커(150~154)를 도시하였으나, 이외에 출력장치로서 영상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 플레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특정 구역 내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자신의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전송한다.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특정 구역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114)의 진입을 감지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114)가 위치하는 영역을 파악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10~114)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로부터 수집하거나 또는 음원 제공 서버(130)로부터 수집한 후, 수집된 선호 컨텐츠 정보를 근거로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10~114)가 위치한 영역의 출력장치로 컨텐츠 방송을 제공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음악이나 영상물을 포함하고, 출력장치는 일반 스피커나 지향성 스피커(150~154)를 포함한다. 즉, 선호 컨텐츠 정보는 선호 음악 정보나 선호 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컨텐츠 방송은 음악 방송이나 영상 방송을 들 수 있다.
이때,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의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로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컨텐츠 방송을 무선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방송을 제공하는 예로 기술하고 있으나, 이 외에도 뮤직 비디오나 기타 영상 컨텐츠 및 음성 컨텐츠를 방송하는 예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음악 제공 서버(13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 외에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를 예로 들 수 있으므로 컨텐츠 제공 서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전송해 준다.
이때,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자신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송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를 수신하여 다양한 위치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자신의 ID가 포함된 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송하고, 이 신호를 수신한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가 다양한 위치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만약, 특정 구역 내에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는 자신의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로 전송하여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전달하게 된다.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직접 정보를 송수신한다.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카페, 레스토랑, 바 등과 같은 매장 공간(특정 구역)에 설치되어 유무선 통신을 통해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 이동통신 단말기(110~114) 및 음원 제공 서버(13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특정 구역은 카페, 레스토랑, 바 등에서 임의로 설정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특정 구역 내에는 A 영역이나 B 영역 및 C 영역과 같이 복수의 영역(Zone)이 구분되어 있어 특정 구역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구비한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특정 구역의 A 영역이나 B 영역 및 C 영역 각각에는 지향성 스피커(150~154)가 설치되어 있어, 각 특정 영역 내에서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음악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음원 제공 서버(130)는 스피커(150~154)로 송출되는 음악 방송의 음원(Source)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음악 이외에도 뮤직 비디오의 영상이나 음성 컨텐츠 등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제공 서버이다.
한편, 특정 구역 내에 지향성 스피커(150~154)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사용자의 선호 음악으로 구성된 음원의 출력 순서를 나타내는 음악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여, 이 음악 방송 스케줄을 근거로 사용자가 위치하는 해당 영역에 설치된 지향성 스피커(150~154)를 통해 음악 방송을 제공한다.
만약, 특정 구역 내에 지향성 스피커(150~154)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복수의 사용자의 선호 음악으로 구성된 음원의 출 력 순서를 나타내는 음악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여, 특정 구역 내 설치된 일반 스피커를 통해 음악 방송을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부터의 선호 음악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114)에 저장된 음원 보유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음원 제공 서버 정보, 신청곡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유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사용자 위치 인식부(220), 선호 음악 정보 수집부(230), 음악방송 스케줄 생성부(240), 음악방송 제공부(250), 음원 요청 및 수신부(260), 데이터베이스(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114) 또는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와 통신하거나, 특정 구역의 스피커(150~154) 또는 지향성 스피커로 음악 방송을 송출한다. 또한, 컨텐츠가 영상물인 경우에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특정 구역의 출력장치로 영상 컨텐츠 방송을 송출하게 된다.
사용자 위치 인식부(220)는 특정 구역 내에 설치된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10~114)의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로부터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수신하 여 특정 구역 내에 진입한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를 인식한다.
만약,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가 펨토셀(Femtocell) 기지국과 연결되어 있다면, 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114)의 진입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여기서, 펨토셀은 이동통신 기지국을 유저의 집 안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 하고 그 기지국(Access Point) 가격을 무선랜 AP 수준으로 낮춘 시스템을 의미한다.
선호 음악 정보 수집부(230)는 특정 구역 내에 진입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선호 음악 정보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로부터 수집하거나 또는 음원 제공 서버(130)로부터 수집한다.
여기에서, 음원 제공 서버(130)는 사용자가 가요, 클래식, 락 등 다양한 장르의 음원을 청취하거나,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를 의미한다.
또한, 컨텐츠가 영상 컨텐츠인 경우에 선호 음악 정보 수집부(230)를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는 선호 컨텐츠 정보 수집부로 구성할 수 있다.
음악 방송 스케줄 생성부(240)는 선호 음악 정보 수집부(230)에 의해서 수집된 선호 음악 정보를 기초로 음악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여 생성한다. 또한, 음악 방송 스케줄 생성부(240)는 선호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해 생성하는 컨텐츠 방송 스케줄 생성부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구역 내에 지향성 스피커(150~154)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음악 방송 스케줄 생성부(240)는 사용자의 선호 음악으로 구성된 음원의 출력 순서 를 나타내는 음악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고, 특정 구역 내에 지향성 스피커(150~154)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복수의 사용자의 선호 음악으로 구성된 음원의 출력 순서를 나타내는 음악 방송 스케줄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음악 방송 스케줄 생성부(240)는 특정 구역 내에 지향성 스피커(150~154)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A 사용자의 선호 음악 만으로 음악 방송 스케줄을 생성(A 사용자의 선호 음악 1 -> A 사용자의 선호 음악 2 -> A 사용자의 선호 음악 3)하고, 특정 구역 내에 지향성 스피커(150~154)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A 사용자, B 사용자, C 사용자 등의 선호 음악을 이용하여 음악 방송 스케줄을 생성(A 사용자의 선호 음악 1 -> B 사용자의 선호 음악 1 -> C 사용자의 선호 음악 1)한다.
또한, 음악 방송 스케줄 생성부(2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로부터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114)에게 선호 음악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근거로 음악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며, 음악 방송 스케줄에 따른 음원을 음원 제공 서버(130)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음악 방송 스케줄에 따라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의 스피커로 음악 방송을 제공하는 음악 방송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음악 방송 스케줄 생성부(240)는 음악 방송 프로그램에 따라 음악 방송 스케줄을 생성하게 된다.
음악 방송 제공부(250)는 음악 방송 스케줄 생성부(240)에 의해서 생성된 음악 방송 스케줄에 따라 음악 방송을 해당 사용자가 위치하는 영역의 스피커로 전송한다. 또한, 음악 방송 제공부(250)는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라 영상 컨텐츠 방 송을 해당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의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컨텐츠 방송 제공부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악 방송 제공부(250)는 특정 구역 내에 지향성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위치하는 해당 영역에 설치된 지향성 스피커(예를 들어, 1번 지향성 스피커)를 통해 음악 방송(A 사용자의 선호 음악 1 -> A 사용자의 선호 음악 2 -> A 사용자의 선호 음악 3)을 제공하고, 특정 구역 내에 지향성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특정 구역 내 설치된 일반 스피커를 통해 음악 방송(A 사용자의 선호 음악 1 -> B 사용자의 선호 음악 1 -> C 사용자의 선호 음악 1)을 제공한다.
음원 요청 및 수신부(260)는 음악 방송 스케줄에 포함된 음악 방송의 음원을 음원 제공 서버(130)로 요청하여 음원 제공 서버(130)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음원 요청 및 수신부(260)는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 방송을 컨텐츠 제공 서버로 요청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영상 컨텐츠 방송을 수신하는 컨텐츠 요청 및 수신부로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70)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즉, 데이터베이스(27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저장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로부터 수신한 선호 음악 정보를 저장하거나, 음원 제공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음원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70)는 영상 컨텐츠 방송을 위한 선호 컨텐츠 정보나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280)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10~114)가 위치한 영역의 스피커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이 방송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8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114)가 위치한 영역의 출력장치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상 컨텐츠가 방송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는 무선 통신부(310), 입력부(320), 메모리(330), 출력부(340), 위치 정보 제공부(350), 타이머 구동부(360), 음원 정보 저장부(370) 및 음악 정보 제공부(380)를 포함한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망 또는 이동 통신망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310), 이동통신 단말기(110~114)의 입력 제어를 위한 입력부(32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30), 음성 통화 서비스나 데이터 서비스 이용 시 필요한 데이터를 청각 또는 시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34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메모리(33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114)가 특정 구역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에 자신의 위치 정보를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전송해 주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즉, 이 프로그램은 타이머 구동부(360)를 통해 타이머를 구동하여 일정 시간을 계수하는 동안 위치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위치 정보 제공부(350)를 통해 자신의 위치 정보를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전송하고, 이후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부터의 선호 음악 정보의 요청에 따라 음악 정보 제공부(380)를 통해 사용자의 선호 음악 정보를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전송해 주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메모리(330)는 사용자의 선호 음악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물론, 메모리(330)는 영상물에 관한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제공부(350)는 자신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동일 구역 내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자신의 위치정보를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 제공부(350)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할 때,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또한, 위치 정보 제공부(350)는 맞춤형 음악 방송을 제공하는 특정 구역 내로 진입함에 따라, 자동으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타이머 구동부(360)는 위치 정보 제공부(350)에 의해서 위치 변경이 측정됨에 따라, 타이머를 구동하여 단말기가 머무르는 동일 구역 내에서 일정 시간을 측정한다.
음원 정보 저장부(37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원 제공 서버(130)로부터 다운로드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음원 정보 저장부(370)는 영상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정보 저장부로 구성할 수 있다.
음악 정보 제공부(380)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 음악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음악 정보 제공부(380)는 영상물에 관한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정보 제공부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호 음악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음원 보유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음원 제공 서버 정보, 신청곡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는 현재 위치한 구역 내에서 타이머 구동부(360)를 통해 시간을 계수하여 동일 구역 내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위치 정보 제공부(350)를 통해 자신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전송한다(S402).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10~114)가 펨토셀 등의 기지국이 설치된 매장 내에 위치하고, 그 기지국이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와 연결된 경우에,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그 기지국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10~114)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위치 인식 단말기(140 ~ 144)와 통신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자신의 위치 정보를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는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위치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다양한 위치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획득하여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10~114)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자신의 ID가 포함된 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송하고, 이 신호를 수신한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가 다양한 위치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해당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매장 내 지역을 각각 몇 개의 영역(Zone)으로 나누고, 그 영역마다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를 설치해 둠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10~114)가 신호를 송수신하는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로부터 해당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이동통신 단말기(110~114)가 여러 위치 인식 단말기(140~144)와의 통신을 통해서 RSS(Received Signal Strength), TOA(Time Of Arrival),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AOA(Angle Of Arrival) 등 여러가지 기법으로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로부터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근거로 선호 음악 정보 수집부(230)를 통해 선호 음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로 선호 음악 정보를 요청한다(S404).
여기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200)는 영상 컨텐츠 방송을 위해 선호 컨텐츠 정보 수집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10~114)에게 선호 컨텐츠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부터의 선호 음악 정보의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는 음악 정보 제공부(380)를 통해 메모리(330)의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추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 음악 정보를 생성하여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전송한다(S406).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는 영상 컨텐츠 방송인 경우에,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호 컨텐츠 정보로서 선호 음악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10~114)에 저장된 음원 보유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음원 제공 서버 정보, 신청곡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로부터 선호 음악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의 선호 음악 취향 정보를 음원 제공 서버(130)로 요청한다(S408).
여기서, 선호 음악 취향 정보는 사용자가 기존에 구매한 음악 제목, 선호하는 장르, 가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음원 제공 서버(130)는 해당 사용자의 선호 음악 취향 정보를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제공한다(S410). 여기서, 영상 컨텐츠 방송의 경우 선호 음악 취향 정보가 아닌 선호 컨텐츠 취향 정보일 수 있다.
이어,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로부터 수신한 선호 음악 정보를 기초로 음악방송 스케줄 생성부(240)를 통해 음악을 선곡하여 음악 방송 스케줄을 생성한다(S412).
물론, 영상 컨텐츠 방송일 경우에,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생성한다.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음원 요청 및 수신부(260)를 통해 음악 방송 스케줄에 포함된 음원을 음원 제공 서버(130)로 요청한다(S414).
이에, 음원 제공 서버(130)는 음악 방송 스케줄에 따른 음원을 수집하여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전송해 주게 되고,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음원 제공 서버(130)로부터 음악 방송 스케줄에 따른 음원을 음원 요청 및 수신부(260)를 통해 수신한다(S416).
영상 컨텐츠 방송일 경우에, 컨텐츠 제공 서버는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른 영상 컨텐츠를 수집하여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로 전송해 주고,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른 영상 컨텐츠를 컨텐츠 요청 및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다.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음원을 수신하면, 음악 방송 스케줄에 따라 음악 방송을 해당 사용자가 위치하는 영역의 스피커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114)로 전송한다(S418).
또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라 영상 컨텐츠 방송을 해당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의 출력장치로 또는 이동통신 단말 기(110~114)로 전송해 준다.
만약, 특정 구역 내에 지향성 스피커(150~154)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사용자의 선호 음악으로 구성된 음원의 출력 순서를 나타내는 음악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여, 음악 방송 제공부(250)를 통해 사용자가 위치하는 해당 영역에 설치된 지향성 스피커(150~154)를 통해 음악 방송을 제공한다.
한편, 특정 구역 내에 지향성 스피커((150~154)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120)는 복수의 사용자의 선호 음악으로 구성된 음원의 출력 순서를 나타내는 음악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여, 음악 방송 제공부(250)를 통해 특정 구역 내 설치된 일반 스피커를 통해 음악 방송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공간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취향을 고려하여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고,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라 차별화된 컨텐츠 방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대형 매장이나 식당, 백화점 등과 같이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고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장소에 음악이나 영상 방송을 제공하게 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공간에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복수의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고, 특정 공간에 머무르는 사용자들에게 차별화된 음악이나 영상 방송을 제공할 필요성이 높은 것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과 통신망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114 : 이동통신 단말기 120 :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
130 : 음원 제공 서버 140~144 : 위치 인식 단말기
150~154 : 스피커 210 : 통신 인터페이스부
220 : 사용자 위치 인식부 230 : 선호 음악 정보 수집부
240 : 음악 방송 스케줄 생성부 250 : 음악 방송 제공부
260 : 음원 요청 및 수신부 270 : 데이터베이스
310 : 무선 통신부 320 : 입력부
330 : 메모리 340 : 출력부
350 : 위치 정보 제공부 360 : 타이머 구동부
370 : 음원 정보 저장부 380 : 음악 정보 제공부

Claims (13)

  1. 특정 구역 내에 설치된 출력장치로 송출되는 컨텐츠 방송의 소스를 제공하는 소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특정 구역 내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자신의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근거리 통신으로 송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선호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거나 또는 상기 소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한 후, 수집된 상기 선호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여 상기 특정 구역 내의 상기 출력장치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른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는 컨텐츠 방송 서버;
    를 포함하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인식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위치 인식 단말기를 통하여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부터 선호 컨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내부에 저장된 음원 보유 정보, 상기 소스 제공 서버에 사용자가 가입한 정보, 신청곡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가 지향성 스피커인 경우,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는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의 출력 순서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여, 상기 특정 구역에 설치된 상기 지향성 스피커를 통해 상기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고,
    상기 출력장치가 지향성 스피커가 아닌 경우,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의 출력 순서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여, 상기 특정 구역 내 상기 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5. 컨텐츠 방송에 관한 소스를 제공하는 소스 제공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소스를 특정 구역의 출력장치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컨텐츠 방송으로 제공하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로서,
    상기 특정 구역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위치 인식 단말기와 통신하거나, 상기 특정 구역의 출력장치로 상기 컨텐츠 방송을 송출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와 위치정보 및 선호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소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소스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특정 구역의 상기 위치 인식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직접 수신하여 상기 특정 구역 내에 진입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인식하는 사용자 위치 인식부;
    상기 특정 구역 내에 진입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거나 또는 상기 소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선호 컨텐츠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선호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생성하는 컨텐츠 방송 스케줄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컨텐츠 방송을 상기 특정 구역의 상기 출력장치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방송 제공부;
    를 포함하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는,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른 소스를 상기 소스 제공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는 소스 요청 및 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가 지향성 스피커인 경우,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 생성부는,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의 출력 순서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고, 상기 컨텐츠 방송 제공부는 상기 특정 구역에 설치된 상기 지향성 스피커를 통해 상기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며,
    상기 출력장치가 상기 지향성 스피커가 아닌 경우,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 생성부는 복수의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의 출력 순서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고, 상기 컨텐츠 방송 제공부는 상기 특정 구역 내 설치된 상기 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컨텐츠 방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
  8. 특정 구역 내에서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컨 텐츠 방송을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특정 구역 내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제공부;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타이머를 구동하여 계수하는 타이머 구동부;
    상기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정보 제공부; 및
    상기 타이머 구동부를 통해 타이머를 구동하여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계수하는 동안 상기 위치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 제공부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 및 식별정보를 상기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하고, 이후 상기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로부터의 선호 컨텐츠 정보의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정보 제공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상기 맞춤형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해 주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스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정보를 저장하는 소스 정보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컨텐츠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음원 보유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음원 제공 서버 정보, 신청곡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특정 구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특정 구역에 설치된 출력장치,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컨텐츠 방송을 상기 출력장치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컨텐츠 방송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맞춤형 컨텐츠 방송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특정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자신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가 상기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추출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집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음악을 선곡하여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고,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컨텐츠 방송을 상기 특정 구역의 출력장치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컨텐츠 방송 서버가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기 이전에, 소스 제공 서버로 해당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취향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제공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컨텐츠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음원 보유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음원 제공 서버 정보, 신청곡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선호 컨텐츠 취향 정보는, 사용자가 기존에 구매한 음악 제목, 선호하는 장르, 가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컨텐츠 방송 제공 방법.
KR1020080053639A 2008-06-09 2008-06-09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맞춤형컨텐츠 방송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KR20090127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639A KR20090127586A (ko) 2008-06-09 2008-06-09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맞춤형컨텐츠 방송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639A KR20090127586A (ko) 2008-06-09 2008-06-09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맞춤형컨텐츠 방송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586A true KR20090127586A (ko) 2009-12-14

Family

ID=4168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639A KR20090127586A (ko) 2008-06-09 2008-06-09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맞춤형컨텐츠 방송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758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954A2 (ko) * 2010-04-22 2011-10-27 (주) 버드랜드소프트웨어 사용자 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2060605A2 (ko) * 2010-11-05 2012-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논리 공간 기반의 다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1313272B1 (ko) * 2009-12-18 2013-09-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망 내의 멀티단말 상황에서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방송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6293A (ko) * 2014-08-04 2016-02-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필터링 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9952907B2 (en) 2010-09-17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272B1 (ko) * 2009-12-18 2013-09-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망 내의 멀티단말 상황에서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방송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WO2011132954A2 (ko) * 2010-04-22 2011-10-27 (주) 버드랜드소프트웨어 사용자 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1132954A3 (ko) * 2010-04-22 2012-04-05 (주) 버드랜드소프트웨어 사용자 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US9952907B2 (en) 2010-09-17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WO2012060605A2 (ko) * 2010-11-05 2012-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논리 공간 기반의 다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WO2012060605A3 (ko) * 2010-11-05 2012-08-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논리 공간 기반의 다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1417196B1 (ko) * 2010-11-05 2014-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논리 공간 기반의 다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20160016293A (ko) * 2014-08-04 2016-02-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필터링 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973B1 (ko) 이용자 선호들 및 환경적인 특징들에 기초한 추천들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US9130664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a sound signal
CN101298988B (zh) 信息处理系统、便携信息终端、信息提供设备及控制方法
US20080180228A1 (en) User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ed as a home controller
CN103329556A (zh) 信息提供系统、便携终端装置、服务器以及程序
US10425981B2 (en) Network-based user identification
CN104166688A (zh) 信息定向推送方法及装置
EP3607753A1 (en) Time and content restrictions based on user-identification
KR20090127586A (ko) 맞춤형 컨텐츠 방송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맞춤형컨텐츠 방송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US20180288116A1 (en) Interaction-Based User Identification
WO2004068826A1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20090305219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content to an exhibit-area guest
EP2138011A1 (en) Hear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6037949B2 (ja) コンテンツ公開システム、ユーザ端末、サーバ装置、コンテンツ公開方法、コンテンツ公開プログラム
US10009451B2 (en) Radio locator application
CN102883038A (zh) 铃音替换方法、终端及服务器
CN110870322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CN109413566B (zh) 一种播放方法及装置
JP2005522058A (ja)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US10269231B2 (en) Sound generation
JP2013225809A (ja) コンテンツ出力システム、出力装置、テレビジョン受信機、及び携帯通信装置
KR20170088226A (ko) 이동형 비콘 장치를 활용한 콘텐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357609B1 (ko) 지역 정보 기반의 개인 라디오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개인 방송 단말
JP3458824B2 (ja) 位置算出方法、位置算出装置及び携帯端末
KR101474253B1 (ko) 마을 공지사항 무선디지털 안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