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396A - Web based contents custumizing system using object oriented contents editor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Web based contents custumizing system using object oriented contents editor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396A
KR20090125396A KR1020080051491A KR20080051491A KR20090125396A KR 20090125396 A KR20090125396 A KR 20090125396A KR 1020080051491 A KR1020080051491 A KR 1020080051491A KR 20080051491 A KR20080051491 A KR 20080051491A KR 20090125396 A KR20090125396 A KR 20090125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s
based content
creator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4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진
Original Assignee
(주) 클릭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클릭플레이 filed Critical (주) 클릭플레이
Priority to KR1020080051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5396A/en
Publication of KR20090125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3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URPOSE: A web based contents order manufacturing system using an object based contents editor and a method thereof in order to activate object based contents are provided to allow a user to access the object based contents editor by an object-based contents editing unit using an object-based contents editing machine. CONSTITUTION: A contents editing unit(200) produces and edits object-based contents through a media object. A contents database(600) stores the object-based contents which is manufactured or edited. An object database(500) stores the media object forming the object-based contents. A contents management unit(400) performs a medium role of a contents production requester and a contents creator. The contents management unit evaluates the object-based content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aluation reference. The contents management unit supplies predetermined compensation to the contents creator.

Description

객체 기반 콘텐츠 편집기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 및 방법{WEB BASED CONTENTS CUSTUMIZING SYSTEM USING OBJECT ORIENTED CONTENTS EDITOR AND METHOD THEREOF} Web based content ordering system and method using object based content editor {WEB BASED CONTENTS CUSTUMIZING SYSTEM USING OBJECT ORIENTED CONTENTS EDIT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객체 기반 콘텐츠 편집기를 활용한 콘텐츠 주문제작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월드 와이드 웹(WWW, 이하 "웹") 기반으로 운용되는 객체 기반 콘텐츠의 주문 제작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ing content utilizing an object-based content edi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ing object-based content operated on a World Wide Web (WWW). will be.

최근 인터넷 콘텐츠의 일종인 UCC(User Created Contents)가 각광받고 있다. UCC는 사용자가 제작한 콘텐츠를 가리키는 용어로서 넓은 범위에서 보면 인터넷 카페나 블로그, 미니홈피 등에 게시하는 모든 종류의 게시물을 포함하지만, 현재 주목받고 있는 UCC는 텍스트 또는 동영상 보다는 플래시 애니매시션 등의 창작물을 일컫는 말로 '사용자 중심'이 기본인 '웹 2.0' 시대에 가장 적합한 콘텐츠 형태로 평가받고 있다. Recently, UCC (User Created Contents), a kind of Internet content, is in the spotlight. UCC is a term that refers to user-generated content, and broadly includes all kinds of posts posted to Internet cafes, blogs, and mini homepages, but UCC, which is currently attracting attention, is more of a creation such as Flash animation than text or video. It is regarded as the most suitable content type in the 'Web 2.0' era in which 'user-centered' is the basic.

이와 같은 UCC는 서비스의 사용자가 바로 정보 제공자이자 가공자이며 그 정보를 온 세계로 실어 나르는 전달자가 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웹 2.0 기반에서는 UCC 싸이트 운영자는 고객들이 가진 정보를 마음껏 올릴 수 있는 플랫폼만 제공하면 되고, 현재의 온라인 포털 사이트(이를테면 네이버)처럼 사업자가 모든 정보를 직접 제작할 필요가 없다.Such a UCC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user of the service is an information provider, a processor, and a carrier who carries the information to the whole world. In other words, in a Web 2.0-based platform, UCC site operators only need to provide a platform where customers can upload their information freely, and operators don't have to produce all the information like the current online portal site (such as Naver).

그렇지만, 실제로 UCC 싸이트의 사용자들은 콘텐츠의 감상자로만 머물러 있었고, UCC 창작에는 소극적이었다. 즉, UCC를 창작하는 주계층은 소수의 매니아층으로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첫째로, 종래의 UCC 제작 툴은 그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제작 툴의 원활한 사용을 위해서는 상당한 지식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둘째 이유는 UCC 창작자들에게 돌아오는 대가가 없거나 미비하였기 때문이다. In reality, however, users of the UCC site remained only as viewers of the content and were passive in UCC creation. In other words, the main class that creates the UCC is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enthusiasts. The reason is, firstly, that conventional UCC manufacturing tools are not only expensive, but also require considerable knowledge for the smooth use of the production tools.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re is no return or lack of return to UCC creators.

다음으로 콘텐츠 제작 의뢰자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콘텐츠 제작 의뢰자들은 자신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홍보를 위하여 웹기반의 다양한 UCC 콘텐츠(예컨대, 배너 콘텐츠 등)를 제작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콘텐츠 제작 의뢰자 자체적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에는 한계가 따르기 마련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전문 콘텐츠 제작 업체와 같은 외부 업체에 콘텐츠 제작을 의뢰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에는 제작 업체에 많은 비용이 지불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구나, 한정된 콘텐츠 예산의 한도 내에서 다양한 제작 업체에 의뢰하는 데에 제한이 따를 수 밖에 없게 되므로 콘텐츠의 다양성의 측면에서도 불리한 점이 많았다. 즉, 콘텐츠 제작 의뢰자로서는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Nex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is producing a variety of web-based UCC contents (for example, banner content, etc.) to promote their products or services. There are limits to the produc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case in which a third party, such as a professional content producer, is requested to produce content,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costs are paid to the producer. In addition, there were many disadvantages in terms of the variety of contents because there was no limit to referral to various producers within the limited content budget.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 content production client to find a way to secure various contents at a lower cost.

일반적으로, 콘텐츠 제작 의뢰자의 입장에서는 콘텐츠 제작 의뢰자가 홍보를 하고자 하는 객체(콘텐츠 제작 의뢰자의 로고, 이미지, 문구, 동영상 등등)를 이용 하여 콘텐츠를 제작하기를 원한다. 이와 같이, 특정 콘텐츠 객체가 포함된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내부에 등장하는 물체를 객체로 취급하여 편집이 가능한 객체 기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장치가 요구되지만 이러한 객체 기반 콘텐츠 편집기를 개별적으로 소유하고 있지 않은 사용자가 대부분인 바, 사용자들로 하여금 웹기반으로 접속하여 이러한 객체 기반 편집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도 요청된다.In general, a content production client wants to produce content using an object (content logo requester's logo, image, phrase, video, etc.) to be promoted by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As such, in order to produce content including a specific content object, an object-based multimedia content production apparatus capable of editing an object appearing in the multimedia as an object is required, but does not own such an object-based content editor individually. Since most users are users, there is also a need for users to be able to access web-based and use these object-based editors.

결론적으로 콘텐츠 창작자와 콘텐츠 제작 의뢰자를 서로 연계시켜 콘텐츠 제작 의뢰자가 제공한 미디어 객체를 이용하여 콘텐츠 창작자로 하여금 객체 기반 콘텐츠 창작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connect content creators and content producers to each other so that content creators can activate object-based content creation using media objects provided by content creators.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콘텐츠 창작에게 소정의 대가를 줌으로써 콘텐츠 싸이트 이용자들로 하여금 객체 기반 콘텐츠 창작을 활성화시키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technical task of enabling the content site users to activate the object-based content creation by giving a predetermined price to the content creation.

또한, 본 발명은 홍보를 원하는 미디어 객체를 포함하여 제작된 객체 기반 콘텐츠를 콘텐츠 제작 의뢰자가 다양하고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cal problem that allows the content production requestor to be variously and smoothly supplied to the object-based content produced by including the media object to be promoted.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콘텐츠 제작의뢰자(50), 콘텐츠 창작자(40), 콘텐츠 감상자(30)가 접속하고 객체 기반 미디어 객체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10)을 제공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web-based content using the object-based media object connected to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the content creator 40, the content viewer 30 through the network 20 A custom system 10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접속한 콘텐츠 창작자(40)가 미디어 객체를 이용하여 객체 기반 콘텐츠를 제작 및 편집가능하도록 하는 콘텐츠 편집부(200)와; 상기 콘텐츠 편집부(200)에 의해 제작 또는 편집된 객체 기반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DB(600)와; 객체 기반 콘텐츠를 형성할 미디어 객체를 저장하기 위한 객체 DB(500)와; 상기 콘텐츠 창작자(40)가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이용하여 객체 기반 콘텐츠를 제작하는 경우 소정의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객체 기반 콘텐츠를 평가하여, 이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객체 기반 콘텐츠를 창작한 콘텐츠 창작자(40)에게 소정의 대가를 지급하는 콘텐츠 관리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editing unit 200 which allows a connected content creator 40 to create and edit object-based content using a media object; A content DB (600) for storing object-based content produced or edited by the content editing unit (200); An object DB 500 for storing media objects to form object-based content; When the content creator 40 produces object-based content using a content media object, the content creator 40 evaluates the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aluation criterion and creates the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ent management unit 400 to pay a predetermined price.

또한, 상기 콘텐츠 관리부(400)는, 상기 콘텐츠 제작의뢰자(50)로부터 객체 기반 콘텐츠의 제작을 접수받는 콘텐츠 의뢰 모듈(410)과; 상기 콘텐츠 의뢰 모듈(410)에 콘텐츠 제작의뢰자(50)로부터의 콘텐츠 제작 의뢰가 접수된 경우 객체 기반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콘텐츠 창작자(40)에 표시해주고, 이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이용하여 콘텐츠 창작자(40)가 객체 기반 콘텐츠를 제작한 경우 제작된 객체 기반 콘텐츠를 등록받는 콘텐츠 등록 모듈(420)과; 소정의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객체 기반 콘텐츠를 평가하여, 이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객체 기반 콘텐츠를 창작한 콘텐츠 창작자(40)에게 소정의 대가를 지급하는 평가 모듈(4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400, a content request module 410 that receives the production of object-base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When the content requesting module 410 receives a content creation request from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the content creator 40 displays a content media object required for object-based content production in the content creator 40, and uses the content media object. A content registration module 420 which registers the produced object-based content when the creator 40 produces the object-based content; And an evaluation module 430 for evaluating the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aluation criterion and paying a predetermined price to the content creator 40 who created the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on. .

또한, 상기 콘텐츠 의뢰 모듈(410)은 상기 콘텐츠 제작의뢰자(50)로부터 객체 기반 콘텐츠의 제작을 접수받을 때에 콘텐츠 미디어 객체도 함께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request module 410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content media object when receiving the production of object-base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상기 콘텐츠 미디어 객체는 특정의 미디어 객체일 수도 있고, 제작 의뢰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블랭크(blank) 미디어 객체일 수도 있다.The content media object may be a specific media object, or may be a blank media object tha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production client.

또한, 상기 관리 모듈(420)은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제공한 콘텐츠 제작의뢰자(50)의 정보도 상기 객체 기반 콘텐츠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module 420 may also extract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that provided the content media object from the object-based content.

또한, 상기 시스템(100)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회원인증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member authentication unit 100 that performs authentication for a user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20.

또한, 상기 평가 기준은 조회수, 평점, 추천수 중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 하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criteria is preferably one or more of the number of views, ratings, recommendation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20)를 통해 콘텐츠 제작의뢰자(50), 콘텐츠 창작자(40), 콘텐츠 감상자(30)가 접속가능하고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방법이 제공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b-based content ordering method using the object-based content is accessible to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the content creator 40, the content viewer 30 through the network 20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a)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상기 시스템(10)에 업로드하는 단계; (b) 상기 콘텐츠 창작자(40)가 상기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이용하여 제작한 객체 기반 콘텐츠를 제공받는 단계; (c) 소정의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객체 기반 콘텐츠를 평가하여, 이 평가 결과를 상기 객체 기반 콘텐츠상기 콘텐츠 제작의뢰자(50)에게 통보하는 단계; (d) 상기 객체 기반 콘텐츠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이를 창작한 콘텐츠 창작자(40)에게 소정의 대가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uploading a content media object to the system (10); (b) receiving, by the content creator 40, object-based content produced using the content media object; (c) evaluating the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aluation criterion, and notifying the object-based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of the evaluation result; (d) paying a predetermined price to the content creator 40 who created it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object-based content.

상기 콘텐츠 미디어 객체는 특정의 콘텐츠 제작의뢰자(50)에 의해 제공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specified) 콘텐츠 미디어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 media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pecified content media object capable of identifying whether or not it has been provided by a particular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창작자(40)는 상기 시스템(10)에 접속한 상태로 시스템(10)에 마련된 객체 기반 콘텐츠 편집수단에 의해 객체 기반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step (b), the content creator 4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ystem 10 to produce the object-based content by the object-based content editing means provided in the system 10.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첫째, 콘텐츠 창작자의 측면에서는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에 객체 기반 콘텐츠 편집 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자들이 웹기반으로 객체 기반 콘텐츠 편집 수단에 접속하능하도록 하고, 콘텐츠 창작자에게 소정의 대가를 줌으로써 객체 기반 콘텐츠 창작이 활성화된다.(1) First, in terms of content creators, object-based content editing means are provided in the content ordering system to enable users to access object-based content editing means on a web-based basis, and object-based content by giving a predetermined price to the content creators. Creation is activated.

(2) 둘째, 콘텐츠 싸이트 운영자의 측면에서는 콘텐츠 창작의 활성화를 통해 콘텐츠 싸이트에 업로드되는 콘텐츠의 수량 및 종류를 확대할 수 있다.(2) Second, in terms of content site administrators, the quantity and types of content uploaded to content sites can be expanded through activation of content creation.

(3) 셋째, 콘텐츠 제작 의뢰자의 측면에서는 홍보를 원하는 콘텐츠 객체를 포함한 객체 기반 콘텐츠를 콘텐츠 제작 의뢰자가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하고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Third, the content production requestor has an advantage that the content production requester can variously and smoothly supply object-based content including content objects to be promoted at low cos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 unit”,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명세서 전체에서, "네트워크"는 각 사용자 개인 단말이 웹상에 마련된 각종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유무선 통신망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객체 기반 콘텐츠"라 함은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종 객체들을 편집할 수 있도록 제작된 멀 티 미디어 콘텐츠를 의미한다. 또한, "미디어 객체"란 객체 기반 콘텐츠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미디어들로서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사운드 등이 될 수 있다. "콘텐츠(User Created Contents)"는 인터넷 사용자들에 의해 창작되어 웹상에 업로드된 미디어 콘텐츠를 총괄하는 개념이다. "특정(specified) 콘텐츠 미디어 객체"는 특정의 콘텐츠 제작의뢰자(50)의 제품이거나 콘텐츠 제작의뢰자(50)와 관련된 것임을 식별할 수 있는 미디어 객체를 의미하고, "블랭크(blank) 콘텐츠 미디어 객체"는 빈 음료 용기, 빈 자동차 이미지 등과 같이 특정의 콘텐츠 제작의뢰자(50)에 관한 것인지를 식별할 수 없는 미디어 객체를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 "network" is a concept encompassing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that enable each user personal terminal to access various servers provided on the web. "Object-based content" means multi-media content produced to edit various objects constituting the content. In addition, the "media object" is an individual media constituting the object-based content may be an image, text, video, sound, and the like. "User Created Contents" is a general concept of media content created by Internet users and uploaded on the web. "Specified content media object" means a media object that can be identified as being a product of, or associated with, a specific content creator 50, and a "blank content media object" means It refers to a media object that cannot be identified as relating to a specific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such as an empty beverage container or an empty car image.

도 1은 본 발명의 콘텐츠 커스터마이징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customizing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10)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콘텐츠 제작의뢰자(50), 콘텐츠 창작자(40), 콘텐츠 감상자(30)가 접속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회원 인증부(100), 콘텐츠 편집부(200), 콘텐츠 재생부(300), 콘텐츠 관리부(400), 객체 DB(500) 및 콘텐츠 DB(600)로 구성된다.As shown, the web-based content customization system 10 using the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cessible to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the content creator 40, the content viewer 30 through the network 20 It is configured to. The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ber authenticator 100, a content editor 200, a content player 300, a content manager 400, an object DB 500, and a content DB 600.

회원인증부(10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회원인증모듈(미도시)과 회원 DB(미도시)로 구성된다. The member authentication unit 100 performs authentication for a user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20 and includes a member authentication module (not shown) and a member DB (not shown).

회원인증모듈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사용자가 로그인을 시도할 때,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요청하고 이를 사용자로부터 받아들인 후 회원 DB에 저장된 회원별 아이디 및 비밀번호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만 로그인을 허용한다. 회원 DB에는 회원 정보, 즉 회원별 아이디 및 비밀 번호 등이 저장된다. When the user attempts to log in through the network 20, the member authentication module requests an ID or password, accepts it from the user, and compares the user input information with the member ID and passwor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ber DB. Allow login only if The member DB stores member information, that is, member ID and password.

여기서 완성된 콘텐츠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회원 인증을 불요하지만 콘텐츠 편집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인증된 회원으로만 그 자격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view the completed content, a separate member certification is not required. However, in order to receive a content editing service, it is desirable to limit the qualification to only authenticated members.

콘텐츠 편집부(200)는 시스템(10)에 접속한 콘텐츠 창작자(40)가 미디어 객체를 이용하여 객체 기반 콘텐츠를 제작 및 편집가능하도록 한다. 콘텐츠 편집부(200)에서는 객체 기반 콘텐츠 제작 또는 편집을 위하여 필요한 대부분의 기능이 사용자에게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콘텐츠 편집부(200)를 이용하여 각 미디어 객체별로 시간, 공간, 속성, 논리 관계 등 고도화된 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콘텐츠 편집부(200)에는 회원인증부(100)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editor 200 allows the content creator 40 connected to the system 10 to create and edit object-based content using the media object. In the content editing unit 200, most functions necessary for object-based content production or editing are opened to the user. Accordingly, the user may assign advanced information such as time, space, attributes, and logical relationships to each media object by using the content editing unit 200. The content editing unit 200 is preferably set to be accessible only to users authenticated through the member authentication unit 10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콘텐츠 편집부(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미도시)과, 객체 로딩 모듈(미도시)과, 편집 정보 처리 모듈(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content editing unit 200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module (not shown), an object loading module (not shown), and an editing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not shown).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콘텐츠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콘텐츠 제작 인터페이스는 제작되고 있는 콘텐츠의 편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콘텐츠 표시 인터페이스와, 편집 툴을 표시하기 위한 편집 툴 표시 인터페이스로 구분될 수 있다. 편집 툴 표시 인터페이스에는 각 미디어 객체의 삽입, 삭제 및 각 객체를 특성화하는 속성 편집용 인터 페이스와, 미디어 객체 간의 논리적 관계를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미디어 객체의 시간적인 관계를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미디어 객체 간의 공간적 관계를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등이 마련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odule provides an interface that enables content creation to a user connected to the system. For example, the content production interface may be divided into a content display interface for displaying an edit state of content being produced and an editing tool display interface for displaying an editing tool. The editing tool display interface includes an interface for editing, inserting, deleting, and characterizing each media object, an interface for editing 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media objects, an interface for editing the temporal relationships of media objects, An interface for editing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media objects may be provided.

편집 정보 처리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로 입력된 사용자의 편집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객체별 편집 정보를 형성하고, 이 미디어 객체별 편집 정보로부터 객체 기반 콘텐츠를 생성하여 콘텐츠 DB(600)에 저장한다. The edit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forms edit information for each media object based on the edit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to the user interface module, generates object-based content from the edit information for each media object, and stores the content-based content in the content DB 600.

이를 위해, 편집 정보 처리 모듈 내에는 콘텐츠 DB(600)에 저장된 콘텐츠를 읽어들여서 저장하고 현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고 있는 편집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자료구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집 정보 처리 모듈은 콘텐츠 DB(600)에서 읽어들인 객체 기반 콘텐츠의 정보를 내부자료구조에 저장하기 위한 파일해석수단과, 내부자료구조에 저장된 편집정보로부터 객체 기반 콘텐츠 파일을 형성하기 위한 파일생성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an internal data structure is provided in the edit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for reading and storing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DB 600 and storing the edit information currently being input by the user. In addition, the editing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is a file interpretation means for s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object-based content read from the content DB 600 in the internal data structure, and a file for forming an object-based content file from the edit information stored in the internal data structure It may include a generating means.

객체 로딩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삽입할 미디어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로 로딩한다. 미디어 객체를 로딩하는 방법은 객체 DB(500)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객체를 호출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30)에 저장된 미디어 객체를 시스템(10)으로 실시간으로 업로드하여 로딩할 수도 있다.When the user selects a media object to be inser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module, the object loading module loads it into the user interface module. The method of loading a media object may be performed by calling a media object previously stored in the object DB 500. However, the media object stored in the user terminal 30 may be transferred to the system 10 while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system. You can also upload and load in real time.

콘텐츠 재생부(300)는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가 콘텐츠 DB(600) 내의 콘텐츠를 재생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소위 뷰어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콘텐츠 재생부(300)는 콘텐츠 재생 모듈(미도시)과, 데이터 입출력부(미도시)로 구 성된다. The content reproducing unit 300 functions as a so-called viewer that allows a user connected to the system to play and enjoy the content in the content DB 600. To this end, the content reproducing unit 300 includes a content reproducing module (not shown) and a data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콘텐츠 재생 모듈은 비디오 및 오디오 객체의 재생을 위해 MPEG2, MPEG4 등 널리 알려진 코덱을 구비할 수 있고, jpeg/gif/bmp/tiff 등의 이미지 파일 재생을 위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으며, 움직이는 이미지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매크로미디어 사의 플래시 객체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ent playback module may include well-known codecs such as MPEG2 and MPEG4 for playing video and audio objects, and may include a decoder for playing image files such as jpeg / gif / bmp / tiff. It can be equipped with Macromedia Flash object to implement.

데이터 입출력부는 사용자에게 콘텐츠 재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선택된 콘텐츠 파일을 콘텐츠 DB(600)로부터 로딩하여 콘텐츠 파일 내부의 정보를 처리한 후 이를 콘텐츠 재생 모듈에 제공한다.The data input / output unit provides a user with an interface for playing content, receives a user's command, loads the selected content file from the content DB 600, processes information in the content file,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content playing module.

전술한 콘텐츠 편집부(200)와 달리, 콘텐츠 재생부(300)는 회원인증과정을 통한 로그인 절차 없이도 곧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회원인증과정을 거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Unlike the aforementioned content editing unit 200, the content reproducing unit 300 may be used immediately without a login procedure through a member authentication process, but may be set to undergo a member authentication process.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구성인 콘텐츠 관리부(400)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content management unit 400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콘텐츠 관리부(400)는 저렴하고 다양한 내용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 제작의뢰자(50)와, 콘텐츠 창작에 의해 소정의 대가를 얻고자 하는 콘텐츠 창작자(40)와, 다양한 내용의 콘텐츠를 감상하기를 원하는 콘텐츠 감상자(30)의 욕구를 모두 만족시키도록 이들을 서로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ntent management unit 400 is a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who wants to produce content with cheap and various contents, the content creator (40) who wants to obtain a predetermined price by creating a content, and enjoys various contents. It serves to mediate each other to satisfy all the desires of the desired content viewer (30).

콘텐츠 관리부(400)는 콘텐츠 제작의뢰자(50) 또는 그 밖의 소스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받아들인 후, 이를 시스템(10)에 접속한 콘텐츠 창작자(40)에게 표시하여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이용한 콘텐츠 창작을 유도한다. 그리 고, 콘텐츠 관리부(400)는 추가적으로 소정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소정의 대가를 각 콘텐츠 창작자(40)에게 지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평가 기준으로는 조회수, 평점, 추천수 등이 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ment unit 400 receives the content media object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or other source, and displays the content media object 40 to the content creator 40 connected to the system 10 to create the content using the content media object. Induce. In addition, the content manager 400 may additionally provide a function of paying each content creator 40 a predetermined price based on a predetermined evaluation criterion. Here, the evaluation criteria may be views, ratings, recommendations.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관리부(400)는 콘텐츠 의뢰 모듈(410)과, 콘텐츠 등록 모듈(420)과, 평가 모듈(430)로 구성된다.2, the content manager 400 includes a content request module 410, a content registration module 420, and an evaluation module 430.

콘텐츠 의뢰 모듈(410)은 콘텐츠 제작의뢰자(50)로부터 객체 기반 콘텐츠의 제작을 접수받는다. 콘텐츠 제작의뢰자(50)가 콘텐츠 의뢰를 할 때는 콘텐츠 미디어 객체의 지정 없이 콘텐츠 제작 의뢰만 할 수도 있고, 삽입하고자 하는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지정한 다음 콘텐츠 제작을 의뢰할 수도 있다. The content request module 410 receives production of object-base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When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requests a content, the content production requester 50 may request only the content production without specifying the content media object, or may request the content production after designating the content media object to be inserted.

여기서 콘텐츠 미디어 객체란 객체 기반 콘텐츠를 구성하는 미디어 객체 중 콘텐츠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하며 크게 '특정(specified) 콘텐츠 미디어 객체'와 '블랭크(blank) 콘텐츠 미디어 객체'로 구분할 수 있다.Here, the content media object means an object tha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content among the media objects constituting the object-based content, and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a 'specified content media object' and a 'blank content media object'.

'블랭크(blank) 콘텐츠 미디어 객체'는 제작의뢰자의 의도에 따라 추후 미디어를 변경이 가능한 객체이다(도 6의 A 참조). The 'blank content media object' is an object capable of changing the media later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production client (see A of FIG. 6).

'특정(specified) 콘텐츠 미디어 객체'는 특정의 콘텐츠 제작의뢰자(50)의 제품이거나 콘텐츠 제작의뢰자(50)와 관련된 것임을 식별할 수 있는 미디어 객체(예: 코카콜라사의 음료용기 이미지, 나이키사의 로고 또는 운동화 이미지, 현대자동차사의 자동차 이미지)이며 추후 변경이 불가능하다.(도 7의 A'참조).A 'specified content media object' is a media object (e.g., Coca-Cola's beverage container image, Nike's logo or sneakers) that can be identified as being a product of or associated with a specific content creator 50. Image, a car image of Hyundai Motor Co., Ltd.) and cannot be changed later (refer to A 'of FIG. 7).

미디어 객체의 종류는 반드시 이미지나 텍스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운드 또는 동영상 클립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type of media object is not limited to an image or text, but may be variously set, such as a sound or a video clip.

정리하자면, 콘텐츠 제작의뢰자(50)가 콘텐츠 제작을 의뢰하는 방식은 3가지가 가능하다. 즉, 콘텐츠 미디어 객체의 지정 없이 콘텐츠 제작 의뢰만 하는 제1방식과, 특정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지정하면서 콘텐츠 제작 의뢰를 하는 제2방식과, 블랭크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지정하면서 콘텐츠 제작 의뢰를 하는 제3방식이 그것이다. 또한 제 2방식과 제 3방식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In summary, the content production requester 50 may request three ways for content creation. That is, a first method of only requesting content production without designation of a content media object, a second method of requesting content production while designating a specific content media object, and a third method of requesting content production while designating a blank content media object This is it. In addition, the second method and the third method may be used together.

한편, 블랭크 콘텐츠 미디어 객체는 추후에 특정 콘텐츠 미디어 객체로 치환가능하다. 따라서, 일단 제3 방식에 따라 제작되거나, 콘텐츠 창작자가 임으로 블랭크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임의로 추가하여 작성된 콘텐츠의 블랭크 콘텐츠 미디어 객체(도 6의 A)는 추후 제작의뢰자가 원하는 특정 콘텐츠 미디어 객체(도 7의 A')로 치환할 수 있다.The blank content media object, on the other hand, may later be replaced with a specific content media object. Therefore, the blank content media object (A of FIG. 6) of the content, which has been produced according to the third scheme or created by the random addition of the blank content media object by the content creator, may be used by a specific content media object (see FIG. 7). A ').

콘텐츠 등록 모듈(420)은 콘텐츠 의뢰 모듈(410)에 콘텐츠 제작의뢰자(50)로부터의 콘텐츠 제작 의뢰가 접수된 경우, 객체 기반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콘텐츠 창작자(40)에 제공해주고, 이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이용하여 콘텐츠 창작자(40)가 객체 기반 콘텐츠를 제작한 경우 제작된 객체 기반 콘텐츠를 등록받는다.The content registration module 420 provides the content creator 40 with a content media object necessary for object-based content production when the content production request from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is received in the content request module 410. When the content creator 40 produces object-based content using the content media object, the produced object-based content is registered.

여기서, 콘텐츠 제작의뢰자(50)가 콘텐츠 제작 의뢰시에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제1 방식)에는 콘텐츠 의뢰 모듈(410)은 콘텐츠 제작의뢰자(50)로부터 콘텐츠 제작 의뢰가 접수되었다는 취지를 콘텐츠 창작자(40)에게 공지해 줄 수 있다.Here, when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does not specify the content media object at the time of the content production request (first method), the content request module 410 indicates that a content production request has been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The content creator 40 may be notified.

반면, 콘텐츠 제작의뢰자(50)가 콘텐츠 제작 의뢰시에 콘텐츠 미디어 객체도 함께 지정한 경우(제2 또는 제3 방식)에는 콘텐츠 제작의뢰자(50)에 의해 제공된 블랭크 또는 특정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콘텐츠 창작자(40)에게 표시해 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also specifies the content media object at the time of the content creation request (second or third method), the content creator 40 may display the blank or specific content media object provided by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 Can be displayed.

평가 모듈(430)은 콘텐츠 창작자(40)가 콘텐츠 등록 모듈(420)에 업로드한 객체 기반 콘텐츠들을 소정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한 다음, 이 평가 기준에 따라 콘텐츠 창작자(40)에게 소정의 대가를 지급한다. 평가 기준으로서는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 평점, 추천수 등이 될 수 있다. 콘텐츠 창작자(40)에게 지급되는 대가는 리얼 머니 또는 사이버 머니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사이버 머니의 경우 일정량 이상이 되면 리얼 머니로의 환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evaluation module 430 evaluates the object-based contents uploaded to the content registration module 420 by the content creator 40 according to predetermined evaluation criteria, and then gives a predetermined price to the content creator 40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give. The evaluation criteria may be views, ratings, recommendations, etc. for the content. The price paid to the content creator 40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real money or cyber money, and in the case of cyber money, if the amount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it may be configured to exchange money into real money.

이와 함께, 콘텐츠 관리부(400)에는 관리 모듈(미도시)와 콘텐츠 정보 DB(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manager 400 may further include a management module (not shown) and a content information DB (not shown).

관리 모듈은 콘텐츠 관리부(400) 내의 전반적인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즉, 시스템(10)에 업로드된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객체 DB(500)에 저장하고, 콘텐츠 창작자(40)에 의해 시스템(10)에 업로드된 객체 기반 콘텐츠를 콘텐츠 DB(600)로 저장한다. 또한, 객체 기반 콘텐츠 별로 창작자 및 삽입된 콘텐츠 미디어 객체의 정보를 추출하여 후술할 콘텐츠 정보 DB에 저장한다. The management module performs an overall management function in the content manager 400. That is, the content media object uploaded to the system 10 is stored in the object DB 500, and the object-based content uploaded to the system 10 by the content creator 40 is stored as the content DB 600.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f the creator and the inserted content media object for each object-based content is extracted and stor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DB to be described later.

콘텐츠 정보 DB에는 객체 기반 콘텐츠 별로 추출된 창작자, 삽입된 콘텐츠 미디어 객체 및 평가 결과(조회수, 평점, 추천수)의 정보가 대응하여 저장된다.In the content information DB, information about the creator, the inserted content media object, and the evaluation result (view count, rating, recommendation number) extracted for each object-based content are stored correspondingly.

한편, 콘텐츠 제작의뢰자(50)가 콘텐츠 의뢰시에 콘텐츠 미디어 객체도 함께 제공한 경우에는 콘텐츠 미디어 객체별로 이를 제공한 콘텐츠 제작의뢰자(50)의 정보도 콘텐츠 정보 DB에 저장된다. 아울러, 객체 기반 콘텐츠를 특정의 콘텐츠 제작의뢰자(50)가 구매한 경우에는 콘텐츠를 구매한 콘텐츠 제작의뢰자(50)의 정보도 콘텐츠 정보 DB에 저장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production requester 50 also provides a content media object at the time of requesting the content,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duction requester 50 that provides it for each content media object is also stor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DB. In addition, when the specific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purchases the object-based content,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who purchased the content is also stor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DB.

도 3 및 도 4는 콘텐츠 미디어 객체가 특정 콘텐츠 미디어 객체인 경우와 블랭크 콘텐츠 미디어 객체인 경우 각각에 대한 콘텐츠 정보 DB(430)에 저장된 내부 자료 구조의 일 예이다.3 and 4 are examples of internal data structures stor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DB 430 for the case where the content media object is a specific content media object and the blank content media object, respectively.

도 3은 콘텐츠 미디어 객체가 특정의 콘텐츠 제작의뢰자(50)로부터 제공된 특정 콘텐츠 미디어 객체인 경우로서 콘텐츠 객체(NF 소나타, 코카콜라) 별로 대응하는 콘텐츠 제작 의뢰자(현대 자동차, 코카콜라)가 저장된다. 또한, 이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이용하여 콘텐츠 창작자(40)가 객체 기반 콘텐츠를 창작한 경우 창작자의 아이디(ID) 및 창작된 콘텐츠명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창작된 각 콘텐츠들에 대한 평가 결과(조회수, 평점, 추천수)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3 illustrates a case where a content media object is a specific content media object provided from a specific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and corresponding content production clients (Hyundai, Coca Cola) are stored for each content object (NF Sonata, Coca-Cola).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creator 40 creates object-based content using the content media object, the creator's ID and the created content name may be stored together. In addition, evaluation results (view count, rating, recommendation number) for each of the created contents may be stored together.

도 4는 콘텐츠 미디어 객체가 블랭크 콘텐츠 미디어 객체인 경우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블랭크 콘텐츠 미디어 객체는 콘텐츠 제작의뢰자(50)가 콘텐츠 제작을 의뢰할 때 함께 제공될 수도 있고, 창작자가 임으로 추가하여 제작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블랭크 콘텐츠 미디어 객체는 변경객체 정보가 추가적으로 기재되어 저장된다. 이 변경객체의 정보는 추후에 제작의뢰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며 컨텐츠 재생부에 의해 콘텐츠가 재생될 때 블랭크 미디어 객체 대신 변경된 미디어 객체가 표시되게 된다.4 is a case where the content media object is a blank content media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blank content media object may be provided when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requests the production of the content, or may be added by the creator. The blank content media object additionally stores changed objec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changed object can be changed later by the production client, and when the content is played by the content player, the changed media object is displayed instead of the blank media object.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객체 DB(500)에는 추가, 치환을 위한 대상 객체(source object) 및 속성 변경을 위한 실행 객체(execution object)를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한다. 대상 객체의 일례로 비디오 객체, 오디오 객체, 이미지 객체, 효과 객체 등을 들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the object DB 500 stores a source object for addition and substitution and an execution object for attribute change in a database form. Examples of target objects include video objects, audio objects, image objects, effect objects, and the like.

여기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DB(500)에 저장된 객체에는 그 제공하는 객체들의 상품 가치 또는 제작 난이도 등에 따라 기본 객체(default object)와 향상된 객체(advanced object)로 구분할 수 있다. 기본 객체는 특별한 상품 가치가 있다고 보기 힘든 간단한 비디오 클립, 간단한 미디 음향, 간단한 도형 및 간단한 효과 객체가 이에 해당하고, 향상된 객체는 그와 같은 객체를 인터넷 콘텐츠에 적용함으로써 콘텐츠의 상품 가치가 향상될 수 있을만한 것들이 이에 해당한다. 일례로, 향상된 객체에는 하루 방문자 수 카운팅 객체, 디자인이 독특한 배경 이미지 객체, 최신 음원 객체, 특별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는 플래시 객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bjects stored in the object DB 500 may be classified into a default object and an advanced object according to a product value or a production difficulty of the provided objects. Basic objects include simple video clips, simple MIDI sounds, simple shapes, and simple effect objects that are hardly considered to be of special commodity value, and enhanced objects can increase the value of content in content by applying such objects to Internet content. There are some things that might be possible. For example, the enhanced object may include a daily visitor counting object, a uniquely designed background image object, a modern sound source object, a flash object that provides a special visual effect, and the like.

기본 객체는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한편 향상된 객체는 유료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향상된 객체의 유료 제공을 위해 사용자에게 사이버 머니 결제 시스템이 더 구비되어야 한다. 사이버 머니 결제 시스템은 전자 상거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t is desirable that basic objects be provided free of charge to users while enhanced objects are provided for a fee. In this case, the cyber money payment system should be further provided to the user in order to provide an improved paid object. Since the cyber money payment system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electronic commerc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물론, 기본 객체와 향상된 객체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객체를 무료로 제공할 수도 있다.Of course, you can also provide all the objects for free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the base and enhanced objects.

콘텐츠 DB(600)에는 콘텐츠 편집부(200)에 의해 제작되거나 편집된 객체 기 반 콘텐츠 파일이 저장된다. The content DB 600 stores an object-based content file produced or edited by the content editing unit 20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10)을 이용한 콘텐츠 주문제작 방법을 도 5를 참조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tent ordering method using a web-based content ordering system 10 using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10)을 이용한 콘텐츠 주문제작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content customization method using a web-based content customization system 10 using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콘텐츠 제작의뢰자(50)로부터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10)에 콘텐츠 제작 의뢰가 접수되면(S 110), 시스템(10)은 제작 의뢰 내용을 콘텐츠 창작자(40)에게 공지한다(S 120). 콘텐츠 제작 의뢰 방식은 전술한 것과 같이 콘텐츠 미디어 객체의 지정 없이 콘텐츠 제작 의뢰만 하는 제1방식과, 특정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지정하면서 콘텐츠 제작 의뢰를 하는 제2방식과, 블랭크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지정하면서 콘텐츠 제작 의뢰를 하는 제3방식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When the content produ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duction requester 50 to the web-based content production system 10 (S 110), the system 10 notifies the content creator 40 of the production request content (S 120).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creation request method includes a first method of requesting content production only without specifying a content media object, a second method of requesting content production while specifying a specific content media object, and a content while specifying a blank content media object. It can be any one of the third way of making a request.

콘텐츠 창작자(40)는 제작 의뢰 내용에 따라 콘텐츠를 편집 또는 제작한 다음 제작된 객체 기반 콘텐츠를 시스템(10)에 업로드한다(S 130). 여기서, 시스템(10) 내에 객체 기반 콘텐츠 편집수단이 마련됨으로써 콘텐츠 창작자(40)가 네트워크(20)를 통해 시스템(10)에 접속한 상태로 콘텐츠를 창작 또는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creator 40 edits or produce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production request content and then uploads the produced object-based content to the system 10 (S 130).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bject-based content editing means is provided in the system 10 so that the content creator 40 can create or edit the conten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ystem 10 through the network 20.

콘텐츠 창작자(40)에 의해 제작 또는 편집된 콘텐츠가 시스템(10)에 업로드되면, 시스템(10)은 업로드된 콘텐츠를 콘텐츠 감상자(30)에게 공지하고 콘텐츠 감 상자(30)는 공지된 콘텐츠를 조회한다(S 140).When the content produced or edited by the content creator 40 is uploaded to the system 10, the system 10 notifies the content viewer 30 of the uploaded content and the content sense box 30 views the known content. (S 140).

시스템(10)은 각 콘텐츠별로 소정의 평가 기준에 따른 평가 결과(조회수, 추천수, 평점 등)를 체크하여 이를 접속한 콘텐츠 제작의뢰자(50)에게 표시하거나 통보한다(S 150).The system 10 checks the evaluation result (the number of views,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the rating, etc.)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content and displays or notifies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that has accessed it (S 15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mplementation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도 1은 본 발명의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b-based content customization system using the object-based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콘텐츠 관리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ent management unit.

도 3 및 도 4는 콘텐츠 미디어 객체가 특정 콘텐츠 미디어 객체인 경우에 콘텐츠 정보 DB(430)에 저장된 내부 자료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3 and 4 illustrate an example of an internal data structure stor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DB 430 when the content media object is a specific content media object.

도 4는 콘텐츠 미디어 객체가 블랭크 콘텐츠 미디어 객체인 경우에 콘텐츠 정보 DB(430)에 저장된 내부 자료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data structure stor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DB 430 when the content media object is a blank content media objec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콘텐츠 커스터마이징 방법 중 신규 콘텐츠 생성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step of creating new content in the method for customizing internet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블랭크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객체 기반 콘텐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bject-based content produced using a blank content media object.

도 7은 특정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객체 기반 콘텐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object-based content produced using a specific content media object.

<도면의 주요 참조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Reference Marks in Drawings>

10: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10: Web-based Content Customization System

20: 네트워크 30: 콘텐츠 감상자 20: Network 30: Content Viewer

40: 콘텐츠 창작자 50: 콘텐츠 제작 의뢰자40: Content Creator 50: Content Creation Client

100: 회원 인증부 200: 콘텐츠 편집부100: member authentication unit 200: content editing unit

300: 콘텐츠 재생부 400: 콘텐츠 관리부300: content playback unit 400: content management unit

410: 콘텐츠 의뢰 모듈 420: 콘텐츠 등록 모듈410: content request module 420: content registration module

430: 평가 모듈 500: 객체 DB 430: evaluation module 500: object DB

600: 콘텐츠 DB600: content DB

Claims (13)

네트워크(20)를 통해 콘텐츠 제작의뢰자(50), 콘텐츠 창작자(40), 콘텐츠 감상자(30)가 접속가능하고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10)으로서,As a web-based content ordering system 10 using an object-based content that is accessible to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the content creator 40, the content viewer 30 through the network 20, 접속한 콘텐츠 창작자(40)가 미디어 객체를 이용하여 객체 기반 콘텐츠를 제작 및 편집가능하도록 하는 콘텐츠 편집부(200)와;A content editing unit 200 which allows the connected content creator 40 to create and edit object-based content using the media object; 상기 콘텐츠 편집부(200)에 의해 제작 또는 편집된 객체 기반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DB(600)와;A content DB (600) for storing object-based content produced or edited by the content editing unit (200); 객체 기반 콘텐츠를 형성할 미디어 객체를 저장하기 위한 객체 DB(500)와;An object DB 500 for storing media objects to form object-based content; 상기 콘텐츠 창작자(40)와 콘텐츠 제작의뢰자(50)을 연결해주는 매개역할을 하고, 추가적으로 소정의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객체 기반 콘텐츠를 평가하여, 이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객체 기반 콘텐츠를 창작한 콘텐츠 창작자(40)에게 소정의 대가를 지급하게 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부(400);A content creator who acts as a medium for connecting the content creator 40 and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and further evaluates the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aluation criterion, and creates the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 to this evaluation criterion. A content management unit 400 capable of paying 40 a predetermined pric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10).Web-based content ordering system using the object-based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40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400, 상기 콘텐츠 제작의뢰자(50)로부터 객체 기반 콘텐츠의 제작을 접수받는 콘텐츠 의뢰 모듈(410)과;A content request module 410 that receives production of object-base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duction requester 50; 상기 콘텐츠 의뢰 모듈(410)에 콘텐츠 제작의뢰자(50)로부터의 콘텐츠 제작 의뢰가 접수된 경우 객체 기반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콘텐츠 창작자(40)에 표시해주고, 이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이용하여 콘텐츠 창작자(40)가 객체 기반 콘텐츠를 제작한 경우 제작된 객체 기반 콘텐츠를 등록받는 콘텐츠 등록 모듈(420)과;When the content requesting module 410 receives a content creation request from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the content creator 40 displays a content media object required for object-based content production in the content creator 40, and uses the content media object. A content registration module 420 which registers the produced object-based content when the creator 40 produces the object-based content; 추가적으로 소정의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객체 기반 콘텐츠를 평가하여, 이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객체 기반 콘텐츠를 창작한 콘텐츠 창작자(40)에게 소정의 대가를 지급하는 평가 모듈(430);An evaluation module 430 for evaluating the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aluation criterion and paying a predetermined price to the content creator 40 who created the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on; 을 포함할 수 있는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10).Web-based content customization system using object-based content that may include a (10).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콘텐츠 의뢰 모듈(410)은 상기 콘텐츠 제작의뢰자(50)로부터 객체 기반 콘텐츠의 제작을 접수받을 때에 콘텐츠 미디어 객체도 함께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10).When the content request module 410 receives the production of object-base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the content-based content ordering system 10 using the object-based content is provided with a content media object. .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콘텐츠 미디어 객체는 특정의 콘텐츠 제작의뢰자(50)에 의해 제공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specified) 콘텐츠 미디어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10).And the content media object is a specified content media object capable of identifying whether or not it has been provided by a specific content creation client (50).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블랭크 콘텐츠 미디어 객체는 특정의 미디어 객체가 지정되지 않은 블랭크(blank) 콘텐츠 미디어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10).And wherein the blank content media object is a blank content media object to which a particular media object is not assigned.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관리 모듈(420)은 콘텐츠 미디어 객체를 제공한 콘텐츠 제작의뢰자(50)의 정보도 상기 객체 기반 콘텐츠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10).The management module (420) is a web-based content ordering system using the object-based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extracting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providing the content media object from the object-based cont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네트워크(2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회원인증부(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10).Web-based content ordering system using the object-based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ember authentication unit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for the user connected via the network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평가 기준은 조회수, 평점, 추천수 등등의 평가 방법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시스템(10).The evaluation criterion is a web-based content ordering system using the object-based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evaluation method, such as the number of views, ratings, recommendations. 네트워크(20)를 통해 콘텐츠 제작의뢰자(50), 콘텐츠 창작자(40), 콘텐츠 감상자(30)가 접속가능하고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방법으로서,As a web-based content customization method using the object-based content accessible to the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the content creator 40, the content viewer 30 through the network 20, (a) 콘텐츠 제작이 필요한 콘텐츠 제작의뢰자(50)가 콘텐츠 제작을 의뢰하는 단계;(a) requesting content production by a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requiring content production; (b) 콘텐츠 관리부(400)가 콘텐츠 제작 의뢰자(50)의 의뢰 내용에 따라 콘텐츠 창작자(40)들에게 제작 의뢰 내용을 공지하는 단계;(b) the contents management unit 400 notifying the contents creator 40 of the contents request according to the contents requested by the contents production client 50; (c) 상기 콘텐츠 제작 의뢰자(50)의 의뢰 내용에 따라 콘텐츠 창작자(40)가 객체 기반 콘텐츠 편집부(200)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편집하고 제출하는 단계;(c) editing and submitting the content by the content creator 40 using the object-based content edit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request content of the content production requester 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방법.Web-based content ordering method using the object-based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a) 단계에서 특정의 콘텐츠 제작의뢰자(50)에 의해 제공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specified) 콘텐츠 미디어 객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방법.Method of ordering web-based content using the object-based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step (a) a specific (media) content media object that can identify whether or not provided by a specific content production client (50).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a) 단계에서 초기에 특정의 미디어 객체로 지정되지 않고 추후에 변경 이 가능한 블랭크(blank) 콘텐츠 미디어 객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방법.In step (a), a blank content media object, which is initially designated as a specific media object and which can be changed later, is provided.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창작자(40)는 상기 시스템(10)에 접속한 상태로 시스템(10)에 마련된 객체 기반 콘텐츠 편집수단에 의해 객체 기반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방법.In the step (b), the content creator 40 creates object-based content by using object-based content editing means provided in the system 1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ystem 10. Web-based content customization method.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d) 제작된 콘텐츠 내용을 콘텐츠 감상자(30)에게 공지하고 제작된 콘텐츠를 소정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d) notifying the produced content contents to the content viewer 30 and evaluating the produced contents according to predetermined evaluation criteria; 상기 평가 기준은 조회수, 평점, 추천수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콘텐츠를 이용한 웹기반 콘텐츠 주문제작 방법.The evaluation criteria are web-based content ordering method using the object-based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of the number of views, ratings, recommendations.
KR1020080051491A 2008-06-02 2008-06-02 Web based contents custumizing system using object oriented contents editor and method thereof KR200901253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491A KR20090125396A (en) 2008-06-02 2008-06-02 Web based contents custumizing system using object oriented contents editor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491A KR20090125396A (en) 2008-06-02 2008-06-02 Web based contents custumizing system using object oriented contents editor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396A true KR20090125396A (en) 2009-12-07

Family

ID=41686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491A KR20090125396A (en) 2008-06-02 2008-06-02 Web based contents custumizing system using object oriented contents editor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539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784A (en) * 2019-05-31 2020-12-09 문지용 Ad billing method on mobile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784A (en) * 2019-05-31 2020-12-09 문지용 Ad billing method on mobile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ckstedt et al. The move to artist-led on-line music distribution: a theory-based assessment and prospects for structural changes in the digital music market
US8667016B2 (en) Sharing of presets for visual effects or other computer-implemented effects
US10007893B2 (en) Methods for online collaboration
US7930347B2 (en) Responsible peer-to-peer (P2P)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KR10093063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digital publication service system that performs digital publication service through wired and wireless network
US20170185981A1 (en) Methods for Online Media Collaboration and Licensing
US20060294571A1 (en) Collaborative video via distributed storage and blogging
US9201942B2 (en) Community based digital content auditing and streaming
JP2010530090A (en) Dynamic mixed media package
US201002118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sting Call
US20170161292A1 (en) Digital Content Item Collection Management Boxes (CCMBoxes) - Virtual digital content item collection, characterization, filtering, sorting, management and presentation systems, methods, devices and associated processing logic
CN105190667A (en) Channel-level advertising attributes in an internet-based content platform
JP2010510580A (en) Rights engine
JP5018352B2 (en) Server device that inserts and distributes advertisements in book content
WO2013106195A2 (en) Campaign manager
US91711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provision of multimedia materials
KR100854143B1 (en) Method for advertisement using moving picture user-created contents
KR1007914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ving image contents
KR20100070653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hat service for the users enjoying same contents
KR20100020091A (en) Method and system for billing an using fee about intelligent contents
US202300751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tent from creation to consumption
JP5397507B2 (en) Server device that inserts and distributes advertisements in book content
KR20090125396A (en) Web based contents custumizing system using object oriented contents editor and method thereof
JP2007226286A (en) Content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program
KR1009772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object oriented ucc based on world wide w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