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008A - Data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Data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008A
KR20090125008A KR1020090047671A KR20090047671A KR20090125008A KR 20090125008 A KR20090125008 A KR 20090125008A KR 1020090047671 A KR1020090047671 A KR 1020090047671A KR 20090047671 A KR20090047671 A KR 20090047671A KR 20090125008 A KR20090125008 A KR 20090125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ata
finger
uni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6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오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의진 filed Critical 오의진
Publication of KR20090125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0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PURPOSE: A data input device is provided to input data through contact movement or pressure of a finger on a spot of a sensing area. CONSTITUTION: A sensing input unit(10) senses a movement direction and a pressing angle of a finger on a plurality of indication positions and a reference position. The reference position is generated by contact of the finger to a sensing area. The plurality of indication positions is arranged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radially. The sensing input unit generate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A controller decides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of the finger from the input signal. The controller extracts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from a memory unit and inputs them.

Description

데이터 입력장치{DATA INPUT DEVICE}Data input device {DATA INPUT DEVICE}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감지영역의 임의의 지점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된 접촉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접촉이동 및 가압에 따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입력 이해도가 증가되어 숙달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입력 정확도가 향상되는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put device, which detects a touch of a finger to an arbitrary point of a detection area and inputs data according to a touch movement and pressure based on the detected contact area,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understanding of inpu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put device that is easy to master and improves input accuracy.

일반적으로 정보기기의 발달에 따른 정보의 중요성 확대로 인해 데이터 입력장치의 중요도 역시 증가되고 있다. 아울러, 정보기기에 사용되는 반도체 기술 및 정보처리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정보기기가 점차 소형화되고 대중화되어 이에 따라, 상기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In general, the importance of data input devices is also increasing due to the expansion of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devices. In addi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used in information devices, information devices are gradually miniaturized and popularized, and accordingly,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provide a data input device for quickly and accurately inputting the information.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1회의 입력동작에 1개의 음소(데이터)가 입력되는 소위 "1타 1음소"입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상기 "1타 1음소"의 입력대상이 한글일 경우에는 24개 이상의 음소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과 같은 입력키가 배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대상이 영어나 일본어 등의 외국어이거나 혼용해서 입력해야하는 경우에는 더욱 많은 수의 입력키가 배열되어야 함은 자명하다.In order to input data at a high speed, a so-called "one other one phoneme" input, in which one phoneme (data) is input in one input operation, needs to be made, and the input object of the "one other one phoneme" is Korean. In this case, input keys such as buttons for inputting 24 or more phonemes should be arranged. Therefore, if the input target is a foreign language such as English or Japanese, or if the input must be mixed, it is obvious that a larger number of input keys should be arranged.

상기와 같은 데이터 입력장치의 일예로 키보드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키보드는 임의의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 다수개의 입력키가 구비되고 각각의 입력키에는 입력되는 데이터가 배열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영문과 한글의 혼용으로 상기 입력키 하나에 두 개 이상의 데이터가 배열된다.An example of such a data input device is a keyboard,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keys for selecting arbitrary data, and the input data is arranged on each input key. Also, in general, two or more pieces of data are arranged in one input key by mixing English and Korean.

상기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100개 이상의 입력키가 구비되므로 상기 입력키가 형성되는 공간을 위한 최소한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휴대하여 사용하는 노트북 같은 경우에 기기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데이터 입력장치에 따른 전체 정보기기의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Since the keyboard is generally provided with 100 or more input keys, a minimum space for the space where the input keys are formed is limited, so that the size of the device is limited in the case of a portable notebook. There is a problem that miniaturization of information equipment is difficult.

또한, 상기 키보드는 근접하여 입력키가 다수 개 위치하게 되므로 빠른 입력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다른 입력키가 입력되거나 이웃하는 입력키가 함께 입력되어 오입력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keyboard has a plurality of input keys in close proximity, when a quick input is performed, another input key may be input or a neighboring input key may be input together, thereby causing a wrong input.

다른 데이터 입력장치인 PDA 등에서 사용되는 입력방법인 터치스크린 방식은 입력속도가 느리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키보드와 같이 다수개의 입력키를 대신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키보드와 비교하여도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부분과 함께 근접한 부분의 입력부분도 함께 입력되어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더욱 많으며 이러한 "간섭" 문제는 빠른 입력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touch screen method, which is an input method used in another data input device, such as a PDA, has a slow input speed, and when the touch screen is formed with an area for replacing a plurality of input keys, such as a keyboard, the user wants to input even when compared to the keyboard. In addition, the input portion of the adjacent portion is also input together with a portion that is incorrectly inputted more often. Such "interference" problem has a problem that causes a great inconvenience for a user who wants a quick input.

아울러, 휴대폰에서 사용되는 키패드 방식은 상기 휴대폰이 소형임에 따라 단지 12개의 버튼으로 24자 이상의 한글, 영문 등의 문자와 숫자, 기호 등을 모두 입력하다보니 1개의 버튼에 다수개의 문자를 중복 배열하고 하나의 음소를 입력하기 위해 반복입력이 불가피하고 여러 종류의 데이터 입력시 모드를 변화하여 입력해야함에 따라 입력이 느려지고 오작동이 많게 되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keypad method used in the mobile phone, since the mobile phone is small, only 12 buttons are inputted with letters, numbers, symbols, etc. of 24 or more Korean characters, so that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rranged in one button. In order to input a single phoneme, repeated input is inevitable, and when various types of data input modes have to be changed, the input becomes slow and malfunctions increase, thereby increasing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한국 특허출원 제10-2005-0107715호에 기재된 발명(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을 개발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도 1과 같은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the invention describ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10771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This prior art has an input device as shown in FIG.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입력장치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입력장치(1) 상에 기재되어 있는 데이터 상을 가압하거나 그 방향으로 이동시켜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In order to input data to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data on the input device 1 is pressed or moved in the direction to input corresponding data.

그리고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도 2의 (a)와 같이, 3시 방향을 향해 입력부(3)를 이동시켜 하나의 데이터를 입력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고, 다시 12시 방향을 향해 입력부(3)를 이동시켜 다른 하나의 데이터를 입력하여야 한다. In order to input two or more pieces of data sequentially,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A, the input unit 3 is moved toward the 3 o'clock direction to input one data, and then the un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gain, the input unit 3 must be moved toward 12 o'clock to input another data.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입력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다수의 데이터를 빠르게 입력하고자 할 때, 2번째 이후의 데이터의 입력동작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2의 (a)에서 ③과 같은 2번째 데이터에 대한 입력동작이 도 2의 (a)에서 ①과 ②를 행하면서 빠르게 이루어지면, 입력부(3)가 정확하게 12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도 2의 (b)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휘어지면서 12시 방향과 1시 방향의 중간지점을 향하거나 심한 경우 1시 방향으로 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연속된 데이터 입력시에 의도된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a user tries to input a plurality of data quick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put operation of the data after the second time is not performed correctly. That is, when the input operation for the second data such as ③ in FIG. 2 (a) is performed quickly by performing ① and ② in FIG. 2 (a), it is possible that the input unit 3 is precisely moved in the 12 o'clock direction. In fact, it may actually be bent toward the midpoint of the 12 o'clock and 1 o'clock directions or, in severe cases, the 1 o'clock direction as indicated by arrows in FIG.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tended data is not inputted during continuous data input.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입력장치에서는 데이터 입력을 위해서 정확한 이동 또는 가압을 행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입력장치(1)를 보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할 때, 입력부(3)의 이동방향을 방사상으로 정확히 맞추려고 가상의 이동방향과 혼동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In particular, in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necessary to perform accurate movement or pressurization for data input. Therefore, when the user inputs without viewing the input device 1, a virtually accurate radial direction of the input part 3 is adjusted. There was a problem of confusion with the direction of movement.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입력장치에서는, 입력부(3)가 입력키 타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도 2의 (a)에서 ①을 행한 상태에서 연속하여 다른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즉, 입력부(3)는 입력장치(1)에서 탄성체(5)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입력부(3)가 이동가능 범위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동작을 행한 상태에서 다른 입력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데에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In addition, in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input unit 3 is of an input key type,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input other data in the state of performing ① in Fig. 2A. That is, since the input unit 3 is surrounded by the elastic body 5 in the input device 1 and the range in which the input unit 3 is movable is limited, the input unit 3 is limited to continuously performing other inputs while the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There was no.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영역의 임의의 지점에 대해서도 손가락의 접촉이동이나 가압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input device that can input data to any point of the detection area through the movement or pressing of the finger.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지영역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연속하여 데이터 입력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input device capable of freely inputting data continuously without releasing a finger's contact with a sensing are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지영역에서 손가락의 접촉이동이나 가압이 지시위치에 대한 허용각도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면 그 지시위치에 대한 접촉이동이나 가압으로 인정되어 데이터 입력이 이루어지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ta input device in which a touch movement or pressure of a finger in a sensing region is recognized as a contact movement or pressure at a corresponding position when a finger moves or presses a finger within a range of an allowable angle with respect to the indicated position. It i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촉이동과 가압 이외에 기울임을 감지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input device capable of detecting tilt in addition to contact movement and press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협소한 면적 내에서도 많은 양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다양한 정보기기에 적용되어 상기 정보기기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ta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 large amount of data even in a narrow area and being applied to various information devices to achieve light weight and miniaturization of the information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장치용 단말기에서의 소정의 감지영역을 구비하는 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영역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생성되고 접촉이 해제되면 소멸하는 기 준위치와 상기 생성된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복수의 지시위치에 대한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입력부;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판단하여 해당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할당된 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data input device, comprising: a data input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sensing area in a terminal for an electronic device, the contact being generated by a finger contact with the sensing area; When released, the sensor detects a moving direction and a pressing angle of a finger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reference positions disposed radially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generated reference position to generate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An input uni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moving direction and a pressing angle of the finger from the input signal and extract and input data allocated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from the memory unit.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상기 감지영역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로 손가락이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접촉이동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가압입력으로 판단하며,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경사방향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기울임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로 손가락이 이동하면서 상기 감지영역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수평가압입력으로 판단한다.In this case, when the finger moves toward any one of the indication positions without pressing the detection area from the input signal from the detection input unit,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touch movement input is to the indication position, and the detection is performed. When the press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indication positions is detected in the input signal from the input unit, it is determined as the vertical pressure input to the indication position, and for one of the indication positions in the input signal from the sensing input unit. When the pressure in the oblique direction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as the inclination input to the indicating position, and the pressur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sensing area is sensed as the finger moves to any one indicating position from the input signal from the sensing input unit. If so, it is determined by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for the indicated position.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손가락의 이동방향이나 가압각도가 변경되어 감지되는 경우, 이전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이 종료되고 새로운 입력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ler detects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r the pressing angle of the finger in the input signal from the sensing input unit,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input according to the previous movement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is terminated and a new input is perform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해제되거나, 손가락의 동작이 정지하거나, 또는 손가락의 방향이동이나 가압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전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이나 상기 입력에 대한 시 도가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or an input according to a previous moving direction and pressing angle when the contact of the finger is released from the sensing input unit, the operation of the finger stops, or the direction movement or pressure of the finger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t is determined that an attempt to input is terminated.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해제되지 않았지만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의한 입력이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새로운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의한 입력이 개시되면, 종료된 지점을 기준위치로 하여 복수의 지시위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위치와 지시위치를 기준으로 새로운 입력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the input by the new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is started in the state in which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by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of the finger is not terminated but the contact of the finger from the input signal from the sensing input unit When the end point is a reference position, a plurality of indication positions may be generated, and a new inpu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generated reference position and the indication position.

여기서 상기 종료된 지점은, 이전의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된 시점 이후에 현재 손가락이 감지입력부에 접촉되어 있는 지점으로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된다.In this case, the terminated point is recognized by the controller as a point where the current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sensing input unit after the previous input is determined to have ended.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손가락의 이동방향이나 가압각도가 변경되어 감지된 경우, 손가락의 이전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과 손가락의 변경된 이동방향 또는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을 각각 별개의 입력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when the input direction from the sensing input unit is detected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r the pressing angle of the finger, according to the input direction and the changed movement direction or pressing angle of the finger according to the previous movement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of the finger. Each input may be determined as a separate inpu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방향-수직가압입력으로 판단하고, 기준위치 또는 기준위치와 복수의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준위치에 대한 중앙-수직가압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when the press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indication position in the input signal from the sensing input unit is determined, the direction-vertical pressure input to the indication position, and determines the reference position or reference position When the press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indicated positions is detected, it may be determined as the center-vertical pressure input to the reference posi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각 지시위치에 대한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표시부가 표시되는 표시창을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window on which a data display unit indicating data corresponding to an input for each indication position is displayed.

이때,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표시창의 주변에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데이터표시부는 각 감지영역에 대응되게 상기 표시창에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at least one sensing area may be provided around the display window, and the data display par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corresponding to each sensing area.

그리고 상기 데이터표시부에서는, 각 지시위치에 대한 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다른 색으로 표시되거나 깜빡이게 마련될 수 있다.In the data display unit, when an input to each indication position is performed,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may be displayed or blinked in a different color.

또한 상기 데이터표시부는, 상기 감지영역 상에서의 손가락의 이동방향에 대응되게 상기 표시창에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ata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to move in the display window in correspondence with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nger on the sensing area.

한편,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표시창에 마련되고, 상기 감지영역에 대해 손가락이 접촉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면적 주위로 데이터표시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area is provided in the display window, when the finger touches the sensing area,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the data display unit around the contact area.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영역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데이터표시부를 삭제한다.In this case, when the contact of the finger with respect to the sensing area is released, the controller deletes the data display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에서 방향이동이 기준위치로부터 특정 지시위치와 인접한 2개의 지시위치 각각의 중심선 사이의 각도범위에서 감지되면, 상기 특정 지시위치로 방향이동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if the direction movement is detected in the angular range between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center line of each of two adjacent indication position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he sensing input unit determines that the direction movement to the specific indication position.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에서 가압각도가 감지될 때, 상기 가압이 행해지는 면적의 중심위치와 가장 가까운 지시위치에 대해 입력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when the pressing angle is detected by the sensing input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is performed to the indication position closest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area where the pressing is per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는, 상기 감지영역에 기울임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기울임감지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임감지부에 대한 입력을 토대로 각 기울임감지부에 할당된 데이터를 입력 처리할 수도 있 다.In addition,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inclin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inclination in the detection area, the control unit, the data assigned to each inclination detection unit based on the input to the inclination detection unit You can also process input.

한편, 상기 감지영역에는, 수직가압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가압부가 상기 감지영역의 테두리 부근에 방사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부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가압부에 대한 수직가압입력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nsing area, a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capable of detecting vertical pressure are provided radially near the edges of the sensing region, and the control unit, when the input to the pressing unit is detected, is perpendicular to the pressing unit It can also be determined by the pressure input.

용어의 정의Definition of Ter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주요한 용어에 대해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The main terms used herein are defined as follows.

1) 이동방향1) direction of movement

본 발명에서는 감지영역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기준위치와 복수의 지시위치가 생성된다. 이때 손가락이 접촉되어 있는 기준위치로부터 복수의 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로 손가락이 감지영역을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는 방향을 "이동방향"이라고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nger touches the sensing area, a reference position and a plurality of instruction positions are generated. At this tim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nger move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 which the finger is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struction positions in a state where the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sensing region is referred to as a "moving direction".

2) 가압각도2) Press angle

본 발명에서 "가압각도"란 감지영역에서 손가락이 상기 감지영역을 가압하는 각도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angle" means an angle at which a finger presses the sensing area in the sensing area.

3) 접촉이동입력3) Contact movement input

"접촉이동입력"이란 감지영역에서 손가락이 접촉이동하되 감지영역에 대한 손가락의 가압은 이루어지지 않는 입력을 의미한다. 이때 약간의 가압은 이루어질 수 있지만, 상기 가압은 감지영역을 가압한 것으로 인정되지 않는 정도여야 한다."Touch movement input" refers to an input in which a finger moves a touch in the sensing area but the finger is not pressed against the sensing area. At this time, a slight pressurization may be made, but the pressurization should be such that it is not recognized as pressing the sensing region.

4) 수직가압입력4) Vertical pressure input

"수직가압입력"이란 감지영역을 손가락이 수직방향으로 가압함에 의해 수행되는 입력을 의미한다. 이때 수직방향이란 정확한 90°방향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대략 70°이상의 수직에 가까운 방향도 포함한다."Vertical pressure input" means an input performed by pressing a sensing area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vertical direction does not mean only an exact 90 ° direction, but also includes a direction close to a vertical direction of about 70 ° or more.

5) 기울임입력5) Italic input

"기울임입력"이란 감지영역에 대해 손가락이 경사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루어지는 입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울임입력은 경사방향의 가압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를 통해 파악하거나, 수평방향 가압과 수직방향의 가압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파악할 수도 있다."Tilt input" means an input made by pressing a finger in an oblique direction to a sensing area. This inclination input may be grasped by a sensing unit capable of sensing the pressing in the inclined direction or by combining the press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ress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6) 수평가압입력6) Horizontal pressure input

"수평가압입력"이란 감지영역에서 손가락이 방향이동하면서 수평방향으로 가압함에 의해 수행되는 입력을 의미한다. 즉, 수평가압입력은 수평으로 가압하면서 방향이동되는 경우를 말한다.The "evaluation pressure input" means an input performed by pressing a finger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moving a finger in a sensing area. That is,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refers to a case where the direction is moved while pressing horizontally.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감지영역의 임의의 지점에 대해서도 손가락의 이동방향이나 가압각도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입력 이해도가 증가되어 숙달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입력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ously input data at any point of the sensing area by us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inger or the pressing angle,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understanding of the input and thus facilitating mastery. The input accuracy is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영역에서 손가락의 방향이동이나 가압이 지시위치를 정확히 향하지 않더라도 그 지시위치에 대한 접촉이동이나 가압으로 인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이동이나 가압시에 사용자의 오입력이 현저히 줄어들어 정확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direction movement or pressure of the finger in the sensing region does not exactly point to the instruction position, it can be recognized as the contact movement or pressurization of the instruction position, and thus the user's mis-input is greatly reduced during the direction movement or pressurization. The advantage is that accurate data entry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향이동과 가압각도를 통하여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 수직가압입력 및 기울임입력 중 하나 이상이 수행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입력가능한 데이터 개수를 용이하게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향이동과 가압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e or more of the contact movement input,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the vertical pressure input and the tilt input can be implemented by the direction movement and the pressing angle, the number of inputtable data can be easily increased. Therefore, there are effects that can realize various functions through direction movement and pressurization.

아울러,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간단한 구성과 사용방법으로 인해 데이터 입력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기기에 적용가능하여 상기 정보기기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nvenience of data input due to a simple configuration and use method,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information device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and size of the information devic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전자장치용 단말기에서의 소정의 감지영역(R)을 구비하여 손가락의 동작감지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상기 감지영역(R)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생성되고 접촉이 해제되면 소멸하는 기준위치(S)와 상기 생성된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복수의 지시위치(D)에 대한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입력부(10);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판단하여 해당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할당된 데이터를 메모리부(미도시)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sensing area (R) in the terminal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is generated by contact of the finger with the sensing area (R) in a data input device using a motion detection of a finger. When the contact is released,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of the finger are sensed by detecting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of the finger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S which disappears and the plurality of indicating positions D disposed radially about the generated reference position S. A sensing input unit 10 generating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n angle; And a controller (not shown) for determining a moving direction and a pressing angle of the finger from the input signal and extracting and inputting data allocated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from a memory unit (not shown). All.

상기한 바와 같은 데이터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구현될 수 있으나, 전자장치용 단말기에서 손가락이나 도구의 접촉이나 가압을 감지하여 입력 처리할 수 있다면 터치스크린에 한정되지는 않고, 터치패드 또는 촉각센서 등도 이용가능하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손가락이나 도구의 접촉이나 가압이 발생하였을 때, 접촉에 따른 이동방향과 가압의 정도를 파악하여 가압이 이루어지는 각도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ta input device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on a touch screen, but the electronic devic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touch screen if it detects a touch or a pressure of a finger or a tool to process the input, and a touch pad or a tactile sensor may also be used. Available. In addition, when the contact or pressurization of the finger or the tool occurs,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ler can determine the angle at which the pressurization is made by grasping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degree of pressurization according to the contac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의 적용예로 PDA의 양단에 마련된 터치패드 상에 구현가능하다. 3 i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implemented on a touch pad provided at both ends of a PDA.

도시된 바와 같이, PDA의 양단에는 감지영역(R)으로서 터치패드가 각각 마련되고, PDA의 중단에는 감지영역(R) 상에서의 입력에 따른 출력을 나타내는 표시창(20)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표시창(20)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상기 표시창(20)에 표시되는 아이콘 등을 선택 또는 이동하여 명령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창(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영역(R) 상에서 데이터를 입력할 때에 감지영역(R)에서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따라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표시부(21)가 표시된다.As illustrated, touch pads are provided as sensing areas R at both ends of the PDA, and display windows 20 indicating outputs according to inputs on the sensing area R are provided at the middle of the PDA. In this case, the display window 2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o select or move an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20 to perform a comman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display window 20 includes data representing data that can be input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in the sensing area R when data is input on the sensing area R. FIG. The display unit 21 is displayed.

상기 데이터표시부(21)는 방사상 1열, 2열 또는 3열로 배열되고, 다시 각 열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칸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각 칸에는 입력가능한 데이터가 기재된다. 만일 상기 감지영역(R)에 대해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해 접촉이 동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데이터표시부(21)가 2열로 배열되고, 1열에는 지시위치(D)에 대한 접촉이동입력에 의해 입력가능한 데이터가 표시되며, 2열에는 지시위치(D)에 대한 수직가압입력에 의해 입력가능한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The data display unit 21 is arranged in one, two, or three rows in a radial manner, and each colum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el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each column, inputtable data is described. If the contact can perform the dynamic input and the vertical pressure input through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sensing area R, a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data display section 21 is arranged in two columns, The data inputtable by the contact movement input to the instruction position D is displayed, and the data inputtable by the vertical pressure input to the instruction position D can be displayed in the second column.

그리고 상기 데이터표시부(21)는 하나의 감지영역(R)에 하나 또는 두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개의 감지영역(R) 각각에 대해 하나씩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one or two data display units 21 may be provided in one sensing region R. One data display unit 21 may be provided for each of the two sensing regions R as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도 4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2열로 이루어지고 각 감지영역(R)에 대해 각각 마련되는 데이터표시부(21)가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표시부(21)에는 한글 자모, 영어의 알파벳, 일어의 히라가나 또는 가타카나가 배열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영어의 알파벳이 배열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데이터표시부(21)에는, 알파벳 이외에 기능키도 마련되어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4 illustrates a data display unit 21 having two columns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d for each sensing region R, respectively. In the data display unit 21, the Hangul alphabet, the English alphabet, the Japanese hiragana or katakana can be arranged. In this embodiment, the English alphabet is arranged. The data display unit 21 may include a function key in addition to the alphabet, and may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perform various functions.

또한 감지영역(R) 상에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가 감지되면 상기 데이터표시부(21)에서 그에 대응하는 칸은 다른 색으로 표시되거나 깜빡여서 상기 칸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도 28 참조).In addition, whe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are detected on the sensing area R, the corresponding column in the data display unit 21 may be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or blink to indicate that data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lumn is selected (see FIG. 28). ).

한편, 감지영역(R)에서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접촉이 행해지면, 상기 접촉에 따른 접촉면적을 통해 기준위치(S)가 결정된다. 상기 기준위치(S)는 감지영역(R) 상에 표시되지는 않는다. 즉, 기준위치(S)의 결정 및 처리는 제어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기준위치(S)가 결정될 정도의 손가락의 접촉은 데이터입력모드로 의 전환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하의 도면에서 표시되는 기준위치(S)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표시한 것일 뿐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nsing area R, when a contact is made to input data, the reference position S is determined through the contact area according to the contact. The reference position S is not displayed on the sensing area R. That is, the determination and processing of the reference position S are made in the control section, and the contact of the finger to the extent that the reference position S is determined means switching to the data input mode. Therefore, the reference position S displayed in the following drawings is only displayed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이렇게 기준위치(S)가 결정되면 상기 기준위치(S) 주변으로 방사상 이격되게 지시위치(D)가 가상으로 생성된다. 이때 상기 지시위치(D)는 데이터표시부(21)의 각 칸의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표시부(21)가 원주방향으로 8개의 칸으로 나뉘어져 있다면, 상기 지시위치(D)도 8방향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시위치(D)가 비록 감지영역(R) 상에 표시되지 않더라도, 데이터표시부(21)를 토대로 하여 데이터표시부(21)에서 기재된 데이터중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표시된 칸에 해당되는 지시위치(D)로 방향이동 또는 가압하여 해당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When the reference position S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instruction position D is virtually generated to be radially spaced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S. FIG. At this time, the instruction position (D)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cell of the data display unit (21). For example, if the data display portion 21 is divided into eight colum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instruction position D is also arranged in the eight directions. Accordingly, the user indicates that although the instruction position D is not displayed on the sensing area R, the instruc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lumn in which the data to be input among the data described in the data display unit 21 is displayed based on the data display unit 21. In (D), the direction data can be input by moving or pressing.

그리고 사용자가 데이터표시부(21)를 보면서 데이터를 입력할 때, 특정 지시위치(D)에 대한 정확한 방향으로 방향이동이나 가압을 하는 경우는 물론, 상기 지시위치(D)에 대한 허용각도범위 내에서 방향이동이 수행되거나, 가압이 행해지는 면적의 중심위치가 상기 지시위치(D)에 가장 근접하면, 그 지시위치(D)에 대한 방향이동이나 가압으로 인정될 수 있다.And when the user inputs data while looking at the data display unit 21, the direction or pressurization in the correc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indication position (D), as well as within the allowable angle range for the indication position (D) When the direction movement is performed or the center position of the area where the pressing is performed is closest to the instruction position D, it can be regarded as the direction movement or pressurization with respect to the instruction position D. FIG.

다시 말하면, 방향이동은 기준위치(S)로부터 특정 지시위치(D)와 인접한 2개의 지시위치(D)에 대한 각 중심선 사이의 각도로 이루어지면 특정 지시위치(D)에 대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irection movement may be regarded as the specific pointing position D if the angle is mad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 at an angle between each center line with respect to the two pointing positions D adjacent to the specific pointing position D. .

예를 들면, 1열의 1시 방향의 칸에 기재된 'b'로 방향이동할 경우, 12시 방향을 0°라 할 때 1시 방향의 지시위치(D)를 향하여 22.5°~67.5°범위(45°범위) 로 방향이동을 행하면 1시 방향의 지시위치(D)에 대응하는 'b'가 선택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direction is moved to 'b' in the column at 1 o'clock in the first column, a range of 22.5 ° to 67.5 ° toward the indication position D at the 1 o'clock position is assumed to be 0 ° in the 12 o'clock direction (45 °). Range), 'b' corresponding to the indicated position D in the 1 o'clock direction can be selected.

또한 가압에 대해서는 가압이 행해지는 면적의 중심위치가 가장 가까운 지시위치(D)에 대한 가압으로 인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pressurization, the center position of the area where the pressurization is performed can be recognized as the pressurization with respect to the closest indicated position D.

따라서 각 지시위치(D)에 대한 정확한 방향으로의 방향이동이나 가압을 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접촉이동이 해당 지시위치(D)에 대한 허용각도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가압이 행해진 면적 중심위치가 해당 지시위치(D)에 가장 근접하다면, 그 지시위치(D)에 대한 방향이동이나 가압으로 인정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direction movement or the pressurization in the correct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instruction position (D) is not performed, the contact movement is made within the allowable angle range for the instruction position (D) or the area center position where the pressurization is performed is indicated. If it is closest to the position D, it can be recognized as a direction movement or a pressurization with respect to the indicated position D, so that data input is more accurate and convenient.

또한 감지영역(R) 상에서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면, 상기 기준위치(S)는 소멸된다. 그리고 이후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감지영역(R)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그 접촉한 지점에서 다시 기준위치(S)가 생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finger is released from the sensing area R, the reference position S disappears. When a finger touches the sensing area R for inputting subsequent data, the reference position S is generated again at the touched point.

한편, 손가락을 지시위치(D)에 대해 방향이동하거나 가압한 상태에서 접촉을 해제하지 않으면, 상기 지시위치(D)에 접촉한 손가락의 접촉면적을 토대로 다시 기준위치(S)가 생성된다. 다시 말하면, 지시위치(D)에 대한 방향이동이나 가압에 의해 최초의 기준위치(S)가 이동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ntact is not released in the state where the finger is moved or pressed against the instruction position D, the reference position S is generated again based on the contact area of the finger in contact with the instruction position D. FIG. In other words, the first reference position S is moved by the direction movement or pressurization with respect to the indicated position D.

이때 상기 기준위치(S) 주변으로는 다시 지시위치(D)가 생성된다. 따라서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으면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입력할 수도 있고, 연속된 2개의 입력동작에 대응되는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instruction position (D) is generated again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S). Accordingly, two or more pieces of data may be continuously inputted, or new data corresponding to two consecutive input operations may be input unless the contact of the finger is released.

이와 같이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최초의 입력과 이후의 입력을 구분하는 방법은 가장 기본적으로는, 이동방향과 가압각도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지입력부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해제되거나, 손가락의 동작이 정지하거나, 또는 손가락의 방향이동이나 가압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전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이나 상기 입력에 대한 시도가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후의 방향이동 및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과 구분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wo or more pieces of data are to be continuously input,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the first input from the subsequent input may be basically determined whether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are changed. Or when the touch of the finger is released from the sensing input unit, the movement of the finger stops, or the direction of movement or pressure of the finger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input according to the previous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or the attempt for the input May be determined to be terminated, and may be distinguished from an input according to a later direction movement and a pressing ang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는 기울임에 의해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다. 여기서, 기울임이란, 감지영역(R)에 접촉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대각방향으로 가압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입력을 말한다. 이러한 기울임을 감지하기 위해서 기울임감지부(17, 도 13 참조)가 마련될 수도 있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가압이 입력되면 이 입력신호를 해석하여 기울임으로 판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ta can be input by tilting. In this case, the tilt means an input made by pressing a finger in a diagonal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sensing region R. FIG. The tilt detection unit 17 (see FIG. 13)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tilt, and when the pressur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s input, the tilt signal may be interpreted and interpreted as tilt.

이상에서 설명된 데이터 입력장치에 대해 구체적인 도면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입력에 대한 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데이터표시부(21) 중 좌측에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data input devic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drawings. In the following example of the inpu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based on the arrangement on the left side of the data display unit 21 shown in FIG. 4.

<접촉이동입력><Contact movement input>

도 5는 감지영역 상에서의 접촉이동입력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data input by a touch movement input on a sensing area.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의 임의의 위치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감지입 력부(10)에서는 손가락의 접촉면적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에서는 감지입력부(10)에서 감지된 접촉면적으로부터 중앙지점을 선택하여 그 지점을 기준위치(S)로 결정하고, 상기 기준위치(S)의 방사상 이격된 지점에 복수의 지시위치(D)를 할당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a finger touches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sensing area R, the sensing input unit 10 detects a contact area of a finger. In addition, the controller selects a center point from the contact area detected by the sensing input unit 10 and determines the point as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plurality of indicating positions D at radially spaced points of the reference position S. Allocate

이와 같이 손가락의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감지영역에 대한 가압없이 손가락을 특정 지시위치(D) 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표시부(21)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시 방향으로 접촉이동하면 데이터표시부(21)의 1열의 1시 방향에 기재된 데이터인 'b'가 입력처리된다. As such, when the finger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pecific indication position D without pressing the sensing area while the contact of the finger is maintained, data of the data display unit 21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s inpu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contact is moved in the 1 o'clock direction, 'b' which is the data described in the 1 o'clock direction in the first column of the data display unit 21 is input.

이때 접촉이동에 의한 데이터의 입력은 접촉이동의 거리나 접촉이동의 시작점에 관계없이 이동방향으로 입력될 데이터가 결정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①, ②, ③은 모두 2번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접촉이동의 시작점의 위치나 이동거리에 관계없이 동일한 데이터가 입력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촉이동에 비해 도 7의 (b)에 도시된 접촉이동은 이동거리가 상대적으로 길다. 하지만, 도 7의 (a)와 (b)에 의해서는, 이동방향이 1시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동일하게 데이터 'b'가 입력된다.In this case, the data to be input by the contact movement is determined regardless of the distance of the contact movement or the starting point of the contact movement. That is, since 1, 2, and 3 shown in FIG. 6 all face the second direction, the same data is input regardless of the position or the moving distance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contact movement. In more detail, the contact movement illustrated in FIG. 7B is relatively long compared to the contact movement illustrated in FIG. 7A. However, in Figs. 7A and 7B, since the moving direction is toward 1 o'clock, the data 'b' is input in the same manner.

또한 도 7의 (c)에 도시된 접촉이동은 시작점이 도 7의 (a)와 (b)에 도시된 접촉이동과 상이하다. 하지만, 도 7의 (c)와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접촉이동은 모두 이동방향이 1시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동일하게 데이터 'b'가 입력된다.In addition, the contact movement shown in (c) of FIG. 7 is different from the contact movement shown in (a) and (b) of FIG. 7. However, in the contact movements shown in (c) of FIG. 7 and (a) and (b) of FIG. 7, since the moving direction is toward the 1 o'clock direction, data 'b' is input in the same manner.

따라서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더라도 동 일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시위치(D)의 대략의 방향을 인식하고 있다면, 감지영역(R) 상의 어느 위치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touch movement input is performed at any point on the sensing area R, the same data can be input. Therefore, if the approximate direction of the indication position D corresponding to the data to be input is recognized, the sensing area ( Data to be input at any position on R) can be easily input.

한편,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한 상태에서 감지영역(R)으로부터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으면, 손가락이 접촉이동된 지점에서 다시 기준위치(S)와 지시위치(D)가 가상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접촉이동된 지점에서 재차 접촉이동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act of the finger is not released from the sensing area R while the contact movement input is performed,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instruction position D are virtually generated again at the point where the finger is moved. Therefore, data can be input by contact movement again at the point of contact movement.

즉,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접촉면적을 기준으로 기준위치(S)와 지시위치(D)가 생성된다. 이때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을 수행하면 데이터 'c'가 입력처리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8A, when the finger touches the sensing area R,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instruction position D are generated based on the contact area. In this case, as shown in (b) of FIG. 8, when the contact movement is performed in the 3 o'clock direction, the data 'c' is input.

여기서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으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이동된 지점에서 다시 기준위치(S)와 지시위치(D)가 생성된다. 이때 도 8의 (c)와 같이 손가락의 접촉이동을 1시 방향으로 수행하면, 이동방향이 변경되었으므로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으로 파악하여, 그에 대응하는 데이터 'b'가 입력 처리된다. If the contact of the finger is not released here,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instruction position D are generated again at the point of contact movement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when the contact movement of the finger is performed in the 1 o'clock direction as illustrated in FIG. 8C, since the movement direction is changed, it is determined that new data is input, and the corresponding data 'b' is input.

따라서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으면 연속적인 접촉이동에 의해 다수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f the finger is not released, a plurality of data can be input by continuous contact movement.

이때 2개 이상의 접촉이동입력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면, 각각의 접촉이동과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wo or more touch movement inputs are continuously performed, new data different from each touch movement may be input.

<수직가압입력><Vertical Pressure Input>

도 9는 감지영역 상에서의 수직가압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data input by vertical pressure on a sensing area.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손가락의 접촉면적을 기준으로 기준위치(S)와 지시위치(D)가 생성된다. 이때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을 감지영역(R)에 접촉한 상태에서 3시 방향으로 수직가압을 하게 되면, 3시 방향의 가압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입력된다. 즉, 데이터표시부(21)에서 2열의 3시 방향에 기재된 'k'가 입력 처리된다.As shown in FIG. 9A, when the finger contacts the sensing area R,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instruction position D are generated based on the contact area of the finger.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B, when vertical pressure is applied in the 3 o'clock direction while the finger contacts the sensing region R, data corresponding to the 3 o'clock pressure is input. In other words, 'k' described in the two o'clock three o'clock direction is inputted in the data display unit 21.

이때 손가락을 최초 접촉한 상태에서 접촉이동을 수행하면 접촉이동된 상태에서 재차 기준위치(S)와 지시위치(D)가 생성되므로, 도 10과 같이 방향이동된 상태에서도 도 9의 (b)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직가압입력을 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contact movement is performed in the state of first contact with the finger,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instruction position D are generated again in the contact movement state, and thus, even when the direction is moved as shown in FIG. Vertical pressure input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way.

따라서 손가락의 방향이동에 의해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을 때, 접촉이동입력으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하면서 지시위치(D)에 대한 수직가압입력으로 마우스의 좌우버튼 누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에 의해 드래그나 파일끌기 등이 가능하고, 게임시에는 게임캐릭터를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각종 명령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mouse pointer can be moved by the direction movement of the finger, the left and right buttons of the mouse can be pressed by the vertical pressure input to the instruction position D while the mouse pointer is moved by the contact movement input. Such a function allows dragging, file dragging, and the like, and allows various commands to be executed simultaneously while moving a game character.

한편, 상기 수직가압입력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의 방사상 복수의 지점에 배치된 가압부(11)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가압부(11) 내측의 감지영역(R) 상에서는 방향이동을 수행하면서, 가압부(11)를 가압함 에 의해 해당 가압부(11)에 할당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pressure input, as shown in Figure 11, may be made through the pressing unit 11 disposed at a plurality of radial points of the sensing region (R). Therefore, the data allocated to the pressurizing unit 11 may be input by pressing the pressurizing unit 11 while moving the direction on the sensing region R inside the pressurizing unit 11.

이상과 같은 수직가압입력은 기준위치를 수직가압하였는지, 또는 지시위치를 수직가압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중앙-수직가압입력과 방향-수직가압입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수직가압입력은, 도 12의 (a)와 같이 기준위치(S)만을 가압하거나 도 12의 (b)와 같이 기준위치와 주변의 지시위치를 전체적으로 가압하는 경우에 수행되고, 방향-수직가압입력은, 도 12의 (c)와 같이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D)에 대해 가압하는 경우에 수행된다. The vertical pressure input as described above may be classified into a center-vertical pressure input and a direction-vertical pressure input according to whether the reference position is vertically pressurized or the indicated position is vertically pressurized. In more detail, the center-vertical pressure input is performed when pressing only the reference position S as shown in FIG. 12A or pressing the reference position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as shown in FIG. 12B as a whole. The direction-vertical pressure input is performed when pressing against any one of the indicated positions D as shown in Fig. 12C.

이때 중앙-수직가압입력은 모드 변환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표시부의 중앙에 추가적으로 데이터가 표시되는 경우에, 그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enter-vertical pressure input may be used for mode conversion, and when data is additionally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data display unit, it may be used when inputting the data.

<기울임입력><Tilt input>

도 13은 감지영역 상에서의 기울임입력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data input by tilt input on a sensing area.

도시된 바와 같은 감지영역(R)에는 터치패드와 같은 감지부(13) 상에 탄성체로 이루어진 리턴부(15)가 마련되고, 상기 리턴부(15) 내에는 다수의 기울임감지부(17)가 구비된다. 따라서 손가락을 감지영역(R)에 접촉한 상태에서 특정 지시위치(D)로 대각방향의 가압을 수행하면 상기 기울임감지부(17)가 이러한 손가락의 동작을 감지하여 기울임입력에 따른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한다. In the sensing region R as illustrated, a return unit 15 made of an elastic body is provided on a sensing unit 13 such as a touch pad, and a plurality of tilt detection units 17 are disposed in the return unit 15. It is provided. Therefore, when the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detection area R in a diagonal direction to a specific indication position D, the tilt detection unit 17 detects the motion of the finger so that data according to the tilt input is input. do.

이때 기울임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표시부(21)에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접촉이동입력과 수직가압입력과 더불어 기울임입력이 가능한 경우에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표시부(21)가 3열로 마련되어 상기 3열에는 기울임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한 데이터가 배열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data input by the tilt input is not displayed on the data display unit 21 shown in FIG. 4, but when the tilt input is possible together with the contact movement input and the vertical pressure input, as shown in FIG. 22, The data display unit 21 may be provided in three columns, in which data inputtable by the tilt input may be arranged.

또한 3차원의 물체의 그래픽 작업모드에서는, 상기 접촉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상기 물체의 이동을 수행하고, 상기 수직가압입력에 의해서는 가압방향으로 상기 물체를 회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울임입력에 의해서는 상기 물체가 기울어지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graphic work mod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moving the object by the contact movement input, and to rotate the object in the pressing direction by the vertical pressure input, the tilt input By the object can also be tilted.

이러한 기울임입력을 기울임감지부(17)로 감지하는 대신에, 감지영역(R) 상에서 감지되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가압을 조합하여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평방향의 압력값 20과, 수직방향의 압력값 30이 동시에 감지되면, 기울임입력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Instead of detecting the tilt input by the tilt detection unit 17, the tilt input may be performed by combin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ressures detected on the sensing area R. FIG.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ressure 30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sensed at the same time, it may be regarded as a tilt input.

<수평가압입력><Pressure rating input>

도 14는 감지영역 상에서의 수평가압입력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data input by horizontal pressure input on a sensing area.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가압입력은 감지영역(R)의 임의의 위치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로 손가락이 이동하면서 상기 감지영역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가압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수평가압입력은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를 향해 방향이동하면서 상기 지시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입력을 의미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may be performed by pressing the fing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nsing area while moving the finger to any one of the indicating positions while the finger is in contact with a certain position of the sensing area R. As shown in FIG. . That is,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refers to an input for pressing toward the instruction position while moving toward any one instruction position.

이러한 수평가압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영역에 배치되는 감지부(13)의 주변에 감지부(13)의 수평방향 이동을 감지하는 수평가압감지부(미도시)가 마련되고, 상기 감지부(13) 상에는 수평가압입력이 수행되면 탄성변형된 후 원상태로 복원 가능한 리턴부(1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A horizontal pressure sensing unit (not shown) for sensing a horizontal movement of the sensing unit 13 is provided around the sensing unit 13 disposed in the sensing area so as to detect the horizontal pressing input. When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is performed on (13), the return unit 15 may be further provided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fter elastic deformation.

상기 수평가압입력으로도 데이터표시부에 표시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데이터표시부의 2열에 배열된 데이터가 수평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한 데이터라면, 3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통하여 데이터 'k'의 입력이 가능하다. The data displayed on the data display unit may also be input by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For example, if data arranged in two columns of the data display unit shown in FIG. 4 is data that can be input by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data 'k' can be input through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in the 3 o'clock direction.

<두 개 이상의 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Continuous input by two or more inputs>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로 2개의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접촉이동을 연속하여 수행함으로써 1회의 접촉이동으로 2개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입력할 수 있다. When two data are to be input to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data can be continuously input by one contact movement by performing contact movement continuously.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데이터 'a'와 'c'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데이터 'a'와 데이터 'c'는 각각에 대한 접촉이동을 통해 개별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즉, 도 15의 (a)와 같이, 감지영역(R)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하면(②), 데이터 'a'가 입력된다. 그리고 감지영역(R)에서 손가락을 뗀 후 다시 감지영역(R)에 접촉(①)하여 도 15의 (b)와 같이 3시 방향으로 접촉이동하여(②) 데이터 'c'를 입력할 수 있다.In more detail, when data 'a' and 'c' are to be input, data 'a' and data 'c' may be individually input through contact movements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at is, as shown in (a) of FIG. 15, when the contact is moved in the 12 o'clock direction (1) in contact with the sensing region R (2), data 'a' is input. Then, after removing the finger from the sensing area (R), contact (①) again to the sensing area (R) to move the contact in the 3 o'clock direction (2) as shown in Fig. 15 (②) can enter the data 'c'. .

그러나 이러한 2회의 접촉이동을 수행하는 대신에, 도 15의 (c)와 같이, 최 초 접촉한 상태(①)에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을 행하고(②),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시 3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을 행하면(③), 도 15의 (a)와 (b)를 각각 순차적으로 행한 결과와 동일한 데이터가 입력된다.However, instead of performing these two contact movements, as shown in FIG. 15 (c), the contact movement is performed in the 12 o'clock direction from the first contact state (①) (2), and again in the state of maintaining contact. When contact movement is performed in the visual direction (3), the same data as the result of sequentially performing FIGS. 15A and 15B are input.

또한 3회 이상의 접촉이동을 연속적으로 3개 이상의 데이터를 차례로 입력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input three or more pieces of data in sequence for three or more contact movement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는 연속적인 입력을 통해 다수개의 데이터를 감지영역에 대한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한번에 입력가능하다. 이때 연속 입력은 접촉이동입력과 같은 하나의 입력만을 연속하여 수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합으로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ata can be inputted at a time without releasing contact with the sensing area through continuous input. In this case, the continuous input may be performed in various combinations as well as the case where only one input such as a contact movement input is continuously performed.

즉, 이상에서 설명한 접촉이동입력, 수직가압입력, 기울임입력 및 수평가압입력 각각을 수행한 상태로 다시 동일한 입력을 수행하여도 연속 입력이 가능하지만, 서로 다른 입력을 조합하여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even if the same input is performed again while performing the touch movement input, the vertical pressure input, the tilt input, and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as described above, the continuous input is possible, but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the different inputs continuously. Do.

이와 같은 연속 입력이 가능한 것은, 감지영역(R)에서 기준위치(S)가 정해져 있지 않고 손가락이 임의로 접촉한 지점을 기준으로 기준위치(S)가 결정되고, 접촉이 해제되지 않으면 기준위치(S)와 지시위치(D)가 현재 접촉한 지점을 기준으로 생성되기 때문이다.Such continuous input is possible in that the reference position S is not determined in the detection area R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finger arbitrarily touches, and the reference position S is not released. This is because the reference position D) is generated based on the current contact point.

이렇게 접촉상태에서 연속하여 방향이동 및 가압각도를 조절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므로, 연속적인 데이터 입력을 위해 기준위치(S)로 복귀할 필요성이 없 어 신속한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접촉상태에서 의도한 방향의 지시위치(D)로 바로 방향이동 또는 가압을 행하므로, 데이터 입력에 대한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입력키 방식은 이동한 상태에서 연속하여 지시위치(D)로 이동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은 입력한 상태에서 연이어 지시위치(D)로 자유롭게 접촉이동 또는 가압에 의한 입력이 가능하다.Since the data is input by continuously adjust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and the pressing angle in the contact state, there is no need to return to the reference position (S) for continuous data input. In addition, since the direction of movement or pressurization is immediately performed to the instruction position D in the intended direction in the contact state, the accuracy of data input can be improved. That is, the conventional input key method cannot move to the instruction position D continuously in the moved state,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inputted by contact movement or pressurization to the instruction position D successively in the input sta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 수직가압입력 및 기울임입력 중 둘 이상의 입력이 수행가능한 경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wo or more inputs of a touch movement input, a horizontal pressure input, a vertical pressure input, and an tilt input in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접촉이동입력과 수평가압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Continuous input by contact movement input and horizontal pressure input>

먼저 접촉이동입력과 수평가압입력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case in which the contact movement input and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are continuously performed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접촉이동입력과 수평가압입력을 구분한다. 즉, 이동방향은 동일하더라도 가압의 유무에 따라서 접촉이동입력과 수평가압입력은 서로 다른 입력으로 판단된다.The control unit in this embodiment distinguishes the contact movement input from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through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indicated positions. That is, even if the movement direction is the same, the contact movement input and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are determined to be different input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essure.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접촉이동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고, 2열은 수평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data display unit illustrated in FIG. 4, one column may be input by the contact movement input and two columns may be input by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이러한 접촉이동입력과 수평가압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 가 입력되는 예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1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data is input while the contact movement input and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are continuously performed.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상 임의의 위치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②) 도 4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a'가 입력되고, 다시 3시 방향으로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③) 데이터 표시부에서 'k'가 입력된다. 그리고 감지영역(R)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1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④) 데이터 표시부의 'b'가 입력되고, 다시 12시 방향과 9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연속으로 수행하면(⑤, ⑥), 'i'와 'o'가 순차적으로 입력된다.As shown in (a) of FIG. 16, when the contact movement input is performed in the 12 o'clock direction (①) in a state where a finger touches a certain position on the sensing area R (②), the data display unit of FIG. 'a' is input, and when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is performed again in the 3 o'clock direction (③), 'k' is input from the data display unit. Then, if the contact movement input is performed again in the 1 o'clock direction without releasing the contact of the finger with the sensing area R (④), 'b' is inputted in the data display unit, and again in the 12 o'clock and 9 o'clock directions. When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of is performed continuously (⑤, ⑥), 'i' and 'o' are input sequentially.

또 다른 예로서,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9시 방향으로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데이터 표시부의 'o'가 입력되고, 다시 12시 방향과 3시 방향으로의 접촉이동입력을 연속하여 수행하면(③, ④), 'a'와 'c'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며, 6시 방향으로 수평가압입력을 하면(⑤) 'm'이 입력된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16, when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is performed in the 9 o'clock direction (①) in a state where a finger touches an arbitrary point on the sensing area R (②), data is generated. If 'o'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touch movement inputs in the 12 o'clock and 3 o'clock directions are continuously performed (③, ④), 'a' and 'c' are sequentially input, and the 6 o'clock direction is input. When pressing the horizontal pressure (⑤) 'm' is input.

이상과 같이 감지영역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로 접촉이동입력과 수평가압입력을 연속하여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입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data can be inputted at the same time by continuously performing the touch movement input and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while the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sensing area.

<접촉이동입력과 수직가압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Continuous input by contact movement input and vertical pressure input>

다음으로, 접촉이동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case where the contact movement input and the vertical pressure input are continuously performed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 각도를 통하여 접촉이동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가압없는 방향이동을 접촉이동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없는 수직가압을 수직가압입력으로 파악한다.The control unit in this embodiment distinguishes the contact movement input from the vertical pressure input through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indicated positions. That is, the direction movement without pressure for a specific instruction position is identified as the contact movement input, and the vertical pressure without movement for the specific instruction position is identified as the vertical pressure input.

이러한 2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접촉이동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고, 2열은 수직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the data display unit illustrated in FIG. 4 so as to correspond to the two inputs, one column may be input by a contact movement input, and two columns may be input by a vertical pressure input.

이러한 접촉이동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1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data is input while the contact movement input and the vertical pressure input are continuously performed.

즉, 도 17의 (a)와 같이, 감지영역(R)에 접촉한 상태(①)에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여(②) 1개의 데이터(a)를 입력한다(도 4의 좌측에 기재된 데이터 표시부 기준). 그리고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3시 방향을 가압하여(③) 다시 1개의 데이터(k)를 입력한다. 또한 3시 방향에 대한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이어 3시 방향으로 접촉이동하여(④) 또 다시 1개의 데이터(c)를 입력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17A, in a state of contacting the sensing region R (①), a contact movement input is performed in the 12 o'clock direction (②) to input one data a (FIG. 4). Based on the data display section shown on the left). In the state where the contact is not released, the 3 o'clock direction is pressed (③) and one data k is input again. 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act with respect to the 3 o'clock direction is not released, the contact is moved in the 3 o'clock direction (④) and another data c is input again.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감지영역(R)에 손가락을 떼지 않고 다수의 데이터를 연속으로 입력할 수 있다. In the manner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data can be continuously input without removing a finger from the sensing area R.

또한, 도 17의 (b)와 같이, 감지영역(R)에 접촉한 상태(①)에서 3시 방향으로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여(②) 1개의 데이터(k)를 입력한다. 그리고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여(③) 다시 1개의 데이터(a)를 입력한다. 또한 이러한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이어 9시 방향의 지시위치(D)를 가압하여(④) 또 다시 1개의 데이터(o)를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7B, in the state in which the sensing region R is in contact with (1), vertical pressure input is performed in the 3 o'clock direction (②) to input one data k. Then, the contact movement input is performed in the 12 o'clock direction (③) while the contact is not released, and one data (a) is input again. 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such contact is not released, one position of data o can be input again by pressing the indication position D in the 9 o'clock direction (④).

또 다른 예로는, 도 17의 (c)와 같이, 감지영역(R)에 접촉한 상태(①)에서 3시 방향으로 가압입력을 하여(②) 1개의 데이터(k)를 입력한다. 그리고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여(③) 다시 1개의 데이터(a)를 입력한다. 또한 이러한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이어 3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행하여(④) 또 다시 1개의 데이터(c)를 입력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c) of FIG. 17, one data k is input by pressing in the 3 o'clock direction (②) in a state (1) in contact with the sensing region R (2). Then, the contact movement input is performed in the 12 o'clock direction (③) while the contact is not released, and one data (a) is input agai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put one data (c) again by performing a contact movement input (3) successively in the 3 o'clock direction without release of such a contact.

<접촉이동입력과 기울임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Continuous input by contact movement input and tilt input>

다음으로, 접촉이동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으로 수행되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Next, a case in which contact movement input and tilt input are successively performed to input data is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접촉이동입력과 기울임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가압없는 방향이동을 접촉이동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경사가압을 기울임입력으로 파악한다.The control unit in this embodiment distinguishes the contact movement input from the tilt input through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indicated positions. That is, the direction movement without pressure for a specific instruction position is identified as the contact movement input, and the tilt pressure for the specific instruction position is identified as the tilt input.

이러한 2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접촉이동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고, 2열은 기울임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the data display unit illustrated in FIG. 4 so as to correspond to these two inputs, one column may be input by the contact movement input, and two columns may be input by the tilt input.

이러한 접촉이동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data is input while the contact movement input and the tilt input are continuously performed is illustrated in FIG. 18.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②) 데이터 표시부의 'a'가 입력되고, 다시 3시 방향으로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③) 데이터 표시부의 'k'가 입력된다.As shown in FIG. 18A, when the touch movement input is performed in the 12 o'clock direction in a state where a finger touches an arbitrary point on the sensing area R (②) (②), 'a' Is input, and when the tilt input is performed again in the 3 o'clock direction (③), 'k' is input.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12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②) 데이터 표시부의 'i'가 입력되고,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3시 방향과 12시 방향으로의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③, ④) 데이터 표시부의 'c'와 'a'가 입력되며, 그 상태에서 다시 9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⑤) 데이터 표시부의 'o'가 입력된다.For anothe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18, when the tilt input in the 12 o'clock direction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a finger touches an arbitrary point on the sensing area R (①) (②) When the data display unit 'i' is input and the contact movement input is performed in the 3 o'clock and 12 o'clock directions without the finger being released (③, ④), the 'c' and 'a' In this state, when the tilt input to the 9 o'clock direction is performed again (5), 'o' of the data display unit is input.

<수평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Continuous input by evaluating pressure input and tilting input>

다음으로, 수평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으로 수행되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Next, a case in which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and the tilt input are continuously performed and data is inpu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수평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해 방향이동하면서 상기 지시위치로 가압하는 경우를 수평가압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경사가압을 기울임입력으로 파악한다.The control unit in this embodiment distinguishes the horizontal pressing input and the tilting input through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indicating positions. That is, the case where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struction position while the direction is move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instruction position is grasped by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and the inclination pressure on the specific instruction position is grasped as the tilt input.

이러한 2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수평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고, 2열은 기울임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the data display unit illustrated in FIG. 4 so as to correspond to these two inputs, one column may be input by horizontal pressure input, and two columns may be input by tilt input.

이러한 수평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data is input while the horizontal pressing input and the tilt input are continuously performed is illustrated in FIG. 19.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9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데이터 표시부의 'g'가 입력되고,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고 바로 9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③) 데이터 표시부의 'o'가 입력되며, 다시 6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④) 데이터 표시부의 'e'가 입력된다.As shown in (a) of FIG. 19, when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to the 9 o'clock direction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a finger is touched at a certain point on the sensing area R (②) (②), 'g' 'Is input, and if the tilt input is performed immediately in the 9 o'clock direction without releasing the contact of the finger (③),' o 'is inputted in the data display unit, and if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is performed in the 6 o'clock direction (④) ) 'E' of the data display section is input.

또 다른 예로서,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3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데이터 표시부의 'c'가 입력되고,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12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③) 데이터 표시부의 'i'가 입력된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19, when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in the 3 o'clock direction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a finger touches an arbitrary point on the sensing area R (②) (②) 'C' of the data display unit is input, and when the tilt input is performed in the 12 o'clock direction without the contact of the finger released (③), 'i' of the data display unit is input.

<수평가압입력과 수직가압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Continuous input by evaluating pressure input and vertical pressure input>

다음으로, 수평가압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이 연속으로 수행되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Next, a case in which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and the vertical pressure input are continuously performed and data is inpu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수평가압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방향이동을 하면서 상기 지시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경우를 수평가압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가압을 수직가압입력으로 파악한다.The control unit in this embodiment distinguishes between the horizontal pressing input and the vertical pressing input through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for any one of the indicated positions. That is, the case where the pressure is directed toward the instruction position while the direction of the specific instruction position is moved is determined by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and the vertical pressure on the specific instruction position is determined by the vertical pressure input.

이러한 2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수 평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고, 2열은 수직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the data display unit shown in FIG. 4 so as to correspond to these two inputs, one column may be input by the number evaluation pressure input, and two columns may be provided by the vertical pressure input.

이러한 수평가압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20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data is input whil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ressure inputs are continuously performed.

즉,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3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데이터 표시부의 'c'가 입력되고,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12시 방향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③) 데이터 표시부의 'i'가 입력된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20, when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3 o'clock in the state in which the finger touches an arbitrary point on the sensing area R (②) (②), 'c' is input, and when the vertical pressure input in the 12 o'clock direction is performed without releasing the contact of the finger (③), 'i' is input.

또 다른 예로서,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5시 방향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데이터 표시부의 'k'가 입력되고,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3시 방향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③) 데이터 표시부의 'c'가 입력된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20, when the vertical pressure input in the 5 o'clock direction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a finger is in contact with a certain point on the sensing area (①) (②), the data display unit 'k' is input, and when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in the 3 o'clock direction is performed without releasing the contact of the finger (③), 'c' is input.

<기울임입력과 수직가압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Continuous input by tilting input and vertical pressure input>

다음으로, 기울임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이 연속으로 수행되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Next, a case in which the tilting input and the vertical pressing input are continuously performed and data is inpu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기울임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경사방향 가압을 기울임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가압을 수직가압입력으로 파악한다.The control unit in this embodiment distinguishes the tilt input from the vertical press input through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indicated positions. That is, it grasps the inclination direction pressurization with respect to a specific instruction | indication position as a tilt input, and finds the vertical pressurization with respect to a specific instruction | indication position as a vertical pressure input.

이러한 2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기울임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고, 2열은 수직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the data display unit illustrated in FIG. 4 to correspond to the two inputs, one column may be input by the tilt input, and two columns may be input by the vertical pressure input.

이러한 기울임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data is input while the tilt input and the vertical pressure input are continuously performed is illustrated in FIG. 21.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1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②) 데이터 표시부의 'b'가 입력되고,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12시 방향으로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③) 데이터 표시부의 'i'가 입력된다.As shown in FIG. 21, when a tilt input toward the 1 o'clock direction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a finger is in contact with a finger on an arbitrary point on the sensing area R (②) (②), 'b' is inputted. When the vertical pressure input in the 12 o'clock direction is performed without releasing the contact of the finger (③), 'i' of the data display unit is input.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Continuous input by contact movement input, horizontal pressure input and tilt input>

다음으로,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으로 수행되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Next, a case in which the contact movement input,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and the tilt input are performed in succession to input data is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가압없는 방향이동을 접촉이동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방향이동을 하면서 상기 지시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경우를 수평가압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경사가압을 기울임입력으로 파악한다.The control unit in this embodiment distinguishes the contact movement input, the horizontal pressing input and the tilting input through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indicated positions. That is, it grasps the direction movement without pressurization about a specific instruction | indication position as a contact movement input, grasps the case where it presses toward the instruction | indication position, while making a direction movement to a specific instruction | indication position, as a horizontal pressurization input, and inclines with respect to a specific instruction | indication position. Determine pressurization by tilt input.

이러한 3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4에 도시된 2열의 데이터 표시부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열의 데이터 표시부로 변경될 수 있고, 3열의 데이터 표시 부에서 1열은 접촉이동입력으로 입력가능하고, 2열은 수평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며, 3열은 기울임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se three inputs, the data display unit of two columns shown in FIG. 4 may be changed to the data display unit of three columns as shown in FIG. 22, and in the data display unit of three columns, one column may be input as a contact movement input. , 2 columns may be input by horizontal pressure input, and 3 columns may be input by tilt input.

이러한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2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data is input while the contact movement input,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and the tilt input are continuously performed.

즉,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로 3시 방향의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②),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의 'c'가 입력되고, 다시 12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③),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i'가 입력되며, 이어서 9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④),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w'가 입력된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23, when the touch movement input of the 3 o'clock direction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a finger is touched (①) at an arbitrary point on the sensing area R (②), FIG. When the data display unit 'c' is input and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is performed again in the 12 o'clock direction (③), the 'i' is input in the data display unit in FIG. 22, and then the tilt input is performed in the 9 o'clock direction. (4), 'w' is input to the data display unit of FIG.

또 다른 예로서,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로 6시 방향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②),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u'가 입력되고, 다시 5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③),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의 'l'이 입력되며, 이어서 1시 방향으로의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④)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b'가 입력된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23, when the tilt input of the 6 o'clock direction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a finger is touched (①) at an arbitrary point on the sensing area R (②), FIG. When 'u' is input from the data display part 22 and horizontal pressure input is performed again in the 5 o'clock direction (③), 'l' is inputted in the data display part of FIG. 22, followed by the contact movement input in the 1 o'clock direction. (4) 'b' is input from the data display unit of FIG.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과 수직가압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Continuous input by contact movement input, horizontal pressure input and vertical pressure input>

다음으로,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이 연속으로 수행되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Next, a case in which the contact movement input,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and the vertical pressure input are successively performed to input data is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가압없는 방향이동을 접촉이동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방향이동을 하면서 상기 지시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경우를 수평가압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가압을 수직가압입력으로 파악한다.The control unit in this embodiment distinguishes the contact movement input,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and the vertical pressure input through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indicated positions. That is, the direction movement without pressure for a specific instruction position is identified as the contact movement input, and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is used to identify the case where the pressure is directed toward the instruction position while the direction movement is performed for the specific instruction position, and is perpendicular to the specific instruction position. Determine pressurization by vertical pressure input.

이러한 3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22에 도시된 3열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접촉이동입력으로 입력가능하고, 2열은 수평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며, 3열은 수직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order to correspond to these three inputs, in the three column data display unit shown in FIG. 22, one column may be input by a contact movement input, two columns may be input by a horizontal pressure input, and three columns may be input by a vertical pressure input. It may be arranged to.

이러한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24에 도시되어 있다.2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data is input while the contact movement input,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and the vertical pressure input are continuously performed.

즉,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11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②)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h'가 입력되고, 다시 3시 방향으로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③)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s'가 입력되며, 이어서 12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④)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i'가 입력된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24, when the contact movement input is performed in the 11 o'clock direction (1) in a state in which a finger touches an arbitrary point on the sensing area R (2), the data of FIG. If 'h' is input from the display unit and vertical pressure input is performed again in the 3 o'clock direction (③), 's' is input from the data display unit of FIG. 22, and then horizontal pressure input is performed in the 12 o'clock direction ( ④) 'i' is input to the data display unit of FIG. 22.

또 다른 예로서,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9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o'가 입력되고, 다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③)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a'가 입력되며, 이어서 9시 방향으로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④)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w'가 입력된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24, when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in the 9 o'clock direction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finger is in contact with a certain point on the sensing area R (①) (②) When 'o' is input from the data display unit of FIG. 22 and contact movement input is performed again in the 12 o'clock direction (③), 'a' is input from the data display unit of FIG. 22, and then the vertical pressure input is performed in the 9 o'clock direction. In operation (4), 'w' is input from the data display unit of FIG.

<접촉이동입력, 수직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Continuous input by contact movement input, vertical pressure input and tilt input>

다음으로, 접촉이동입력, 수직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으로 수행되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Next, a case in which the contact movement input, the vertical pressure input and the tilt input are successively performed to input data is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접촉이동입력, 수직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가압없는 방향이동을 접촉이동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가압을 수직가압입력으로 파악하며,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경사가압을 기울임입력으로 파악한다.The control unit in this embodiment distinguishes the contact movement input, the vertical pressing input and the tilting input through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indicated positions. That is, the direction movement without pressure for a specific instruction position is identified as the contact movement input, the vertical pressure for the specific instruction position is identified as the vertical pressure input, and the gradient pressure for the specific instruction position is identified as the tilt input.

이러한 3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22에 도시된 3열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접촉이동입력으로 입력가능하고, 2열은 수직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며, 3열은 기울임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order to correspond to these three inputs, in the three column data display unit shown in FIG. 22, one column may be input by a contact movement input, two columns may be input by a vertical pressure input, and three columns may be input by a tilt input. Can be prepared.

이러한 접촉이동입력, 수직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25에 도시되어 있다.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data is input while the contact movement input, the vertical pressure input, and the tilt input are continuously performed is illustrated in FIG. 25.

즉,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로 3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②)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c'가 입력되고, 다시 12시 방향으로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③)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i'가 표시되며, 이어서 3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④)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s'가 입력된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25, when the contact movement input is performed in the 3 o'clock direction with the finger in contact with a certain point on the sensing area R (①) (②), the data of FIG. If 'c' is input from the display unit and vertical pressure input is performed again in the 12 o'clock direction (③), 'i' is displayed from the data display unit of FIG. 22, and if the tilt input is performed in the 3 o'clock direction (④) In the data display of FIG. 22, 's' is input.

또 다른 예로서, 도 2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9시 방향으로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o'가 입력되고, 다시 12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 력을 수행하면(③)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q'가 입력되며, 이어서 3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④)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c'가 입력된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25, when a vertical pressure input to the 9 o'clock direction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a finger is in contact with a certain point on the sensing area R (①) (②) When 'o' is input from the data display unit of FIG. 22 and the device is tilted toward the 12 o'clock direction (③), 'q' is input from the data display unit of FIG. 22, and then the touch movement input is performed at the 3 o'clock direction. In operation (4), 'c' is input from the data display unit of FIG.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 수직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Continuous input by contact movement input, horizontal pressure input, vertical pressure input and tilt input>

다음으로,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 수직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으로 수행되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Next, a case in which the contact movement input,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the vertical pressure input and the tilt input are successively performed to input data is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 수직가압입력 및 기울임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가압없는 방향이동을 접촉이동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로 방향이동하면서 상기 지시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경우를 수평가압입력으로 파악하며,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가압을 수직가압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경사가압을 기울임입력으로 파악한다.The control unit in this embodiment distinguishes the contact movement input,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the vertical pressure input and the tilt input through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indicated positions. That is, it grasps the direction movement without pressurization about a specific instruction | position position as a contact movement input, and grasps the case where it presses toward the instruction | position position while moving to a specific instruction | position position as a horizontal pressure input, and calculates the vertical pressure with respect to a specific instruction | position position The vertical pressure input is used to grasp the slope pressure for a specific point.

이러한 4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22에 도시된 3열의 데이터 표시부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4열의 데이터 표시부로 변경될 수 있고, 도 26에 도시된 4열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접촉이동입력으로 입력가능하고, 2열은 수평가압입력에 의해 입력가능하며, 3열은 수직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고, 4열은 기울임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o correspond to these four inputs, the three column data display unit shown in FIG. 22 may be changed to four column data display units as shown in FIG. 26, and in the four column data display unit illustrated in FIG. 26, one column is a contact movement input. 2 columns may be input by horizontal pressure input, 3 columns may be input by vertical pressure input, and 4 columns may be input by tilt input.

이러한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 수직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27에 도시되어 있다.2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data is input while the contact movement input,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the vertical pressure input and the tilt input are successively performed.

즉, 도 2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3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도 26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k'가 입력되고, 다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③) 도 26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a'가 입력되며, 다시 9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④) 도 26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Shift'가 입력되고, 이어서 12시 방향으로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⑤) 도 26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q'가 입력된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27, when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in the 3 o'clock direction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a finger is in contact with a point on the sensing area R (①) (②), FIG. If the 'k' is input from the data display unit and the contact movement input is performed again in the 12 o'clock direction (③), the 'a' is input from the data display unit of FIG. 26, and if the tilt input is performed again in the 9 o'clock direction (④) 26, 'Shift' is input from the data display unit of FIG. 26, and then 'q' is input from the data display unit of FIG.

또 다른 예로서, 도 2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12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행한 후 6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③) 도 26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i'와 'm'이 순차적으로 입력되고, 다시 9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④) 도 26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g'가 입력되며, 이어서 1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과 11시 방향으로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⑤, ⑥) 도 26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z'와 'x'가 순차적으로 입력된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27,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to the 12 o'clock position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finger is in contact with a certain point on the sensing area R (1) and the 6 o'clock direction is performed. When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is performed (②, ③), 'i' and 'm' are sequentially input from the data display part of FIG. 26, and if the contact movement input is performed again at 9 o'clock (④), the data of FIG. 'G' is input from the display unit, and then, when the tilt input in the 1 o'clock direction and the vertical pressure input in the 11 o'clock direction (⑤, ⑥) are performed, 'z' and 'x' are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data display unit of FIG. Is enter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는 다양한 입력의 조합을 통하여 입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다양한 입력 형태 중에서 사용자가 편리하다고 느끼는 입력들이 수행가능하게 마련하여 입력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ay be performed through a combination of various inputs. In particular, among the various input forms, inputs that the user feels convenient may be provided to be performed to increase convenience of input.

<데이터표시부 표시방법><How to display the data display part>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표시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28과 같은 고정형, 도 29와 같은 이동형, 또는 도 30과 같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dat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lay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data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as a fixed type as shown in FIG. 28, a mobile type as shown in FIG. 29, or an integrated type as shown in FIG. 3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에 대한 손가락의 방향이동 또는 가압에도 불구하고, 데이터표시부(21)는 표시창(20)에 고정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손가락의 방향이동이나 가압에 의해 선택되는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표시부(21)에는 해당되는 데이터가 표시된 칸이 다른 색으로 표시되거나 깜빡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28, despite the direction movement or pressing of the finger on the sensing region R, the data display unit 21 may be positioned in a fixed state on the display window 20. At this time, in order to indicate the data selected by the direction movement or pressing of the finger, the data display unit 21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olumn on which the corresponding data is displayed is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or blinks.

즉, 도 28에서, ①과 같이 좌측의 감지영역(R)에 접촉한 손가락을 12시 방향으로 방향이동하면, 좌측의 데이터표시부(21)에서 1열의 12시 방향의 칸이 깜빡일 수 있다. 또한 도 16에서, ②와 같이 우측의 감지영역(R)에 접촉한 손가락을 3시 방향으로 수직가압하면, 우측의 데이터표시부(21)에서 2열의 3시 방향의 칸이 깜빡일 수 있다.That is, in FIG. 28, when the finger in contact with the sensing area R on the left side is moved in the 12 o'clock direction as shown in ①, the 12 o'clock column of the first column may blink on the left data display unit 21. In addition, in FIG. 16, when the finger touching the sensing area R on the right side is vertically pressed in the 3 o'clock direction as shown in FIG. 16, the cells at the 3 o'clock position in the second column may blink in the data display part 21 on the right side.

한편, 데이터표시부(21)는 도 29와 같이 이동형으로 마련되어, 감지영역(R)에 대한 손가락의 방향이동에 따라 표시창(20)에서 이동될 수 있다. 즉, 도 29에서, ①과 같이 좌측의 감지영역(R)에 접촉한 손가락을 6시 방향으로 방향이동하면, 좌측의 데이터표시부(21)가 표시창(20)에서 6시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도 29에서, ②와 같이 우측의 감지영역(R)에 접촉한 손가락을 9시 방향으로 방향이동하면, 우측의 데이터표시부(21)가 표시창(20)에서 9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Meanwhile, the data display unit 21 may be provided as a movable type as shown in FIG. 29, and may be moved in the display window 2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with respect to the sensing area R. FIG. That is, in FIG. 29, when the finger in contact with the sensing area R on the left side is moved in the 6 o'clock direction as in ①, the data display part 21 on the left side is moved in the 6 o'clock direction on the display window 20. In addition, in FIG. 29, when the finger touching the sensing area R on the right side is moved in the 9 o'clock direction as illustrated in FIG. 29, the data display part 21 on the right side may be moved in the 9 o'clock direction on the display window 20.

또한 데이터표시부(21)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의 접촉위치의 주변에 손가락의 접촉면적과 일체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감지영역(R)에 소정 면적이상의 접촉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데이터입력모드를 활성화시켜 손가락의 접촉면적 주위에 데이터표시부(21)를 표시하고 손가락의 접촉이 해제되면 데이터표시부(21)를 사라지게 한다. 이때에는 손가락이 접촉하는 감지영역(R)은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경우에 손가락으로 인해 데이터표시부(21)가 가려지는 부분이 생길 수 있으므로, 상기 데이터표시부(21)는 터치스크린의 임의의 영역에 별도로 마련되어 데이터표시부에서 입력 가능한 데이터를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30, the data display unit 21 may be displayed integrally with the contact area of the finger around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nger. That is, when a touch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area is detected in the sensing area R, the control unit activates the data input mode to display the data display unit 21 around the contact area of the finger and to disappear the data display unit 21 when the contact of the finger is released. do.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ing region R, in which a finger touches, is provided on a touch screen that can be displayed. In this case, since a portion of the data display unit 21 may be covered by a finger, the data display unit 21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an arbitrary area of the touch screen so as to easily identify data inputtable from the data display unit. It may be.

이와 같이 데이터표시부(21)가 손가락이 접촉한 위치의 주변에 나타나면 사용자는 데이터표시부(21)를 직시하면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방향이동이나 가압을 하면, 상기 데이터표시부(21)는 방향이동이나 가압된 지점을 중심으로 이동하여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data display unit 21 appears in the vicinity of the position where the finger touches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input data while facing the data display unit 21. In this case, when the direction movement or pressure is applied, the data display unit 21 is preferably displayed by moving around the direction movement or pressure point.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not limited,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1 and 2 illustrate a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의 적용예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표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 display unit shown in FIG. 3;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접촉이동입력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data input by a touch movement input in the data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수직가압입력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9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data input by the vertical pressure input in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기울임입력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3 is a view for explaining data input by tilt input in the data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수평가압입력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4 is a view for explaining data input by a horizontal pressure input in the data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연속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ntinuous input in a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다양한 입력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6 to 21 are views for explaining various input combinations in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3개의 입력이 수행가능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표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 2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ta display unit that can be used when three inputs can be performed;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다양한 입력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23 to 25 are views for explaining various input combinations in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4개의 입력이 수행가능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표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 2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ta display unit that can be used when four inputs can be performed;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4개의 입력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2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bination of four inputs in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8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표시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8 to 30 are diagrams for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dat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감지입력부 11 : 가압부10: sensing input unit 11: pressurizing unit

13 : 감지부 15 : 리턴부13 detection unit 15 return unit

17 : 기울임감지부 20 : 표시창17: tilt detection 20: display window

21 : 데이터표시부 R : 감지영역21: Data display part R: detection area

S : 기준위치 D : 지시위치S: Reference position D: Indication position

Claims (18)

전자장치용 단말기에서의 소정의 감지영역을 구비하는 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A data input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sensing area in an electronic device terminal, 상기 감지영역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생성되고 접촉이 해제되면 소멸하는 기준위치와 상기 생성된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복수의 지시위치에 대한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입력부; 및 The movement is detected by detecting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of the finger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that is generated by the contact of the finger with respect to the sensing area and is extinguished when the contact is released and is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generated reference position. A sensing input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and a pressing angle; And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판단하여 해당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할당된 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moving direction and a pressing angle of the finger from the input signal and extract and input data allocated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from the memory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상기 감지영역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로 손가락이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접촉이동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가압입력으로 판단하며,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경사방향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기울임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어느 하나 의 지시위치로 손가락이 이동하면서 상기 감지영역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수평가압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The control unit, when the finger moves toward any one of the indication position without pressing the detection area in the input signal from the detection input unit, determines that the contact movement input to the indication position, from the detection input unit When the press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indication positions is detected in the input signal of, it is determined as the vertical pressure input to the indication position, and the inclin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any one indication position in the input signal from the sensing input unit is determined. When the pressure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as the inclination input with respect to the instruction position, and when the finger is mov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nsing region while the finger is moved to any one instruction position from the input signal from the sensing input unit. The data characterized in that the judging by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to the indication position Out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손가락의 이동방향이나 가압각도가 변경되어 감지되는 경우, 이전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이 종료되고 새로운 입력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input according to the previous movement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is terminated and a new input is performed when the movement direction or the pressing angle of the finger is detected by the input signal from the sensing input unit. Data in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해제되거나, 손가락의 동작이 정지하거나, 또는 손가락의 방향이동이나 가압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전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이나 상기 입력에 대한 시도가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The control unit, when the contact of the finger is released from the sensing input unit, the operation of the finger is stopped, or if the direction movement or pressure of the finger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input according to the previous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or the input And determine that the attempt to terminate the attempt.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해제되지 않았지만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의한 입력이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새로운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의한 입력이 개시되면, 종료된 지 점을 기준위치로 하여 복수의 지시위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위치와 지시위치를 기준으로 새로운 입력에 대해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When the input of the new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is started while the contact of the finger is not released from the input signal from the sensing input unit, but the input by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ressing angle of the finger is determined to be terminated,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indicating positions by using the terminated point as a reference position, and determining a new input based on the generated reference position and the indicating posit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종료된 지점은, 이전의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된 시점 이후에 현재 손가락이 감지입력부에 접촉되어 있는 지점으로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The terminated point is a data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is recognized as a point where the current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sensing input unit after the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vious input is terminated.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손가락의 이동방향이나 가압각도가 변경되어 감지된 경우, 손가락의 이전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과 손가락의 변경된 이동방향 또는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을 각각 별개의 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input an input according to a previous moving direction and an pressing angle of a finger and an input according to a changed moving direction or pressing angle of a finger when the moving direction or the pressing angle of the finger is changed in the input signal from the sensing input unit. The data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each as a separate inpu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방향-수직가압입력으로 판단하고, 기준위치 또는 기준위치와 복수의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준위치에 대한 중앙-수직가압입력으로 판 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The controller, when the press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indication position in the input signal from the sensing input unit is detected, determines that the direction-vertical pressure input to the indication position, the reference position or reference position and a plurality of And if the press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dicated position is detected, judging by the center-vertical pressure input to the reference posi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각 지시위치에 대한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표시부가 표시되는 표시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And a display window on which a data display portion indicative of data corresponding to an input for each indication position is displayed.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표시창의 주변에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데이터표시부는 각 감지영역에 대응되게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At least one sensing area is provided around the display window, and the data display un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corresponding to each sensing area.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데이터표시부에서는, 각 지시위치에 대한 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다른 색으로 표시되거나 깜빡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In the data display unit, when an input to each indication position is performed,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is displayed or blinked in a different color.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데이터표시부는, 상기 감지영역 상에서의 손가락의 이동방향에 대응되게 상기 표시창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And the data display unit is moved in the display window in correspondence with a movement direction of a finger on the sensing area.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표시창에 마련되고,The sensing area is provided in the display window, 상기 감지영역에 대해 손가락이 접촉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면적 주위로 데이터표시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And when a finger touches the sensing area, the control unit displays a data display unit around the contact area.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영역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데이터표시부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The control unit may delete the data display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when the contact of the finger with respect to the sensing area is releas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에서 방향이동이 기준위치로부터 특정 지시위치와 인접한 2개의 지시위치 각각의 중심선 사이의 각도범위에서 감지되면, 상기 특정 지시위치로 방향이동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direction movement is performed to the specific indication position when the direction movement is sensed in the angular range between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center line of each of two adjacent indication positions. Data input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에서 가압각도가 감지될 때, 상기 가압이 행해지는 면적의 중심위치와 가장 가까운 지시위치에 대해 입력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an input is performed to an indication position closest to a center position of the area where the pressing is performed when the pressing angle is detected by the sensing input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감지영역에 기울임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기울임감지부가 더 마련되고,A plurality of tilt detection unit is further provided in the detection area for detecting the tilt,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임감지부에 대한 입력을 토대로 각 기울임감지부에 할당된 데이터를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The control unit inputs data allocated to each tilt detection unit based on the input to the tilt dete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감지영역에는, 수직가압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가압부가 상기 감지영역의 테두리 부근에 방사상으로 마련되고, In the sensing area, a plurality of pressing parts capable of sensing vertical pressure are provided radially near the edge of the sensing area,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부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가압부에 대한 수직가압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The control unit, if the input to the pressing unit is detected, the data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vertical pressure input to the pressing unit.
KR1020090047671A 2008-05-29 2009-05-29 Data input device KR2009012500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214 2008-05-29
KR20080050214 2008-05-29
KR20080069216 2008-07-16
KR1020080069216 2008-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008A true KR20090125008A (en) 2009-12-03

Family

ID=4137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671A KR20090125008A (en) 2008-05-29 2009-05-29 Data input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125008A (en)
WO (1) WO2009145593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5464B (en) * 2019-10-29 2023-05-02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Identification method of sliding signal, MCU, touch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306A (en) * 2005-11-10 2007-05-15 오의진 Device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symbols/number
KR101136367B1 (en) * 2005-11-10 2012-04-18 오의진 Device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KR20080010266A (en) * 2006-07-26 2008-01-30 오의진 Character input device
EP2054790A1 (en) * 2006-08-04 2009-05-06 Oh, Eui-jin Data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5593A2 (en) 2009-12-03
WO2009145593A3 (en)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753B1 (en) Apparatus and method input in terminal using touch-screen
US6104317A (en) Data entry device and method
KR1013910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6520699B2 (en) Keyboard
AU2007309911B2 (en) Input device
US201002594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77790B1 (en) Data Input Device
EP228467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JP2006524955A (en)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 and reduced keyboard
JP2011516948A (en) Data input device
KR20100028465A (en) The letter or menu input method which follows in drag direction of the pointer
KR101307345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key using multi touch point and method thereof
KR20080010364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80095811A (en) Character input device
NO315777B1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a user interface against an electrical device
KR20090125008A (en) Data input device
KR100994362B1 (en) Data input device
KR20100033879A (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KR20060108162A (en) Mobile terminal using optical sensor to perform navigation function
KR100810455B1 (en) Micro-keyboard simulator
KR20130025306A (en) Device for inputting data
US10082882B2 (en) Data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H0310390A (en) Character recognizing device
KR20100031423A (en) Character input device to discriminate input direction by the touch
KR101399150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