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440A - Portable terminal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440A
KR20090123440A KR1020080049513A KR20080049513A KR20090123440A KR 20090123440 A KR20090123440 A KR 20090123440A KR 1020080049513 A KR1020080049513 A KR 1020080049513A KR 20080049513 A KR20080049513 A KR 20080049513A KR 20090123440 A KR20090123440 A KR 20090123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rol
signal
remote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29914B1 (en
Inventor
김종환
백우현
오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9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914B1/en
Priority to US12/339,724 priority patent/US8160568B2/en
Priority to EP09152478.5A priority patent/EP2129089B1/en
Publication of KR20090123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4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9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and a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visually recognize a control menu by displaying the control menu while controlling a terminal place in a remote place. CONSTITUTION: Remote control connection is requested to a terminal(S10). Control menu information allowing remote control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control operations, which are performed by the terminal, is received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is kept(S11). A control menus related to the control menu information is displayed(S12). If the control menu is selected from the control menus,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S13).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 방법{PORTABLE TERMINAL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PORTABLE TERMINAL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단말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a terminal in a position where a user cannot directly operate and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and data storage.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having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a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Many new attempts are being applied to these multimedia devices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In one embodiment,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easily and conveniently.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 면서, 다양한 디자인적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while a mobile terminal is regarded as a personal portable device for expressing its individuality, various design forms are required.

휴대 단말기가 분실 또는 기타 등의 이유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원거리에서 제어하거나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If the user cannot access the portable terminal due to loss or the lik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allowing the user to remotely control the portable terminal or to receive information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a terminal in a position which a user cannot directly opera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없는 위치에 존재하는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 terminal existing in a position which a user cannot directly operate.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방법은, 단말기에 원격 제어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와 접속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이 수행하는 다수개의 제어 동작 중 원격 제어동작이 허용된 제어 메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 remote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requesting a remote control connection to a terminal, a plurality of operations performed by the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control menu information allowing a remote control operation during a control operation,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terminal when at least one control menu of the control menu is selected.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이 수행하는 다수개의 제어 동작 중 원격 제어동작이 허용된 제어 메뉴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단말기에 원격 제어 접속을 요청하고 수신된 메뉴정보를 처리하여 제어 메뉴를 구성하며 상기 제어메뉴 중 하나의 제어메뉴가 선택되면 제어신호를 발생 및 전송시키는 제어부;및 구성된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control menu information allowing a remote control operation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mong a plurality of control operations performed by the terminal, requesting a remote control connection to the terminal, and processing the received menu information to generate a control menu.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when one of the control menus is selected, and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configured control menu.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원거리에 있는 단말 기를 제어하면서, 그 제어메뉴를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가 제어메뉴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isplays the control menu while controlling the terminal device at a long distance,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control menu.

또한 단말기와 메뉴 정보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원격 제어 가능한 제어동작에 관련된 메뉴정보를 선택적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원격 제어 방법 사용시 네트워크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menu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by selective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menu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mote controllable control ope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n the network when using the remote control method.

또한 단말기와 메뉴 정보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모든 메뉴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정보를 송수신하므로, 원격 제어 방법의 데이터 송수신 속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menu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since a relatively small size of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compared to the cas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ll the menu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peed of the remote control method.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100)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기능적 관점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100 from a functional perspective is as follows.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한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들에 의해서도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The interface unit 170 includes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However,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more or less components than those illustrated in FIG. 1.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네트워크(Network) 사이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그리고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network.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select at least one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t may include.

상기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수신 모듈(111)이 방송신호 수신을 위해 이용하며 디지털 방송 수 신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이 있다. 상기 방송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도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broadcast system that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uses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broadcast includes, for exampl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Media Forward Link Only (MediaFLO),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not only for the above-described digital broadcast system but also for all broadcast systems that provide other types of broadcast signals.

상기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는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관계에 있다. 상기 무선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has a relationship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signals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외장 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or external to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데이터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communication module that enables short range communication.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등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법으로 계산하여 현 위치를 구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check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nclude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The GPS module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displayed in latitude and longitude. For example, the GPS module may obtain a current position by measuring time and distanc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calculating three different distances by trigonometry. A method of obtaining distance and time information from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the error with one satellite may be used. The GPS module can obtain the exact time along with the three-dimensional velocity information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atellite, as well as the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position.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음성) 신호 또는 비디오(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 (121)는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of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as necessary.

상기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제거 알고리즘을 가질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output in the call mode. The microphone 122 may have a noise removing algorithm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결합 될 수 있고, 이는 터치 스크린이라 칭해진다.The user input unit 130 enables the user to generate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The touch pad may be coupled to the display unit 151, which is called a touch screen.

상기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 단말기(100)의 방위, 휴대 단말기(100)의 움직임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의 전원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The sensing unit 140 is portable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orien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like. The sensing state is generated by detecting the current state of th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may be sensed.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unit 190,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the external device.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ired / wireless headset ports, external charger ports, wired / wireless data ports, memory card ports, ports for connecting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s, The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the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상기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 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It may include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In addition, the device equipped with the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produced in the form of a smart card (smart card).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의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달한다.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fer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or transfers the data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external device.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출력 모듈(152), 알람부 (1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nd the like.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에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 단말기 (100)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call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a UI, and a GUI.

상기 터치 스크린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TOLED(Transparrent OLED)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구비되 거나, 복 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적층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touch screen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or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nd TOLED (Transparrent OLE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form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For example, the ex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nd the in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tacked.

상기 음향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음향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음향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 (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also output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상기 알람부(153)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the event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he like. 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a vibration form.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 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80, and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You can also do 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of the optical disk.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50 on the Internet.

상기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통화 등에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it performs control and processing related to voice call, data communication, video call,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playing multimedia.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the lik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It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18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 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In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allow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o be performed.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executed by the controller 180.

이상에서는 기능적 관점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살펴보았다. 다음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기능적 관점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외부 구성요소들을 살펴본다. 이하에서는 간명한 설명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above,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from a functional point of view. Next , referring to FIGS. 2 and 3, external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rom a functional point of view.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lider type portable terminal is described as an example among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etc.,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a slider type portable terminal. no.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The portab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200 and a second body 205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200.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200 is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second body 205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body 200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body 205. The exposed stat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N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 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a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a user's operation.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or the like in an open state, but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manipulation o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body 200 is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220 and the first rear case 225.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220 and the first rear case 225.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ont case 220 and the first rear case 225.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바디(200),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the audio output module 152, the camera 121, or the first user input unit 21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body 200, specifically, the first front case 220.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가 층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nd the like, which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Since the touch pad is superimposed on the display unit 151 in a layered structure, the display unit 151 may operate as a touch screen to enable input of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상기 음향출력 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peaker. The camera 121 may be implemented to be suitab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or the like.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Like the first body 200, the case forming the exterior of the second body 205 is formed by the second front case 230 and the second rear case 235.

제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user input unit 215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body 205, specifically, on the front face of the second front case 230.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user input unit 245, the microphone 122, and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second front case 230 or the second rear case 235.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 (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user inputs 210, 215, and 245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130, and may be a method in which the user operates while giving a tactile feeling. Either may be employed.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or a wheel or jog method of rotating a key, or a manipulation method such as a joystick. May also be implemented.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제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제3 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휴대 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In functional terms, the first user input unit 210 may be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user input unit 215 may be used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or symbols. The third user input unit 245 may operate as a hot key for activating a special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122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itable for receiving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 (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 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ssage for allow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is wired or wirelessly,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with the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Bluetooth port (Bluetooth port), wireless LAN port, or the like, or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ommodate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nd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제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On the side of the second rear case 235 is mounted a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ment (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example, as a rechargeable batter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camera 121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rear case 235 of the second body 205.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camera 121 of the first body 200, and has a different pixel from the camera 121 of the first body 200. Can be.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camera 121 of the first body 200 has a low pixel so that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in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0 is generally used. It is desi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the subject is often photographed and not immediately transmitted.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은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250 and the mirror 255 may b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The flash 250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The mirror 255 allows the user to see the user's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self-photograph) herself using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제2 리어 케이스(235)에는 다른 음향출력 모듈(1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 모듈(152)은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 모듈 (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에 의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Another sound output module 152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second rear case 235.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f the second body 205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f the first body 200,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a speakerphone mode.

제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second rear case 235, an antenna 260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disposed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a call. The antenna 260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to the second body 205.

제1바디(200)의 제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 (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5)의 제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A portion of the slide module 265 that slidably couples the first body 200 and the second body 205 is disposed at the side of the first rear case 225 of the first body 200. 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265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ront case 230 side of the second body 205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the drawing.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camera 121 and the like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disposed in the second body 205,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 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260, 121 to 250, and 152 described as disposed on the second rear case 235, such as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may be the first body 200. ), It is also possible to be mounted mainly on the first rear case 225. In such a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disposed in the first rear case 225 in the closed state are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205. Further, even if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is not provided separately, the camera 121 of the first body is rotatably formed to be able to shoot up to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It may b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S. 1 to 3 may be operated in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 frame or packet, includ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satellite-based communication system. It can be configured to.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Next,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의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The communication system may use different air interfaces and / or physical layers. For example, a radio interface usable by a communication system may include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 (especially Long Term Evolution (LT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etc. May be includ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case of CDMA. However,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communication systems including the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100,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BS) 270, and 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275. ), And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280. The MSC 28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290 and is also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BSCs 275. The BSCs 275 may be coupled to the BS 270 through a backhaul line. The backhaul lin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E1 / 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or xDSL. Thus, a plurality of BSCs 275 may be included in the system shown in FIG.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 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Each BS 270 may include at least one sector, and each sector may include an omnidirectional antenna or an antenna point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BS 270. Each sector may include two or more antennas of various types. Each BS 27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 plurality of frequency assignments, each of which has a specific spectrum (eg, 1.25 MHz, 5 MHz, etc.).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를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The intersection of sectors and frequency assignments may be called a CDMA channel. BS 270 may be referred to as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 In this case, the word "base station" may be called the sum of one BSC 275 and at least one BS 270. The base station may also indicate “cell site”.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ors for a particular BS 270 may be called a plurality of cell site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용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GPS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a broadcasting transmitter (BT) 295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to terminals 100 operating in the system. The broadcast module 111 shown in FIG. 1 is provided in the terminal 100 to receive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by the BT 295. In addition, FIG. 4 illustrates multipl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s (GPS) satellites 300. The satellites 300 help to locate the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0. Although two satellites are shown in FIG. 4, useful lo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two or less or more satellites. The GPS module 115 shown in FIG. 1 cooperates with the satellites 300 to obtain desired location information. Here, the location can be tracked using all the techniques that can track the location, not just the GPS tracking technology. At least one of the GPS satellites 300 may optionally or additionally be responsible for satellite DMB transmiss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는,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 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는,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270)들을 제어한다.During typical ope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S 270 receives a reverse link signal from various terminals 100. At this time, the terminals 100 are connecting a call, transmitting or receiving a message, or performing another communication operation. Each of the reverse link signals received by a particular base station 270 is processed within by the particular base station 270. The data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BSC 275. BSC 275 provides call resource allocation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ality, including the organization of soft handoffs between base stations 270. The BSC 275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MSC 280, and the MSC 280 provides an additional transmission service for the connection with the PSTN 290. Similarly, PSTN 290 is coupled to MSC 280, MSC 280 is coupled to BSCs 275, and BSCs 275 are BS 270 to transmit forward link signals to terminals 100. Control them.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이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n internet protocol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일반적인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IP)기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휴대 단말기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른 엔드 유저(예를 들면, 다른 무선 휴대 단말기, 고정 단말등)와 통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는 무선 링크의 연결과 설정 및 제어를 위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접속망에 접속한다.In a typical Internet Protocol (IP)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portable terminal communicates with another end user (eg, another wireless portable terminal, fixed terminal, etc.) via a wireless interface.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s to a wireless access network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connection, setup, and control of a wireless link.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무선 접속망은 기지국, 제어국 및 교환장치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인터넷 엔드 유저인 상대 통신 노드의 트래픽에 대한 IP 데이터 패킷 및 접속 제어 신호의 IP 데이터 패킷은 이들 네트워크 장비들 사이의 무선 접속망을 통하여 전송된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에 무선 접속망이 기지국과 제어국 간의 영구적인 접속을 갖는 형태로 맞추어져 있다. 여기서 노드란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이 구현 및 탑재된 장치를 의미한다. An internet protocol based wireless access network is composed of a base station, a control station, and a switching network. An IP data packet for traffic of a counterpart communication node, which is an Internet end user, and an IP data packet of a connection control signal are transmitted through a wireless access network between these network equipments. In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radio access network is adapted to have a permanent conne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control station. Here, the node refers to a device in which the Internet protocol layer is implemented and mounted.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무선 접속망에서는 제어국뿐만 아니라 다수의 기지국이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무선 접속망의 호스트 노드로 간주된다. 제어국 및 다수의 기지국은 상호 접속된 다수의 계층2 및 계층3 교환기 또는 라우터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핵심망과의 상호 접속은 에지 라우터 등과 같은 외부의 다른 라우터에 의해서 이루어진다.In the internet protocol based wireless access network, not only a control station but also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re considered as host nodes of the internet protocol based wireless access network. The control station and the multiple base sta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interconnected multiple Layer 2 and Layer 3 exchanges or routers. Interconnection with the core network is by external routers such as edge routers.

무선 접속망은 다수의 제어국들 간의 통신뿐만 아니라 기지국과 그에 대응하는 제어국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무선 접속망에서는, 하나의 라우터와 계층3 교환장치간의 연결, 하나의 라우터 또는 계층3 교환장치와 하나 이상의 계층2 교환장치간의 연결을 통하여 호스트 노드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네트워크로 통신이 구성될 수 있다. The radio access network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corresponding control station as well as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control stations. In an internet protocol-based wireless access network, communication is configured as a network that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host nodes through a connection between one router and a layer 3 switching device, and between a router or a layer 3 switching device and one or more layer 2 switching devices. Can b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rnet protocol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100), 기지국(410), 제어국(420) 및 교환장치 네트워크(4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an internet protocol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terminal 100, a base station 410, a control station 420, and an exchange network 430. .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고정된 로컬 무선 접속망에 접속하여 무선 접속 서비스를 받는다.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a wireless access service by accessing a fixed local wireless access network.

기지국(410)은 고정 무선 접속망에 대한 무선접속을 지원한다. 기지국(410)은 무선 데이터의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RF)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트랜시버(Transceiver)가 수용된다. 또한 기지국(410)은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IF) 데이터 신호를 기저대역의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고, 해당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제어국(420)측으로 라우팅 및 전송하여 해당 데이터 신호가 해당 목적지로 라우팅 되도록 한다. 또한 기지국(410)은 제어국(420)으로부터 수신된 채널 등의 무선자원 할당에 대한 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The base station 410 supports radio access to a fixed radio access network. The base station 410 receives a transceiver to perform radio frequency (RF) signal processing of radio data.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410 demodulates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data signal into a baseband data signal, routes and transmits the data signal to the control station 420 through the corresponding channel,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signal to the corresponding destination. To be routed.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410 performs traffic processing for radio resource allocation such as a channel received from the control station 420.

제어국(420)은 다수의 호 제어자를 통하여 고정 무선 접속망에 대한 로컬 무선 자원을 할당 및 관리한다. 제어국(420)에 포함된 다수의 호 제어자에는 무선 호 접속 프로토콜이 위치하여, 논리적으로 휴대 단말기(100)와 외부의 다른 제어국간,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핵심망(440)간의 호제어 서비스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국(420)은 기지국 간의 이동성 보장을 위한 무선 호 접속기능을 수행한다. 호 처리 서비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00)측에서는 다수의 기지국들과의 연결을 통하여 호 제어 서비스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핵심망(440)측에서는 세션제어, 호 제어, 이동 제어, 부가서비스 제어 등의 상위 서비스를 통하여 호 제어 서비스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The control station 420 allocates and manages local radio resources for the fixed radio access network through a plurality of call controllers. Wireless call connection protocols are located in the plurality of call controllers included in the control station 420, and logically call control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other external control stations,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core network 440. Perform service processing functions. In addition, the control station 420 performs a radio call connection function to ensure mobility between base stations. In performing the call processing service,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a call control service request message through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nd the core network 440 side controls session control, call control, mobility control, additional service control, and the like. Receives a call control service request message through a higher service of the service.

교환장치 네트워크(430)는 호 제어 처리에 따라 목적지 주소를 갖는 기저대역 IP 패킷 데이터 형태의 제어신호 데이터 및 트래픽 데이터를 교환(switching) 하고 라우팅한다. 이를 위하여 교환장치 네트워크(430)는 하나 이상의 교환(Switch)장치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다수의 계층2 교환장치(431)와 계층 3교환장치(432)를 통하여 교환장치 네트워크(430)가 구성된다.Switch network 430 switches and routes control signal data and traffic data in the form of baseband IP packet data having a destination address in accordance with call control processing. To this end, the switch network 430 includes one or more switch devices. In FIG. 1, a switching device network 430 is configured through a plurality of layer 2 switching devices 431 and a layer 3 switching device 432.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원격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P)는 사용자가 분실하거나 기타의 사유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없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단말기(P)가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없는 위치에 있을 때,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P)를 조작할 수 있는 방법 및 휴대 단말기가 요구된다.As shown in FIG. 6, the mobile terminal P may be in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not directly operate due to loss or other reason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and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the terminal P us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when the terminal P is in a position that the user cannot directly manipulate.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무선통신 부(1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단말기에 인증신호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P)와 접속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P)이 수행하는 다수개의 제어동작 중 원격 제어동작이 허용된 제어 메뉴 정보를 수신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 authentication signal and a control signal to a terminal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intains a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P. In this state,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operations performed by the terminal P, control menu information allowing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is receiv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and receive the signal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Internet protocol.

인증신호는 상기 단말기(P)에 억세스 하기 위한 인증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신호를 의미한다. 인증신호는 무선통신부(110)에 포함된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signal refers to a signal containing an authentication code for accessing the terminal (P). The authent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includ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또한 인증신호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인증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인증신호는 블루투스(Bluetooth)나 적외선 데이터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IrDA)방식 및 그 외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When the authent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the authent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Bluetooth or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scheme and other short range communications schemes.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어부(180)는 수신된 메뉴정보를 처리하여 제어메뉴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메뉴 중 선택된 제어메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부(110)를 통하여 전송하도록 하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이용하여 인증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이용하여 인증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troller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a received menu information to configure a control menu,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selected control menu among the control menus. If the transmiss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it is impossible to transmit the authentication signal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it may be to transmit the authentication sig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제어메뉴 중에서 어떠한 제어메뉴를 선택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ich control menu the user select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menus us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단말기(P)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을 얻기 위해 필요한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can generate an authentication code necessary to obtain an access right to acces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P).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출력부(150)는 제어부가 구성한 제어메뉴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상기 단말기(P)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output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 control menu configured by the controller or outpu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P. FIG.

상기 출력부(150)는 제어부가 구성한 제어메뉴와 상기 단말기(P)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단말기(P)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음성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152)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a display unit 151 for displaying a control menu configur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P), and a sound output module 152 for voice outputt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P). It may includ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이 상기 단말기(P)에 인증신호를 근거리 통신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단말들이 표시 될 수 있다.Whe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intends to transmit the authentication signal to the terminal P in short range communication,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terminals capable of short range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0.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어메뉴를 리스트 형태, 썸네일(Thumbnail)형태 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the control menu in a list form, a thumbnail form, 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m.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모리(160)에는 상기 단말기(P)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단말기(P)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영역은 별도의 폴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에 기 저장된 정보와 혼동되는 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별도로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억세스 하기 위해서, 별도의 인증코드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인증 코드는 휴대 단말기(100)의 메모리(160)에 저장된 상기 단말기(P)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P)의 사용자 이외의 제 3자가 열람하는 것을 최소화한다.As shown in FIG. 1,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P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16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area in whic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P is stored. The memory area may be embodied in a separate folder form and may mitigate confusion with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 order to access the separately set memory area, a separate authentication code may be set. The separate authentication code minimizes viewing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rminal P stored in the memory 16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by a third party other than the user of the terminal P.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자신의 단말(P)을 직접 조작할 수 없는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P)를 제어하고자 무선 통신부(100)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P)에 원격 제어 접속 요청을 할 수 있다(S10). 원격 제어 접속 요청을 하는 단계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 user who cannot directly operate his terminal P may request a remote control connection to the terminal P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0 to control the terminal P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There is (S10). The request for the remote control connection may be performed by using an IP multimedia subsystem (IMS).

상기 단말기(P)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원격 제어 접속이 허용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P)로부터 상기 단말기(P)가 수행하는 다수개의 제어동작중 원격 제어동작이 허용된 제어 메뉴 정보를 수신한다.(S11)When the remote control conn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permitted by the terminal P, the portable terminal 100 performs a plurality of operations performed by the terminal P from the terminal P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control menu information allowing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among the two control operations is received (S11).

상기 단말기(P)로부터 메뉴정보를 수신받은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된 메뉴정보와 관련된 제어메뉴를 출력부(15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메뉴정보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S12).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ing the menu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P may display a control menu related to the received menu information using the output unit 150. The menu information may be visually output using the display unit 151 (S12).

상기 디스플레이 된 제어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제어메뉴와 관련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P)에 전송한다(S13).When at least one control menu of the displayed control menu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generates a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selected control menu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terminal P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S13). ).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원격 제어 접속 요청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access request step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근거리 통신 가능한 단말의 목록을 휴대 단말기에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list of terminals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is displayed on a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단말기(P)의 원격 제어 접속을 허용받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10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P)와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단말기(P)와 통신을 시도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우선적으로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 (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사용자에게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따라서 근거리 통신 방법으로 인증신호 전송 및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요금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or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be allowed to access the remote control of the terminal P,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attempt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P through various methods.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P,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ay be preferentially attempted using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s described abov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Near field communication is not charged to the user. Therefore, when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signal transmission and remote control b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the charge burden can be minimized.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단말기(P)의 원격 제어 접속을 허용받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을 시도하면(S20),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주변에 존재하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단말을 검색한다. 휴대 단말기(100)의 출력부(150)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이 검색한 근거리 통신 가능한 주변 기기들의 목록이 출력될 수 있다(S21).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단말들의 목록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거리 통신이 가능한 단말들의 목록이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하여 음성출력될 수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ttempts short-range communication in order to be allowed to access the remote control of the terminal P (S20),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searches for a terminal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existing in the vicinity. The output unit 15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utput a list of peripheral devices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searched b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S21). As illustrated in FIG. 9, the list of terminals capable of short range communic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lternatively, a list of terminals capable of distance communication may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module 152.

근거리 통신 모듈(114)이 휴대 단말기(100) 주변에 존재하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단말을 검색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단말기(P)와 휴대 단말기(100)의 근 거리 통신 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Wh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searches for a terminal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that exists around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P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communicate in a short distance. It may be (S22).

상기 단말기(P)와 휴대 단말기(100)간에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인증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3). 인증신호에는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단말기(P)에 억세스 하기 위한 인증코드가 포함된다.When short-range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terminal P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transmit an authentication signal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S23). The authentication signal includes an authentication code for the mobile terminal 100 to access the terminal (P).

도 10은 단말과 휴대 단말기간에 근거리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이동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인증신호를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ransmitting an authentication sig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when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impossible.

상기 단말기과(P)과 휴대 단말기(100)간에 근거리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제어부(180)는 이동통신 모듈(113)을 이용하여 인증신호가 전송되게 할 수 있다(S24). 상기 근거리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는, 상기 단말기(P)에 근거리 통신 모듈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기(P)에 근거리 통신 모듈에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정도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 및 상기 단말기(P)에 장착된 근거리 통신 모듈이 인증신호가 도달할 수 없는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If short-range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between the terminal (P)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80 may allow the authentication signal to be transmitte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S24). Whe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is impossible, whe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not mounted in the terminal P, whe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to the terminal P and the terminal P It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the ()) exists in a position that the authentication signal can not reach.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인증신호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접속을 허용받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llowing a remote control connection using an authentication signal relat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인증신호가 입력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in which an authentication signal is input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 단말기(100)가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P)에 원격 제어 접속 요청을 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1) 상기 단말기(P) 또는 상기 단말기(P)을 제어하는 서버는 휴대 단말기(100)에게 인증신호 전송을 요구할 수 있다. 인증 신호 전송을 요구받으면, 휴대 단말기(100)는 인증 신호를 상기 단말기(P) 또는 상기 단말기을 제어하는 서버에 전송한다.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transmit a signal for requesting a remote control connection to the terminal P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S31) The server controlling the terminal P or the terminal P. The mobile terminal 100 may request transmission of an authentication signal. When the authentication signal transmission is requested,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an authentication signal to the terminal P or a server controlling the terminal.

인증신호는 고유의 인증코드와 관련된 신호를 포함한 신호일 수 있다. 인증코드란, 사용자가 제 3자가 자신의 단말(P)에 원격 제어 접속을 허용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고유의 식별코드를 의미한다.The authentication signal may be a signal including a signal related to a unique authentication code. The authentication code mean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used by a user to prevent a third party from being allowed to access a remote control to his terminal P.

인증코드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기 설정되어 있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 문자 또는 특수문자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거나(예를 들어, *12AB 등이 인증코드로 설정될 수 있다.), 연결 신호의 길이 또는 횟수, 또는 사용자의 생체인식데이터 및 사용자의 동작과 관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code may be preset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may be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numbers, letters, or special characters (for example, * 12AB may be set as an authentication code). It may be made in connection with the length or number of connection signals, or the biometric data of the user and the operation of the user.

도 12a, 12b, 12c를 참조하면, 상기 생체인식데이터는 지문데이터, 안구인식(홍체인식)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 등 일 수 있다. 12A, 12B, and 12C, the biometric data may be fingerprint data, eye recognition data, or voice data.

도 1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코드는 지문데이터와 관련된 신호 일 수 있다. 상기 지문데이터와 관련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지문데이터를 인식하거나, 터치패드와 별도의 지문 인식 모듈을 더 구비하여 지문데이터와 관련된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A, the authentication code may be a signal related to fingerprint data. In order to receive the signal related to the fingerprint data, the mobile terminal 100 recognizes the fingerprint data using the touch pad of the user input unit 130, or further includes a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separate from the touch pad, so that the signal related to the fingerprint data is received. Can be recognized.

상기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지문데이터를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 패드(130)의 특정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인증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패드(130)의 특정영역을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특정영역에 터치입력된 지문의 패턴을 분석하여, 이와 상응하는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전송한다. 상기 인증신호가 원격 제어 허용여부 결정을 위하여 기 설정된 인증신호와 일치하면, 원격 제어가 허용될 수 있다..When the fingerprint data is recognized using the touch pad, the user may input an authentication code by touching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d 130. When the user touches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d 130, the controller 180 analyzes the pattern of the fingerprint touched on the specific area, generates an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ing thereto, and transmits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f the authentication signal matches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o allow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 may be allowed.

상기 별도의 지문 인식 모듈을 더 구비하여 지문데이터를 인식하는 경우, 지문 인식 모듈을 광학 방식(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 또는 비 광학 방식(Silicon Chip Sensing)으로 구현될 수 있다. When the fingerprint data is further recognized by further including the separate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the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may be implemented by an optical method (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 or a non-optical method (Silicon Chip Sensing).

광학 방식의 경우, 일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이 존재하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광원이 빛을 조사하는 방향에 위치시키면, 상기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CCD(charge-coupled device)에 입력되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In the optical method, a light source radiates light in one direction, and when a user places a fing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source radiates light, the light reflected by the finger is input to a charge-coupled device (CCD). The signal may be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ferred to the controller of the portable terminal.

비 광학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실리콘 칩 표면에 손가락을 갖다 대면, 피부의 전기전도적 특성에 의하여 상기 손가락과 접촉하는 실리콘 칩 표면에 전기 전도적 특성이 변화하게 되고, 상기 변화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In the non-optical mode, when the user touches the surface of the silicon chip,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ilicon chip in contact with the finger is changed by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kin, and the change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Can be deliver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terminal.

도 1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코드는 홍채 데이터와 관련된 신호 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21)는 홍체 데이터의 입력을 위해 사용자의 눈동자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21)가 사용자의 안구를 촬영하면, 제어부(180)는 이를 분석하여, 이와 상응하는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인증신호가 원격 제어 허용여부 결정을 위하여 기 설정된 인증신호와 일치하면, 원격 제어가 허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B, the authentication code may be a signal related to iris data. As shown in FIG. 1, the camera 121 may photograph a pupil of a user for inputting iris data. When the camera 121 photographs the eyeball of the user, the controller 180 analyzes the generated eyeball, generates an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ing thereto, and transmits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f the authentication signal matches the preset authentication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o allow the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 may be allowed.

도 1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코드는 음성 데이터와 관련된 신호 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22)는 음성 데이터의 입력을 위해 사용자 의 목소리를 녹음할 수 있다. 마이크(123)가 사용자의 목소리를 녹음하면, 제어부(180)는 이를 분석하여, 이와 상응하는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신호가 원격 제어 허용여부 결정을 위하여 기 설정된 인증신호와 일치하면, 원격 제어가 허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C, the authentication code may be a signal related to voice data. As shown in FIG. 1, the microphone 122 may record a voice of a user for input of voice data. When the microphone 123 records the voice of the user, the controller 180 analyzes this, generates an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ing thereto, and transmits the sam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f the authentication signal matches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o allow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 may be allowed.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코드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패턴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패드(130)를 이용하여 특정한 터치 입력 패턴(도 12d에서는 S자 형상의 입력패턴)을 그리면, 제어부(180)는 상기 입력 패턴과 상응하는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신호가 원격 제어 허용여부 결정을 위하여 기 설정된 인증신호와 일치하면, 원격 제어가 허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D, the authentication code may be a signal related to a pattern of the user's touch input. When the user draws a specific touch input pattern (S-shaped input pattern in FIG. 12D) by using the touch pad 130, the controller 180 generates an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input pattern to gener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f the authentication signal matches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o allow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 may be allowed.

상기 인증신호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신호,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 데이터 및 음성데이터 등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packet data transmitted using an internet protocol, a 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 signal, short message service (SMS) data, and voice data.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전송한 인증신호와 기 설정된 인증신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33), 인증신호가 일치되면 원격 제어가 허용되고(S34), 불일치하면 원격 제어가 거부될 수 있다.(S35).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uthent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signal match (S33). If the authentication signal matches, remote control is allowed (S34), and if it does not match, the remote control may be rejected. (S35).

도 13a, 13b는 인증신호에 의해 원격 제어 접속이 허용되었는지 여부를 출력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3A and 13B illustrate an example of outputting whether a remote control connection is permitted by an authentication signal.

도 13a, 1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인증신호일치여부에 따른 원격제어허용여부가 출력될 수 있다(S36). 상기 원격 제어허용여부는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하여 음성 출력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3A and 13B, remote control permission according to whether the authentication signal is matched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36). The remote control permission may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module 152.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a, 15b, 15c, 15d 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제어메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5A, 15B, 15C, and 15D illustrate examples of a control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원격 제어가 허용되면, 상기 단말기(P)와 접속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P)로부터 상기 단말기(P)가 수행하는 다수개의 제어동작 중 원격 제어동작이 허용된 제어 메뉴 정보를 수신 할 수 있다(S43).If the remote control is allowed, while the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P is maintained, the portable terminal 100 controls a plurality of controls performed by the terminal P from the terminal P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During operation, the control menu information allowing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may be received (S43).

// 메뉴 정보에 대한 정의 //// definition of menu information //

상기 메뉴 정보는 제어부(180)가 제어 메뉴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코드 또는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메뉴를 구성하는 코드 또는 신호 그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수신된 메뉴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하여 제어메뉴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송수신되는 상기 메뉴 정보는, 상기 단말기(P)가 수행하는 다수개의 제어 동작 중 원격 제어동작이 허용된 제어 메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단말기(P)의 제어 동작 중 원격 제어동작이 허용된 제어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메뉴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menu information may include a code or a signal necessary for the controller 180 to construct a control menu. Or it may mean the code or signal itself constituting the control menu. The controller 180 may configure a control menu using all or part of the menu information received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menu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control menu information allowing a remote control operation among a plurality of control operations performed by the terminal P. FIG. The menu information may include the minimum menu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display the control menus allowing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dur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terminal P. FIG.

상기 메뉴 정보가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수 신된 메뉴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메뉴를 구성하고, 이를 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4).When the menu information is received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controller 180 may configure a control menu based on the received menu information and display it on the output unit (S44).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수신한 메뉴 정보를 모두 제어메뉴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A, the controller 180 may configure all received menu information as a control menu and display the same on the display unit 151.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P)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기 설정된 제어메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거나, 도 15c와 같이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새로운 이벤트와 관련된 제어메뉴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새로운 이벤트란,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P)에 대한 정보를 최종 확인한 후 새롭게 발생한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As shown in FIG. 15B, a predetermined control menu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terminal P or the mobile terminal 100, or a control menu associated with a new event not checked by the user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as shown in FIG. 15C. Can be. The new event not confirmed by the user includes a call signal reception, a message reception, a key signal input, etc. newly generated after the user finally checks the information on the terminal P.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메뉴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D, the control menu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도 16a, 16b, 16c 는 디스플레이된 제어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메뉴가 선택되는 모습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6A, 16B, and 16C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at least one control menu of the displayed control menus is selected.

제어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면(S44),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된 제어메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menu is displayed (S44), the user may operate the user input unit 130 to select at least one control menu from among the displayed control menus.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하여 제어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6A, the method of selecting the control menu may be a method of selecting the control menu through a user's touch input.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조그 다이얼 조작 입력을 통하여 제어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6B, the method of selecting the control menu may be a method of selecting a control menu through a jog dial manipulation input of a user.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키 패드 입력을 통하여 제어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6D, the method of selecting the control menu may be a method of selecting a control menu through a keypad input of a user.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제어메뉴 중 특정한 제어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제어신호를 상기 단말기(P)에 전송한다(S45).When a specific control menu is selected from the control 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controller 180 generates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terminal P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S45).

도 17a, 17b, 17c, 17d, 17e, 는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제어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7A, 17B, 17C, 17D, and 17E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ro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단말기(P)을 제어하는 제어동작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 동작은 상기 단말기(P)의 상태 변경 동작, 상기 단말기(P)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편집, 삭제 또는 전송 동작, 상기 단말기(P)의 메모리의 초기화 동작, 상기 단말기(P)의 위치정보 전송 동작, 상기 단말기(P)의 자동응답 기능 설정동작, 상기 단말기(P)에 향후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 전송 또는 착신 호의 착신전환동작, 상기 단말기(P)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 이외의 주변 기기들을 제어하는 동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may be related to a control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P. The control operation may include changing a state of the terminal P, editing, deleting or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terminal P, initializing the memory of the terminal P, and positioning of the terminal P. Information transmission operation, automatic response function sett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P), a short messag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P) or a call forwarding operation of the incoming call, the control of peripheral devices other than the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P) It may include an operation to perform.

상기 단말기(P)의 상태 변경 동작은, 상기 단말기(P)의 착신 모드 변경 동작, 상기 단말기(P)의 착신 음량 변경 동작, 상기 단말기(P)에 장착된 카메라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동작, 상기 단말기(P)에 장착된 카메라의 촬영 방향 변경동작, 상기 단말기(P)에 장착된 마이크의 활성화 및 비 활성화 동작, 상기 단말기(P)의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상태 변경 동작, 상기 단말기(P)의 위치 정보 모듈 활성화 및 비활성화 동작, 상기 단말기(P)의 사용자 입력부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동작, 상기 단말기(P)의 방송 예약 녹화기능 활성화 및 비활성화 동작, 상기 단말기(P)을 이용 한 다른 외부 단말 제어동작, 상기 단말기(P)의 메신저의 상태 설정 동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ate change operation of the terminal P may include an incoming mode change operation of the terminal P, an incoming volume change operation of the terminal P,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a camera mounted on the terminal P, and the terminal. Operation of changing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camera mounted on (P),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microphone mounted on the terminal (P), operation of changing the lighting state of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P),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P) Module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peration,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of the terminal P,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broadcast reservation recording function of the terminal P, control operation of another external terminal using the terminal P, and It may include a state setting operation of the messenger of the terminal (P).

상기 단말기(P)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는, 전화번호목록 데이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 착발신 및 부재중 통화목록 데이터, 스케쥴 데이터, 메모 데이터, 보이스 메일 데이터, 비쥬얼 보이스 메일(visual voice mail) 데이터, 웹 즐겨찾기(web favorites)데이터, 방송스케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terminal P may include telephone number list data, multimedia content data, incoming and outgoing call list data, schedule data, memo data, voice mail data, visual voice mail data, and web enjoyment. Web favorites data and broadcast schedule data may be included.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는 사진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음악 데이터, 녹화된 방송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media content data may include photo data, video data, music data, and recorded broadcast data.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동작은 착신 모드 변경일 수 있다. 도 17a 에 표시된 메뉴 중 벨소리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단말기(P)의 착신 모드 알림 신호를 벨소리로 변경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7A, the control operation may be a change in incoming mode. When the ringtone mode is selected from the menu displayed in FIG. 17A, the incoming mode notification signal of the terminal P may be changed to a ringtone.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동작은 상기 단말기(P)의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상태 변경 동작일 수 있다. 도 17b에서 밝기를 조절하는 단추를 사용자가 터치 후 좌우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상기 단말기(P)의 디스플레이부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단말기(P)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7B, the control operation may be an operation of changing the lighting state of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P. FIG. In FIG. 17B, when the user touches a button for adjusting brightnes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P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battery consumption of the terminal P can be reduced.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동작은 카메라 활성화 및 비활성화 동작 및 카메라의 제어동작일 수 있다. 상기 도 17c에 도시된 제어 메뉴 중 촬영시작을 터치하면, 상기 단말기(P)의 카메라가 작동되고, 카메라를 작동시킨 후, 카메라의 촬영 방향이나 플래쉬 세기 여부 등을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C, the control operation may be a camera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peration and a camera control operation. If the start of the touch of the control menu shown in FIG.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동작은 상기 단말기(P)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편집, 삭제 또는 전송 동작 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7C, the control operation may be an operation of editing, deleting, or transmitting data stored in a memory of the terminal P. FIG.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화번호부 불러오기를 선택하면, 상기 단말기(P)로부터 휴대 단말기(100)에 상기 단말기(P)의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부가 수신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집버튼을 선택하면, 사용자는 전화번호부의 내용을 편집 또는 삭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D, when the user selects to import a phone book, the phone book stored in the memory of the terminal P may be received from the terminal P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f the user selects the edit button in this state, the user can edit or delete the contents of the phone book.

도 17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동작은 자동응답 기능 설정 동작일 수 있다. 사용자가 자동응답 설정을 선택하고, 자동응답 녹음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단말기(P)의 호 연결시 출력될 자동응답 메시지가 설정될 수 있다. 도 17e는 자동응답 메시지가 음성 메시지인 또는 동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7E, the control operation may be an automatic response function setting opera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answering machine setting and selects the answering machine recording menu, an answering machine to be output when the call of the terminal P is connected may be set. 17E may be the video message or the auto-reply message is a voice message.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P)이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7).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단말기(P)이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신호, 상기 단말기(P)이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였음을 확인하는 신호, 상기 단말기(P)이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정보가 포함된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정보는 상기 단말기(P)에 저장된 착/발신 통화목록, 전화번호목록, 수신된 단문 메시지 정보, 상기 단말기(P)에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 및 착신 호 신호, 사진 데이터, 음향 데이터, 일정데이터, 녹화된 방송데이터, 웹 즐겨찾기 데이터, 방송 스케쥴 데이터, 보이스 메일 데이터, 비쥬얼 보이스 메일 데이터 및 메모 데이터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when the terminal P transmi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he mobile terminal 100 corresponds to the control signal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formation can be received (S47).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is a signal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P has received a control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terminal P corresponds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 signal confirming that the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and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included.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list of incoming / outgoing calls, a phone number list, received short message information, a short message and an incoming call signal, and a picture stored in the terminal P. Data, sound data, schedule data, recorded broadcast data, web favorite data, broadcast schedule data, voice mail data, visual voice mail data, memo data, and the like.

도 18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가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삭제되는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 terminal is stored and deleted in a memory of the portable terminal.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00)의 메모리(160)에는 상기 수신된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저장된 정보는 별도로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별도로 설정된 메모리영역에 억세스 하기 위한 별도의 인증코드가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receiv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16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stored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separately set memory area. A separate authentication code may be set to access the separately set memory area.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된 정보는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된 정보는 출력후 삭제될 수 있다(S53).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여 사용자의 해당 정보 삭제의사를 판단하고(S52), 선택적으로 출력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50.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50 may be deleted after the output (S53). The controller 18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receive the user'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30, determine the user's intention to delet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S52), and selectively delete the output information.

도 19, 20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가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모습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9 and 20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formation stored in a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도 19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단말기(P)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S50).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별도로 설정된 메모리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t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P in the memory 160 (S50).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may be stored in a memory area separately set for storing the information.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별도로 설정된 메모리 영역은 폴더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9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홍길동의 메시지 함'은 상기 단말기(P)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저장되는 별도의 폴더를 도시한 것이다.As illustrated in FIG. 19, the separately set memory area may be represented as a folder. In FIG. 19, 'Hong Gil Dong's message box' outputted to the display unit illustrates a separate folder in whic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P is stored.

도 20은 메모리의 특정 메모리 영역을 억세스하기 위한 별도의 인증코드가 설정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eparate authentication code is set for accessing a specific memory area of a memory.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별도로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억세스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설정된 인증코드를 입력하여야 한다. 도 20에는 인증코드가 비밀번호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인증코드는 음성데이터, 생체인식데이터(예를 들면, 지문데이터, 안구인식데이터 등), 사용자의 터치 동작 등 여러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별도의 인증코드는 단말(P)에 억세스하기 위한 인증코드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0, in order to access the separately set memory area, a separately set authentication code must be input. Although the authentication code is illustrated in FIG. 20 in the form of a password, the authentication code may be set in various forms such as voice data, biometric data (for example, fingerprint data, eye recognition data, etc.) and a user's touch operation. If there is no separate input from the user, the separate authentication code may be set to the same as the authentication code for accessing the terminal (P).

도 21a, 21b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가 휴대 단말기의 출력부에 표시되는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21A and 21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 terminal is displayed on an output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는 출력부(150)에 표시될 수 있다(S51). 도 21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출력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이용하여 음성출력될 수 있다.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may be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150 (S51). As shown in FIGS. 21A and 21B,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may be visually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voice output using the sound output module 152.

도 22는 출력된 정보가 삭제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outputted information is deleted.

상기 출력부(150)에 의해 출력된 정보는 메모리(160)에서 삭제될 수 있다(S53). 상기 출력된 정보가 메모리(160)에서 삭제될 때(S53), 사용자 입력에 의 해 상기 출력된 정보의 삭제여부를 제어부(180)가 판단할 수 있다(S52). 사용자가 출력된 정보를 삭제하기를 원할 경우, 상기 출력된 메세지는 메모리(160)에서 완전히 삭제된다.Information output by the output unit 150 may be deleted from the memory 160 (S53). When the output information is deleted from the memory 160 (S53),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output information is deleted by a user input (S52). If the user wants to delete the outputted information, the outputted message is completely deleted from the memory 160.

도 22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출력된 정보의 삭제여부를 제어부(180)가 판단하는 단계(S52)가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자에게 삭제여부 판단과정 없이 출력된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FIG. 22,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ted information is deleted by the user's input (S52). However, the controller 180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delete the outputted information without determining whether the outputted information is deleted. have.

도 23은 원격 제어 접속 중 제어 접속이 중단된 경우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controller when a control connection is interrupted during a remote control connection.

도 24는 원격 제어 접속 중 제어 접속이 중단된 경우 데이터의 전송 및 삭제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and deletion process when a control connection is interrupted during a remote control connection.

무선 통신부(110)의 접속이 안정하지 못하거나, 상기 단말기(P)에 무선 통신이 가능할 만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원격 제어가 중단되는 경우, 제어부는 현재 수정중인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2).If the remote control is interrupted due to the unstable connec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the insufficient pow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terminal P,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currently being modified. It may be (S62).

제어부(180)는 수정중인 데이터가 있으면 상기 수정중인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P)에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의 메모리(160)에 저장된 정보는 삭제할 수 있다(S64),If there is data being modified, 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the modified data to the terminal P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store the data.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6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deleted (S64),

수정중인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단말기(P)에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없이, 휴대 단말기(100)의 메모리(160)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S64).If there is no data being modifi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deleted without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terminal P (S64).

도 25는 원격 제어 중 상기 단말기에 호 연결 신호가 수신된 경우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when a call connection signal is received by the terminal during remote control.

도 26은 원격 제어 중 상기 단말기에 호 연결 신호가 수신된 경우 통화로가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path formed when a call connection signal is received by the terminal during remote control.

원격 제어 접속중에 상기 단말기(P)에 제 3자가 전화를 거는 등의 이유로 호 연결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출력부(150)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P)에 호 연결 신호가 수신 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S73).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입력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제 3자와 휴대 단말기(100) 간에 통화로를 형성할 의사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74). 사용자가 통화로 형성 의사가 있으면 통화를 연결하고(S75), 없으면 원격 제어를 계속한다(S76).If a call connection signal is received due to a third party calling the terminal P during a remote control connection, the controller 180 receives the call connection signal from the terminal P through the output unit 150. Can be displayed (S73).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tends to form a call path between the third party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by an input of the user input unit 130 (S74). If the user intends to establish a call, the user connects the call (S75), and if not, continues the remote control (S76).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rnet protocol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원격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6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원격 제어 접속 요청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access request step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근거리 통신 가능한 단말의 목록을 휴대 단말기에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list of terminals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is displayed on a portable terminal.

도 10은 단말과 휴대 단말기간에 근거리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이동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인증신호를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ransmitting an authentication sig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when near field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between a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인증신호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접속을 허용받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allowing a remote control connection using an authentication signal relat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인증신호가 입력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12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inputting an authentication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 13b는 인증신호에 의해 원격 제어 접속이 허용되었는지 여부를 출력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13A and 13B show an example of outputting whether or not a remote control connection is permitted by an authentication signal.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a, 15b, 15c, 15d 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제어메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15A, 15B, 15C, and 15D illustrate an example of a control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 16b, 16c 는 디스플레이된 제어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메뉴가 선택되는 모습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16A, 16B, and 16C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at least one control menu of the displayed control menus is selected.

도 17a, 17b, 17c, 17d, 17e은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제어동작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17A, 17B, 17C, 17D, and 17E show examples of a contro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도 18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가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삭제되는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 terminal is stored in a memory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deleted;

도 19, 20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가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모습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19 and 20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is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도 21a, 21b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가 휴대 단말기의 출력부에 표시되는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21A and 21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 terminal is displayed on an output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도 22는 출력된 정보가 삭제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outputted information is deleted.

도 23은 원격 제어 접속 중 제어 접속이 중단된 경우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 내는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FIG. 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controller when a control connection is interrupted during a remote control connection; FIG.

도 24는 원격 제어 접속 중 제어 접속이 중단된 경우 데이터의 전송 및 삭제과정을 나타낸 도면.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and deletion process when a control connection is interrupted during a remote control connection.

도 25는 원격 제어 중 상기 단말기에 호 연결 신호가 수신된 경우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2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when a call conn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uring remote control.

도 26은 원격 제어 중 상기 단말기에 호 연결 신호가 수신된 경우 통화로가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FIG. 2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path formed when a call connection signal is received at the terminal during remote control; FIG.

Claims (64)

단말기에 원격 제어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Requesting a remote control connection to a terminal; 상기 단말기와 접속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이 수행하는 다수개의 제어 동작 중 원격 제어동작이 허용된 제어 메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control menu information allowing a remote control operation among a plurality of control operations performed by the terminal while maintaining a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상기 정보와 관련된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Displaying a control menu associated with the information; 상기 제어 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terminal when at least one control menu of the control menu is select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과의 신호 송수신은,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terminal,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Remote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using the Internet protoco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원격 제어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는,The requesting the remote control connection may include: 근거리 통신을 우선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Remote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preferentiall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원격 제어 접속을 위하여 인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nd transmitting an authentication signal for the remote control connection.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원격 제어 접속을 위한 인증신호를 사용자가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nd a user setting an authentication signal for the remote control connection.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인증신호는,The authentication signal is,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 또는 문자 또는 특수문자 등의 조합, 터치입력의 패턴, 호 연결신호의 길이 또는 횟수, 사용자의 생체인식데이터 및 사용자의 동작 등과 관련된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nd at least one signal related to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numbers, letters, or special characters, a pattern of a touch input, a length or number of call connection signals, a user's biometric data, and a user's motion. Remot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인증신호는The authentication signal is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신호,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 데이터 및 음성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 방법.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form of packet data, 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signal, Short Message Service (SMS) data and voice data transmitted using the Internet protocol .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인증신호에 의하여 원격 제어 접속이 허용되었는지 여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nd outputting whether or not a remote control connection is permitted by the authentication sig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메뉴가 선택되는 방법은,The control menu is selected, 사용자의 터치 입력, 근접 터치 입력, 조그 다이얼 조작, 키패드 입력 또는 마우스 조작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 remote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uses at least one of a user's touch input, proximity touch input, jog dial operation, keypad input, or mouse opera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어메뉴는,The displayed control menu, 상기 단말기의 새로운 이벤트와 관련된 제어메뉴,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메뉴 또는 기 선택된 제어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nd at least one of a control menu related to a new event of the terminal, a control menu selected by a user, or a previously selected control menu.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Displaying the control menu 상기 메뉴정보와 관련된 제어메뉴를 리스트, 썸네일(Thumbnail),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nd displaying a control menu related to the menu information in at least one of a list, a thumbnail, and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동작은,The control operation, 상기 단말기의 상태 변경,Change of state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기능 활성화 및 비활성화,Activating and deactivating functions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편집, 삭제 또는 전송,Editing, deleting or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의 초기화,Initialization of the memory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 전송,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자동응답 기능 설정,Setting an automatic answering function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에 향후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 전송 또는 착신 호의 착신전환,A short messag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r a call forwarding of an incoming call;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 이외의 주변 기기를 제어Control peripheral devices other than the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Remote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any one of.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단말기의 상태 변경은, The state change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착신 모드 변경, 상기 단말기의 착신 음량 변경, 상기 단말기 에 장착된 카메라의 촬영 방향 변경,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상태 변경, 상기 단말기의 메신저의 상태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t least one of changing a reception mode of the terminal, changing a reception volume of the terminal, changing a shooting direction of a camera mounted on the terminal, changing an illumination state of a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and setting a state of a messenger of the terminal. Remote control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단말기의 기능 활성화 및 비활성화는,The function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마이크의 활성화 및 비 활성화,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 모듈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기 단말기의 방송 예약 녹화기능 활성화 및 비활성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camera mounted on the terminal,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microphone mounted on the terminal,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of the terminal,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user input unit of the terminal, and broadcasting reservation recording function of the terminal. Remote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one of activation and deactivation.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는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terminal 전화번호목록, 멀티미디어 컨텐츠, 착발신 및 부재중 통화목록, 스케쥴, 메모, 보이스, 비쥬얼 보이스 메일(visual voice mail), 웹 즐겨찾기(web favorites), 방송스케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 mobile phon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telephone number list, multimedia contents, incoming and outgoing call list, schedule, memo, voice, visual voice mail, web favorites, and broadcast schedule. Remot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는,The multimedia content data, 사진, 동영상, 음악, 녹화된 방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pictures, videos, music, recorded broadcasts.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자동응답 기능 설정동작은,The automatic response function setting operation, 자동응답 기능 설정시에 기 설정된 자동응답 메세지 또는 사용자가 새로이 설정한 자동응답 메세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 remote control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the auto answering function, a preset auto reply message or a new auto reply message set by the user is used. 제 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자동응답 메세지는,The auto-reply message is 음성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ce data or video dat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신호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terminal.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신호에 관련된 정보는,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대한 수신확인신호, 상기 단말기에 수신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제어동작수행확인신호,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어신호의 요청에 의하여 전송하는 정보가 포함된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t least one of an acknowledgment signal for the control signal of the terminal, a control operation execution confirm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terminal, and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terminal upon request of the control signal; 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어신호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nd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 signal. 제 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제어신호에 관련된 정보는,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 signal, 별도로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tored in a separately set memory area. 제 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별도로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억세스 하기 위한 별도의 인증코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nd setting a separate authentication code for accessing the separately set memory area. 제 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원격 제어 접속이 중단된 경우, 상기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nd deleting the stored information when the remote control connection is interrupted. 제 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원격 제어 접속이 중단된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관련된 정보 중 수정중인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nd when the remote control connection is interrupted, transmitting the modified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 signal to the terminal and storing the modified information.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nd remotely outpu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제 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출력되는 정보는,The output information is, 시각적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음성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visual output or audio output. 제 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출력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출력 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nd outputting and dele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utput control signal. 제 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출력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출력 후 삭제하는 단계는,The step of outputting and deleting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utput control signal,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nd dele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selectively output according to a user's inpu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원격 제어 접속 중에 상기 단말기에 호 연결 신호가 수신되면,If a call connection signal is received at the terminal during a remote control connection, 상기 수신된 호 연결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eived call connection sig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원격 제어 접속 중에 상기 단말기에 호 연결 신호가 수신되면,If a call connection signal is received at the terminal during a remote control connection, 상기 수신된 호 연결 신호를 전송한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And forming a call path with the terminal that has transmitted the received call connection signal. 제 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는,Forming the currency path,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호 연결 신호를 전송한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forming a call path with the terminal that selectively transmits the call connection signal by the user's selection.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이 수행하는 다수개의 제어 동작 중 원격 제어동작이 허용된 제어 메뉴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부;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control menu information allowing a remote control operation among a plurality of control operations performed by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terminal; 단말기에 원격 제어 접속을 요청하고, 수신된 메뉴정보를 처리하여 제어 메뉴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메뉴 중 하나의 제어메뉴가 선택되면 제어신호를 발생 및 전송시키는 제어부;및A controller for requesting a remote control connection to the terminal, processing the received menu information to configure a control menu,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when one of the control menus is selected; and 구성된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configured control menu. 제 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무선통신부는,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using the Internet protocol. 제 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통신을 우선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원격 제어 접속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control unit requests a remote control connection to the terminal by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제 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무선통신부는,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원격 제어 접속을 위한 인증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transmission signal for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connection. 제 3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인증신호는,The authentication signal is,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et by the user. 제 3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인증신호는,The authentication signal is,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 또는 문자 또는 특수문자 등의 조합, 터치입력의 패턴, 호 연결신호의 길이 또는 횟수, 사용자의 생체인식데이터 및 사용자의 동작 등과 관련된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t least one signal related to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numbers, letters, or special characters, a pattern of a touch input, a length or number of call connection signals, a user's biometric data, and a user's motion. Mobile terminal. 제 3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인증신호는The authentication signal is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신호,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 데이터 및 음성.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t least one of packet data transmitted using an internet protocol, a 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 signal, a short message service (SMS) data, and voice and data. 제 3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출력부는,The output unit, 상기 인증신호에 의하여 원격 제어 접속이 허용되었는지 여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whether or not a remote control connection is permitted by the authentication signal. 제 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제어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간접 터치 입력, 조그 다이얼 입력, 키패드 입력 또는 마우스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user input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by at least one of a user's touch input, indirect touch input, jog dial input, keypad input, and mouse input for selecting a control menu. 제 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출력부는,The output unit, 상기 단말기에 새로운 이벤트와 관련된 제어메뉴,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메뉴 또는 기 선택된 제어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control menu related to a new event, a control menu selected by a user, or a previously selected control menu on the terminal. 제 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출력부는,The output unit, 상기 메뉴정보와 관련된 제어메뉴를 리스트, 썸네일(Thumbnail),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 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displaying a control menu associated with the menu information in at least one of a list, a thumbnail, and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제 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동작은,The control operation, 상기 단말기의 상태 변경,Change of state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기능 활성화 및 비활성화,Activating and deactivating functions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편집, 삭제 또는 전송,Editing, deleting or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의 초기화,Initialization of the memory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 전송,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자동응답 기능 설정,Setting an automatic answering function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에 향후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 전송 또는 착신 호의 착신전환,A short messag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r a call forwarding of an incoming call;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 이외의 주변 기기를 제어Control peripheral devices other than the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제 4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4, 상기 단말기의 상태 변경은, The state change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착신 모드 변경, 상기 단말기의 착신 음량 변경,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촬영 방향 변경,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상태 변경, 상기 단말기의 메신저의 상태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t least one of changing a reception mode of the terminal, changing a reception volume of the terminal, changing a shooting direction of a camera mounted on the terminal, changing a lighting state of a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and setting a state of a messenger of the terminal. Portable terminal. 제 4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4, 상기 단말기의 기능 활성화 및 비활성화는,The function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마이크의 활성화 및 비 활성화,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 모듈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기 단말기의 방송 예약 녹화기능 활성화 및 비활성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camera mounted on the terminal,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microphone mounted on the terminal,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of the terminal,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user input unit of the terminal, and broadcasting reservation recording function of the terminal. And at least one of activation and deactivation. 제 4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4,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는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terminal 전화번호목록, 멀티미디어 컨텐츠, 착발신 및 부재중 통화목록, 스케쥴, 메모, 보이스 메일, 비쥬얼 보이스 메일(visual voice mail) 웹 즐겨찾기(web favorites), 방송스케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 mobile telephone list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telephone number list, multimedia contents, incoming and outgoing call list, schedule, memo, voice mail, visual voice mail, web favorites, and broadcast schedule terminal 제 4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7,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는,The multimedia content data, 사진, 동영상, 음악, 녹화된 방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photo, a video, music, and a recorded broadcast. 제 4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4, 상기 자동응답 기능 설정동작은,The automatic response function setting operation, 자동응답 기능 설정시에 기 설정된 자동응답 메세지 또는 사용자가 새로이 설정한 자동응답 메세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by using a preset auto-response message or a new auto-reply message set by a user when the auto-response function is set. 제 4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9, 상기 자동응답 메세지는,The auto-reply message is 음성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udio data or video data. 제 3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무선 통신부는,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신호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terminal for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terminal. 제 5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1,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신호에 관련된 정보는,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대한 수신확인신호, 상기 단말기에 수신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제어동작수행확인신호,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어신호의 요청에 의하 여 전송하는 정보가 포함된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t least one of an acknowledgment signal for a control signal of the terminal, a control operation execution confirm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terminal, and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terminal upon request of the control signal.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제 5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1, 상기 제어신호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 signal. 제 5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3, 상기 메모리는,The memory, 상기 제어신호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로 설정된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eparately set memory area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 signal. 제 5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4,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별도로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억세스 하기 위한 별도의 인증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eparate authentication code for accessing the separately set memory area. 제 5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3,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원격 제어 접속이 중단된 경우, 상기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if the remote control connection is interrupted, delete the stored information. 제 5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3,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원격 제어 접속이 중단된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관련된 정보 중 수정중인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when the remote control connection is interrupted, transmitting the modified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 signal to the terminal and storing the modified information. 제 5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1, 상기 출력부는,The output unit,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outpu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제 5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8, 상기 출력부는,The output unit,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음성출력하는 음향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display unit for visually outpu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or an audio output module for voicely outpu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제 5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8,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출력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출력 후 삭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delete information after outpu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utput control signal. 제 6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0,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dele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selectively output according to a user's input. 제 3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무선 통신부는,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원격 제어 접속 중에 상기 단말기에 호 연결 신호가 수신되면,If a call connection signal is received at the terminal during the remote control connection, 상기 수신된 호 연결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eived call connection signal. 제 3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원격 제어 접속 중에 상기 단말기에 호 연결 신호가 수신되면,If a call connection signal is received at the terminal during the remote control connection, 상기 수신된 호 연결 신호를 전송한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with the terminal that has transmitted the received call connection signal. 제 6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3, wherein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호 연결 신호를 전송한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with a terminal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call connection signal by a user's selection.
KR1020080049513A 2008-05-27 2008-05-28 Portable terminal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KR1015299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513A KR101529914B1 (en) 2008-05-28 2008-05-28 Portable terminal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US12/339,724 US8160568B2 (en) 2008-05-27 2008-12-19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remote-controlling thereof
EP09152478.5A EP2129089B1 (en) 2008-05-27 2009-02-10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remote-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513A KR101529914B1 (en) 2008-05-28 2008-05-28 Portable terminal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440A true KR20090123440A (en) 2009-12-02
KR101529914B1 KR101529914B1 (en) 2015-06-18

Family

ID=4168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513A KR101529914B1 (en) 2008-05-27 2008-05-28 Portable terminal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914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488A (en) * 2010-05-24 2011-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67036B1 (en) * 2012-05-21 2014-02-25 알서포트 주식회사 Method for connecting a remote network and system for connecting a remote network
KR20140059108A (en) * 2012-11-07 2014-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09951B1 (en) * 2010-08-17 2014-07-02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Remote display control
KR20150012944A (en) * 2013-07-26 2015-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60012008A (en) * 2014-07-23 201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28647D1 (en) * 2001-01-20 2008-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A MOBILE TERMINAL
KR20040038003A (en)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incoming call information of mobile phone
KR100701619B1 (en) * 2004-12-21 2007-03-30 주식회사 팬택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dat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enabling the method
KR100688177B1 (en) * 2004-12-31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mote control and its operating method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488A (en) * 2010-05-24 2011-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09951B1 (en) * 2010-08-17 2014-07-02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Remote display control
US8866587B2 (en) 2010-08-17 2014-10-21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Remote display control
US9570037B2 (en) 2010-08-17 2017-02-14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Remote display control
KR101367036B1 (en) * 2012-05-21 2014-02-25 알서포트 주식회사 Method for connecting a remote network and system for connecting a remote network
KR20140059108A (en) * 2012-11-07 2014-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12944A (en) * 2013-07-26 2015-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60012008A (en) * 2014-07-23 201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9471270B2 (en) 2014-07-23 2016-10-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914B1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205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or extracting available pers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recognized faces
CN101552839B (en) Terminal and method of having conversation us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therein
US20140063181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00083137A1 (en) Mobile terminal and video sharing method thereof
CN101384040B (en) The method of mobile terminal display message and the mobile terminal of use the method
KR20100054369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90123339A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ing thereof
KR10140594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a screen therein
KR20090067887A (en) Mobile terminal and its phone call connection method
KR20110055264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incoming call alert screen
KR101529914B1 (en) Portable terminal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KR20100042405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 thereof
KR20100030820A (en) Portable terminal and image data reproduc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521921B1 (en) Mobile terminal and video sharing method thereof
KR101977259B1 (en) Mobile terminal and cloud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KR101966320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1615761B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2010002754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sticker function in mobile terminal
KR10159535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hoto
KR101537688B1 (en) Mobile terminal and video sharing method thereof
KR20100027307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 call in thereof
KR20100034682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olling mobile terminal
KR20100131603A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related moving image, method for displaying moving imag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47619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4946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Data Communication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