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792A -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sing uplink in mobile system - Google Patents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sing uplink in mobil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792A
KR20090120792A KR1020080046770A KR20080046770A KR20090120792A KR 20090120792 A KR20090120792 A KR 20090120792A KR 1020080046770 A KR1020080046770 A KR 1020080046770A KR 20080046770 A KR20080046770 A KR 20080046770A KR 20090120792 A KR20090120792 A KR 20090120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terminal
scheduling
received
data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7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06627B1 (en
Inventor
김태근
김태용
박진효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6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627B1/en
Publication of KR20090120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7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6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schedul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for uplink transmission using an AG value are provided to perform normal scheduling in case the terminal does not receive AG value in scheduling for uplink transmission. CONSTITUTION: A transceiver(42) receives scheduling information for uplink transmission from a terminal and transmits AG(Absolute Grant) value. A scheduling controller(44) determines whether the AG value of the terminal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reference value. If the AG value is not received, the scheduling controller transmits the AG value. The schedul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a buffer and power state.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SING UPLINK IN MOBILE SYSTEM}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SING UPLINK IN MOBILE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향 링크로 고속 패킷 데이터 송신이 가능한 고속 상향링크 패킷 접속(HSUPA: High Speed Uplink Package Access) 기술이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수행 시 스케쥴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heduling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 speed uplink package access (HSUPA) technology capable of high-speed packet data transmission on an uplink. A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scheduling efficiency when performing scheduling for uplink transmission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인터넷 기술 및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됨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들은 인터넷 액세스 및 멀티미디어 통신 지원이 가능해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용량 고속 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re able to support internet access and multimedia communication, and provide large capacity high speed data services based on thi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광 대역 부호 분할 다원 접 속 방식)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국제 이동 통신)을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로서, 제 3 세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의 사용을 위해 표준화되었다. 이는 유연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음성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이동 통신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W-CDMA를 위한 공통의 무선 인터페이스 사양을 작성하기 위해서, 일본, 유럽, 미국 및 다른 각국에서는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라고 불리는 프로젝트를 합동으로 조직하고 있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is a wireless interface for 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 (IMT-2000), standardized for use as a third generatio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 became. This provides a variety of services, such as voice services and multimedi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flexibly and efficiently. To create a common air interface specification for W-CDMA, Japan, Europe, the United States, and other countries have jointly organized a project called the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한편, IMT-2000의 표준화된 유럽 버전은 일반적으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유니버설 이동통신 시스템)라고 불린다. UMTS 사양의 최초의 표준은 1999년에 공표되었다. 그리고 그 표준에 대한 개량화가 현재까지 진행중이다. 특히 개량화에 있어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데디케이티드 채널(dedicated channel)(DCH:개별 채널) 및 다운링크 셰어드 채널(shared channel)(DSCH:다운링크 공유 채널)을 이용한 고속의 비대칭 접속 기술이 최근 도입되어 이용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andardized European version of IMT-2000 is generally called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The first standard of the UMTS specification was published in 1999. And improvements to the standard are in progress. In particular, in the improvement, high-speed asymmetry using dedicated channels (DCH: individual channels) and downlink shared channels (DSCH: downlink shared channels) in downlink and uplink Connection technology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and used.

먼저, 순방향으로는 고속 하향링크 패킷 접속(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기술이 도입되어 이용되고 있는데, 이 기술에서는 새로운 고속 다운링크 공유 채널(HS-DSCH:high-speed downlink shared channel)이,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UMTS Radio Access Network)부터, UMTS 사양에서 사용자 기기라고 불리는 단말까지, 하향링크 고속 접속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First,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technology is introduced and used in the forward direction. In this technology, a new high-speed downlink shared channel (HS-DSCH) is used. From the radio access network (RAN: UMTS Radio Access Network) to the terminal called the user equipment in the UMTS specification, the downlink high-speed connection is provided to the user.

또한 역방향으로는 고속 상향링크 패킷 접속(HSUPA: High Speed Uplink Package Access) 기술이 도입되어 이용되고 있는데, 이 기술에서는 E- DCH(Enhanced- Dedicated Channel)을 이용하여 사용자 기기인 단말에서 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송신하는데 매우 효율적인 프로토콜로 고속의 상향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high speed uplink package access (HSUPA) technology has been introduced and used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is technology, a large data set can be obtained from a terminal, which is a user device, using an enhanced-dedicated channel (E-DCH). It is a very efficient protocol to transmit and provides high speed uplink data transmission rate.

상기한 바와 같은 HSDPA 및 HSUPA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들의 데이터 송수신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스케쥴링을 수행하는데, HSDPA 시스템에서는 셀 내의 단말들이 하나의 공유 채널(HS-PDSCH:High Spee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이용하기 때문에 스케쥴링이 간단한 반면, HSUPA 시스템에서는 셀 내의 단말들이 각각의 개별 채널(E-DPDCH:E-DCH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을 이용하기 때문에 스케쥴링이 복잡하다. 따라서 HSUPA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신 시 스케쥴링 절차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In the HSDPA and HSUPA systems as described above, scheduling is performed to efficiently manag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user terminals. In the HSDPA system, terminals in a cell use one shared channel (HS-PDSCH: High Spee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Since the scheduling is simple, in the HSUPA system, scheduling is complicated because terminals in a cell use each individual channel (E-DPDCH: E-DCH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Therefore, the scheduling procedure is an important part of data transmission in HSUPA system.

이러한 HSUPA 시스템에서의 스케쥴링 절차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The scheduling procedure in the HSUPA system is described below.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은 스케쥴링이 필요하면(예컨대, 단말 버퍼에 새로운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 단말(1)은 스케쥴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를 기지국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5)로 전송한다.(S10) 이때 스케쥴링 정보는 단말(1)의 버퍼상태, 전력상태(여유전력)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duling procedur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 1, when the terminal 1 needs to be scheduled (eg, when new data is generated in the terminal buffer), the terminal 1 transmits scheduling information (SI)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5 through the base station. In this case, the schedul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buffer state, a power state (free power) of the terminal 1, and the like.

단말(1)로부터 스케쥴링 정보가 수신되면 기지국 제어기(5)는 스케쥴링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0)이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률과 이용 가능한 송신 전력을 판단한다.(S20) When the schedul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 the base station controller 5 determines the data rate and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that the terminal 10 can transmit using the scheduling information (S20).

그리고 기지국 제어기(5)는 데이터 전송률과 이용 가능한 송신전력에 따라 AG값(Absolute Grant value)을 설정하여(S30) 설정된 AG값을 단말(1)로 전송한다.(S40) 이때 AG값은 단말(1)의 송신 시의 최대 가용 전력을 나타낸다.The base station controller 5 sets an AG grant (Absolute Grant value) according to the data rate and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S30) and transmits the set AG value to the terminal 1 (S40). The maximum available power at the time of transmission of 1) is shown.

AG값이 수신되면 단말(1)은 AG값에 따라 AG값을 넘지 않는 최대의 E-TFCI(E-DCH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ex)를 결정한다.(S50) 이때 E-TFCI는 E-DCH를 통해 전송되는 한 단위의 패킷 데이터(MAC-ePDU:Medium Access Control-enhanced Protocol Data Unit)에 대한 크기를 나타낸다. When the AG value is received, the terminal 1 determines the maximum E-TFCI (E-DCH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ex) not exceeding the AG value according to the AG value. (S50) In this case, the E-TFCI is determined through the E-DCH. This indicates the size of one unit of packet data (MAC-ePDU: Medium Access Control-enhanced Protocol Data Unit) to be transmitted.

이와 같이 전송할 패킷 데이터의 크기가 결정되면 단말(1)은 결정된 E-TFCI에 따라 E-DCH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 전송률과 송신 파워를 결정한다.(S60) 그리고 단말(1)은 결정된 데이터 전송률와 송신 파워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한다.(S70)When the size of the packet data to be transmitted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1 determines the data rate and transmission power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E-DCH according to the determined E-TFCI. (S60) And the terminal 1 determines the determined data rate and transmission power. In step S70, data is transmitted.

요컨대, 상기한 바와 같은 스케쥴링 절차에 따르면 HSUPA 시스템에서는 단말(10)의 상태를 나타내는 SI값과 기지국 제어기에 의한 AG값에 따라 스케쥴링이 수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케쥴링을 위해서는 AG값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In short, according to the scheduling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in the HSUPA system, schedul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SI value indicating a state of the terminal 10 and an AG value by the base station controller. Therefore, AG value plays an important role for scheduling.

그런데 무선환경의 불안정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단말은 AG값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AG값을 수신하지 못하면 단말은 스케쥴링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이 AG값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스케쥴링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However,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instability of the wireless environment, the terminal often does not receive the AG value. If the AG value is not received in this manner, the UE cannot perform scheduling. Therefore, even if the terminal does not receive the AG valu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scheduling to be performed normally.

이를 위해 종래에는 단말이 AG값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무선 베어러 셋 업(Radio Bearer Setup) 메시지로부터 수신된 SG(Serving Grant)값을 이용하여 이용하도록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SG값은 통상적으로 상향링크의 과도한 간섭신호를 방지하기 위해 낮은 값이 사용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SG값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은 스케쥴링은 가능하더라도 전송률이 낮아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단말은 전송할 데이터가 버퍼에 있고, 전력도 충분하며, 기지국 측에서도 높은 전송률이 허락된 상태인 경우에도 낮은 전송률로 전송하게 되기 때문에 단말 사용자가 불편함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o this end, in the related art, when the terminal does not receive an AG value, a method is used to use a SG (Serving Grant) value received from a radio bearer setup message. By the way, the SG value is typically used a low value to prevent excessive interference of the uplink. Therefore, when the SG value is used in this manner, the terminal may have a low transmission rate even though scheduling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the terminal user is inconvenient because the data to be transmitted is in the buffer, the power is sufficient, and the base station transmits at a low data rate even when a high data rate is allowed.

이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서, 주기적으로 AG값 전송하여 단말이 AG 값을 수신하지 못하면 다음 주기의 AG값을 이용하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도 AG값 전송주기가 Tmsec라면, Tmsec동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낮은 전송률을 유지하게 되며, T값을 작게 설정하더라도 기지국에서 자주 AG값을 전송하여야 하므로 시스템의 과부하가 문제가 된다. 또한 HSUPA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말의 개수나 무선환경이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에 최적의 T값을 적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as another method, a method of periodically transmitting the AG value and using the AG value of the next period when the terminal does not receive the AG value has been proposed. However, even in this method, if the AG value transmission period is Tmsec, the Txsec maintains a low data rate as described above, and even if the T value is set small, the base station frequently transmits the AG valu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apply the optimal T value because the number of terminals connected to the HSUPA system or the wireless environment changes from time to tim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수행 시 단말이 AG값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정상적인 스케쥴링이 가능한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normal scheduling even when a terminal does not receive an AG value when performing scheduling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수행 시 단말이 AG값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기지국 측에서 이를 판단하여 즉시 AG값을 재전송함으로써 낮은 데이터 전송률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고 시스템 과 부하도 일으키지 않는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mobile station does not receive an AG value when performing scheduling for uplink transmission,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is and immediately retransmits the AG value. It is to provide a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does not cause a loa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장치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를 수신하고, 스케쥴링 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AG값(Absolute Grant value)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단말의 AG값 미수신 판단의 기준값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기준값에 따라 상기 단말의 AG값 미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AG값이 미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AG값을 결정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스케쥴링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cheduling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ceiving scheduling information (SI) for uplink transmission from the terminal, the AG value determined by the scheduling controller (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 Absolute Grant value) to the terminal, a memory for storing a reference value of the AG value non-receipt determination of the terminal, and whether the AG value of the terminal is not received according to the reference value, and the AG value is not receiv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heduling apparatus including a scheduling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nd transmitting the AG value.

여기서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단말의 버퍼상태 및 전력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cheduling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a buffer state and a power state of the terminal.

그리고 상기 AG값(Absolute Grant value) 미수신 판단의 기준값은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의한 데이터 전송률 및 송신 파워와 실제 데이터 송신 시의 데이터 전송률 및 송신 파워 간의 차이값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ference value of the AG grant (absolute grant value) determination is preferably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data rate and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scheduling information and the data rate and transmission power at the actual data transmission.

또한 상기 스케쥴링 제어부는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률 및 이용 가능한 송신파워와 실제 패킷 데이터 전송시의 데이터 전송률 및 송신 파워의 차이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AG값이 미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cheduling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AG value is not received when a difference between the data rate corresponding to the scheduling information and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and the data rate and transmission power at the actual packet data transmiss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이때 상기 스케쥴링 제어부는 상기 AG 값이 미수신된 것이 아니면 미리 정해 진 주기(T)에 따라 AG값을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AG value is not received, the scheduling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AG valu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T.

그리고 상기 스케쥴링 장치는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동작할 수 있다. The schedul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and operated in any one of a base station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또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고속 상향링크 패킷 접속(HSUPA: High Speed Uplink Package Access) 시스템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ay be a high speed uplink package access (HSUPA)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스케쥴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률 및 이용 가능한 송신파워와 상기 단말의 실제 패킷 데이터 전송 시의 데이터 전송률 및 송신 파워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차이값과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의 AG값(Absolute Grant value) 미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의 AG값이 미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로부터의 스케쥴링 정보에 의한 데이터 전송률과 이용 가능한 송신파워에 따라 AG값을 결정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cheduling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data rate corresponding to scheduling information (SI) received from a terminal and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and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data rate and transmission power during actual packet data transmission, comparing the differe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does not receive an Absolute Grant valu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G value has not been received, it provides a schedul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G value according to the data rate and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by the schedulin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이때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의 AG 값이 미수신된 것이 아니면 미리 정해진 주기(T)에 따라 AG값을 결정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f the AG value of the terminal is not receive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G valu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T) and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또한 상기 AG값 미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률 및 이용 가능한 송신파워와 실제 패킷 데이터 전송시의 데이터 전송률 및 송신 파워의 차이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이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AG값이 미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termining of whether the AG value is not received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the data rate corresponding to the scheduling information and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and the data rate and transmission power at the actual packet data transmiss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determination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AG value is not received when the differe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그리고 상기 스케쥴링 방법은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중 어느 하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cheduling method may be performed at any one of a base station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또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고속 상향링크 패킷 접속(HSUPA: High Speed Uplink Package Access) 시스템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ay be a high speed uplink package access (HSUPA)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본 발명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스케쥴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률 및 이용 가능한 송신파워와 상기 단말의 실제 패킷 데이터 전송 시의 데이터 전송률 및 송신 파워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차이값과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의 AG값(Absolute Grant value) 미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의 AG값이 미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로부터의 스케쥴링 정보에 의한 데이터 전송률과 이용 가능한 송신파워에 따라 AG값을 결정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fference between a data rate corresponding to scheduling information (SI) received from a terminal,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and a data rate and transmission power at the actual packet data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Comprising a step of calculating, comparing the difference value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AG value (Absolute Grant value) of the terminal is not receiv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G value of the terminal is not received schedulin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G value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rate and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to th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수행 시 단말이 AG값을 수신하지 못하면 기지국 측에서 이를 판단하여 즉시 AG값을 재전송함으로써 SG값에 따라 데이터 전송률을 낮추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f the UE does not receive the AG value when performing scheduling for uplink transmiss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is and immediately retransmits the AG value so that the data rate does not need to be lowered according to the SG value.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AG 값을 전송하는 경우 그 주기(T) 사이에 단말이 AG값을 수신받지 못하더라도 다음 주기의 AG값 전송 전에 AG값을 재전송 받을 수 있으므로 T값을 큰 값으로 설정 가능하고 이에 따라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AG value is periodically transmit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ven if the UE does not receive the AG value between the periods (T), the AG value may be retransmitted before the AG value is transmitted in the next period. It can be set to a value, thereby reducing the system loa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과 기지국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시스템은 기지국(30)과 기지국 제어기(50)를 포함한다. First,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system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station 30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50.

이러한 기지국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 전송 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10)들이 송신하는 신호들 이 상호간에 직교성이 유지되지 않아 상호간의 간섭신호로 작용한다. 이로 인해 기지국(30)이 수신하는 상향링크 신호들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단말(10)이 전송하는 상향링크신 신호에 대한 간섭신호의 양도 증가하고, 이에 따라 기지국(30)의 수신성능은 저하된다. 그러므로 기지국(30)은 전체 수신 성능을 보장하면서 수신할 수 있는 상향링크 신호의 양을 제한해야 한다. In such a base station system, signals transmitted by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 during uplink transmission do not maintain orthogonality with each other, and thus act as interference signals. As a result, as the number of uplink signals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30 increases, the amount of interference signals for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 10 also increases, and thus the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base station 30 is degraded. Therefore, the base station 30 should limit the amount of uplink signals that can be received while guaranteeing the overall reception performance.

이를 위해 기지국(30) 또는 기지국 제어기(50)는 스케쥴링 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스케쥴링 장치는 총 무선자원의 ROT(Rise Over Thermal:열잡음전력 대비 수신신호 전력)을 유지하면서 다른 셀에 대한 ICI(Inter-cell interference:인접 셀의 간섭)를 줄일 수 있도록 역방향 채널의 송신 전력의 세기와 데이터 레이트를 반비례하여 스케쥴링한다.To this end, the base station 30 or the base station controller 50 includes a scheduling device. Such a scheduling apparatus is capable of reducing the transmit power of the reverse channel to reduce inter-cell interference (ICI) to other cells while maintaining Rise Over Thermal (ROT) of total radio resources. Scheduling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strength and data rate.

예를 들면, 복수 개의 단말들이 동시에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사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총 ROT는 목표 ROT(Targer ROT)보다 높은 레벨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기지국(30)에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성능은 저하된다. 따라서 스케쥴링 장치는 복수 개의 단말들이 동시에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향 전송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스케쥴링 장치는 특정 단말에게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허용하는 경우 다른 단말들에게는 낮은 데이터 레이트를 허용함으로서 총 ROT가 상기 목표 ROT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왜냐하면 특정 단말의 데이터 레이트가 높아지면 기지국(30)이 특정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전력이 커지게 되고 그 단말의 ROT는 총 ROT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며, 반면 특정 단말의 데이터 레이트가 낮아지면 기지국(30)이 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전력이 작아지게 되고 그 단말의 ROT는 상기 총 ROT에서 적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스케쥴링 장치는 상기 데이터 레이트와 무선자원간의 관계, 상기 단말이 요청하는 데이터 레이트를 고려하여 상향링크 송신 시의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terminals simultaneously transmit packet data using a high data rate, the total ROT may be higher than a target ROT. In this case, the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uplink signal at the base station 30 is degraded. Accordingly, the scheduling apparatus prevents a plurality of terminals from simultaneously transmitting upstream using a high data rate. That is, the scheduling apparatus prevents the total ROT from increasing above the target ROT by allowing a lower data rate to other terminals when allowing a high data rate to a specific terminal. Because, when the data rate of a specific terminal is increased, the reception power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30 from the specific terminal is increased, and the ROT of the terminal takes up a large portion of the total ROT. This is because the reception power received by the terminal 30 from the terminal becomes small and the ROT of the terminal occupies a small portion of the total ROT. Therefore, the scheduling apparatus performs scheduling during uplink transmiss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rate and the radio resource and the data rate requested by the terminal.

그리고 이러한 스케쥴링은 스케쥴링 장치가 단말(10)로부터의 버퍼상태, 전력상태(여유전력)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송신시의 최대 가용 전력을 나타내는 AG값(Absolute Grant value)을 제공하면 단말이 해당 AG 값을 수신하여 단말의 상향전송 가능 여부를 통보하거나 상향전송 데이터 레이트를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The scheduling is performed by the scheduling apparatus using an AG value indicating the maximum available power at the time of transmission using scheduling information (SI)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buffer state, power state (free power), etc. from the terminal 10 ( If an Absolute Grant value) is provided, the UE receives the corresponding AG value and notifies whether the UE can transmit uplink or adjusts the uplink data rate.

그런데 이때 무선환경의 불안정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단말(10)이 AG값 을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 스케쥴링 장치는 단말(10)의 상향전송을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스케쥴링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However, if the terminal 10 does not receive the AG value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instability of the wireless environment, the scheduling apparatus cannot perform scheduling because the uplink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10 cannot be controll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케줄링 장치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수행 시 단말(10)이 AG값을 수신하지 못하면 스케쥴링 장치(기지국 또는 기지국제어기)에서 이를 판단하여 즉시 AG값을 단말(10)로 재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refore, in the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erminal 10 does not receive an AG value when performing scheduling for uplink transmission, the scheduling apparatus determines that the scheduling apparatus (base station or base station controller) retransmits the AG value to the terminal 10 immediately. It is compos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scheduling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장치는 송수신부(42), 스케쥴링 제어부(44), 메모리(46)를 포함한다.First, a configuration of a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ceiver 42, a scheduling controller 44, and a memory 46.

송수신부(42)는 단말(10)로부터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고, AG값(Absolute Grant value)이 결정되면 결정된 AG값을 단말(10)로 전송한다. 이때 스케쥴링 정보는 단말(10)의 버퍼상태, 전력상태(여유전력)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AG값은 단말(10)의 송신 시의 최대 가용 전력을 나타낸다.The transceiver 42 receives the schedulin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10, and transmits the determined AG value to the terminal 10 when the AG grant (Absolute Grant value) is determined. In this case, the schedul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buffer state, a power state (free power), and the like of the terminal 10. The AG value represents the maximum available power at the time of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10.

스케쥴링 제어부(44)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단말(10)의 AG값 미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단말(10)이 AG값을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즉시 AG값을 결정하여 단말(10)로 해당 AG값을 전송한다. The scheduling controller 44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10 does not receive the AG valu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10 does not receive the AG value, the scheduling controller 44 immediately determines the AG value to correspond to the terminal 10. Send AG value.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케쥴링 제어부(44)는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스케쥴링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률과 이용 가능한 송신파워와 단말(10)로부 터 실제 패킷 데이터 전송시의 데이터 전송률과 송신 파워의 차이를 계산한다. 그리고 스케쥴링 제어부(44)는 그 차이가 미리 정해진 일정값 이상이면 단말(10)이 AG값을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단말(10)로부터의 스케쥴링 정보에 의한 데이터 전송률과 이용 가능한 송신파워에 따라 AG값을 다시 결정한다. 그리고 스케쥴링 제어부(44)는 결정된 AG값을 단말(1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More specifically, the scheduling controller 44 may determine the data rate corresponding to the schedul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and the data rate and transmission power at the actual packet data transmission from the terminal 10. Calculate the difference. The scheduling controller 44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10 has not received the AG value if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rate and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based on the schedulin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10. Determine the value again. In addition, the scheduling controller 44 controls to transmit the determined AG value to the terminal 10.

메모리(46)는 단말(10)의 AG값 미수신 판단에 기준이 되는 스케쥴링 정보에 의한 데이터 전송률 및 송신 파워와 실제 데이터 송신 시의 데이터 전송률 및 송신 파워 간의 차이값을 저장한다. 이러한 차이값은 단말(10) 버퍼에 전송할 데이터도 있고 파워도 충분한 데도 불구하고, 스케쥴링 장치에서 단말(10)에 전송한 AG값에 비해 단말(10)이 낮은 데이터 전송률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를 알아내기 위한 값이다.The memory 46 stor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ta rate and the transmission power based on the scheduling information as a reference for the AG value non-receipt determination of the terminal 10 and the data rate and the transmission power at the actual data transmission. This difference value is found in the case where the terminal 10 transmits data at a lower data rate than the AG value transmitted from the scheduling apparatus to the terminal 10 even though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 buffer and sufficient power. The value to bet.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케쥴링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chedu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케쥴링 장치는 송수신부(42)를 통해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스케쥴링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단말(10)의 데이터 전송률과 이용 가능한 송신 파워를 판단한다.(S102)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scheduling apparatus monitors schedul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42 to determine a data transmission rate and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of the terminal 10.

그리고 스케쥴링 장치는 단말(10)로부터 실제 패킷 데이터 전송 시의 데이터 전송률과 송신 파워를 판단한다.(S104) The scheduling apparatus determines the data rate and the transmission power at the time of actual packet data transmission from the terminal 10 (S104).

상기 판단이 완료되면 스케쥴링 장치는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스케쥴링 정보에 의한 데이터 전송률 및 이용 가능한 송신 파워와 실제 패킷 데이터 전송 시의 데이터 전송률 및 이용 가능한 송신 파워를 각각 비교한다.(S106)When the determination is completed, the scheduling apparatus compares the data transmission rate and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the schedul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 with the available data transmission rate and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at actual packet data transmission (S106).

그리고 비교 결과 스케쥴링 장치는 그 차이가 미리 정해진 일정값 이상인지 판단한다.(S108)In operation S108, the scheduling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만약 그 차이가 일정값 이상이 아니면 스케쥴링 장치는 단말(10)이 AG값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주기(T)에 따라 AG값을 결정한다.(S110) If the difference is no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scheduling apparatus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10 normally receives the AG value, and determines the AG valu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T).

그런데 그 차이가 일정값 이상이면 스케쥴링 장치는 단말(10)이 AG 값을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단말(10)로부터의 스케쥴링 정보에 의한 데이터 전송률과 이용 가능한 송신파워에 따라 AG값을 결정한다. However, if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scheduling apparatus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10 has not received the AG value, and determines the AG value according to the data rate based on the schedulin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10 and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그리고 스케쥴링 장치는 상기 결정된 AG값을 송수신부(44)를 통해 단말(10)에 전송한다. The scheduling apparatus transmits the determined AG value to the terminal 10 through the transceiver 44.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케쥴링 장치에 의한 AG값 전송 시점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장치의 AG값 전송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Referring to the AG value transmission time point by the schedu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AG value transmission time point of the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케쥴링 장치는 단말(10)이 AG 값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에는 참조부호 a와 같이 미리 정해진 주기(T)에 따라 AG값을 전송하게 되고, AG 값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참조번호 b와 같이 주기(T)가 아니더라도 주기 사이에 미수신이 발생한 시점에서 AG 값을 전송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terminal 10 normally receives an AG value, the schedu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AG valu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T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a, and does not receive the AG value. If not, the AG value is transmitted when the non-receipt occurs between the periods, even if the period (T)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ber b.

따라서 본 발명은 스케쥴링 장치가 주기적으로 AG 값을 전송하는 경우 그 주 기(T) 사이에 AG값 미수신이 발생하더라도 다음 주기의 AG값 전송 전에 미수신이 발생한 시점에서 AG값을 재전송받을 수 있으므로 T값을 큰 값으로 설정 가능하고 이에 따라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cheduling apparatus periodically transmits the AG value, even if the AG value is not received between the periods T, the AG value may be retransmitted at the time point of the non-receipt before the AG value transmission in the next cycle occurs. Can be set to a large value, thereby reducing the system load.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HSUPA 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고속 상향링크 접속 기술이 적용되었다면 어떠한 이동통신 시스템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스케쥴링 장치는 기지국 내에 포함되어 기지국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기지국 제어기 내에 포함되어 기지국 제어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와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described using the HSUPA system as an example, but an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possible if the high-speed uplink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cheduling apparatus may be included in a base station and configured as a base station, or may be included in a base station controller and configured as a base station controller. On the other hand, it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device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전술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측간에 스케쥴링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상향 링크로 고속 패킷 데이터 송신이 가능한 고속 상향링크 패킷 접속(HSUPA: High Speed Uplink Package Access) 기술이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를 이용한 패킷 데이터 전송 시 스케쥴링 과정에서 AG값을 제공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scheduling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n particula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a high speed uplink package access (HSUPA) technology capable of transmitting high-speed packet data on the uplink is applied. In the packet data transmission using the uplink in the scheduling process can be used to provide the AG valu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과 기지국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system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장치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장치의 동작 흐름도4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장치의 AG값 전송 시점을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G value transmission time of a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절차를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duling procedur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Claims (1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장치에 있어서,In the scheduling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를 수신하고, 스케쥴링을 위해 결정된 AG값(Absolute Grant value)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송수신부와,A transceiver for receiving scheduling information (SI) for uplink transmission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an AG grant (Absolute Grant value) determined for scheduling to the terminal; 상기 단말의 AG값 미수신 판단의 기준값을 저장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a reference value of the AG value not received determination of the terminal; 상기 기준값에 따라 상기 단말의 AG값 미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AG값이 미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AG값을 결정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스케쥴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장치. And a scheduling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G value is not received by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ference value, and if the AG value is not received, determining and transmitting the AG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cheduling information, 상기 단말의 버퍼상태 및 전력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장치. The scheduling apparatu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buffer state and the power state of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G값(Absolute Grant value) 미수신 판단의 기준값은, The reference value of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value of the non-receipt determination of the AG grant is: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의한 데이터 전송률 및 송신 파워와 실제 데이터 송신 시의 데이터 전송률 및 송신 파워 간의 차이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 스템에서 스케쥴링 장치.And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data rate and the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scheduling information and the data rate and the transmission power at the time of actual data transmis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cheduling control unit,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률 및 이용 가능한 송신파워와 실제 패킷 데이터 전송시의 데이터 전송률 및 송신 파워의 차이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AG값이 미수신된 것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장치.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ta rate corresponding to the scheduling information,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and the data rate and transmission power at the time of actual packet data transmiss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AG value is determined not to be received.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cheduling control unit, 상기 AG 값이 미수신된 것이 아니면 미리 정해진 주기(T)에 따라 AG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장치.If the AG value is not received, the scheduling apparatu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AG valu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T).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스케쥴링 장치는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장치.The scheduling apparatus is a scheduling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ny one of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고속 상향링크 패킷 접속(HSUPA: High Speed Uplink Package Access) 시스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장치.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 scheduling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system.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에 있어서,In the scheduling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스케쥴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률 및 이용 가능한 송신파워와 상기 단말의 실제 패킷 데이터 전송 시의 데이터 전송률 및 송신 파워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와,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a data rate corresponding to scheduling information (SI) received from the terminal,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and a data rate and transmission power during actual packet data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상기 차이값과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의 AG값(Absolute Grant value) 미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Comparing the differe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does not receive an Absolute Grant value; 상기 단말의 AG값이 미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로부터의 스케쥴링 정보에 의한 데이터 전송률과 이용 가능한 송신파워에 따라 AG값을 결정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방법.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G value of the terminal is not received, the AG value is determin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data rate and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schedulin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Scheduling Method.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단말의 AG 값이 미수신된 것이 아니면 미리 정해진 주기(T)에 따라 AG값을 결정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방법.And if the AG value of the terminal is not received, determining the AG valu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T and transmitting the AG value to the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G값 미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etermining of whether the AG value is not received comprises: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률 및 이용 가능한 송신파워와 실제 패킷 데이터 전송시의 데이터 전송률 및 송신 파워의 차이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the data rate corresponding to the scheduling information and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and the data rate and transmission power during actual packet data transmiss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이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AG값이 미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방법.And determining that the AG value is not received when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cheduling information, 상기 단말의 버퍼상태 및 전력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방법.The schedul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buffer state and the power state of the terminal.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1,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고속 상향링크 패킷 접속(HSUPA: High Speed Uplink Package Access) 시스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방법.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 schedul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system.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스케쥴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률 및 이용 가능한 송신파워와 상기 단말의 실제 패킷 데이터 전송 시의 데이터 전송률 및 송신 파워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와,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a data rate corresponding to scheduling information (SI) received from the terminal,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and a data rate and transmission power during actual packet data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상기 차이값과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의 AG값(Absolute Grant value) 미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Comparing the differe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does not receive an Absolute Grant value; 상기 단말의 AG값이 미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로부터의 스케쥴링 정보에 의한 데이터 전송률과 이용 가능한 송신파워에 따라 AG값을 결정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G value of the terminal is not received, a computer progra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G value according to the data rate and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from the schedulin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AG value to the terminal is recorded. Recordable media.
KR1020080046770A 2008-05-20 2008-05-20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sing uplink in mobile system KR1010066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70A KR101006627B1 (en) 2008-05-20 2008-05-20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sing uplink in mobil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70A KR101006627B1 (en) 2008-05-20 2008-05-20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sing uplink in mobil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792A true KR20090120792A (en) 2009-11-25
KR101006627B1 KR101006627B1 (en) 2011-01-07

Family

ID=41603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770A KR101006627B1 (en) 2008-05-20 2008-05-20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sing uplink in mobil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627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2722B2 (en) * 2002-05-13 2008-04-01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on of link imbal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627B1 (en) 201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02912B2 (en) Mobile station, fixed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RU2414097C2 (en) Individual and group identifiers for user equipment in wireless systems with shared transport channel
KR1009867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dedcated channe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3196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transmission pow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RU2345486C2 (en) Method of transmission rate control, mobile station, base communications station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JP45050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in handover region using transmission channel for uplink service
US8515478B2 (en) Fast state transition for a UE with reconfiguration over paging
EP2053896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radio terminal
RU2335863C2 (en)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speed, mobile station and base radio station
RU2348107C2 (en) Method for control of transmission speed, mobile station, base radio station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EP1912458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control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JPWO2005125259A1 (en) 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transmission power ratio control metho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nd radio base station
JP46344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uplink transmission activ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82283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onfigurations of serving grants for ue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RU2420040C2 (en) Improvement of srb along hs-dsch in process of cell replacement
RU2372723C2 (en) 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and mobile station
JP2007536783A (en) Scheduling method for E-DCH
JP2007159054A (en) Call reception control apparatus and call reception control method
KR101548763B1 (en) Network controlled throughput for enhanced uplink fach
US9282480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establish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cycles
JP2011520337A (en) Distribution of downlink E-DCH power usage
TWI486081B (en) Efficient uplink operation with high instantaneous data rates
RU2372724C2 (en) 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mobile station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EP1788829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device, and control device
JP2017519429A (en)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uplink transmission on two or more carri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