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176A - Urm service method and the system which use the smart-device - Google Patents

Urm service method and the system which use the smart-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176A
KR20090120176A KR1020080046081A KR20080046081A KR20090120176A KR 20090120176 A KR20090120176 A KR 20090120176A KR 1020080046081 A KR1020080046081 A KR 1020080046081A KR 20080046081 A KR20080046081 A KR 20080046081A KR 20090120176 A KR20090120176 A KR 20090120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elationship
smart device
servic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오병
이남연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46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0176A/en
Publication of KR20090120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1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URPOSE: A URM service method and a system which use a smart-device under a ubiquitous are provided to supply services to users properly by dynamically configuring services based on relationship degree between a user and the smart device after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smart card. CONSTITUTION: A first smart card device receives user information from a user device through the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user device(S301). The smart device searches for and extracts transaction data or stat information which is pre-stored. The first smart card device measures the relationship degree with a user by using the extracted transaction data or the state information(S303). The smart device requests a service list to a master UDDI(S305), and displays the list received from the master UDDI.

Description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URM service method and the system which use the SMART-DEVICE}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smart device under ubiquitous environment {URM service method and the system which use the SMART-DEVICE}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a smart device in a ubiquitous environment.

더욱 상세하게는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상호통신 및 협업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와 사용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들 간의 관계관리 방법인 URM(User Relationship Management)를 적용하여,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 간의 관계유형을 정의한 후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 간의 관계정도에 기반한 서비스를 동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하게 서비스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by using URM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which is a relationship management method between users using smart devices and user devices that can communicate and collaborate in a ubiquitous society, define a relationship type between a user and a smart device, and th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a smart device under a ubiquitous environment that can dynamically configure a servic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smart device and a smart device.

미래의 유비쿼터스 사회는 한 공간 내에서 여러 사람이 여러 대의 지능적인 기기(이하 '스마트 기기(Smart Object)'라 한다.)들을 활용하는 시대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미래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기기들은 사용 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형태의 기기들일 수도 있고, 특정 공간상에 분산되어 설치, 고정되어 있기도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기들의 서비스 대상을 살펴보면 한 사람만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할 수도 있으며, 특정 사용자 그룹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불특정 다수를 위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ubiquitous society of the future is expected to be an age where several people utilize multiple intelligent devi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art objects') in a space. The various devices used in the future ubiquitous society may be devices that users carry, or they may be distributed and installed in a specific space. In addition, the service targets of these devices may b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service to only one person, or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service for a specific user group. It may also be aimed at providing services for an unspecified majority.

즉, 스마트 기기는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이며, 그 이유는 대부분의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은 이 스마트 기기를 통해서 이루어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In other words, smart devices are a key element in providing ubiquitous services because most users will interact with them.

상술한 스마트 기기는 객체 스스로가 자신에 대한 정체성을 가지며 기억 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문제 해결능력을 지니며, 객체들 간에 서로 의사소통을 하며, 상황정보에 대한 센싱 및 모니터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객체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객체 혹은 인간을 위해서 인간이 기대하는 행동하는 객체나 실시간으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데이터와 자체적인 지식구조를 소유한 객체 등으로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다. The above-mentioned smart device has an object itself, has a memory capacity, has a problem solving ability, communicates between objects, has a sensing and monitoring function for situation information, an object It has been variously defined as an object that has the ability to control its own behavior, an object that a human expects for human beings, or an object that has its own knowledge structure and data for making decisions in real time.

이러한 기존의 정의를 바탕으로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정의를 종합하면 스마트 기기는 객체 자신의 주변의 환경 및 자신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인지하고, 객체가 자율적으로 사용자의 욕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객체들 간에 서로 의사소통을 하는 객체라고 정의할 수 있다.Based on these existing definitions, the definitions for smart devices are combined. Smart devices recognize the environment around the object and the user's desire to use the object, and the object can autonomously communicate with the user in order to respond to the user's needs. It can be defined as objects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다양한 객체들과 다양한 사용자들이 서로 동적으로 다대다 관계를 형성하는 상황에서 스마트 기기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요구사항들을 가지게 될 것이다. 첫 번째 요구사항은 스마트 기기가 지속적으로 사용되도록 스스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스마트 기기는 자신의 가치를 계속 증명하여 지속적으로 쓰임 받으려는 욕구를 가진다고 본다. 이러한 지속적인 쓰임의 여부는 두 가지 측면에서 고려될 수 있다. 먼저 스마트 기기를 제공하는 제공자는 스마트 기기로부터 지속적으로 수익을 창출하고자 비용을 투자하여 스마트 기기를 제공할 것이다. 만약 스마트 기기가 지속적으로 수익을 창출하지 못한다면, 스마트 기기에 들어가는 유지 비용 등의 여러 비용적인 측면 때문에 스마트 기기를 회수하고자 할 것이다. In the situation where various objects and various users form a dynamic many-to-many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smart devices will have the following new requirements. The first requirement is that you have to consider yourself to ensure that your smart devices will continue to be used. Smart devices seem to have a desire to continue to prove their value and continue to be used. Whether such continuous use can be considered in two aspects. First, providers who provide smart devices will provide them by investing money in order to continue to generate revenue from them. If a smart device doesn't continue to generate revenue, it may want to take back the smart device due to several cost aspects, such as the cost of maintaining it.

따라서 스마트 기기는 제공자의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 다양한 수익성 있는 서비스 등을 스스로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을 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의 측면에서 볼 때의 지속적인 쓰임의 여부는 사용자에게 얼마나 가치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가에 달려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즉흥적으로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refore, smart devices mean that they must make efforts to develop various profitable services in order to continuously generate profits from the provider side. In addition, the continuous us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depends on how valuable the service is to the user. In order for the user to continuously use himself, he or she will have to provide improvised services.

결과적으로 스마트 기기는 지속적으로 사용되어지기 위해서 제공자와 사용자의 측면을 모두 고려한 서비스 전략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As a result, smart devices will need to provide services based on service strategies that consider both provider and user aspects in order to be used continuously.

스마트 기기에 대한 두 번째 요구사항은 스마트 기기가 ‘생각하는 사물(Things that Think)’이 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선별될 고객과의 장기적(long-lasting)이고 수익성 있는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스마트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충성도 혹은 친밀도를 유발할 수 있어야 한다. 스마트 기기에 있어 친밀도는 스마트 기기가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 는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The second requirement for smart devices is to make them smart "Things that Think." This means maintaining a long-lasting and profitable relationship with the customer to be screened. To do this, smart devices must be able to induce loyalty or intimacy from users. Familiarity with smart devices is closely related to whether smart devices can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to users.

세 번째 요구사항으로는 ‘스마트 그 이상의 것(More than just Smart)’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기기가 지능적이라고 해서 반드시 그것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지능적이고 인지된 사용용이성이나 인지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사용하려는 수용성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지속적인 사용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기기를 구매하여 사용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한번 사용이 아니라 지속적인 사용을 고려할 수밖에 없으므로 지능적이라는 요소 이상의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 그 중의 하나의 대안은‘관계성’일 것이다. 스마트 기기는 고객에 대해서 정보 기반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거래량을 증진시키는 것으로부터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확장해야 한다. 이를 위한 전략 중 하나로 제품에 대한 형상화를 고객이 직접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었다. The third requirement is that it must be "More than just Smart." People don't necessarily use it because it's intelligent. Intelligent and perceived usability or perceived usability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cceptance of the intended use, but it does not guarantee continued use.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sumers who buy and use devic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ore than the factor of intelligence because they have to consider continuous use instead of single use. One alternative would be "relationship." Smart devices should expand with the goal of strengthening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from providing information-based convenience to customers and increasing transaction volumes. As one of the strategies for this, a method of allowing the customer to directly shape the product has been proposed.

결국 현재의 스마트 기기는 앞으로의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스마트 기기가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대부분의 관련 연구는 기능 위주의 연구에 그치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기술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단기적으로는 사용자가 사용하게 할지라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인 사용을 담보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fter all, current smart devices must be able to continue to be used in the ubiquitous society. However, most of the current researches are only function-oriented studies, which cause users to be interested in new technologies, and in the short-term, they do not guarantee continuous use even in the long term.

한편, 사용자 관계관리(User Relationship Management, URM)는 지속적 사용을 목표로 하는 스마트 기기들에 의한 대 사용자 행동의 총체라고 정의되는데,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미래 유비쿼터스 사회에서는 수많은 스마트 기기들이 그들의 사용자들과 함께 어우러져 동적인 다대다 관계를 형성하며 살아가게 될 것이며, 이러한 사회에서 기기들의 측면에서 바라보면 어떤 기기들은 사용이 되고, 어떤 기기들은 사용이 되지 않게 될 것이다. 따라서 기기들은 스스로 자신들이 사용자들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행동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URM) is defined as the aggregate of large user behaviors by smart devices aimed at continuous use. As mentioned earlier, in the future ubiquitous society, many smart devices are connected with their users. They will live together to form a dynamic many-to-many relationship, and in this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devices, some devices will be used and some devices will not be used. Therefore, devices should act on their own so that they can continue to be used by users.

따라서, URM은 스마트 기기들이 자신의 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해 스스로 신규 사용자를 유치하고 기존 사용자의 사용의 질을 증대시키는 것과 관련한 자율적 방법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러한 URM의 개념을 인식하기 위해서 원래 인간 사이의 관계 형성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erefore, URM encompasses autonomous methods related to smart devices attracting new users and increasing the quality of use of existing users to increase their value. We need to look at forming relationships.

인간 사이의 관계는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만나고 활동함에 있어서 시작, 개발, 성숙이라는 단계를 거치며 그 관계가 점차 더욱 밀접한 관계로 발전하게 된다. 관계의 시작 단계에서는 다른 사람의 존재에 대해서 인식하게 되고 일상적인 인사나 대화와 같은 감정이 개입되지 않은 단순한 상호작용이 발생한다. 그리고 개발 단계에서는 상호작용의 결과로 다른 사람에 대한 호감이 생기게 되어 상호작용의 양과 질이 증가하게 된다. 관계의 성숙 단계에서는 서로간에 신뢰가 형성이 되고 상호 충성도가 발생하게 된다. 즉, 감정이 개입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성숙단계에서는 밀접한 관계가 형성된다. 밀접한 관계라는 것은 상호작용이 누적되어 신뢰와 상호 충성도가 발생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일시적으로 단기에 형성되는 것이 아닌 장기적으로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밀접한 관계에서 상호작용의 양과 질은 더 증진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goes through the stages of starting, developing and maturity when one person meets and works with another, and the relationship develops into a closer relationship. At the beginning of a relationship, simple interactions occur that make people aware of the existence of others and that do not involve emotions such as everyday greetings or conversations. In the development stage, interactions result in a good feeling for others, increas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interactions. In the maturity stage of the relationship, trust is built between each other and mutual loyalty occurs. In other words, emotions are involved. Finally, maturity forms a close relationship. Close relationships are formed by the accumulation of interactions, resulting in trust and loyalty, and in the long term, not in the short term. In this close relationship,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interaction is further enhanced.

위와 같은 인간관계의 의미와 단계를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와의 관계 모형에 적용하면,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의 관계 역시 시작, 개발, 성숙이라는 단계를 거치 며 밀접한 관계로 발전된다고 하면,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 사이에 밀접한 관계라는 것은 사용자가 특정 스마트 기기에 대해 호감을 가지고 자주 또는 유용하게 이용함을 의미하는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 이용에 대한 충성도로 대체하여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충성도는 반복적인 또는 지속적인 이용 행위로 해석되며 즉시적인 충성도 제고 활동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현재 상황(context)을 인지하여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가 어떤 관계인지에 대한 상황(situation)을 추론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 상황의 인지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욕구를 파악하여 이에 대응하는 적절한 서비스를 선별, 제공해야 한다. Applying the meanings and stages of human relations to the relationship model between the user and the smart devi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smart device is also developed into a close relationship through the stages of start-up, development, and maturity. Close relationship with may refer to the loyalty of the user's use of the smart device, which means that the user has a crush on a particular smart device frequently or usefully. At this time, loyalty is interpreted as repetitive or continuous use behavior, and for immediate loyalty promotion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current context of the user and to deduce the situa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smart devi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urrent needs of users through the recognition of such relational situations, and to select and provide appropriate services corresponding to them.

URM의 또 다른 주요 개념은 스마트 기기들이 관계 관리를 함에 있어 자율적이고 의도적으로 한다는 것이다. 기존의 CRM과 같은 경우에는 현장의 기기들이 자율적으로 관계 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마케팅 부서 담당자 혹은 현장의 기기 담당자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는 현장에 있는 사용자의 욕구에 즉흥적으로 적시에 반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현재 원하는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기기 스스로 찾아서 의도적이고 동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여기서 의도적이라 의미는 기기들 스스로 관계 형성의 질에 대한 목표를 가지고 행동을 한다는 것이다. Another key concept of URM is that smart devices are autonomous and intentional in managing relationships. In the case of the existing CRM, the devices in the field are not autonomous in relation to each other, but rather by the company's marketing manager or the device manager in the field. This has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react promptly and timely to the needs of users in the field. Therefore, 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 the user needs to find the service he / she wants in real time and provide it intentionally and dynamically. Intentional in this sense means that the devices themselves act with a goal of quality of relationship formation.

기존에 공지된 제안을 살펴 보면, 스마트 기기들이 의도적으로 관계의 형성을 목표로 행동을 취하지 않더라도 어느 정도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들 사이에서는 관계가 형성이 이루어져 왔다.Looking at the existing known proposals, the relationship has been formed between the user and the smart devices to some extent even if the smart devices do not intentionally take action to form the relationship.

Sung 등의 연구에서 ‘Roomba’라는 청소 로봇에 대한 사용자들과의 관계 형 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그들의 연구에 의하면 사용자들은 ‘Roomba’를 자신의 애완동물이나 사람과 같이 대하며 친근함 등의 감정을 이입하여 관계를 형성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계의 형성은 사용자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기기 자체는 아무런 의도 형성이나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For example, in Sung's research, the relationship formation with users of the cleaning robot called 'Roomba' is an example. According to their research, users treat the “Roomba” with their pets or people and build relationships by infusing feelings such as friendliness. However, the formation of such a relationship is made by the user, and the device itself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have any intention or role.

만약 기기들이 적극적으로 이러한 관계 형성에 있어 역할을 담당한다면 사용자와의 관계는 빠르고 쉽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이 빠르고, 쉽게 형성된 관계를 바탕으로 기기들은 더욱 많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If the devices actively play a role in forming such a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with the user can be formed quickly and easily, and the devices can be used more and more based on such a quick and easily formed relationship.

즉,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미래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사용자와 기기들 간의 관계를 예측하여 보면 사용자와 기기들 사이에 동적인 다대다 대응 관계가 형성될 것으로 예측되는데, 동적인 다대다 대응 관계란 여러 사용자가 여러 기기들과 특정 상황 하에서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고, 형성된 관계를 파기하기도 하는 것을 의미한다. In other words, if we predict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and devices in the future ubiquitous society, it is expected that a dynamic many-to-many relationship will be formed between users and devices. This means that the user may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various devices under a specific situation, or destroy the formed relationship.

따라서 이러한 유비쿼터스 사회에서는 수많은 기기들이 사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그렇기 때문에 기기의 공급자 입장에서는 자신들이 제공한 다양한 기기들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획득 및 관리가 어려워지게 될 것이며, 결국 이러한 기기들에 대한 관리가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Therefore, in this ubiquitous society, many device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result, device suppliers will find it difficult to obtain and manage information on how the various devices they provide are used, and management of these devices will be more complicated.

그리고 또 다른 문제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사용되지 않는 많은 기기들이 발생될 것이며 결국 버려지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기기가 있다면 그것은 그 기기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일이 될 것이고 결국 그 기기를 제공, 공급하는 기업의 수익률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는 것이다. And another problem is that over time, many unused devices will be generated and eventually discarded. And if there's a device that's being used and discarded, it's going to reduce the value of that device, which in turn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profitability of the company that provides it.

또한 기기들의 종류가 많아지면서 특정 기기를 사용할 사용자들은 고도로 세분화될 것이며, 세분화되고 고도화되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는 기기들에 대한 유지보수 혹은 신규 장비로의 교체를 더 요구하게 될 것이며, 결국 적지 않은 관리 비용을 야기하게 될 것이라는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devices increases, users who use a specific device will be highly segmented, and the service demands of users who are segmented and advanced will require more maintenance or replacement of new devices. The problem will arise that will incur costs.

결국 위와 같은 예상들은 상당한 비용을 촉발하게 될 것을 의미하며, 수익성 있는 서비스 모델을 탐색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In the end, these predictions will trigger significant costs and mean that it will not be easy to explore a profitable service model.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마트 기기는 자신의 가치를 스스로 유지, 증진 시키기 위해 사용자에게 개인화되고 즉흥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스마트 기기가 자동적으로 사용자와의 관계상황을 인지하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관계관리 도구는 이러한 관계상황의 인식 방법에 대해서는 지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smart devices should be able to provide personalized and improvised services to users in order to maintain and promote their own value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is is that the smart device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relationship with the user. However, the existing relationship management tools did not support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situ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와 사용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와 사용자 간 지속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에이전트를 통해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 간의 관계라고 하는 상황정보를 인식하고, 그러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정하는 사용자 관계관리 방법(User Relationship Management)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고,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using a smart device and a user device in a ubiquitous environment, the user and the smart device through an agent having a function to maintain a continuous relationship between the smart device and the us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method for recognizing situation information called a relationship between and selecting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based on such information.

다른 목적으로는, 상호통신 및 협업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와 사용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 간의 관계유형을 정의한 후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 간의 관계정도에 기반한 서비스를 동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하게 서비스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purpose is to define the relationship type between the user and the smart device by using the smart device and the user device that can communicate and collaborate, and then dynamically configure the servic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smart device to serve the user appropriately. Its purpose is to provide 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a smart device under a ubiquitous environmen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기기 간 상호통신이 가능한 마스터UDDDI, 제1스마트 기기, 제2스마트 기기 및 사용자 디바이스를 이용한 객체 관계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스마트 기기가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상호통신을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받아 기 저장된 거래데이터 또는 상황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제1스마트 기기가 추출된 거래 데이터 또는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관계유형 및 관계정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관계유형 및 관계정도에 따른 서비스 리스트를 상기 마스터UDDI에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제1스마트 기기가 상기 마스터UDDI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스마트 기기와의 상호통신 및 협업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As described above, an object relationship management method using a master UDDDI, a first smart device, a second smart device, and a user device capable of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in a ubiquitous environment, comprising: (a) the first smart device being a user Retrieving and extracting pre-stored transaction data or situation information by receiving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b) the first smart device measures the relationship type and the degree of relationship with the user using the extracted transaction data or the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n requests the master UDDI for a service list according to the measured relationship type and the degree of relationship. step; (c) displaying the service list received from the master UDDI by the first smart device and providing a servic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a second smart device providing a servic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t provides 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a smart device under a ubiquitous environment, including;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기기 간 상호통신이 가능한 마스터UDDI, 제1스마트 기기, 제2스마트 기기 및 사용자 디바이스를 이용한 객체관계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스마트 기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스케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고유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거래데이터 또는 상황정보를 검색 및 추출한 후 사용자와의 관계유형 및 관계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관계유형 및 관계정도에 따라 서비스 리스트를 상기 마스터UDDI로 요청하여 수신한 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스마트 기기와의 상호통신 및 협업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결과를 제2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제1스마트 기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In an object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 using a master UDDI, a first smart device, a second smart device, and a user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 ubiquitous environment, profile information and schedule information of a user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first smart device. A user device for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comprising; And providing a unique service, and after receiving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searching for and extracting transaction data or situation information of a user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by using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t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 type and degree of relationship with the user. Measure, request and receive a list of services to the master UDDI according to the measured relationship type and the degree of relationship, and then,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a second smart device that provides a selected servic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 first smart device providing a service and transmitting a service result to a second smart device;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a smart device under a ubiquitous environment comprising a.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들이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사용되어지기 위해서 자율적으로 사용자와의 관계를 관리하는 방법론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스마트 기기가 다른 스마트 기기와의 연합을 통해 자신이 원래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동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와의 관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and system of the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under the ubiquitous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ethodology for autonomously manag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user in order for the smart devices to be continuously used by the user. Through the association with the device, it is effective to enhance the relationship with the user by dynamically constructing and providing the service desired by the user rather than the service originally provided by the device.

다른 효과로는,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형성되는 지를 스마트 기기가 스스로 인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더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스마트 기기가 사용자와의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Another effect is that by allowing the smart device to recognize what kind of relationship is formed between the user and the smart device, it can provide a more appropriate service to the user so that the smart device can maintain a long-term relationship with the user. There is,

또 다른 효과로는, 기존 마케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RFM 등급을 바탕으로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의 관계의 질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스마트 기기가 관계의 질을 바탕으로 하여 스스로 사용자와의 관계관리를 위한 활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other effect is to measure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smart device based on the RFM rating used in the existing marketing field, so that the smart device itself can be based on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even when the user is not using the smart device. It is effective to carry out activities for managing relationships with user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in a ubiquitous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세부 블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a smart device in a ubiquitous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a smart device under a ubiquitous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본 발명의 유비쿼터스 환경은 공지된 기술과 기반체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인 제1스마트 기기, 제2스마트 기기 및 사용자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설명한다.Since the ubiquitous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well-known technologies and infrastructures, a detailed description that does not mee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and focuses on the first smart device, the second smart device, and the user device, which ar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Explain.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100), 무선통신망(200), 제1스마트 기기(300), 제2스마트 기기(400), 마스터 UDDI(500), 마스터 서버(600) 또는 원격마스터 서버(70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device 100,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00, the first smart device 300, the second smart device 400, the master UDDI 500, the master server 600 or the remote master server 700 ), Etc. can be configured.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셀룰라폰, PCS, PDA, UMPC, PMP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스마트 기기(300), 제2스마트 기기(400)와의 상호통신이 가능한 모든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한다.The user device 100 is not only a cellular phone, a PCS, a PDA, a UMPC, and a PMP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services while being carried by a user in a ubiquitous environment, but also with the first smart device 300 and the second smart device 400. Includes all portable terminals capable of intercommunication.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스마트 기기(300, 400)와의 상호통신 및 협업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스케쥴 정보를 사용자 온톨로지(User Ontology)를 통해서 관리하고 송수신하는 유저 에이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user device 100 performs mutu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smart devices 300 and 400 to display user profile information and schedule information. User Ontology) is configured to include a user agent to manage and send,

상기 제1,2스마트 기기(300, 400)로부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스케쥴 정 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유저 에이전트는 기 저장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스케쥴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미 도시)에서 검색 및 추출하여 상기 제1스마트 기기(300)로 전송하게 된다.When receiving a signal for request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user profile information and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first and second smart devices 300 and 400, the user agent includes profile information and schedule information of a previously stored user. The user information is searched and extracted from a database (not shown)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smart device 300.

이때,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스케쥴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는 상기 마스터 서버(600) 또는 원격마스터 서버(700) 등에 저장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user information including profile information,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user may be stored in the master server 600 or the remote master server 700.

상기 제1스마트 기기(300)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기기 상호간 상호통신 및 협업을 통하여 다양한 상황인식 서비스 또는 일반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단말기로써, 지정된 특정공간에 위치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이동도 가능한 유비쿼터스 단말기이다.The first smart device 300 is a ubiquitous terminal that provides various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s or general service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devices in a ubiquitous environment. The first smart device 300 may be located in a specified specific space or move as needed. to be.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0)가 접근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0)와의 상호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게 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미 도시)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거래데이터 및 상황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기 정의된 규칙에 따라 사용자와의 관계유형 및 관계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관계유형에 따라 서비스 리스트를 상기 마스터UDDI(500)에 요청한 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서비스 리스트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제2스마트 기기(400)와의 상호통신 및 협업을 통하여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user device 100 approaches, user information is requested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user device 100, after receiving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100, and using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database Search and extract the user's transaction data and situation information stored in (not shown) to measure the relationship type and degree of relationship with the user according to a predefined rule, and calculate the service list according to the measured relationship type. If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displayed service list after the request to the 500, the service is performed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the second smart device 400 providing the selected service. The result is to store the result.

특히, 상기 제1스마트 기기(300)는 고유한 상황인식 서비스 또는 일반서비스 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0), 제2스마트 기기(400)와의 상호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와의 관계유형 및 관계정도를 측정하고 제공가능한 서비스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URM(User Relationship Management)에이전트와 상기 제1스마트 기기의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URM에이전트에 의해 생성된 제공가능한 서비스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에이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smart device 300 provides a uniqu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or a general service, and performs a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user device 100 and the second smart device 400 to establish a relationship type and relationship with a user. A service that provides basic services of the first smart device and 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URM) agent for measuring a degree and generating a list of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and displays a list of available services generated by the URM agent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It further comprises an agent.

또한, 상기 URM(User Relationship Management)에이전트는 관계유형 및 관계정도 측정, 상황인식 서비스, 제2스마트 기기와의 상호통신 및 제2스마트 기기와의 상호통신을 통한 동적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URM) agen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dynamic service through a relationship type and a relationship degree measurement,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intercommunication with a second smart device, and intercommunication with a second smart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제2스마트 기기(400)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기기 상호간 상호통신 및 협업을 통하여 다양한 상황인식 서비스 또는 일반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단말기로써, 지정된 공간에 위치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이동도 가능한 유비쿼터스 단말기이다. The second smart device 400 is a ubiquitous terminal that provides various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s or general service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devices in a ubiquitous environment, and is a ubiquitous terminal that may be located in a designated space or move as needed. .

즉, 상기 제1스마트 기기(300)와 동일하되, 지정된 위치나 제공하는 고유한 상황인식 서비스 또는 일반서비스만 다를 뿐이며, 상기 제1스마트 기기(300)와의 상호통신 및 협업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same as the first smart device 300, but only a unique location recognition service or a general service that provides a specific location or provided, and provides a servic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the first smart device 300 Perform the function.

특히, 상기 제1스마트 기기(300) 또는 상기 제2스마트 기기(400)는 제1스마트 기기(300), 제2스마트 기기(400) 또는 제3의 스마트 기기와의 상호통신을 통하여 제공가능한 서비스 리스트와 상기 제공가능한 서비스들의 관계유형을 관리하고 제공하고, 다른 서비스 에이전트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메타 서비스 에이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smart device 300 or the second smart device 400 is a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mart device 300, the second smart device 400 or a third smart device It further comprises a meta service agent for managing and providing a list and the relationship type of the available services, and manages information of other service agents.

상기 마스터 UDDI(500)는 특정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제1스마트 기기(300), 제2스마트 기기(400)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100)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The master UDDI 500 is located in a specific space and stores information such as the first smart device 300, the second smart device 400, or the user device 100.

특히, 상기 제1스마트 기기(300), 제2스마트 기기(400) 또는 제3의 스마트 기기와의 상호통신을 통하여 제공가능한 서비스 리스트를 전송하고, 상기 제공가능한 서비스들의 관계유형을 관리하고 제공하며, 다른 서비스 에이전트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메타 서비스 에이전트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In particular, it transmits a list of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mart device 300, the second smart device 400 or a third smart device, and manages and provides a relationship type of the available services It further includes a meta service agent that manages information of other service ag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원리와 서비스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inciple and a service method of 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a smart device under the ubiquitous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상황정보 중 하나인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First, the relationship, which is one of very important situation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있어서 관계가 중요한 이유는 어떠한 관계에 놓여 있는 가에 따라서 관계를 맺는 사람들 간에 전혀 다른 의사소통 행위를 하기 때문이며, 또한 사용자와의 관계의 밀접함의 정도 역시 그 정도에 따라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The reason why the relationship is importan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communication is performed completely differently between the people involved in the relationship, and the degree of closeness to the user also depends on the degree to which th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This is important because it can vary.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관계는 크게 자원 제어, 대인상호작용, 그리고 상호관계인지의 측면으로 나누어지며, 자원제어 측면에서의 관계를 구분하면 관계를 맺는 사람들끼리 서로 자원을 교환하는 관계(exchange), 하나의 자원을 분배하여 나누는 관계(distribution), 그리고 다른 사람의 자원을 사용의 관계(use)로 구분할 수 있다.The relationship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spects of resource control, interpersonal interaction, and mutual relations. Can be divided into the distribution of resources and the use of other people's resources.

그리고, 대인 상호작용이라는 측면에서 관계를 구분하면 관계를 맺는 사람들 간에 서로 협업을 하는 관계(working), 하나의 결정을 내리기 위한 의사결정의 관계(decision making), 한 사람이 다른 관계 파트너를 설득하는 관계(influence)로 구분할 수 있다. And in terms of interpersonal interactions, when you divide relationships, you can collaborate with each other, the decision making to make one decision, and one person to persuade another relationship partner. It can be divided into influence.

마지막으로, 관계를 맺는 사람들이 서로간에 관계를 어떻게 인지하는 지에 따른 상호관계인지 측면은 관계를 맺는 사람들끼리의 친밀함에 따른 관계(identity), 윤리적인 의무에 의한 관계(relating), 가장 전형적으로 맺는 관계에 대한 인식(relationship)으로 구분할 수 있다. Finally, the aspect of the relationship, depending on how those who perceive each other's relationships, depends on the intimacy of the people involved, the ethical obligations, and the most typically It can be divided into relational relations.

또한, 관계는 크게 정적인 관계(static relationship)와 상황적인 관계(contextual relationship)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정적인 관계는 상황에 따라서 변하지 않는 관계를 이야기한다. 즉, 자원 제어 측면에서의 관계는 정적인 관계이고 대인 상호작용 측면에서의 관계와 상호관계인지 측면에서의 관계는 상황적인 관계라고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static relationship (contextual relationship) and a contextual relationship (contextual relationship), the static relationship refers to a relationship that does not change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in terms of resource control is a static relationship and the relationship in terms of interpersonal interaction and the relationship in terms of interrelationship is a situational relationship.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인 URM 방법이 적용된 제1스마트 기기는 상황적인 관계에 초점을 두고 하기에 언급한 관계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first smart device to which the URM method,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provides a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ntioned below with a focus on a situational relationship.

제1스마트 기기가 첫번째로 수행하는 단계가 관계유형 인지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제1스마트 기기와 사용자가 어떤 관계에 놓여 있는 가를 인지하게 되는 데, 다시 말해서 사용자와 어떤 관계 타입을 형성하고 있는 지를 인지하는 것이다.The first step performed by the first smart device is a relationship type recognition step. In this step, it is to know what relationship the first smart device has with the user, that is, what type of relationship the user has with the user.

두 번째 단계는 서비스 제공 단계이며, 제1스마트 기기가 관계를 인지한 후 이에 따라 제공가능한 서비스를 탐색하여 제공하게 된다. 제공가능한 서비스의 탐색 방법으로 각 서비스별로 주어진 관계유형 점수를 바탕으로 산정한 후,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관계유형과 가장 유사한 서비스를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The second step is a service providing step, where the first smart device recognizes the relationship and searches for and provides a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accordingly. As a search method of a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the service is calculated based on a score of a relationship type for each service, and then the service most similar to the relationship type that the user has is selected and provided to the user.

세 번째 단계는 관계정도를 측정하는 단계이며, 즉, 사용자와 제1스마트 기기의 관계의 밀접함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밀접한 관계라는 것은 사용자의 충성도를 바탕으로 측정되며, 이를 위해서 기존 마케팅 분야에서 고객의 충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인 RFM방법을 사용하였다. RFM방법이란 고객이 얼마나 최근에 구매를 했는가를 나타내는 최근성(Recency), 얼마나 자주 구매했는가를 나타내는 빈도(Frequency), 얼마나 구매했는가를 나타내는 구매액(Monetary)의 3개의 요인을 분석하여 정량적으로 충성 고객을 분류하는 방법이다. The third step is to measure the degree of relationship, that is, to measure the degree of close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first smart device. As mentioned above, close relationship is measured based on user loyalty. For this purpose, RFM method, which is a method for measuring customer loyalty, is used in the existing marketing field. RFM method quantitatively loyal customers by analyzing three factors: Recency indicating how recently customers made a purchase, Frequency indicating how often they made a purchase, and Monetary indicating how much they made. How to classify.

마지막 단계로서 사용자의 밀접함의 정도와 관계유형에 따라 사용자 관리를 위한 서비스를 수행한다. 즉, 사용자 관리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각종 이벤트 정보나 고객 보너스 프로그램 등의 사후 서비스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위와 같은 일련의 프로세스를 계속 반복 수행하며 제1스마트 기기는 사용자와의 관계를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As a final step, service for user managemen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user's closeness and relationship type. That is, the user management service means to perform post-service activities such as various event information or customer bonus program to the user, and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repeatedly performed, and the first smart device manages the relationship with the user. will be.

물론, 상술한 단계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 순서 등을 조합하여 제공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Of course, the above-described step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bove-described steps may be provided in a combination of various forms, orders, and the lik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 중 관계유형 및 관계정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a smart device under a ubiquitous environmen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relationship type and a degree of relationship in 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a smart device under a ubiquitous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휴대한 상태에서 제1스마트 기기(300)에 접근하게 되면, 상기 제1스마트 기기의 URM에이전트(320)는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상호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When the user approaches the first smart device 300 while carrying the user device 100, the URM agent 320 of the first smart device requests user information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user device.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유저 에이전트(110)는 제1스마트 기기의 URM에이전트(32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마스터 서버(600) 또는 원격마스터 서버(700)에 저장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스케쥴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상기 제1스마트 기기(300)로 전송한다(S301).The user agent 110 of the user device may be stored in a database of the user device 100 or stored in a master server 600 or a remote master server 700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RM agent 320 of the first smart device. The user information including profile information,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like is searched and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smart device 300 (S301).

상기 제1스마트 기기의 URM에이전트(32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마스터 서버(600) 또는 원격마스터 서버(700)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거래데이터 또는 상황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사용자와의 관계유형 및 관계정도를 측정하게 되는데(S303),The URM agent 320 of the first smart device retrieves and extracts transaction data or situation information of a user previously stored in the master server 600 or the remote master server 700 by using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then relates to the user. The type and the degree of relationship is measured (S303),

도 4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4.

상기 제1스마트 기기의 URM에이전트(320)는 기 설정된 관계유형 점수를 로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관계유형은 사용자와 제1스마트 기기(300)가 어떠한 관계에서 상호작용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와 협업하는 관계,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관계, 사용자에게 어떤 것을 추천하는 관계,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용자에게 즐거움을 주는 관계의 총 4가지 관계유형으로 설정하였으며, The URM agent 320 of the first smart device loads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type score. The relationship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in which relationship the user interacts with the first smart device 300. We set four types of relationships: collaboration, information giving to the user, recommending something to the user, and finally a relationship that gives the user pleasure.

사용자와 협업하는 관계는 사용자가 제1스마트 기기(300)를 이용하여 일(task)을 수행하는 관계를 말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른 사람에게 메일을 보내기 위해서 제1스마트 기기(300)를 이용한다면 이는 제1스마트 기기(300)와 사용자가 서로 협업을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제1스마트 기기(300)를 사용자의 일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user cooperates refers to a relationship in which a user performs a task using the first smart device 300. For example, the user may use the first smart device 300 to send a mail to another person. If used, it may be said that the first smart device 300 and the user cooperate with each other. That is, using the first smart device 300 as a tool for the user's work.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관계는 사용자가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 의사결정을 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하여 정보만을 제공하여 주는 관계를 말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주가지수가 얼마나 되는지를 알고 싶어 제1스마트 기기(300)를 이용하여 주가 지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면 이는 제1스마트 기기(300)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관계라고 할 수 있다. A relationship that provides information to a user refers to a relationship that provides information only to help a user make a decision about a problem. For example, a user may want to know how much the current stock index is. If the device 300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stock price index, it may be said that the first smart device 300 provides information to the user.

사용자에게 어떤 것을 추천하는 관계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것을 추천하여 이를 선택하도록 하는 관계를 말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옷을 사고자 한다면, 제1스마트 기기(300)가 사용자에게 적합한 옷을 선택하고 이를 추천하는 것을 말한다.The relationship for recommending something to the user refers to a relationship for recommending and selecting a suitable one for the user. 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buy clothes at present, the first smart device 300 selects a clothes suitable for the user. Say it is recommended.

여기서 정보를 제공하는 관계와 추천하는 관계의 차이점은 정보 제공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행동을 유발시키는 것이 목적이 아닌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차원이고, 추천은 사용자의 행동을 유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ing relationship and the recommending relationship is that in the case of providing information, it is not merely the purpose of causing the user's action but merely providing the information, and the recommendation is intended to cause the user's action.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용자에게 즐거움을 주는 관계는 사용자가 제1스마트 기기(300)를 통해 즐거움을 얻는 관계를 말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평소 좋아하는 음악을 제1스마트 기기(300)를 통해 들을 수 있게 해주는 것을 말한다. And finally, the relationship that gives pleasure to the user refers to the relationship that the user gets pleasure through the first smart device 300, for example, the user can listen to the music that the user usually likes through the first smart device 300. Say something that makes it possible.

이와 같은 4가지 관계유형을 통해 관계를 인지하고 점수를 설정하는 방법은 첫째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개별 서비스의 관계유형 점수를 설정하게 되고, 제1,2스마트 기기(300, 4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고, 사용자와 제1,2스마트 기기 사이의 관계유형 점수를 계산하게 된다. 즉 제1,2스마트 기기(300, 400)에 의해 제공되는 각 서비스는 위에서 언급한 4가지 관계유형에 따른 점수를 가지고 있으며, 각 서비스의 관계유형 점수는 제1,2스마트 기기의 제공자가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미 도시)에 기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2스마트 기기의 제공자의 관계유형 점수 설정은 제1,2스마트 기기(300, 400)를 통해 제공할 서비스가 사용자와 어떤 관계에 놓였을 경우 서비스가 이용될지를 판단하여 <협업, 정보제공, 추천, 즐거움>의 형태로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and setting the score through these four types of relationships is to first set the relationship type score of the individual service by the service provider, and the user using the first and second smart devices 300 and 400. Uses the service and calculates the score of the relationship type between the user and the first and second smart devices. That is, each service pro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smart devices 300 and 400 has a score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relationships mentioned above, and the relationship type score of each service is set by the provider of the first and second smart devices. It will be stored in a database (not shown). That is, the relationship type score setting of the provider of the first and second smart devices may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service is to be used when the service to be provid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mart devices 300 and 400 is associated with the user. Collaboration, information, recommendation, and fun>.

여기서 <협업, 정보제공, 추천, 즐거움>의 4가지 관계유형의 점수의 합은 1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 ATM 같은 경우에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입금, 출금, 잔액 조회 등의 온라인 금융서비스이다. 스마트 ATM를 생산하는 생산자는 뱅킹서비스에 대한 관계 점수를 <(0.7), (0.1), (0.1), (0.1)>로 설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um of the scores of the four types of relationship, Collaboration, Information, Recommendation, and Pleasure, is 1. For example, in the case of smart ATMs, the basic services are online financial services such as deposit, withdrawal, and balance check. Producers producing smart ATMs can set the relationship score for banking services as <(0.7), (0.1), (0.1), or (0.1)>.

<(0.7), (0.1), (0.1), (0.1)> 점수의 의미는 뱅킹서비스의 경우 생산자가 서비스 제공 전에 서비스의 주 타겟이 되는 사용자와의 관계가 협업이라는 관계유형에서의 관계가 가장 클 것으로 생각하여 나온 점수이다. <(0.7), (0.1), (0.1), (0.1)> In the case of banking servi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er and the user who is the main target of the service before the service is provided is the relationship in the relationship type of collaboration. The score is thought to be large.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 서비스는 관계유형 점수를 가지게 되고, 이 서비스를 사용자는 제1스마트 기기(300)를 통해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이용 서비스들의 각 관계유형 점수의 평균을 계산하여 사용자와 제1스마트 기기 사이의 관계유형 점수 즉, 상기 URM에이전트(320)는 사용자와 제1스마트 기기(300)가 어떤 관계 타입에 놓여있는지를 기 설정된 관계유형 점수를 로딩하여 계산하는 것이다(S402). In this way, each service has a relationship type score, and the user uses the service through the first smart device 300. The relationship type score between the user and the first smart device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an average of each relationship type score of the services used by the user, that is, the URM agent 320 is placed in a relationship type between the user and the first smart device 300. It is calculated by loading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type score (S402).

상기 URM에이전트(320)는 사용자와 제1스마트 기기 사이의 협업 관계유형 점수를 하기의 [식1]에 따라 산정하게 되고(S404),The URM agent 320 is to calculate the cooperation relationship type score between the user and the first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1] (S404),

Figure 112008035229722-PAT00001
[식1]
Figure 112008035229722-PAT00001
[Equation 1]

상기 URM에이전트(320)는 사용자와 제1스마트 기기 사이의 정보제공 관계유형 점수를 하기의 [식2]에 따라 산정하게 되고(S406),The URM agent 320 is to calculate the information providing relationship type score between the user and the first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2] (S406),

Figure 112008035229722-PAT00002
[식2]
Figure 112008035229722-PAT00002
[Equation 2]

상기 URM에이전트(320)는 사용자와 제1스마트 기기 사이의 추천 관계유형 점 수를 하기의 [식3]에 따라 산정하게 되고(S408),The URM agent 320 is to calculate the recommended relationship type score between the user and the first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3] (S408),

Figure 112008035229722-PAT00003
[식3]
Figure 112008035229722-PAT00003
[Equation 3]

상기 URM에이전트(320)는 사용자와 제1스마트 기기 사이의 즐거움 관계유형 점수를 하기의 [식4]에 따라 산정하게 된다(S410).The URM agent 320 calculates the score of the pleasure relationship type between the user and the first smart device according to Equation 4 below (S410).

Figure 112008035229722-PAT00004
[식4]
Figure 112008035229722-PAT00004
[Equation 4]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가 A와 B라고 가정하고, 서비스 A의 관계유형 점수가 <(0.7), (0.1), (0.1), (0.1)> 이고, 서비스 B의 관계유형 점수는 <(0.5), (0.3), (0.1), (0.1)> 인 경우, 이용 서비스에 대한 각 관계유형 평균 점수는 <(0.6), (0.2), (0.1), (0.1)>가 된다. 이 점수가 사용자와 제1스마트 기기 간의 관계유형을 나타내는 점수이다. 점수를 보면 협업 관계 점수가 가장 높다. 이는 사용자와 제1스마트 기기의 관계가 협업의 관계라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사용자와 제1스마트 기기 사이의 관계는 사용자가 제1스마트 기기(300)를 어떤 목적으로 이용하는 가에 따라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That is,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service used by the user is A and B, the relationship type score of the service A is <(0.7), (0.1), (0.1), (0.1)>, and the relationship type score of the service B. Is <(0.5), (0.3), (0.1), (0.1)>, the average score of each relationship type for the service is <(0.6), (0.2), (0.1), (0.1)> . This score is a score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type between the user and the first smart device. In terms of scores, the collaboration score is the highest.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first smart device is a collaboration relationship.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first smart device may vary depending on what purpose the user uses the first smart device 300 for.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거쳐, 협업, 정보제공, 추천, 즐거움의 관계유형 점수가 산정되면, 상기 URM에이전트(320)는 협업, 정보제공, 추천, 즐거움의 관계 유형 점수와 제공가능한 서비스들의 관계거리를 계산하게 되는데, 즉, 앞에서 설명한 관계유형의 계산에 따라서 제1스마트 기기(300)는 사용자에게 관계유형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Through the step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lationship type scores of collaboration, information provision, recommendation, and enjoyment are calculated, the URM agent 320 scores the relationship type of the collaboration, information provision, recommendation, and pleasure, and the relationship distance between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That is, the first smart device 300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of the relationship type described above will provide a servic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type to the user.

본 발명의 특징인 관계거리(Relationship Distance, RD) 계산은 사용자와 제1스마트 기기 사이의 관계유형 점수와 제1스마트 기기(300)에서 제공 가능한 개별 서비스들의 관계유형 점수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와 제공 가능한 개별 서비스와의 관계유형 점수의 차이를 의미한다. The relationship distance (RD) calculation,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presents a difference between a relationship type score between a user and a first smart device and a relationship type score of individual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first smart device 300. The difference in scores of the typ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services and the individual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여기서 제공 가능한 개별 서비스들은 제1스마트 기기(300) 자신이 제공 가능한 고유서비스와 다른 제2스마트 기기(400)와의 연합을 통해 제공 가능한 서비스들을 포함한다. 관계 거리의 계산식은 아래 [식5]와 같다.The individual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herein include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association with other second smart devices 400 and unique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first smart device 300 itself. The formula of the relation distance is shown in [Equation 5] below.

Figure 112008035229722-PAT00005
[식5]
Figure 112008035229722-PAT00005
[Equation 5]

단, UC: 사용자의 협업 관계유형 점수, However, UC: your collaboration relationship type score,

UI : 사용자의 정보제공 관계유형 점수, UI: score of information type relations of users,

UR : 사용자의 추천 관계유형 점수, UR: user recommended relationship type score,

UE : 사용자의 즐거움 관계유형 점수, UE: user's enjoyment relationship type score,

SC : 서비스의 협업 관계유형 점수, SC: Collaboration relationship type score of the service,

SI : 서비스의 정보제공 관계유형 점수, SI: score of informational relation type of service,

SR : 서비스의 추천 관계유형 점수, SR: Score of recommended relationship type of service,

SE : 서비스의 즐거움 관계유형 점수.SE: Pleasure of Service Relationship Type Score.

위의 식을 토대로 관계 거리의 계산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의 관계유형 점수가 <(0.5), (0.3), (0.1), (0.1)>이고, 서비스A의 관계유형 점수가 <(0.3), (0.2), (0.4), (0.1)>이라고 한다면, 관계거리의 계산은 아래 [식6]과 같이 계산된다. Calculating the relationship distance based on the above equation, for example, the relationship type score of the user is <(0.5), (0.3), (0.1), (0.1)>, and the relationship type score of the service A is <( 0.3), (0.2), (0.4), (0.1)>, the relation distance is calculated as shown in [Equation 6] below.

Figure 112008035229722-PAT00006
[식6]
Figure 112008035229722-PAT00006
[Equation 6]

이와 같이 계산된 0.3742라는 점수는 사용자와 서비스A의 관계 거리가 0.3742만큼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와 서비스의 관계 차이의 점수가 낮을수록 사용자의 제1스마트 기기와의 관계에 가장 적절한 서비스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S412). The score of 0.3742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mean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service A is 0.3742.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score of the relationship differe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ervice, the more the service is most appropriate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 first smart device of the user (S412).

상기에서 계산된 각 서비스들과의 관계거리를 바탕으로 서비스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게 되는데, 우선 순위의 결정은 관계거리가 낮은 순으로 상위 20%의 서비스에 우선순위를 주는 방법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iority of the service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lationship distances with each of the services calculated above. The priority is preferably determined by giving priority to the top 20% of services in the order of low relationship distance. Do.

그리고, 다음 단계로 우선순위에 따라서 결정된 서비스들을 바탕으로 사례기반추론 방법을 이용하여 제공가능한 서비스를 도출하고, 이때 제공가능한 서비스는 사용자의 과거 거래데이터를 바탕으로 현재 사용자의 상황과 과거에 비슷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를 도출하게 된다. The next step is to derive a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using a case-based reasoning method based on services determined according to priorities, and the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is similar to the current user's situation and the past in the past based on the user's past transaction data. Will derive the service used by the user.

또한, CBR 방법의 적용을 통해 도출되는 서비스의 개수는 유사도(similarity)의 임계치 이상 되는 서비스의 개수에 따라 달라지며,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실제 이용한 서비스를 추가하여 다시 사용자와 제1스마트 기기 사 이의 관계유형 점수를 계산하고,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새롭게 계산된 사용자와 제1스마트 기기 사이의 관계유형 점수를 바탕으로 개별 서비스들과의 관계 거리를 계산한 후 CBR 방법을 이용하여 서비스 리스트를 도출하게 된다(S414).In addition, the number of services deri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CBR method depends on the number of services above the threshold of similarity, and finally, between the user and the first smart device by adding the service actually used by the user. Calculate the relationship type score, and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service, calculate the relationship distance between the individual services based on the newly calculated relationship type score between the user and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n use the CBR method. A list is derived (S414).

상기 URM에이전트(320)는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측정된 관계유형 및 관계정도에 따른 서비스 리스트를 상기 마스터UDDI(500)의 메타서비스 에이전트(510)에게 요청하게 된다.The URM agent 320 requests the meta service agent 510 of the master UDDI 500 for a service list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type and degree of relationship measur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이때, 상기 단계에서 메타서비스 에이전트(510)가 제2스마트 기기(400), 마스터 서버(600) 또는 원격마스터 서버(700)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URM에이전트(320)는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제2스마트 기기(400), 마스터 서버(600) 또는 원격마스터 서버(700)에게 제공가능한 서비스 리스트를 요청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metaservice agent 510 is located in the second smart device 400, the master server 600, or the remote master server 700, the URM agent 320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The list of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to the smart device 400, the master server 600 or the remote master server 700 may be requested.

상기 마스터UDDI의 메타서비스 에이전트(510)는 상기 URM에이전트(320)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에 검색 및 추출하여 상기 제1스마트 기기(300)로 전송하게 된다(S305).The meta service agent 510 of the master UDDI retrieves and extracts a service list to a database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RM agent 320 and transmits the service list to the first smart device 300 (S305).

상기 제1스마트 기기의 URM에이전트(320)는 상기 마스터UDDI(5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리스트를 제1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수단(미 도시)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게 되고(S307), The URM agent 320 of the first smart device displays the service list received from the master UDDI 500 through the display means (not shown) of the first smart device (S307).

사용자가 제1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서비스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S309),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스마트 기기(400)와 상호통신 및 협업을 통하여 서비스를 수행하게 되고, 서비스 수행 및 서비스 결과를 제1스마트 기기(300)에 저장하거나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스마트 기기(400)로 전송하여 저장한 후 차후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된다(S311).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displayed service list through the display means of the first smart device (S309), the service is performed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the second smart device 400 providing the selected service. In operation S311, the service performance and the service result are stored in the first smart device 300 or transmitted to the second smart device 400 providing the corresponding service and stored therein.

이때, 상기 S307단계 이후에서 서비스 실행에 따른 사용자와의 관계의 질을 측정하여 사용자와의 관계관리를 위한 사전/사후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는데, At this time, after the step S307 by measuring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user according to the service execution can provide a pre / post service for relationship management with the user,

관계의 질이란 제1스마트 기기(300)와 사용자 사이의 관계의 질이 얼마나 좋은가를 측정하는 것으로, 여기서의 관계의 질이라는 것은 사용자의 신뢰, 헌신, 그리고 만족에 의해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관계의 질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신뢰, 헌신, 만족의 요소는 바로 사용자가 얼마나 관계에 충성적인가를 나타내는 요소이기도 하다.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measures how good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mart device 300 and the user is.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here refers to the user's trust, dedication,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user's trust, dedication, and satisfaction factors, which indicate the quality of a relationship, also indicate how loyal the user is to a relationship.

본 발명에서는 관계의 질 측정 방법으로 사용자의 신뢰, 헌신, 만족 등의 결과로 나타나는 사용자의 제1스마트 기기(300)에 대한 충성도를 바탕으로 관계의 질(Relationship Quality, RQ)을 측정하며, 그리고 사용자의 행위적인 특성을 토대로 사용자의 RQ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RFM방법을 이용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onship quality (RQ) is measured based on the user's loyalty to the first smart device 300 resulting from the user's trust, dedication, satisfaction, etc. The RFM method, a representative method of measuring the user's RQ based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was used.

RFM을 통해 사용자의 RQ를 측정하고자 이유는 제1스마트 기기(300)가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1스마트 기기(300)는 사용자의 과거 거래 데이터와 사용자의 현재 상황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RQ를 측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사용자의 심리적인 요인인 신뢰나 헌신, 만족 등 요인들을 측정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The reason for measuring the RQ of the user through the RFM is because the information on the user that can be utilized by the first smart device 300 is limited. The first smart device 300 should measure the user's RQ based on the user's past transaction data and the user's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Based on this information, factors such as trust, devotion, and satisfaction, which are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current user, are measured. This is because there is a limit to the measurement.

RFM의 점수 계산 방법은 각 최근성, 빈도, 구매액 요인을 1-5단계의 등급으로 나누고 이 등급의 합으로 RFM 점수가 계산되며, 각 요인의 점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전체 사용자 중에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비율로 계산된다. RFM's score calculation method divides each factor of recency, frequency, and purchase amount into levels of 1-5 levels, and the sum of the ratings calculates the RFM score. Calculated as a ratio for.

예를 들어, A라는 사용자가 최근 제1스마트 기기(300)를 이용한 것인 10월 10일이라고 한다면, 제1스마트 기기(300)는 자신을 이용한 전체 사용자의 최근 이용일 중에서 A라는 사용자의 최근일인 10월 10일의 위치를 비율로 계산한다. 계산된 비율을 기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어떤 점수인지를 확인한다. 빈도와 구매액 역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점수를 확인한다. For example, if the user A is October 10, which is the latest use of the first smart device 300, the first smart device 300 is the latest date of the user A of the most recent use days of all users. The location of October 10 is calculated as a percentage. Compare the calculated ratio with the preset value to see what score it is. Frequency and purchase amount are also checked in this way.

그리고 RFM 점수 계산 시 제1스마트 기기의 특성에 따라서 각 요인별 가중치를 달리 주어 계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고가의 서비스를 제공을 목표로 하는 제1스마트 기기의 경우에는 최근 이용일이나 이용 빈도보다는 이용액의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여 점수에 반영하는 것이다. 각 등급의 가중치는 제1스마트 기기의 제공자가 설정을 하여 자신들이 원하는 서비스 전략을 세울 수 있다. RFM 점수의 계산을 위한 계산식은 아래의 [식7]과 같다.The RFM score may be calculated by giving different weights for each facto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mart devi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smart device aiming to provide an expensive service, the first smart device may be used rather than the recent use date or frequency The weight of the usage amount is set high to reflect the score. The weight of each class may be set by the provider of the first smart device to establish a desired service strategy.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RFM score is shown in Equation 7 below.

Figure 112008035229722-PAT00007
[식7]
Figure 112008035229722-PAT00007
[Equation 7]

위의 계산식을 통해 계산된 RQ는 최저 1점에서 최고 5점까지의 점수가 나온다. 1점의 RQ를 가진 사용자의 경우에는 제1스마트 기기(300)에 대한 충성도가 낮 은 상태이고 결과적으로 제1스마트 기기와의 관계 형성이 이루어 지지 않은 사용자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최고 5점의 점수를 가진 사용자는 제1스마트 기기(300)에 대한 충성도가 매우 높은 상태이고, 결과적으로 제1스마트 기기와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전체 사용자에 대한 RQ 점수의 평균을 바탕으로 제1스마트 기기 사용자와의 관계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The RQ calculated by the above formula has a score of 1 to 5 points. In the case of a user having an RQ of one point, the user has low loyalty to the first smart device 300 and as a result, the user has not formed a relationship with the first smart device. In addition, the user having the highest score of 5 points indicates that the loyalty to the first smart device 300 is very high, and as a result, an intimate relationship is formed with the first smart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evaluate whether the relationship management with the first smart device user is well performed based on the average of the RQ scores for all users.

이러한 평균 RQ는 다른 제2스마트 기기와의 연합을 통한 서비스 제공 시 수수료 등의 협상에 중요한 요인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The average RQ can be used as an important factor in negotiating a fee when providing a service through association with another second smart device.

또한 계산된 관계의 질과 사용자의 관계유형 그리고 공유된 관계활동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제1스마트 기기(300)는 서비스 제공 이전/이후의 관계 관리를 위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RQ와 관계유형이 (1, <0.1, 0.1, 0.1, 0.7>)이라고 한다면, 이는 사용자와 제1스마트 기기와의 관계의 형성 정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제1스마트 기기가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그리고 제1스마트 기기를 통해 어떠한 일을 할 수 있을지를 모른다는 것이고, 제1스마트 기기(300) 역시 사용자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힘들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based on the calculated quality of the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type of the user, and the knowledge of the shared relationship activity, the first smart device 300 may perform activities for relationship management before / after service provision. For example, if the user's RQ and relationship type are (1, <0.1, 0.1, 0.1, 0.7>), this means that the degree of 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first smart device is low. In other words, the user does not know what services the first smart device can provide and what work can be done through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first smart device 300 does not know the user well. This means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adequate services to users.

따라서 RQ가 낮은 사용자에게 제1스마트 기기(300)는 자신을 알리는 작업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이때, 제1스마트 기기는 사용자와의 관계유형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자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보내거나, 관계유형과 관련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리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반면에 RQ가 높은 사용자는 제1스마트 기기와의 관계가 일정 수준 이상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사용자가 제1 스마트 기기의 기능에 대해서 잘 알고 있고, 제1스마트 기기 역시 사용자에 대해서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refore, the first smart device 300 should perform a task of notifying itself to the user having a low RQ. In this case, the first smart device may send a message informing the user of the first smart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type with the user or may provide the service related to the relationship type. On the other hand, a user with a high RQ means that a relationship with the first smart device is formed more than a certain level. This means that the user is familiar with the function of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first smart device is also familiar with the user, so that it can provide appropriate services to the user.

이 경우에는 제1스마트 기기(300)는 자신을 알리고자 하는 활동보다 사용자에게 더 많은 마일리지와 같은 보너스 프로그램과 사용자의 관계유형을 고려하여 해당 관계유형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 더 많은 보너스 혜택을 주는 등의 관계 관리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In this case, the first smart device 300 provides more bonus benefits when using the service of the relationship typ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relationship type and bonus program such as more mileage to the user than the activity to notify themselves.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carry out such relationship management activities.

[적용예 : 스마트 ATM][Application Example: Smart ATM]

현재 사용자들은 자신이 있는 위치 근방에서 어렵지 않게 ATM기기를 발견하고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ATM기기들은 조회, 입출금이나 이체 업무 등 오직 자기 자신에 프로그램된 기본적인 역할 만을 수행한다. Now users can easily find and use ATMs near their location. And ATMs play only the basic role programmed into themselves, such as inquiry, withdrawal or transfer.

그런데 만약 사용자가 영화 표를 구매하기 위해서 현금을 인출하려고 한다고 가정해 보자. 현재 사용자는 시간 절약을 위해서 근처에 있는 다양한 ATM기기들 중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까이 있는 은행의 ATM기기를 이용한다. 그리고 현금을 인출한 사용자는 영화 표를 구매하기 위하여 영화관으로 가거나 관련 웹사이트를 방문한다. 이러한 전형적인 예에서 ATM기기는 은행에 의하여 사전 정의된 서비스 외에는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그리고 제공되는 서비스는 사용자의 현재 상황이나 선호도는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것들이다. But suppose a user wants to withdraw cash to buy a movie ticket. To save time, the current user uses an ATM machine of a bank close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among various ATM machines nearby. And the user who withdrew the cash goes to the cinema or visits the related website to purchase the movie ticket. In this typical example, an ATM device may not provide any service other than a service predefined by a bank. The services provided are those whose user's current situation or preferences are not considered at all.

하지만 URM 방법을 채택한 스마트 기기를 생각하여 보면, 사용자가 영화 표를 구매를 위해서 스마트 ATM기기를 이용할 때 스마트 ATM기기는 자신의 기본적인 역할인 현금 인출 서비스 외에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사용자와의 관계와 사용자의 욕구를 인지하여 현재 상영 중인 영화의 목록을 타 기기로부터 받아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상황에서는 심지어 현금의 인출 기능과 같은 자신의 기본적인 서비스가 필요없을 수도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ATM기기를 이용하여 영화를 예매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However, considering the smart devices adopting the URM method, when a user uses a smart ATM device to purchase a movie ticket, the smart ATM device is in addition to its basic role, the cash withdrawal service, and the user's current situation and relationship with the user. Recognizing the needs of the user, the list of currently running movies can be received from other devices and provided to the user. In some situations, you may not even need your own basic services, such as cash withdrawal. This is because a user may purchase a movie using a smart ATM devi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Although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and may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embodiment.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a smart device in a ubiquitous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세부 블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a smart device under a ubiquitous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a smart device under a ubiquitous environmen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 중 관계유형 및 관계정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relationship type and a degree of relationship in 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a smart device under a ubiquitous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사용자 디바이스 110 : 유저에이전트100: user device 110: user agent

200 : 무선통신망 300 : 제1스마트기기200: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first smart device

310 : 서비스 에이전트 320 : URM에이전트310: service agent 320: URM agent

400 : 제2스마트기기 410 : 서비스 에이전트400: second smart device 410: service agent

420 : URM에이전트 500 : 마스터 UDDI420: URM Agent 500: Master UDDI

510 : 메타서비스에이전트 520 : 메타서비스D/B510: meta-service agent 520: meta-service D / B

600 : 마스터서버 610 : 마스터에이전트600: master server 610: master agent

700 : 원격마스터서버700: remote master server

Claims (13)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기기 간 상호통신이 가능한 마스터UDDDI, 제1스마트 기기, 제2스마트 기기 및 사용자 디바이스를 이용한 객체 관계관리 방법에 있어서,In the object relationship management method using a master UDDI, a first smart device, a second smart device and a user device capable of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in a ubiquitous environment, (a) 상기 제1스마트 기기가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상호통신을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받아 기 저장된 거래데이터 또는 상황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는 단계;(a) receiving, by the first smart device,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user device, and retrieving and extracting previously stored transaction data or situation information; (b) 상기 제1스마트 기기가 추출된 거래데이터 또는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관계유형 및 관계정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관계유형 및 관계정도에 따른 서비스 리스트를 상기 마스터UDDI에 요청하는 단계; (b) the first smart device measures the relationship type and relationship degree with the user using the extracted transaction data or the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n requests the master UDDI for a service list according to the measured relationship type and relationship degree. step; (c) 상기 제1스마트 기기가 상기 마스터UDDI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스마트 기기와의 상호통신 및 협업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c) displaying the service list received from the master UDDI by the first smart device and providing a servic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a second smart device providing a servic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a smart device under a ubiquitous environment comprising a.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a) (a-1) 상기 제1스마트 기기가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상호통신을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및 스케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a-1) requesting, by the first smart device, user information including user profile information and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user device; And (a-2) 상기 제1스마트 기기가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거래데이터 또는 상황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a-2) searching and extracting transaction data or situation information of a user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using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by the first smart device;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a smart device under a ubiquitous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b) (b-1) 상기 제1스마트 기기가 추출된 거래데이터 또는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관계유형 점수를 로딩하여 협업관계유형, 정보제공관계유형, 추천관계유형 또는 즐거움관계유형에 따른 점수를 산정하는 단계;(b-1) The first smart device loads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type score using the extracted transaction data or situation information to calculate a score according to a collaboration relationship type, an information providing relationship type, a recommendation relationship type, or a pleasure relationship type. Making; (b-2) 상기 협업, 정보제공, 추천 또는 즐거움에 따른 관계유형 점수와 제공가능한 서비스들의 관계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b-2) calculating a relationship type score and a relationship distance between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llaboration, information, recommendation, or pleasure; And (b-3) 상기 계산된 관계거리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서비스 리스트를 도출한 후, 상기 마스터UDDI에 서비스 리스트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b-3) deriving a service list by determining a priority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lation distance, and requesting and receiving a service list from the master UDDI; smart under ubiquitous environment, further comprising: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a device.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c) 서비스 실행에 따른 사용자와의 관계의 질을 측정하여 사용자와의 관계관리 를 위한 사전/사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a smart device under a ubiquitous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roviding a pre / post service for relationship management with the user by measuring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user according to the service execution.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유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lationship type 제1스마트 기기와 사용자와의 협업하는 관계, 제1스마트 기기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관계, 제1스마트 기기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추천하는 관계 또는 제1스마트 기기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user, a relationship in which the first smart device provides information to the user, a relationship in which the first smart device recommends a service to the user, or a relationship in which the first smart device provides a service to the user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a smart device under a ubiquitous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any one of.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유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lationship type 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개별 서비스의 관계타입 점수, 제1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점수 또는 제1스마트 기기와 사용자 사이의 관계타입 점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관계유형을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Recognizing the relationship type using at least one of the relationship type score of the individual service by the service provider, the service use score of the user using the first smart device, or the relationship type score between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user.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a smart device under the ubiquitous environment.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유형에 따라 제공가능한 서비스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type is 이용 서비스 평균 관계 타입 점수와 제공가능한 서비스들의 관계타입 점수간의 차이인 관계거리 계산하고, 상기 관계거리를 바탕으로 서비스의 제공 우선순위 결정 후 제공가능한 서비스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A smart device in a ubiquitous environment, comprising calculating a relationship distance,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an average relationship type score of a service used and a relationship type score of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and deriving a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after prioritizing service provis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distance.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정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lationship degree 제1스마트 기기와 사용자 사이의 관계를 최근성, 빈도, 구매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등급으로 나누고, 등급의 합으로 관계정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방법.A smart device in a ubiquitous environment is characterized by dividing a relationship between a first smart device and a user into at least one or more grades using at least one of recentity, frequency, and purchase amount, and measuring the degree of the relationship by the sum of the grades.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method used.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기기 간 상호통신이 가능한 마스터UDDI, 제1스마트 기기, 제2스마트 기기 및 사용자 디바이스를 이용한 객체관계 관리시스템에 있어서,An object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 using a master UDDI, a first smart device, a second smart device, and a user device capable of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in a ubiquitous environment, 상기 제1스마트 기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스케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A user device for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profile information and schedule information of a user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first smart device; And 고유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거래데이 터 또는 상황정보를 검색 및 추출한 후 사용자와의 관계유형 및 관계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관계유형 및 관계정도에 따라 서비스 리스트를 상기 마스터UDDI로 요청하여 수신한 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스마트 기기와의 상호통신 및 협업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결과를 제2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제1스마트 기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시스템.Providing a unique service, and after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using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o retrieve and extract the transaction data or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relationship type and relationship degree with the user Measure, request and receive a list of services to the master UDDI according to the measured relationship type and the degree of relationship, and then,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a second smart device that provides a selected servic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 first smart device providing a service and transmitting a service result to a second smart device;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a smart device under a ubiquitous environment comprising a.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The device of claim 9, wherein the user device is 상기 제1스마트 기기와의 상호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스케쥴 정보를 사용자 온톨로지(User Ontology)를 통해서 관리하고 송수신하기 위한 유저 에이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시스템.By using the smart device under the ubiquitous environment further comprising a user agen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mart device to manage and transmit and receive the user's profile information, schedule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ontology (User Ontology)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System.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마트 기기 또는 제2스마트 기기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smart device or the second smart device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제1,2스마트 기기와의 상호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와의 관계유형 및 관계정도를 측정하고 제공가능한 서비스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URM(User Relationship Management)에이전트, 상기 제1,2스마트 기기의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URM에이전트에 의해 생성된 제공가능한 서비스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에이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시스템.A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URM) agent for performing a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user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smart devices to measure a relationship type and a degree of relationship with a user and to generate a list of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and the first and second smart devices. And a service agent that provides a basic service of the device and displays the list of available services generated by the URM agent and provides the user to the user. 청구항 11항에 있어서, 상기 URM(User Relationship Management)에이전트는 12. The agent of claim 11, wherein the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agent is 관계유형 및 관계정도 측정, 상황인식 서비스, 제1,2스마트 기기와의 상호통신 및 제1,2스마트 기기와의 상호통신을 통한 동적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시스템.Ubiquito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relationship type and relationship measurement,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inter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smart devices, and dynamic services through inter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smart devices.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smart devices in the environment.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마트 기기 또는 제2스마트 기기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smart device or the second smart device 제1스마트 기기, 제2스마트 기기 또는 제3의 스마트 기기와의 상호통신을 통하여 제공가능한 서비스 리스트와 상기 제공가능한 서비스들의 관계유형을 관리하고 제공하고, 다른 서비스 에이전트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메타 서비스 에이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관계관리 서비스 시스템.A meta service agent that manages and provides a list of available services and a relationship type between the available service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with a first smart device, a second smart device, or a third smart device, and manages information of other service agents. Us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a smart device under a ubiquitous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080046081A 2008-05-19 2008-05-19 Urm service method and the system which use the smart-device KR200901201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081A KR20090120176A (en) 2008-05-19 2008-05-19 Urm service method and the system which use the smart-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081A KR20090120176A (en) 2008-05-19 2008-05-19 Urm service method and the system which use the smart-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176A true KR20090120176A (en) 2009-11-24

Family

ID=4160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081A KR20090120176A (en) 2008-05-19 2008-05-19 Urm service method and the system which use the smart-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017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0974A3 (en) * 2010-08-10 201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n identified object
WO2015190856A1 (en) * 2014-06-12 2015-12-17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Coaching method and system considering relationship type
US10839444B2 (en) 2014-06-12 2020-11-17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Coaching method and system considering relationship typ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0974A3 (en) * 2010-08-10 201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n identified object
US9146923B2 (en) 2010-08-10 2015-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n identified object
US10031926B2 (en) 2010-08-10 2018-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n identified object
WO2015190856A1 (en) * 2014-06-12 2015-12-17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Coaching method and system considering relationship type
US10839444B2 (en) 2014-06-12 2020-11-17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Coaching method and system considering relationship ty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ng et al. Utilizing customer satisfaction in ranking prediction for personalized cloud service selection
US10360568B2 (en) Customer state-based targeting
Schmittlein et al. Customer base analysis: An industrial purchase process application
KR102045477B1 (en) System for evaluating platform of ecommerce
US20110231245A1 (en) Offline metrics in advertisement campaign tuning
Tuzhili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and Web mining: the next frontier
WO2011115720A1 (en) Online and offline advertising campaign optimization
KR102297669B1 (en) System for providing matching service for connecting between manufacturer and distributor
CN101271558A (en) Multi-policy commercial product recommending system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US20110231244A1 (en) Top customer targeting
Miklošík Changes in purchasing decision-making process of consumers in the digital era
KR10177599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infromation
Loshin et al. Using information to develop a culture of customer centricity: customer centricity, analytics, and information utilization
Yang et al. A systematic review for service humanoid robotics model in hospitality
KR20210090404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reverse auction platform for recommended promotion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Zatalini et al. exploring the success factors of e-crm implementation on B2C e-commerce: Satisfaction and loyalty a conceptual framework
Joghee RETRACTED ARTICLE: Internet of Things-assisted E-marketing and distribution framework
Wertenbroch Marketing Automation: Marketing Utopia or Marketing Dystopia?
US20240152945A1 (en) Customized Merchant Price Ratings
KR20090120176A (en) Urm service method and the system which use the smart-device
KR102297131B1 (en) Method for marketing using managing server
Öner et al. An interval valued hesitant fuzzy clustering approach for location clustering and customer segmentation
Szwajca Digital customer as a creator of the reputation of modern companies
Vezzoso Competition policy in a world of big data
Chung et al. Adaptive personalization of mobile information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