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698A -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do duplexing in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 Google Patents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do duplexing in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698A
KR20090099698A KR1020080024842A KR20080024842A KR20090099698A KR 20090099698 A KR20090099698 A KR 20090099698A KR 1020080024842 A KR1020080024842 A KR 1020080024842A KR 20080024842 A KR20080024842 A KR 20080024842A KR 20090099698 A KR20090099698 A KR 20090099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unit
wireless
heartb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8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자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니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니온
Priority to KR1020080024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9698A/en
Publication of KR20090099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6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59Responders; Transpon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duplicated in a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is provided to enhance the stability by a backup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STITUTION: A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300) which is duplicated in a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comprise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310),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320), an antenna unit(340) and a relay unit.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relays an automation control signal transceived through an FRTU(Feeder Remote Terminal Unit)(350) or a modem(360).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s the wirelessly relay when the fact that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abnormally not operated is detected.

Description

배전 자동화 시스템에서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DO DUPLEXING IN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Unit Dualized in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DO DUPLEXING IN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본 발명은 배전 자동화 시스템에서 이중화한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전 자동화 시스템에서 고장을 고려하여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대기 중이던 백업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계속적인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dundant communication device in a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dundant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that performs continuous communication by using a backup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in standby even when a failure occurs in consideration of a failure in a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It is about.

오늘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전기 에너지는 전력 계통(electric power system)이라 불리는 시스템을 통하여 생산되고 수송된다. 다양한 형태의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는 고압 송전설비와 변전소를 거쳐 배전설비에 전달되고, 배전 설비는 전달받은 전기 에너지를 다시 각 수용가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용가는 배전선로(distribution line)를 통해 배전설비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전기 장치를 구동한다.Electrical energy, which is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es today, is produced and transported through a system called electric power system. Electric energy produced in various types of power plants is delivered to the power distribution facilities through high-voltage power transmission facilities and substations, and the power distribution facilities supply the received electric energy back to each customer. Consumers receive electrical energy from distribution facilities through distribution lines and use them to drive various electrical devices.

배전선로의 곳곳에 위치한 많은 수의 개폐장치 가운데 하나에서 장애가 발 생하면, 장애를 감지한 사용자로부터 신고를 접수받고 장애 발생지로 관리 요원이 방문하여 직접 개폐장치의 연결 상태를 조정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When one of the many switchgear devices located in the distribution line has a failure, it was troublesome to receive a report from the user who detected the failure and to have the management visit the site of the failure to adjust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switchgear directly. .

이에 따라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장애 감지 및 복구 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이 제안되었고, 현재 광통신망에 기반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이 널리 쓰이고 있다.Accordingly, a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for automating the failure detection and recovery process of the distribution line switchgear has been proposed, and a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based on a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is widely used.

도 1은 광통신망에 기반하고 고정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종래의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ower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based on a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and including a fixed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우선 상기 도 1에서 무선전파 모양으로 연결된 부분을 제외하고 살펴보면 배전자동화 시스템(DAS: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은 상위 서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대표적인 이름인 주장치(100)와 전기선과 함께 전주상의 전기선 단락을 제어하는 자동화 기기(121~127)내부의 원격 제어 단말장치(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 FRTU), 그리고 이들의 통신망 구성을 위해 중앙장치(COT: Central Office Terminal)(110)와 광모뎀인 자동화 기기(121~127)내부의 RT(Remote Terminal)(161)로 구성된 광통신망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First of all, except for the radio wave shape in FIG. 1,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DAS) controls an electric line short circuit along the electric pole along with the main device 100 and the electric line, which are representative names of the upper server and the user interface. Automatic control devices (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 (FRTU)) inside the automation device (121 ~ 127), and the central office terminal (COT) 110 and the optical modem for their communication network configur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composed of the RT (Remote Terminal) 161 (121 ~ 127).

주장치(100)와 COT(11)는 주로 배전지사단위의 운영실 안에 구축되며, 그 하단의 광통신선로와 RT를 가지는 자동화 기기(121~127)가 해당 지역의 사방으로 함께 포설되는 것이다. The main device 100 and the COT 11 are mainly built in the operation room of the distributor company unit, and the automation devices 121 to 127 having the optical communication line and the RT at the bottom thereof are installed together in all directions of the region.

상기 도 1에서는 광통신망이 하나로 그려져 있지만 일반적으로 한 개의 COT(110)내에는 30개 이하의 RT로 개수가 제한되므로 실제로 수많은 COT와 RT들이 포설되어 있다.In FIG. 1, although the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is drawn as one, in general, since one COT 110 is limited in number to 30 or less RTs, many COTs and RTs are actually installed.

자동화 기기(121~127) 내부는 RT(161)와 FRTU(162)가 Rs232C serial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주장치(100)에서의 명령이 COT(110)와 RT(161)를 거쳐 FRTU(162)로 전달되어 수행될 수 있고, FRTU(162)에서 발생되는 전기단락 사고 등의 이벤트도 FRTU에서 RT(161)와 COT(110)를 거쳐 주장치에 전달되는 것이다.The inside of the automation devices 121 to 127 is connected to the FRTU 162 via the COT 110 and the RT 161 because the RT 161 and the FRTU 162 are connected by an Rs232C serial line. It may be delivered and performed, and an event such as an electrical short circuit occurring in the FRTU 162 is also delivered to the main device through the RT 161 and the COT 110 in the FRTU.

상기 도 1에서 광통신망으로 연결되지 않은 부분이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Fixed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이하 "FWB 통신장치" 혹은 "FWB"라 한다)에 의해 Local Wireless Cell이 구성된 모양을 표현한 것이다. In FIG. 1, a portion not connected to the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represents a configuration of a local wireless cell by a fixed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WB communication apparatus" or "FWB").

상기 도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FWB(141~155)를 이용하면 현재 운영중인 광통신망을 백본으로 이용하여 추가 광 라인을 포설하지 않고도 배전 자동화를 위한 자동화 기기(131~135)들을 늘릴 수 있다. As can be seen through FIG. 1, the FWBs 141 to 155 can increase automation devices 131 to 135 for power distribution automation without using additional optical lines by using an optical network currently operating as a backbone. have.

이렇게 구성하면 한 개의 RT(161)당 최대 5개의 FRTU와 연결될 수 있는 효과를 보게 되며 이 무선통신구간을 활용하여 배전자동화 영역을 쉽게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바로 이러한 목적을 위해 FWB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주장치 입장에서는 기존과 동일한 성능으로 배전운영을 할 수 있으므로 그 확장 효과는 적지 않다.This configuration can be connected to up to five FRTUs per RT (161), it is possible to easily expand the distribution automation area by utilizing this wireless communication section. The FWB is used for this purpose. Even if this method is used, the expansion effect is not small because the main unit can operate the power distribution with the same performance as before.

그러면, 다음으로 아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FWB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Next, the FWB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below.

도 2는 종래의 배전 자동화 시스템에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FWB(141)는 무선 통신부(210)와 안테나부(220)를 포함한다.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in a conventional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Referring to FIG. 2, the conventional FWB 141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d an antenna unit 220.

여기서, 무선 통신부(210)는 시리얼(Serial) 통신라인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FRTU(162)와 모뎀(RT)(161) 사이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를 중계 또는 가로채기를 할 수 있고, 이 데이터를 안테나부(711)를 통해 무선통신으로 전달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lay or intercept data transmitted between the FRTU 162 and the modem (RT) 161 that communicate using a serial communication line. Through the unit 711 may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안테나부(22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며 무선 통신부(210)로 수신하는 데이터를 전달하고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제공받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하나의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할 경우 일방향의 지향방향을, 두 개의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할 경우 양방향의 지향방향을 갖게 된다. The antenna unit 220 includes one or more antennas and transmits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d transmits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In addition, one or more directional antennas may be included, and when one directional antenna is included, one direction direction is included, and when two directional antennas are included, both directions are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FWB에서 무선 통신부(210)가 고장나는 경우, 배전 자동화 시스템 상의 배전 자동화 제어신호를 전달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배전 자동화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FWB의 연구가 필요하다.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is broken in the conventional FWB as described above, a situation in which the distribution automation control signal on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may not be delivered may require a study of the FWB for stably operating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전 자동화 시스템에서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redundant in a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전 자동화 시스템에서 고장을 고려하여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대기 중이던 백업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계속적인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dundant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that allows continuous communication using a backup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waiting even if a failure occurs in consideration of a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는, 원격 제어 단말장치(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 또는 모뎀(Modem)을 통해 송수신하는 자동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중계하는 제1 무선 통신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가 정상 동작하지 않음을 감지하면 무선 중계를 수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 무선 채널을 통해 고주파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부 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상기 안테나부로 제공하고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 제공하는 중계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 redundant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an automa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Feeder Remote Terminal Unit (FRTU) or a modem (Modem)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laying to the network;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performs wireless relay whe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detects that the normal operation is not performed; An antenna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igh frequency wireless signals through a wireless channel; And a relay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r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he antenna unit and provide a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unit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 제어 단말장치(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 또는 모뎀(Modem)을 통해 송수신하는 자동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중계하는 제1 무선 통신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가 정상 동작하지 않음을 감지하면 무선 중계를 수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 무선 채널을 통해 고주파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부 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상기 안테나부로 제공하고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분배부를 포함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에서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무선 통신부가 고장 나더라도 이를 대처할 무선 통신부가 있으므로 배전 자동화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이중화는 일반적으로 구성의 복잡도를 높이게 되나, 본 발명은 복잡도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효율적인 이중화 구조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relaying an automa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Feeder Remote Terminal Unit (FRTU) or a modem;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performs wireless relay whe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detects that the normal operation is not performed; An antenna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igh frequency wireless signals through a wireless channel; And a distribution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r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he antenna unit and transmit a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unit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duplexed in an automation system, and it is helpful to stably operate a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since there i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cope with a failure of on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addition, redundancy generally increases the complexity of the configur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icient redundancy structure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complexity.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배전 자동화 시스템에서 고장을 고려하여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대기 중이던 백업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계속적인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dundant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that allows continuous communication using a backup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waiting even if a failure occurs in a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는, 원격 제어 단말장치(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 또는 모뎀(Modem)을 통해 송수신하는 자동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중계하는 제1 무선 통신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가 정상 동작하지 않음을 감지하면 무선 중계를 수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 무선 채널을 통해 고주파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부 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상기 안테나부로 제공하고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 제공하는 중계부를 포함한다.A redundant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relaying an automa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a Feeder Remote Terminal Unit (FRTU) or a modem;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performs wireless relay whe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detects that the normal operation is not performed; An antenna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igh frequency wireless signals through a wireless channel; And a relay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r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he antenna unit and provide a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unit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계부는 상기 제1 무선 통신부 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상기 안테나부로 제공하고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 분배하는 분배부로 구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lay unit provides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r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he antenna unit and distributes a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unit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t can be configured as a distribution unit.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계부는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안테나부의 연결을 상기 제1 무선 통신부 혹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 연결하는 통신 스위치부로 구성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relay unit may be configured as a communication switch unit connecting the connection of the antenna unit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r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이하, 상기 중계부의 구성에 따른 각각의 상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detail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elay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FWB)(300)는 제1 무선 통신부(310), 제2 무선 통신부(320), 분배부(330) 및, 안테나부(3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FWB) 300 include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a distribution unit 330, and an antenna unit 340. .

제1 무선 통신부(310)와 제2 무선 통신부(320)는 시리얼(Serial) 통신라인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FRTU(350)와 모뎀(360)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중계하거나 또는 가로채기 하여 다른 FWB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배전자동화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장치이다.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relays or intercepts data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FRTU 350 and the modem 360, which communicate using a serial communication line, to another FWB. It is a device that receives or transmits distribution automation control signal by communicating with wireless.

이때, 제1 무선 통신부(310)와 제2 무선 통신부(320)는 각각 상대 무선 통신부로 하트비트(heartbeat) 신호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송신하여 정상상태 여부를 알린다.In this cas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transmits a heartbeat signal to the counterpar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o inform whether the normal state.

제1 무선 통신부(310)와 제2 무선 통신부(320)가 모두 정상인 경우 메 인(main) 통신부인 제1 무선 통신부(310)에서 무선 중계를 담당한다. 이 경우 백업(backup) 통신부인 제2 무선 통신부(320)는 무선 중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제2 무선 통신부(320)는 시리얼(Serial) 통신라인을 통한 FRTU(350)와 모뎀(360) 사이의 신호를 가로채기 하지 않고 중계만을 수행한다. 이때, 제2 무선 통신부(320)는 기설정 간격으로 하트비트 신호만 제1 무선 통신부(310)로 송신한다.When bot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are normal,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which is the main communication unit is responsible for wireless relay. In this case,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which is a backup communication unit, does not perform wireless relay. In additio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performs only relay without intercepting a signal between the FRTU 350 and the modem 360 through the serial communication line. At this time,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transmits only the heartbeat signal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하지만, 제1 무선 통신부(310)가 정상이 아닌 경우, 즉, 제2 무선 통신부(320)가 제1 무선 통신부(310)가 송신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2 무선 통신부(320)는 제1 무선 통신부(310)에서 수행중이던 무선 중계를 처리를 인계받아 수행한다. 이때, 제2 무선 통신부(320)는 제1 무선 통신부(310)가 비정상임을 알리는 고장정보를 배전 자동화 시스템을 관리하는 NMS와 같은 상위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However, i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is not normal, that is, i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does not receive the heartbeat signal transmitted by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The wireless relay that is being performed by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takes over and is processed. In this case,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may transmit failur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is abnormal to an upper server such as an NMS managing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분배부(330)는 제1 무선 통신부(310)와 제2 무선 통신부(320) 중에서 동작중인 무선 통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송신할 데이터를 수신하여 안테나부(340)로 송신한다. 또한, 분배부(330)는 안테나부(340)로부터 수신하는 응답신호를 제1 무선 통신부(310)와 제2 무선 통신부(320) 양쪽으로 송신하여 운영권을 가지고 동작중인 무선 통신부에서 처리하도록 한다.The distribution unit 330 receives data to be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perating amo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antenna unit 340.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unit 330 transmits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unit 340 to bot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to be process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perating with the operating right.

안테나부(34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며 분배부(330)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무선 신호를 분배부(330)로 제공한다.The antenna unit 340 includes one or more antennas and wirelessly transmits data received through the distribution unit 330, and provides a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to the distribution unit 330.

상기 도 3은 광통신망과 연결된 배전 자동화 기기에서의 무선 브리지 통신 장치의 도면이다. 만약 광통신망과 연결되지 않고 무선으로 제어를 받는 배전 자동화 기기의 경우 모뎀(360)을 가지지 않으므로 상기 도 3에서 모뎀(360)이 생략되며 제2 무선 통신부(320)와 모뎀간의 시리얼 통신라인도 생략된다. 3 is a diagram of a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in a distribution automation device connected to a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case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device which is wirelessly controlled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the modem 360 does not have the modem 360, and thus the modem 360 is omitted in FIG. 3 and the serial communication line betwee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and the modem is also omitted. do.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의 설명에 앞서 상기 도 3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기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description of FIG. 4, the same parts as in FIG. 3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도 4는 상기 도 3과는 달리 분배부(330)대신에 통신 스위치부(43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무선 통신부(410)는 상기 도 3의 제1 무선 통신부(310)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1 무선 통신부(410)는 추가로 통신 스위치부(430)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신호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통신 스위치부(430)로 송신하여 통신 스위치부(430)를 제어한다.Unlike FIG. 3, FIG. 4 includes a communication switch unit 430 instead of the distribution unit 330. At this tim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performs the basic functions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of FIG. In additio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further controls the communication switch unit 430 by transmitting a switch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switch unit 430 to the communication switch unit 430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따라서, 도 4와 같은 구성은 통신 스위치부(430)를 제어하는 추가 동작으로 인해 제1 무선 통신부(410)가 보다 복잡해지나 오류로 인해 제1 무선 통신부(410)와 제2 무선 통신부(320)가 모두 운영권을 가지고 동작하더라도 통신 스위치부(430)를 통해 정상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due to an error in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4 due to the additional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switch unit 430 more complicated. Even if all operate with an operating right, it is possible to enable normal control through the communication switch unit 430.

오류로 인해 제1 무선 통신부(410)와 제2 무선 통신부(320)가 모두 운영권을 가지고 동작하는 대표적인 경우는 제1 무선 통신부(410)에서 일정간격으로 송신하는 하트비트 송신 오류로 제1 무선 통신부(410)가 우선권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동작한다. 하지만 이 경우 하트비트를 수신하지 못한 제2 무선 통신부(320)는 제1 무선 통신부(410)의 고장으로 판단 하여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두개의 무선 통신부가 모두 동작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bot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operate with an operating right due to an error,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be a heartbeat transmission error transmit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y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410 operates substantially with priority. However, in this case,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that does not receive the heartbeat operates by determining that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is broken. Therefore, a problem may arise in that both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operate.

그러면 도 3과 도 4에서 설명하는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에서 무선 통신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아래에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Nex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the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에서 무선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 통신부(310)는 하트비트 처리부(501), 시리얼 제어부(503), 스위치부(505), 데이터 중계부(507) 및, RF 처리부(509)를 포함한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a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rtbeat processing unit 501, a serial control unit 503, a switch unit 505, a data relay unit 507, and an RF processing unit 509. .

하트비트 처리부(501)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하트비트를 발생시켜 제2 무선 통신부(320)로 송신한다. 또한, 하트비트 처리부(501)는 제2 무선 통신부(320)가 송신하는 하트비트를 감시하여 이중화의 운영권 전환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기본적으로 제1 무선 통신부(310)가 먼저 운영권을 가지도록 설정하며, 제2 무선 통신부(320)는 제1 무선 통신부(310)의 이상으로 하트비트가 감지되지 않을 때에만 운영권을 가지는 것으로 설정한다.The heartbeat processing unit 501 generates a heartbea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ransmits the heartbeat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In addition, the heartbeat processing unit 501 is responsible for monitoring the heartbeat transmitted by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to perform the determination of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redundancy. Basically,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is set to have an operation right firs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is set to have an operation right only when the heartbeat is not detected due to the abnormality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

시리얼 제어부(503)는 운영권이 있는 경우 스위치부(505)를 제어하여 데이터중계부(507)가 시리얼 통신라인으로부터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라인을 연결시킨다. 하지만, 운영권이 없는 경우 시리얼 제어부(503)는 스위치부(505)를 제어하여 시리얼통신라인이 데이터중계부(507)를 거치지 않도록 FRTU(350)와 모뎀(360) 간의 통신라인을 바로 연결하여 송수신 데이터가 바이패스(bypass) 되도록 제어한 다.The serial control unit 503 controls the switch unit 505 when there is an operating right to connect the line so that the data relay unit 507 can obtain data from the serial communication line. However, if there is no operating right, the serial control unit 503 controls the switch unit 505 to 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communication lines between the FRTU 350 and the modem 360 so that the serial communication line does not go through the data relay unit 507. Control data to be bypassed.

즉, 본 발명은 시리얼 제어부(503)를 이용함에 따라 FRTU(350)와 모뎀(360) 간의 통신라인을 이중화 하지 않고 하나의 시리얼 통신라인으로 구성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ial control unit 503 can be used to configure one serial communication line without duplication of communication lines between the FRTU 350 and the modem 360.

데이터 중계부(507)는 무선을 통하여 송수신 되는 자동화 제어신호를 중계하며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간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로토콜 변환 및 다른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로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라우팅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자동화 제어신호에는 자동화 제어요청신호와 자동화 제어응답신호가 있다. The data relay unit 507 relays an automa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and performs a routing function of protocol conversion of data frames between wir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forwarding data to another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In this case, the automation control signal includes an automation control request signal and an automation control response signal.

RF 처리부(509)는 고주파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로서 수신된 고주파 무선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중계부(507)로 제공하거나 데이터 중계부(507)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송신에 적합한 고주파 무선 신호로 변환한다.The RF processor 509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igh frequency radio signals, and converts the received high frequency radio signals into baseband signals to provide them to the data relay unit 507 or to transmit signals received from the data relay unit 507 to high frequency. Convert to a wireless signal.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에서 무선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의 설명에 앞서 상기 도 4 또는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기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a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description of FIG. 6, the same parts as those described in FIG. 4 or FIG. 5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도 6에서 제1 무선 통신부(410)의 구성이 앞서 설명한 제1 무선 통신부(310)의 구성과 다른 부분은 하트비트 처리부(601)의 동작이다. In FIG. 6,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is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described above, and the operation of the heartbeat processing unit 601 is performed.

본 발명에서 제1 무선 통신부(410)의 하트비트 처리부(601)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통신 스위치부(430)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제1 무선 통신부(410)가 무선 중계를 할 수 있도록 안테나와 연결하도록 제어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tbeat processing unit 601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transmits a switch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switch unit 430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may perform a wireless relay. Control to connect with the antenna.

이때, 통신 스위치부(430)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스위치 제어신호를 감지하지 못하면 제1 무선 통신부(410)에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제2 무선 통신부(320)가 무선 중계를 할 수 있도록 안테나와 연결한다.In this case, when the communication switch unit 430 does not detect the switch control sign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communication switch unit 430 determines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and the antenna may allow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to perform a wireless relay. Connect.

한편, 통신 스위치부(430)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하트비트 처리부(601)는 두개의 무선 통신부에 모두 이상이 없을 때 우선적으로 운영권을 가지도록 기설정 된 제1 무선 통신부(410)의 하트비트 처리부(601)에서만 발생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heartbeat processing unit 601 for generating a switch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switch unit 430 i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preset to have an operating right when there is no abnormality in both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generated only in the heartbeat processing unit 601.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의 무선 통신부에서 데이터 중계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ata relay uni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a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중계부(507)는 복수의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 간의 패킷 포워딩을 위한 라우팅 테이블을 저장하는 라우팅 테이블 저장부(701), 데이터 프레임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변환부(703) 및,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오류 여부를 검사하는 데이터 프레임 검사부(70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data relay unit 507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uting table storage unit 701 for storing a routing table for packet forwarding between a plurality of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s, a protocol for performing a data frame protocol conversion function. The converter 703 may include a data frame checker 705 for checking whether a data frame is transmitted or received.

라우팅 테이블 저장부(701)는 FWB 간의 라우팅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각의 FWB의 주소를 포함하는 라우팅 테이블을 저장한다. 이때, 상기 라우팅 테이블은 배전 자동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또는 라우팅 환경의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The routing table storage unit 701 stores a routing table including an address of each FWB in order to perform routing between the FWBs. In this case, the routing table may be dynamically updated by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administrator or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routing environment.

프로토콜 변환부(703)는 무선 통신과 유선 통신간의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 콜을 변환하여 중계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이 이더넷 프로토콜을 따르고, 배전 자동화 제어신호가 DNP(Distributed Network Protocol)를 따르는 경우, 프로토콜 변환부(703)는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된 이더넷 프레임을 DNP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유선 통신하는 FRTU 또는 모뎀으로 전송한다. 또는 프로토콜 변환부(703)는 유선 통신을 통해 수신된 DNP 프레임을 이더넷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FWB 채널을 통해 다른 FWB 통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The protocol conversion unit 703 converts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d communication to enable relaying. 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follows the Ethernet protocol and the distribution automation control signal follows the Distributed Network Protocol (DNP), the protocol conversion unit 703 converts the Ethernet frame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o a DNP frame to perform wired communication. Transmit to FRTU or modem. Alternatively, the protocol conversion unit 703 may convert the DNP frame received through wired communication into an Ethernet frame and transmit it to another FWB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FWB channel.

데이터 프레임 검사부(705)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하여 보안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의 보안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프레임 검사부(705)는 소정의 보안 알고리즘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The data frame checker 705 may apply a security algorithm to the data frame to perform a security check on the data frame. In detail, the data frame inspecting unit 705 may encrypt and decrypt the data fram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curity algorithm.

배전 자동화 시스템은 배전선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자칫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규모 정전 사태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기기로부터의 이상 데이터 송수신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보안 기능의 구현이 요구된다.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s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distribution lines, and can cause large power outages if problems arise. Therefore, the implementation of a security function is required to block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bnormal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in advanc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광통신망에 기반하고 고정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종래의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based on a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and including a fixed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도 2는 종래의 배전 자동화 시스템에서 고정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xed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in a conventional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xed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xed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에서 무선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a fixed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에서 무선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및,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a fixed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의 무선 통신부에서 데이터 중계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ata relay uni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a fixed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원격 제어 단말장치(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 또는 모뎀(Modem)을 통해 송수신하는 자동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중계하는 제1 무선 통신부;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relaying an automa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Feeder Remote Terminal Unit (FRTU) or a modem; 상기 제1 무선 통신부가 정상 동작하지 않음을 감지하면 무선 중계를 수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performs wireless relay whe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detects that the normal operation is not performed; 무선 채널을 통해 고주파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 및An antenna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igh frequency wireless signals through a wireless channel; And 상기 제1 무선 통신부 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상기 안테나부로 제공하고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 제공하는 중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And a relay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r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he antenna unit and provide a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unit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Redundant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는 하나의 시리얼 통신라인 상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And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re located on one serial communication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고주파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처리부;RF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igh frequency wireless signal; 상기 원격 제어 단말장치 또는 상기 모뎀을 통해 송수신하는 상기 자동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중계하는 데이터 중계부;A data relay unit which wirelessly relays the automa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remote control terminal device or the modem; 상기 제1 무선 통신부가 무선 중계를 수행하는 운영권을 가졌는지 유무를 판단하는 하트비트 처리부;A heartbeat processing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has an operating right to perform wireless relaying; 상기 운영권을 가진 경우 무선 중계를 위해 상기 데이터 중계부로 시리얼 통신라인을 연결하도록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시리얼 제어부; 및A serial control unit controlling a switch unit to connect a serial communication line to the data relay unit for wireless relaying when the operating right is obtained; And 상기 시리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 단말장치와 상기 모뎀간의 시리얼 통신라인을 상기 데이터 중계부로 연결하는 상기 스위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And a switch unit for connecting a serial communication line betwee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device and the modem to the data relay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serial control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트비트 처리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eartbeat processing unit, 기설정 시간간격으로 하트비트를 발생시켜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부가 송신하는 하트비트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And generating a heartbea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ransmitting the heartbeat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detecting a heartbeat transmitted by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트비트 처리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eartbeat processing unit,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부터 기설정 시간간격으로 하트비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제2 무선 통신부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The redundant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f the heartbeat is not received from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트비트 처리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eartbeat processing unit,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가 모두 정상인 경우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에 우선권이 있다고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And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re both normal, determining that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has priorit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witch unit, 상기 시리얼 제어부로부터 기설정 간격의 스위치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데이터 중계부로 연결하지 않고 상기 원격 제어 단말장치와 상기 모뎀을 시리얼 통신라인으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Redundant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device and the modem via a serial communication line without connecting to the data relay if the serial control unit does not receive a switch control signal of a predetermined interv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트비트 처리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eartbeat processing unit, 운영권을 가진 경우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의 이상상태의 유무 정보를 기설정 시간간격으로 배전 자동화 시스템으로 보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The redundant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porting the presence or absence information of the abnormal state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lay unit, 상기 제1 무선 통신부 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상기 안테나부로 제공하고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 분배하는 분배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 장치.A redundancy unit provid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r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he antenna unit and distribut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unit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ne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lay unit,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안테나부의 연결을 상기 제1 무선 통신부 혹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 연결하는 통신 스위치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And a communication switch unit for connecting the antenna unit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r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KR1020080024842A 2008-03-18 2008-03-18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do duplexing in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KR200900996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842A KR20090099698A (en) 2008-03-18 2008-03-18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do duplexing in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842A KR20090099698A (en) 2008-03-18 2008-03-18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do duplexing in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698A true KR20090099698A (en) 2009-09-23

Family

ID=4135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842A KR20090099698A (en) 2008-03-18 2008-03-18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do duplexing in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969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848A1 (en) * 2010-04-22 2011-10-27 한국전력공사 Automatic power distribu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KR20180046262A (en) 2016-10-27 2018-05-08 삼성전기주식회사 Coil Electronic Compon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848A1 (en) * 2010-04-22 2011-10-27 한국전력공사 Automatic power distribut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KR20180046262A (en) 2016-10-27 2018-05-08 삼성전기주식회사 Coil Electronic Compon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6791A2 (en) Wireless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nd monitoring wireless device
NO330908B1 (en) Local network, especially Ethernet network, with redundancy features and redundancy controller
US20150311714A1 (en) Resilient Communication for an Electric Power Delivery System
JP2003179948A (en) Monitoring system of catv system
CN109120386B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7436291B2 (en) Protection of devices in a redundant configuration
CN101207573B (en) Relay device and communication-path managing method
CN103607325A (en) Data network link monitoring automatic switching system
KR20090099698A (en) Wireless bridge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do duplexing in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KR101216682B1 (en) Smart access redundancy network system in network
JP4781696B2 (en) IP phone system
CN106850264B (en) A kind of network equipment
JP2004112246A (en) Remote supervision control system
KR101465991B1 (en) network control device having security function
CN107302452B (en) Control method for PBX service continuity
CN103125099A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system, and fault notification method
JP449822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an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apparatus
KR101406735B1 (en) Network backup apparatus and network system with the same
JP2004007930A (en) System and program for controlling power system monitoring
US8553530B1 (en) Operating state control in redundancy protection systems
JP2002124908A (en) Group communication system
JP6204397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KR102197916B1 (en) Apparatus for duplexing data
KR102188479B1 (en) Apparatus for duplexing data
JP2006020202A (en) Communication equipment,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