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066A -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066A
KR20090097066A KR1020080022691A KR20080022691A KR20090097066A KR 20090097066 A KR20090097066 A KR 20090097066A KR 1020080022691 A KR1020080022691 A KR 1020080022691A KR 20080022691 A KR20080022691 A KR 20080022691A KR 20090097066 A KR20090097066 A KR 20090097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ngle
guide rail
cas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두환
Original Assignee
강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두환 filed Critical 강두환
Priority to KR1020080022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7066A/ko
Publication of KR2009009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P, LCD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TV,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제품에 대한 시청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된 디스플레이의 시청각도를 원하는 위치와 각도가 되도록 미세하게 조절가능하고, 특히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으로 모터 구동에 의해 각도와 위치가 사용 용도 및 목적과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쉽게 조절되는 디스플레이용 시청위치 및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모터 회전에 의한 구동수단과 연결된 회전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장치와 제2모터 회전에 의한 구동수단이 내장된 케이스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디스플레이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회전, 각도, 위치, 좌·우, 상·하, 모터, 자동

Description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TABLE APPARATUS FOR CONTROLING DEGREE OF DISPLAY SET}
본 발명은 PDP, LCD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TV,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제품에 대한 시청각도를 사용자가 보는 위치에서 원하는 각도와 위치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된 디스플레이의 시청각도를 원하는 위치와 각도로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고, 특히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으로 모터구동에 의해 각도와 위치가 사용 용도 및 목적과 사용자의 상태에 맞추어 쉽게 조절되는 디스플레이용 시청위치 및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TV 또는 컴퓨터용 모니터등은 사용자의 요구 및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화면크기의 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대형화 및 중량화된 제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나아가 시청자가 원하는 시청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거치대가 요구되었다.
즉,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정면에서 시청할 때와 상하 또는 좌우로 일정각 도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시청할 때 시청자가 보게 되는 색감이 달라지는데, 이러한 시청각도에 따른 화질의 차이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디스플레이 제품의 안정적인 고정하에 시청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거치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디스플레이 제품이 더욱 발전하게 되어 입체 영상이 상용화되면 더욱 이에 대한 각도 조절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될 전망이다.
시청자들도 디스플레이의 영상의 질이 고급화됨에 따라 더욱 선명하고 생생한 화질에 익숙해 지고 있다.
화면의 크기가 대형화될수록 평판 디스플레이 제품이 가지고 있는 시청각도에 의해 시청 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단계에 이루게 되었다.
점차 생활의 질이 높아지면서 주거면적이 넓어지고 주방과 베란다의 구조와 용도가 거실과 함께 다양화됨에 따라 시청자의 시청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급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삶의 형태도 점차 TV나 인터넷을 통해 장시간 시청하는 경우가 많아지는 쪽으로 변화하고 있다.
시청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한 곳에서 가만히 시청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자주 보는 자리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진 상태에서 시청할 때는 당연히 화면을 정면에서 보는 것처럼 생생하게 보기가 어려워진다.
화면뿐만 아니라 음향도 정면에서 시청할 때보다도 감도가 떨어질 수가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제품의 보는 각도를 시청자의 보는 위치에 맞추어 조절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각도를 거치대를 통하여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제공되었는데,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1762호(공개일자 2000년 1월 25일) 'PDP-TV의 화면 각도 조절장치'에서는 핸들을 이용하여 조작하는 구동피니언과 회전방향에 따른 회동부재와 이에 연결된 구동부재에 의하여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기 위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핸들을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각도를 조절할 때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의 뒷쪽에 설치된 핸들을 파지해서 회동시키게 되며 조절된 각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시 자리를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과 수동으로 각도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각도를 맞추기 위하여 여러번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공개특허공보 제1997-51720호(공개일자 1997년 07월 29일) '평면형 화상 표시장치의 시청각 조정장치'에서는 '습동면이 형성된 다수의 습동안내부재와 위치 고정수단과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져 있어 PDP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범위내에서 조정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사용자가 쉽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PDP를 쥐고 원하는 각도를 조절한 후 조정부재를 전진시켜 위치를 고정하게 되어 중량이 무거운 PDP를 노약자 및 부녀자가 쉽게 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PDP를 쥐고 각도를 조절한 후 조정부재를 전진시켜야 하는데 이때 PDP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 으로 조정부재를 조작하게 되는 불편함과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를 시청자가 원하는 시청각도로 쉽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위치에서 동일한 화질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회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간단한 리모트 콘트럴 조작으로 시청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시청자가 움직이지 않고도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회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는
테이블위에 놓여지는 베이스;
디스플레이가 고정되는 장착부재;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1구동체와, 상기 제1구동체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좌·우 각도 조절 수단;
좌·우 각도 조절 수단에 결합되고 제1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가이드레일보다 짧은 제2가이드레일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제2구동체와, 상기 제2구동체에 의하여 직선운동을 하는 승하강 수단; 및
상기 승하강 수단의 제2구동체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에 내장된 이송스크류가 연동 회전하면서 케이스 하부에 있는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너트를 결합한 장착부재와 상기 승하강 수단의 케이스의 상부에 또 다른 장착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따라 움직이는 슬라이드 핀을 포함하는 상·하 각도 조절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 각도 조절 수단은 상기 제1구동체와 연결된 피니언과 웜휠로 이루어진 웜기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 각도 조절 수단의 제1구동체는 제1모터와 제1감속기 및 평기어로 이루어져 피니언을 회전시킨다.
상기 승하강 수단의 제2구동체는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제2모터와 제2감속기, 그리고 제2모터에 의하여 선회되는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위체는 상기 이송스크류의 선회에 따라 원운동 및 직선운동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상·하 각도 조절 수단은 상기 승하강 수단의 제2구동체와 상기 장착부재를 잇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너트를 결합한 장착부재와 상기 승하강 수단의 케이스의 상부에 또 다른 장착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따라 움직이는 슬라이드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는 테이블 위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경우 시청자가 보는 위치에 맞추어 각도와 위치 조절을 좌·우 또는 상·하로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평판 디스플레이를 위한 거치 수단으로는 장식장과 같은 랙(RACK)과 같이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디스플레이가 위치하도록 하는 '스탠드형 또는 탁상형 장치'와 벽에 부착하는 '벽걸이형 장치'가 있으며 각각 각도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은 스탠드형 장치에 장착하는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가 있다.
즉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측면에서 보아야 하는 경우 좌·우로 각도 조절하면 화면을 정면에서 보는 것처럼 똑같이 뚜렷하게 볼 수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누워보고 싶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앞으로 숙여주면 화면을 뚜렷하게 볼 수가 있을 뿐 아니라 특히 누워서 보는 경우 화면이 장식장이나 탁상에 가려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디스플레이를 상향으로 올려주면 더욱 보기 좋은 방향에서 가려짐없이 화면 시청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는 일반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제품에 장착하여 좌·우 각도, 상·하 각도, 그리고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장치로써, 상기 기능이 필요한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동작의 기능으로 높은 상품성과 최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일반 가정에서 장식장위에 올려 놓고 소파나 침상에 누워 휴식을 취하며 시청하는 현대인들의 주거 습성에도 적합하다.
특히 동양적인 가옥구조상 벽에다 거는 벽걸이보다는 탁상위에 올려놓고 보기를 원하는 문화에 더욱 효과적이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탁상용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좌·우 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해 주는 좌·우 각도 조절 수단(10)과 디스플레이의 상·하 각도와 승·하강에 의해 상하위치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해 주는 승·하강 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좌·우 각도 조절 수단(10)은 디스플레이의 모든 중량을 지지하고 있어 안정적인 구조를 갖추어야 하고 특히 충격이나 진동에도 제품의 기능에 차질이 없어야 한다.
또한 원활한 회전운동과 아울러 제품의 내구성에 따른 장기적인 성능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되는 구조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장치의 좌·우 각도 조절 수단(10)은 제1구동체인 제1모터(11a)와 제1감속기(12a), 제1구동체인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한 쌍의 피니언들을 선회시키는 기어(14a, 14b, 14c), 상기의 기어에 의해 선회되는 한 쌍의 피니언(15a, 15b)들이 회전시켜 좌·우 각도를 조절시켜 주는 스위블 웜휠(17), 이들을 지지해 주는 측면지지대(13a, 13b), 하부 지지대(16), 스위블 웜휠(17)의 상부에 고정 연결되어 케이스(27)을 회전시켜 주는 서포트(18), 및 결합부재(29b, 29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하 각도와 승·하강에 의해 상·하 위치를 원하는 사양으로 조절해 주는 승·하강 수단(20)은 역학적으로 상·하 이동이 용이해야 하며 상·하 각도(틸팅 각도) 조절에도 불구하고 제품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특히 상·하 각도 조절 후 상향으로 디스플레이가 이동시에 더욱 제품의 안정적인 상태가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조는 간단하고 단순하여 가격등의 상품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장기적인 신뢰성은 물론 디스플레이와의 장착성이 간편해야 한다.
상기의 구조와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상·하 각도와 상·하 위치를 조절해 주는 승·하강 수단(20)은 서포트(18)에 고정 연결되는 케이스(27), 케이스(27)에 내장되는 제2구동체, 즉 제2모터(11b)와 제2감속기(12b), 제2구동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선회하는 이송스크류(21), 선회하는 이송스크류(21)에 따라 상·하로 직선 운동하는 변위체의 너트(22), 상기 너트(22)에 회전핀(28a)으로 결합되는 하부 장착 부재(23a, 23b), 케이스(27)의 상부에 위치해 있는 제2가이드레일(R2)에 조립되어 있는 슬라이드 핀(26), 슬라이드 핀(26)의 양단에 고정되는 틸팅링크(25a, 25b), 틸팅링크(25a, 25b)의 하단부에 회전핀(28b)에 의해 조립되어 있는 상부 장착부재(24a, 24b) 및 결합부재(29a)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틸팅링크(25a, 25b)는 상부 장착부재(24a, 24b)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 장착부재(24a, 24b)는 디스플레이 후면(S2)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어 슬라이드 핀(26)이 제2가이드레일(R2)에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의 틸팅각도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전면(S1)이 앞으로 숙여지도록 해준다.
상기의 너트(22)에 회전핀(28a)로 조립되어 있는 하부 장착부재(23a, 23b)는 디스플레이 후면(S2)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어 상부 장착부재(24a, 24b)와 함께 디스플레이가 제1가이드레일(R1)에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의 각도 조절 및 위치 조절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장치의 승·하강 수단(20)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하면 우선적으로 틸팅 각도가 조절되고 2차적인 너트(22)의 상향 이동에 의하여 디스플레이가 상향으로 위치조절이 된다
상기의 승·하강 수단(20)은 제2구동체에 의해 동작되고 좌·우 각도 조절 수단(10)은 제1구동체에 의해 동작되므로 상기 상·하 각도 조절 및 위치조절 동작에 관계없이 제1구동체에 의해 독립적으로 좌·우 각도(스위블 각도)가 조절될 수가 있다.
상기의 승·하강 수단(20)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의 위치가 하향으로 이동되고 2차적인 너트(22)의 하향 이동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의 틸팅각도가 조절되어 앞으로 숙여졌던 디스플레이 전면(S1)이 똑바로 서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제2모터(11b), 제2감속기(12b), 이송스크류(21)는 유압이나 공압 실린더로 대체되고, 상기 너트(22)는 피스톤으로 대체될 수 있는데,
상기 제2모터(11b) 등과 상기 실린더 및 유압(또는 공압) 회로 구성은 상기 디스플레이 후면(S2)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제2구동체로 통칭될 수 있고,
상기 너트(22)와 상기 피스톤은 상기 제2구동체에 의하여 직선운동을 하고 제2가이드레일(R2)을 구비한 변위체로 통칭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이나 공압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대체된 제품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 바, 다음으로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장치의 좌·우(스위블) 각도 조절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 동작 순서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구동체인 제1모터(11a)와 제1감속기(12a)에 전원이 인가되면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력은 제1기어(14a)에 전달된다.
제1기어(14a)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2기어(14b)와 제3기어(14c)가 회전하게 되고 제2기어(14b)와 제3기어(14c) 각각 연결되어 잇는 한 쌍의 피니언(15a, 15b)이 연동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피니언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양 끝단에 베어링(19b)이 결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14a, 14b, 14c)와 피니언(15a, 15b)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측면지지대(13a, 13b)를 결합하고 양축을 베어링(19b)이 결합되어 소음과 마찰력이 최소화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 쌍의 피니언(15a, 15b)은 스위블 웜휠(17)을 원주방향 양단으로 회전력을 전달시켜 주므로 스위블 웜휠(17)이 한쪽 방향으로 쏠림 현상이 없이 안정적인 부하를 받아 힘의 바랜스를 유지하며 회전하게 된다.
스위블 웜휠(17)의 회전방향은 제1구동체인 제1모터(11a)의 회전방향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회전방향을 좌 또는 우로 각도 조절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전기신호를 달리하면 제1모터(11a)의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스위블 웜휠(17)의 회전방향이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피니언(15a, 15b)가 양단에서 회전력을 전달해 주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량으로 인한 진동과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기능을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 같은 가전 제품의 경우 보통 수명이 10년 가까이 되기 때문에 장기적인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상품화가 어렵기 때문에 기존의 하나의 피니언을 사용하는 경우 제품의 내구성에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한 쌍의 피니언(15a, 15b)들로 구성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한편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도록 발명이 되었다.
상기의 스위블 웜휠(17)은 하부에 하부지지대(16)이 지지하고 있어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스위블 웜휠(17)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함께 연결되어 있는 서포트(18)를 동시에 회전시키게 된다.
제1도, 2도, 5도, 그리고 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포트(18)의 회전은 케이 스(27)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이미 언급한 바, 디스플레이의 좌·우 각도 조절은 제1구동체의 제1모터(11a)의 회전방향에 의해 결정되어지기 때문에 시청자가 보는 위치에 맞추어 디스플레이의 각도의 조절을 가능토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인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좌·우 각도 조절 수단(10)에 대한 동작 원리인 것이다.
다음에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한 상하(틸팅) 각도 조절 및 승·강하 동작을 동작순서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인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하(틸팅) 각도 조절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구동체인 제2모터(11b)와 제2감속기(12b)가 회전하게 되면 이와 연결되어 있는 이송스크류(21)가 회전하는데 상기 제2모터(11b), 제2감속기(12b), 그리고 이송스크류(21)는 케이스(27)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스크류(21)의 회전에 따라 너트(22)는 케이스(27)의 제1가이드레일(R1)의 홈을 따라 상하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즉, 이송스크류(21)의 회전운동이 너트(22)의 상·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너트(22)에 회전핀(28a)으로 결합된 하부 장착부재(23a, 23b)도 동시에 상·하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 하부 장착부재(23a, 23b)는 디스플레이 후면(S2)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장 착부재(23a, 23b)의 상·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후면(S2)도 상·하로 연동하게 되는 것이다.
제2모터(11b)가 회전하게 되면 이에 따라 이송스크류(21)가 회전하면서 너트(22)와 하부 장착부재(23a, 23b)들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후면(S2)의 하부도 동시에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너트(22)는 이송스크류(21)의 축방향으로 나사산을 따라 제1가이드레일(R1)의 홈에서 이동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장착부재(23a, 23b)와 마찬가지로 상부 장착부재(24a, 24b)는 디스플레이 후면(S2)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장착부재(23a, 23b)가 상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 장착부재(24a, 24b)도 상향으로 연동하게 된다.
디스플레이의 자중에 의하여 케이스(27)의 상부에 있는 제2가이드레일(R2)를 관통해서 조립되어 있는 슬라이드 핀(26)은 제2가이드레일(R2)의 가장 하단에 놓여져 있게 된다.
하부 장착부재(23a, 23b)에 의해 상부 장착부재(24a, 24b)가 상향으로 이동된다 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자중에 의해 슬라이드 핀(26)이 상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틸팅링크(25a, 25b)가 디스플레이 전면(S1) 방향으로 슬라이드 핀(26)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는 결국 상부 장착부재(24a, 24b)를 디스플레이 전면(S1) 방향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상부가 앞으로 숙여지도록 하는 것이다.
하부 장착부재(23a, 23b)가 더욱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틸팅링크(25a, 25b)가 최대한 슬라이드 핀(26)을 축으로 하여 최대의 이동각도까지 회전하면서 상하(틸팅) 각도 조절을 멈추게 된다.
틸팅링크(25a, 25b)가 최대 이동 각도까지 회전한 후에 하부 장착부재(23a, 23b)가 상향으로 2차적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부 장착부재(24a, 24b)는 더 이상 회전할 수가 없으므로 상부 장착부재(24a, 24b)는 하부 장착부재(23a, 23b)와 함께 상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서 디스플레이 후면(S2)의 상부도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전체가 상향으로 위치 조절하기 시작하게 된다
이에 대한 위치조절은 이송스크류의 잔여 이송거리에 따라 가능하게 되어진다.
즉 이와 같은 위치조절은 장식장이나 테이블로 인한 시청장애가 해소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진다.
그렇지만 틸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지나치게 상향으로 위치조절이 되면 디스플레이가 불안정하게 놓여지므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적정한 높이 선정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틸팅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향 위치 조절은 의미가 없다고 보고 동작되어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단순 상·하 조절은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취지와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틸팅이 된 상태에서의 상·하 위치 조절 기능이 본 발명인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장치의 특징으로 갈음한다 할 것이다.
즉 일반적인 사용예를 감안하는 경우 상·하 각도(틸팅각도)에 대한 조절이 필요한 경우는 쇼파에서 시청하던 중 침상이나 거실바닥에 누워 휴식을 하면서 시청하고자 할 때 발생한다.
거실 바닥에 눕게 되면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하향으로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디스플레이의 각도가 앞으로 숙여지게 되면 장식장이나 테이블에 의해 시청에 간섭이 발생하면서 애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이와 같은 장애 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디스플레이를 상향으로 위치 조절할 필요성에 합치한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상·하 각도 조절 후에는 승·하강 수단(20)에 의하여 시청의 장애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부수적으로 필연적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하각도(틸팅각도)를 원래 위치로 원복하고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하향으로 조절하는 기능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내용에서 역으로 점선으로부터 실선의 상태로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면 쉽게 감지할 수 있다.
제2구동체인 제2모터(11b)와 제2감속기(12b)가 역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제2감속기(12b)에 연결되어 있고 케이스(27)에 내장되어 있는 이송스크류(21)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송스크류(21)의 회전에 따라 이송스크류(21)의 상단에 놓여 있던 너트(22)는 하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디스플레이의 자중에 의해 디스플레이 전면(S1)이 앞으로 숙여진 상태에서 하부 장착부재(23a, 23b)와 상부 장착부재(24a, 24b)는 동시에 하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전체가 하향으로 위치조절이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하향으로의 이동은 케이스(27)의 상부에 있는 제2가이드레일(R2)의 홈 하단으로 슬라이드 핀(26)이 이동할 때까지 진행된다.
슬라이드 핀(26)이 제2가이드레일(R2)의 홈을 따라 하단 끝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부 장착부재(24a, 24b)는 하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멈추고 슬라이드 핀(26)을 축으로 하여 디스플레이의 후면(S2) 방향으로 틸팅링크(25a, 25b)와 함께 회전하기 시작한다.
틸팅링크(25a, 25b)가 디스플레이 후면(S2)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전면(S1)이 앞으로 숙여진 상태에서 원래의 위치로 원복되기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상부 장착부재(24a, 24b)가 틸팅링크(25a, 25b)와 함께 원복하면서 회전하는 것은 하부 장착부재(23a, 24b)가 2차적으로 하향으로 이송스크류(21)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27)의 하부에 있는 제1가이드레일(R1)의 홈을 따라 너트(22)가 이동되기 때문에 이루어지는 동작인 것이다.
이때 너트(22)에 회전핀(28b)으로 결합되어진 하부 장착부재(23a, 23b)는 회전핀(28b)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하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너트(22)가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제1가이드레일(R1)의 홈 하단까지 이르게 되면 하부 장착부재(23a, 23b)와 상부 장착부재(24a, 24b)는 디스플레이 후면(S2)을 수직으로 세우게 되면서 상·하 각도(틸팅각도) 조절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은 도 5와 도 6에 도시한 것에서 점선의 이동전 상태로부터 실선의 이동후 상태로 역으로의 동작을 참조하면 쉽게 감지할 수가 있는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 각도(틸팅각도)를 해지하기 위해서는 승·하강 수단(20)에 의해 동작이 원복되어야 한다.
여기서 동작이 원복된다하는 것은 상·하 각도와 상·하 위치조절이 원래의 방향과 위치로 돌아오기 위해 동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각도 조절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탁상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스위블) 각도 조절 장치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좌·우(스위블) 각도 조절 장치에 대한 각도 조절 동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와 도 6은 탁상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틸팅) 각도 조절 동작 및 강동작을 점선과 실선으로 각각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후면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좌우 각도 조절 수단
11a, 11b : 모터 12a, 12b : 감속기
13a, 13b : 측면지지대 14a, 14b, 14c : 기어
15a, 15b : 피니언 16 : 하부지지대
17 : 스위블 웜휠 18 : 서포트
19a, 19b, 19c : 베어링
20 : 승하강 수단
21 : 이송스크류 22 : 너트
23a, 23b : 하부 장착부재 24a, 24b : 상부 장착부재
25a, 25b : 틸팅링크 26 : 슬라이드 핀
27 : 케이스 28a, 28b : 회전핀
29a, 29b, 29c : 결합부재
R1 : 제1가이드레일 R2 : 제2가이드레일
S1 : 디스플레이 전면 S2 : 디스플레이 후면
B : 디스플레이 베이스

Claims (4)

  1. 디스플레이가 놓여지는 베이스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제1모터를 포함하는 제1구동수단;
    제1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가이드레일보다 짧은 제2가이드레일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제2구동체와, 상기 제2구동체에 의하여 직선운동을 하는 변위체를 포함하는 승하강 수단; 및
    상기 승하강 수단의 제2구동체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직선으로 움직이는 회전핀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 하부 장착부재와 상기 승하강 수단의 케이스의 제2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핀을 포함하는 상부 장착부재로 이루어져 각도 조절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수단은 제1모터와 연결된 한 쌍의 피니언들과 상기 서포트를 지지하고 있는 웜휠로 이루어진 웜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수단에서 제2구동체는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의하여 선회되는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스크류의 선회에 따라 원운동과 직선운동을 하는 결합부재와 같은 변위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장치
  4. 제1항과 제3항에 있어서
    탁상형 디스플레이의 상·하 각도를 조절한 후 연속해서 상향 또는 하향으로 위치를 조절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장치
KR1020080022691A 2008-03-10 2008-03-10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KR20090097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691A KR20090097066A (ko) 2008-03-10 2008-03-10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691A KR20090097066A (ko) 2008-03-10 2008-03-10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066A true KR20090097066A (ko) 2009-09-15

Family

ID=4135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691A KR20090097066A (ko) 2008-03-10 2008-03-10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70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2065A1 (ko) * 2014-03-19 2015-09-24 이정용 회전이 가능한 tv
KR20160069395A (ko) * 2014-12-08 2016-06-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링 지그의 각도 측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2065A1 (ko) * 2014-03-19 2015-09-24 이정용 회전이 가능한 tv
KR20160069395A (ko) * 2014-12-08 2016-06-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링 지그의 각도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8668B2 (en) Balanced moment lift system and method
US9103488B2 (en) Multi-position articulated display support system
US8893628B2 (en) Dispatch desk with focal length adjustability
AU2011282862B2 (en) Cam balance mechanism systems and methods
CA2497543C (en) Support for one or more flat panel displays
WO2018176180A1 (zh) 一种升降式显示屏挂架
US6149253A (en) Video display positioning system
US8356779B2 (en) Fixed flat panel monitor mounting system
US20050110911A1 (en) Remotely controlled wall-mounted television bracket
CN105371077B (zh) 一种液晶显示屏定位装置
US20090278018A1 (en) Lifting device of a display apparatus
GB2475977A (en) Height and rotatably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KR20060133854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높이 조절 구조
CN201127074Y (zh) 一种平板电视的电动支架
KR200441352Y1 (ko) 벽걸이 티브이의 자동 시청각 조절장치
KR20090097066A (ko)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KR20080004885A (ko)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과 그 장치 및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KR100838592B1 (ko) 디스플레이 틸팅장치 및 디스플레이 회동장치
CN201066892Y (zh) 平板电视壁挂支架
KR20190017623A (ko)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CN201117297Y (zh) 多功能移动电脑架
KR101235787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872350B1 (ko)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
JP2012134851A (ja) 薄型テレビ取付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薄型テレビ取付キャビネット
CN104235570A (zh) 一体式显示设备专用升降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