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851A - Image capturing apparatus enabling non-contact shutter-operation and image cap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Image capturing apparatus enabling non-contact shutter-operation and image cap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851A
KR20090090851A KR1020080016369A KR20080016369A KR20090090851A KR 20090090851 A KR20090090851 A KR 20090090851A KR 1020080016369 A KR1020080016369 A KR 1020080016369A KR 20080016369 A KR20080016369 A KR 20080016369A KR 20090090851 A KR20090090851 A KR 20090090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user
motion
recogni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3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36322B1 (en
Inventor
이희정
양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6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322B1/en
Publication of KR20090090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8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3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A pickup device and a non-contact photographing method for initiating photograph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of a photographer are provided to prevent the flickering of a camera by initiating the photograph by recognizing the operation signal of the photographer. An operation recognizing system(200) recognizes clearly the operation of the intended user by using the photographing start signal. The recognition of movement system outputs the shutter signal. A pickup system(100) reacts to the shutter signal and initiates the photographing work of the subject. A pickup unit(220) outputs the image about the portion of a human body to the digital image signal. A body area extractor extracts the body region. An operation recognizer recognizes clearly the operation of the user.

Description

비접촉식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비접촉식 촬영방법{Image capturing apparatus enabling non-contact shutter-operation and image capturing method} Image capturing apparatus enabling non-contact shutter-operation and image capturing method

본 발명은 비접촉식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비접촉식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ing apparatus and a non-contact imaging method capable of non-contact imaging.

기존의 촬영방법에서는 셔터 릴리즈 버튼을 물리적으로 누르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카메라의 촬영이 개시된다. 예를 들어, 아기의 사진을 촬영할 때, 촬영자는 아기의 시선을 유도하는 특정한 행동을 취해야만 한다. 즉, 한 손으로는 카메라를 들고 셔터 버튼을 눌러야 하며, 다른 손으로는 아기의 시선을 유도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만 카메라를 들고 셔터 버튼을 조작하게 된다. 카메라를 한 손으로만 파지한 불안정한 상태에서는 셔터 버튼의 누름 동작에 의해 카메라 전체가 흔들리게 되어 사진 속 이미지가 흔들릴 개연성이 크다. 특히 이러한 촬영 이미지의 흔들림 현상은 대구경 렌즈를 장착한 DSLR에 비하여, 제한된 광량으로 조리개의 개구나 셔터 스피드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저 광량의 촬영 조건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 In the conventional photographing method, photographing of the camera is started through a user's manipulation of physically pressing the shutter release button. For example, when taking a picture of a baby, the photographer must take specific actions to attract the baby's attention. In other words, while holding the camera with one hand and pressing the shutter button, the other hand is holding the camera with only one hand while manipulating the shutter button. In an unstable state in which the camera is held with only one hand, the entire camera is shaken by pressing the shutter button, and the image in the picture is likely to shake. In particular, the shake of the captured image is more prominent in a low light amount of shooting condition in which aperture aperture or shutter speed is not sufficiently secured with a limited amount of light, compared to a DSLR equipped with a large-diameter lens.

보다 진보된 기술에서는 피사체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여 포커싱이 되도록 하 는 기술과 얼굴인식기술을 응용하여 웃는 얼굴 등의 특정 표정을 포착하여 촬영을 개시한다. 이 기술의 문제점은 특정표정에 대해서만 반응함으로써, 촬영자의 의도가 충분히 반영된 촬영을 할 수 없다는 점이다. 특히, 얼굴인식에서는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 처리를 수행해야 하므로 복잡한 연산과정이 필수적이며, 비교대상으로서의 객체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하게 된다. 즉, 피사체 인물의 표정 추적을 위한 데이터를 사전에 저장해둘 필요가 있고, 많은 연산처리능력이 요구되면서도 배경 조명 등 주위 환경에 따라 인식 성공율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다.In the more advanced technology, a face recognition technique is applied to recognize a face of a subject and a face recognition technique is applied to capture a specific facial expression such as a smile and start shooting. The problem with this technique is that it can't take pictures that fully reflect the intention of the photographer by responding only to specific expressions. In particular, in face recognition, a complex matching process is essential because a pattern matching process must be performed, and data on an object as a comparison target is required. That is, it is necessary to store data for tracking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subject person in advanc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cognition success rate is lower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a background light even though a lot of processing power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셔터 버튼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촬영자의 동작신호에 근거하여 촬영을 개시하는 비접촉식 촬영방식을 도입한 촬상장치 및 촬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ing apparatus and a photographing method incorporating a non-contact photographing method in which photographing is started on the basis of an operation signal of a photographer without the operation of a shutter button.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nd other objects, the ima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촬영개시 신호로 의도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고, 셔터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인식계; 및A motion recognition system for recognizing a user's motion intended as a shooting start signal and outputting a shutter signal; And

상기 동작인식계와 교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셔터신호에 반응하여 피사체의 촬영작업을 개시하는 촬상계;를 포함하는 촬상장치로서, And an imaging system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recognition system and configured to start photographing a subject in response to the shutter signal.

상기 동작인식계는,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신체 일부에 관한 영상을 디지털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촬상부; 및 An imaging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of a body part as a digital image signal; And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의 색도 분포에 기반하여 신체영역을 추출하는 신체영역 추출부; A body region extraction unit which extracts a body region based on chromaticity distribution of the digital image signal;

추출된 신체영역의 이미지상에서 취해진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인식부; 및A mo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user's motion taken on the extracted body region image; And

상기 인식된 동작과 지정동작을 상호 비교하여 상기 셔터신호를 생성하는 비교판단부;를 포함한다. And a comparison determiner configured to generate the shutter signal by comparing the recognized operation with a designated operation.

본 발명이 일 구현예에서, 상기 동작인식계는 계수(counting) 동작을 취한 손가락 영상으로부터 길이장단에 따라 펴진 손가락의 개수를 인식하고, 지정동작으로 교시된 계수 값과 비교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sture recognition system recognizes the number of fingers stretched along the length and length from the finger image taking the counting operation, and compares the counted value with the teaching of the designated operation.

이 경우, 상기 동작인식계는 손 부분이 찍힌 이미지상에서 손 중심으로부터 소정 반경의 서클 라인을 취하고, 상기 서클 라인과 교차하는 손가락의 개수를 상기 펴진 손가락의 개수로 인식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may take a circle line of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hand on the image of the hand portion, and recognize the number of fingers crossing the circle line as the number of the extended fingers.

본 발명에서, 상기 셔터신호는 촬영조건의 설정을 지령하는 s1 신호와 피사체의 영상포착을 지령하는 s2 신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동작인식계에는 상기 s1/s2 신호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지정동작이 입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utter signal preferably includes an s1 signal for commanding the setting of the shooting condition and an s2 signal for commanding the image capture of the subjec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different designation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s1 / s2 signals are input to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본 발명의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촬상계의 영상처리 알고리즘과 상기 동작인식계의 영상분석 알고리즘은 공유된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서 실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ing algorithm of the imaging system and the image analysis algorithm of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may be executed in a shared digital signal processor.

본 발명의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촬상계와 동작인식계는 각기 피사체를 향하는 광학 유닛과 사용자 향하는 광학 유닛을 별개로 갖고,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ing system and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each have an optical unit facing a subject and an optical unit facing a user separately,

상기 각 광학 유닛으로부터 유입된 영상의 처리 및 분석은 공유된 촬상소자와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Processing and analysis of the images introduced from the respective optical units may be performed by a shared image pickup device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촬영방법은,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비접촉 촬영 모드로 진입하는 모드전환 단계;A mode switching step of entering a non-contact photographing mode according to a user input signal;

상기 비접촉 촬영 모드로의 진입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을 포착한 이미지 내로부터 신체 일부가 찍혀 있는 신체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체영역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상에서 취해진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며, 인식된 동작과 지정된 동작을 상호 비교하여 촬영개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인식단계;As the user enters the non-contact photographing mode, a body region in which a body part is taken is detected from an image capturing a user's motion, and an image of the detected body region is analyzed to recognize a user's motion taken on the image. An operation recognition step of outputting a shooting start signal by comparing an operation with a specified operation;

상기 비접촉 촬영 모드로의 진입에 따라 피사체의 영상을 라이브 뷰로 표시하며 촬영을 대기하는 드래프트 단계; 및A draft step of waiting for photographing while displaying an image of a subject in live view as the user enters the non-contact photographing mode; And

상기 촬영개시 신호에 따라 현재의 피사체 영상을 포착하는 촬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apturing step of capturing a current subject image according to the capturing start signal.

본 발명에서는 촬영자의 동작신호를 인식하여 촬영을 개시하는 비접촉식 촬영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종래 셔터 버튼의 조작에 의한 카메라의 떨림 현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며, 한 손으로 카메라를 파지한 상태에서도 고선명의 사진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종래 표정인식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단한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연산처리 능력이 대폭적으로 절감되는 것은 물론, 배경 조명과 같은 주위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고 인식 성공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촬영자의 동작에 연동하여 촬영이 개시되므로, 촬영자의 의도가 충분히 반영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troducing a non-contact shooting method that starts shooting by recognizing the operation signal of the photographer, the camera shake phenomenon by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shutter button is prevented inherently, even when holding the camera with one hand, high-definition picture Shooting can be done. In addition, by applying a relatively simple algorithm as compared to conventional facial recognition,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reduce the processing power, an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recognition success rate without being sensitive to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background lighting. In addition, since photographing is started in association with the photographer's operation, a photograph sufficiently reflecting the photographer's intention can be obtained.

그리고,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서는 촬영자의 동작을 매개로 하는 새로운 개념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인터렉티브(interactive)한 촬영으로 촬영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ima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interface of a new concep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hotographer,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interest of the photographer by interactive shooting.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 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식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이 개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촬상장치는 크게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상계(100)와, 사용자의 동작신호를 영상 분석하여 촬상계(100)에 대해 촬영개시를 지령하기 위한 동작인식계(200)를 포함하며, 상기 촬상계(100)와 동작인식계(200)는 내부 버스 라인을 통하여 서로 교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참고적으로, 구성요소의 명칭 옆에 부기된 도면부호 (I) 및 (II)는 각기 촬상계(100)와 동작인식계(200)에 속하는 구성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schematically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non-contact imag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strated imaging apparatus includes an imaging system 100 for capturing an image of a subject largely, and an operation recognition system 200 for commanding the start of recording to the imaging system 100 by analyzing an operation signal of a user. The imaging system 100 and the operation recognition system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n internal bus line. For reference, reference numerals (I) and (II) appended next to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used to indicate that they belong to the imaging system 100 and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200, respectively.

상기 촬상계(100)는 다수의 광학 렌즈들을 포함하여 피사체 영상을 촬상면에 결상시키기 위한 광학 유닛(110), 상기 광학 유닛(110)을 경유한 피사체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촬상소자(120), 촬상소자(120)의 출력신호를 처리하여 양자화된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 프론트엔드(Analog Front End;AFE) 회로(130), 신호처리를 위한 작업영역을 제공하도록 영상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DRAM(155;Dynamic Random Access Memory),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형태로 저장되는 기록매체(158), 그리고, 촬상계(100)의 전반적인 데이터 흐름과 각 구성부분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동작인식계(200)와의 접점을 형성하며 교신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를 포함한다. The imaging system 100 includes a plurality of optical lenses, an optical unit 110 for forming an image of a subject on an imaging surface, and an image pickup device for converting a subject image via the optical unit 110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120, an analog front end (AFE) circuit 130 for processing the output signal of the imaging device 120 and converting it into a quantized digital video signal, to provide a working area for signal processing. DRAM (155;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the data, a recording medium 158 for storing image data of a subject in the form of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file, and an overall data flow of the imaging system 100 and each component part thereof.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forms a contact point with the operation recognition system 200, and performs communication.

상기 광학 유닛(110)은 광축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하며 초점 거리를 변화시키는 줌 렌즈(미도시), 촬상소자(120)로의 노광시간 및 입사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셔터와 조리개(미도시), 그리고, 촬상소자(120)에 결상되는 피사체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 렌즈(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줌 렌즈, 셔터, 조리개, 그리고 포커스 렌즈는 드라이버(111)로 제어되는 액츄에이팅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The optical unit 110 includes a zoom lens (not shown) for moving back and forth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change the focal length, a shutter and an aperture (not shown) for adjusting the exposure time and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to the imaging device 120, and And a focus lens (not shown) for adjusting the focus of the subject image formed on the imaging device 120. The zoom lens, the shutter, the iris, and the focus lens may be driven by an actuating motor (not shown) controlled by the driver 111.

상기 촬상소자(120)는 예를 들어,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로서, 광학 유닛(110)을 경유하여 입사된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촬상소자(120)는 타이밍 생성기(121;Timing Generator;TG)의 출력신호에 반응하여 피사체의 입사 영상을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The imaging device 120 is, for example, a Charged Coupled Device (CCD) or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image sensor, and converts an image of a subject incident through the optical unit 110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 The imaging device 120 converts an incident image of a subject into a digital image signal in response to an output signal of a timing generator (TG).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회로(130)는 촬상소자(120)의 출력 신호에 대해, 높은 신호-잡음 비율 (Signal to Noise ratio)이 유지되도록 상호 연관된 이중 샘플링(Correlated Double Sampling; CDS) 방식으로 샘플 홀드를 행하고, AGC(Auto Gain Control)에 의해 화상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고, ADC(Analog Digital Conversion)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촬상소자(12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The analog front end circuit 130 performs sample hol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image pickup device 120 in a correlated double sampling (CDS) scheme so that a high signal to noise ratio is maintained. By controlling the gain of the image signal by AGC (Auto Gain Control) and performing analog digital conversion (ADC) processing, thereby converting the analog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120 into a digital image signal.

상기 DRAM(155) 또는 SDRAM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작업영역을 제공하는 휘발성 메모리로서, 예를 들어, 촬상소자(120)의 출력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영상신호에 대한 압축 부호화 및 신장 복호화를 위한 작업영역을 제공한다. The DRAM 155 or the SDRAM is a volatile memory that provides a work area for data processing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For example, the DRAM 155 or the SDRAM temporarily stores an output signal of the imaging device 120 or compresses an image signal. Provides a work area for encoding and decode decoding.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EEPROM(151;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촬상계(100)의 구성요소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드라이버(111)를 개재하여 광학 유닛(110)의 동작을 제어하고, 타이밍 생성기(121)를 통하여 촬상소자(12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collectively controls the components of the imaging system 100 by executing a program recorded in the EEPROM 151 (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For exampl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unit 110 through the driver 111 and issues a control comm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mage pickup device 120 through the timing generator 121. Create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EV 값(Exposure Value)을 산출하여 적정의 조리개 값과 셔터속도의 조합을 결정하는 자동 노광(Auto Exposure; AE) 동작과, 주 피사체를 감지하고 주 피사체에 대해 영상의 초점이 맞춰지도록 포커스 렌즈의 합초 위치를 결정하는 자동 초점(Auto Focus;AF)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외에,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DRAM(155)에 기입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압축/신장 가공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calculates an EV value to determine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aperture value and shutter speed, and performs an auto exposure (AE) operation to detect a main subject and detects the main subject. An auto focus (AF) operation for determining the focusing position of the focus lens is performed so that the image is focused.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may perform encoding and decoding of compression / extension processing on image data written in the DRAM 155.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내부 버스 라인을 통하여 동작 인식계(200)와 교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동작 인식계(200)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s1/s2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s1/s2 신호는 종래 셔터버튼의 반누름 조작 및 누름 조작에 대응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s1 신호에서는 포커스 렌즈를 피사체의 합초 위치로 이동시키는 AF 동작이 수행되는 등 촬영조건의 설정이 이루어지고, s2 신호에서는 촬상소자로의 노광과 영상 포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기록매체(158)에는 압축처리가 완료된 영상 데이터들이 정지영상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 형태로 보관된다. 상기 기록매체(158)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착탈되는 메모리 카드(Memory Card)로 마련될 수 있다.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200 through an internal bus line. More specifically,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generates the s1 / s2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from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200. The s1 / s2 signal corresponds to a half-pressing operation and a pressing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shutter button. More specifically, the s1 / s2 signal is used to set shooting conditions such as an AF operation for moving the focus lens to a focus position of a subject. In the s2 signal, exposure to the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capture are performed. On the other hand, the recording medium 158 stores the compressed image data in the form of a still image file or a moving image file. The recording medium 158 may be provided as a memory card detachable through an interface.

한편, 상기 동작인식계(200)는 사용자의 동작신호를 영상 분석하기 위한 다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광학 렌즈들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촬상면에 결상시키기 위한 광학 유닛(210)과, 상기 광학 유닛(210)으로부터 유입된 사용자의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촬상소자(220), 촬상소자(220)의 출력신호를 양자화된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 프론트엔드(Analog Front End;AFE) 회로(230), 디지털 영상신호로부터 신체 일부가 찍혀 있는 신체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체영역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상에서 취해진 신체동작을 인식하여 촬영작업의 개시를 지령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50)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200 includes a plurality of components for image analysis of the user's motion signal, more specifically, the optical unit for imaging the user's image on the image pickup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lenses ( 210, an image pickup device 220 for converting a user's image introduced from the optical unit 210 into an electric video signal, and an analog signal for converting an output signal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220 into a quantized digital video signal. Analog Front End (AFE) circuit 230 detects a body region on which a body part is taken from a digital image signal, analyzes an image of the detected body region, recognizes a body motion taken on the image, and starts a photographing operation. It includes a digital signal processor 250 for commanding.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광학 유닛(210)은 주밍(zooming)이나 초점 맞춤을 위한 줌 렌즈와 포커스 렌즈, 셔터 기구와 조리개 기구, 그리고, 이들의 구동기구로서 액츄에이팅 모터와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ptical unit 210 includes a zoom lens and a focus lens for zooming or focusing, a shutter mechanism and an aperture mechanism, and an actuating motor and a driver as their driving mechanisms. can do.

상기 촬상소자(220)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광학 유닛(210)을 경유하여 입사된 사용자의 영상을 전기적인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촬상소자(220)는 주기적인 시간간격을 두고 피사체 영상에 대한 노광 및 영상 포착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타이밍 생성기(221;Timing Generator;TG)의 출력신호에 동기되어 영상 포착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회로(230)는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회로, AGC(Auto Gain Control) 회로, 그리고 ADC(Analog Digital Conversion)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유 닛(210), 촬상소자(220), 그리고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회로(230) 등은 사용자의 영상을 입력으로 하여, 디지털화된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이 모여서 함께 동작인식계(200)의 촬상부를 구성하게 된다. The imaging device 220 may be configured as a Charged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image sensor, and converts an image of a user incident through the optical unit 210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 The image pickup device 220 performs exposure and image capturing on a subject image at periodic time intervals. For example, an image captur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synchronization with an output signal of a timing generator TG. Can be. The analog front end circuit 230 may include a correlated double sampling (CDS) circuit, an auto gain control (AGC) circuit, and an analog digital conversion (ADC) circuit. The optical unit 210, the image pickup device 220, and the analog front end circuit 230 are used to output a digitized image signal by inputting a user's image, and they are gathered together to recognize an operation system 200. ) An imaging unit.

한편, 동작인식계(200)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250)는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회로(230)를 통하여 양자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입수하여 영상분석을 수행한다. 즉,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250)는 입력된 이미지 내로부터 신체 일부가 찍혀 있는 신체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체영역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상에서 취해진 신체동작을 인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250)는 손을 좌우로 흔드는 동작을 포착하여, s1/s2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또는 손가락을 이용한 계수 동작을 포착하여, 1~5까지의 계수 가능한 숫자 중에서, 예를 들어, 계수 값 1을 나타내도록 하나의 손가락을 핀 영상을 포착하는 것에 따라 s1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계수 값 2를 나타내도록 두 개의 손가락을 함께 핀 영상을 포착하는 것에 따라 s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디지털 신호 처리기(250)의 동작에 관하여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50 of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200 obtains the quantized digital image signal through the analog front end circuit 230 and performs image analysis. That is,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50 detects a body region in which a body part is taken from the input image, and analyzes the image of the detected body region to recognize a body motion taken on the image. For exampl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50 may capture an operation of shaking a hand from side to side and output an s1 / s2 signal, or may capture a counting operation using a finger and count the numbers from 1 to 5 Among them, for example, one finger can output the s1 signal as the pin image is captured to show the coefficient value 1, and two fingers can be pinned together to show the coefficient value 2 as s2 Can output a signal. More specific operation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250)는 각자 고유한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위해 모듈화된 신체영역 추출부(251), 동작인식부(252), 그리고 비교판단부(253)를 포함한다. 상기 신체영역 추출부(251)는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회로(230)를 통하여 양자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해 신체영역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신체영역 산출부(251)는 피부색(skin color)에 관한 통계적인 데이터와 촬영이미지상의 색도 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신체영역에 속하는 픽셀들을 결정하게 된다. 통계적인 데이터로부터 신체의 피부색이 갖는 적색(R)과 녹색(G)의 상대적인 비율(R/G)은 수학식 1의 관계를 만족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50 includes a body region extraction unit 251, an operation recognition unit 252, and a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253, each modularized to perform a unique signal processing algorithm. The body region extractor 251 applies an algorithm for detecting a body region with respect to the quantized digital image signal through the analog front end circuit 230. Here, the body region calculator 251 compares statistical data about skin color with chromaticity signals on the captured image to determine pixels belonging to the body region. It is known from the statistical data that the relative ratio (R / G) of red (R) and green (G) of the skin color of the body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the equation (1).

1(1.05) ≤ R/G ≤ 4 1 (1.05) ≤ R / G ≤ 4

상기 신체영역 추출부(251)는 이미지상의 각 픽셀에서 취득된 R,G,B 색도 값으로부터 R/G 값을 산출하여 상기 수학식 1의 상한 및 하한을 적용하여 해당되는 픽셀들이 모여있는 영역을 신체영역으로 판단하게 된다. The body region extraction unit 251 calculates an R / G value from the R, G, and B chromaticity values acquired at each pixel on the image, and applies an upper limit and a lower limit of Equation 1 to determine an area in which corresponding pixels are collected. Judging by the body area.

상기 동작인식부(252)는 검출된 신체영역에 대해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게 된다. 상기 동작인식부(252)는 신체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 픽셀들의 기하학적인 분포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상에서 취해진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동작인식부(252)는 이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신체영역의 중심위치(Xavg,Yavg)를 산출하게 된다. The motion recognition unit 252 applies an algorithm for recognizing a user's motion with respect to the detected body region. The motion recognition unit 252 recognizes the user's motion taken on the captured image from the geometric distribution of the pixels determined to belong to the body region. More specifically, first, the motion recognition unit 252 calculates the center positions Xavg and Yavg of the body region by using Equation 2 below.

Figure 112008013381749-PAT00001
Figure 112008013381749-PAT00001

Figure 112008013381749-PAT00002
Figure 112008013381749-PAT00002

여기서, Xi와 Yi는 각기 i 번째 픽셀의 X,Y 축 좌표를 의미하고, K는 신체영역에 속하는 전체 픽셀의 숫자를 나타낸다. Here, Xi and Yi denote X and Y axis coordinates of the i th pixel, respectively, and K denotes the total number of pixels belonging to the body region.

다음에, 동작인식부(252)는 중심위치(Xavg,Yavg)로부터 신체영역의 가장 먼 위치까지의 최장거리를 산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최장거리는 중심위치(Xavg,Yavg)로부터 가장 긴 손가락의 끝단까지 거리가 된다. 예를 들어, 중심위치(Xavg,Yavg)를 원심으로 하고, 산출된 최장거리의 70%를 반경으로 하는 가상의 서클 라인을 설정하면, 상기 서클 라인은 펴져 있는 손가락들을 모두 경유하는 환형의 모습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클 라인을 따르는 1차원 데이터 어레이를 검토하여 휘도 분포의 변화를 계수함으로써, 하나 또는 둘 아니면 그 이상의 손가락 마디가 펴져 있는지에 대해 판단하고, 손가락의 계수 값(1 또는 2, 아니면 그 이외의 어떤 숫자)을 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 Next, the motion recognition unit 252 calculates the longest distance from the center positions Xavg and Yavg to the furthest position of the body region. In general, the longest distance i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sition (Xavg, Yavg) to the tip of the longest finger. For example, if the center position (Xavg, Yavg) is centrifuged, and a virtual circle line having a radius of 70% of the calculated longest distance is set, the circle line has an annular shape passing through all of the extended fingers. Get drunk. Therefore, by examining the one-dimensional data array along the circle line and counting the change in luminance distribu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ne or two or more finger nodes are unfolded, and the count value of the finger (1 or 2, or else) is determined. Any number of) can be output as data.

상기 비교판단부(253)는 동작인식부(252)가 인식한 동작과 사전에 s1/s2 동작으로 교시된 지정동작을 비교 분석하여, 그 일치 여부에 따라 s1/s2 신호를 생성하여 촬상계로 전달하게 된다. 즉, 촬영 이미지상에서 손가락의 계수 값과 s1 동작으로 사전에 지정된 계수 값(ex. 1)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비교판단부(253)는 s1 신호를 생성하여 서로 교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촬상계(100, 보다 구체적으로 촬상계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촬영 이미지상에서 손가락의 계수 값과 s2 동작으로 사전에 지정된 계수 값이 상호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비교판단부(253)는 s2 신호를 생성하여 촬상계(100)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각기 s1/s2 신호를 수신한 촬상계(100)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이에 대응하는 s1/s2 신호를 촬상계(100)의 각 구성요소로 출력함으로써, AF(Auto Focus) 동작 또는 AE(Auto Exposure) 동작 등의 촬영준비를 지시하거나, 또는 최종적인 피사체의 영상 포착을 지시하게 된다.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253 compares and analyzes the operation recognized by the operation recognition unit 252 with the designated operation previously taught as the s1 / s2 operation, and generates and transmits the s1 / s2 signal to the im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match. Done.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unt value of the finger and the predetermined count value (ex. 1) are matched with each other on the photographed image and are determined to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253 generates the s1 signal and connects with each other.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imaging system 100 (more specifically,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of the imaging system).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efficient value of the finger and the predetermined coefficient value are matched with each other by the s2 operation on the photographed image,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253 generates the s2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imaging system 100. The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of the imaging system 100 that receives the s1 / s2 signal outputs the corresponding s1 / s2 signal to each component of the imaging system 100, thereby autofocusing (AF) operation. Alternatively, the camera may instruct to prepare for shooting such as an AE (Auto Exposure) operation or to capture an image of a final subject.

도 2에는 본 발명의 비접촉식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의 배면 측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촬상장치의 배면에는 대략 장방형으로 LCD 패널(1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LCD 패널(180) 주변과 케이스(190) 상단에는 다수의 키(key) 및 레버(level) 등의 입력기구(input mechanism)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140)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140)는 일반 촬영모드와 비접촉 촬영모드 간의 모드 전환 등에 관한 모드 설정 키(141), 촬영 동작과 관련하여 광학 줌-망원 줌 버튼(1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명령을 생성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촬상장치의 배면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포착하기 위한 동작인식계(200)의 일부를 구성하는 광학 렌즈(2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광학 렌즈(215)를 통하여, 예를 들어, 손을 좌우로 흔드는 동작이나 손가락을 이용한 계수동작을 취한 영상이 유입되고, 사전에 입력된 지정동작과의 비교를 통하여 사용자의 동작신호를 판단하게 된다. Fig. 2 shows a back side structure of the imaging device capable of non-contact imaging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LCD panel 18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on the rear surface of the image pickup device, and a plurality of keys and levers are formed around the LCD panel 180 and on the top of the case 190. A user input unit 140 including input mechanisms is provided.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140 may include a mode setting key 141 related to mode switching between a normal shooting mode and a non-contact shooting mode, an optical zoom telephoto zoom button 142, and the like in relation to a shooting operation. . The user input unit 140 generates a predetermined comman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transmits the predetermined command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In addition, an optical lens 215 constituting a part of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200 for capturing a user's motion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maging device. Through this optical lens 215, for example, an image of a hand shaking left or right or a counting operation using a finger is introduced, and the user's motion signal can be judged by comparison with a previously inputted designated motion. do.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촬상장치는 피사체의 촬영을 위한 촬상계(100)와 사용자의 지정동작을 인식하여 촬영개시를 지령하기 위한 동작인식계(200)를 구비한다. 다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계(100)와 동작인식계(200)에 대해 각기 전용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가 별개로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촬상계(100)와 동작인식계(200)가 하나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350)를 공유하며, 공유된 디지털 신호 처리기(350)는 촬상계(100)를 지원하는 영상처리 알고리즘과 동작인식계(200)를 지원하는 영상분석 알고리즘을 함께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50)는 제1 신호 채널(ch11)을 통하여 촬상계(100)의 다른 구성과 연결되며, 제1 신호 채널(ch11)을 경유하여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350)는 제2 신호 채널(ch12)을 통하여 동작인식계(200)의 다른 구성과 연결되며, 제2 신호 채널(ch12)을 경유하여 수신된 이미지에 대해 영상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지정된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이미지로부터 s1/s2 동작이 인식됨에 따라 대응되는 촬영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3,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imaging device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show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maging apparatus includes an imaging system 100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d an operation recognition system 200 for instructing a photographing start by recognizing a user's designated operation.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edicated digital signal processor is not provided separately for the imaging system 100 and the operation recognition system 200, but the imaging system 100 and the operation recognition system 200 are one digital. The signal processor 350 is shared, and the shared digital signal processor 350 may execute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supporting the imaging system 100 and an image analysis algorithm supporting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200 together.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50 is connected to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imaging system 100 through the first signal channel ch11 and may receive an image signal of the subject via the first signal channel ch11.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50 is connected to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recognition system 200 through the second signal channel ch12, and an image analysis algorithm for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second signal channel ch12. By applying this, the user's designated action can be recognized. As the s1 / s2 operation is recognized from the input image, the corresponding photographing operation is performed.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도시된 촬상장치도 피사체의 촬영을 위한 촬상계(100)와 사용자의 지정동작을 인식하여 촬영개시를 지령하기 위한 동작인식계(200)를 포함한다. 상기 촬상계(100)와 동작인식계(200)에 있어서, 피사체를 향하는 광학 유닛(110)과 사용자를 향하는 광학 유닛(200)은 서로 배향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각자 개별적으로 마련되지만, 촬상소자(420)로부터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회로(430)와 디지털 신호 처리기(450)까지의 전반적인 구성은 촬상계(100)와 동작인식계(200)에서 모두 공유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 형태와 차이가 있다. 상기 촬상소자(420)는 제1 광 채널(ch21)을 통하여 촬상계(100)의 광학 유닛(110)으로부터 피사체의 영상을 입력받고, 제2 광 채널(ch22)을 통하여 동작인식계(200)의 광학 유닛(210)으로부터 사용자의 동작영상을 입력받게 된다. 이때, 촬상소자(420)로의 영상유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광 채널(ch21)/제2 광 채널(ch22)로 스위칭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촬상소자(420)로부터 그 이후의 영상처리가 피사체 영상을 대상으로 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가 될 것인지 또는 사용자의 동작 영상을 대상으로 하는 영상분석 프로세스가 될 것인지 결정된다. 4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contactless imaging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strated imaging apparatus also includes an imaging system 100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d an operation recognition system 200 for instructing a photographing start by recognizing a user's designated operation. In the imaging system 100 and the operation recognition system 200, the optical unit 110 facing the subject and the optical unit 200 facing the user are provided separately because they differ in orientation from each other. The overall configuration from the 420 to the analog front end circuit 430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450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it is shared by both the imaging system 100 and the operation recognition system 200. The imaging device 420 receives an image of a subject from the optical unit 110 of the imaging system 100 through the first optical channel ch21, and recognizes the motion 200 through the second optical channel ch22. The operation unit of the user is received from the optical unit 210 of the. At this time, the image inflow to the image pickup device 420 may be switched to the first optical channel ch21 / the second optical channel ch22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thus image processing thereafter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420. Is determined to be an image processing process for the subject image or an image analysis process for the operation image of the user.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비접촉식 촬영방법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단계들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촬상장치에 구동전원이 인가되면 초기화를 수행하고(S10), 사용자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모드 설정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비접촉 촬영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11). 비접촉 촬영 모드에서는 동작인식계(200)의 전원이 ON 됨과 함께(S12), 촬상계(100)와의 데이터 교신을 위한 초기통신 설정이 이루어지며(S13), 이후 동작인식계(200)-촬상계(100) 사이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를 통한 s1/s2 신호의 교신이 수행된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ies of steps performed in the non-contact imag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when driving power is applied to the imaging device, initialization is performed (S10), and the contactless photographing mod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signal regarding the mode setting input from the user manipulation unit (S11). In the non-contact photographing mode, the power of the operation recognition system 200 is turned on (S12), and initial communication settings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imaging system 100 are made (S13), and then the operation recognition system 200-the imaging system. Communication between s1 / s2 signals is performed between the digital signals processor 100.

비접촉 촬영 모드에서, 상기 동작인식계(200, 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250))는 사용자의 동작을 포착한 이미지 내로부터 신체 일부가 찍혀 있는 신체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체영역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상에서 취해진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며, 인식된 동작과 지정된 동작을 상호 비교하게 된다(S14). 한편으로, 상기 촬상계(100, 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현재 피사체의 영상을 라이브 뷰(Live view)로 표시하는 드래프트 모드(Draft Mode)를 수행하며, 촬영개시를 대기하게 된다(S15). In the non-contact photographing mode, the gesture recognition system 200 (more specifically,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50) detects a body region in which a body part is taken from an image of capturing a user's motion, and detects an image of the detected body region. Recognizing the user's motion taken on the image by analyzing the, it is compared with the recognized motion and the specified motion (S14). On the other hand, the imaging system 100 (more specifically,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performs a draft mode for displaying an image of a current subject in a live view, and waits for a photographing start. (S15).

상기 동작인식계(200)는 현재 이미지상에서 취해진 사용자의 동작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사전에 지정된 s1/s2 동작(좌우로 손을 흔드는 동작 또는 손가락을 이용한 계수동작)이 감지되는 순간을 포착하고, 촬상계에 대해 s1/s2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S16). 그러면, 촬상계(100)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입력된 s1/s2 신호에 반응하여, AF(Auto Focus) 동작 또는 AE(Auto Exposure) 동작 등의 촬영준비를 지시하거나, 또는 최종적인 피사체의 영상 포착을 수행하며(S17), 피사체의 영상 이미지를 기록 매체에 저장해두게 된다(S18).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200 captures a moment when a pre-specified s1 / s2 motion (movement of a hand shakes left or right or a counting motion using a finger) is detected according to a result of analyzing a user's motion taken on a current image, The s1 / s2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maging system (S16). Then, in response to the input s1 / s2 signal,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of the imaging system 100 instructs preparation for shooting such as an auto focus (AF) operation or an auto exposure (AE) operation, or the final subject. Image capturing is performed (S17), and the video image of the subject is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S18).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식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the imaging device which can perform non-contact imaging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촬상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 측 외관을 보여준다. 2 is an example of an image pickup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shows a rear side appearance of a digital camera.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식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3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non-contact imag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식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4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non-contact imaging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비접촉식 촬영방법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구동 단계들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5 is a flow chart showing a series of driving steps performed in a non-contact imag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촬상계 110 : 촬상계의 광학 유닛100: imaging system 110: optical unit of the imaging system

120 : 촬상계의 촬상소자 121 : 촬상계의 타이밍 생성기120: imaging device of the imaging system 121: timing generator of the imaging system

130 : 촬상계의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회로130: analog front end circuit of the imaging system

150 : 촬상계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 digital signal processor of the imaging system

151 : 촬상계의 EEPROM 155 : 촬상계의 RAM(SDRAM)151: EEPROM of imaging system 155: RAM (SDRAM) of imaging system

158 : 기록매체 200 : 동작인식계158: recording medium 200: motion recognition system

210 : 동작인식계의 광학 유닛 220 : 동작인식계의 촬상소자210: optical unit of motion recognition system 220: imaging device of motion recognition system

221 : 동작인식계의 타이밍 생성기221: timing generator of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230 : 동작인식계의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회로230: Analog front end circuit of motion recognition system

250 : 동작인식계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250: digital signal processor of motion recognition system

251 : 신체영역 추출부 252 : 동작인식부251: Body region extraction unit 252: Motion recognition unit

253 : 비교판단부 253: comparison judgment

350 : 촬상계/동작인식계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350: Digital signal processor of imaging system / motion recognition system

420 : 촬상계/동작인식계의 촬상소자420: imaging device of the imaging system / operation recognition system

430 : 촬상계/동작인식계의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회로430: analog front end circuit of the imaging system / motion recognition system

Claims (8)

촬영개시 신호로 의도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고, 셔터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인식계; 및A motion recognition system for recognizing a user's motion intended as a shooting start signal and outputting a shutter signal; And 상기 동작인식계와 교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셔터신호에 반응하여 피사체의 촬영작업을 개시하는 촬상계;를 포함하는 촬상장치로서, And an imaging system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recognition system and configured to start photographing a subject in response to the shutter signal. 상기 동작인식계는,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신체 일부에 관한 영상을 디지털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촬상부; 및 An imaging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of a body part as a digital image signal; And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의 색도 분포에 기반하여 신체영역을 추출하는 신체영역 추출부; A body region extraction unit which extracts a body region based on chromaticity distribution of the digital image signal; 추출된 신체영역의 이미지상에서 취해진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인식부; 및A mo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user's motion taken on the extracted body region image; And 상기 인식된 동작과 지정동작을 상호 비교하여 상기 셔터신호를 생성하는 비교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And a comparison determiner configured to generate the shutter signal by comparing the recognized operation with a designated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작인식계는 계수(counting) 동작을 취한 손가락 영상으로부터 길이장단에 따라 펴진 손가락의 개수를 인식하고, 지정동작으로 교시된 계수 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And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recognizes the number of fingers stretched along the length and length from the finger image on which the count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compares the number of the fingers with the count value taught in the designated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작인식계는 손 부분이 찍힌 이미지상에서 손 중심으로부터 소정 반경의 서클 라인을 취하고, 상기 서클 라인과 교차하는 손가락의 개수를 상기 펴진 손가락의 개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And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takes a circle line of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hand on the image of the hand portion and recognizes the number of fingers crossing the circle line as the number of the extended finger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셔터신호는 촬영조건의 설정을 지령하는 s1 신호와 피사체의 영상포착을 지령하는 s2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And the shutter signal includes an s1 signal for commanding setting of shooting conditions and an s2 signal for commanding image capture of a subject.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동작인식계에는 상기 s1/s2 신호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지정동작이 입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And a different designatio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1 / s2 signal is input to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촬상계의 영상처리 알고리즘과 상기 동작인식계의 영상분석 알고리즘은 공유된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And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of the imaging system and an image analysis algorithm of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are executed in a shared digital signal processo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촬상계와 동작인식계는 각기 피사체를 향하는 광학 유닛과 사용자 향하 는 광학 유닛을 별개로 갖고, The imaging system and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each have an optical unit facing the subject and an optical unit facing the user separately, 상기 각 광학 유닛으로부터 유입된 영상의 처리 및 분석은 공유된 촬상소자와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And the processing and analysis of the images introduced from each of the optical units is performed by a shared image pickup device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비접촉 촬영 모드로 진입하는 모드전환 단계;A mode switching step of entering a non-contact photographing mode according to a user input signal; 상기 비접촉 촬영 모드로의 진입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을 포착한 이미지 내로부터 신체 일부가 찍혀 있는 신체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체영역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상에서 취해진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며, 인식된 동작과 지정된 동작을 상호 비교하여 촬영개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인식단계;As the user enters the non-contact photographing mode, a body region in which a body part is taken is detected from an image capturing a user's motion, and an image of the detected body region is analyzed to recognize a user's motion taken on the image. An operation recognition step of outputting a shooting start signal by comparing an operation with a specified operation; 상기 비접촉 촬영 모드로의 진입에 따라 피사체의 영상을 라이브 뷰로 표시하며 촬영을 대기하는 드래프트 단계; 및A draft step of waiting for photographing while displaying an image of a subject in live view as the user enters the non-contact photographing mode; And 상기 촬영개시 신호에 따라 현재의 피사체 영상을 포착하는 촬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촬영방법. And a photographing step of capturing a current subject image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start signal.
KR1020080016369A 2008-02-22 2008-02-22 Image capturing apparatus enabling non-contact shutter-operation and image capturing method KR1014363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369A KR101436322B1 (en) 2008-02-22 2008-02-22 Image capturing apparatus enabling non-contact shutter-operation and image cap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369A KR101436322B1 (en) 2008-02-22 2008-02-22 Image capturing apparatus enabling non-contact shutter-operation and image captur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851A true KR20090090851A (en) 2009-08-26
KR101436322B1 KR101436322B1 (en) 2014-10-30

Family

ID=4120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369A KR101436322B1 (en) 2008-02-22 2008-02-22 Image capturing apparatus enabling non-contact shutter-operation and image cap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32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313A (en) * 2017-03-31 2018-10-1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hand motion track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5177A (en) 2019-09-01 2022-04-19 Lg电子株式会社 Body measur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073514A1 (en) * 2022-08-29 2024-0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user intent to start a video record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6819A (en) 2003-05-28 2004-12-16 Sharp Corp Remote control apparatus
EP1704710A4 (en) 2003-12-24 2007-09-19 Walker Digit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apturing and managing images
KR20070016627A (en) * 2005-08-04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Photographing method for digital photography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313A (en) * 2017-03-31 2018-10-1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hand motion trac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322B1 (en)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676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ace recognition function
JP595433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83956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lurring image background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411910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22661B1 (en) Vision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JP5293206B2 (en) Image search apparatus, image search method and program
US20120275648A1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and program
US20080316325A1 (en) Camera having an autofocusing system
US20070237513A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JP2009010776A (en) Imaging device, photograph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30222635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64896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15309A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execute the method
US942016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123801A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1613529B1 (en) camera module
JP2011223294A (en) Imaging apparatus
US8571404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execute the method
JP5073602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KR101436322B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enabling non-contact shutter-operation and image capturing method
JP7469329B2 (en) How to create the video
JP2010028605A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9077066A (en) Method of capturing image of imag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using the method
JP2011139123A (en) Image processor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JP2005117531A (en) Digital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