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348A - 수거 시스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수거 시스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348A
KR20090088348A KR1020097001832A KR20097001832A KR20090088348A KR 20090088348 A KR20090088348 A KR 20090088348A KR 1020097001832 A KR1020097001832 A KR 1020097001832A KR 20097001832 A KR20097001832 A KR 20097001832A KR 20090088348 A KR20090088348 A KR 20090088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container sleeve
sleeve
balloon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란 히르조비츠
Original Assignee
안지오슬라이드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지오슬라이드 엘티디. filed Critical 안지오슬라이드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90088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31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 A61B17/22032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having inflatable gripp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87Bag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19Eversible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거 시스에 의해 신체 장기 또는 통로로부터 물질 수거용 카테터에 의해 수거된 물질을 안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수거 시스는, 원위단부에서,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를 가지는 연신된 튜브 및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와 상기 연신된 튜브를 따라 통과하는 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루멘은 그 안을 통과하는 물질 수거용 카테터의 통로로 제공된다.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는 횡단영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접혀진 상태로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거 시스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COLLECTING SHEATH AND METHOD OF USE THEREOF}
본 발명은 신체 장기 또는 체내 통로로부터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신체 장기 또는 체내 통로로부터 모여진 수거된 물질을 가지는 물질 수거용 카테터(matter collecting catheter)를 안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체 장기 또는 통로(예컨대 혈관)로부터 물질(예컨대 잔해)을 수거할 수 있는 풍선 카테터들은 둘 다 발명의 명칭이 "풍선 카테터(balloon catheter)"인 국제특허출원 WO 2007/004221호와 WO 2007/042935호 및 2006년 6월 30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풍선 카테터"인 미국특허출원 11/477,812호에서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은 참조문헌들로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명확성을 위하여, 신체 장기 또는 체내 통로(12)로부터 물질(15)을 수거하도록 설계된 풍선 카테터(10)의 가능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동은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기술될 것이다(상기 풍선 카테터는 물질 수거용 카테터(matter collecting catheter)로도 언급됨). 풍선 카테터(10)는 그 내측을 통과하는 내부 튜브(19)를 가진 외부 튜브(18)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의 원위단부는 상기 외부 튜브(18)의 원위 개구를 통해 외부방향으로 돌출된다. 풍선(5)은 튜브(18, 19)들 위로 부속물(7, 6)에 각각 밀착되어 끼워 맞춤되도록 형성된 테이퍼링된 단부(tapering end)들을 가진 팽창가능한 슬리브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 튜브 구조는 적절한 팽창 매질(inflation media)과 함께 팽창 풍선(5)에 사용될 수 있는 튜브(18, 19)들 사이에서 환형의 팽창 루멘(16)을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선(5)은 내부 튜브(19)를 근위부로(proximally) 끌어당김으로써 그리고 그 후에 풍선(5)으로부터 팽창 매질의 부분들을 배출함으로써 내부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혀진 풍선 구조에서 공동(cavity, 14)을 형성하여, 유리하게, 신체 장기 또는 체내 통로(12)(예컨대 혈관)로부터 물질(15)(예컨대 잔해)을 수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풍선(5) 내에서 물질(15)을 수거하고 난 뒤 내부방향으로 접혀진 상태에 있는 풍선(5)의 수축된 직경은 처치되는 환자의 체내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는 안내 카테터(guiding catheter, 30)(도 3에 도시됨)의 내부 루멘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풍선(5)이 안내 카테터 내의 근위부로 끌어당겨지면 풍선은 수축될 것이며 수거된 몇몇 물질(15)은 공동(14)으로부터 신체 장기 또는 체내 통로(12)로 다시 배출될 수 있다.
수거 장치(collection device)는 WO 05/112783호에 기술되는데, 여기서 연장가능한 클램프에 연결된 배리어 박막(barrier membrane)은 샘플 조직(tissue sample)을 수거하도록 사용된다. 조직을 수거하고 난 뒤, 상기 클램프는 수거 장치 내로 철회되어 상기 클램프에 연결된 배리어 박막은 샘플 조직을 포함하는 파우치 형상으로 변경된다.
조절가능한 모듈식 혈액 필터 장치(modular adjustable blood filter device)는 US 6,152,947호에 기술된다. 이 필터 장치는 수축된 상태와 확장된 상태 사이에서 조절가능한 필터 프레임과 샤프트, 프레임 크기조절 메커니즘 및 그에 결합된 필터 메시를 포함한다. 삽입 후에 프레임 크기조절 메커니즘은 필터 프레임의 직경을 혈관의 내부 루멘에 일치되도록 조절한다. 조절가능한 프레임은 색전증 재료(embolic material)를 포획하기 위해 수축된 상태로 밀폐될 수 있으며 조절가능한 필터는 삽입 장치 내로 철회(withdrawn)될 수 있다.
또 다른 색전 캡쳐링 시스템(emboli capturing system)이 US 2005/0101986호에 기술되는데, 여기서 연장가능한 색전 캡쳐링 장치는 연신 부재의 원위단부에 근접하게 장착되며 그리고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와 반경방향으로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색전 캡쳐링 장치는 근위부에 개구 마우스(opening mouth)를 가진 바스켓을 형성한다. 수용 단부를 가진 전달 장치(delivery device)는 상기 색전 캡쳐링 장치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반경방향으로 철회된 위치에서 적어도 색전 캡쳐링 장치의 마우스를 유지한다.
WO 02/055146호에 기술된 덩어리 제거 장치(clot removal device)는 안내 카테터의 원위단부로부터 전진될 수 있는 반경방향으로 플레어되고(radially flared) 분리가능한(splayable) 원위단부를 가지는 근위 장애 물질 보유 부재(proximal obstructive matter retaining member)를 포함하며 덩어리는 상기 근위 장애 물질 보유 부재의 플레어된 원위단부와 원위 장애 물질 수용 부분(distal obstructive matter receiving portion) 사이에서 캡쳐된다(captured).
US 2002/0121472호에서, 혈관내 필터(intravascular filter)는 의학적 처치 동안 제거된 잔해를 수거하도록 사용되는데, 작동가능한 확장기 끝단(actuatable dilator tip)은 필터를 원위 시스(distal sheath)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수하도록 사용된다. US 2002/0082639호는 가이드와이어(guidewire)로부터 외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을 가진 연장가능한 부재 및 상기 연장가능한 부재에 결합된 색전 캡쳐링 장치를 포함하는 색전 캡쳐링 시스템을 기술한다.
신체 장기 또는 체내 통로로부터 모여진 수거된 물질을 가지는 물질 수거용 카테터를 안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제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 장기 또는 체내 통로로부터 수거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체 장기 또는 체내 통로로부터 물질 수거용 카테터에 의해 수거된 물질을 보유하고 그리고 상기 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다른 목적들과 이점들은 하기 설명에서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신체 장기 또는 통로로부터 물질 수거용 카테터(matter collecting catheter)에 의해 수거된 물질을 안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에 따르면, 신체 장기 또는 통로로부터 물질 수거용 카테터에 의해 수거된 물질은 수거 시스(collecting sheath)에 의해 처치되는 환자의 체내로부터 안전하게 제거될 수 있는데, 상기 수거 시스는, 원위단부에서,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expandable container sleeve)를 가지는 연신된 튜브 및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와 상기 연신된 튜브를 따라 통과하는 루멘을 포함하며, 상기 루멘은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와 상기 연신된 튜브를 통해 물질 수거용 카테터의 통로로 제공된다.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는 횡단영역을 감소하기 위하여 접혀진 상태로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될 수 있다. 수거 시스를 삽입하기 전 또는 후에 물질 수거용 카테터가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될 수 있거나 혹은 대안으로 삽입 동안 루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수거 시스는 가이드와이어 위로, 이전에 삽입된 물질 수거용 카테터 위로 혹은 안내 카테터를 통해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될 수 있다.
물질 수거용 카테터에 의해 신체 장기 또는 통로로부터 물질이 수거된 후에, 상기 물질 수거용 카테터는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 내의 원위 개구를 통해 수거 시스의 루멘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접혀지지 않은 상태로 개방된다. 그 후, 루멘 내에 포함된 물질 수거용 카테터와 수거 시스는 근위부로 철회되고(retracted proximally) 처치되는 환자의 체내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체 장기 또는 통로로부터 물질 수거용 카테터에 의해 수거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원위단부에서,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를 가지는 연신된 튜브 및 상기 컨테이너 슬리브를 따라 통과하는 루멘을 포함하며, 상기 루멘은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와 상기 연신된 튜브를 통해 상기 물질 수거용 카테터의 통로로 제공되고,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는 접혀진 상태로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되며,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는 수거된 물질로 상기 물질 수거용 카테터의 원위부분을 원위단부 개구를 통해 루멘 내에 삽입함으로써 접혀지지 않은 상태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는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 슬리브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주름(corrugation)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름들은 요각 중첩 접힘부(reentrant overlapping fold)(접힘 링(folding ring), 환형벨로우식 접힘부(annularbellow fold))들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풍선 카테터 장치는 삽입된 풍선에 의해 신체 장기 또는 통로로부터 물질을 수거하도록 제공된다. 유리하게,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의 길이는 삽입된 상태에서 풍선 길이의 절반보다 약간 더 길다.
풍선 카테터는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가 부주의하게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컨테이너 슬리브가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의 원위변부를 체결하기 위한 슬리브 체결 수단(sleeve fastening mean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체결 수단은 풍선 카테터의 외측 표면 위로 밀착되어 끼워 맞춤된 좁다란 원위단부 부분과 접혀진 상태에 있을 때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의 원위변부를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형성된 널따란 근위단부 부분을 가지는 스커트(skir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는 탄성 재료(예를 들어 실크, 나일론, PET)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체 장기 또는 통로로부터 물질 수거용 카테터에 의해 수거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원위단부에서,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를 가지는 연신된 튜브 및 상기 컨테이너 슬리브를 통과하는 루멘을 포함하는 장치를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루멘은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와 상기 연신된 튜브를 통해 상기 물질 수거용 카테터의 통로로 제공되고,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는 접혀진 상태로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되며,
-수거된 물질을 가지는 상기 물질 수거용 카테터의 원위부분을 원위 개구를 거쳐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를 관통하는 루멘에 삽입하여 이에 따라 접혀지지 않은 상태로 상기 컨테이너 슬리브를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처치되는 환자의 체내로부터 루멘 내에 있는 물질 수거용 카테터와 상기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물질 수거용 카테터를 삽입하기 전 또는 후에 본 장치가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장치는 가이드와이어 위로, 물질 수거용 카테터 위로 혹은 안내 카테터를 통해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될 수 있다.
물질 수거용 카테터는 삽입된 풍선에 의해 신체 장기 또는 통로로부터 물질을 수거할 수 있는 풍선 카테터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풍선 카테터는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의 원위변부를 체결하기 위한 슬리브 체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의 상태는 상기 슬리브 체결 수단의 체결을 해제시킴으로써 접혀지지 않은 상태로 변경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례에 의해 예시되며, 이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요소들을 일관되게 나타낸다.
도 1은 신체 장기 또는 체내 통로로부터 물질을 수거하기에 적합한 풍선 카테터의 가능한 실행예를 도식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수거 시스 장치의 선호적인 실시예를 도식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3은 풍선 카테터와 수거 시스 장치를 안내 카테터를 통해 삽입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4는 풍선에 의해 물질을 수거한 뒤 풍선 카테터와 수거 시스 장치를 도식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5는 풍선 카테터를 수거 시스의 컨테이너 슬리브 내에 삽입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풍선 카테터와 수거 시스의 선호적인 실시예를 도식적으로 예시한 도면인데, 여기서 풍선 카테터의 외부 샤프트는 슬리브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신체 장기 또는 체내 통로로부터 수거된 물질(collected matter)을 안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거된 물질이 다양한 방법들로 수득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서는, 수거된 물질은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예시된 바와 같이 풍선 카테터 장치(balloon catheter device)의 원위부분을 내부방향으로 접음으로써 상기 풍선 카테터 장치의 삽입된 풍선 내에 형성된 공동(cavity)에 흡입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내부방향으로 접혀진 풍선을 압착하는 수축 시의 힘들을 견뎌내도록 설계되는데, 이 풍선 내에는 수거된 물질을 체내의 처치 부위(treatment site) 또는 그 외의 다른 부위에 다시 배출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좁은 안내 카테터(guiding catheter)를 통해 수거된 물질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물질 제거 장치(matter removing device)(본 명세서에서는 수거 시스(collecting sheath)로도 언급됨)는 풍선 카테터가 통과하도록 설계된 연신된 튜브(elongated tube) 및 상기 연신된 튜브의 원위단부 개구에 연결된 컨테이너 슬리브(container sleeve)를 포함한다. 풍선 카테터를 포함하는 수거 시 스는 컨테이너 슬리브가 감소된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접혀지는 상태에서 안내 카테터를 통해 처치되는 환자의 체내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치 부위에 도달된 뒤에, 풍선을 포함하는 풍선 카테터의 원위부분은 필요한 처치를 수행하고 그 안에 수득된 물질을 수거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슬리브의 원위 개구(distal opening)를 통해 외부방향으로 전진된다. 그 뒤 컨테이너 슬리브는 풍선 카테터의 원위부분을 근위부로(proximally) 철회함으로써 접혀지지 않은 상태로 개방될 수 있는데, 내부방향으로 접혀진 풍선은 그 안으로 가압되며 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접혀진 컨테이너 슬리브의 벽이 접혀지지 않은 상태로 개방되도록 한다.
대안으로, 풍선 카테터는, 필수 처치를 수행하고 상기 풍선 카테터로 물질을 수거하기 전 또는 후에, 우선 예를 들어 가이드와이어(guidewire) 위로 삽입되고 수거 시스는 상기 가이드와이어 위로 전진된다.
도 2는 신체 장기 또는 체내 통로로부터 수거된 물질을 제거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수거 시스(collecting sheath, 20)의 선호적인 실시예를 도식적으로 예시한다. 수거 시스(20)는 기다란 튜브(22)와 컨테이너 슬리브(24)를 포함하는데, 상기 기다란 튜브(22)의 내부 루멘(lumen)은 풍선 카테터(10) 위로 나사산가공된 직경으로 이루어지고(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됨), 상기 컨테이너 슬리브(24)는 처치 부위로부터 물질을 수거한 뒤에 풍선 카테터(10)를 수용하도록 그리고 처치되는 환자의 체내로부터 안내 카테터(30)를 통해 물질을 안전하게 제거하도록 형성된다. 컨테이너 슬리브(24)의 길이는 접혀진 상태(도 1에 도시된)에 있을 때 풍선(5)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어야 된다.
수거 시스(20)의 튜브(22)의 근위단부는 처치 절차 동안에 튜브로부터 유체(예컨대 혈액)들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또는 본 장치가 선택적인 플러싱 튜브(flushing tube, 23)를 통해 플러시될 때 그 안에 수득된 플러싱 유체들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사용되는 근위 실(seal, 21)을 포함한다. 상기 선택적인 플러싱 튜브(23)는 튜브(22)에 연결되며 이로 인해 처치 전 또는 후에 적절한 유체(예를 들어 헤파린첨가 생리식염수)들에 의해 시스의 반복적인 플러싱이 가능하다.
도 3은 안내 카테터(30)를 통해 처치 부위(도시되지 않음) 내에 수거 시스(20)와 풍선 카테터(10)가 삽입되는 것을 도식적으로 예시한다. 풍선 카테터(10)가 상기 풍선 카테터의 루멘 내에 포함되는 반면, 수거 시스(20)는 안내 카테터(30)를 통해 처치 부위를 향해 전진될 수 있다. 대안으로, 수거 시스(20)는 풍선 카테터를 삽입함으로써 처치 부위 내로 삽입하기 위해 근위부에서 준비되도록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수거 시스는 처지 절차의 나중 단계에서 풍선 카테터(10) 위로 나사산가공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처치되는 환자의 체내로 삽입되는 동안에 컨테이너 슬리브(24)는 접혀진 상태에 있게 되어 안내 카테터(30)를 통해 용이하게 전진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풍선(5)은 수축된 상태에 있게 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슬리브(24)는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 슬리브(24)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주름(corrugation)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름들은 빨대로 마시는 형상(drinking straw configuration)이 되도록 요각 중첩 접힘부(reentrant overlapping fold)(접힘 링(folding ring), 환형벨로 우식 접힘부(annularbellow fold))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처치 부위에서 풍선을 팽창시킴으로써, 내부방향으로 접혀진 풍선(5)에 대해 내부 튜브(19)를 근위부로 끌어당김으로써 그리고 난 뒤, 수득된 흡입 효과로 인해 물질(15)이 모여지는 공동(14)을 형성하도록 풍선(5)으로부터 팽창 매질(inflation media)의 부분들을 배출시킴으로써, 잔해 또는 그 외의 다른 입자형 물질이 수거된다. 바람직하게, 풍선(5)은 음의 압력 조건들이 상기 풍선 안에 그리고 환형의 팽창 루멘(16) 내에 얻어지는 상태로 완전히 수축된다. 내부 튜브(19)의 루멘을 통해 나사산가공된 가이드와이어(11)는 처치되는 환자의 체내에서 풍선 카테터(10)를 조종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풍선(5)에 의해 처치 부위로부터 물질(15)이 수거되고 난 뒤 풍선 카테터(10)와 수거 시스(20)를 도식적으로 예시한다.
풍선(5)에 의해 물질(15)을 수거하고 난 뒤, 풍선(5)이 원위단부 개구(24a)를 통해 컨테이너 슬리브(24)의 내부 공동 내로 삽입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지지 않은 상태로 개방될 수 있을 때까지, 작동자는 풍선(5)과 수거 시스(20)를 서로 점진적으로 근접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뒤, 수거 시스(20)와 풍선 카테터(10)는 후방을 향해(근위부로) 안내 카테터(30) 내로 끌어당겨진다(이는 도시되지 않음). 실질적으로, 컨테이너 슬리브(24)와 풍선(5)은 안내 카테터(30) 내로 수축되며, 그 동안 수거된 물질(15)의 일부분은 공동(14)으로부터 컨테이너 슬리브(24) 내로 빠져나올 수 있다. 하지만, 배출된 물질의 상기 부분은 수거 시스(20)의 튜브(22)의 원위단부 근처의 컨테이너 슬리브(24) 내에 남아있게 된다. 그 뒤, 내측에 수거된 물질(15)과 풍선 카테터(10)를 포함하는 수거 시스(20)는 처치되는 환자의 체내로부터 안전하게 제거될 때까지 안내 카테터(30)를 통해 후방으로 끌어당겨진다.
수거 시스(20)의 메인 바디는 나일론 12 또는 페박스(pebax) 또는 이와 유사한 화합물과 같은 임의의 생채적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컨테이너 슬리브(24)는 수거 시스(20) 바디와 동일한 재료로 또는 비틀림(buckling)에 대해 상기 컨테이너 슬리브를 강화할 수 있는 첨가제(예컨대 유리섬유, 스테인레스 강 메시, 탄소섬유 등등)들을 포함하는 보다 복잡한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 수거 시스(20)의 표면들은 표면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제조될 수 있는 재료들로 처리될 수 있거나 또는 적절한 첨가제들이 추가될 수 있다. 몇몇 방사선비투과성 표식자(radio opaque marker)들이 처치절차 동안 식별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수거 시스(20)의 원위부분에 추가될 수 있다.
튜브(22)의 내측 직경은 대략 0.8mm 내지 1.5mm인데 이는 풍선 카테터(10)의 외측 직경에 상응해야 한다. 수거 시스(20)의 벽 두께는 0.05mm 내지 0.2mm 사이에서 가변될 수 있다. 수거 시스(20)의 길이는 대략 0.7m 내지 1.5m가 바람직한데, 이는 풍선 카테터(10)의 길이보다 약간 더 짧다.
컨테이너 슬리브(24)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2mm 내지 10mm 사이인데, 이는 접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풍선(5) 길이의 절반보다 더 길다. 컨테이너 슬리브(24)의 내측 직경은 팽창된 상태에서 풍선(5)의 외측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약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컨테이너 슬리브(24)의 벽 두께는 횡단면 프로파일을 감소 시키고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가능한 최소가 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5 마이크론 내지 50 마이크론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적인 실시예에서, 외부 튜브(18) 위로 장착된 슬리브 체결 수단(sleeve fastening means, 60)은 컨테이너 슬리브(24)의 원위변부를 체결하고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슬리브가 부주의하게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컨테이너 슬리브를 접혀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사용된다. 슬리브 체결 수단(60)은 외부 튜브(18)의 외측 표면 위로 밀착되어 끼워 맞춤되도록 설계된 좁다란 원위단부 부분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 있을 때 컨테이너 슬리브(24)의 원위변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널따란 근위단부 부분을 가진 스커트(skir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거 시스(20)와 풍선 카테터(10)를 처치 부위 내로 삽입한 뒤에, 예를 들어 슬리브 체결 수단(60)의 체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풍선 카테터를 수거 시스(20)에 대해 원위부로(distally) 전진시킴으로써 또는 대안으로 수거 시스(20)를 풍선 카테터(10)에 대해 근위부로(proximally) 철회시킴으로써, 풍선과 슬리브는 서로 이격되어 이동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선 카테터(10)가 원위부로 전진되고 난 뒤, 컨테이너 슬리브(24)는 접혀지지 않는 상태로 개방되기 시작할 수 있다. 유리하게, 컨테이너 슬리브(24)는 탄성 재료(예컨대 실크, 나일론, PET)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슬리브의 원위변부의 체결이 해제되고 난 뒤 상기 컨테이너 슬리브의 전체 길이는 접혀지지 않은 상태로 개방될 것이다(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체결 수단(60)은 폴리우레탄, 페박스(pebax) 또는 실리콘, 선호적으로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엘라스토머 타입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열 결합에 의해 튜브(18)의 외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슬리브 체결 수단(60)은 풍선 카테터(10)의 일체구성 부분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슬리브 체결 수단(60)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1mm 내지 3mm의 범위에, 선호적으로는 대략 2mm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리브 체결 수단의 근위단부 부분의 직경은 통상 1mm 내지 3mm의 범위에, 선호적으로는 대략 1.5mm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서, 물질 수거용 장치는 관상동맥(coronary arteries)에서 통상 발견될 수 있는 것과 같은 혈관내 병소(intravascular lesion)로부터 죽상동맥경화성 잔해(atherosclerotic debris)를 수거하도록 사용된다.
위에서 언급된 모든 변수들은 오직 실례에 의해서만 주어지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상이한 요구조건들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변수들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추가적으로, 상이한 튜브, 풍선, 슬리브 및 위에서 기술된 그 외의 다른 부재들은 상이한 형태(예컨대 평면도면에서 난형, 직사각형 등등과 같은 형태)들과 앞에서 기술한 실례들과는 다른 크기들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물론 앞의 설명은 오직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되어야 하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을 제한하려 해서는 안 된다. 당해 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고도 위에서 기술된 하나 이상의 기술을 이용하여 매우 다양한 방식들로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8)

  1. 신체 장기 또는 통로로부터 물질 수거용 카테터(matter collecting catheter)에 의해 수거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원위단부에서,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를 가지는 연신된 튜브 및 상기 컨테이너 슬리브를 통과하는 루멘을 포함하며, 상기 루멘은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와 상기 연신된 튜브를 통해 상기 물질 수거용 카테터의 통로로 제공되고,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는 접혀진 상태로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되며,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는 상기 물질 수거용 카테터의 원위부분을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 내에 삽입함으로써 접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는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 슬리브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주름(corrugation)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물질 수거용 카테터는 풍선 카테터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풍선 카테터 장치는 삽입된 풍선에 의해 신체 장기 또는 통로로부터 물질을 수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용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의 길이는 삽입된 상태에서 풍선 길이의 절반보다 약간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용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풍선 카테터는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의 원위변부를 체결하기 위한 슬리브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용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슬리브 체결 수단은 접혀진 상태에서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의 원위변부를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형성된 널따란 근위단부 부분과 좁다란 원위단부 부분을 가진 스커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용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는 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용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7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는 실크, 나일론, PET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재료들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용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안내 카테터(guiding catheter)는 처치되는 환자의 신체 내로/내로부터 상기 장치를 삽입/제거하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용 장치.
  11. 신체 장기 또는 통로로부터 물질 수거용 카테터에 의해 수거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원위단부에서,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를 가지는 연신된 튜브 및 상기 컨테이너 슬리브를 통과하는 루멘을 포함하는 장치를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루멘은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와 상기 연신된 튜브를 통해 상기 물질 수거용 카테터의 통로로 제공되고,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는 접혀진 상태로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되며,
    -상기 물질 수거용 카테터의 원위단부 부분을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에 삽입하여 이에 따라 접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를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처치되는 환자의 체내로부터 루멘 내에 있는 물질 수거용 카테터와 상기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용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물질 수거용 카테터를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하기 전에 상기 장치가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 용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물질 수거용 카테터를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한 후에 상기 장치가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용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가이드와이어 위로 혹은 물질 수거용 카테터 위로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용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안내 카테터를 통해 신체 장기 또는 통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용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물질 수거용 카테터는 풍선 카테터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용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풍선 카테터 장치는 삽입된 풍선에 의해 신체 장기 또는 통로로부터 물질을 수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용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풍선 카테터는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의 원위변부를 체결하기 위한 슬리브 체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가능한 컨테이너 슬리브의 상태는 상기 슬리브 체결 수단의 체결을 해제시킴으로써 접혀지지 않은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제거용 방법.
KR1020097001832A 2006-07-06 2007-07-05 수거 시스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KR200900883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852806P 2006-07-06 2006-07-06
US60/818,528 2006-07-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348A true KR20090088348A (ko) 2009-08-19

Family

ID=3889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832A KR20090088348A (ko) 2006-07-06 2007-07-05 수거 시스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022970A1 (ko)
EP (1) EP2040786A4 (ko)
JP (1) JP2009542302A (ko)
KR (1) KR20090088348A (ko)
CN (1) CN101583319A (ko)
AU (1) AU2007270693A1 (ko)
CA (1) CA2656813A1 (ko)
WO (1) WO200800423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6851B2 (en) 2005-07-05 2013-10-15 Angioslide Ltd. Balloon catheter
US9439662B2 (en) 2005-07-05 2016-09-13 Angioslide Ltd. Balloon catheter
JP2011526529A (ja) 2008-07-02 2011-10-13 アンジオスライド リミテッド バルーンカテーテル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方法
US9675780B2 (en) 2010-01-19 2017-06-13 Angioslide Ltd. Balloon catheter syste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thereof
DE102010024360A1 (de) * 2010-06-18 2011-12-22 Olympus Winter & Ibe Gmbh Uretersteinsauginstrument mit einem Schaft
US10010437B2 (en) 2011-10-17 2018-07-03 W. L. Gore & Associates, Inc. Endoluminal device retrieval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2016503330A (ja) * 2012-12-04 2016-02-04 アンジオスライド リミテッド バルーンカテーテル及びその使用方法
US8974472B2 (en) * 2013-04-16 2015-03-10 Calcula Technologies, Inc. Method for removing kidney stones
US10219864B2 (en) 2013-04-16 2019-03-05 Calcula Technologies, Inc. Basket and everting balloon with simplified design and control
US10188411B2 (en) 2013-04-16 2019-01-29 Calcula Technologies, Inc. Everting balloon for medical devices
KR101317434B1 (ko) * 2013-05-31 2013-10-10 (주) 더아이엔지메디칼 혈관 이물질 적출용 카테터
US9351747B2 (en) 2014-09-10 2016-05-31 Vascular Solutions, Inc. Capture assembly and method
US11771444B2 (en) * 2020-04-08 2023-10-0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instrument having a balloon and an extraction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7389A (en) * 1982-09-30 1986-07-01 Ibrahim Adel A Device for removing objects from tubular body passages
US4469100A (en) * 1983-03-14 1984-09-04 Hardwick Charles W Intussuscepting balloon catheter for stone extraction
DE3442736A1 (de) * 1984-11-23 1986-06-05 Tassilo Dr.med. 7800 Freiburg Bonzel Dilatationskatheter
US4748982A (en) * 1987-01-06 1988-06-0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Reinforced balloon dilatation catheter with slitted exchange sleeve and method
US5109830A (en) * 1990-04-10 1992-05-05 Candela Laser Corporation Apparatus for navigation of body cavities
CA2048120A1 (en) * 1990-08-06 1992-02-07 William J. Drasler Thrombectomy method and device
US5254091A (en) * 1991-01-08 1993-10-19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Low profile balloon cathet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1994016633A1 (en) * 1993-01-29 1994-08-04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ultifinger topocatheter tip for multilumen catheter for angioplasty and manipulation
US5630822A (en) * 1993-07-02 1997-05-20 General Surgical Innovations, Inc Laparoscopic tissue removal device
US6120523A (en) * 1994-02-24 2000-09-19 Radiance Medical Systems, Inc. Focalized intraluminal balloons
EP0820784B1 (en) * 1996-07-24 2003-06-11 Cordis Corporation Balloon catheter and methods of use
US5941895A (en) * 1996-09-04 1999-08-24 Hemodynamics, Inc. Cardiovascular stent and retrieval apparatus
US6974469B2 (en) * 1997-03-06 2005-12-13 Scimed Life Systems, Inc. Distal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US5814064A (en) * 1997-03-06 1998-09-29 Scimed Life Systems, Inc. Distal protection device
US6695810B2 (en) * 1997-11-21 2004-02-24 Advanced Interventional Technologies, Inc. Endolumenal aortic isolation assembly and method
US6383195B1 (en) * 1998-04-13 2002-05-07 Endoline, Inc. Laparoscopic specimen removal apparatus
US6007557A (en) * 1998-04-29 1999-12-28 Embol-X, Inc. Adjustable blood filtration system
US6022359A (en) * 1999-01-13 2000-02-08 Frantzen; John J. Stent delivery system featuring a flexible balloon
US7201770B2 (en) * 2000-03-21 2007-04-10 Cordis Corporation Everting balloon stent delivery system having tapered leading edge
US7226464B2 (en) * 2001-03-01 2007-06-05 Scimed Life Systems, Inc. Intravascular filter retrieval device having an actuatable dilator tip
US7604612B2 (en) * 2001-05-01 2009-10-20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Emboli protectio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7189250B2 (en) * 2002-01-10 2007-03-13 Scimed Life Systems, Inc. Aspirating balloon catheter for treating vulnerable plaque
US6808524B2 (en) * 2002-09-16 2004-10-26 Prorhythm, Inc. Balloon alignment and collapsing system
US20050004553A1 (en) * 2003-07-02 2005-01-06 Medtronic Ave, Inc. Sheath catheter having variable over-the-wire length and methods of use
US20050085826A1 (en) * 2003-10-21 2005-04-21 Scimed Life Systems, Inc. Unfolding balloon catheter for proximal embolus protection
US7491213B2 (en) * 2004-01-13 2009-02-1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atheter shaft having distal support
AU2005215774A1 (en) * 2004-02-19 2005-09-01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Embolectomy capture sheath
US8556851B2 (en) * 2005-07-05 2013-10-15 Angioslide Ltd. Balloon cath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42302A (ja) 2009-12-03
AU2007270693A1 (en) 2008-01-10
US20100022970A1 (en) 2010-01-28
EP2040786A2 (en) 2009-04-01
WO2008004238A2 (en) 2008-01-10
EP2040786A4 (en) 2009-11-18
WO2008004238A3 (en) 2009-05-07
CN101583319A (zh) 2009-11-18
CA2656813A1 (en) 200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8348A (ko) 수거 시스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US20100016792A1 (en) Collecting sheath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1266434B2 (en) Introducer sheaths, thrombus collection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US6994718B2 (en) Distal protection device for filtering and occlusion
EP2851016B1 (en) Clot retrieval system with inverted sleeve
US9107736B2 (en) Highly trackable balloon catheter system and method for collapsing an expanded medical device
EP0914065B1 (en) Access device with expandable containment member
US6793648B2 (en) Back-loading catheter
JP4106262B2 (ja) フィルタ送達および回収装置
US20080140107A1 (en) Highly trackable balloon catheter system and method for collapsing an expanded medical device
US20040215229A1 (en) S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CA2378715A1 (en) Vascular device for emboli, thrombus and foreign body removal and methods of use
JP2007508903A (ja) 基端側の塞栓を予防するための展開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2011526529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方法
US7918820B2 (en) Device for, and method of, blocking emboli in vessels such as blood arteries
JP2007508080A (ja) 回収カテーテル
US20220378463A1 (en) Intravascular catheter having an expandable incising portion and embolic protection device
CN113456168A (zh) 导管漏斗延伸部
GB2501490A (en) Catheter for removing objects from body passages
US20220378566A1 (en) Intravascular catheter having an expandable incising portion and embolic protection device
EP4321113A1 (en) Intravascular catheter having an expandable incising portion and embolic protection device
BR112021011486A2 (pt) Cateter de trombectomia e métodos de u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