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825A -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ot-wat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ot-wat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825A
KR20090085825A KR1020080011674A KR20080011674A KR20090085825A KR 20090085825 A KR20090085825 A KR 20090085825A KR 1020080011674 A KR1020080011674 A KR 1020080011674A KR 20080011674 A KR20080011674 A KR 20080011674A KR 20090085825 A KR20090085825 A KR 20090085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water
supply pipe
water supply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6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84005B1 (en
Inventor
조영건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1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005B1/en
Publication of KR20090085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8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0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24D17/0026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with conventional heating means
    • F24D17/0031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with conventional heating means with accumulation of the heated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4Flow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8Storage ta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A warm water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and a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supply warm water of predetermined temperature regardless of water pressure of supplied raw water. A warm water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100) includes the followings: a feed water pipe(110a,110b) supplying raw water; a heater(120) rising the temperature of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feed water pipe, and arranged on one side of the feed water pipe; a flux controlling part(150)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raw water, and mounted on a part of the feed water pipe; a sensing part(140)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rm water; and a display part(170) displaying a temperature state of the warm water.

Description

온수 온도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OT-WAT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Hot water temperature controller and water purifier with the same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OT-WAT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역에 따른 공급수의 수압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온수의 온도 차이를 공급수의 유량을 제어하여 온수 온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와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by which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hot water generat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region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water supply.

일반적으로 온수의 공급을 위해서는 가열기(열교환기)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급수를 가열하여 일정 온도로 상승된 급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온수의 가열방식에 따라, 일정량의 급수가 저장탱크에 저수된 상태에서 일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지속적 또는 일정 시간에 따라 가열되는 방식과 급수가 이루어지는 시점부터 공급되는 물을 순간 가열하여 상승된 온도의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In general, in order to supply hot water, a water supply that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discharged by heating a water supply supplied using a heater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heating method of such hot water, a method in which a constant amount of water is kept in a storage tank in a state of being kept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is heated at a constant or constant time, and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by instantaneous heating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ime of supply of water. It is done in such a way that the water supply is made.

상기 구성방식 중 저장탱크에 일정량의 급수가 저장된 상태에서 일정량으로 가열되어 공급되는 경우, 상승된 온도로 급수가 이루어지기까지는 일정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저장된 급수가 항상 일정 이상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저장탱크가 지속적으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In the configuration method, when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a storage tank in a state in which it is heated and supplied in a predetermined amount, it takes a certain time until the water is supplied at an elevated temperatur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is inconvenience, the storage tank is continuously heated so that the stored water is alway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그러나, 이와 같이 저장된 급수가 지속적으로 가열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장시간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가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에너지가 소비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단시간에 과도한 급수의 소비가 이루어지는 경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급수는 요구되는 온도로 상승하지 못한 상태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되는 온수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However, when the stored water is configured to be continuously heated in this manner, heating occurs even when water is not supplied for a long time,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unnecessary energy is consumed. On the other hand, when excessive water consumption is consumed in a short time, hot water discharged is not available becaus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is discharged without being raised to the required temperature.

한편, 순간 가열방식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는 시점부터 공급되는 물이 가열되어 공급되는 경우, 공급되는 급수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급수의 가열량, 즉 가열기의 발열량을 제어하거나, 냉수와의 혼합비를 조절하여 온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ime of the water supply is heated by the instant heating method is supplied,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water supply by controlling the heating amount of the water supply, that is, the heating value of the heater, or by adjusting the mixing ratio with cold water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can be controlled.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원수의 수압이 지역마다 다르고, 특히 복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건축물의 배관에 있어서는 층간 수압 차로 인하여 원수의 수압이 다르기 때문에 온수의 온도 조절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수압이 온수 공급장치에 적합한 수압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 일정한 수압을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부착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in such a configuration,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varies from region to region, and in particular, in the piping of a building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is different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layers,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s not sufficiently controlled. Therefore, when the water pressure is lower or higher than the water pressure suitable for the hot water supply device,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attach a separate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water pressure.

한편, 냉수와의 혼합 구조로 이루어지지 않는 급수장치 또는 정수기의 경우에는 급수에 대한 가열량만으로 급수의 온도를 제어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급수(온수)의 배출 측 또는 가열부에 온도감지부를 구비하여 설정 구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량이 제어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가열 기의 작동 차단만으로 열교환기의 온도가 바로 제어되지 않기 때문에 온도조절의 응답성이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급작스런 냉수가 배출되거나 또는 뜨거운 물이 배출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화상 등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한편, 가열기가 온도의 제어를 위하여 작동상태가 반복적으로 온/오프 상태를 전환하는 경우, 가열기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water supply device or a water purifier that does not have a mixed structure with cold water,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y must be controlled only by the heating amount for the water supply. In this case, the heating amount is controlled so that the temperature sensing part is provided on the discharge side or the heating part of the water supply (hot wate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set section.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r is not directly controlled by only shutting down the heat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response of the temperature control is slow. Therefore, the user may be exposed to a risk such as a burn due to the sudden cold water discharge or hot water discharge. 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ter repeatedly switches the on / off state of the operating stat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fetime of the heater is reduced.

특히, 상기와 같은 방식의 가열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온수기 또는 정수기 등의 경우, 잦은 사용에 의해 가열기의 수명은 단축될 수 있으며, 또한, 다량의 반복적인 급수가 이루어지는 경우, 배출되는 급수의 온도는 일정한 범위의 안정된 온도로 급수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water heater or a water purifier made of the heat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life of the heater can be shortened by frequent use, and when a large amount of repetitive water supply is made,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water supply is in a certain range. The problem may occur that water cannot be supplied at a stable tempera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온수 온도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recognizing at least one of the needs or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a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공급되는 원수의 수압에 상관없이 항상 설정된 일정 범위의 온도로 온수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supply of hot water at a predetermined range of temperature at all times regardless of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supplied.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별도의 수압 조절장치를 부가하지 않고서도 공급 또는 배출되는 급수의 양을 제어하여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가 항상 일정 범위의 온도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or discharged without adding a separate pressure control devic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s always supplied to a certain range of tempera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다량의 지속적인 급수에 의해서도 일정한 범위 내로 유지되는 온수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supply of hot water that is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even by a large amount of continuous water supply.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 제어의 응답성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quick response of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supplied hot water.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온수 온도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a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가열기로부터 배출되는 온수의 유량을 제어하여 피가열물의 양에 대한 가열량의 비율이 조절하여 온도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based on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heater to adjust the ratio of the heating amount to the amount of the heated object to remove the temperature.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온수 온도 제어장치는 원수가 공급되는 급수 파이프와; 급수 파이프의 어느 일 영역에 배치되어 급수 파이프를 통과하는 원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기와; 급수 파이프의 어느 일 위치에 장착되어 급수 파이프를 통과하는 원수의 양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부와; 가열기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배출되는 급수 파이프의 어느 일 위치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온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온수의 온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hot water tempera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to which raw water is supplied; A heater disposed in one region of the water supply pipe to raise a temperature of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 flow rate control unit mounted at on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to control an amount of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 temperature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temperature of hot water supplied and supplied at on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discharged by the heat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emperature state of the hot wate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온수 온도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정수기는 원수 공급 파이프와; 원수 공급 파이프에 연결되는 필터와; 필터로부터 분기되어 온수 온도 제어장치로 연결되는 급수 파이프와; 필터로부터 분기되어 냉수 공급부로 연결되는 급수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온수 온도 제어장치는 필터로부터 분기되는 급수 파이프의 어느 일 영역에 배치되어 급수 파이프를 통과하는 원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기와; 급수 파이프의 어느 일 위치에 장착되어 급수 파이프를 통과하는 원수의 양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부와; 가열기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배출되는 급수 파이프의 어느 일 위치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온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온수의 온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Water purifier with a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connected to the raw water supply pipe; A water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filter and connected to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ater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filter to the cold water supply, in this case,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disposed in any one region of the water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filt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 heater to make; A flow rate control unit mounted at on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to control an amount of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 temperature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temperature of hot water supplied and supplied at on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discharged by the heat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emperature state of the hot wate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이 경우, 온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배출되는 온수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량 제어부를 작동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operating the flow controller to control the flow rate of hot water discharg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다른 한편, 설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표시부에 출력되는 온도 상태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state output to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그리고, 유량 제어부는 가열기로 원수가 유입되는 급수 파이프의 위치 또는 가열기로부터 가열된 원수가 배출되는 급수 파이프의 위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The flow rate control unit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into which the raw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heater or at a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from which the raw water heated from the heater is discharged.

또한, 급수 파이프는 가열기로 원수가 유입되는 급수 파이프의 위치 또는 가열기로부터 가열된 원수가 배출되는 급수 파이프의 위치에 개폐 밸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ip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 / close valve at th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into which the raw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heater or th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from which the heated raw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heater.

다른 한편, 유량 제어부, 온도 감지부 및 표시부가 연결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며, 이 경우, 제어부는 온도 선택을 위한 조절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flow control unit, a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a display unit is connect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ntrol switch for temperature selection.

또 다른 한편, 유량 제어부, 온도 감지부 및 표시부가 연결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며, 이 경우, 제어부는 급수 파이프를 통과하는 온수의 유량 선택을 위한 조절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low control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djustment switch for selecting the flow rate of the hot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되는 원수의 수압에 상관없이 항상 설정된 일정 범위의 온도로 온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t water can be supplied at a predetermined range of temperature regardless of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to be suppl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수압 조절장치를 부가하지 않고서도 공급 또는 배출되는 급수의 양을 제어하여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가 항상 일정 범위의 온도로 공급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uppli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or discharged without adding a separate 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can always be supplied to a certain range of temperature.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량의 지속적인 급수에 의해서도 일정한 범위 내로 유지되는 온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hot water maintained in a constant range even by a large amount of continuous water supply.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 제어에 대한 응답성 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And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ponse to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supplied hot water can be made quickl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온수 온도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the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Hereinafter, the 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best suited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intended to illustrate that the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reinafter,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mponents that will have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is represen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가열기로부터 배출되는 온수의 유량을 제어하여 피가열물의 양에 대한 가열량의 비율이 조절하여 온도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based on the control of the flow rate of the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heater to adjust the ratio of the heating amount to the amount of the heated object to remove the temperature.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온도 제어장치(10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1 shows an example of a warm water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온수 온도 제어장치(100)는 온수의 공급을 위하여 원수의 공급 및 원수 를 가열하여 온수로 배출시키는 급수 파이프가 구비된다. 상기 급수 파이프의 어느 일 영역에는 공급되는 원수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가열기(120)가 구비되어 상기 급수 파이프를 통해 지나가는 원수를 가열하여 온수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 파이프는 가열기(120)의 유입단에 연결되는 급수 파이프(110a)와 가열기(120)의 배출단에 연결되는 급수 파이프(110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 파이프는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가열기(120)의 양단에 각각 분리된 요소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raw water and for supplying hot water to discharge the hot water to discharge the hot water. One region of the water supply pipe may be provided with a heater 120 fo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raw water to be supplied to heat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to discharge the hot water. Here, the water supply pipe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110a connected to an inlet end of the heater 120 and a water supply pipe 110b connected to the outlet end of the heater 120.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ipe may be formed in a single configuration, it may be made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separate elements on both ends of the heater (120).

이 경우, 상기 가열기(120)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온수가 흐르게 되는 급수 파이프(110b)의 영역에는 온도 감지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부(140)는 상기 가열기(120)의 유입단에 연결되는 급수 파이프(110a)의 영역을 통해 유입된 원수가 상기 가열기(120)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온수로 상기 가열기(120)의 배출단에 연결된 급수 파이프(110b)의 영역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may be provided in an area of the water supply pipe 110b through which hot water whose temperature is raised by the heater 120 flows.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is hot water in which the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area of the water supply pipe 110a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heater 120 is heated by the heater 120 to the heater 120.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area of the water supply pipe (110b) connected to the discharge end of the.

한편,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열기(120)의 일 측에 연결된 급수 파이프(110b)에는 유량 제어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량 제어부(150)는 가열기(120)를 통해 흐르는 원수(온수)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즉, 원수(온수)가 가열기(120)에 지체되는 시간, 다시 말해서, 가열기(120)에 의해 원수(온수)가 가열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가열기(120)로부터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the flow rate control unit 150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ipe 110b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ter 120. The flow control unit 150 adjusts the flow rate of the raw water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heater 120. That 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heater 120 by adjusting the time when the raw water (hot water) is delayed in the heater 120, that is, the time when the raw water (hot water) is heated by the heater 120. It can be configured to be.

이러한 구성의 가장 단순한 예로, 상기 온도 감지부(140)에는 표시부((170) 가 연결되어 상기 가열기(120)에 의해 가열된 온수의 온도를 표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유량 제어부(150)는 수동 방식의 밸브를 이용하여 유량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급수 파이프(110a)를 통해 유입되어 가열기(120)에 의해 가열된 온수의 온도는 상기 온도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온도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온수의 온도는 표시부(17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In the simplest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170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heated by the heater 120, the flow control unit 150 is a manual method The flow rate may be controlled using the valve of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0a and heated by the heater 120.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70.

이와 같이 온도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되어 표시된 온수의 온도가 높은 경우, 유량 제어부(150)를 개방하여 원수(온수)가 신속하게 흐르도록 조정하여 가열기(120)에 원수(온수)가 머무르는 시간을 단축시키므로 가열되는 원수(온수)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다른 한편, 온도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되어 표시된 온수의 온도가 낮은 경우, 유량 제어부(150)의 개방 정도를 감소시켜, 원수(온수)의 흐름이 저하되도록 조정하여 가열기(120)에 원수(온수)가 머무르는 시간을 증가시키므로 가열되는 원수(온수)의 온도를 높이게 된다. 이와 같이 온도 변화에 따라 가열되는 유량을 제어하게 되므로 보다 빠른 응답속도로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etected and display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is high, the flow control unit 150 is opened to adjust the raw water (hot water) to flow quickly so that the raw water (hot water) stays in the heater 120. By shortening the time, the temperature of the raw water (hot water) to be heated is lowe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etected and display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is low, by reduc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w control unit 150, the flow of raw water (hot water) is adjusted to reduce the raw water to the heater 120 It increases the time that (hot water) stays, thus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raw water (hot water) being heated. As such, since the flow rat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ischarged at a faster response speed can be controlled.

한편, 상기 온수 온도 제어장치(100)는 제어부(160)를 더 구비하여 유량 제어부(150)의 개폐상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시된 것과 같이, 유량 제어부(150)와 온도 감지부(140)는 제어부(160)에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유량 제어부(150)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과 같이 자동제어가 가능한 일반적으로 알려진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온도 감지부(140)로부터 설정된 온도보 다 높거나 낮은 온도의 온수가 흐르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60)에서는 유량 제어부(150)의 개폐정도를 조절하게 되어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16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flow control unit 150. In this case, as shown, the flow control unit 150 and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60, the flow control unit 150 is a generally known valve capable of automatic control, such as a solenoid valve Can be done. By this configura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hot water of the temperature higher or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flow control unit 150 of the discharged hot water The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이 경우, 상기 온도 감지부(140)는 보다 빠른 응답성을 위하여 가열기(120)의 배출단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70)는 제어부(160)에 연결되어 상기 온도 감지부(140)로부터 검출된 온도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ischarge end of the heater 120 for faster respons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7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60 to display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조절 스위치(161)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절 스위치(161)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절 스위치(161)는 온도 또는 유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레버(161a)와 설정 온도의 범위가 표시되는 표시부(16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60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ment switch 161. In this case, the control switch 161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The control switch 161 may include a lever 161a configured to adjust a temperature or a flow rate and a display unit 161b displaying a range of a set temperature.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상기 유량 제어부(150)가 제어부(160)에 의해 급수 파이프(110a 또는 110b)를 통해 흐르는 유량을 조절하도록 제어되는 경우, 제어부(160)에 구비되는 조절 스위치(161)를 작동하여 급수 파이프(110a 또는 110b)를 통해 흐르는 원수(온수)의 양이 유량 제어부(150)에 의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량 제어부(150)가 전자기력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조절 스위치(161)는 전력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하여 유량 제어부(150)에 의한 유로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유량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when the flow rate controller 150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flow rate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0a or 110b by the control unit 160, the control switch 161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160. By operating the amount of raw water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0a or 110b) may be configured to be adjusted by the flow control unit 150. For example, when the flow control unit 150 is configured as a solenoid valve operated by electromagnetic force, the control switch 161 adjusts the strength of the electric power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flow path by the flow control unit 150. Can be adjusted to control the flow rate.

이와 달리 상기 조절 스위치(161)는 배출되는 온수 온도를 설정하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하고, 온도 감지부(140)에 의해 검출된 온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제어부(160)에서 판단하여, 제어부(160)가 상기 유량 제어부(150)를 통해 급수 파이프(110a 또는 110b)에 형성되는 유로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유량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contrast, the control switch 161 is configured to set the discharged hot water temperature, and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40 corresponds to the set temperature range. Thus,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flow path formed in the water supply pipe 110a or 110b through the flow control unit 150 to control the flow rate.

다른 한편, 상기 유량 제어부(150)가 수동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조절 스위치(161)는 유량 제어부(150)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온도 감지부(140)에 의해 검출되는 급수 파이프(110b) 내의 온수 온도를 표시부(170)에 표시되도록 하여 수동으로 조절스위치(161)를 작동하여 급수 파이프(110a 또는 110b)에 형성되는 유로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유량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절 스위치(161)는 온도 표시부(161b)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70)는 복수의 온도 표시부(171,1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 표시부(171,172)는 온도 경계를 위하여,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요구되는 온도 이상 또는 이하로 공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다른 한편, 공급되는 온수의 현재 온도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low control unit 150 is configured to operate manually, the control switch 161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to the flow control unit 15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60 operates the control switch 161 to manually display the hot water temperature in the water supply pipe 110b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on the display unit 170. The flow rate may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flow path formed in the pipe 110a or 110b. In this case, the control switch 161 may not be provided with a temperature display unit (161b).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7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mperature display units 171 and 172. The temperature display unit 171, 172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ischarged is supplied above or below the required temperature for the temperature boundary, and on the other hand, it is configured to indicate the current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upplied May be

한편, 상기 가열기(120)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열교환기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온수 온도 제어장치(100)가 정수기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가열기(120)는 순간적인 발열을 통해 충분한 고온의 온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eater 120 may be made of a structure of a heat exchanger generally known. On the other hand, when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ater purifier, the heater 120 is such as that shown in Figure 3 in order to be supplied with sufficient high temperature hot water through instantaneous heat generation. It may be made of a structure.

예를 들어, 상기 가열기(120)는 면상 발열체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체(121) 와 상기 본체(121)의 내부에 급수라인(123)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라인(123)을 따라 가열부(122)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열기(120)의 급수라인(123)의 양 단에는 각각 원수가 공급되는 급수 파이프(110a)와 가열된 온수가 배출되는 급수 파이프(110b)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가열기(120)는 본체(121)에 형성되는 급수라인(123)이 급수 파이프(110a,110b)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heater 120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121 having a structure of a planar heating element and a water supply line 123 inside the main body 121, and a heating part 122 along the water supply line 123. ) May be formed. Both ends of the water supply line 123 of the heater 1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110a through which raw water is supplied and a water supply pipe 110b through which heated hot water is discharged. On the other hand, the heater 1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water supply line 123 formed in the main body 12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water supply pipes 110a and 110b.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급수라인(123)은 라인(123)을 통해 흐르는 원수의 체류시간을 지연시켜, 가열부(122)에 의한 발열량에 의한 열교환 효율 및/또는 발열이 충분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가열부(122)는 본체(121)의 전체 영역에 분포되도록 구성하고, 급수라인(123)이 상기 본체(121)의 면적에 최대한 가까운 상태로 배관하도록 구성하여, 가열부(122)에 의한 발열량에 의한 열교환 효율 및/또는 발열이 충분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ater supply line 123 is configured to delay the residence time of the raw water flowing through the line 123, so tha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 or heat generation by the heat generation amount by the heating unit 122 is made sufficient. It may be. 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unit 122 is configured to be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main body 121, the water supply line 123 is configured to be piped in the stat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area of the main body 121, to the heating unit 122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 or heat generation by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may be configured to be sufficient.

한편, 상기 유량 제어부(150)는 가열기(120)로 원수가 유입되는 급수 파이프(110a) 또는 상기 가열기(120)부터 가열된 온수가 배출되는 급수 파이프(110b)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유량 제어부(150)는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조절부의 역할과 함께 원수(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개폐밸브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low rate controller 150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ipe 110a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into the heater 120 or the water supply pipe 110b through which hot water heated from the heater 120 is discharged. The flow controller 15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role of an on / off valve for controlling supply of raw water (hot water) together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of hot water supplied.

다른 한편, 상기 온수 온도 제어장치(100)는 원수(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개폐밸브(130a,130b)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밸브(130a,130b)는 도시된 것과 같이 가열기(120)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원수가 유입되는 급수 파이프(110a)의 영역에만 개폐밸브(130a)를 배치하거나, 가열된 온수가 배출되는 급수 파이프(110b)의 영역에만 개폐밸브(130b)를 배치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opening and closing valves (130a, 130b)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raw water (hot water). The on-off valves 130a and 130b may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eater 120 as shown, or the on / off valves 130a are disposed only in an area of the water supply pipe 110a into which raw water is introduced, or heated. The on-off valve 130b may be disposed only in an area of the water supply pipe 110b through which hot water is discharged.

이 경우, 가열기(120)의 순간 발열 온도가 높게 발열하게 되는 경우, 가열기(120) 내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폭발(갑자기 끓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수가 공급되는 급수 파이프(110a)의 영역에 배치되는 개폐밸브(130a)는 가열기(12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가열기(120)의 발열보다 개폐밸브(130a)의 개폐가 먼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하여 개폐밸브(130a)는 제어부(160)에 연결되어 순차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instantaneous exothermic temperature of the heater 120 is to generate a high heat, in order to prevent the explosion (sudden boiling phenomenon) of the raw water supplied in the heater 120, the area of the water supply pipe 110a to which the raw water is supplied.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130a disposed in the heater 12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heater 120 or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130a before the heating of the heater 120. For this configuration, the on-off valve 130a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60 and controlled to perform sequential operation.

다른 한편, 가열된 온수가 공급되는 급수 파이프(110b)의 영역에 개폐밸브(130b)가 구비되는 경우, 가열기(120)와 상기 개폐밸브(130b)의 거리간 차이로 인하여, 초기 가열되지 않은 온수가 공급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열되지 않은 온수의 공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밸브(130b)를 가열기(12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가열기(120)의 발열보다 개폐밸브(130a)의 개폐가 늦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하여 개폐밸브(130a)는 제어부(160)에 연결되어 순차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n-off valve 130b is provided in the region of the water supply pipe 110b to which heated hot water is supplied, the hot water that is not initially heated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er 120 and the on-off valve 130b. The phenomenon that is supplied may occur. As such, the on / off valve 130b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heater 120 in order to minimize the supply of hot water that is not heated, or the opening / closing of the on / off valve 130a is made later than the heating of the heater 120. It may be configured to lose. For this configuration, the on-off valve 130a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60 and controlled to perform sequential operation.

만일, 상기 각 급수 파이프(110a,110b)에 개폐밸브(130a,130b)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설명된 구성의 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If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s 130a and 130b are provided in the respective water supply pipes 110a and 110b, they may be made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상기 온수 온도 제어장치(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수기(10)에 적용될 수도 있다.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0 that can be configured in this way may be applied to the water purifier 10 as shown in FIGS. 4 and 5.

상기 정수기(10)는 일반적인 정수기의 구조와 같이 원수가 공급되는 급수 파이프(11)에 공급되는 원수의 정화(정수)를 위하여 필터(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0)의 어느 일 측에는 온수의 공급을 위하여, 온수 온도 제어장치(100)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필터(120)의 다른 일 측에는 냉수(정수)의 공급을 위하여, 일반적인 정수기에 구비되는 냉수(정수) 공급부(1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수가 공급되는 급수 파이프(11)에는 정수기(10)의 전체 급수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하여, 개패밸브(11a)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원수의 정수를 위한 필터(12)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온수 온도 제어장치(100)에 구비되는 급수 파이프(110a)와 냉수 공급부(10a)에 구비되는 급수 파이프(13a)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The water purifier 10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120 for the purification (purified water) of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feed water pipe 11 is supplied with raw water as in the structure of a general water purifier. One side of the filter 120 may be connected to a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0 for supply of hot water, and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120 may be provided with a general water purifier for supply of cold water (clean water). A cold water supply unit 10a may be provided. The water supply pipe 11 to which the raw water is supplied may further include an open and close valve 11a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ntire water supply of the water purifier 10.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5, the filter 12 for purification of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0a provided in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0 and the water supply pipe 13a provided in the cold water supply unit 10a. Each may be provided.

상기 냉수(정수) 공급부(10a)는 안정적인 유량으로 냉수(정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저장탱크(1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탱크(14)는 급수 파이프(13a,13b)가 연결되어, 상기 필터(12)로부터 정수된 냉수(정수)의 공급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ld water (water purification) supply unit 10a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tank 14 so that cold water (clean water) can be supplied at a stable flow rate, and the storage tank 14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13a and 13b. It may be configured to enable the supply of cold water purified water from the filter 12.

한편, 상기 온수 온도 제어장치(100)는 가열기(120)와 필터(12)가 상기 급수 파이프(110a)에 의해 연결되어 정수된 원수가 가열기로(120)로 공급되어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가열기(120)에 의해 가열된 온수(원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급되는 온수(원수)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유량 제어부(1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온도 감지부(140)에 의해 상기 가열기(120)로부터 급수 파이프(130b)로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표시부(170)에 표시되도록 구성하거 나, 또는 감지된 온도를 기초로 하여 제어부(160)에 의해 유량 제어부(150)가 급수 파이프(130b)를 통해 흐르는 온수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eater 120 and the filter 12 is connected by the feed water pipe 110a so that purifie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heater 120 and heated. As described above, a flow control unit 150 is provid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raw water) supplied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hot water (raw water) heated by the heater 120. Then,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heater 120 to the water supply pipe 130b and configures the display unit 170 or displays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detected temperature. The flow rat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30b by the 160.

상기 온수 온도 제어장치(100)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구성이 다양하게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0 may be applied in various combinations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어부(160)의 작동에 관한 일 예를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플로우 챠트는 유량 제어부(150)가 제어부(16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60)의 작동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된 제어방식과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6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6.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low rate controller 15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60.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60 is not limited thereto, and illustrates that the control method 160 may be performed as shown.

상기 제어부(160)에 의한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온수의 공급을 위하여 처음 단계(S1)에 의해 개폐밸브(130a 및/또는 130b)가 개방되면, 가열기(120)를 통해 원수가 흐르게 된다. 이때, 가열기(120)에 의해 원수가 가열되어 온도 감지부(140)에서는 가열된 원수(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S2). 한편,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기(120)의 가열은 개폐밸브(130a,130b)의 개방와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또는 개폐밸브(130a,130b)의 개방 전, 후에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by the controller 160 schematically, when the on-off valves 130a and / or 130b are opened by the first step S1 to supply hot water, raw water flows through the heater 120. At this time, the raw water is heated by the heater 120,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raw water (hot water) (S2).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of the heater 120 may be made at the same time as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s (130a, 130b), or may be heated before or after opening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s (130a, 130b).

상기 감지된 원수(온수)의 온도는 제어부(160)로 송출되고, 제어부(160)에서는 검출된 온도가 적정온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설정온도의 범위가 아닌 경우, 유량 제어부(150)를 작동하여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S4). 여기서, 설정온도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초기 온수기(10) 에 설정된 온도범위일 수도 있고, 조절 스위치(161)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 온도범위일 수도 있다. The detected temperature of the raw water (hot water) is sent to the controller 160, and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temperature is a proper temperature (S3).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controller 160 is not within the set temperature range, the flow rate controller 150 is operated to adjust the flow rate (S4). Here, the set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range set in the initial water heater 10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a temperature range arbitrarily set by the control switch 161.

그리고, 상기 유량 조절단계(S4)는 온도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뿐만 아니라, 낮은 경우에도 유량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설정온도 판단단계(S3)에서 온도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적정 온도 범위일 경우, 유량 제어부(150)의 작동을 이루어지지 않고 가열기(120)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공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ow rate adjusting step S4 may be adjusted not only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but also when the flow rate is low.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40 in the set temperature determination step (S3) is an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the hot water heated by the heater 120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flow control unit 150 is Can be supplied.

상기와 같이 설명된 온수 온도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described above and a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온도 제어장치의 일 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a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에 구비될 수 있는 조절 스위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djustment switch that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ler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열기의 구성에 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heater shown in FI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온수 온도 제어장치가 정수기에 적용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illustrated in FIG. 1 is applied to a water purifier.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른 온수 온도 제어장치가 정수기에 적용된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water purifie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온도 제어장치의 작동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6 is a flow 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warm water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정수기 10a ... 냉수(정수) 공급부10 ... water purifier 10a ... cold water supply

11,13a,13b,110a,110b ... 급수 파이프 12 ... 필터11,13a, 13b, 110a, 110b ... water supply pipe 12 ... filter

14 ... 저장탱크 15,130a,130b ... 개폐밸브14 ... storage tank 15,130a, 130b ... on-off valve

100 ... 온수 온도 제어장치 120 ... 가열기100 ...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unit 120 ... heater

140 ... 온도 감지부 150 ... 유량 제어부140 ... temperature sensor 150 ... flow control

160 ... 제어부 161 ... 조절 스위치160 ... control unit 161 ... control switch

161a ... 레버 161b,171 ... 온도 표시부161a ... lever 161b, 171 ... temperature display

170 ... 표시부170 ... Display

Claims (14)

원수가 공급되는 급수 파이프와; A water supply pipe to which raw water is supplied; 상기 급수 파이프의 어느 일 영역에 배치되어 급수 파이프를 통과하는 원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기와; A heater disposed in one region of the water supply pipe to increase a temperature of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상기 급수 파이프의 어느 일 위치에 장착되어 급수 파이프를 통과하는 원수의 양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부와; A flow rate control unit mounted at on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to control an amount of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상기 가열기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배출되는 급수 파이프의 어느 일 위치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A temperature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temperature of hot water mounted and supplied at any on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discharged after the temperature is raised by the heater;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온수의 온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온도 제어장치.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temperature state of the hot wate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배출되는 온수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량 제어부를 작동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온도 제어장치.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which operates a flow control unit to control a flow rate of hot water discharg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설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표시부에 출력되는 온도 상태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온도 제어장치.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configured to adjust a temperature state output to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detector based on a set tempera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부는 가열기로 원수가 유입되는 급수 파이프의 위치 또는 가열기로부터 가열된 원수가 배출되는 급수 파이프의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온도 제어장치.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control unit is mounted at a position of a water supply pipe into which a raw water flows into a heater or a position of a water supply pipe from which raw water heated from the heater is dischar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파이프는 가열기로 원수가 유입되는 급수 파이프의 위치 또는 가열기로부터 가열된 원수가 배출되는 급수 파이프의 위치에 개폐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온도 제어장치.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pipe further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valve at a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into which the raw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heater or a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from which the raw water heated from the heater is dischar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부, 온도 감지부 및 표시부가 연결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온도 선택을 위한 조절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온도 제어장치.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flow rate control unit,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switch for selecting a tempera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부, 온도 감지부 및 표시부가 연결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파이프를 통과하는 온수의 유량 선택을 위한 조절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온도 제어장치. The hot wat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flow rate control unit,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n adjustment switch for selecting a flow rate of the hot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Temperature control. 원수 공급 파이프와; Raw water supply pipe; 상기 원수 공급 파이프에 연결되는 필터와; A filter connected to said raw water supply pipe; 상기 필터로부터 분기되어 온수 온도 제어장치로 연결되는 급수 파이프와; A water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filter and connected to a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상기 필터로부터 분기되어 냉수 공급부로 연결되는 급수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It comprises a water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filter and connected to the cold water supply, 상기 온수 온도 제어장치는 The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상기 필터로부터 분기되는 급수 파이프의 어느 일 영역에 배치되어 급수 파이프를 통과하는 원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기와; A heater disposed in one region of the feed pipe branched from the filter to increase a temperature of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feed pipe; 상기 급수 파이프의 어느 일 위치에 장착되어 급수 파이프를 통과하는 원수의 양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부와; A flow rate control unit mounted at on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to control an amount of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상기 가열기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배출되는 급수 파이프의 어느 일 위치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A temperature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temperature of hot water mounted and supplied at any on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discharged after the temperature is raised by the heater;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온수의 온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temperature state of the hot wate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배출되는 온수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량 제어부를 작동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water purifier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which operates a flow control unit to control a flow rate of hot water discharg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설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표시부에 출력되는 온도 상태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water purifier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configured to adjust a temperature state output to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detector based on a set temperatur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부는 가열기로 원수가 유입되는 급수 파이 프의 위치 또는 가열기로부터 가열된 원수가 배출되는 급수 파이프의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low control part is mounted at a position of a water supply pipe into which a raw water flows into a heater or a position of a water supply pipe from which heated raw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heat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파이프는 가열기로 원수가 유입되는 급수 파이프의 위치 또는 가열기로부터 가열된 원수가 배출되는 급수 파이프의 위치에 개폐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water purifier of claim 8, wherein the water supply pipe further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valve at a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into which the raw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heater or a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from which the raw water heated from the heater is discharg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부, 온도 감지부 및 표시부가 연결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온도 선택을 위한 조절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water purifier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o which the flow control unit,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connected, and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n adjustment switch for selecting a temperatur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부, 온도 감지부 및 표시부가 연결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파이프를 통과하는 온수의 유량 선택을 위한 조절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water purifier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flow rate control unit,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switch for selecting a flow rate of hot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
KR1020080011674A 2008-02-05 2008-02-05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ot-wat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1010840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674A KR101084005B1 (en) 2008-02-05 2008-02-05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ot-wat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674A KR101084005B1 (en) 2008-02-05 2008-02-05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ot-wat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825A true KR20090085825A (en) 2009-08-10
KR101084005B1 KR101084005B1 (en) 2011-11-16

Family

ID=41205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674A KR101084005B1 (en) 2008-02-05 2008-02-05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ot-wat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005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0248A (en) * 2010-07-27 2012-03-21 教元L&C株式会社 Instant-heating type water purifier
WO2013100486A1 (en) * 2011-12-30 2013-07-04 Coway Co., Ltd. Hot water supply apparatus and hot water supply method
WO2013100488A1 (en) * 2011-12-30 2013-07-04 Coway Co., Ltd. Hot water supply apparatus and hot water supply method
KR20130079080A (en) * 2011-12-30 2013-07-10 코웨이 주식회사 Apparatus for supplying hot water and method for the same
CN104024761A (en) * 2011-12-30 2014-09-03 豪威株式会社 Apparatus for supplying hot water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80005422A (en) * 2016-07-06 2018-01-16 코웨이 주식회사 Instance water heating device,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stance water heating device
KR101876216B1 (en) * 2011-07-28 2018-07-10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purifi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90065848A (en) * 2017-12-04 2019-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US10408533B2 (en) 2015-11-30 2019-09-10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115657A (en) * 2018-04-03 201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purify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343A1 (en) * 2015-05-20 2016-11-24 코웨이 주식회사 Hot water supply method, hot water supply device, and water purifier using same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0248A (en) * 2010-07-27 2012-03-21 教元L&C株式会社 Instant-heating type water purifier
KR101876216B1 (en) * 2011-07-28 2018-07-10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purifi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RU2621932C2 (en) * 2011-12-30 2017-06-08 Ковэй Ко., Лтд. Hot water supplying device and method of hot water supply
CN106839394A (en) * 2011-12-30 2017-06-13 豪威株式会社 Hot water supply apparatus and hot water supply method
CN104024742A (en) * 2011-12-30 2014-09-03 豪威株式会社 Hot water supply apparatus and hot water supply method
CN104024761A (en) * 2011-12-30 2014-09-03 豪威株式会社 Apparatus for supplying hot water and method for the same
JP2015503724A (en) * 2011-12-30 2015-02-02 コーウェ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Coway Co., Ltd. Hot water supply apparatus and hot water supply method
RU2615086C2 (en) * 2011-12-30 2017-04-03 Ковэй Ко., Лтд. Hot water supplying device and method for hot water supply
WO2013100488A1 (en) * 2011-12-30 2013-07-04 Coway Co., Ltd. Hot water supply apparatus and hot water supply method
KR20130079080A (en) * 2011-12-30 2013-07-10 코웨이 주식회사 Apparatus for supplying hot water and method for the same
CN106839394B (en) * 2011-12-30 2019-10-22 豪威株式会社 Hot water supply apparatus and hot water supply method
WO2013100486A1 (en) * 2011-12-30 2013-07-04 Coway Co., Ltd. Hot water supply apparatus and hot water supply method
US10408533B2 (en) 2015-11-30 2019-09-10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62282B2 (en) 2015-11-30 2021-03-30 Lg Electronics Inc. Liquid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05422A (en) * 2016-07-06 2018-01-16 코웨이 주식회사 Instance water heating device,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stance water heating device
KR20190065848A (en) * 2017-12-04 2019-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WO2019112123A1 (en) * 2017-12-04 2019-06-13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KR20190115657A (en) * 2018-04-03 201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purify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4005B1 (en)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005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ot-wat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US7945146B2 (en) Tankless hot water heater with power modulation
KR100852988B1 (en) Boil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heating load
JP5994164B2 (en) Hot water system
JP2012127635A (en) Hot water supply system
JP5281327B2 (en) Hot water storage water heater
JP4528226B2 (en) Hybrid hot water supply system
JP3547987B2 (en) Water heater
JP6390903B2 (en) Hot water storage hot water system
KR101042923B1 (en) Hitting apparatus having temperature controlling funtion and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JP5869534B2 (en) Hot water system
JP4379385B2 (en) Water heater
JP4880312B2 (en) Hot water storage hot water source
JP2007232251A (en) Hot water supply system
JP3962753B2 (en) Hot water system
KR200446160Y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 heating and hot water in briquette boiler
JP5291402B2 (en) Hybrid hot water supply system
JP2012021689A (en) Hot water supply system
KR20120095228A (en) Hot water supply system of regular temperature
JP5853722B2 (en) Linked water heater system
JP3836762B2 (en) Cogeneration system
JP2005315523A (en) Hot-water supply device
JP2007103051A (en) Fuel cell co-generation system
US20230167982A1 (en) A water heating system
JP4867274B2 (en) Water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