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470A - 아이템 또는 바탕화면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감지하는터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 Google Patents

아이템 또는 바탕화면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감지하는터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470A
KR20090085470A KR1020080011382A KR20080011382A KR20090085470A KR 20090085470 A KR20090085470 A KR 20090085470A KR 1020080011382 A KR1020080011382 A KR 1020080011382A KR 20080011382 A KR20080011382 A KR 20080011382A KR 20090085470 A KR20090085470 A KR 20090085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function
item
detected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5470A/ko
Priority to CN2008801192622A priority patent/CN101889261A/zh
Priority to EP08793290A priority patent/EP2240846A4/en
Priority to PCT/KR2008/004776 priority patent/WO2009099268A1/en
Priority to US12/204,214 priority patent/US20090195515A1/en
Publication of KR20090085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가 제공된다. 본 UI 제공방법에 따르면,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영역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방식에 따라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쉽고 편리하게 다양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80011382
롱터치, 터치 스크린, 바탕화면, 아이템

Description

아이템 또는 바탕화면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감지하는 터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A method for providing UI to detecting the plural of touch types at items or a background}
본 발명은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터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이다.
MP3 플레이어 등의 멀티미디어 기기는 사용자와 밀접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멀티미디어 기기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하게 생산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기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GUI를 표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아이콘이나 메뉴와 같은 아이템들을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방식에 의한 GUI는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GUI 환경에서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마우스, 터치패드,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즐길 수 있게 된다.
특히,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버튼을 직접 터치하는 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인 UI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터치스크린은 키보드 등과는 달리 터치입력의 형태에 한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키보드는 복수개의 키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특정 기능을 추가하고 싶을 때는 그 기능에 해당되는 키를 만들면 된다. 하지만, 터치스크린의 경우는 터치입력의 종류가 제한적이므로, 터치입력을 통해 다양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 메뉴를 매번 모두 거쳐서 실행단계로 진입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악을 듣기 위해 매번 장르 카테고리, 앨범 카테고리, 가수 카테고리 등을 거쳐 음악을 선택해야 한다면,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것이다.
사용자는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에 있어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방식을 추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다양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터치 입력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다양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터치 입력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터치스크린 상의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영역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감지하고, 각 터치방식에 따라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 상의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어느하나가 표시된 영역에서 특정 터치방식을 감지하고, 특정 터치방식이 감지된 경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된 어느 하나에 대한 실행단계로 진입되는 기능 또는 최하위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UI 제공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영역에서 제1 터치방식 또는 제2 터치방식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방식이 감지되면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터치방식이 감지되면 제2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터치방식 및 제2 터치방식은, 한 번의 터치로 구성된 터치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터치방식은 숏터치(Short touch)이고, 상기 제2 터치방식은 롱터치(Long touch)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바로 다음 단계의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적어도 2단계 이후의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바로 다음 단계의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실행단계로 진입되는 기능 또는 최종단계의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행단계는, 상기 바탕화면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현재 지원되는 기능에 대한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바탕화면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바탕화면에 표시될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행단계는, 음악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음악 카테고리 선택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음악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가장 최근 재생된 음악이 재생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행단계는, 비디오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비디오 파일 리스트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비디오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가장 최근 재생된 비디오가 재생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행단계는, 이미지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이미지 파일 리스트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아이템에서 상기 제 2 터치가 감지된 경우, 가장 최근 선택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행단계는, 텍스트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텍스트 파일 리스트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텍스트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가장 최근 선택된 텍스트 파일의 내용이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행단계는, 뒤로가기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한 단계 상위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뒤로가기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최상위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영역에서 제1 터치방식이 감지되면 제1 기능이 수행되고, 제2 터치방식이 감지되면 제2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터치방식 및 제2 터치방식은, 한 번의 터치로 구성된 터치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터치방식은 숏터치(Short touch)이고, 상기 제2 터치방식은 롱터치(Long touch)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바로 다음 단계의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적어도 2단계 이후의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바로 다음 단계의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실행단계로 진입되는 기능 또는 최종단계의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탕화면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현재 지원되는 기능에 대한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바탕화면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바탕화면에 표시될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음악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음악 카테고리 선택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음악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가장 최근 재생된 음악이 재생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비디오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비디오 파일 리스트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비디오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가장 최근 재생된 비디오가 재생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이미지 파일 리스트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이미지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가장 최근 선택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텍스트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텍스트 파일 리스트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텍스트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가장 최근 선택된 텍스트 파일의 내용이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뒤로가기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한 단계 상위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뒤로가기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최상위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UI 제공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영역에서 특정 터치방식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터치방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실행단계로 진입되는 기능 또는 최하위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특정 터치방식은, 롱터치(Long touch)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다른, UI 제공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영역에서 복수개의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터치방식에 따라,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상의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영역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감지하고, 각 터치방식에 따라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다양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터치 입력방식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는 한번의 롱터치를 함으로써 최하위 메뉴를 진입하거나 실행단계로 진입할 수 있게 되므로, 최소한의 터치 입력을 배경화면을 바꾸거나 음악 등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플레이어는 인터페이스(110), 저장부(120), 코덱(130), 오디오 처리부(140), 오디오 출력부(145), 비디오 처리부(150), GUI 생성부(153), 비디오 출력부(155), 제어부(160) 및 터치스크린(170)을 구비한다.
인터페이스(110)는 컴퓨터와 MP3 플레이어를 연결시켜준다. 그리고, MP3 플레이어는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컴퓨터(미도시)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운받는다. 또한, MP3 플레이어는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컴퓨터에 멀티미디어 파일을 업로드 한다.
저장부(120)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고 있다. MP3 플레이어의 저장 부(120)는 음악파일, 비디오 파일, 텍스트 파일 등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MP3 플레이어의 작동을 위한 운영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코덱(130)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압축하거나 압축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코덱(130)은 저장부(12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압축을 해제한다. 그리고 코덱(130)은 압축이 해제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오디오 처리부(140) 및 비디오 처리부(150)로 전송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코덱(130)에서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140)는 음향 처리, 잡음 제거, 이퀄라이징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40)는 처리된 오디오를 오디오 출력부(145)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45)는 오디오 처리부(14)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거나, 외부 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된 이어폰 등으로 출력한다.
비디오 처리부(150)는 코덱(130)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에 대해 비디오 스케일링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비디오 처리부(150)는 처리된 비디오를 GUI 생성부(153)로 출력한다.
GUI 생성부(153)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GUI를 생성하고, 생성한 GUI를 비디오 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에 부가한다.
비디오 출력부(155)는 GUI 생성부(153)에서 출력되는 GUI가 부가된 비디오를 터치스크린(170)에 표시하거나, 외부 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로 출력한다.
터치스크린(170)은 비디오 출력부(155)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터치스크린(170)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조작을 입력받아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특히, 터치스크린(170)은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영역에서 숏터치(Short touch) 또는 롱터치(Long touch)를 감지한다. 즉, 터치스크린(170)은 아이템이 표시된 영역에서 숏터치 또는 롱터치를 감지할 수 있고, 바탕화면이 표시된 영역에서 숏터치 또는 롱터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숏터치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70)의 한 지점을 터치한 후에 바로 떼는 형태의 터치방식을 의미한다. 그리고, 롱터치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70) 한 지점을 특정 시간 이상 터치하고 있는 형태의 터치방식을 의미한다.
즉, 숏터치와 롱터치는 특정 시간 이상 터치를 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특정 시간은 터치스크린(170)마다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70)은 3초 미만 동안 터치된 경우는 숏터치로 인식하고 3초 이상 터치된 경우는 롱터치로 인식할 수 있다.
숏터치와 롱터치는 한 번의 터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한번에 배경화면을 바꾸거나 음악을 재생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170)을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조작 내용을 기초로 사용자 명령을 파악하고, 파악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MP3 플레이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터치스크린(170)의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영역에 서 숏터치 또는 롱터치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160)는 숏터치 또는 롱터치에 대응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어느 하나에서 숏터치가 감지되면 바로 다음 단계의 메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어느 하나에서 롱터치가 감지되면 적어도 2단계 이후의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어느 하나에서 롱터치가 감지되면 실행단계로 진입되는 기능 또는 최종단계의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숏터치 또는 롱터치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16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탕화면에서 롱터치 또는 숏터치가 감지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단,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70)의 바탕화면을 터치한 경우, 터치스크린(170)은 바탕화면에서 터치를 감지한다(S210).
그 후에, 제어부(160)는 감지된 터치방식이 롱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터치가 특정시간(예를 들어, 3초) 이상 계속되지 여부에 따라, 롱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감지된 터치방식이 롱터치인 경우(S220-Y), 제어부(160)는 바탕화면에 표시될 이미지 선택 메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230). 그리고,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17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바탕화면에 표시될 이미지를 선택받는다(S240). 예 를 들어, 사용자가 이미지 선택메뉴에서 이미지를 롱터치하면, 제어부(160)는 롱터치된 이미지를 바탕화면에 표시될 이미지로 인식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선택된 이미지가 바탕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250).
반면, 감지된 터치가 숏터치인 경우(S260-Y), 제어부(160)는 현재 지원되는 기능에 대한 메뉴를 표시한다(S270).
이와 같은, 도 2의 흐름도에 따른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탕화면에서 롱터치 또는 숏터치가 감지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화면(400)에는 비디오 아이템(401), 음악 아이템(403), 이미지 아이템(405), 라디오 아이템, 데이터통신 아이템, 텍스트 아이템(407), 파일뷰어 아이템, 블루투스 아이템 및 설정 아이템이 바탕화면에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바탕화면을 롱터치한 경우, 제1 화면(410)을 거쳐 제2 화면(420)으로 전환된다. 즉, 메인화면(400)에 표시된 아이템들이 모두 사라지고, 바탕화면이 축소되어 하나의 썸네일 형태로 표시된다. 그리고, 제2 화면(420)과 같이, 바탕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선택 메뉴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바탕화면이 축소되는 애니메이션 효과와 함께 바탕화면 이미지 선택메뉴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제2 화면(420)이 바탕화면의 이미지 선택메뉴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제2 화면(420)에서, 사용자가 제1 이미지(425)를 롱터치한 경우, 바탕화면이 제1 이미지(425)로 바뀐 메인화면이 제3 화면(430)과 같이 표시된다.
즉, 롱터치를 이용하여 매우 간편하게 바탕화면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바탕화면의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설정 아이템 선택 -> 바탕화면 바꾸기 선택 -> 바탕화면 이미지 선택 -> 바탕화면으로 설정 여부확인 -> 바탕화면 변경 단계를 거쳐야 한다. 하지만, 롱터치를 이용하면, 보다 간편하게 바탕화면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화면(400)에서 사용자가 바탕화면을 숏터치한 경우, 제4 화면(440)과 같이, link 아이템(443) 및 view 아이템(446)이 표시된다. link 아이템(443)과 view 아이템(446)은 바탕화면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템들이다.
사용자가 link 아이템(443)을 터치하면, 즐겨찾기로 링크된 메뉴로 바로 이동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view 아이템(446)을 터치하면, 즐겨찾기 목록이 화면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메인화면(400)에서 바탕화면을 숏터치하면, 제어부(160)는 현재 지원되는 기능에 대한 메뉴를 표시하게 된다.
도 4에서는, 사용자가 메인화면(400)에서 바탕화면을 숏터치하면 link와 view를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다른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가 메인화면(400)에서 바탕화면을 숏터치하면, 메뉴 표시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가 바탕화면을 숏터치하면, 시간이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바탕화면을 숏터치한 경우와 롱터치한 경우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터치를 통해 바탕화면에 관련된 기능을 보다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음악 아이템에서 숏터치 또는 롱터치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16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악 아이템에서 롱터치 또는 숏터치가 감지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단,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70)에 표시된 아이템 중 음악아이템(403)을 터치한 경우, 터치스크린(170)은 음악아이템(403)이 표시된 영역에서 터치를 감지한다(S310).
그 후에, 제어부(160)는 감지된 터치방식이 롱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터치가 특정시간(예를 들어, 3초) 이상 계속되지 여부에 따라, 롱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감지된 터치방식이 롱터치인 경우(S320-Y), 제어부(160)는 가장 최근 재생했던 음악이 재생되도록 제어한다(S330). 음악아이템(403)에서의 롱터치는 음악 아이템(403)에 대한 실행단계로 진입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음악아이템(403)에서의 롱터치는 최근 들었던 음악 재생 기능에 대응되는 터치방식이 된다.
반면, 감지된 터치가 숏터치인 경우(S340-Y), 제어부(160)는 음악 카테고리 선택 메뉴를 표시한다(S340).
이와 같은, 도 3의 흐름도에 따른 과정에 대해,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악 아이템에서 롱터치 또는 숏터치가 감지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메인화면(400)은 도 4에서와 같은 화면이다. 사용자가 음악아이템(403)을 롱터치한 경우, 제5 화면(510)과 같이 'song1.mp3'가 재생되는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들었던 음악이 'song1.mp3'이므로, 사용자가 음악아이템(403)을 롱터치했을 때 'song1.mp3'가 재생되는 것이다.
반면, 사용자가 음악아이템(403)을 숏터치한 경우, 제6 화면(520)과 같이 음악 카테고리 선택메뉴가 표시된다. 제6 화면(52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음악 카테고리 선택메뉴에는 Now playing, Artists, Albums, Songs, Genres, Playlists 및 Music Browser 등의 항목이 포함된다.
사용자가 제6 화면(520)에서 Artists를 터치하면, 가수 리스트가 표시된 제7 화면(530)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제7 화면(530)에서 Artist 2를 터치하면, Artist 2에 속해 있는 음악 리스트가 표시된 제8 화면(540)으로 전환된다.
사용자가 제8화면(540)에서 Song 1을 터치하면, 'Song 1.mp3'가 재생되는 화면인 제5 화면(510)으로 전환되게 된다.
한편, 제8화면(540)에서 사용자가 뒤로가기 아이템(545)을 숏터치하면, 바로 상위단계인 제7화면(530)이 표시된다. 하지만, 제8화면(540)에서 사용자가 뒤로가기 아이템(545)을 롱터치하면, 가장 상위단계인 메인화면(400)이 표시된다. 즉, 뒤로가기 아이템(545)에 관련된 최종 단계는 메인화면(400)이므로, 뒤로가기 아이 템(545)에 대한 롱터치는 메인화면(400)으로 가기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방식이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숏터치만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여러단계를 거쳐야만 음악 재생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하지만, 롱터치를 이용하면, 바로 재생단계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최근 들었던 음악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숏터치만을 이용할 경우 뒤로가기 아이템(545)을 여러번 터치해야 메인화면(400)으로 돌아갈 수 있지만, 롱터치를 이용하면 한번에 메인화면(400)으로 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메인화면으로 되돌아 갈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아이템에 대해 두 가지 이상의 터치방식을 입력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다양한 터치방식을 이용하여 한가지 아이템에 관련된 기능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롱터치가 바탕화면 및 음악아이템에 적용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다른 아이템들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비디오 아이템, 이미지 아이템 및 텍스트 아이템 등에도 롱터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아이템에서 롱터치 또는 숏터치가 감지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메인화면(400)은 도 4와 동일하다.
사용자가 메인화면(400)에서 비디오 아이템(401)을 롱터치한 경우, 가장 최근 재생했던 비디오인 'Video 1'이 재생되는 화면인 제9 화면(610)으로 전환된다. 반면, 비디오 아이템(401)을 숏터치한 경우, 비디오 리스트가 표시된 제10 화면(620)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비디오 아이템(401)에 대한 롱터치는 가장 최근 시청했던 비디오를 재생하는 기능을 하고, 비디오 아이템(401)에 대한 숏터치는 바로 다음 단계인 비디오 리스트 표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디오 아이템에 대해 두가지의 터치방식을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비디오 아이템에 대해 보다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아이템에서 롱터치 또는 숏터치가 감지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메인화면(400)은 도 4와 동일하다.
사용자가 메인화면(400)에서 이미지 아이템(405)을 롱터치한 경우, 가장 최근 선택된 이미지인 'Image 1'이 표시되는 화면인 제11 화면(710)으로 전환된다. 반면, 이미지 아이템(405)을 숏터치한 경우, 이미지 리스트가 표시된 제12 화면(720)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이미지 아이템(405)에 대한 롱터치는 가장 최근 확인했던 이미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하고, 이미지 아이템(405)에 대한 숏터치는 바로 다음단계인 이미지 리스트 표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미지 아이템에 대해 두가지의 터치방식을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이미지 아이템에 대해 보다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아이템에서 롱터치 또는 숏터치가 감지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메인화면(400)은 도 4와 동일하다.
사용자가 메인화면(400)에서 텍스트 아이템(407)을 롱터치한 경우, 가장 최근 선택된 텍스트인 'Text 1'의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인 제13 화면(810)으로 전환된다. 반면, 텍스트 아이템(407)을 숏터치한 경우, 텍스트 리스트가 표시된 제14 화면(820)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텍스트 아이템(407)에 대한 롱터치는 가장 최근 확인했던 텍스트의 내용을 표시하는 기능을 하고, 텍스트 아이템(407)에 대한 숏터치는 바로 다음단계인 텍스트 리스트 표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텍스트 아이템에 대해 두가지의 터치방식을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텍스트 아이템에 대해 보다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아이템에 대해 롱터치 및 숏터치의 터치방식을 입력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다른 터치방식을 입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더블터치 또는 스트록(Stroke) 등의 터치 방식을 입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어부(160)는 하나의 아이템에 대해 2가지 이상의 터치방식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기기는 MP3 플레이어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의 터치입력이 가능한 어떠한 멀티미디어 기기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 다. 예를 들면, PMP(Portable Media Player),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전자사전, PDA 등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탕화면에서 롱터치 또는 숏터치가 감지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악 아이템에서 롱터치 또는 숏터치가 감지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탕화면에서 롱터치 또는 숏터치가 감지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악 아이템에서 롱터치 또는 숏터치가 감지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아이템에서 롱터치 또는 숏터치가 감지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아이템에서 롱터치 또는 숏터치가 감지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아이템에서 롱터치 또는 숏터치가 감지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5)

  1. 터치스크린 상에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영역에서 제1 터치방식 또는 제2 터치방식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방식이 감지되면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터치방식이 감지되면 제2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방식 및 제2 터치방식은,
    한 번의 터치로 구성된 터치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방식은 숏터치(Short touch)이고,
    상기 제2 터치방식은 롱터치(Long tou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바로 다음 단 계의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적어도 2단계 이후의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바로 다음 단계의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실행단계로 진입되는 기능 또는 최종단계의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단계는,
    상기 바탕화면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현재 지원되는 기능에 대한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바탕화면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바탕화면에 표시될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 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단계는,
    음악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음악 카테고리 선택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음악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가장 최근 재생된 음악이 재생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단계는,
    비디오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비디오 파일 리스트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비디오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가장 최근 재생된 비디오가 재생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단계는,
    이미지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이미지 파일 리스트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가장 최근 선택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단계는,
    텍스트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텍스트 파일 리스트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텍스트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가장 최근 선택된 텍스트 파일의 내용이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단계는,
    뒤로가기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한 단계 상위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뒤로가기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최상위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12.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영역에서 제1 터치방식이 감지되면 제1 기능이 수행되고, 제2 터치방식이 감지되면 제2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방식 및 제2 터치방식은,
    한 번의 터치로 구성된 터치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방식은 숏터치(Short touch)이고,
    상기 제2 터치방식은 롱터치(Long tou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바로 다음 단계의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적어도 2단계 이후의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바로 다음 단계의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실행단계로 진입되는 기능 또는 최종단계의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탕화면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현재 지원되는 기능에 대한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바탕화면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바탕화면에 표시될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악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음악 카테고리 선택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음악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가장 최근 재생된 음악이 재생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디오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비디오 파일 리스트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비디오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가장 최근 재생된 비디오가 재생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이미지 파일 리스트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이미지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가장 최근 선택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텍스트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텍스트 파일 리스트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텍스트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가장 최근 선택된 텍스트 파일의 내용이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2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뒤로가기 아이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경우, 한 단계 상위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뒤로가기 아이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경우, 최상위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23. 터치스크린 상에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영역에서 특정 터치방식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터치방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터치가 감지된 어느 하나에 대한 실행단계로 진입되는 기능 또는 최하위 메뉴가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터치방식은,
    롱터치(Long tou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25. 터치스크린 상에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 및 바탕화면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영역에서 복수개의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터치방식에 따라,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방법.
KR1020080011382A 2008-02-04 2008-02-04 아이템 또는 바탕화면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감지하는터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20090085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382A KR20090085470A (ko) 2008-02-04 2008-02-04 아이템 또는 바탕화면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감지하는터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CN2008801192622A CN101889261A (zh) 2008-02-04 2008-08-18 提供能够检测菜单或背景上的多种形式的触摸的ui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多媒体装置
EP08793290A EP2240846A4 (en) 2008-02-04 2008-08-18 METHOD FOR PROVIDING A UI WITH THE ABILITY TO DETECT A VARIETY OF TYPES OF TOUCH ON MENUS OR BACKGROUND AND MULTIMEDIA DEVICE THEREWITH
PCT/KR2008/004776 WO2009099268A1 (en) 2008-02-04 2008-08-18 Method for providing ui capable of detecting a plurality of forms of touch on menus or background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US12/204,214 US20090195515A1 (en) 2008-02-04 2008-09-04 Method for providing ui capable of detecting a plurality of forms of touch on menus or background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382A KR20090085470A (ko) 2008-02-04 2008-02-04 아이템 또는 바탕화면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감지하는터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470A true KR20090085470A (ko) 2009-08-07

Family

ID=4093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382A KR20090085470A (ko) 2008-02-04 2008-02-04 아이템 또는 바탕화면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감지하는터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195515A1 (ko)
EP (1) EP2240846A4 (ko)
KR (1) KR20090085470A (ko)
CN (1) CN101889261A (ko)
WO (1) WO2009099268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839A (ko) * 2011-10-28 201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WO2013112354A1 (en) * 2012-01-23 2013-08-01 Microsoft Corporation Confident item selection using direct manipulation
KR20130115647A (ko) * 2012-04-12 201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40000572A (ko) * 2012-06-25 201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에서의 메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468187B1 (ko) * 2012-03-08 2014-12-05 주식회사 오비고 모바일 브라우저 상에서 터치 시간을 참조로 하여 명령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072446A (ko)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와이오즈 포인터에 의한 실행명령 입력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20170026613A (ko) * 2014-08-08 2017-03-08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이미지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740727B1 (en) 2011-08-05 2023-08-29 P4Tents1 Ll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7973A (ja) * 2008-12-22 2010-07-01 Nec Corp 携帯端末装置、操作通知方法および操作通知プログラム
JP5821165B2 (ja) * 2009-09-18 2015-11-24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制御装置、画像制御プログラム及び方法
WO2012008425A1 (ja) * 2010-07-13 2012-01-1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743632B1 (ko) 2010-10-01 201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자책 페이지 넘김 장치 및 방법
EP2437151B1 (en) 2010-10-01 2020-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e-book pages in portable terminal
US9678572B2 (en) 2010-10-01 2017-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e-book pages in portable terminal
US20120256857A1 (en) * 2011-04-05 2012-10-11 Mak Genevieve Elizabeth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8872773B2 (en) * 2011-04-05 2014-10-28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20256846A1 (en) * 2011-04-05 2012-10-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2768840A (zh) * 2011-05-03 2012-11-07 联想移动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控制方法和终端设备
JP5722696B2 (ja) * 2011-05-10 2015-05-2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739278B2 (ja) * 2011-08-25 2015-06-24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62445B1 (ko) 2011-08-30 2019-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20130063369A1 (en) * 2011-09-14 2013-03-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 rendering services using gesture and/or voice control
US20150212664A1 (en) * 2011-10-11 2015-07-30 IQnect Technology Limited System and methods for content-search carousel for mobile-computing devices
JP2013101465A (ja) * 2011-11-08 2013-05-2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660702B1 (en) 2012-05-02 2020-12-30 Sony Corporation Technique for displaying on the basis of duration of operation of an input device
KR101868352B1 (ko) * 2012-05-14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060152B2 (en) 2012-08-17 2015-06-16 Flextronics Ap, Llc Remote control having hotkeys with dynamically assigned functions
US9542720B2 (en) * 2012-10-12 2017-01-10 Sony Corporation Terminal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990035B1 (ko) * 2012-10-31 2019-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D755843S1 (en) * 2013-06-10 2016-05-1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066048B2 (en) 2013-06-17 2015-06-23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audio content while navigating through video streams
KR102138506B1 (ko) * 2013-07-15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110649B2 (en) 2013-08-01 2018-10-23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ing from decompressing one compressed media stream to decompressing another media stream
US9529888B2 (en) 2013-09-23 2016-12-27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providing media and associated metadata
US9716733B2 (en) 2013-09-23 2017-07-25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reusing file portions between different file formats
US9063640B2 (en) * 2013-10-17 2015-06-23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media items in a plurality of sequences of media items
JP6892429B2 (ja) * 2014-03-12 2021-06-23 華為終端有限公司 画面ロック方法およびモバイル端末
CN104461366A (zh) * 2014-12-16 2015-03-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激活移动终端的操作状态的方法及装置
KR102310870B1 (ko) 2015-01-12 202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96519A (ko) * 2016-02-16 2017-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버튼에 터치가 결합된 사용자명령입력부를 갖는 전자장치
KR20180041366A (ko) * 2016-10-14 2018-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90589A (ko) * 2017-02-03 2018-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7057495B2 (ja) 2018-04-03 2022-04-20 株式会社ミクシィ 情報処理装置、探索履歴記憶方法及び探索履歴記憶プログラム
JP2022057763A (ja) * 2020-09-30 2022-04-1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及び車両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2719A (en) * 1992-12-03 1997-03-18 Apple Computer, Inc. Gesture sensitive buttons for graphical user interfaces
US5956030A (en) * 1993-06-11 1999-09-21 Apple Computer, Inc. Computer system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including windows having an identifier within a control region on the display
US6072488A (en) * 1995-05-05 2000-06-06 Apple Comput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placing open window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5896126A (en) * 1996-08-29 1999-04-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on device for touchscreen systems
US5905492A (en) * 1996-12-06 1999-05-18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ally updating themes for an operating system shell
US8479122B2 (en) *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US9292111B2 (en) * 1998-01-26 2016-03-22 Apple Inc. 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US6943778B1 (en) * 2000-11-20 2005-09-13 Nokia Corporation Touch screen input technique
US20050024341A1 (en) * 2001-05-16 2005-02-03 Synaptics, Inc. Touch screen with user interface enhancement
JP4701564B2 (ja) * 2001-08-31 2011-06-15 ソニー株式会社 メニュー表示装置及びメニューの表示方法
US7624351B2 (en) * 2001-10-02 2009-11-24 Verizon Corporate Services Group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JP3842617B2 (ja) * 2001-10-31 2006-11-08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オーディオ装置及び入力方法
US7010755B2 (en) * 2002-04-05 2006-03-07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desktop manager
TWI238348B (en) * 2002-05-13 2005-08-21 Kyocera Corp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a
US20050193351A1 (en) * 2002-08-16 2005-09-01 Myorigo, L.L.C. Varying-content menus for touch screens
US7231231B2 (en) * 2003-10-14 2007-06-1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ing a mobile telephone touch screen
JP3891168B2 (ja) * 2003-10-28 2007-03-14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コンテンツ転送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692627B2 (en) * 2004-08-10 2010-04-0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computer vision and capacitive sensing for cursor control
JP4815927B2 (ja) * 2005-07-27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メニュー表示方法、メニュー表示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メニュー表示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156634A (ja) * 2005-12-01 2007-06-21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JP2007158792A (ja) * 2005-12-06 2007-06-21 Sharp Corp 表示ガイドシステム及び表示ガイド方法
KR100744400B1 (ko) * 2006-03-07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화면에서 빠른 메뉴 제공 방법 및장치
KR20070113022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US7581186B2 (en) * 2006-09-11 2009-08-25 Apple Inc. Media manager with integrated browsers
US20080163053A1 (en) * 2006-12-28 2008-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to provide menu, using menu set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EP1947562A3 (en) * 2007-01-19 2013-04-03 LG Electronics Inc.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touch input device
US9304658B2 (en) * 2007-12-30 2016-04-05 Qualcomm Incorporated On-screen menu buttons including multiple mode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0727B1 (en) 2011-08-05 2023-08-29 P4Tents1 Ll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KR20130046839A (ko) * 2011-10-28 201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WO2013112354A1 (en) * 2012-01-23 2013-08-01 Microsoft Corporation Confident item selection using direct manipulation
KR101468187B1 (ko) * 2012-03-08 2014-12-05 주식회사 오비고 모바일 브라우저 상에서 터치 시간을 참조로 하여 명령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115647A (ko) * 2012-04-12 201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40000572A (ko) * 2012-06-25 201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에서의 메뉴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70026613A (ko) * 2014-08-08 2017-03-08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이미지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503362B2 (en) 2014-08-08 2019-12-10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selection
KR20160072446A (ko)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와이오즈 포인터에 의한 실행명령 입력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40846A1 (en) 2010-10-20
CN101889261A (zh) 2010-11-17
WO2009099268A1 (en) 2009-08-13
US20090195515A1 (en) 2009-08-06
EP2240846A4 (en)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5470A (ko) 아이템 또는 바탕화면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감지하는터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101453914B1 (ko) 복수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101224588B1 (ko) 멀티포인트 스트록을 감지하기 위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100993064B1 (ko) 터치 스크린 적용 음원 재생 장치에서의 음원 선택 재생 방법
KR20090077480A (ko) 조작 가이드를 표시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KR101545875B1 (ko)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
US20140123006A1 (en) User interface for streaming media stations with flexible station creation
US20090199120A1 (en) Customizable, reconfigurable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80189613A1 (en) User interface method for a multimedia playing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US20100146451A1 (en) Handheld terminal capable of supporting menu selection using dragging on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203243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content playback
KR20120007454A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82138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ui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20100132705A (ko) 컨텐츠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20090029135A (ko) 플레이리스트 편집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재생장치
JP201222661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943997A (zh) 一种实现触摸屏终端发出操作提示音的方法及终端
US20090144650A1 (en) Multimedia apparatus to support multiple language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lingual user interface for the same
JP6273118B2 (ja) 情報処理装置
US20100174695A1 (en) One-click selection of music or other content
KR101393714B1 (ko) 단말 및 그의 음악 재생 방법
JP644447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987512B1 (ko) 메뉴 표시 방법 및 미디어 장치
US11086930B2 (en) Method of playing music and computer with function of playing music
KR102037199B1 (ko)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