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722A -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rlc pdu 전송 방법, 자원할당 방법 및 rlc 엔티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rlc pdu 전송 방법, 자원할당 방법 및 rlc 엔티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722A
KR20090084722A KR1020090007152A KR20090007152A KR20090084722A KR 20090084722 A KR20090084722 A KR 20090084722A KR 1020090007152 A KR1020090007152 A KR 1020090007152A KR 20090007152 A KR20090007152 A KR 20090007152A KR 20090084722 A KR20090084722 A KR 20090084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lc
pdu
entity
status pdu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9766B1 (ko
Inventor
이승준
박성준
이영대
천성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9/00047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96746A2/en
Priority to CA2692649A priority patent/CA2692649C/en
Priority to US12/363,387 priority patent/US9008004B2/en
Priority to JP2009553532A priority patent/JP5037633B2/ja
Priority to GB1002891.8A priority patent/GB2467452B/en
Priority to CN200980000296.4A priority patent/CN101682916B/zh
Priority to EP20090151932 priority patent/EP2094049B1/en
Publication of KR20090084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의 MAC 및 RLC 계층이 한정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RLC STATUS PDU를 전송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MAC 계층이 논리채널(logical channel)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논리채널 우선순위화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를 하는데 있어서, RLC 계층에서 전송해야 하는 RLC STATUS PDU의 크기를 고려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하도록 하고, 또한 RLC 계층이 할당된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STATUS PDU를 RLC data PDU보다 우선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RLC 프로토콜이 STATUS PDU를 전송하지 못하여 교착 상태 (deadlock situation)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UMTS, E-UMTS, 이동통신, 무선자원, 상태보고, 우선순위화, PBR, LCP, 수신기, 수신장치, E-UTRAN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RLC PDU 전송 방법, 자원할당 방법 및 RLC 엔티티{METHOD FOR SENDING RLC PDU AND ALLOCATING RADIO RESOURCE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RLC ENTITY OF MOBILE TELECOMMUNICATIONS}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프로토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의 MAC 및 RLC 계층이 한정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RLC STATUS PDU를 우선적으로 전송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인 LTE 시스템의 망 구조이다. LTE 시스템은 기존 UMTS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LTE망은 크게 E-UTRAN (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과 CN (Core Network)으로 구분 할 수 있다. E-UTRAN은 단말 (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 (Evolved NodeB; eNB), 망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망과 연결되는 접속게이트웨이 (Access Gateway; aGW)로 구성된다. aGW는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부분과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도 있다. 이때는 새로운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위한 aGW와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aGW 사이에 새로운 인터 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하나의 eNB에는 하나 이상의 셀 (Cell)이 존재할 수 있다. eNB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혹은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CN은 aGW와 기타 UE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E-UTRAN과 CN을 구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구조이다. 도 3은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이다.
이하,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를 설명한다.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계층 (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계층 (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계층 (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데이터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평면 (User Plane)과 제어신호 (Signaling) 전달을 위한 제어평면 (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도 2와 도3의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시스템간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 (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프로토콜 계층들은 단말과 E-UTRAN에 쌍(pair)으로 존재하여, 무선 구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이하, 상기 도 2의 무선프로토콜 제어평면과 도3의 무선프로토콜 사용자평면 의 각 계층을 설명한다.
제1계층인 물리 (Physical; PHY) 계층은 물리채널 (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전송서비스 (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PHY 계층은 상위의 매체접속제어 (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과 전송채널 (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송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PHY 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이동한다. 이때, 전송채널은 크게 채널의 공유 여부에 따라 전용 (Dedicated) 전송채널과 공용 (Common) 전송채널로 나뉜다. 그리고, 서로 다른 PHY 계층 사이, 즉 송신측과 수신측의 PHY 계층 사이는 무선 자원을 이용한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제2계층에는 여러 가지 계층이 존재한다. 먼저 매체접속제어 (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다양한 논리채널 (Logical Channel)을 다양한 전송채널에 매핑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여러 논리채널을 하나의 전송채널에 매핑시키는 논리채널 다중화 (Multiplexing)의 역할을 수행한다. MAC 계층은 상위계층인 RLC 계층과는 논리채널 (Logical Channel)로 연결되어 있으며, 논리채널은 크게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어평면 (Control Plane)의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채널 (Control Channel)과 사용자평면 (User Plane)의 정보를 전송하는 트래픽채널 (Traffic Channel)로 나뉜다.
제2계층의 무선링크제어 (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은 상위계층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할 (Segmentation) 및 연결 (Concatenation)하여 하위계층이 무선 구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도록 데이터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 행한다. 또한, 각각의 무선베어러 (Radio Bearer; RB)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TM (Transparent Mode, 투명모드), UM (Un-acknowledged Mode, 비확인모드), 및 AM (Acknowledged Mode, 확인모드)의 세가지 동작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AM 모드로 동작하는 RLC 계층 (이하 AM RLC 계층이라고 함)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자동 반복 및 요청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ARQ) 기능을 통한 재전송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제2계층의 패킷데이터수렴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은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 전송시에 대역폭이 작은 무선 구간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담고 있는 IP 패킷 헤더 사이즈를 줄여주는 헤더압축 (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데이터의 헤더(Header) 부분에서 반드시 필요한 정보만을 전송하도록 하여, 무선 구간의 전송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3계층의 가장 상부에 위치한 무선자원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베어러 (Radio Bearer; RB)들의 설정 (Configuration), 재설정 (Re-configuration) 및 해제 (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여기서, RB는 단말과 UTRAN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무선 프로토콜의 제1 및 제2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path)를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RB는 다시 SRB (Signaling RB) 와 DRB (Data RB) 두가지로 나누어 지는데, SRB는 C-plane에서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DRB는 U-plane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이하 RLC계층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RLC 계층에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TM, UM 및 AM의 세가지 모드가 있는데, TM의 경우에는 RLC에서 수행하는 기능이 거의 없으므로 여기서는 UM 과 AM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한다.
UM RLC는 각 PDU마다 일련번호(Sequence Number; 이하 SN이라 약칭함)를 포함한 PDU 헤더를 붙여 보냄으로써, 수신측으로 하여금 어떤 PDU가 전송 중 소실되었는가를 알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기능으로 인해 UM RLC는 주로 사용자평면에서는 방송/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전송이나 패킷 서비스 영역(Packet Service domain; 이하 PS domain으로 약칭함)의 음성(예:VoIP)이나 스트리밍 같은 실시간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며, 제어평면에서는 셀 내의 특정 단말 또는 특정 단말 그룹에게 전송하는 RRC 메시지 중 수신확인 응답이 필요 없는 RRC 메시지의 전송을 담당한다.
AM RLC는 UM RLC와 마찬가지로 PDU 구성 시에 SN를 포함한 PDU 헤더를 붙여 PDU를 구성하지만, UM RLC와는 달리 송신측이 송신한 PDU에 대해 수신측이 응답(Acknowledgement)을 하는 큰 차이가 있다. AM RLC에서 수신측이 응답을 하는 이유는 자신이 수신하지 못한 PDU에 대해 송신측이 재전송 (Retransmission)을 하도록 요구하기 위해서이며, 이러한 재전송 기능이 AM RLC의 가장 큰 특징이다. 결국 AM RLC는 재전송을 통해 오류가 없는(error-free)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데 그 목 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으로 인해 AM RLC는 주로 사용자평면에서는 PS domain의 TCP/IP 같은 비실시간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며, 제어평면에서는 셀 내의 특정 단말에게 전송하는 RRC 메시지 중 수신확인 응답이 반드시 필요한 RRC 메시지의 전송을 담당한다.
방향성 면에서 보면, UM RLC는 단방향(uni-directional) 통신에 사용되는데 반해, AM RLC는 수신측으로부터의 피드백(feedback)이 있기 때문에 양방향(bi-directional) 통신에 사용된다. 구조적인 면에서도 차이가 있는데, UM RLC는 하나의 RLC 개체가 송신 또는 수신의 한가지 구조로 되어있지만, AM RLC는 하나의 RLC 개체 안에 송신과 수신측이 모두 존재한다.
AM RLC가 복잡한 이유는 재전송 기능에 기인한다. 재전송 관리를 위해 AM RLC는 송수신 버퍼 외에 재전송 버퍼를 두고 있으며, 흐름 제어를 위한 송수신 윈도우의 사용, 송신측이 피어(peer) RLC 개체의 수신측에 상태정보를 요구하는 폴링(Polling), 수신측이 피어 RLC 개체의 송신측으로 자신의 버퍼 상태를 보고하는 상태정보 보고(Status Report), 상태정보를 실어 나르기 위한 상태 PDU(Status PDU) 구성 등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이들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AM RLC에는 여러 가지 프로토콜 파라미터, 상태 변수 및 타이머도 필요하게 된다. 이런 상태정보 보고 또는 상태 PDU 등의 AM RLC에서 데이터 전송의 제어를 위해서 사용되는 PDU들을 Control PDU라고 부르고 User Data를 전달하기 위해 쓰이는 PDU들을 Data PDU라고 부른다.
AM RLC에서 RLC Data PDU는 구체적으로, AMD PDU와 AMD PDU Segment로 나뉜 다. AMD PDU segment는 AMD PDU에 속하는 데이터의 일부를 가진다. LTE 시스템에서는 매번 단말이 전송하게 되는 데이터 블록의 최대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한다. 따라서, 어떤 시점에서 송신측 AM RLC 엔티티는 크기가 200byte인 AMD PDU를 구성하여 전송한 후, 수신측 AM RLC로부터 NACK을 수신하여 상기 송신측이 상기 AMD PDU를 재전송하려고 할 때, 실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블록의 최대크기가 100byte라면 상기 AMD PDU는 그대로는 재전송될 수 없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AMD PDU segment이며, AMD PDU segment는 해당 AMD PDU가 작은 단위로 나뉘어 진 것을 의미한다. 상기 과정에서 송신측 AM RLC 엔티티는 상기 AMD PDU를 AMD PDU Segment로 나뉘어 여러 시간에 걸쳐 전송하며, 수신측 AM RLC 엔티티는 상기 수신된 AMD PDU segment들로부터 AMD PDU를 복원한다.
수신측 AM RLC는 자신이 제대로 수신하지 못한 데이터가 있는 경우 이를 송신측 AM RLC에 알려 재전송을 요구한다. 이를 상태정보 보고 (Status Report)라고 하며, 이는 Control PDU 중 하나인 STATUS PDU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도 4는 현재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STATUS PDU 구조이다. 도 4에서, 가로축은 RLC STATUS PDU의 길이로서 8비트, 즉 1 옥텟(Octet)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RLC STATUS PDU의 각 필드를 설명한다.
1. D/C (Data/Control) 필드: 1비트
해당 RLC PDU가 RLC Data PDU인지 RLC Control PDU인지를 알려준다.
2. CPT (Control PDU Type)필드 : 3비트
해당 Control PDU가 어떤 type인지 알려준다. 현재 RLC Control PDU에는 STATUS PDU만 정의되어 있다.
3. ACK_SN (Acknowledgement Sequence Number)
STATUS PDU가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첫번째 PDU의 RLC SN이다. 송신측은 이 STATUS PDU를 수신하면, 수신측이 ACK_SN ? 1에 해당하는 PDU까지의 PDU들 중에서 NACK_SN 또는 NACK_SN, SOstart, SOend에 해당하는 PDU 또는 그 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제대로 수신했다고 판단한다.
4. E1 (Extension 1): 1비트
이번 NACK_SN element (즉, NACK_SN 또는 NACK_SN, SOstart, SOend) 다음에 다른 NACK_SN element가 있는지를 알려준다.
5. NACK_SN (Negative Acknowledgement Sequence Number)
수신에 실패한 AMD PDU 또는 AMD PDU segment의 RLC SN이다.
5. E2 (Extension 2): 1비트
이번 NACK_SN에 해당하는 SOstart와 SOend 필드가 있는지를 알려준다.
6. SOstart (Segment Offset Start) and SOend (Segment Offset End)
NACK_SN에 해당하는 PDU 중 일부분(segment)만 NACK인 경우에 사용한다. 상기 일부분 중 첫번째 바이트는 SOstart에 해당하고 마지막 바이트는 SOend에 해당한다.
한편, 수신측 AM RLC는 아무 때나 Status Report를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특정 조건이 만족되어야만 Status Reporting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Status Reporting Trigger라고 하며, 현재 LTE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조건을 사용한다:
첫째 조건, 송신측 Polling 이다.
즉, 송신측 AM RLC는 수신측으로부터 Status Report를 받고자 할 경우, RLC data PDU에 Poll bit을 셋팅하여 전송한다. 수신측 AM RLC는 Poll bit이 셋팅된 RLC data PDU를 수신하면 Status Report를 trigger한다.
둘째 조건, RLC data PDU의 수신 실패 검출이다.
즉, 수신측 AM RLC는 HARQ reordering이 끝난 후 수신 실패한 RLC data PDU (즉, AMD PDU 또는 AMD PDU segment)를 검출하면 Status Report를 trigger한다.
그리고, Status Report가 trigger되면 수신측 AM RLC는 수신버퍼 상황을 STATUS PDU를 통해 송신측으로 전송하는데, 이 때 STATUS PDU에는 수신윈도우의 시작점에 해당하는 PDU (=VR(R)) 부터 HARQ reordering이 끝난 PDU 중 마지막 PDU (=VR(MS)) 까지의 정보를 실어 전송한다. 여기서, VR(R), VR(MS)는 상태변수이다.
상기의 상태변수 (State Variable)인 VR(R), VR(MS) 등은, 수신측 AM RLC가 관리하는 상태변수로서 수신윈도우 및 상태정보 보고 등을 위해 사용되는 상태변수들이다. 그 외에도 수신측 AM RLC에는 몇가지 상태변수들이 더 있으며, 이러한 수신측 AM RLC의 상태변수들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VR(R): Receive state variable
ㅇ순차적(in-sequenc)으로 수신한 AMD PDU 중 마지막 AMD PDU의 다음 AMD PDU에 해당하는 SN(Sequence Number)이다.
ㅇ수신측 AM RLC가 완전하게(completely) 수신하지 못한 AMD PDU 중 첫번째 AMD PDU이다.
ㅇ수신윈도우의 시작점 (lower edge)에 해당한다.
ㅇ초기값은 0이며, SN=VR(R)에 해당하는 AMD PDU를 완전하게 수신하면 그 다음에 처음으로 완전하게 수신하지 못한 AMD PDU의 SN 값으로 업데이트된다.
- VR(MR): Maximum acceptable receive state variable
ㅇ수신윈도우 밖에 있는 AMD PDU 중 첫번째 AMD PDU의 SN이다.
ㅇ수신윈도우의 끝점 (higher edge)에 해당한다.
ㅇVR(R)이 업데이트 될 때 VR(MR) = VR(R) + AM_Window_Size 와 같이 업데이트된다.
- VR(X): T_reordering state variable
ㅇHARQ reordering을 관리하는 타이머인 T_reordering을 구동시킨 RLC data PDU의 다음 RLC data PDU에 해당하는 SN이다.
ㅇ수신측 AM RLC가 구동 중인 T_reordering이 없는 상황에서 out-of-sequence인 RLC data PDU를 수신하면 T_reordering을 구동시키고, VR(X)를 상기 RLC data PDU의 다음 RLC data PDU의 SN 값으로 셋팅한다.
- VR(MS): Maximum Status transmit state variable
ㅇSTATUS PDU에 HARQ reordering이 완료된 RLC data PDU에 대한 정보만을 싣기 위해 사용하는 상태변수이다.
ㅇ초기값은 0이며, SN=VR(MS)에 해당하는 AMD PDU를 완전하게 수신하면 그 다음에 처음으로 완전하게 수신하지 못한 AMD PDU의 SN 값으로 업데이트된다.
ㅇT_reordering이 만료되면, VR(X) 이상의 AMD PDU 중 첫번째로 완전하게(completely) 수신하지 못한 AMD PDU의 SN 값으로 업데이트 하고, ACK_SN을 VR(MS)로 셋팅하여 STATUS PDU를 구성한다.
- VR(H): Highest received state variable
ㅇ수신측 AM RLC가 수신한 RLC data PDU 중 가장 높은 SN의 바로 다음 SN 값, 즉 수신측 AM RLC가 첫번째로 수신하지 못한 RLC data PDU의 SN 값이다.
ㅇ초기값은 0이며, VR(H) 이상의 RLC data PDU를 수신하면 상기 RLC data PDU의 다음 RLC data PDU의 SN 값으로 업데이트된다.
이하, MAC 계층에서 수행하는 논리채널 우선순위화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에 대해 설명한다.
여러 RB(Radio Bearer)가 하나의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로 다중화(Multiplexing)되어 전송되는 경우, LTE 단말은 MAC 계층에서 매 전송 시마다 주어진 무선자원(Radio Resource)에 대해 다음과 같은 규칙을 사용하여 각 RB의 전송 데이터 양을 결정한다.
1. 먼저 다중화된 RB들에 대해 각각의 논리채널 우선순위(Logical Channel Priority, LCP)의 내림차순으로 전송 데이터 양을 결정하며, 각 RB에 있어서 최대 PBR(Priority Bit Rate, 우선화 비트레이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만큼 전송량을 결정한다.
2. 남는 무선자원이 있을 경우, 다시 다중화된 RB들에 대해 각각의 LCP의 내림차순으로 전송 데이터 양을 결정한다.
여기서, LCP는 현재 1~8 정도로 논의되고 있으며, 1이 최상(highest)이고 8이 최소(lowest)로 정의되어 있다. PBR은 해당 RB에 대해 보장하는 최소의 비트레이트로서, 무선 환경이 매우 나쁜 경우에도 LTE 시스템은 그 정도의 비트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PBR의 범위는 최소 0에서 무한대까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각 RB의 LCP와 PBR은, 초기에 RB가 설정될 때 RB 설정 (Setup) 메시지를 통해 네트워크 RRC로부터 단말 RRC에게 전달된다. RB setup 메시지를 받은 단말 RRC는 필요한 RB를 설정하고, 각 RB의 LCP와 PBR 정보를 단말 MAC에게 전달한다. 이 정보를 받은 MAC은 매 전송 시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마다 주어진 Radio Resource에 대해 위와 같은 규칙으로 각 RB들의 전송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MAC에서 논리채널 우선순위화 과정을 수행할 때 MAC은 LCP와 PBR 만을 고려한다. 따라서, 어떤 논리채널(logical channel)에 있어서는 할당된 무선 자원이 해당 논리채널을 통해 전송해야 할 RLC STATUS PDU에 비해 작은 경우가 발생한다. 그런데, 수신측 AM RLC는 상태보고(Status Report)가 트리거(trigger)되면, 정해진 범위에 있는 AMD PDU들에 대한 정보를 모두 STATUS PDU에 실어 전송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STATUS PDU를 전송할 무선 자원이 STATUS PDU보다 작다면 구성된 STATUS PDU를 전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구성한 RLC STATUS PDU를 전송할 수 없게 되어 교착 상태(deadlock)에 빠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MAC 계층이 논리채널(logical channel)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논리채널 우선순위화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를 하는데 있어서, RLC 계층에서 전송해야 하는 RLC STATUS PDU의 크기를 고려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하도록 하고, 또한 RLC 계층이 할당된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STATUS PDU를 RLC data PDU보다 우선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RLC 프로토콜이 STATUS PDU를 전송하지 못하여 교착 상태 (deadlock situation)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MAC에서의 동작과 RLC에서의 동작을 각각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RLC PDU들의 전송방법은,
RLC (Radio Link Control) 엔티티가 MAC(Medium Access Control) 엔티티로부터 가용한 자원을 지시받는 단계와; RLC 데이터(Data) PDU(Protocol Data Unit)들 보다 RLC 제어(Control) PDU들이 우선하여 전송하기 위해, 상기 RLC 엔티티가 상기 가용한 자원을 사용하여 우선순위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RLC 엔티티가 상기 가용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우선순위화된 RLC PDU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LC 제어 PDU들에 상기 가용한 자원을 우선 할당하고,
가용 자원이 남아있는 경우, 상기 RLC 데이터 PDU들에 그 남은 가용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LC 제어 PDU들은 RLC 상태 (STATUS) PDU들이고, 상기 MAC 엔티티로부터 지시된 가용한 자원이 하나의 상태 PDU의 크기보다 작으면, 상기 송신 RLC 엔티티가 상기 상태 PDU 전송을 스킵(skip)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매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마다 상기 가용한 자원과 상기 하나의 상태 PDU의 크기를 검사하여, 무선 자원의 크기가 RLC 제어 PDU보다 클 때 STATUS PDU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LC 제어 PDU들은 RLC 상태 (STATUS) PDU들이고,
상기 RLC엔티티는 매 TTI 마다 전송해야 하는 상태(STATUS) PDU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만약 상태(STATUS) PDU가 있으면 상기 상태(STATUS) PDU의 크기를 상기 MAC 엔티티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RLC(Radio Link Control) 엔티티가 전송할 각 RLC 상태(STATUS) PDU(Protocol Data Unit)의 크기를 고려하여, MAC(Medium Access Control) 엔티티가 우선순위 내림차순으로 논리채널들에 대해 상기 각 RLC STATUS PDU에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각 RLC STATUS PDU에 할당하고 남은 무선자원이 있는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우선순위 내림차순으로 PBR(Prioritized Bit Rate)를 고려하여 상기 남은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MAC 엔티티가이 상기 우선순위 내림 차순으로 RLC 데이터 PDU에 상기 남은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MAC 엔티티는
상기 RLC 엔티티가 매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마다 전송해야 하는 상태(STATUS) PDU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STATUS PDU가 있는 경우 상기 STATUS PDU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할당 방법은,
RLC (Radio Link Control) 엔티티가 전송할 각 RLC STATUS PDU(Packet Data Unit)의 크기 및 PBR(Priority Bit Rate)를 고려하여, MAC(Medium Access Control) 엔티티가 우선순위 내림차순으로 논리채널들에 대해 상기 각 RLC STATUS PDU에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MAC 엔티티가 상기 우선순위 내림 차순으로 RLC 데이터 PDU에 상기 남은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MAC 엔티티는
상기 RLC 엔티티가 매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마다 전송해야 하는 STATUS PDU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STATUS PDU가 있는 경우 상기 STATUS PDU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RLC 엔티티는,
MAC (Medium Access Control) 엔티티로부터 자원에 대한 지시를 수신하고;
Peer RLC (Radio Link Control) 엔티티로 전송할 STATUS PDU (Protocol Data Unit)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한 무선자원의 크기와 상기 전송할 상태(STATUS) PDU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 상기 무선자원이 상기 상태(STATUS) PDU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태(STATUS) PDU에 상기 자원을우선적으로 할당하여 peer RLC 엔티티에 상기 할당한 상태(STATUS) PDU를 전송을 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 상기 무선자원이 상기 상태(STATUS) PDU보다 작은 경우 상기 상태(STATUS) PDU의 전송을 스킵(skip)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수신측 AM RLC는 전송해야 할 STATUS PDU에 비해 주어진 무선 자원의 크기가 작은 경우는 동작 방법이 정의되어 있지 않아 프로토콜이 교착 상태 (deadlock situation)에 빠지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MAC 계층이 자원을 할당할 때 RLC STATUS PDU 크기를 고려하여 할당하고, 또한 RLC 계층이 자원을 할당할 때 RLC STATUS PDU에 우선적으로 할당하도록 하여, 무선 상황과 관계없이 프로토콜이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되며, 특히 LTE 시스템 및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통신시스템 및 통신 프로토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미국 가출원들(61/025,311 2008년 2월 1일자 출원 및 61/026,119 2008년 2월 4일자 출원)을 기초로 우선권주장을 하는 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미국 가출원의 내용을 원용할 수 있음을 밝힙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복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 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거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어떤 논리채널(logical channel)에 있어서는 할당된 무선 자원이 해당 논리채널을 통해 전송해야 할 RLC STATUS PDU에 비해 작은 경우에 STATUS PDU를 발생할 수 없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1) MAC 계층(MAC 엔티티)이 논리채널(logical channel)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논리채널 우선순위화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를 하는데 있어서, 2) RLC 계층에서 전송해야 하 는 RLC STATUS PDU의 크기를 고려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하도록 하고, 또한 3) RLC 계층이 할당된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STATUS PDU를 RLC data PDU보다 우선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4) RLC 프로토콜이 STATUS PDU를 전송하지 못하여 교착 상태 (deadlock situation)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는 MAC 계층에서의 동작 방법이고,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RLC 계층에서의 동작 방법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무선자원은 자원이라 약칭할 수 있고, 또한 STATUS PDU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이기에 전송자원(transmitting resource)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내지 제 실시 예에서, STATUS PDU는 RLC 엔티티가 peer RLC 엔티티에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STATUS PDU는 RLC STATUS PDU이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 두 개의 명칭, STATUS PDU 및 RLC STATUS PDU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한다.
MAC계층은 논리채널 우선순위화(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과정을 수행할 때, 각 논리채널(logical channel)에 대해 RLC에서 생성하는 STATUS PDU 크기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방법이다. 즉,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과정이 수행될 때, 맨 먼저 각 logical channel의 우선순위 내림차순으로 각 logical channel의 RLC STATUS PDU 크기를 고려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이후에 종래의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의 제1 실시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MAC 계층의 논리채널 우선순위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서 논리채널 우선순위화 과정은 매 TTI 마다 수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MAC 계층(또는 MAC 엔티티)는 각 RLC 엔티티로부터 RLC STATUS PDU의 크기 정보를 수신한다(S1). MAC 계층은 각 RLC 엔티티로부터 수신한 RLC STATUS PDU의 크기 정보를 고려하여 각 우선순위 내림차순으로 각 논리채널에 무선자원을 할당한다(S2).
상기 단계(S2) 과정에서 각 논리채널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남은 무선자원이 남아 있다면(S3), 우선순위 내림차순으로 구성된 각 PBR을 고려하여 각 논리채널에 그 남은 무선자원을 할당한다(S4). 상기 단계(S4) 단계 후 남은 자원이 있다면(S5), 우선순위 내림차순으로 데이터에 남은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S6).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MAC 계층의 논리채널 우선순위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의 실시 예는 MAC 계층의 논리채널 우선순위화 과정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6에서 논리채널 우선순위화 과정은 매 TTI 마다 수행된다. 도 5의 제1 실시 예와 비교할 때, 도 6의 실시 예는 MAC 계층이 논리채널을 할당할 때, STATUAS PDU의 크기와 PBR을 함께 고려하여, 논리채널 우선순위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모든 논리채널을 우선순위 내림차순으로 하여 각 PBR 미 각 RLC STATUS PDU를 고려하여 할당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MAC 계층(또는 MAC 엔티티)는 각 RLC 엔티티로부터 RLC STATUS PDU의 크기 정보를 수신한다(S11). MAC 계층은 각 RLC 엔티티로부터 수신한 RLC STATUS PDU의 크기 정보 및 각 PBR를 고려하여 각 우선순위 내림차순으로 각 논리채널에 무선자원을 할당한다(S12).
상기 단계(S12) 단계 후 남은 자원이 있다면(S13), 우선순위 내림차순으로 데이터에 남은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S14).
한편,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의 경우, 매 TTI 마다 논리채널 우선순위화(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과정에서 각 logical channel의 RLC STATUS PDU 크기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RLC 엔티티가 전송할 STATUS PDU의 크기를 MAC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는 RLC 엔티티와 MAC 계층 간에 상호 교신(interaction)을 통해 RLC STATUS PDU의 크기 정보를 고려하여 무선자원을 논리채널에 할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무선자원을 STATUS PDU를 data PDU 보다 우선하여 할당함으로써, data PDU 보다 STATUS PDU를 우선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로서, RLC 계층의 STATUS PDU의 크기를 고려한 무선자원할당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MAC에서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 TTI 마다 RLC는 전송해야 하는 STATUS PDU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만약 STATUS PDU가 있으면 상기 STATUS PDU의 크기를 MAC에게 알려주어야 한 다. 이러한 RLC-MAC 상호교신(interaction)은 상기의 MAC 동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그런데, 이와는 별도로 RLC 자체적으로 RLC 교착 상태를 회피하는 할 수 있다.
즉, RLC 엔티티가 MAC 계층으로부터 가용한 자원의 지시를 수신할 때,
만약 그 가용자원이 STATUS PDU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다면, RLC 엔티티는 RLC 데이터 PDU들 보다 STATUS PDU를 우선하여 전송하도록 우선순위화를 수행하는 한다. 즉, RLC STATUS PDU를 먼저 할당하고, 그 다음 가용자원이 남아 있다면 RLC 데이터 PDU들에 자원을 할당하는 것이다.
또한, MAC으로부터 지시된 가용자원이 STATUS PDU 보다 작다면, RLC 엔티티는 현재 전송할 시기에서 STATUS PDU의 전송을 하지 않는 것이다(skip). 다시 말해서, RLC 엔티티는 가장 적합한 시기(in the earliest transmitting opportunity), 즉 가용자원이 STATUS PDU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은 때에, STATUS PDU를 전송하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MAC 계층으로부터 가용자원의 지시를 수신한다(S21). 상기 수신한 가용자원의 크기가 RLC엔티티가 전송하려는 STATUS PDU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다면(S22), RLC 엔티티는 상기 무선자원을 RLC STATUS PDU에 우선적으로 할당한다(S23). 그리고, RLC 엔티티가 상기 STATUS PDU에 할당하고 이후 남는 자원이 있으면, RLC data PDU를 할당한다(S24). 그러나, 만약 무선 자원의 크기가 STATUS PDU 크기보다 작다면(S22), 이번 TTI에서는 RLC STATUS PDU 전송을 하지 않고 (skip), 이후 매 TTI 마다 무선 자원의 크기를 검사하여 무선 자원의 크기가 STATUS PDU보다 클 때 STATUS PDU를 전송한다(S25).
이하, 본 발명에 따른 RLC 엔티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RLC 엔티티는 MAC 계층으로부터 무선자원의 지시를 수신하고,
Peer RLC 엔티티로 전송할 STATUS PDU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한 무선자원의 크기와 상기 전송할 STATUS PDU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 상기 무선자원이 상기 STATUS PDU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STATUS PDU에 우선적으로 할당하여 peer RLC 엔티티에 상기 할당한 STATUS PDU를 전송을 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 상기 무선자원이 상기 STATUS PDU보다 작은 경우 상기 STATUS PDU의 전송을 스킵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한편, 상기 모듈은 그 기능에 따라 다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모듈은 무선자원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무선자원의 크기와 상기 전송할 STATUS PDU의 크기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STATUS PDU를 전송하는 송신부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듈은 그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RLC 엔티티는, 상술한 구성요소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예를 들어 출력장치(디스플레이, 스피커 등), 입력장치(키패드, 마이크 등), 메모리, 송수신부(RF 모듈, 안테 나 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본 발명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인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여기까지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 매체(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내부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기타 등등)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내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인 LTE 시스템의 망 구조이다.
도 2는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구조이다.
도 3은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이다.
도 4는 현재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STATUS PDU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MAC 계층의 논리채널 우선순위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MAC 계층의 논리채널 우선순위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로서, RLC 계층의 STATUS PDU의 크기를 고려한 무선자원할당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0)

  1. RLC (Radio Link Control) 엔티티가 MAC (Medium Access Control) 엔티티로부터 가용한 자원을 지시받는 단계와;
    RLC 데이터 (Data) PDU (Protocol Data Unit)들 보다 RLC 제어 (Control) PDU들이 우선하여 전송하기 위해, 상기 RLC 엔티티가 상기 가용한 자원을 사용하여 우선순위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RLC 엔티티가 상기 가용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우선순위화된 RLC PDU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RLC PDU들의 전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LC 제어 PDU들에 상기 가용한 자원을 우선 할당하고,
    상기 가용한 자원이 남아있는 경우, 상기 RLC 데이터 PDU들에 그 남은 가용한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RLC PDU들의 전송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LC 제어 PDU들은 RLC 상태 (STATUS) PDU들이고, 상기 MAC 엔티티로부터 지시된 가용한 자원이 하나의 상태 PDU의 크기보다 작으면, 상기 송신 RLC 엔티 티가 상기 상태 PDU 전송을 스킵(skip)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RLC PDU들의 전송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매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마다 상기 가용한 자원과 상기 하나의 상태 PDU의 크기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RLC PDU들의 전송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LC 제어 PDU들은 RLC 상태 (STATUS) PDU들이고, 상기 RLC 엔티티는
    매 TTI 마다 전송해야 하는 상태 (STATUS) PDU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만약 상태 (STATUS) PDU가 있으면 상기 상태 (STATUS) PDU의 크기를 상기 MAC 엔티티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RLC PDU들의 전송방법.
  6. RLC (Radio Link Control) 엔티티가 전송할 각 RLC 상태 (STATUS) PDU (Protocol Data Unit)의 크기를 고려하여, MAC (Medium Access Control) 엔티티가 우선순위 내림차순으로 논리채널들에 대해 상기 각 RLC STATUS PDU에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각 RLC STATUS PDU에 할당하고 남은 무선자원이 있는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우선순위 내림차순으로 PBR (Prioritized Bit Rate)를 고려하여 상기 남은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MAC 엔티티가 상기 우선순위 내림 차순으로 RLC 데이터 PDU에 상기 남은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AC 엔티티는
    상기 RLC 엔티티가 매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마다 전송해야 하는 상태(STATUS) PDU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STATUS PDU가 있는 경우 상기 STATUS PDU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8. RLC (Radio Link Control) 엔티티가 전송할 각 RLC STATUS PDU(Packet Data Unit)의 크기 및 PBR(Priority Bit Rate)를 고려하여, MAC(Medium Access Control) 엔티티가 우선순위 내림차순으로 논리채널들에 대해 상기 각 RLC STATUS PDU에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MAC 엔티티가 상기 우선순위 내림 차순으로 RLC 데이터 PDU에 상기 남은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AC 엔티티는
    상기 RLC 엔티티가 매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마다 전송해야 하는 STATUS PDU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STATUS PDU가 있는 경우 상기 STATUS PDU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10. MAC (Medium Access Control) 엔티티로부터 자원에 대한 지시를 수신하고;
    Peer RLC (Radio Link Control) 엔티티로 전송할 상태(STATUS) PDU (Protocol Data Unit)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한 자원의 크기와 상기 전송할 상태 PDU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 상기 자원이 상기 상태 PDU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태 PDU에 상기 자원을 우선적으로 할당하여 peer RLC 엔티티에 상기 상태 PDU를 전송을 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 상기 자원이 상기 상태 PDU보다 작은 경우 상기 상태 PDU의 전송을 스킵(skip)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RLC 엔티티.
KR20090007152A 2008-02-01 2009-01-29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rlc pdu 전송 방법, 자원할당 방법 및 rlc 엔티티 KR101509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0479 WO2009096746A2 (en) 2008-02-01 2009-01-30 Method for sending rlc pdu and allocating radio resource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rlc entity of mobile communications
CA2692649A CA2692649C (en) 2008-02-01 2009-01-30 Method for sending rlc pdu and allocating radio resource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rlc entity of mobile communications
US12/363,387 US9008004B2 (en) 2008-02-01 2009-01-30 Method for sending RLC PDU and allocating radio resource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RLC entity of mobile communications
JP2009553532A JP5037633B2 (ja) 2008-02-01 2009-01-30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rlcpdu送信方法、無線リソース割当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のrlcエンティティ
GB1002891.8A GB2467452B (en) 2008-02-01 2009-01-30 Method for sending RLC PDU and allocating radio resource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RLC entity of mobile communications
CN200980000296.4A CN101682916B (zh) 2008-02-01 2009-01-30 在移动通信系统中发送rlc pdu和分配无线资源的方法以及移动通信的rlc实体
EP20090151932 EP2094049B1 (en) 2008-02-01 2009-02-03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RLC PDU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31108P 2008-02-01 2008-02-01
US61/025,311 2008-02-01
US2611908P 2008-02-04 2008-02-04
US61/026,119 2008-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722A true KR20090084722A (ko) 2009-08-05
KR101509766B1 KR101509766B1 (ko) 2015-04-15

Family

ID=4120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7152A KR101509766B1 (ko) 2008-02-01 2009-01-29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rlc pdu 전송 방법, 자원할당 방법 및 rlc 엔티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37633B2 (ko)
KR (1) KR101509766B1 (ko)
CN (1) CN101682916B (ko)
GB (1) GB246745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9204A3 (en) * 2009-08-12 2011-06-23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for logical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137138A (ko) * 2019-03-22 2021-11-17 스프레드트럼 커뮤니케이션즈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장치, 저장 매체 및 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61718A4 (en) * 2010-04-23 2015-06-03 Nokia Corp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 RADIO RESOURCE ASSIGNMENT
CN104685959B (zh) * 2012-09-12 2019-04-09 英特尔公司 具有统一接口的无源无线电链路控制实体
CN107302770A (zh) * 2016-04-15 2017-10-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重传方法及装置
CN107846369A (zh) * 2016-09-19 2018-03-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业务调度方法和装置以及对应的基站
CN106717102B (zh) * 2016-11-09 2020-07-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控制协议数据单元pdu发送方法及装置
CN111294980B (zh) * 2019-03-28 2022-02-1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无线承载建立方法及装置
CN113678531B (zh) * 2019-09-26 2024-03-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逻辑信道复用的方法和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5890B (en) * 1999-10-28 2003-10-08 Ericsson Telefon Ab L M Data transmiss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1341336B1 (en) * 2002-02-14 2005-07-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ata rate of transmitting data packe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receiver and transmitter therefor
KR100876730B1 (ko) * 2002-07-08 2008-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효율적인 초기전송 포맷 결합 인자 설정 방법
JP2004274170A (ja) * 2003-03-05 2004-09-30 Ntt Docomo Inc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無線通信装置、情報送信装置、中継装置、管理サーバ及び通信方法
KR101048256B1 (ko) * 2004-03-31 201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요도에 따른 데이터 전송방법
US7885245B2 (en) * 2004-07-19 2011-02-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uplink multiplexing
EP1811727A3 (en) * 2005-02-07 2008-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tatus report for retransmission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137327B1 (ko) * 2005-05-06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채널 스케쥴링을 위한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상향링크 채널 스케쥴링 방법
CN100512290C (zh) * 2005-08-12 2009-07-08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生成传输数据块的方法
KR101276024B1 (ko) * 2006-03-21 2013-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의 프로토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
KR20080018055A (ko) * 2006-08-23 2008-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9204A3 (en) * 2009-08-12 2011-06-23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for logical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88540B2 (en) 2009-08-12 2013-07-1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for logical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335869B1 (ko) * 2009-08-12 2013-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논리채널에 대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US9019926B2 (en) 2009-08-12 2015-04-2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for logical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39043B2 (en) 2009-08-12 2017-12-0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for logical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137138A (ko) * 2019-03-22 2021-11-17 스프레드트럼 커뮤니케이션즈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장치, 저장 매체 및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2916B (zh) 2016-09-07
JP2010521869A (ja) 2010-06-24
CN101682916A (zh) 2010-03-24
KR101509766B1 (ko) 2015-04-15
GB201002891D0 (en) 2010-04-07
GB2467452B (en) 2012-10-24
JP5037633B2 (ja) 2012-10-03
GB2467452A (en) 201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571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状態情報送信方法及び受信装置
EP20940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RLC PDU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8270348B2 (en) Method for sending status inform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receiver of mobile telecommunications
AU2006229508B2 (en) Method of generating lower layer data block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944212B2 (ja) セミパーシステント・スケジューリングのための(h)arq
AU2007203852B2 (en) Transmitt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936731B2 (en) Method of processing HARQ by considering measurement gap
AU2010208807B2 (en) Signal transmission scheme for efficient management of 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
KR10150976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rlc pdu 전송 방법, 자원할당 방법 및 rlc 엔티티
US8681608B2 (en) Method for enhancing of controlling radio resources and transmitting status report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receiver of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KR20120023374A (ko) 무선링크제어계층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