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7483A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483A
KR20090077483A KR1020080003468A KR20080003468A KR20090077483A KR 20090077483 A KR20090077483 A KR 20090077483A KR 1020080003468 A KR1020080003468 A KR 1020080003468A KR 20080003468 A KR20080003468 A KR 20080003468A KR 20090077483 A KR20090077483 A KR 20090077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name
user
image
generating
defined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덕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3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7483A/ko
Priority to US12/283,901 priority patent/US20090180003A1/en
Priority to CNA2008101703013A priority patent/CN101482868A/zh
Publication of KR20090077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8Subtit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CF(Design rule for Camera File) 규격에 따라 이미지 파일의 파일명을 결정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정한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1020080003468
디지털 촬영 장치, DCF 규격, 사용자 정의 파일명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igital phot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의 이름을 DCF(Design rule for Camera File) 규격에 따라 생성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는 JPG, TIF 등의 이미지 포맷으로 소정의 파일명이 부가되어 저장된다. 최근에 출시되는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는 DCF 라는 규격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에 소정의 파일명을 부가하여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DCF는 "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의 약칭으로 일본 전자정보기술 산업 협회(Japan Electron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ies Association; JEITA)에 의해 표준화로 제안된 파일형식이며, 디지털 카메라의 데이터의 저장 및 이용 방법을 명시하고 있다. DCF 파일 포맷 방식의 장점은 이러한 DCF 파일 포맷을 준수하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된 사진은 다른 디지털 카메라 기기에서 재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DCF 규격에 따르면, 디렉토리와 파일명을 정하는 네이밍(naming) 규칙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는 디렉토리명('100ABCDE', 102ABCDE',....)은 3개의 숫자로 이루어진 숫자부와 5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문자부로 구성된다. 숫자부에는 '100'에서 '999'까지의 숫자가 사용가능하며, 문자부에는 'A'~'Z', '0'~'9' 및 '_'가 사용가능하다. 상기 문자부는 제조사 또는 제조모델에 따라서 부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숫자부는 디렉토리가 생성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1씩 증가하여 부여된다.
또한, DCF 규격에 의하면 파일명은 8개의 문자로 이루어진다. 파일명은 4개의 문자부와 4개의 숫자로 이루어진 숫자부 및 확장자로 구성된다. 상기 문자부는 대문자 알파벳으로 이루어지며, 숫자부는 "0001"과 "9999" 사이의 숫자로 이루어진다. 동일한 디렉토리에 위치한 파일들은 서로 동일한 파일명을 사용할 수 없으며, 문자부는 디렉토리명과 유사하게 제조사 또는 제조모델에 따라서 부여된다. 상기 숫자부는 파일이 생성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1씩 증가하여 부여된다.
DCF 규격에 따라 디렉토리와 파일명이 생성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고자 하는 겨우, 먼저 DCF 이미지 루트 디렉토리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검색 결과 'DCIM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생성하고, DCF 규격에 의거하여 하위 DCF 디렉토리를 생성하며, DCF 디렉토리에 소정의 파일명을 부여하여 DCF 파일을 저장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디지털 카메라 장치의 소정의 기억부에, 예를 들어 'SA500001', 'SA500002', 'SA500003',...와 같이 특별한 의미 없는 파일명으로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간이 지난 후 상기 파일명만을 보고서 언제 어디서 촬영된 사진인지 구별하기 어렵다.
즉,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 장치에서는 상기 네이밍 규칙에 의하여 할당되는 파일명으로 인해서, 시간이 지난 사진이나 촬영된 사진이 매우 많은 경우에 원하는 사진을 검색하기 불편하고, 이미지를 확인하고서야 이미지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촬영한 장소 등을 일일이 기억할 수 있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된 파일들을 PC로 전송하는 경우에도, 검색의 편의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별도의 파일명으로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검색의 편의를 위하여 이미지 파일의 이름을 사용자 정의 파일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하는 단계,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제1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매핑 데이터와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DCF(Design 규격 for Camera File)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갖는 제1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하는 단계,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제2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매핑 데이터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갖는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매핑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할 때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함께 디스플레 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가 외부 장치와 연결될 경우 상기 외부 장치의 표시부에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지 않을 경우 상기 외부 장치의 표시부에 상기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과 상기 제1 폴더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제1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폴더에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매핑 데이터를 포함하고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갖는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과 상기 제1 폴더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제2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제2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매핑 데이터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갖는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하는 단계와, 제2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과 상기 제2 폴더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제2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매핑 데이터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갖는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하는 조작부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부와,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매핑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매핑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갖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기억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가 폴더를 생성하는 폴더 생성부와, 상기 폴더와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매핑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에 상기 폴더 및 상기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보조 기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매핑 데이터로부터 독출한 사용자 정의 파일 명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연결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감지부의 판단 결과 상기 통신부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의 표시부에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통신부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표시부에 상기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매핑 데이터를 이미지 파일에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독출 가능하고,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하고 입력한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여 폴더를 생성한 후, 폴더와 사용자 정의 파일명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매핑 정보를 지칭하는 매핑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매핑 정보로부터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폴더에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을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이미지 파일들이 동일한 매핑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을 일일이 파일명을 변경하지 않아도 상기 폴더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의 파일명을 함께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모두를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촬상부(110), 영상 신호 처리부(120), 기억부(130), 표시부(140), 보조 기억부(150), 전원부(160), 중앙 처리부(CPU, 170), 통신부(180), 조작부(190)를 구비한다.
상기 촬상부(110)는 피사체의 영상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환하는 줌 렌즈(111),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 렌즈(113),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115) 및 촬상 소자(117)를 포함한다.
촬상부(110)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구체적으로 조 작부(190)에 의해 촬영 신호(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면 줌 렌즈(111), 포커스 렌즈(113) 및 조리개(115)를 통과한 빛은 촬상 소자(117)에 수광되어 피사체에 대응하는 2차원 영상으로 결상됨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촬상 소자(117)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를 포함한다.
상기 촬상부(110)에서 줌 렌즈(111) 및 포커스 렌즈(113)는 각각 줌 렌즈 구동부(112) 포커스 렌즈 구동부(113)에 의해 그 위치 등이 제어되며, 조리개(115)는 조리개 구동부(114)에 의해 개방 정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 소자(117)도 촬상 소자 제어부(118)에 의해 감도 등이 제어된다. 이들 줌 렌즈 구동부(112), 포커스 렌즈 구동부(114), 조리개 구동부(116),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8)는 노출 정보, 초점 정보 등을 기준으로 CPU(170)에서 연산된 결과에 따라 CPU(17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다.
촬상 소자(117)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는 영상 신호 처리부(120)에서 소정의 신호 처리가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또한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도록 오토 화이트밸런스(Auto White Balance)나 오토익스포저(Auto Exposure),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여 화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화질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30)에서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영상 데이터는 촬상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 데이터는 물론 포함하며, 아날로그의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화한 영상 데이터 및 소정 영상 처리를 수행한 영상 데이터까지도 모두 포함된다.
영상 신호 처리부(120)에서 기록 또는 디스플레이하는데 있어서 최적의 신호 처리가 수행된 영상 데이터는 기억부(130)에 임시 저장된다.
기억부(130)에는 전원의 공급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동작에 관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기억부(131)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영상 데이터와 그 밖에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주기억부(133)와 소정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정보 기억부(135)를 구비한다.
상기 프로그램 기억부(131)에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작동하는 프로그램인 운영 프로그램 및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 기억부(131)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에 따라 CPU(170)는 각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기억부(133)는 영상 신호 처리부(120) 또는 보조 기억부(150) 등으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며, 임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매핑 데이터를 결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파일은 기존에 저장된 사용자 정의 파일명일 독출할 수 있는 매핑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주기억부(133)에서 생성된 이미지 파일의 파일명은 DCF 규격에 따른 것이다.
상기 정보 기억부(135)에는 사용자 정의 파일명이 저장될 수 있다. 또는 DCF 규격에 따라,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상위 그룹인 폴더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정보 기억부(135)에 상기 폴더와 사용자 정의 파일명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주기억부(133)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동작하도록 전원이 공급되는 것과 별개로, 전원부(160)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부팅을 빨리 하도록 미리 프로그램 기억부(131)에 저장된 코드를 주기억부(133)에 복사 및 실행가능한 코드로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전원이 꺼지더라도 미리 저장된 영상 데이터 등을 재부팅 후 빨리 읽어 올 수 있도록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동작하도록 공급되는 전원과는 별개로 소정 전원이 공급될 수도 있다.
기억부(130)에 임시 저장 생성된 이미지 파일은 표시 구동부(145)를 거쳐 표시부(14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촬영 모드에서 촬영을 위한 피사체를 인식하고자 프리뷰 기능으로서 피사체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며, 플레이 백 모드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표시부(14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표시 구동부(145)에서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140)에 공급한다. 상기 표시부(140)로 액정 표시장치(LCD), 유기 발광 표시장치(OLED), 전기 영동 표시장치(EDD) 등 다양한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보조 기억부(150)를 포함한다. 보조 기억부(150)는 주기억부(133)에서 생성된 매핑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 지 파일을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보조 기억부(150)에는 폴더와 사용자 정의 파일명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정보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보조 기억부(150)로 외장형의 플래시 메모리 등의 고정형의 반도체 메모리나, 카드 형상이나 스틱 형상으로 되고 장치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가능한 카드형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외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기 기억 매체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러한 보조 기억부(150)에 저장하거나 또는 보조 기억부(150)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들을 읽어오기 위하여 압축 또는 해제 과정을 수행하는 코덱(155)을 포함한다.
전원부(160)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동작하도록 소정의 전원을 공급한다. 아울러, 기억부(130), 특히 주기억부(133)에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과는 별개로 소정 전원을 공급하여 주기억부(133)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유지하거나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전원부(160)로 내장가능한 리튬 이온 배터리 등의 전지 및/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CPU(170)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CPU(170)는 프로그램 기억부(110)에 저장된 운영 시스템 및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운영 시스템에 따란 소정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연산 결과를 임시 저장하며, 상기 연산 결과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CPU(170)는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간단한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매핑 데이터 생성부(171)를 구비한다. 상기 매핑 데이터 생성부(171)에 의해 생성된 비교적 간단한 매핑 데이터는 주기억부(133)에 임시 저장되며, 주기억부(133)에서 상기 매핑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CPU(170)는 보조 기억부(150) 또는 기억부(130)에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상위 디렉토리인 폴더를 DCF 규격에 따라 생성하는 폴더 생성부(173)를 포함한다. 그리고 CPU(170)는 폴더 생성부(173)에 의해 생성된 폴더와 사용자 정의 파일명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매핑 정보 생성부(175)를 구비한다. 상기 매핑 정보 생성부(175)에 의해 생성된 매핑 정보는 정보 기억부(135)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외부 저장 매체, 외부 표시 장치 등에 연결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통신부(180)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부(183)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의 표시부에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파일명 또는 영상 데이터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통신부(180)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연결 감지부(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감지부(185)에서 외부 장치와 연결되었음을 감지할 때, 외부 장치의 표시부에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감지부(185)에서 외부 장치와 연결되지 않았음을 감지할 때에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표시부(150)에서 DCF 규 격에 따른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90)는 사용자 등으로 하여금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조작을 수행하거나 촬영 또는 촬영시 각종 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작부(190)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파일명을 입력할 수 있다. 그 밖에, 조작부(190)로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동작하도록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버튼, 피사체를 촬영하는 릴리즈 버튼, 촬영 모드나 재생 모드의 선택 및 효과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기능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90)의 형태는 버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리모트 컨트롤러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명을 입력 및 저장하고, 사진 촬영한 영상 데이터와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매핑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통해 이미지 파일의 검색 및 식별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 파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우선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한다(S10). 입력된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저장된다.
그리고 사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11).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고(S12),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매핑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S13). 이때, 상기 이미지 파일은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갖는다.
상기 매핑 데이터는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 또는 저장할 때 생성될 수 있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이미지 파일의 헤더 부분에 저장되어야 하므로 그 용량이 작게 간단한 기호로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파일에서 매핑 데이터가 저장됨을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Exif) 파일 포맷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알파벳 약자는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상기 매핑 데이터는 Exif의 헤더 부분인 APP1에 포함된다. 상기 APP1은 APP1 maker, Exif 식별 코드, APP1의 사이즈 및 TIFF Header 등을 포함한다. APP1의 사이즈는 일반적인 JPEG 이미지 파일에서 64kbyte를 초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APP1에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비교적 간단한 매핑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매핑 데이터는 특히 TIFF Header의 사용자 정보에 관한 태그(Tags)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태그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매핑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SOI: Start of image
APP1: Application maker segment 1
DQT: Quantization marker segment 1
DHT: Huffman table
SOF: Frame Header
SOS: Scan Header
EOI: End of image
IFD: Image file directory
TIFF: Tagged image file format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도 2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5a와 5b는 상기 도 4에 따른 방법에 의해 재생되는 이미지 파일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데이터와 매핑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선택한다(S20).
그리고 상기 이미지 파일의 매핑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독출한다(S21). 이때,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에 내장된 기억부 또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착탈 가능한 보조 기억부 등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억부 또는 보조 기억부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읽어올 수 있다.
이렇게 불러 온 사용자 정의 파일명과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S22).
도 5a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배면에 배치된 표시부에 영상 데이터와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의 파일명이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표시부에는 영상 데이터와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의 파일명 "돌잔치1.jpg"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5b는 외부 표시 장치에 영상 데이터와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가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착탈 가능한 보조 기억부가 외부 장치에 연결된 경우, 이들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 파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를 윈도우 창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이미지 파일의 사용자 정의 파일명 "돌잔치1.jpg"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썸네일 이미지를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 하고 있다.
도 6은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하고,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폴더를 생성하여 이후 입력되는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은 상기 폴더에 저장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이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매핑 데이터를 갖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하고, 하나의 폴더를 생성하며,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을 생성하는 경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한다(S30).
그리고 폴더를 생성한다(S31). 폴더는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의 입력에 따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임의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더는 이미지 파일을 보관하는 보조 기억부에 생성할 수 있다.
폴더가 생성되면,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과 상기 폴더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정보를 생성한다(S32). 상기 매핑 정보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내장형 메모리인 정보 기억부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폴더와 같이 보조 기억부에 저장할 수도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보조 기억부(150a)에 상기 폴더(Sv1)가 생성되고, 정보 기억부(135a)의 구획된 복수의 블럭들 중 사용자 정의 파일명 저장 영역에 상기 매핑 정보 "1.돌잔치=Sv1"가 저장되어 있다.
피사체를 사진 촬영하여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33).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매핑 데이터를 생성한다(S34). 상기 매핑 데이터는 제1 영상 데이터 생성 전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할 때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매핑 데이터와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갖는 제1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S35). 그리고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은 상기 폴더에 저장된다.
이어서 두 번째 사진 촬영을 행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36).
생성된 제2 영상 데이터와 상기 매핑 데이터를 포함하고, DCF 규격에 다른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S37). 상기 제2 이미지 파일도 상기 폴더에 저장된다.
도 7b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 및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이 폴더(Sv1)에 저장됨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보조 기억부(150a)에 폴더(Sv1)이 생성되어 있으며, 상기 폴더(Sv1)에 2개의 이미지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다.
제1 이미지 파일은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 "Sv10001.jpg"를 가지며, 제2 이미지 파일은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 "Sv10002.jpg"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미지 파일과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은 동일한 매핑 데이터 "FN=1"을 갖는다. 상기 매핑 데이터 "FN=1"은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 "돌잔치"는 상기 폴더(Sv1)에 대응되는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정보 "1.돌잔치=Sv1"에 관련된 것이다. 즉, 상기 매핑 데이터 "FN=1"로부터 정보 기억부(135a)의 사용자 정의 파일명 저장 영역 중 가장 먼저 기록된 매핑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매핑 정보에 저장된 사용자 파일명 "돌잔치"를 독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 및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은 상기 매핑 데이터 "FN=1"를 이용하여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 "Sv10001.jpg"와 "Sv10002.jpg"를 사용자 정의 파일명 "돌잔치1.jpg" 및 "돌잔치2.jpg"로 변환할 수 있다.
도 8은 복수의 사용자 정의 파일명들을 입력하고, 하나의 폴더를 생성하며,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을 생성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폴더, 복수의 사용자 정의 파일명 및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을 생성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한다(S40).
그리고 폴더를 생성하며(S41),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과 폴더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매핑 정보를 생성한다(S42).
피사체를 사진 촬영하여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43).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제1 매핑 데이터를 생성한다(S44). 상기 제1 매핑 데이터는 사진 촬영 전에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1 매핑 데이터를 포함하고,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갖는 제1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S45).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상기 폴더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과 다른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한다(S46).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돌잔치"라고 했다면,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결혼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폴더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폴더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므로,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를 생략한다. 따라서 입력된 상기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과 상기 폴더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매핑 정보를 생성한다(S47).
피사체를 사진 촬영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48).
상기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제2 매핑 데이터를 생성한다(S49). 상기 제2 매핑 데이터는 상기 제2 매핑 정보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미지 파일의 헤더 부분에 삽입되기 위하여 간단한 형태의 데이터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매핑 데이터를 포함하고, DCF 규격 에 따른 파일명을 갖는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폴더에 생성된 제2 이미지 파일을 저장한다(S50).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보조 기억부(150b)의 일 영역에 폴더(Sv1)가 생성되고, 상기 폴더(Sv1)에 2개의 이미지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다. 첫 번째는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 "Sv10001.jpg"를 가지고 매핑 데이터로 "FN=1"을 갖는 제1 이미지 파일이고, 두 번째는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 "Sv10002.jpg"를 갖고 매핑 데이터로 "FN=2"를 갖는 제2 이미지 파일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내장형 기억부로서 저장 기억부(135b)의 사용자 정의 파일명 저장 영역에 폴더와 사용자 정의 파일명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상기 매핑 정보도 2가지가 기록되어 있는데, 첫 번째인 제1 매핑 정보는 "1.돌잔치=Sv1"이고, 두 번째인 제2 매핑 정보는 "2.결혼식=Sv1"이다.
제1 매핑 데이터 "FN=1"은 상기 제1 매핑 정보 "1.돌잔치=Sv1"를 지칭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매핑 데이터 "FN=2"는 제2 매핑 정보 "2.결혼식=Sv1"를 지칭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상기 제1 매핑 데이터로부터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 "돌잔치"를 독출할 수 있으며, 제2 이미지 파일의 제2 매핑 데이터로부터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 "결혼식"을 읽을 수 있다.
도 10은 복수의 사용자 정의 파일명들을 입력하고, 복수의 폴더를 생성하며,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을 생성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폴더, 복수의 사용자 정의 파일명 및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을 생성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한다(S51).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으로 "돌잔치"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폴더를 생성하여(S52), 보조 기억부에 "Sv1" 폴더가 생성된다.
입력된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 "돌잔치"와 상기 제1 폴더 "Sv1"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매핑 정보 "1. 돌잔치=Sv1"를 생성한다(S53). 상기 제1 매핑 정보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내장형 메모리인 정보 기억부에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를 사진 촬영하여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54).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제1 매핑 데이터를 생성한다(S55). 제1 매핑 데이터는 상기 제1 매핑 정보를 지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FN=1"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1 매핑 데이터를 포함하고,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갖는 제1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제1 폴더에 이를 저장한다(S56).
그리고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과 다른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 예를 들어 "결혼식"을 입력한다(S57).
제2 폴더를 생성한다(S58). 예를 들어, 보조 기억부에 제2 폴더 "Sv2"를 생성한다.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 "결혼식"과 제2 폴더 "Sv2" 관계를 나타내는 제2 매핑 정보 "2.결혼식=Sv2"를 생성한다(S59). 상기 제2 매핑 정보는 디지털 촬영 장치 의 내장형 메모리인 정보 기억부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60).
또한,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제2 매핑 데이터를 생성한다(S61). 상기 제2 매핑 데이터는 제2 매핑 정보를 지칭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두 번째 매핑 정보를 지칭하는 의미로 "FN=2"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제2 매핑 정보와 제2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 및 저장한다(S62). 이때,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저장되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파일명은 DCF 규격에 따라 결정된다.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상기 이미지 파일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이미지 파일 및 제2 이미지 파일이 보조 기억부에 저장된 예, 및 매핑 정보가 정보 기억부에 저장된 예를 도 11a 및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a에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보조 기억부(150c)에 Sv1과 Sv2 폴더들이 기록되어 있고, 이들 중 제1 폴더 Sv1에 "Sv10001.jpg" 파일명을 갖는 제1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Sv10001.jpg"는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은 "FN=1"의 제1 매핑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매핑 데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정보 기억부(135c)에 저장된 제1 매핑 정보 "1. 돌잔치=Sv1"를 지칭한다. 상기 제1 매핑 정보 "1. 돌잔치=Sv1"는 정보 기억부(135c)에 구획된 블럭들 중, 사용자 정의 파일명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다.
도 11b는 제2 폴더 Sv2에 제2 이미지 파일 "Sv10002.jpg"이 저장되어 있음을 도시한다. 상기 제2 이미지 파일은 제2 매핑 데이터 "FN=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매핑 데이터는 정보 기억부(135c)의 사용자 정의 파일명 저장 영역의 두 번째에 "2.결혼식=Sv2"라는 제2 매핑 정보를 지칭한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 파일들의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매핑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독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파일의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변경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플레이 백 모드에서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변경함을 예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보조 기억부(150d)에 폴더(Sv1)가 형성되고, 상기 폴더(Sv1) 내에 5개의 이미지 파일들이 기록되어 있다. 상기 이미지 파일들은 각각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으로 표시되며, 각각 매핑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정보 기억부(135d)의 사용자 정의 파일명 저장 영역에는 최초에 2개의 매핑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최초에 기록된 매핑 정보들은 "1.돌잔치=Sv1"과 "2.결혼식=Sv2"이다.
이때, 플레이 백 모드 또는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에서,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변경하고 싶을 때, 변경하고자 하는 이미지 파일을 선택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세 번째 이미지 파일 "Sv10003.jpg"를 선택하였 다.
또한, 변경하고자 하는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소풍"을 입력하였다. 따라서 입력한 사용자 정의 파일명과 상기 폴더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정보 "3.소풍=Sv1"이 생성 및 저장된다.
그리고 선택된 세 번째 이미지 파일 "Sv10003.jpg"의 매핑 데이터는 "FN=3"로 변경된다. 이때,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변경하고자 하는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보다 먼저 행할 수도 있다.
도 13a 및 13b 각각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및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외부 장치 또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파일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통신부(180)를 통해 외부 장치, 예를 들어 PC, 프린터 등과 연결되지 않을 경우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표시부(140)에는 DCF 규격에 따른 폴더 및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통신부(180)를 통해 외부 장치에 연결된 경우에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장치의 표시부 화면에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사용자 정의 파일명들 "돌잔치" 및 "결혼식"을 입력하고, 각각의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여 폴더가 생성된 후, 각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매핑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 또는 이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할 때,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폴더명 또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한 사용자 정의 파일명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 파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 및 5b는 도 4에 따른 방법에 의해 재생되는 이미지 파일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6은 하나의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하고, 하나의 폴더를 생성하며,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을 생성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a 및 7b는 도 6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매핑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 및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복수의 사용자 정의 파일명들을 입력하고, 하나의 폴더를 생성하며,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을 생성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매핑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 및 매핑 정보를 기록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복수의 사용자 정의 파일명들을 입력하고, 복수의 폴더를 생성하며,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을 생성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11b는 도 10에 도시된 방법에 있어서, 매핑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들, 매핑 정보, 폴더를 기록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파일의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변경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및 13b 각각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및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외부 장치 또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파일명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6)

  1.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하는 단계;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제1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매핑 데이터와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DCF(Design 규격 for Camera File)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갖는 제1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하는 단계;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제2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매핑 데이터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갖는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매핑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도출하는 단 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할 때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가 외부 장치와 연결될 경우 상기 외부 장치의 표시부에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지 않을 경우 상기 외부 장치의 표시부에 상기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파일명과 상기 제1 폴더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제1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을 상기 제1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매핑 데이터를 포함하고,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갖는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과 상기 제1 폴더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제2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제2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매핑 데이터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갖는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하는 단계;
    제2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과 상기 제2 폴더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제2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매핑 데이터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갖는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1.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입력하는 조작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부;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매핑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매핑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갖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기억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폴더를 생성하는 폴더 생성부;
    상기 폴더와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매핑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폴더 및 상기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보조 기억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데이터로부터 독출한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연결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감지부의 판단 결과 상기 통신부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의 표시부에 상기 사용자 정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통신부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표시부에 상기 DCF 규격에 따른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080003468A 2008-01-11 2008-01-1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90077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468A KR20090077483A (ko) 2008-01-11 2008-01-1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2/283,901 US20090180003A1 (en) 2008-01-11 2008-09-15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A2008101703013A CN101482868A (zh) 2008-01-11 2008-10-10 数字拍摄设备以及控制该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468A KR20090077483A (ko) 2008-01-11 2008-01-1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483A true KR20090077483A (ko) 2009-07-15

Family

ID=4085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468A KR20090077483A (ko) 2008-01-11 2008-01-1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180003A1 (ko)
KR (1) KR20090077483A (ko)
CN (1) CN1014828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965A (ko) * 2010-12-23 2012-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사 촬영을 행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방법
KR101701852B1 (ko) * 2010-12-29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37086B1 (ko) * 2011-01-17 201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9446361A (zh) * 2018-09-04 2019-03-08 惠州市德赛西威智能交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图片样本标记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2190B2 (ja) * 2001-06-20 2011-11-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ファイル装置
US7809728B2 (en) * 2003-07-09 2010-10-05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US7095493B2 (en) * 2003-11-24 2006-08-22 The Boeing Company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05157615A (ja) * 2003-11-25 2005-06-16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82868A (zh) 2009-07-15
US20090180003A1 (en)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7151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8081252B2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JP2010130437A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1182381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8525913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08022514A (ja) 画像表示装置
JP2005229291A (ja) 画像記録装置及び撮像装置並びに画像ファイル保存方法
US8723973B2 (en) Imaging apparatus using a recording medium with a function to transmit image data recorded in a predetermined folder to an external device, and recording reduced image data in a folder different from the predetermined folder after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nd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hereof
JP2004247983A (ja) 撮影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並びに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090077483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8078828A (ja) 撮像装置
JP4231588B2 (ja) 電子カメラ装置
KR100627049B1 (ko)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 영상에 객체를 합성하는 장치 및방법
JP2005236496A (ja) 画像記録表示システム
JP5195317B2 (ja) カメラ装置、及び撮影方法、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2008172653A (ja) 撮像装置、画像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8758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データファイル構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094089B2 (ja) 画像記録装置
US864374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ile management method
KR20130030817A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JP5720988B2 (ja) 撮像装置
JP2009021733A (ja) 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及び、画像ファイル生成プログラム
JP2006238023A (ja) 画像データ撮像装置、撮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0118887A (ja)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および画像再生プログラム
KR101058027B1 (ko) 이미지 저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