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124A -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applian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applian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124A
KR20090076124A KR1020080001884A KR20080001884A KR20090076124A KR 20090076124 A KR20090076124 A KR 20090076124A KR 1020080001884 A KR1020080001884 A KR 1020080001884A KR 20080001884 A KR20080001884 A KR 20080001884A KR 20090076124 A KR20090076124 A KR 20090076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user
distance
selection objec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8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1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6124A/en
Publication of KR20090076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12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A method for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calculate motion and an access degree of a user, thereby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while the user does not directly contact with the home appliance. A camera unit(120) photographs a menu selection entity of a user accessing within a preset distance. The camera unit senses motion of the user. A display unit(130) displays a predetermined menu window corresponding to motion of the user. If the menu selection entity is accessed within the preset distance by the camera unit, a controller(110) controls the menu window to be displayed. A memory unit(140) stores a preset access distance and the menu window list.

Description

가전 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applian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Applian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applian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 가정이나 회사에서 사용되는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used in a general home or company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보다 구체적으로,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를 사용자의 움직임 및 접근 정도를 산출하여 사용자가 직접 접촉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and a device using the same to calculate a user's movement and a degree of access for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home appliance even without a direct contact.

가전 제품에 대한 관련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현재 각 가정에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가전 기기들이 폭넓게 보급되어 있다. 상기 가전 기기들은 사용자들이 상기 가전 기기들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환경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for home appliances, home appliances with various functions are now widely used in each home. The home appliances are provided with an interface suitable for an environment so that users can appropriately control the home appliances.

그러나, 상기 인터페이스 환경은 대부분 기계식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어 기기 구성에 있어서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터치 센서를 이용해서 최대한 슬림한 디자인으로 설계하거나 조그 다이얼(jog dial) 등으로 상기 버튼 구성을 대체하고 있다.However, since the interface environment is composed mostly of mechanical buttons, it takes up a lot of space in the device configuration. To this end, the touch sensor is designed to be as slim as possible, or the button configuration is replaced by a jog dial.

하지만, 상기 기계식 버튼, 터치 센서, 조그 다이얼 등은 사용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 예컨대 손에 장갑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 손에 물기가 있는 경우, 손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 등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한 기기 사용을 보장해주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the mechanical button, touch sensor, jog dial, etc. are convenient for the user when the usage environment is not good, for example, when wearing gloves on the hand, when there is water on the hand, or when foreign matter is on the hand. There is a limit to ensuring the use of the device.

따라서, 새로운 방식으로 상기 가전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system that can control the home appliances in a new way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가전 기기에서 사용자가 터치를 하지 않은 영역에서 사용자의 접근도 및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가전 기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user's proximity and movement in the area where the user does not touch in the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and to easily control the home applianc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가전 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를 제안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and a device using the same are propose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메뉴창이 활성화되어 상기 메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위치하는 좌표에 해당하는 메뉴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면 상기 접촉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메뉴가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menu window by activating a menu window when a user's menu selection object approaches within a preset distance; Expanding and displaying a menu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at which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is located; And executing the menu displayed on the contacted area when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contacts the touch scree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기 설정된 제1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메인 메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기 설정된 제2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위치하는 좌표에 해당하는 메인 메뉴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메인 메뉴의 서브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면 상기 접촉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서브 메뉴가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에 걸친 공간이고,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메인 메뉴창을 활성화하는 최소의 접근 거리이며, 상기 제1 거리가 상기 제2 거리보다 더 크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comprising: displaying a main menu window when a user's menu selection object approaches within a preset first distance; When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approaches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selecting a main menu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and displaying a submenu of the selected main menu; And executing a sub-menu displayed in the contacted area when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contacts the touch screen, wherein the second distance i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surface of the touch screen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And a first distance is a minimum approach distance for activating the main menu window, wherein the first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second dist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장치는,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를 촬상하여 상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카메라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소정의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서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기 설정 접근 거리 및 상기 메뉴창 목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mera unit configured to sense a user's motion by capturing a menu selection object of a user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predetermined menu window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user;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the menu window when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approaches the preset distance by the camera unit; And a memory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preset access distance and the menu window list.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및 접근도를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uild a system having a convenient interface by detecting a user's movement and proximity and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을 보안 시스템으로 활용함으로써 감지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 대상을 인식하고 이를 알림으로써 홈 네트워크로서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tilizing the present invention as a security system it can be configured to have a function as a home network by recognizing and notifying the target to approach within a sensing distance.

본 발명은 일반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는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commonly used in homes,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메뉴창이 활성화되어 상기 메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위치하는 좌표에 해당하는 메뉴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면 상기 접촉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메뉴가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menu window by activating a menu window when a user's menu selection object approaches within a preset distance; Expanding and displaying a menu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at which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is located; And executing the menu displayed on the contacted area when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contacts the touch screen.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위치하는 좌표에 해당하는 메뉴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이동하면 상기 이동하는 메뉴 선택 개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메뉴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in the step of expanding and displaying a menu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when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moves,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ing menu selection object is enlarged and displayed.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s.

바람직하게, 상기 메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선택 메뉴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및 상기 선택 메뉴가 실행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소정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소리 정보 또는 진동 정보이다.Preferably, the method further includes providing predetermined feedback information to the user when the menu is displayed, when the selection menu is enlarged and displayed, and when the selection menu is executed. Vibr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기 설정된 제1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메인 메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기 설정된 제2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위치하는 좌표에 해당하는 메인 메뉴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메인 메뉴의 서브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면 상기 접촉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서브 메뉴가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에 걸친 공간이고,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메인 메 뉴창을 활성화하는 최소의 접근 거리이며, 상기 제1 거리가 상기 제2 거리보다 더 크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comprising: displaying a main menu window when a user's menu selection object approaches within a preset first distance; When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approaches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selecting a main menu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and displaying a submenu of the selected main menu; And executing a sub-menu displayed in the contacted area when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contacts the touch screen, wherein the second distance i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surface of the touch screen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The first distance is the minimum approach distance to activate the main menu window, and the first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second distance.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위치하는 좌표에 해당하는 메인 메뉴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메인 메뉴의 서브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이동하면 상기 이동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메인 메뉴의 서브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selecting of the main menu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at which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is located and displaying a submenu of the selected main menu corresponds to the moving position when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is moved. The sub menu of the main menu is further displayed.

바람직하게, 상기 메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및 상기 선택 메뉴가 실행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소정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소리 정보 또는 진동 정보이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predetermined feedback information to a user when the menu window is displayed, when the selection menu is displayed, and when the selection menu is executed, wherein the feedback information is sound information or vibration information. to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장치는,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를 촬상하여 상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카메라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소정의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서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기 설정 접근 거리 및 상기 메뉴창 목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mera unit configured to sense a user's motion by capturing a menu selection object of a user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predetermined menu window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user;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the menu window when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approaches the preset distance by the camera unit; And a memory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preset access distance and the menu window list.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접근 거리에 대응하는 소정의 소리 정보를 피드백으로서 제공하는 사운드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ound unit that provides, as feedback, predetermined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user.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부는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의 적외선의 강도를 조정하여 상기 메뉴창이 활성화되는 접근 거리를 설정한다.Preferably, the camera unit comprises an infrared camera, and adjusts the intensity of the infrared ray of the infrared camera to set the approach distance for the menu window is activated.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접근 거리에 대응하는 소정의 진동 정보를 피드백으로서 제공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vibration unit that provides, as feedback, predetermined vib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us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fully understand and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장치(100)는,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를 촬상하여 상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카메라부(120);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소정의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30);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서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0); 및 상기 기 설정 접근 거리 및 상기 메뉴창 목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Home applianc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unit 120 for sensing the user's movement by always photographing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display unit 130 configured to display a predetermined menu window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user; A controller (110) which controls to display the menu window when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approaches the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camera unit; And a memory unit 140 storing the preset access distance and the menu window list.

또한, 상기 사용자의 접근 거리에 대응하는 소정의 소리 정보를 피드백으로서 제공하는 사운드부(150) 또는 소정의 진동 정보를 피드백으로서 제공하는 진동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ound unit 150 that provides predetermined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access distance of the user as feedback or a vibration unit 160 that provides predetermined vibration information as feedback.

상기 카메라부(120)는 가전 기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촬상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접근도를 산출하고 움직임을 감지한다. 상기 카메라부(120)는 물체 의 영상을 포착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120 calculates the proximity of the user by sensing a user who wants to use the home appliance and detects a movement. The camera unit 120 may include any device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of an object.

예컨대, 적외선(IR) 카메라의 경우, 상기 적외선 카메라의 주변부에 적외선 LED(Light Emitting Diode)로부터 변조된 신호를 송출하고 반사된 적외선 신호를 상기 적외선 카메라가 수신하여 대상 물체를 감지한다. For example, an infrared (IR) camera transmits a modulated signal from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LED) to a periphery of the infrared camera, and the infrared camera receives the reflected infrared signal to detect a target object.

상기 적외선 카메라는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의 상하/좌우 이동 방향의 탐지, 휠(wheel) 구동 감지, 움직임 감지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의 접근 거리를 측정, 이를 상기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frared camera may perform a function of detecting up, down, left, and right moving directions of a user's menu selection object, wheel driving detection, motion detection, and the like, and measuring an approach distance from the user. Can be sent t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에서는, 가전 기기의 메뉴창을 활성화시키는 접근 거리를 미리 설정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서 출사되는 적외선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설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cess distance for activating a menu window of the home appliance may be set in advance, which may be set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camera. Do.

각 가정의 집안 구조 및 환경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서 출사되는 적외선의 강도를 조절하여 접근 인식 가능 거리를 동적으로 설정함으로써 환경 변수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Since the home structure and the environment of each hom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camera to dynamically set the accessible recognition distance is configured to respon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variables.

또한, 접근하는 사용자가 감지되고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실제 기기를 제어하려고 기기에 가까이 접근하면 적외선의 크기를 감소시켜 불필요한 부가 전력의 낭비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pproaching user is sensed and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approaches the device to control the actual device, the size of the infrared light may be reduced to eliminate unnecessary waste of additional power.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LED, LCD, PDP 등 일반적인 가전 기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카메라부(12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소정의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한다.The display unit 13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used in general home appliances such as LED, LCD, PDP.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a predetermined menu window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user sensed by the camera unit 120.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이 활성화되었 을 때, 웰컴 메세지(welcome message) 등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피드백의 제공 수단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terface function with the user is activated, the display unit 130 may be used as a means for providing appropriate feedback to the user by displaying a welcome message.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디스플레이 방식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The controller 110 collectively controls the display method of the display 130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user.

보다 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접근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로 하여금 소정의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More specifically,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approaches within a preset distance,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display 130 to display a predetermined menu window.

다음으로, 사용자의 움직임, 예컨대 기기를 향해 더 진입하는 것, 상하/좌우로 이동하면서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것 등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Next, the display unit 130 is controlled to detect a user's movement, for example, further entering the device, selecting a specific menu while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and displaying a menu corresponding thereto.

사용자의 접근 거리에 따른 메뉴창 디스플레이 방식 및 그 실시예들은 도 2 및 도 3에서 상술하도록 한다.Menu window display methods and embodiments thereof according to a user's approach distan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기 설정된 접근 거리 및 상기 메뉴창 목록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에서는, 상기 가전 기기의 메뉴창을 활성화시키는 접근 거리를 미리 설정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외선 카메라에서 출사되는 적외선의 강도를 조정함으로써 그 크기를 설정할 수 있고, 그 값이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적절한 메뉴창이 디스플레이되는데, 상기 메뉴창 목록이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다.The memory unit 140 may store the preset access distance and the menu window list. I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cess distance for activating a menu window of the home appliance may be set in advance, which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camera as described above. May be set, and a value thereof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140. In addition, an appropriate menu window is displayed in response to a user's movement, and the menu window list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14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접근 거리에 대응하는 소정의 소리 정보 또는 진동 정보를 피드백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I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determined sound information or vib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approaching distance may be provided as feedback.

상기 소리 정보의 제공은 상기 사운드부(150)에서 수행하며, 상기 진동 정보의 제공은 상기 진동부(160)에서 수행한다. The sound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sound unit 150, and the vibr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vibration unit 160.

상기 사운드부(150)는 사용자의 접근 정보, 메뉴의 디스플레이 정보, 선택 정보, 알람 등을 피드백으로서 청각적으로 알려주는데 사용되며, 접근 기능과 연동하여 보안 기능으로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The sound unit 150 is used to audibly inform the user's access information, menu display information, selection information, alarm, etc. as feedback, and may also be used to generate a warning sound as a security function in conjunction with an access function.

상기 진동부(160)는 사용자의 접근 정보, 메뉴의 디스플레이 정보, 선택 정보 등을 진동으로서 알려주는데 사용되며, 이때 사용자는 상기 진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진동 수신기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The vibration unit 160 is used to inform the user's access information, menu display information, selection information, etc. as a vibration, and the user may additionally include a vibration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the vibration informa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2A and 2B are exemplary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은 하나의 접근 거리(27)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ly one approach distance 27 is set.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25)가 기 설정된 접근 거리(27) 이내로 접근하면 가전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20)에서 메뉴 창(21)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25)가 위치하는 좌표에 해당하는 메뉴(예컨대, 도 2a에서는 '볼륨')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As shown in FIG. 2A, when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25 approaches within the preset access distance 27, the menu window 2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20 of the home appliance, and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is displayed. A menu (eg, 'volume' in FIG. 2A)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at which 25 is located is enlarged and displayed.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25)가 상기 접근 거리(27) 이내로 접근하면 피드백 정보로서 소리 정보 또는 진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25 approaches within the access distance 27, sound information or vibr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s feedback information.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25)는 가전 기기의 제어를 하기 위해서 접근하는 모든 대상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2a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menu selection object 25 of the user includes all objects approaching to control the home appliance, and the user's finger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in FIG. 2A, but is not limited thereto.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25)가 위치하는 좌표에 해당하는 메뉴를 확대시켜 확대창(22)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실행시키고자 하는 메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By enlarging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at which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25 is positioned to configure the enlarged window 22,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menu to be executed.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25)는 상기 접근 거리(27)에 진입하여 가전 기기(200)의 일면에 장착된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까지 상하/좌우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메뉴 선택 개체(25)의 좌표에 해당하는 메뉴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25 may move up, down, left, and right before entering the approach distance 27 and touching the touch screen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home appliance 200. A menu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menu selection object 25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25)가 가전 기기(200)의 일 면에 장착된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FIG. 2B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when a user's menu selection object 25 is in contact with a touch screen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home appliance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 디스플레이된 메뉴가 터치되면, 상기 접촉된 메뉴가 실행되고 그 메뉴의 서브 메뉴창(23)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서브 메뉴창(23) 중에서 특정 메뉴를 다시 터치함으로써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B, when the enlarged displayed menu is touched, the contacted menu is executed and the submenu window 23 of the menu is displayed. The user may control the home appliance by touching a specific menu again among the displayed sub-menu windows 23.

즉, 도 2b에서 '볼륨'메뉴가 선택되고 볼륨 메뉴에 해당하는 확대 창이 디스플레이되어 터치스크린에 접촉이 되면 서브 메뉴창(23)이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때 적절한 서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b에서 '+'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volume' menu is selected in FIG. 2B and the magnification window corresponding to the volume menu is displayed and touches the touch screen, the sub-menu window 23 is displayed. In this case, an appropriate sub-menu may be selected. For example, the volume can be increased by touching the '+' region in FIG. 2B.

상기 메뉴창 및 서브 메뉴창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onfiguration of the menu window and the sub-menu window is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to easily expla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상기 메뉴창 및 서브 메뉴창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과 중복되지 않도록 투명하게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enu window and the sub-menu window are preferably set to be transparent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image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3A to 3C are exemplary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은, 메인 메뉴창을 활성화시키는 최소의 접근 거리인 제1 거리(37) 및 상기 메인 메뉴의 서브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거리(38)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distance 37 which is a minimum access distance for activating a main menu window and a second distance 38 for displaying a sub menu of the main menu are set. It is characterized by that.

상기 제2 거리(38)는 터치스크린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에 걸친 공간이다.The second distance 38 is a space over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from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35)가 상기 제1 거리(37) 이내로 접근하면, 가전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30)에서 메인 메뉴창(31)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35)가 위치하는 좌표에 해당하는 메뉴(도 3a에서는 '볼륨')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As shown in FIG. 3A, when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35 approaches within the first distance 37, the main menu window 3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30 of the home appliance, and A menu ('volume' in FIG. 3A)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at which the menu selection object 35 is located is enlarged and displayed.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35)가 상기 제1 거리(37) 이내로 접근하면 피드백 정보로서 소리 정보 또는 진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35 approaches within the first distance 37, sound information or vibr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s feedback information.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35)는 가전 기기의 제어를 하기 위해서 접근하는 모든 대상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3a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menu selection object 35 of the user includes all objects approaching to control the home appliance, and the user's finger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in FIG. 3A, but is not limited thereto.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35)가 상기 제1 거리(37)에 진입하여 상기 제2 거리(38)에 도달할 때까지 상하/좌우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메뉴 선택 개체(35)가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메뉴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The menu selection object 35 may mov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until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35 enters the first distance 37 and reaches the second distance 38. In this case, the menu selection object 35 moves. According to the position, the corresponding menu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35)가 제2 거리(38) 이내에 접근하면 도 3a의 단계에서 선택된 메인 메뉴의 서브 메뉴창(33)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상기 서브 메뉴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상기 메뉴 선택 개체(35)가 상하/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를 활성화(예컨대, 음영 처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B, when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35 approaches within the second distance 38, the sub-menu window 33 of the main menu selected in the step of FIG. 3A is displayed. In this cas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sub-menus, and as the menu selection object 35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a corresponding sub-menu may be activated (eg, shaded).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35)가 디스플레이에 접촉되면 상기 접촉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서브 메뉴가 실행되며, 이때 사용자가 수행하고 있는 제어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창(34)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C, when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35 contacts the display, the sub-menu displayed in the contacted area is executed, an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control being performed by the user is normally input. Window 34 may be display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는 보안 시스템을 구비한 홈 네트워크의 일 부분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가족이 외출 을 하는 경우에 보안 상태로 설정을 하여, 가전 기기의 일정한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면 외부 침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종래보다 더 넓은 범위에서 침입에 대한 감시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part of a home network having a security system. For example, when the family goes out, the security status is set, and when an object approaching within a certain distance of the home appliance is detected, information on external intrusion can be provided to enhance the surveillance function for intrusion in a wider range than before. hav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essential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uld be implemented.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범위 기술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Here, the essential scop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가전 기기 제어 장치 110 : 제어부 100: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110: control unit

120 : 카메라부 130 : 디스플레이부120: camera unit 130: display unit

140 : 메모리부 150 : 사운드부140: memory unit 150: sound unit

160 : 진동부 160: vibrating unit

Claims (13)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메뉴창이 활성화되어 상기 메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Displaying a menu window by activating a menu window when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approaches within a preset distance;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위치하는 좌표에 해당하는 메뉴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Expanding and displaying a menu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at which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is located; And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면 상기 접촉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메뉴가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 제어 방법.And executing a menu displayed on the contacted area when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contacts the touch scree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위치하는 좌표에 해당하는 메뉴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The step of expanding and displaying a menu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at which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is located,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이동하면 상기 이동하는 메뉴 선택 개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메뉴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 제어 방법.And moving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to enlarge and display a menu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ing menu selection objec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선택 메뉴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및 상기 선택 메뉴가 실행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소정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 제어 방법.And when the menu window is displayed, when the selection menu is enlarged and displayed and when the selection menu is executed, providing predetermined feedback information to the use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피드백 정보는 소리 정보 또는 진동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 제어 방법.And the feedback information is sound information or vibration information.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기 설정된 제1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메인 메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Displaying a main menu window when a user's menu selection object approaches within a preset first distance;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기 설정된 제2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위치하는 좌표에 해당하는 메인 메뉴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메인 메뉴의 서브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When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approaches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selecting a main menu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and displaying a submenu of the selected main menu; And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면 상기 접촉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서브 메뉴가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Executing the sub-menu displayed in the contacted area when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에 걸친 공간이고,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메인 메뉴창을 활성화하는 최소의 접근 거리이며, 상기 제1 거리가 상기 제2 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 제어 방법.The second distance is a space over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from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the first distance is a minimum approach distance for activating the main menu window, the first distance is the second distance A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arger than the distanc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위치하는 좌표에 해당하는 메인 메뉴가 선 택되고 상기 선택된 메인 메뉴의 서브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Selecting a main menu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at which the user's menu selection object is located and displaying a submenu of the selected main menu may include: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이동하면 상기 이동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메인 메뉴의 서브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 제어 방법.And displaying a sub-menu of a main menu corresponding to the moving position when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move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메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및 상기 선택 메뉴가 실행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소정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 제어 방법.And when the menu window is displayed, when the selection menu is displayed and when the selection menu is executed, providing predetermined feedback information to the user.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피드백 정보는 소리 정보 또는 진동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 제어 방법.And the feedback information is sound information or vibration information.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를 촬상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카메라부;A camera unit for sensing a user's movement by capturing a menu selection object of a user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소정의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predetermined menu window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user;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서 사용자의 메뉴 선택 개체가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the menu window when the menu selection object of the user approaches the preset distance by the camera unit; And 상기 기 설정된 접근 거리 및 상기 메뉴창 목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 제어 장치.And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preset access distance and the menu window list.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사용자의 접근 거리에 대응하는 소정의 소리 정보를 피드백으로서 제공하는 사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 제어 장치.And a sound unit for providing, as feedback, predetermined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user.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카메라부는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 제어 장치.The camera unit is a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frared camera.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적외선 카메라의 적외선의 강도를 조정하여 상기 메뉴창이 활성화되는 접근 거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 제어 장치.And controlling an intensity of infrared rays of the infrared camera to set an access distance for activating the menu window.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사용자의 접근 거리에 대응하는 소정의 진동 정보를 피드백으로서 제공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 제어 장치.And a vibration unit for providing, as feedback, predetermined vib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user.
KR1020080001884A 2008-01-07 2008-01-07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applian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900761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884A KR20090076124A (en) 2008-01-07 2008-01-07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applian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884A KR20090076124A (en) 2008-01-07 2008-01-07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applian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124A true KR20090076124A (en) 2009-07-13

Family

ID=41333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884A KR20090076124A (en) 2008-01-07 2008-01-07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applian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6124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3904A (en) * 2010-08-31 2011-01-12 中山大学 Intelligent digital hom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73117A (en) * 2012-12-06 2014-06-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3-d input device
WO2015012449A1 (en) * 2013-07-26 2015-01-2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92544A (en) * 2014-12-05 2017-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interface using mobi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WO2022149707A1 (en) * 2021-01-08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R3124872A1 (en) * 2021-07-02 2023-01-06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on a display screen, associated display system, vehicle and computer progra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3904A (en) * 2010-08-31 2011-01-12 中山大学 Intelligent digital hom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73117A (en) * 2012-12-06 2014-06-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3-d input device
WO2015012449A1 (en) * 2013-07-26 2015-01-2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12918A (en) * 2013-07-26 2015-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9892313B2 (en) 2013-07-26 2018-02-13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92544A (en) * 2014-12-05 2017-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interface using mobi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WO2022149707A1 (en) * 2021-01-08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R3124872A1 (en) * 2021-07-02 2023-01-06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on a display screen, associated display system, vehicle and computer progr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0432B2 (en) Finger pointing, gesture based human-machine interface for vehicles
US7898397B2 (en) Selectively adjustable icons for assisting users of an electronic device
KR101134027B1 (en) A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staining of a display device
KR100689849B1 (en) Remote controller,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138815B2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multimedia electrical appliance
EP25859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KR101019254B1 (en)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space projection and space touch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964458B2 (en) User interface for touch screen
JP6242535B2 (en) Method for obtaining gesture area definition data for a control system based on user input
KR20090076124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applian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4137045A (en) User gesture recognition
EP2371143A2 (en) Remote control device with multiple active surfaces
US20160070410A1 (en)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hand-wearing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US11726653B2 (en) Non-contact gesture commands for touch screens
CN107430445B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evice
KR201100206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ui interacting according to recognized user approach
JP5875456B2 (en) Touch panel erroneous operation prevention input / output device
CN108614651B (en) Mobile terminal and infrared detection method
KR102333931B1 (en) Video projec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2017698A1 (en) Input device using touch panel and input method thereof
CN110032290A (en) User interface
JP5776896B2 (en) Infrared switch and infrared switch operation status display method
KR20080017194A (en) Wireless mous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004671B1 (en) Network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Space Projection and Space Touch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20182231A1 (en) Virtual Multi-Tou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