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726A - Display device and filter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and filter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726A
KR20090072726A KR1020070140923A KR20070140923A KR20090072726A KR 20090072726 A KR20090072726 A KR 20090072726A KR 1020070140923 A KR1020070140923 A KR 1020070140923A KR 20070140923 A KR20070140923 A KR 20070140923A KR 20090072726 A KR20090072726 A KR 20090072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binet
display device
display modu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9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0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2726A/en
Publication of KR2009007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7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Illuminating devices providing polarized light, e.g. by converting a polarisation component into another 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arrays of controllable light sources; using moving apertures or moving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7Calibration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A unit for adjusting a filter location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correct mismatch between a display module and a filter by forming an adjusting member which is accessible to the filter. A back cover(103) covers a rear side of a display module(101). A cabinet(1) covers a front side of the display module, and an opening is formed on the cabinet. A filter has a slit or a lens which has size corresponding to a pixel of the display module. The filter is supported on the cabinet to change the location. A one side of an adjusting member is exposed on an outer side of the cabinet, and the other side of the adjusting member is accessible to the filter.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필터위치조절장치{Display device and filter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same}Display device and filter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되는 필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되는 3차원 필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filter applied to a displa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three-dimensional filter mounted on a display device.

디스플레이 기기는 발전을 거듭하여, 근래들어서는 화소를 직접 컨트롤 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피디피 방식이나 엘씨디 방식의 디스플레이 기기도 등장하고 있다. 이들은 대개 평면 디스플레이 방식으로서 실내 공간을 좁게 차지하는 기기로서, 그 사용상의 편리함이 많다. Display devices have evolved in recent years, and in recent years, display devices of PD or LCD devices, which directly control pixels to form an image, have also appeared. These devices are usually flat display devices, which occupy a small space in the room, and have many conveniences in their use.

이와 같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평면으로 동작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정확한 화소단위로도 화상이 구현가능하기 때문에, 3차원으로 동작되는 방식으로도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Suc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can be operated in a flat surface, and since the image can be realized in the exact pixel uni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used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3차원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으로는, 대별하여 안경식과 무안경식이 있다. 안경식은 관찰자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안경을 통하여 서로 다른 영상이 입사되도록 하고, 그 입사된 영상의 차이로 인하여 영상의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 식이다. 이때 왼쪽 눈과 오른쪽 눈으로 입사되는 영상을 분리하는 방식으로는, 셔터 방식과 편광 안경 방식이 있다. 이러한 안경식은 잦은 깜빡거림에 의해서 눈이 쉽게 피로해 지기 때문에 상업적인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As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in three dimensions, there are two types of glasses and glasses. The spectacle method allows a different image to be incident on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of the observer through glasses, and makes the image feel three-dimensional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incident image. In this case, a method of separating an image incident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includes a shutter method and a polarizing glasses method. Such eyeglasses have difficulty in commercial applications because the eyes are easily tired by frequent blinking.

무안경식 방식은, 안경이 없이도 특정 방식에 의해서 사용자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입사되는 광이 달라지도록 하고, 다르게 입사된 광에 의해서 사용자가 물체의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으로서, 시차방식과 3차원 물체의 파면을 재현하는 홀로그래피 방식이 있다. 상기 홀로그래피 방식은 데이터의 방대함과 실제 구현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현재도 연구중에 있으며, 현재 상업적으로 활용되는 방식은 상기 시차방식이다. 상기 시차방식의 대표적인 예로는 렌티큘라 방식과 페럴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이 있다. The autostereoscopic method allows the light incident on the user's left and right eyes to be changed by a specific method without glasses, and allows the user to feel a three-dimensional appearance of an object by differently incident light. There is a holography method that reproduces the wavefront of an object. The holography method is currently under study due to the enormous amount of data and the difficulty of actual implementation, and the method currently used commercially is the parallax method.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parallax method include a lenticular method and a parallax barrier method.

상기 페럴렉스 베리어 방식의 원리는, 좌우 양안이 각각 보아야 할 화상을 교대로 세로 무늬 모양으로 디스플레이 또는 인쇄하여, 이것을 극히 가느다란 세로격자배열(베리어)을 이용하여 보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으로 들어올 세로무늬 화상이 각각 배분되어 좌우 양안으로 조금 엇갈린 다른 화상을 보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입사되는 광의 차이로 인하여 영상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페럴렉스 베리어 방식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와 3차원 영상표시장치의 거리 및 시야각이 미리 정하여진 있는 때에만 영상이 3차원으로 보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극히 불편하다. 또한, 이 방식의 경우에도 3차원으로 가시화되는 경우, 특히,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입사되는 광이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인식되는 광의 차이로 인하여 눈의 피로가 더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principle of the parallax barrier method is to alternately display or print images to be viewed by the left and right eyes, respectively, in a vertical pattern, and to view them using an extremely thin vertical grid (barrier). In this case, the vertical pattern images for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of the user are distributed, respectively, so that different images are slightly cross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eyes. In this way, the stereoscopic sense of the image can be felt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ght incident on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of the user. Even in the case of the parallax barrier method, the image is displayed in 3D only when the loca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the distance and viewing angle of the 3D image display device are predetermined, which is extremely inconvenient for the user. In addition, even in this method, when visualized in three dimensions, in particular, when the light incident on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is differ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eye fatigue is increas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zed light.

렌티큘라 방식은 화소의 앞에 볼록한 형상의 렌즈가 화소와 대응되게 놓이도록 하고, 상기 렌즈를 통하여 각 화소에서 출사된 광이 서로 다르게 굴절되어, 사용자의 양안에는 서로 다른 화소의 이미지가 입사되어,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렌즈를 통하여 화소의 출사광이 굴절되어 사용자의 육안으로 입사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양안으로 입사되는 화소는 서로 달라지도록 하고, 그 화소의 차이에 의해서 입체감을 느끼는 것이다. In the lenticular method, a convex lens is placed in front of the pixel to correspond to the pixel, and light emitted from each pixel is refracted differently through the lens, so that images of different pixels are incident on both eyes of the user. It is a device that makes you feel. That is, the output light of the pixel is refracted through the lens to be incident to the naked eye of the user, so that the pixels incident to both eyes of the us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 three-dimensional feeling is felt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ixels.

상기되는 페럴렉스 베리어 방식 및 렌티큘라 방식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 화소에 대응되는 미소한 구조로 슬릿이나 렌즈가 제공되는 필터가 설치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미 제시된 바와 같이 각 화소에 대응되는 개념으로서 작은 슬릿이나 렌즈의 위치가 제어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정밀도가 어떻게 구현되는 가에 따라서 화상의 품질이 완전히 좌우된다. The above-described parallax barrier method and lenticular method are such that a filter in which a slit or a lens is provided in a minute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pixel of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display module. However, since the position of the small slit or lens must be controlled as a concept corresponding to each pixel as already presented, the quality of the image completely depends on how the precision is implemented.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각 화소에 대응하여 필터의 정확한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필터의 기재부에 슬릿이나 렌즈가 형성되는 필름을 부착할 때 오차가 발생될 우려가 있고, 디스플레이 기기의 다른 부분과 필터를 체결할 때 그 위치가 틀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고, 출하, 운송, 설치시의 작은 충격으로도 상호간의 위치가 틀어질 우려가 있는 것이다. 나아가서, 필터를 설치할 때에도 그 화소간의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많은 신경을 기울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control the exact position of the filter corresponding to each pixel of the display module, there are various difficulties. For example, an error may occur when attaching a film in which a slit or a lens is formed in the base portion of the filter,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position thereof may be distorted when the filter is fastened with other parts of the display device. Even small impacts during shipping,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may distort each other.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great deal of care must be taken to prevent distortion between the pixels even when the filter is installed.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3차원으로 영상을 제공하는 3D 쉬트가 제공되는 필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필터위치조절장치와, 그와 같은 조절장치가 최적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ilter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a displa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a filter provided with a 3D sheet that provides a user with a 3D sheet conveniently and a display device in which such an adjusting device is optimally implemented. .

또한, 미세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필터의 위치를 조작하여 이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필터위치조절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ilter position adjusting device and a display device of a display device, which allow a user to conveniently manipulate the position of a filter to correct it even when a minute error occurs.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을 커버하는 백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을 커버하고 개구가 형성되는 캐비넷;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소와 대응되는 규격의 슬릿 또는 렌즈를 가지고, 상기 캐비넷에 위치가 변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필터; 및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일단이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필터에 접근이 가능한 조절부재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display module; A back cover covering a rear of the display module; A cabinet covering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 filter having a slit or a lens of a standard corresponding to a pixel of the display module, the filter being supported so that its position can be changed in the cabinet; And one e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and the other end including an adjustment member accessible to the filter.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필터위치조절장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배면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상기 필터에 지지되는 미세조정기구; 및 상기 캐비넷의 외부에 드러나고 그 일단은 상기 미세조정기구에 접하는 조절부재가 포함된다. Filter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abinet; A frame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cabinet; A fine adjustment mechanism supported by the frame and the filter; And an adjustment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and one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ne adjustment mechanism.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의 후방을 커버하는 백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을 커버하고 개구가 형성되는 캐비넷;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소와 대응되는 규격의 슬릿 또는 렌즈를 가지고, 상기 캐비넷에 위치가 변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필터; 상기 캐비넷의 배면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 및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일단이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필터에 접근이 가능한 조절부재가 포함된다.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display module; A back cover covering a rear of the display module; A cabinet covering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 filter having a slit or a lens of a standard corresponding to a pixel of the display module, the filter being supported so that its position can be changed in the cabinet; A frame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At least one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frame and in contact with the filter; And one end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he other end includes a control member that is accessible to the filter.

본 발명에 의해서 생산현장에서는 작업이 편리해지고, 출하/운송 중에 필터와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정합이 틀어지는 경우에도 이를 편리하게 보정할 수 있고, 제품의 사용 중에 필터가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사용자라도 이를 조작하여 화면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is convenient at the production site, and even when the matching between the filter and the display module is misaligned during shipping / transportation, it can be conveniently corrected. The advantage is that the screen can be formed accurately.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d, change, delete, or add other component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It may be suggested, but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1)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1)의 동작에 필요한 신호처리기판 등이 설치되는 서포터 어셈블리(102)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1)의 전방 및 후방이 각각 보호되도록 하는 캐비넷(1) 및 백커버(103)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넷(1)은 화상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개구가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Referring to FIG. 1,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module 101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 supporter assembly 102 on which a signal processing board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module 101 are installed, and the display. Cabinet 1 and back cover 103 are included to protect the front and rear of module 101, respectively. Naturally, the cabinet 1 is formed with an opening so that the image is visible from the outside.

상기 캐비넷(1)에는 본 발명에서 주된 관심으로 하고 있는 필터위치조절장치가 마련되는 부분이다. The cabinet (1) is a part provided with a filter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the main interes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의 정면도이다. 2 is a front view of a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캐비넷(1)은 디스플레이 모듈(101)의 형상과 메칭되는 사각형의 형상-물론, 그 형상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다-으로 제공된다. 상기 캐비넷(1)은, 외주면이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그 내측부는 소정의 폭으로 제공되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1)으로 그 뼈대를 이루고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abinet 1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quadrangle that matches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1-of course, the shape is not limited thereto. The cabinet 1 is framed by a housing 11 made of a horizontal surface whos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whose inner part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상기 하우징(11)의 수평면에는 프레임(2)이 안착되고, 상기 프레임(2)은 상기 하우징(11)의 네 코너부에서 프레임 고정부재(3)에 의해서 하우징(11)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의 수평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팸넛과 프레임 고정부재(3)의 사이 면에, 상기 프레임(2)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이 고정될 수 있다. The frame 2 is sea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housing 11, and the frame 2 is fixed to the housing 11 by a frame fixing member 3 at four corner portions of the housing 11. In this case, the frame may be fix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rame 2 is fitted between the pampnut and the frame fixing member 3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housing 11.

상기 프레임(2)에는 후방 스토퍼(8)가 고정되는데, 상기 후방 스토퍼(8)에 의해서는 상기 필터(9)가 후방으로-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 모듈측으로-이동되는 것이 저지된다. 물론, 상기 필터(9)의 전방으로의 이동은 상기 하우징(11)에 의해서 저지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필터(9)는 페럴랙스 베리어 방식의 경우에는 슬릿이 제공되고, 랜티큘라 방식의 경우에는 렌즈가 제공되는 필터일 수 있 다. 바람직하게는 렌티큘라 방식의 렌즈가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A rear stopper 8 is fixed to the frame 2, by which the filter 9 is prevented from moving backwards, in other words towards the display module. Of course, the forward movement of the filter 9 may be impeded by the housing 11. Here, the filter 9 may be a filter in which a slit is provided in the case of the parallax barrier method and a lens is provided in the case of the lenticular method. Preferably, a lenticular lens may be provided.

도 3은 도 2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 ′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후방 스토퍼(8)는 프레임(2)에 일측이 체결된 상태에서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된 단부는 턱이 제공되어 있어서, 그 턱에 의해서 필터(9)와 프레임(2)의 높이가 서로 보상되도록 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필터(9)는 하우징(11)과 후방 스토퍼(8)와의 사이에 개입되어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rear stopper 8 extends inward while one side is fastened to the frame 2. And, the extended end is provided with a jaw so that the height of the filter 9 and the frame 2 are compensated for each other by the jaw. As shown, the filter 9 is interposed between the housing 11 and the rear stopper 8 to prevent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여기서, 상기 후방 스토퍼(8)는 상기 필터(9)가 완전하게 고정되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필터(9)의 테두리 부분이 지지만 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외력에 의해서 어느 정도 필터(9)의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필터(9)의 위치가 더 원활하게 조절되도록 하기 위하여 프레임과 후방 스토퍼와의 사이에 접시와셔가 더 개입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경우에는 필터(9)의 위치가 외부의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변경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필터(9)는 실제로 화소단위의 작은 거리만을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후방 스토퍼(8)에 의해서 움직이는 거리는 실제로 작은 것으로서 후방 스토퍼(8)에 의해서 주어지는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서 충분할 수 있다. Here, the rear stopper 8 is not a method in which the filter 9 is completely fixed, but in such a manner that the edge portion of the filter 9 is built.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filter 9 can be adjusted to some extent by the external force. However, a dish washer may be further inter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rear stopper 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lter 9 more smoothly. However, in such a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ition of the filter 9 can be changed even by an external small impact, and since the filter 9 actually moves only a small distance in pixels, the rear stopper 8 The distance traveled by) is actually small and may be sufficient by its elasticity given by the rear stopper 8.

다만, 상기 후방 스토퍼(8)에 의해서 필터(9)가 눌려지더라도 상기 필터(9)의 위치가 가변 될 수는 있어서, 외력에 의해서 필터(9)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고, 이로써,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에 필수적인 필터(9)의 각 렌즈와 디스플레이 모듈(101)의 각 화소간의 정합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However, even if the filter 9 is pressed by the rear stopper 8, the position of the filter 9 can be chang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ilter 9 can be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whereby 3 It is clear that the matching between each lens of the filter 9 and each pixel of the display module 101, which is essential for realizing the dimensional image, can be adjusted.

이하에서는 상기 필터(9)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조 및 작용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lter 9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도 2에서 "A"부분의 확대도이다.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2.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3)와 인접되는 프레임(2)의 위치에는 스프링(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4)은 상기 필터(9)의 테두리 부분을 안쪽으로 밀어서 필터(9)의 위치를 실제로 지지하는 부재이다. 나아가서, 상기 스프링(4)이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스프링(4)은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고서 필터(9)의 테두리를 밀고 있기 때문에, 필터(9)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볍게 지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spring 4 is installed at a position of the frame 2 adjacent to the frame fixing member 3. The spring 4 is a member that actually supports the position of the filter 9 by pushing the edge of the filter 9 inward. Furthermore, as can be seen from the term spring 4, since the spring 4 pushes the edge of the filter 9 with a certain amount of elastic force, it is lightly supported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lter 9. can do.

상기 스프링(4)은 상기 캐비넷(1) 상측의 좌우 코너부에 한 쌍씩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면, 캐비넷(1) 하측의 코너부에서 필터(9)의 위치가 조절되더라도 필터(9)의 위치는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prings 4 are provided in pairs at the left and right corner portions above the cabinet 1. Then, even if the position of the filter 9 is adjusted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cabinet 1, the position of the filter 9 may be kept stable.

도 5는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pring.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4)은 프레임(2)에 체결되는 체결부(41)와, 상기 체결부(41)에서 연장되고, 상기 필터(9)를 향하여 소정의 높이(H1)로 변형되는 변형부(42)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변형부(42)는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부분으로서, 필터(9)에 의해서 압력을 받더라도 변형부(42)가 부드럽게 변형되기 때문에, 그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spring 4 is fastened to the frame 2, extends from the fastened part 41, and has a predetermined height H1 toward the filter 9. There is provided a deformable portion 42 to be deformed. The deformable portion 42 is a portion having elasticity itself, and since the deformable portion 42 is deformed smoothly even under pressure by the filter 9, the position of the deformable portion 42 may be stably maintained.

상기 체결부(41)의 하단부는 양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부분이 제공되어 있어서, 그 절곡되는 내측부분은 상기 프레임(2)이 끼워지는 영역을 제공한다. 또 한, 체결부(41)에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나사등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프레임(2)과 스프링(4)이 서로 체결되도록 한다. 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portion 41 is provided with a portion that is bent downward at both ends, the bent inner portion provides an area in which the frame 2 is fitted. In addition, a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astening part 41 such that the frame 2 and the spring 4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s.

이상의 설명에 의해서 상기 필터(9) 상측의 양 코너부는 스프링에 의해서 그 위치가 변화가 가능하면서 위치가 지지될 수 있는 것은 명확하게 되었다. By the above description, it became clear that both corner parts of the upper part of the said filter 9 can be supported while the position is changeable by a spring.

도 6은 도 1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받침구의 사시도이다.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1,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9)의 하단 모서리부의 중심부에는 받침구(6)가 마련되어 상기 필터(9)의 대략 중심부를 지지하고 있다. 6 and 7, a support 6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filter 9 to support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filter 9.

상기 받침구(6)에는, 양측단부에 제공되어 프레임(2)에 체결되는 부분을 이루는 제 1 체결부(61) 및 제 2 체결부(62)와, 상기 체결부(61)(62)의 사이 간격부에 제공되고 상기 체결부(61)(62)에서 상방으로 일정높이(H2)만큼 돌출되는 부분인 받침부(6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63)의 상단부는 어느 정도 편평한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필터(9)의 외면에는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상기 스프링(4)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할 것이다. The support 6 is provided with 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61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62 forming a part fastened to the frame 2, and the fastening portion 61, 62 of the A supporting portion 63 is provided, which is provided at a gap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s 61 and 62 and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height H2 upward. 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63 provides a flat portion to some extent so as not to damage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9. The same will be said for the spring 4.

상기 받침구(6)는 필터(9)의 중앙을 받히는 부분으로서, 하기되는 미세조정기구(7)에 의해서 필터의 상하방향으로 위치-다시 말하면 회전각도-가 조절될 때, 그 필터(9)의 중심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필터(9)가 받침구(6)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필터(9)의 회전에 무리가 없게 된다. The support hole 6 is a part which supports the center of the filter 9, and when the position-in other words, the rotation angle-is adjusted in the up-down direction of the filter by the fine adjustment mechanism 7 described below, the filter 9 Acts as a center point of 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the filter 9 is supported only by the support opening 6, so that the rotation of the filter 9 can be made smoothly.

도 8은 도 2의 "C"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미세조정기구의 사시도이다.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C” of FIG. 2,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ne adjustment mechanism.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케비넷(1)의 하측 코너부에는 미세조정기구(7)가 장착되어 있다. 8 and 9, a fine adjustment mechanism 7 is mounted at the lower corner portion of the cabinet 1.

상기 미세조정기구(7)는 프레임(2)에 견고하게 체결되지 않아서, 그 위치가 어느 정도의 간격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필터(9)가 장착될 때, 미세조정기구(7)의 안착면(71)은 필터(9)의 전방에 놓이게 되고, 미세조정기구(7)의 가이드부(74)는 프레임(2)의 상면에 놓이게 된다. 그러므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The fine adjustment mechanism 7 is not firmly fastened to the frame 2, so that its position can move freely within a certain interval range. In detail, when the filter 9 is mounted, the seating surface 71 of the fine adjustment mechanism 7 is placed in front of the filter 9 and the guide portion 74 of the fine adjustment mechanism 7.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 Therefore, movement in the front-rear direction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이 상기 미세조정기구(7)는 자유도를 가지고 있고, 나아가서 상기 미세조정기구(7)에는 수직밀림부(73)와 수평밀림부(72)가 제공된다. 상기 밀림부(72)(73)에 의해서 안착면(71)과 가이드부(74)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As such, the fine adjustment mechanism 7 has a degree of freedom, and furthermore, the fine adjustment mechanism 7 is provided with a vertical slide portion 73 and a horizontal slide portion 72. The seating surface 71 and the guide portion 74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jungle portions 72 and 73.

상기 미세조정기구(7)는 외부에서 드라이버등과 같은 물품이 접근가능하게 마련되는 물품으로서, 사용자가 드라이버를 넣어서 수평 밀림부(72)와 수직 밀림부(73)를 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직밀림부(73)와 수평밀림부(72)가 인접되는 캐비넷(1)의 측면에는 조절나사(76)가 끼워져 있다. 상기 조절나사(76)의 안쪽 단부는 상기 밀림부(72)(73)에 접하고 있어서, 조절나사의 삽입깊이에 따라서 미세조정기구(7)의 위치가 변하게 되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The fine adjustment mechanism 7 is an article in which an article such as a driver is accessible from the outside, and the user pushes the horizontal slide portion 72 and the vertical slide portion 73 by inserting the driver. To this end, an adjustment screw 76 is fitted to the side of the cabinet 1 in which the vertical slide portion 73 and the horizontal slide portion 72 are adjacent to each other. Since the inner end of the adjustment screw 76 is in contact with the sliding portion (72) (73),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f the fine adjustment mechanism (7) changes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pth of the adjustment screw.

상기되는 바와 같은 미세조정기구(7)의 구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동작이 가능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ne adjustment mechanism 7 as described above will be possible to the following operation.

필터(9)의 위치가 미세하게 틀어져서 모아레등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모아레의 형상에 따라서 필터(9)의 틀어짐 방향 및 위치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필터(9)를 회전시키는 정도 및 방향으로 결정한다. When the position of the filter 9 is minutely twisted and moiré etc. generate | occur | produce, the twisting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filter 9 are jud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oiré. Then, in order to correct this, it is determined to the degree and direction in which the filter 9 is rotated.

이같은 판단에 의해서, 만약 필터(9)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캐비넷(1)의 우측에 있는 미세조정기구(7)는 수직밀림부(73)가 하방으로 내려오도록 조절나사(76)를 회전시키고, 캐비넷(1)의 좌측에 있는 미세조정기구(7)는 수직밀림부(73)가 상방으로 올라가도록 조절나사(76)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By this judgment, if it is necessary to rotate the filter 9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fine adjustment mechanism 7 on the right side of the cabinet 1 has an adjustment screw so that the vertical pusher 73 descends downward. 76 is rotated, and the fine adjustment mechanism 7 on the left side of the cabinet 1 rotates the adjustment screw 76 so that the vertical slide portion 73 rises upward. Of course, vice versa.

또한, 외부의 강한 충격으로 인하여 필터(9)의 위치가 심하게 틀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밀림부(72)를 미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서 필터(9)의 좌우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필터를 회전이 아닌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서 필터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이 된다. 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filter 9 is severely distorted due to the external strong impact,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filter 9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egree of pushing the horizontal slide portion 72.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filter is corrected by displacing the filter instead of rotating it.

다만, 상기 필터(9)는 상기 스프링(4)에 의해서 좌우 간의 위치가 이미 조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수평밀림부(72)가 조절나사(77)에 의해서 조절되는 경우는 상기 수직밀림부(73)와 마찬가지로 필터(9)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경우로 볼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filter 9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has already been adjusted by the spring (4). Therefore, when the horizontal slide portion 72 is adjusted by the adjustment screw 77, it can be seen that the case of adjust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lter 9 like the vertical slide portion 73.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더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와 같은 실시예를 더 살펴보도록 한다.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but may further have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look at such an embodiment further.

먼저, 상기 받침구는 필터의 하단 모서리 중앙부를 받히고 있는 것으로 설명된 바가 있다. 그러나, 상기 받침구는 그와 같은 위치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상기 필터의 하단부가 받혀진 상태에서 필터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그러므로, 필터의 하단 모서리가 지지되기만 하면 어느 위치라도 관계는 없다. 그러 나, 필터의 하단 모서리 중앙부가 지지되는 경우에는, 좌우 양측의 미세조정기구를 동일하게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필터는 동일한 각도 및 거리로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필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게 될 것임은 사실이다. First, the support has been described as supporting the center of the lower edge of the filter. However, the support hole is not limited to such a position, but only the position of the filter can be adjusted while the lower end of the filter is supported. Therefore, it does not matter in any position as long as the bottom edge of the filter is supported. However, when the center of the lower edge of the filter is supported, the filter is moved at the same angle and distance by equally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fine adjustment mechanisms,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lter more conveniently. It is true that it will be more desirable.

또한, 상기 받침구는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될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받침구의 어느 일측만이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경우에는 필터를 계속해서 받히고 있는 부재의 특성으로 볼 때, 피로하중을 넘어서서 받침구에 자체적인 변형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필터의 위치가 영구변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받침구는 양측 단부가 동시에 프레임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나아가서, 상기 받침구는 제공되지 아니하고, 상기 미세조정기구가 자체적으로 필터를 받히고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경우에는 조절나사로 인가되는 하중이 높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supporting port need not be fixed to both ends of the frame. Therefore, only one side of the support may be fixed to the frame. However, in such a case,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 that continues to support the filter, the deformation of the support opening occurs beyond the fatigue load, which may result in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position of the filter. Therefore, it would be more desirable for the support to allow both ends to support the frame at the same time. Furthermore, the support hole is not provided, and the fine adjustment mechanism may be itself receiving the filter.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load applied by the adjustment screw may be high, it will not be preferable.

또한, 상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미세조정기구에, 수평밀림부와 수직밀림부가 함께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경우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수직밀림부는 제공되지만 수직밀림부는 제공되지 아니하는 상태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라도, 필터와 화소 간의 정합 틀어짐에 의해서 발생되는 모아레등과 같은 현상을 해소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수직밀림부를 미는 경우에는 필터의 좌우위치로의 위치이동도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필터(9)의 편평도가 저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밀림부를 밀고 빼는 것에 의해서 미세조정기구의 정밀한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ne adjustment mechanism is provided with the horizontal slide portion and the vertical slide portion together. However, it is not limited in such a case, but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jungle portion is provided but the vertical jungle portion is not provided. Even in this case, the phenomenon such as moiré caused by misalignment between the filter and the pixel may be eliminated. However, when the vertical pusher is pushed, the position shift of the filter to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may also occur, and in this case, the flatness of the filter 9 may be reduced. In response to such a case,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adjust the precise position of the fine adjustment mechanism by pushing and pulling the horizontal slide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현장에서는 작업이 편리해지고 생산성이 향상되고, 필터와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정합이 틀어진 경우에도 이를 편리하게 보정할 수 있고, 사용자도 필터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ion site is easy to work and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even when the matching between the filter and the display module is corrected, it can be conveniently corrected, the user has the advantage that can convenient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lt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의 정면도. 2 is a front view of a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은 도 2의 Ⅰ-Ⅰ'의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 ′ of FIG. 2.

도 4는 도 2에서 "A"부분의 확대도.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2.

도 5는 스프링의 사시도.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pring;

도 6은 도 1의 "B" 부분의 확대도.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1.

도 7은 받침구의 사시도.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도 8은 도 2의 "C" 부분의 확대도.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of FIG. 2.

도 9는 미세조정기구의 사시도.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e adjustment mechanism;

Claims (12)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을 커버하는 백커버;A back cover covering a rear of the display modul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을 커버하고 개구가 형성되는 캐비넷;A cabinet covering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소와 대응되는 규격의 슬릿 또는 렌즈를 가지고, 상기 캐비넷에 위치가 변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필터; 및A filter having a slit or a lens of a standard corresponding to a pixel of the display module, the filter being supported so that its position can be changed in the cabinet; And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일단이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필터에 접근이 가능한 조절부재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so that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he other end includes an adjustment member that is accessible to the filt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캐비넷의 하측 코너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The adjust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lower corner of the cabine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캐비넷의 하측 코너부를 이루는 양 면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The adjustment member is installed on each of the two sides forming the lower corner of the cabinet display devic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캐비넷의 하단 모서리는 가운데 부분이 받혀지는 디스플레이 기기. The lower edge of the cabinet is a display device that is received in the center. 캐비넷; Cabinet; 상기 캐비넷의 배면에 설치되는 프레임; A frame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cabinet; 상기 프레임과 상기 필터에 지지되는 미세조정기구; 및A fine adjustment mechanism supported by the frame and the filter; And 상기 캐비넷의 외부에 드러나고 그 일단은 상기 미세조정기구에 접하는 조절부재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필터위치조절장치. A filter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a display device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and one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fine adjustment mechanism.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프레임은 상기 캐비넷의 배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필터위치조절장치. And the frame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by a predetermined height.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필터의 배면을 누르는 후방 서포터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필터위치조절장치. And a rear supporter coupled to the frame and pressing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필터의 테두리 측면을 안쪽으로 가압하는 다수개의 스프링이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필터위치조절장치. Filter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springs for pressing the side of the edge of the filter inward.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캐비넷 배면의 상기 간격을 통과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필터위치조절장치. The adjusting member, the filter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to pas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rame and the back of the cabinet.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필터의 하측 중앙부를 받히는 받침구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필터위치조절장치. Filter position adjustment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es a support for receiving the lower center portion of the filter.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을 커버하는 백커버;A back cover covering a rear of the display modul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을 커버하고 개구가 형성되는 캐비넷;A cabinet covering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소와 대응되는 규격의 슬릿 또는 렌즈를 가지고, 상기 캐비넷에 위치가 변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필터;A filter having a slit or a lens of a standard corresponding to a pixel of the display module, the filter being supported so that its position can be changed in the cabinet; 상기 캐비넷의 배면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프레임;A frame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 및At least one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frame and in contact with the filter; And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일단이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필터에 접근이 가능한 조절부재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so that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he other end includes an adjustment member that is accessible to the filter.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지지부재에는, The support member, 상기 필터의 후면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두 개의 후방 서포터와, 상기 필터의 측면을 지지하여 안쪽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두 개의 스프링 중에서 선택되 는 적어도 하나인 디스플레이 기기. And at least one rear supporter for pressing the back of the filter forward and at least two springs supporting the side of the filter and pressing inward.
KR1020070140923A 2007-12-28 2007-12-28 Display device and filter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same KR200900727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923A KR20090072726A (en) 2007-12-28 2007-12-28 Display device and filter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923A KR20090072726A (en) 2007-12-28 2007-12-28 Display device and filter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726A true KR20090072726A (en) 2009-07-02

Family

ID=4132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923A KR20090072726A (en) 2007-12-28 2007-12-28 Display device and filter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2726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196B1 (en) * 2011-12-19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US9320138B2 (en) 2011-12-19 2016-04-19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WO2019179120A1 (en) * 2018-03-20 2019-09-26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system
KR102569630B1 (en) * 2023-01-20 2023-08-24 주식회사 엘앤비기술 LED display boar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196B1 (en) * 2011-12-19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US9320138B2 (en) 2011-12-19 2016-04-19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US9608231B2 (en) 2011-12-19 2017-03-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US9711752B2 (en) 2011-12-19 2017-07-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US10181575B2 (en) 2011-12-19 2019-01-15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WO2019179120A1 (en) * 2018-03-20 2019-09-26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system
KR102569630B1 (en) * 2023-01-20 2023-08-24 주식회사 엘앤비기술 LED display 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947B1 (en) 2D-3D switchable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KR100998439B1 (en) Device for recognizing 2-dimensional image as 3-dimensional image
KR100445613B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KR20140051101A (en) 3d display system with active shutter plate
US6070349A (en) Multi-purpose easel for displaying multiple, 3D, and animated images
CN103513311B (en) A kind of 3 D grating and bore hole 3D display device
KR20080044370A (en) Stereoscopic screen
KR20090072726A (en) Display device and filter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same
EP2887661A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US11137614B2 (en) Adjustment mechanism and view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2675177A1 (en) Two dimensional/ three dimensional switchable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202121716U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N106842883B (en) Holographic display device
JP2004004681A (en) Video separating device and stereoscopic video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070216601A1 (en) Stereoscopic Two-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80013591A (en)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and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6807144B1 (en) Image display device
Harman Autostereoscopic display system
KR101290839B1 (en) Autostereoscopic lens sheet with planar areas
KR101341497B1 (en) 3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of arraying the filter of the same
KR20040074548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WO2006077706A1 (en) Stereoscopic two-dimensional image display and its moire reducing method
KR100706940B1 (en) Multi-view cameras alignment apparatus
KR20120088609A (en) Portable 3d viewer for middle or large size personal electronic device
GB2308005A (en) Imaging display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