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456A -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456A
KR20090071456A KR1020080133579A KR20080133579A KR20090071456A KR 20090071456 A KR20090071456 A KR 20090071456A KR 1020080133579 A KR1020080133579 A KR 1020080133579A KR 20080133579 A KR20080133579 A KR 20080133579A KR 20090071456 A KR20090071456 A KR 20090071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andby power
control signal
standby
pow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석
류성환
박영주
고은
성열훈
Original Assignee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7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1Broadband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수단과 홈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Gateway)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월패드,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 또는 각종 단말장치를 통해 손쉽게 대기 상태에 있는 전력소비 장치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80133579
전력소비 장치, 대기전력, 홈네트워크, 게이트웨이(Gateway)

Description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STANDBY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HOME-NETWORK}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수단과 홈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 (Gateway)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월패드,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 또는 각종 단말장치를 통해 손쉽게 대기 상태에 있는 전력소비 장치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TV, 오디오 등과 같은 전력소비 장치는 회로 구성이 집적화되고, 신호처리기술이 고속화 및 고정밀화되어 동작 전원의 안정화가 필연적으로 요구되었다.
그 결과, 전력소비 장치는 자동 파워 온/오프 기능과 메모리 기능 등과 같은 다기능을 구비하게 되고, 전력소비 장치의 전원 공급도 정상 모드와 대기 모드로 구분되어, 정상모드에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전력이 소모되고, 대기모드에 서는 기본적인 기능 수행을 위한 최소한의 전력을 소모하게 되었다.
하지만, 전력소비 장치와 같이 대기 모드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에는 소비전력에 의한 전기 요금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이용자의 부담이 가중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는 플러그를 직접 뽑아 전원을 차단해야 하지만, 사용자가 전력소비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뽑고,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다시 플러그를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현재 건설되고 있는 아파트 등의 건물에서는 전력소비 장치가 아파트와 일체화되면서 전력소비 장치의 전력 플러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원을 직접 차단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소비 장치의 대기 전력을 사용자가 쉽게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가 집에 없는 경우에도 휴대폰 혹은 PC와 같은 단말을 이용해 외부에서 대기전력을 쉽게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은,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대기전력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제어신호를 댁내 망으로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Gateway)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라인을 온/오프하는 제 1 릴레이 구동부를 제어하여 전력소비 장치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기전력 차단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신호는, 월패드 입력신호, 리모트 컨트롤러 입력신호, 및 댁외에서 송신되는 원격 컨트롤 입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대기전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제어부와, 상기 대기전력 제어신호를 유티피 케이블(UTP CABLE)로 이루어진 댁내망으로 전달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은,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상기 대기전력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기전력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릴레이 구동부에 연결되는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제 1 전력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기전력 차단모듈에 대응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댁내의 전력소비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제어장치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대기전력 차단모듈은 상기 제 1 전력 제어기의 스위치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 릴레이 구동부를 구동시켜 개별 전력소비 장치 또는 복수의 전력소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라인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기전력 차단모듈은, 세대 분전반, 실외기 차단기(MCCB) 및 전력소비 장치 내부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상기 세대 분전반은 단상 혹은 3상 세대 분전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은, 상기 대기전력 제어신호 또는 댁외에서 수신되는 원격 컨트롤 신호에 응답하여 온/오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와 대응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전력소비 장치에 연결된 전력 라인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제 2 릴레이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 2 전력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은 홈네트워크 단말인 월패드 혹은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력소비 장치의 대기전력을 쉽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에도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해 게이트웨이(Gateway)를 제어하여 전력소비 장치의 대기전력을 쉽게 차단하여 대기전력에 의한 요금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소비 장치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력소비 장치(100)에 공급되는 전력은 세대 분전반(300)과 실외기 차단기(MCCB)(200)를 경유하여 전력소비 장치(100)에 전달된다. 전력소비 장치 (100)가 동작 모드에서 작동을 하는 경우에는 세대 분전반(300)을 통해 전달된 전력은 전력소비 장치(100)에서 소비된다. 하지만, 전력소비 장치(100)가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에는 전력소비 장치(100)가 동작하지는 않지만, 미세한 대기전력이 계속해서 소비된다.
이러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대기전력 차단모듈(600)이 전력소비 장치(100) 내부, 실외기 차단기(MCCB)(200) 혹은 세대 분전반(300) 중 한 곳에 설치된다. 다만, 도 1 은 대기전력 차단모듈(600)이 세대 분전반(300)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대기전력 차단모듈(60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대기전력을 쉽게 제어하도록 하기 위해 대기전력 차단모듈(600)은 댁내망을 통해 홈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Gateway)(400)에 연결된다. 댁내망으로 주로 PLC(전력선 통신), 이더넷(Ethernet), 홈 PNA IEEE 1394, WALN 등을 이용해 구현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UTP 케이블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Gateway)(400)는 가전제품, 전열장치 혹은 조명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전력 제어기(500)에 의해 각각의 장치들과 연결된다. 여기서, 전력 제어기(500)는 게이트웨이(Gateway)(400)에서 전달되는 신호 를 분석하여 필요한 스위치를 동작시켜 온/오프(ON/OFF)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전력 제어기(500)는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미도시)에 연결되어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의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필요한 스위치를 온/오프 함으로써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Gateway)(400)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액세스 망과 연결된다. 액세스 망으로 PSTN, ADSL, FTTH, 이동 통신망 등 다양한 기술이 적용 가능하다. 다만, 여기서는 이동통신망 혹은 네트워크 망에 의해 게이트웨이(Gateway)(400)가 이동 단말(700) 혹은 PC(8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여기서, 게이트웨이(Gateway)(400)는 월패드(미도시) 혹은 리모트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사용자는 쉽게 월패드의 터치스크린 입력장치를 통해 혹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입력 버튼을 통해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전력소비 장치(100)가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동작 원리를 간단히 설명한다.
전력소비 장치(100)가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에는, 전력소비 장치(100)에서 대기전력이 소비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게이트웨이(Gateway)(400)와 연결된 월패드 혹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해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게이트웨이(Gateway)(400)와 이동통신망 혹은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어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이동 단말(700) 혹은 PC(800)를 이용해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전력 제어기(500)와 연결된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를 이용해 대기전력 차단 을 위한 명령을 입력한다.
게이트웨이(Gateway)(400)에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게이트웨이(Gateway)(400)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제어기(500)에 전달하고, 전력 제어기(500)는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대기전력 차단모듈(600) 또는 전력제어 기능을 갖는 별도의 전력제어장치(미도시)와 연결되는 스위치를 온(ON)으로 설정한다. 전력 제어기(500)의 스위치가 온(ON)으로 설정되면 제어신호는 대기전력 차단모듈(600) 또는 전력제어장치에 전달되고, 대기전력 차단모듈(600) 또는 전력제어장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력소비 장치(100)에 연결되는 전력선에 설치된 릴레이 구동부를 구동시켜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다만, 여기서 전력 제어기(500)는 선택적인 사항으로 전력 제어기(500)가 없는 경우에도 실시 가능하다. 즉, 게이트웨이(Gateway)(40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는 대기전력 차단모듈(600) 또는 전력제어장치에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한편,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를 통해 전력 제어기(500)에 직접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전력 제어기(500)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내장된 스위치를 온(ON)으로 설정하고 이로써 제어신호가 전력 제어기(500)에 내장된 릴레이 구동부로 전달되어 전력소비 장치(100)의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 원리와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소비 장치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소비 장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은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 제 1 전력 제어기(510), 게이트웨이 (Gateway)(400), 단말장치(800, 810, 820, 830) 및 전력제어장치(910, 9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은 전력소비 장치(110, 120)와 전력소비 장치(110, 1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전원부(미도시)를 연결하는 전력선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은 세대 분전반 내부, 실외기 차단기 내부(MCCB) 혹은 전력소비 장치 내부 중 한 곳에 설치되어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은 차단하고자 하는 전력소비 장치(110, 120)가 복수인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성된다. 또한,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은 개별 전력소비 장치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전력소비 장치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전력소비 장치의 대기전력을 동시에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은 댁내 일정영역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력소비 장치(110, 120)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Gateway)(400)는 댁내 망을 통해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 또는 전력제어장치(910, 920)와 연결되고, 이동 통신망 혹은 네트워크 통신망과 같 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장치(800, 810, 820, 830)와 연결되어, 입력된 대기전력 차단 명령 혹은 단말장치(800, 810, 820, 830)로부터 전달된 대기전력 차단 명령을 댁내 망을 통해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 또는 전력제어장치(910, 920)에 전달한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게이트웨이(Gateway)(400), 단말 장치(800, 810, 820, 830), 제 1 전력제어기(510),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
마지막으로 전력제어장치(910, 920) 순으로 설명한다.
게이트웨이(400)는 입출력부(410), 제 1 제어부(420), 제 1 및 제 2 통신부(430, 440) 그리고 메모리부(450)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입출력부(410)는 게이트웨이 (400)에 연결되어 입출력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여기서는 게이트웨이(400)의 일부로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출력부(410)는 홈네트워크 단말인 월패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방문자 확인, 동일 단지 및 이웃 단지의 세대간 통화, 댁내 전자제품 작동의 원격제어, 원격 검침, 무인 경비, 차량 도착 확인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
게이트웨이(Gateway)(400)의 제 1 제어부(420)는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 또는 전력제어장치(910, 920)를 제어하는 신호(이하, 제어신호라 함)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제 1 통신부(430)를 통해 제 1 전력 제어기(51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거나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 또는 전력제어장 치(910, 920)로 직접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제어신호는 다음 세 가지 방법으로 발생한다.
첫 번째, 입출력부(41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 또는 전력제어장치(910, 92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면, 제 1 제어부(420)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 1 통신부(430)를 통해 전달한다.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를 이용해 전달된 입력신호에 기반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두 번째, PC(800), PDA(810), 이동 전화(820) 혹은 웹폰(830)과 같은 단말장치를 이용해 사용자가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 또는 전력제어장치(910, 920)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여,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제 2 통신부(440)에 전달되면, 제 1 제어부(420)는 전달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 또는 전력제어장치(910, 920)을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 1 통신부(430)를 통해 전달한다.
세 번째, 게이트웨이(Gateway)(400)의 메모리부(450)에 대기전력 차단모듈 (610, 620) 또는 전력제어장치(910, 920)의 제어와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이 성립하는지 여부를 제 1 제어부(420)에서 판단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 1 통신부(430)를 통해 전달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되는 조건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온도가 전력소비 장치의 가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특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특정 온도를 조건으로 설정하거나, 사람들이 집에 없는 시간을 조건으로 설정하거나, 혹은 겨울과 같이 계절을 기 준으로 전력소비 장치 가동이 필요없는 일정 기간의 시간을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1 통신부(430)를 통해 전달된 제어신호는 제 1 전력 제어기(510)를 통해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 또는 전력제어장치(910, 920)에 전달되거나 혹은 제 1 전력제어기(510)를 거치지 않고 직접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 또는 전력제어장치(910, 920)로 전달된다.
제 1 전력 제어기(510)는 적어도 하나의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에 대응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512a, 512b)와, 상기 대기전력 차단모듈 외에 댁내의 전력소비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제어 장치(910, 920)에 대응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512c, 512d)와, 이들 스위치 (512a, 512b, 512c, 512d)를 제어하는 제 2 제어부(511)를 포함한다.
제 1 통신부(430)로부터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제 1 전력 제어기(510)의 제 2 제어부(511)는 전달된 제어신호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 또는 전력제어장치(910, 920)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에 해당 대기전력 차단모듈 또는 전력제어장치와 연결되는 스위치를 온(ON)으로 설정하여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은 제어부(611, 621) 및 릴레이 구동부(612, 622)로 구성되며, 세대 분전반, 실외기 차단기(MCCB), 및 전력소비 장치 내부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대 분전반은 단상 또는 3 상 세대 분전반을 포함한다.
제어부(611, 621)는 제 1 전력 제어기(510) 또는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대기전력 차단여부를 판단하여 릴레이 구동부(612, 622)를 제어한다. 릴레이 구동부(612, 622)는 제어부(611, 621)에서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접점 릴레이를 오프하여 전력소비 장치(110, 120)와 주전원부 사이의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전력제어 장치(910, 920)는 댁내의 전력소비 장치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로서, 제 1 전력 제어기(510) 또는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전력소비 장치의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소비 장치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소비 장치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은 제 2 전력 제어기(520), 게이트웨이 (Gateway)(400), 단말장치(800, 810, 820, 8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실시예는 전력소비 장치(130, 140)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릴레이 구동부(525a, 525b)가 별도의 대기전력 차단모듈이 아니라 제 2 전력제어기 (520) 내부에 포함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게이트웨이(Gateway)(400)는 댁내 망을 통해 제 2 전력 제어기(520)와 연결되고, 이동 통신망 혹은 네트워크 통신망과 같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장치(800, 810, 820, 830)와 연결되어, 입력된 대기전력 차단 명령 혹은 단말장치(800, 810, 820, 830)로부터 전달된 대기전력 차단 명령을 댁내 망을 통해 제 2 전력 제어기(520)에 전달한다.
여기서, 단말장치(800, 810, 820, 830)로부터 전달된 대기전력 차단 명령은 경우에 따라 게이트웨이(Gateway)(400)를 통하지 않고 제 2 전력 제어기(520)의 제 3 통신부(522)로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Gateway)(400)의 내부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 2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Gateway)(400)는 제 2 전력 제어기(52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의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제 1 통신부(430)를 통해 제 2 전력 제어기(520)로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제 2 전력 제어기(520)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소비 장치(130, 140)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구동부(525a, 525b)와, 상기 릴레이 구동부(525a, 525b)에 대응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524a, 524b)와, 상기 스위치(524a, 524b)를 제어하는 제 3 제어부(521)와, 이동 통신망 혹은 네트워크 통신망과 같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장치(800, 810, 820, 830)와 연결되는 제 3 통신부(522)와, 사용자로부터 대기전력 차단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5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523)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소비 장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식 스위치로 이루어진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전력소비 장치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입력부(523)는 IR 수신 기능을 내장하여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대기전력 차단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제 1 통신부(430)로부터 제어신호가 전달되거나, 제 3 통신부(522) 또는 입력부(523)로부터 대기전력 차단 명령이 전달되면, 제 2 전력 제어기(520)의 제 3 제어부(521)는 전달된 제어신호 또는 대기전력 차단 명령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전력소비 장치(130, 140) 중 어느 하나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전력소비 장치와 연결되는 스위치를 온(ON)으로 설정하여 제어신호를 해당 전력소비 장치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릴레이 구동부(525a, 525b)로 전달한다.
릴레이 구동부(525a, 525b)는 제 3 제어부(521)에서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접점 릴레이를 오프하여 전력소비 장치(130, 140)와 주전원부 사이의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소비 장치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소비 장치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은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 제 1 전력 제어기(510), 제 2 전 력 제어기(520), 게이트웨이(Gateway)(400), 단말장치(800, 810, 820, 830) 및 전력제어장치(910, 9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제 3 실시예는 상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를 결합한 형태로, 각 구성의 기능 및 상세 구성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소비 장치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에서, 개별 전력소비 장치(110, 120, 130, 140)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는 게이트웨이(Gateway)(400)의 입출력부(410)를 통해, 또는 단말장치(800, 810, 820, 830)를 통해, 또는 제 2 전력 제어기(520)의 입력부(52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대기전력 차단 명령에 의해 발생하거나, 게이트웨이 (Gateway)(400)의 메모리부(450)의 미리 설정된 조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소비 장치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에서, 개별 전력소비 장치(110, 120, 130, 140)의 대기전력 차단은, 대기전력 차단모듈(610, 620), 전력제어장치(910, 920) 또는 제 2 전력 제어기(520)에 내장된 릴레이 구동부(525a, 525b)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상술한 제 3 실시예와 같이, 전력소비 장치(110, 120, 130, 140)의 대기전력 차단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 및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수단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댁내의 다양한 전력소비 장치들에 대해 장치의 위치 및 종류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소비 장치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소비 장치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소비 장치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소비 장치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2)

  1.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대기전력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제어신호를 댁내 망으로 전달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라인을 온/오프하는 제 1 릴레이 구동부를 제어하여 전력소비 장치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기전력 차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는
    월패드 입력신호, 리모트 컨트롤러 입력신호, 및 댁외에서 송신되는 원격 컨트롤 입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대기전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제어부; 및
    상기 대기전력 제어신호를 유티피 케이블(UTP CABLE)로 이루어진 댁내망으로 전달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 전력 제어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상기 대기전력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기전력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릴레이 구동부에 연결되는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제 1 전력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기전력 차단모듈에 대응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댁내의 전력소비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제어장치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차단모듈은 상기 제 1 전력 제어기의 스위치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 릴레이 구동부를 구동시켜 개별 전력소비 장치 또는 복수의 전력소비 장치 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라인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차단모듈은
    세대 분전반, 실외기 차단기(MCCB) 및 전력소비 장치 내부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 분전반은 단상 혹은 3상 세대 분전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제어신호 또는 댁외에서 수신되는 원격 컨트롤 신호에 응답하여 온/오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와 대응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전력소비 장치에 연결된 전력 라인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제 2 릴레이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 2 전력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10.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대기전력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제어신호를 댁내 망으로 전달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댁외에서 송신되는 원격 컨트롤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대기전력 제어신호 및 원격 컨트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제 1 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제 1 스위치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전력소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라인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릴레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력소비 장치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릴레이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소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라인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대기전력 차단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릴레이 구동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2 릴레이 구동부가 동작되도록 상기 대기전력 제어신호를 댁내망을 통해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KR1020080133579A 2007-12-27 2008-12-24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KR200900714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388 2007-12-27
KR20070139388 2007-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456A true KR20090071456A (ko) 2009-07-01

Family

ID=4132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579A KR20090071456A (ko) 2007-12-27 2008-12-24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145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399B1 (ko) * 2010-10-22 2012-05-08 주식회사 중원파워컨트롤스 전기기기 전원 무선제어시스템
KR101149048B1 (ko) * 2010-08-20 2012-05-24 김대기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464743Y1 (ko) * 2011-07-24 2013-01-15 이규석 부하를 관리하는 릴레이 일체형 누전차단기
KR101361834B1 (ko) * 2012-03-23 2014-02-12 삼우에레코 주식회사 홈 에너지 세이빙 컨트롤 유닛
KR101361750B1 (ko) * 2012-01-18 2014-02-13 서덕환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048B1 (ko) * 2010-08-20 2012-05-24 김대기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1142399B1 (ko) * 2010-10-22 2012-05-08 주식회사 중원파워컨트롤스 전기기기 전원 무선제어시스템
KR200464743Y1 (ko) * 2011-07-24 2013-01-15 이규석 부하를 관리하는 릴레이 일체형 누전차단기
KR101361750B1 (ko) * 2012-01-18 2014-02-13 서덕환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KR101361834B1 (ko) * 2012-03-23 2014-02-12 삼우에레코 주식회사 홈 에너지 세이빙 컨트롤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93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on-off a group or all lights or appliances of premises
CA2873116C (en) Electrical energy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120303554A1 (en) Energ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090230779A1 (en) Control apparatus
JPH01295596A (ja) 家屋用の通信およびエネルギ制御システム
CN102356448A (zh) 包括装置时钟的占用感测
KR20090071456A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KR20060129576A (ko) 파워콘트롤러 및 상기 파워콘트롤러를 포함한 전자식전력제어시스템
KR100920992B1 (ko) 원격 제어 멀티탭/콘센트 장치
WO2001037535A1 (en) Home network using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s
Gross Smart house and home automation technologies
KR100990131B1 (ko)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JP2010535009A (ja) パラメータ化可能な電気配分及び管理方法及び装置
KR101103099B1 (ko) 선택전력의 차단수단을 갖는 계량기.
KR101427741B1 (ko) 배전반용 스위치어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전반 장치
KR20200059387A (ko) 스마트 그리드 대기전력절감 시스템
KR100862059B1 (ko)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JP2009254146A (ja) 遠隔電源管理装置
KR200256242Y1 (ko) 다기능 복합 콘센트
JP2010206712A (ja) 宅内機器制御システム
KR20180028188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맞춤형 홈 네트워크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JP2004030930A (ja) 通信及び電源制御機能付きテーブルタップ
KR101187760B1 (ko) 유비쿼터스형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598114B1 (ko) 비디오폰용 컨버터가 구비된 출입 통제 시스템
JP2001008361A (ja) 電気機器の節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303

Effective date: 20111021